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3334B1 - 무선 중계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중계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3334B1
KR102563334B1 KR1020210146722A KR20210146722A KR102563334B1 KR 102563334 B1 KR102563334 B1 KR 102563334B1 KR 1020210146722 A KR1020210146722 A KR 1020210146722A KR 20210146722 A KR20210146722 A KR 20210146722A KR 102563334 B1 KR102563334 B1 KR 102563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signal transmitted
signal
transmitted
feedback interf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6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61948A (ko
Inventor
김병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랜컴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랜컴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랜컴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210146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3334B1/ko
Publication of KR20230061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19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3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3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64Relay station antennae loop interference reduction
    • H04B7/15585Relay station antennae loop interference reduction by interference cancel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64Relay station antennae loop interference reduction
    • H04B7/15578Relay station antennae loop interference reduction by gain adjust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04L25/0204Channel estimation of multiple 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중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중계 장치는, 제1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된 제1 신호, 제1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제1 수신 안테나로 유입된 신호, 제2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상기 제1 수신 안테나로 유입된 신호를 상기 제1 수신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는 제1 수신부; 제2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된 제2 신호, 상기 제1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제2 수신 안테나로 유입된 신호, 상기 제2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상기 제2 수신 안테나로 유입된 신호를 상기 제2 수신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는 제2 수신부; 상기 제1 수신부에서 전송된 신호와 상기 제2 수신부에서 전송된 신호의 합산 신호에 대해 상기 제1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상기 제1 수신 안테나로 유입된 신호, 상기 제2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상기 제1 수신 안테나로 유입된 신호, 상기 제1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상기 제2 수신 안테나로 유입된 신호, 상기 제2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상기 제2 수신 안테나로 유입된 신호를 제거하는 궤환 간섭 제거부; 상기 궤환 간섭 제거부에서 전송된 신호를 상기 제1 송신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제1 송신부; 및 상기 궤환 간섭 제거부에서 전송된 신호를 상기 제2 송신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제2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선 중계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wireless relaying}
본 발명은 무선 중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분할 이중화(TDD; Time Division Duplexing) 방식을 채용하는 이동통신 서비스에 사용되는 무선 중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중계 장치는 일반적으로 무선통신 서비스 영역 내 음영지역을 해소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장치로서, 무선통신 서비스에 사용되는 신호를 선택적으로 증폭하여 재송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동통신 서비스와 같이 통신이 양방향, 즉 기지국에서 단말기로 신호가 전달되는 하향(DL; Down Link) 통신과 단말기에서 기지국으로 신호가 전달되는 상향(UL; Up Link) 통신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이중화(Duplexing) 방식을 채용하여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는데, 대표적인 이중화 방식으로는 주파수분할 이중화(FDD; Frequency Division Duplexing) 방식과 시분할 이중화(TDD; Time Division Duplexing) 방식이 있다.
시분할 이중화 방식을 채용하는 이동통신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주기(T) 내 하향구간(TDL) 동안 기지국이 단말기로 신호를 송출하고 그 신호를 단말기가 수신하며, 한 주기(T) 내 상향구간(TUL) 동안 단말기가 기지국으로 신호를 송출하고 그 신호를 기지국이 수신함으로써, 양방향 통신이 이루어 진다. 실제 구현에 있어서, 하향구간(TDL)에서 상향구간(TUL)으로 및/또는 상향구간(TUL)에서 하향구간(TDL)로 넘어가는 경계에 기지국이나 단말기 모두 신호를 송출하지 않는 경계구간을 가질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그 차이가 없으므로 별도로 구분하지 않는다.
종래기술에 따른 시분할 이중화 방식의 이동통신용 무선 중계 장치(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구간(TUL)에서는 기지국으로 상향 신호를 송출하고 하향구간(TDL)에서는 기지국에서 송출된 하향 신호를 수신하는 도너 안테나(11a), 하향구간(TDL)에서는 단말기로 하향 신호를 송출하고 상향구간(TUL)에서는 단말기에서 송출된 상향 신호를 수신하는 서비스 안테나(11b), 도너 안테나에서 수신된 신호 중 중계할 신호의 주파수 성분을 선택적으로 증폭하는 하향 수신부(12a), 하향 수신부에서 전달된 신호의 전력을 증폭하는 하향 송신부(13a), 서비스 안테나에서 수신된 신호 중 중계할 신호의 주파수 성분을 선택적으로 증폭하는 상향 수신부(12b), 상향 수신부에서 전달된 신호의 전력을 증폭하는 상향 송신부(13b), 도너 안테나를 하향 수신부 또는 상향 송신부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도너 안테나 전환부(14a), 서비스 안테나를 하향 송신부 또는 상향 수신부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서비스 안테나 전환부(14b), 그리고 하향구간(TDL)에서는 도너 안테나가 하향 수신부에 연결되도록 도너 안테나 전환부를 제어하고 서비스 안테나가 하향 송신부의 출력을 전달받도록 서비스 안테나 전환부를 제어하며, 상향구간(TUL)에서는 서비스 안테나가 상향 수신부에 연결되도록 서비스 안테나 전환부를 제어하며 도너 안테나가 상향 송신부의 출력을 전달받도록 도너 안테나 전환부를 제어하는 동기신호 발생부(15) 등을 구비한다.
종래기술에 따른 시분할 이중화 방식 무선 중계 장치는 양방향 통신을 위해 동기신호 발생부의 제어에 따라 도너 안테나 전환부 및 서비스 안테나 전환부가 제어되어 신호의 전달 방향이 전환되는 원리이므로, 무엇보다도 하향구간(TDL)과 상향구간(TUL)을 정확하게 결정하고 그에 따라 동기신호를 발생하여야 한다.
과거 하향구간(TDL)과 상향구간(TUL)이 각각 일정하게 정해져 있어서 신호 전달 방향의 주기성이 명확한 경우에는 양측 안테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크기 등을 관찰하여 그 주기를 추정하고 이에 근거하여 동기신호를 발생하는 비교적 단순한 장치를 사용해 왔다.
그런데, 데이터 서비스가 중요한 현대의 이동통신 방식은 데이터 전송량 등의 변화에 쉽게 적응할 수 있도록 주기(T), 하향구간(TDL) 및 상향구간(TUL)을 변수로 취하여 상황에 따라 기지국에서 그 값을 결정하여 단말기로 전달하므로, 단말기에서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근거하여 신호를 수신하고 송신하는 시점을 결정하여야 한다.
따라서, 시분할 이중화 방식 무선 중계 장치의 동기신호 발생부도 기지국으로부터 전달된 통신신호에서 정보를 취득하는 전 과정, 즉 역분산(Despreading), 역다중화(Demultiplexing), 채널추정(Channel Estimation), 복호(Decoding) 등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통신표준이 변경되면 이러한 장치를 교환 혹은 수정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수신되는 신호가 미약하거나 불안정할 경우 동기신호 발생부가 초기화 과정으로 진입하게 되어 기지국 신호와 정보를 재획득하기까지의 시간 동안 무선 중계 장치는 기능을 멈추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너 안테나 전환부와 서비스 안테나 전환부는 신호전달 경로에서 신호의 감쇠나 열화를 야기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97209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시분할 이중화 방식의 이동통신 서비스에서 동기신호 발생부 없이 무선 신호를 중계할 수 있는, 즉 역분산, 역다중화, 채널추정, 복호 등의 정보 취득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무선 신호를 중계할 수 있는 무선 중계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분할 이중화 방식의 이동통신 서비스에서 주기, 하향구간, 상향구간 등의 변수에 영향을 받지 않고 무선 신호를 중계할 수 있는 무선 중계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너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도너 수신 안테나로 유입된 간섭 신호, 서비스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도너 수신 안테나로 유입된 간섭 신호, 서비스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서비스 수신 안테나로 유입된 간섭 신호, 도너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서비스 수신 안테나로 유입된 간섭 신호를 제거하여 궤환에 의한 발진 현상 없이 항상 안정된 상태로 정제된 기지국 신호와 단말기 신호를 중계하는 무선 중계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무선 중계 장치는, 제1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된 제1 신호, 제1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제1 수신 안테나로 유입된 신호, 제2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상기 제1 수신 안테나로 유입된 신호를 상기 제1 수신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는 제1 수신부; 제2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된 제2 신호, 상기 제1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제2 수신 안테나로 유입된 신호, 상기 제2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상기 제2 수신 안테나로 유입된 신호를 상기 제2 수신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는 제2 수신부; 상기 제1 수신부에서 전송된 신호와 상기 제2 수신부에서 전송된 신호의 합산 신호에 대해 상기 제1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상기 제1 수신 안테나로 유입된 신호, 상기 제2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상기 제1 수신 안테나로 유입된 신호, 상기 제1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상기 제2 수신 안테나로 유입된 신호, 상기 제2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상기 제2 수신 안테나로 유입된 신호를 제거하는 궤환 간섭 제거부; 상기 궤환 간섭 제거부에서 전송된 신호를 상기 제1 송신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제1 송신부; 및 상기 궤환 간섭 제거부에서 전송된 신호를 상기 제2 송신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제2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무선 중계 장치는, 제1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된 제1 신호, 제1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제1 수신 안테나로 유입된 신호, 제2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상기 제1 수신 안테나로 유입된 신호를 상기 제1 수신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고, 제2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된 제2 신호, 상기 제1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제2 수신 안테나로 유입된 신호, 상기 제2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상기 제2 수신 안테나로 유입된 신호를 상기 제2 수신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에서 전송된 신호에 대해 상기 제1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상기 제1 수신 안테나로 유입된 신호, 상기 제2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상기 제1 수신 안테나로 유입된 신호, 상기 제1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상기 제2 수신 안테나로 유입된 신호, 상기 제2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상기 제2 수신 안테나로 유입된 신호를 제거하는 궤환 간섭 제거부; 및 상기 궤환 간섭 제거부에서 전송된 신호를 상기 제1 송신 안테나 및 상기 제2 송신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무선 중계 방법은, 수신부가 제1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된 제1 신호, 제1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제1 수신 안테나로 유입된 신호, 제2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상기 제1 수신 안테나로 유입된 신호를 상기 제1 수신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고, 2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된 제2 신호, 상기 제1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제2 수신 안테나로 유입된 신호, 상기 제2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상기 제2 수신 안테나로 유입된 신호를 상기 제2 수신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부에서 전송된 신호에 대해 궤환 간섭 제거부가 상기 제1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상기 제1 수신 안테나로 유입된 신호, 상기 제2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상기 제1 수신 안테나로 유입된 신호, 상기 제1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상기 제2 수신 안테나로 유입된 신호, 상기 제2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상기 제2 수신 안테나로 유입된 신호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궤환 간섭 제거부에서 전송된 신호를 송신부가 상기 제1 송신 안테나 및 상기 제2 송신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너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도너 수신 안테나로 유입된 간섭 신호, 서비스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도너 수신 안테나로 유입된 간섭 신호, 서비스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서비스 수신 안테나로 유입된 간섭 신호, 도너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서비스 수신 안테나로 유입된 간섭 신호를 상향/하향 경로 공통으로 적용되는 하나의 궤환 간섭 제거부가 제거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궤환에 의한 발진 현상 없이 항상 안정된 상태로 정제된 기지국 신호와 단말기 신호를 효율적으로 중계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시분할 이중화 방식의 이동통신 서비스에서 역분산, 역다중화, 채널추정, 복호 등의 정보 취득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또한 주기, 하향구간, 상향구간 등의 변수에 영향을 받지 않고 무선 신호를 중계할 수 있어, 종래기술에 비해 복잡도를 크게 줄여 경제성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시분할 이중화 방식을 설명하는 타이밍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시분할 이중화 방식 무선 중계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중계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중계 장치의 수학적 모델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중계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중계 장치의 수학적 모델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선 중계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8은 도 7의 디지털 신호 처리기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무선 중계 장치의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하기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중계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중계 장치(100)는, 기지국(제1 무선 통신 장치)으로부터 송신된 하향 신호(제1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도너 수신 안테나(제1 수신 안테나; ANT1), 단말기(제2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된 상향 신호(제2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서비스 수신 안테나(제2 수신 안테나; ANT3), 도너 수신 안테나(ANT1)를 통해 수신된 신호 중 중계할 신호의 주파수 성분을 선택적으로 증폭하는 하향 수신부(제1 수신부; 110), 서비스 수신 안테나(ANT3)를 통해 수신된 신호 중 중계할 신호의 주파수 성분을 선택적으로 증폭하는 상향 수신부(제2 수신부; 130), 하향 수신부(110)와 상향 수신부(130)에서 전달된 신호(합산 신호)에서 서비스 송신 안테나(제1 송신 안테나; ANT2)로부터 유입된 궤환 간섭(서비스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도너 수신 안테나로 유입된 신호 및 서비스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서비스 수신 안테나로 유입된 신호) 및 도너 송신 안테나(제2 송신 안테나; ANT4)로부터 유입된 궤환 간섭(도너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도너 수신 안테나로 유입된 신호 및 도너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서비스 수신 안테나로 유입된 신호)을 제거하는 궤환 간섭 제거부(150), 궤환 간섭 제거부(150)에서 전달된 신호(제1 신호)의 전력을 증폭하는 하향 송신부(제1 송신부; 120), 궤환 간섭 제거부(150)에서 전달된 신호(제2 신호)의 전력을 증폭하는 상향 송신부(제2 송신부; 140), 하향 송신부(120)에서 증폭된 신호를 단말기로 송출하는 서비스 송신 안테나(ANT2), 상향 송신부(140)에서 증폭된 신호를 기지국으로 송출하는 도너 송신 안테나(ANT4)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중계 장치(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 방향으로 향하는 두 개의 안테나, 즉 도너 송신 안테나(ANT4)와 도너 수신 안테나(ANT1)를 구비하고, 단말기 방향(서비스 영역)으로 향하는 두 개의 안테나, 즉 서비스 송신 안테나(ANT2)와 서비스 수신 안테나(ANT3)를 구비하여, 시간을 분할하여 동작하지 않고 항상 기지국과 단말기의 신호를 중계한다. 즉, 도너 수신 안테나(ANT1)는 항상 기지국 신호(하향 신호)를 수신하고, 서비스 송신 안테나(ANT2)는 항상 증폭된 기지국 신호를 송신하며, 서비스 수신 안테나(ANT3)는 항상 단말기 신호(상향 신호)를 수신하고, 도너 송신 안테나(ANT4)는 항상 증폭된 단말기 신호를 송신한다.
이 과정에서 서비스 송신 안테나(ANT2)로부터 송출된 신호의 일부는 서비스 수신 안테나(ANT3)로 유입되고, 도너 송신 안테나(ANT4)로부터 송출된 신호의 일부는 도너 수신 안테나(ANT1)로 유입된다. 또한, 기지국 방향의 도너 안테나(도너 수신 안테나, 도너 송신 안테나)와 단말기 방향의 서비스 안테나(서비스 수신 안테나, 서비스 송신 안테나)가 가까이 설치될 경우, 서비스 송신 안테나(ANT2)에서 송출된 신호의 일부는 다시 도너 수신 안테나(ANT1)로 유입되고, 도너 송신 안테나(ANT4)에서 송출된 신호의 일부는 다시 서비스 수신 안테나(ANT3)로 유입된다.
그 결과, 도너 수신 안테나(ANT1)는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하향 신호, 도너 송신 안테나(ANT4)에서 송출되어 유입된 신호, 서비스 송신 안테나(ANT2)에서 송출되어 유입된 신호를 모두 수신하고, 서비스 수신 안테나(ANT3)는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상향 신호, 서비스 송신 안테나(ANT2)에서 송출되어 유입된 신호, 도너 송신 안테나(ANT4)에서 송출되어 유입된 신호를 모두 수신하게 된다.
이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중계 장치(100)는, 도너 수신 안테나(ANT1)을 통해 수신된 신호(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하향 신호, 도너 송신 안테나(ANT4)에서 송출되어 유입된 신호, 서비스 송신 안테나(ANT2)에서 송출되어 유입된 신호)를 하향 수신부(110)에서 증폭한 후, 궤환 간섭 제거부(150)가 도너 송신 안테나(ANT4)에서 송출되어 유입된 신호(도너 영역 궤환 간섭 성분) 및 서비스 송신 안테나(ANT2)에서 송출되어 유입된 신호(하향 궤환 간섭 성분)를 제거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하향 신호만 추출하고, 하향 송신부(120)는 궤환 간섭 제거부(150)전송된 신호(기지국의 하향 신호)의 전력을 증폭하여 서비스 송신 안테나(ANT2)를 통해 단말기로 송신한다. 그리고, 서비스 수신 안테나(ANT3)을 통해 수신된 신호(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상향 신호, 서비스 송신 안테나(ANT2)에서 송출되어 유입된 신호, 도너 송신 안테나(ANT4)에서 송출되어 유입된 신호)를 상향 수신부(130)에서 증폭한 후, 궤환 간섭 제거부(150)가 서비스 송신 안테나(ANT2)에서 송출되어 유입된 신호(서비스 영역 궤환 간섭 성분) 및 도너 송신 안테나(ANT4)에서 송출되어 유입된 신호(상향 궤환 간섭 성분)를 제거하여,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상향 신호만 추출하고, 상향 송신부(140)는 궤환 간섭 제거부(150)에서 전송된 신호(단말기의 상향 신호)의 전력을 증폭하여 도너 송신 안테나(ANT4)를 통해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시분할 이중화(TDD; Time Division Duplexing) 방식에서는 하향 신호가 송출되는 하향구간(TDL)동안에는 상향 신호가 송출되지 않고 상향 신호가 송출되는 상향구간(TUL)동안에는 하향 신호가 송출되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궤환 간섭 제거부(150)는 하향 신호가 상향 신호에 주는 간섭 및/또는 상향 신호가 하향 신호에 주는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목적 보다는, 물리적으로 형성된 "도너 수신 안테나(ANT1) - 하향 수신부(110) - 하향 송신부(120) - 서비스 송신 안테나(ANT2)"의 폐루프(Closed Loop), "도너 수신 안테나(ANT1) - 하향 수신부(110) - 상향 송신부(140) - 도너 송신 안테나(ANT4)"의 폐루프, "서비스 수신 안테나(ANT2) - 상향 수신부(130) - 상향 송신부(140) - 도너 송신 안테나(ANT4)"의 폐루프, 및 "서비스 수신 안테나(ANT2) - 상향 수신부(130) - 하향 송신부(120) - 서비스 송신 안테나(ANT2)"의 폐루프의 루프 증폭도(Loop Gain)를 감소시켜 동작을 안정화하기 위함이다.
즉, 궤환 간섭 제거부(150)는 도너 송신 안테나(ANT4)에서 송출된 신호가 도너 수신 안테나(ANT1)로 유입되는 궤환 간섭, 서비스 송신 안테나(ANT2)에서 송출된 신호가 도너 수신 안테나(ANT1)로 유입되는 궤환 간섭, 서비스 송신 안테나(ANT2)에서 송출된 신호가 서비스 수신 안테나(ANT3)로 유입되는 궤환 간섭, 도너 송신 안테나(ANT4)에서 송출된 신호가 서비스 수신 안테나(ANT3)로 유입되는 궤환 간섭을 제거하여, 기지국 신호와 단말기 신호의 품질을 보호하기 위함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중계 장치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 3의 장치를 수학적 모델로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GIDL은 하향 수신부(110)의 증폭도이고, GODL은 하향 송신부(120)의 증폭도이며, GIUL은 상향 수신부(130)의 증폭도이고, GOUL은 상향 송신부(140)의 증폭도이다. 그리고, h21(t)은 서비스 송신 안테나(ANT2)와 도너 수신 안테나(ANT1) 사이의 채널 임펄스 응답(Channel Impulse Response)이고, h41(t)은 도너 송신 안테나(ANT4)와 도너 수신 안테나(ANT1) 사이의 채널 임펄스 응답이며, h43(t)은 도너 송신 안테나(ANT4)와 서비스 수신 안테나(ANT3) 사이의 채널 임펄스 응답이고, h23(t)은 서비스 송신 안테나(ANT2)와 서비스 수신 안테나(ANT3) 사이의 채널 임펄스 응답이다.
그리고, i21(t)은 서비스 송신 안테나(ANT2)에서 도너 수신 안테나(ANT1)로 유입된 하향 궤환 간섭 신호이고, i41(t)은 도너 송신 안테나(ANT4)에서 도너 수신 안테나(ANT1)로 유입된 도너 영역 궤환 간섭 신호이며, i43(t)은 도너 송신 안테나(ANT4)에서 서비스 수신 안테나(ANT3)로 유입된 상향 궤환 간섭 신호이고, i23(t)은 서비스 송신 안테나(ANT2)에서 서비스 수신 안테나(ANT3)로 유입된 서비스 영역 궤환 간섭 신호이다.
그리고, sDL(t)는 기지국의 송출 신호이고, sUL(t)는 단말기의 송출 신호이며, yDL(t)는 서비스 송신 안테나(ANT2)의 송출 신호이고, yUL(t)는 도너 송신 안테나(ANT4)의 송출 신호이며. r(t)는 궤환 간섭 제거부(150)의 입력 신호이고, x(t)는 궤환 간섭 제거부(150)의 출력 신호이고, F(t)는 궤환 간섭 채널의 임펄스 응답에 대한 추정치이고, F(t)는 궤환 간섭 추정치이다. 그리고, δ(t)는 단위 임펄스 함수(Unit Impulse Function)이고, τDL는 하향 수신부(110)의 시간 지연치이며, τUL는 상향 수신부(130)의 시간 지연치이다.
참고로, 본 설명은 서비스에 사용되는 선택된 신호대역에 국한한 것이므로, 대역여파(band-pass filtering) 기능은 생략한다. 그리고, 설명의 편의상 주기(T), 하향구간(TDL) 및 상향구간(TUL)은 각각 일정한 값을 갖는다고 가정한다.
우선, 하향 송신부(120)에서 송출되는 신호 yDL(t) 및 상향 송신부(140)에서 송출되는 신호 yUL(t)는 각각 하기 수식 1 및 2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수식 1]
yDL(t) = GODL x(t)
[수식 2]
yUL(t) = GOUL x(t)
그리고, 궤환 간섭 제거부(150)의 출력 신호 x(t) 및 입력 신호 r(t)는 하기 수식 3 및 4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νDL(t)는 하향 수신부(110) 입력에 대한 열잡음이고, νUL(t)는 상향 수신부(130) 입력에 대한 열잡음이며, 연산자 *는 컨볼루션(Convolution) 연산자이다.
[수식 3]
x(t) = r(t) - F(t)
[수식 4]
r(t) = GIDL [sDL(t) + νDL(t) + i41(t) + i21(t)] * δ(t-τDL) + GIUL [sUL(t) + νUL(t) + i23(t) + i43(t)] * δ(t-τUL)
궤환 간섭 제거부(150)의 출력 x(t)가 궤환 간섭 제거부(150)의 입력 r(t)로 궤환되는 경로는 도너 송신 안테나(ANT4)에서 송출된 신호가 도너 수신 안테나(ANT1)로 유입되는 궤환 경로, 서비스 송신 안테나(ANT2)에서 송출된 신호가 도너 수신 안테나(ANT1)로 유입되는 궤환 경로, 서비스 송신 안테나(ANT2)에서 송출된 신호가 서비스 수신 안테나(ANT3)로 유입되는 궤환 경로, 및 도너 송신 안테나(ANT4)에서 송출된 신호가 서비스 수신 안테나(ANT3)로 유입되는 궤환 경로에 의해 형성되므로, 궤환 간섭 채널의 임펄스 응답 hF(t)는 하기 수식 5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수식 5]
hF(t) = GOUL GIDL * δ(t-τDL) * h41(t) + GODL GIDL * δ(t-τDL) * h21(t) + GODL GIUL * δ(t-τUL) * h23(t) + GOUL GIUL * δ(t-τUL) * h43(t)
그리고, 상기 수식 5는 다시 하기 수식 6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수식 6]
hF(t) = GIDL [GOUL h41(t-τDL) + GODL h21(t-τDL)] + GIUL [GODL h23(t-τUL) + GOUL h43(t-τUL)]
여기서, 궤환 간섭 채널 전체에 대한 추정오차를 ε(t)라 하면, 궤환 간섭 제거부(150)에서 추정된 궤환 간섭 채널의 임펄스 응답 추정치 F(t)는 하기 수식 7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수식 7]
F(t) = hF(t) + ε(t)
그리고, 궤환 간섭 iF(t)와 궤환 간섭 추정치 F(t)는 각각 하기 수식 8 및 9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수식 8]
iF(t) = x(t) * hF(t)
[수식 9]
F(t) = x(t) * F(t)
그러므로, 상기 수식 3 내지 9로부터 궤환 간섭 제거부(150)의 출력 신호 x(t)는 하기 수식 10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수식 10]
x(t) = GIDL [sDL(t-τDL) + νDL(t-τDL)] + GIUL [sUL(t-τUL) + νUL(t-τUL)] - x(t) * ε(t)
따라서, 하향 송신부(120)에서 송출되는 신호 yDL(t)는 상기 수식 1 및 10으로부터 하기 수식 11과 같이 정리될 수 있으며, 상향 송신부(140)에서 송출되는 신호 yUL(t)는 상기 수식 2 및 10으로부터 하기 수식 12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수식 11]
yDL(t) = GODL GIDL [sDL(t-τDL) + νDL(t-τDL)] + GODL GIUL [sUL(t-τUL) + νUL(t-τUL)] - GODL x(t) * ε(t)
[수식 12]
yUL(t) = GOUL GIDL [sDL(t-τDL) + νDL(t-τDL)] + GOUL GIUL [sUL(t-τUL) + νUL(t-τUL)] - GOUL x(t) * ε(t)
그런데, 시분할 이중화(TDD) 방식에서는 기지국 신호 sDL(t)와 단말기 신호 sUL(t)가 동시에 존재하지 않으므로, 하향 송신부(120)의 송출 신호 yDL(t)와 상향 송신부(140)의 송출 신호 yUL(t)는 상기 수식 13 및 14와 같이 정리될 수 있다.
[수식 13]
yDL(t) = GODL GIDL [sDL(t-τDL) + νDL(t-τDL)] + GODL GIUL νUL(t-τUL) - GODL x(t) * ε(t)
[수식 14]
yUL(t) = GOUL GIDL [sDL(t-τDL) + νDL(t-τDL)] + GOUL GIUL νUL(t-τUL) - GOUL x(t) * ε(t)
상기와 같이 대부분의 간섭이 제거되어 무선 중계 장치의 증폭도(GODLGIDL, GODLGIDL)만큼 증폭된 신호와 열잡음, 그리고 추정오차에 의해 제거되지 않은 간섭성분이 송출된다. 따라서, 동기신호를 검출하지 않더라도 또한 궤환 간섭 제거부(150)를 상향/하향 구분없이 하나만 사용하여도 상향 신호와 하향 신호 간에 상호 간섭없이 중계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수식 1 내지 14는 연속시간(continuous time) 신호 및 시스템으로 표현하였으나, 무선 중계 장치는 서비스 대역이 정해진 대역제한 시스템이므로 궤환 간섭 제거부(150)를 포함한 신호처리의 일부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궤환 채널 hpq(t)(여기서 p=2 또는 4, q=1 또는 3)는 전파의 전파경로상에 존재하는 산란체와 반사체 등으로 형성되므로 인과시스템(causal system)이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전력이 소멸되는 시스템이다. 즉, t<0에서, 그리고 t→Δ 이면 hpq(t) = 0이다. 따라서, 궤환 간섭 제거부(150)를 구현함에 있어서 유효채널구간을 Tpq라 하면 채널 추정치 pq(t)는 0 < t < Tpq에 대해서만 추정한다. 유효채널구간은 다양한 기준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t > Tpq 동안 |εDL(t)|2 >> |hpq(t)|2 인 Tpq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중계 장치의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중계 장치의 수학적 모델을 나타낸 도면이다. 참고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하향 수신부와 상향 수신부를 하나의 수신부로 구현하고 하향 송신부와 상향 송신부를 하나의 송신부로 구현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중계 장치(200)는,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하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도너 수신 안테나(ANT1),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상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서비스 수신 안테나(ANT3), 도너 수신 안테나(ANT1) 및 서비스 수신 안테나(ANT3)를 통해 수신된 신호 중 중계할 신호의 주파수 성분을 선택적으로 증폭하는 수신부(210), 수신부(210)에서 전달된 신호에서 서비스 송신 안테나(ANT2)로부터 유입된 궤환 간섭 및 도너 송신 안테나(ANT4)로부터 유입된 궤환 간섭을 제거하는 궤환 간섭 제거부(150), 궤환 간섭 제거부(150)에서 전달된 신호의 전력을 증폭하는 송신부(220), 송신부(220)에서 증폭된 신호를 단말기로 송출하는 서비스 송신 안테나(ANT2), 송신부(220)에서 증폭된 신호를 기지국으로 송출하는 도너 송신 안테나(ANT4) 등을 포함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하향 수신부(110)와 상향 수신부(130)가 하나의 수신부(210)로 구현되고 하향 송신부(120)와 상향 송신부(140)가 하나의 송신부(220)로 구현되었을 뿐 각 구성요소의 구체적 기능이나 동작 방식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전술한 제1 실시예의 내용을 참조할 수 있으며, 이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참고로, 도 6에서, GRX는 수신부(210)의 증폭도이고, τRX는 수신부(210)의 시간 지연치이며, GTX는 송신부(220)의 증폭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선 중계 장치의 구성도이다. 참고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구현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선 중계 장치(300)는, 기지국(제1 무선 통신 장치)으로부터 송신된 하향 신호(제1 신호)를 수신하는 도너 수신 안테나(제1 수신 안테나; ANT1),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상향 신호(제2 신호)를 수신하는 서비스 수신 안테나(제2 수신 안테나; ANT3), 도너 수신 안테나(ANT1)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신호처리에 적절하게 증폭시키는 하향 가변 이득 증폭기(제1 가변 이득 증폭기; 310a), 서비스 수신 안테나(ANT3)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신호처리에 적절하게 증폭시키는 상향 가변 이득 증폭기(제2 가변 이득 증폭기; 310b), 하향 가변 이득 증폭기(310a)와 상향 가변 이득 증폭기(310b)에서 증폭된 신호(합산 신호)를 대역 여파기(Band Pass Filter)와 AD 변환기(Analog to Digital Conversion)가 처리가능한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천이)시키는 제1 주파수 변환기(320), 제1 주파수 변환기(320)에서 전달된 신호 중 중계할 서비스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제1 대역 여파기(330), 제1 대역 여파기(330)에서 출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표본화(Sampling) 및 양자화(Quantization)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기(340), AD 변환기(340)에서 출력된 디지털 신호에서 서비스 송신 안테나(제1 송신 안테나; ANT2)로부터 유입된 궤환 간섭 및 도너 송신 안테나(제2 송신 안테나; ANT4)로부터 유입된 궤환 간섭을 제거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350), 디지털 신호 처리기(350)에서 출력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 변환기(360), DA 변환기(360)에서 전달된 아날로그 신호 중 불필요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제거하는 제2 대역 여파기(370), 제2 대역 여파기(370)를 통과한 신호를 다시 원래의 수신된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시키는 제2 주파수 변환기(380), 제2 주파수 변환기(380)에서 주파수 변환된 신호의 전력을 증폭시키는 하향 전력 증폭기(제1 전력 증폭기; 390a), 제2 주파수 변환기(380)에서 주파수 변환된 신호의 전력을 증폭시키는 상향 전력 증폭기(제2 전력 증폭기; 390b), 하향 전력 증폭기(390a)에서 증폭된 신호를 단말기로 송출하는 서비스 송신 안테나(ANT2), 상향 전력 증폭기(390b)에서 증폭된 신호를 기지국으로 송출하는 도너 송신 안테나(ANT4) 등을 포함하여, 기지국에서 단말기로의 하향 경로 및 단말기에서 기지국으로의 상향 경로에 대한 무선 중계 기능을 수행한다.
참고로, 상기 아날로그 신호 처리 과정 중 일부는 아날로그 신호 처리기와 디지털 신호 처리기가 나누어 처리하거나 어느 한 쪽으로 옮겨 질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대역통과필터 기능의 경우 도 7의 실시예에서는 아날로그 필터를 사용하는 대역 여파기로 구현되었으나, 또 다른 구현 형태로서 아날로그 필터는 엘리어싱(aliasing) 성분만 제거하고 디지털 신호 처리기에서 서비스 대역을 선택하는 대역여파 처리를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술한 각 처리 과정에서 시간지연이 발생하는데, 일반적으로는 대역통과필터에서 가장 많은 시간지연이 발생한다.
도 8은 도 7의 디지털 신호 처리기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신호 처리기(350)는, 궤환 간섭 채널(h F)을 추정하여 궤환 간섭 채널 추정치( F)를 생성하는 채널 추정기(350a), 채널 추정기(350a)에서 추정된 궤환 간섭 채널 추정치( F)에 따라 디지털 신호 처리기(350)의 출력(x)을 조합하여 궤환 간섭 추정치( F)를 생성하는 선형 조합기(350b), AD 변환기(340)로부터의 입력 신호(r)에서 선형 조합기(350b)에서 추정된 궤환 간섭 추정치( F)를 감산하는 감산기(350c) 등을 포함한다.
이를 상술하면, AD 변환기(340)는 매 TS 시간간격으로 표본화된 이산시간신호(discrete time signal) r(n)을 디지털 신호 처리기(350)로 전송한다. 그러면, 채널 추정기(350a)는 AD 변환기(340)의 출력 r(n) 및 디지털 신호 처리기(350)의 출력 x(n)을 기초로 궤환 간섭 채널 추정치 F(n)를 생성하고, 선형 조합기(350b)는 채널 추정기(350a)에서 생성된 궤환 간섭 채널 추정치 F(n)를 가중상수로 이용하여 디지털 신호 처리기(350)의 출력 x(n) 및 그 과거 값(x(n-1), x(n-2), ... )을 조합하여 궤환 간섭 추정치 F(n)을 생성하며, 감산기(350c)는 AD 변환기(340)로부터의 입력 r(n)에서 궤환 간섭 추정치 F(n)을 감산하여 x(n)을 출력한다.
전치행렬(transpose)을 위첨자 T로, 그리고 켤레전치행렬(conjugate transpose)을 위첨자 H로 나타내어, 상기 처리 과정을 수식화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감산기(350c)의 출력 x(n)은 하기 수식 15와 같이 표현될 수 있으며, 궤환 간섭 추정치 F(n)는 선형 조합기(350b)에서 궤환 간섭 채널 추정치 벡터 F(n)와 디지털 신호 처리기(350)의 출력 벡터 x(n)를 연산하여, 예컨대 내적(inner product)을 산출하여 얻을 수 있다.
[수식 15]
x(n) = r(n) - F(n)
= r(n) - F H(n)x(n)
여기서, 궤환 간섭 채널 추정치 벡터 F(n)은 하기 수식 16과 같이 크기가 N×1인 행렬로 표현될 수 있으며, 디지털 신호 처리기(350)의 출력 벡터 x(n)도 마찬가지로 하기 수식 17과 같이 크기가 N×1인 행렬로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행렬의 길이 N은
Figure 112021124784812-pat00023
F(t)의 유효채널구간을 기준으로 정해질 수 있다. 예컨대, h41(t), h21(t), h23(t), h43(t) 중 시간지연이 가장 긴 채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수식 16]
F(n) = [ F.N-1(n) F.N-2(n) ... F.0(n)]T
[수식 17]
x(n) = [x(n-N+1) x(n-N+2) ... x(n)]T
채널추정기능에 있어서, 궤환 채널은 시변 채널(Time Varying Channel)이므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채널 추정기는 LMS(Least Mean Square) 알고리즘, RLS(Recursive Least Square) 알고리즘, GN(Gauss-Newton) 알고리즘 등의 적응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적응형 필터(Adaptive Filter)로 구현되며, 이를 일반화하여 수식으로 표현하면 하기 수식 18과 같다.
[수식 18]
(n+1) =
Figure 112021124784812-pat00029
(n) + Ψ{h(n),α(n),β(n),γ(n)}
여기서, Ψ{h(n),α(n),β(n),γ(n)}은 추정치 (n)을 개선하기 위한 조정치로서 LSM, RLS, GN 등 적용되는 알고리즘에 의해 결정되는 함수이다. 여기서, α(n)은 입력신호, 예컨대 r(n)과 그 과거 값(r(n-1), r(n-2), ... )일 수 있고, β(n)은 선형조합에 기여하는 표본, 예컨대 x(n)과 그 과거 값(x(n-1), x(n-2), ... )일 수 있으며, γ(n)은 오차성분을 포함한 감산결과, 예컨대 x(n)과 그 과거 값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채널 추정기는 현재의 채널 추정치 (n)를 적용하여 간섭 성분을 제거한 후 그 결과로서 발생된 오차를 기반으로 현재의 추정치를 조정하여
Figure 112021124784812-pat00032
(n+1)을 산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무선 중계 장치의 구성도이다. 참고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구현한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무선 중계 장치(400)는, 기지국(제1 무선 통신 장치)으로부터 송신된 하향 신호(제1 신호)를 수신하는 도너 수신 안테나(제1 수신 안테나; ANT1),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상향 신호(제2 신호)를 수신하는 서비스 수신 안테나(제2 수신 안테나; ANT3), 도너 수신 안테나(ANT1)를 통해 수신된 신호와 서비스 수신 안테나(ANT3)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신호처리에 적절하게 증폭시키는 가변 이득 증폭기(410), 가변 이득 증폭기(410)에서 증폭된 신호를 대역 여파기(Band Pass Filter)와 AD 변환기(Analog to Digital Conversion)가 처리가능한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천이)시키는 제1 주파수 변환기(420), 제1 주파수 변환기(420)에서 전달된 신호 중 중계할 서비스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제1 대역 여파기(430), 제1 대역 여파기(430)에서 출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표본화(Sampling) 및 양자화(Quantization)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기(440), AD 변환기(440)에서 출력된 디지털 신호에서 서비스 송신 안테나(제1 송신 안테나; ANT2)로부터 유입된 궤환 간섭 및 도너 송신 안테나(제2 송신 안테나; ANT4)로부터 유입된 궤환 간섭을 제거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450), 디지털 신호 처리기(450)에서 출력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 변환기(460), DA 변환기(460)에서 전달된 아날로그 신호 중 불필요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제거하는 제2 대역 여파기(470), 제2 대역 여파기(470)를 통과한 신호를 다시 원래의 수신된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시키는 제2 주파수 변환기(480), 제2 주파수 변환기(480)에서 주파수 변환된 신호의 전력을 증폭시키는 전력 증폭기(490), 전력 증폭기(490)에서 증폭된 신호를 단말기로 송출하는 서비스 송신 안테나(ANT2), 전력 증폭기(490)에서 증폭된 신호를 기지국으로 송출하는 도너 송신 안테나(ANT4) 등을 포함하여, 기지국에서 단말기로의 하향 경로 및 단말기에서 기지국으로의 상향 경로에 대한 무선 중계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와 비교하여 하향 가변 이득 증폭기(310a)와 상향 가변 이득 증폭기(310b)가 하나의 가변 이득 증폭기(410)로 구현되고 하향 전력 증폭기(390a)와 상향 전력 증폭기(390b)가 하나의 전력 증폭기(490)로 구현되었을 뿐 각 구성요소의 구체적 기능이나 동작 방식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전술한 제3 실시예의 내용을 참조할 수 있으며, 이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들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특정되는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무선 중계 장치로서,
    제1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된 제1 신호, 제1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제1 수신 안테나로 유입된 신호, 제2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상기 제1 수신 안테나로 유입된 신호를 상기 제1 수신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는 제1 수신부;
    제2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된 제2 신호, 상기 제1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제2 수신 안테나로 유입된 신호, 상기 제2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상기 제2 수신 안테나로 유입된 신호를 상기 제2 수신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는 제2 수신부;
    상기 제1 수신부에서 전송된 신호와 상기 제2 수신부에서 전송된 신호의 합산 신호에 대해 상기 제1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상기 제1 수신 안테나로 유입된 신호, 상기 제2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상기 제1 수신 안테나로 유입된 신호, 상기 제1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상기 제2 수신 안테나로 유입된 신호, 상기 제2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상기 제2 수신 안테나로 유입된 신호를 제거하는 궤환 간섭 제거부;
    상기 궤환 간섭 제거부에서 전송된 신호를 상기 제1 송신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제1 송신부; 및
    상기 궤환 간섭 제거부에서 전송된 신호를 상기 제2 송신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제2 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궤환 간섭 제거부는,
    상기 제1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상기 제1 수신 안테나로 유입되는 경로의 채널, 상기 제2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상기 제1 수신 안테나로 유입되는 경로의 채널, 상기 제1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상기 제2 수신 안테나로 유입되는 경로의 채널, 상기 제2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상기 제2 수신 안테나로 유입되는 경로의 채널을 추정하여 궤환 간섭 채널 추정치를 생성하는 채널 추정기;
    상기 채널 추정기에서 추정된 궤환 간섭 채널 추정치 및 상기 궤환 간섭 제거부의 출력에 기초하여 궤환 간섭 추정치를 생성하는 선형 조합기; 및
    상기 제1 수신부에서 전송된 신호와 상기 제2 수신부에서 전송된 신호의 합산 신호에서 상기 궤환 간섭 추정치를 감산하는 감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중계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추정기는 상기 제1 수신부에서 전송된 신호와 상기 제2 수신부에서 전송된 신호의 합산 신호 및 상기 궤환 간섭 제거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적응형 필터(Adaptive Filter)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중계 장치.
  5. 무선 중계 장치로서,
    제1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된 제1 신호, 제1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제1 수신 안테나로 유입된 신호, 제2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상기 제1 수신 안테나로 유입된 신호를 상기 제1 수신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고, 제2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된 제2 신호, 상기 제1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제2 수신 안테나로 유입된 신호, 상기 제2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상기 제2 수신 안테나로 유입된 신호를 상기 제2 수신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에서 전송된 신호에 대해 상기 제1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상기 제1 수신 안테나로 유입된 신호, 상기 제2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상기 제1 수신 안테나로 유입된 신호, 상기 제1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상기 제2 수신 안테나로 유입된 신호, 상기 제2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상기 제2 수신 안테나로 유입된 신호를 제거하는 궤환 간섭 제거부; 및
    상기 궤환 간섭 제거부에서 전송된 신호를 상기 제1 송신 안테나 및 상기 제2 송신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궤환 간섭 제거부는,
    상기 제1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상기 제1 수신 안테나로 유입되는 경로의 채널, 상기 제2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상기 제1 수신 안테나로 유입되는 경로의 채널, 상기 제1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상기 제2 수신 안테나로 유입되는 경로의 채널, 상기 제2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상기 제2 수신 안테나로 유입되는 경로의 채널을 추정하여 궤환 간섭 채널 추정치를 생성하는 채널 추정기;
    상기 채널 추정기에서 추정된 궤환 간섭 채널 추정치 및 상기 궤환 간섭 제거부의 출력에 기초하여 궤환 간섭 추정치를 생성하는 선형 조합기; 및
    상기 수신부에서 전송된 신호에서 상기 궤환 간섭 추정치를 감산하는 감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중계 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추정기는 상기 수신부에서 전송된 신호 및 상기 궤환 간섭 제거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적응형 필터(Adaptive Filter)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중계 장치.
  9. 무선 중계 방법으로서,
    수신부가 제1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된 제1 신호, 제1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제1 수신 안테나로 유입된 신호, 제2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상기 제1 수신 안테나로 유입된 신호를 상기 제1 수신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고, 제2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된 제2 신호, 상기 제1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제2 수신 안테나로 유입된 신호, 상기 제2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상기 제2 수신 안테나로 유입된 신호를 상기 제2 수신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부에서 전송된 신호에 대해 궤환 간섭 제거부가 상기 제1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상기 제1 수신 안테나로 유입된 신호, 상기 제2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상기 제1 수신 안테나로 유입된 신호, 상기 제1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상기 제2 수신 안테나로 유입된 신호, 상기 제2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상기 제2 수신 안테나로 유입된 신호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궤환 간섭 제거부에서 전송된 신호를 송신부가 상기 제1 송신 안테나 및 상기 제2 송신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상기 제1 수신 안테나로 유입되는 경로의 채널, 상기 제2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상기 제1 수신 안테나로 유입되는 경로의 채널, 상기 제1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상기 제2 수신 안테나로 유입되는 경로의 채널, 상기 제2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상기 제2 수신 안테나로 유입되는 경로의 채널을 추정하여 궤환 간섭 채널 추정치를 생성하는 과정;
    상기 생성된 궤환 간섭 채널 추정치 및 상기 궤환 간섭 제거부의 출력에 기초하여 궤환 간섭 추정치를 생성하는 과정; 및
    상기 수신부에서 전송된 신호에서 상기 궤환 간섭 추정치를 감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중계 방법.
  10. 삭제
KR1020210146722A 2021-10-29 2021-10-29 무선 중계 장치 및 방법 KR1025633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6722A KR102563334B1 (ko) 2021-10-29 2021-10-29 무선 중계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6722A KR102563334B1 (ko) 2021-10-29 2021-10-29 무선 중계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1948A KR20230061948A (ko) 2023-05-09
KR102563334B1 true KR102563334B1 (ko) 2023-08-03

Family

ID=86408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6722A KR102563334B1 (ko) 2021-10-29 2021-10-29 무선 중계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333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4430B1 (ko) * 2006-08-18 2007-08-01 주식회사 쏠리테크 복수의 안테나를 구비하는 무선 중계기 및 무선 중계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7209B1 (ko) 2004-12-21 2007-03-20 (주)에프알텍 시분할 무선 중계기의 동기 제어 장치
KR100746577B1 (ko) * 2006-01-02 2007-08-06 최동식 간섭 제거형 무선 중계기
KR100844828B1 (ko) * 2006-11-24 2008-07-08 주식회사알에프윈도우 안테나를 내장한 궤환 간섭신호 제거 무선중계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4430B1 (ko) * 2006-08-18 2007-08-01 주식회사 쏠리테크 복수의 안테나를 구비하는 무선 중계기 및 무선 중계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1948A (ko) 202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6577B1 (ko) 간섭 제거형 무선 중계기
US8649417B2 (en) Method and arrangement in a communication system
JP4824821B2 (ja) 干渉除去無線中継装置及びその方法
US8155303B2 (en) System and method for cancelling echo
KR101301298B1 (ko) 전이중 방식의 무선 중계기 및 그의 전자기파 수준의 간섭 제거 방법
JP5935007B2 (ja) 無線中継システム
JP2010135929A (ja) 無線中継装置
CN107005266A (zh) 全双工无线电设备
WO2014114269A1 (zh) 近区反射自干扰信号抵消方法及装置
CN101662849A (zh) 一种用于td-scdma直放站系统的基带干扰抵消的装置及方法
KR20090060036A (ko) 통신 시스템의 신호 송수신 장치에서 반향 신호 제거 장치 및 방법
WO2013185481A1 (zh) 基于多天线的信号接收抗干扰处理方法和装置
KR100957619B1 (ko) Mimo 통신방식용 무선중계기
JP2010525718A (ja) 一体型適応型帰還予測消去器及び方法とそれを用いた時分割二重化無線中継装置
KR102563334B1 (ko) 무선 중계 장치 및 방법
KR102563345B1 (ko) 무선 중계 장치 및 방법
KR102563333B1 (ko) 무선 중계 장치 및 방법
KR102417564B1 (ko) 무선 중계 장치 및 방법
KR102417563B1 (ko) 무선 중계 장치 및 방법
JP7078214B2 (ja) 干渉除去中継器及びその動作方法
KR102382689B1 (ko) 대역내 전이중 mimo 송수신 방법 및 장치
JP5354541B2 (ja) 回り込みキャンセラ及び回り込みキャンセル方法
JP5521201B2 (ja) 回り込みキャンセラ及び回り込みキャンセル方法
JP5527604B2 (ja) 回り込みキャンセラ、及び回り込みキャンセル方法
Rani et al. Digital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Algorithmic Performance Analysis and Software Defined Radio Based Realiz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