KR101251039B1 - 파티션 겸용 다목적 거치대 - Google Patents

파티션 겸용 다목적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1039B1
KR101251039B1 KR1020130010556A KR20130010556A KR101251039B1 KR 101251039 B1 KR101251039 B1 KR 101251039B1 KR 1020130010556 A KR1020130010556 A KR 1020130010556A KR 20130010556 A KR20130010556 A KR 20130010556A KR 101251039 B1 KR101251039 B1 KR 101251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pair
support
coupled
rai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0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천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더블유이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더블유이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더블유이시스
Priority to KR1020130010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10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1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1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7/00Writing-tables
    • A47B17/04Writing-tables with secret or fireproof compartments ; Trays or the like countersunk in the table top and obturable, e.g. by means of a roller or sliding shut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4Partition wa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B2097/005Monitor mounted supports or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12Vanity or modesty panel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책상의 다리에 파티션 겸용 거치대를 설치하여 사무공간의 축소를 방지하면서 미관을 미려하게 함은 물론 책상 다리에 설치된 파티션 겸용 거치대 전면 또는 전,후면에 모니터 단말기를 설치함으로써, 모니터 단말기의 설치공간 만큼 더 책상 상판의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파티션 겸용 다목적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파티션 겸용 다목적 거치대{multipurpose stands for partition}
본 발명은, 파티션 겸용 다목적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책상의 다리에 파티션 겸용 거치대를 설치하여 사무공간의 축소를 방지하면서 미관을 미려하게 함은 물론 책상 다리에 설치된 파티션 겸용 거치대 전면 또는 전,후면에 모니터 단말기를 설치함으로써, 모니터 단말기의 설치공간 만큼 더 책상 상판의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파티션 겸용 다목적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상은, 직사각형의 상판과 이의 양측을 지지하는 측판으로 구성되어 사무실에 설치되며, 상기 사무실에 대향하게 설치되는 책상 사이에는 업무 집중력 향상 및 개인 프라이버시 공간을 형성하거나 창조적인 업무 수행을 하도록 독립된 공간을 제공하는 파티션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파티션이 설치된 책상 상판에는 모니터를 안착시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책상에 모니터를 안착시켜 사용할 경우, 책상 상판의 공간활용성이 떨어져 사무공간이 협소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특허공개 제10-2013-0001843호로 '파티션용 모니터 브라켓'이 공개된 바 있다.
상기 선공개 발명은 파티션의 상부를 'ㄱ'자형 구조로 형성된 클램프로 고정하여 모니터를 설치하므로 목재로 이루어진 파티션의 파손 및 강도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니터의 고정이 견고하지 못하여 소비자들이 제품을 신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파티션 겸용 거치대를 책상의 다리에 설치하여 사무공간의 축소를 방지함과 아울러 미관을 미려하게 하는 파티션 겸용 다목적 거치대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책상 다리에 설치된 파티션 겸용 거치대 전면 또는 전,후면에 모니터 단말기를 설치함으로써, 모니터 단말기의 설치공간 만큼 더 책상 상판의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니터 단말기 설치시 파티션의 파손방지 및 강도를 유지하면서 설치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파티션 겸용 다목적 거치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파티션 겸용 다목적 거치대는,
연결부재와 브라켓으로 고정된 한 쌍의 다리와;
상기 한 쌍의 다리 후단부 상면에 고정되어 지지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안내부와;
상기 이동안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파티션 및 거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어 공간을 구획하거나 모니터 단말기가 거치되는 파티션 및 거치부와;
상기 이동안내부의 상단부를 수용하면서 한 쌍의 다리 상면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상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책상의 다리에 파티션이 설치됨으로써 사무공간의 축소를 방지함과 아울러 미관을 미려하게 할 뿐만 아니라 일반 파티션과는 달리 설치공간이 필요하지 않아 시야를 넓힐 수 있는 이점을 가지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거치홈이 형성된 거치부재에 모니터 단말기를 설치함으로써, 모니터 단말기의 설치공간 만큼 더 책상 상판의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니터 단말기 설치시 파티션의 파손방지 및 강도를 유지하면서 설치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이 책상에 설치되는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 측면구성도
도 6은 본 발명 단부마감부재의 다른 실시예 측면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스크린이 적용된 설치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이다.
본 발명 파티션 겸용 다목적 거치대(100)는, 연결부재(111)와 브라켓(112)으로 고정된 한 쌍의 다리(110)(110')가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다리(110)(110') 후단부 상면에 고정되어 지지부(130)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안내부(120)가 구성되며, 상기 이동안내부(120)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파티션 및 거치부(140)를 지지하는 지지부(130)가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130)에 고정되어 공간을 구획하거나 모니터 단말기(M)가 거치되는 파티션 및 거치부(140)가 구성되며, 상기 이동안내부(120)의 상단부를 수용하면서 한 쌍의 다리(110)(110') 상면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상판(1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이동안내부(120)는, 상기 지지부(130)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향으로 개구되는 한 쌍의 레일(121a)이 형성된 안내레일(121)이 구비되고, 상기 안내레일(121)의 양측에 안내레일(121)의 관통된 내부공간(121b)으로 결합돌기(122a)가 결합되면서 한 쌍의 다리(110)(110') 후단부 상면에 안착되는 단부마감부재(122)가 구비되며, 상기 결합돌기(122a)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단부마감부재(122) 저면에 일측 또는 양측에 돌출되는 받침대(123)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130)는, 상기 이동안내부(120)에 형성된 한 쌍의 레일(121a) 중 어느 하나의 레일(121a)에 결합되는 레일돌기(131b)가 제1몸체(131a) 저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몸체(131) 후면 상단부에 돌출되어 하프레임(142')의 리브(142a)에 관통된 끼움홈(142c)에 결합되는 끼움돌기(131c)가 형성되며, 상기 제1몸체(131)의 후면에 결합리브(131d)가 형성된 제1지지부재(131)가 구비되고, 상기 제1지지부재(131)와 대응되며, 상기 이동안내부(120)에 형성된 한 쌍의 레일(121a) 중 어느 하나의 레일(121a)에 결합되는 레일돌기(132b)가 제2몸체(132a) 저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몸체(132a) 전면 상단부에 돌출되어 하프레임(142')의 리브(142a)에 관통된 끼옴홈(142c)에 결합되는 끼움돌기(132c)가 형성되며, 상기 제2몸체(132a)의 전면에 제1지지부재(131)의 결합리브(131d)를 수용하는 결합리브(132d)가 형성된 제2지지부재(132)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파티션 및 거치부(140)는, 상기 모니터 단말기(M)가 거치될 수 있도록 거치홈(141a)이 적어도 1단 이상 형성된 거치부재(141)가 구비되고, 상기 거치부재(141)의 상,하단부를 수용하도록 리브(142a)가 돌출된 상,하프레임(142)(142')이 구비되며, 상기 거치부재(141)의 좌,우단부를 수용하도록 리브(143a)가 돌출된 좌,우프레임(143)(143')이 구비되고, 상기 상,하프레임(142)(142')과 좌,우프레임(143)(143')을 연결하여 마감하는 모서리부재(144)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모서리부재(144)는, 'ㄱ'자 형상이며, 모서리부에 홈(144a')이 요입된 마감몸체(144a)가 구비되고, 상기 마감몸체(144a)의 측면과 저면에 돌출되어 상,하프레임(142)(142')과 좌,우프레임(143)(143')의 관통된 내부공간(142b)(143b)으로 결합되는 결합돌기(144b)(144b')가 구비되며, 상기 마감몸체(144a)의 홈(144a')에 결합되어 마감하는 마감부재(145)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거치부재(141)와 상프레임(142) 사이에 형성되는 스크린부(146)를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설치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또는 전,후면에 적어도 1단 이상 거치홈(141a)이 요입되는 알루미늄재의 거치부재(141)를 형성하고, 상기 거치부재(141)의 상,하단부를 상,하프레임(142)(142')의 리브(142a)로 결합한다.
또한, 좌,우프레임(143)(143')의 내부공간(143b)에 모서리부재(144)의 마감몸체(144a)에 수직으로 돌출된 결합돌기(144b')를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좌,우프레임(143)(143')을 상기 거치부재(141)의 좌,우단부에 리브(143a)가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마감몸체(144a)의 수평으로 돌출된 결합돌기(144b)는 상,하프레임(142)(142')의 내부공간(142b)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좌,우프레임(143)(143')의 리브(143a)를 거치부재(141)의 좌,우단부에 결합하고, 상기 상,하프레임(142)(142')의 내부공간(142b)에 모서리부재(144)의 마감몸체(141a)에 수평으로 돌출된 결합돌기(144b)를 결합한 후, 상기 상,하부프레임(142)(142')의 리브(142a)가 거치부재(141)의 상,하단부에 결합됨과 동시에 좌,우프레임(143)(143')의 내부공간(143b)에 결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의 과정으로 거치부재(141)의 상,하단부와, 좌,우단부에 상,하프레임(142)(142') 및 좌,우프레임(143)(143')이 결합되면, 상기 모서리부재(144)의 홈(144a')에 마감부재(145)를 결합하여 마감하면서 파티션 및 거치부(140)가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홈(144a')을 통해 마감몸체(144a)와 상,하프레임(142)(142') 및 마감몸체(144a)와 좌,우프레임(143)(143')을 별도의 고정부재(미도시)로 고정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프레임(142')의 리브(142a)에 관통된 끼움홈(142c) 중 어느 하나의 끼움홈(142c)에 제1지지부재(131)의 제1몸체(131a) 후면에 돌출된 끼움돌기(131c)를 결합하고, 다른 하나의 끼움홈(142c)에 제2지지부재(132)의 제2몸체(132a) 저면에 돌출된 끼움돌기(132c)를 결합하는데, 상기 제2지지부재(132)의 끼움돌기(132c)가 끼움홈(142c)에 결합됨과 동시에 제2몸체(132a)의 전면에 돌출된 결합리브(132d)가 제1몸체(131a)의 후면에 돌출된 결합리브(131d)에 결합되며, 상기 결합리브(132d)(131d)가 결합된 제1,2지지부재(131)(132)를 볼트와 같은 고정부재(미도시)로 체결하여 지지부(130)가 파티션 및 거치부(140)에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파티션 및 거치부(140)를 이동시키거나 이동안내부(120)를 이동시켜 이동안내부(120)의 안내레일(121)에 형성된 한 쌍의 레일(121a)과 지지부(130)의 제1,2지지부재(131)(132)에 형성된 레일돌기(131b)(132b)를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한 후, 상기 이동안내부(120)의 안내레일(121)를 이동시켜 안내레일(121)의 한 쌍의 레일(121a)이 제1,2지지부재(131)(132)의 레일돌기(131b)(132b)에 결합되며, 상기 안내레일(121)의 양측에서 단부마감부재(122)를 결합하는데, 상기 단부마감부재(122)의 결합돌기(122a)가 내부공간(121b)에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이동안내부(120)에 결합된 지지부(130)는 안내레일(121)의 폭 내부에서 레일(121a)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130)가 결합된 이동안내부(120)는 연결부재(111)에 연결되어 브라켓(112)으로 고정된 한 쌍의 다리(110)(110') 후단부 상면에 안착시킨 후, 상기 이동안내부(120)의 단부마감부재(122)와 한 쌍의 다리(110)(110')를 볼트와 같은 별도의 고정부재(미도시)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다리(110)(110') 상면의 브라켓(112)에 상판(150)을 안착시키고, 한 쌍의 다리(110)(110')와 상판(150)을 별도의 고정부재(미도시)로 고정시키면서 본 발명의 설치가 완료되며, 상기 파티션 및 거치부(140)가 책상의 다리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다리(110)(110')에 단부마감부재(122)를 안착할 때, 상기 단부마감부재(122)의 저면에 받침대(123)를 형성할 수 있는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대(123)는 결합돌기(122a)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단부마감부재(122) 일측 또는 양측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이의 높이는 상판(150)이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브라켓(112)의 높이와 동일하여야 함은 물론이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부재(141)와 상프레임(142) 사이에 스크린(146)을 설치하여 파티션 및 거치부(140)의 높이를 높일 수 있는데, 상기 스크린(146) 설치시, 좌,우프레임(143)(143')은 거치부재(141)와 스크린(146)의 길이와 동일하여야 하고, 상기 스크린(146)이 금속으로 제작될 경우, 자석과 같은 부착부재를 이용하여 메모지를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섬유로 제작될 경우, 압정 및 핀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메모지를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무공간의 축소 방지는 물론 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거치부재(141) 전면 또는 전,후면에 모니터 단말기(M)를 설치하여 사용하므로 모니터 단말기(M)의 설치공간 만큼 더 책상 상판의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판에서 많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파티션 겸용 다목적 거치대
110,110': 한 쌍의 다리 120: 이동안내부
130: 지지부 140: 파티션 및 거치부
150: 상판

Claims (6)

  1. 연결부재와 브라켓으로 고정된 한 쌍의 다리와;
    상기 한 쌍의 다리 후단부 상면에 고정되어 지지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안내부와;
    상기 이동안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파티션 및 거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어 공간을 구획하거나 모니터 단말기가 거치될 수 있도록 거치홈이 적어도 1단 이상 형성된 거치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거치부재의 상,하단부를 수용하도록 리브가 돌출된 상,하프레임이 구비되며, 상기 거치부재의 좌,우단부를 수용하도록 리브가 돌출된 좌,우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상,하프레임과 좌,우프레임을 연결하여 마감하는 모서리부재로 구비된 파티션 및 거치부와;
    상기 이동안내부의 상단부를 수용하면서 한 쌍의 다리 상면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상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겸용 다목적 거치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안내부는,
    상기 지지부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향으로 개구되는 한 쌍의 레일이 형성된 안내레일과;
    상기 안내레일의 양측에 안내레일의 관통된 내부공간으로 결합돌기가 결합되면서 한 쌍의 다리 후단부 상면에 안착되는 단부마감부재와;
    상기 결합돌기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단부마감부재 저면에 일측 또는 양측에 돌출되는 받침판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겸용 다목적 거치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이동안내부에 형성된 한 쌍의 레일 중 어느 하나의 레일에 결합되는 레일돌기가 제1몸체 저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몸체 후면 상단부에 돌출되어 하프레임의 리브에 관통된 끼움홈에 결합되는 끼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1몸체의 후면에 결합리브가 형성된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1지지부재와 대응되며, 상기 이동안내부에 형성된 한 쌍의 레일 중 어느 하나의 레일에 결합되는 레일돌기가 제2몸체 저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몸체 전면 상단부에 돌출되어 하프레임의 리브에 관통된 끼움홈에 결합되는 끼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2몸체의 전면에 제1지지부재의 결합리브를 수용하는 결합리브가 형성된 제2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겸용 다목적 거치대.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부재는,
    'ㄱ'자 형상이며, 모서리부에 홈이 요입된 마감몸체와;
    상기 마감몸체의 측면과 저면에 돌출되어 상,하프레임과 좌,우프레임의 관통된 내부공간으로 결합되는 결합돌기와;
    상기 마감몸체의 홈에 결합되어 마감하는 마감부재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겸용 다목적 거치대.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재와 상프레임 사이에 형성되는 스크린부를 더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겸용 다목적 거치대.
KR1020130010556A 2013-01-30 2013-01-30 파티션 겸용 다목적 거치대 KR1012510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0556A KR101251039B1 (ko) 2013-01-30 2013-01-30 파티션 겸용 다목적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0556A KR101251039B1 (ko) 2013-01-30 2013-01-30 파티션 겸용 다목적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1039B1 true KR101251039B1 (ko) 2013-04-05

Family

ID=48442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0556A KR101251039B1 (ko) 2013-01-30 2013-01-30 파티션 겸용 다목적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103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9327B1 (ko) * 2013-10-11 2015-07-27 주식회사 퍼시스 다인용 공용 책상
KR101539328B1 (ko) * 2013-10-11 2015-07-29 주식회사 퍼시스 다인용 공용 책상의 구획 설비
KR101622964B1 (ko) * 2014-03-07 2016-05-20 박선서 조립식 책상
KR200489066Y1 (ko) 2018-06-21 2019-08-16 주식회사 라이또에프앤씨 듀얼 모니터 거치대
KR102320348B1 (ko) * 2020-06-29 2021-11-02 주식회사 호수산업 작업용 테이블의 작업물 추락방지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9617Y1 (ko) 2001-07-19 2002-01-05 주식회사 울타리 모니터 걸이용 파티션
KR100762009B1 (ko) 2006-03-15 2007-09-28 주식회사 코아스웰 책상의 선반장 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9617Y1 (ko) 2001-07-19 2002-01-05 주식회사 울타리 모니터 걸이용 파티션
KR100762009B1 (ko) 2006-03-15 2007-09-28 주식회사 코아스웰 책상의 선반장 설치구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9327B1 (ko) * 2013-10-11 2015-07-27 주식회사 퍼시스 다인용 공용 책상
KR101539328B1 (ko) * 2013-10-11 2015-07-29 주식회사 퍼시스 다인용 공용 책상의 구획 설비
KR101622964B1 (ko) * 2014-03-07 2016-05-20 박선서 조립식 책상
KR200489066Y1 (ko) 2018-06-21 2019-08-16 주식회사 라이또에프앤씨 듀얼 모니터 거치대
KR102320348B1 (ko) * 2020-06-29 2021-11-02 주식회사 호수산업 작업용 테이블의 작업물 추락방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1039B1 (ko) 파티션 겸용 다목적 거치대
US20150182021A1 (en) Television cabinet
KR20140013192A (ko) 미닫이식 도어의 이동장치
KR101722731B1 (ko) 탈,부착이 간편한 스크린 파티션을 구비한 책상
KR102415981B1 (ko) 조립식 가구의 측판 조립용 지지대 및 이를 구비한 조립식 가구
KR20210016872A (ko) 조립식 가구의 프레임 연결장치
CN209883420U (zh) 一种徒手安装的家具柜体
KR101580743B1 (ko) 도어프레임의 조립시스템
JP5540999B2 (ja) サイドパネルの取付装置
CN206460916U (zh) 缓冲支架
CN216142623U (zh) 一种垭口套安装结构
KR101848976B1 (ko) 유리판 복합고정물을 구비한 중공문짝 및 그 조립방법
JP2006296607A (ja) 天板付家具
CN204775010U (zh) 一种汽车座椅通用支架的铝基座
JP2011139961A (ja)
CN213282056U (zh) 一种板式家具用拼接限制装置
CN210930566U (zh) 一种展示架的台面板支撑结构
CN210930565U (zh) 一种展示架的层板支撑组件
CN210153043U (zh) 展示架的顶部连接组件
CN210354083U (zh) 一种展示架的加固组件
CN210359984U (zh) 车厢门柔性夹具
CN214580242U (zh) 一种可移动白板式固定单屏电视支架
JPS6318348Y2 (ko)
KR20170061982A (ko) 복합형 침대용 틀프레임
KR200379821Y1 (ko) 미닫이 창문이 구비된 책상칸막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