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0788A - 액체 공주입 장치 - Google Patents

액체 공주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0788A
KR20070090788A KR1020070020685A KR20070020685A KR20070090788A KR 20070090788 A KR20070090788 A KR 20070090788A KR 1020070020685 A KR1020070020685 A KR 1020070020685A KR 20070020685 A KR20070020685 A KR 20070020685A KR 20070090788 A KR20070090788 A KR 200700907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guide
liquid
operation portion
branch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0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0788B1 (ko
Inventor
이찌로 기따니
시게아끼 후나무라
Original Assignee
코비디엔 아게
니뽄 셔우드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비디엔 아게, 니뽄 셔우드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코비디엔 아게
Publication of KR20070090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07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0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07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61M39/223Multiway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8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 A61M2205/583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by visual 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61M39/04Access sites having pierceable self-sealing members
    • A61M39/045Access sites having pierceable self-sealing members pre-slit to be pierced by blunt instru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07Infusion of two or more substances
    • A61M5/1408Infusion of two or more substances in parallel, e.g. manifolds, sequencing val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연결 포트(12, 13, 14)를 갖는 액체 공주입 장치(A)를 제공하며, 상기 액체 공주입 장치는 그 챔버로부터 상기 연결 포트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격리시키기 위해 장치의 챔버(11) 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조작부(20)를 구비한다. 조작부의 일 단부는 이러한 격리를 초래하기 위해 이동가능한 홈(21a) 또는 관통 채널을 구비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조작부의 축방향 이동은 축방향 이동 스토퍼를 구비하도록 안내된다.
연결 포트, 챔버, 조작부, 측벽, 안내 슬롯, 돌출부, 창, 표식, 관통 채널, 탄성 밀봉 요소

Description

액체 공주입 장치{LIQUID CO-INFUSION DEVICE}
도1의 (a), (b) 및 (c)는 상승 위치에 있을 때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체 공주입 장치의 조작부의 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
도2의 (a), (b) 및 (c)는 하강 위치에 있을 때의 액체 공주입 장치의 조작부의 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
도3은 도1의 (a)의 3-3선상에서 취한 단면도.
도4는 도1의 (a)의 4-4선상에서 취한 단면도.
도5는 도2의 (a)의 5-5선상에서 취한 단면도.
도6은 도2의 (a)의 6-6선상에서 취한 단면도.
도7은 도2의 (b)의 7-7선상에서 취한 단면도.
도8은 어댑터가 부착되는 액체 공주입 장치의 단면도로서, 정면에서 볼 때 조작부가 상승 위치에 있는 상태의 도시도.
도9는 어댑터가 부착되는 액체 공주입 장치의 단면도로서, 측면에서 볼 때 조작부가 상승 위치에 있는 상태의 도시도.
도10은 어댑터가 부착되는 액체 공주입 장치의 단면도로서, 정면에서 볼 때 조작부가 하강 위치에 있는 상태의 도시도.
도11은 어댑터가 부착되는 액체 공주입 장치의 단면도로서, 측면에서 볼 때 조작부가 하강 위치에 있는 상태의 도시도.
도12의 (a), (b) 및 (c)는 상승 위치에 있을 때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액체 공주입 장치의 조작부의 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
도13은 하강 위치에 있는, 도12에 도시된 액체 공주입 장치의 조작부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14는 도12의 (b)의 14-14선상에서 취한 단면도.
도15는 도12의 (a)의 15-15선상에서 취한 단면도.
도16은 도12의 (b)의 16-16선상에서 취한 단면도.
도17은 도13의 17-17선상에서 취한 단면도.
도18은 정면에서 바라본 도13의 액체 공주입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챔버부 12: 유동 병합 분기관
12a: 슬릿 12b: 돌출부
13: 하류 분기관 13a, 14a: 채널
14: 상류 분기관 15a, 15b: 관통 구멍
16: 수직 벽 17: 고무 스토퍼
17a: 커버 17b: 로킹 리세스
18: 창 19: 안내 돌출부
20: 조작부 21: 밸브체
22: 파지부 23: 밀봉 부재
24a, 24b: 표식 25: 안내 슬롯
25a: 수직 가이드 25b, 25c: 수평 가이드
27: 어댑터
본 발명은 다중 수혈 튜브 등에 연결될 수 있는 다중 분기관을 갖고 이들 분기관을 연결과 단절(disconnect) 사이에서 절환(switch)시키는 의료용 액체 공주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과거, 특정 생리 식염수, 물약(liquid medicine) 등은 다중 수혈 튜브를 사용하여 환자에게 투여되었다. 이러한 경우에, 액체 공주입 장치가 사용되며 작업은 각종 수혈 튜브를 연결 또는 단절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러한 액체 공주입 장치 중에는 세 개의 분기관을 갖는 것이 있다. 이 액체 공주입 장치는 세 개의 분기관을 연결하는 챔버부, 및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챔버부 내부에서 회전되는 밸브체로 구성된다. 밸브체를 회전시키도록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분기관 중 임의의 분기관이 연결 또는 단절된다.
그러나, 전술한 액체 공주입 장치에서는, 제공되는 조작부가 챔버부의 원주면으로부터 돌출하고, 때로는 분기관에 연결되는 튜브 부재가 조작부에서 엉키거나, 때로는 환자가 조작부를 건드려 돌아가게 만들기도 한다. 이러한 이유로, 다중 분기관 채널 사이에서 절환가능한 액체 공주입 장치는, 조작부가 챔버부의 원주 면으로부터 돌출하지 않고 특정 분기관을 챔버부에 대해 연결 또는 단절하도록 챔버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상태에서 챔버부가 원통형이도록 개발되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공보 Sho62[1987]-172962호 참조). 이 액체 공주입 장치는 원통형 챔버부의 원주면의 각 측부에 하나씩 두 개의 분기관이 구비되도록 구성되며, 따라서 두 개의 분기관은 밸브체를 챔버부 내부에서 그 축 주위로 회전시킴으로써 개폐될 수 있다.
그러나, 이 액체 공주입 장치는 단지 두 개의 분기관을 구비하며, 두 개의 분기관을 연결 또는 단절할 수 있을 뿐이다. 다라서, 이 액체 공주입 장치에 의하면, 의료용으로 사용되는 다중 수혈 튜브 등을 연결할 수 없으며, 각종 수혈 튜브의 연결 또는 단절로부터의 절환이 불가능하다. 두 개의 분기관을 연결 또는 단절하기 위해서는 밸브체가 회전해야 하고 따라서 조작이 어렵다는 문제도 존재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이다. 그 목적은 임의의 다중 분기관을 조작부의 돌출 및 방해 없이 연결 또는 단절할 수 있는 액체 공주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액체 공주입 장치의 구성에서의 특징은, 튜브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축방향 일단부에는 분기관이 형성되는 챔버부, 및 상기 챔버부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챔버부의 축방향 타단부에 배치되는 조작부로 구성되는 액체 공주입 장치 본체를 가지며, 상기 챔버부는 그 내부 에 연결 또는 단절될 수 있는 챔버, 및 챔버부의 외주면의 두 측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고 그 각각이 챔버부의 내부에 연결 또는 단절되는 채널을 갖는 한 쌍의 분기관을 구비하고, 상기 조작부는 챔버부의 내부를 향해서 또는 챔버부의 외부를 향해서 배치됨으로써 상기 한 쌍의 분기관 중 하나와 챔버부의 내부를 연결 또는 단절 사이에서 절환시키는 밸브체를 갖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액체 공주입 장치는 챔버부의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밸브체를 갖는 조작부를 갖는다.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한 쌍의 분기관 중 하나와 챔버의 내부는 연결 또는 단절될 수 있다. 챔버부의 축방향 일 단부에 형성되는 분기관은 챔버부의 내부에 연결 또는 단절될 수 있는 채널을 갖는다. 따라서,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한 쌍의 분기관은 챔버부를 통해서 또한 챔버부의 일 단부에서의 분기관의 채널을 챔버부에 연결함으로써 연결될 수 있으며, 세 개의 분기관은 모두 챔버부를 통해서 연결될 수 있다.
이 때문에, 두 가지 형태의 약물 등이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다. 또한, 이 상태에서 챔버의 일 단부에서의 분기관의 채널을 챔버로부터 단절시킴으로써, 단 한 쌍의 분기관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챔버부의 단부에서의 분기관 내의 채널이 챔버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한 쌍의 분기관 중 하나와 챔버의 내부를 연결함으로써, 챔버부의 단부에서의 분기관과 한 쌍의 분기관중 다른 하나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한 쌍의 분기관은 또한 밸브체가 챔버부의 축방향 내측을 향해서 배치될 때 상호 연결될 수 있으며, 한 쌍의 분기관은 또한 밸브체가 챔버부의 축방향 외측을 향해서 배치될 때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액체 공주입 장치를 사용하면, 한 쌍의 분기관의 연결과 단절 사이의 절환은 단지 조작부를 챔버부의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이는 간단하며, 조작부의 위치 역시 시각적으로 결정하기 용이하고, 따라서 취급 미스가 쉽게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조작부는 챔버부에 대해 축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퇴할 뿐이며, 따라서 챔버부의 원주면으로부터 돌출하여 방해하지 않는다. 또한, 이러한 형태의 액체 공주입 장치가 베드 등에 배치되면, 챔버부의 축방향이 수평으로 배치되고, 따라서 조작부가 환자와 부딪혀서 조작부의 위치가 절환될 수 있는 일이 발생하지 않는다.
여기에서, 이 경우의 챔버부의 형상은 라운드형 튜브, 사각형 튜브, 삼각형 튜브, 타원형 튜브, 반원형 튜브, 또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임의의 다른 튜브 형상의 것일 수 있다. 사용되는 밸브체는 라운드형 칼럼 보디의 일 측부를 그것이 한 쌍의 분기관중 하나만을 폐쇄할 수 있도록 절취함으로써 또는 라운드형 칼럼 보디의 내부에 구멍으로 구성된 채널을 형성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 공주입 장치의 구성에서의 다른 특징은, 챔버부에서 조작부가 배치되는 섹션에 안내부가 제공되며, 상기 안내부에 로크될 때 안내부에 대해 이동할 수 있는 상기 조작부에 대한 피안내부가 제공되고, 상기 조작부는 피안내부를 안내부에 대해 이동시킴으로써 챔버부에 대해 이동하는 점이다.
이 때문에, 조작부는 로크되는 안내부 및 피안내부와의 상대 운동에 의해 형성되는 정확한 경로에서 이동하며, 따라서 채널 절환이 신뢰성을 갖는다. 이 경우에, 안내부와 피안내부는 예를 들어, 슬롯과, 상기 슬롯 내에 슬라이딩 로크된 상 태에서 이동할 수 있는 로킹 돌출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안내부와 피안내부는 챔버부 또는 조작부에 제공될 수 있다. 추가로, 안내부와 피안내부는 조작부의 챔버부의 임의의 섹션에 제공될 수도 있다. 간단히 말해서, 챔버부와 조작부는 안내부와 피안내부를 통해서 상대 이동할 수 있을 필요가 있을 뿐이다.
본 발명의 액체 공주입 장치의 구성에서의 또 다른 특징은, 조작부가 챔버부의 축방향 타단부 섹션의 외주면을 따라서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파지부를 갖는다는 점이다. 이 때문에, 액체 공주입 장치를 조작하는 조작자는, 밸브체를 사용하여 절환이 이루어지도록 조작부를 챔버부의 축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파지부를 쥔다. 또한, 이 경우에, 파지부가 챔버부의 외주면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이 용이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 공주입 장치의 구성에서의 또 다른 특징은, 챔버부의 축방향 타단부에 있는 섹션에서 외주면에 안내부가 제공되고, 상기 안내부에 대응하는 파지부의 섹션에는 피안내부가 제공된다는 점이다. 이 때문에, 안내부와 피안내부의 형성이 용이하다. 피안내부가 안내부를 따라서 이동함으로써 조작부는 정확한 경로를 따라서 이동하며, 채널 절환이 신뢰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 공주입 장치의 구성에서의 또 다른 특징은, 피안내부가 챔버부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섹션을 갖는 슬롯 또는 관통 구멍으로 구성되고, 안내부가 상기 슬롯이나 관통 구멍에 그 내부에서 이동가능하게 로크되는 돌출부로 구성된다는 점이다. 또한, 이 경우에, 안내부를 구성하는 슬롯이나 관통 구멍의 두 단부 근처에는 슬롯이나 관통 구멍의 두 단부에 돌출부를 배치하기 위한 협폭부 가 제공된다. 이 때문에, 돌출부는 협폭부에 로크되어 구속되며, 따라서 돌출부의 우발적인 움직임에 의해 채널이 변경되는 일이 방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 공주입 장치의 구성에서의 또 다른 특징은, 밸브체의 원주면을 노출시키기 위한 창이 챔버부의 특정 섹션에 형성되고, 밸브체가 챔버부의 축방향 내측을 향해서 배치될 때 창에 노출되는 섹션과 밸브체가 챔버부의 축방향 외측을 향해서 배치될 때 창에 노출되는 섹션에서 밸브체의 원주면에는 연결될 채널을 나타내는 표식이 제공된다는 점이다. 이 때문에, 채널이 창에 나타나고, 연결 또는 단절될 채널이 부정확하게 조작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 공주입 장치의 구성에서의 또 다른 특징은, 챔버부의 축방향 일단부에 형성된 분기관에 고무 스토퍼가 부착되고, 이 고무 스토퍼에 튜브형 삽입 부재를 통과시킴으로써, 튜브형 삽입 부재에 연결된 액체 용기와 챔버부의 내부가 챔버부의 축방향 일단부에 형성된 분기관을 통해서 연결된다는 점이다. 이 때문에, 챔버부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분기관 내의 채널은 간단한 방식으로 챔버부의 내부에 대해 연결 또는 단절될 수 있다. 이 경우의 튜브형 삽입 부재는 어댑터의 삽입되는 부분(뭉툭한 바늘), 루어 주사기의 수형 부분 등이다. 튜브형 삽입 부재의 선단이 날카롭지 않을 때, 고무 스토퍼에는 튜브형 삽입 부재가 통과하기 위한 슬릿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할 것이다.
[제1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액체 공주입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도1 및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체 공주입 장치(A)를 도시한다. 액체 공주입 장치(A)는 액체 공주입 장치 본체(10) 및 조작부(20)로 구성된다. 액체 공주입 장치 본체(10)는 축방향으로 짧은 원통형 챔버부(11), 챔버부(11)의 축방향으로 일 단부(도1 및 도2에서의 상부)에 형성되는 유동 합병 분기관(12), 상기 챔버부(11)의 외주면의 양쪽에 연결되고 180도 각도를 유지하도록 동일 축을 따라서 연장되는 하류 분기관(13) 및 상류 분기관(14)으로 구성된다.
챔버부(11)는 계단형 실린더로서 형성되며, 따라서 도3에 도시하듯이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에 있어서 하부 섹션이 상부 섹션보다 폭이 좁고, 두께는 도4에 도시하듯이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에 있어서 균일하다. 또한, 하부의 소직경부(11a)와 상부의 대직경부(11b) 사이의 경계면과 대면하는 섹션에는 두 개의 관통 구멍(15a, 15b)이 형성되는 바, 이는 챔버부(11)의 축방향 중심에 위치한다. 하류 분기관(13)은 관통 구멍(15a)에 대응하는 챔버부(11) 섹션에 제공되고, 하류 분기관(13) 내부에 형성되는 채널(13a)과 챔버부(11)의 내부는 관통 구멍(15a)을 통해서 연결된다.
상류 분기관(14)은 관통 구멍(15b)에 대응하는 챔버부(11) 섹션에 제공되고, 상류 분기관(13) 내부에 형성되는 채널(14a)과 챔버부(11)의 내부는 관통 구멍(15b)을 통해서 연결된다. 관통 구멍(15b)에 대응하는 챔버부(11)의 소직경부(11a)의 섹션에는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수직 벽(16) 또한 형성된다. 수직 벽(16)은 소직경부(11a)의 내주면의 상측 에지로부터 챔버부(11) 내부에서 상향 연 장되어 관통 구멍(15b)으로부터의 분리를 유지하며, 따라서 약물 등은 상류 분기관(14)으로부터 챔버부(11)의 내부를 향해 유동할 때 챔버부(11)의 상측 내부를 통해서 유동한다. 이 때문에, 챔버부(11)에 공기 등이 잔류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수직 벽(16)에 대해, 조작부(20)가 도5 및 도6에 도시하듯이 되어 있을 때(도5 및 도6은 후술하는 밸브체(21)가, 하강(down) 위치에 있는 조작부(20)에 의해 챔버부(11)를 상류 분기관(14)에 연결하는 것을 도시함), 약물 등이 상류 분기관(14)으로부터 챔버부(11)의 내부를 향해 보내질 때, 액체는 상류 분기관(14)의 내부와 관통 구멍(15b)을 통과한 후 수직 벽(16)을 따라서 상승하고 수직 벽(16)위로 넘쳐서 챔버부(11) 내로 유입된다. 또한, 액체는 관통 구멍(15a)을 통해서 하류 분기관(13)으로 유동한다.
챔버부(11)의 상부에 형성되는 유동 병합 분기관(12)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바, 하류 분기관(13) 또는 상류 분기관(14)에 비해서 그 축방향 길이는 더 짧고 그 직경은 더 크며, 상기 유동 병합 분기관은 챔버부(11)와 일체로 구성된다. 유동 병합 분기관(12)의 내주면에는 테이퍼가 제공되며, 따라서 상측 개구의 직경이 챔버부(11)를 향한 직경보다 크다. 유동 병합 분기관(12)의 내경은 챔버부(11)의 내경보다 크며, 챔버부(11)의 상단부와 유동 병합 분기관(12)의 하단부 사이의 경계면 내부에는 레벨 차이가 형성된다. 레벨 차이의 외주를 따라서 얕은 로킹 슬롯(11c)이 형성되고, 천연 고무 또는 합성 고무로 제작된 고무 스토퍼(17)가 유동 병합 분기관(12)의 내부에서 로킹 슬롯(11c)에 삽입됨으로써 유동 병합 분기관(12) 의 내부를 폐쇄한다.
유동 병합 분기관(12)에 채널을 형성하도록 챔버부(11)의 내부와 유동 병합 분기관(12)의 외부 사이를 통과하는 슬릿(12a)(도8 내지 도11에 도시)이 상기 고무 스토퍼(17)에 형성된다. 유동 병합 분기관(12)이 사용되지 않을 때 슬릿(12a)은 고무 스토퍼(17)의 탄성에 의해 폐쇄된다. 유동 병합 분기관(12)의 상단부에는 그 외주면이 불균일하게 형성되는 돌출부(12b)가 제공되며, 유동 병합 분기관(12)의 스프링 부분에는 고무 스토퍼(17)를 유동 병합 분기관(12) 내의 적소에 유지하는 커버(17a)가 상기 돌출부(12b)를 통해서 부착된다.
커버(17a)는 그 상면 중심이 개방되는 대략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측부의 내주면에는 돌출부(12b) 상으로 로크될 수 있는 로킹 리세스(17b)가 형성된다. 따라서, 커버(17a)는 고무 스토퍼(17)의 상면 부분을 외주 쪽으로 가압하며, 상기 돌출부(12b) 상에 로크되는 로킹 리세스(17b)에 의해 유동 병합 분기관(12)의 개구에 부착된다. 유동 병합 분기관(12)의 외주면의 좌우측에서 돌출부(12b)의 아래에는 한 쌍의 로킹 돌출부(12c, 12d)가 형성되며, 챔버부(11)의 원주면에서 상기 하류 분기관(13)에 약간 근접한 섹션에는 작은 사각형 창(18)이 형성된다. 또한, 챔버부(11)의 원주면의 하단부 근처의 창(18) 아래에는 본 발명의 안내부로서의 안내 돌출부(19)가 제공된다.
하류 분기관(13)은 챔버부(11)와 일체로 형성되며, 챔버부(11)를 향해서 배치되는 베이스 단부(13b) 및 선단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 단부(13b)보다 좁게 형성되는 수형 루어부(luer part)(13c)로 구성된다. 수형 루어부(13c)는 선단이 베 이스 단부(13b)보다 좁도록 뾰족하게 형성된다. 하류 분기관(13)의 외주면 둘레에서 베이스 단부(13b)와 수형 루어부(13c) 사이의 경계면에는 돌출부(13d)가 형성된다.
상류 분기관(14)은 챔버부(11)와 일체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테이퍼진 구멍으로 구성되는 채널(14a)이 형성된다. 채널(14a)은 관통 구멍(15b)에 연결되고, 관통 구멍(15b)을 향한 섹션은 관통 구멍(15b) 근처에서의 직경이 작고 관통 구멍(15b)에서 먼 부위의 직경이 크도록 테이퍼진다. 채널(14a)의 상류 섹션은 상류 분기관(14)의 개구에 근접할수록 직경이 점점 커지도록 테이퍼진다. 상류 분기관(14)의 개구의 외주에는 나사식 연결부(14b)가 형성된다.
조작부(20)는 대략 라운드형 칼럼인 밸브체(21), 및 상기 밸브체(21)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파지부(22)로 구성된다. 밸브체(21)는 챔버부(11) 내부에 배치되며, 조작부(22)의 조작에 의해 챔버부(11) 내부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밸브체(21)의 외주면 둘레에는 중심에서 약간 아래쪽의 섹션에 시일 부재(23)용 슬롯이 형성된다. 밸브체(21)가 챔버부(11) 내에서 이동할 때, 밸브체(21)는 소직경부(11a)의 내주면과 수직 벽(16)에 대해 슬라이딩하며, 하류 분기관(13)의 채널(13a)내 개구로부터 소정 거리를 유지한다. 이 경우, 밀봉 부재(23)는 밸브체(21)와 소직경부(11a)의 내주면 사이에서의 누설을 방지한다.
하류 분기관(13)과 대면하는 밸브체(21)의 상부 섹션에는 유동 병합 분기관(12)으로부터 아래쪽으로 하류 분기관(13)을 향해 곡선 연장되는 곡면(21a)이 형성된다. 상기 곡면(21a)은 도5 및 도7에 도시하듯이, 밸브체(21)가 하강 위치에 있을 때 표면 하단부가 하류 분기관(13) 내에서 채널(13a)의 하단부에 위치하고 상단부가 고무 스토퍼(17)로부터 분리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곡면(21a)은, 도3에 도시하듯이, 밸브체(21)가 상승(up) 위치에 있을 때 표면 하단부가 하류 분기관(13) 내에서 채널(13a)의 상단부의 약간 위에 위치하고 상단부가 고무 스토퍼(17)에 대해 가압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이유로, 도3에 도시하듯이, 밸브체(21)가 상승 위치에 있을 때, 유동 병합 분기관(12) 내의 슬릿(12a)과 상류 분기관(14) 내의 채널(14a)은 둘 다 챔버부(11)로부터 단절된다. 하류 분기관(13) 내의 채널(13a)이 챔버부(11)에 연결되지만, 이는 유동 병합 분기관(12) 내의 슬릿(12a) 및 상류 분기관(14) 내의 채널(14a)로부터 단절된다. 또한, 도5에 도시하듯이, 밸브체(21)가 하강 위치에 있을 때, 하류 분기관(13) 내의 채널(13a)과 상류 분기관(14) 내의 채널(14a)은 둘다 챔버부(11)에 연결되고 상호 연결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약물 등이 상류 분기관(14)으로부터 챔버부(11)를 통해서 하류 분기관(13)으로 유동될 수 있다. 밸브체(21)가 상승 위치에 있을 때 창(18)에 위치하는 밸브체(21)의 원주면 섹션에는, 챔버부(11) 내부의 채널이 유동 병합 분기관(12)으로부터 하류 분기관(13)으로 선회됨을 나타내는 표식(mark)(24a)이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표식(24a)은 상류 분기관(14)이 챔버부(11)로부터 단절되고 유동 병합 분기관(12)이 챔버부(11)에 연결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밸브체(21)가 하강 위치에 있을 때 창(18)에 위치하는 밸브체(21)의 원주면 섹션에는, 챔버부(11) 내부의 채널이 상류 분기관(14)으로부터 하류 분기관(13)을 향해 선회됨을 나타내는 표식(24b)이 제공된다.
파지부(22)는 밸브체(21)의 하단부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디스크형 바닥부(22a), 및 상기 바닥부(22a)의 외주 에지로부터 챔버부(11)의 소직경부(11a)의 외주면을 따라서 상향 연장되는 원통형 파지부 본체(22b)로 구성된다. 안내 돌출부(19)에 대응하는 파지부 본체(22b)의 섹션에는 본 발명의 안내부로서의 안내 슬롯(25)이 형성된다. 안내 슬롯(25)은 그 내부에서 안내 돌출부(19)가 그 길이를 따라서 이동가능하도록 폭을 갖고 형성되며, 수직 연장되는 수직 가이드(25a), 및 상기 수직 가이드(25a)의 상단부와 하단부로부터 각각 평행하게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 가이드(25b, 25c)로 구성된다.
수평 가이드(25b, 25c)의 각 단부에는 협폭부(26a, 26b)가 형성된다. 이들 협폭부(26a, 26b)는 최협폭부의 폭이 안내 돌출부(19)의 직경보다 약간 작도록 탄성 부분으로 구성된다. 특정 압력에서, 안내 돌출부(19)는, 안내 돌출부(19)가 중심부로부터 수평 가이드(25b, 25c)의 단부로 이동하도록 조작부(20)를 회전시킴으로써 이 부분을 통과할 수 있다. 그러나 안내 돌출부(19)가 수평 가이드(25b, 25c)의 단부에 위치할 때, 안내 돌출부(19)는 협폭부(26a, 26b)에 의해 그 위치에 확실하게 유지된다.
또한, 도8 내지 도11에 도시하듯이, 유동 병합 분기관(12)에는 어댑터(27)가 착탈가능하게 부착된다. 어댑터(27)는 내부에 채널이 형성되는 원통형 암형 루어부(female luer part)(27a), 상기 암형 루어부(27a) 내의 채널과 연결되는 채널을 갖는 본 발명의 루어 부재로서의 소직경 원통형 삽입부(27b), 및 상기 삽입부(27b) 의 둘레를 커버하는 커버부(27c)로 구성된다. 수혈 튜브(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된 수형 루어부가 암형 루어부(27a)에 삽입되고, 약물 등이 수혈 튜브를 통해서 보내진다. 암형 루어부(27a)와 챔버부(11)의 내부는 고무 스토퍼(17)의 슬릿(12a)에 삽입부(27b)를 삽입함으로써 연결된다.
커버부(27c)는 삽입부(27b)의 원주면을 커버하도록 하향 연장되는 원통형 보디로 구성되며, 암형 루어부(27a)의 하단부로부터 수평으로 넓어진 후 일정 간격을 유지한다. 커버부(27c)의 원주면의 바닥 근처의 대면하는 섹션에는 유동 병합 분기관(12)의 돌출부(12c, 12d)에 로크될 수 있는 한 쌍의 로킹 구멍(28a, 28b)이 형성된다. 삽입부(27b)가 슬릿(12a)에 삽입된 상태에서 로킹 구멍(28a, 28b)을 돌출부(12c, 12d)에 로크시킴으로써, 삽입부(27b)는 슬릿(12a)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삽입부(27b)와 슬릿(12a)의 원주면은 고무 스토퍼(17)의 탄성으로 인해 함께 타이트하게 가압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환자(도시되지 않음)에게 특정 약물을 공급하려면, 환자에게 천자되어 유지되는 유치(留置:indwelling) 바늘에 연결되는 수혈 튜브(도시되지 않음)의 후단이 하류 분기관(13)에 연결된다. 환자에게 공급될 약물을 저장하는 용기 등으로부터 연장되는 수혈 튜브의 선단에 제공되는 수형 루어부가 상류 분기관(14)에 연결된다. 이후, 유치 바늘이 환자에게 삽입되어 유지되는 상태에서, 약물이 용기 등으로부터 환자에게 송출되도록 조작부(20)를 조작함으로써 환자에게 약물이 투여된다. 용기 등으로부터 공급되는 약물에 추가적으로 다른 약물을 환자에게 투여하려면, 다른 약물이 유동 병합 분기관(12)으로부터 어댑터(27)에 연결된 수혈 튜브를 통해서 챔버부(11) 내로 주입된다.
즉, 어댑터(27)가 유동 병합 분기관(12)에 부착된 상태에서 안내 돌출부(19)가 수평 가이드(25c)의 단부에 위치하도록 조작부(20)를 조작함으로써, 도8 및 도9에 도시하듯이 어댑터(27)의 암형 루어부(27a)와 하류 분기관(13)이 챔버부(11)를 통해서 연결된다. 이 경우, 밸브체(21)의 상단부가 고무 스토퍼(17)에 대해 타이트하기 때문에 상류 분기관(14)은 챔버부(11)의 내부로부터 단절된다. 도1의 (b)에 도시하듯이 챔버부(11)의 창(18)에는 유동 병합 분기관(12)과 하류 분기관(13)이 연결됨을 나타내는 표식(24a)이 나타난다. 또한, 수평 가이드(25c)의 단부에는 돌출부(19)가 협폭부(26b)에 의해 고정된다.
안내 돌출부(19)가 수평 가이드(25b)의 단부에 위치하도록 조작부(20)를 조작하면, 도10 및 도11에 도시하듯이, 어댑터(27)의 암형 루어부(27a), 하류 분기관(13) 및 상류 분기관(14)은 모두 챔버부(11)를 통해서 연결된다. 이 시점에서, 밸브체(21)의 상단부는 고무 스토퍼(17)로부터 분리된다. 유동 병합 분기관(12)과 하류 분기관(13), 및 상류 분기관(14)과 하류 분기관(13)이 연결됨을 나타내기 위해, 도2의 (b)에 도시하듯이 챔버부(11)의 창에 표식(24b)이 나타난다. 또한, 수평 가이드(25b)의 단부에는 협폭부(26a)에 의해 안내 돌출부(19)가 고정된다.
여기에서, 이 경우 조작부(20)의 조작은 도1의 (b)에서의 상태로부터, 안내 돌출부(19)가 수직 가이드(25a)의 하단부에 위치하도록 조작부(20)를 바닥면에서 볼 때 시계방향으로 돌리고 또한 안내 돌출부(19)가 수직 가이드(25a)의 상단부에 위치하도록 조작부(20)를 하향 이동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이후 조작부(20)는 안 내 돌출부(19)가 수평 가이드(25b)의 단부에 위치하도록 바닥면에서 볼 때 반시계방향으로 돌려짐으로써, 도2의 (b)에 도시된 상태를 도출한다. 도2의 (b)에 도시된 상태에서 도1의 (b)에 도시된 상태로 가도록 역 조작이 이루어진다.
이런 식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액체 공주입 장치(A)에서는, 챔버부(11)의 축방향으로 상하 이동할 수 있는 조작부(20)가 제공된다. 조작부(20)를 상하로 조작함으로써, 하류 분기관(13)과 상류 분기관(14)은 밸브체(21)에 의해 연결 및 단절될 수 있다. 어댑터(27)가 챔버부(11)의 상부에 형성된 유동 병합 분기관(12)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고, 또한 어댑터(27)가 챔버부(11)의 내부에 부착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기도 한다.
따라서, 한 가지 또는 두 가지 형태의 약물 등을 선택하여 환자에게 적절히 투여할 수 있다. 액체 공주입 장치(A)에 의하면, 하류 분기관(13)과 상류 분기관(14)의 연결과 단절 사이에서의 절환 조작은 조작부(20)를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이루어지므로 간단하며, 취급 미스도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이 경우에, 조작부(20)는 챔버부(11)에 대해 전진 또는 후퇴할 뿐이며, 따라서 조작부(20)가 챔버부(11)의 원주면으로부터 돌출하여 방해되지 않는다. 또한, 액체 공주입 장치(A)가 베드 등에 배치되면, 챔버(11)의 축방향은 수평이 되며, 따라서 조작부(20)가 환자와 부딪혀서 조작 위치가 절환되지 않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액체 공주입 장치(A)에서는, 조작부(20)의 파지부(22)에 안내 슬롯(25)이 제공되고, 챔버부(11)의 소직경부(11a)에는 또한 안내 돌출부(19)가 제공된다. 안내 슬롯(25)을 안내 돌출부(19)에 대해 이동시킴으로써 조 작부(20)가 챔버부(11)에 대해 이동하여, 하류 분기관(13)과 상류 분기관(14)을 연결과 단절 사이에서 절환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조작부(20)가 정확한 경로를 따라서 이동하고, 채널 절환이 신뢰성을 갖는다.
조작부(20)는 또한 챔버부(11)의 외주면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는 파지부(22)를 가지며, 따라서 조작부(20)의 조작이 용이하다. 또한, 안내 슬롯(25)의 두 단부 근처에 협폭부(26a, 26b)가 제공됨으로써, 안내 돌출부(19)는 협폭부(26a, 26b)에 의해 단단히 로크되어 움직이지 않을 것이다. 이로 인해, 안내 돌출부(19)가 우발적으로 움직이는 것이 방지되고 채널 변경이 방지된다. 챔버부(11)에는 또한 창(18)이 형성되고, 창(18)에 노출된 밸브체(21)의 원주면의 섹션에는 밸브체(21)가 챔버부(11)의 축방향 내측을 향해서 배치될 때 연결되는 채널과, 밸브체(21)가 챔버부(11)의 축방향 외측을 향해서 배치될 때 연결되는 채널을 나타내기 위한 표식(24a, 24b)이 각각 제공된다. 이러한 이유로, 조작자는 연결 또는 단절되는 채널을 혼동하지 않을 것이다.
[제2 실시예]
도12 및 도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액체 공주입 장치(B)를 도시한다. 액체 공주입 장치(B)는 액체 공주입 장치 본체(30) 및 조작부(40)로 구성되며, 내부는 도14 내지 도18에 도시하듯이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챔버부(31)의 상부에 형성되는 유동 병합 분기관(32)은, 챔버부(31)와 분리되고, 챔버부(31)쪽 직경이 크고 위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테이퍼진 실린더 보디로 구성되는 부재로 구성된다. 유동 병합 분기관(32)의 형상은 평면도시에서 타원형이다.
병합 분기관(32)의 내주면의 하단부에는 로크가능한 부분(32a)이 형성되며, 상기 로크가능한 부분(32a)을 챔버부(31)의 상단부에서 외주면에 형성되는 로킹부(31a)에 로크시킴으로써 병합 분기관(32)은 챔버부(31)에 연결된다. 병합 분기관(32)의 상단부에 있는 개구에는 고무 스토퍼(37)가 삽입되며, 고무 스토퍼(37)는 커버(37a)에 의해 병합 분기관(32)의 개구로부터 이완됨이 확실히 방지된다. 고무 스토퍼(37)에는 하면의 외주부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채널(37b)이 형성되며, 병합 분기관(32)의 상단부를 홈(37b)에 삽입함으로써 고무 스토퍼(37)는 병합 분기관(32)의 상단부에 로크된다.
커버(37a)를 사용하여 상면의 외주부와 원주면의 상부를 조임으로써 고무 스토퍼(37)는 유동 병합 분기관(32)의 상부에 고정된다. 여기에서, 고무 스토퍼(37)에는, 유동 병합 분기관(32)에 채널을 형성하기 위한 슬릿(도시되지 않음)도 제공된다. 챔버부(31) 내에서 상부를 향한 섹션에는 벽(39)이 형성된다. 챔버부(31) 내부를 유동하는 약물 등은 벽(39)으로 인해 도15에 도시된 상태에 있을 때 챔버부(31)의 내부의 상부를 통과한다. 이 때문에, 챔버부(31)에 공기 등이 잔류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조작부(40)는 대략 라운드형 칼럼인 밸브체(41), 및 상기 밸브체(41)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파지부(42)로 구성된다. 상류 분기관(34)과 대면하는 밸브체(41) 섹션의 채널(41a)은 상류 분기관(34)으로부터 연장된 후 하류 분기관(33) 쪽으로 직각 선회하여 유동 병합 분기관(32) 쪽으로 상향 연장된다. 도15에 도시하듯이 밸브체(41)가 상승 위치에 있을 때 채널(41a)의 하단부는 상류 분기관(34) 내의 채 널(34a)에 연결되는 위치에 있고, 상류 분기관(34)은 챔버부(31)의 내부에 연결된다. 이 경우, 밸브체(41)의 상단면은 벽(39)에 접촉한다.
도18에 도시하듯이 밸브체(41)가 하강 위치에 있을 때 채널(41a)의 하단부는 상류 분기관(34)의 채널(34a) 아래에 위치하고 채널은 챔버부(31)의 내주면에 의해 차단된다. 이 경우, 밸브체(41)의 상단면은 벽(39)으로부터 그 아래로 분리된다. 이러한 이유로, 도15에 도시하듯이 밸브체(41)가 상승 위치에 있을 때, 하류 분기관(33)과 상류 분기관(34)은 챔버부(31)를 통해서 연결된다. 또한 도18에 도시하듯이 밸브체(41)가 하강 위치에 있을 때, 하류 분기관(33)과 상류 분기관(34)은 밸브체(41)에 의해 단절된다.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의 어댑터(27)와 동일한 어댑터는 또한 유동 병합 분기관(32)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액체 공주입 장치(B)에는 창, 표식, 안내 슬롯 또는 안내 돌출부가 전혀 제공되지 않는다. 액체 공주입 장치(B) 내의 조작부(40)는 챔버부(31)와의 마찰 저항을 사용하여 특정 위치에 배치된다. 액체 공주입 장치(B)의 다른 섹션의 구성은 상기 액체 공주입 장치(A)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기호는 동일한 섹션을 나타내며,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환자에게 특정 약물을 투여할 때는, 유치 바늘에 연결된 수혈 튜브가 하류 분기관(33)에 연결되고, 약물이 저장되는 용기 등으로부터 연장되는 수혈 튜브가 상류 분기관(34)에 연결된다. 이후, 유치 바늘이 환자에게 삽입되어 유지되는 상태에서, 조작부(40)를 조작하고, 약물은 용기 등으로부터 환자를 향해 송출됨으로써 환자에게 투여된다. 용기 등으로부터 공급되는 약물에 추가적 으로 다른 약물을 환자에게 투여할 때, 다른 약물은 유동 병합 분기관(32)으로부터 어댑터에 연결된 수혈 튜브를 통해서 챔버부(31) 내로 주입된다.
즉, 어댑터가 유동 병합 분기관(32)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조작부(40)가 상승 위치에 있을 때, 도14 내지 도16에 도시하듯이, 밸브체(41) 내의 채널(41a)은 상류 분기관(34) 내의 채널(34a)에 연결되고 상류 분기관(34)은 챔버부(31)에 연결된다. 조작부(40)가 하강 위치에 있을 때, 도17 및 도18에 도시하듯이, 밸브체(41) 내의 채널(41a)은 챔버부(31)의 내주면에 의해 차단되며, 상류 분기관(34)과 챔버부(31)는 단절된다.
또한, 어댑터가 병합 분기관(32)에 부착될 때, 어댑터와 하류 분기관(33)은 챔버부(31)를 통해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밸브체(41) 내의 채널(41a)과 상류 분기관(34) 내의 채널(34a)이 연결된 상태에 있을 때, 약물 등은 어댑터와 상류 분기관(34) 양자로부터 하류 분기관(33)에 공급될 수 있다. 밸브체(41) 내의 채널(41a)과 상류 분기관(34) 내의 채널(34a)이 단절된 상태에 있을 때, 약물 등은 어댑터로부터 하류 분기관(33)에 공급될 수 있다. 액체 공주입 장치(B)가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하고 조작도 간단하다. 그렇지 않으면, 액체 공주입 장치(B)의 기능과 효과는 전술한 액체 공주입 장치(A)와 동일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 공주입 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적절한 변형예가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 안내 슬롯(25)이 수직 연장되는 수직 가이드(25a), 및 수평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수평 가이드(25b, 25c)로 구성되고, 수평 가이드(25b, 25c)의 각 단부에는 협폭부(26a, 26b)가 형성되지만, 안내 슬롯 역시 하나의 수직 가이드(25a)로만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협폭부는 수직 가이드(25a)의 각 단부 근처에 형성된다. 안내 홈 또한 파지부(22)의 내표면과 외표면을 통과하는 긴 구멍보다는 외부에서 볼 수 없도록 파지부(22)의 내주면에만 제공되는 슬롯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안내 슬롯과 안내 돌출부는 챔버부와 조작부의 대면하는 섹션에 존재하지만, 다른 섹션에 제공될 수도 있다. 안내부와 피안내부 역시 안내 슬롯 및 안내 돌출부 이외의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창(18)에 대해서는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한 부재가 제공될 수도 있다. 전술한 적용예에서는, 유동 병합 분기관(12 또는 32)에 어댑터(27) 등이 부착된 상태에서 고무 스토퍼(17 또는 37)에 슬릿(12a) 등이 제공되고 슬릿(12a)에 삽입부(27b)가 삽입되지만, 어댑터(27) 대신 고무 스토퍼(17 또는 37)에 주사기 또는 주입 바늘의 수형 루어부가 삽입될 수 있다. 여기에서, 주입 바늘이 삽입될 때, 고무 스토퍼(17 또는 37)에 슬릿(12a)을 제공할 필요가 없다. 또한, 액체 공주입 장치를 구성하는 다른 섹션의 형상, 재료 등도 적절하게 수정 및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 공주입 장치에 의하면, 조작부가 돌출하여 방해됨이 없이 다중 분기관이 연결 또는 단절될 수 있다.

Claims (9)

  1. 본체를 갖는 액체 공주입 장치이며,
    챔버와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챔버는 챔버의 축방향 일단부에 제1 연결 포트를 구비하고 챔버로부터 측방으로 제2 및 제3 연결 포트가 연장되며,
    상기 조작부는 상기 챔버의 축방향 제2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챔버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조작부의 상기 축방향 이동은 상기 연결 포트 중 하나와 상기 챔버의 내부를 연결과 단절 사이에서 절환시키는 액체 공주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챔버의 외표면 부분 위에서 활주식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외부 측벽을 구비하며, 상기 외부 측벽과 상기 외표면 부분은 상기 조작부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배치되는 상호 협동적인 안내부를 구비하는 액체 공주입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 협동적인 안내부는 안내 슬롯과, 상기 안내 슬롯 내에서 이동하도록 배치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액체 공주입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슬롯은 축방향 연장부와, 상기 조작부의 축방향 이동을 선택적으로 허용하고 상기 조작부의 축방향 이동을 각각 방지하기 위해 상기 축방향 연장부에 대해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분을 구비하도록 배치되는 액체 공주입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의 벽에는 창이 제공되며, 상기 조작부는 상기 공주입 장치의 작동 상태가 상기 창에 표시되도록 표식을 구비하는 액체 공주입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그 내부에 관통 채널을 구비하며, 상기 축방향으로 상기 조작부의 이동은 상기 연결 포트중 하나에 대한 유체 유동 위치와 상기 하나의 연결 포트에 대한 유체 밀봉 위치 사이에서 상기 관통 채널을 변위시키는 액체 공주입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챔버 내에 배치되는 그 일단부에 홈을 구비하며, 상기 홈은 측벽에 의해 경계지어지고 따라서 상기 조작부가 상기 축방향으로 상기 챔버 내로 이동할 때 상기 측벽은 상기 단절을 초래하도록 유체 유동 밀봉을 제공하는 액체 공주입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포트 중 하나는 탄성 밀봉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조작부 측벽은 상기 측벽과 상기 밀봉 요소 사이에 유체 유동 차단 밀봉을 제공 하도록 이동가능한 액체 공주입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조작부가 상기 단절을 초래하도록 배치될 때 상기 탄성 밀봉 요소를 통해서 삽입되는 커넥터의 단부를 수용하도록 성형되는 액체 공주입 장치.
KR1020070020685A 2006-03-03 2007-03-02 액체 공주입 장치 KR1008807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58262A JP4812467B2 (ja) 2006-03-03 2006-03-03 液体混注具
JPJP-P-2006-00058262 2006-03-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0788A true KR20070090788A (ko) 2007-09-06
KR100880788B1 KR100880788B1 (ko) 2009-02-02

Family

ID=38109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0685A KR100880788B1 (ko) 2006-03-03 2007-03-02 액체 공주입 장치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20070232989A1 (ko)
EP (1) EP1829579B1 (ko)
JP (1) JP4812467B2 (ko)
KR (1) KR100880788B1 (ko)
CN (1) CN100542618C (ko)
AR (1) AR059745A1 (ko)
AT (1) ATE421354T1 (ko)
AU (1) AU2007200839B2 (ko)
BR (1) BRPI0700636A (ko)
CA (1) CA2579988C (ko)
DE (1) DE602007000495D1 (ko)
ES (1) ES2320811T3 (ko)
IL (1) IL181379A0 (ko)
MX (1) MX2007002538A (ko)
NZ (1) NZ553477A (ko)
SG (1) SG135165A1 (ko)
TW (1) TWI31106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1371A (ko) * 2021-02-25 2022-09-01 타임시스템(주) 주사기 형태의 용기를 위한 액상 물질 주입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49126A1 (de) * 2007-10-12 2009-04-16 Fresenius Kabi Deutschland Gmbh Vorrichtung zum Zuführen von medizinischen Flüssigkeiten
JP2010022453A (ja) * 2008-07-16 2010-02-04 Nippon Sherwood Medical Industries Ltd 液体混注具
JP6062921B2 (ja) * 2012-03-26 2017-01-18 テルモ株式会社 医療用活栓
US9295742B2 (en) 2012-04-16 2016-03-29 Puracath Medical, Inc. System and method for disinfecting a catheter system
WO2014049819A1 (ja) * 2012-09-28 2014-04-03 テルモ株式会社 コネクタ
WO2014049811A1 (ja) * 2012-09-28 2014-04-03 テルモ株式会社 コネクタ
WO2014120620A1 (en) 2013-01-29 2014-08-07 Puracath Medical,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isinfecting a catheter
JP6262030B2 (ja) * 2014-03-11 2018-01-17 テルモ株式会社 液体投与具
WO2015187943A1 (en) 2014-06-05 2015-12-10 Puracath Medical, Inc. Transfer catheter for ultraviolet disinfection
CN108367085A (zh) 2015-03-18 2018-08-03 普拉卡斯医疗公司 紫外线消毒用导管连接系统
JP6240245B2 (ja) * 2016-03-16 2017-11-29 テルモ株式会社 コネクタ
US11612733B2 (en) 2020-04-23 2023-03-28 Carefusion 303, Inc. Screw control medical fluid flow manifold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386964A (ko) *
US3965910A (en) * 1975-04-28 1976-06-29 Walpak Company Urinary irrigation valve
FR2692791B1 (fr) * 1992-06-26 1998-07-24 Aguettant Lab Systeme de connexion sterile.
EP0884059B9 (de) 1997-05-14 2005-06-08 Filtertek B.V. Differenzdruck-Ventil
JP3389983B2 (ja) * 1997-10-23 2003-03-24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医療用混注ポート
AUPP676898A0 (en) * 1998-10-26 1998-11-19 Noble House Group Pty Ltd Sampling first in blood collection
JP4075972B2 (ja) * 1998-10-28 2008-04-16 日本シャーウッド株式会社 接続具
IL127900A (en) * 1999-01-01 2001-12-23 Elcam Plastic Kibbutz Bar Am Blood sampling/injecting valve
FR2804609B1 (fr) * 2000-02-08 2002-08-30 Sedat Dispositif de distribution pour un reseau de transport d'un fluide medical
JP2004129981A (ja) 2002-10-15 2004-04-30 Enomoto Co Ltd 医療用及び動物治療用側枝管
WO2004108192A1 (ja) * 2003-06-02 2004-12-16 Nipro Corporation 薬液供給制御方法、その方法に使用する薬液供給制御装置及びその装置を用いた薬液投与セット
JPWO2005021084A1 (ja) * 2003-08-27 2006-10-26 株式会社ティッシュエンジニアリングイニシアティブ カテーテルおよび医療用接続器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1371A (ko) * 2021-02-25 2022-09-01 타임시스템(주) 주사기 형태의 용기를 위한 액상 물질 주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812467B2 (ja) 2011-11-09
MX2007002538A (es) 2008-11-14
ATE421354T1 (de) 2009-02-15
US20070232989A1 (en) 2007-10-04
AR059745A1 (es) 2008-04-23
ES2320811T3 (es) 2009-05-28
CA2579988C (en) 2010-05-04
EP1829579A1 (en) 2007-09-05
KR100880788B1 (ko) 2009-02-02
TW200735905A (en) 2007-10-01
JP2007229392A (ja) 2007-09-13
EP1829579B1 (en) 2009-01-21
TWI311062B (en) 2009-06-21
IL181379A0 (en) 2007-07-04
CN101028546A (zh) 2007-09-05
AU2007200839A1 (en) 2007-09-20
DE602007000495D1 (de) 2009-03-12
BRPI0700636A (pt) 2007-11-06
SG135165A1 (en) 2007-09-28
NZ553477A (en) 2008-10-31
CN100542618C (zh) 2009-09-23
CA2579988A1 (en) 2007-09-03
AU2007200839B2 (en) 2009-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0788B1 (ko) 액체 공주입 장치
US20230355475A1 (en) Pooling device for single or multiple medical containers
JP4871019B2 (ja) 液体混注具
EP2298406B1 (en) Connector assembly
KR20070106432A (ko) 액체 혼합식 주입기
JP4871078B2 (ja) 液体混注具
JP2008029495A (ja) 液体混注具
CN107257699B (zh) 具有注入端口的iv导管组件
JP4009976B2 (ja) コネクター
JP2010022453A (ja) 液体混注具
JP4871055B2 (ja) コネクター
JP4044890B2 (ja) 医療用スライド式開閉弁
KR101679166B1 (ko) 약액 투여용 의료기구
JP4099679B2 (ja) 医療用活栓
WO2016147558A1 (ja) 閉鎖式コネクタ
KR20200027266A (ko) 의료용 약액 공급 셋트
JP2016154843A (ja) 接続器具
JP2016013347A (ja) ニードルレス混注管
JP2015136551A (ja) 接続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