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8974A - 슬라이딩 도어용 스토퍼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도어용 스토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8974A
KR20190048974A KR1020170144311A KR20170144311A KR20190048974A KR 20190048974 A KR20190048974 A KR 20190048974A KR 1020170144311 A KR1020170144311 A KR 1020170144311A KR 20170144311 A KR20170144311 A KR 20170144311A KR 20190048974 A KR20190048974 A KR 201900489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sliding door
rod
contact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4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8746B1 (ko
Inventor
윤태양
윤태산
이애경
Original Assignee
비엠리빙코리아(주)
이애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엠리빙코리아(주), 이애경 filed Critical 비엠리빙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170144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8746B1/ko
Publication of KR20190048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8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8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8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05F5/08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with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24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34Form stability
    • E05Y2800/342Deformable
    • E05Y2800/344Deformable elastical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vibration or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슬라이딩 도어가 개방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탄성 지지력에 의해 슬라이딩 도어가 개방될 때, 충격을 완화 시키면서 개방된 직후 작용반작용에 의해 슬라이딩 도어가 다시 닫치려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장착편, 지지편, 및 힌지부를 포함하는 장착 브래킷; 상기 장착 브래킷의 힌지부에 구비되어 롤러의 외경과 접촉되면서 속도를 저감시킨 후 수용되어 작용 반작용에 의해 다시 닫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작동되는 작동로드; 및 상기 롤러가 작동로드와의 접촉 여부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도어용 스토퍼를 제공한다.
그에 따라 슬라이딩 도어가 안전하면서 안정적으로 개방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개방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충격소음을 방지하면서 손상됨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슬라이딩 도어용 스토퍼{Stopper for sliding doors}
본 발명은 슬라이딩 도어용 스토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슬라이딩 도어가 개방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탄성 지지력에 의해 슬라이딩 도어가 개방될 때, 충격을 완화 시키면서 개방된 직후 작용반작용에 의해 슬라이딩 도어가 다시 닫치려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슬라이딩 도어용 스토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라이딩 도어는 장롱이나 책장, 수납장 또는 욕실장 등과 같은 가구의 전면에 설치되어 수납된 물품을 노출하지 않도록 롤러가 레일을 타고 슬라이딩 되면서 개폐된다.
다시 말해서, 가구 본체의 상면 또는 밑면에 구비된 레일 상에서 도어와 브래킷으로 연결되는 롤러가 이동되면서 개폐된다.
그러나 슬라이딩 도어는 일측에서 힘을 가하여 도어를 개폐할 때 발생하는 충격에 의하여 충격소음은 물론 도어가 쉽게 손상되는 단점을 가지며, 특히 개방시에는 개방된 직후 작용반작용의 원리에 의해 다시 닫치려는 현상이 발생함으로 인해 사용상에 여러 애로점을 가진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도 슬라이딩 도어가 개방이 완료된 상태에서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한 다시 쉽게 닫치지 않도록 스토퍼 등을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와 같이 슬라이딩 도어에 스토퍼를 구비하는 종래의 선행기술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38754호()에 게시된 바와 같이 롤러를 감속시키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탄성안착부, 이탈방지부 및 정지수단을 포함하는 슬라이딩 행거 도어용 스토퍼 어셈블리와 같은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0050호()에 게시된 바와 같이 사출로 일체로 제조하여 제조비용이 저렴하고, 중심과 측면에 호환되어 사용될 수 있도록 결합브래킷, 스토퍼본체 및 상기 스토퍼본체 형성되는 제1,2 캐버티를 포함하는 미닫이도어용 스토퍼와 같은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또,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18484호()에 게시된 바와 같이 도어와 함께 이동되는 롤러의 이동을 정지시켜 도어와 문틀이 서로 충격을 가하지 않으면서 소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이동롤러, 탄성롤러, 안내레일 및 상기 안내레일에 형성되는 걸림홈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도어용 스토퍼와 같은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38754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005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18484호
그러나 선행기술문헌 1은 정지수단이 잦은 사용으로 인한 접촉과 마찰 등에 의해 변형이 발생함에 따라 일정기간 후에는 그 기능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단점을 가지다.
선행기술문헌 2는 스토퍼본체에 가해지는 충격에 취약한 단점을 가진다.
선행기술문헌 3은 안내레일의 걸림홈부에 인입되고 인출되는 탄성롤러의 승강 작용에 의해 슬라이딩 도어의 도어틀이 문틀과 간섭됨으로 인한 원활하게 개폐되지 않는 단점을 가진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해결과제는 슬라이딩 도어가 개방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탄성 지지력에 의해 슬라이딩 도어가 개방될 때, 충격을 완화 시키면서 개방된 직후 작용반작용에 의해 슬라이딩 도어가 다시 닫치려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슬라이딩 도어용 스토퍼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인 해결과제는 롤러가 순차적으로 인입과 마찰 저항 및 수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짐은 물론 개방에 따른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해결수단은 슬라이딩 도어의 일면에 장착되는 브래킷 상에 설치되는 롤러가 가구 본체의 상면 또는 밑면에 설치된 가이드레일 상에서 슬라이딩 되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마련되는 슬라이딩 도어용 스토퍼로서, 상기 스토퍼는 가구 본체의 상면 또는 밑면의 슬라이딩 도어가 개방되는 위치에 고정되는 장착편, 상기 장착편의 일단에 그 장착편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 형성되는 지지편, 상기 지지편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부를 포함하는 장착 브래킷; 상기 장착 브래킷의 힌지부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레일 상에서 이동되는 롤러의 외경과 접촉되면서 속도를 저감시킨 후 수용되어 작용 반작용에 의해 다시 닫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작동되는 작동로드; 및 상기 지지편이 형성된 반대 측의 장착편에 일단이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작동로드의 일단과 체결되어 상기 롤러가 작동로드와의 접촉 여부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되는 탄성체;를 포함한다.
상기 작동로드는 중간이 상기 힌지부에 삽입되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지지로드, 상기 지지로드의 일단에 상기 지지편의 반대 측 장착편 방향으로 상기 탄성체의 끝단과 연결되게 형성되는 가동로드, 상기 가동로드의 반대 측 지지로드의 타단에 상기 개방되는 슬라이딩 도어에 의해 이동되는 롤러 외경과 접촉되면서 속도를 저감시킨 후 수용되어 작용 반작용에 의해 닫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가동로드와 같은 방향으로 파형 형태의 접촉로드가 일체로 형성되게 구성된다.
상기 가동로드는 힌지부 측에서 끝단 측이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접촉로드는 끝단이 상향을 향하여 경사져 가구 본체의 상면 또는 밑면으로부터 롤러의 외경 보다 높은 높이로 형성되는 인입구간부, 상기 인입구간부를 거쳐 슬라이딩 되는 롤러와 접촉되면서 저항을 갖도록 가구 본체의 상면 또는 밑면으로부터 롤러의 외경 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마찰구간부, 및 상기 마찰구간부를 거친 롤러가 수용되도록 가구 본체의 상면 또는 밑면으로부터 롤러의 외경 보다 높은 높이로 형성되는 수용구간부로 형성된다.
상기 마찰구간부는 장착편의 끝단 전의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슬라이딩 도어가 개방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탄성 지지력에 의해 슬라이딩 도어가 개방될 때, 충격을 완화 시키면서 개방된 직후 작용반작용에 의해 슬라이딩 도어가 다시 닫치려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슬라이딩 도어가 안전하면서 안정적으로 개방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개방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충격소음을 방지하면서 손상됨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롤러가 순차적으로 인입과 마찰 저항 및 수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짐은 물론 개방에 따른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에 대한 높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이 가구 본체의 상면에 설치된 상태의 배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본 발명의 확대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따른 확대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이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이 가구 본체의 상면에 설치된 상태의 배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본 발명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확대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도어(110)에 구비되는 스토퍼(1)는 그 슬라이딩 도어(110)의 일면에 장착되는 브래킷(112) 상에 설치되는 롤러(114)가 가구 본체(100)의 상면 또는 밑면에 설치된 가이드레일(102) 상에서 슬라이딩 되어 개방되는 과정에서 충격을 완화시키면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은 슬라이딩 도어가 개방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탄성 지지력에 의해 슬라이딩 도어가 개방될 때, 충격을 완화 시키면서 개방된 직후 작용반작용에 의해 슬라이딩 도어가 다시 닫치려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스토퍼(1)는 가구 본체(100)의 상면 또는 밑면의 슬라이딩 도어(110)가 개방되는 위치에 통상적인 스크류 등에 의해 고정되는 장착편(12)과, 상기 장착편(12)의 일단에 그 장착편(12)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 형성되는 지지편(14)과, 상기 지지편(14)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부(16)를 포함하는 장착 브래킷(10)을 구비한다.
장착 브래킷(10)은 통상적인 프레스 작업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장착편(12)에는 복수의 고정공이 형성되어 스크류 등에 의해 가구 본체의 상면 또는 밑면에 고정되며, 상기 지지편(14)은 후술하는 작동로드의 회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가구 본체의 상면 또는 밑면에서 소정 높이를 유지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지지편(14)의 상단에 마련되는 힌지부(16)는 후술하는 작동로드가 결합되어 회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원통형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장착 브래킷(10)의 힌지부(16)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레일(102) 상에서 이동되는 롤러(114)의 외경과 접촉되면서 속도를 저감시킨 후 수용되어 작용 반작용에 의해 다시 닫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작동되는 작동로드(20)를 포함한다.
작동로드(20)는 통상적인 원통형의 로드 형태로 여러 번의 절곡작업에 의해 제작됨에 따라 번거롭거 불편함 없이 간단하게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편(14)이 형성된 반대 측의 장착편(12)에 일단이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작동로드(20)의 일단과 체결되어 상기 롤러(114)가 작동로드(20)와의 접촉 여부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되는 통상적인 코일형태의 양단에 각각의 고리가 형성된 인장 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체(30);를 포함한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은 복잡한 기술적 구성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장착 브래킷의 지지편 상단에 형성된 힌지부에 구비되는 작동로드가 탄성체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가이드레일에서 이동되는 슬라이딩 도어에 구비되는 롤러의 접촉에 의해 속도를 저감시킨 후 다시 닫치지 않도록 수용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한다.
아울러, 롤러의 속도를 저감시킴에 따라 슬라이딩 도어의 개방에 따른 충격소음을 방지함은 물론 손상 또한 최소화할 수 있는 조건도 가진다.
특히, 개방된 직후 작용 반작용에 의해 다시 닫치려는 현상 또한 방지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안전하고 안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높은 안전성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스토퍼는 슬라이딩 도어에 적용되는 제품에 대한 높은 신뢰성 또한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롤러(114)의 외경과 접촉되는 작동로드(20)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은 다음과 같다.
작동로드(20)는 중간이 상기 힌지부(16)에 삽입되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지지로드(22)와, 상기 지지로드(22)의 일단에 상기 지지편(14)의 반대 측 장착편(12) 방향으로 상기 탄성체(30)의 끝단과 연결되게 형성되는 가동로드(24), 및 상기 가동로드(24)의 반대 측 지지로드(22)의 타단에 상기 개방되는 슬라이딩 도어(110)에 의해 이동되는 롤러(114) 외경과 접촉되면서 속도를 저감시킨 후 수용되어 작용 반작용에 의해 닫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가동로드(14)와 같은 방향으로 파형 형태의 접촉로드(26)가 일체로 형성되게 구성된다.
지지로드(22)는 힌지부(16)에 결합되어 원활하게 회동 될 수 있도록 힌지부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다.
가동로드(24)는 탄성체(30)와 연결되어 접촉로드(26)에 접촉되는 롤러(114)에 의해 탄성체(30)가 팽창과 수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가동로드의 끝단 탄성체의 일단이 연결되는 부분에는 그 탄성체의 고리가 걸어질 수 있는 통상적인 걸이홈 또는 걸이공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동로드(24)는 힌지부(16) 측에서 끝단 측이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접촉로드에 롤러의 외경의 접촉시 탄성체가 팽창되었다 신속하게 수축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가동로드의 끝단이 상부측에 위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므로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그리고 파형 형태로 형성되는 상기 접촉로드(26)는 끝단이 상향을 향하여 경사져 가구 본체(100)의 상면 또는 밑면으로부터 롤러(114)의 외경 보다 높은 높이로 형성되는 인입구간부(26A)와, 상기 인입구간부(26A)를 거쳐 슬라이딩 되는 롤러(114)와 접촉되면서 저항을 갖도록 가구 본체(100)의 상면 또는 밑면으로부터 롤러(114)의 외경 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마찰구간부(26B), 및 상기 마찰구간부(26B)를 거친 롤러(114)가 수용되도록 가구 본체(100)의 상면 또는 밑면으로부터 롤러(114)의 외경 보다 높은 높이로 형성되는 수용구간부(26C)로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인입구간부는 롤러가 간섭됨 없이 원활하게 안내되면서 유입될 수 있는 역할을 하는 것이며, 마찰구간부는 롤러의 외경과 직접적으로 접촉되면서 저항을 발생시켜 이동되는 롤러의 속도를 저감시켜 안정적으로 수용구간부로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슬라이딩 도어가 개방되면서 발생하는 충격을 방지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
아울러, 상기 수용구간부로 수용되는 롤러는 상기 마찰구간부에 의해 수용되면서 발생하는 작용 반작용에 대해서도 롤러는 다시 마찰구간부에서 단속됨에 따라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가동로드에 지지되는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가능하다.
그에 따라 수용구간부로 수용된 롤러는 수용구간부를 벗어나지 않게 됨에 따라 슬라이딩 되어 개방된 슬라이딩 도어는 다시 닫치지 않고 안정적으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마찰구간부(26B)는 장착편(12)의 끝단 전의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즉, 상기 마찰구간부가 수용공간부 측에 근접될 경우 수용구간부로 유입되는 롤러의 유동공간이 좁아져 충격이 발생할 수 있는 관계로, 롤러의 마찰이 수용구간부로부터 비교적 멀리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로써, 본 발명은 접촉로드에 형성되는 인입구간부와 마찰구간부 및 수용구간부에 의해 롤러는 순차적으로 인입과 마찰에 의한 저항 및 수용됨으로써, 뛰어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개방된 슬라이딩 도어는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 보다 큰 외력을 가함으로써, 롤러가 접촉로드의 마찰구간부를 벗어나 닫칠 수 있게 가이드레일 상에서 슬라이딩 되면서 폐쇄된다.
1 : 스토퍼
10 : 장착 브래킷 12 : 장착편
14 : 지지편 16 : 힌지부
20 : 작동로드 22 : 지지로드
24 : 가동로드 26 : 접촉로드
26A : 인입구간부 26B : 마찰구간부
26C : 수용구간부 30 : 탄성체
100 : 가구본체
102 : 가이드레일 110 : 슬라이딩 도어
112 : 브래킷 114 : 롤러

Claims (5)

  1. 슬라이딩 도어의 일면에 장착되는 브래킷 상에 설치되는 롤러가 가구 본체의 상면 또는 밑면에 설치된 가이드레일 상에서 슬라이딩 되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마련되는 슬라이딩 도어용 스토퍼로서,
    상기 스토퍼는 가구 본체의 상면 또는 밑면의 슬라이딩 도어가 개방되는 위치에 고정되는 장착편, 상기 장착편의 일단에 그 장착편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 형성되는 지지편, 상기 지지편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부를 포함하는 장착 브래킷;
    상기 장착 브래킷의 힌지부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레일 상에서 이동되는 롤러의 외경과 접촉되면서 속도를 저감시킨 후 수용되어 작용 반작용에 의해 다시 닫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작동되는 작동로드; 및
    상기 지지편이 형성된 반대 측의 장착편에 일단이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작동로드의 일단과 체결되어 상기 롤러가 작동로드와의 접촉 여부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도어용 스토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로드는 중간이 상기 힌지부에 삽입되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지지로드, 상기 지지로드의 일단에 상기 지지편의 반대 측 장착편 방향으로 상기 탄성체의 끝단과 연결되게 형성되는 가동로드, 상기 가동로드의 반대 측 지지로드의 타단에 상기 개방되는 슬라이딩 도어에 의해 이동되는 롤러 외경과 접촉되면서 속도를 저감시킨 후 수용되어 작용 반작용에 의해 닫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가동로드와 같은 방향으로 파형 형태의 접촉로드가 일체로 형성되게 구성되는 슬라이딩 도어용 스토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로드는 힌지부 측에서 끝단 측이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슬라이딩 도어용 스토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로드는 끝단이 상향을 향하여 경사져 가구 본체의 상면 또는 밑면으로부터 롤러의 외경 보다 높은 높이로 형성되는 인입구간부, 상기 인입구간부를 거쳐 슬라이딩 되는 롤러와 접촉되면서 저항을 갖도록 가구 본체의 상면 또는 밑면으로부터 롤러의 외경 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마찰구간부, 및 상기 마찰구간부를 거친 롤러가 수용되도록 가구 본체의 상면 또는 밑면으로부터 롤러의 외경 보다 높은 높이로 형성되는 수용구간부로 형성되는 슬라이딩 도어용 스토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구간부는 장착편의 끝단 전의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슬라이딩 도어용 스토퍼.
KR1020170144311A 2017-10-31 2017-10-31 슬라이딩 도어용 스토퍼 KR101998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311A KR101998746B1 (ko) 2017-10-31 2017-10-31 슬라이딩 도어용 스토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311A KR101998746B1 (ko) 2017-10-31 2017-10-31 슬라이딩 도어용 스토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8974A true KR20190048974A (ko) 2019-05-09
KR101998746B1 KR101998746B1 (ko) 2019-07-11

Family

ID=66546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4311A KR101998746B1 (ko) 2017-10-31 2017-10-31 슬라이딩 도어용 스토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87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07309U1 (ru) * 2021-04-28 2021-10-21 Данил Юрьевич Онищенко Стопор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8251U (ja) * 1991-10-24 1993-05-25 有限会社ベスト青梅 ドアの跳返り防止装置
JP2003041836A (ja) * 2001-08-02 2003-02-13 Takigen Mfg Co Ltd ドアの煽り止め
KR20090038754A (ko) 2007-10-16 2009-04-21 임완길 슬라이딩 도어용 스토퍼 어셈블리
KR20100002629U (ko) * 2008-08-29 2010-03-10 주식회사 바로크주방가구 주방가구의 도어 고정구
JP2012097405A (ja) * 2010-10-29 2012-05-24 Murakoshi Mfg Corp 引き戸の跳ね上がり防止装置
KR200480050Y1 (ko) 2015-01-09 2016-04-06 안상현 미닫이도어용 스토퍼
KR101718484B1 (ko) 2016-05-18 2017-03-21 주식회사 진영엘디엠 슬라이딩 도어용 스토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8251U (ja) * 1991-10-24 1993-05-25 有限会社ベスト青梅 ドアの跳返り防止装置
JP2003041836A (ja) * 2001-08-02 2003-02-13 Takigen Mfg Co Ltd ドアの煽り止め
KR20090038754A (ko) 2007-10-16 2009-04-21 임완길 슬라이딩 도어용 스토퍼 어셈블리
KR20100002629U (ko) * 2008-08-29 2010-03-10 주식회사 바로크주방가구 주방가구의 도어 고정구
JP2012097405A (ja) * 2010-10-29 2012-05-24 Murakoshi Mfg Corp 引き戸の跳ね上がり防止装置
KR200480050Y1 (ko) 2015-01-09 2016-04-06 안상현 미닫이도어용 스토퍼
KR101718484B1 (ko) 2016-05-18 2017-03-21 주식회사 진영엘디엠 슬라이딩 도어용 스토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07309U1 (ru) * 2021-04-28 2021-10-21 Данил Юрьевич Онищенко Стопо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8746B1 (ko) 2019-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82795B2 (ja) 制動メカニズム及びこれを組み込むスライド
US7987555B2 (en) Hinged slide rail with buffering function
US20100051067A1 (en) Assisted-movement system for one of a rack and a door of an appliance
EP3224441B1 (en) A damping or return device for sliding door leaves or for drawers
JP6611360B2 (ja) ドア用のベアリング装置
KR101718484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스토퍼
JP6512403B2 (ja) 引戸用緩衝閉鎖装置
CN111801480B (zh) 用于使门进行滑动运动的装置
KR20130041246A (ko) 이젝터 장치 및 푸시 장치
JP2017533772A (ja) スライディングドアの戸または引き出しのための減衰または戻り装置
JP6767974B2 (ja) スライディングドアの戸のための減衰または戻り装置
KR101998746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스토퍼
KR101654925B1 (ko) 가구용 슬라이딩 도어의 쳐짐 방지장치
KR101710692B1 (ko) 미닫이도어의 양방향 완충장치
KR20030002535A (ko) 도어 장치
KR20170099045A (ko) 걸림턱에 의하여 개폐속도조절 및 자동이송이 가능한 폴딩도어
CN104727680A (zh) 用于滑动门的弹性摆动滚轮机构
KR101085625B1 (ko) 슬라이딩 도어의 퇴축장치
KR101654917B1 (ko) 가구용 슬라이딩 도어의 엔드 완충장치
KR20150029419A (ko) 가구용 서랍레일
CN204691513U (zh) 用于滑动门的弹性摆动滚轮机构
KR20150142370A (ko) 미닫이식 도어 개폐용 완충장치
KR20170120298A (ko) 미닫이 도어용 댐퍼 및 걸쇠장치
KR102416155B1 (ko) 손끼임 방지 장치
KR102016832B1 (ko) 가구용 슬라이딩 아웃도어의 백래시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