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0227B1 - 댐퍼를 구비한 슬라이딩 도어 수납장 - Google Patents

댐퍼를 구비한 슬라이딩 도어 수납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0227B1
KR100990227B1 KR1020100022932A KR20100022932A KR100990227B1 KR 100990227 B1 KR100990227 B1 KR 100990227B1 KR 1020100022932 A KR1020100022932 A KR 1020100022932A KR 20100022932 A KR20100022932 A KR 20100022932A KR 100990227 B1 KR100990227 B1 KR 100990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anel
panel
door
damper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2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기순
문상연
Original Assignee
문상연
전기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상연, 전기순 filed Critical 문상연
Priority to KR1020100022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02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0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0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0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 E05F3/1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with a spring, other than a torsion spring, and a piston, the axes of which are the same or lie in the same dir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2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 E05D15/063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on wheels with fixed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63Horizont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52Type of friction
    • E05Y2201/254Fluid or viscous friction
    • E05Y2201/256Fluid or viscous friction with pistons or v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05Y2201/474Compression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딩 도어(미닫이문)를 갖는 수납장에 댐퍼를 구비하여 도어의 닫힘(폐쇄) 종료 직전에 도어의 속도를 적정하게 감속시켜 충격을 완화하는 댐퍼를 구비한 슬라이딩 도어 수납장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가 이동하여 댐퍼에 접촉되는 초기에 접촉 충격에 의해 도어가 들리는 현상을 방지하고, 도어의 폐쇄시 뿐만 아니라 개방시에도 도의 속도를 적정하게 감속시켜 충격을 완화한 댐퍼를 구비한 슬라이딩 도어 수납장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댐퍼를 구비한 슬라이딩 도어 수납장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는 두 수직패널; 상기 두 수직패널을 연결하여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다수의 수평패널; 상기 수납공간을 개폐하는 제1도어패널과 제2도어패널; 상기 수평패널 중 상부패널에 구비되어 있는 상부레일과, 하부패널에 구비되어 있는 하부레일; 상기 제1도어패널과 제2도어패널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상부레일에 결합되어 상기 제1도어패널과 제2도어패널의 하중을 지지하며 슬라이드 이동되는 상부롤러와, 상기 하부레일에 결합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는 하부롤러; 상기 제1도어패널과 제2도어패널의 폐쇄 종료 직전에 충격을 완화하는 제1댐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댐퍼는 상기 하부패널의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초기 접촉시 상기 제1도어패널과 제2도어패널의 들림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댐퍼를 구비한 슬라이딩 도어 수납장{Sliding door type Storage closet equipped with damper}
본 발명은 슬라이딩 도어(미닫이문)를 갖는 수납장에 댐퍼를 구비하여 도어의 닫힘(폐쇄) 종료 직전에 도어의 속도를 적정하게 감속시켜 충격을 완화하는 댐퍼를 구비한 슬라이딩 도어 수납장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가 이동하여 댐퍼에 접촉되는 초기에 접촉 충격에 의해 도어가 들리는 현상을 방지하고, 도어의 폐쇄시 뿐만 아니라 개방시에도 도의 속도를 적정하게 감속시켜 충격을 완화한 댐퍼를 구비한 슬라이딩 도어 수납장에 관한 것이다.
식기장, 책장, 진열장 등의 각종 수납장에는 슬라이딩 도어(즉, 미닫이 문)가 장착되는 것이 많다.
슬라이딩 도어를 갖는 수납장은 도어패널을 지지하는 롤러가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여 수납장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데, 사용자가 의식적으로 주의를 하지 않으면 도어패널의 개폐시에 롤러가 레일의 단부에 부딪혀 충격을 가하는 일이 많고, 충격이 세면 도어패널이 반발력으로 후진 이동하여 살짝 열리거나 닫히는 일이 많다.
이처럼 슬라이딩 도어 수납장에서 도어패널의 개폐시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서 고급 수납장에는 댐퍼를 구비하고 있다.
댐퍼를 구비한 슬라이딩 도어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제0803818호 "미닫이문의 문닫힘 장치", 공개특허 제2010-0008206호 "슬라이딩 개폐식 강화안전유리도어" 등이 개시되어 있다.
슬라이딩 도어 수납장은 통상 두 도어패널과, 도어패널 상부와 하부에 연결되어 있는 상부롤러와 하부롤러, 상부롤러와 하부롤러가 안착되어 슬라이드 이동하는 상부레일과 하부레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어패널의 하중은 상부롤러에 의해 지지되고, 하부롤러는 상부롤러에 지지된 도어패널의 슬라이드 이동을 단순히 보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래서 상부롤러는 상부레일의 바닥면에 접촉되지만, 하부롤러는 하부레일의 바닥면에 접촉되지 않고 약간 이격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1은 위에서 종래기술로 언급한 상기 등록특허와 공개특허를 포함하여 일반적인 댐퍼를 구비한 슬라이딩 도어 수납장의 구조를 간략히 도시한 것으로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댐퍼(4)는 상부에 구비된다.
도어패널의 하중이 상부롤러에 지지되는 슬라이딩 도어에서 도1과 같이 댐퍼(4)가 상부에 구비되는 때에는 상부롤러(2)가 댐퍼(4)에 접촉되는 때에 도어패널(1)의 들림 현상이 발생한다.
도어패널(1)의 들림 현상이 발생되는 것은 도어패널(1)이 이동을 하다가 상부롤러(2)가 댐퍼(4)에 접촉되면 접촉 충격에 의해 상부롤러(2)(즉, 도어패널의 상부)의 이동 속도는 갑지기 줄어 들지만 하부롤러(3)(즉, 도어패널의 하부)는 이동을 방해하는 것이 없어 계속 이동(전지)을 하려고 하기 때문이고, 그래서 하부롤러(3)와 하부레일 바닥면과의 이격 거리만큼 살짝 들린 후에 도어패널(1)의 자중에 의해 다시 원 위치로 내려오고, 이후에는 댐퍼(4)에 의해 도어패널(1)이 이동을 하게 된다.
그리고 종래의 슬라이딩 도어는 도어패널의 폐쇄시에만 도어의 충격을 완하하고 있는데, 도어패널의 개방시에도 폐쇄시 만큼의 충격이 가해진다. 다시 말해 도어의 개방시에도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댐퍼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이 도어패널의 폐쇄시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댐퍼를 구비하되, 댐퍼에의 초기 접촉시 도어패널의 들림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한 슬라이딩 도어 수납장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도어패널의 폐쇄시뿐만 아니라 개방시에도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한 슬라이딩 도어 수납장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댐퍼를 구비한 슬라이딩 도어 수납장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는 두 수직패널;
상기 두 수직패널을 연결하여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다수의 수평패널;
상기 수납공간을 개폐하는 제1도어패널과 제2도어패널;
상기 수평패널 중 상부패널에 구비되어 있는 상부레일과, 하부패널에 구비되어 있는 하부레일;
상기 제1도어패널과 제2도어패널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상부레일에 결합되어 상기 제1도어패널과 제2도어패널의 하중을 지지하며 슬라이드 이동되는 상부롤러와, 상기 하부레일에 결합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는 하부롤러;
상기 제1도어패널과 제2도어패널의 폐쇄 종료 직전에 충격을 완화하는 제1댐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댐퍼는 상기 하부패널의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초기 접촉시 상기 제1도어패널과 제2도어패널의 들림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패널의 중앙에 구비되고, 상기 제1도어패널과 제2도어패널의 개방 종료 직전에 충격을 완화하는 제2댐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하부레일은 제1하부레일과 제2하부레일로 구성되고,
상기 제1댐퍼는 상기 제1하부레일과 제2하부레일의 가장자리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하부롤러는 각각 상기 제1도어패널과 제2도어패널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1하부레일에 결합되는 제1하부롤러와, 각각 상기 제1도어패널과 제2도어패널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2하부레일에 결합되는 제2하부롤러로 구성되고,
상기 제1도어패널의 제1하부롤러와 상기 제2도어패널의 제2하부롤러에는 각각 제2하부레일과 제1하부레일에 구비된 제1댐퍼에 결합되는 링크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상부롤러는
상기 상부레일 바닥면에 접촉되는 제1바퀴와,
제1수평부와, 상기 제1수평부 양단에서 수직으로 절곡되고 일측은 상기 도어패널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제1바퀴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두 제1수직부를 포함하는 제1브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롤러는
상기 하부레일의 측면에 접촉되는 제2바퀴와,
상기 도어패널에 결합되는 제2수직부와, 상기 제2수직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2바퀴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수평부를 포함하는 제2브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댐퍼를 구비한 슬라이딩 도어 수납장은 도어패널의 개방시와 폐쇄시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여 적정한 속도로 부드럽게 도어패널이 폐쇄되고 개방되고, 도어패널의 폐쇄시 댐퍼에의 접촉 초기에 도어패널이 들리는 현상이 없는 슬라이딩 도어 수납장으로서 산업발전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은 종래기술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 수납장에서 도어패널의 들림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 수납장에서 도어패널이 개방, 폐쇄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 은 도2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어패널의 개방과정과 폐쇄과정의 작동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 수납장은 수직패널(10), 수평패널(20), 도어패널(30), 상하부레일(40,50), 상하부롤러(60,70), 댐퍼(81,8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수직패널(10)은 두개가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수평패널(20)은 다수 개가 상기 두 수직패널(10)을 연결하여 수납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수평패널(20) 중 맨 위와 아래의 상부패널(21)과 하부패널(24)에는 각각 상부레일(40)과 하부레일(5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도어패널(30)은 제1도어패널(31)과 제2도어패널(32)로 구성되고, 제1도어패널(31)과 제2도어패널(32)에는 각각 상부롤러(60)와 하부롤러(70)가 연결되어 상부레일(40)과 하부레일(50)을 따라 슬라이딩 한다.
그리고 제1도어패널(31)과 제2도어패널(32)은 전후방향으로 단차지도록 배열되어 개방시에 서로 포개어진다.
상기 상하부레일, 즉, 상부레일(40)과 하부레일(50)은 각각 상기 수평패널(20) 중 상부패널(21)과 하부패널(24)에 형성되고,
상부레일(40)과 하부레일(50)은 각각 2개가 구비된다. 즉, 제1상부레일(41)과 제2상부레일(42), 제1하부레일(51)과 제2하부레일(52)이 구비된다.
상기 상하부롤러, 즉, 상부롤러(60)와 하부롤러(70)는 도어패널(30)의 상부와 하부에 연결되고, 각각 상부레일(40)과 하부레일(50)에 안착되어 슬라이드 이동한다.
상부롤러(60)는 바퀴(611)가 상부레일(40)의 바닥면에 접촉하여 도어패널(30)의 하중을 지지하며 슬라이드 이동하고, 하부롤러(70)는 바퀴(711)가 하부레일(50)의 양측면에 접촉하여 도어패널(30)의 슬라이드 이동을 보조한다.
그리고 상부롤러(60)와 하부롤러(70)에는 각각 제1댐퍼(81)와 제2댐퍼(82)에 연결되는 링크(63,73)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상부롤러(60)는 제1상부롤러(61)와 제2상부롤러(62)를 포함하고, 제1상부롤러(61)와 제2상부롤러(62)는 각각 제1바퀴(611)와 제1브라켓(6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제1상부롤러(61)의 제1바퀴(611)는 제1상부레일(41)에 안착되고, 제2상부롤러(62)의 제1바퀴는 제2상부레일(42)에 안착된다.
상기 제1바퀴(611)는 상부레일(40) 안착되고 바닥면에 접촉되어 회전 이동한다.
상기 제1브라켓(612)은 두 제1수직부(613)와, 두 제1수직부(613)를 연결하는 제1수평부(614)로 이루어지고, 상기 두 제1수직부(613) 중 하나는 도어패널(30)의 상부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1바퀴(611)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도어패널(31)에 연결되는 두 상부롤러(60)(즉, 제1상부롤러(61))의 제1바퀴(611)는 제1상부레일(41)에 안착되고, 제2도어패널(32)에 연결되는 두 상부롤러(60)(즉, 제2상부롤러(62))의 제1바퀴는 제2상부레일(42)에 안착된다. 다시 말해 제1도어패널(31)에 연결되는 상부롤러(60)와 제2도어패널(32)에 연결되는 상부롤러(60)는 서로 제1수직부(613)와 제1수평부(614)의 길이가 달라 각각 제1상부레일(41)과 제2상부레일(42)에 안착되며 이동시 상호 간섭(방해)을 받지 않는다.
상기 하부롤러(70)는 제1하부롤러(71)와 제2하부롤러(72)를 포함하고, 제1하부롤러(71)와 제2하부롤러(72)는 각각 제2바퀴(711)와 제2브라켓(7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제1하부롤러(71)의 제2바퀴(711)는 제1하부레일(51)에 안착되고, 제2하부롤러(72)의 제2바퀴(711)는 제2하부레일(52)에 안착된다.
상기 제2바퀴(711)는 상기 하부레일(50)에 안착되고 양측면에 접촉되어 회전 이동한다.
상기 제2브라켓(712)은 제2수직부(713)와 제2수평부(714)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수평부(714)에는 상기 제2바퀴(711)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수직부(713)는 도어패널(30)의 하부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2수평부(714)와 제2수직부(713)가 결합되는 결합부위에는 이들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장홀(71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도어패널(31)과 제2도어패널(32)에 각각 제1하부롤러(71)와 제2하부롤러(72)가 연결되어 두 하부롤러(70)의 제2바퀴(711)는 각각 제1하부레일(51)과 제2하부레일(52)에 안착된다.
이처럼 두 도어패널(30)에 각각 제1하부롤러(71)와 제2하부롤러(72)를 연결하는 것은 제1댐퍼(81)가 하부레일(50) 상에 배치되는 관계로 도어패널(30)의 개폐시에 제1댐퍼(81)가 하부롤러(70)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상부롤러(60)와 같이 제1도어패널(31)에는 두 제1하부롤러(71)가 연결되고, 제2도어패널(32)에는 두 제2하부롤러(72)가 연결되는 경우에, 제1도어패널(31) 쪽의 제1댐퍼(81)는 제2하부레일(52)에 배치되고, 제2도어패널(32) 쪽의 제1댐퍼(81)는 제1하부레일(51)에 배치될 것인데, 이때는 두 도어패널(30)의 폐쇄과정에서 제1댐퍼(81)의 방해는 없지만 두 도어패널(30)의 개방과정에서 제1댐퍼(81)의 방해가 발생한다. 즉, 도어패널(30)의 개방 시에 제1도어패널(31) 쪽의 제1댐퍼(81)에 제2도어패널(32)의 제2하부롤러(72)가 걸리고 제2도어패널(32) 쪽의 제1댐퍼(81)에 제1도어패널(31)의 제1하부롤러(71)가 걸려 두 도어패널(30)의 개방을 방해한다.
그러나 도면과 같이 하나의 도어패널(30)에 제1하부롤러(71)와 제2하부롤러(72)를 연결하는 때에는 이러한 제1댐퍼(81)에 의한 하부롤러(70)의 방해가 발생되지 않는다.
상기 댐퍼는 도어패널(30)의 폐쇄 시에 충격을 완화하는 두 제1댐퍼(81)와, 개방 시에 충격을 완화하는 두 제2댐퍼(82)로 구성된다.
두 제1댐퍼(81)는 수평패널(20) 중 하부패널(24)에 구비되어 있는 제1하부레일(51)과 제2하부레일(52)의 가장자리에 구비된다. 그리고 두 제2댐퍼(82)는 수평패널(20) 중 상부패널(21)의 중앙에 구비되는데 제1댐퍼(81)와 달리 하부레일(50)을 벗어난 위치에 구비된다.
상기 댐퍼는 상부롤러(60) 또는 하부롤러(70)에 연결되어 있는 링크가 결합되어 걸리는 후크부(811)와, 상기 후크부(811)가 일단에 연결되어 있고 전후진하여 길이가 조절되는 가이드핀(812)과, 유압으로 상기 가이드핀(812)을 잡아당기는(즉, 후진시키는) 유압실린더(813)와, 상기 유압실린더(813)의 반대방향으로 가이드핀(812)을 미는(즉, 전진시키는) 코일스프링(814)과, 이들을 내장하며 상기 가이드핀(812)이 전진된 상태에서 상기 후크부(811)가 걸려 있도록 하는 케이스(8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유압실린더(813)의 힘이 코일스프링(814)의 힘보다 강하여 도어패널(30)의 하부롤러(70)(또는 상부롤러(60))에 연결된 링크(73)가 이동하여 후크부(811)에 걸리면서 케이스(815)에의 걸림을 해소하면 후크부(811)는 링크(73)를 잡고 유압실린더(813)의 힘에 의해 서서히 이동하여 도어패널(30)을 개방 또는 폐쇄한다.
댐퍼에 대한 기술은 이미 다양하게 공지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두 제1댐퍼(81)는 하부레일의 양측 가장자리, 즉, 제1하부레일(71)과 제2하부레일(72) 상에서 각각 가장자리에 배치된다. 제1댐퍼(81)는 하부레일에 배치되어 이동하는 하부롤러(71,72)가 링크(73)를 통해 정면으로 부딪혀 접촉하게 되어 접촉시 요동을 줄이게 된다.
그리고 두 제2댐퍼(82)는 상부레일(40)을 벗어나 상부패널(21)의 중앙에 배치되어 도어패널이 제2댐퍼에 접촉 충격 시에 도어패널의 들림을 억제한다. 도어패널은 상부롤러에 의해 하중이 지지되는 구조이므로 접촉 충격 시 이동되는 방향의 전단이 상부로 들리게 된다. 따라서 제2댐퍼가 상부패널 중앙에 배치되는 경우, 도어패널(30)이 오픈 이동시에 도어패널(60)의 이동방향에 대해 후방에 배치되는 상부롤러(60)가 제2댐퍼에 접촉하여 충격을 받게되고, 도어패널의 충격지점과 도어패널이 들리는 지점이 달라 도어패널의 들림이 억제된다. 그러나 제2댐퍼가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때에는 도어패널의 접촉 충격 지점과 들림 지점이 동일하여 도어패널의 들림 억제는 약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 수납장에서 도어패널(30)의 개방과정과 폐쇄과정을 설명한다.
도4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제2 도어패널(31,32)이 폐쇄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제1도어패널(31)에 연결된 제1하부롤러(71)에 연결되어 있는 링크(73)가 제1하부레일(51)에 배치되어 있는 제1댐퍼(81)의 후크부(811)에 결합되어 있고, 제2도어패널(32)에 연결된 제2하부롤러(72)에 연결되어 있는 링크(73)가 제2하부레일(52)에 배치되어 있는 제1댐퍼(81)의 후크부(811)에 결합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수납장을 개방하기 위해 제1도어패널(31)을 밀면, 제1도어패널(31)은 이동하기 시작하고 사용자의 미는 힘에 의해 링크(73)가 제1댐퍼(81)의 후크부(811)를 밀어 후크부(811)가 케이스(815)에 걸리고, 제1도어패널(31)은 더 이동하여 도4b와 같이 완전 개방 직전에 제1상부롤러(61)의 링크(63)가 제2댐퍼(82)의 후크부에 걸리다. 그리고 제1상부롤러(61)가 이동해온 힘에 의해 후크부를 케이스의 걸림에서 해소시킨다.
그리고 후크부의 케이스에의 걸림이 해소된 이후에는 제1도어패널(31)을 이동시키는 힘이 소멸하거나 이동시키는 힘이 강하더라도 제2댐퍼(82) 유압실린더의 힘에 의해 가이드핀이 서서히 후진하여 링크(63)에 연결된 제1상부롤러(61)를 서서히 후진시켜 도4c와 같이 제1도어패널(31)을 완전해 개방시킨다.
이후 사용자가 제1도어패널(31)을 이동시켜 수납장을 폐쇄하는 경우, 제1상부롤러(61)에 연결된 링크(63)는 제2댐퍼(82)의 후크부를 밀어 후크부를 케이스에 고정시키고, 제1도어패널(31)이 더 이동하면 도4d와 같이 제1하부롤러(71)의 링크(73)가 제1댐퍼(81)의 후크부(811)에 접촉하여 후크부(811)의 걸림을 해소하고, 후크부(811)의 걸림이 해소되면 제1도어패널(31)은 후크부(811)에 결합된 링크(73)에 의해 서서히 이동하여 제1도어패널(31)은 도4a와 같이 완전 폐쇄시킨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댐퍼를 구비한 슬라이딩 도어 수납장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수직패널 20 : 수평패널
21 : 상부패널 24 : 하부패널
30 : 도어패널 40 : 상부레일
50 : 하부레일 60 : 상부롤러
70 : 하부롤러 81,82 : 제1,2댐퍼

Claims (4)

  1.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는 두 수직패널;
    상기 두 수직패널을 연결하여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다수의 수평패널;
    상기 수납공간을 개폐하는 제1도어패널과 제2도어패널;
    상기 수평패널 중 상부패널에 구비되어 있는 상부레일과, 하부패널에 구비되어 있는 하부레일;
    상기 제1도어패널과 제2도어패널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상부레일에 결합되어 상기 제1도어패널과 제2도어패널의 하중을 지지하며 슬라이드 이동되는 상부롤러와, 상기 하부레일에 결합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는 하부롤러;
    상기 제1도어패널과 제2도어패널의 폐쇄 종료 직전에 충격을 완화하는 제1댐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댐퍼는 상기 하부패널의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초기 접촉시 상기 제1도어패널과 제2도어패널의 들림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하부레일은 제1하부레일과 제2하부레일로 구성되고,
    상기 제1댐퍼는 상기 제1하부레일과 제2하부레일의 가장자리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하부롤러는 각각 상기 제1도어패널과 제2도어패널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1하부레일에 결합되는 제1하부롤러와, 각각 상기 제1도어패널과 제2도어패널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2하부레일에 결합되는 제2하부롤러로 구성되고,
    상기 제1도어패널의 제1하부롤러와 상기 제2도어패널의 제2하부롤러에는 각각 제2하부레일과 제1하부레일에 구비된 제1댐퍼에 결합되는 링크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를 구비한 슬라이딩 도어 수납장.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패널의 중앙에 구비되고, 상기 제1도어패널과 제2도어패널의 개방 종료 직전에 충격을 완화하는 제2댐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를 구비한 슬라이딩 도어 수납장.
  3. 삭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롤러는
    상기 상부레일 바닥면에 접촉되는 제1바퀴와,
    제1수평부와, 상기 제1수평부 양단에서 수직으로 절곡되고 일측은 상기 도어패널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제1바퀴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두 제1수직부를 포함하는 제1브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롤러는
    상기 하부레일의 측면에 접촉되는 제2바퀴와,
    상기 도어패널에 결합되는 제2수직부와, 상기 제2수직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2바퀴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수평부를 포함하는 제2브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를 구비한 슬라이딩 도어 수납장.
KR1020100022932A 2010-03-15 2010-03-15 댐퍼를 구비한 슬라이딩 도어 수납장 KR100990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2932A KR100990227B1 (ko) 2010-03-15 2010-03-15 댐퍼를 구비한 슬라이딩 도어 수납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2932A KR100990227B1 (ko) 2010-03-15 2010-03-15 댐퍼를 구비한 슬라이딩 도어 수납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0227B1 true KR100990227B1 (ko) 2010-11-02

Family

ID=43409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2932A KR100990227B1 (ko) 2010-03-15 2010-03-15 댐퍼를 구비한 슬라이딩 도어 수납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022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9750B1 (ko) 2013-07-19 2014-08-12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차량의 배터리용 도어 자동개폐장치
KR20170000529U (ko) * 2015-07-30 2017-02-08 신은소 지지력이 향상된 도어용 레일체를 구비한 수납장
CN110206435A (zh) * 2019-05-31 2019-09-06 天津龙甲特种门窗有限公司 一种带有缓冲功能的推拉式室内门
KR102122167B1 (ko) * 2020-01-02 2020-06-26 박채형 싱크대 수납장
KR102373100B1 (ko) * 2021-06-07 2022-03-11 주식회사 하람에프앤디 싱크대 수납장용 슬라이딩 도어 레일 및 롤러
KR20220147961A (ko) * 2021-04-28 2022-11-04 안중식 욕실수납장용 슬라이딩장치
KR20230001915U (ko) 2022-03-28 2023-10-05 한지윤 수납장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36882A (ja) * 2004-05-27 2005-12-08 Pal Co Ltd 引き戸構造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36882A (ja) * 2004-05-27 2005-12-08 Pal Co Ltd 引き戸構造体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9750B1 (ko) 2013-07-19 2014-08-12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차량의 배터리용 도어 자동개폐장치
KR20170000529U (ko) * 2015-07-30 2017-02-08 신은소 지지력이 향상된 도어용 레일체를 구비한 수납장
KR200483001Y1 (ko) 2015-07-30 2017-03-24 신은소 지지력이 향상된 도어용 레일체를 구비한 수납장
CN110206435A (zh) * 2019-05-31 2019-09-06 天津龙甲特种门窗有限公司 一种带有缓冲功能的推拉式室内门
KR102122167B1 (ko) * 2020-01-02 2020-06-26 박채형 싱크대 수납장
KR20220147961A (ko) * 2021-04-28 2022-11-04 안중식 욕실수납장용 슬라이딩장치
KR102600550B1 (ko) * 2021-04-28 2023-11-09 안중식 욕실수납장용 슬라이딩장치
KR102373100B1 (ko) * 2021-06-07 2022-03-11 주식회사 하람에프앤디 싱크대 수납장용 슬라이딩 도어 레일 및 롤러
KR20230001915U (ko) 2022-03-28 2023-10-05 한지윤 수납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0227B1 (ko) 댐퍼를 구비한 슬라이딩 도어 수납장
KR101151895B1 (ko) 미닫이식 도어의 개폐장치
US4729612A (en) Hinge support system
JP6399490B2 (ja) 走行補助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引戸装置
JP2012202206A (ja) 引き戸式扉の開閉装置
CN106358403A (zh) 柜门可隐藏的机柜
KR101415815B1 (ko) 미닫이식 도어의 이동장치
JP6512403B2 (ja) 引戸用緩衝閉鎖装置
CA2968287A1 (en) A damping or return device for sliding door leaves or for drawers
KR200459418Y1 (ko) 슬라이드식 도어를 가지는 가구의 댐핑시스템
KR100988495B1 (ko) 자동닫힘장치를 구비한 가구용 도어
US20040239217A1 (en) Storage system
KR20090003401U (ko) 경사진 레일을 통하여 자동개폐 기능을 구현한 슬라이딩도어
JP2013244269A (ja) 引出しキャビネット
KR102137482B1 (ko) 미닫이문 개폐장치
KR20200141357A (ko) 공용스토퍼를 구비한 미닫이문 완충구조
CN109914961A (zh) 一种推拉移门的缓冲装置
KR100988494B1 (ko) 가구용 슬라이딩 도어의 롤러 어셈블리
CN104490140A (zh) 可自动同步弹出的抽屉
KR102634414B1 (ko) 가구용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
JPWO2011115263A1 (ja) 医薬品用カート
KR20100008991A (ko) 가구용 도어 슬라이딩 장치
KR20090121928A (ko) 전면출몰식 전자파 차폐도어의 개폐작동구조
KR20110133865A (ko) 가구용 슬라이딩 도어의 롤러 어셈블리
CN212307263U (zh) 新型储物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