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7482B1 - 미닫이문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미닫이문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7482B1
KR102137482B1 KR1020180150701A KR20180150701A KR102137482B1 KR 102137482 B1 KR102137482 B1 KR 102137482B1 KR 1020180150701 A KR1020180150701 A KR 1020180150701A KR 20180150701 A KR20180150701 A KR 20180150701A KR 102137482 B1 KR102137482 B1 KR 102137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arriage
guide roller
opening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0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4509A (ko
Inventor
이동성
Original Assignee
강성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환 filed Critical 강성환
Priority to KR1020180150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7482B1/ko
Publication of KR20200064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45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7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7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2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 E05D15/0643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on balls or floating 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6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1Cooperation between 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 E05Y2201/612Cooperation between 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between carriers and 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C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6Rods, lin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 문짝이 동일한 면을 이루어 닫힌 상태를 유지하고, 어느 한쪽 문짝이 전방으로 돌출되어 다른 쪽 문짝과 겹쳐지면서 열리는 구조의 미닫이문 개폐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두 개의 문짝이 가이드 레일을 따라 수평 이동하여 가구의 수납공간을 개폐하는 장치로, 가구의 프레임 상면에 고정되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홈에 볼 열이 접촉하여 미끄러지면서 문짝이 벗어나지 않도록 잡아주는 캐리지, 문짝의 상단 가장자리에 고정되고, 매끄러운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롤러가 부착된 지지브래킷, 상기 캐리지 및 상기 지지브래킷과 양단이 핀 이음으로 연결되고, 한쪽 문짝을 개방 동작 시 다른 쪽 문짝의 바깥쪽으로 겹쳐지면서 이동하도록 상기 캐리지에 대하여 상기 지지브래킷을 한정운동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링크 및 상기 가이드 레일의 바깥쪽 단부에 고정되고, 문짝을 폐쇄 동작 시 상기 가이드 롤러의 자유 이탈을 방지하고 리턴 위치를 결정하는 롤러 트랙을 포함하는 미닫이문 개폐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미닫이문 개폐장치{SLIDING DOOR OPERATING EQUIPMENT}
본 발명은 두 짝의 미닫이문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열고 닫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두 문짝이 동일한 면을 이루어 닫힌 상태를 유지하고, 어느 한쪽 문짝이 전방으로 돌출되어 다른 쪽 문짝과 겹쳐지면서 열리는 구조의 미닫이문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롱, 수납장, 욕실장 등과 같은 각종 가구의 전면에는 수납 물품의 외부 노출로 인한 미관의 저해와 손상을 막기 위해 수납공간을 가리는 문이 설치되어 있다.
특히 장롱 중 벽에 붙이거나 벽의 안쪽에 설치하여 공간 활용도가 높고, 내부 구조를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선택할 수 있는 붙박이장에 설치되는 문의 종류는 개폐 방식에 따라 크게 미닫이문과 여닫이문으로 나눌 수 있다.
그런데 여닫이문은 문짝을 열고 닫도록 문짝의 폭만큼 앞쪽 공간을 확보해야 하는 단점이 있어 주로 문짝을 상하의 문틀 홈에 끼우고, 그 홈을 따라 호차가 미끄러지면서 열리고 닫히는 미닫이문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미닫이문이 설치된 붙박이장의 일례로, 도 1(도 1의 도면 부호는 도 2 내지 도 6의 도면 부호와 상호 무관함)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45)(46)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23)(24)에 의해 미끄러지면서 수납공간을 개폐하는 두 짝의 미닫이문(30)(31)이 서로 겹쳐지듯이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개폐 시 두 짝의 미닫이문끼리 서로 간섭을 받지 않도록 외측 문짝이 내측 문짝보다 전방으로 약간 돌출된 채로 설치되어 있는 구조적 특성상 문짝들 사이에 틈이 발생하여 외관미가 현저히 떨어지는 데다 문짝의 하중을 지탱하기 위한 구조가 복잡해지고 개폐 동작에 상당한 힘이 필요하여 다소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배경기술 또는 종래기술은 본 발명자가 보유하거나 본 발명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습득한 정보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의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KR 20-0483001 Y1(2017.03.20) KR 10-0987123 B1(2010.10.05) KR 10-0762984 B1(2007.09.21) KR 10-2017-0120296 A(2017.10.31)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서 기존의 미닫이문 개폐장치가 지닌 기술적 한계 및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발상에서 두 짝의 미닫이문이 닫힌 상태에서는 동일한 면을 유지하고, 열 때는 어느 한쪽 문짝이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다른 쪽 문짝과 겹쳐지면서 열림으로써 외관미와 공간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아울러 문짝의 개폐가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이루어져 사용의 편리성 및 용이성을 극대화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미닫이문 개폐장치를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두 문짝이 동일한 면을 이루어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미닫이문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문짝의 개폐가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미닫이문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 및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태양에 따른 구체적 수단은, 두 개의 문짝이 가이드 레일을 따라 수평 이동하여 가구의 수납공간을 개폐하는 장치로, 가구의 프레임 상면에 고정되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홈에 볼 열이 접촉하여 미끄러지면서 문짝이 벗어나지 않도록 잡아주는 캐리지, 문짝의 상단 가장자리에 고정되고, 매끄러운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롤러가 부착된 지지브래킷, 상기 캐리지 및 상기 지지브래킷과 양단이 핀 이음으로 연결되고, 한쪽 문짝을 개방 동작 시 다른 쪽 문짝의 바깥쪽으로 겹쳐지면서 이동하도록 상기 캐리지에 대하여 상기 지지브래킷을 한정운동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링크 및 상기 가이드 레일의 바깥쪽 단부에 고정되고, 문짝을 폐쇄 동작 시 상기 가이드 롤러의 자유 이탈을 방지하고 리턴 위치를 결정하는 롤러 트랙을 포함하여 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문 개폐장치를 제시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두 문짝이 닫힌 상태에서는 동일한 면을 유지하고, 열 때는 어느 한쪽 문짝이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다른 쪽 문짝과 겹쳐지면서 열리기 때문에 디자인적으로 깔끔하게 세련된 외관미를 연출함은 물론 공간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은 상기 캐리지의 단부에 다른 쪽 문짝의 캐리지와 충돌 시 충격을 흡수하고 소음을 완화하는 댐퍼가 부착됨으로써 문짝의 개폐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하고 소음을 완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으로, 상기 가이드 롤러는 좌우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롤러 트랙은 문짝을 개방 동작 시 상기 가이드 롤러의 인출이 일시적으로 정지되도록 하는 열림간섭턱 및 문짝을 폐쇄 동작 시 상기 가이드 롤러의 인입이 일시적으로 정지되도록 하는 닫힘간섭턱이 형성됨으로써 문짝의 개폐에 따른 편리성과 안전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가이드 롤러의 인출 및 인입 작동이 한층 더 안정적이고 매끄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으로, 상기 캐리지는 한쪽 문짝이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다른 쪽 문짝의 마주하는 캐리지와 서로 부딪히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문짝이 완전히 열리면 자동으로 멈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의 달성과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및 구성을 갖춘 본 발명의 실시 태양은, 두 문짝이 닫힌 상태에서는 동일한 면을 유지하고, 열 때는 어느 한쪽 문짝이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다른 쪽 문짝과 겹쳐지면서 열림으로써 디자인적으로 깔끔하게 세련된 외관미를 연출함은 물론 공간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문짝의 개폐가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이루어짐으로써 개폐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으로 인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하고 사용수명을 늘릴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미닫이문 개폐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닫이문 개폐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닫이문 개폐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닫이문 개폐장치를 확대하여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닫이문 개폐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닫이문 개폐장치의 닫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닫이문 개폐장치의 열림 작동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 및 형태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하는 의미이며,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설시하는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그리고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상측, 하측 등의 용어는 각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편의상 사용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로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 및 지칭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닫이문 개폐장치는 두 개의 문짝(D)(D')이 가구의 프레임(F) 상면에 고정되어 있는 가이드 레일(R)을 따라 수평 이동하여 가구의 수납공간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크게 캐리지(10), 지지브래킷(20), 링크(30), 롤러 트랙(40) 및 댐퍼(5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캐리지(10)는 문짝(D)의 개폐 동작에 따라 지지브래킷(20)과 연동하여 문짝(D)을 개폐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양쪽 측면 및 하면에 장치되어 있는 볼(11) 열이 가이드 레일(R)의 홈에 접촉하여 미끄러지면서 문짝(D)이 벗어나지 않도록 잡아주고, 문짝(D)의 개폐 동작이 안정적이면서 매끄럽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캐리지(10)는 문짝(D)이 완전히 열리면 멈추도록 하는 위치 결정용 스토퍼 역할을 하기 위해 한쪽 문짝(D)이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다른 쪽 문짝(D)의 마주하는 캐리지(10)와 서로 부딪히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캐리지(10)는 가이드 레일(R)의 홈과 같이 정해진 경로를 따라 미끄러지듯이 이동하는 통상의 이송 기구를 채용할 수 있다.
지지브래킷(20)은 문짝(D)과 가이드 롤러(21)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마치 'ㄱ'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수직부가 문짝(D)의 상단 바깥쪽 가장자리에 고정되어 있고, 수평부의 바깥쪽 가장자리에는 매끄러운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롤러(21)가 자유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여기서 가이드 롤러(21)는 안정적인 작동을 위해 캐리지(10)의 이동 방향을 따라 좌우 한쌍으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브래킷(20)은 스테리인리스 금속판(판금)에 펀치로 구멍을 뚫거나 일정한 모양의 조각을 따내는 펀칭 머신을 이용하여 문짝(D) 및 가이드 레일(21)의 고정을 위한 구멍 등을 뚫은 후, 벤딩 머신으로 문짝(D)과 마주하는 가장자리를 수직으로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다.
링크(30)는 한쪽 문짝(D)이 개폐 동작 시 마주하는 다른 쪽 문짝(D')의 바깥쪽으로 겹쳐지면서 이동하거나 서로 동일면을 이루도록 이동하기 위해 캐리지(10)에 대하여 지지브래킷(20)을 일정한 각도 범위로 한정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어느 한쪽 문짝(D)의 개폐 동작에 따라 지지브래킷(20)과 연동하여 그 한쪽 문짝(D)의 위치를 변경하도록 길이 방향의 양단이 캐리지(10) 및 지지브래킷(20)과 핀(P) 이음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링크(30)는 안정적인 한정운동을 위해 캐리지(10)의 이동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어 있다.
즉, 링크(30)는 가이드 롤러(21)가 롤러 트랙(40)으로 인출 및 인입됨에 따라 그 각각의 핀(P)을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로 회전하면서 한쪽 문짝(D)이 다른 쪽 문짝(D)과 부딪히지 않게 돌출 위치로 이동되도록 캐리지(10)에 대한 지지브래킷(20)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롤러 트랙(40)은 문짝(D)을 폐쇄 동작 시 가이드 롤러(21)의 자유 이탈을 방지하고 리턴 위치를 결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가이드 레일(R)의 바깥쪽 단부에 연결된 채로 가구의 프레임(F) 상면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롤러 트랙(40)의 안쪽에는 문짝(D)을 개방 동작 시 가이드 롤러(21)의 인출이 일시적으로 정지되도록 하는 열림간섭턱(41) 및 문짝(D)을 폐쇄 동작 시 가이드 롤러(21)의 인입이 일시적으로 정지되도록 하는 닫힘간섭턱(42)이 형성되어 있다.
즉, 열림간섭턱(41)과 닫힘간섭턱(42)은 문짝(D)의 개폐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최소화하여 그로 인한 손상을 방지하고, 또 문짝(D)의 개폐 동작이 일시에 이루어지지 않고 단계적으로 매끄럽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의 편리성과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댐퍼(50)는 한쪽 문짝(D)의 개방 동작으로 가이드 레일(R)을 따라 이동하는 캐리지(10)가 마주하는 다른 쪽 문짝(D')의 캐리지와 충돌 시 서로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 및 그 충격을 흡수하고 소음을 완화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캐리지(10)들의 서로 마주하는 단부 중 적어도 한쪽에 부착되어 있다.
여기서 댐퍼(50)는 탄성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충격을 흡수 및 완화하고, 복원력에 의해 원래대로 복귀 및 복원되는 고무나 스프링 등의 탄성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댐퍼(50)의 한쪽 면에는 대향하는 댐퍼의 면과 접촉 시 상호 탄력적이면서 유연하게 밀착되도록 탄성을 배가시키기 위한 딤플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닫이문 개폐장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문짝(D)(D')이 닫힌 상태에서는 서로 동일한 면을 유지함으로써 디자인적으로 깔끔하게 세련된 외관미를 연출함은 물론 공간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문짝(D)(D')이 닫힌 상태에서는 바깥쪽 가이드 롤러(21)가 롤러 트랙(40) 내의 열림간섭턱(41)과 접촉에 의해 인출이 억제되므로 문짝(D)(D')을 강하게 잡아당기듯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열지 않는 한 동일한 면을 이루는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문짝(D)(D')을 잡아당기듯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열면 가이드 롤러(21)가 열림간섭턱(41)을 넘어가서 롤러 트랙(40)의 출입구와 연결되어 있는 가이드 레일(R)의 홈을 따라 구르고, 이렇게 되면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한쪽 문짝(D)이 전방으로 돌출되어 다른 쪽 문짝(D)과 겹쳐지면서 서로 간섭 없이 열리게 된다.
이때, 가이드 롤러(21)와 캐리지(10)는 서로 일직선상에 놓인 채로 가이드 레일(R)의 홈을 따라 동시에 매끄럽게 구르면서 지지브래킷(20)을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하고, 이로 인해 문짝(D)(D')은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열리게 된다.
더구나 롤러 트랙(40)의 닫힘간섭턱(42)은 문짝(D)(D')의 폐쇄 동작 시 안쪽 가이드 롤러(21)의 인입이 일시적으로 정지되도록 억제함으로써 문짝(D)을 닫는 과정에서 손가락 끼임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하여 사용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즉, 가이드 롤러(21)와 롤러 트랙(40)의 간섭 및 안내로 인해 문짝(D)(D')의 개폐가 급격히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개폐 과정에서의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게다가 한쪽 문짝(D)의 개방 동작 시 캐리지(10)의 단부에 부착된 댐퍼(50)가 다른 쪽 문짝(D')의 캐리지(10)와 충돌로 인한 충격을 흡수하여 손상을 방지하므로 무리 없이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하고 사용수명을 늘릴 수 있다.
아울러 문짝(D)의 개폐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음 및 소음을 완화하므로 소음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문짝(D)의 지지 및 이탈 방지를 위해 문짝(D) 하부에 가이드롤러를 구비하여 문틀의 바닥에 설치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할 수 있도록 함이 가능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로 다양하게 변형하고 응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각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변형하고 응용하는 것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 캐리지 11: 볼
20: 지지브래킷 21: 가이드 롤러
30: 링크 40: 롤러 트랙
41: 열림간섭턱 42: 닫힘간섭턱
50: 댐퍼 D: 문짝
R: 가이드 레일 F: 프레임
P: 핀

Claims (3)

  1. 두 개의 문짝이 가이드 레일을 따라 수평 이동하여 가구의 수납공간을 개폐하는 장치로, 가구의 프레임 상면에 고정되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홈에 볼 열이 접촉하여 미끄러지면서 문짝이 벗어나지 않도록 잡아주는 캐리지; 문짝의 상단 가장자리에 고정되고, 매끄러운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롤러가 부착된 지지브래킷; 상기 캐리지 및 상기 지지브래킷과 양단이 핀 이음으로 연결되고, 한쪽 문짝을 개방 동작 시 다른 쪽 문짝의 바깥쪽으로 겹쳐지면서 이동하도록 상기 캐리지에 대하여 상기 지지브래킷을 한정운동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링크; 상기 가이드 레일의 바깥쪽 단부에 연결되고, 문짝을 폐쇄 동작 시 상기 가이드 롤러의 자유 이탈을 방지하고 리턴 위치를 결정하는 롤러 트랙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롤러는 좌우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롤러 트랙은 문짝을 개방 동작 시 상기 가이드 롤러의 인출이 일시적으로 정지되도록 하는 열림간섭턱 및 문짝을 폐쇄 동작 시 상기 가이드 롤러의 인입이 일시적으로 정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닫힘간섭턱이 형성된 미닫이문 개폐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는 한쪽 문짝이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다른 쪽 문짝의 마주하는 캐리지와 서로 부딪히는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문 개폐장치.
KR1020180150701A 2018-11-29 2018-11-29 미닫이문 개폐장치 KR102137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701A KR102137482B1 (ko) 2018-11-29 2018-11-29 미닫이문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701A KR102137482B1 (ko) 2018-11-29 2018-11-29 미닫이문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4509A KR20200064509A (ko) 2020-06-08
KR102137482B1 true KR102137482B1 (ko) 2020-07-24

Family

ID=71090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0701A KR102137482B1 (ko) 2018-11-29 2018-11-29 미닫이문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74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0905B1 (ko) * 2023-09-05 2024-01-30 주식회사 이노핸즈 폴딩도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8007A (ja) * 2002-09-18 2004-04-08 Best:Kk 連動式吊戸装置
KR100987123B1 (ko) * 2010-05-04 2010-10-12 (주)지씨아이 미닫이식 도어의 개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63767A (ja) * 2004-08-30 2006-03-09 Shimodaira:Kk 引戸の戸閉装置。
KR100762984B1 (ko) 2007-01-30 2007-10-08 안중식 슬라이드 도어가 구비된 욕실 수납장
KR200483001Y1 (ko) 2015-07-30 2017-03-24 신은소 지지력이 향상된 도어용 레일체를 구비한 수납장
KR20170120296A (ko) 2016-04-21 2017-10-31 인포지씨 주식회사 미닫이 도어용 레일 조립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8007A (ja) * 2002-09-18 2004-04-08 Best:Kk 連動式吊戸装置
KR100987123B1 (ko) * 2010-05-04 2010-10-12 (주)지씨아이 미닫이식 도어의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4509A (ko) 2020-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1895B1 (ko) 미닫이식 도어의 개폐장치
US20090195131A1 (en) Drawer system slide assemblies and closure mechanisms
KR101087289B1 (ko) 미닫이식 도어의 개폐장치
KR101718484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스토퍼
KR100990227B1 (ko) 댐퍼를 구비한 슬라이딩 도어 수납장
JP6512403B2 (ja) 引戸用緩衝閉鎖装置
KR102137482B1 (ko) 미닫이문 개폐장치
KR101415815B1 (ko) 미닫이식 도어의 이동장치
KR102122211B1 (ko) 리테이너가 정위치로 복원되는 서랍용 슬라이드 장치
US7178889B2 (en) Slide rail
KR20190041628A (ko) 미닫이 도어용 완충 장치
EP3438389A1 (en) Sliding apparatus for sliding door
KR200480050Y1 (ko) 미닫이도어용 스토퍼
KR101654925B1 (ko) 가구용 슬라이딩 도어의 쳐짐 방지장치
KR101654922B1 (ko) 슬라이딩 도어의 반자동 개폐장치
JP2016120200A (ja) 昇降引出し装置
KR200478368Y1 (ko) 슬라이드레일 자동폐쇄장치
KR101654917B1 (ko) 가구용 슬라이딩 도어의 엔드 완충장치
TW201537015A (zh) 具有設在一個共同平面之移動門扉的移動門裝置
JP2014141827A (ja) スライド扉の制止構造
KR102241844B1 (ko) 가구 서랍의 풀아웃 가이드 고정용 홀더
KR20180036511A (ko) 개폐 장치
KR20140108507A (ko) 개선된 후크를 갖는 슬라이더 완충장치
EP2201862B1 (en) Equipment for the partial and temporary extraction of a corner furniture chariot
KR101704586B1 (ko) 슬라이딩 도어 정위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