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8981A - 기능성 도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기능성 도료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88981A KR20070088981A KR1020060018929A KR20060018929A KR20070088981A KR 20070088981 A KR20070088981 A KR 20070088981A KR 1020060018929 A KR1020060018929 A KR 1020060018929A KR 20060018929 A KR20060018929 A KR 20060018929A KR 20070088981 A KR20070088981 A KR 2007008898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ight
- binder
- parts
- urethane resin
- ceramic powder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3973 paint Substance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54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29920002803 thermoplastic polyurethane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ODINCKMPIJJUCX-UHFFFAOYSA-N Calcium oxide Chemical compound [Ca]=O ODINCKMPIJJUCX-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BPQQTUXANYXVAA-UHFFFAOYSA-N Orthosilicate Chemical compound [O-][Si]([O-])([O-])[O-] BPQQTUXANYXVAA-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29920000459 Nitrile rubber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5995 Aluminium silic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29920006243 acrylic copolymer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5000012211 aluminium silicat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0292 calcium oxid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5000012255 calcium oxid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NLYAJNPCOHFWQQ-UHFFFAOYSA-N kaolin Chemical compound O.O.O=[Al]O[Si](=O)O[Si](=O)O[Al]=O NLYAJNPCOHFWQQ-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8199 coating composi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2270 dispers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2518 antifoam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2562 thicken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3822 epoxy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20000647 polyepoxid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4014 plasticiz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3755 preservative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0445 mica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52618 mica group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2335 preserva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21532 Calci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claims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abstract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3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2
- 239000003610 charco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5
- QGZKDVFQNNGYKY-UHFFFAOYSA-N Ammonia Chemical compound N QGZKDVFQNNGYK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38000004332 deodo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845 anti-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577 cryoprotec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3405 preven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29910021529 ammonia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LYCAIKOWRPUZTN-UHFFFAOYSA-N Eth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OCCO LYCAIKOWRPUZT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41000233866 Fungi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421 anti-sep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286 benefi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085 dilu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1000606507 Talaromyces pinophil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1450 an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768 carboxy methyl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948 carboxy methyl 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12 carboxymethyl-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40105329 carboxymethylcellulose Drug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877 deodor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MIMDHDXOBDPUQW-UHFFFAOYSA-N dioctyl decanedioate Chemical compound CCCCCCCCOC(=O)CCCCCCCCC(=O)OCCCCCCCC MIMDHDXOBDPUQ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609 methyl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923 methyl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981 methyl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825 nitril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817 Aga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VHUUQVKOLVNVRT-UHFFFAOYSA-N Ammon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NH4+].[OH-] VHUUQVKOLVNVR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28245 Aspergillus niger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21955 Chaetomi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515917 Chaetomium globos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95493 Crypt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33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54 Hydroxyethyl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63 Hydroxyethyl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44000061456 Solanum tuberos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595 Solanum tuberos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1327284 Sorghastrum nutan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7513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 acrylic ester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72 aga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114 ammonium hydrox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27 biological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7531 blood cir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4303 cell bud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13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78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4 ceramic c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38 fung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227 gr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40 gyps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02 gyps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47 hydroxyethyl 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534 incub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JEIPFZHSYJVQDO-UHFFFAOYSA-N iron(III) oxide Inorganic materials O=[Fe]O[Fe]=O JEIPFZHSYJVQD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25 natural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3 pa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941 photocataly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20 ply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27 research and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77 silic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ABTOQLMXBSRXSM-UHFFFAOYSA-N silicon tetrafluoride Chemical compound F[Si](F)(F)F ABTOQLMXBSRXS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APSBXTVYXVQYAB-UHFFFAOYSA-M sodium docusate Chemical group [Na+].CCCCC(CC)COC(=O)CC(S([O-])(=O)=O)C(=O)OCC(CC)CCCC APSBXTVYXVQYAB-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61 swel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13 weake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0—Supports for rods
- A01K97/11—Supports for rods with automatic hooking devic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69/00—Work holders
- Y10S269/907—Work holder for fishing fl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81/00—Tools
- Y10S81/01—Tool-support adjun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주원료로 400 ∼ 450 매쉬의 세라믹 분말 45 ∼ 55 중량부와 바인더 15 ∼ 25 중량부 및 우레탄수지 5 ∼ 10 중량부로 조성되는 바인더 혼합물 95 중량%에 부원료로서 첨가제 5 중량%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콘크리트가 가지는 열화를 방지하고, 방수, 방청 효과가 뛰어나며, 염분에 대한 저항성이 강한 장점이 있다.
또한 콘크리트의 열화를 방지하여 사용수명을 연장시킴과 동시에 내부 벽면에 서식하는 각종 미생물의 부착을 막아주는 항균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통기성이 우수하여 콘크리트 내부의 수분을 환경에 따라 조절하는 능력이 있어 부풀음, 박리 및 탈락현상이 일어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난연성이 우수하여 화재의 위험성이 없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우레탄 도포막과 접합성이 우수하여 기존의 우레탄 도포막을 제거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므로 시공이 용이하여 적은 비용으로 시공할 수 있는 각별한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항균, 탈취기능이 뛰어나고, 원적외선의 다량 방출로 혈액순환촉진, 신진대사촉진 및 노폐물 배출 등의 생체 기능으로 조절해 주는 탁월한 효능이 있다.
도료 조성물, 바인더, 세라믹, 우레탄, 원적외선, 항균작용.
Description
본 발명은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바인더와 세라믹 및 우레탄을 적절히 배합하여 도료 조성물을 조성함으로써 건강에 유익한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방출하면서도 탈취 및 항균작용과 단열 및 결로방지효과를 갖는 기능성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료는 그 조성물의 종류에 따라 천연수지도료와 합성수지도료, 수성도료 및 기타도료로 분류할 수 있으며, 조성성분의 함량에 따라 건조, 광택, 경도, 부착성, 휨성, 발화성 등 도막의 특성이 달라지게 된다.
최근에는 쾌적한 주거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기능성 도료에 대한 연구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져 숯도료나 세라믹도료 등 기능성 도료의 개발이 활발해 지고 있는 실정이다.
기능성 도료중 숯도료는 수성바인더에 숯분말을 첨가하여서 제조한 것으로 숯도료를 건축물의 실내를 구성하는 콘크리트, 석고보드, 목재, 합판, 도배지 등에 발라 숯에서 발산되는 인체에 이로운 성분을 충분히 쪼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숯도료로서 대한민국 특허공개 2005-26152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숯도료는 200 ∼ 300 매쉬(Mesh)로 분쇄된 숯분말을 수성바인더에 1 : 3 비율이 되게 혼합하고, 여기에 목초액 1 ∼ 2 중량%와 분산제 1 ∼ 2 중량%를 함께 첨가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건강에 유익한 원적외선이 방출되고, 살균 및 항균효가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한 숯도료는 도료에 함유되는 숯분말을 얻기 위해서는 먼저 숯 제조용 목재를 벌목해야 하고 나무를 벌목하기 위해서 많은 인력을 필요로 함은 물론 물류비가 많이 소요되어 숯의 생산원가가 상승되어 숯도료의 생산원가가 상승하게 되는 결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숯도료에 함유된 숯분말이 비난연성 재료이기 때문에 화재에 취약하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또한 기능성 도료로서 대한민국 특허공개 2005-92829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무기질 세라믹 도료는 바인더로서 기능하는 규산카리 100중량부에 대하여 원적외선 방사물질 5 ∼ 40중량부, 음이온 방출 물질 1 ∼ 30중량부, 광촉매분말 0.5 ∼ 10중량부 및 항균분말 0.1 ∼ 5중량부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첨가하여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무기질 세라믹 도료를 도포한 건물의 분열과 부식을 예방하고, 곰팡이와 같은 균류와 해조류의 발생을 방지하며, 화재를 예방할 수 있고, 내광성이 우수하고 산에 대한 저항력도 뛰어나며, 도료의 박리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지만, 기존의 우레탄 도포막에 사용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즉, 종래 빌딩의 지하 주차장이나 옥상 또는 아파트의 지하 주차장, 경기장의 바닥에는 대부분 방수를 위해 우레탄 도료가 도포되어 있다. 이와 같이 우레탄 도료가 도포된 바닥이 노후되면 재시공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노후된 우레탄 도포막 을 제거하고 새로운 도료를 도포하게 된다. 그런데 노후된 우레탄 도포막을 제거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고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많은 시간과 시공비가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노후된 우레탄 도포막을 제거하지 않고그대로 둔채 노후된 우레탄 도포막 상에 새로운 도료를 도포하면 되는데, 상기한 무기질 세라믹 도료를 우레탄 도포막 상에 도포할 경우에는 우레탄 도포막에 세라믹 도료의 도포막이 잘 접합되지 않아 세라믹 도포막의 박리 현상이 일어나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종래 숯도료나 무기질 세라믹 도료 등 기능성 도료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콘크리트가 가지는 열화를 방지하고, 방수, 방청 효과가 뛰어나며, 염분에 대한 저항성이 강한 기능성 도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콘크리트의 열화를 방지하여 사용수명을 연장시킴과 동시에 내부 벽면에 서식하는 각종 미생물의 부착을 막아주는 항균성이 있는 기능성 도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통기성이 우수하여 콘크리트 내부의 수분을 환경에 따라 조절하는 능력이 있어 부풀음, 박리 및 탈락현상이 일어나지 않는 기능성 도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난연성이 우수하여 화재의 위험성이 없을 뿐만 아 니라 기존의 우레탄 도포막과 접합성이 양호하여 기존의 우레탄 도포막을 제거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어 기존의 우레탄 도포막을 제거하는데 소요되는 경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는 경제적인 기능성 도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기능성 도료 조성물은 주원료로 400 ∼ 450 매쉬의 세라믹 분말 45 ∼ 55 중량부와 바인더 15 ∼ 25 중량부 및 우레탄수지 5 ∼ 10 중량부로 조성되는 바인더 혼합물 95 중량%에 부원료로서 첨가제 5 중량%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세라믹분말은 고령토 25 ∼ 35 중량%, 규산염실리케이트 15 ∼ 25 중량%, 견운모 10 ∼ 20 중량%, 생석회 5 ∼ 10 중량%, 맥반석 5 ∼ 10 중량% 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세라믹분말은 45 ∼ 55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45중량부 보다 적으면, 세라믹분말로부터 얻어지는 원적외선 방사효율이 낮아지게 되고, 55 중량부 보다 많은 경우는 상대적으로 바인더의 함량이 줄어들게 되어 도료의 접착력이 약해져 잔갈림, 벗겨짐 등이 발생하는 결점이 있다.
또한 세라믹분말의 입자가 지나치게 작으면, 분쇄가공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지고 비용이 증가하여 바람직하지 않고, 세라믹분말의 입자가 지나치게 클 경우에는 도료의 도포두께가 과도하게 두꺼워지고 바인더로 인한 갈라짐이 발생하므로 세라믹분말은 400 ∼ 450 매쉬의 입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바인더는 수성도료인 경우 니트릴고무계 수성바인더 또 는 아크릴공중합체 바인더이며, 유성도료인 경우 에폭시수지계 바인더 또는 우레탄계 바인더이다. 바인더가 15 중량부 보다 적으면, 도료의 접착력이 약해 잔갈림, 벗겨짐 등이 발생할 우려가 있고, 25 중량부 보다 많은 경우는 상대적으로 세라믹이나 우레탄수지의 함량이 줄어들게 되어 세라믹과 우레탄의 효과를 얻을 수 없으므로 15 ∼ 25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우레탄수지는 수성도료인 경우 수성우레탄계수지를 사용하고, 유성도료인 경우는 유성우레탄계수지를 사용한다. 우레탄수지는 5 ∼ 1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5중량부 보다 적으면, 기존의 우레탄 도포막과의 접착력이 낮아져 기존의 우레탄 도포막을 제거하지 않고 사용할 수 없게 되고, 10 중량부 보다 많은 경우는 상대적으로 세라믹분말의 함량이 줄어들게 되어 세라믹분말로부터 얻어지는 원적외선 방사효율이 낮아지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그리고 첨가제는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비율로 동결방지제와 가소제, 분산제, 증점제, 소포제, 방부제 및 희석제를 혼합하여 5 중량%가 되도록 한 것으로서, 동결방지제로는 에틸렌글리콜을 사용하고, 가소제로는 디옥틸아지페이트(DOA)나 디옥틸세바케이트(DOS)를 사용하며, 분산제로는 DANIEL 사의 "DISPERSE AYDW-22'제품, 증점제로는 하이드로세틸 셀룰로즈(Hydroxyethyl Cellulose), 메틸셀룰로즈(Methyl Cellulose), 카르복시 - 메틸 셀룰로즈(Carboxy - Methyl Cellulose)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고, 소포제로는 실리카나 불화실리콘을 사용하며, 방부제로는 아크릴 에스테르를 사용한다.
첨가제 | 중량비(중량부) |
동결방지제 | 0.7 ~ 0.8 |
`가소제 | 2.0 ~ 2.6 |
분산제 | 0.3 ~ 0.4 |
증점제 | 0.6 ~ 0.9 |
소포제 | 0.3 ~ 0.5 |
방부제 | 0.3 ~ 0.6 |
희석제 | 0.6 ~ 0.8 |
도포방법은 붓, 롤러, 스프레이등 통상적인 방법이 모두 가능하며, 도포량은 건조도막두께 200㎛ 기준으로 1㎡ 당 0.16 ∼ 0.36㎏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포량이 0.16㎏ 보다 적으면, 도포되는 세라믹분말의 양이 너무 적어 원적외선의 방사효율이 낮아지는 단점이 있고, 도포량이 0.36㎏ 보다 많으면 건조속도가 떨어져 도도작업에 걸기는 시간이 길어져 바람직하지 않다.
이하 본 발명 기능성 도료 조성물을 실시예로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400 ∼ 450 매쉬의 세라믹 분말 45중량부와 바인더로 니트릴고무계 수성바인더 25 중량부 및 우레탄수지로 수성우레탄계수지 10 중량부를 교반기에 투입 30분간 교반하여 혼합한 바인더 혼합물 95 중량%에 첨가제 5 중량%를 추가로 투입하여 80분간 교반하고, 50분간 정치시켜 수성도료로서 기능성 도료를 제조하여 용기에 충진하였다.
이 경우 첨가제로는 하기 표 2에 나타낸 비율의 첨가제 들을 순차 투입하였다.
첨가제 | 중량비(중량부) |
동결방지제 | 0.7 |
`가소제 | 2.0 |
분산제 | 0.3 |
증점제 | 0.6 |
소포제 | 0.3 |
방부제 | 0.3 |
희석제 | 0.6 |
실시예 2
400 ∼ 450 매쉬의 세라믹 분말 50 중량부와 바인더로 니트릴계 수성바인더 20 중량부 및 우레탄수지로 수성우레탄계수지 8 중량부를 교반기에 투입 30분간 교반하여 혼합한 바인더 혼합물 95 중량%에 첨가제 5 중량%를 추가로 투입하여 80분간 교반하고, 50분간 정치시켜 수성도료로서 기능성 도료를 제조하여 용기에 충진하였다.
이 경우 첨가제로는 하기 표 3에 나타낸 비율의 첨가제 들을 순차 투입하였다.
첨가제 | 중량비(중량부) |
동결방지제 | 0.8 |
가소제 | 2.6 |
분산제 | 0.4 |
증점제 | 0.6 |
소포제 | 0.3 |
방부제 | 0.3 |
실시예 3
400 ∼ 450 매쉬의 세라믹 분말 55중량부와 바인더로 니트릴계 수성바인더 15 중량부 및 우레탄수지로 수성우레탄계수지 5 중량부를 교반기에 투입 30분간 교반하여 혼합한 바인더 혼합물 95 중량%에 첨가제 5 중량%를 추가로 투입하여 80분간 교반하고, 50분간 정치시켜 수성도료로서 기능성 도료를 제조하여 용기에 충진하였다.
이 경우 첨가제로는 상기 표 3에 나타낸 비율의 첨가제 들을 순차 투입하였다.
실시예 4
400 ∼ 450 매쉬의 세라믹 분말 45 중량부와 바인더로 에폭시수지계 바인더 25 중량부 및 우레탄수지로 유성우레탄계수지 10 중량부를 교반기에 투입 30분간 교반하여 혼합한 바인더 혼합물 95 중량%에 첨가제 5 중량%를 추가로 투입하여 80분간 교반하고, 50분간 정치시켜 유성도료로서 기능성 도료를 제조하여 용기에 충진하였다.
이 경우 첨가제로는 상기 표 2에 나타낸 비율의 첨가제 들을 순차 투입하였다.
실시예 5
400 ∼ 450 매쉬의 세라믹 분말 50 중량부와 바인더로 에폭시수지계 바인더 20 중량부 및 우레탄수지로 유성우레탄계수지 8 중량부를 교반기에 투입 30분간 교반하여 혼합한 바인더 혼합물 95 중량%에 첨가제 5 중량%를 추가로 투입하여 80분간 교반하고, 50분간 정치시켜 유성도료로서 기능성 도료를 제조하여 용기에 충진하였다.
이 경우 첨가제로는 상기 표 3에 나타낸 비율의 첨가제 들을 순차 투입하였다.
실시예 6
400 ∼ 450 매쉬의 세라믹 분말 55중량부와 바인더로 에폭시수지계 바인더 15 중량부 및 우레탄수지로 유성우레탄계수지 5 중량부를 교반기에 투입 30분간 교반하여 혼합한 바인더 혼합물 95 중량%에 첨가제 5 중량%를 추가로 투입하여 80분간 교반하고, 50분간 정치시켜 유성도료로서 기능성 도료를 제조하여 용기에 충진하였다.
이 경우 첨가제로는 상기 표 3에 나타낸 비율의 첨가제 들을 순차 투입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으로부터 얻어진 도료 조성물의 곰팡이균주 Apergillus niger Penicillium pinophilum Chaetomium globosum의 혼합균주에 대한 항균효과를 시험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냈다.
이 시험에서 시료로 정육면체 크기 50 ×50 ×50㎜의 콘크리트 시험체에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으로부터 얻어진 도료를 시공한 후 완전건조시킨 시험체에 ASTM G-21의 규정에 따라 항균력 측정을 하였다. 포테이토 텍스트로즈이가를 121℃에서 15분간 멸균한 후 50℃로 식히고, 멸균된 배양접시(Petri dish)에 분주후 굳힌 다음 곰팡이 포자액 Aspergillus niger Penicillium pinophilum Chaetomium globosum를 아가(Agar)위에 접종시킨 후, 시험체를 올려놓고, 26℃의 배양기에서 7∼ 28일 배양후 시편 주위의 균성장 저지 및 시편 자체의 곰팡이 발생 정도로 보아서 항균력을 측정하였다.
배양시험의 기간 | ||||
1주후 | 2주후 | 3주후 | 4주후 | |
실시예 1 | 0 | 0 | 0 | 0 |
실시에 2 | 0 | 0 | 0 | 0 |
실시예 3 | 0 | 0 | 0 | 0 |
실시예 4 | 0 | 0 | 0 | 0 |
실시예 5 | 0 | 0 | 0 | 0 |
실시예 6 | 0 | 0 | 0 | 0 |
* 결과의 판독 0 : 시료에서 균의 성장을 인지할 수 없음.
표 4로부터 실시예 1 ∼ 실시예 6 어느 것에서도 곰팡이균의 성장을 인지할 수 없었다. 따라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으로부터 얻어진 도료가 항균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으로부터 얻어진 도료 조성물의 탈취율을 가스검지관법으로 시험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냈다.
이 시험에서 시료로서 도료 1ℓ를 3ℓ의 용기에 넣고, 암모니아수를 5㎕ 주입후 기화시키고 각 시간 경과후 가스검지관을 사용하여 용기에 남아있는 암모니아의 농도를 측정하여 탈취율을 구하였다.
경과시간 (분) | Blank 농도 (ppm) | 탈취율(%) | |||||
실시예 1 | 실시예 2 | 실시예 3 | 실시예 4 | 실시예 5 | 실시예 6 | ||
30 | 480 | 74.1 | 80.7 | 90.0 | 72.4 | 78.2 | 84.3 |
60 | 470 | 76.9 | 84.3 | 92.5 | 75.1 | 79.4 | 86.7 |
90 | 450 | 79.7 | 87.1 | 94.1 | 78.6 | 82.1 | 89.4 |
120 | 440 | 81.6 | 90.5 | 96.3 | 79.8 | 85.7 | 91.6 |
* Blank 농도(ppm)는 시료를 넣지 않은 상태에서 측정한 것임.
표 5로부터 수성도료에서 실시예 1,2 보다 세라믹분말의 함유량이 많은 실시예 3이, 유성도료에서 실시예 4,5 보다 세라믹분말의 함유량이 많은 실시예 6이 암모니아의 탈취율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유성도료인 실시예 4,5,6 보다 수성도료인 실시예 1,2,3이 암모니아의 탈취율이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으로부터 얻어진 도료 조성물의 원적외선 방사율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냈다.
이 측정시험에서 FT-IR Spectrometer을 이용하여 BLACK BODY 대비 측정하였으며, 시료의 크기 30 ×30㎜, 또는 2 ~ 300g(분말)로 시료로에 시료를 밀착시켜 시료를 40℃로 가열하여 시료로부터 나오는 원적외선 방사율을 파장 5 ~ 20㎛의 범위에서 원적외선의 방사율 및 원적외선 방사강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시료의 표면온도는 표면온도측정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방사율(5~20㎛) | 방사에너지(W/㎡) | |
실시예 1 | 0.724 | 2.14 ×102 |
실시에 2 | 0.835 | 2.97 ×102 |
실시예 3 | 0.915 | 3.69 ×102 |
실시예 4 | 0.642 | 2.01 ×102 |
실시예 5 | 0.726 | 2.42 ×102 |
실시예 6 | 0.827 | 2.72 ×102 |
표 6로부터 세라분말의 함유량이 높을 수록 또한 유성도료 보다 수성도료에서 원적외선 방사율이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상기한 본 발명 기능성 도료 조성물은 콘크리트가 가지는 열화를 방지하고, 방수, 방청 효과가 뛰어나며, 염분에 대한 저항성이 강한 장점이 있다.
또한 콘크리트의 열화를 방지하여 사용수명을 연장시킴과 동시에 내부 벽면에 서식하는 각종 미생물의 부착을 막아주는 항균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통기성이 우수하여 콘크리트 내부의 수분을 환경에 따라 조절하는 능력이 있어 부풀음, 박리 및 탈락현상이 일어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난연성이 우수하여 화재의 위험성이 없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우레탄 도포막과 접합성이 우수하여 기존의 우레탄 도포막을 제거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므로 시공이 용이하여 적은 비용으로 시공할 수 있는 각별한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항균, 탈취기능이 뛰어나고, 원적외선의 다량 방출로 혈액순환촉진, 신진대 사촉진 및 노폐물 배출 등의 생체 기능으로 조절해 주는 탁월한 효능이 있다.
Claims (5)
- 주원료로 400 ∼ 450 매쉬의 세라믹 분말 45 ∼ 55 중량부와 바인더 15 ∼ 25 중량부 및 우레탄수지 5 ∼ 10 중량부로 조성되는 바인더 혼합물 95 중량%에 부원료로서 첨가제 5 중량%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도료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분말이 고령토 25 ∼ 35 중량%, 규산염실리케이트 15 ∼ 25 중량%, 견운모 10 ∼ 20 중량%, 생석회 5 ∼ 10 중량%, 맥반석 5 ∼ 10 중량%를 총 100 중량%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도료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로서 니트릴고무계 수성바인더 또는 아크릴공중합체 바인더를 사용하고, 상기 우레탄수지로서 수성우레탄계수지를 사용하여 수성도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도료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로서 에폭시수지계 바인더 또는 우레탄계 바인더를 사용하고, 상기 우레탄수지로서 유성우레탄계수지를 사용하여 유성도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도료 조성물.
-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가 동결방지제, 가소제, 분산제, 증점제, 소포제 및 방부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도료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18929A KR100817448B1 (ko) | 2006-02-27 | 2006-02-27 | 기능성 도료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18929A KR100817448B1 (ko) | 2006-02-27 | 2006-02-27 | 기능성 도료 조성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88981A true KR20070088981A (ko) | 2007-08-30 |
KR100817448B1 KR100817448B1 (ko) | 2008-03-27 |
Family
ID=38614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18929A KR100817448B1 (ko) | 2006-02-27 | 2006-02-27 | 기능성 도료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17448B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58995B1 (ko) * | 2007-11-23 | 2008-09-18 | 씨캠 주식회사 | 송전시설의 부식방지 및 전력손실을 방지하는 기능을 보유한 기능성도료 조성물 |
KR100914338B1 (ko) * | 2007-12-21 | 2009-08-27 | 주식회사 케이티씨 | 저수조용 고내후성 바이오세라믹 코팅제 조성물 |
KR101065796B1 (ko) * | 2009-04-30 | 2011-09-19 | (주)유창 | 불연성 도장재 및 그 제조방법 |
KR101247132B1 (ko) * | 2011-03-25 | 2013-04-0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플라스틱 부품용 항균 수성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도막의 형성방법 |
GB2515265A (en) * | 2013-05-03 | 2014-12-24 | Indentical Ltd | Resinous compositions |
CN113845815A (zh) * | 2021-08-20 | 2021-12-28 | 中烯新材料(福建)股份有限公司 | 一种军用设备用雷达隐身涂料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19415B1 (ko) * | 2009-02-23 | 2009-09-29 | (주)휴먼텍코리아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 친환경 음이온바닥재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친환경 음이온바닥재 |
KR100988839B1 (ko) * | 2010-06-21 | 2010-10-20 | 이동하 | 단열 및 결로 방지를 위한 수성 코팅제 조성물 |
CN102604532B (zh) * | 2012-03-05 | 2013-09-18 | 南京信息工程大学 | 一种高反射率涂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
KR102216170B1 (ko) | 2019-10-30 | 2021-02-16 | 한국신발피혁연구원 | 결로 방지용 코팅 수지 조성물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2256875A (ja) | 1986-05-01 | 1987-11-09 | Hoton Ceramics Kk | 赤外線放射性塗料組成物 |
JPH0873805A (ja) * | 1994-09-06 | 1996-03-19 | Nakamura Seisakusho:Kk | 弗素樹脂系コーティング剤 |
KR100373754B1 (ko) * | 2000-05-10 | 2003-02-26 | 파인세라믹스 주식회사 | 원적외선 방사용 세라믹도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세라믹도료를 이용한 건축물의 내부 시공방법 |
KR20050050683A (ko) * | 2002-12-27 | 2005-06-01 | 문인술 | 발효식품의 수중 저장고 |
-
2006
- 2006-02-27 KR KR1020060018929A patent/KR10081744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58995B1 (ko) * | 2007-11-23 | 2008-09-18 | 씨캠 주식회사 | 송전시설의 부식방지 및 전력손실을 방지하는 기능을 보유한 기능성도료 조성물 |
KR100914338B1 (ko) * | 2007-12-21 | 2009-08-27 | 주식회사 케이티씨 | 저수조용 고내후성 바이오세라믹 코팅제 조성물 |
KR101065796B1 (ko) * | 2009-04-30 | 2011-09-19 | (주)유창 | 불연성 도장재 및 그 제조방법 |
KR101247132B1 (ko) * | 2011-03-25 | 2013-04-0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플라스틱 부품용 항균 수성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도막의 형성방법 |
GB2515265A (en) * | 2013-05-03 | 2014-12-24 | Indentical Ltd | Resinous compositions |
CN113845815A (zh) * | 2021-08-20 | 2021-12-28 | 中烯新材料(福建)股份有限公司 | 一种军用设备用雷达隐身涂料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17448B1 (ko) | 2008-03-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17448B1 (ko) | 기능성 도료 조성물 | |
RU2412967C2 (ru) | Водный состав для покрытия наружных, внутренних, фасадных и кровельных поверхностей, применение наночастиц серебра (варианты), применение водного состава, способ нанесения покрытия на внутренние и наружные поверхности здания | |
KR101925220B1 (ko) | Mma 수지를 포함하는 방수, 방식, 중성화 방지용 친환경 바닥재 조성물 및 그 시공 방법 | |
KR100858517B1 (ko) | 천연광물을 이용한 페인트 및 그 제조방법 | |
KR101969960B1 (ko) | 친환경 머드 페인트 및 그 제조방법 | |
KR101030281B1 (ko) | 기능성 친환경 건축용 퍼티 | |
KR101529857B1 (ko) | 건축 자재용 소금 모르타르 조성물 | |
CN103817755A (zh) | 一种防腐阻燃原木的制备方法 | |
US7223443B2 (en) | Antimicrobial cementitious composition | |
KR101343940B1 (ko) | 천연접착제, 상기 천연접착제를 포함하는 천연내장재 접착제, 천연페인트, 이러한 천연내장재 접착제 및 천연페인트를 이용한 유해물질 차단 시공방법 | |
KR20100124396A (ko) | 기능성 숯 바름재 조성물 | |
KR101796823B1 (ko) | 기능성 건축마감재 제조방법 | |
KR100611719B1 (ko) | 왕겨숯 페인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CN107428547A (zh) | 通过湿磨制造的硼酸盐及其应用 | |
EP2150507B1 (en) | Antimicrobial cementitious composition, method and article | |
CN104858958A (zh) | 一种木材阻燃防腐处理的方法 | |
KR101883336B1 (ko) | 천연내장재 접착제, 천연페인트, 이러한 천연내장재 접착제 및 천연페인트를 이용한 유해물질 차단 내장재 시공방법 및 유해물질 차단 시공방법 | |
KR100685746B1 (ko) | 일액형 수용성 무기질 도료, 이의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 | |
KR20020079314A (ko) | 숯도료 | |
KR102444271B1 (ko) | 건강친화형 건축용 벽바름재 | |
KR100519844B1 (ko) | 식물성 추출물을 이용한 건축물 바탕 마무리용 바이오바름재 | |
KR100939539B1 (ko) | 야자액을 첨가한 친환경 건축내장용 숯도료 조성물 및 이의제조방법 | |
KR101625903B1 (ko) | 환경 친화적으로 공기 질 개선효과를 갖고 건축물의 내부도장 및 방수겸용 으로 사용되는 기능성 조성물 및 그 이용방법 | |
WO2008119867A1 (en) | Product, such as paint, for protecting structure materials | |
KR100949919B1 (ko) | 건축물내벽용 마감도료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