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0657B1 - 시분할 듀플렉스 방식의 rf 중계장치 - Google Patents

시분할 듀플렉스 방식의 rf 중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0657B1
KR101840657B1 KR1020160085678A KR20160085678A KR101840657B1 KR 101840657 B1 KR101840657 B1 KR 101840657B1 KR 1020160085678 A KR1020160085678 A KR 1020160085678A KR 20160085678 A KR20160085678 A KR 20160085678A KR 101840657 B1 KR101840657 B1 KR 1018406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oupler
antenna
uplink
down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5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5495A (ko
Inventor
김문홍
나민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5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0657B1/ko
Publication of KR20180005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54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0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06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07Relay station based processing for cell extension or control of coverage are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204Multiple access
    • H04B7/212Time-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시분할 듀플렉스 방식의 RF 중계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하향링크 신호 및 상향링크 신호를 효과적으로 분리하여 초고주파수 대역 기반의 통신시스템에서 서비스 품질을 개선할 수 있는 시분할 듀플렉스 방식의 RF 중계장치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시분할 듀플렉스 방식의 RF 중계장치{RF Repeater of Time Division Duplex}
본 실시예는 시분할 듀플렉스(TDD: Time Division Duplex) 방식의 RF 중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이동통신 서비스는 기본적으로 커버리지 내에서 양호한 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목적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3 GHz 이하 대역의 셀룰러(cellular) 대역과 같이 낮은 주파수 대역에서는 상대적으로 전파의 경로 손실이 적어 커버리지 내에서 전반적으로 양호한 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셀룰러 대역은 이미 포화 상태이므로 넓은 주파수 대역을 확보할 필요성이 있다.
넓은 주파수 대역을 확보하고, 보다 빠른 통신 속도를 제공하기 위하여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으로서 초고주파수 대역(6 GHz ~ 70 GHz)을 이용한 통신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이러한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높은 주파수를 이용함으로 인해 전파 경로 손실이 크고 회절 효과가 작으며 건물 투과 손실이 크다는 문제점을 내재한다. 이에 따라 서비스 커버리지 내에서 전파 품질이 불량한 지역이 급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기지국을 더욱 조밀하게 설치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으나, 이는 네트워크 구축 비용 및 운영 비용이 과다하게 증가하고 기지국 간의 간섭 신호가 증가하여 오히려 서비스 품질이 열화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효율적으로 서비스 품질을 개선하기 위해 중계장치(repeater)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RF 중계장치에서 기지국과 단말기 간의 무선신호를 중계하기 위해서는 하향링크 신호와 상향링크 신호를 구분할 수 있어야 한다. 주파수분할 듀플렉스(FDD: 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을 이용하는 RF 중계장치에서는 듀플렉서(duplexer)를 사용하여 하향링크 신호와 상향링크 신호를 구분하게 되나, 시분할 듀플렉스(TDD: Time Division Duplex) 방식을 이용하는 RF 중계장치에서는 듀플렉서를 사용하여 하향링크 신호와 상향링크 신호를 구분할 수 없다. 시분할 듀플렉스 방식에서는 동일한 주파수를 사용하되 시간 구간을 나눔으로써 하향링크 신호 및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시분할 듀플렉스 방식의 RF 중계장치에서는 주파수분할 듀플렉스 방식과 다르게 하향링크 신호 및 상향링크 신호를 분리하여 증폭할 수 있는 새로운 구현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향링크 신호 및 상향링크 신호를 효과적으로 분리하여 초고주파수 대역 기반의 통신시스템에서 서비스 품질을 개선할 수 있는 시분할 듀플렉스 방식의 RF 중계장치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시분할 듀플렉스(TDD: Time Division Duplex) 방식의 RF 중계장치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제1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하향링크 신호를 하향링크 경로로 출력하고 상향링크 경로로부터 수신된 상향링크 신호를 제1 안테나로 출력하는 제1 서큘레이터(circulator), 제1 서큘레이터에서 출력된 하향링크 신호로부터 커플링된 일부 신호를 추출하는 제1 커플러(coupler), 제1 커플러에서 추출된 일부 신호의 위상을 천이시키고 신호 레벨을 조절하는 위상 천이기(phase shifter), 위상 천이기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커플링하여 상향링크 경로로 유입시키는 제2 커플러, 및 제1 커플러를 통과한 하향링크 신호를 제2 안테나로 출력하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제2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상향링크 신호를 제2 커플러로 출력하는 제2 서큘레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중계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시분할 듀플렉스(TDD: Time Division Duplex) 방식의 RF 중계장치에 있어서, 스위칭 타이밍 신호에 따라 기지국으로부터 제1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하향링크 신호를 하향링크 경로로 전달하고 상향링크 경로로부터 수신된 상향링크 신호를 제1 안테나로 전달하는 제1 스위칭부, 제1 스위칭부를 통해 전달된 하향링크 신호에서 커플링된 일부 신호를 추출하는 제1 커플러(coupler), 제1 커플러에서 추출된 일부 신호의 전력을 검출하여 하향링크 신호 및 상향링크 신호의 전송 시간을 계산하고 스위칭 타이밍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스위칭 타이밍 신호에 따라 제1 커플러를 통과한 하향링크 신호를 제2 안테나로 전달하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제2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상향링크 신호를 상향링크 경로로 전달하는 제2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중계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시분할 듀플렉스 방식의 RF 중계기에서 하향링크 신호 및 상향링크 신호를 효과적으로 분리하여 초고주파수 대역 기반의 통신시스템에서 서비스 품질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기지국에 비하여 별도의 백홀 망(Backhaul Network)이 필요 없고 구조가 단순한 중계기를 이용하여 지하, 건물 내부, 터널 등 일반적으로 전파가 도달하기 어려운 전파 음영 지역에 효율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 중계장치가 포함된 이동통신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 중계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RF 중계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RF 중계장치의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RF 중계장치의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 중계장치가 포함된 이동통신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높은 주파수 대역의 신호일수록 스캐터링(scattering) 성분이 작고 가시선(LoS: Line of Singt) 성분이 상대적으로 크며, 건물 등 장애물에 의한 투과 손실(penetration loss)이 매우 심하다. 이에 따라 고주파수 대역에서는 LoS가 확보되는 환경에서 높은 품질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반면, 비가시선(NLoS: Non Line of Sight) 환경에서는 서비스 품질이 매우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빌딩, 기타 지형지물로 인한 전파 차단 지역과 전파 도달이 어려운 전파 음영지역(예: 터널, 지하 주차장 등)이 많은 도심 환경에서는 이러한 문제가 심화된다.
따라서, 비가시선(NLoS) 환경에서의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전송 신호를 증폭시킴으로써 기지국(10)과 단말기(30b) 간의 RF 신호를 중계하는 RF 중계장치(20a, 20b)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 중계장치는 TDD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기지국과 단말기를 중계한다. FDD 방식의 RF 중계장치는 격리도(isolation) 특성이 매우 우수한 듀플렉서로 하향링크 신호 및 상향링크 신호를 쉽게 분리할 수 있다. 그러나, 기지국과 단말기 간에 동일한 주파수를 사용하되 시간을 분리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TDD 방식의 RF 중계장치의 경우에는 FDD 방식과 같이 신호를 분리할 수 없고 스위치 등을 통해서 하향링크 신호와 상향링크 신호를 분리할 수 있다.
TDD 방식의 RF 중계장치를 구현함에 있어 상대적으로 격리도 특성이 낮은 스위치를 이용하는 경우 하향링크 신호와 상향링크 신호의 상호 분리가 충분하지 않아 신호 품질이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TDD 방식의 RF 중계장치는 하향링크 신호와 상향링크 신호를 효과적으로 분리함으로써 높은 품질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 중계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 중계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 중계장치(100)는 제1 안테나(200), 제2 안테나(300), 하향링크 신호 증폭부(230), 상향링크 신호 증폭부(240), 제1 서큘레이터(210), 제2 서큘레이터(220), 제1 커플러(250), 제2 커플러(260), 및 위상천이기(phase shifter, 270)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구성도는 예시에 불과하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서큘레이터(210)는 기지국으로부터 제1 안테나(200)를 통해 수신된 하향링크 신호를 하향링크 경로로 출력하고 상향링크 경로로부터 수신된 상향링크 신호를 제1 안테나(200)로 출력한다. 여기서, 제1 안테나(200)는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상향링크 신호를 기지국으로 방사할 수 있는 안테나로서 도너(donor) 안테나 또는 기지국 안테나 등으로 불릴 수 있다.
하향링크 신호 증폭부(230)는 제1 안테나(200)로부터 수신되는 하향링크 신호를 증폭한다. 상향링크 신호 증폭부(240)는 제2 안테나(300)로부터 수신되는 상향링크 신호를 증폭한다. 하향링크 신호 증폭부(230) 및 상향링크 신호 증폭부(240)는 저잡음 증폭기(LNA: Low Noise Amplifier, 232, 242) 및 고출력 증폭기(HPA: High Power Amplifier, 234, 244)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잡음 증폭기(232, 242)는 하향링크 신호의 잡음 성분은 줄이고 신호 성분은 증폭시킨다. 고출력 증폭기(234, 244)는 하향링크 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하기 위한 실효 출력 레벨까지 증폭시킨다.
제1 커플러(250)는 제1 서큘레이터(210)에서 출력된 하향링크 신호로부터 커플링된 일부 신호를 추출한다. 구체적으로 하향링크 신호 증폭부(230)로부터 수신되는 하향링크 신호를 두 개의 신호 전력으로 분기하여 제2 서큘레이터(220)와 위상천이기(270)로 전송한다.
RF 중계장치에 있어서, 서큘레이터는 RF 중계장치의 전체 이득 이상의 격리도 특성을 갖는 것이 요구되나 일반적으로 서큘레이터의 각 포트(port) 간 최대 격리도(isolation) 특성은 20 dB 정도로 한계가 있다. RF 중계장치의 전체 이득이 50 dB인 경우와 같이 서큘레이터의 격리도 특성보다 RF 중계장치의 전체 이득이 더 큰 경우에는, 하향링크 경로 신호가 출력단의 서큘레이터를 통해 안테나로 방사될 때 서큘레이터의 격리도 특성(예: -20 dB)만큼 신호가 감쇄되어 상향링크 경로로 인입될 수 있다. 또한, 상향링크 경로로 인입된 하향링크 신호가 증폭되어 기지국 안테나로 다시 방사되고 하향링크 경로로 인입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 RF 중계장치 내에서 하향링크 신호 및 상향링크 신호가 혼재하여 간섭을 일으키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는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상천이기(270)는 제1 커플러(250)에서 추출된 일부 신호의 위상을 천이시키고 신호 레벨을 조절한다. 구체적으로, 위상천이기(270)는 제1 커플러(250)에서 추출된 일부 신호를 반전시켜 역위상 신호를 생성하고 제2 서큘레이터(220)의 격리도(isolation) 특성 및 RF 중계장치(100) 전체 이득을 근거로 제1 커플러(250)에서 추출된 일부 신호의 레벨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상천이기(270)는 제1 커플러(250)에서 추출된 일부 신호의 레벨을 제2 서큘레이터(220)를 통해 제2 안테나(300)로 방사되지 않고 상향링크 경로로 유입되는 신호의 레벨과 동일하게 조절할 수 있다.
제2 커플러(260)는 위상 천이기(27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커플링하여 상향링크 경로로 유입시킨다.
이와 같이 하향링크 신호로부터 커플링된 일부 신호를 추출하여 반전시키고 적절한 레벨로 조정한 뒤, 상향링크 경로에 유입시켜 상향링크 신호와 결합함으로써 간섭 신호를 제거할 수 있다. 이로써 실질적으로 서큘레이터 소자의 격리도 특성을 개선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서큘레이터(220)는 제1 커플러(250)를 통과한 하향링크 신호(즉, 커플링되어 추출된 일부 신호를 제외한 주요 하향링크 신호)를 제2 안테나(300)로 출력하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제2 안테나(300)를 통해 수신되는 상향링크 신호를 제2 커플러(260)로 출력한다. 여기서, 제2 안테나(300)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하향링크 신호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방사할 수 있는 안테나로서 서비스 안테나 등으로 불릴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RF 중계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RF 중계장치(110)는 스위치를 사용하여 하향링크 신호와 상향링크 신호를 구분할 수 있다.
RF 중계장치(110)는 제1 스위칭부(310), 제2 스위칭부(370), 하향링크 신호 증폭부(320), 상향링크 신호 증폭부(330), 제1 커플러(340), 제2 커플러(350), 및 제어부(360)를 포함한다.
제1 스위칭부(310)는 스위칭 타이밍 신호에 따라 기지국으로부터 제1 안테나(200)를 통해 수신된 하향링크 신호를 하향링크 경로로 전달하고, 상향링크 경로로부터 수신된 상향링크 신호를 제1 안테나(200)로 전달한다.
제2 스위칭부(370)는 스위칭 타이밍에 따라 제1 커플러(340)를 통과한 하향링크 신호를 제2 안테나(300)로 전달하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제2 안테나(300)를 통해 수신되는 상향링크 신호를 상향링크 경로로 전달한다.
즉, 제1 스위칭부(310) 및 제2 스위칭부(370)는 스위칭 타이밍 신호에 의해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여 하향링크 경로 및 상향링크 경로를 설정한다.
하향링크 신호 증폭부(320)는 제1 안테나(200)로부터 수신되는 하향링크 신호를 증폭한다. 상향링크 신호 증폭부(330)는 제2 안테나(300)로부터 수신되는 상향링크 신호를 증폭한다. 하향링크 신호 증폭부(320) 및 상향링크 신호 증폭부(330)는 저잡음 증폭기(LNA: Low Noise Amplifier, 322, 332) 및 고출력 증폭기(HPA: High Power Amplifier, 324, 334)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잡음 증폭기(322, 332)는 하향링크 신호의 잡음 성분은 줄이고 신호 성분은 증폭시킨다. 고출력 증폭기(324, 334)는 하향링크 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하기 위한 실효 출력 레벨까지 증폭시킨다.
제1 커플러(340)는 제1 스위칭부(310)를 통해 전달된 하향링크 신호에서 커플링된 일부 신호를 추출한다. 구체적으로 하향링크 신호 증폭부(320)로부터 수신되는 하향링크 신호를 두 개의 신호 전력으로 분기하여 제2 스위칭부(370)와 제어부(360)로 전송한다.
제어부(360)는 제1 커플러(340)에서 추출된 일부 신호의 전력을 검출하여 하향링크 신호 및 상향링크 신호의 전송 시간을 계산하고 스위칭 타이밍 신호를 생성한다. 제어부(360)는 전력 검출부(362) 및 스위칭 타이밍 신호 생성부(36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제어부(360)의 각 구성요소가 별개로 존재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기능을 모두 포함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전력 검출부(362)는 기지국에서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의 전력을 제1 커플러(340)에서 추출된 일부 신호로부터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신호는 기지국과 이동통신 단말기 간 상호 정보 교환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를 위해 기지국으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되는 하향링크 신호(예: PDCCH 등)이다.
스위칭 타이밍 신호 생성부(364)는 제어신호의 전력이 검출되는 시간 구간에 근거하여 하향링크 신호 및 상향링크 신호의 전송 시간을 계산하고, 계산된 전송 시간에 상응하는 스위칭 타이밍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하향링크 신호 및 상향링크 신호의 전송 시간을 계산하는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RF 중계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예를 들어, 제어신호가 서브프레임의 처음 소정 개수의 심볼 동안 전송되는 경우, 전력 검출부(362)는 제어신호의 전력을 검출함으로써 제어신호가 전송되는 일정 시간 구간을 검출할 수 있다. 서브프레임 시간이 t1이고 제어신호가 전송되는 소정 개수의 심볼 시간이 t2인 경우, 하향링크 신호의 전송 시간은 t2가 된다. 스위칭 타이밍 신호 생성부(364)는 서브프레임 시간(t1)에서 하향링크 신호의 전송 시간(t2)을 뺀 나머지 시간(t1-t2)을 상향링크 신호의 전송 시간으로 계산할 수 있다.
스위칭 타이밍 신호 생성부(364)는 계산된 하향링크 신호의 전송 시간 및 상향링크 신호의 전송 시간으로부터 하향링크 신호의 시작점 및 상향링크 신호의 시작점을 계산할 수 있고, 계산된 하향링크 신호의 시작점 및 상향링크 신호의 시작점에 근거하여 스위칭 타이밍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스위칭 타이밍 신호 생성부(364)는 RF 신호의 프레임 구조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프레임 구조 정보를 이용하여 RF 신호에 포함된 하향링크 신호와 상향링크 신호의 시작점을 계산하게 된다. 즉, 하향링크 신호와 상향링크 신호를 포함하는 프레임 구조는 미리 정의되어 있으므로, 하향링크 신호의 전송 시간을 알면 프레임에 포함되는 각 심볼에 정해진 시간 간격을 계산함으로써 상향링크 신호와 하향링크 신호의 시작점을 계산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하향링크 신호 및 상향링크 신호의 전송 시간을 계산하는 다른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RF 중계장치의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제어부(360)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제어신호 외에 기지국으로부터 생성되어 전송된 임의의 트래픽 신호를 이용하여 스위칭 타이밍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력 검출부(362)는 기지국에서 하향링크 신호의 전송 시간 동안 전송되는 기 정의된 신호의 전력을 제1 커플러(340)에서 추출된 일부 신호로부터 검출할 수 있다. 스위칭 타이밍 신호 생성부(364)는 기 정의된 신호의 전력이 검출되는 시간 구간에 근거하여 하향링크 신호 및 상향링크 신호의 전송 시간을 계산하고, 계산된 전송 시간에 상응하는 스위칭 타이밍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기지국에서 전송되는 기 정의된 신호는 RF 중계장치(110)에서의 하향링크 신호의 전송시간 검출을 위해 기지국에서 임의로 발생시킨 신호이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은 하향링크 신호 전송 시간 동안 널(null) 구간없이 전부하(full load) 조건으로 기 정의된 신호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서브프레임 시간이 t1이고 기 정의된 신호가 전송되는 시간이 t2인 경우, 하향링크 신호의 전송 시간은 t2가 된다. 스위칭 타이밍 신호 생성부(364)는 서브프레임 시간(t1)에서 하향링크 신호의 전송 시간(t2)을 뺀 나머지 시간(t1-t2)을 상향링크 신호의 전송 시간으로 계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도 스위칭 타이밍 신호 생성부(364)는 RF 신호의 프레임 구조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프레임 구조 정보를 이용하여 RF 신호에 포함된 하향링크 신호와 상향링크 신호의 시작점을 계산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시분할 듀플렉스 방식의 RF 중계장치에 적용되어, 하향링크 신호와 상향링크 신호를 효과적으로 분리하여 초고주파수 대역 기반의 통신시스템에서 서비스 품질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를 발생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100, 110: RF 중계장치 200: 제1 안테나
210: 제1 서큘레이터 220: 제2 서큘레이터
230, 320: 하향링크 신호 증폭부 240, 330: 상향링크 신호 증폭부
250, 340: 제1 커플러 260: 제2 커플러
270: 위상천이기 360: 제어부
362: 전력 검출부 364: 스위칭 타이밍 신호 생성부

Claims (8)

  1. 시분할 듀플렉스(TDD: Time Division Duplex) 방식의 RF 중계장치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제1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하향링크 신호를 하향링크 경로로 출력하고 상향링크 경로로부터 수신된 상향링크 신호를 상기 제1 안테나로 출력하는 제1 서큘레이터(circulator);
    상기 제1 서큘레이터에서 출력된 상기 하향링크 신호로부터 커플링된 일부 신호를 추출하는 제1 커플러(coupler);
    상기 제1 커플러에서 추출된 일부 신호의 위상을 천이시키고 신호 레벨을 조절하는 위상 천이기(phase shifter);
    상기 위상 천이기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커플링하여 상향링크 경로로 유입시키는 제2 커플러; 및
    상기 제1 커플러를 통과한 상기 하향링크 신호를 제2 안테나로 출력하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상향링크 신호를 상기 제2 커플러로 출력하는 제2 서큘레이터
    를 포함하고
    상기 위상 천이기는,
    상기 제1 커플러에서 추출된 일부 신호의 레벨을 상기 제2 서큘레이터를 통해 상기 제2 안테나로 방사되지 않고 상향링크 경로로 유입되는 신호의 레벨과 동일하게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중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천이기는,
    상기 제1 커플러에서 추출된 일부 신호를 반전시켜 역위상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중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천이기는,
    상기 제2 서큘레이터의 격리도(isolation) 특성 및 상기 RF 중계장치의 전체 이득을 근거로 상기 제1 커플러에서 추출된 일부 신호의 레벨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중계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60085678A 2016-07-06 2016-07-06 시분할 듀플렉스 방식의 rf 중계장치 KR1018406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5678A KR101840657B1 (ko) 2016-07-06 2016-07-06 시분할 듀플렉스 방식의 rf 중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5678A KR101840657B1 (ko) 2016-07-06 2016-07-06 시분할 듀플렉스 방식의 rf 중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5495A KR20180005495A (ko) 2018-01-16
KR101840657B1 true KR101840657B1 (ko) 2018-03-21

Family

ID=61066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5678A KR101840657B1 (ko) 2016-07-06 2016-07-06 시분할 듀플렉스 방식의 rf 중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06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9132B1 (ko) * 2018-11-12 2020-11-17 (주) 에이앤티에스 이동통신 중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5495A (ko) 2018-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68826B2 (en)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method, transceiver, and communications device for transmit/receive shared antenna
JP2022538352A (ja) リピータ方法および装置
US20100136900A1 (en) Radio Relay Device and Method
JP5125988B2 (ja) 無線中継装置
KR20110071838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중계 장치 및 방법
US9100082B2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a repeater
KR100890634B1 (ko) 시분할 이중화 방식의 rf 중계 장치 및 그 방법
JP5171529B2 (ja) 中継送受信装置
KR101840657B1 (ko) 시분할 듀플렉스 방식의 rf 중계장치
JP4010372B2 (ja) 無線中継増幅装置
US20130034048A1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relay device,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KR20090012400A (ko) 티디디 방식을 이용한 휴대인터넷 중계기의 상향, 하향링크 공유 방법.
KR20130078889A (ko) 긴급재난재해 이동통신 시스템
KR100686684B1 (ko) 무선링크를 이용한 무선 중계 시스템
KR101953230B1 (ko) 다중 빔 안테나를 이용한 신호 중계 장치
KR102372870B1 (ko)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동기를 획득하는 중계 장치 및 그 중계 장치의 동작 방법
CN103916864A (zh) 一种无线直放站及其传输信号方法
KR101415753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중계 장치 및 방법
KR100697470B1 (ko) Tdd 방식의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신호를 제거하는장치 및 방법
KR101593391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중계 장치의 필터
JP2012054797A (ja) 中継装置及び中継方法
Liu et al. A novel efficient cooperative diversity protocol for wireless networks
KR101157136B1 (ko) 다중 경로 중계기 장치 및 다중 경로 중계기 장치의 제어방법
KR100782922B1 (ko) 중계기 신호보완 시스템
KR20070071567A (ko) 간섭신호 제거 기능을 갖는 무선 중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