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2156A -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시분할이중화 무선중계 장치 - Google Patents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시분할이중화 무선중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2156A
KR20070092156A KR1020070022436A KR20070022436A KR20070092156A KR 20070092156 A KR20070092156 A KR 20070092156A KR 1020070022436 A KR1020070022436 A KR 1020070022436A KR 20070022436 A KR20070022436 A KR 20070022436A KR 20070092156 A KR20070092156 A KR 200700921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feedback
relay
feedback sign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2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3051B1 (ko
Inventor
백승준
장병수
이성춘
류규태
김정휘
이종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주)에어포인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주)에어포인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ublication of KR20070092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2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3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30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20Repeater circuits; Relay circuits
    • H04L25/24Relay circuits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 H04L25/242Relay circuits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reti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5/00Suppression or limitation of noise or interference
    • H04B15/02Reducing interference from electric apparatus by means located at or near the interfer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02Details
    • H04B3/36Repeater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64Relay station antennae loop interference reduction
    • H04B7/15585Relay station antennae loop interference reduction by interference cancel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32Carrier system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s of two or more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s H04L27/02, H04L27/10, H04L27/18 or H04L27/26
    • H04L27/34Amplitude- and 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quadrature-amplitude modulated carrier systems
    • H04L27/36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 H04L27/366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undesirable properties of the transmission path between the modulator and the demodulator
    • H04L27/367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undesirable properties of the transmission path between the modulator and the demodulator using predistor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AFEC)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시분할 이중화 무선중계 장치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동기 신호를 이용하여 무선 채널 환경 변화에 적응적으로 동작하여 신호 중계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중계 대상 신호로부터 귀환신호 성분을 완벽하게 제거하여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전치왜곡정보를 이용하여 전력증폭기의 비선형 특성을 선형화하기 위한,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시분할 이중화 무선중계 장치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시분할 이중화(TDD) 무선중계 장치에 있어서, 기지국과 중계하고자 하는 신호(순/역방향 중계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도너 안테나; 상기 도너 안테나를 통해서 송/수신되는 순/역방향 중계신호를 대역 필터링하기 위한 제1 필터링 수단; 동기 획득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필터링 수단으로부터의 순방향 중계신호를 제1 하향 변환부로 스위칭하거나 제2 상향 변환부로부터의 역방향 중계신호를 상기 제1 필터링 수단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도너 스위칭부; 상기 도너 스위칭부 에서 스위칭된 순방향 중계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 변환하기 위한 상기 제1 하향 변환부; 상기 제1 하향 변환부에서 하향 변환된 순방향 중계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과의 동기를 획득하기 위한 상기 동기 획득부; 상기 동기 획득부로부터의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하향 변환부에서 하향 변환된 순방향 중계신호 또는 제2 하향 변환부에서 하향 변환된 역방향 중계신호로부터 귀환신호를 제거하고 순/역방향 중계신호의 이득을 조절하며, 전치왜곡 신호처리부와 상호 연동하여 전치왜곡정보를 이용하여 순방향 중계신호의 선형 전력 증폭을 제어하기 위한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 상기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와 상호 연동하여 전치왜곡정보에 따라 상기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로부터의 순방향 중계신호를 선형적으로 전력 증폭하기 위한 상기 전치왜곡 신호처리부; 서비스 영역의 단말기와 중계하고자 하는 신호(순/역방향 중계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서비스 안테나; 상기 서비스 안테나를 통해서 송/수신되는 순/역방향 중계신호를 대역 필터링하기 위한 제2 필터링 수단; 상기 동기 획득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치왜곡 신호처리부로부터의 순방향 중계신호를 상기 제2 필터링 수단으로 스위칭하거나 상기 제2 필터링 수단으로부터의 역방향 중계신호를 상기 제2 하향 변환부로 스위칭하기 위한 서비스 스위칭부; 상기 서비스 스위칭부에서 스위칭된 역방향 중계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 변환하여 상기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로 전달하기 위한 상기 제2 하향 변환부; 및 상기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로부터의 역방향 중계신호를 고주파 대역의 중계신호로 상향 변환하여 상기 도너 스위칭부로 전달하기 위한 상기 제2 상향 변환부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 등에 이용됨.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 시분할 이중화(TDD), 무선중계, 기지국 정보(ID, 세그먼트), 귀환신호, 이득 조절, 지연 조절

Description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시분할 이중화 무선중계 장치{AFEC and method, and TDD radio repeating apparatus using that}
도 1은 일반적인 TDD 무선중계 장치의 일 예시도,
도 2는 일반적인 무선중계 장치의 다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분할 이중화(TDD) 무선중계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시분할 이중화(TDD) 무선중계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분할 이중화(TDD) 무선중계 장치의 다른 실시예 구성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와 전치왜곡 신호처리부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0 : 도너 안테나 301 : 도너 대역 통과 필터
302 : 도너 스위칭부 303 : 제 1 하향 변환부
304 :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 305 : 동기 획득부
306 : 제 1 상향 변환부 307 : 서비스 스위칭부
308 : 서비스 대역 통과 필터 309 : 서비스 안테나
310 : 제 2 하향 변환부 311 : 제 2 상향 변환부
404 : 제 1 귀환신호 제거부 406 : 제 1 역귀환신호 합성부
408 : 제 1 귀환신호 검출부 410 : 제 1 자동 이득 조절부
412 : 제 1 자동 지연 조절부 414 : 제어부
416 : 제 2 귀환신호 제거부 418 : 제 2 역귀환신호 합성부
420 : 제 2 귀환신호 검출부 422 : 제 2 자동 이득 조절부
424 : 제 2 자동 지연 조절부 610 : 전치왜곡 신호처리부
본 발명은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AFEC)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시분할 이중화 무선중계 장치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동기 신호를 이용하여 무선 채널 환경 변화에 적응적으로 동작하여 신호 중계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중계 대상 신호로부터 귀환신호 성분을 완벽하게 제거하여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시분할 이중화 무선중계 장치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기지국에서 단말기로의 신호 전달 방향을 순방향이라 하고, 단말기에서 기지국으로의 신호 전달 방향을 역방향이라고 하기로 한다.
시분할 이중화(이하, "TDD"라 함) 무선중계 장치는 기지국의 무선 송/수신 부분을 연장하기 위한 장치로서, 건물 내, 지하 등과 같은 전파 음영 지역에서 저렴한 비용으로 이동통신 서비스를 매우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장비이다. 따라서 이러한 TDD 무선중계 장치는 가입자 용량 증대와 특정 지역에 대한 서비스를 위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TDD 무선중계 장치는 동일한 송/수신 주파수를 이용하여 일정 시간 간격으로 기지국에서 단말기로(순방향), 단말기에서 기지국으로(역방향)의 신호 전달을 주기적으로 온/오프(ON/OFF)하는 장치로서, 기지국으로부터의 전파를 수신하여 서비스 영역으로 복사하는 하향 링크와, 서비스 영역(단말기)으로부터의 전파를 수신하여 이를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상향 링크가 교대로 온/오프(ON/OFF)되도록 동작을 수행한다. 이러한 온/오프(ON/OFF) 동작은 동기 획득부를 통해서 제어되는데, 스위칭부가 도너 및 서비스 안테나 단에 위치하여 기지국에서 단말기 혹은 단말기에서 기지국으로 신호가 전달되도록 상기 동기 획득부의 제어에 따라 동작한다.
이때, TDD 방식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상향 및 하향 링크의 온/오프(ON/OFF) 동작 타이밍을 맞추기 위해서는 기지국으로부터 단말기로의 하향 링크 에 대한 동기 획득 과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동기 획득 과정은 보통 하향 링크의 프리앰블을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프리앰블은 TDD 방식에서 동기 획득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구조화되어 있고, 기지국에 대한 아이디(ID) 및 세그먼트 정보를 가지고 있어서, 동기 획득부의 신호 처리 과정을 통해 이러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TDD 무선중계 장치의 일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TDD 무선중계 장치는 기지국과 연결되는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도너 안테나(100), 상기 도너 안테나(100)를 통해서 송/수신되는 신호를 대역 필터링하기 위한 도너 대역 통과 필터(101), 상기 도너 대역 통과 필터(101)와 제1 하향 변환부(103)/제2 상향 변환부(112) 사이에 위치하여, 동기 획득부(105)의 제어에 따라 송/수신 신호를 스위칭하기 위한 도너 스위칭부(102), 상기 도너 스위칭부(102)로부터의 수신 신호를 하향 변화하기 위한 제1 하향 변환부(103), 상기 제1 하향 변환부(103)에 의해서 하향 변환된 수신 신호를 필터링하기 위한 제1 대역 필터(104), 상기 제1 대역 필터(104)로부터 수신 신호를 전달받아 TDD 무선중계신호의 동기를 획득하기 위한 동기 획득부(105), 상기 제1 대역 필터(104)로부터 수신 신호를 전달받아 하향 변화된 중계신호(수신 신호)를 원래의 중계신호로 상향 변환하기 위한 제1 상향 변환부(106), 상기 제1 상향 변환부(106)/제2 하향 변환부(110)와 서비스 대역 통과 필터(108)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동기 획득부(105)의 제어에 따라 송/수신 신호를 스위칭하기 위한 서비스 스위칭부(107), 서비스 안테나(109)를 통해서 송/수신되는 신호를 대역 필터링하기 위 한 서비스 대역 통과 필터(108), 및 서비스 영역의 단말기와 연결되는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서비스 안테나(109)를 포함한다. 여기서, 역방향(단말기에서 기지국으로의 신호 전송)의 동작은 전술한 순방향의 동작과 유사하여 상기 설명과 도 1을 참조하여 당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상기 TDD 무선중계 장치는 도너 안테나(100)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강할 경우, 출력 신호가 서비스 안테나(109)로 귀환하여 다시 증폭되고 도너 안테나(100)를 통해 복사되어 발진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는 역으로도 성립된다. 이러한 발진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도너 안테나(100)와 서비스 안테나(109) 간의 격리도가 이득보다 크게 되도록 두 개의 안테나를 멀리 이격시켜 설치해야 하는데, 이렇게 두 개의 안테나를 멀리 이격시켜 설치하는 경우에는 설치비용이 증대되는 단점이 있다. 아울러, 송신 신호의 귀환 현상(발진 문제)을 충분히 경감시키기 위해서는 무선중계 장치의 이득을 낮추어 설계해야 하는 제약이 따른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무선중계 장치가 제안되었다.
도 2는 일반적인 무선중계 장치의 다른 예시도로서, 하향 링크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무선중계 장치에서 동기 획득 과정은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고, 여기에서는 상향 링크 및 하향 링크의 구조가 동일하기 때문에 스위칭부 없이 하향 링크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무선중계 장치가 도 1에서 설명한 TDD 무선중계 장치와 다른 점은, 특정 톤을 이용하여 수신 안테나로 귀환되는 신호의 위상과 크기를 추정하고, 추정한 신호의 위상과 크기를 이용하여 수신 안테나로 입력되는 수신 신호에서 귀환신호를 제거함으로써, 무선중계 장치의 증폭 이득을 줄이지 않으면서 발진 문제를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다는 점이다.
도 2의 무선중계 장치는 특정 톤을 이용하여 특정 톤에 대한 위상 및 크기를 검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귀환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역위상을 결정하는 초기 동작 기능, 및 초기 동작 상태에서 결정한 역위상에 따라 실제 중계신호로부터 귀환신호를 제거하고 복사하는 정상 동작 기능을 수행한다.
먼저, 마이크로프로세서(230)는 초기 동작 상태에서 동기 획득부(231)로부터 하향 링크에 대한 동기 신호를 기다린다. TDD 무선중계 장치는 기지국과의 동기 획득이 선행되어야 하고, 동기 획득이 이루어지면 동기 신호에 의해서 마이크로프로세서(230)가 송신측 톤 발생부(220)를 통해 특정 톤을 발생시킨다. 그러면, 상기 발생된 특정 톤은 송신측 대역 통과 필터(222)에서 필터링된 다음에 송신측 안테나를 통하여 서비스 영역으로 방사된다.
이어서, 송신 신호가 수신측 안테나로 유기(귀환)되어 수신되면, 수신측 대역 통과 필터(200)에서 필터링된 후, 수신측 증폭부(201)에서 증폭되어 원래의 신호 경로인 위상 합성부(211)로 입력된다. 이때, 위상 합성부(211)의 전단에 위치한 수신측 톤 위상/크기 검출부(202)에 의해 특정 톤의 위상 및 크기 변화량이 검출되고, 이렇게 검출된 값은 위상/크기 비교부(210)로 입력된다. 그러면, 위상/크기 비 교부(210)는 수신측 톤 위상/크기 검출부(202)의 출력값 및 송신측 대역 통과 필터(222)의 후단에 위치한 송신측 톤 위상/크기 검출부(223)에 의해 얻어진 특정 톤의 위상 및 크기를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를 마이크로프로세서(230)로 전달한다.
그러면, 마이크로프로세서(230)는 특정 톤에 대한 크기와 위상 변화량을 이용하여 얻어진 특정 톤에 대한 역위상값을 송신측 톤 발생부(220) 및 역위상 합성부(212)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역위상 합성부(212)는 마이크로프로세서(230)로부터의 역위상값 및 이득 감쇄/귀환 경로부(213)와 분배기(214)를 통해 내부 귀환된 특정 톤을 이용하여 역위상을 가지는 특정 톤을 생성하여 위상 합성부(211)로 전달하여 수신 신호에서 특정 톤이 제거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동작하여 수신 신호에서 특정 톤(귀환신호)이 제거되면, 수신측 톤 검출부(215)가 특정 톤의 크기를 측정하여 일정 크기 이하가 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230)로 이를 통보하여 초기 상태 동작이 종료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정상 동작 상태에서, 무선중계 장치는 기지국으로부터 전파를 수신하여 증폭한 후 이를 서비스 영역으로 방사하며, 송신측 톤 발생부(220), 수신측 톤 위상/크기 검출부(202) 및 위상/크기 비교부(210)의 동작을 중지시키고, 역위상 합성부(212) 및 위상 합성부(211)를 동작시켜 초기 동작 상태에서 구한 특정 톤에 대한 위상 및 크기값을 이용하여 귀환신호를 제거하게 된다. 이때, 위상 합성부(211)를 통과한 귀환신호가 제거된 수신 신호는 송신측 증폭부(221)에서 증폭되고, 송신측 대역 통과 필터(222)에서 필터링된 후 송신 안테나를 통해 방사된다.
또한, 수신측 톤 검출부(215)는 계속해서 위상 합성부(211)를 통과한 귀환신 호가 제거된 수신 신호의 출력을 감시하여, 수신 신호의 출력이 지정된 레벨 이상인 것으로 검출되면 발진으로 판단하고, 이 판단 결과를 마이크로프로세서(230)로 전달한다. 그러면, 마이크로프로세서(230)는 RF 스위치부(216)를 차단하여 위상 합성부(211)와 송신측 증폭부(221)의 연결 통로를 차단함으로써, 다시 초기 상태 동작이 수행되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무선중계 장치는 특정 톤을 이용하여 서비스 영역으로 복사되는 신호가 다시 수신 안테나로 귀환된 경우, 귀환신호의 위상 및 크기를 알아내어 귀환신호를 제거함으로써, 신호의 발진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도 2의 무선중계 장치는 특정 톤을 이용하여 위상 및 크기를 검출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동안에는 실제 신호를 중계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무선 환경에서는 주위의 물체가 움직이거나 건물을 건축하는 등의 주변 환경 변화로 인해 계속해서 귀환신호의 위상 및 크기가 변화되고, 이에 따라 최적의 위상 및 크기 값도 역시 변화되므로, 최적의 위상 및 크기를 계속 갱신하여 귀환신호를 제거하지 않으면 귀환신호를 제거한 후에도 귀환신호 성분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도 2의 무선중계 장치는 잔류 귀환신호 성분으로 인해 신호가 발진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도 2의 무선중계 장치는, 무선중계 장치의 동작을 초기 동작 상태와 정상 동작 상태로 분리하여 수행함에 따라, 초기 동작 상태에서 위상과 크기를 정확히 예측하지 못하면 정상 동작 상태에서 그 성능이 저하되고, 갑작스러운 외부 환경 변화에 대응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출력 크기의 조정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급격한 무선 채널 환경의 변화 시에도 안정성을 보장할 수 없고, 기지국과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출력 품질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도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동기 신호를 이용하여 무선 채널 환경 변화에 적응적으로 동작하여 신호 중계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중계 대상 신호로부터 귀환신호 성분을 완벽하게 제거하여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시분할 이중화 무선중계 장치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기 신호를 이용하여 무선 채널 환경 변화에 적응적으로 동작하여 신호 중계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중계 대상 신호로부터 귀환신호 성분을 완벽하게 제거하여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중계신호 내에 존재하는 귀환신호와 다중 경로 신호 간의 상호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시분할 이중화 무선중계 장치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기 신호를 이용하여 무선 채널 환경 변화에 적응적으로 동작하여 신호 중계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중계 대상 신호로부터 귀환신호 성분을 완벽하게 제거하여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전치왜곡정보를 이용하여 전력증폭기의 비선형 특성을 선형화하기 위한,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시분할 이중화 무선중계 장치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에 있어서, 중계하고자 하는 순/역방향 중계신호 내에 존재하는 귀환신호를 제거한 후에 순/역방향 중계신호를 송신하도록, 외부의 동기 획득부로부터의 동기 신호와 기지국 정보를 이용하여 제어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기 위한 제어 수단; 상기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제어정보에 따라 순방향 중계신호 내에 존재하는 귀환신호를 적응적으로 제거하고 순방향 중계신호의 이득을 자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제1 귀환 예측 소거 수단; 및 상기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제어정보에 따라 역방향 중계신호 내에 존재하는 귀환신호를 적응적으로 제거하고 역방향 중계신호의 이득을 자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제2 귀환 예측 소거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본 발명의 장치는, 상기 제어 수단의 제어에 따라 순방향 중계신호 내에 존재하는 귀환신호와 다중 경로 신호 간의 상호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제1 자동 지연 조절부; 및 상기 제어 수단의 제어에 따라 역방향 중계신호 내에 존재하는 귀환신호와 다중 경로 신호 간의 상호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제2 자동 지연 조절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본 발명의 장치는, 상기 제어 수단이 외부 전력 증폭부의 비선형성을 보정하기 위한 전치왜곡 신호처리를 제어하는 기능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장치는, 시분할 이중화(TDD) 무선중계 장치에 있어서, 기지국과 중계하고자 하는 신호(순/역방향 중계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도너 안테나; 상기 도너 안테나를 통해서 송/수신되는 순/역방향 중계신호를 대역 필터링하기 위한 제1 필터링 수단; 동기 획득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필터링 수단으로부터의 순방향 중계신호를 제1 하향 변환부로 스위칭하거나 제2 상향 변환부로부터의 역방향 중계신호를 상기 제1 필터링 수단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도너 스위칭부; 상기 도너 스위칭부에서 스위칭된 순방향 중계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 변환하기 위한 상기 제1 하향 변환부; 상기 제1 하향 변환부에서 하향 변환된 순방향 중계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과의 동기를 획득하기 위한 상기 동기 획득부; 상기 동기 획득부로부터의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하향 변환부에서 하향 변환된 순방향 중계신호 또는 제2 하향 변환부에서 하향 변환된 역방향 중계신호로부터 귀환신호를 제거하고 순/역방향 중계신호의 이득을 조절하기 위한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 상기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로부터의 순방 향 중계신호를 고주파 대역의 중계신호로 상향 변환하기 위한 제1 상향 변환부; 서비스 영역의 단말기와 중계하고자 하는 신호(순/역방향 중계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서비스 안테나; 상기 서비스 안테나를 통해서 송/수신되는 순/역방향 중계신호를 대역 필터링하기 위한 제2 필터링 수단; 상기 동기 획득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상향 변환부로부터의 순방향 중계신호를 상기 제2 필터링 수단으로 스위칭하거나 상기 제2 필터링 수단으로부터의 역방향 중계신호를 상기 제2 하향 변환부로 스위칭하기 위한 서비스 스위칭부; 상기 서비스 스위칭부에서 스위칭된 역방향 중계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 변환하여 상기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로 전달하기 위한 상기 제2 하향 변환부; 및 상기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로부터의 역방향 중계신호를 고주파 대역의 중계신호로 상향 변환하여 상기 도너 스위칭부로 전달하기 위한 상기 제2 상향 변환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장치는, 시분할 이중화(TDD) 무선중계 장치에 있어서, 기지국과 중계하고자 하는 신호(순/역방향 중계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도너 안테나; 상기 도너 안테나를 통해서 송/수신되는 순/역방향 중계신호를 대역 필터링하기 위한 제1 필터링 수단; 동기 획득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필터링 수단으로부터의 순방향 중계신호를 제1 하향 변환부로 스위칭하거나 제2 상향 변환부로부터의 역방향 중계신호를 상기 제1 필터링 수단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도너 스위칭부; 상기 도너 스위칭부에서 스위칭된 순방향 중계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 변환하기 위한 상기 제1 하향 변환부; 상기 제1 하향 변환부에서 하향 변환된 순방향 중계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과의 동기를 획득하기 위한 상기 동기 획득부; 상기 동기 획득부로부터의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하향 변환부에서 하향 변환된 순방향 중계신호 또는 제2 하향 변환부에서 하향 변환된 역방향 중계신호로부터 귀환신호를 제거하고 순/역방향 중계신호의 이득을 조절하며, 전치왜곡 신호처리부와 상호 연동하여 전치왜곡정보를 이용하여 순방향 중계신호의 선형 전력 증폭을 제어하기 위한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 상기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와 상호 연동하여 전치왜곡정보에 따라 상기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로부터의 순방향 중계신호를 선형적으로 전력 증폭하기 위한 상기 전치왜곡 신호처리부; 서비스 영역의 단말기와 중계하고자 하는 신호(순/역방향 중계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서비스 안테나; 상기 서비스 안테나를 통해서 송/수신되는 순/역방향 중계신호를 대역 필터링하기 위한 제2 필터링 수단; 상기 동기 획득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치왜곡 신호처리부로부터의 순방향 중계신호를 상기 제2 필터링 수단으로 스위칭하거나 상기 제2 필터링 수단으로부터의 역방향 중계신호를 상기 제2 하향 변환부로 스위칭하기 위한 서비스 스위칭부; 상기 서비스 스위칭부에서 스위칭된 역방향 중계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 변환하여 상기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로 전달하기 위한 상기 제2 하향 변환부; 및 상기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로부터의 역방향 중계신호를 고주파 대역의 중계신호로 상향 변환하여 상기 도너 스위칭부로 전달하기 위한 상기 제2 상향 변환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본 발명의 다른 장치는, 상기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가, 순방향 중계신호 내에 존재하는 귀환신호와 다중 경로 신호 간의 상호 간섭을 방지하는 제1 자동 지연 조절 기능; 및 역방향 중계신호 내 에 존재하는 귀환신호와 다중 경로 신호 간의 상호 간섭을 방지하는 제2 자동 지연 조절 기능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 방법에 있어서, 중계하고자 하는 중계신호 및 이득이 조절되어 피드백된 중계신호로부터 귀환신호의 위상과 크기를 검출하여 갱신하는 귀환신호 검출 단계; 상기 이득이 조절되어 피드백된 중계신호 및 상기 귀환신호 검출 단계에서 검출한 귀환신호의 위상과 크기를 이용하여 역귀환신호를 생성하는 역귀환신호 생성 단계; 상기 중계하고자 하는 중계신호 내에 존재하는 귀환신호를 상기 역귀환신호 생성 단계에서 생성한 역귀환신호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귀환신호 제거 단계; 및 상기 귀환신호 제거 단계에서 귀환 신호를 제거한 중계신호의 이득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자동 이득 조절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본 발명의 방법은, 귀환신호의 발생 시점을 조절하여 중계신호 내에 존재하는 귀환신호와 다중 경로 신호 간의 상호 간섭을 방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본 발명의 방법은, 전치왜곡정보를 이용하여 순방향 중계신호의 선형 전력 증폭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은, 프로세서를 구비한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에, 중계하고자 하는 중계신호 및 이득이 조절되어 피드백된 중계신호로부터 귀환신호의 위상과 크기를 검출하여 갱신하는 귀환신호 검출 기능; 상기 이득이 조절되어 피드백된 중 계신호 및 상기 귀환신호 검출 기능에서 검출한 귀환신호의 위상과 크기를 이용하여 역귀환신호를 생성하는 역귀환신호 생성 기능; 상기 중계하고자 하는 중계신호 내에 존재하는 귀환신호를 상기 역귀환신호 생성 기능에서 생성한 역귀환신호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귀환신호 제거 기능; 및 상기 귀환신호 제거 기능에서 귀환 신호를 제거한 중계신호의 이득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자동 이득 조절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은, 귀환신호의 발생 시점을 조절하여 중계신호 내에 존재하는 귀환신호와 다중 경로 신호 간의 상호 간섭을 방지하는 기능을 더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은, 전치왜곡정보를 이용하여 순방향 중계신호의 선형 전력 증폭을 제어하는 기능을 더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동기 획득부에 최적화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기지국과의 동기를 안정적으로 획득하며,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 등의 신호 처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지연 시간을 고려하여 상향 링크 및 하향 링크를 위한 온/오프(ON/OFF) 스위칭 타이밍을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부가적으로 귀환신호가 다중경로 신호와 중첩되지 않도록 그 발생 시간을 조절하여 귀환신호를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출력 품질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치왜곡 신호처리 기능을 수행하여 전력 증폭기의 비선형 특성을 선형화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분할 이중화(TDD) 무선중계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분할 이중화(TDD) 무선중계 장치는, 기지국과 중계하고자 하는 신호(순/역방향 중계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도너 안테나(300), 상기 도너 안테나(300)를 통해서 송/수신되는 순/역방향 중계신호를 대역 필터링하기 위한 도너 대역 통과 필터(301), 동기 획득부(305)의 제어에 따라 상기 도너 대역 통과 필터(301)로부터의 순방향 중계신호를 제1 하향 변환부(303)로 스위칭하거나 제2 상향 변환부(311)로부터의 역방향 중계신호를 도너 대역 통과 필터(301)로 스위칭하기 위한 도너 스위칭부(302), 상기 도너 스위칭부(302)에서 스위칭된 순방향 중계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 변환하기 위한 제1 하향 변환부(303), 상기 제1 하향 변환부(303)에서 하향 변환된 순방향 중계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과의 동기를 획득하기 위한 동기 획득부(305), 상기 동기 획득부(305)로부터의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하향 변환부(303)에서 하향 변환된 순방향 중계신호 또는 제2 하향 변환부(310)에서 하향 변환된 역방향 중계신호로부터 귀환신호를 제거하고 순/역방향 중계신호의 이득을 조절하기 위한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304), 상기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304)로부터의 순방향 중계신호를 다시 고주파 대역의 중계신호로 상향 변환하기 위한 제1 상향 변환부(306), 서비스 영역의 단말기와 중계하고자 하는 신호(순/역방향 중계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서비스 안테나(309), 상기 서비스 안테나(309)를 통해서 송/수신되는 순/역방향 중계신호를 대역 필터링하기 위한 서비스 대역 통과 필터(308), 상기 동기 획득부(305)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상향 변환부(306)로부터의 순방향 중계신호를 상기 서비스 대역 통과 필터(308)로 스위칭하거나 상기 서비스 대역 통과 필터(308)로부터의 역방향 중계신호를 제2 하향 변환부(310)로 스위칭하기 위한 서비스 스위칭부(307), 상기 서비스 스위칭부(307)에서 스위칭된 역방향 중계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 변환하여 상기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304)로 전달하기 위한 제2 하향 변환부(310), 및 상기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304)로부터의 역방향 중계신호를 다시 고주파 대역의 중계신호로 상향 변환하여 상기 도너 스위칭부(302)로 전달하기 위한 제2 상향 변환부(311)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304)는 동기 획득부(305)와 함께 중계하고자 하는 신호에 대한 귀환신호를 제거하고, 자동으로 이득을 조절하여 출력 신호의 크기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304)는 귀환신호와 다중 경로 신호의 상호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자동 지연 조절 기능을 더 수행한다. 즉, 상기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304)는 다중 경로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순간에 귀환신호가 생성될 수 있도록 귀환신호의 발생 지연을 조 절하여, 다중 경로 신호와 귀환신호가 서로 중첩되지 않은 상태에서 귀환신호를 소거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대한 상세 내용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304)는 동기 획득부(305)에서 획득한 기지국 아이디(ID)와 순방향 중계신호와의 상관성을 이용하여 귀환신호 및 TDD 무선중계 장치 주변의 무선 채널 환경을 추정한다. 이에 대한 상세 내용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동기 획득부(305)는 일정 신호 크기 이상(예 : 평균 입력신호 크기의 약 1/10 이상)인 조건에서 일정 시간 이상(예 : 복수 프레임에 걸쳐 동일한 신호세기로 간주할 수 있는 시간으로서 약 3초 이상) 동기 신호를 안정적으로 얻었을 때 동기 획득이 이루어져서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305)로 동기 신호를 인가한다. 한편, 동기 획득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305)로 동기 신호가 인가되지 않음으로써, 동기 획득이 이루어질 때까지 TDD 무선중계 장치의 모든 동작이 중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동기 획득부(305)는 TDD 무선중계 장치의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305)에서 소요되는 신호 처리 시간 및 필터와 그외의 구성요소 등에서 소요되는 시간을 고려하여 상향 및 하향 링크의 온/오프(ON/OFF) 스위칭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동작함으로써, TDD 무선중계 장치가 갖고 있던 출력 제한 문제, 설치상의 제약 문제 등을 극복할 수 있고, 고출력 특성을 나타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다음으로, 상기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304)의 상세 구성 및 동작을 도 4 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304)는, 중계하고자 하는 순방향 중계신호의 출력 신호 크기를 자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제1 자동 이득 조절부(410), 상기 제1 자동 이득 조절부(410)로부터 입력되는 기저대역의 순방향 중계신호 및 상기 제1 하향 변환부(303)로부터 입력되는 기저대역의 순방향 중계신호로부터 순방향 중계신호 내에 존재하는 잔류 귀환신호의 위상과 크기를 검출하여, 귀환신호의 위상과 크기를 갱신하기 위한 제1 귀환신호 검출부(408), 상기 제1 자동 이득 조절부(410)로부터 입력되는 기저대역의 순방향 중계신호 및 상기 제1 귀환신호 검출부(408)로부터 입력되는 귀환신호의 위상과 크기를 이용하여, 순방향 중계신호 내에 존재하는 귀환신호 제거에 사용할 역귀환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1 역귀환신호 합성부(406), 상기 제1 하향 변환부(303)에서 하향 변환된 순방향 중계신호 내에 존재하는 귀환신호를 상기 제1 역귀환신호 합성부(406)로부터의 역귀환신호를 이용하여 제거하여 상기 제1 자동 이득 조절부(410)로 전달하기 위한 제1 귀환신호 제거부(404), 중계하고자 하는 역방향 중계신호의 출력 신호 크기를 자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제2 자동 이득 조절부(422), 상기 제2 자동 이득 조절부(422)로부터 입력되는 기저대역의 역방향 중계신호 및 상기 제2 하향 변환부(310)로부터 입력되는 기저대역의 역방향 중계신호로부터 역방향 중계신호 내에 존재하는 잔류 귀환신호의 위상과 크기를 검출하여, 귀환신호의 위상과 크기를 갱 신하기 위한 제2 귀환신호 검출부(420), 상기 제2 자동 이득 조절부(422)로부터 입력되는 기저대역의 역방향 중계신호 및 상기 제2 귀환신호 검출부(420)로부터 입력되는 귀환신호의 위상과 크기를 이용하여, 역방향 중계신호 내에 존재하는 귀환신호 제거에 사용할 역귀환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2 역귀환신호 합성부(418), 상기 제2 하향 변환부(310)에서 하향 변환된 역방향 중계신호 내에 존재하는 귀환신호를 상기 제2 역귀환신호 합성부(418)로부터의 역귀환신호를 이용하여 제거하여 상기 제2 자동 이득 조절부(422)로 전달하기 위한 제2 귀환신호 제거부(416), 및 중계하고자 하는 순/역방향 중계신호 내에 존재하는 귀환신호를 제거한 후에 순/역방향 중계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414)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적응형 예측 소거기(304)는 TDD 무선 중계 장치의 특성상 상향 및 하향 링크가 동일한 주파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상향 및 하향 링크의 무선 채널 특성이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상향 및 하향 링크에 존재하는 구성요소의 동작이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두 개의 구성요소를 각각 별도로 설명하지 않고 하향 링크의 구성요소에 대해서만 그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동기 획득부(305)는 TDD 방식의 무선중계 장치에 반드시 필요한 필수 구성요소로서, 기지국에서 단말기로(순방향) 또는 단말기에서 기지국으로(역방향)의 신호 흐름을 정확하게 제어하는데 필요한 동기 신호를 추출한다. 이러한 동기 신호 추출(획득) 과정은 기지국에서 단말기로의 하향 링크 맨 처음 부분에 위치하는 신호, 즉 프리앰블을 찾는 것이다. 프리앰블은 TDD 방식에서 동기 신호를 효율적으로 추출할 수 있도록 구조화되어 있고, 이 동기 신호를 획득하는 과정에서 기지국에 대한 아이디(ID) 및 세그먼트 정보 등과 같은 기지국 정보를 부가적으로 얻을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동기 획득부(305)가 동기 신호를 획득하고 기지국에 대한 정보를 찾아내어 상기 제어부(414)로 전달하면, 상기 제어부(414)에서는 상기 동기 획득부(305)로부터 전달받은 동기 신호와 기지국 정보를 이용하여 TDD 방식의 무선중계 장치의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상기 제1 귀환신호 검출부(408)에서는 상기 동기 획득부(305)에서 얻은 기지국 아이디(ID)를 이용하여 귀환신호 성분을 추정할 수 있다. 즉, 기지국 아이디(ID)는 의사잡음 코드(PN Code)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기지국 아이디(ID)와 순방향 중계신호 사이의 상관값을 계산하면 귀환신호의 위상과 크기를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귀환신호 검출부(408)에서는 상기 제어부(414)로부터의 기지국 아이디(ID)와 상기 제1 하향 변환부(303) 및 상기 제1 자동 이득 조절부(410)로부터의 순방향 중계신호 사이의 상관값을 계산하여 순방향 중계신호 내에 존재하는 잔류 귀환신호의 위상과 크기를 검출하여 상기 제1 역귀환신호 합성부(406)로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자동 이득 조절부(410)는 제1 귀환신호 제거부(404)로부터 입력되는 순방향 중계신호의 크기,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304)의 현재 상태에 따른 이득 조절값, 및 제어부(414)로부터 입력되는 기 설정된 목표 출력 크기값 및 목표 이득값을 이용하여 이득값을 결정하여, 상기 제1 귀환신호 제거부(404)에서 귀환신호가 제거된 순방향 중계신호의 이득(출력 신호 크기)을 상기 결정한 이득값 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조절한다. 이때, 자동 이득 조절 방식을 예를 들어 좀더 상세히 살펴보면, 출력값이 기 설정된 목표 출력 크기값보다 크면 제1 자동 이득 조절부(410)에서는 이득을 더 이상 올리지 않는 방식으로 출력의 크기를 제한하고, 기 설정된 목표 출력 크기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제1 귀환신호 제거부(404)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의 크기가 목표 이득값이 될 때까지 일정 단위시간(예를 들면, 3dB/1초)으로 이득을 증대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 귀환신호 제거부(404)는 상기 제1 역귀환신호 합성부(406)로부터 전달받은 역귀환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하향 변환부(303)로부터 전달받은 순방향 중계신호(귀환신호가 포함되어 있는 신호)에서 귀환신호를 제거하여 상기 제1 자동 이득 조절부(410)로 전달한다.
즉, 상기 제1 귀환신호 제거부(404)는 상기 제1 하향 변환부(303)로부터 입력받은 순방향 중계신호와 상기 제1 역귀환신호 합성부(406)로부터 입력되는 역귀환신호를 합성하여 순방향 중계신호 내에 존재하는 귀환신호를 제거한 후에, 순방향 중계신호를 상기 제1 자동 이득 조절부(410)로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역귀환신호 합성부(406)는 상기 제1 자동 이득 조절부(410)로부터 입력되는 자동으로 이득이 조절된 기저대역의 순방향 중계신호 및 상기 제1 귀환신호 검출부(408)로부터 입력되는 귀환신호의 위상과 크기를 이용하여, 순방향 중계신호 내에 존재하는 귀환신호 제거에 사용하기 위한 신호의 크기와 위상을 조절하여 역귀환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414)는 상기 동기 획득부(305)로부터 전달받은 동기 신 호를 이용하여 상향 및 하향 링크의 타이밍을 찾아서 기지국에서 단말기로, 단말기에서 기지국으로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상기 동기 획득부(305)로부터 전달받은 기지국 정보를 이용하여 귀환신호 검출에 필요한 코드(예 : 기지국 아이디)를 상기 제1 귀환신호 검출부(408)에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동기 획득부(305)는 도너 및 서비스 스위칭부(302,307)의 동작을 제어하고(도 3 참조), 상기 동기 획득부(305)에서의 기지국으로부터 단말기로의 동기 획득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부(414)가 상기 제1 자동 이득 조절부(410), 상기 제1 귀환신호 검출부(408), 상기 제1 역귀환신호 합성부(406) 및 상기 제1 귀환신호 제거부(404)의 동작을 제어한다. 만약, 수신 신호에 송출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즉 동기 획득부(305)에서 동기 신호 및 기지국 정보를 획득한 경우, 상기 제어부(414)는 상기 제1 자동 이득 조절부(410), 상기 제1 귀환신호 검출부(408), 상기 제1 역귀환신호 합성부(406) 및 상기 제1 귀환신호 제거부(404)를 정상 작동시킨다. 이때, 목표 출력 크기값을 특정 값으로 미리 설정하여 상기 제1 자동 이득 조절부(410)로 전달한다. 반면에, 수신 신호에 송출 신호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즉 동기 획득부(305)에서 동기 신호를 획득하지 못한 경우, 상기 제어부(414)는 상기 제1 자동 이득 조절부(410), 상기 제1 귀환신호 검출부(408), 상기 제1 역귀환신호 합성부(406) 및 상기 제1 귀환신호 제거부(404)의 동작을 중지시킨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무선중계 장치를 위한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304)는, 귀환신호와 다중경로신호의 상호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제1 자동 지연 조절부(412)를 더 포함한다. 즉, 제1 자동 지연 조절부(412)는 다중 경로 신호가 수신 되지 않는 순간에 귀환신호가 생성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자동 이득 조절부(410)에 연결되어 귀환신호의 발생 지연을 조절하여, 다중 경로 신호와 귀환신호가 서로 중첩되지 않은 상태에서 귀환신호를 소거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무선중계 장치에서는 다중 경로 신호가 발생되는 시점, 즉 다중 경로 성분의 위치를 미리 확인하여 둔다. 그리고 상향 링크에도 동일 기능의 제2 자동 지연 조절부(424)가 제2 자동 이득 조절부(422)에 연결되어 더 구비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시분할 이중화(TDD) 무선중계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로서, 최초의 순방향 신호를 중계하고 난 후, 이로부터 발생하는 귀환신호를 이용하여 이후의 순방향 중계신호에 잔류하는 귀환신호를 제거하는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TDD 무선 중계 방식에서 하향 링크인 경우, 도너 안테나(300)로부터 제1 하향 변환부(303)까지의 경로를 통하여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304)로 수신되는 신호에는 기지국에서 실제 서비스를 중계하기 위하여 전송하는 중계신호와, 서비스 안테나(309)를 통해 공간으로 방사된 신호가 다시 들어온 귀환신호가 동시에 존재하거나, 불특정 잡음을 포함하는 귀환신호만이 존재할 수 있다. 기지국 송출 신호는 무선 채널 환경에 의한 다중 경로 신호로서 표현되고, 무선중계 장치에 수신되는 신호에 귀환신호만 존재하는 경우는 기지국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출 신호를 전송하지 않은 경우이고, 이는 단말기에서 기지국으로의 상향 링크에서도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하향 링크 하나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너 안테나(300)를 통하여 신호(순방향 중계신호)가 수신되면 도너 대역 통과 필터(301)에서 도너 대역 통과 필터링을 수행하고(501), 도너 스위칭부(302)가 이 순방향 중계신호를 제1 하향 변환부(303)로 스위칭하여(503) 제1 하향 변환부(303)로 전달되도록 한다. 그러면, 제1 하향 변환부(303)가 고주파 대역의 순방향 중계신호를 기저대역의 순방향 중계신호로 하향 변환한다(505).
이후, 동기 획득부(305)에서 상기 기저 대역의 순방향 중계신호를 이용하여 기지국에서 단말기로의 하향 링크에 대한 동기 신호를 획득하고, 기지국에 대한 정보를 얻어서 적응형 귀환 소거기(304)의 제어부(414)로 전달한다(507).
만약, 여기서 동기 신호를 획득하지 못하면(509) 상기 "507" 과정을 계속 반복 수행하고, 동기 획득부(305)에 의해서 하향 링크의 동기 획득이 이루어진 경우(509), 제어부(414)가 제1 자동 이득 조절부(410), 제1 귀환신호 검출부(408), 제1 역귀환신호 합성부(406) 및 제1 귀환신호 제거부(404)를 정상 작동시켜 상기 제1 귀환신호 검출부(408)에서 귀환신호의 위상과 크기를 갱신하도록 한다(511). 그에 따라, 제1 역귀환신호 합성부(406)는 상기 제1 귀환신호 검출부(408)에서 갱신한 귀환신호의 위상과 크기를 이용하여 역귀환신호를 생성한다(513). 그리고 제1 귀환신호 제거부(404)는 기저대역의 순방향 중계신호와 상기 제1 역귀환신호 합성부(406)에서 생성한 역귀환신호를 합성하여 순방향 중계신호 내에 포함되어 있는 귀환신호를 제거한다(515).
이처럼 송출하고자 하는 순방향 중계신호로부터 귀환신호가 제거된 후, 제1 자동 이득 조절부(410)는 순방향 중계신호의 출력 크기(이득)를 자동으로 조절한다(517). 이때, 제1 자동 이득 조절부(410)는 제1 귀환신호 제거부(404)로부터 입 력되는 순방향 중계신호의 크기,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404)의 현재 상태에 따른 이득 조절값 및 제어부(404)로부터 입력되는 기 설정된 목표 출력 크기값 및 목표 이득값을 이용하여 이득값을 결정하여, 제1 귀환신호 제거부(404)에서 귀환신호가 제거된 순방향 중계신호의 이득(출력 신호 크기)을 상기 결정한 이득값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조절한다. 즉, 순방향 중계신호의 크기를 증폭 또는 감쇄하여 출력 신호 크기를 자동으로 조절한다.
이후, 이득 조절된 순방향 중계신호를 제1 상향 변환부(306)에서 고주파 대역의 순방향 중계신호로 상향 변환하고(519), 서비스 스위칭부(307)가 상기 상향 변환된 순방향 중계신호를 서비스 대역 통과 필터(308)로 스위칭하며(521), 그에 따라 서비스 대역 통과 필터(308)가 서비스 대역 통과 필터링(523)을 수행하여 서비스 안테나(309)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상기 과정들 중에서, 귀환신호의 위상과 크기를 갱신하는 과정(511)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귀환신호 검출부(408)는 제1 하향 변환부(303)로부터 입력되는 기저대역의 순방향 중계신호와 동기 획득부(305)에 의해서 획득되어 제어부(414)를 통해 입력되는 기지국 정보(예 : 기지국 아이디)를 통해 두 신호 사이의 상관성(correlation)을 이용하여 귀환신호의 위상과 크기를 추정한다.
한편, 제어부(414)는 다중 경로 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시점에 귀환신호가 입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다중 경로 신호와 귀환신호가 상호 중첩되어 재수신되는 경우에는 정확한 무선 채널 특성을 예측할 수 없고, 이로 인하여 귀환신호를 정확하게 제거할 수 없기 때문에, 다중경로 신호가 미약하거나 다중 경로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순간에 귀환신호가 수신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는 전술한 일실시예와 기술적 요지가 같은 부분은 설명을 생략하고, 기술적 요지가 다른 부분만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분할 이중화(TDD) 무선중계 장치의 다른 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치왜곡 신호처리부(610)는 상기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620)와 상호 연동하여 전치왜곡정보에 따라 상기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620)로부터의 순방향 중계신호를 선형적으로 전력 증폭하여 서비스 스위칭부(307)로 전달한다.
즉, 상기 전치왜곡 신호처리부(610)는 상기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620)로부터의 순방향 중계신호를 상향 변환한 후에 상기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620)로부터의 전치왜곡정보에 따라 선형적으로 전력 증폭하여 서비스 스위칭부(307)로 전달하고, 상기 전력 증폭된 순방향 중계신호를 측정하여 간섭신호량 결정을 위한 제어정보를 상기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620)로 전달하여 전치왜곡정보로 활용되도록 한다.
그에 따라, 상기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620)는 상기 전치왜곡 신호처리부(610)와 상호 연동하여 전치왜곡정보를 이용하여 순방향 중계신호의 선형 전력 증폭을 제어한다.
즉, 상기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620)는 상기 전치왜곡 신호처리부(610)로부터 전달받은 간섭신호량 결정을 위한 제어정보(예 : 전력 증폭부 출력의 선형성과 신호크기를 포함함)에 따라 증폭 출력을 결정하고, 그 결정 결과를 전치왜곡정보로 이용하여 상기 전치왜곡 신호처리부(610)에서의 순방향 중계신호의 선형 전력 증폭을 제어한다.
이때, 순방향 중계신호에 대해서만 전치왜곡 신호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이유는 단말기 측으로의 순방향 중계신호가 더 멀리 방사되도록 순방향 중계신호를 더 크게 전력 증폭할수록 그에 따른 간섭신호 또한 강하게 작용하기 때문이다. 물론, 비용 대비 효과가 있는 경우에는 역방향 중계신호에 대해서도 전치왜곡 신호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와 전치왜곡 신호처리부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치왜곡 신호처리부(610)는, 상기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620)로부터의 순방향 중계신호를 고주파 대역의 신호(RF)로 상향 변환하기 위한 RF 변환부(611), 상기 RF 변환부(611)로부터의 순방향 중계신호를 상기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620)로부터의 전치왜곡정보에 따라 선형적으로 전력 증폭하기 위한 전력 증폭부(612), 및 상기 전력 증폭부(612)에서 전력 증폭된 순방향 중계신호를 측정하여 간섭신호량 결정을 위한 제어정보를 상기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620)로 전달하여 전치왜곡정보로 활용되도록 하기 위한 신호 변환부(61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전치왜곡 신호처리부(610)는, 상기 전력 증폭부(612)에서 전력 증폭된 순방향 중계신호를 필터링하여 서비스 스위칭부(307)로 전달하기 위한 대역통과필터(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신호 변환부(613)는 상기 전력 증폭부(612)에서 전력 증폭된 순방향 중계신호의 출력신호를 측정하여 간섭신호량 결정을 위한 제어정보(예 : 전력 증폭부 출력의 선형성과 신호크기를 포함함)를 상기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620)의 제어부(621)로 전달하여 하나의 제어부에서 증폭신호의 선형성을 보정하기 위한 보정량을 결정하는 제어신호와 간섭신호의 발진 등 이상상태를 방지하기 위해 증폭신호의 신호크기 보정을 수행하는 등의 간섭제거 및 전치왜곡정보로 활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신호 변환부(613)는 상기 전력 증폭부(612)에서 전력 증폭된 순방향 중계신호의 출력신호를 측정(예 : 신호크기 및 선형성)한 후 디지털 형태의 기저대역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620)의 제어부(621)로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620)의 제어부(621)는 상기 전치왜곡 신호처리부(610)의 신호 변환부(613)로부터 전달받은 간섭신호량 결정을 위한 제어정보(예 : 전력 증폭부 출력의 선형성과 신호크기를 포함함)에 따라 전력 증폭부(612)의 증폭 출력을 결정하고, 그 결정 결과를 전치왜곡정보로 이용하여 상기 전력 증폭부(612)에서의 순방향 중계신호의 선형 전력 증폭을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621)는 상기 전력 증폭부(612)의 비선형성을 보정하기 위한 전치왜곡 신호처리기능을 제어한다. 그에 따라, 상기 전력 증폭부(612)의 비선형 특성을 선형화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순방향 중계신호의 증폭신호의 선형성 보정 및 증폭신호의 신호크기 보정을 수행하기 위한 선형 전력 증폭 제어 방식을 예를 들어 좀더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선형성 보정에 있어서, 출력값이 기 설정된 목표 출력 크기값(예 : 이전시간 출력한 값보다 기울기로 대비한 값)보다 크면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의 제어부(621)에서 이득을 더 이상 올리지 않는 방식으로 출력의 크기를 제한함으로써 선형성을 확보하고, 기 설정된 목표 출력 크기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의 제어부(621)에서 입력되는 신호의 크기가 목표 이득값이 될 때까지 일정 단위시간(예를 들면, 3dB/1초)으로 이득을 증대시키게 된다.
둘째, 증폭신호의 신호 크기 보정에 있어서, 출력값이 기 설정된 목표 출력 크기값(예 : 장치에서 설정된 절대 출력값으로서 장치 정격 출력 사양 범위 값)보다 크면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의 제어부(621)에서 입력되는 신호의 크기가 목표 이득값 이하로 될 때까지 일정 단위시간(예를 들면, 3dB/1초)으로 이득을 급격히 감소시켜 발진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롬, 램,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 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설치비용을 최소화하면서 중계신호로부터 귀환신호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출력 크기를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다중 경로 신호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은 주변 채널 환경의 변화에 따른 송/수신 신호를 이용하여 귀환신호를 제거하고, 자동으로 이득을 조절하여 출력 신호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고, 출력 크기의 제한과 설치상의 제약 문제를 극복하면서 고출력 특성을 보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기 획득 과정에서 찾아낸 기지국 정보를 이용하여 중계기 주변의 무선 채널 환경을 추정하여 귀환신호가 다중 경로 신호와 동일한 순간에 입력되지 않도록 귀환신호 입력 시간을 지연시킴으로써, 다중 경로 신호와 귀환신호를 구별하여 귀환신호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TDD 무선중계 장치는 동일한 송/수신 주파수를 이용하기 때문에 하향 링크를 통해서 무선 채널 환경을 찾아내어 상향 링크에 똑같이 적용할 수 있다. 따 라서 본 발명은 귀환신호를 제거하기 위하여 무선중계 서비스를 중단할 필요가 없으며, 서비스 제공 중에도 주변 환경의 변화에 적응하여 채널 추정값을 갱신하면서 지속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주변 환경의 변화에 적응하여 발진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출력 신호의 크기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서비스 품질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다양한 이동통신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4)

  1.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에 있어서,
    중계하고자 하는 순/역방향 중계신호 내에 존재하는 귀환신호를 제거한 후에 순/역방향 중계신호를 송신하도록, 외부의 동기 획득부로부터의 동기 신호와 기지국 정보를 이용하여 제어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기 위한 제어 수단;
    상기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제어정보에 따라 순방향 중계신호 내에 존재하는 귀환신호를 적응적으로 제거하고 순방향 중계신호의 이득을 자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제1 귀환 예측 소거 수단; 및
    상기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제어정보에 따라 역방향 중계신호 내에 존재하는 귀환신호를 적응적으로 제거하고 역방향 중계신호의 이득을 자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제2 귀환 예측 소거 수단
    을 포함하는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의 제어에 따라 순방향 중계신호 내에 존재하는 귀환신호와 다중 경로 신호 간의 상호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제1 자동 지연 조절부; 및
    상기 제어 수단의 제어에 따라 역방향 중계신호 내에 존재하는 귀환신호와 다중 경로 신호 간의 상호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제2 자동 지연 조절부
    를 더 포함하는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자동 지연 조절부는,
    다중 경로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순간에 귀환신호가 생성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 귀환 예측 소거 수단에 상응하여 연결되어, 상기 제어 수단의 제어에 따라 귀환신호의 발생 지연을 조절하여, 다중 경로 신호와 귀환신호가 서로 중첩되지 않은 상태에서 귀환신호가 소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외부 전력 증폭부의 비선형성을 보정하기 위한 전치왜곡 신호처리를 제어하는 기능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외부의 전치왜곡 신호처리부로부터 전달받은 간섭신호량 결정을 위한 제어정보에 따라 상기 전력 증폭부의 증폭 출력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한 증폭 출력을 전치왜곡정보로 이용하여 상기 전력 증폭부에서의 순방향 중계신호의 선형 전력 증폭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귀환 예측 소거 수단은,
    상기 제어 수단의 제어에 따라 순방향 중계신호의 이득을 자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제1 자동 이득 조절부;
    상기 제어 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자동 이득 조절부 및 외부의 제1 하향 변환부로부터의 순방향 중계신호로부터 귀환신호의 위상과 크기를 검출하여 갱신하기 위한 제1 귀환신호 검출부;
    상기 제어 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자동 이득 조절부로부터의 순방향 중계신호 및 상기 제1 귀환신호 검출부로부터의 귀환신호의 위상과 크기를 이용하여 역귀환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1 역귀환신호 합성부; 및
    상기 제어 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하향 변환부로부터의 순방향 중계신호 내에 존재하는 귀환신호를 상기 제1 역귀환신호 합성부로부터의 역귀환신호를 이용하여 제거하여 상기 제1 자동 이득 조절부로 전달하기 위한 제1 귀환신호 제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귀환 예측 소거 수단은,
    상기 제어 수단의 제어에 따라 역방향 중계신호의 이득을 자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제2 자동 이득 조절부;
    상기 제어 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2 자동 이득 조절부 및 외부의 제2 하향 변환부로부터의 역방향 중계신호로부터 귀환신호의 위상과 크기를 검출하여 갱신하기 위한 제2 귀환신호 검출부;
    상기 제어 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2 자동 이득 조절부로부터의 역방향 중계신호 및 상기 제2 귀환신호 검출부로부터의 귀환신호의 위상과 크기를 이용하여 역귀환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2 역귀환신호 합성부; 및
    상기 제어 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2 하향 변환부로부터의 역방향 중계신호 내에 존재하는 귀환신호를 상기 제2 역귀환신호 합성부로부터의 역귀환신호를 이용하여 제거하여 상기 제2 자동 이득 조절부로 전달하기 위한 제2 귀환신호 제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귀환신호 검출부는,
    상기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기지국 아이디(ID)와 상기 제1 하향 변환부 및 상기 제1 자동 이득 조절부로부터의 순방향 중계신호 사이의 상관값을 계산하여 순방향 중계신호 내에 존재하는 잔류 귀환신호의 위상과 크기를 검출하여 상기 제1 역 귀환신호 합성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동기 획득부로부터의 동기 신호를 이용하여 상향 및 하향 링크의 타이밍을 찾아서 순/역방향 중계신호의 흐름을 제어하고, 상기 동기 획득부로부터의 기지국 정보를 이용하여 귀환신호 검출에 필요한 기지국 아이디를 상기 제1 귀환신호 검출부에 전달하며, 상기 동기 획득부에서의 순방향 동기 획득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자동 이득 조절부, 상기 제1 귀환신호 검출부, 상기 제1 역귀환신호 합성부 및 상기 제1 귀환신호 제거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동 이득 조절부는,
    상기 제1 귀환신호 제거부로부터의 순방향 중계신호의 크기, 상기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의 현재 상태에 따른 이득 조절값, 및 상기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기 설정된 목표 출력 크기값 및 목표 이득값을 이용하여 이득값을 결정하여, 상기 제1 귀환신호 제거부에서 귀환신호가 제거된 순방향 중계신호의 이득(출력 신호 크기) 을 상기 결정한 이득값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
  10. 시분할 이중화(TDD) 무선중계 장치에 있어서,
    기지국과 중계하고자 하는 신호(순/역방향 중계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도너 안테나;
    상기 도너 안테나를 통해서 송/수신되는 순/역방향 중계신호를 대역 필터링하기 위한 제1 필터링 수단;
    동기 획득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필터링 수단으로부터의 순방향 중계신호를 제1 하향 변환부로 스위칭하거나 제2 상향 변환부로부터의 역방향 중계신호를 상기 제1 필터링 수단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도너 스위칭부;
    상기 도너 스위칭부에서 스위칭된 순방향 중계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 변환하기 위한 상기 제1 하향 변환부;
    상기 제1 하향 변환부에서 하향 변환된 순방향 중계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과의 동기를 획득하기 위한 상기 동기 획득부;
    상기 동기 획득부로부터의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하향 변환부에서 하향 변환된 순방향 중계신호 또는 제2 하향 변환부에서 하향 변환된 역방향 중계신호로부터 귀환신호를 제거하고 순/역방향 중계신호의 이득을 조절하기 위한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
    상기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로부터의 순방향 중계신호를 고주파 대역의 중계신호로 상향 변환하기 위한 제1 상향 변환부;
    서비스 영역의 단말기와 중계하고자 하는 신호(순/역방향 중계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서비스 안테나;
    상기 서비스 안테나를 통해서 송/수신되는 순/역방향 중계신호를 대역 필터링하기 위한 제2 필터링 수단;
    상기 동기 획득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상향 변환부로부터의 순방향 중계신호를 상기 제2 필터링 수단으로 스위칭하거나 상기 제2 필터링 수단으로부터의 역방향 중계신호를 상기 제2 하향 변환부로 스위칭하기 위한 서비스 스위칭부;
    상기 서비스 스위칭부에서 스위칭된 역방향 중계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 변환하여 상기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로 전달하기 위한 상기 제2 하향 변환부; 및
    상기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로부터의 역방향 중계신호를 고주파 대역의 중계신호로 상향 변환하여 상기 도너 스위칭부로 전달하기 위한 상기 제2 상향 변환부
    를 포함하는 시분할 이중화(TDD) 무선중계 장치.
  11. 시분할 이중화(TDD) 무선중계 장치에 있어서,
    기지국과 중계하고자 하는 신호(순/역방향 중계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도 너 안테나;
    상기 도너 안테나를 통해서 송/수신되는 순/역방향 중계신호를 대역 필터링하기 위한 제1 필터링 수단;
    동기 획득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필터링 수단으로부터의 순방향 중계신호를 제1 하향 변환부로 스위칭하거나 제2 상향 변환부로부터의 역방향 중계신호를 상기 제1 필터링 수단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도너 스위칭부;
    상기 도너 스위칭부에서 스위칭된 순방향 중계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 변환하기 위한 상기 제1 하향 변환부;
    상기 제1 하향 변환부에서 하향 변환된 순방향 중계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과의 동기를 획득하기 위한 상기 동기 획득부;
    상기 동기 획득부로부터의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하향 변환부에서 하향 변환된 순방향 중계신호 또는 제2 하향 변환부에서 하향 변환된 역방향 중계신호로부터 귀환신호를 제거하고 순/역방향 중계신호의 이득을 조절하며, 전치왜곡 신호처리부와 상호 연동하여 전치왜곡정보를 이용하여 순방향 중계신호의 선형 전력 증폭을 제어하기 위한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
    상기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와 상호 연동하여 전치왜곡정보에 따라 상기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로부터의 순방향 중계신호를 선형적으로 전력 증폭하기 위한 상기 전치왜곡 신호처리부;
    서비스 영역의 단말기와 중계하고자 하는 신호(순/역방향 중계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서비스 안테나;
    상기 서비스 안테나를 통해서 송/수신되는 순/역방향 중계신호를 대역 필터링하기 위한 제2 필터링 수단;
    상기 동기 획득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치왜곡 신호처리부로부터의 순방향 중계신호를 상기 제2 필터링 수단으로 스위칭하거나 상기 제2 필터링 수단으로부터의 역방향 중계신호를 상기 제2 하향 변환부로 스위칭하기 위한 서비스 스위칭부;
    상기 서비스 스위칭부에서 스위칭된 역방향 중계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 변환하여 상기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로 전달하기 위한 상기 제2 하향 변환부; 및
    상기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로부터의 역방향 중계신호를 고주파 대역의 중계신호로 상향 변환하여 상기 도너 스위칭부로 전달하기 위한 상기 제2 상향 변환부
    를 포함하는 시분할 이중화(TDD) 무선중계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치왜곡 신호처리부는,
    상기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로부터의 순방향 중계신호를 고주파 대역의 신호로 상향 변환하기 위한 RF 변환부;
    상기 RF 변환부로부터의 순방향 중계신호를 상기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로부터의 전치왜곡정보에 따라 선형적으로 전력 증폭하기 위한 전력 증폭부; 및
    상기 전력 증폭부에서 전력 증폭된 순방향 중계신호를 측정하여 간섭신호량 결정을 위한 제어정보를 상기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로 전달하여 전치왜곡정보로 활용되도록 하기 위한 신호 변환부
    를 포함하는 시분할 이중화(TDD) 무선중계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치왜곡 신호처리부는,
    상기 전력 증폭부에서 전력 증폭된 순방향 중계신호를 필터링하여 상기 서비스 스위칭부로 전달하기 위한 대역통과 필터링 수단
    을 더 포함하는 시분할 이중화(TDD) 무선중계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는,
    상기 전치왜곡 신호처리부로부터 전달받은 간섭신호량 결정을 위한 제어정보에 따라 증폭 출력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한 증폭 출력을 전치왜곡정보로 이용하여 상기 전치왜곡 신호처리부에서의 순방향 중계신호의 선형 전력 증폭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분할 이중화(TDD) 무선중계 장치.
  15. 제 10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는,
    순방향 중계신호 내에 존재하는 귀환신호와 다중 경로 신호 간의 상호 간섭을 방지하는 제1 자동 지연 조절 기능; 및
    역방향 중계신호 내에 존재하는 귀환신호와 다중 경로 신호 간의 상호 간섭을 방지하는 제2 자동 지연 조절 기능
    을 더 수행하는 시분할 이중화(TDD) 무선중계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는,
    기지국 아이디(ID)와 상기 중계하고자 하는 중계신호 및 상기 이득이 조절되어 피드백된 중계신호 사이의 상관값을 계산하여 중계신호 내에 존재하는 잔류 귀환신호의 위상과 크기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분할 이중화(TDD) 무선중계 장치.
  17.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 방법에 있어서,
    중계하고자 하는 중계신호 및 이득이 조절되어 피드백된 중계신호로부터 귀 환신호의 위상과 크기를 검출하여 갱신하는 귀환신호 검출 단계;
    상기 이득이 조절되어 피드백된 중계신호 및 상기 귀환신호 검출 단계에서 검출한 귀환신호의 위상과 크기를 이용하여 역귀환신호를 생성하는 역귀환신호 생성 단계;
    상기 중계하고자 하는 중계신호 내에 존재하는 귀환신호를 상기 역귀환신호 생성 단계에서 생성한 역귀환신호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귀환신호 제거 단계; 및
    상기 귀환신호 제거 단계에서 귀환 신호를 제거한 중계신호의 이득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자동 이득 조절 단계
    를 포함하는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귀환신호의 발생 시점을 조절하여 중계신호 내에 존재하는 귀환신호와 다중 경로 신호 간의 상호 간섭을 방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전치왜곡정보를 이용하여 순방향 중계신호의 선형 전력 증폭을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 방법.
  20. 제 17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귀환신호 검출 단계는,
    기지국 아이디(ID)와 상기 중계하고자 하는 중계신호 및 상기 이득이 조절되어 피드백된 중계신호 사이의 상관값을 계산하여 중계신호 내에 존재하는 잔류 귀환신호의 위상과 크기를 검출하여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이득 조절 단계는,
    상기 귀환신호 제거 단계에서 귀환신호가 제거된 중계신호의 크기, 무선중계 장치의 현재 상태에 따른 이득 조절값, 및 기 설정된 목표 출력 크기값 및 목표 이득값을 이용하여 이득값을 결정하여, 상기 귀환신호 제거 단계에서 귀환신호가 제거된 중계신호의 이득(출력 신호 크기)을 상기 결정한 이득값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 방법.
  22. 프로세서를 구비한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에,
    중계하고자 하는 중계신호 및 이득이 조절되어 피드백된 중계신호로부터 귀환신호의 위상과 크기를 검출하여 갱신하는 귀환신호 검출 기능;
    상기 이득이 조절되어 피드백된 중계신호 및 상기 귀환신호 검출 기능에서 검출한 귀환신호의 위상과 크기를 이용하여 역귀환신호를 생성하는 역귀환신호 생성 기능;
    상기 중계하고자 하는 중계신호 내에 존재하는 귀환신호를 상기 역귀환신호 생성 기능에서 생성한 역귀환신호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귀환신호 제거 기능; 및
    상기 귀환신호 제거 기능에서 귀환 신호를 제거한 중계신호의 이득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자동 이득 조절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23. 제 22 항에 있어서,
    귀환신호의 발생 시점을 조절하여 중계신호 내에 존재하는 귀환신호와 다중 경로 신호 간의 상호 간섭을 방지하는 기능
    을 더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24. 제 22 항 또는 제 23 항에 있어서,
    전치왜곡정보를 이용하여 순방향 중계신호의 선형 전력 증폭을 제어하는 기능
    을 더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70022436A 2006-03-07 2007-03-07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시분할이중화 무선중계 장치 KR1008930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1477 2006-03-07
KR20060021477 2006-03-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2156A true KR20070092156A (ko) 2007-09-12
KR100893051B1 KR100893051B1 (ko) 2009-04-15

Family

ID=38475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2436A KR100893051B1 (ko) 2006-03-07 2007-03-07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시분할이중화 무선중계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826801B2 (ko)
EP (1) EP1992084A4 (ko)
JP (1) JP4792498B2 (ko)
KR (1) KR100893051B1 (ko)
CN (1) CN101438509B (ko)
RU (1) RU2407161C2 (ko)
WO (1) WO2007102707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613B1 (ko) * 2008-04-23 2010-03-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동일채널 중계기의 궤환신호 제거방법 및 그 장치
KR101521881B1 (ko) * 2009-04-24 2015-05-2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위상 에러를 보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15152465A1 (ko) * 2014-03-29 2015-10-08 주식회사 쏠리드 간섭 제거 중계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584B1 (ko) * 2007-10-22 2009-12-03 (주)에어포인트 적응형 간섭 제거기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이동 다중홉 중계 시스템의 중계 장치
KR101497613B1 (ko) * 2008-01-14 2015-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이중 중계 방식의 통신시스템에서 간섭채널 추정을 통한간섭제거 및 동기유지 장치 및 방법
JP2009177671A (ja) * 2008-01-28 2009-08-06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中継増幅装置
DE102008017881B9 (de) 2008-04-09 2012-11-08 Andrew Wireless Systems Gmbh TDD-Repeater für ein Drahtlos-Netz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s solchen Repeaters
US9191008B2 (en) * 2008-06-25 2015-11-17 Intersil Americas LLC Dual use delay capacitor
US20100150035A1 (en) * 2008-12-12 2010-06-17 Zhifeng Tao Method for Signaling Center Frequencies for WiMAX Repeaters
US8463176B2 (en) * 2009-05-11 2013-06-11 Qualcomm Incorporated Stability indicator for a wireless repeater
KR20100134942A (ko) * 2009-06-16 2010-12-24 주식회사 쏠리테크 무선 중계기 및 그 반향신호 제거방법
US8548375B2 (en) * 2010-03-12 2013-10-01 Qualcomm Incorporated Gain control metric computation in a wireless repeater
JP5542042B2 (ja) * 2010-12-21 2014-07-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中継装置
US9998200B2 (en) 2013-06-20 2018-06-12 Aviat U.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 fronthaul network
WO2015196398A1 (zh) * 2014-06-26 2015-12-3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通信方法及系统、全双工无线收发机
KR101825417B1 (ko) * 2014-12-30 2018-02-06 주식회사 쏠리드 간섭제거 중계기
KR101825416B1 (ko) * 2014-12-30 2018-03-22 주식회사 쏠리드 간섭 제거 중계 장치
US10862529B2 (en) 2015-08-18 2020-12-08 Wilson Electronics, Llc Separate uplink and downlink antenna repeater architecture
KR101745669B1 (ko) * 2016-01-15 2017-06-09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Das의 tdd 스위칭 제어장치
EP3236584B8 (en) * 2016-04-18 2020-08-26 Rohde & Schwarz GmbH & Co. KG An amplifier device for high frequency signals
US10348392B2 (en) 2016-11-15 2019-07-09 Wilson Electronics, Llc Desktop signal booster
US10673517B2 (en) 2016-11-15 2020-06-02 Wilson Electronics, Llc Desktop signal booster
JP2018182448A (ja) * 2017-04-07 2018-11-15 富士通株式会社 中継装置及び干渉抑制方法
CN108390651B (zh) * 2018-02-09 2021-07-06 沃勤科技有限公司 自适应反馈抵消失真信号的射频功率放大器及抵消方法
US11909695B2 (en) 2019-08-13 2024-02-20 Solid, Inc. Repeater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JP7078214B2 (ja) * 2019-08-13 2022-05-31 ソリッド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干渉除去中継器及びその動作方法
EP3863191A1 (en) * 2020-02-04 2021-08-11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3525A (ja) 1985-06-29 1987-01-09 Fujitsu Ltd 双方向性のワイヤ−ド論理演算回路
JPS633525A (ja) * 1986-06-23 1988-01-0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無線中継装置
RU2037966C1 (ru) 1991-06-26 1995-06-19 Одесский электротехн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связи Двухпроводная дуплексная цифровая система передачи с временным разделением
US5307405A (en) 1992-09-25 1994-04-26 Qualcomm Incorporated Network echo canceller
US5396189A (en) * 1993-08-03 1995-03-07 Westech Group, Inc. Adaptive feedback system
US5991418A (en) * 1996-12-17 1999-11-2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Off-line path modeling circuitry and method for off-line feedback path modeling and off-line secondary path modeling
US6418227B1 (en) * 1996-12-17 2002-07-0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Active nois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on-line feedback path modeling
DE19755049C2 (de) 1997-12-11 1999-12-02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m Betrieb eines Telekommunikationsendgerätes, Telekommunikationsendgerät und Funkmodul
US7031460B1 (en) * 1998-10-13 2006-04-18 Lucent Technologies Inc. Telephonic handset employing feed-forward noise cancellation
JP2000134143A (ja) * 1998-10-23 2000-05-12 Fujitsu Ltd 時分割多元接続−時分割双方向伝送方式を利用した無線中継システム
US6553518B1 (en) * 1999-03-08 2003-04-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vere error detector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that use constellation specific error event thresholds to detect severe error events during demodulation of a signal comprising symbols from a plurality of symbol constellations
IL137078A (en) 1999-07-20 2005-05-17 Andrew Corp Side-to-side repeater and adaptive cancellation for repeater
US6792040B1 (en) * 1999-10-29 2004-09-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odems having a dual power mode capability and methods of operating same
US6505222B1 (en) * 1999-10-29 2003-01-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controlling undesirable bias in an equalizer
ES2160087B1 (es) * 2000-02-18 2003-03-01 Mier Comunicaciones S A Procedimiento para la repeticion de señales en insofrecuencia y repetidor de señales en isofrecuencia.
JP3596452B2 (ja) * 2000-09-28 2004-12-02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無線中継器
KR100454564B1 (ko) 2002-02-08 2004-11-05 주식회사 에어텍시스템 이동통신용 무선중계기의 피드백신호 제거 장치
WO2004009007A1 (en) * 2002-07-19 2004-01-29 The Penn State Research Foundation A linear independent method for noninvasive online secondary path modeling
JP2004179801A (ja) 2002-11-25 2004-06-24 Keio Gijuku Uwb中継装置及びuwb通信装置
KR100528275B1 (ko) * 2003-01-06 2005-11-15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통신 중계기에서의 간섭 제거 장치
KR100604677B1 (ko) 2003-05-28 2006-07-26 (주)에어포인트 귀환신호 제거 및 출력세기 자동 제어 기능을 구비한 코드분할 다중 접속방식 무선중계장치
US7596352B2 (en) * 2004-08-23 2009-09-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nel estimation and echo cancellation in a wireless repeater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613B1 (ko) * 2008-04-23 2010-03-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동일채널 중계기의 궤환신호 제거방법 및 그 장치
KR101521881B1 (ko) * 2009-04-24 2015-05-2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위상 에러를 보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15152465A1 (ko) * 2014-03-29 2015-10-08 주식회사 쏠리드 간섭 제거 중계 장치
US9941951B2 (en) 2014-03-29 2018-04-10 Solid, Inc. Interference cancellation relay device
US10686517B2 (en) 2014-03-29 2020-06-16 Solid, Inc. Interference cancellation re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92084A1 (en) 2008-11-19
US20090207776A1 (en) 2009-08-20
JP2008532459A (ja) 2008-08-14
CN101438509B (zh) 2013-04-17
KR100893051B1 (ko) 2009-04-15
EP1992084A4 (en) 2012-03-28
CN101438509A (zh) 2009-05-20
JP4792498B2 (ja) 2011-10-12
RU2407161C2 (ru) 2010-12-20
US7826801B2 (en) 2010-11-02
WO2007102707A1 (en) 2007-09-13
RU2008139620A (ru) 2010-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3051B1 (ko)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시분할이중화 무선중계 장치
KR100879334B1 (ko) 초소형 일체형 간섭 제거 무선중계 장치 및 그 방법
JP4638509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のための無線中継装置及びその中継方法
US8725067B2 (en)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method and apparatus of relay using the same frequency band in OFDM-based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20100136900A1 (en) Radio Relay Device and Method
KR100658211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을 위한 무선중계 장치 및 중계 방법
KR100906127B1 (ko) 일체형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시분할 이중화 무선중계 장치
KR100890634B1 (ko) 시분할 이중화 방식의 rf 중계 장치 및 그 방법
JP5171529B2 (ja) 中継送受信装置
KR101060585B1 (ko) 반향 제거 장치를 갖는 무선 중계기 및 반향 신호 제거 방법
KR100831901B1 (ko) 등화기가 포함된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를 이용한 무선중계 장치 및 그 방법
JP4010372B2 (ja) 無線中継増幅装置
KR100604677B1 (ko) 귀환신호 제거 및 출력세기 자동 제어 기능을 구비한 코드분할 다중 접속방식 무선중계장치
WO2008108528A1 (en) Wireless repeater apparatus for canceling interference signal
KR20080078425A (ko) 시분할 이중화 간섭제거 무선중계 장치 및 방법
KR100929584B1 (ko) 적응형 간섭 제거기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이동 다중홉 중계 시스템의 중계 장치
KR20110040602A (ko) 듀얼 적응형 시분할 귀환 간섭 제거기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무선 중계 장치
KR100697470B1 (ko) Tdd 방식의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신호를 제거하는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