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3192A - 미닫이식 도어의 이동장치 - Google Patents

미닫이식 도어의 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3192A
KR20140013192A KR1020120079207A KR20120079207A KR20140013192A KR 20140013192 A KR20140013192 A KR 20140013192A KR 1020120079207 A KR1020120079207 A KR 1020120079207A KR 20120079207 A KR20120079207 A KR 20120079207A KR 20140013192 A KR20140013192 A KR 201400131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door
bracket
fastening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9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5815B1 (ko
Inventor
노태수
Original Assignee
(주)지씨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씨아이 filed Critical (주)지씨아이
Priority to KR1020120079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5815B1/ko
Publication of KR20140013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31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5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58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05F5/10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with piston 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63Horizont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furni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닫이식 도어의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하나의 레일 상에서 슬라이딩되면서 가구의 전면에서 개폐되는 한 쌍의 도어가 서로 대응되는 폭만큼 정확하게 겹쳐지게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가구 본체의 상면과 밑면으로 구비되는 각 하나의 레일 상에서 전,후로 위치하여 좌,우로 슬라이딩되면서 개폐되는 한 쌍의 각 도어의 배면 양측에 구비되는 상부롤러와 하부롤러로 구성되는 이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상부롤러와 하부롤러는 일측 도어를 슬라이딩시켜 타측 도어로 겹쳐지도록 개방될 때 최대한 넓은 폭으로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각 도어의 세로프레임과 가로프레임이 접하는 각 모서리에 구비되는 꺽쇠로 장착되는 각 상부 브래킷과 하부 브래킷 상에 회전 자유롭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식 도어의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미닫이식 도어의 이동장치{Mobile devices of sliding doors}
본 발명은 미닫이식 도어의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하나의 레일 상에서 슬라이딩되면서 가구의 전면에서 개폐되는 한 쌍의 도어가 최대한 넓은 폭으로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미닫이식 도어의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롱이나 책장 또는 수납장 및 욕실장 등과 같은 가구의 전면에는 수납공간으로 수납된 물품들이 노출됨으로 인한 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하고 물품의 손실 등을 방지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납공간 전체를 가릴 수 있도록 도어가 설치된다.
이러한 가구의 전면에 설치되는 도어는 개폐되는 방식에 따라 통상 여닫이식과 미닫이식으로 구분되어 지며, 전자인 여닫이식의 경우에는 일단이 회자 자유롭게 힌지(hinge) 결합되거나 경첩 등에 의해 장착되어, 그 힌지나 경첩 고정된 부분을 기점으로 가구의 전면으로 도어의 폭 만큼 회전반경을 갖고 여닫히게 됨에 따라 상기 도어의 회전반경 만큼의 공간을 확보해야 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아울러, 후자인 미닫이식의 경우에는 가구의 수납공간에 레일이 구비되며, 각 도어가 레일 상에 장착되어 레일을 따라 좌,우로 슬라이딩되면서 개폐됨으로 인하여 도어와 동일한 갯수로 레일을 구비해야 함으로써, 수납공간이 줄어든 문제점은 물론 부품수 증가로 인한 제작원가도 상승되는 문제점이 초래되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고자 종래에도 등록특허 제10-046152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수납장 본체의 상면과 밑면에 각각의 레일을 장착하여 도어가 슬라이딩되면서 개폐되도록 함에 따라 수납공간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었으나, 이 또한 레일이 상부로울러와 하부로울러가 장착되는 전,후 한 쌍으로 구성됨으로 인하여 부품추가와 조립 상에 상당히 번거로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하여 등록받은 등록특허 제10-1151895호 개시된 바와 같이 가구의 전면에서 좌,우로 슬라이딩되는 한 쌍의 도어가 하나의 레일 상에서 슬라이딩되어 개폐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술한 도어의 갯수나 상,하부 로울러와 대응되게 한 쌍의 레일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한 등록특허 제10-046528호나 제10-1151895호의 도어의 경우에는 수납장본체나 가구의 전방에서 슬라이딩 개폐될 때, 그 도어에 장착된 각 상,하부 로울러에 의해 각 도어가 개방될 때 개방 폭이 줄어드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다시 말해서, 상기 각 도어에 장착되는 상,하부 로울러는 각 도어의 배면 양 끝단에서 일정 폭 만큼 들어와서 장착됨에 따라, 즉 각 도어의 세로프레임과 가로프레임을 체결하기 위한 모서리 연결구에 의하여 그 모서리 연결구의 폭 만큼 양 끝단으로부터 들어와 고정됨으로써, 일측 도어가 타측 도어로 슬라이딩되어 개폐될 때 상기 폭으로 인해 도어의 개방 폭이 좁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그에 따라 도어의 개방 폭이 좁아짐에 따라 수납시 덜 개방된 도어에 의해 간섭이 발생함에 따라 수납 상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개방 후에도 각 도어가 서로 어긋난 폭이 커 미관 또한 수려하지 못한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등록특허 제10-0461528호 등록특허 제10-115189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안한 것으로, 그 주된 목적은 하나의 레일 상에서 슬라이딩되면서 가구의 전면에서 개폐되는 한 쌍의 도어가 최대한 넓은 폭으로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미닫이식 도어의 이동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와 가구로 장착되는 상,하부 브래킷의 구조를 여러 부품이 아닌 최대한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부롤러의 이상시 하부 브래킷 전체가 아닌 하부롤러가 장착된 부분만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어 개폐에 따른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구 본체의 상면과 밑면으로 구비되는 각 하나의 레일 상에서 전,후로 위치하여 좌,우로 슬라이딩되면서 개폐되는 한 쌍의 각 도어의 배면 양측에 구비되는 상부롤러와 하부롤러로 구성되는 이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상부롤러와 하부롤러는 일측 도어를 슬라이딩시켜 타측 도어로 겹쳐지도록 개방될 때 최대한 넓은 폭으로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각 도어의 세로프레임과 가로프레임이 접하는 각 모서리에 구비되는 꺽쇠로 장착되는 각 상부 브래킷과 하부 브래킷 상에 회전 자유롭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브래킷은, 꺽쇠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그 꺽쇠와 체결되는 체결편과, 상기 체결편에서 일체로 연장되어 직교되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연결편과, 상기 연결편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체결편과 나란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부롤러가 장착되는 장착편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 브래킷은, 꺽쇠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그 꺽쇠와 체결되는 체결고정편과, 상기 체결고정편에서 일체로 연장되어 직교되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연장편과, 상기 연장편에는 체결부에 의하여 하부롤러가 장착된 체결브래킷이 교차되는 방향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브래킷은, 연장편에 체결되는 결합편과, 상기 결합편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편과, 상기 수직편으로 결합편과 나란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하부롤러가 장착되는 고정편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부는 연장편에 형성되는 단차진 결합홈과, 상기 결합홈과 대응되게 체결브래킷의 결합편에 스크류 체결홈이 형성되어 스크류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브래킷의 결합편에는 도어의 이동시 유동성을 방지하면서 안정적인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고정편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일체로 절곡 형성되는 지지편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방에 위치하는 도어 일측의 구비되는 상부 브래킷과 하부 브래킷에는 도어의 개폐시 충격을 흡수하도록 완충력을 갖는 각각의 댐퍼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나의 레일 상에서 슬라이딩되면서 가구의 전면에서 개폐되는 한 쌍의 도어가 최대한 넓은 폭으로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납공간으로 물품 수납이 간섭됨 없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어 또한 최대한 많이 겹쳐지게 개방되어 미관 또한 수려할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또한, 도어와 가구로 장착되는 상,하부 브래킷의 구조를 여러 부품이 아닌 최대한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작원가를 절감은 물론 조립 또한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져 높은 조립 효율성을 가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하부롤러의 이상시 하부 브래킷 전체가 아닌 하부롤러가 장착된 부분만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지보수에 따른 뛰어난 경제성을 가짐은 물론 유지보수 또한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도어 개폐에 따른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충격에 따른 도어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안정적인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a는 본 발명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
도 1b는 본 발명이 도어에 장착된 상태의 도어 배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개략적인 요부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따른 개략적인 요부 측단면도.
도 4a 및 4b는 본 발명 상부 브래킷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평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하부 브래킷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저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분해도 및 사용상태의 요부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는 본 발명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1b는 본 발명이 도어에 장착된 상태의 도어 배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개략적인 요부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따른 개략적인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이 형성된 가구 본체(100)의 상면과 밑면으로 구비되는 각 하나의 레일(102) 상에서 전,후로 위치하여 좌,우로 슬라이딩되면서 개폐되는 한 쌍의 각 도어(110)의 배면 양측에 구비되는 수직 방향의 상부롤러(120)와 수평 방향의 하부롤러(130)로 구성되는 이동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은, 하나의 레일 상에서 슬라이딩되면서 가구의 전면에서 개폐되는 한 쌍의 도어가 최대한 넓은 폭으로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각 상부롤러(120)와 하부롤러(130)는 일측 도어(110)를 슬라이딩시켜 타측 도어(110)로 겹쳐지도록 개방될 때 최대한 넓은 폭으로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각 도어(110)의 세로프레임(112)과 가로프레임(114)이 접하는 각 모서리에 구비되는 통상적인 모서리 연결수단인 한글 자음의 기역(ㄱ)자 형태의 꺽쇠(115)로 장착되는 각 상부 브래킷(10)과 하부 브래킷(20) 상에 회전 자유롭게 구비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에서, 꺽쇠(115)는 각 세로프레임(112)과 가로프레임(114)의 내부로 통상적인 방식에 의해 각 단부가 슬라이딩 삽입되어 지며, 스크류 체결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크류공이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상,하부 브래킷을 각 도어의 세로프레임과 가로프레임이 접하는 각 모서리에 장착함에 따라 전,후에 위치하는 각 도어가 겹쳐질 때 최대한 많이 겹쳐지도록 개방됨으로써, 수납공간으로의 최대한 넓은 폭으로 개방되어져 물품 수납시 종래 개방 폭이 좁아 간섭되었던 문제점을 해소하여 간섭됨 없이 원활하게 수납이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도 최대한 많이 겹쳐지는 도어에 의해 미관 또한 수려할 수 있는 조건도 가지는 것이다.
상기 상부 브래킷(10)은, 꺽쇠(115)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그 꺽쇠(115)와 통상적인 스크류 방식에 의해 체결되는 체결편(12)과, 상기 체결편(12)에서 일체로 연장되어 직교되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연결편(14)과, 상기 연결편(14)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체결편(12)과 나란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수직 방향의 상부롤러(120)가 회전 자유롭게 장착되는 장착편(16)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상부 브래킷은 체결편이 도어의 세로프레임과 가로프레임이 접하는 모서리에 구비되는 꺽쇠로 체결 고정되며, 연결편은 도어와 본체와의 소정 간격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장착편은 상부롤러를 체결하게 됨으로써, 여러 부품으로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최소한의 간단한 구조인 단품으로 제작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성이 우수하여 도어와 본체 사이로 체결 고정이 간편하고 단시간 내에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하부 브래킷(20)은, 꺽쇠(115)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그 꺽쇠(115)와 통상적인 스크류 방식에 의해 체결되는 체결고정편(22)과, 상기 체결고정편(22)에서 일체로 연장되어 직교되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연장편(24)과, 상기 연장편(24)에는 체결부(30)에 의하여 수평 방향의 하부롤러(130)가 회전 자유롭게 장착된 체결브래킷(26)이 교차되는 방향으로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상기 하부 브래킷의 상기 체결고정편은 도어의 세로프레임과 가로프레임이 접하는 모서리에 구비되는 꺽쇠로 체결 고정되며, 상기 연장편은 도어와 본체와의 소정 간격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체결브래킷에는 하부롤러가 체결됨에 따라 하부 브래킷 역시 여러 부품으로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단품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이 또한 제작원가를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조립성이 우수하여 도어와 본체 사이로 체결 고정이 간편하고 단시간 내에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체결브래킷(26)은, 하부롤러(130)의 장착의 편의성은 물론 변형이나 손상 등이 발생시 하부 브래킷(20) 전체를 교체하는 것이 아니라 그 체결브래킷(26) 만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하부 브래킷(20)의 연장편(24)에 체결되는 결합편(26a)과, 상기 결합편(26a)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편(26b)과, 상기 수직편(26b)으로 결합편(26a)과 나란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하부롤러(130)가 장착되는 고정편(26c)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부(30)는, 연장편(24)에 형성되는 단차진 결합홈(32)과, 상기 결합홈(32)과 대응되게 체결브래킷(26)의 결합편(26a)에 스크류 체결홈(34)이 형성되어 스크류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브래킷의(26) 결합편(26a)에는 도어의 이동시 레일 부근에 형성된 프레임 등에 지지되어 유동성을 방지하면서 안정적인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고정편(26c)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일체로 절곡 형성되는 지지편(26a')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에서 각 도어에 구비되는 상부 브래킷과 하부 브래킷 중 후방에 위치하는 도어의 상부 브래킷과 하부 브랫킷의 높이는 전방에 위치하는 도어의 상부 브래킷과 하부 브래킷의 높이 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어, 서로 중첩되게 개방될 때 후방 측 상,하부 브래킷의 상부로 전방 도어의 상,하부 브래킷이 간섭됨 없이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 4a 내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구 본체(100)의 전면에 전,후로 위치하여 하나의 레일(102) 상에서 전,후로 위치하여 좌,우로 슬라이딩되어 개폐되는 각 도어(110)를 개폐시 그 도어(110)에 체결 고정되는 각 상부 브래킷(10)과 하부 브래킷(20)이 도어(110)의 세로프레임과 가로프레임이 접하는 모서리에 구비됨으로써, 슬라이딩되어 개방되는 도어가 폐쇄되어 있는 도어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위치할 때 최대한 많이 겹쳐지도록 개방되어 수납공간으로의 개방 폭을 최대한 넓게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그에 따라 개폐되는 각 도어(110)가 최대한 많이 겹쳐져 최대한 넓은 개방 폭을 가짐에 따라 물품 수납시 간섭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어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도 최대한 많이 겹쳐진 상태로 개방되어 외관도 수려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지는 것이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도어와 본체를 연결하기 위한 상부 브래킷이나 하부 브래킷 또한 여러 부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나라 하나의 단품으로 형성됨에 따라 조립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조립시간도 현전하게 단축할 수 있는 조건 또한 가진다.
한편,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도어가 정확하게 일치되도록 개폐되는 과정에서 도어 간에 서로 겹쳐지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 등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전방에 위치하는 도어(110) 일측의 구비되는 상부 브래킷(10)과 하부 브래킷(20)에는 도어의 개폐시 충격을 흡수하도록 완충력을 갖는 통상적인 각각의 댐퍼(4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상기 상부 브래킷(10)에 구비되는 댐퍼(40)는 연결편(14)에, 상기 하부 브래킷(20)에 구비되는 댐퍼(40)는 연장편(24)으로 통상적인 방식인 스크류 등에 의해 체결 고정하거나 별도의 통상적인 브래킷 또는 밴드 등에 의해 체결 고정한다.
그에 따라 전방의 도어가 개폐되거나 또는 후방의 도어가 개폐되어 질 때 상기 전방 도어의 일측 상부 브래킷과 하부 브래킷에 구비되는 각 댐퍼가 후방 측의 도어 측면과 접촉되면서 완충되어 짐으로써, 개폐에 따른 충격을 최소화하면서 자연스럽게 개폐가 이루어짐에 따라 충격으로 인한 손상 등을 방지함과 아울러 안정적인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10 : 상부 브래킷 12 : 체결편
14 : 연결편 16 : 장착편
20 : 하부 브래킷 22 : 체결고정편
24 : 연장편 26 : 체결브래킷
26a : 결합편 26a' : 지지편
26b : 수직편 26c : 고정편
30 : 체결부 32 : 결합홈
34 : 스크류 체결홈 40 : 댐퍼
100 : 본체 102 : 레일
110 : 도어 112 : 세로프레임
114 : 가로프레임 115 : 꺽쇠
120 : 상부롤러 130 : 하부롤러

Claims (7)

  1. 가구 본체(100)의 상면과 밑면으로 구비되는 각 하나의 레일(102) 상에서 전,후로 위치하여 좌,우로 슬라이딩되면서 개폐되는 한 쌍의 각 도어(110)의 배면 양측에 구비되는 상부롤러(120)와 하부롤러(130)로 구성되는 이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상부롤러(120)와 하부롤러(130)는 일측 도어(110)를 슬라이딩시켜 타측 도어(110)로 겹쳐지도록 개방될 때 최대한 넓은 폭으로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각 도어(110)의 세로프레임(112)과 가로프레임(114)이 접하는 각 모서리에 구비되는 꺽쇠(115)로 장착되는 각 상부 브래킷(10)과 하부 브래킷(20) 상에 회전 자유롭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식 도어의 이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브래킷(10)은, 꺽쇠(115)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그 꺽쇠(115)와 체결되는 체결편(12)과, 상기 체결편(12)에서 일체로 연장되어 직교되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연결편(14)과, 상기 연결편(14)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체결편(12)과 나란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부롤러(120)가 장착되는 장착편(16)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식 도어의 이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브래킷(20)은, 꺽쇠(115)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그 꺽쇠(115)와 체결되는 체결고정편(22)과, 상기 체결고정편(22)에서 일체로 연장되어 직교되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연장편(24)과, 상기 연장편(24)에는 체결부(30)에 의하여 하부롤러(130)가 장착된 체결브래킷(26)이 교차되는 방향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식 도어의 이동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브래킷(26)은, 연장편(24)에 체결되는 결합편(26a)과, 상기 결합편(26a)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편(26b)과, 상기 수직편(26b)으로 결합편(26a)과 나란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하부롤러(130)가 장착되는 고정편(26c)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식 도어의 이동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30)는, 연장편(24)에 형성되는 단차진 결합홈(32)과, 상기 결합홈(32)과 대응되게 체결브래킷(26)의 결합편(26a)에 스크류 체결홈(34)이 형성되어 스크류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식 도어의 이동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브래킷(26)의 결합편(26a)에는 도어(110)의 이동시 유동성을 방지하면서 안정적인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고정편(26c)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일체로 절곡 형성되는 지지편(26a')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식 도어의 이동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에 위치하는 도어(110) 일측의 구비되는 상부 브래킷(10)과 하부 브래킷(20)에는 도어(110)의 개폐시 충격을 흡수하도록 완충력을 갖는 각각의 댐퍼(4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식 도어의 이동장치.
KR1020120079207A 2012-07-20 2012-07-20 미닫이식 도어의 이동장치 KR1014158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9207A KR101415815B1 (ko) 2012-07-20 2012-07-20 미닫이식 도어의 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9207A KR101415815B1 (ko) 2012-07-20 2012-07-20 미닫이식 도어의 이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3192A true KR20140013192A (ko) 2014-02-05
KR101415815B1 KR101415815B1 (ko) 2014-07-08

Family

ID=50263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9207A KR101415815B1 (ko) 2012-07-20 2012-07-20 미닫이식 도어의 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581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2369A (ko) 2014-06-11 2015-12-22 비엠리빙코리아(주) 미닫이식 도어용 슬림형 틀프레임
KR101595855B1 (ko) 2014-09-29 2016-02-22 (주)지씨아이글로벌 미닫이식 도어의 롤러 브래킷 장착장치
WO2017105105A3 (ko) * 2015-12-18 2018-03-08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가변거울을 갖는 욕실장의 도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4141B1 (ko) * 2014-09-01 2016-02-15 전기순 외측 도어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수납장
KR101877647B1 (ko) * 2016-12-19 2018-07-11 여길봉 미닫이식 도어의 프레임 조립구조
KR102598256B1 (ko) * 2022-06-07 2023-11-03 강혜정 수납장용 레일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장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08820B2 (ja) 2000-11-16 2005-10-19 梅屋金物株式会社 折戸用金具
KR200442328Y1 (ko) * 2007-04-19 2008-10-29 주식회사 제이씨 가구용 슬라이딩 도어의 교차방지장치
KR200437080Y1 (ko) * 2007-07-06 2007-10-31 문상연 수납장 도어의 슬라이딩 장치
KR101151895B1 (ko) * 2011-08-09 2012-06-01 (주)지씨아이 미닫이식 도어의 개폐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2369A (ko) 2014-06-11 2015-12-22 비엠리빙코리아(주) 미닫이식 도어용 슬림형 틀프레임
KR101595855B1 (ko) 2014-09-29 2016-02-22 (주)지씨아이글로벌 미닫이식 도어의 롤러 브래킷 장착장치
WO2017105105A3 (ko) * 2015-12-18 2018-03-08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가변거울을 갖는 욕실장의 도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5815B1 (ko) 2014-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5815B1 (ko) 미닫이식 도어의 이동장치
US9739080B2 (en)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sliding door
KR101151895B1 (ko) 미닫이식 도어의 개폐장치
US6994410B2 (en) Pocket door slide
KR100762984B1 (ko) 슬라이드 도어가 구비된 욕실 수납장
JP2012202206A (ja) 引き戸式扉の開閉装置
KR101137412B1 (ko) 공공장소용 컴퓨터 책상
KR102081786B1 (ko) 미닫이 도어 프레임 연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장
JP5171048B2 (ja) 収納キャビネット用引出し
EP3438389B1 (en) Sliding apparatus for sliding door
KR20120113681A (ko)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 도어를 구비한 가구
KR101232512B1 (ko) 미닫이 도어의 개폐장치
US11441346B2 (en) Hinged door leaves for wardrobes, walk-in closets and pieces of furniture in general, provided with magnetic damping and return devices
KR101475940B1 (ko) 미닫이 도어의 슬라이딩장치
KR101867038B1 (ko) 미닫이식 도어를 구비한 욕실수납장
KR20170000446U (ko) 미닫이 도어용 슬라이딩 경첩 및 이를 구비한 수납장
KR200483001Y1 (ko) 지지력이 향상된 도어용 레일체를 구비한 수납장
KR20140115584A (ko) 미닫이식 도어의 개폐장치
JP2009019466A (ja) フラット引戸装置
KR20180007863A (ko) 폴딩도어의 롤러유닛 구조
KR101440091B1 (ko) 회전 개폐형 서랍장
KR101616092B1 (ko) 가구용 슬라이딩 도어의 고정 브래킷
JP4602792B2 (ja) 物品収納什器
KR20170080193A (ko) 가구용 슬라이딩 도어의 고정 브래킷
CN216240218U (zh) 一种可拆装的滑轮机构、缓冲机构及滑轨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