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8928A -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8928A
KR20070088928A KR1020060018807A KR20060018807A KR20070088928A KR 20070088928 A KR20070088928 A KR 20070088928A KR 1020060018807 A KR1020060018807 A KR 1020060018807A KR 20060018807 A KR20060018807 A KR 20060018807A KR 20070088928 A KR20070088928 A KR 200700889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t line
cell array
interlayer insulating
insulating film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8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60018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88928A/ko
Publication of KR20070088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89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30DRAM devices comprising one-transistor -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 H10B12/48Data lines or contacts therefor
    • H10B12/482Bit lin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30DRAM devices comprising one-transistor -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 H10B12/48Data lines or contacts therefor
    • H10B12/488Word lines

Landscapes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셀 어레이부와 주변부에서 서로 그 역할을 달리하는 각각의 비트라인 특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셀 어레이부와 주변부로 정의된 반도체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복수의 워드라인과, 상기 워드라인을 덮도록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층간절연막과, 상기 층간절연막 상부에 상기 셀 어레이부와 상기 주변부에서 각각 서로 다른 두께로 형성된 비트라인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를 제공한다.
셀 어레이부, 주변부, 비트라인, 캐패시턴스, 저항, 두께.

Description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비트라인이 형성된 디램 소자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반도체 소자를 도시한 단면도.
도 3a 내지 도 3c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공정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반도체 소자를 도시한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공정 단면도.
도 6은 종래기술에 따라 비트라인 형성공정이 완료된 디램 소자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비트라인 형성공정이 완료된 디램 소자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20 : 반도체 기판
11, 21 : 층간절연막
12, 24 : 금속물질
13, 22 : 포토레지스트 패턴
14, 23 : 식각공정
12a, 12b, 24a, 24b : 비트라인
15 : 하드마스크
25 : 평탄화 공정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램(DRAM) 소자에서 셀 어레이(Cell Array)부와 주변부(peri)에 각각 형성되는 반도체 소자의 비트라인 및 그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반도체 소자, 특히 디램(DRAM) 소자가 점점 고집적화 및 고속화가 되가면서 디램 셀(Cell)의 면적이 감소하고 있다. 이에 따라, 셀 캐패시턴스(capacitance)가 점점 감소하여 센싱 마진(sensing margin) 확보가 어려워지고 이로 인해 디램 셀의 리프레시(refresh) 특성 저하를 가져오게 되었다. 이러한 센싱 마진 및 리프레시 특성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서는 디램 소자를 구성하는 캐패시터의 캐패시턴스와 함께 비트라인(Bit Line)의 캐패시턴스를 감소시켜야 한다. 여 기서, 비트라인 캐패시턴스라 함은 비트라인 저부에 형성되는 절연막에 의해 발생되는 캐패시턴스를 말한다.
한편 통상적으로, 디램 소자에서 비트라인은 크게 셀 어레이(cell array)부와 그 주변부(peri)로 나뉘어 형성되는데, 이들은 그 역할이 각각 달라 각 영역별로 그 기술의 촛점이 다르다. 즉, 셀 어레이부에 형성되는 비트라인은 저항 특성보다는 캐패시턴스 특성을 개선시키는 데 그 기술의 촛점이 있고, 주변부에 형성되는 비트라인은 캐패시턴스 특성보다는 저항 특성을 개선시키는 데 그 기술의 촛점이 있는 것이다.
예컨대, 셀 어레이부(cell)에서 비트라인의 캐패시턴스 특성을 개선시키기 위해서는, 즉 비트라인의 캐패시턴스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비트라인의 면적을 감소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전체적으로 비트라인의 폭을 감소시키거나 비트라인으로 사용되는 금속물질(metal material)의 증착 두께(deposition thickness)를 감소시켜야 한다. 그러나, 비트라인의 면적을 감소시키는 데에는 한계가 있고, 비트라인의 증착 두께를 감소시키면 주변부(peri)에서 비트라인의 저항이 증가하여 디램의 고속 동작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반대로, 주변부(peri)에서 비트라인의 저항 특성을 개선시키기 위해서는, 즉 비트라인의 컨택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비트라인의 면적을 감소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전체적으로 비트라인의 폭을 증가시키거나 비트라인으로 사용되는 금속물질의 증착 두께를 증가시켜야 한다. 그러나, 이또한 비트라인의 면적을 증가시키는 데에는 한계가 있으며 비트라인의 증착 두께를 증가시키면 셀 어레이부에서 비트라인의 캐패시턴스가 증가하는 역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비트라인이 형성된 디램 소자를 도시한 단면도로써, 도 1을 참조하면, 셀 어레이부(cell)와 주변부(peri)로 정의된 반도체 기판(1) 상에 형성된 복수의 워드라인용 게이트 전극을 덮도록 형성된 층간절연막(ILD, Inter Layer Dielectric; 2)과, 층간절연막(2) 상에 셀 어레이부(cell) 및 주변부(peri)에서 서로 동일한 두께를 갖는 비트라인(3a, 3b)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셀 어레이부와 주변부에서 서로 그 역할을 달리하는 각각의 비트라인 특성을 동시에 만족시키기란 어렵다. 즉, 종래에서와 같이 동일하게 비트라인을 형성하면서 셀 어레이부에서는 비트라인의 캐패시턴스를 감소시키고 주변부에서는 비트라인의 저항을 감소시키란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셀 어레이부와 주변부에서 서로 그 역할을 달리하는 각각의 비트라인 특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셀 어레이부와 주변부로 정의된 반도체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복수의 워드라인과, 상기 워드라인을 덮도록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층간절연막과, 상기 층간절연막 상 부에 상기 셀 어레이부와 상기 주변부에서 각각 서로 다른 두께로 형성된 비트라인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셀 어레이부와 주변부로 정의되고 워드라인 형성공정이 완료된 반도체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워드라인을 덮도록 상기 기판 상에 층간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층간절연막 상부에 서로 다른 두께의 비트라인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렇듯, 본 발명은 셀 어레이부와 그 주변부에 형성되는 비트라인의 두께를 서로 다르게 조절하여 형성함으로써, 셀 어레이부와 주변부에서 서로 그 역할을 달리하는 각각의 비트라인 특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다. 따라서, 비트라인의 센싱 마진 확보와 리프레시 특성 향상 및 고속 동작 실현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되어진 것이며, 층이 다른 층 또는 기판 "상"에 있다고 언급되어지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층 또는 기판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층이 개재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는 표시된 부분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실시예1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반도체 소자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일례로, 비트라인을 포함하는 디램 소자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반도체 소자는 셀 어레이부(cell)와 주변부(peri)로 정의된 반도체 기판(10) 상에 형성된 복수의 워드라인용 게이트 전극(미도시)과, 게이트 전극을 절연시키기 위해 게이트 전극을 덮도록 기판(10) 상에 단차 없이 형성된 층간절연막(ILD : Inter Layer Dielectric, 11)과, 층간절연막(11) 상에 셀 어레이부(cell)와 주변부(peri)에서 높이 단차를 갖도록 각 영역별로 서로 다른 두께로 형성된 비트라인(12a, 12b)으로 구성된다.
특히, 비트라인(12a, 12b)은 셀 어레이부(cell)에 형성되는 비트라인(12a)의 두께가 주변부(peri)에 형성되는 비트라인(12b)의 두께보다 얇은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데, 바람직하게 셀 어레이부(cell)의 비트라인(12a)이 주변부(peri)의 비트라인(12b)보다 약 10~100Å정도 얇은 두께를 갖는다.
이렇듯,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르면 셀 어레이부(cell) 및 주변부(peri)에 각각 형성되는 비트라인(12a, 12b)의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즉 셀 어레이부(cell)의 비트라인(12a)이 주변부(peri)의 비트라인(12b)보다 얇은 두께를 갖도록 함으로써 셀 어레이부(cell)에서는 비트라인(12a)의 캐패시턴스를 감소시켜 디램 셀의 리프레시 특성을 향상시키고 주변부(peri)에서는 비트라인(12b)의 컨택 저항을 감소시켜 고속 동작을 실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반도체 소자는 각 영역별로 서로 다른 두께 를 갖는 비트라인(12a, 12b)으로 인해 형성된 높이 단차를 제거하기 위하여 비트라인(12a, 12b) 상에 단차 없이 형성된 평탄화용 하드마스크(15)를 더 포함한다.
이때, 비트라인은 텅스텐(W) 또는 구리(Cu)와 같은 금속물질로 형성되고, 층간절연막은 HDP(High Density Plasma) 산화막, BPSG(Boron Phosphorus Silicate Glass)막, PSG(Phosphorus Silicate Glass)막, PETEOS(Plasma Enhanced Tetra Ethyle Ortho Silicate)막, PECVD(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막, USG(Un-doped Silicate Glass)막, FSG(Fluorinated Silicate Glass)막, CDO(Carbon Doped Oxide)막 및 OSG(Organic Silicate Glass)막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단층막 또는 이들이 적층된 적층막으로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 어레이부(cell)와 그 주변부(peri)로 정의된 기판(10) 상에 워드라인 형성공정을 진행한다. 예컨대, 기판(10) 상에 복수의 워드라인용 게이트 전극(미도시)을 형성하고, 소스/드레인 형성공정을 진행하여 기판(10) 내에 소스/드레인(미도시)을 형성한다.
이어서, 게이트 전극을 서로 절연시키기 위해 기판(10) 상에 게이트 전극을 덮는 층간절연막(11)을 형성한다. 여기서, 층간절연막(11)은 산화막 계열의 물질로 형성한다. 예컨대, 층간절연막(11)은 HDP 산화막, BPSG막, PSG막, PETEOS막, PECVD막, USG막, FSG막, CDO막 및 OSG막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단층막 또는 이들이 적층된 적층막으로 형성한다. 바람직하게, 층간절연막(11)은 4000~8000Å의 두께로 증착한다.
이어서, 층간절연막(11) 상부에 비트라인 형성물질을 증착한다. 예컨대, 텅스텐 또는 구리와 같은 금속물질(12)을 증착한다. 바람직하게, 금속물질(12)은 200~800Å의 두께로 증착한다.
이어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물질(12, 도 3a 참조) 상에 포토레지스트(미도시)를 도포한 후, 포토 마스크(미도시)를 이용한 노광 및 현상공정을 실시하여 포토레지스트 패턴(13)을 형성한다. 여기서, 포토레지스트 패턴(13)은 셀 어레이부(cell)를 개방(open)시키는 구조로 형성한다.
이어서, 포토레지스트 패턴(13)을 마스크(mask)로 이용한 식각공정(14)을 실시하여 노출된 셀 어레이부(cell)의 금속물질(12)을 일정 두께 식각한다. 바람직하게는, 식각공정(14)은 셀 어레이부(cell)의 금속물질(12)을 선택적으로 약 10~100Å의 두께만큼 식각한다. 이로써, 셀 어레이부(cell)와 주변부(peri)에서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 비트라인(12a, 12b)이 각각 형성된다.
이어서,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립(strip) 공정을 실시하여 포토레지스트 패턴(13, 도 3b 참조)을 제거한다. 그런 다음, 비트라인(12a, 12b)으로 인해 형성된 높이 단차를 제거하기 위하여 비트라인(12a, 12b) 상에 단차 없는 평탄화용 하드마스크(15)를 형성한다. 예컨대, 비트라인(12a, 12b)을 덮도록 두껍게 하드마스크(15)를 약 2000~5000Å의 두께로 증착한 후, CMP(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공정을 실시하여 하드마스크(15)를 약 1000~4000Å 정도 식각함으로써 하드마스크(15)의 상부 표면을 평탄화한다.
실시예2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반도체 소자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일례로, 비트라인을 포함하는 디램 소자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반도체 소자는 실시예1에서와 같이 비트라인이 셀 어레이부와 주변부에서 각각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다는 기술적 특징은 동일하되, 비트라인 저부의 층간절연막의 단차로 인해 비트라인이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다는 것만이 다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효과는 실시예1에 따른 효과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효과에 대한 언급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반도체 소자는 셀 어레이부(cell)와 주변부(peri)로 정의된 반도체 기판(20) 상에 형성된 복수의 워드라인용 게이트 전극(미도시)과, 게이트 전극을 절연시키기 위해 게이트 전극을 덮도록 기판(20) 상에 형성되되, 셀 어레이부(cell)와 주변부(peri) 간에 높이 단차를 갖도록 각 영역별로 서로 다른 두께로 형성된 층간절연막(21)과, 셀 어레이부(cell)와 주변부(peri)에서 서로 다른 두께를 갖도록 층간절연막(21) 상에 단차 없이 형성된 비트라인(24a, 24b)으로 구성된다.
특히, 비트라인(24a, 24b)은 셀 어레이부(cell)에 형성되는 비트라인(24a)의 두께가 주변부(peri)에 형성되는 비트라인(24b)의 두께보다 얇은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데, 바람직하게 셀 어레이부(cell)의 비트라인(12a)이 주변부(peri)의 비트라인(12b)보다 약 10~500Å정도 얇은 두께를 갖는다.
이때, 비트라인은 텅스텐 또는 구리와 같은 금속물질로 형성되고, 층간절연 막은 실시예1과 동일하게 산화막 계열의 물질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 어레이부(cell)와 그 주변부(peri)로 정의된 기판(20) 상에 워드라인 형성공정을 진행한다. 예컨대, 기판(20) 상에 복수의 워드라인용 게이트 전극(미도시)을 형성하고, 소스/드레인 형성공정을 진행하여 기판(20) 내에 소스/드레인(미도시)을 형성한다.
이어서, 게이트 전극을 서로 절연시키기 위해 기판(20) 상에 게이트 전극을 덮는 층간절연막(21)을 형성한다. 여기서, 층간절연막(21)은 산화막 계열의 물질로 형성한다. 바람직하게, 층간절연막(21)은 4000~8000Å의 두께로 증착한다.
이어서, 층간절연막(21) 상에 포토레지스트(미도시)를 도포한 후, 포토 마스크(미도시)를 이용한 노광 및 현상공정을 실시하여 포토레지스트 패턴(22)을 형성한다. 여기서, 포토레지스트 패턴(22)은 주변부(peri)를 개방시키는 구조로 형성한다.
이어서, 포토레지스트 패턴(22)을 마스크로 이용한 식각공정(23)을 실시하여 노출된 주변부(peri)의 층간절연막(21)을 일정 두께 식각한다. 바람직하게, 층간절연막(21)을 10~500Å 두께만큼 식각한다. 이로써, 주변부(peri)의 층간절연막(21) 두께가 셀 어레이부(cell)의 층간절연막(21) 두께보다 얇게 된다.
이어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립 공정을 실시하여 포토레지스트 패턴(22, 도 5a 참조)을 제거한다. 그런 다음, 층간절연막(21)으로 인해 형성된 단 차를 따라 일정 두께의 비트라인 형성물질을 증착한다. 예컨대, 텅스텐 또는 구리와 같은 금속물질(24)을 증착한다. 바람직하게, 금속물질(24)은 100~800Å의 두께로 증착한다.
이어서,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치백(etch-back) 또는 CMP와 같은 평탄화공정(25)을 실시하여 금속물질(24, 도 5b 참조)을 10~500Å의 두께만큼 식각한다. 이로써, 상부 표면이 단차 없이 편평하되 셀 어레이부(cell)와 주변부(peri)에서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 비트라인(24a, 24b)이 각각 형성된다. 즉, 셀 어레이부(cell)에서의 두께가 주변부(peri)에서의 두께보다 얇은 비트라인(24a, 24b)이 형성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기존의 비트라인과 본 발명에 따른 비트라인의 차이점을 명백히 알 수 있다. 도 6은 종래기술에 따라 비트라인 형성공정이 완료된 디램 소자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비트라인 형성공정이 완료된 디램 소자를 도시한 단면도로써, 도 6 및 도 7의 'A' 부위를 참조하면 기존에는 셀 어레이부(cell)와 주변부(peri)에서 비트라인(BL)이 서로 동일한 두께를 갖는데 반하여 본 발명에서는 셀 어레이부(cell)와 주변부(peri)에서 비트라인(BL)이 서로 다른 두께를 갖고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셀 어레이부(cell)와 주변부(peri)에 각각 형성되는 비트라인의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반도체 소자의 특성을 개선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 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셀 어레이부의 비트라인이 주변부의 비트라인보다 얇은 두께를 갖도록 함으로써 셀 어레이부에서는 비트라인의 캐패시턴스를 감소시켜 디램 셀의 리프레시 특성을 향상시키고 주변부에서는 비트라인의 컨택 저항을 감소시켜 고속 동작을 실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셀 어레이부와 주변부에 비트라인을 동시에 형성하면서 셀 어레이부와 주변부에서 서로 그 역할을 달리하는 각각의 비트라인 특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다.

Claims (17)

  1. 셀 어레이부와 주변부로 정의된 반도체 기판;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복수의 워드라인;
    상기 워드라인을 덮도록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층간절연막;
    상기 층간절연막 상부에 상기 셀 어레이부와 상기 주변부에서 각각 서로 다른 두께로 형성된 비트라인
    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셀 어레이부와 상기 주변부 간의 상기 비트라인 단차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비트라인 상부에 단차 없이 형성된 평탄화용 하드마스크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층간절연막은 상기 셀 어레이부와 상기 주변부 간에 높이 단차를 갖도록 상기 셀 어레이부와 상기 주변부에서 서로 다른 두께로 형성된 반도체 소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라인은 상기 층간절연막의 높이 단차가 제거되도록 상기 층간절연막 상에 단차 없이 형성된 반도체 소자.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라인은 상기 셀 어레이부에서보다 상기 주변부에서 더 두꺼운 두께를 갖는 반도체 소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라인은 상기 셀 어레이부에보다 상기 주변부에서 10~500Å 더 두꺼운 두께를 갖는 반도체 소자.
  7. 셀 어레이부와 주변부로 정의되고 워드라인 형성공정이 완료된 반도체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워드라인을 덮도록 상기 기판 상에 층간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층간절연막 상부에 서로 다른 두께의 비트라인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다른 두께의 비트라인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층간절연막 상 전면에 비트라인을 증착하는 단계; 및
    상기 비트라인이 상기 셀 어레이부와 상기 주변부 간에 높이 단차를 갖도록 상기 셀 어레이부의 상기 비트라인을 일정 두께 식각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라인을 일정 두께 식각한 후,
    상기 비트라인으로 인해 형성된 높이 단차가 제거되도록 상기 비트라인 상에 평탄화용 하드마스크를 단차 없이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마스크를 단차 없이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비트라인 상에 상기 하드마스크를 일정 두께로 증착하는 단계; 및
    상기 하드마스크의 단차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하드마스크를 평탄화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라인의 증착 두께는 200~800Å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셀 어레이부의 비트라인의 식각 두께는 10~100Å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다른 두께의 비트라인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층간절연막을 일정 두께로 증착하는 단계;
    상기 층간절연막이 상기 셀 어레이부와 상기 주변부 간에 높이 단차를 갖도록 상기 주변부의 상기 층간절연막을 일정 두께 식각하는 단계; 및
    상기 층간절연막의 높이 단차가 제거되도록 상기 층간절연막 상에 단차 없는 비트라인을 형성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층간절연막의 증착 두께는 4000~8000Å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부의 층간절연막의 식각 두께는 10~500Å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 없는 비트라인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층간절연막 상에 일정 두께로 상기 비트라인을 증착하는 단계; 및
    상기 비트라인의 단차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비트라인을 평탄화하는 단계
    로 이루어진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라인의 증착 두께는 100~800Å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20060018807A 2006-02-27 2006-02-27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889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8807A KR20070088928A (ko) 2006-02-27 2006-02-27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8807A KR20070088928A (ko) 2006-02-27 2006-02-27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8928A true KR20070088928A (ko) 2007-08-30

Family

ID=38614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8807A KR20070088928A (ko) 2006-02-27 2006-02-27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8892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6768B1 (ko) * 2007-09-28 2009-01-0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6768B1 (ko) * 2007-09-28 2009-01-0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13967B1 (en) Memor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9263452B2 (en) Reservoir capacitor of semiconductor device
CN110061001B (zh) 半导体元件及其制作方法
US7772065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cluding a contact with different upper and bottom surface diameter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3605493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20030003906A (ko) 반도체 소자의 콘택 형성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반도체메모리 소자
KR20090008675A (ko) 반도체 장치의 배선 구조물 및 이의 형성 방법
TWI549301B (zh) 垂直式電晶體結構與形成垂直式電晶體結構接觸節點的方法
KR20020061713A (ko) 다중층의 스토리지 노드 콘택 플러그를 갖는 반도체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20100148228A1 (en) Semicondu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100443917B1 (ko) 다마신 게이트 및 에피택셜공정을 이용한 반도체메모리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US10985262B2 (en) Semiconductor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070088928A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02783A (ko)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TWI799029B (zh) 半導體裝置與其製造方法
JP2013030698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0832018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0702837B1 (ko) 반도체소자 제조방법
KR20070082674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0844939B1 (ko) 미세 선폭의 게이트 라인을 구비한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20060135194A (ko)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KR20100116454A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03306A (ko) 반도체 장치의 랜딩 플러그 제조 방법
KR20080008074A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그 형성방법
KR20070031678A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