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3444A - 이동통신단말 및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의 기동을제어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 및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의 기동을제어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3444A
KR20070093444A KR1020077017780A KR20077017780A KR20070093444A KR 20070093444 A KR20070093444 A KR 20070093444A KR 1020077017780 A KR1020077017780 A KR 1020077017780A KR 20077017780 A KR20077017780 A KR 20077017780A KR 20070093444 A KR20070093444 A KR 200700934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ltipath interference
base station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7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2632B1 (ko
Inventor
요우수케 이이주카
신수케 오가와
다케시 나카모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070093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34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2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26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006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 H04L25/03012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operating in the time domain
    • H04L25/03019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operating in the time domain adaptive, i.e. capable of adjustment during data reception
    • H04L25/03038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operating in the time domain adaptive, i.e. capable of adjustment during data reception with a non-recursive 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1/7097Interference-related aspects
    • H04B1/711Interference-related aspects the interference being multi-path interference
    • H04B1/7113Determination of path prof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H04B3/00 - H04B13/00
    • H04B2201/69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 H04B2201/707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relating to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2201/70707Efficiency-related aspects
    • H04B2201/70709Efficiency-related aspects with discontinuous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H04B3/00 - H04B13/00
    • H04B2201/69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 H04B2201/707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relating to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2201/70707Efficiency-related aspects
    • H04B2201/7071Efficiency-related aspects with dynamic control of receiver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006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 H04L2025/03592Adaptation methods
    • H04L2025/03726Switching between algorith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를 탑재함으로써 생길 수 있는 소비전력의 증대 및 수신 특성의 열화를 억지시킨다.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를, 이하에 열거되는 경우에만 동작시킨다. 이동통신단말이 통신상태인 경우, 적응 변복조·오류정정 부호화 기술이 적용되는 기지국을 통해서 통신하고 있는 경우, 이동통신단말에서 수신 패스수가 2패스 이상인 경우, 이동통신단말의 이동속도가 60km/h 이하인 경우, 희망파 대 간섭파 전력비가 8dB 이상인 경우이다.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 적응 변복조·오류정정 부호화, 희망파 대 간섭파 전력비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 및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의 기동을 제어하는 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activation of multi-path interference remov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 및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의 기동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이 급속히 보급되어, 정보의 다원화나 대용량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의 분야에서도 고속 무선통신을 실현하기 위한 차세대 무선 액세스방식에 관한 연구나 개발이 활발하게 행해지고 있다.
무선통신에 있어서는,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신호(희망파)는, 반사나 회절에 의해, 지연파가 생긴다. 따라서, 이동통신단말은, 희망파를 수신하는 동시에, 지연파도 수신한다. 이 지연파가 멀티패스 간섭의 요인이 되어, 스루풋의 저하나 오류율의 증대 등, 이동통신단말의 수신 특성에 악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지연파에 의한 멀티패스 간섭의 영향을 저감시키기 위해서, 선형 등화기를 사용하여 멀티패스의 간섭을 제거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하기 비특허문헌 1 참조).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선형 등화기를 사용한 멀티패스 간섭 제거시의 동작순서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통신단말(MS)은, 기지국(BS)으로부터 송신된 공통 파일럿 채널(C1 내지 C3(CPICH : Common Pilot Channel))을 역확산하여, 도 1b에 도시하는 지연 프로파일을 생성한다. 그리고, 이 지연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수신 패스(A1 내지 A3)의 수신 전력(P1 내지 P3) 및, 지연량(Q12, Q13; 수신 타이밍, 지연시간과 동의)을 측정한다. 이들의 측정에는, 예를 들면, 통상의 CDMA 대응형의 이동통신단말에서 행하여지고 있는 공지의 측정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지연량(Q12)은, 수신 패스(A1)를 수신하고 나서 수신 패스(A2; 지연파)를 수신할 때까지의 지연시간차이고, 지연량(Q13)은, 수신 패스(A1)를 수신하고 나서 수신 패스(A3; 지연파)를 수신할 때까지의 지연시간차이다. 또, 도 1b에 도시하는 지연 프로파일의 가로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수신 전력을 나타낸다. 또한, 도 1b에 도시하는 P12는, 수신 패스(A1)의 수신 전력(P1)과 수신 패스(A2)의 수신 전력(P2)의 전력차를 나타내고, P13은, 수신 패스(A1)의 수신 전력(P1)과 수신 패스(A3)의 수신 전력(P3)의 전력차를 나타낸다.
다음에, 수신 패스마다의 채널 추정에 의해서 측정된 채널 추정치와, 도 2a에 도시하는 지연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간섭 제거장치의 샘플수(W; 임의로 설정 가능) 및 최대 지연량(D)에 따라서, 도 2b에 도시하는 채널 행렬을 생성한다. 또, 도 2a는, 도 1b에 도시하는 지연 프로파일 중의 하부에 대응하는 부분만을 도시한 도면이다.
다음에, 생성한 채널 행렬에 기초하여 가중 행렬을 생성하고, 이 가중 행렬을, 실제로 데이터 정보가 실리는 채널에 승산하는 것으로, 멀티패스 간섭이 제거 된다.
상술한 종래의 간섭 제거시의 동작 순서에 관해서,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지연 프로파일 작성부(91)가, 공통 파일럿 채널을 사용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역확산하여, 예를 들면 도 1b에 도시하는 지연 프로파일을 생성한다. 지연 프로파일 작성부(91)는, 도 1b에 도시하는 지연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각 수신 패스(A1 내지 A3)의 수신 전력(P1 내지 P3) 및 지연량(Q12, Q13)을 측정한다. 수신 전력이나 지연량의 측정은, 예를 들면, 통상의 CDMA 대응형의 이동통신단말에서 행하여지고 있는 공지의 측정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지연 프로파일 작성부(91)는, MF(Matched Filter) 기능을 갖고 있다.
다음에, 채널 행렬 생성부(92)는, 도 2a에 도시하는 샘플수(W) 및 최대 지연량(D)에 기초하여, 도 2b에 도시하는 채널 행렬을 생성한다. 채널 행렬은, (W+D)행 W열의 행렬로서 나타내진다. 다음에, 가중 행렬 생성부(93)는, 도 2b에 도시하는 채널 행렬을 역행렬 연산하여 가중 행렬을 생성한다. 다음에, 간섭 제거부(94)는, 채널상의 데이터에 가중 행렬을 승산함으로써 멀티패스 간섭을 제거한다.
비특허문헌 1 : A.Klein, "Data Detection Algorithms Specially Designed for the Downlink of Mobile Radio Systems," Proc. of IEEE VTC '97, pp. 203-207, Phoenix, May 1997. T.Kawamura, K.Higuchi, Y.Kishiyama, and M.Sawahashi, "Comparison between multipath interference canceller and chip equalizer in HSDPA in multipath channel, "Proc. of IEEE VTC 2002, pp. 459-463, Birmingham, May 2002.
그런데, 고정밀도의 등화기를 사용하여 상술한 종래의 동작순서를 따라서 멀티패스 간섭 제거를 하는 경우에는, 칩 단위에서의 행렬 연산, 멀티패스의 수에 따른 신호처리가 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이동통신단말의 연산회수가 증가하고, 소비전력이 증대되어 버린다. 또한, 통신상태나 수신환경에 따라서는, 멀티패스 간섭 제거의 적용 효과가 저감되어 버리는 사태나, 도리어 수신 특성이 열화되어 버리는 사태가 생길 수 있다. 이러한 사태는, 예를 들면, 다른 기지국으로부터의 간섭파에 의한 영향이 큰 경우나, 고속 이동시에 채널 행렬을 생성하기 위한 채널 추정 정밀도가 열화되어 버리는 경우 등에 생길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를 탑재함으로써 생길 수 있는 소비전력의 증대 및 수신 특성의 열화를 억지시킬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 및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의 기동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은, 멀티패스의 간섭을 제거하는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를 탑재하는 이동통신단말로, 통신에 관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를 기동시키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과, 판정수단에 의해서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를 기동시킨다고 판정된 경우에,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를 기동시키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의 기동을 제어하는 방법은, 이동통신단말에 탑재되는 멀티패스의 간섭을 제거하는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의 기동을 제어하는 방법으로, 통신에 관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를 기동시키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스텝과, 판정 스텝에서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를 기동시킨다고 판정된 경우에,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를 기동시키는 제어 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들의 발명에 의하면,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를 탑재함으로써 생길 수 있는 소비전력의 증대 및 수신 특성의 열화를 억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에서, 상기 판정수단은,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통신이 개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판정수단에 의해서 통신이 개시되었다고 판정된 경우에,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를 기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의 기동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판정 스텝은,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통신이 개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제어 스텝은, 판정 스텝에서 통신이 개시되었다고 판정된 경우에,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를 기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에서, 상기 판정수단은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기지국이 적응 변복조·오류정정 부호화 기술을 적용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판정수단에 의해서 기지국이 적응 변복조·오류정정 부호화 기술을 적용하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를 기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의 기동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판정 스텝은,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기지국이 적응 변복조·오류정정 부호화 기술을 적용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제어 스텝은, 판정 스텝에서 기지국이 적응 변복조·오류정정 부호화 기술을 적용하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를 기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에서, 상기 판정수단은,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유효한 수신 패스수가 일정수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판정수단에 의해서 유효한 수신 패스수가 일정수 이상이라고 판정된 경우에,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를 기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의 기동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판정 스텝은,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유효한 수신 패스수가 일정수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제어 스텝은, 판정 스텝에서 유효한 수신 패스수가 일정수 이상이라고 판정된 경우에,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를 기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에서, 상기 판정수단은,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희망파 대 간섭파 전력비가 일정값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판정수단에 의해서 희망파 대 간섭파 전력비가 일정값 이상이라고 판정된 경우에,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를 기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의 기동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판정 스텝은,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희망파 대 간섭파 전력비가 일정값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제어 스텝은, 판정 스텝에서 희망파 대 간섭파 전력비가 일정값 이상이라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를 기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이동통신단말 및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의 기동을 제어하는 방법에 의하면,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를 탑재함으로써 생길 수 있는 소비전력의 증대 및 수신 특성의 열화를 억지시킬 수 있다.
도 1a는 이동통신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 패스를 수신하는 상황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b는 지연 프로파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a는 지연 프로파일의 일부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2b는 채널 행렬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종래의 간섭 제거장치의 기능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
도 4는 이동통신단말이 기지국의 부근에 위치하는 경우의 수신환경을 예시하는 도면.
도 5는 이동통신단말이 기지국의 먼쪽에 위치하는 경우의 수신환경을 예시하는 도면.
도 6은 각종 베어러(bearer) 통신에 따른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의 기동 제어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AMC 적용 셀 하에서 통신하는 경우의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의 기동 제어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수신 패스수에 따른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의 기동 제어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이동속도에 따른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의 기동 제어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SIR에 따른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의 기동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이동통신단말의 기능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
도 12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의 기동 제어순서를 예시하는 플로차트.
도 13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의 기동 제어순서를 예시하는 플로차트.
도 14는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의 기동 제어순서를 예시하는 플로차트.
도 15는 이동속도와 스루풋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의 기동 제어순서를 예시하는 플로차트.
도 17은 희망파 대 간섭파 전력비와 스루풋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18은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의 기동 제어순서를 예시하는 플로차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
10 : 이동통신단말
11 : 기동 정지 판정부
12 : 기동 정지 제어부
30 : 선형 등화기
91 : 지연 프로파일 작성부
92 : 채널 행렬 생성부
93 : 가중 행렬 생성부
94 : 간섭 제거부
이하, 본 발명에 관계되는 이동통신단말 및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의 기동을 제어하는 방법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또,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에서,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이동통신단말은, 멀티패스의 간섭을 제거하는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로서, 선형 등화기를 탑재하고 있다. 이 선형 등화기는, 상술한 도 3에 도시되는 종래의 선형 등화기와 같은 기능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선형 등화기의 기능 구성에 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는, 각 실시형태에서 채용하는 선형 등화기에는 한정되지 않고, 멀티패스의 간섭 제거 효과를 갖는 장치이면, 선형 등화기와 마찬가지로 하여 적용 가능하다.
또한,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이동통신단말은, 예를 들면 HSDPA에 의한 고 속 무선통신 기능을 탑재하고 있고, 하이 레이트의 오류정정 부호나, 16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직교진폭변조), 64QAM 등의 다치변조를 사용함으로써, 주파수 이용 효율을 높여 고속 무선통신을 실현하고 있다. 또, 이동통신단말로서는, 예를 들면, 휴대전화기, 간이형 휴대전화기(PHS), 통신 기능을 갖는 휴대형 정보단말(PDA) 등이 해당한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단말은, 대기상태일 때에는, 공통 파일럿 채널(CPICH), 동기 채널(SCH : Synchronization Channel), 제 1 공통 제어 채널(P-CCPCH : Primary Common Control Physical Channel), 및 착신의 유무를 나타내는 페이징 채널(PICH : Page Indicator Channel)을 사용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제어 신호만을 수신하고 있다. 이들의 채널에 의해서 송신되는 신호는, 기지국에서의 송신 전력 제어에 의해서, 일정한 송신 전력으로 송신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통신단말(MS)이, 대기상태로 기지국(BS)의 부근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기지국(BS)으로부터의 수신 전력이 크고, 양호한 수신환경을 얻을 수 있다. 즉, 이 경우에는, 멀티패스의 간섭 제거를 적용하지 않아도 충분한 수신 특성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멀티패스의 간섭 제거를 적용하여도 수신 특성의 향상 효과는 그다지 기대할 수 없다. 한편,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통신단말(MS)이, 대기상태로 기지국(BS)의 먼쪽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기지국(BS)으로부터의 수신 전력이 작아지고, 다른 기지국에서의 간섭파(IS)가 커진다. 요컨대, 이 경우에는, 위치하고 있는 기지국(MS)으로부터의 희망파를 식별하는 것이 곤란해지기 때문에, 멀티패스의 간섭 제거를 적용하여도 수신 특성의 향상 효과는 기대할 수 없다.
그래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이동통신단말이 대기상태일 때에는, 멀티패스 간섭 제거를 하지 않는 것으로 하고, 이동통신단말이 통신 중인 상태의 경우에만, 멀티패스 간섭 제거를 하는 것으로 하였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예를 들면, 이동통신단말에서의 현재의 통신상태가, 음성 통신상태, 텔레비전 전화 통신상태, 패킷통신상태, 다른 고정단말과의 통신상태 중 어느 상태인 경우에는, 대기상태가 아니라고 판단하여, 멀티패스 간섭 제거를 하는 것으로 하였다.
도 11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이동통신단말의 기능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통신단말(10)은, 기동 정지 판정부(11; 판정수단)와, 기동 정지 제어부(12; 제어수단)를 갖는다. 또한, 이동통신단말(10)에는, 선형 등화기(30)가 탑재되어 있다.
기동 정지 판정부(11)는,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통신의 개시 또는 종료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예를 들면, 기동 정지 판정부(11)는, 이동통신단말로부터 기지국에 대하여 프리앰블이 송신되었을 때에, 통신이 개시되었다고 판정한다. 또한, 예를 들면, 기동 정지 판정부(11)는, 공통 파일럿 채널, 동기 채널, 제 1 공통 제어 채널 또는 페이징 채널을 사용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통신의 종료를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에, 통신이 종료하였다고 판정한다. 통신에서는, 예를 들면, 음성통신, 텔레비전 전화통신, 패킷통신 또는 다른 고정단말과의 통신이 해당한다.
기동 정지 제어부(12)는, 기동 정지 판정부(11)에 의해서, 통신이 개시되었 다고 판정된 경우에, 선형 등화기(30)를 기동상태로 한다. 이것에 의해, 이동통신단말(10)이 대기상태로부터 통신상태로 이행할 때에, 멀티패스 간섭 제거처리를 개시시킬 수 있다.
또, 기동 정지 제어부(12)는, 기동 정지 판정부(11)에 의해서, 통신이 종료하였다고 판정된 경우에, 통신의 종류에 따라서 선형 등화기(30)를 정지상태로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통신의 종류가 음성통신, TV 전화통신 또는 다른 고정단말과의 통신인 경우에는, 각 통신이 종료하였을 때에, 선형 등화기(30)를 정지상태로 하고, 통신의 종류가 패킷통신인 경우에는, 패킷의 수신이 완료하였을 때에 선형 등화기(30)를 정지상태로 한다. 이것에 의해, 이동통신단말이 통신상태로부터 대기상태로 이행할 때에, 멀티패스 간섭 제거처리를 종료시킬 수 있다.
다음에, 도 6 및 도 12를 참조하여,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이동통신단말(10)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이동통신단말(10)은, 대기상태인 경우에, 공통 파일럿 채널(PIlCH), 동기 채널(SCH), 제 1 공통 제어 채널(P-CCPCH) 페이징 채널(PICH)을 사용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스텝 S11).
다음에, 이동통신단말(10)의 기동 정지 판정부(11)는, 통신이 개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2). 기동 정지 판정부(11)는, 대기상태인 동안(스텝 S12; NO), 스텝 S12의 처리를 반복하게 된다.
그 후, 이동통신단말(10)이 발호·신호 요구를 하기 때문에, 기지국에 대하여 프리앰블을 송신하고, 그 후 랜덤 액세스 채널(RACH : Random Access Channel) 을 사용하여 신호를 송신한다. 여기에서, 랜덤 액세스 채널(RACH)에 의해 송신되는 신호에는, 이동통신단말(10)이 요구하는 통신의 종류(음성통신, TV 전화통신, 패킷통신, 다른 고정단말과의 통신)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가 포함된다.
이동통신단말(10)의 기동 정지 판정부(11)는, 프리앰블이 송신되었을 때에, 통신이 개시되었다고 판정한다(스텝 S12; YES). 이것에 의해, 기동 정지 제어부(12)는, 선형 등화기(30)를 기동상태로 한다(스텝 S13).
다음에, 이동통신단말(10)은, 동기 통지 채널(AICH : Acquisition Indicator Channel), 제 2 공통 제어 채널(S-CCPCH : Secondary Common Control Channel)을 사용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스텝 S14).
다음에, 이동통신단말(10)은, 개별 채널(DPCH : Dedicated Physical Channel)을 사용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각 통신시에 있어서의 각종 통신 데이터를, 멀티패스 간섭 제거처리를 하면서 수신한다(스텝 S15).
다음에, 이동통신단말(10)의 기동 정지 판정부(11)는, 통신이 종료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6). 기동 정지 판정부(11)는, 통신이 행하여지고 있는 동안(스텝 S16; NO), 스텝 S16의 처리를 반복하게 된다.
그 후, 공통 파일럿 채널, 동기 채널, 제 1 공통 제어 채널 또는 페이징 채널을 사용하여 기지국으로부터 통신의 종료를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이동통신단말(10)의 기동 정지 판정부(11)는, 통신의 종료를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통신이 종료하였다고 판정한다(스텝 S16 ; YES). 이것에 의해, 기동 정지 제어부(12)는, 선형 등화기(30)를 정지상태로 한다(스텝 S17).
이상으로부터,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이동통신단말에 의하면, 통신시에만 선형 등화기를 기동상태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멀티패스 간섭 제거에 의한 수신 특성의 향상 효과를 그다지 기대할 수 없는 대기상태인 동안은, 선형 등화기를 정지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선형 등화기를 정지시킴으로써, 소비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종래의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에 있어서 채용되어 있는 송신 전력 제어 기술에서는, 이동통신단말의 수신품질이 항상 일정해지도록, 기지국의 송신 전력이 제어되고 있다. 따라서, W-CDMA 기술이 채용된 이동통신단말에서는, 선형 등화기를 탑재하여 희망파 대 간섭파 전력비(SIR : Signal to Interference power Ratio)를 향상시키려고 해도, 이동통신단말의 스루풋을 향상시킬 수 없고, 도리어 소비전력이 증대하여 버리게 된다.
이것에 대하여, HSDPA에 의한 고속 무선통신 기능을 갖는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는, 이동통신단말의 수신환경에 따라서 스루풋을 변동시키는 적응 변복조·오류정정 부호화(AMC) 기술이 채용된다. 이 적응 변복조·오류정정 부호화 기술에서는, 기지국의 송신 전력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어 있다. 또한, 이동통신단말에서의 수신품질에 따라서 TBS(Transport Block Size)가 결정되기 때문에,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를 탑재하여 수신 SIR을 향상시킴으로써, 더욱 고속의 패킷통신이 가능해진다. 즉, 적응 변복조·오류정정 부호화 기술을 채용한 경우에는, 멀티패스 간섭 제거를 적용하는 것으로, 이동통신단말의 스루풋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적응 변복조·오류정정 부호화 기술은, 기지국 또는 셀 단위로 적용·비적용이 구별되어 있다.
그래서,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기지국이 적응 변복조·오류정정 부호화 기술을 적용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여, 적응 변복조·오류정정 부호화 기술이 적용되는 기지국(셀을 포함함)에 접속한 경우에만, 멀티패스 간섭 제거를 하는 것으로 하였다.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이동통신단말의 기능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이동통신단말의 기능 구성과 같다. 요컨대,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통신단말(10)은, 기동 정지 판정부(11; 판정수단)와, 기동 정지 제어부(12; 제어수단)를 갖는다. 또한, 이동통신단말(10)에는, 선형 등화기(30)가 탑재되어 있다.
기동 정지 판정부(11)는, 통신 개시시에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기지국이 적응 변복조·오류정정 부호화 기술을 적용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통신 개시시에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제어 신호로서는, 예를 들면, 제 2 공통 제어 채널(S-CCPCH)을 통해서 송신되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message(Radio bearer set up)가 해당한다. 또한, 기동 정지 판정부(11)는,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통신의 종료를 판정한다.
기동 정지 제어부(12)는, 기동 정지 판정부(11)에 의해서, 기지국이 적응 변복조·오류정정 부호화 기술을 적용하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 선형 등화기(30)를 기동상태로 한다. 이것에 의해, 이동통신단말(10)이, 적응 변복조·오류정정 부호화 기술을 적용하는 기지국으로 이행할 때에, 멀티패스 간섭 제거처리를 개시시킬 수 있다.
또한, 기동 정지 제어부(12)는, 기동 정지 판정부(11)에 의해서, 통신이 종료하였다고 판정된 경우에, 선형 등화기(30)를 정지상태로 한다. 이것에 의해, 이동통신단말이 적응 변복조·오류정정 부호화 기술을 적용하고 있는 기지국에 위치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멀티패스 간섭 제거처리를 정지시켜 둘 수 있다.
다음에, 도 7 및 도 13을 참조하여,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이동통신단말(10)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이동통신단말(10)은, 대기상태인 경우에, 공통 파일럿 채널에 PICH), 동기 채널(SCH), 제 1 공통 제어 채널(P-CCPCH) 페이징 채널(PICH)을 사용하여 기지국(20)으로부터 송신된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스텝 S21).
다음에, 이동통신단말(10)이 발호·신호 요구를 하기 위해서, 기지국에 대하여 프리앰블을 송신하고, 그 후 랜덤 액세스 채널(RACH)을 사용하여 신호를 송신한다(스텝 S22).
다음에, 이동통신단말(10)은, 동기 통지 채널(AlCH), 제 2 공통 제어 채널(S-CCPCH)을 사용하여 기지국(20)으로부터 송신된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스텝 S23).
다음에, 이동통신단말(10)의 기동 정지 판정부(11)는, 제 2 공통 제어 채널(S-CCPCH)을 통해서 수신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접속선의 기지국이 적응 변복 조·오류정정 부호화 기술을 적용하는 기지국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24). 이 판정이 NO인 경우(스텝 S24; NO)에, 이동통신단말(10)은, 선형 등화기(30)를 정지시킨 채로 통신을 개시하여, 패킷 데이터를 수신한다(스텝 S25). 그 후, 기지국으로부터 통신의 종료를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스텝 S26; YES)에, 패킷통신을 종료한다.
한편, 스텝 S24에 있어서의 판정이 YES인 경우(스텝 S24; YES)에, 기동 정지 제어부(12)는, 선형 등화기(30)를 기동상태로 한다(스텝 S27).
다음에, 이동통신단말(10)은, 고속 공통 채널(HS-DSCH : High Speed Downlink Shared Channel)을 사용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패킷 데이터를, 멀티패스 간섭 제거처리를 하면서 수신한다(스텝 S28).
다음에, 이동통신단말(10)의 기동 정지 판정부(11)는, 통신이 종료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29). 정지 판정부(11)는, 고속 패킷통신이 행하여지고 있는 동안(스텝 S29; NO), 스텝 S28의 처리를 반복하게 된다.
그 후, 공통 파일럿 채널, 동기 채널, 제 1 공통 제어 채널 또는 페이징 채널을 사용하여 기지국으로부터 통신의 종료를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이동통신단말(10)의 정지 판정부(13)는, 통신의 종료를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에, 통신이 종료하였다고 판정한다(스텝 S29; YES). 이것에 의해, 기동 정지 제어부(12)는, 선형 등화기(30)를 정지상태로 한다(스텝 S2A).
이상으로부터,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이동통신단말에 의하면, 적응 변복조·오류정정 부호화 기술이 적용되는 고속 패킷통신시에만 선형 등화기를 기동상 태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멀티패스 간섭 제거에 의한 수신 특성의 향상 효과를 그다지 기대할 수 없는 송신 전력 제어 기술이 적용되는 통신시나 대기상태인 동안은, 선형 등화기를 정지상태로 할 수 있다. 또, 선형 등화기를 정지시킴으로써, 소비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일반적으로, 선형 등화기(30)는, 멀티패스에 의한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이다. 따라서, 멀티패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나, 존재하고 있어도 수신 전력이 극히 작은 경우에는, 멀티패스 간섭 제거를 적용하여도 특별히 메리트가 없고, 또 멀티패스 간섭 제거를 적용함으로써 멀티패스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가중 행렬이 신호에 승산되게 되는 등, 도리어 통신환경을 악화시켜 버리게 된다.
그래서,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수신 패스의 패스수를 측정하여, 유효한 수신 패스가 일정수 이상 존재하는 경우에만, 멀티패스 간섭 제거를 하는 것으로 하였다. 여기에서, 유효한 수신 패스는, 예를 들면, 희망파의 수신 전력과의 전력차가 10dB 미만이 되는 수신 패스를 말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하에 있어서, 상술한 일정수가 2패스인 경우에 관해서 설명하지만, 이것은 일정수를 2패스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하에 있어서, 가장 수신 전력이 높은 수신 패스를, 희망파로 한 경우에 관해서 설명하지만, 희망파를 이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가장 도달시간이 빠른 수신 패스를, 희망파로 하여도 좋다.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이동통신단말의 기능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에 있 어서의 이동통신단말의 기능 구성과 같다. 요컨대,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통신단말(10)은, 기동 정지 판정부(11; 판정수단)와, 기동 정지 제어부(12; 제어수단)를 갖는다. 또한, 이동통신단말(10)에는, 선형 등화기(30)가 탑재되어 있다.
기동 정지 판정부(11)는, 공통 파일럿 채널(CPICH)을 통해서 수신된 신호를 사용하여 작성된 지연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각 수신 패스의 수신 전력을 측정하여, 희망파의 수신 전력과의 전력차가 10dB 미만이 되는 수신 패스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기동 정지 판정부(11)는, 일반적으로 가장 수신 전력이 커지는 희망파의 수신 전력과, 다른 수신 패스(지연파)의 수신 전력을 비교하여, 전력차가 10dB 이상 있는 경우에는, 그 수신 패스를 수신 패스의 대상으로부터 제외한다. 또, 지연 프로파일은, 상술한 선형 등화기의 지연 프로파일 작성부에 의해 작성된다.
기동 정지 제어부(12)는, 기동 정지 판정부(11)에 의해, 희망파의 수신 전력과의 전력차가 10dB 미만이 되는 수신 패스가 존재하면 판정된 경우에, 선형 등화기(30)를 기동상태로 한다. 즉, 유효한 수신 패스수가 희망파를 포함해서 2패스 이상 존재하는 경우에, 선형 등화기(30)를 기동상태로 한다. 이것에 의해, 멀티패스 간섭의 요인이 되는 수신 패스가 존재하는 경우에만, 멀티패스 간섭 제거처리를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기동 정지 제어부(12)는, 기동 정지 판정부(11)에 의해, 희망파의 수신 전력과의 전력차가 10dB 미만이 되는 수신 패스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 우에는, 선형 등화기(30)를 정지상태로 한다. 즉, 유효한 수신 패스수가 희망파의 1패스뿐인 경우에는, 선형 등화기(30)를 정지상태로 한다. 이것에 의해, 멀티패스 간섭의 요인이 되는 수신 패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멀티패스 간섭 제거처리를 정지시킬 수 있다.
다음에, 도 8 및 도 14를 참조하여,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이동통신단말(10)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이동통신단말(10)은, 대기상태인지 통신상태인지에 상관없이, 공통 파일럿 채널(CPICH)을 사용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지연 프로파일을 작성한다(스텝 S31).
다음에, 이동통신단말(10)의 기동 정지 판정부(11)는, 지연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측정되는 각 수신 패스의 수신 전력에 기초하여, 희망파의 수신 전력과의 전력차가 10dB 미만이 되는 수신 패스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32). 이 판정이 YES인 경우(스텝 S32; YES)에, 이동통신단말(10)의 기동 정지 제어부(12)는, 선형 등화기(30)를 기동상태로 한다(스텝 S33).
한편, 스텝 S32에 있어서의 판정이 NO인 경우(스텝 S32; NO)에, 이동통신단말(10)의 기동 정지 제어부(12)는, 선형 등화기(30)를 정지상태로 한다(스텝 S34).
또, 상술한 지연 프로파일은, 채널 행렬의 갱신 주기에 따라서 반복하여 작성된다. 따라서, 상술한 스텝 S31 내지 스텝 S34까지의 각 처리는, 채널 행렬의 갱신 주기에 따라서 반복하여 행하여지게 된다.
이상으로부터,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이동통신단말에 의하면, 멀티패스 간섭의 요인이 되는 수신 패스가 존재하는 경우에만, 선형 등화기를 기동상태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멀티패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나, 존재하고 있더라도 수신 전력이 극히 작은 경우에는, 선형 등화기를 정지상태로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수신 특성의 열화를 억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선형 등화기를 정지시킴으로써, 소비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상술한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전력차가 10dB 이상 있는 수신 패스를, 수신 패스수의 카운트로부터 제외하고 있지만, 수신 패스수의 카운트로부터 제외할 수신 패스를, 전력차가 10dB 이상 있는 수신 패스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 전력차의 문턱값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지연 프로파일에 포함되는 모든 수신 패스수를 카운트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즉, 상술한 기동 정지 판정부(11)는, 지연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각 수신 패스의 수신 전력을 측정하여, 수신 패스수가 일정수 이상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이것에 의해, 수신 패스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에만, 선형 등화기를 기동상태로 할 수 있고, 멀티패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선형 등화기를 정지상태로 할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
일반적으로, 이동통신단말이 고속으로 이동하고 있는 경우에는, 채널 행렬을 생성하기 위한 채널 추정 정밀도가 열화되어 버리기 때문에, 멀티패스 간섭의 제거 효과를 얻을 수 없는 사태가 생긴다.
여기에서, 도 15를 참조하여, 이동속도와 스루풋의 관계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5에 도시하는 그래프는, 이동통신단말에 선형 등화기가 탑재되어 있는 경우의 그래프(Ga)와, 선형 등화기가 탑재되어 있지 않은 경우의 그래프(Gb)이고, 가로축이 이동속도를 나타내고, 세로축이 스루풋을 나타낸다. 이 그래프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선형 등화기를 탑재하고 있는지의 여부에 관계 없이, 이동속도가 빨라지면 스루풋이 저하되어 버린다. 또한, 이동속도가 50km/h 내지 60km/h의 사이에서, 선형 등화기의 탑재의 유무에 의한 스루풋의 값이 역전한다. 즉, 이동속도가 50km/h 내지 60km/h보다도 느린 범위에서는, 선형 등화기를 탑재하고 있는 것이 높은 스루풋으로 추이하는 데 대하여, 이동속도가 50km/h 내지 60km/h보다도 빠른 범위에서는, 선형 등화기를 탑재하지 않은 것이, 높은 스루풋으로 추이한다.
그래서,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동통신단말의 이동속도를 측정하고, 이동속도가, 예를 들면 60km/h 이하인 경우에만, 멀티패스 간섭 제거를 하는 것으로 하였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동속도가 60km/h 이하인 경우에, 멀티패스 간섭 제거를 하는 것으로 하지만, 멀티패스 간섭 제거를 기동시킬 때의 이동속도를, 60km/h 이하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 이동속도의 문턱값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이동통신단말의 기능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이동통신단말의 기능 구성과 같다. 요컨대,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통신단말(10)은, 기동 정지 판정부(11; 판정수단)와, 기동 정지 제어부(12; 제어수단)를 갖는다. 또한, 이동통신단말(10)에는, 선형 등화기(30)가 탑재되어 있다.
기동 정지 판정부(11)는, 공통 파일럿 채널(CPICH)을 통해서 수신된 제어 신 호에 기초하여, 이동통신단말의 이동속도를 검출하고, 이동속도가 60km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에서, 이동통신단말의 이동속도는 아래와 같이 검출할 수 있다. 우선, 공통 파일럿 채널(CPICH)을 통해서 수신된 제어 신호를 역확산하여 파일럿 신호를 얻는다. 그리고, 이 파일럿 신호를, 도 9b에 도시하는 위상 평면상에 파일럿한다. 다음에, 위상 평면상에 파일럿된 파일럿 신호의 분산치를 산출하고, 이 분산치에 대응하는 이동속도를 구함으로써 이동속도를 검출한다.
도 9b 및 도 9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일럿 신호는, 잡음이나 페이징 등의 영향을 받지 않으면, 어떤 1점(P)에 집약된다. 그렇지만, 이동통신단말과 같이 수신 지점이 이동하는 경우에는, 페이징이 발생하여 버리기 때문에, 파일럿 신호는 위상 평면상에 분산되게 된다. 그리고, 도플러 시프트 주파수의 영향에 의해서, 이동속도가 빠르면 빠를 수록, 신호의 분산치는 커진다. 따라서, 이상적인 파일럿 신호의 신호점(P)을 기준으로 하여, 실제로 얻어진 파일럿 신호의 분산치를 산출하는 것으로, 이동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또, 도 9b는, 이동속도가 비교적 느린 경우의 파일럿 신호의 분포상황을 나타낸 것이고, 도 9c는, 이동속도가 비교적 빠른 경우의 파일럿 신호의 분포상황을 나타낸 것이다.
기동 정지 제어부(12)는, 기동 정지 판정부(11)에 의해, 이동통신단말의 이동속도가 60km/h 이하이라고 판정된 경우에, 선형 등화기(30)를 기동상태로 한다. 이것에 의해, 멀티패스 간섭 제거처리에 의해 스루풋의 향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경우에만, 멀티패스 간섭 제거처리를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기동 정지 제어부(12)는, 기동 정지 판정부(11)에 의해, 이동통신단말의 이동속도가 60km 정도라고 판정된 경우에, 선형 등화기(30)를 정지상태로 한다. 이것에 의해, 멀티패스 간섭 제거처리에 의해 스루풋의 향상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경우에는, 멀티패스 간섭 제거처리를 정지시킬 수 있다.
다음에, 도 9 및 도 16을 참조하여,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이동통신단말(10)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이동통신단말(10)은, 통신상태인 경우에, 공통 파일럿 채널(CPICH)을 사용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이동통신단말(10)의 이동속도를 검출한다(스텝 S41).
다음에, 이동통신단말(10)의 기동 정지 판정부(11)는, 검출된 이동속도에 기초하여, 이동통신단말(10)의 이동속도가 60km/h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42). 이 판정이 YES인 경우(스텝 S42 ; YES)에, 이동통신단말(10)의 기동 정지 제어부(12)는, 선형 등화기(30)를 기동상태로 한다(스텝 S43). 한편, 스텝 S42에 있어서 이동통신단말(10)의 이동속도가 60km/h 정도라고 판정된 경우(스텝 S42; NO)에, 기동 정지 제어부(12)는, 선형 등화기(30)를 정지상태로 한다(스텝 S44).
또, 상술한 이동속도의 검출은, 채널 행렬의 갱신 주기에 따라서 반복 검출된다. 따라서, 상술한 스텝 S41 내지 스텝 S44까지의 각 처리는, 채널 행렬의 갱신 주기에 따라서 반복하여 행하여지게 된다.
이상으로부터,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이동통신단말에 의하면, 이동통신단말(10)이 저속 이동을 하고 있는 경우에만, 선형 등화기를 기동상태로 할 수 있 다. 따라서, 이동통신단말(10)이 고속이동을 하고 있는 경우에는, 선형 등화기를 정지상태로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수신 특성의 열화를 억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선형 등화기를 정지시킴으로써, 소비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제 5 실시형태]
이동통신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떨어진 장소에 위치하는 경우 등에는, 위치하고 있는 기지국으로부터의 희망파보다도, 다른 기지국으로부터의 간섭파쪽이 커지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채널 행렬을 생성하기 위한 채널 추정 정밀도가 열화되어 버리기 때문에, 멀티패스 간섭의 제거 효과를 얻을 수 없는 사태가 생긴다.
여기에서, 도 17을 참조하여, 희망파 대 간섭파 전력비(SlR)와 스루풋의 관계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7에 도시하는 그래프는, 이동통신단말에 선형 등화기가 탑재되어 있는 경우의 그래프(Gc)와, 선형 등화기가 탑재되어 있지 않은 경우의 그래프(Gd)이고, 가로축이 SIR을 나타내고, 세로축이 스루풋을 나타낸다. 이 그래프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선형 등화기를 탑재하고 있는지의 여부에 관계 없이, SIR이 높아지면 스루풋은 향상된다. 또한, SIR이 8dB 내지 9dB의 사이에서, 선형 등화기의 탑재의 유무에 의한 스루풋의 값이 역전된다. 즉, SIR이 8dB 내지 9dB보다도 낮은 범위에서는, 선형 등화기를 탑재하지 않은 쪽이 높은 스루풋으로 추이하는 데 대하여, SIR이 8dB 내지 9dB보다도 높은 범위에서는, 선형 등화기를 탑재하고 있는 쪽이, 높은 스루풋으로 추이한다.
그래서,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동통신단말의 SIR을 측정하여, SIR이, 예를 들면 8dB 이상인 경우에만, 멀티패스 간섭 제거를 하는 것으로 하였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SIR이 8dB 이상인 경우에, 멀티패스 간섭 제거를 하는 것으로 하지만, 멀티패스 간섭 제거를 기동시킬 때의 SIR을, 8dB 이상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 SIR의 문턱값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이동통신단말의 기능 구성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이동통신단말의 기능 구성과 같다. 요컨대,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통신단말(10)은, 기동 정지 판정부(11; 판정수단)와, 기동 정지 제어부(12; 제어수단)를 갖는다. 또한, 이동통신단말(10)에는, 선형 등화기(30)가 탑재되어 있다.
기동 정지 판정부(11)는, 공통 파일럿 채널(CPICH)을 통해서 수신된 제어 신호를 사용하여 작성된 지연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SIR을 측정하여, SIR이 8dB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에서, 이동통신단말에서의 SIR은 아래와 같이 측정할 수 있다. 우선, 공통 파일럿 채널(CPICH)을 통해서 수신된 제어 신호를 역확산하여, 지연 프로파일을 생성한다. 그리고, 지연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각 수신 패스의 수신 전력을 합산함으로써, 희망파 신호 전력(S)을 산출한다. 다음에, 공통 파일럿 채널(CPICH)을 통해서 수신된 제어 신호를 역확산함으로써 얻어진 파일럿 신호를, 예를 들면 도 9b에 도시하는 위상 평면상에 순차 파일럿하여 간다. 그리고, 위상 평면상에 파일럿된 파일럿 신호의 분산치를 산출함으로써, 간섭 성분(I)을 구한다. 다음에, 얻어진 희망파 신호 전력(S)과 간섭 성분(I)에 기초하여 SIR을 구한다.
기동 정지 제어부(12)는, 기동 정지 판정부(11)에 의해, 이동통신단말에서의 SIR이 8dB 이상이라고 판정된 경우에, 선형 등화기(30)를 기동상태로 한다. 이것에 의해, 멀티패스 간섭 제거처리에 의해 스루풋의 향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경우에만, 멀티패스 간섭 제거처리를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기동 정지 제어부(12)는, 기동 정지 판정부(11)에 의해, 이동통신단말에서의 SIR이 8dB 미만이라고 판정된 경우에, 선형 등화기(30)를 정지상태로 한다. 이것에 의해, 멀티패스 간섭 제거처리에 의해 스루풋의 향상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경우에는, 멀티패스 간섭 제거처리를 정지시킬 수 있다.
다음에, 도 10 및 도 18을 참조하여,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이동통신단말(10)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이동통신단말(10)은, 통신상태인 경우에, 공통 파일럿 채널(CPICH)을 사용하여 기지국(20)으로부터 송신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지연 프로파일 및 위상 평면을 작성한다(스텝 S51).
다음에, 이동통신단말(10)의 기동 정지 판정부(11)는, 작성한 지연 프로파일 및 위상 평면에 기초하여 측정된 SIR이, 8dB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52). 이 판정이 YES인 경우(스텝 S52 ; YES)에, 이동통신단말(10)은, 선형 등화기(30)를 기동상태로 한다(스텝 S53). 한편, 스텝 S52에 있어서 SIR이 8dB 미만이라고 판정된 경우(스텝 S52; NO)에는, 선형 등화기(30)를 정지상태로 한다(스텝 S54).
또, 상술한 SIR의 측정은, 채널 행렬의 갱신 주기에 따라서 반복하여 검출된 다. 따라서, 상술한 스텝 S51 내지 스텝 S54까지의 각 처리는, 채널 행렬의 갱신 주기에 따라서 반복하여 행하여지게 된다.
이상으로부터,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이동통신단말에 의하면, 이동통신단말(10)에 있어서의 SIR이 높은 경우에만, 선형 등화기를 기동상태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기지국으로부터의 간섭이 큰 경우에는, 선형 등화기를 정지상태로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수신 특성의 열화를 억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선형 등화기를 정지시킴으로써, 소비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관계되는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의 기동 제어방법은, 이동체통신에 있어서, 단말의 통신상태, 수신환경에 따라서, 적응적으로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의 기동을 제어하는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의 기동 제어방법이고, 이하의 특징을 갖는다. 제 1 특징은, 수신단말에서의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의 기동 제어에 관해서, 음성통신 중에만 동작을 하는 것이다. 또한, 제 2 특징은, 수신단말에서의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의 기동 제어에 관해서, TV 전화통신 중에만 동작을 하는 것이다. 또한, 제 3 특징은, 수신단말에서의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의 기동 제어에 관해서, W-CDMA 시스템에 있어서의 패킷통신 중에만 동작을 하는 것이다. 또한, 제 4 특징은, 수신단말에서의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의 기동 제어에 관해서, PC 접속시에만 동작을 하는 것이다. 또한, 제 5 특징은, 수신단말에서의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의 기동 제어에 관해서, 적응 변복조·오류정정 부호화(AMC)가 적용되는 셀에서의 통신시에만 기동을 하는 것이다. 또한, 제 6 특징은, 수신단말에서의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의 기동 제어에 관해서, 단말에서 의 수신 패스수가 2패스 이상인 경우에만 동작하는 것이다. 또한, 제 7 특징은, 수신단말에서의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의 기동 제어에 관해서, 단말의 이동속도가 30km/h 이하인 경우에만 동작하는 것이다. 또한, 제 8 특징은, 수신단말에 있어서의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의 기동 제어에 관해서, 제거장치 비적용시의 희망파 신호대간섭파 전력비(SIR)가 3dB 이상인 경우에만 동작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술한 제 1 내지 제 8 특징을 갖는 이동통신단말 및 멀티패스 간섭 제거방법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우선, 대기상태에서는 멀티패스 간섭 제거를 정지시키고, 통신 중에만 멀티패스 간섭 제거를 기동시키는 순서에 관해서 설명한다(도 5 참조). (1) 단말이 대기상태(단말로부터의 신호발신이 없는 상태)인 동안은, 간섭 제거장치를 기동하지 않는다. (2) 이동통신단말은, 프리앰블(프리앰블 : 랜덤 액세스 채널 송신 전의 사전 신호), 랜덤 액세스 채널(RACH)을 차례로 기지국에 송신함으로써 발호·신호 요구를 한다. 이 프리앰블을 송신한 타이밍으로, 이동통신단말은,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를 기동시킨다. 이러한 제어를 하는 것으로, 통신상태인 경우에만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를 기동시킬 수 있다. (3) 기지국으로부터 개별 채널(DPCH)로 음성, TV전화, 패킷의 각종 데이터가 송신되기 때문에, 이동통신단말은,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를 기동시킨 채로, 이들의 데이터를 수신한다. (4) 음성, TV 전화시에는 통신의 종료시, 패킷통신시에는 패킷 수신의 완료 후에, 멀티패스 간섭 제거를 정지시킨다. 이러한 순서를 따르는 것으로, 통신시에만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를 기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멀티패스 간섭 제거 효과가 적은 대기상태일 때의 기 동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대기시의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의 기동을 제한할 수 있기 때문에, 이동통신단말의 소비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다음에, AMC 기술 적용 셀·비적용 셀을 판별하여, 비적용 셀 하에서는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를 정지시키는 순서에 관해서 설명한다(도 7 참조). (1) 단말이 대기상태(단말로부터의 신호발신이 없는 상태)인 동안은 간섭 제거장치를 기동하지 않는다. (2) 이동통신단말은, 프리앰블, 랜덤 액세스 채널을 차례로 기지국에 송신함으로써 발호·신호 요구를 한다. (3) 이동통신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RRC message(Radio bearer set up)에 기초하여 접속선의 기지국이 AMC 적용 셀인지 비적용 셀인지를 판별한다. 그리고, AMC 적용 셀인 경우에만,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를 기동시킨다. (4) 기지국으로부터 고속 공통 채널(HS-DSCH)로 패킷 데이터가 송신되기 때문에, 이동통신단말은,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를 기동시킨 채로, 패킷 데이터를 수신한다. (5) 고속 패킷통신의 종료 후에,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를 정지시킨다. 이러한 순서를 따르는 것으로, AMC를 적용하는 고속 패킷통신시에만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를 기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멀티패스 간섭 제거 효과가 적은 송신 전력 제어에 의한 음성, 패킷통신시, 또는 대기시에는,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를 정지시킬 수 있다.
다음에, 멀티패스가 존재하는 경우에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를 정지시키는 순서에 관해서 설명한다(도 8 참조). (1) 이동통신단말은, 대기상태인지 통신상태인지에 상관없이, CPICH로부터 지연 프로파일을 작성한다. (2) 지연 프로파일로부터 수신 패스수를 측정한다. 이 때, 가장 수신레벨이 높은 수신 패스와 수신 전력 차가 10dB 이상 있는 수신 패스에 관해서는, 수신 패스로서 인식하지 않은 것으로 한다. (3) 만약, 수신 패스가 2패스 이상 존재하는 경우에는,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를 기동시키고, 1패스만 존재하는 경우에는,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를 정지시킨다. (4) 채널 행렬의 갱신 주기에 따라서, 지연 프로파일을 다시 작성한다. (5) 순서 (1)로 되돌아간다. 이러한 순서를 따르는 것으로, 1패스 환경하에서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를 적용하는 경우에 생기는 수신 특성의 열화를 억지할 수 있다.
다음에, 고속 이동시에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를 정지시키는 순서에 관해서 설명한다(도 9 참조). (1) 이동통신단말은, 통신상태인 경우에, CPICH로부터 이동통신단말의 속도를 검출한다. 일반적으로, 역확산 후의 파일럿 신호는, 잡음, 페이징의 영향을 받지 않으면, 어떤 1점(도 9에 도시하는 흑점)에 집약된다. 이동통신단말은, 이 1점을 인식한 다음, 이 1점을 기준으로 하여 실제로 수신한 역확산 후의 파일럿 신호(도 9에 도시하는 청점(靑点))의 분산을 측정한다. 이 때, 이동통신단말이 이동하고 있는 경우에는, 도플러 시프트 주파수의 영향에 의해, 이동속도가 빠르면 빠른 정도, 신호의 분산치가 커진다. 이동통신단말은, 이 분산치를 사용하는 것으로 속도검출이 가능해진다. (2) 검출한 이동속도가 30km/h 이하인 경우에는,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를 기동시키고, 이동속도가 30km/h 이상인 경우에는, 멀티패스 간섭 제거를 정지시킨다. (3) 채널 행렬의 갱신 주기(예를 들면, 1slot)에 따라서, 속도를 다시 검출한다. (4) 순서 (1)로 되돌아간다. 이러한 순서를 따르는 것으로, 고속 이동시에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를 적용하는 경우에 생 기는 수신 특성의 열화를 억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다른 셀로부터의 간섭파가 큰 경우에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를 정지시키는 순서에 관해서 설명한다(도 10 참조). (1) 이동통신단말은, 통신상태인 경우에,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를 정지시킨 채로,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CPICH를 역확산하여, 지연 프로파일을 생성한다(도 1 참조). (2) 지연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수신 패스를 최대 비합성하는 것으로, 희망파 신호 전력(SIR의 S)을 구한다. (3) 도 9에서 도시한 수신 파일럿의 신호점의 분산을 사용하여 간섭 성분(SIR의 I)을 구한다(도 10에서는 이미지로서 점선으로 I의 크기를 나타낸다). (4) 순서 (2), (3)에서 얻어진 S와 I로부터 SIR을 계산한다. SIR이 3dB 이상인 경우에는, 멀티패스 간섭 제거를 기동시키고, SIR이 3dB 이하인 경우에는, 멀티패스 간섭 제거를 기동시키지 않는다. (5) 채널 행렬의 갱신 주기에 따라서, 수신 SIR을 재측정한다. (6) 순서 (1)로 되돌아간다. 이러한 순서를 따르는 것으로, SIR이 낮은, 요컨대 다른 셀로부터의 간섭이 큰 경우에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를 적용하였을 때에 생기는 수신 특성의 열화를 억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10)

  1. 멀티패스의 간섭을 제거하는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를 탑재하는 이동통신단말로서,
    통신에 관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를 기동시키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과,
    상기 판정수단에 의해서 상기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를 기동시킨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를 기동시키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수단은,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통신이 개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판정수단에 의해서 통신이 개시되었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를 기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수단은,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기지국이 적응 변복조·오류정정 부호화 기술을 적용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판정수단에 의해서 기지국이 적응 변복조·오류정정 부호화 기술을 적용하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를 기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수단은,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유효한 수신 패스수가 일정수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판정수단에 의해서 유효한 수신 패스수가 일정수 이상이라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를 기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수단은,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희망파 대 간섭파 전력비가 일정값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판정수단에 의해서 희망파 대 간섭파 전력비가 일정값 이상이라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를 기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
  6. 이동통신단말에 탑재되는 멀티패스의 간섭을 제거하는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의 기동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통신에 관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를 기동시키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스텝과,
    상기 판정 스텝에서 상기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를 기동시킨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를 기동시키는 제어 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의 기동을 제어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스텝은,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통신이 개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제어 스텝은, 상기 판정 스텝에서 통신이 개시되었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를 기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의 기동을 제어하는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스텝은,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기지국이 적응 변복조·오류정정 부호화 기술을 적용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제어 스텝은, 상기 판정 스텝에서 기지국이 적응 변복조·오류정정 부호화 기술을 적용하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를 기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의 기동을 제어하는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스텝은,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유효한 수신 패스수가 일정수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제어 스텝은, 상기 판정 스텝에서 유효한 수신 패스수가 일정수 이상이라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를 기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의 기동을 제어하는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스텝은,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희망파 대 간섭파 전력비가 일정값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제어 스텝은, 상기 판정 스텝에서 희망파 대 간섭파 전력비가 일정값 이상이라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를 기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의 기동을 제어하는 방법.
KR1020077017780A 2005-01-24 2006-01-23 이동 통신 단말 및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의 기동을 제어하는 방법 KR1009326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016098 2005-01-24
JPJP-P-2005-00016098 2005-01-24
PCT/JP2006/300975 WO2006078019A1 (ja) 2005-01-24 2006-01-23 移動通信端末およびマルチパス干渉除去装置の起動を制御する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3444A true KR20070093444A (ko) 2007-09-18
KR100932632B1 KR100932632B1 (ko) 2009-12-21

Family

ID=36692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7780A KR100932632B1 (ko) 2005-01-24 2006-01-23 이동 통신 단말 및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의 기동을 제어하는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90023392A1 (ko)
EP (4) EP2204918A1 (ko)
JP (2) JP4425283B2 (ko)
KR (1) KR100932632B1 (ko)
CN (3) CN101107794A (ko)
AT (1) ATE527760T1 (ko)
DE (1) DE602006020690D1 (ko)
TW (1) TW200640177A (ko)
WO (1) WO20060780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09943B2 (en) 2004-04-02 2022-04-19 Rearden, Llc System and methods for planned evolution and obsolescence of multiuser spectrum
US8542763B2 (en) * 2004-04-02 2013-09-24 Rearden, Llc Systems and methods to coordinate transmissions in distributed wireless systems via user clustering
US10985811B2 (en) 2004-04-02 2021-04-20 Rearden, Llc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ed antenna wireless communications
US9826537B2 (en) 2004-04-02 2017-11-21 Rearden, Ll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inter-cluster handoff of clients which traverse multiple DIDO clusters
US10200094B2 (en) 2004-04-02 2019-02-05 Rearden, Llc Interference management, handoff, power control and link adaptation in distributed-input distributed-output (DIDO) communication systems
US10277290B2 (en) 2004-04-02 2019-04-30 Rearden, Llc Systems and methods to exploit areas of coherence in wireless systems
US10425134B2 (en) 2004-04-02 2019-09-24 Rearden, Llc System and methods for planned evolution and obsolescence of multiuser spectrum
US10749582B2 (en) 2004-04-02 2020-08-18 Rearden, Llc Systems and methods to coordinate transmissions in distributed wireless systems via user clustering
US11451275B2 (en) 2004-04-02 2022-09-20 Rearden, Llc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ed antenna wireless communications
US9312929B2 (en) 2004-04-02 2016-04-12 Rearden, Llc System and methods to compensate for Doppler effects in multi-user (MU) multiple antenna systems (MAS)
US11394436B2 (en) 2004-04-02 2022-07-19 Rearden, Llc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ed antenna wireless communications
US10886979B2 (en) 2004-04-02 2021-01-05 Rearden, Llc System and method for link adaptation in DIDO multicarrier systems
US9685997B2 (en) 2007-08-20 2017-06-20 Rearden, Llc Systems and methods to enhance spatial diversity in distributed-input distributed-output wireless systems
JP4711908B2 (ja) * 2006-08-09 2011-06-29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無線通信システム
KR101341466B1 (ko) 2006-12-18 2013-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의 적응적 자원 할당 방법 및 이를구현하는 송수신기
JP4977543B2 (ja) * 2007-07-20 2012-07-18 日本電気通信システム株式会社 制御装置、制御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GB201001482D0 (en) * 2010-01-29 2010-03-17 Icera Inc A cellular communications system
US8897269B2 (en) 2008-01-30 2014-11-2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itigating pilot pollution in a wireless network
JP5285962B2 (ja) * 2008-05-29 2013-09-11 京セラ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EP2541984A1 (en) * 2010-02-23 2013-01-02 Nec Corporation Wireless base station and adaptive modulation control method thereof
US8520782B2 (en) 2010-12-17 2013-08-2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Receiver power reduction methods and apparatus
US9066295B2 (en) * 2011-12-16 2015-06-23 Qualcomm Incorporated Power conservation techniques for use in devices with selectable power modes
CN102946296B (zh) * 2012-10-31 2015-07-08 深圳市海思半导体有限公司 干扰信号重构方法和终端
US11050468B2 (en) 2014-04-16 2021-06-29 Rearden, Llc Systems and methods for mitigating interference within actively used spectrum
US10194346B2 (en) 2012-11-26 2019-01-29 Rearden, Llc Systems and methods for exploiting inter-cell multiplexing gain in wireless cellular systems via distributed input distributed output technology
US11190947B2 (en) 2014-04-16 2021-11-30 Rearden,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oncurrent spectrum usage within actively used spectrum
US11189917B2 (en) 2014-04-16 2021-11-30 Rearden, Llc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ing radioheads
US9736743B2 (en) * 2012-12-13 2017-08-15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user equipment selecting cel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user equipment using the method
US10164698B2 (en) 2013-03-12 2018-12-25 Rearden, Llc Systems and methods for exploiting inter-cell multiplexing gain in wireless cellular systems via distributed input distributed output technology
US10488535B2 (en) 2013-03-12 2019-11-26 Rearden,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capturing still images and video using diffraction coded imaging techniques
US9923657B2 (en) 2013-03-12 2018-03-20 Rearden, Llc Systems and methods for exploiting inter-cell multiplexing gain in wireless cellular systems via distributed input distributed output technology
US9973246B2 (en) 2013-03-12 2018-05-15 Rearden, Llc Systems and methods for exploiting inter-cell multiplexing gain in wireless cellular systems via distributed input distributed output technology
US10547358B2 (en) 2013-03-15 2020-01-28 Rearden, Llc Systems and methods for radio frequency calibration exploiting channel reciprocity in distributed input distributed output wireless communications
JP6343432B2 (ja) * 2013-06-25 2018-06-13 株式会社Nttドコモ 移動局
US11290162B2 (en) 2014-04-16 2022-03-29 Rearden, Llc Systems and methods for mitigating interference within actively used spectrum
JP2016219917A (ja) * 2015-05-15 2016-12-22 富士通株式会社 基地局、通信端末及び通信システム
US10135562B2 (en) 2015-05-28 2018-11-20 Huawei Technologie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link adaptation in uplink grant-less random acces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57155A (en) * 1953-04-14 1956-07-31 Du Pont Stabilized chlorosulfonated hydrocarbon polymer compositions
US5771456A (en) * 1996-08-09 1998-06-23 Trimble Navigation Limited Enhanced suppression of multipath interference
JP3302634B2 (ja) * 1997-12-16 2002-07-1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ータ通信装置及び方法
CN1118200C (zh) * 1999-08-10 2003-08-13 信息产业部电信科学技术研究院 基于智能天线和干扰抵销的基带处理方法
US6700929B1 (en) * 2000-07-31 2004-03-02 Rf Micro Devic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ath parameter estimation in spread-spectrum communications systems
JP3589292B2 (ja) * 2000-11-30 2004-11-17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体通信装置
DE10115053A1 (de) * 2001-03-27 2002-10-24 Bosch Gmbh Rober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Unterdrückung von Multipath-Störungen bei einem Empfänger für elektromagnetische Wellen
JP3637884B2 (ja) * 2001-06-01 2005-04-13 ソニー株式会社 逆拡散装置、伝播路推定装置、受信装置ならびに干渉抑圧装置、逆拡散、伝播路推定、受信および干渉抑圧方法、該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CN1242577C (zh) * 2002-04-26 2006-02-15 上海贝尔有限公司 一种宽带码分多址系统上行信道的部分干扰抵消方法及装置
KR100651434B1 (ko) * 2002-10-05 2006-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패킷 데이터 통신 시스템 수신기에서의 간섭신호 제거장치 및 방법
US7272176B2 (en) * 2003-02-18 2007-09-18 Qualcomm Incorporated Communication receiver with an adaptive equaliz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04918A1 (en) 2010-07-07
EP1843492A1 (en) 2007-10-10
EP1843492A4 (en) 2009-04-08
EP2256944B1 (en) 2011-10-05
KR100932632B1 (ko) 2009-12-21
TW200640177A (en) 2006-11-16
CN101908907A (zh) 2010-12-08
US20090023392A1 (en) 2009-01-22
CN101908907B (zh) 2012-07-25
EP1843492B1 (en) 2011-03-16
EP2101416A3 (en) 2010-02-17
JP2010081620A (ja) 2010-04-08
EP2256944A1 (en) 2010-12-01
TWI316340B (ko) 2009-10-21
CN101107794A (zh) 2008-01-16
WO2006078019A1 (ja) 2006-07-27
JPWO2006078019A1 (ja) 2008-06-19
ATE527760T1 (de) 2011-10-15
EP2101416B1 (en) 2011-05-25
JP4425283B2 (ja) 2010-03-03
CN101917366A (zh) 2010-12-15
DE602006020690D1 (de) 2011-04-28
EP2101416A2 (en) 2009-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2632B1 (ko) 이동 통신 단말 및 멀티패스 간섭 제거장치의 기동을 제어하는 방법
US6373882B1 (en) Motion estimator for a CDMA mobile station
JP4444961B2 (ja) 伝送チャネルのチャネル評価の決定
US7555319B2 (en) Adaptive power efficient radio environment measurements
US7072325B1 (en) Cellular system
CN1849793A (zh) 无线通信设备中的无偏信号干扰比及其方法
JP4769366B2 (ja) Cdma移動無線通信システムのための受信機
KR100899302B1 (ko) 이동 통신 단말 및 멀티패스 간섭 제거 방법
KR20030093188A (ko) 확산 스팩트럼 통신 시스템에서 포워드 전력 제어를 위한Eb/Nt 추정용 방법과 장치
US7356070B2 (en) Apparatus for recognizing mobile signal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for
US7450556B2 (en) Method and apparatus estimating cell interference and noise for CDMA packet data channels
US8520782B2 (en) Receiver power reduction methods and apparatus
US2014008628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Multipath Detection in a WCDMA/HSDPA Communication System
EP2326027B1 (en) Multi-path searching apparatus and method supporting transmission diversity mode detection
JP5379791B2 (ja) 時分割二重システムに基づくcdmaシステムにおける適応結合チャネル推定方法およびシステム
WO2004082166A1 (en) Pilot estimation using prediction error methodswitched filters
US20120069753A1 (en) Channel estimation based on midamble
JP4418289B2 (ja) ジオメトリ測定方法、無線受信装置及び移動局装置
Ariyoshi et al. On the effect of forward-backward filtering channel estimation in W-CDMA multi-stage parallel interference cancellation recei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