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5882A - 식기 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5882A
KR20070085882A KR1020077012878A KR20077012878A KR20070085882A KR 20070085882 A KR20070085882 A KR 20070085882A KR 1020077012878 A KR1020077012878 A KR 1020077012878A KR 20077012878 A KR20077012878 A KR 20077012878A KR 20070085882 A KR20070085882 A KR 200700858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hwasher
sorption
washing
wash
compar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2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헬무트 예르크
카이 파인트너
Original Assignee
베에스하 보쉬 운트 지멘스 하우스게랫테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에스하 보쉬 운트 지멘스 하우스게랫테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베에스하 보쉬 운트 지멘스 하우스게랫테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70085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58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91Recovery arrangements, e.g. for the recovery of energy or wa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47L15/481Drying arrangements by using water absorbent materials, e.g. Zeolit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척칸(2)과, 세척액을 사용하여 식기를 세척하기 위한 장치들과, 수착 건조 장치를 구비한 식기 세척기(1)에 관한 것이며, 수착 건조 장치는 세척칸의 배출부(5) 및 세척칸의 유입부(8)를 통해 공기 안내식으로 세척칸과 연결되고 가역적으로 탈수 가능한 물질(11)을 갖는 수착 기둥(10)을 포함하며, 수착 건조 장치(21)는 세척칸 벽(22)과 식기 세척기(1)의 외부 하우징 벽(23) 사이에 배치된다.
식기 세척기, 세척칸, 세척액, 수착 기둥, 수착 건조 장치

Description

식기 세척기 {Dishwasher}
본 발명은 세척칸과, 세척액을 사용하여 식기를 세척하기 위한 장치들과, 수착 건조 장치를 구비한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이며, 수착 건조 장치는 세척칸의 배출부 및 세척칸의 유입부를 통해 공기 안내식으로 세척칸과 연결되고 가역적으로 탈수 가능한 물질을 포함한다.
종래의 식기 세척기는 공지된 바와 같이 프로그램 과정이 일반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부분 프로그램 단계인 "예비 세척"과, 하나의 부분 프로그램 단계인 "본 세척"과, 적어도 하나의 부분 프로그램 단계인 "중간 세척"과, 하나의 부분 프로그램 단계인 "헹굼 세척"과, 하나의 부분 프로그램 단계인 "건조"로 이루어진 세척 방법을 포함한다. 이러한 경우 본 세척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 세척액은 통상적으로 전기 가열 요소를 사용하여 가열된다. 식기 세척기 내에서 세척 제품을 건조시키기 위해 다양한 건조 시스템들이 공지되어 있다.
DE 20 16 831호로부터 상술된 유형의 식기 세척기가 공지되어 있는데, 상기 문헌에서는 공기가 세척칸으로부터 세척칸의 벽에 존재하는 폐쇄 가능한 개구를 통해 가역적으로 탈수 가능한 물질에 안내되고 이로부터 소정의 개구를 통해 외부로 안내된다. 가역적으로 탈수 가능한 물질의 탈착은 기기가 정지 상태에 있는 동안 이루어지며, 이때 발생하는 수증기는 개구를 통해 외부로 안내된다. 기재된 식기 세척기는 가역적으로 탈수 가능한 물질의 재생이 기기의 정지 상태 동안에, 즉 상술된 부분 프로그램 단계들 중의 어느 것도 수행되지 않는 시간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에너지와 관련된 관점에서 불리하다. 또 다른 단점은, 가역적으로 탈수 가능한 물질의 재생 동안에 발생하는 수증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때문에 주변 부엌 가구의 손상을 배재할 수 없다는 데 있다. 이때, 재생은 부분 프로그램 단계 중에 필요한 에너지 소비에 추가로 발생하는 추가의 에너지 소비와 연관된다.
식기 세척기의 작동 시 에너지 소비를 가능한 한 작게 유지하기 위해, 본 출원인의 DE 103 53 774.0호로부터 세척칸과, 세척액을 사용하여 식기를 세척하기 위한 장치들을 구비한 식기 세척기가 공지되어 있으며, 이러한 식기 세척기는 공기 안내식으로 세척칸과 연결되고 가역적으로 탈수 가능한 물질을 구비한 수착 기둥을 포함하며, 한편으로는 수착 기둥이 식기의 건조를 위해 사용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수착 기둥의 탈착을 위해 사용된 가열 에너지가 세척칸 내에 존재하는 세척액 및/또는 식기의 가열을 위해 부분적으로 사용된다.
동일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DE 103 53 775.9호에서 기기의 작동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부분 프로그램 단계인 "건조"에서 처리 공간으로부터의 공기 및/또는 주변 공기로부터의 공기를 수착 기둥에 의해 처리 공간 내로 안내하는 것을 제안하며, 상기 수착 기둥은 가역적으로 탈수 가능한 물질을 포함하고 공기는 연속 안내되는 동안 습기를 제거시킨다.
예컨대 제올라이트와 같은 흡습성을 갖는 가역적으로 탈수 가능한 물질을 사 용하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부분 프로그램 단계인 "건조" 단계에 앞선 부분 프로그램 단계에서는 처리될 제품의 가열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 이로써 에너지가 현저히 절감될 수 있다.
EP 0 358 279 B1호로부터 폐쇄된 건조 시스템을 구비한 식기 세척기가 공지되어 있는데, 이러한 경우 공기는 세척칸으로부터 가열에 의해 재생 가능한 건조 장치를 거쳐 이로부터 다시 세척칸 내로 순환된다. 건조 장치는 세척액을 위해 세척칸 외부에 배치된 히터에, 바람직하게는 순간 유동 히터(geyser heater)에 할당된다. 세척칸의 배출부는 세척칸의 커버에 위치하는 반면, 유입부는 세척칸의 세척통 내에 일체된다. 세척칸의 배출부는 공기 채널을 통해 수착 건조 장치와 연결된다. 수착 건조 장치가 세척액을 위한 히터에 할당된 다음, 수착 건조 장치는 세척통 하부의 영역 내에 배치된다.
상술된 모든 장치들에는 식기 세척기 내에 수착 건조 장치의 도입이 단지 개념적으로 기술되는 공통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착 건조 장치가 간단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일체되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특허청구범위 제1항에 따른 특징부를 갖는 식기 세척기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항들에 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 특히 가정용 식기 세척기는 세척칸과, 세척액을 사용하여 식기를 세척하기 위한 장치들과, 수착 건조 장치를 포함하며, 수착 건조 장치는 세척칸의 배출부 및 세척칸의 유입부를 통해 공기 안내식으로 세척칸과 연결되고 가역적으로 탈수 가능한 물질을 포함한다. 수착 건조 장치는 세척칸 벽과 식기 세척기의 외부 하우징 벽 사이에 배치된다.
설계에 따라, 한편으로는 수착 기둥이 식기의 건조를 위해 사용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수착 기둥의 탈착을 위해 사용된 가열 에너지가 세척칸 내에 존재하는 세척액 및/또는 세척 제품의 가열을 위해 사용된다. 식기 세척기는, 예컨대 본 출원인의 DE 103 53 774.0호 및/또는 DE 103 53 775.0호에 기술된 바와 같은 기능-원리에 따라 구성될 수 있으며, 본원에서 그 내용은 의미 있는 것으로 채택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되는 기기는 수착 건조 장치의 바람직한 배치에 의해 구별된다.
바람직한 특징에 따라, 공기는 가열될 세척액을 사용하는 부분 프로그램 단계 동안에, 바람직하게 부분 프로그램 단계인 "본 세척" 및/또는 "예비 세척" 및/또는 "헹굼 세척" 동안에 세척칸 및/또는 주변 공기로부터 수착 기둥을 거친 다음 세척칸 내로 안내된다.
바람직하게, 가역적으로 탈수 가능한 물질의 탈착을 위해 그리고 세척액 및/또는 세척 제품의 가열을 위해 전기 가열 요소가 배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수착 기둥 및 임의의 전기 가열 요소는 배출부 및/또는 유입부를 중심으로 동심 배치된다. 이러한 동심 구조에 의해 수착 건조 장치의 특히 작은 조립 높이와 이에 따른 특히 공간 효율적인 구성이 이루어진다. 통상적으로 세척통의 하부에 배치된 기능 요소들의 배치는 종래의 식기 세척기에 비해 변경될 필요가 없다. 배출부는 측벽에 위치한다. 유입부 또는 복수의 유입부들은 동일한 세척칸 벽에, 세척통에 또는 세척칸 커버에 배치될 수 있다. 먼저 언급된 변형예는 특히 간단한 구조적 구성의 장점을 제공하는데, 공기 채널들의 조립이 전반적으로 생략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른 한편으로, 공기 채널들의 제공은 초반에 언급된, 응축 표면 구성의 장점을 제공함으로써, 수착 건조 장치의 수착 기둥은 전체적으로 더욱 작게 구현될 수 있다.
전기 가열 요소는 바람직하게 가역적으로 탈수 가능한 물질 내에 또는 수착 기둥을 위한 도관 내에 배치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배출부 및/또는 유입부는 유입되는 물에 대한 수동적 폐쇄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제공된다. 이는 가장 간단한 경우 배출부 또는 유입부에 대한 덮개일 수 있으며, 상기 덮개는 바람직하게 세척칸 내에서 공기의 가능한 한 양호한 난류를 달성하기 위해 공기 유동의 유동 방향이 고정됨으로써 양호한 습기 흡수가 구현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대안 실시예에서, 배출부 및/또는 유입부는 능동적 차단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폐쇄 수단은 예컨대 인장력의 인가에 의해 작동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폐쇄 수단은 모터식으로 또는 유압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수착 건조 장치의 팬에 인장력을 인가하여 폐쇄 수단에 인장력이 인가됨으로써, 수착 건조 장치를 위한 공기 순환을 제공하기 위해 폐쇄 수단이 개방되는 경우, 이는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유입부 및 배출부는 단지 수착 기둥의 재생 단계 동안에 그리고 부분 프로그램 단계인 "건조" 동안에만 개방되어야 한다. 나머지 부분 프로그램 단계들 동안에 폐쇄 수단은 확실한 밀봉을 제공하여, 전기 기능 요소들을 포함하는 수착 건조 장치 내에 분무수의 유입이 방지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폐쇄 수단은 온도 감지 메모리-금속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폐쇄 수단은 전기적 방식으로 제어되는 것이 아니라, 상이한 부분 프로그램 단계 동안에 존재하는 온도에 근거하여 작동된다.
이하,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실시예가 도시된 도면을 참조로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도1은 도시되지 않은 식기 바스켓들이 마찬가지로 도시되지 않은 세척 제품의 배열를 위해 배치된 세척칸(2)을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1)의 개략도이다.
식기 세척기(1)는 공기 안내식으로 세척칸(2)과 연결되고 가역적으로 탈수 가능한 물질(11)을 포함하는 수착 기둥(10)을 포함하며, 수착 기둥(10)은 건조를 위해 사용되고 또한 다른 한편으로 관류되는 공기의 가열을 위해 사용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세척칸(2)은 중심 영역에 배치된 배출부(5) 및 세척통(6) 근처에 배치된 유입부(8)를 포함하며, 유입부는 공기 채널(17)로서 구성된 도관을 통해 수착 기둥(10)과 연결된다. 수착 기둥(10) 이외에 수착 건조 장치(21)는 팬(도시되지 않음) 뿐만 아니라 가열 요소(12)를 포함한다. 수착 건조 장치(21)를 통한 공기 경로는 화살표 A, B 및 C로 표시된다.
수착 건조 장치(21)는 세척칸 벽(22)과 외부 하우징 벽(23) 사이에 배치되며, 전기 가열 요소(12) 및 수착 기둥(10)은 배출부(5)를 중심으로 동심 배치된다. 이로써, 특히 공간 절약형 배치가 이루어지는데, 통상적으로 식기 세척기의 전체적인 기능 구성 요소들이 배치되는, 세척통 하부의 추가 공간이 전혀 필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서 배출부(5)는 세척칸 벽(22)의 중심에 배치된다. 단지 예시적으로 하나의 유입부(8)가 도시되어 있는데, 유입부는 수착 건조 장치(21)의 하부에서 세척칸 벽(22)의 하부 영역에 위치하고 공기 채널(17)을 통해 세척칸 벽과 연결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배출부(5)를 중심으로 동심 배치된 복수의 유입부들(8)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다른 대안 실시예에서 유입부(8)는 세척통 또는 세척칸 커버에 배치될 수 있다.
지금까지 기술된 바와는 대조적으로 도면에서 도면 부호 5로 표시된 배출부는 수착 건조 장치(21)의 유입부를 나타낼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도면에서 도면 부호 8로 표시된 유입부는 수착 건조 장치(21)의 배출부를 나타낼 수 있다. 이로써 세척칸(2)의 배출부는 공기 채널(17)을 거쳐 수착 기둥(10)과 연결될 것이다. 공기 채널(17)은 응축 표면으로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로써 습한 공기 내에 포함된 습기가 적어짐으로써, 수착 기둥(10)의 크기는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팬은 축방향 팬으로서 배출부(5)의 영역에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에서 유입되는 분무수에 대한 충분한 보호가 고려된다. 이로써 특히 상술된 바와 같은 능동적 폐쇄 수단이 제공된다. 그러나 또한, 반경 방향 팬으로서 공기 채널(17) 내에 배치되는 팬이 고려될 수 있다.
세척기 내에 존재하는 세척 제품에 작동되는 부분 프로그램 단계 동안 수착 건조 장치(21)의 배출부(5) 및 유입부(8) 내에 그리고 이로써 전기 기능성 부품들(팬, 가열 요소 12) 내에 분무수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배출부(5)는 폐쇄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폐쇄 수단은 가장 간단한 경우 수동적 폐쇄 수단으로서 예컨대 유동 기능을 갖는 덮개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도시되지 않음). 상응하는 방식으로 유입부(8)는 예컨대 유동 기능을 갖는 덮개로서 구성될 수 있는 폐쇄 수단(15)을 포함한다.
배출부(5) 뿐만 아니라 유입부(8)에는 마찬가지로 도시되지 않은 다른 변형 실시예에 따라 능동적으로 작동되는 폐쇄 수단이 제공되며, 이러한 폐쇄 수단은 수착 건조 장치(21)의 작동 중에 개방되고 나머지 부분 프로그램 단계들에서 폐쇄될 것이다. 팬 및/또는 전기 가열 요소(12)의 구동부에 대한 직접적인 커플링이 특히 유리하다. 따라서, 능동적 폐쇄 수단은 모터식 및/또는 유압식으로 작동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작동은 수착 건조 장치의 작동에 따라 이루어진다. 또한, 대안적으로 메모리-금속의 사용을 고려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금속은 상이한 부분 프로그램 단계 동안에 변경되는 온도에 따라 개방 위치 또는 폐쇄 위치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경제적인 관점에서 제조될 수 있고 세척칸 내에 존재하는 세척 제품을 효율적으로 세척 및 건조시킬 수 있으며, 이와 관련된 에너지 소비가 작게 유지될 수 있는 식기 세척기가 제공된다.
<도면 부호 리스트>
1: 식기 세척기
2: 세척칸
5: 배출부
6: 세척통
8: 유입부
10: 수착 기둥
11: 가역적으로 탈수 가능한 물질
12: 전기 가열 요소
17: 공기 채널
21: 수착 건조 장치
22: 세척칸 벽
23: 하우징 벽
A, B, C: 공기 경로

Claims (11)

  1. 세척칸(2)과, 세척액을 사용하여 식기를 세척하기 위한 장치들과, 수착 건조 장치를 구비한 식기 세척기(1)이며, 수착 건조 장치는 세척칸의 배출부(5) 및 세척칸의 유입부(8)를 통해 공기 안내식으로 세척칸(2)과 연결되고 가역적으로 탈수 가능한 물질(11)을 갖는 수착 기둥(10)을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1)에 있어서,
    수착 건조 장치(21)는 세척칸 벽(22)과 식기 세척기(1)의 외부 하우징 벽(23)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2. 제1항에 있어서, 한편으로 수착 기둥은 식기의 건조를 위해 사용되고 다른 한편으로 수착 기둥의 탈착을 위해 사용된 가열 에너지는 세척칸(2) 내에 존재하는 세척액 및/또는 세척 제품의 가열을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3. 제2항에 있어서, 세척칸으로부터의 공기 및/또는 주변 공기는 가열된 세척액을 사용하는 부분 프로그램의 한 단계 중에, 바람직하게는 부분 프로그램 단계인 "본 세척" 및/또는 "예비 세척" 및/또는 "헹굼 세척" 중에 수착 기둥을 거쳐 세척칸 내로 안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역적으로 탈수 가능한 물 질(11)의 탈착을 위해 그리고 세척액 및/또는 세척 제품의 가열을 위해 전기 가열 요소(12)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5. 제4항에 있어서, 수착 기둥(10) 및 임의로 전기 가열 요소(12)는 배출부(5) 및/또는 유입부(8)를 중심으로 동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가열 요소(12)는 가역적으로 탈수 가능한 물질 내에 또는 수착 기둥에 대한 도관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출부(5) 및/또는 유입부(8)에는 유입되는 물에 대해 수동적 폐쇄 수단(15)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출부(5) 및/또는 유입부(8)에는 능동적 폐쇄 수단(15)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9. 제8항에 있어서, 폐쇄 수단(15)은 인장력의 인가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0. 제9항에 있어서, 수착 건조 장치(21)의 팬(9)에 인장력이 인가됨으로써 폐쇄 수단(15)에 인장력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1. 제8항에 있어서, 폐쇄 수단(15)은 온도 감지 메모리-금속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KR1020077012878A 2004-12-09 2005-12-06 식기 세척기 KR200700858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4059425.2 2004-12-09
DE102004059425 2004-12-09
DE102005004093.4 2005-01-28
DE102005004093A DE102005004093A1 (de) 2004-12-09 2005-01-28 Geschirrspülmasch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5882A true KR20070085882A (ko) 2007-08-27

Family

ID=35696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2878A KR20070085882A (ko) 2004-12-09 2005-12-06 식기 세척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20070295370A1 (ko)
EP (1) EP1835841B1 (ko)
JP (1) JP4778522B2 (ko)
KR (1) KR20070085882A (ko)
BR (1) BRPI0518472A2 (ko)
DE (1) DE102005004093A1 (ko)
ES (1) ES2411058T3 (ko)
PL (1) PL1835841T3 (ko)
RU (1) RU2403856C2 (ko)
WO (1) WO20060613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51093B1 (de) * 2003-07-30 2016-09-07 BSH Hausgeräte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geschirrspülmaschine mit wenigstens einem teilprogrammschritt "trocknen"
DE102007052083A1 (de) * 2007-10-31 2009-05-0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Hausgerät mit Adsorptionstrocknungsgerät
DE102008040650A1 (de) * 2008-07-23 2010-01-28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Spülverfahren für ein wasserführendes Haushaltsgerät
DE202008017432U1 (de) * 2008-07-23 2009-12-03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Wasserführendes Haushaltsgerät, insbesondere eine Geschirrspülmaschine
DE102008040647A1 (de) * 2008-07-23 2010-01-28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Wasserführendes Haushaltsgerät, insbesondere Geschirrspül- oder Waschmaschine
CN102105093A (zh) * 2008-07-28 2011-06-22 Bsh博世和西门子家用器具有限公司 包括吸附干燥装置的洗碗机
RU2531268C2 (ru) * 2008-07-28 2014-10-20 Бсх Бош Унд Сименс Хаусгерете Гмбх Посудомоечная машина с сорбционным сушиль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DE102008039885A1 (de) * 2008-08-27 2010-04-08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Geschirrspülmaschine mit Sorptionstrockenvorrichtung
US8557053B2 (en) * 2008-11-26 2013-10-15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Actuator assembly and associated apparatuses
DE102011077642A1 (de) 2011-06-16 2012-12-20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Geschirrspülmaschine mit Sorptionstrocknungsvorrichtung
KR102034096B1 (ko) * 2013-09-02 2019-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USD748352S1 (en) * 2013-12-12 2016-01-26 Whirlpool Corporation Sprayer for dishwasher
US9167951B2 (en) 2014-01-31 2015-10-27 General Electric Company Dishwasher appliance having energy recovery features
US9854957B2 (en) 2016-01-20 2018-01-02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Methods for operating dishwasher appliances having energy recovery features
CN108968876B (zh) * 2018-07-16 2024-04-1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洗碗机
WO2022184228A1 (en) * 2021-03-01 2022-09-09 Vestel Elektronik Sanayi Ve Ticaret A.S. Dish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operating a dishwash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7110279U (de) 1973-07-05 Rapp H Maschine zum kombinierten Spulen und Trocknen von Glasern
DE2016831A1 (de) * 1970-04-09 1971-10-21 Bosch Hausgeraete Gmbh Geschirrspülmaschine
DE8026939U1 (de) * 1980-10-08 1982-02-04 Bosch-Siemens Hausgeräte GmbH, 7000 Stuttgart Geschirrspuelmaschine
JPS57145699A (en) * 1981-03-05 1982-09-08 Mitsubishi Jiyuukou Nippon Bik Clothing drier
DE3626887A1 (de) 1986-08-08 1988-02-11 Miele & Cie Waeschebehandlungs- und spuelgeraet, herd o. dgl., mit einer entfeuchtungseinrichtung
DE3830664A1 (de) * 1988-09-09 1990-03-22 Bauknecht Hausgeraete Einrichtung zum trocknen von geschirr in einer haushalt-geschirrspuelmaschine
JP3558304B2 (ja) * 1995-02-22 2004-08-25 シャープ株式会社 食器洗浄機
DE69525350T2 (de) * 1995-12-09 2002-08-14 Whirlpool Co Verfahren zur Energieeinsparung in Haushaltsgeräten und Gerät mit verbessertem Energiewirkungsgrad
US6009669A (en) * 1999-03-11 2000-01-04 Northrop Grumman Corporation Shape memory wire actuated aircraft door seal
DE19936944A1 (de) * 1999-08-05 2001-02-08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m Zumessen von Brennstoff mit einem Brennstoffeinspritzventil
DE10024892A1 (de) * 2000-05-19 2001-11-22 Aeg Hausgeraete Gmbh Geschirrspülmaschine mit einem Spülbehälter und Verfahren zum Entfernen einer feuchten Luft aus einem Spülbehälter einer Geschirrspülmaschine
JP4292703B2 (ja) * 2000-10-26 2009-07-08 株式会社デンソー 乾燥装置
DE10353775A1 (de) 2003-07-30 2005-02-24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erfahren zur Betreiben eines Gerätes mit wenigstens einem Teilprogrammschritt "Trocknen"
EP1667569B1 (de) 2003-07-30 2020-09-09 BSH Hausgeräte GmbH Geschirrspülmas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5004093A1 (de) 2006-06-22
US20070295370A1 (en) 2007-12-27
BRPI0518472A2 (pt) 2008-11-18
RU2007119607A (ru) 2009-01-20
PL1835841T3 (pl) 2013-09-30
EP1835841B1 (de) 2013-05-22
US8398784B2 (en) 2013-03-19
JP2008522691A (ja) 2008-07-03
JP4778522B2 (ja) 2011-09-21
WO2006061381A1 (de) 2006-06-15
US20120273015A1 (en) 2012-11-01
RU2403856C2 (ru) 2010-11-20
EP1835841A1 (de) 2007-09-26
ES2411058T3 (es) 201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85882A (ko) 식기 세척기
US7846270B2 (en) Dishwasher having a sorption drying device
KR20070085883A (ko) 식기 세척기
JP4728236B2 (ja) 食器洗浄機
KR20070085896A (ko) 수착 건조 장치를 구비한 식기 세척기 및 이의 작동 방법
JP4768748B2 (ja) オゾン吸蔵体を備えた食器洗浄器
KR20070085899A (ko) 식기 세척기 및 그 작동 방법
AU2010291426B2 (en) Dishwasher and method for operating a dishwasher
JP5174538B2 (ja) 洗濯乾燥機、および乾燥機
JP5151894B2 (ja) 食器洗い乾燥機
US7389782B2 (en) Dishwash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150216388A1 (en) Dishwasher applianc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KR101290098B1 (ko) 식기세척기
US20130206186A1 (en) Dishwasher appliance with a dampening baffle
US9854957B2 (en) Methods for operating dishwasher appliances having energy recovery features
US20170202424A1 (en) Methods for Operating Dishwasher Appliances Having Energy Recovery Features
JP4887330B2 (ja) 洗濯機、および洗濯乾燥機
KR101629295B1 (ko) 식기세척기
KR20080082500A (ko) 식기 세척기
JP4347792B2 (ja) 食器洗浄機
KR20240043056A (ko) 컵세척기
JPH11178771A (ja) 食器洗浄乾燥機
US20160192821A1 (en) Dishwasher appliance having energy recovery feat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