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8965B1 - 간섭 제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중계장치 - Google Patents

간섭 제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중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8965B1
KR101508965B1 KR20090008665A KR20090008665A KR101508965B1 KR 101508965 B1 KR101508965 B1 KR 101508965B1 KR 20090008665 A KR20090008665 A KR 20090008665A KR 20090008665 A KR20090008665 A KR 20090008665A KR 101508965 B1 KR101508965 B1 KR 101508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onverter
feedback
digital
feedback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008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6034A (ko
Inventor
최승원
이철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스텍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스텍,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스텍
Publication of KR20090086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60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8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8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64Relay station antennae loop interference reduction
    • H04B7/15585Relay station antennae loop interference reduction by interference cancel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섭제거 중계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기지국 또는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RF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ICS 신호처리부에 의해 간섭 신호를 상쇄시켜 RF 신호로 변환한 후 음영지역에 재전송하는 간섭 제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중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위해 본 발명은 기지국 또는 단말기로부터 RF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안테나(101)와, RF 신호를 IF 신호로 변환하는 주파수 하향 변환기(102)와, 소정의 대역만 통과시키고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제 1 필터(103) 및 A/D 변환기(104)와,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소정의 대역만 통과시키는 D/A 변환기(106) 및 제 2 필터(107)와, IF 신호를 RF 신호로 변환하는 주파수 상향 변환기(108)와, RF 신호를 음영지역에 재전송하는 송신 안테나(109)로 구성되는 중계장치에 있어서, 상기 A/D 변환기(104)와 D/A 변환기(106) 사이에 구비된 ICS 신호처리부(105)에 의해 궤환 신호를 발생시켜 피드백함으로써 주 경로에 포함된 간섭 신호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간섭 제거, 디지털 신호처리, LMS 알고리즘, 궤환, 중계기

Description

간섭 제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중계장치{Interference cancellation system and repeater using thereof}
본 발명은 간섭제거 중계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기지국 또는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RF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ICS 신호처리부에 의해 간섭 신호를 상쇄시켜 RF 신호로 변환한 후 음영지역에 재전송하는 간섭 제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중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간섭 제거장치는 RF 출력단의 신호를 샘플링하여 주파수 하향 변환을 거쳐 디지털 신호처리를 하거나 완전히 디지털 파트로 ICS 기능을 구현하더라도 궤환 경로가 다중경로일 경우 그 경로 하나 하나를 독립적으로 구별해내고 찾아가도록 하였는데, ICS 기능 구현에 아날로그가 포함되게 되면 중계기 주 경로의 아날로그 특성과 샘플링 경로의 아날로그 특성을 동일하게 가져가지 못하면 성능이 떨어질 수 밖에 없으며 다중 경로 하나 하나를 개별적으로 구별하고 찾아가는 경우 그 연산량이 매우 커서 비효율적이라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기지국 또는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RF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ICS 신호처리부에 의해 간섭 신호를 상쇄시켜 RF 신호로 변환한 후 음영지역에 재전송함으로써 간섭을 제거하는 간섭 제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중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수신 안테나(101)에 의해 기지국 또는 단말기로부터 RF 신호를 받아 이를 처리하여 송신 안테나(109)에 의해 음영지역에 재전송하는 중계장치에 있어서, 기지국 또는 단말기로부터 RF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안테나(101)와, RF 신호를 IF 신호로 변환하는 주파수 하향 변환기(102)와, 소정의 대역만 통과시키고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제 1 필터(103) 및 A/D 변환기(104)와,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소정의 대역만 통과시키는 D/A 변환기(106) 및 제 2 필터(107)와, IF 신호를 RF 신호로 변환하는 주파수 상향 변환기(108)와, RF 신호를 음영지역에 재전송하는 송신 안테나(109)로 구성되는 중계장치에 있어서, 상기 A/D 변환기(104)와 D/A 변환기(106) 사이에 구비된 ICS 신호처리부(105)에 의해 궤환 신호를 발생시켜 피드백함으로써 주 경로에 포함된 간섭 신호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기지국 또는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RF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ICS 신호처리부에 의해 간섭 신호를 상쇄시켜 RF 신호로 변환한 후 음영지역에 재전송함으로써 간섭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부재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간섭 제거 중계기의 블록도로서, 중계기의 정상적인 동작을 위해 필요한 듀플렉서 및 증폭기와 같은 것들은 ICS 기능과 무관하여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생략하였다. 수신 안테나(101)로 수신된 신호는 주파수 하향 변환기(102)를 거쳐 RF 대역에서 IF 대역으로 변환되며, 제 1 필터(103)를 거친 뒤 A/D 변환기(104)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ICS 신호처리부(105)로 입력된다.
여기서, 제 1 필터(103)의 역할은 IF 대역의 신호를 디지털화하면서 생기는 image 및 harmonic에 의하여 처리하고자 하는 대역 외의 신호가 ICS 신호처리부(105)로 입력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다. 이때, A/D 변환기(104)의 동작 클럭이 충분히 높고 처리하고자 하는 대역 외의 신호에 의한 image 혹은 harmonic이 처리하고자 하는 대역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경우에는 제 1 필터(103)가 생략될 수도 있다.
ICS 신호처리부(105)에서 처리된 신호는 D/A 변환기(106)를 통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며 제 2 필터(107)를 거쳐 대역제한된 다음 주파수 상향 변환기(108)에 의해 RF 신호가 된 후 송신 안테나(109)를 통하여 송신된다. 여기서, 제 2 필터(107)의 역할은 D/A 변환기(106)를 거쳐 만들어진 아날로그 신호가 처리하고자 하는 신호대역 외에 이 신호에 대한 harmonic들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harmonic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도 1에서 S(t)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로서 다운링크 경로일 경우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이고 업링크 경로일 경우 단말기로부터의 신호이며, h1(t)는 수신 안테나(101)부터 A/D 변환기(104)까지의 시스템 임펄스 응답, h2(t)는 D/A 변환기(106)부터 송신 안테나(109)까지의 시스템 임펄스 응답, 그리고 h3(t)는 송신 안테나로부터 수신 안테나로 되돌아오는 궤환경로의 임펄스 응답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간섭 제거 시스템, 즉 ICS 신호처리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ICS 신호처리부(105)는, A/D 변환기(104)를 거쳐 만들어진 디지털 신호를 소정 시간 delay시키는 제 1 버퍼(201)와, 상기 제 1 버퍼를 거친 디지털 신호를 필터링하는 디지털 필터(203)와, 상기 디지털 필터를 거쳐 궤환 루프에서 디지털 신호를 소정 시간 delay 시키는 제 2 버퍼(204)와, 상기 제 2 버퍼를 거친 디지털 신호로부터 궤환 신호를 추정하고 생성시키는 궤환신호 생성부(205)와, 상기 궤환신호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궤환 신호를 주 경로에 합산하여 상쇄시키는 합산기(202)로 구성된다.
중계 기능을 위한 중계기의 주 경로를 살펴보면 A/D 변환기(104)를 거쳐 만들어진 디지털 신호는 제 1 버퍼(201)를 거친 뒤 디지털 필터(203)를 지나서 D/A 변환기(106)를 통하여 아날로그 신호가 된다. 여기서, 제 1 버퍼(201)는 생략될 수도 있다.
한편, 궤환신호의 생성을 위해서는 송신 안테나(109)를 통하여 복사되는 출 력 신호가 필요한데 이를 위하여 D/A 변환되기 전의 디지털 신호를 제 2 버퍼(204)를 거쳐 궤환신호 생성부(205)로 보내게 된다. 궤환신호 생성부에서 추정된 궤환 신호는 반대 부호를 가지고 중계기 주 경로에 합산되어 송신 안테나를 통하여 출력된 신호가 수신 안테나(101)로 궤환되어 A/D 변환기(104)로 입력되는 신호를 없애게 된다. 이때, 상기 제 2 버퍼(204)는 도시된 것과 같이 궤환신호 생성부(205)의 전단과 후단 어느 위치에도 올 수 있으며, 제 2 버퍼(204)가 분할되어 궤환신호 생성부(205)의 전과 후에 모두 위치할 수도 있다.
상기 도 2에서 D/A 변환기(106)로 출력되는 신호를 X(t)라 하면 A/D 변환기(104)단으로 입력되는 신호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9006791040-pat00001
여기서,
Figure 112009006791040-pat00002
는 convolution을 의미하며 두번째 항, 즉
Figure 112009006791040-pat00003
가 제거해야 할 궤환 신호이다. 따라서, 궤환신호 생성부(205)에서는
Figure 112009006791040-pat00004
의 궤환 루프상의 임펄스 응답을 재현해야 하며, 이를 위한 궤환신호 생성부의 구조는 도 3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간섭 제거 시스템의 궤환신호 생성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ICS 신호처리부는 디지털 도메인이므로 시간 표시 (t)가 시퀀스 표시 (k)로 대체되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궤환신호 생성부(205)는, 상기 제 2 버퍼(204)로부터 입력신호 xk를 받아 소정의 weight를 주는 제 1 웨이팅 수단(301)과, 상기 제 2 버퍼(204)로부터 입력신호 xk를 받아 소정 시간 지연시키는 제 1 지연 수단(302)과, 상기 제 1 지연 수단(302)으로부터 신호를 받아 소정의 weight를 주는 제 2 웨이팅 수단(303)과, 상기 제 1 지연 수단(302)으로부터 신호를 받아 소정 시간 지연시키는 제 2 지연 수단(304)과, 제 (N-2) 지연 수단(미도시됨)으로부터 신호를 받아 소정 시간 지연시키는 제 (N-1) 지연 수단(306)과, 상기 제 (N-2) 지연 수단으로부터 신호를 받아 소정의 weight를 주는 제 (N-1) 웨이팅 수단(305)과, 상기 제 (N-1) 지연 수단(306)으로부터 신호를 받아 소정의 weight를 주는 제 N 웨이팅 수단(307)과, 상기 제 1 내지 제 N 웨이팅 수단으로부터 받은 신호를 합산하는 제 2 합산기(307)와, 상기 제 2 합산기(307)로부터 받은 출력신호 yk와 desired response dk를 합산하는 제 3 합산기(308)로 구성된다.
상기 도 3에서 Wk는 궤환 루프상의 임펄스 응답을 재현하기 위한 weight이며 zk -1은 FIFO tap을 의미한다. 따라서, Yk는 다음의 수학식 2와 같이 표현된다.
Figure 112009006791040-pat00005
한편, 상기 도 3에서 desired response dk는 A/D 변환기(104)로 입력되는 신호를 의미하며, desired response dk와 Yk를 합하는 합산기는 상기 도 2의 합산기(202)를 의미한다. 따라서 error signal ek는 다음의 수학식 3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09006791040-pat00006
상기의 수학식 3에서 중요한 것은 첫번째 항(
Figure 112009006791040-pat00007
)은 두 번째 항(
Figure 112009006791040-pat00008
) 및 세번째 항(
Figure 112009006791040-pat00009
)과 상관 관계가 없다는 것이다. 즉, 궤환 신호 생성부(205)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여 두번째 항과 세번째 항이 상쇄되어 없어진다면 Sk가 Xk로 샘플링되지만, Xk가 궤환신호 생성부를 거쳐 합산기(202)로 유입되기까지 궤환 루프상의 경로를 거치는 지연시간(통상 수 sec)을 경험하기 때문에 새로 유입되는 Sk와는 상관관계가 없다는 점이다.
따라서 ek 또는 ek 2을 최소화하도록 Wk를 변화시키면 그것이 곧 수학식 3의 두번째 항과 세번째 항이 상쇄되어 없어지는 것을 의미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ek 2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weight를 변화시키는 알고리즘을 적용하였으며, 그 알고리즘의 기반은 LMS 알고리즘으로서 기본 LMS 알고리즘은 Digital Filter의 출력과 desired signal과의 오차의 제곱을 최소화하는 방향의 weight를 구해줌으로써 squared error를 최소화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error는 다음의 수학식 4와 같다. 여기서, H는 허미션(Hermitian) 연산자이며 포물선 ek 2의 기울기가 0이 되면 squared error가 최소가 된다.
Figure 112009006791040-pat00010
즉, 다음의 수학식 5에서 ▽k=0일때 squared error가 최소가 되는데, 여기서 ▽k=0이 되게 하는 weight를 업데이트하는 수학식은 다음의 수학식 6과 같다.
Figure 112009006791040-pat00011
Figure 112009006791040-pat00012
상기의 수학식 6에서 μ는 step size로 weight를 업데이트하는 간격에 대한 상수값이다. 이 μ의 값이 작은 경우에는 weight를 업데이트하는 간격이 촘촘하여 squared error곡선의 기울기가 0이 되는 weight를 찾는데 시간이 걸리지만 안정적으로 정확한 값을 찾을 수 있다. 반면, μ의 값이 큰 경우에는 weight를 업데이트하는 간격이 커서 optimal weight값을 빨리 찾을 수는 있으나 안정적이지 못하고 정확한 값을 찾지 못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μ가 수렴하기 위한 범위는 다음의 수학식 7과 같으며, 궤환 경로의 채널 환경 및 입력 전력에 따라 선택적으로 고려된다.
Figure 112009006791040-pat00013
여기서
Figure 112009006791040-pat00014
는 input signal로 구성된 자기상관 행렬의 maximum eigenvalue이다.
상기와 같은 기본 LMS 알고리즘은 수학식 4의 dk가 전적으로 Xk와 상관관계에 있는 신호로서 궁극적으로 error signal이 zero로 수렴하는 weight를 구하는 방법이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은 dk에 Xk와 상관관계가 없는 신호가 존재하더라도 ek 2을 최소화하는 것은 상관관계에 있는 신호 성분만을, 즉 수학식 3의 두번째 항과 세번째 항을 상쇄시켜서 궁극적으로는
Figure 112009006791040-pat00015
이 되는 weight를 구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적용하는 수학식은 동일하지만 그 의미는 다른 것이다.
이러한 알고리즘이 좀 더 간편하게 동작하게 하도록 위하여 다음과 같은 부분을 더 고려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궤환신호 생성부를 동작시킴으로써 궤환 신호를 완전히 상쇄시키기 위해서는 Wk
Figure 112009006791040-pat00016
를 완벽히 재현해내야 한다. 이것은 궤환 루프상의 무선 환경뿐만 아니라 중계기 주 경로상의 모든 소자, 특히 필터들의 특성을 재현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위해서는 상당한 양의 연산을 거쳐야만 한다.
본 발명의 목표중의 하나는 궤환 신호 생성부에서의 weight가 무선 궤환 채널만을 재현하여도 정상적으로 ICS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며 ICS 신호처리부가 완전한 디지털 파트로 구성되어 있으면서 중계기의 디지털 파트를 제외한 유선상의 특성들과 무관하게 동작하도록 한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 이러한 특징을 가지기 위해 다음과 같이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먼저, 상기 도 2의 디지털 필터(203)는 도 1의 제 1 및 제 2 필터(103, 107)에 비해 협대역이다. 따라서, 알고리즘이 동작하는 신호는 제 1 및 제 2 필터의 대역 제한 특성과 무관하다고 볼 수 있으며, 이들 제 1 및 제 2 필터는 단순한 delay의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므로, 시스템 유선상의 대역제한 특성을 재현하기 위하여 불필요하게 weight를 길게 가져갈 필요가 없으며 이러한 유선상의 delay 특성을 고려하여 도 2에 제 2 버퍼(204)가 필요하다. 즉, 중계기 유선상의 특성은 알고리즘이 동작하는 영역에서 보면 단순 delay로만 보이므로 별도의 복잡한 계산이 필요 없고 동일한 시간 지연을 갖는 단순 buffer로 대체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2의 디지털 필터(203)는 내부 궤환루프 중에 궤환신호 생성부(205)의 wight에 의해 발생할 수도 있는 관심 영역 밖의 대역 성분을 억제하는 기능을 더 수행하는데, 이러한 기능에 의해 내부 궤환루프가 관심 영역 외의 대역에서 발진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한다. 이를 위하여 주파수 대역에서 관심 영역 내의 스펙트럼 분포가 불규칙할 경우, 예를 들어 W-CDMA 혹은 CDMA 방식과 같이 특정 FA만 존재하는 경우, 신호가 존재하는 FA만 통과시키도록 디지털 필터를 구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디지털 필터의 구성은 FA 수에 맞추어 병렬 혹은 직렬로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시스템 동작 초기 웨이트의 수렴에는 얼마간의 시간(수 sec ∼ 수십sec)이 필요하며 이 시간동안 중계기의 주 경로를 동작시키게 되면 발진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초기에는 일정 길이의 수신 신호를 버퍼링하여 weight가 수렴할 때까지의 테스트 신호로 사용한다. 이때, 테스트 신호로 사용되는 신호는 외부로부터의 정상적인 신호이거나 잡음이거나 상관이 없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행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간섭 제거 중계기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간섭 제거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간섭 제거 시스템의 궤환신호 생성부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 수신 안테나 102 : 주파수 하향 변환기
103, 107 : 제 1 및 제 2 필터 104 : A/D 변환기
105 : 신호처리부 106 : D/A 변환기
108 : 주파수 상향 변환기 109 : 송신 안테나
201, 204 : 제 1 및 제 2 버퍼 202 : 제 1 합산기
203 : 디지털 필터 205 : 궤환신호 생성부
301, 303, 305, 307 : 제 1 내지 제 N 웨이팅 수단
302, 304, 306 : 제 1 내지 제 (N-1) 지연 수단
307, 308 : 제 2 및 제 3 합산기

Claims (6)

  1. 수신 안테나에 의해 기지국 또는 단말기로부터 받은 RF(radio frequency) 신호를 하향변환하여 A/D 변환기(analog-digital converter)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이를 신호처리한 후 D/A(digital-analog converter) 변환기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 다음 RF 신호로 상향변환하여 송신 안테나에 의해 음영지역 또는 기지국에 재전송하는 중계장치에 있어서,
    상기 A/D 변환기와 D/A 변환기 사이에 구비된 ICS(interference cancellation system) 신호처리부에 의해 궤환 신호를 발생시켜 피드백함으로써 주 경로에 포함된 간섭 신호를 제거하며,
    ICS 신호처리부는,
    상기 D/A 변환기 전의 디지털 신호를 소정 시간 지연시키는 제 2 버퍼(buffer)와,
    상기 제 2 버퍼를 거친 디지털 신호로부터 궤환 신호를 추정하고 생성시키는 궤환신호 생성부와,
    상기 궤환신호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궤환 신호를 주 경로에 합산하여 상쇄시키는 합산기로 구성되며,
    상기 궤환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 2 버퍼로부터 신호를 받아 소정의 웨이트(weight)를 주는 제 1 웨이팅 수단과,
    상기 제 2 버퍼로부터 신호를 받아 소정 시간 지연시키는 제 1 지연 수단과,
    상기 제 1 지연 수단으로부터 신호를 받아 소정의 웨이트를 주는 제 2 웨이팅 수단과,
    상기 제 1 지연 수단으로부터 신호를 받아 소정 시간 지연시키는 제 2 지연 수단과,
    제 (N-1) 지연 수단으로부터 신호를 받아 소정 시간 지연시키는 제 N 지연 수단과,
    상기 제 N 지연 수단으로부터 신호를 받아 소정의 웨이트를 주는 제 N 웨이팅 수단과,
    상기 제 1 내지 제 N 웨이팅 수단으로부터 받은 신호를 합산하는 제 2 합산기와,
    상기 제 2 합산기로부터 받은 신호와 원하는 신호(desired response)를 합산하는 제 3 합산기로 구성되며,
    상기 소정의 웨이트는 궤환 신호에 대한 에러(error)를 최소화하도록 설정되는, 간섭 제거 중계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버퍼는,
    상기 궤환신호 생성부의 전단 또는 후단 가운데 어느 한쪽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섭 제거 중계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버퍼는,
    상기 궤환신호 생성부의 전단과 후단에 모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섭 제거 중계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합산기와 D/A 변환기 사이의 주 경로에 디지털 필터를 삽입하여, 주파수 대역에서 관심 영역 내의 스펙트럼 분포가 불규칙한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가 존재하는 FA만 통과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섭 제거 중계장치.
KR20090008665A 2008-02-05 2009-02-04 간섭 제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중계장치 KR1015089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11471 2008-02-05
KR1020080011471 2008-02-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6034A KR20090086034A (ko) 2009-08-10
KR101508965B1 true KR101508965B1 (ko) 2015-04-08

Family

ID=41205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008665A KR101508965B1 (ko) 2008-02-05 2009-02-04 간섭 제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중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896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3258A (ko) * 2003-01-06 2004-07-14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통신 중계기에서의 간섭 제거 장치
KR100758206B1 (ko) * 2006-09-14 2007-09-12 주식회사 쏠리테크 반향성분 제거 시스템 및 반향성분 제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3258A (ko) * 2003-01-06 2004-07-14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통신 중계기에서의 간섭 제거 장치
KR100758206B1 (ko) * 2006-09-14 2007-09-12 주식회사 쏠리테크 반향성분 제거 시스템 및 반향성분 제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6034A (ko) 2009-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55303B2 (en) System and method for cancelling echo
KR101120446B1 (ko) 신호 무결성 및 증폭을 증진시키기 위한 실시간 측정 메트릭 및 적응형 안테나 어레이를 이용하는 물리 계층 중계기
EP2345177B1 (en) Method and arrangement in a communication system
US9755691B2 (en) Method and system for mitigating the effects of a transmitted blocker and distortions therefrom in a radio receiver
EP3042451B1 (en) Feed-forward canceller
WO2015078009A1 (zh) 减少通信系统自干扰信号的方法和装置
KR101902970B1 (ko) 다중 안테나 중계장치
US20180351588A1 (en) Cancellation device, cancellatio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EP2445122A1 (en) Wireless repeater and method of removing echo signal thereof
Paireder et al. A robust mixed-signal cancellation approach for even-order intermodulation distortions in LTE-A/5G-transceivers
KR100748642B1 (ko) 이동 통신 중계기의 간섭 신호 제거 방법
KR20050011661A (ko) 반향 제거 장치를 갖는 무선 중계기 및 반향 신호 제거 방법
KR20040063258A (ko) 이동통신 중계기에서의 간섭 제거 장치
CN112368985B (zh) 一种用于无线通信的系统和方法
KR101508965B1 (ko) 간섭 제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중계장치
JP2007295331A (ja) 無線基地局装置
KR20110007481A (ko) 궤환 간섭 제거장치가 구비되는 무선중계기 및 궤환 간섭 제거방법
KR102417564B1 (ko) 무선 중계 장치 및 방법
KR102563333B1 (ko) 무선 중계 장치 및 방법
KR102563334B1 (ko) 무선 중계 장치 및 방법
KR102563345B1 (ko) 무선 중계 장치 및 방법
KR102417563B1 (ko) 무선 중계 장치 및 방법
WO2010056166A1 (en) Method and arrangement 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0656786B1 (ko) 복수채널 수신기의 오차보정 기능을 가지는 기지국 시스템및 그 방법
KR20110102574A (ko) 지속적인 웨이트 갱신이 가능한 간섭 제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중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