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7715A - 탭핑된 몰드의 폴리머 주입 방법 및 몰드용 테이프 - Google Patents

탭핑된 몰드의 폴리머 주입 방법 및 몰드용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7715A
KR20070087715A KR1020050060630A KR20050060630A KR20070087715A KR 20070087715 A KR20070087715 A KR 20070087715A KR 1020050060630 A KR1020050060630 A KR 1020050060630A KR 20050060630 A KR20050060630 A KR 20050060630A KR 20070087715 A KR20070087715 A KR 200700877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polymer
mold
starting position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0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병직
Original Assignee
민병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병직 filed Critical 민병직
Priority to KR1020050060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87715A/ko
Publication of KR20070087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77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432Auxiliary operations, e.g. machines for filling the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4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moulding surface, e.g. ribs or grooves
    • B29C33/424Moulding surfaces provided with means for marking or patter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7Mould cavity walls, i.e. the inner surface forming the mould cavity, e.g. linings
    • B29C45/372Mould cavity walls, i.e. the inner surface forming the mould cavity, e.g. linings provided with means for marking or patterning, e.g. number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413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made by moulding between two mould parts which are not in direct contact with one another, e.g. comprising a seal between or on the 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7/00Component parts, 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not covered by group B29C33/00 or B29C35/00
    • B29C2037/80Identifying, e.g. coding, dating, marking, numb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격시킨 몰드의 외측에 테이프를 붙인 후 몰드 사이에 폴리머를 주입하여 안경렌즈를 제작함에 있어서, 테이프를 떼었다 붙일 때 내장된 폴리머가 테이프 틈새로 흐르게 되어 안경렌즈의 성형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탭핑된 몰드의 폴리머 주입 방법 및 폴리머 주입구가 형성된 몰드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몰드를 일정거리가 이격되게 한 상태에서 외측을 접착 고정시키는 테이프에 시작위치에서 일정거리를 이격시켜 폴리머 주입구를 형성하므로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폴리머 주입시 테이프를 일부 떼어내되 폴리머 주입구는 노출되고 테이프의 시작위치는 노출되지 않는 위치까지 떼어내도록 하고, 이 상태에서 폴리머 주입구로 폴리머를 주입한 후 주변을 테이프로 접착시킴으로서 폴리머 주입이 완료되게 된다.
몰드, 폴리머, 렌즈불량, 테이프

Description

탭핑된 몰드의 폴리머 주입 방법 및 몰드용 테이프{omitted}
도 1은 테이프를 부착시킨 몰드의 사시도
도 2는 몰드에 부착된 테이프를 일부 떼어낸 상태의 몰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 정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 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 요부 측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 테이프 평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 테이프 정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으 다른 실시예 정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 테이프 평면도
도 12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 사시도
도 1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 테이프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1 : 몰드 20 : 테이프
21 : 접음부위 22 : 시작위치
23 : 떼어낸 위치 25,25a,25b : 폴리머 주입구
본 발명은 이격시킨 몰드의 외측에 테이프를 붙인 후 몰드 사이에 폴리머를 주입하여 안경렌즈를 제작함에 있어서, 테이프를 떼었다 붙일 때 내장된 폴리머가 테이프 틈새로 흐르게 되어 안경렌즈의 성형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탭핑된 몰드의 폴리머 주입 방법 및 폴리머 주입구가 형성된 몰드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안경렌즈를 제작하기 위하여 한 쌍의 몰드(10)(11)를 공급받아 몰드(10)(11) 사이의 이격거리 즉 제조될 플라스틱 렌즈의 중심두께만큼 이격시킨 후 몰드(10)(11)의 외측을 테이프(20)로 붙여주도록 하는 탭핑기가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 몰드(10)(11)의 외측에 부착되는 테이프(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20)의 시작위치(22)를 지나 곳까지 테이프(20)가 붙여지게 되고, 상기 테이프(20)의 끝부분은 떼어 내기가 용이하게 접착부위를 겹쳐서 접음부위(21)를 형성하게 된다.
이 같이 몰드(10)(11)의 외측에 테이프(20)가 감기게 되면 몰드(10)(11) 사이에 폴리머를 주입하여야 하며, 이를 위하여 테이프(20)를 일부 떼어내되 테이프(20)의 시작위치(22)를 지나서 떼어낸 위치(23)까지 테이프(20)를 떼어주어야 몰드(10)(11)의 내측으로 폴리머를 주입할 수 있게 되며, 폴리머의 주입 후 다시 테이 프(20)를 붙여주어야만 한다.
그러나 상기의 과정에서 폴리머를 주입할 때 테이프(20)를 시작위치(22)를 지나서까지 떼어주게 되면 테이프(20)를 다시 붙이더라도 폴리머가 테이프(20)의 시작위치(22)에서 누출되는 경우가 발생하며, 이 같이 폴리머가 누출되면 안경렌즈 불량이 발생하는 것이었다.
테이프(20)가 공지된 탭핑기(실용신안등록254800호)에 의해 몰드(10)(11)의 외측에 부착될 때는 롤러에 의해 단단히 붙여지게 되므로 테이프(20)의 시작위치(22)를 테이프(20)가 겹쳐서 부착되더라도 테이프(20)의 시작위치(22)에서 폴리머가 누출될 이유가 없으나, 폴리머를 주입하기 위하여 테이프(20)를 일부 떼어낼 때 시작위치(22)를 지나서까지 떼어내게 되고, 폴리머 주입후 테이프(20)를 다시 붙일 때 힘을 가하여 테이프(20)의 시작위치(22)에 겹쳐지는 테이프 부위를 단단히 눌러주지 않는 한 테이프(20)의 시작위치(22)를 외측에서 감싸는 부위에는 틈이 발생하게 되고, 이 틈새로 폴리머가 새게 되어 안경렌즈가 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테이프(20)를 시작위치(22)를 지난위치까지 떼어내고 폴리머를 주입할 때 폴리머가 정확히 몰드(10)(11)의 내부에 채워지는지는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르게 되며 일부라도 폴리머가 표면장력에 의해 돌출되어 있게 되면 테이프(20)를 다시 붙일 때 돌출된 폴리머가 몰드(10)(11)의 외측으로 밀리게 되면서 몰드(10)(11)와 테이프(20)의 접착력을 떨어뜨리게 되고 이런 상태로 안경렌즈가 경화되면 폴리머의 누출로 인한 불량이 발생하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안경렌즈를 제조하기 위하여 일정거리를 이격시킨 몰드의 외측을 테이프로 감싼 후 테이프를 일부 떼어내고 몰드 사이에 폴리머를 주입하고 다시 테이프를 붙여줌에 있어서, 테이프에 폴리머 주입구를 형성시켜 테이프의 시작위치까지 테이프를 떼어내지 않고 폴리머 주입구를 통하여 폴리머 주입시킴으로서 폴리머의 누출로 인한 안경렌즈의 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몰드를 일정거리가 이격되게 한 상태에서 외측을 접착 고정시키는 테이프에 시작위치에서 일정거리를 이격시켜 폴리머 주입구를 형성하므로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폴리머 주입시 테이프를 일부 떼어내되 폴리머 주입구는 노출되고 테이프의 시작위치는 노출되지 않는 위치까지 떼어내도록 하고, 이 상태에서 폴리머 주입구로 폴리머를 주입한 후 주변을 테이프로 접착시킴으로서 폴리머 주입이 완료되게 된다.
본 발명은 안경렌즈를 제작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몰드(10)(11)의 외측을 붙여주는 테이프(20)에 관한 것으로, 일정거리를 이격시킨 몰드(10)(11)의 외측을 테이프(20)로 감싸주게 하되 상기 테이프(20)로 몰드(10)(11)를 감아주는 초기위치(22)를 조금 지난 위치에 폴리머 주입구(25)를 형성시키고, 상기 폴리머 주입구(25)는 몰드(10)(11)의 외측에 감싸는 테이프(20)에 의해 막혀질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폴리머 주입구(25)를 지난 위치까지 붙여진 테이프(20)는 선단을 접어주어 쉽게 뗄 수 있도록 접음부위(21)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테이프(20)는 도 3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몰드(10)(11)에 감아주는 시작위치(22)에서 일정거리를 이격시켜 폴리머 주입구(25)를 형성시키게 되는 것으로, 상기 폴리머 주입구(25)의 형상은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며, 다만 테이프(20)가 몰드(10)(11)에 감길 때 시작위치(22)를 지나 폴리머 주입구(25)를 막아주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머 주입구(25)는 두 개 이상을 형성시키도록 하여 자동화로 제품을 생산할 때 폴리머 주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테이프(20)에 형성되는 폴리머 주입구(25a)는 도 9내지 도 11과 같이 U자 형상을 갖도록 하여 원형과 같이 완전히 테이프(20)를 절단하지 않고 일부는 테이프(20)에 그대로 붙어있는 상태로 폴리머 주입구(25a)를 형성시킬 수 있으며, 상기 U자형 폴리머 주입구(25a)에서 완전히 절단해 내지 않은 테이프는 외측에 감겨진 테이프(20)를 떼어낼 때 테이프(20)에 붙어져 떼어지게 된다.
상기 테이프(20)에는 도 12 및 도 13과 같이 V자 형상의 폴리머 주입구(25b)를 형성시켜도 무방한 것으로, 몰드(10)(11)에 테이프(20)를 감게되면 테이프(20)의 시작위치(22)까지 테이프(20)를 떼어내지 않고 폴리머 주입구(25b)가 노출될 때까지만 테이프(20)를 떼어낸 후 폴리머를 주입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에도 테이프(20)의 시작위치(22)에서 몰드()의 측면에 직접 부착되는 부위는 노출되지 않게 떼어낸 위치(23)까지만 테이프(20)를 떼어내고 폴리머의 주입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테이프(20)를 사용하는 방법은 몰드(10)(11)의 외측을 감싸게 접착시킨 테이프(20)의 일부를 떼어내되 상기 테이프(20)의 시작위치(22)까지 떼어내지 않고 폴리머 주입구(25)(25a)(25b)만 노출된 상태로 떼어내고, 상기 폴리머 주입구(25)(25a)(25b)로 폴리머를 주입한 후 폴리머 주입구(25)(25a)(25b)를 테이프(20)로 붙여 주므로서 이루어진다.
즉 폴리머를 주입하기 위하여 테이프(20)를 떼어낼 때 몰드(10)(11)에 테이프(20)가 붙기 시작하는 시작위치(22)는 드러나지 않게 테이프(20)의 일부를 떼어 내되 폴리머 주입구(25)(25a)(25b)만 드러나게 떼어낸 위치(23)가 위치되게 하고, 폴리머 주입구(25)(25a)(25b)로 폴리머를 주입한 후에는 폴리머 주입구(25)(25a)(25b)를 원래와 같이 테이프(20)로 붙여주면 된다.
이때 테이프(20)의 시작위치(22) 즉 테이프(20)가 몰드(10)(11)의 측면에 붙기 시작하는 위치가 드러나지 않게 테이프(20)를 벗겨 주므로서 시작위치(22)에서 테이프(20)가 완전히 접착되지 못하여 폴리머가 누출되는 사고를 벗어나게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을 상세히 살펴본다.
두 개의 몰드(10)(11)를 일정거리 만큼 이격시킨 후 몰드(10)(11)의 외측을 테이프(20)로 감싸주고 테이프(20)의 끝을 일부 겹쳐지게 접음부위(21)를 형성하여 테이프(20)를 쉽게 떼어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은 공지의 탭핑기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상기 테이프(20)가 몰드(10)(11)의 외측에 붙을 때 롤러로 눌러주며 붙여주게 되어 몰드(10)(11)의 외측에 붙어있는 테이프(20)와 몰드(10)(11) 사이에는 틈새가 발생하지 않는 밀봉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된 바와 같이 탭핑기를 이용하여 몰드(10)(11)에 테이프(20)를 붙여줄 때 테이프(20)의 시작위치(22)에서 일부 지난 위치에 폴리머 주입구 (25)(25a)(25b)를 형성시켜 주므로서 테이프(20)를 몰드(10)(11)에 감게 되면 시작위치(22)를 지나서 폴리머 주입구(25)(25a)(25b)가 위치하게 하고, 상기 폴리머 주입구(25)(25a)(25b)는 한바퀴를 돌아 감겨지는 테이프(20)에 의해 막혀지게 된다.
여기서 폴리머 주입구(25)(25a)(25b)는 탭핑기에서 몰드(10)(11)에 감긴 테이프(20)를 절단할 때 형성되게 하는 것으로, 폴리머 주입구(25)(25a)(25b)가 형성된 후 테이프(20)가 절단되게 하면 된다.
상기 폴리머 주입구(25)(25a)(25b)의 형상 및 토양은 변화가 가능하며, 폐쇄적 형상 또는 개방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V자 형상과 같이 개방되어 있을 경우 테이프(20)를 V자의 일부만 떼어주고 실질적으로 몰드(10)(11)의 측면에 접착된 부위는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폴리머 주입구(25a)가 U자 형상을 갖도록 할 경우 테이프(20)가 완전 절단되지 않고 형성되나 폴리머를 주입하기 위하여 테이프(20)를 떼어낼 때 절단되지 않은 테이프가 떨어지게 되어 폴리머 주입에는 하등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즉 폴리머를 주입하기 위하여 테이프(20)를 떼어낼 때 기존과 같이 테이프(20)의 시작위치(22)가 노출되게 테이프(20)를 떼어낸 후 폴리머를 주입하고 테이프(20)를 붙여주게 되면 테이프(20)와 몰드(10)(11)가 접착되는 부위를 꼼꼼하게 눌러 가며 붙여주지 않는 한 몰드(10)(11)와 테이프(20)의 접착부위 즉 시작위치(22)에서 틈새가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폴리머의 누출이 발생하여 안경렌즈의 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폴리머를 주입하기 위하여 테이프(20)를 떼어 낼 때 시작위치(22)가 노출되기 전 폴리머 주입구(25)(25a)(25b)가 노출되게 테이프(20)를 떼어내고 폴리머 주입구(25)(25a)(25b)를 통하여 폴리머를 주입한 후 폴리머 주입구(25)(25a)(25b)를 테이프(20)로 붙여주도록 하는 것으로, 폴리머 주입구(25)(25a)(25b) 주변이 테이프(20)에 의해 밀착이 되어 폴리머 누출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폴리머 주입구(25)(25a)(25b)를 이용하여 폴리머를 주입할 때 몰드(10)(11)를 약간 기울여 주입이 이루어지게 하고 거의 다 주입이 될 때 몰드(10)(11)를 똑바로 세워 몰드(10)(11)사이에 공기가 유입되지 않으면서 폴리머만 주입되게 하는 한편 폴리머 주입구(25)(25a)(25b)를 통하여 폴리머가 넘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입한다.
본 발명은 몰드(10)(11)의 외측에 접착되는 테이프(20)가 시작위치(22)에서 한바퀴 돌아 시작위치(22)를 일정거리만큼 지난 위치까지 테이프(20)가 부착되게 하되 폴리머를 주입할 때 테이프(20)의 시작위치(22)까지 떼어주지 않아도 폴리머를 주입할 수 있는 폴리머 주입구(25)(25a)(25b)가 노출되는 떼어낸 위치(23)까지 테이프(20)을 떼내 주도록 하므로서 폴리머 주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한편 테이프(20)를 다시 붙일 때 테이프(20)끼리 붙게 되어 폴리머가 누출되지 않게 된다.
특히 테이프(20)와 몰드(10)(11)의 측면 접착 부위가 탭핑기에서 접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테이프(20)의 시작위치(22)를 노출시키지 않아 테이프(20)의 시작위치(22)에서 폴리머가 누출되는 불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안경렌즈를 제조하기 위한 몰드의 외측에 붙여진 테이프가 시작위치를 노출시키지 않은 상태로 테이프를 떼낸 후 폴리머 주입구를 통하여 폴리머를 주입하고 테이프를 다시 붙이도록 하는 것으로, 폴리머가 테이프의 시작위치 부위에서 누출되지 않아 불량 발생율을 크게 줄일 수 있는 것이다.

Claims (6)

  1. 몰드(10)(11)의 외측을 감싸게 접착시킨 테이프(20)의 일부를 떼어내되 상기 테이프(20)의 시작위치(22)까지 떼어내지 않고 폴리머 주입구(25)만 노출된 상태로 떼어내고, 상기 폴리머 주입구(25)로 폴리머를 주입한 후 폴리머 주입구(25)를 테이프(20)로 붙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탭핑된 몰드의 폴리머 주입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테이프(20)를 일부 떼어낼 때 테이프(20)의 시작위치(22)가 노출되지 않고 폴리머 주입구(25)만 노출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탭핑된 몰드의 폴리머 주입 방법.
  3. 몰드(10)(11)의 외측에 감겨지는 테이프(20)는 시작위치(22)에서 일정거리를 이격시켜 폴리머 주입구(25)를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용 테이프.
  4. 제3항에 있어서, 폴리머 주입구(25)는 테이프(20)를 떼어낼 때 시작위치(22)가 노출되기 전의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용 테이프.
  5. 제3항에 있어서, 폴리머 주입구(25)는 U자형 폴리머 주입구(25a) 또는 V자형 폴리머 주입구(25b)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용 테이프.
  6. 제3항에 있어서, 폴리머 주입구(25)는 두 개 내지 3 개를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용 테이프.
KR1020050060630A 2005-07-06 2005-07-06 탭핑된 몰드의 폴리머 주입 방법 및 몰드용 테이프 KR200700877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0630A KR20070087715A (ko) 2005-07-06 2005-07-06 탭핑된 몰드의 폴리머 주입 방법 및 몰드용 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0630A KR20070087715A (ko) 2005-07-06 2005-07-06 탭핑된 몰드의 폴리머 주입 방법 및 몰드용 테이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7715A true KR20070087715A (ko) 2007-08-29

Family

ID=38613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0630A KR20070087715A (ko) 2005-07-06 2005-07-06 탭핑된 몰드의 폴리머 주입 방법 및 몰드용 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8771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4188B1 (ko) * 2006-01-20 2008-08-26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성형용 몰드의 성형 방법 및 그 성형 장치, 플라스틱렌즈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장치
KR101383132B1 (ko) * 2012-08-17 2014-04-08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안경 렌즈용 모노머 자동 주입장비 및 이를 이용한 안경렌즈 생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4188B1 (ko) * 2006-01-20 2008-08-26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성형용 몰드의 성형 방법 및 그 성형 장치, 플라스틱렌즈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장치
US8262951B2 (en) 2006-01-20 2012-09-11 Seiko Epson Corporation Mold forming method and apparatus, and plastic lens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
KR101383132B1 (ko) * 2012-08-17 2014-04-08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안경 렌즈용 모노머 자동 주입장비 및 이를 이용한 안경렌즈 생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48949B2 (ja) リチウム二次電池のエッジバンディング方法
JP4957196B2 (ja) 成型用モールドの成形方法及びその成形装置、プラスチックレンズ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EP0606118A2 (fr) Procédé de fabrication d'une carte en matière plastique
JPH11245259A (ja) レンズの製造方法、レンズの製造装置及びレンズ
JP2007216665A5 (ko)
WO2008072050A3 (en) Part manufacturing method, part, and tank
WO2008145938A3 (fr) Procede et dispositif de surmoulage d'un element vitre par une portion de joint comportant un insert, vitrage et insert notamment pour ce procede.
KR20070087715A (ko) 탭핑된 몰드의 폴리머 주입 방법 및 몰드용 테이프
TW201020100A (en) Film joint and a splicing tape for forming such film connection joint, and method for joining films by such splicing tape
JP2015180542A (ja) プラスチックレンズの製造方法
JP2002028950A (ja) モールドコイ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H01118334A (ja) 鋳造用消失性模型の接着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装置
EP3213900A1 (en) Molding method and molding die for molded article
CN106881827B (zh) 一种外部气体辅助注塑模具的密封方法以及模具
KR200398475Y1 (ko) 몰드용 테이프
JP5358640B2 (ja) Ofケーブル補修装置および補修方法
KR20110106798A (ko) 대형 수지철판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얻어진 대형 수지철판
JP4268897B2 (ja) 型内塗装成形方法及び型内塗装成形用金型
JP2015051598A (ja) カウルルーバーにおける遮熱リブ成形方法
JP2000078737A (ja) ケーブル端末部のモールド成形法
JP2003231135A (ja) 眼鏡用プラスチックレンズの注型重合方法
JP3549467B2 (ja) 複合成形品の成形方法
CN105835450A (zh) 面板背胶及其使用方法
CN206750238U (zh) 手机辅助贴膜器
JPH08179334A (ja)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70125

Effective date: 20070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