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050Y1 - 미닫이도어용 스토퍼 - Google Patents

미닫이도어용 스토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050Y1
KR200480050Y1 KR2020150000168U KR20150000168U KR200480050Y1 KR 200480050 Y1 KR200480050 Y1 KR 200480050Y1 KR 2020150000168 U KR2020150000168 U KR 2020150000168U KR 20150000168 U KR20150000168 U KR 20150000168U KR 200480050 Y1 KR200480050 Y1 KR 2004800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door
stopper
door
guide rail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01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상현
Original Assignee
안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상현 filed Critical 안상현
Priority to KR20201500001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0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0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05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미닫이 도어용 스토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합되는 결합브래킷과; 상기 결합브래킷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되게 결합되며 상기 미닫이 도어와 접촉되며 상기 미닫이 도어의 이동을 저지하는 스토퍼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본체는 사각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좌우 양측에 상기 미닫이 도어와 상기 가이드레일 사이에 결합되는 도어롤러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되게 내측으로 함몰형성된 제1캐버티 및 제2캐버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미닫이도어용 스토퍼{STOPPER FOR SLIDE DOOR}
본 고안은 스토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미닫이도어의 이동을 저지할 수 있으며 다양한 위치에 호환되어 사용될 수 있는 미닫이 도어용 스토퍼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출입문 또는 가구의 도어 등에 사용되는 미닫이 도어는 가이드레일을 따라 도어가 슬라이드 이동된다. 미닫이 도어의 구조가 등록특허 제10-0948435호 "미닫이식 도어 하부 롤러장치"에 개시된 바 있다.
도 1은 종래 미닫이 도어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미닫이 도어(10)는 가이드레일(30)의 하부에 양측으로 도어(10)가 구비되고, 도어(10)와 가이드레일(30) 사이에 구비된 롤러(20)가 가이드레일(30)을 따라 이동하며 도어(10)가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한다. 이 때, 한 쌍의 가이드레일(30)이 가운데에서 서로 충돌되어 롤러(2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이드레일(30)의 중심에는 중심스토퍼(40)가 구비된다.
또한, 가이드레일(30)의 양측에는 도어(10)가 이동되는 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측면스토퍼(40a,40b)가 구비된다.
종래 미닫이 도어는 중심스토퍼(40)가 롤러의 형태로 구비된다. 종래 중심스토퍼(40)는 철재로 형성된 수평브래킷과 수직브래킷이 용접되어 제조되고, 수직브래킷에 롤러가 결합되어 제조된다. 즉, 고무재질의 롤러와 철재의 브래킷을 각각 제조하고 두 개를 서로 용접하는 과정이 요구되므로 제조에 시간이 많이 걸리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수직브래킷이 수평브래킷으부터 수직하게 배치되어 롤러를 지지하므로, 수직브래킷이 롤러(20)와의 접촉에 의해 휘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미닫이 도어는 중심스토퍼(40)와 측면스토퍼(40a,40b)가 서로 다른 구조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중심스토퍼(40)와 측면스토퍼(40a,40b)가 각각 개별적으로 제조되어야 하므로 제조비용이 배로 증가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출로 일체로 제조하여 제조비용이 저렴하고, 중심과 측면에 호환되어 사용될 수 있는 미닫이도어용 스토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면은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미닫이 도어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미닫이 도어의 이동을 저지하는 미닫이 도어용 스토퍼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미닫이 도어용 스토퍼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합되는 결합브래킷과; 상기 결합브래킷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되게 결합되며 상기 미닫이 도어와 접촉되며 상기 미닫이 도어의 이동을 저지하는 스토퍼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본체는 사각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좌우 양측에 상기 미닫이 도어와 상기 가이드레일 사이에 결합되는 도어롤러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되게 내측으로 함몰형성된 제1캐버티 및 제2캐버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브래킷은 한 쌍의 미닫이 도어가 닫혀진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미닫이 도어의 가운데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브래킷은 상기 미닫이 도어가 최대 이동범위로 열리는 위치에 배치된다.
본 고안에 따른 미닫이도어용 스토퍼는 간단한 구조를 가지므로 제작에 소용되는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동일한 구조로 가이드레일의 중심 뿐만 아니라 측면에도 결합될 수 있어 다양한 위치에 호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캐버티의 내부에 롤러가 삽입되어 이동이 저지되므로 스토퍼본체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미닫이도어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스토퍼가 적용된 미닫이도어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스토퍼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고안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미닫이도어용 스토퍼(100)가 적용된 미닫이 도어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미닫이도어용 스토퍼(100)는 미닫이 도어(10)가 이동되는 가이드레일(30)의 중심영역과 양측면에 호환되어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고안에 따른 미닫이도어용 스토퍼(100)는 동일한 형상으로 제작되어 가이드레일(30)의 중심과 측면에 관계없이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중심과 측면을 다른 구조로 각각 별도의 스토퍼를 제작해야 했던 것과 비교할 때 생산라인을 간소화할 수 있고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미닫이도어용 스토퍼(10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미닫이도어용 스토퍼(100)는 가이드레일(30)의 내벽면에 결합되는 결합브래킷(110)과, 결합브래킷(110)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어 롤러(20)와 접촉되는 스토퍼본체(120)를 포함한다.
결합브래킷(110)은 가이드레일(30)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면적을 갖는 판상 재질로 형성된다. 결합브래킷(110)은 내구성을 위해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결합브래킷(110)의 판면에는 체결부재(미도시)가 삽입되는 레일결합공(111)이 복수개 관통형성된다.
레일결합공(111)을 통해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미도시)가 가이드레일(30)에 삽입되어 미닫이도어용 스토퍼(100)를 가이드레일(30)에 고정시킨다.
스토퍼본체(120)는 결합브래킷(110)의 판면에 돌출되게 결합된다. 스토퍼본체(120)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스토퍼본체(120)는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되어 결합브래킷(110)에 고정된다 스토퍼본체(120)는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브래킷(110)에 고정될 수 있다.
종래 중심스토퍼(100)가 수평브래킷과 수직브래킷이 서로 용접되고, 수직브래킷에 롤러를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하여 제조하던 것과 비교할 때, 본 고안의 미닫이도어용 스토퍼(100)는 평판형태의 결합브래킷(110)에 사출성형된 스토퍼본체(120)를 체결부재에 체결하여 제조가 완료되므로 제조시간과 비용이 줄어들 수 있다.
스토퍼본체(120)의 양측에는 미닫이도어(10)의 상부에 결합되어 가이드레일(30)을 따라 이동되는 롤러(20)를 수용하는 제1캐버티(121) 및 제2캐버티(123)가 구비된다. 제1캐버티(121)와 제2캐버티(123)는 롤러(20)의 외주면의 형상에 대응되게 함몰형성되어 롤러(20)가 캐버티(121,123) 내에 수용되도록 구비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20)는 직경 r을 갖도록 형성되고, 제1캐버티(121)와 제2캐버티(123)도 직경 r에 대응하는 곡면을 갖도록 함몰형성된다.
여기서, 스토퍼본체(120)의 양측에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1캐버티(121)와 제2캐버티(123)가 형성되므로 본 고안의 미닫이도어용 스토퍼(100)는 가이드레일(30)의 중심에 배치되는 중심스토퍼로서 뿐만 아니라 가이드레일(30)의 양측에 배치되는 측면스토퍼(100a,100b)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미닫이도어용 스토퍼(100)는 제1캐버티(121)와 제2캐버티(123) 내부에 롤러(20)가 삽입되며 도어(10)의 이동을 저지하게 되므로, 스토퍼본체(120)가 롤러(20)로부터 받는 충격이 적어질 수 있다. 따라서, 스토퍼본체(120)가 롤러(20)와의 접촉에 의해 변형되는 것이 줄어들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미닫이도어용 스토퍼(100)의 설치과정과 동작과정을 도 2와 도 3을 참조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30)의 중심영역에 미닫이도어용 스토퍼(100)를 설치한다. 결합브래킷(110)에 스토퍼본체(120)가 고정되어 준비된다. 결합브래킷(110)의 레일결합공(111)에 체결부재(미도시)를 삽입하여 가이드레일(30)에 고정한다. 가이드레일(30)에는 레일결합공(111)에 대응되는 결합공(미도시)이 관통형성된다.
이 때, 스토퍼본체(120)의 양측으로 제1캐버티(121)와 제2캐버티(123)가 향하도록 미닫이도어용 스토퍼(100)가 가이드레일(30)에 고정된다.
한편, 가이드레일(30)의 양측, 즉 미닫이도어(10)가 최대범위로 열려지는 위치에 측면 스토퍼(100a,100b)가 설치된다. 측면 스토퍼(100)는 결합되는 위치만 상이할 뿐 미닫이 도어용 스토퍼(100)와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된다.
가이드레일(30)의 중심과 양측에 미닫이도어용 스토퍼(100,100a,100b)가 설치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닫이도어(10)의 이동을 저지한다.
가이드레일(30)의 중심에 위치한 미닫이도어용 스토퍼(100)는 좌측과 우측의 미닫이도어(10)가 중심을 넘어서 반대쪽으로 이동되는 것을 저지한다. 좌측도어와 우측도어의 롤러(20)들은 미닫이도어용 스토퍼(100)의 제1캐버티(121)와 제2캐버티(123)에 수용되어 이동이 저지된다.
한편, 측면에 위치한 측면스토퍼(100a,100b)는 최대범위로 열러지는 좌측도어와 우측도어의 롤러(20)와 접촉되어 좌측도어와 우측도어가 가이드레일(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저지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미닫이도어용 스토퍼는 간단한 구조를 가지므로 제작에 소용되는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동일한 구조로 가이드레일의 중심 뿐만 아니라 측면에도 결합될 수 있어 다양한 위치에 호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캐버티의 내부에 롤러가 삽입되어 이동이 저지되므로 스토퍼본체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미닫이도어용 스토퍼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미닫이 도어용 스토퍼
110 : 결합브래킷
111 : 레일결합공
120 : 스토퍼본체
121 : 제1캐버티
123 : 제2캐버티

Claims (3)

  1.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미닫이 도어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미닫이 도어의 이동을 저지하는 미닫이 도어용 스토퍼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합되는 결합브래킷과;
    상기 결합브래킷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되게 결합되며 상기 미닫이 도어와 접촉되며 상기 미닫이 도어의 이동을 저지하는 스토퍼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본체는 사각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좌우 양측에 상기 미닫이 도어와 상기 가이드레일 사이에 결합되는 도어롤러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되게 내측으로 함몰형성된 제1캐버티 및 제2캐버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도어용 스토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브래킷은 한 쌍의 미닫이 도어가 닫혀진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미닫이 도어의 가운데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도어용 스토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브래킷은 상기 미닫이 도어가 최대 이동범위로 열리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도어용 스토퍼.
KR2020150000168U 2015-01-09 2015-01-09 미닫이도어용 스토퍼 KR2004800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168U KR200480050Y1 (ko) 2015-01-09 2015-01-09 미닫이도어용 스토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168U KR200480050Y1 (ko) 2015-01-09 2015-01-09 미닫이도어용 스토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050Y1 true KR200480050Y1 (ko) 2016-04-06

Family

ID=55790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0168U KR200480050Y1 (ko) 2015-01-09 2015-01-09 미닫이도어용 스토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050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7259A (ko) * 2017-06-16 2018-12-27 안상현 미닫이 도어용 도어스토퍼
KR20190048974A (ko) 2017-10-31 2019-05-09 비엠리빙코리아(주) 슬라이딩 도어용 스토퍼
KR20230052334A (ko) 2021-10-12 2023-04-20 주식회사 빛나시스템창호 탄성롤러를 구비한 미닫이 도어
KR20230052335A (ko) 2021-10-12 2023-04-20 주식회사 빛나시스템창호 탄성롤러를 구비한 연동형 미닫이 도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0296A (ja) 2005-04-25 2006-11-02 Murakoshi Mfg Corp 緩衝装置
JP2009513846A (ja) 2005-07-08 2009-04-02 セタ エレクトロメカニーク ゲーエムベーハー 引戸もしくはスライドドア用のガイド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0296A (ja) 2005-04-25 2006-11-02 Murakoshi Mfg Corp 緩衝装置
JP2009513846A (ja) 2005-07-08 2009-04-02 セタ エレクトロメカニーク ゲーエムベーハー 引戸もしくはスライドドア用のガイド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7259A (ko) * 2017-06-16 2018-12-27 안상현 미닫이 도어용 도어스토퍼
KR101980879B1 (ko) * 2017-06-16 2019-05-22 안상현 미닫이 도어용 도어스토퍼
KR20190048974A (ko) 2017-10-31 2019-05-09 비엠리빙코리아(주) 슬라이딩 도어용 스토퍼
KR20230052334A (ko) 2021-10-12 2023-04-20 주식회사 빛나시스템창호 탄성롤러를 구비한 미닫이 도어
KR20230052335A (ko) 2021-10-12 2023-04-20 주식회사 빛나시스템창호 탄성롤러를 구비한 연동형 미닫이 도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0050Y1 (ko) 미닫이도어용 스토퍼
US20130230262A1 (en) Retainer for sliding device provided with buffer member
KR102041005B1 (ko) 슬라이딩 창호용 레일스토퍼
US20100031579A1 (en) Protecting Device for Pushing of Sliding Door, Locking Device and Screen Door System
KR101077227B1 (ko) 자동개폐 기능이 구비된 호차
JP3176462U (ja) 連動定位構造を備えるスライドレールアセンブリ
KR20170054590A (ko) 댐퍼 내장형 3연동 도어
KR101718484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스토퍼
TW201606174A (zh) 移動門用的輪箍
EP2723957B1 (en) A cooling device comprising an easily mountable handle
CN112443228B (zh) 具有可自调节止动件的缓冲装置
EP2995759B1 (en) Improved device for the support and safe movement of cabinet doors
CN102147180A (zh) 冰箱及其顶盖组件
TW201605383A (zh) 活動傢俱件之抽出導引
KR20180137259A (ko) 미닫이 도어용 도어스토퍼
KR102137482B1 (ko) 미닫이문 개폐장치
KR200485706Y1 (ko) 슬라이딩 도어용 가이드 프레임
JP2015519490A (ja) 取付具
KR20170057986A (ko) 엘리베이터용 도어 이탈방지구
CN203783291U (zh) 推拉窗月牙锁保护器
JP5883643B2 (ja) 引戸連動設備および受け部材
KR20190002196U (ko) 탈착식 프레임 연결구
KR20100021083A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KR101689952B1 (ko) 하부 고정형 행거도어
CN103002773B (zh) 打开和/或闭合装置以及安装打开和/或闭合装置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