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2968A - 댐핑 유닛에 접촉 가능한 칼라를 포함하는 진동 댐핑 장치 - Google Patents

댐핑 유닛에 접촉 가능한 칼라를 포함하는 진동 댐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2968A
KR20070092968A KR1020077014390A KR20077014390A KR20070092968A KR 20070092968 A KR20070092968 A KR 20070092968A KR 1020077014390 A KR1020077014390 A KR 1020077014390A KR 20077014390 A KR20077014390 A KR 20077014390A KR 20070092968 A KR20070092968 A KR 200700929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rical surface
flange
flanges
concave inner
outer cylind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4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테판 주르뎅
올리비에르 고다르
제롬 발리에르
파스칼 모린
Original Assignee
발레오 시스뗌므 데쉬야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레오 시스뗌므 데쉬야지 filed Critical 발레오 시스뗌므 데쉬야지
Publication of KR20070092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29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8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with a sleeve of elastic material between a rigid outer sleeve and a rigid inner sleeve or pin, i.e. bushing-type
    • F16F1/3842Method of assembly, production or treatment; Mounting thereof
    • F16F1/3849Mounting brackets therefor, e.g. stamped steel brackets; Restraining li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43Attachment of the wiper assembly to the vehicle
    • B60S1/0441Attachment of the wiper assembly to the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means
    • B60S1/0444Attachment of the wiper assembly to the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means comprising vibration or noise absorb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댐핑 장치, 특히 지지 플레이트(10)를 장착하기 위한 댐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주축선(A)을 갖는 원통형 댐퍼 유닛(12)을 포함하고, 이 댐퍼 유닛은 원통형이며 플레이트(10)의 수평 플레이트(18)의 일 측에 각각 수용되는 방사형 상부 플랜지(20s) 및 방사형 하부 플랜지(20i)를 포함하고,
플레이트(10)는 관련된 플랜지(20s, 20i)의 외부 원통면(20e)에 대향하여 연장되고 수평 플레이트(18)에 의해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원통형 플랜지(26s, 26i)를 포함하며,
플랜지 링(26s, 26i)은 전체 수평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서 플랜지(20s, 20i)의 볼록한 외부 원통면(20e)에 반경 방향으로 안착할 수 있는 오목한 내부 원통면(26a)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댐핑 유닛에 접촉 가능한 칼라를 포함하는 진동 댐핑 장치{VIBRATION DAMPING DEVICE COMPRISING A COLLAR ABUTABLE ON A DAMPING UNIT}
본 발명은 윈드스크린 와이퍼 메카니즘의 지지 플레이트를 자동차의 차체 구조 요소에 연결하는 진동 댐퍼 장치(vibration damper device)를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특히 윈드스크린 와이퍼 메카니즘의 지지 플레이트를 구조 요소 상에 설치하기 위한 댐핑 장치로서,
수직한 주축선을 갖는 원통형 댐퍼 유닛을 포함하고, 이 댐퍼 유닛은 구조 요소 상에 댐퍼 유닛을 장착하기 위한 요소의 통로를 위한 중앙 보어에 의해 관통되고,
댐퍼 유닛은 방사형 상부 플랜지 및 방사형 하부 플랜지를 포함하고, 이들 방사형 플랜지는, 모두 원통형이며, 상기 플레이트의 수평 플레이트에 의해 일 측 상에 수용되고, 그 사이에 내부 방사형 홈을 형성하며, 플레이트를 보완하는 오리피스의 에지는 댐퍼 유닛이 플레이트에 대해 축방향으로 지지되도록 수용되고,
상기 플레이트는, 관련된 상기 플랜지의 외부 원통면에 대향하여 연장되며 수평 플레이트에 의해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원통형 수직 플랜지 링을 포함한다.
이러한 댐퍼 장치는, 윈드스크린 와이퍼 메커니즘에 의해 생성되며 자동차 차체와 와이핑 시스템의 플레이트 사이에서 전달되는 진동을 감소시키는 데 이용되 고, 주로 와이핑 시스템에 동력을 공급하는 기어 감속기 유닛을 지지한다.
종래의 댐핑 장치는 자동차의 차체에 대한 플레이트의 진폭이 상대적으로 작은 곳에서의 특히 진동을 잘 감쇠시키게 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댐퍼는 보다 큰 진폭을 갖는 진동을 완충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와이핑 메카니즘이 이러한 큰 진폭을 가진 진동을 겪게 될 때 와이핑 메카니즘이 자동차의 차체 및 닦여지는 유리 패널에 대해 이동하므로, 와이핑 영역이 최적의 와이핑 영역으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따라서,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는 운전자의 시계(visibility)를 올바르게 복구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종래의 방식으로 작은 크기의 진동을 감쇠시키고, 더 큰 크기의 진동도 감쇠시키는 댐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본 발명은 상술한 것과 같은 댐퍼 장치를 제공하고, 플랜지 링은 전체 수평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서 플랜지의 볼록한 외부 원통면에 반경 방향으로 안착할 수 있는 오목한 내부 원통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 특징에 따르면 :
- 댐핑 장치는 플랜지 링의 오목한 내부 원통면과 플랜지의 외부 원통면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정지 요소를 포함하고, 이 정지요소는 플랜지 링의 오목한 내부 원통면 및 플랜지의 외부 원통면에 동시에 접촉할 수 있다;
- 정지 요소는 플랜지 링의 오목한 내부 원통면에 의해 지지되고, 플랜지의 외부 원통면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연장되어 있다;
- 정지 요소는 플랜지의 볼록한 외부 원통면에 의해 지지되고, 플랜지 링의 오목한 내부 원통면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연장되어 있다.
- 플랜지의 볼록한 외부 원통면 및/또는 플랜지링의 오목한 내부 원통면은 주축선 둘레에 일정 각으로 분포된 복수의 정지 요소를 지지한다.
- 플랜지 링의 오목한 내부 원통면의 적어도 일부는 플랜지의 외부 원통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안착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명확해질 것이며, 이해를 위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댐핑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댐핑 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지 요소를 지지하는 댐핑 장치를 도시하며, 도 2에 도시된 상면도와 유사한 도면.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댐핑 장치의 저면도.
도 5는 하부 플랜지가 플랜지 링과 접촉하는, 도 4에 도시된 저면도와 유사한 도면.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서, 수직 방향, 길이 방향, 횡방향이 도 1에 표시된 기준 좌표계 V, L, T에 따라 비제한적으로 이용된다.
다음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유사하거나, 상사(相似)한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로 언급된다.
도면은 진동 댐퍼 유닛(12)으로 자동차의 차체 구조 요소(도시되지 않음) 상에서 윈드스크린 와이퍼 메카니즘(도시되지 않음)을 지지하는 플레이트(10)를 설치하기 위한 댐핑 장치를 도시한다.
이하에서 "댐퍼"로서 언급되는 진동 댐퍼 유닛(12)은, 수직 주축선(A)을 구비하는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을 가지고, 자동차의 차체 구조 요소 상에 댐퍼(12)를 장착하기 위한 보완 요소(16)를 수용하는 원통형 중앙 보어(14)를 포함한다.
지지 플레이트(10)는 하나의 자유 단부(18a)를 구비하는 수평 플레이트(18)를 포함하고, 댐퍼(12) 상에 플레이트(18)를 유지하기 위해 댐퍼(12)가 수평 플레이트(18) 상에 장착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댐퍼(12)는 원통형 방사형 상부 플랜지(20s) 및 원통형 방사형 하부 플랜지(20i)를 포함하고, 이들 플랜지는, 플레이트(18)의 단부(18a)의 각 측면에 수직으로 수용되어 그 사이에서 홈(21)을 형성하며, 여기서 플레이트(18)의 단부(18a)를 보완하는 오리피스의 에지(22)가 수용된다.
수평 플레이트(18)는 플레이트(18)의 수직 변형을 제한할 수 있는 일련의 강성화 리브(24, 26s, 26i)도 포함하고, 그 중에서 상부 리브 또는 플랜지 링(26s)은 상부 플랜지(20s)와 연관되며, 하부 플랜지 링(26i)는 하부 플랜지(20i)와 연관된다.
이하의 설명은 단일 플랜지 링(26s, 26i)를 참조한다. 이러한 하나의 플랜지 링에 대한 참조가 상부 플랜지 링(26s) 및 하부 플랜지 링(26i)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됨을 이해할 것이다.
플랜지 링(26s, 26i)의 오목한 내부 원통면(26a)은 연관된 플랜지(20s, 20i)의 볼록한 외부 원통면(20e)에 대향하여 수직으로 연장된다.
도 2 및 3에 도시된 첫번째 실시예에서, 댐퍼(12)는 주축선(A)에 대해 플레이트(18)의 오리피스에 반경 방향으로 삽입된다.
이러한 이유로, 플레이트(18)의 오리피스는 플레이트(18)의 자유 단부(18e) 쪽으로 개방되고, 플랜지 링(26s, 26i)은 전체적으로 플레이트(18)의 오리피스의 개구의 높이에서 개방된 댐퍼(12)의 주축선(A)과 동일축 상의 루프를 형성한다.
도 4 및 5에 도시된 두번째 실시예에서, 댐퍼(12)는 플레이트(18)의 오리피스에 축방향으로 삽입되고, 그 후 플랜지 링(26s, 26i)은 연관된 플랜지(20s, 20i)의 주변에 폐쇄 루프를 형성한다.
도 2 및 4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따른 실시예에서, 플랜지 링(26s, 26i)의 오목한 내부 원통면(26a)은 연관된 플랜지(20s, 20i)의 볼록한 외부 원통면(20e)로부터 주축선(A)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분리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조립체는, 자동차의 차체 구조 요소에 대해 플레이트(10)의 움직임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으로서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진폭을 감 쇠시키는데 특히 적합하다.
도 2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플레이트(10)가 차체 구조 요소에 대해 상대적으로 큰 진폭을 갖는 수평 운동을 하는 동안, 상부 플랜지(20s) 및/또는 하부 플랜지(20i)는 연관된 플랜지 링(26s, 26i)에 닿아 멈출 수 있으며, 이는, 플랜지(20s, 20i)의 볼록한 외부 원통면(20e)은 플랜지 링(26s, 26i)에 대향하는 오목한 내부 원통면(26a)에 닿아 멈출 수 있음을 말하는 것이다.
플랜지 링(26s, 26i)의 오목한 내부 원통면(26a)이 연관된 플랜지(20s, 20i)의 볼록한 외부 원통면(20e)에 안착할 때, 플랜지 링(26s, 26i)의 움직임, 따라서 차체 구조 요소에 대한 지지 플레이트(10)의 움직임을 감쇠하도록 플랜지(20s, 20i)는 탄성 변형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첫번째 양태에 따르면, 장치는 플랜지 링(26s, 26i)의 오목한 내부 원통면(26a)과 연관된 플랜지(20s, 20i)의 볼록한 외부 원통면(20e) 사이에 배치된 정지 요소(28)를 포함한다.
따라서, 정지 요소(28)는 종래 기술에 따른 실시예에 비해 플랜지 링(26s, 26i)의 오목한 내부 원통면(26a)과 연관된 플랜지(20s, 20i)에 대향하는 볼록한 외부 원통면(20e) 사이의 반경 방향 유극(radial play)을 줄임으로써, 거의 즉시 플랜지 링(26s, 26i)이 연관된 플랜지(20s, 20i)에 닿아 멈추게 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정지 요소(28)는 플랜지 링(26s, 26i)의 오목한 내부 원통면(26a)에 의해 지지되므로, 플랜지 링(26s, 26i)의 오목한 내부 원통면(26a)이 플랜지(20s, 20i)의 볼록한 외부 원통면(20e)에 안착할 때, 정지 요소의 내부 원통 면(28a)은 대향하는 플랜지(20s, 20i)의 볼록한 외부 원통면(20e)에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선택적인 실시예에 있어서(도시되지 않음), 정지 요소(28)는 연관된 플랜지(20s, 20i)의 볼록한 외부 원통면(20e)에 의해 지지되므로, 플랜지 링(26s, 26i)의 오목한 내부 원통면(26a)에 대향하여 연장된 정지 요소(28)의 볼록한 외부 원통면은 플랜지 링(26s, 26i)가 플랜지(20s, 20i)에 안착할 때 플랜지 링(26s, 26i)의 오목한 내부 원통면(26a)에 접촉할 수 있다.
정지 요소(28)는 플랜지 링(26, 26i)의 오목한 내부 원통면(26a) 또는 플랜지(20s, 20i)의 볼록한 외부 원통면(20e) 상에 장착되는 추가 요소이고, 이는 임의의 공지 수단, 예컨대, 접착 또는 오버몰딩에 의해 오목면(26a) 또는 볼록면(20e)에 고정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정지 요소(28)는 댐퍼(12)의 주축선(A) 상에 중심을 둔 원호를 형성한다.
이 원호의 길이 및 주축선(A) 둘레에서의 각도 위치는 수평 방향을 형성하고, 이 방향에서 플랜지 링(26s, 26i)은 연관된 플랜지(20s, 20i)에 닿아 멈출 수 있다.
본 발명의 선택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플랜지 링(26s, 26i)의 오목한 내부 원통면(26a) 또는 연관된 플랜지(20s, 20i)의 볼록한 외부 원통면(20e)은 댐퍼(12)의 주축선(A) 둘레에 일정 각으로 분포된 복수의 정지 요소(28)를 지지하고, 각 정지 요소(28)에 의해 형성된 원호의 길이는 수평 방향에 따라 형성되며, 이 방향에 서 플랜지 링(26s, 26i)은 연관된 플랜지(20s, 20i)에 닿아 멈출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선택적 실시예에 있어서, 정지 요소(28)는 플랜지(20s, 21)의 대향 볼록면(20e)과 플랜지 링(26s, 26i)의 오목면(26a) 각각에 동시에 접촉하게되는 형상을 가진다.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플랜지 링(26s, 26i) 및 연관된 플랜지(20s, 20i)는 플랜지 링(26s, 26i)의 오목한 내부 원통면(26a)이 연관된 플랜지(20s, 20i)의 볼록한 외부 원통면(20e)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안착하게 되는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댐퍼(12)는 차체 구조 요소에 대한 플레이트(10)의 움직임을 즉시 감쇠시킨다.
이 경우에 있어서, 플랜지 링(26s, 26i)의 오목한 내부 원통면(26a) 및 연관된 플랜지(20s, 20i)의 볼록한 외부 원통면(20e)은 전체적으로 타원형이며, 따라서 이들 각각은 두 개의 수직한 길이방향 평면부(30, 32)를 각각 포함하고, 이는 댐퍼(12)의 주축선(A)에 대해 직경 방향으로 대향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랜지 링(26s, 26i)의 오목한 내부 원통면(26a)의 각 평면부(30)는 연관된 플랜지(20s, 20i)의 볼록한 외부 원통면(20e)의 대향 평면부(32)와 접촉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고, 플랜지 링(26s, 26i)의 오목한 내부 원통면(26a) 및 연관된 플랜지(20s, 20i)의 볼록한 외부 원통면(20e)은 이들의 다른 비평면부의 높이에서 서로 접촉하거나 서로 완전히 접촉할 수도 있 음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이러한 양태에 따른 제1 실시예에서, 플랜지 링(26s, 26i)의 오목한 내부 원통면(26a)은 연관된 플랜지(20s, 20i)의 볼록한 외부 원통면(20e)에 접촉하고, 플랜지(20s, 20i)는 종래 기술에 따른 실시예에서 정의된 것과 동일하며, 플랜지 링(26s, 26i)만이 종래 기술에 따른 실시예에서 정의된 것과 상이하다.
본 발명의 이러한 양태에 따른 제2 실시예에서(도시되지 않음), 플랜지 링(26s, 26i)의 오목한 내부 원통면(26a)은 연관된 플랜지(20s, 20i)의 볼록한 외부 원통면(20e)과 접촉하고, 플랜지 링(26s, 26i)는 종래 기술에 따른 실시예에서 정의된 것과 동일하고, 플랜지(20s, 20i) 만이 종래 기술에 따른 실시예에서 정의된 것과 상이하다.
따라서, 이는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표준 요소의 이용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이들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플랜지 링(26s, 26i) 및 연관된 플랜지(20s, 20i)는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종래 기술에서 형성된 것들과 상이한 형상 및/또는 치수를 가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에 대해 상술한 설명은 전체적으로 원(도 2 및 3) 또는 타원(도 4 및 5) 형상을 구비한 플랜지(20s, 20i) 및 플랜지 링(26s, 26i)에 관해 기술하였다.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플랜지(20s, 20i) 및 플랜지 링(26s, 26i)는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형상, 예컨대, 달걀 모양 또는 알 모양과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내부 방사형 홈(21) 및 플레이트의 보완 오리피스의 에지(22)에 대해서도 동일하므로, 이들은 전체적으로 원(도 2 및 3) 또는 타원(도 4 및 5)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형상, 예컨대 달걀 모양 또는 알 모양과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댐핑 장치는 상부 플랜지 링(26s) 및 하부 플랜지 링(26i)을 포함하는 것으로 기술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댐핑 장치는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단일한 상부 또는 하부 플랜지 링(26s 또는 26i)을 각각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6)

  1. 특히 윈드스크린 와이퍼 메카니즘의 지지 플레이트(10)를 구조 요소 상에 설치하기 위한 댐핑 장치로서,
    수직방향 주축선(A)을 갖는 원통형 댐퍼 유닛(12)을 포함하고, 상기 댐퍼 유닛은 상기 구조 요소 상에 상기 댐퍼 유닛(12)을 장착하기 위한 요소(16)의 통로인 중앙 보어(14)에 의해 관통되고,
    상기 댐퍼 유닛(12)은 방사형 상부 플랜지(20s) 및 방사형 하부 플랜지(20i)를 포함하고, 이들 방사형 플랜지는, 모두 원통형이며, 상기 플레이트 중 수평 플레이트(18)에 의해 일 측 상에 수용되고, 그 사이에 내부 방사형 홈(21)을 형성하며, 상기 플레이트(18)에 들어맞는 오리피스의 에지(22)는 상기 댐퍼 유닛(12)이 상기 플레이트(10)에 대해 축선 방향으로 지지되도록 수용되고,
    상기 플레이트(10)는, 관련된 상기 플랜지(20s, 20i)의 외부 원통면(20e)에 대향하여 연장되며 상기 수평 플레이트(18)에 의해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원통형 수직 플랜지(26s, 26i)를 포함하며,
    상기 플랜지 링(26s, 26i)은 전체 수평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서 상기 플랜지(20s, 20i)의 볼록한 외부 원통면(20e)에 반경 방향으로 놓일 수 있는 오목한 내부 원통면(26a)을 포함하는 것인 댐핑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링(26s, 26i)의 오목한 내부 원통면(26a)과 상기 플랜지(20s, 20i)의 볼록한 외부 원통면(20e)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정지 요소(28)를 포함하고, 상기 정지 요소는 상기 플랜지 링(26s, 26i)의 오목한 내부 원통면(26a) 및 상기 플랜지(20s, 20i)의 볼록한 외부 원통면(20e)에 동시에 안착할 수 있는 것인 댐핑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정지 요소(28)는 상기 플랜지 링(26s, 26i)의 오목한 내부 원통면(26a)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플랜지(20s, 20i)의 볼록한 외부 원통면(20e)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연장되는 것인 댐핑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정지 요소(28)는 상기 플랜지(20s, 20i)의 볼록한 외부 원통면(20e)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플랜지 링(26s, 26i)의 오목한 내부 원통면(26a)로부터 간격을 두고 연장되는 것인 댐핑 장치.
  5.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20s, 20i)의 볼록한 외부 원통면(20e) 및/또는 상기 플랜지 링(26s, 26i)의 오목한 내부 원통면(26a)은 주축선(A)의 둘레에 일정 각으로 분포된 복수의 상기 정지 요소(28)를 지지하는 것인 댐핑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링(26s, 26i)의 오목한 내부 원통면(26a)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플랜지(20s, 20i)의 외부 원통면(20e)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놓이는 것인 댐핑 장치.
KR1020077014390A 2004-11-30 2005-11-25 댐핑 유닛에 접촉 가능한 칼라를 포함하는 진동 댐핑 장치 KR2007009296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4/12704 2004-11-30
FR0412704A FR2878484B1 (fr) 2004-11-30 2004-11-30 Dispositif amortisseur de vibrations comportant une collerette apte a venir en butee contre un bloc amortisseu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2968A true KR20070092968A (ko) 2007-09-14

Family

ID=34953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4390A KR20070092968A (ko) 2004-11-30 2005-11-25 댐핑 유닛에 접촉 가능한 칼라를 포함하는 진동 댐핑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7731164B2 (ko)
EP (1) EP1819558B1 (ko)
JP (1) JP2008521689A (ko)
KR (1) KR20070092968A (ko)
CN (1) CN101102925A (ko)
AT (1) ATE504473T1 (ko)
BR (1) BRPI0516655A (ko)
DE (1) DE602005027385D1 (ko)
FR (1) FR2878484B1 (ko)
MX (1) MX2007006364A (ko)
WO (1) WO20060586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05649A1 (fr) * 2006-09-07 2008-03-14 Renault Sas Dispositif de montage d'un systeme d'essuyage d'un pare-brise de vehicule par l'intermediaire d'un plot de filtration et procede d'assemblage d'un tel dispotitif
JP5535712B2 (ja) * 2010-03-24 2014-07-02 株式会社ミツバ 車両用ワイパ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65792A (en) * 1987-06-22 1989-09-12 Moyer James D Method of using composite reinforced grommet
JP2829767B2 (ja) * 1990-04-26 1998-12-02 株式会社竹中工務店 増幅機構付きダンパー装置及び該ダンパー装置を組み込んだ壁構造
US5829730A (en) * 1994-07-21 1998-11-03 Ott; Vern D. Motorcycle fron motor mount
FR2750099B1 (fr) * 1996-06-25 1998-08-14 Valeo Systemes Dessuyage Dispositif amortisseur pour le montage d'une platine d'essuie-glace
AU4481197A (en) * 1996-09-17 1998-04-14 Kelsey-Hayes Company Mounting arrangement for supporting a hydraulic control unit of a vehicular braking system
US5950277A (en) * 1998-02-13 1999-09-14 Lear Corporation Load bearing grommet assembly
WO2000053464A1 (en) * 1999-03-10 2000-09-14 Valeo Electrical Systems, Inc. Vibration dampening pivot housing for windshield wipers
FR2853606B1 (fr) * 2003-04-11 2006-04-21 Valeo Systemes Dessuyage Procede et agencement pour l'assemblage par succession de deux mouvements selon une direction longitudinale
FR2855478B1 (fr) * 2003-06-02 2005-08-19 Valeo Systemes Dessuyage Composant d'equipement de vehicule automobile a points de fixation amortisseur de vibr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005027385D1 (de) 2011-05-19
US7731164B2 (en) 2010-06-08
CN101102925A (zh) 2008-01-09
EP1819558A1 (fr) 2007-08-22
US20090019657A1 (en) 2009-01-22
MX2007006364A (es) 2007-06-20
JP2008521689A (ja) 2008-06-26
EP1819558B1 (fr) 2011-04-06
FR2878484A1 (fr) 2006-06-02
FR2878484B1 (fr) 2008-06-20
ATE504473T1 (de) 2011-04-15
BRPI0516655A (pt) 2008-09-16
WO2006058665A1 (fr) 2006-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216923Y2 (ko)
JP4077018B2 (ja) 液封入式防振装置及び液封入式防振装置ユニット
JP6532367B2 (ja) ブラケット付き筒形防振装置
US20030062230A1 (en) Vibration damping device
US7618012B2 (en) Bracket fixing structure
JPS6363404B2 (ko)
US7165645B2 (en) Fixing device for an automobile muffler
JP2005282732A (ja) エンジンマウント
KR20070092968A (ko) 댐핑 유닛에 접촉 가능한 칼라를 포함하는 진동 댐핑 장치
US20170274743A1 (en) Adjustably positionable spacer for vehicle door assembly
US20040119215A1 (en) Fluid-filled vibration damping device
EP3348847B1 (en) Fastening element and system with a fastening element
US20020158393A1 (en) Spring carrier
JP2001248674A (ja) 緩衝装置用スプリングシート
US20030151181A1 (en) Spring strut supporting bearing
JP2018071602A (ja) アッパサポート用の下クッションゴム
JPH0285529A (ja) 弾性支持マウントの緩衝体
JPH05201220A (ja) 制振器
EP1234998A2 (en) Engine mount
US20130134641A1 (en) Vibration isolator
CN111114273B (zh) 动力总成悬置
US20170120708A1 (en) Vehicle spring assembly
JP2001140984A (ja) 防振装置
JPH01314624A (ja) ラジエータのロア支持装置
JPS6056612A (ja) 懸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