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1433A - 원격 인터넷 쇼핑 상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원격 인터넷 쇼핑 상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1433A
KR20070091433A KR1020060020906A KR20060020906A KR20070091433A KR 20070091433 A KR20070091433 A KR 20070091433A KR 1020060020906 A KR1020060020906 A KR 1020060020906A KR 20060020906 A KR20060020906 A KR 20060020906A KR 20070091433 A KR20070091433 A KR 200700914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unselor
consultation
counseling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0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영국
Original Assignee
나영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영국 filed Critical 나영국
Priority to KR1020060020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91433A/ko
Publication of KR20070091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14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 쇼핑몰을 이용하는 구매자들에게 전문적인 상담을 제공하여 구매율을 높이기 위한 발명이다.
본 발명에 의한 원격 인터넷 쇼핑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담 관리 서버에서 쇼핑몰 서버에 접속한 고객 단말기의 상담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제1 단계, 상담 관리 서버에서 온라인 상태의 상담자 단말기를 선택하여 상담 지시 신호를 전송하는 제2 단계 및 상담자 단말기와 고객 단말기와의 사이에 쌍방향 통신 경로를 형성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한다.
쇼핑, 상담

Description

원격 인터넷 쇼핑 상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Remote Counseling Service System for Internet Shopping and Method thereof}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원격 인터넷 쇼핑 상담 서비스 시스템의 일실시예.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원격 인터넷 쇼핑 상담 서비스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
도3은 상담자 관리 DB에 저장되는 데이터 구조의 일실시예.
도4는 인터넷 쇼핑몰에 접속한 구매자 단말기 화면의 일실시예.
도5는 구매자 단말기와 상담자 단말기 사이의 원격 제어를 설명하는 도면.
도6은 구매자 단말기와 상담자 단말기 사이의 채팅을 통한 상담을 설명하는 도면.
도7은 구매자 단말기의 요청에 의해 상담자 단말기와의 상담 서비스가 진행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8은 상담 관리 서버에 의해 상담자 단말기와 구매자 단말기 사이에 상담 서비스가 진행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본 발명은 인터넷 쇼핑시 구매자의 쇼핑에 도움을 주는 상담 서비스를 제공 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터넷 쇼핑을 원하는 구매자의 상담 요청에 대응하여 구매자의 필요에 적합한 상담자를 선택하고 해당 상담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구매자의 단말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면서 구매자에게 쇼핑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인터넷 쇼핑을 원하는 구매자는 인터넷 쇼핑몰에 접속하여 광고된 상품을 선택하고 주문하는 단순한 과정을 거쳤다. 이 과정에서 구매자는 인터넷 쇼핑몰에서 일방적으로 제공하는 제한된 상품 정보에 기초하여 구매를 결정할 수밖에 없어 실제 최종 결재 단계에서 구매를 포기하는 사례나, 상품을 구매했더라도 추후 상품을 수령한 이후 이를 반품하는 사례가 다수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대한민국 공개특허 2000-0054054호 등과 같이 쇼핑 에이전트 기법에 관한 기술이 소개되었다. 위의 쇼핑 에이전트 기법에서는 구매자가 결재 버튼을 누른 경우, 결재 작업을 중지하고 구매자가 선택한 상품을 판매하고 있는 다른 쇼핑몰에 대한 추천 정보를 제공하고, 구매자가 추천된 쇼핑몰에서 구매하기를 원하는 경우 해당 쇼핑몰로 이동하여 구매가 되도록 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쇼핑 에이전트 기법 역시 정보 제공자가 인터넷 쇼핑몰에서 에이전트 업자로 바뀐 것에 불과할 뿐 상품에 대한 정보가 일방적으로 제공되는 점에 있어서는 종래의 기술과 차이가 없다. 더구나 상품 가격 등을 비교해주는 서비스가 일반화된 점을 고려하면 쇼핑 에이전트 기법 역시 구매율을 높이는 것과는 별 관련이 없으며 오히려 특정 쇼핑몰에서 구매하려는 구매자를 다른 쇼핑몰로 유도함 으로써 상품 구매율을 저해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매자가 원하는 상품 정보를 실시간으로 쌍방향 의사 소통을 통해 전달할 수 있으며, 인터넷 쇼핑몰 이용이 익숙하지 않은 구매자를 위하여 원격 상담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쇼핑몰 이용을 보다 용이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원격 인터넷 쇼핑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담 관리 서버에서 쇼핑몰 서버에 접속한 고객 단말기의 상담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제1 단계, 상담 관리 서버에서 온라인 상태의 상담자 단말기를 선택하여 상담 지시 신호를 전송하는 제2 단계 및 상담자 단말기와 고객 단말기와의 사이에 쌍방향 통신 경로를 형성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원격 인터넷 쇼핑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담 관리 서버에서 쇼핑몰 서버에 접속한 구매자 단말기를 확인하는 제1 단계, 상담 관리 서버에서 온라인 상태의 상담자 단말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구매자 단말기에 상담 서비스 제공을 지시하는 제2 단계 및 선택된 상담자 단말기와 확인된 구매자 단말기 사이에 쌍방향 통신 경로를 형성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원격 인터넷 쇼핑 상담 서비스 장치는 다수의 상담자 단말기가 인터넷을 통해 접속하는 상담 관리 서버 및 상담 관리 서버에 의해 관리되며 상담자 단말기의 정보가 기록되는 상담 관리 DB를 포함하되, 상담 관리 서버는 인터 넷 쇼핑몰 서버에 접속한 구매자 단말기의 요청에 의해 다수의 상담자 단말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상담자 단말기는 상담 관리 서버의 지시에 의해 구매자 단말기와의 사이에 쌍방향 통신 경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원격 인터넷 쇼핑 상담 서비스 장치는 다수의 상담자 단말기가 인터넷을 통해 접속하는 상담 관리 서버 및 상담 관리 서버에 의해 관리되며 상담자 단말기의 정보가 기록되는 상담 관리 DB를 포함하되, 상담 관리 서버는 인터넷 쇼핑몰 서버에 접속한 구매자 단말기를 확인하고, 다수의 상담자 단말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며, 선택된 상담자 단말기는 상담 관리 서버의 지시에 의해 구매자 단말기와의 사이에 쌍방향 통신 경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원격 인터넷 쇼핑 상담 서비스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다.
구매자 단말기(100)는 인터넷(300)을 통해 쇼핑몰 서버(400)에 접속하여 인터넷 쇼핑을 수행한다. 쇼핑몰 서버(400)는 회원 정보, 상품 정보, 구매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쇼핑몰 DB(700)에 저장한다.
상담자 단말기(200)는 인터넷(300)을 통해 상담 관리 서버(500)에 접속된다. 상담 관리 DB(600)는 상담자 단말기(200)를 이용하는 상담자별로 다양한 정보를 기록한다.
도3은 상담 관리 DB에 저장되는 데이터 구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다. 각각의 상담자에 대해서는 자동차, 디지털 카메라, 오디오, 휴대폰 등과 같이 상담을 담당 할 상품의 종류를 나타내는 상담 분야 필드, 상담 결과 구매가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구매 유도 여부 필드, 구매자가 상담자를 평가한 평가 데이터를 나타내는 평가 필드, 상담자가 상담 관리 서버에 온라인 상태인지를 나타내는 온라인 필드 등을 포함한다.
도1에서 인터넷(300)은 통신망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실시예에 따라서 상담자 단말기(200)는 인트라넷(Intranet), 사설망(Private Network) 등을 통해 상담 관리 서버(500)에 연결될 수도 있다.
도1에 나타낸 실시예는 쇼핑몰 서버(400)와 쇼핑몰 DB(700)을 구비한 쇼핑몰과 상담 관리 서버(500)와 상담 관리 DB(600)를 구비한 쇼핑 상담 회사가 별도로 존재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원격 인터넷 쇼핑 상담 서비스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로서 쇼핑몰 내부에 쇼핑몰 서버(400) 및 쇼핑몰 DB(700)는 물론 상담 관리 서버(500) 및 상담 관리 DB(600)를 모두 포함하는 실시예로서 쇼핑몰에서 쇼핑과 함께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는 점에 차이가 있을 뿐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는 동일하다.
도4는 구매자 단말기(100)에서 쇼핑몰 홈페이지(110)에 접속하여 상담 요청 버튼(111)을 클릭함으로써 상담 서비스를 개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담 요청 버튼(111)은 쇼핑몰 홈페이지(110)에 접속하면 구매자 단말기(100) 화면에 표시되어 구매자가 원하면 언제든지 상담이 클릭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도5와 도6은 상담이 개시되어 구매자 단말기(100)와 상담자 단말기(200)가 인터넷을 통한 원격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담이 개시된 경우 구매자 단말기(100)와 상담자 단말기(200) 사이에는 쌍방향 통신 채널이 형성된다. 이 경우 쌍방향 통신 채널의 대표적인 예로서 P2P방식의 채널이 있으나 통신채널의 종류가 이것으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5는 상담자 단말기(200)에 표시되는 쇼핑몰 홈페이지(210)와 구매자 단말기(100)에 표시되는 쇼핑몰 홈페이지(110)는 구매자와 상담자 사이에 공유되어 상담자 단말기(200)에서의 쇼핑몰 홈페이지(210) 조작이 구매자 단말기(100)에서의 쇼핑몰 홈페이지(110)에 동일하게 반영된다. 예를 들어, 상담자 단말기(200)에서 상품A를 클릭하면 구매자 단말기(100)에서도 상품A가 클릭되도록 한다.
도6은 상담자 단말기(200)와 구매자 단말기(100)가 서로 채팅창(220, 120)을 통해 상품에 대한 상담을 진행하는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채팅창은 통상 텍스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담을 위한 데이터로서 텍스트 외에 음성이나 동영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음성을 이용한 경우 구매자 단말기(100)와 상담자 단말기(200)에 연결되는 스피커, 마이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쌍방향 통신 채널에서 텍스트, 음성, 동영상 등의 데이터 교환은 이미 공지의 기술을 통해 구현할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 상세하게 기술하지는 않는다.
이하, 실제로 원격 쇼핑 상담이 진행되는 과정에 대해서 살펴본다.
도7은 구매자 단말기의 요청에 의해 상담자 단말기와의 상담 서비스가 진행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쇼핑몰을 이용하고자 하는 구매자는 구매자 단말기(100)를 이용해 쇼핑몰 서 버(400)에 접속한다(S1).
구매자가 도4와 같이 쇼핑몰 홈페이지(110) 상의 상담 요청 버튼(111)을 누르면 해당 명령이 쇼핑몰 서버(400)로 전달되고 쇼핑몰 서버(400)에서는 구매자 단말기(100)의 정보를 상담 관리 서버(500)로 전송한다(S2). 이때 구매자 단말기(100)의 정보에는 구매자 단말기(100)의 IP 주소, 구매자의 관심 상품 등이 해당된다. 이때 구매자의 관심 상품에 대한 정보로는 쇼핑몰 홈페이지(110)에서 선택된 상품을 선택하거나 상담 요청 버튼(111)을 클릭했을 때 구매자 단말기(100)에 원하는 상품을 선택하도록 하여 얻는 등 다양한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상담 관리 서버(500)는 상담 관리 DB(600)를 통해 현재 온라인 상태의 상담자 단말기(200)의 목록을 확인한다(S3)
확인 후 상담 관리 서버(500)는 온라인 상태의 상담자 단말기(200)에 상담에 참가할지를 묻는 상담 참가 질의 신호를 전송한다(S4).
온라인 상태의 상담자 단말기(200) 중에 상담에 참가하고자 하는 단말기에서는 상담 참가 허락 신호를 상담 관리 서버(500)로 전송한다(S5).
상담 관리 서버(500)는 상담에 참가할 상담자 단말기(200)를 선택하여 선택된 상담자 단말기(200)에 상담 지시 신호를 전송한다(S6). 복수개의 상담자 단말기(200)가 참가 허락 신호를 전송한 경우에 상담 관리 서버(500)는 하나의 상담자 단말기(200)를 선택한다. 선택 기준으로서는 상담자의 상담 분야가 구매자의 관심 상품과 같은 분야인지를 먼저 고려한다. 예를 들어 구매자가 오디오에 대해서 상담을 요청한 경우에 상담 관리 서버는 상담 관리 DB(600)를 참조하여 상담 분야 필드를 참조하여 상담 분야가 오디오인 상담자 단말기(200)를 선택한다. 기타 상담자에 대한 평가, 상담자가 참가를 허락한 시간 등을 고려하여 우선 순위를 정한다. 우선 순위를 정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한 것이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담자 단말기(200)를 하나만 선택할 필요는 없으면 복수개의 상담자 단말기(200)를 선택하여 상담 지시를 하더라도 무방하다. 그러나 추후 상담자 단말기(200)와 구매자 단말기(100)가 접속되어 상담을 진행하는 경우 상담 서비스 효율 차원에서 하나의 상담자 단말기(100)에 상담 지시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담 지시 신호에는 상담 요청을 한 구매자 단말기(100)의 IP 주소, 관심 상품 정보 등이 포함된다.
상담 지시를 받으면 상담자 단말기(200)는 구매자 단말기(100)와의 사이에 쌍방향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상담을 진행한다(S7). 쌍방향 통신 채널은 종래의 P2P 기술 등 다양한 1:1 통신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상담을 위하여 상담자 단말기(200)는 구매자 단말기(100)를 원격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담자 단말기(200)에 표시되는 쇼핑몰 홈페이지와 구매자 단말기(100)에 표시되는 쇼핑몰 홈페이지를 동기시며 상담자 단말기(200)에서 홈페이지를 조작하는 것이 구매자 단말기(100)에도 그대로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상품에 대한 안내를 보다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상담자 단말기(200)와 구매자 단말기(100) 사이에는 채팅창을 이용하여 텍스트를 이용한 상담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으며, 기타 음성, 동영상 정보를 교환하여 상담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매자는 상담자의 상담 내용을 평가하여 그 정보를 상담 관리 서버(500)로 전송하고(S8), 상담 관리 서버(500)는 전송된 정보를 상담 관리 DB(600)에 저장한다(S9). 상담자에 의해서 구매자가 상품을 구매하게 되는 경우 이러한 정보 역시 상담 관리 서버(500)로 평가 정보와 함께 전송되어 상담 관리 DB(600)에 저장된다.
예를 들어 쇼핑몰 서버(400)를 운영하는 주체와 상담 관리 서버(500)를 운영하는 주체가 상이한 경우 쇼핑몰 서버(400)를 운영하는 주체는 상담에 대한 비용을 상담 관리 서버(500)를 운영하는 주체 측에 비용을 정산하는 과정을 구비한 비즈니스 모델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담자의 상담으로 구매자가 해당 인터넷 쇼핑몰에서 구매를 하게 구매 유도한 회수 등의 자료는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비용 정산시 가중치를 크게 하는 실시예가 가능하다.
도7은 구매자가 상담 요청을 하여 특정 상담자와 상담을 거치는 과정을 거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지만, 구매자가 상담 과정에서 상담자의 변경을 요청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구매자가 현재 상담자의 전문분야가 아닌 전혀 다른 분야의 상품에 대해서 상담을 요청하는 경우 해당 분야의 전문가와 상담을 받을 수 있도록 요청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구매자에 의해 상담자의 변경 요청이 발생하면 기존 상담자 단말기(200)와 구매자 단말기(100)와의 사이에 형성되었던 통신 채널을 폐쇄하고 S3 이후의 절차를 다시 수행함으로써 상담자 변경 작업이 수행되고 새로운 상담자 단말기(200)를 통한 상담 절차가 진행된다.
도8은 상담 관리 서버에 의해 상담자 단말기와 구매자 단말기 사이에 상담 서비스가 진행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8에 개시된 실시예는 상담 관리 서버(500)에서 쇼핑몰 서버(400)에 현재 온라인 상태의 구매자 단말기의 정보를 요청하고(S10), 쇼핑몰 서버(400)에서 온라인 상태의 구매자 단말기를 확인하여(S20) 이를 상담 관리 서버에 전송하면(S30), 상담 관리 서버(500)에서 상담을 원하는 온라인 상태의 구매자 단말기(100)를 선택하여(S40, S50) 상담을 진행하는 방식의 실시예이다.
이후의 절차 S60 ~ S120은 도7의 절차 S3 ~ S9와 일치하므로 이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인터넷 쇼핑몰에서 구매자에게 1:1의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통하여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구매율을 향상시킴은 물론, 1:1 상담을 제공하으로써 구매자가 원하는 상품을 정확히 선택하도록 하고 그 결과 구매한 상품의 반품율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서, 당업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기술적 사상을 통해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수정, 변경, 대체 및 부가가 가능하며 이러한 수정 변경은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Claims (20)

  1. 상담 관리 서버에서 쇼핑몰 서버에 접속한 고객 단말기의 상담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제1 단계;
    상기 상담 관리 서버에서 온라인 상태의 상담자 단말기를 선택하여 상담 지시 신호를 전송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상담자 단말기와 상기 고객 단말기와의 사이에 쌍방향 통신 경로를 형성하는 제3 단계
    를 포함하는 원격 인터넷 쇼핑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담 요청 신호는 상기 고객 단말기의 IP 주소, 관심 상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인터넷 쇼핑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상담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상담 관리 서버와 온라인 상태에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담자 단말기에 상담 참가 질의 신호를 전송하는 과정;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담자 단말기로부터 상담 참가 허부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
    상담 참가를 허락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담자 단말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과정; 및
    상기 선택된 상담자 단말기에 상기 상담 지시 신호를 전송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인터넷 쇼핑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담 지시 신호는 상기 구매자 단말기의 IP 주소 및 상품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인터넷 쇼핑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 이후에
    상기 상담자 단말기에서 상기 구매자 단말기를 원격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인터넷 쇼핑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상담자 단말기의 인터넷 브라우저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구매자 단말기의 인터넷 브라우저를 동일하게 제어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인터넷 쇼핑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 이후에
    상기 상담자 단말기에 문자, 음성, 동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한 종류 이상의 상담 데이터를 입출력하기 위한 윈도우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원격 인터넷 쇼핑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 이후에
    상기 상담 관리 서버가 상기 구매자 단말기로부터 상담 정보에 대한 평가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인터넷 쇼핑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 이후에
    상기 상담 관리 서버가 상기 구매자 단말기로부터 상담자 단말기 변경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상담자 단말기 변경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상담 관리 서버에서 다른 상담자 단말기를 선택하여 상기 다른 상담자 단말기로 상담 지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다른 상담자 단말기와 상기 고객 단말기와의 사이에 쌍방향 통신 경로를 형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인터넷 쇼핑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10. 상담 관리 서버에서 쇼핑몰 서버에 접속한 구매자 단말기를 확인하는 제1 단계
    상기 상담 관리 서버에서 온라인 상태의 상담자 단말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구매자 단말기에 상담 서비스 제공을 지시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상담자 단말기와 상기 확인된 구매자 단말기 사이에 쌍방향 통신 경로를 형성하는 제3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인터넷 쇼핑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상담 관리 서버와 온라인 상태에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담자 단말기에 상담 참가 질의 신호를 전송하는 과정;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담자 단말기로부터 상담 참가 허부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참가를 허락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담자 단말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과정; 및
    상기 선택된 상담자 단말기에 상담 지시 신호를 전송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인터넷 쇼핑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 이후에
    상기 상담자 단말기에서 상기 구매자 단말기를 원격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인터넷 쇼핑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상담자 단말기의 인터넷 브라우저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구매자 단말기의 인터넷 브라우저를 동일하게 제어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인터넷 쇼핑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 이후에
    상기 상담자 단말기에 문자, 음성, 동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한 종류 이상의 상담 데이터를 입출력하기 위한 윈도우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인터넷 쇼핑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15. 다수의 상담자 단말기가 인터넷을 통해 접속하는 상담 관리 서버; 및
    상기 상담 관리 서버에 의해 관리되며 상기 상담자 단말기의 정보가 기록되는 상담 관리 DB를 포함하되,
    상기 상담 관리 서버는 인터넷 쇼핑몰 서버에 접속한 구매자 단말기의 요청에 의해 상기 다수의 상담자 단말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상담자 단말기는 상기 상담 관리 서버의 지시에 의해 상기 구매자 단말기와의 사이에 쌍방향 통신 경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인터넷 쇼핑 상담 서비스 장치.
  16. 다수의 상담자 단말기가 인터넷을 통해 접속하는 상담 관리 서버; 및
    상기 상담 관리 서버에 의해 관리되며 상기 상담자 단말기의 정보가 기록되 는 상담 관리 DB를 포함하되,
    상기 상담 관리 서버는 인터넷 쇼핑몰 서버에 접속한 구매자 단말기를 확인하고, 상기 다수의 상담자 단말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며, 상기 선택된 상담자 단말기는 상기 상담 관리 서버의 지시에 의해 상기 구매자 단말기와의 사이에 쌍방향 통신 경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인터넷 쇼핑 상담 서비스 장치.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상담자 단말기는 상기 구매자 단말기를 원격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인터넷 쇼핑 상담 서비스 장치.
  18.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상담자 단말기는 상기 구매자 단말기에 문자, 음성, 동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한 종류 이상의 상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인터넷 쇼핑 상담 서비스 장치.
  19.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상담 관리 서버는 상기 구매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평가 정보를 상기 상담 관리 DB의 상기 상담자 단말기에 대응하는 필드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인터넷 쇼핑 상담 서비스 장치.
  20.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상담 관리 서버는 상기 구매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담자 변경 요청에 의해 상기 상담 관리 서버에 접속된 다수의 상담자 단말기 중 어느 하나를 새로 선택하여 상기 새로 선택된 상담자 단말기와 상기 구매자 단말기 사이에 쌍방향 통신 채널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인터넷 쇼핑 상담 서비스 장치.
KR1020060020906A 2006-03-06 2006-03-06 원격 인터넷 쇼핑 상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700914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0906A KR20070091433A (ko) 2006-03-06 2006-03-06 원격 인터넷 쇼핑 상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0906A KR20070091433A (ko) 2006-03-06 2006-03-06 원격 인터넷 쇼핑 상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1433A true KR20070091433A (ko) 2007-09-11

Family

ID=38689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0906A KR20070091433A (ko) 2006-03-06 2006-03-06 원격 인터넷 쇼핑 상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91433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5163A (ko) * 2013-07-31 2015-02-10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 자동화 기기를 이용하여 상담 도중에 다른 상담원에게 추가 상담을 이관시키는 서버 및 그 서버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50145953A (ko) * 2014-06-20 2015-12-31 네이버 주식회사 온라인 대화를 이용한 거래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48529A (ko) 2018-09-10 2021-05-03 카와사키 주코교 카부시키 카이샤 로봇
KR102261343B1 (ko) * 2020-11-11 2021-06-04 이성구 통합 서비스 플랫폼을 이용한 광고인쇄물 쇼핑방법
US11394671B2 (en) 2016-10-07 2022-07-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oviding transaction history-based ser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5163A (ko) * 2013-07-31 2015-02-10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 자동화 기기를 이용하여 상담 도중에 다른 상담원에게 추가 상담을 이관시키는 서버 및 그 서버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50145953A (ko) * 2014-06-20 2015-12-31 네이버 주식회사 온라인 대화를 이용한 거래 방법 및 시스템
US11394671B2 (en) 2016-10-07 2022-07-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oviding transaction history-based ser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KR20210048529A (ko) 2018-09-10 2021-05-03 카와사키 주코교 카부시키 카이샤 로봇
KR102261343B1 (ko) * 2020-11-11 2021-06-04 이성구 통합 서비스 플랫폼을 이용한 광고인쇄물 쇼핑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34119B (zh) 跟随订户的媒体内容的许可权利
US20090222318A1 (en) Method, system and kiosk for connecting a customer to an expert at a remote location
KR20050109919A (ko) 컨텐츠 제작, 배급, 상호작용, 및 모니터링 시스템
US2013033916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Transactions Between a Seeker and a Proffered Provider of an Urgent Goods or Service
CN103559618A (zh) 企业商品网络直播展示互动交易平台及其互动交易方法
JP2002352138A (ja) サーバ、検索システム、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端末、情報検索方法、情報提供方法、情報表示方法
JP2011229173A (ja) 音声リンク開始方法及び音声リンク開始装置
AU201020140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Goods
KR20070091433A (ko) 원격 인터넷 쇼핑 상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JPH08242283A (ja) ブロードバンドネットワーク顧客に補助を提供する方法
US11315158B1 (en) Online sales assistance systems and related methods
US20050222920A1 (en) Virtual shop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298101B1 (ko) 성인용품 판매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구동방법
KR20140124056A (ko) 녹음된 음성정보를 이용한 화물오더 접수시스템
KR101552186B1 (ko) 쇼핑 시스템 및 방법
KR101809082B1 (ko) 폐쇄형 사용자그룹용 오투오(o2o)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폐쇄형 사용자그룹용 오투오(o2o) 서비스 제공방법
KR20150019496A (ko) 상품 결제를 위한 서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70885A (ko) 이동통신 단말기, 이를 이용한 알림 방법 및 장치, 알림 시스템
KR102009639B1 (ko) 공유 음식점 o2o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
JP2015049798A (ja) 情報処理装置
WO201318510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tching and facilitating transactions between a seeker with a proffered provider of an urgent goods or service
KR101885881B1 (ko) 계약 중개 방법
KR101698056B1 (ko) 데이터 통신을 이용한 생산업자/서비스업자 등록 방식의 콜센터 시스템 및 그 이용 방법
JP3143026U (ja) 代行支援システム
US20220172267A1 (en) Online customer serving system and termina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