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8275B1 - 이동통신 중계기에서의 간섭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중계기에서의 간섭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8275B1
KR100528275B1 KR10-2003-0000612A KR20030000612A KR100528275B1 KR 100528275 B1 KR100528275 B1 KR 100528275B1 KR 20030000612 A KR20030000612 A KR 20030000612A KR 100528275 B1 KR100528275 B1 KR 1005282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nterference cancellation
inflow
interference
t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0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3258A (ko
Inventor
최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3-0000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8275B1/ko
Publication of KR20040063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32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8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82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12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parts of the machine
    • B23Q11/121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parts of the machine with lubricating effect for reducing friction
    • B23Q11/122Lubricant suppl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중계기에서의 간섭 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송신 안테나를 통하여 방사된 시험 신호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 환경에 적응적인 간섭 제거 회로를 구성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중계기 송수신 안테나간에 발생되는 간섭을 제거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간섭 제거 장치는 미리 설정된 시각마다 송신 안테나를 통하여 방사하기 위한 시험 신호를 발생시키는 시험 신호 발생부, 수신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하여 방사된 시험 신호에 상응하는 제1 역유입 시험 신호를 이용하여 간섭 제거 궤환부 설정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시험 신호 검출부, 시험 신호 검출부로부터 전달 받은 간섭 제거 궤환부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간섭 제거 궤환부를 설정하기 위한 제어부 및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설정되는 복수개의 간섭 제거 궤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중계기에서의 간섭 제거 장치{Interference Cancellation Apparatus for Microwave Repeaters}
본 발명은 이동통신 중계기에서의 간섭 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송신 안테나를 통하여 방사된 시험 신호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 환경에 적응적인 간섭 제거 회로를 구성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중계기 송수신 안테나간에 발생되는 간섭을 제거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통화 음영 지역을 해소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중계기가 이용된다. 이동통신 중계기는 미약한 크기의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한 후, 증폭된 신호를 재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수신 안테나, 증폭기 및 송신 안테나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이동통신 중계기에서 수신된 신호와 동일한 주파수로 신호를 재전송할 때 증폭된 재전송 신호로 인하여 원래 목적의 서비스 수행을 위하여 수신되는 신호(이하, 서비스 신호라 칭함)가 왜곡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중계기의 동작 환경이 도시되어 있다. 중계기는 여러 목적으로 사용되나, 일반적으로 전송 구간 도중에 삽입하여 신호 레벨을 증폭하기 위해 사용하는 증폭 기능을 수행한다.
도 1을 참조하면 기지국(190)으로부터 신호가 산이나 건물 등의 장애 요인에 의하여 일정한 전력 이하로 도달되거나 도달되지 못하는 통화 음영 지역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통화 음영 지역에 중계기(150)가 설치되어 단말기(100)에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중계기는 기지국(190)과 단말기(100)간의 신호를 중계하게 된다.
여기서, 중계기(150)는 단말기(100)로부터의 수신한 신호를 증폭하여 기지국(190)으로 재전송하거나, 이와 반대로, 기지국(100)으로부터의 신호를 증폭하여 단말기(100)로 재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중계기(150)에서 수신된 신호와 재전송하는 신호가 동일한 주파수를 갖는 신호이므로 송신 안테나로부터 방사되는 재전송 신호 중 일부가 중계기의 수신 안테나에서 수신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여기서, 중계기 송신 안테나를 통하여 재전송되는 신호 중 중계기 수신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되는 신호를 역유입 신호(backoff signal)라고 하며, 상기 역유입 신호로부터 발생되는 현상을 간섭(interference)이라 칭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중계기에서 발생하는 역유입 신호가 도시 되어 있다. 종래 중계기(150)는 수신 안테나(153), 송신 안테나(155) 및 간섭 제거 장치(156)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수신 안테나(210) 및 송신 안테나(250)는 동일한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수신하고 송신하므로, 수신 안테나(153)에서 발생하는 간섭을 제거하는 것이 중계기의 성능을 결정짓는 중요한 인자이다.
중계기(240)는 수신 안테나(210)를 통하여 수신한 서비스 신호를 증폭한 후, 송신 안테나(250)를 통하여 재전송한다. 이렇게 재전송된 신호, 즉, 재전송 신호 중 일부는 수신 안테나로 역유입되어 수신되며, 이러한 역유입 신호(200)는 반향 신호(210) 및 복수개의 반사신호(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반향 신호(210)는 송신 안테나(155)에서 직접 유입되는 신호를 지칭한다. 즉, 반향 신호(210)는 어떠한 반사체도 거치지 않고 송신 안테나(155)로부터 직접 수신 안테나(153)로 수신되는 신호로서, 송신 안테나(155)와 수신 안테나(153) 사이의 이격거리에 상응하는 지연 시간만큼 지연된 신호이다. 예를 들어, 이격거리가 l 이고 신호의 전파 속도(propagation velocity)가 v 라고 한다면 반향 신호(210)는 τ = l/v 초 만큼의 지연 시간을 갖는다.
반면, 반사 신호(200)는 건물, 산 등에 의하여 반사되어 유입되는 신호를 지칭한다. 이하, 복수개의 반사 신호(200)는 반사 신호 1(220-1), 반사 신호 2(220-2), ... , 반사 신호 N(220-N)을 포함하는 N개의 반사 신호로 구성된다고 가정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반사 신호 1(220-1)은 재전송 신호가 건물에 의하여 반사되어 수신되는 신호이며, 반사 신호 N(220-N)은 산 또는 기타 지형에 의하여 반사되어 수신되는 신호이다. 이러한 복수개의 반사 신호(220-N)는 다중경로 패이딩 신호(multipath fading signal)라 불리기도 하며, 송신 안테나(155) 및 수신 안테나(153)간의 이격거리보다 더 큰 크기의 거리만큼 전파되므로 τ 보다 큰 지연 시간을 갖는다.
상술한 반향 신호(210) 및 반사 신호들(220-1 내지 220-N)은 일정한 크기의 전력을 갖고 수신되어 간섭을 일으킨다. 그러나 모든 신호에 대하여 간섭을 소거하는 것은 현실적,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 특히, 반사 신호(220)의 개수는 무선 환경에 상응하여 변하므로, 일정하게 설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반향 신호(220)는 이격 거리 및 전파 속도를 이용하여 지연 시간을 산출할 수 있으나, 복수개의 반사 신호(220)에 .대한 지연 시간은 산출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다중경로 패이딩(multipath fading)에 의한 역유입 신호가 일정한 크기 이상으로 수신 안테나에 수신되면 발진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 발진 방지를 위해서 역유입 신호를 제거하는 과정이 요구된다.
종래의 이동통신 중계기중 일부는 송신 안테나(167)로부터 직접 수신되는 반향 신호(200)를 소거하는 기능을 제공하기는 하나, 반사체에 의하여 다중경로를 통하여 반사되어 수신되는 반사 신호(220)는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중계기 내부에 레이크 수신기를 사용하여 이러한 다중경로를 통하여 수신되는 역유입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도 고려될 수 있으나, 그 구성의 복잡성과 비용 문제로 인하여 보다 간단하고 저렴한 간섭 제거 장치가 필요하다.
그리고 재전송 신호의 전력의 크기를 조정하여 재전송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역유입 신호(backoff signal)에 의한 간섭을 제거하는 방법이 사용되기는 하나, 신호의 전력을 감소하여 재전송하는 것은 중계기가 서비스할 수 있는 커버리지(coverage)를 감소시키는 원인이 되므로 궁극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다.
또한, 송신 안테나와 수신 안테나의 이격거리(LOS : Line Of Sight)를 확보하고 두 개의 안테나 사이에 특정한 구조물을 설치하여 간섭 신호를 최소화하는 방법이 있었으나, 현실적으로 충분한 이격거리는 확보하기가 곤란하며 반사체에 의하여 반사되어 다중경로를 통하여 수신되는 역유입 신호를 정확히 검출하여 제거하기가 매우 곤란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송신 안테나로부터 직접 전파되어 수신되는 역유입 신호 및 다중경로를 통하여 수신되는 역유입 신호에 의한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간섭 제거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다중경로를 통하여 수신되는 역유입 신호에 의한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간섭 제거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험 신호를 분석하여 무선 환경에 적응적으로 동작 가능한 간섭 제거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 환경에 적응적으로 동작하는 간섭 제거 회로를 구성함으로써, 효율적으로 간섭을 제거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무선 통신 환경에 적응적으로 동작하는 간섭 제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할 때, 상기 간섭 제거 장치는 미리 설정된 시각에 송신 안테나를 통하여 방사하기 위한 시험 신호를 발생시키는 시험 신호 발생부, 수신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되며, 상기 방사된 시험 신호에 상응하는 제1 역유입 시험 신호를 이용하여 간섭 제거 궤환부 설정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시험 신호 검출부, 상기 시험 신호 검출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간섭 제거 궤환부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간섭 제거 궤환부를 설정하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설정되는 복수개의 간섭 제거 궤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시험 신호 검출부는 미리 설정된 기준 전력 레벨 이상의 역유입 시험 신호의 개수 및 상기 역유입 시험 신호의 감쇠 손실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신호 개수 검출부 및 상기 역유입 시험 신호 각각에 상응하는 위상 변위 및 시간 지연 정보를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개수에 상응하여 구성된 파라미터 검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파라미터 검출부는 LMS(Least Mean Square) 및 RMS(Root Mean Square) 중 적어도 하나의 적응적 반복 알고리즘(adaptive iteration algorithm)을 이용하는 상관도(correlation) 검사 등을 이용한 신호 검출 을 수행하여, 상기 역유입 시험 신호의 지연 시간 및 위상 변이를 추출할 수 있다.또한, 상기 신호 지연기는 메모리 및 디지털 필터(filter) 중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간섭 제거 장치는 상기 서비스 신호를 기저대역 주파수 및 중간대역 주파수 중 하나의 주파수로 하향 변환하기 위한 하향 컨버터, 상기 하향 컨버터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상기 하향 변환된 서비스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형하기 위한 ADC 및 상기 간섭 제거 궤환부의 출력단 및 상기 수신 안테나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상기 수신 안테나로부터 출력된 서비스 신호 및 상기 간섭 제거 궤환부에서 출력된 제2 역유입 신호를를 소거하기 위한 신호 가감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간섭 제거 궤환부는 상기 ADC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상기 디지털 신호로 변형된 서비스 신호에 포함된 상기 제2 역유입 신호를 상기 시간 지연에 상응하여 지연 출력하기 위한 신호 지연기, 상기 신호 지연기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상기 지연된 제2 역유입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형하기 위한 DAC, 상기 DAC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상기 DAC로부터 출력된 제2 역유입 신호를 상기 서비스 신호에 포함된 제1 역유입 신호의 크기에 상응하는 크기로 감쇠하기 위한 감쇠기 및 상기 감쇠기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상기 감쇠기로부터 출력된 제2 역유입 신호를 고주파로 변형하기 위한 상향 컨버터(up convert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무선 통신 환경에 적응적으로 동작하는 간섭 제거 방법에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할 때, 상기 간섭 제거 방법은 (a) 미리 설정된 시각에 시험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b) 상기 시험 신호를 방사하는 단계, (c) 상기 방사된 시험 신호에 상응하는 역유입 시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d) 상기 역유입 시험 신호를 이용하여 간섭 제거 궤환부 설정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e) 상기 시험 신호 검출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간섭 제거 궤환부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간섭 제거 궤환부를 설정하는 단계 및 (f) 상기 간섭 제거 궤환부에 의하여 서비스 신호에 포함된 역유입 신호를 소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d)단계는 미리 설정된 기준 전력 레벨을 초과하는 역유입 신호의 개수 정보 및 상기 역유입 신호의 감쇠 손실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역유입 신호의 위상 변위 및 시간 지연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위상 변위 및 시간 지연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LMS(Least Mean Square) 및 RMS(Root Mean Square) 중 적어도 하나의 적응적 반복 알고리즘(adaptive iteration algorithm)을 이용하는 상관도 검사 등을 통하여 적응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f)단계는 제1 역유입 신호가 포함된 서비스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신호를 기저대역 주파수 및 중간대역 주파수 중 하나의 주파수로 하향 변환하는 단계, 상기 하향 변환된 서비스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신호로 변형된 서비스 신호에 포함된 상기 제2 역유입 신호를 상기 시간 지연에 상응하여 지연 출력하는 단계, 상기 지연된 제2 역유입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제2 역유입 신호를 상기 제1 역유입 신호의 크기에 상응하는 크기로 감쇠하는 단계, 상기 감쇠된 제2 역유입 신호를 상기 서비스 신호의 송신 주파수로 상향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신호에서 상기 상향 변환된 제2 역유입 신호를 소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간섭 제거 방법 및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간섭 제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간섭 제거 장치는 수신 안테나(310), 송신 안테나(320), 스위치(315-1, 315-2), 신호 가감기(305), 증폭기(330), 시험 신호 검출부(325),시험 신호 발생부(345), 제어부(350), 하향 컨버터(335),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이하, ADC라 칭함)(340) 및 간섭 제거 궤환부(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이동통신 중계기는 수신한 신호를 증폭하여 재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므로 수신 안테나(310)와 송신 안테나(320)는 동일한 주파수의 신호를 수신하고 재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재전송 신호 중 일부가 수신 안테나(310)에 역유입되어 간섭에 의한 발진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역유입 신호는 송신 안테나(320)로부터 직접 전파되어 수신되는 반향 신호 및 다수개의 다중경로를 통하여 패이딩되어 수신되는 반사 신호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역유입 신호의 간섭에 의한 발진을 방지하고자, 수신 신호에서 역유입 신호를 소거함으로써 역유입 신호에 의한 간섭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간섭 제거 장치는 주기적 또는 미리 설정된 시간에 시험 신호 발생부(345)를 이용하여 방사된 시험 신호 중 역유입된 역유입 시험 신호에 상응하는 간섭 제거 궤환부(400)를 설정함으로써, 무선 통신 환경에 적응적인 간섭 제거를 수행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간섭 제거 회로의 설정 절차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시험 신호 발생부(345)에서 발생된 시험 신호는 송신 안테나(320)를 통하여 방사되며, 상기 방사된 시험 신호 중 일부, 즉 역유입 시험 신호는 수신 안테나(310)를 통하여 수신된다. 시험 신호 검출부(325)는 미리 설정된 방식에 따라, 상기 역유입 시험 신호 중 제거하여야 할 신호의 개수, 및 상기 신호에 상응하는 파라미터를 추출하여, 제어부(350)로 전달한다. 제어부는 상기 개수에 상응하는 간섭 제거 궤환부를 구성하고, 상기 간섭 제거 궤환부를 상기 파라미터에 상응하여 셋업한다. 상술한 절차를 거쳐 적응적 간섭 제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적응적인 간섭 제거 장치를 설정한 후, 역유입 신호를 포함하는 서비스를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간섭 제거 궤환부에 의하여 역유입 신호는 제거되고, 순수한 서비스 신호만을 추출하여 송신 안테나를 통하여 재전송하게 된다.
이하, 서비스 신호의 간섭 제거 절차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신 안테나(310)가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기지국으로부터 서비스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서비스 신호는 송신 안테나(320)에서 송신된 재전송 신호 중 반향 또는 반사된 역유입 신호를 포함한다.
이러한 서비스 신호는 증폭기(330)를 통하여 증폭된 후, 하향 컨버터(335)에서 중간 주파수 또는 기저대역 주파수 신호로 변환된다. 이렇게 중간 주파수 또는 기저대역 주파수 신호로 변환된 서비스 신호는 ADC(340)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그리고,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서비스 신호는 신호 지연기(355)에서 각 역유입 신호에 상응하는 시간만큼 지연된 후, 간섭 제거 궤환부(400)를 거쳐, 상기 서비스 신호에 포함된 역유입 신호에 상응하는 감쇠 신호로 변환된다.
그리고, 신호 가감기(305)는 상기 역유입 신호에 상응하는 감쇠 신호를 이용하여 서비스 신호에 포함된 역유입 신호를 제거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역유입 신호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세로 좌표축은 전력 레벨을 나타내며, 가로 좌표축은 지연 시간을 나타낸다. 그리고 기준 전력 레벨은 수신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된 역유입 신호들 중에서 간섭의 가능성이 있는 전력의 문턱 값(threshold level)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기준 전력 레벨 이상의 역유입 신호에 대한 간섭 제거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할 때, 예를 들어, 열잡음을 기준으로 상기 기준 전력 레벨을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기준 전력 레벨은 조정 가능하며, 기준 전력 레벨이 낮을수록 간섭 제거 효과는 높아진다.
무선 통신 환경은 변화가 심하여 예측이 어려우므로, 미리 설정된 시간마다 실시간으로 무선 통신 환경에 상응하도록 간섭 제거 궤환부(400)를 구성한다.
예를 들어, 임의의 시점에서 역유입 시험 신호가 도 4와 같이 검출되었다고 가정한다. 여기서, 기준 전력 레벨을 초과하여 수신되는 역유입 신호는 반향 신호(210) 및 세 개의 반사 신호(210-1, 210-2, 210-3)이다. 따라서, 간섭 제거 궤환부(400)는 역유입 신호의 개수의 상응하여 4개로 구성되며, 상기 각각의 간섭 제거 궤환부는 각 역유입 신호의 특성 파라미터, 즉 위상 변위, 감쇠 손실, 지연 시간 등을 상응하도록 셋업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할 때, 상기 간섭 제거 궤환부는 최대 10개의 역유입 신호를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되나, 상기 개수에 제한되지 아니함은 당연하다.
시험 신호 발생부(345)에서 송신된 신호가 일반적인 정현파라면, 송신된 신호 p(t)의 일반적인 수학적 표현식은 하기 수학식1과 같다.
이러한 시험 신호 p(t)가 송신 안테나(320)로 방사된 후, 반향 신호 또는 반사 신호로 수신 안테나(310)로 수신되며, 이렇게 역유입되는 역유입 신호의 수학적 표현식은 하기 수학식 2와 같다.
여기서, 시험 신호의 진폭 A는 감쇠 손실에 의하여 A1, A2, ..., AN 등과 같이 감쇠되며, 역유입 신호는 지연으로 인하여 위상이 θ1, θ2, ..., θN 등으로 변이 된다.
즉, 송신 안테나(320)에서 직접 수신 안테나(310)로 수신되는 반향 시험 신호는 송신 안테나(310)와 수신 안테나(320) 사이의 이격거리를 전파하는 시간만큼 신호가 지연된다. 그리고 다중경로 패이딩에 의한 반사 시험 신호는 반사체 등에 의하여 반사되어 수신되므로, 각각 일정한 시간만큼 신호가 지연된다.
이러한 반향 시험 신호 및 반사 시험 신호들은 수신 안테나(310)에 연결된 스위치 (315-1)를 통하여 시험 신호 검출부(325)에 전달된다. 시험 신호 검출부(325)는 반향 시험 신호 및 반사 시험 신호들에 대하여 수신된 시험 신호의 개수, 지연 시간, 위상 변이 및 감쇠 손실 값 등을 산출한다. 본 발명에 의할 때, 파라미터 검출부는 수신된 역유입 시험 신호에 대하여 상관도 검사 등을 이용한 신호 검출을 수행하여, 지연 시간, 위상 변이 등에 대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즉 시험 신호 발생부(325)에 의하여 발생된 시험 신호를 기준 신호로 하고, 기준 신호와 각각의 역유입 시험 신호와 상관도 (Correlation) 검사 등을 통한 신호 검출을 수행하여 정확한 지연 시간 및 위상 변이를 설정한다.
여기서 수신된 시험 신호의 개수는 제어부(350)에 미리 설정된 기준 전력 레벨 이상의 전력 값을 갖는 시험 신호들의 개수를 의미한다. 즉 이동통신 중계기에서 간섭을 일으킬 수 있는 기준 전력 레벨을 미리 설정하여 기준 전력 레벨 미만의 전력을 갖는 시험 신호가 수신되면 이러한 시험 신호에 대한 처리는 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시험 신호를 분석하기 위한 시험 신호 검출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시험 신호 검출부(325)는 신호 개수 추출부(500) 및 복수개의 파라미터 검출부(550)를 포함한다.
신호 개수 추출부(325)는 역유입 시험 신호를 검출한 후, 기준 전력 레벨 이상으로 수신된 역유입 시험 신호의 개수를 추출하고, 추출된 역유입 신호의 감쇠 손실값을 추출할 수 있다. 이하, 기준 전력 레벨 이상의 역유입 시험 신호는 N개라고 가정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파라미터 검출부(500)는 신호 개수 추출부와 하나로 구현되어 동시에 신호 개수 추출 및 파라미터 검출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으나, 개념상 상기 역유입 시험 신호의 개수에 상응하여 N개의 파라미터 검출부(550-1, 550-2,,,, 550-N)로 구성되는 것으로 한다. 상기 파라미터 검출부는 상관기(correlator)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시험 신호 발생부에서 생성된 시험 신호와 역유입 신호에 대한 상관도 검사를 수행하여, 각 역유입 신호의 파라미터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파라미터는 위상 변이, 시간 지연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파라미터 검출부(550)는 복수개의 상관기 채널을 통하여 파라미터를 추출할 수 있으며, 각 채널마다 하나의 역유입 시험 신호와 기준 신호와 상관도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파라미터 검출은 LMS(Least Mean Square) 또는 RMS(Root Mean Square) 등의 적응적 반복 알고리즘(adaptive iteration algorithm)을 사용하여 적응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제어부(350)는 상기 신호 개수 추출부(500) 및 파라미터 검출부(550)에서 전달받은 신호 개수 정보 및 파라미터 정보를 이용하여 간섭 제거 궤환부(400)를 구성한다. 즉, 제어부(350)는 상기 개수에 상응하는 DAC, 감쇠기 및 상향 컨버터의 개수를 설정하고, 상기 파라미터 정보를 이용하여 시간 지연기 및 감쇠기의 값을 설정한다.
이하, 미리 설정된 기준 전력 레벨을 초과하는 역유입 시험 신호의 개수 정보 및 상기 역유입 시험 신호의 위상 변위, 시간 지연 및 감쇠 손실 등 을 간섭 제거 궤환부 설정 정보라 칭하기로 한다.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간섭 제거 장치의 설정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b를 참조하여 상술한 구성을 지닌 이동 통신 중계 장치의 간섭 제거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S560에서 이동통신 중계기는 현재 시각이 미리 설정된 시험 신호 발생 시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현재 시각이 미리 설정된 시각인 경우, 단계 S565에서 시험 신호를 발생한다. 이러한 시험 신호는 일정한 펄스 또는 코드분할 다중접속 (CDMA) 시스템의 파일럿 채널 신호와 같은 확산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시험 신호는 실제 중계기 시스템에서 송신 안테나로부터 수신 안테나까지의 직접 전파 경로 및 반사체에 의한 전파 경로 등에 의한 시간 지연, 감쇠 손실 값 등을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중계기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시험 신호 발생부(345)는 시험 신호를 발생한다. 이러한 시험 신호는 코드분할 다중접속 시스템의 파일럿 채널 신호와 같은 확산 신호 또는 펄스 톤(pulse tone) 등을 포함한다. 이동통신 중계기는 이러한 시험 신호를 매우 짧은 시간 동안 송신 안테나(320)를 통하여 방사한다. 여기서 시험 신호가 방사되는 주파수는 원칙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주파수 대역을 별도로 할당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실제 서비스되고 있는 주파수 대역이 아주 짧은 시간 동안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단계 S570에서 이동 통신 중계기는 송신 안테나(320)를 통하여 상기의 시험 신호는 일정한 펄스 또는 코드분할 다중접속 시스템의 파일럿 채널 신호와 같은 구형파이므로 이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고주파의 반송파에 변조하여 송신 안테나를 통하여 송신한다. 이렇게 방사된 시험 신호 중 일부는 수신 안테나(310)로 역유입된다. 이러한 역유입 시험 신호를 이용하여 지연 시간, 위상 변이 및 감쇠 손실 값 등을 추출할 수 있으며, 상기 추출된 정보는 제어부(350)에 전달되어 간섭을 일으킬 수 있는 신호 성분의 개수 및 특성을 설정하는데 이용된다.
단계 S575에서 이동통신 중계기는 수신 안테나로 수신되는 역유입 시험 신호를 검출한다. 여기서 역유입 시험 신호의 전력이 일정한 기준 전력 레벨 이상인 역유입 시험 신호의 개수를 판단한다. 이러한 기준 전력 레벨을 초과하는 역유입 시험 신호의 개수를 판단하여 동작될 DAC의 개수, 감쇠기의 개수 및 상향 컨버터의 개수가 설정된다.
그리고, 단계 S580에서 이동통신 중계기는 기준 전력 레벨을 초과하는 역유입 시험 신호 각각에 대하여 지연 시간, 위상 변이 및 감쇠 손실 값 등의 파라미터를 추출한다.
단계 S580에서 이동통신 중계기는 각각의 역유입 신호에 대하여 지연시킬 시간을 설정하고 동작될 감쇠기 각각에 대한 감쇠 손실 값을 설정한다. 상기에서 지연 시간은 제어부에 설정되어 설정된 지연 시간만큼 신호 지연기에 대한 제어를 통하여 신호를 지연시킨다.
예를 들면, 기준 전력 레벨 이상으로 수신되는 신호가 반향 시험 신호와 제1 반사 시험 신호 및 제2 반사 시험 신호라고 가정한다. 또한 반향 시험 신호의 지연 시간은 2 ns이며 감쇠 손실 값은 - 5 dB, 제1 반사 시험 신호의 지연 시간은 100 ns이며 감쇠 손실 값은 - 10 dB, 제2 반사 시험 신호의 지연 시간은 150 ns이며 감쇠 손실 값은 - 12 dB라고 가정한다.
그러므로 간섭을 일으킬 수 있는 신호 성분의 개수는 3개이며, 제어부(350)는 이러한 신호들에 의한 간섭을 제거하기 위하여 동작을 수행하게 될 각각 3개의 DAC, 감쇠기 및 상향 컨버터를 설정한다. 그리고 각 수신된 시험 신호들에 의하여 분석된 지연 시간을 설정하여 간섭 제거를 위한 동작 수행시에 신호 지연기(355)를 제어하여 각각 정확한 지연 시간 2 ns, 100 ns 및 150 ns를 갖도록 한다. 또한 감쇠기는 신호에 설정될 감쇠 손실 값을 각각 - 5 dB, - 10 dB 및 - 12 dB로 설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역유입 신호를 제거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간섭 제거 장치는 수신 안테나(310), 증폭기(330) 및 송신 안테나(320)를 구비된다.. 또한, 송신 안테나(320)로부터 수신 안테나(310)로 유입되는 역유입 신호를 제거하기 위하여 신호 지연기(355) 및 감쇠기(365)를 포함하는 간섭 제거 회로를 포함한다.
여기서, 송신 안테나(320)로부터 방사되는 역유입 신호가 수신 안테나(310)로 일정 레벨 이상이 유입되면 간섭에 의한 발진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송신 안테나(320)와 수신 안테나(310) 간의 물리적인 이격거리를 충분히 확보하거나 재전송 신호의 출력을 제한하여 수신 안테나(310)에 수신되는 역유입 신호가 발진을 일으킬 수 없는 전력을 갖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격거리를 충분히 확보하는 것은 공간적인 제약이 따르며, 재전송 신호의 출력의 제한은 중계기 커버리지(coverage)의 제한을 의미하므로, 효율적인 서비스의 수행을 방해하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수신 안테나(310)를 통하여 수신되는 역유입 신호를 제거하기 위하여 피드백 회로로 구성된 간섭 제거 회로가 구비된다. 이러한 간섭 제거 회로는 수신되는 신호에서 역유입 신호의 성분을 제거하기 위함이다. 송신 안테나(320)로부터 재전송되는 재전송 신호는 수신 안테나(310)에 도달할 때 이격거리에 상응하는 지연 시간만큼 지연되고 일정한 크기만큼 출력이 감쇠되어 도달한다. 그러므로 지연 시간 및 출력의 감쇠 등을 분석하고 그에 상응하는 신호를 수신 신호에서 소거함으로써 원래의 신호를 최대한 복원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번잡을 피하기 위하여 반향 신호를 기준으로 간섭 제거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술한 간섭 제거 회로의 동작을 하기의 수학식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수신 안테나(310)는 역유입 신호를 포함한 서비스 신호를 수신한다고 가정한다. 여기서, r(t)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송신되는 순수한 서비스 신호를 지칭한다. 그리고 s(t)는 송신 안테나(212)를 통하여 재전송되는 신호를 지칭한다. 그리고, 역유입 신호는 재전송 신호 s(t)가 지연 시간 τ 만큼 지연되고 감쇠 효과에 의한 함수 β(t) 에 의하여 감소되어, β(t)·s(t+τ)로 표현될 수 있다.
따라서, 역유입 신호가 포함된 서비스 신호는 하기 수학식 3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송신 안테나(320)로부터 어떠한 재전송 신호도 수신되지 않는다면 수신되는 신호 g(t)는 r(t)가 되겠지만, 수학식 3에서와 같이, 역유입 신호, β(t)·s(t+τ)는 서비스 신호 r(t)와 합쳐져서 수신된다.
또한, 재전송 신호 s(t)는 수신되는 신호 g(t)가 증폭기의 증폭 비율 α 만큼 증폭되어 재전송되므로, 하기 수학식 4에서와 같이, α·g(t) 로 표현할 수 있다..
그러므로 수신되는 신호 g(t)로부터 서비스 신호 r(t)만을 추출하려면 수학식 3과 같이 g(t)로부터 시간 지연 및 감쇠 성분을 갖는 재전송 신호를 소거하여야 한다. 따라서, 수학식 5에서 - α·β(t)·g(t+τ) 로 표현된 부분이 본 발명에 따른 간섭 제거 궤환부의 출력이 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할 때, 반향 신호 및 반사 신호를 구분하지 않고, 적응적으로 제거되도록 간섭 제거 궤환부를 구성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그러나, 반향 신호에 대하여는 예측할 수 있으므로, 반향 신호에 대한 간섭 제거 궤환부는 고정하고, 반사 신호에 대한 간섭 제거 궤환부만을 적응적으로 구성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역유입 신호 제거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역유입 신호 제거 절차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이동통신 중계기는 수신 안테나(310), 증폭기(330), 송신 안테나(320), 상향 컨버터(up converter)(360), 하향 컨버터(down converter)(335), 감쇠기(365), DAC(Digital-to-Analog Converter)(370), 제어부(350), ADC(Analog-to-Digital Converter)(340) 및 신호 지연기(355)를 포함한다.
이하,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간섭 제거 장치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700에서 역유입 신호를 포함하여 수신된 서비스 신호는 증폭기(330)를 통하여 증폭된 후, 단계 705의 하향 컨버터(335)에서 중간 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 또는 기저대역 주파수(Baseband Frequency)로 변환된다.
그리고 단계 710에서 이렇게 변환된 서비스 신호는 상기 서비스 신호에 포함된 역유입 신호 정보를 추출하기 위하여 ADC(340)를 통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이는 디지털 신호가 아날로그 신호보다 신호를 지연시키거나 신호에 대한 위상의 조작이 비교적 용이하기 때문이다.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서비스 신호는 간섭 제거 궤환부(400)로 전달된다. 여기서, 간섭 제거 궤환부(400)는 복수개의 상향 컨버터(360), 복수개의 감쇠기(365), 복수개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이하, DAC라 칭함)(370) 및 신호 지연기(355)를 포함한다. 이하, 상기 복수개의 간섭 제거 궤환부 중 하나의 궤환부를 기준으로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715에서 신호 지연기(355)는 일종의 신호 버퍼(buffer)로 동작하여, 상기 ADC(340)에 의하여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각 역유입 신호에 상응하는 지연 시간만큼 지연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간섭 제거를 위한 지연 시간은 신호 지연기(355)에 의해 설정되도록 하였으나, 다중 위상 필터등의 디지털 필터(digital filter) 등을 이용한 방법으로도 설정할 수 있음을 당업자라면 알 수 있을 것이다.
단계 720에서 ADC(340)는 신호 지연기(355)에 의하여 지연된 서비스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할 때, PCM(Pulse Code Modulation) 방식을 사용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단계 725에서 감쇠기(365)는 DAC(370)에 의하여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를 감쇠 손실값에 상응하도록 감쇠시킨다. 상기 감쇠 손실 값은 제어부(350)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단계 730에서 상향 컨버터(360)는 감쇠된 서비스 신호를 원래 주파수로 변환한다. 그리고, 단계 735에서 신호 가감기(305)는 상향 컨버터(171)에서 출력된 신호는 서비스 신호에 포함된 역유입 신호를 상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ADC(183)에 의해 출력된 디지털 신호에 대하여 필터(filter) 또는 메모리(memory) 등을 사용하여 신호 지연기(177)에서 신호의 지연과 위상을 조절하고, 조정된 디지털 신호를 DAC(175)를 통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재전송 신호는 일정한 크기로 감쇠되어 수신되므로 감쇠기(173)를 통하여 적당한 크기로 감쇠한 후 상향 컨버터(171)를 통하여 고주파(Radio Frequency)로 변환하여, 신호가감기에서 역유입 신호가 제거된다. 여기서, 제어부(350)는 상술한 절차로 동작되도록 역유입되는 신호의 개수에 상응하도록 상향 컨버터, 감쇠기, DAC를 구성하며, 이동통신 중계기의 모든 구성 요소들을 유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종래에는 단지 송신 안테나(320)로부터 수신 안테나(310)로 직접 반향되어 수신되는 재전송 신호만을 소거할 수 있었으며, 반사체에 의하여 다중경로로 수신되는 복수개의 역유입 신호를 소거하기 위하여 레이크 수신기 등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개의 간섭 제거 궤환부를 통하여 간섭을 일으키는 복수개의 역유입 신호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중계기에서의 간섭 제거 장치는 송신 안테나로부터 직접 전파되어 수신되는 역유입 신호 및 다중경로를 통하여 수신되는 역유입 신호를 효율적으로 제거하여 간섭에 의한 발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간섭 제거 장치는 저렴한 비용으로 다중경로를 통하여 수신되는 역유입 신호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험 신호를 분석하여 무선 환경에 적응적으로 동작 가능한 간섭 제거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선 환경에 적응적으로 동작하는 피드백 회로를 구성함으로써, 효율적으로 간섭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중계기의 동작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종래 중계기의 역유입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간섭 제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간섭 제거 장치의 구성을 설정하는 절차를 나타낸 도면.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시험 신호를 분석하기 위한 시험 신호 검출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역유입 신호를 나타낸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역유입 신호를 제거하는 개념을 나타낸 도면.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역유입 신호 제거 회로를 나타낸 도면.
도 7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역유입 신호 제거 절차를 나타낸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0 : 수신 안테나
320 : 송신 안테나
315-1, 315-2 : 스위치
305 : 신호 가감기
330 : 증폭기
325 : 시험 신호 검출부
345 : 시험 신호 발생부
350 : 제어부
335 : 하향 컨버터
400 : 간섭 제거 궤환부

Claims (14)

  1. 무선 통신 환경에 적응적으로 동작하는 이동통신 중계기의 간섭 제거 장치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시각에 송신 안테나를 통하여 방사하기 위한 시험 신호를 발생시키는 시험 신호 발생부;
    수신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되며, 상기 방사된 시험 신호에 상응하는 제1 역유입 시험 신호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 전력 레벨을 초과하는 역유입 시험 신호의 개수 정보와, 상기 역유입 시험 신호의 감쇠 손실, 위상 변위 및 시간 지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간섭 제거 궤환부 설정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시험 신호 검출부;
    상기 시험 신호 검출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간섭 제거 궤환부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간섭 제거 궤환부를 설정하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설정되어 서비스 신호의 간섭을 제거하는 복수개의 간섭 제거 궤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중계기의 간섭 제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 신호 검출부는,
    상기 역유입 시험 신호의 개수 및 감쇠 손실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신호 개수 검출부; 및
    상기 역유입 시험 신호 각각에 상응하는 위상 변위 및 시간 지연 정보를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개수에 상응하여 구성된 파라미터 검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중계기의 간섭 제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 검출부는,
    LMS(Least Mean Square) 및 RMS(Root Mean Square) 중 적어도 하나의 적응적 반복 알고리즘(adaptive iteration algorithm)을 이용하는 상관도 검사를 수행하여, 상기 역유입 시험 신호의 지연 시간 및 위상 변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섭 제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신호를 기저대역 주파수 및 중간대역 주파수 중 하나의 주파수로 하향 변환하기 위한 하향 컨버터;
    상기 하향 컨버터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상기 하향 변환된 서비스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형하기 위한 ADC; 및
    상기 간섭 제거 궤환부의 출력단 및 상기 수신 안테나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상기 수신 안테나로부터 출력된 서비스 신호 및 상기 간섭 제거 궤환부에서 출력된 제2 역유입 신호를 소거하기 위한 신호 가감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중계기의 간섭 제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제거 궤환부는,
    상기 ADC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상기 디지털 신호로 변형된 서비스 신호에 포함된 상기 제2 역유입 신호를 상기 시간 지연에 상응하여 지연 출력하기 위한 신호 지연기;
    상기 신호 지연기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상기 지연된 제2 역유입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형하기 위한 DAC;
    상기 DAC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상기 DAC로부터 출력된 제2 역유입 신호를 상기 서비스 신호에 포함된 제1 역유입 신호의 크기에 상응하는 크기로 감쇠하기 위한 감쇠기; 및
    상기 감쇠기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상기 감쇠기로부터 출력된 제2 역유입 신호를 고주파로 변형하기 위한 상향 컨버터(up converter)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섭 제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지연기는,
    메모리 및 디지털 필터(filter) 중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섭 제거 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 신호는,
    확산 신호 및 펄스 톤 신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섭 제거 장치.
  9. 간섭 제거 궤환부를 포함한 이동 통신 중계기에서 무선 통신 환경에 적응적으로 간섭을 제거할 수 있는 방법에 있어서,
    (a) 미리 설정된 시각에 시험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b) 상기 시험 신호를 방사하는 단계;
    (c) 상기 방사된 시험 신호에 상응하는 역유입 시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d) 상기 역유입 시험 신호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 전력 레벨을 초과하는 역유입 신호의 개수 정보와, 상기 여유입 신호의 위상 변위, 시간 지연 및 감쇠 손실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간섭 제거 궤환부 설정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e) 상기 시험 신호 검출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간섭 제거 궤환부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간섭 제거 궤환부를 설정하는 단계; 및
    (f) 상기 간섭 제거 궤환부에 의하여 서비스 신호에 포함된 역유입 신호를 소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섭 제거 방법.
  10. 삭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변위 및 시간 지연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LMS(Least Mean Square) 및 RMS(Root Mean Square) 중 적어도 하나의 적응적 반복 알고리즘(adaptive iteration algorithm)을 이용하여 상관도 검사를 수행함으로써, 적응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섭 제거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f)단계는,
    제1 역유입 신호가 포함된 서비스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신호를 기저대역 주파수 및 중간대역 주파수 중 하나의 주파수로 하향 변환하는 단계;
    상기 하향 변환된 서비스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신호로 변형된 서비스 신호에 포함된 상기 제2 역유입 신호를 상기 시간 지연에 상응하여 지연 출력하는 단계;
    상기 지연된 제2 역유입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제2 역유입 신호를 상기 제1 역유입 신호의 크기에 상응하는 크기로 감쇠하는 단계;
    상기 감쇠된 제2 역유입 신호를 상기 서비스 신호의 송신 주파수로 상향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신호에서 상기 상향 변환된 제2 역유입 신호를 소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섭 제거 방법.
  13. 삭제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 신호는,
    확산 신호 및 펄스 톤 신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섭 제거 방법.
KR10-2003-0000612A 2003-01-06 2003-01-06 이동통신 중계기에서의 간섭 제거 장치 KR1005282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0612A KR100528275B1 (ko) 2003-01-06 2003-01-06 이동통신 중계기에서의 간섭 제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0612A KR100528275B1 (ko) 2003-01-06 2003-01-06 이동통신 중계기에서의 간섭 제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3258A KR20040063258A (ko) 2004-07-14
KR100528275B1 true KR100528275B1 (ko) 2005-11-15

Family

ID=37354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0612A KR100528275B1 (ko) 2003-01-06 2003-01-06 이동통신 중계기에서의 간섭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82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4430B1 (ko) * 2006-08-18 2007-08-01 주식회사 쏠리테크 복수의 안테나를 구비하는 무선 중계기 및 무선 중계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9678B1 (ko) * 2005-04-22 2007-08-16 주식회사 사라콤 지상파 dmb의 동일채널 중계에 따른 송수신 채널간의간섭 제거 장치 및 방법, 이를 이용한 갭필러
KR100746577B1 (ko) * 2006-01-02 2007-08-06 최동식 간섭 제거형 무선 중계기
KR100671969B1 (ko) * 2006-02-10 2007-01-19 주식회사 휴텍이일 중계기의 적응성 간섭 제거장치 및 그 방법
US7826801B2 (en) 2006-03-07 2010-11-02 Airpoint Adaptive forward error corrector and method thereof, and TDD radio repea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0748642B1 (ko) * 2006-05-30 2007-08-10 주식회사 휴텍이일 이동 통신 중계기의 간섭 신호 제거 방법
KR100814139B1 (ko) * 2006-09-08 2008-03-14 (주)디유위더스 간섭제거모듈
KR100850407B1 (ko) 2006-12-01 2008-08-04 엘지노텔 주식회사 송신 신호의 궤환에 따른 발진을 방지하는 무변파 무선중계기
KR101415340B1 (ko) * 2007-10-12 2014-07-04 주식회사 지에스인스트루먼트 무선중계시스템에서의 귀환신호 제거장치
KR100953117B1 (ko) * 2007-11-05 2010-04-19 주식회사 쏠리테크 와이브로 중계기에서의 피드백 채널 간섭제거장치 및 그방법, 이를 구비한 중계기
KR101508965B1 (ko) * 2008-02-05 2015-04-08 주식회사 세스텍 간섭 제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중계장치
KR101034455B1 (ko) * 2009-12-11 2011-05-1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동일 채널 중계기 및 이에 있어서 궤환 신호 제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4430B1 (ko) * 2006-08-18 2007-08-01 주식회사 쏠리테크 복수의 안테나를 구비하는 무선 중계기 및 무선 중계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3258A (ko) 2004-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41891B2 (ja) ネットワーク・カバレージを拡張するための自動利得制御を備えた無線ローカルエリア・ネットワークの中継器
KR100350968B1 (ko) 셀룰러 시스템에서의 광대역 중계기용 커플링 간섭소거시스템
RU2387075C2 (ru) Сотовый добавочный усилитель с малым радиусом действия
US8027642B2 (en) Transmission canceller for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7593689B2 (en) Method for detecting an oscillation in an on-frequency repeater
EP2430777B1 (en) Signal blanking for improved frequency domain channel estimation
KR100528275B1 (ko) 이동통신 중계기에서의 간섭 제거 장치
JP4065368B2 (ja) 開ループ測定を用いて閉ループ電力を適応制御するための方法と装置
JP4638509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のための無線中継装置及びその中継方法
US8155303B2 (en) System and method for cancelling echo
JP3598609B2 (ja) スペクトル拡散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受信装置
WO2015078009A1 (zh) 减少通信系统自干扰信号的方法和装置
WO2008147269A1 (en) Method and system of communications
EP1563615B1 (en) Monitoring stability of an on-frequency repeater
ES2629310T3 (es) Sistema y método para determinar y controlar el margen de ganancia en un repetidor RF
KR100658211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을 위한 무선중계 장치 및 중계 방법
RU2177207C2 (ru) Приемник мобильной системы связи и способ приема в мобильной системе связи
EP1413063A2 (en) Adaptive on-frequnecy repeater
WO2004095763A2 (en) Transmission canceller for wireless local area network repeater
WO2006015491A1 (en) Monitoring stability of an on-frequency repeater
KR100926827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pn을 제거하는 중계기 및 그방법
KR101840657B1 (ko) 시분할 듀플렉스 방식의 rf 중계장치
JPH1127196A (ja) 周波数変換形中継増幅装置
KR100694631B1 (ko) 시분할 복신 방식에서 rf 중계기의 사용을 위한 rf신호의 유무를 검출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508965B1 (ko) 간섭 제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중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