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001Y1 - 지지력이 향상된 도어용 레일체를 구비한 수납장 - Google Patents

지지력이 향상된 도어용 레일체를 구비한 수납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001Y1
KR200483001Y1 KR2020150005138U KR20150005138U KR200483001Y1 KR 200483001 Y1 KR200483001 Y1 KR 200483001Y1 KR 2020150005138 U KR2020150005138 U KR 2020150005138U KR 20150005138 U KR20150005138 U KR 20150005138U KR 200483001 Y1 KR200483001 Y1 KR 2004830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losed
sliding
space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51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0529U (ko
Inventor
신은소
Original Assignee
신은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은소 filed Critical 신은소
Priority to KR20201500051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001Y1/ko
Publication of KR201700005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52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0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00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63Horizont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04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allowing an additional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2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6Rods, lin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02Additional wing mo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미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는 양측 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 도어들 간의 단차가 형성되지 않으며, 도어를 개폐할 때 하나의 도어가 다른 도어의 전방을 통과하여 슬라이딩 개폐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레일체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이동부와, 도어에 결합되는 연결부 및 일단이 상기 연결부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이동부에 힌지 결합되는 링크부를 포함하는 수납장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미닫이 도어용 슬라이딩 경첩을 사용하게 되면, 수납장의 전면을 깔끔하고 수려한 디자인으로 구현할 수 있고, 미닫이 도어의 슬라이딩 개폐 구조를 단순화시켜 제작이 쉬운 장점이 있으며, 도어의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부드러운 도어의 개폐 작동을 보장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지력이 향상된 도어용 레일체를 구비한 수납장{STORAGE CLOSET EQUIPPED WITH RAIL}
본 고안은 미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는 양측 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 도어들 간의 단차가 형성되지 않으며, 도어를 개폐할 때 하나의 도어가 다른 도어의 전방을 통과하여 슬라이딩 개폐 작동이 이루어지면서, 도어의 지지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미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는 양측 도어를 갖는 수납장에 있어서, 공간부를 갖는 레일체가 설치된 본체, 상기 공간부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는 롤러를 구비한 이동부와, 상기 도어에 결합되는 연결부와, 일단이 상기 이동부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연결부에 힌지 결합되는 링크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경첩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납장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미닫이 도어용 슬라이딩 경첩을 사용하게 되면, 수납장의 전면을 깔끔하고 수려한 디자인으로 구현할 수 있고, 미닫이 도어의 슬라이딩 개폐 구조를 단순화시켜 제작이 쉬운 장점이 있으며, 도어의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부드러운 도어의 개폐 작동을 보장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욕실이나 침실, 주방, 옷방 등에 설치되는 수납장은 평판의 프레임을 소정 치수로 절단하고, 수납공간에 칸막이를 설치하여 수건, 휴지 등의 욕실 용품이나 옷 등을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수납장은 전면부에 수납공간을 은폐하기 위한 도어가 다양한 열림 구조로 설치되며, 도어의 개폐 방식에 따라 통상적으로 여닫이식의 도어와 미닫이식의 도어로 구분된다.
먼저 여닫이식의 도어는 도어의 일단이 회전 자유롭게 힌지 결합되거나, 경첩 등이 장착되어, 힌지나 경첩 고정된 부분을 기점으로 수납장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도어의 폭 만큼 일정한 회정반경으로 열리고 닫히는 방식이고,
미닫이식의 도어는 수납장의 수납공간에 레일이 구비되고, 각 도어가 레일 상에 장착되어 도어가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에 의해 개폐되는 방식이다.
이중 여닫이식의 수납장의 경우 도어의 회전 반경을 확보해야 하므로 설치 공간상의 제약이 따르기 때문에,
협소한 욕실이나 침실, 옷방 등에 설치되는 수납장의 경우 대부분 미닫이식의 도어가 도입된다.
이러한 미닫이식의 도어를 구비한 수납장은 도 1a 및 도 1b(이하,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1 a 및 도 1b의 도면 부호는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도 2 내지 도 6의 도면 부호와 상호 무관함.)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건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칸막이(11)를 통해 여러 층으로 구획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한 쌍의 미닫이 도어(19)를 통해 수납공간의 개폐가 이루어진다.
상기 종래의 수납장(10)은 욕실이나 침실, 옷방 등에 설치되는 경우 도어 전면에 거울이나 별도로 디자인된 전면패널이 부착되는 형태이고, 주방에 설치되는 경우 수납공간을 밖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도어 전체 또는 일부가 투명 또는 반투명 유리가 부착되는 형태로 주로 제작되는데,
이러한 제작 형태에서 미닫이식의 도어의 무게가 상당하기 때문에 도어의 안정된 개폐를 위해서는 레일(15)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R) 등을 포함하는 슬라이딩 장치(17)가 도어(19)에 장착되어 있다.
이 경우, 양측 도어(19)를 모두 개폐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내측 도어와, 외측 도어가 서로 단차를 갖도록 설치되며, 한 쌍의 레일(15)에 각 도어의 슬라이딩 장치(17)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개폐 구조를 갖게 된다.
즉,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도어(19)의 슬라이딩 개폐 구조가 서로 간섭받지 않도록 외측 도어가 내측 도어보다 전방측으로 돌출되어 레일의 슬아딩홈를 따라 각 도어의 롤러(R)가 슬라이딩되면서 도어가 개폐되데, 이렇게 양측 도어(19)에 단차가 형성되면,
도어의 하중을 지탱하기 위한 구조가 복잡해지고, 욕실과 같은 수납장의 경우 도어들 사이의 수밀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써, 공개특허 제10-2007-0003482호(공개일자 2007.01.05.) "자력을 이용한 단차 없는 미닫이문", 등록실용신안 제20-0374575호(공고일자 2005.02.02.) "미닫이문 개폐구조"등이 있다.
상기 종래 기술들은 도어가 동일 평면상에 일자로 위치하여 도어들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지 않도록 하며, 각각 자석 또는 탄성가압부재를 이용해 하나의 도어가 다른 도어와 겹치면서 슬라이딩 개폐구조를 갖도록 하는데, 그 구성이 매우 복잡하여 제작이 어렵고, 하나의 도어를 수납공간 측으로 밀고, 이로 인한 빈 공간으로 인접한 다른 도어를 슬라이딩 시켜야 하기 때문에 적은 힘으로 개폐하기엔 무리가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양측 도어의 전면 디자인을 깔끔하고 세련되게 구현할 수 있도록 양측 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 도어들이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어 도어들 간의 단차가 형성되지 않고, 동일 평면상에 배치된 도어들의 개별 개폐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나의 도어가 인출 후 다른 도어의 전방을 통과하면서 슬라이딩 개폐 작동할 수 있으며, 도어의 하중에 대한 레일체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납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은 레일체의 공간부를 'ㄷ'자형 몸체와, 몸체의 상, 하부 지지바들에서 절곡 형성된 한 쌍의 걸림단으로 형성함으로써, 도어에 대한 하중 문제를 해결하고, 양측 도어 간의 슬라이딩 개폐 간섭을 없애면서 슬라이딩 개방 거리를 보장함과 아울러,
인출 후 개방 및 폐쇄 후 인입으로 대별되는 개폐 구조를 단순화하여 덜컹거림이 없는 부드럽고 안정적인 슬라이딩 개폐 동작을 가능하게 하며, 이를 통해 제작 및 설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납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수납장은
수납공간과, 상기 수납공간의 상측 또는 하측 또는 이들 모두에 구비된 레일체를 갖는 본체;
미닫이 방식으로 상기 수납공간을 개폐하는 양측 도어; 및
상기 레일체에 슬라이딩 결합하는 롤러를 구비한 이동부,
상기 도어에 결합되는 연결부,
그리고 일단이 상기 이동부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연결부에 힌지 결합되는 링크부를 포함하는 미닫이 도어용 슬라이딩 경첩;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링크부의 접힘 선회 상태에서 양측 도어들이 폐쇄되어 도어들 사이의 단차가 형성되지 않고,
상기 링크부의 펼침 선회 상태에서 하나의 도어가 다른 도어의 전방을 통과하여 슬라이딩 개폐되고,
상기 레일체는 상기 롤러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는 공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수납장에서
상기 레일체는
양측이 개구되어 상기 공간부를 형성하는'ㄷ'자형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 하부 지지바들 각각의 후단부에서 상기 공간부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공간부와 연통된 슬릿홈을 형성하는 한 쌍의 걸림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고안에 따른 수납장에서
상기 레일체는
상기 몸체의 양측 개구부를 통해 상기 공간부에 삽입되어 위치 조절이 가능하며, 도어 폐쇄 시 상기 롤러가 접촉하여 도어의 이탈 방지 및 상기 링크부의 접힘 선회를 강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수납장에서
상기 레일체는
상기 롤러와 상기 스토퍼의 충격을 해소하는 완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수납장은 양단이 각각 도어에 결합된 연결부와, 레일체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이동부에 힌지 결합되어 접힘 및 펼침 선회하는 링크부를 구비한 슬라이딩 경첩, 상기 이동부의 롤러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는 공간부를 갖는 레일체를 도입하여,
양측 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 동일한 평면상에 배치되어 도어들 간의 단차가 형성되지 않아 도어의 전면 디자인을 깔끔하고 세련되게 구현할 수 있고,
하나의 도어가 다른 도어의 전방을 통과하여 슬라이딩 개폐되어 도어들 간의 개폐 작동을 간섭하지 않아 안정적으로 도어를 개폐할 수 있으며,
도어의 개별 개폐 구조가 하나의 레일체를 공유함에 따라 그 구조가 단순화되어 제작 및 설치가 쉬우면서도,
도어의 하중을 견디는 레일체의 지지력을 향상시켜 도어의 파손 내지 탈락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수납장은 이동부의 롤러가 삽입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ㄷ'자형 몸체와, 상기 몸체의 지지바들에서 절곡 형성된 한 쌍의 걸림단으로 이루어진 레일체를 도입하여, 레일체의 강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슬라이딩 경첩의 조립 및 도어의 장착이 편리하고, 스토퍼와 완충수단이 설치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고안에 따른 수납장은 상기 몸체의 공간부에서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스토퍼를 도입하여, 이동부의 롤러와, 상기 스토퍼의 접촉을 통해 도어의 이탈 방지 및 링크부의 접힘 선회를 강제하여 도어가 본체에 밀착되어 폐쇄될 수 있으며, 도어의 슬라이딩 폐쇄 후 인입 작동이 보다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스토퍼의 내측에 완충수단을 배치함으로써, 도어 폐쇄 시 롤러와 스토퍼의 충격을 해소하여 도어의 슬라이딩 개폐 구조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수납장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수납장의 종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수납장의 개폐 상태를 각각 도시한 사시도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미닫이 도어용 슬라이딩 경첩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수납장의 개폐 상태를 각각 도시한 평면도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미닫이 도어용 슬라이딩 경첩과 레일체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레일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사시도 및 종 단면도.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수납장을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특정하면, 양측 도어(20)가 장착된 방향을 정면으로 하고, 정면에서 바라보는 방향을 기준으로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수납장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수납장(S)은 크게, 수납공간(10S)을 갖고 전면이 개구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전면 개구부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기 수납공간(10S)을 개폐하는 양측 도어(20) 및 상기 양측 도어(20)들이 폐쇄되어 도어들 사이의 단차가 형성되지 않으면서 하나의 도어가 다른 도어의 전방을 통과하여 슬라이딩 개폐되도록 하는 슬라이딩 경첩(30)을 포함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는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상하좌우 패널(10a~10d)과 후방 패널(10e)로 조립되어 전면이 개구된 수납공간(10S)을 형성하며, 수납공간(10S)에는 복수개의 수평 또는 수직 칸막이(도면에서는 수평 칸막이(11)만을 도시하였음.)가 결합되어 수납공간(10S)이 복수개의 공간으로 구획화된다.
그리고 상기 수납공간(10S)은 전면 개구부 상에 양측 도어(20)가 슬라이딩 결합되어 미닫이 방식으로 개폐된다.
이를 위해 상기 상부 패널(10a)의 상면 또는 상기 하부 패널(10b)의 하면 또는 이들 모두에 레일체(12)가 마련되며,
도어(20)의 상측 프레임(20a) 또는 하측 프레임(20b) 또는 이들 모두에, 상기 레일체의 공간부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딩 경첩(30)이 결합되어 양측 도어(20)가 미닫이 방식으로 개폐되고,
특히 후술하는 슬라이딩 경첩(30)의 링크부(35)를 통한 힌지 결합 구조에 의해 양측 도어(20)는 본체(10)의 전면 개구부에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어 도어들 간의 단차가 형성되지 않으면서, 도어 개폐 시 하나의 도어가 다른 도어의 전방을 통과하여 슬라이딩 개폐된다.
이때 도어의 안정적인 지지 및 슬라이딩 개폐를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상, 하면에 각각 레일체(12)가 결합되고, 도어(20)의 배면 상, 하측에 각각 상부 슬라이딩 경첩(30A)과, 하부 슬라이딩 경첩(30B)이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 레일체(12)와 슬라이딩 경첩(30)이 본체(10) 및 도어의 상측 또는 하측 어느 한 곳에만 구비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양측 도어(20)는 각각 평판 형상의 전면패널 하나로만 구성되거나,
또는 사각 형상으로 결합된 상하좌우 프레임과, 이 프레임 조립체의 전면에 부착되는 전면패널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전면패널의 전면에 거울이 부착되거나 또는 거울이 전면패널을 대신하는 형태가 될 수 있으며,
도 2 및 도 5에서는 대표적으로 상하좌우 프레임(20a~20d)이 결합된 프레임 조립체의 전면에 전면패널로써 거울(20e)이 부착되어 있는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상하좌우 프레임(20a~20d) 및 전면패널로써 거울(20e)이 조립되는 형태의 도어(20)일 경우, 후술하는 슬라이딩 경첩(30)을 통한 개폐가 용이하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도어의 전면패널(거울(20e)은 각각 서로 접하는 측면 프레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측면 프레임들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도록 한다.
즉, 본 고안은 슬라이딩 경첩(30)의 힌지 결합 구조를 통해 도어(20)가 선회 작동하면서 개폐되는데, 도 3과 같이 양측 도어(20)의 폐쇄 상태에서, 양측 도어의 거울이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배면의 측면 프레임들은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조립됨으로써, 슬라이딩 경첩(30)의 선회 작동을 통한 도어의 인, 출입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양측 도어(20)가 수납공간(10S)을 폐쇄한 상태에서 도어(20)와 본체(10)의 밀착 및 후술하는 도어의 인입 작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본체(10)와 도어(20)가 서로 접하는 면에 자력 부착수단(M)이 구비된다.
이러한 자력 부착수단(M)은 자성체와 이에 대응하여 자성체가 부착될 수 있는 금속부재, 또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한 쌍의 자성체가 매립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미닫이 도어용 슬라이딩 경첩(30)은 양측 도어(20)가 단차를 형성하지 않도록 폐쇄된 상태에서 하나의 도어가 다른 도어의 전면을 통과하여 슬라이딩 개폐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10)의 상, 하측에 한 쌍의 레일체(12)가 마련되고, 이에 대응하여 각 도어의 상, 하측에 상부 슬라이딩 경첩(30A)과, 하부 슬라이딩 경첩(30B)이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도어(20A)의 슬라이딩 경첩(30)들과, 제2 도어(20B)의 슬라이딩 경첩(30)들은 각각 해당 도어의 폐쇄 방향 측으로 편중되도록 결합되어야, 하나의 도어가 다른 도어의 전방에 겹치면서 슬라이딩 개폐될 때 슬라이딩 경첩(30)의 이동 경로를 서로 간섭하지 않게 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도어(20A)의 상측에 구비되는 상부 슬라이딩 경첩(30A)을 대표하여, 슬라이딩 경첩(30)과, 레일체(12)의 구체 구조를 설명하며, 이러한 구조는 제1 도어(20A)의 하부 슬라이딩 경첩(30B)과, 제2 도어(20B)에 구비되는 상, 하부 슬라이딩 경첩(30A)(30B)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우선 도어의 하중에 대한 강성 및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도 2,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체(12)는
양측이 개구되어 상기 공간부(12S)를 형성하는 'ㄷ'자형 몸체(12A)와,
상기 몸체(12A)의 상, 하부 지지바들 각각의 후단부에서 상기 공간부(12S)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공간부(12S)와 연통된 슬릿홈(12s)을 형성하는 한 쌍의 걸림단(12B)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2A)는 연결바(12a)와, 연결바(12a)의 상, 하단부에서 후방으로 절곡 형성된 상, 하부 지지바(12b, 12c)로 이루어지며,
상, 하부 지지바(12b, 12c)의 후단부에 각각 상기 걸림단(12B)이 절곡 형성되어 공간부(12S)가 형성된다.
상기 몸체(12A)와, 걸림단(12B)들로 둘러싸인 공간부(12S)는 롤러가 삽입되어 안내되는 일종의 레일로써,
이러한 공간부(12S)를 갖는 레일체(12)는 롤러(32)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함과 아울러, 롤러(32)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지지하게 되어 도어의 하중에 대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미설명 부호 12a'는 레일체(12)의 연결바(12a)에서, 본체(10)와 접하는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단턱부로써, 레일체(12)를 상, 하부 패널(10a, 10b)에 조립할 때 레일체(12)가 걸림 지지되어 레일체(12)의 결합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으로,
단턱부(12a')와, 상, 하부 패널(10a, 10b)들 사이에 양면 테이프가 접착될 수 있다.
또한 레일체(12)의 길이 방향 전부에 걸쳐 본체(10)에 안정적으로 고정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레일체(12)는 본체(10)의 상부 패널(10a) 또는 하부 패널(10b)에 접하는 지지바(12b)(상부 패널(10a)에 장착되는 경우 하부 지지바, 하부 패널(10b)에 장착되는 경우 상부 지지바)의 후단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끼움부(12c)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 패널(10a) 또는 하부 패널(10b) 각각의 상, 하면에는 상기 끼움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끼움홈돌출부(10a', 10b'가 구비된다.
또, 상기 레일체(12)의 고정을 위해 본체(10)의 좌, 우 측면패널(10c, 10d)은 상단부와 하단부가 상, 하부 패널(10a, 10b) 상, 하측으로 연장된 연장부(10c', 10d')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각 연장부(10c', 10d')의 내측면에 레일체 고정용 장착부재(13)가 구비된다.
상기 장착부재(13)는 상기 레일체(12)의 공간부(12S)의 단면 형상에 상응하는 것으로, 레일체(12)의 양측 개구부에 장착부재(13)가 삽입되어 레일체(12)가 고정된다.
따라서 레일체(12)의 끼움부(12c)와, 상, 하부 패널(10a, 10b)의 끼움홈돌출부(10a', 10b')를 이용해 레일체(12)를 상, 하부 패널(10a, 10b)에 먼저 끼우듯이 결합한 후에, 좌, 우 측면 패널(10c, 10d)을 상, 하부 패널(10a, 10b)에 결합하면서 장착부재(13)를 레일체의 공간부(12S)에 끼워서 고정시키면,
끼움부(12c)와 끼움돌출부(10a', 10b')의 결합 구조 및 공간부(12S)와 장착부재(13)의 결합 구조에 의해, 공간부(12S)에 삽입된 롤러(32)가 받는 도어(20)의 하중을 레일체(12)가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슬라이딩 경첩(30)의 파손 내지 도어(20)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장착부재(13)가 삽입된 연결바(12a)에 볼트를 체결하여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밖에 상, 하부 패널(10a, 10b) 각각의 상, 하면에는 장착부재(13)의 후방에 부착되어 레일체의 걸림단(12B)과 접촉하여 지지하는 지지돌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어서 본 고안의 양측 도어(20)에 장착되는 슬라이딩 경첩(30)을 설명한다.
먼저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딩 경첩(30)은
상기 레일체(12)에 슬라이딩 결합하는 롤러(32)가 장착된 이동부(31),
상기 도어(20)에 결합되는 연결부(33) 및
일단이 상기 이동부(31)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연결부(33)에 힌지 결합되는 링크부(35)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부(31)는 레일체(12)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롤러(32)가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 도면에서는 이동부(31)의 양측에 하측 수직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한 쌍의 장착부(31A)가 마련되어 각 장착부(31A)에 롤러(32)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동부(31)의 양측에 한 쌍의 제1 축공(31a)이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33)는 상기 도어(20)에 결합되어 링크부(35)를 통해 상기 이동부(31)와 힌지 결합구조로 연결되는 것으로, 도면에서는 상기 장착부(31A)에 대응하여 도어(20)의 프레임(20a, 20b) 배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브래킷(34)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브래킷(34)은 유사 'ㄱ'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것으로,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제1 결합부(34A)에는 결합공(314a)이 마련되어 도어(20)의 프레임(20a, 20b)에 볼트 결합되고,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제2 결합부(34B)에는 제2 축공(34b)이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브래킷(34)과 프레임(20a, 20b)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각 프레임에는 브래킷(34)의 제1 결합부(34A)가 수용되는 수용홈(미지칭)이 구비되어, 브래킷(34)이 프레임에 함몰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도 3의 확대 사시도 참고.)
그리고 상기 링크부(35)는 일단에 상기 제1 축공(31a)에 대응하는 제1 힌지공(35a)이 구비되고, 타단에 상기 제2 축공(34b)에 대응하는 제2 힌지공(35b)이 구비되어, 양단이 힌지축(36a, 36b)을 통해 상기 이동부(31)와 상기 브래킷(34)(연결부(33))에 각각 힌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링크부(35)의 양단과, 상기 이동부(31) 및 연결부(33)의 힌지 결합 구조로 인해 링크부(35)는 제1 도어(20A)의 가압 방향에 따라 접힘 및 펼침 선회 작동을 하게 되어,
상기 링크부(35)의 접힘 선회 상태에서 제1, 제2 도어(20A)(20B)들이 폐쇄되어 도어(20)들 사이의 단차가 형성되지 않고,
상기 링크부(35)의 펼침 선회 상태에서 제1 도어(20A)가 제2 도어(20B)의 전방을 통과하여 슬라이딩 개폐된다.
즉, 도 3과 같이 제1 도어(20A)를 좌측 폐쇄 방향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도어(20)를 본체(10) 방향으로 밀면,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부(35)가, 양단에 연결된 이동부(31)와 연결부(33)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선회하여 접히면서 제1 도어(20A)가 본체(10)측으로 인입되면서 밀착되어 수납공간(10S)이 폐쇄되고, 이렇게 폐쇄 작동한 제1 도어(20A)는 동일한 구조로 폐쇄 작동된 제2 도어(20B)와 동일한 평면상에 배치됨에 따라 도어(20)들 간의 단차가 형성되지 않는다.
또 이 상태에서 도 4와 같이, 제1 도어(20A)를 전방측으로 당기면서 우측의 제2 도어(20B) 방향으로 밀게 되면,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힘 선회 상태의 링크부(35)가, 양단에 연결된 이동부(31)와 연결부(33)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선회하여 펼쳐지면서 제1 도어(20A)가 본체(10)의 전방측으로 인출된 후, 이 상태에서 제1 도어(20A)가 우측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제2 도어(20B)의 전방을 통과하여 도어(20)들이 서로 겹치면서 개방된다.
이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33)는 도어(20) 개방 시 상기 링크부(35)가 접촉하여, 상기 링크부(35)의 펼침 선회 각도를 제한하는 돌기부(34c)를 포함한다.
상기 돌기부(34c)는 상기 링크부(35)가 접하는 제2 결합부(34B)의 일면(도면에서는 하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 축공(34b)에 대하여 제1 도어(20A)의 폐쇄 방향측에 배치되어, 제1 도어(20A)를 개방함에 따라 링크부(35)가 펼침 선회될 때 링크부(35)의 측단이 상기 돌기부(34c)에 접촉하여 링크부(35)가 과도하게 선회하여 반대 방향으로 다시 접힘 선회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미설명 부호 34d는 제1 결합부(34A)의 하측 끝단에 수평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걸림부로써, 슬라이딩 경첩(30)을 프레임(20a, 20b)에 조립할 때 브래킷(34)이 걸림 지지되어 조립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으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프레임(20a, 20b)에는 상기 걸림부(34d)에 대응하는 걸림홈이 마련되어 슬라이딩 경첩(30)의 조립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체(12)는 도어(20)의 폐쇄 시 상기 이동부(31)의 롤러(32)가 접촉하여, 도어(30)의 이탈 방지 및 상기 링크부(35)의 접힌 선회를 강제하는 스토퍼(14)를 포함한다.
상기 스토퍼(14)는 레일체(12)의 양측 개구부를 통해 공간부(12S)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탭부재(14A)와, 볼트부재(14B)를 통해 레일체(12)에 결합된다.
이를 위해 스토퍼(14)와 탭부재(14A)는 서로 대응하는 나사공(14a, 14b)을 구비하고, 스토퍼(14)가 공간부(12S)에 삽입된 상태에서, 탭부재(14A)를 한 쌍의 걸림단(12B)의 후면에 밀착하고, 걸림단(12B) 사이의 슬릿홈(12s)을 이용해 볼트부재(14B)를 나사공(14a, 14b)들에 나사 결합하여 레일체(12)에 스토퍼(14)가 고정된다.
이러한 스토퍼(14)는 볼트부재(14B)를 푼 상태에서 공간부(12S)를 따라 위치를 이동 조절한 후 볼트부재(14B)를 다시 조여서 고정될 수 있으므로, 슬라이딩 경첩(30)의 힌지 구조에 따른 도어의 펼침 및 선회 작동 공간을 정확한 위치에 확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어(20)의 폐쇄가 정확한 위치에서 구현되도록 한다.
따라서 각 도어(20)를 폐쇄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면 롤러(32)의 측단이 상기 스토퍼(14)에 접촉하여 이동부(31)의 롤러(32)가 더 이상 슬라이딩되지 않음에 따라 링크부(35)의 힌지 구조가 작동하여 링크부(35)의 접힘 선회를 통해 도어(20)가 본체(10)측으로 인입된다.
이렇게 인입된 도어(20)는 상술한 자력 부착수단의 작용으로 인해 폐쇄 상태가 유지된다.
아울러, 상기 레일체(12)는 상기 롤러(32)와 상기 스토퍼(14)의 접촉으로 인해 발생하는 충격을 해소할 수 있는 완충수단을 포함한다.
본 고안의 완충수단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상기 스토퍼(14)의 내측면에 배치되어 고정되는 완충부재(15)가 사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완충부재(15)는 고강도 스펀지와 같은 소재로 이루어져, 충격을 흡수, 해소할 수 있는 것으로, 스토퍼(14)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스토퍼(14)와 함께 고정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한 구조의 슬라이딩 경첩(30)을 사용하게 되면, 개폐 슬라이딩 하는 도어(20)의 후면이 폐쇄 상태의 도어(20)의 전면에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각 도어(20)의 전면에 구비되어, 수납장 전체의 외관 디자인을 결정하는 전면패널 또는 거울(20e)의 전면에 스크래치 내지 파손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도어(20)는 후면 또는 전면(프레임 또는 거울)에서 돌출 형성된 접촉방지 돌기(21)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하나의 도어(20)가 개폐될 때 다른 도어(20)의 전면과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며,
도면에서는 좌우 프레임(20c, 20d)의 후면에 각각 한 쌍의 접촉방지 돌기(21)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접촉방지 돌기(21)는 고무류의 합성수지가 사용되어 접촉방지 돌기(21)가 다른 도어(20)의 전면 또는 후면에 접촉하더라도 이로 인한 파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며, 이러한 접촉방지 돌기는 탈착형으로 구성되어 접촉에 의한 마모가 발생할 경우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접촉방지 돌기(21)의 위치, 형태 및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한편, 본 고안의 슬라이딩 경첩(30)은 도어(20)의 안정적인 지지 및 슬라이딩 개폐를 위해 도어(20)의 상측 및 하측에 하나씩 모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경우, 상부 슬라이딩 경첩(30A) 및 하부 슬라이딩 경첩(30B)은 도어(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각 슬라이딩 경첩의 롤러(32)는 해당 이동부(31)(장착부(31A))에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도어(20)와 연결부(33)(브래킷(34)), 그리고 장착부(31A)와 롤러(32)가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렇게 슬라이딩 경첩(30)과 롤러(32)를 탈착 가능하게 구성하면,
수납장(S)을 조립할 때,
롤러(32)와, 완충부재(15) 및 스토퍼(14)를 레일체(12)의 공간부(12S)에 먼저 삽입한 상태에서, 끼움부(12c)와 끼움홈돌출부(10a', 10b')를 이용해 레일체(12)를 상, 하부 패널(10a, 10b)에 끼워서 부착하고, 좌, 우 측면 패널(10c, 10d)을 조립하면서 레일체(12)의 양측 개구부(공간부(12S)에 장착부재(13)를 삽입하여, 본체(10)의 조립과 레일체(12)의 설치를 선행한 후,
레일체(12)에 미리 삽입된 롤러(32)와 슬라이딩 경첩(30)의 장착부(31A)를 결합한 다음,
결합된 슬라이딩 경첩(30)의 브래킷(34)과 도어(20)를 조립함으로써,
본체(10)-도어(20)-슬라이딩 경첩(30)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는 본 고안의 롤러(32)가 상하전후가 폐쇄된 구조(물론 공간부(12S)의 후방은 슬릿홈(12s)에 의해 일부 개구되어 있음.)의 공간부(12S)에 삽입되는 것에 기인한 것으로,
공간부(12S)에 부품의 삽입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본체(10)와 레일체(12)의 조립이 선행되면, 공간부(12S)에 롤러(32), 완충부재(15), 스토퍼(14)를 차례로 삽입하여 고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 도어(30)를 장착할 때, 탭부재(14A)와 볼트부재(14B)를 통해 스토퍼(14)의 위치를 적절히 조절하여 고정함으로써, 도어(30)가 정확한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수납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 : 수납장 M : 자력 부착수단
10 : 본체 10a~10e : 패널
10a', 10b' : 끼움돌출부 10c', 10d' : 연장부
10S : 수납공간 11:칸막이
12 : 레일체 12A : 몸체
12S : 공간부 12a : 연결바
12b : 지지바 12c : 끼움부
12B : 걸림단 12s : 슬릿홈
13 : 장착부재 14 : 스토퍼
14A : 탭부재 14B : 볼트부재
14a, 14b : 나사공 15 : 완충부재
20, 20A, 20B : 도어 20a~20d : 프레임
20e : 거울 21 : 접촉방지 돌기
30, 30A, 30B : 슬라이딩 경첩 31 : 이동부
31a : 제1 축공 32 : 롤러
33 : 연결부 34 : 브래킷
34A, 34B : 결합부 34a : 결합공
34b : 제2 축공 34c : 돌기부
34d : 걸림부 35 : 링크부
35a, 35b : 힌지공 36a, 36b : 힌지축

Claims (4)

  1. 수납공간(10S)과, 상기 수납공간(10S)의 상측 또는 하측 또는 이들 모두에 구비된 레일체(12)를 갖는 본체(10);
    미닫이 방식으로 상기 수납공간(10S)을 개폐하는 양측 도어(20); 및
    상기 레일체(12)에 슬라이딩 결합하는 롤러(32)를 구비한 이동부(31),
    상기 도어(20)에 결합되는 연결부(33),
    그리고 일단이 상기 이동부(31)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연결부(33)에 힌지 결합되는 링크부(35)를 포함하는 미닫이 도어용 슬라이딩 경첩(3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링크부(35)의 접힘 선회 상태에서 양측 도어(20)들이 폐쇄되어 도어(20)들 사이의 단차가 형성되지 않고,
    상기 링크부(35)의 펼침 선회 상태에서 하나의 도어가 다른 도어의 전방을 통과하여 슬라이딩 개폐되고,
    상기 레일체(12)는 상기 롤러(32)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는 공간부(12S)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레일체(12)는
    양측이 개구되어 상기 공간부(12S)를 형성하는 'ㄷ'자형 몸체(12A)와,
    상기 몸체(12A)의 상, 하부 지지바(12b)들 각각의 후단부에서 상기 공간부(12S)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공간부(12S)와 연통된 슬릿홈(12s)을 형성하는 한 쌍의 걸림단(12B)과,
    상기 몸체(12A)의 양측 개구부를 통해 상기 공간부(12S)에 삽입되고, 도어(20) 폐쇄 시 상기 롤러(32)가 접촉하여 도어(20)의 이탈 방지 및 상기 링크부(35)의 접힘 선회를 강제하는 스토퍼(14)를 포함하되,

    상기 스토퍼(14)는 탭부재(14A)와, 볼트부재(14B)를 통해 레일체(12)에 결합되며,
    상기 스토퍼(14)와 상기 탭부재(14A)는, 서로 대응하는 나사공(14a)(14b)을 구비하고, 스토퍼(14)가 상기 공간부(12S)에 삽입된 상태에서, 탭부재(14A)를 한 쌍의 걸림단(12B)의 후면에 밀착하고, 상기 슬릿홈(12s)을 이용해 볼트부재(14B)를 나사공(14a)(14b)들에 나사 결합하여 스토퍼(14)가 고정되어,
    상기 스토퍼(14)의 위치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장.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와 각 도어(20)가 서로 접하는 면에는 자력 부착수단(M)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장.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 도어(20)는, 각각 전면에 거울(20e)이 구비되고,
    각 도어(20)의 후면 또는 전면에서 돌출 형성된, 고무류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접촉방지 돌기(21)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하나의 도어가 개폐될 때, 상기 접촉방지 돌기(21)에 의해 개폐되는 도어가 다른 도어의 전면에 구비된 거울(20e)과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개폐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장.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체(12)는
    상기 롤러(32)와 상기 스토퍼(14)의 충격을 해소하는 완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장.
KR2020150005138U 2015-07-30 2015-07-30 지지력이 향상된 도어용 레일체를 구비한 수납장 KR2004830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138U KR200483001Y1 (ko) 2015-07-30 2015-07-30 지지력이 향상된 도어용 레일체를 구비한 수납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138U KR200483001Y1 (ko) 2015-07-30 2015-07-30 지지력이 향상된 도어용 레일체를 구비한 수납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529U KR20170000529U (ko) 2017-02-08
KR200483001Y1 true KR200483001Y1 (ko) 2017-03-24

Family

ID=58404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5138U KR200483001Y1 (ko) 2015-07-30 2015-07-30 지지력이 향상된 도어용 레일체를 구비한 수납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00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4509A (ko) 2018-11-29 2020-06-08 이동성 미닫이문 개폐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8578Y1 (ko) 2007-03-13 2008-02-27 박재승 단차 없는 미닫이문
KR100987123B1 (ko) * 2010-05-04 2010-10-12 (주)지씨아이 미닫이식 도어의 개폐장치
KR100990227B1 (ko) 2010-03-15 2010-11-02 문상연 댐퍼를 구비한 슬라이딩 도어 수납장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7829B1 (ko) * 2012-12-17 2014-08-08 (주)지씨아이글로벌 미닫이식 도어용 완충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8578Y1 (ko) 2007-03-13 2008-02-27 박재승 단차 없는 미닫이문
KR100990227B1 (ko) 2010-03-15 2010-11-02 문상연 댐퍼를 구비한 슬라이딩 도어 수납장
KR100987123B1 (ko) * 2010-05-04 2010-10-12 (주)지씨아이 미닫이식 도어의 개폐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4509A (ko) 2018-11-29 2020-06-08 이동성 미닫이문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529U (ko) 2017-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06478B1 (en) Lid device opened at both sides and center console box
US7959241B2 (en) Pullout structure for cabinet
KR100762984B1 (ko) 슬라이드 도어가 구비된 욕실 수납장
WO2010017505A1 (en) A synchronizing/stabilizing system and self moving mechanism for drawer applications
KR101357865B1 (ko) 욕실 수납장의 레일 어셈블리
KR101415815B1 (ko) 미닫이식 도어의 이동장치
EP2428756B1 (en) Guide rail attaching structure for sliding doo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200410168Y1 (ko) 욕실 수납장의 미닫이 도어 개폐구조
KR200484351Y1 (ko) 미닫이 도어용 슬라이딩 경첩 및 이를 구비한 수납장
KR200483001Y1 (ko) 지지력이 향상된 도어용 레일체를 구비한 수납장
RU2599979C2 (ru) Шарнирный узел для щита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KR101594141B1 (ko) 외측 도어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수납장
US11441346B2 (en) Hinged door leaves for wardrobes, walk-in closets and pieces of furniture in general, provided with magnetic damping and return devices
JP2004346732A (ja) 扉付き骨格構造部材
KR101867038B1 (ko) 미닫이식 도어를 구비한 욕실수납장
KR20070041842A (ko) 냉장고
KR102263452B1 (ko) 조립성을 향상시킨 미닫이도어를 갖는 수납장
KR200465279Y1 (ko) 샤워 부스용 도어 어셈블리
WO2014081204A1 (ko) 미닫이 도어의 개폐장치
JP5079572B2 (ja) 間仕切へのドアの取付構造
KR20160018195A (ko) 홈바용 선반장치
KR20120003030A (ko) 라운드 슬라이딩 욕실용 수납장
GB2481912A (en) Cubicle suitable for the provision in a public washroom
EP3785568A1 (en) Engagement assembly, sliding rail mechanism having same, drawer, refrigerator
KR20180007863A (ko) 폴딩도어의 롤러유닛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