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2162A - 전기 광학 장치, 배선 기판, 전기 광학 장치의 제조 방법및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전기 광학 장치, 배선 기판, 전기 광학 장치의 제조 방법및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2162A
KR20070092162A KR1020070022497A KR20070022497A KR20070092162A KR 20070092162 A KR20070092162 A KR 20070092162A KR 1020070022497 A KR1020070022497 A KR 1020070022497A KR 20070022497 A KR20070022497 A KR 20070022497A KR 20070092162 A KR20070092162 A KR 200700921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group
substrate
terminals
electro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2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7062B1 (ko
Inventor
마사히코 나카자와
Original Assignee
엡슨 이미징 디바이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엡슨 이미징 디바이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엡슨 이미징 디바이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92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21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7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7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8Arrangements of two or more hingeably connected rigid printed circuit boards, i.e. connected by flexible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1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 G02B6/12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6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 H05K3/361Assembling flexible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42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for double-sided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6Cell terminals located on one side of the display onl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7Pads along the edge of rigid circuit boards, e.g. for pluggable connec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209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 H05K2201/09372Pads and lands
    • H05K2201/09418Special orientation of pads, lands or terminals of component, e.g. radial or polygonal orient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Printing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Between Printed Circuits (AREA)
  • Combinations Of Printed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광학 장치 및 실장 구조체의 전기적 신뢰성을 확보하는 것으로, 전기 광학 장치(100)는, 제 1 단자가 복수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제 1 단자군(115G)과 제 2 단자가 복수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제 2 단자군(115H)을 구비하는 제 1 기판(110)과, 복수의 제 1 단자에 각각 대응하여 도전 접속된 복수의 제 3 단자가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제 3 단자군(125G)을 구비하는 제 2 기판(120)과, 복수의 제 2 단자에 각각 대응하여 도전 접속된 복수의 제 4 단자가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제 4 단자군(135H)을 구비하는 제 3 기판(130)을 갖고, 제 1 단자는 그 배열 방향과 교차하는 기정의 방향으로 제 1 단자군으로부터 이간한 제 1 공통점을 통과하는 복수의 선을 따라 각각 연장되고, 제 2 단자는 그 배열 방향과 교차하는 기정의 방향으로 제 2 단자군으로부터 이간한 제 2 공통점을 통과하는 복수의 선을 따라 각각 연장된다.

Description

전기 광학 장치, 배선 기판, 전기 광학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전자기기{ELECTROOPTIC DEVICE, WIRING BOARD,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OPT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도 1은 실시예 1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
도 2는 실시예 2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
도 3은 실시예 1의 접속 기판의 평면도 및 단면도,
도 4는 다른 접속 기판의 평면도 및 단면도,
도 5는 또 다른 접속 기판의 평면도,
도 6은 제 1 단자군과 제 3 단자군의 단자 배열의 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7은 실시예 3의 접속 기판의 평면도,
도 8은 실시예 4의 접속 기판의 평면도,
도 9는 전자기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 전기 광학 장치(실장 구조체) 110, 210 : 접속 기판
120, 220, 230 : 전기 광학 패널 111, 211 : 기체
115, 215 : 배선 115t, 215t : 제 1 단자
115G, 215G : 제 1 단자군 115u, 215u : 제 2 단자
115H, 215H : 제 2 단자군 121, 122 : 기판
123 : 밀봉재 124 : 액정
125 : 배선 125t : 제 3 단자
125G : 제 3 단자군 130 : 회로 기판
131 : 기체 135, 235 : 배선
135u, 235u : 제 4 단자 135H, 235H : 제 4 단자군
P1, Q1, R1, S1 : 제 1 공통점 P2, Q2, R2, S2 : 제 2 공통점
본 발명은 전기 광학 장치, 배선 기판, 전기 광학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단자가 각각 배열된 단자군끼리를 도전 접속시켜 이루어지는 실장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전화기나 노트북형 컴퓨터 장치, 텔레비전 수상기 등의 전자기기에 탑재되는 전기 광학 장치로서, 액정 표시 패널 등의 전기 광학 패널과, 이 전기 광학 패널에 실장된 플렉서블 배선 기판을 포함하는 구조가 알려져 있다. 여기서, 전기 광학 패널을 구동하는 구동 회로가 패널측에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는, 플렉서블 배선 기판은 전자기기의 표시 제어계로부터 송출되는 표시 데이터나 제어 신호를 전기 광학 패널로 공급한다. 또한, 전기 광학 패널측에 구동 회로가 마련되지 않는 경우에는, 구동 회로는 플렉서블 배선 기판 상에 실장되거나, 혹은, 플렉서블 배선 기판이 접속되어 이루어지는 별도의 회로 기판 상에 실장되거나 한다. 이 경우에는, 플렉서블 배선 기판은, 구동 회로가 출력하는 구동 신호를 전기 광학 패널로 공급한다.
상기의 구성에서는, 전기 광학 패널의 가장자리부에는 복수의 입력 단자가 일렬로 배열되고, 또한, 플렉서블 배선 기판의 가장자리부에는 복수의 접속 단자가 입력 단자와 대응하여 일렬로 배열되어 있다. 그리고, 전기 광학 패널에 플렉서블 배선 기판을 실장하는 경우에는, 입력 단자열과 접속 단자열이 이방성 도전막(ACF; Anisotropic Conductive Film) 등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툴(tool)에 의해 열 및 압력을 가하는 것에 의해, 대응하는 입력 단자와 접속 단자가 각각 도전 접속한 상태로 된다.
상기의 플렉서블 배선 기판의 접속 단자열은, 전기 광학 패널의 입력 단자열과 정확히 대응하도록 형성되지만, 플렉서블 배선 기판은 폴리이미드 수지 등을 베이스로 하여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온도 변화나 흡습 등에 의한 팽창이나 수축이 크고, 이것에 의해 접속 단자열의 단자 피치가 변화된다. 따라서, 온도 변화나 흡습에 기인하는 영향을 받기 어려운 유리 기판 상에 형성되는 입력 단자열과의 사이에 배열 피치의 어긋남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접속 단자와 입력 단자의 배열 방향의 단자 위치가 정합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실장 불량을 초래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상기 복수의 입력 단자 및 복수의 접속 단자를, 입력 단자열 및 접속 단자열로부터 각각 단자의 배열 방향과 교차하는 기정의 방향으로 이간한 공통점을 통과하는 복수의 선을 따른 띠형으로 구성하고, 이것에 의해 플렉서블 배선 기판의 팽창이나 수축에 의해 접속 단자열의 배열 피치가 다소 변화되더라도, 입력 단자열과 접속 단자열을 상기 공통점으로부터의 거리가 변화되는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비키어 놓은 것에 따라 배열 피치를 정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단자 구조 및 실장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이하의 특허문헌 1 참조).
한편, 전기 광학 패널을 구비한 전기 광학 장치로서는, 전기 광학 패널에 접속된 플렉서블 배선 기판과, 이 플렉서블 배선 기판에 더 접속된 회로 기판을 갖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류의 전기 광학 장치에서는, 통상, 회로 기판 상에 구동 회로를 구성하는 반도체 칩 그 밖의 전자 부품이 탑재되고, 이 회로 기판을 전기 광학 패널에 도전 접속하기 위해 플렉서블 배선 기판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두개 이상의 전기 광학 패널을 구비한 전기 광학 장치도 알려져 있다. 예컨대, 한쪽의 전기 광학 패널 자체 또는 이것에 접속된 배선 기판 상에 구동 회로가 실장되고, 또한, 해당 한쪽의 전기 광학 패널과 다른 쪽의 전기 광학 패널이 플렉서블 배선 기판으로 도전 접속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이하의 특허문헌 2 및 3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3-258027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9-269498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2003-177684호 공보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배선 기판을 이용하여 전기 광학 패널과 회로 기판을 접속하는 경우나, 플렉서블 배선 기판을 이용하여 두개의 전기 광학 패널을 접속하는 경우에는, 접속 구조가 복잡하게 되어, 단자의 배열 피치도 협소 화되기 때문에, 전기 광학 장치 전체로서의 전기적 신뢰성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고, 또한, 장치 전체의 소형화, 치수 편차의 저감, 조립 시의 작업성의 향상 등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며, 그 과제는, 하나의 전자 부품에 대하여 복수의 다른 전자 부품을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장치의 전기적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구성을 실현하는 것이다. 또한, 이것에 덧붙여, 장치의 소형화, 치수 편차의 저감, 조립 시의 작업성의 향상 등을 도모할 수 있는 구성을 실현하는 것이다.
이러한 실정에 비추어, 본 발명의 전기 광학 장치는, 제 1 단자가 복수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제 1 단자군과, 제 2 단자가 복수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제 2 단자군을 구비하는 제 1 기판과, 상기 복수의 제 1 단자에 각각 대응하여 도전 접속된 복수의 제 3 단자가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제 3 단자군을 구비하는 제 2 기판과, 상기 복수의 제 2 단자에 각각 대응하여 도전 접속된 복수의 제 4 단자가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제 4 단자군을 구비하는 제 3 기판을 갖는 전기 광학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단자는, 해당 제 1 단자가 복수 배열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기정(旣定)의 방향으로 상기 제 1 단자군으로부터 이간한 제 1 공통점을 통과하는 복수의 선을 따라 각각 연장되고, 상기 제 1 공통점을 통과하는 축선에 대하여 선 대칭으로 배치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제 2 단자는, 해당 제 2 단자가 복수 배열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기정의 방향으로 상기 제 2 단자군으로부터 이간한 제 2 공통점을 통과하는 복수의 선을 따라 각각 연장되고, 상기 제 2 공통점을 통과하는 축선에 대하여 선 대칭으로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기판에 제 1 단자군 및 제 2 단자군이 마련되고, 제 1 단자군에 속하는 복수의 제 1 단자 및 제 2 단자군에 속하는 복수의 제 2 단자가 각각 제 1 공통점 및 제 2 공통점을 통과하는 복수의 선을 따라 연장하고, 또한, 이들 제 1 단자군과 대응하는 제 3 단자군이 제 2 기판에 마련되고, 제 2 단자군과 대응하는 제 4 단자군이 제 3 기판에 마련되는 것에 의해, 협소 피치의 단자 배열을 갖는 실장 구조를 구비하고 있더라도, 제 1 기판에 대하여 제 2 기판과 제 3 기판을 각각 단자간의 부정합을 피하여 확실히 실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고밀도의 단자 배열을 갖는 복잡한 실장 구조를 구비한 장치의 전기적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자군과 상기 제 2 단자군은 상기 제 1 기판의 반대쪽의 가장자리에 각각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면, 제 1 기판과 제 2 기판과의 사이의 실장시의 위치 조정의 방향과, 제 1 기판과 제 3 기판과의 사이의 실장시의 위치 조정의 방향이 동일 방향으로 되기 때문에, 실장시 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자군에 대하여 상기 제 1 공통점이 이간하고 있는 쪽과, 상기 제 2 단자군에 대하여 상기 제 2 공통점이 이간하고 있는 쪽이 같은 쪽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면, 제 1 기판의 팽창 또는 수축에 의해 단자의 배열 피치가 증대 또는 감소했을 때, 제 1 단자군과 제 3 단자군과의 실장 영역에서의 중첩 범위의 증감과, 제 2 단자군과 제 4 단자군과의 실장 영역에서의 중첩 범위의 증감이 반대의 관계로 되기 때문에, 제 2 기판으로부터 제 1 기판을 지나서 제 3 기판에까지 이르는 범위의 길이가 변화되기 어렵게 되기 때문에, 실장의 위치 조정에 따르는 치수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전기 광학 장치의 치수 편차를 억제하여 전자기기 등으로의 탑재를 용이하고 또한 확실히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자군에 대하여 상기 제 1 공통점이 이간하고 있는 쪽과, 상기 제 2 단자군에 대하여 상기 제 2 공통점이 이간하고 있는 쪽이 반대쪽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면, 제 1 단자군과 제 2 단자군을 대칭 형상으로 구성함으로써, 제 1 기판의 자세에 관계없이(제 1 단자군과 제 2 단자군을 반대로 이용하더라도) 실장을 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제 1 공통점은 상기 제 1 단자군에 대하여 상기 제 2 단자군쪽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공통점은 상기 제 2 단자군에 대하여 상기 제 1 단자군쪽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면, 제 1 기판의 팽창 또는 수축에 기인하는 제 1 단자군과 제 2 단자군의 거리의 증감과, 제 1 단자군과 제 3 단자군과의 실장 영역 및 제 2 단자군과 제 4 단자군과의 실장 영역에서의 중첩 범위의 증감이 대응하는 관계로 되기 때문에, 제 2 기판으로부터 제 1 기판을 지나서 제 3 기판에까지 이르는 범위의 길이가 변화되기 어렵게 되기 때문에, 실장의 위치 조정에 따르는 치수 변화를 억제할 수 있어, 그 결과, 전기 광학 장치를 전자기기 등에 탑재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 공통점 및 상기 제 2 공통점이 상기 제 1 단자군 및 상기 제 2 단자군에 대하여 모두 상기 제 1 기판으로부터 이간한 쪽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면, 제 1 기판이 제 2 기판이나 제 3 기판보다 팽창한 경우에, 제 1 단자군과 제 3 단자군과의 실장 영역 및 제 2 단자군과 제 4 단자군과의 실장 영역에서의 중첩 범위가 좁게 되기 때문에, 제 1 기판이 팽창하기 쉬운 재질이면, 제 2 기판이나 제 3 기판의 실장 영역을 좁은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특히,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영역의 외측의 주연부의 폭을 저감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자 부품은 플렉서블 배선 기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면, 플렉서블 배선 기판은 온도 변화나 흡습에 의한 치수 변화가 심하기 때문에, 전기 광학 패널이나 제 3 전자 부품과의 사이에 단자의 배열 피치의 부정합이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본 발명을 적용함으로써 매우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의 열팽창 계수와, 제 2 기판 및 제 3 기판의 열팽창 계수가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면, 제 1 기판에 대하여 제 2 기판 및 제 3 기판을 실장할 때에 열팽창 계수의 차에 기인하는 치수 변화가 생기기 때문에,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장 불량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이 효과적이게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배선 기판은, 복수의 제 1 단자가 배열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제 1 단자는 단자의 배열 방향과 교차하는 기정의 방향으로 이간한 제 1 공통점을 실질적으로 통과하는 복수의 선을 따라 각각 연장되는 제 1 단자군과, 복수의 제 2 단자가 배치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제 2 단자는 단자의 배열 방향과 교차하는 기정의 방향으로 이간한 제 2 공통점을 실질적으로 통과하는 복수의 선을 따라 각각 연장되는 제 2 단자군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 광학 장치의 제조 방법은, 제 1 단자가 복수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제 1 단자군과, 제 2 단자가 복수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제 2 단자군을 구비하는 제 1 기판과, 상기 복수의 제 1 단자에 각각 대응하여 도전 접속된 복수의 제 3 단자가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제 3 단자군을 구비하는 제 2 기판과, 상기 복수의 제 2 단자에 각각 대응하여 도전 접속된 복수의 제 4 단자가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제 4 단자군을 구비하는 제 3 기판을 갖는 전기 광학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단자는, 해당 제 1 단자가 복수 배열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기정의 방향으로 상기 제 1 단자군으로부터 이간한 제 1 공통점을 통과하는 복수의 선을 따라 각각 연장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제 2 단자는, 해당 제 2 단자가 복수 배열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기정의 방향으로 상기 제 2 단자군으로부터 이간한 제 2 공통점을 통과하는 복수의 선을 따라 각각 연장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기판의 열팽창 계수와, 제 2 기판 및 제 3 기판의 열팽창 계수가 다른 것이며, 상기 제 1 기판을 상기 제 2 기판에 열압착하여 실장할 때에, 열팽창 계수의 차에 의한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의 치수 변화의 차에 따라 상기 제 1 단자군과 상기 제 3 단자군을 위치 정렬하는 공정과, 상기 제 1 기판을 상기 제 3 기판에 열압착하여 실장할 때에, 열팽창 계수의 차에 의한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3 기판의 치수 변화의 차에 따라 상기 제 2 단자군과 상기 제 4 단자군을 위치 정렬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전자기기는, 상기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전기 광학 장치를 탑재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자기기로서는, 휴대전화기, 노트북형 퍼스널 컴퓨터 장치, 텔레비전 수상기, 전자시계, 액정 프로젝터 등을 들 수 있다.
(실시예 1)
다음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실시예 1의 전기 광학 장치(실장 구조체)(100)의 전체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전기 광학 장치(100)는, 접속 기판(제 1 기판)(110)과, 이 접속 기판(110)에 접속된 전기 광학 패널(제 2 기판을 포함하는 전자 부품)(120)과, 접속 기판(110)에 접속된 회로 기판(제 3 기판)을 갖고 있다. 또, 도 1에서는 도시의 형편상, 접속 기판(110)의 기체를 통해서 배선이나 단자가 투시되도록 도시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해당 기체는 불투명이더라도 좋다.
접속 기판(110)은 기체(111)가 합성 수지 등으로 구성된 플렉서블 배선 기판 인 것이 바람직하다. 플렉서블 배선 기판으로 함으로써 전기 광학 패널(120)의 배치나 자세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고 접속 기판(110)을 적절한 장소에 용이하게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접속 기판(110) 상에는, 예컨대, 구동 회로를 구성한 집적 회로 칩(반도체 칩) 등의 각종 전자 부품이 실장되어 있더라도 좋다.
접속 기판(110)에는, 폴리이미드 수지 등으로 구성되는 기체(111) 상에 알루미늄이나 구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도체에 의해 복수의 배선(115)이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배선(115)의 한쪽 선단부에는 각각 배선 패턴 상에 금 도금 등을 실시하여 이루어지는 제 1 단자(115t)가 이면 상에 노출된 상태로 형성되고, 이들 복수의 제 1 단자(115t)는 기본적으로 기정의 주기로 등 피치로 배열되고, 도시된 가로 방향으로 배열된 제 1 단자군(115G)을 구성하고 있다. 이 제 1 단자군(115G)은 접속 기판(110)의 한쪽의 가장자리(도면에서 위쪽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 1 단자(115t)는, 그 배열 방향(도면에서 좌우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간한 제 1 공통점 P1을 통과하는 복수의 선을 따라 각각 연장하는 띠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시예의 경우에는, 공통점 P1은 배열 방향과 직교하고, 또한, 배열 범위의 중점을 통과하는 중심선 상에 배치되고, 복수의 제 1 단자(115t)는 상기 중심선에 대하여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6은 제 1 단자(115t) 및 후술하는 제 3 단자(125t)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또, 이 도면에서, 제 1 단자군(115G)에 속하는 것 중, 배열 방향 양단에 배치된 한 쌍의 제 1 단자(115t)만을 도시하고, 다른 단자는 생략하고 있 다. 제 1 공통점 P1은, 제 1 단자군(115G)의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 1 단자(115t)의 연장 방향의 중점을 통과하는 배열축 X1과 직교하며, 제 1 단자군(115G)의 배열 방향의 중점을 통과하는 중심축 Y1 상에서의, 제 1 단자군(115G)으로부터 이간된 위치에 배치된다. 그리고, 복수의 제 1 단자(115t)는 모두 제 1 공통점 P1을 통과하는 복수의 선을 따라 각각 연장되도록 띠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W1은 제 1 단자군(115G)의 배열폭(제 3 단자의 배열 방향의 전폭), D1은 배열축 X1과 제 1 공통점 P1과의 사이의 중심축 Y1을 따른 거리이다.
다시 도 1에 되돌아가 설명한다. 접속 기판(110)의 다른 쪽의 가장자리(제 1 단자군(115G)과는 반대쪽의 가장자리, 도면에서 아래쪽 가장자리)에는, 상기 배선(115)의 다른 쪽의 선단부에 마련된 복수의 제 2 단자(115u)가 배열되어 있다. 이 제 2 단자(115u)도 또 상기 제 1 단자(115t)와 마찬가지로 구성되고, 도시된 가로 방향으로 배열된 제 2 단자군(115H)을 구성하고 있다. 이 제 2 단자군(115H)은, 상기와 같이, 배열 방향과 교차(직교)하는 방향으로 이간한 제 2 공통점 P2를 통과하는 복수의 선을 따라 연장하는 띠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 6에서의 제 1 단자군(115G)에 관한 설명은, 제 1 단자(115t)를 제 2 단자(115u)로, 제 1 단자군(115G)을 제 2 단자군(115H)로, 제 1 공통점 P1을 제 2 공통점 P2로, 각각 치환하는 것에 따라 제 2 단자군(115H)에 관한 설명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동일한 설명 부분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공통점 P1은 제 1 단자군(115G)에 대하여 접속 기판(110)의 반대의 가장자리쪽(제 2 단자군(115H)이 형성되어 있는 쪽)에 배치되고, 제 2 공통점 P2는 제 2 단자군(115H)에 대하여 접속 기판(110)으로부터 배반하는 쪽(제 1 단자군(115G)과는 반대쪽)에 배치되어 있다. 즉, 제 1 단자군(115G)에 대한 제 1 공통점 P1이 배치되어 있는 쪽과, 제 2 단자군(115H)에 대한 제 2 공통점 P2이 배치되어 있는 쪽이 같은 쪽(모두 도면에서 아래쪽)으로 설정되어 있다.
한편, 전기 광학 패널(120)은, 전기 광학물질에 전계를 인가함으로써 소망하는 표시 형태를 실현 가능한 것이고, 도시예에서는, 액정 표시 패널로 구성되어 있다. 전기 광학 패널(120)은, 유리나 플라스틱 등으로 구성된 기판(121)과 기판(122)이 밀봉재(123)를 거쳐 접합되고, 이들 기판 사이에 액정(124)이 봉입되어 이루어진다. 기판(121)과 기판(122)의 대향하는 내면 상에는 각각 ITO 등의 투명 도전체로 구성되는 복수의 전극이 배열되고, 서로 대향하는 전극이 평면적으로 겹치는 영역이 화소로 되어 있다. 이 화소는 종횡으로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여기서, 기판(121) 상에 형성된 전극(화소 전극)은 후술하는 선택 배선(125g) 및 데이터 배선(125s)에 접속된 능동 소자(예컨대 TFT; 박막 트랜지스터)에 접속된 화소 전극이며, 기판(122) 상에 형성된 전극(공통 전극)은 후술하는 공통 배선(125c)에 접속된 공통 전극이다. 또, 능동 소자로서는 상기의 TFT와 같은 3 단자형 비선형 소자뿐만 아니라, TFD(박막 다이오드)와 같은 2 단자형 비선형 소자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공통 전극은 복수의 띠형의 대향 전극으로서 구성된다.
기판(121)에는 기판(122)의 외형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여 이루어지는 기 판 돌출부(121T)가 마련되고, 이 기판 돌출부(121T)의 표면 상에, 상기 전극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속된 배선(125)이 인출되어 있다. 여기서, 배선(125)으로서, 상기 각 화소의 능동 소자(TFT)에 선택 신호(주사 신호 또는 게이트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선택 배선(125g), 상기 각 화소의 능동 소자(TFT)에 데이터 신호(소스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데이터 배선(125s), 및, 상기 공통 전극에 공통 전위를 공급하기 위한 하나 또는 복수의 공통 배선(125c)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복수의 배선(125)은, 각각 기정의 주기로 등 피치로 배열된 제 3 단자(125t)를 선단부에 구비하고 있다. 이들 복수의 제 3 단자(125t)는 제 3 단자군(125G)을 구성한다.
제 3 단자군(125G)은, 상기 제 1 단자군(115G)과 대응하는 배열 형태 및 단자 형상을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소정의 온도나 습도를 나타내는 환경 하에서, 복수의 제 3 단자(125t)는, 공통점 P3을 통과하는 복수의 선을 따른 띠형으로 구성되고, 공통점 P3은, 제 1 단자군(115G)과 제 3 단자군(125G)을 중첩시켜, 각 제 1 단자(115t)와 제 3 단자(125t)가 정합한 위치에 있을 때에, 제 1 공통점 P1과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시 도 6을 참조하여, 제 1 단자군(115G)과 제 3 단자군(125G)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제 3 단자군(125G)에 관해서도, 배열 방향 양단에 있는 한 쌍의 제 3 단자(125t)만을 도시하고, 다른 제 3 단자(125t)에 대해서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복수의 제 3 단자(125t)는, 각 제 3 단자(125t)의 중점을 연결하는 선 상에 배치된 배열축 X3을 따라 배열되고, 이 배열축 X3과 직교하며, 또한, 제 3 단자군(125G)의 배열 방향의 중점을 통과하는 중심축 Y3 상에서의, 제 3 단자군(125G)으로부터 이간한 위치에 공통점 P3이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W3은 제 3 단자군의 배열폭을 나타내고, D3은 배열축 X3과 공통점 P3과의 사이의 중심축 Y3을 따른 거리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소정의 온도나 습도를 나타내는 환경 하에서, 제 1 단자군(115G)과 제 3 단자군(125G)은 완전히 정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배열폭 W1=W3, 거리 D1=D3이며, 각 제 1 단자(115t)의 연장 위치 및 방향을 규정하는 제 1 공통점 P1을 통과하는 선과, 대응하는 각 제 3 단자(125t)의 연장 위치 및 방향을 규정하는 공통점 P3을 통과하는 선이 같은 경사각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의 환경(설계시의 환경)으로부터 온도 또는 습도가 변화함으로써 제 1 단자군(115G)의 배열폭 W1이 제 3 단자군(125G)의 배열폭 W3보다 커진 것으로 한다. 이 상황은, 예컨대, 접속 기판(110)이 기판(121)보다 열팽창 계수가 크고, 상기의 환경보다 온도가 높게 된 경우에 상당한다. 이 상황 하에서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속 기판(110)의 배열축 X1과 전기 광학 패널(120)의 배열축 X3을 포개어, 접속 기판(110)의 중심축 Y1과 전기 광학 패널(120)의 중심축 Y3을 포개었을 때(이러한 위치 정렬은 공지의 얼라인먼트 마크를 이용하는 것 등에 의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음)에도, 제 1 단자(115t)와 이것에 대응하는 제 3 단자(125t)는 정합하지 않고, 중심축 Y1 및 Y3 상에 배치된 단자를 제외하고, 제 1 단자(115t)는 대응하는 제 3 단자(125t)보다 외측(중심축 Y1 및 Y3으로부터 배열 방향으로 떨어진 쪽)에 배치된다. 이 때, 통상은 거리 D1>D2이기 때문에, 제 1 공 통점 P1은 공통점 P3보다 제 1 단자군(115G) 및 제 3 단자군(125G)으로부터 이간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래서, 제 1 공통점 P1이 공통점 P3을 향한 방향으로 접속 기판(110)을 전기 광학 패널(120)에 대하여 중심축 Y1 및 Y3을 따라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배열축 X1은 배열축 X3보다 상기 방향에 어긋나는 것으로 되지만, 곧, 도면의 점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든 제 1 단자(115t)가 각각 대응하는 제 3 단자(125t)에 겹치는 것으로 된다. 도 6은, 중심축 Y1 및 Y3의 방향에 접속 기판(110)을 전기 광학 패널(120)에 대하여 거리 Δy만큼 이동시킴으로써 제 1 단자군(115G)이 제 3 단자군(125G)에 완전히 정합한 상태로 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다시 도 1에 되돌아가 설명을 계속한다. 회로 기판(130)은, 유리 에폭시나 페놀 수지 등의 경질 소재로 구성된 기체(131) 상에 구리 등의 패턴으로 배선(135)이 형성되고, 또한, 이 기체(131) 상에, 구동 회로를 구성하는 반도체 칩과 그 밖의 전자 부품(132)이 실장된 것이다. 그리고, 복수의 입력 단자(136)에 소정의 제어 신호나 데이터 신호가 입력되는 것에 따라, 전기 광학 패널(120)에 대한 구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회로 기판(130)의 가장자리의 일부에는, 상기 제 2 단자군(115H)에 대응하는 제 4 단자군(135H)이 마련되어 있다. 제 4 단자군(135H)에는, 제 2 단자군(115H)에 속하는 복수의 제 2 단자(115u)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 형상 및 배열 형태가 되도록, 상기의 배선(135)의 단부에 형성된 복수의 제 4 단자(135u)가 마련되어 있다. 이들 복수의 제 4 단자(135u)는, 제 4 단자군(135H)의 배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간한 공통점 P4를 통과하는 복수의 선을 따라 연장하는 띠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제 2 단자군(115H)과 제 4 단자군(135H)의 관계는, 상기의 제 1 단자군(115G)과 제 3 단자군(125G)의 관계와 완전히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도 6에 있어서, 제 1 단자군(115G)을 제 2 단자군(115H)로 하고, 제 1 단자(115t)를 제 2 단자(115u)로 하며, 제 3 단자군(125G)을 제 4 단자군(135H)로 하고, 제 3 단자(125t)를 제 4 단자(135t)로 함으로써 상기의 제 1 단자군(115G)과 제 3 단자군(125G)의 관계와 마찬가지로 설명할 수 있으므로, 제 2 단자군(115H)과 제 4 단자군(135H)의 관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에는 상기의 접속 기판(110)의 평면도 및 단면도를 나타낸다. 접속 기판(110)은 폴리이미드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기체(111) 상에 구리나 알루미늄 등으로 구성된 배선(115)을 형성하고, 이 배선(115) 중, 상기의 제 1 단자(115t) 및 제 2 단자(115u)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양단부를 제외한 부분을, 절연 레지스트 등으로 구성된 절연피막(117)으로 피복한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제 1 단자(115t) 및 제 2 단자(115u)는 배선(115) 상에 금도금 등의 도전 접촉성이 양호한 표면 피복층을 형성한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는 상기의 접속 기판(110)의 대신에 이용할 수 있는 별도의 접속 기판(110')의 평면도 및 단면도를 나타낸다. 이 접속 기판(110')은, 제 1 단자군(115G)이 기체(111)의 한쪽의 면 상에 형성되고, 또한, 제 2 단자군(115H)이 기체(111)의 다른 쪽의 면 상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도 1에 나타내는 전 기 광학 장치(실장 구조체)(100)에 있어서, 접속 기판(110)의 단부의 이면이 전기 광학 패널(120)의 기판(121)의 표면에 대향하는 자세로 실장되고, 접속 기판(110)의 단부의 표면이 회로 기판(130)의 이면에 대향하는 자세로 실장되는 등, 접속 기판(110)에 대한 전기 광학 패널(120)의 실장면과 회로 기판(130)의 실장면이 표리 반대인 경우에 대응한 것이다.
이 접속 기판(110')에 있어서, 배선(115')은, 선단에 상기 제 1 단자(115t)를 갖고, 기체(111)의 한쪽의 면 상에 형성된 배선부(115a)와, 선단에 상기 제 2 단자(115u)를 갖고, 기체(111)의 다른 쪽의 면 상에 형성된 배선부(115b)로 구성되고, 배선부(115a)와 배선부(115b)가 기체(111)에 마련된 스루홀 내에 형성된 표리 도통부(115x)를 통해서 도전 접속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배선부(115a)의 제 1 단자(115t) 이외의 부분은 기체(111)의 한쪽의 면 상에 형성된 절연피막(117a)에 의해 피복되고, 배선부(115b)의 제 2 단자(115u) 이외의 부분이 기체(111)의 다른 쪽의 면 상에 형성된 절연피막(117b)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 또, 이 경우에, 제 1 단자(115t) 및 제 2 단자(115u)의 단자 피치가 작고, 배선(115)의 피치를 단자 피치와 마찬가지로 설정했을 때에는 표리 도통부(115x)간의 절연이 곤란한 경우에는, 도시와 같이, 복수의 배선부(115a, 115b)의 평면 패턴을 확대한 것에 의해, 표리 도통부(115x)의 배열 피치를 단자 피치보다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또 다른 접속 기판(110")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 접속 기판(110")에서는 제 1 단자군(115G) 내의 제 1 단자(115t)의 배열 피치와, 제 2 단자군(115H") 내의 제 2 단자(115u")의 배열 피치가 거의 동일하게 되도록 구성되 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성하기 위해, 배선(115")의 평면 패턴이 제 1 단자군(115G)의 기단에서 제 2 단자군(115H)의 기단부를 향해서 배열 피치가 서서히 넓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제 1 단자군(115G)과 제 2 단자군(115H)을 완전히 같은 배열 형태 및 형상으로 구성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에는, 제 1 단자군(115G)과 제 1 공통점 P1의 위치 관계와, 제 2 단자군(115H)과 제 2 공통점 P2의 위치 관계가 완전히 동일(합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제 1 단자군(115G)과 제 2 단자군(115H)의 단자 배열의 피치를 장치(100)의 사이즈나 형상에 대하여 모두 최적화할 수 있으므로, 전기적 신뢰성의 확보와 장치의 소형화(단자 배열의 협소 피치화)를 고 레벨로 양립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접속 기판(110)에 있어서, 전기 광학 패널(120)에 접속하기 위한 제 1 단자군(115G)을 마련하고, 또한, 회로 기판(130)에 접속하기 위한 제 2 단자군(115H)을 마련하고, 제 1 단자군(115G) 및 제 2 단자군(115H)의 어느 하나가, 제 1 공통점 P1 및 제 2 공통점 P2를 통과하는 복수의 선을 따라 각각 연장하는 띠형의 제 1 단자(115t) 및 제 2 단자(115u)를 배열시킨 것으로 한 것에 의해, 각각의 실장 영역에서 협소 피치로 단자가 배열되어 있던 경우에도, 온도나 습도 등에 근거하는 치수 변화에 의해 생기는 단자간의 부정합에 기인하는 실장 불량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장치의 전기적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단자군(115G)이 접속 기판(110)의 한쪽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제 2 단자군(115H)이 반대쪽 가장자리에 형성됨으로써, 제 1 단자군(115G)과 제 3 단 자군(125G)과의 실장 영역의 위치 조정(배열축 X1과 X3의 중첩 및 중심축 Y1과 Y3의 중첩, 및, 중심축 Y1, Y3에 따른 위치 조정)과, 제 2 단자군(115H)과 제 4 단자군(135H)과의 실장 영역의 위치 조정(상기와 동일한 조정)을 거의 동일 방향으로 설정하여 실시할 수 있으므로, 실장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또한, 제 1 단자군(115G)에 대한 제 1 공통점 P1이 배치되어 있는 쪽과, 제 2 단자군(115H)에 대한 제 2 공통점 P2가 배치되어 있는 쪽이 같은 쪽(모두 도면의 아래쪽)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에 의해, 설계시에 비해 환경이 변화한 것에 의해 접속 기판(110)이 전기 광학 장치(120) 및 회로 기판(130)에 대하여 설계시보다 상대적으로 팽창한 경우를 생각하면, 제 1 단자군(115G)을 제 3 단자군(125G)에 정합시키기 위해서는, 접속 기판(10)의 전기 광학 장치(120)에 대한 중심축 Y1 및 Y3에 따른 방향의 중첩 범위가 많아지도록 조정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는 반면, 제 2 단자군(115H)을 제 4 단자군(135H)에 정합시키기 위해서는, 접속 기판(10)의 회로 기판(130)에 대한 중심축에 따른 방향의 중첩 범위가 감소하도록 조정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이와 같이, 환경 변화에 의한 단자 피치의 부정합을 조정하는 경우에는, 제 1 단자군(115G)과 제 3 단자군(125G)의 실장 영역에서의 중첩 범위의 증감과, 제 2 단자군(115H)과 제 4 단자군(135H)의 실장 영역에서의 중첩 범위의 증감이 반대의 관계로 되기 때문에, 전기 광학 패널(120)로부터 접속 기판(110)을 지나서 회로 기판(130)에 이르는 범위의 길이 변화가 억제된다. 따라서, 전기 광학 장치(100) 전체의 치수 변화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전기 광학 장치(100)의 치수 편차가 저감되 어, 전기 광학 장치(100)를 전자기기 등에 탑재할 때에서의 치수 편차에 기인하는 불량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2)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 1 기판인 접속 기판(210)에 대하여, 제 2 기판을 포함하는 전기 광학 패널(220)과, 제 3 기판을 포함하는 전기 광학 패널(230)이 모두 접속된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접속 기판(210)은, 그 기체(211) 상에,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복수의 배선(215)과, 이들 배선(215)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 1 단자(215t)를 구비한 제 1 단자군(215G)과, 상기 배선(215)의 타단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 2 단자(215u)를 구비한 제 2 단자군(215H)을 구비한 것이며, 실시예 1의 접속 배선(110)과 마찬가지로, 제 1 단자군(215G) 및 제 2 단자군(215H)은 제 1 공통점 Q1 및 제 2 공통점 Q2에 의해 규정되는 단자 배열을 각각 갖고 있다.
단, 본 실시예의 접속 기판(210)은 실시예 1의 접속 기판(110)과 이하의 점에서 다르다. 즉, 실시예 1에서는 제 1 단자군(115G)에 대한 제 1 공통점 P1이 배치되어 있는 쪽 및 제 2 단자군(115H)에 대한 제 2 공통점 P2가 배치되어 있는 쪽이 모두 전기 광학 패널(120)과는 반대쪽이었던 것에 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단자군(215G)의 단자 배열 및 단자 형상을 결정하는 제 1 공통점 Q1 및 제 2 단자군(215H)의 단자 배열 및 단자 형상을 결정하는 제 2 공통점 Q2이, 제 2 기판을 포함하는 전기 광학 패널(220)측에 이간하여 배치되어 있는 점이다. 단, 실시예 1 이 본 실시예와 같이 구성되어 있더라도 좋고, 반대로, 본 실시예가 실시예 1과 같이 구성되어 있더라도 상관없다.
본 실시예의 전기 광학 패널(220)은, 기판(221)과 기판(222)을 밀봉재(223)에 의해 접합하고, 기판 사이에 액정(224)을 봉입한 것이며, 기판 돌출부(221T) 상에는 배선(225)이 인출되어 있다. 이들 배선(225)은, 각각 기판 돌출부(221T) 상에 실장된 데이터선 구동 회로(226) 및 주사선 구동 회로(228, 228)에 도전 접속되어 있다. 이 데이터선 구동 회로(226) 및 주사선 구동 회로(228)에는, 기판 돌출부(221T) 상에 실장된 접속 기판(240)을 거쳐서 입력 신호가 도입되게 되어 있다. 접속 기판(240)은 기체(241) 상에 복수의 배선(242)이 형성되고, 이들 배선(242)은 배선(225)의 단부에 마련된 입력 단자에 도전 접속되어 있다.
상기의 배선(225)으로서는, 데이터선 구동 회로(226)에 도전 접속된 데이터 배선(225s)과, 주사선 구동 회로(228)에 도전 접속된 선택 배선(225g)과, 마찬가지로 주사선 구동 회로(228)에 도전 접속된 선택 배선(225e)과, 입력 단자에 직접 접속된 공통 배선(225c)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선택 배선(225g)과 데이터 배선(225s)은 전기 광학 패널(220)의 구동 영역 내에 도입되어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해당 구동 영역 내에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된 각 화소마다 마련된 능동 소자(TFT 등의 3 단자형 비선형 소자)의 행 및 열에 각각 접속된다. 또한, 공통 배선(225c)은, 상기 능동 소자에 접속된 화소 전극과 대향하는 공통 전극에 접속된다.
전기 광학 패널(220)에는, 상기 기판 돌출부(221T)와는 반대쪽의 가장자리에 기판 돌출부(221U)가 마련되고, 이 기판 돌출부(221U)에는, 상기 선택 배선(225e), 데이터 배선(225s) 및 공통 배선(225c)이 인출되어 있다. 선택 배선(225e)은, 전기 광학 패널(220)의 구동 영역 내에 도입되는 선택 배선(225g)과는 별도로 주변 영역을 통과하여 기판 돌출부(221U)에 인출되어 있다. 또한, 데이터 배선(225s)은, 해당 구동 영역 내에 도입되고, 그대로 구동 영역의 반대쪽으로 연장되어 기판 돌출부(221U)에 인출되어 있다. 또한, 공통 배선(225c)은, 상기 구동 영역 내의 공통 전극에 도전 접속되어 있고, 또한 기판 주연부를 통과하여 기판 돌출부(221U) 상으로 인출되어 있다.
기판 돌출부(221U) 상에는, 상기 선택 배선(225e), 데이터 배선(225s) 및 공통 배선(225c)의 각각의 단부에 형성된 복수의 제 3 단자(225t)가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제 3 단자군(225G)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 3 단자군(225G)의 각 제 3 단자(225t)는, 공통점 Q3을 통과하는 복수의 선을 따라 연장하는 띠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단자군(215G)의 각 제 1 단자(215t)와 대응하는 배열 형태 및 형상으로 구성되고, 대응하는 각 제 1 단자(215t)에 각각 도전 접속되어 있다.
한편, 제 3 기판을 포함하는 전기 광학 패널(230)은, 기판(231)과 기판(232)이 밀봉재(233)에 의해 접합되고, 기판 사이에 액정(234)이 봉입된 것이며, 그 기판 돌출부(231T) 상에는 배선(235)이 인출되고, 이들 배선(235)의 선단에 제 4 단자(235u)가 마련되어 있다. 복수의 제 4 단자(235u)는 기판 돌출부(231T)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열되어, 제 4 단자군(235H)을 구성하고 있다.
상기 배선(235)으로서는, 전기 광학 패널(230)의 구동 영역 내에 각각 도입 되는 선택 배선(235g), 데이터 배선(235s) 및 공통 배선(235c)이 포함된다. 선택 배선(235g) 및 데이터 배선(235s)은 모두 구동 영역 내에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된 각 화소마다 형성된 능동 소자에 접속된다. 또한, 공통 배선(235c)은 상기 능동 소자에 접속되는 화소 전극과 대향하는 공통 전극에 도전 접속된다. 복수의 제 4 단자(235u)는 공통점 Q4를 통과하는 복수의 선을 따라 연장하는 띠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단자군(215H)과 대응한 배열 및 형상으로 구성되어, 대응하는 각 제 2 단자(215u)에 각각 도전 접속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제 2 단자군(215H)과 제 4 단자군(235H)의 실장 구조에 의해, 선택 배선(225e)은 선택 배선(235g)에 도전 접속되고, 데이터 배선(225s)은 데이터 배선(235s)에 도전 접속되고, 공통 배선(225c)은 공통 배선(235c)에 도전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데이터선 구동 회로(226)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는 데이터 배선(225s)을 통해 전기 광학 패널(220)의 구동 영역 내의 각 화소에 공급되고, 또한, 접속 기판(210)을 거쳐 데이터 배선(235s)에 접속되어, 전기 광학 패널(230)의 구동 영역 내의 각 화소에도 공급된다. 또한, 주사선 구동 회로(228)로부터 출력되는 선택 신호의 일부는 선택 배선(225e) 및 접속 기판(210)을 거쳐 선택 배선(235g)에 접속되어, 전기 광학 패널(230)의 구동 영역 내의 각 화소로 공급된다. 따라서, 전기 광학 패널(220, 230)에는 각각의 주사 신호가 공급되지만, 공급되는 데이터 신호는 공통이며, 같은 데이터 신호에 근거하여 구동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전기 광학 패널(220)과 전기 광학 패널(230)을 공통의 데이터선 구동 회로(226) 및 주사선 구동 회로(228)로 구동할 수 있다. 또, 도시예에서는 전기 광학 패널(220)의 구동 영역으로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데이터 배선(225s)의 모두가 그대로 전기 광학 패널(230)의 구동 영역으로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데이터 배선(235s)에 도전 접속되어 있지만, 전기 광학 패널(230)의 표시 화소수가 전기 광학 패널(220)의 그것보다 적은 경우에는 데이터 배선(225s)의 일부만이 데이터 배선(235s)에 도전 접속되도록 구성하더라도 좋다.
(실시예 3)
다음에,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의 접속 기판(31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접속 기판(310)의 평면도이다. 이 접속 기판(310)은, 상기 실시예 1의 접속 기판(110)의 대신에 이용할 수 있고, 실시예 2의 접속 기판(210)의 대신에 이용할 수도 있다.
접속 기판(310)은, 기체(311) 상에 복수의 배선(315)을 구비하고 있고, 또한, 이들 배선(315)의 한쪽 단부에 마련된 복수의 제 1 단자(315t)가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제 1 단자군(315G)과, 다른 쪽의 단부에 마련된 복수의 제 2 단자(315u)가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제 2 단자군(315H)을 갖고 있다. 제 1 단자군(315G) 및 제 2 단자군(315H)의 각각의 구성은 기본적으로 상기 각 실시예의 것과 마찬가지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 제 1 단자군(315G)에 속하는 복수의 제 1 단자(315t)가 연 장되는 방향을 규정하는 제 1 공통점 R1은, 제 1 단자군(315G)에 대하여 접속 기판(310)의 반대의 가장자리쪽(제 2 단자군(315H)쪽)에 배치되고, 마찬가지로 제 2 단자군(315H)에 속하는 복수의 제 2 단자(315u)가 연장되는 방향을 규정하는 제 2 공통점 R2는, 제 2 단자군(315H)에 대하여 접속 기판(310)의 반대의 가장자리쪽(제 1 단자군(315G)쪽)에 배치된다. 즉, 제 1 단자군(315G)과 제 2 단자군(315H)은 모두 선단측이 열리도록 구성된 단자의 배열 형태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단자군(315G)과 제 2 단자군(315H)을 상하 방향으로 대칭인 배열 형태로 하는(같은 배열 피치로 대칭인 배열 자세로 되도록 함) 것에 의해, 접속 기판(310)의 상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된 제 1 단자군(315G)과 제 2 단자군(315H)의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도 같은 실장 형태를 얻을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실장 작업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접속 기판(310)의 치수 변화에 의해 실장 상대 부재 상의 단자군과의 부정합을 위치 조정에 의해 해소할 때는, 접속 기판(310)의 도시 상하 방향의 길이(제 1 단자군(315G)과 제 2 단자군(315H)의 거리)의 증감과, 실장 영역의 중첩 범위의 증감이 대응한다. 예컨대, 접속 기판(310)의 도시 상하 방향의 길이가 증대할 때에는 제 1 단자군(315G) 및 제 2 단자군(315H)의 단자의 배열 피치도 넓어지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도 6에 나타내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접속 기판(310)을 실장 상대 부재에 대하여 보다 넓은 범위로 포개도록 위치 조정을 하면 단자 배열이 정합하게 된다. 따라서, 접속 기판(310)의 상하 방향의 길이의 증감이, 상하 양단에 마련된 제 1 단자군(315G)과 제 2 단자군(315H)의 각각의 실장 영역에서의 중첩 범위의 증감으로 보충하는 모양이 되기 때문에, 접속 기판(310)의 상하 양측에 접속된 도시하지 않는 실장 상대 부재(제 2 기판과 제 3 기판)로 이루어지는 장치 전체의 상하 방향의 길이의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예 4)
다음에,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4의 접속 기판(41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접속 기판(410)의 평면도이다. 이 접속 기판(410)은, 상기 실시예 1의 접속 기판(110)의 대신에 이용할 수 있고, 실시예 2의 접속 기판(210)의 대신에 이용할 수도 있다.
접속 기판(410)은, 기체(411) 상에 복수의 배선(415)을 구비하고 있고, 또한, 이들 배선(415)의 한쪽의 단부에 마련된 복수의 제 1 단자(415t)가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제 1 단자군(415G)과, 다른 쪽의 단부에 마련된 복수의 제 2 단자(415u)가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제 2 단자군(415H)을 갖고 있다. 제 1 단자군(415G) 및 제 2 단자군(415H)의 각각의 구성은 기본적으로 상기 각 실시예의 것과 마찬가지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 제 1 단자군(415G)에 속하는 복수의 제 1 단자(315t)가 연장되는 방향을 규정하는 제 1 공통점 S1은, 제 1 단자군(415G)에 대하여 접속 기판(310)으로부터 이간하는 쪽으로 배치되고, 마찬가지로 제 2 단자군(415H)에 속하는 복수의 제 2 단자(415u)가 연장되는 방향을 규정하는 제 2 공통점 S2는, 제 2 단자군(415H)에 대하여 접속 기판(410)으로부터 이간하는 쪽으로 배치된다. 즉, 제 1 단자군(415G)과 제 2 단자군(415H)은 모두 선단측이 닫히도록 구성된 단자의 배열 형태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단자군(415G)과 제 2 단자군(415H)을 상하 방향으로 대칭인 배열 형태로 하는(같은 배열 피치로 대칭인 배열 자세로 되도록 함) 것에 의해, 접속 기판(410)의 상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된 제 1 단자군(415G)과 제 2 단자군(415H)의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도 같은 실장 형태를 얻을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실장 작업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접속 기판(410)의 치수 변화에 의해 실장 상대 부재 상의 단자군과의 부정합을 위치 조정에 의해 해소할 때는, 접속 기판(410)의 제 1 단자군(415G) 및 제 2 단자군(415H)의 단자의 배열 피치가 실장 상대의 단자군의 그것보다 넓어지고 있는 경우, 실시예 3과는 반대로 접속 기판(410)의 실장 상대 부재에 대한 중첩 범위를 좁히도록 위치 조정을 하면 단자 배열이 정합하게 된다. 따라서, 접속 기판(410)과 실장 상대 부재(제 2 기판이나 제 3 기판)의 실장 영역의 범위를 저감할 수 있으므로, 이들 기판의 소형화나 전기 광학 패널의 주변 영역의 폭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전자기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의 다른 실시예인 휴대전화기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 나타내는 휴대전화기(1000)는, 복수의 조작버튼(1001a, 1001b) 및 송화구 등을 구비한 조작부(1001)와, 표시 화면(1002A, 1002B) 및 수화구 등을 구비한 표시부(1002)를 갖고, 표시부(1002)의 내부에 상기의 전기 광학 장치(200)가 내장되어 이루어진다. 조작부(1001)와 표시부(1002)는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 9(a)는 개방 상태를 나타내고, 도 9(b)는 폐쇄 상태를 나타낸다.
전기 광학 장치(200)는, 접속 기판(210)이 접힌 상태로 되는 것에 의해, 전기 광학 패널(220)과 전기 광학 패널(230)이 등을 맞대고 있는 자세로 되어 표시부(1002)의 내부에 내장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전기 광학 패널(220)과 전기 광학 패널(230) 사이에 백 라이트 등이 배치된다. 그리고, 표시부(1002)의 내면 상에 마련된 표시 화면(1002A)에서 상기 전기 광학 패널(220)에 의해 형성된 표시 화상을 시인할 수 있도록, 또한, 표시부(1002)의 외면 상에 마련된 표시 화면(1002B)에서 상기 전기 광학 패널(230)에 의해 형성된 표시 화상을 시인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 광학 장치, 실장 구조체, 접속 기판, 및, 전자기기는, 상술의 도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경을 가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예컨대, 상기 각 실시예의 전기 광학 장치는 액정 표시체를 구성하는 전기 광학 패널을 포함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에서는, 액정 표시체에 한정되지 않고, 유기 전계 발광 장치, 전기 영동 표시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등의 각종의 전기 광학 패널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 광학 패널을 포함하는 전기 광학 장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접속 기판과 회로 기판을 접속한 실장 구조체 등, 하나의 기판이 2 이상의 기판에 접속되어 이루어지는 구조를 구비한 각종의 실장 구조체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전자 부품에 대하여 복수의 다른 전자 부품을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장치의 전기적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구성을 실현하고, 또한, 이것에 덧붙여, 장치의 소형화, 치수 편차의 저감, 조립 시의 작업성의 향상 등을 도모할 수 있는 구성을 실현하는 전기 광학 장치, 배선 기판, 전기 광학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전자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1)

  1. 제 1 단자가 복수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제 1 단자군과, 제 2 단자가 복수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제 2 단자군을 구비하는 제 1 기판과,
    상기 복수의 제 1 단자에 각각 대응하여 도전 접속된 복수의 제 3 단자가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제 3 단자군을 구비하는 제 2 기판과,
    상기 복수의 제 2 단자에 각각 대응하여 도전 접속된 복수의 제 4 단자가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제 4 단자군을 구비하는 제 3 기판을 갖는 전기 광학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단자는, 그 제 1 단자가 복수 배열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기정(旣定)의 방향으로 상기 제 1 단자군으로부터 떨어진 제 1 공통점을 통과하는 복수의 선을 따라 각각 연장되고, 상기 제 1 공통점을 통과하는 축선에 대하여 선 대칭으로 배치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제 2 단자는, 그 제 2 단자가 복수 배열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기정의 방향으로 상기 제 2 단자군으로부터 떨어진 제 2 공통점을 통과하는 복수의 선을 따라 각각 연장되고, 상기 제 2 공통점을 통과하는 축선에 대하여 선 대칭으로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자군과 상기 제 2 단자군은 상기 제 1 기판의 반대쪽의 가장자리에 각각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자군에 대하여 상기 제 1 공통점이 떨어져 있는 쪽과, 상기 제 2 단자군에 대하여 상기 제 2 공통점이 떨어져 있는 쪽이 같은 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자군에 대하여 상기 제 1 공통점이 떨어져 있는 쪽과, 상기 제 2 단자군에 대하여 상기 제 2 공통점이 떨어져 있는 쪽이 반대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통점은, 상기 제 1 단자군에 대하여, 상기 제 2 단자군쪽에 배 치되고,
    상기 제 2 공통점은, 상기 제 2 단자군에 대하여, 상기 제 1 단자군쪽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통점 및 상기 제 2 공통점이 상기 제 1 단자군 및 상기 제 2 단자군에 대하여 모두 상기 제 1 기판으로부터 떨어진 쪽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이 플렉서블 배선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의 열팽창 계수와, 제 2 기판 및 제 3 기판의 열팽창 계수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9. 복수의 제 1 단자가 배열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제 1 단자는 단자의 배열 방향과 교차하는 기정의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제 1 단자로부터 떨어진 제 1 공통점을 실질적으로 통과하는 복수의 선을 따라 각각 연장하는 제 1 단자군과,
    복수의 제 2 단자가 배치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제 2 단자는 단자의 배열 방향과 교차하는 기정의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제 2 단자로부터 떨어진 제 2 공통점을 실질적으로 통과하는 복수의 선을 따라 각각 연장하는 제 2 단자군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기판.
  10. 제 1 단자가 복수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제 1 단자군과, 제 2 단자가 복수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제 2 단자군을 구비하는 제 1 기판과, 상기 복수의 제 1 단자에 각각 대응하여 도전 접속된 복수의 제 3 단자가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제 3 단자군을 구비하는 제 2 기판과, 상기 복수의 제 2 단자에 각각 대응하여 도전 접속된 복수의 제 4 단자가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제 4 단자군을 구비하는 제 3 기판을 갖는 전기 광학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단자는, 그 제 1 단자가 복수 배열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기정의 방향으로 상기 제 1 단자군으로부터 떨어진 제 1 공통점을 통과하는 복수의 선을 따라 각각 연장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제 2 단자는, 그 제 2 단자가 복수 배열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기정의 방향으로 상기 제 2 단자군으로부터 떨어진 제 2 공통점을 통과하는 복수의 선을 따라 각각 연장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기판의 열팽창 계수와, 제 2 기판 및 제 3 기판의 열팽창 계수가 다른 것이며,
    상기 제 1 기판을 상기 제 2 기판에 열압착하여 실장할 때에, 열팽창 계수의 차에 의한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의 치수 변화의 차에 따라 상기 제 1 단자군과 상기 제 3 단자군의 위치를 맞추는 공정과,
    상기 제 1 기판을 상기 제 3 기판에 열압착하여 실장할 때에, 열팽창 계수의 차에 의한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3 기판의 치수 변화의 차에 따라 상기 제 2 단자군과 상기 제 4 단자군의 위치를 맞추는 공정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의 제조 방법.
  11.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기 광학 장치를 탑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KR1020070022497A 2006-03-08 2007-03-07 전기 광학 장치, 배선 기판, 전기 광학 장치의 제조 방법및 전자기기 KR1008670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62151 2006-03-08
JP2006062151A JP4635915B2 (ja) 2006-03-08 2006-03-08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2162A true KR20070092162A (ko) 2007-09-12
KR100867062B1 KR100867062B1 (ko) 2008-11-04

Family

ID=38532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2497A KR100867062B1 (ko) 2006-03-08 2007-03-07 전기 광학 장치, 배선 기판, 전기 광학 장치의 제조 방법및 전자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70222777A1 (ko)
JP (1) JP4635915B2 (ko)
KR (1) KR100867062B1 (ko)
CN (1) CN10103421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57602B2 (ja) 2008-04-03 2013-03-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10141169A (ja) * 2008-12-12 2010-06-24 Fujitsu Ltd 電極基板、電極基板の検査方法、半導体素子の実装方法
KR101681820B1 (ko) * 2012-03-21 2016-12-01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액티브 매트릭스 기판 및 이를 구비한 표시패널
KR102379591B1 (ko) * 2014-04-10 2022-03-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부품,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본딩 방법
US11457531B2 (en) 2013-04-29 2022-09-27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nic component, electric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bonding method thereof
KR102334547B1 (ko) * 2014-06-17 2021-12-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어레이 기판 및 이를 이용한 집적 회로 실장 방법
CN105632393B (zh) * 2016-01-13 2018-04-20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阵列基板与显示面板
CN105654856A (zh) 2016-02-04 2016-06-0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及其芯片邦定方法
CN105551378A (zh) * 2016-02-04 2016-05-0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覆晶薄膜、柔性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05513499B (zh) * 2016-02-04 2018-03-3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面板、显示装置及其绑定方法
CN106298862A (zh) * 2016-10-31 2017-01-04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显示模组
EP3564936A1 (en) * 2016-12-30 2019-11-06 Shenzhen Royole Technologies Co., Ltd. Flexible display panel
JP2018128487A (ja) * 2017-02-06 2018-08-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パネル、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WO2018193927A1 (ja) * 2017-04-19 2018-10-25 凸版印刷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上の接続電極とフレキシブルicの接続電極との接続構造、表示パネル、接続方法
US20200136281A1 (en) * 2018-10-30 2020-04-30 HKC Corporation Limited Lead assembly and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88886U (ko) * 1986-11-27 1988-06-09
DE69013984T2 (de) * 1989-06-09 1995-04-20 Sharp Kk Flüssigkristall-Anzeigevorrichtung.
JPH04369622A (ja) * 1991-06-19 1992-12-22 Hitachi Ltd 液晶表示基板、液晶表示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US5951304A (en) * 1997-05-21 1999-09-14 General Electric Company Fanout interconnection pad arrays
JPH11284304A (ja) * 1998-03-27 1999-10-15 Canon Inc 回路部品の接続端子構造及び端子接続方法
WO2000059074A1 (fr) 1999-03-31 2000-10-05 Seiko Epson Corporation Procede de connexion d'electrodes, connecteur a pas etroit, dispositif de modification du pas, micromachine, actionneur piezoelectrique, actionneur electrostatique, tete a jet d'encre, imprimante a jet d'encre, dispositif a cristaux liquides et dispositif electronique
JP2003046212A (ja) * 2001-07-27 2003-02-14 Seiko Epson Corp 電子デバイス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設計方法、回路基板並びに電子機器
JP2004271611A (ja) * 2003-03-05 2004-09-30 Pioneer Electronic Corp フラットパネル型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240808A (ja) 2007-09-20
CN101034213A (zh) 2007-09-12
US20070222777A1 (en) 2007-09-27
JP4635915B2 (ja) 2011-02-23
KR100867062B1 (ko) 2008-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7062B1 (ko) 전기 광학 장치, 배선 기판, 전기 광학 장치의 제조 방법및 전자기기
JP4254883B2 (ja) 配線基板、実装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11841568B2 (en) Display panel and tile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0856640B1 (ko) 실장 구조체,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
CN101160020B (zh) 柔性基板、具备其的电光装置以及电子设备
KR100429725B1 (ko)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기기
US8754332B2 (en) Display device
KR100899052B1 (ko) 전기 광학 장치, 전기 광학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전자기기
KR100454792B1 (ko) 가요성 기판,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
US11393891B2 (en) Display device having reduced non-display area
TW202036127A (zh) 顯示裝置及其製造方法
US10845658B2 (en) Display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peripheral wirings
CN114677987B (zh)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7591651B2 (en) Substrate with helically curved terminals superimposed and connected to identical terminals on a second substrate
US8975756B2 (en) Electric terminal device and method of connecting the same
JP3365305B2 (ja) 半導体チップ、その実装構造および液晶表示装置
US11703726B2 (en) Display device
US20200363687A1 (en) Circuit substrate and display apparatus
US20050133912A1 (en)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JP2007240809A (ja) 電気光学装置、電子機器、及び、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
JP3482881B2 (ja) 半導体実装構造、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8083312A (ja) 実装構造体、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20010094809A (ko) 액정표시장치
KR20060072767A (ko) 액정표시소자
JP2006039449A (ja) 電気光学装置、配線基板およ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