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3056A - 컵세척기 - Google Patents

컵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3056A
KR20240043056A KR1020230074415A KR20230074415A KR20240043056A KR 20240043056 A KR20240043056 A KR 20240043056A KR 1020230074415 A KR1020230074415 A KR 1020230074415A KR 20230074415 A KR20230074415 A KR 20230074415A KR 20240043056 A KR20240043056 A KR 202400430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nozzle
cup
water
flow path
t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4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차렴
김미성
성창우
정태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EP23198456.8A priority Critical patent/EP4344597A1/en
Priority to US18/372,332 priority patent/US20240099543A1/en
Publication of KR20240043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30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65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specially adapted for drinking glas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02Washing processes, i.e. machine working principles characterised by phases or operational steps
    • A47L15/0007Washing ph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2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irculation and agitation of the cleaning liquid in the cleaning chamber containing a stationary basket
    • A47L15/1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irculation and agitation of the cleaning liquid in the cleaning chamber containing a stationary basket by introduc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into the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17Fittings for water supply, e.g. valves or plumbing means to connect to cold or warm water lines, aquas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78Nozzles
    • A47L15/428Rotary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01Water supply, e.g. opening or closure of the water inlet valv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34Change machine operation from normal operational mode into special mode, e.g. service mode, resin regeneration mode, sterilizing mode, steam mode, odour eliminating mode or special cleaning mode to clean the hydraulic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컵세척기는 세척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부는, 컵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및 터브에 배치되고, 컵을 향하여 물을 분사하는 분사부를 포함하고, 분사부는, 제1분사노즐, 및 제1분사노즐과 결합하고, 제1분사노즐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제2분사노즐을 포함하고, 제1분사노즐은 제2분사노즐의 외측 둘레로부터 연장되고, 제1분사노즐은 제2분사노즐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Description

컵세척기{CUP WASHER}
본 발명은 컵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컵을 세척하는 컵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최근 환경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음료수를 파는 매장에서는 손님에게 일회용 컵의 제공을 줄이고 있으며, 매장을 방문하는 손님은 텀블러 등의 다회용 컵을 휴대하고, 다회용 컵에 음료수를 담아가는 추세가 증가하고 있다.
손님 즉, 다회용 컵의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가 휴대하는 컵을 세척하는 컵세척기를 매장에 비치하고, 사용자가 휴대한 컵을 편리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컵을 깨끗하게 세척하기 위해, 컵세척기에는 컵을 향하여 물을 분사하는 분사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관련된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99692호에는 식기세척기와 식기세척기에 구비되는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에 관한 구성이 개시된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컵세척기가 아닌 다양한 종류의 식기를 세척하는 식기세척기에 구비되는 분사노즐을 개시하고 있다. 컵세척기는 식기세척기에 비해 그 크기가 작으므로, 분사노즐의 고정 및 운전형태 구현을 위해 가용한 공간이 한정적이다. 따라서 선행기술에 적용된 형태를 협소한 공간에 적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컵세척기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신속하게 컵을 세척하는 급속세척모드와 시간을 다소 들여 컵을 깨끗하게 세척하는 일반세척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
따라서, 컵세척기는 급속세척모드, 일반세척모드에 따라 급수관에 직결하여 물을 분사하는 것과 펌프를 통해 순환유로를 형성하여 물을 분사하는 것을 모두 구현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선행기술로 개시된 식기세척기는 그 특성상 물을 담수한 뒤에 펌프로 물을 분사하는 구조만 존재하여, 컵세척기의 급속세척모드를 구현할 수 없다는 점에서 한계를 가진다. 이에 대한 해결이 필요하다.
또한, 컵에서 물, 음료수 등이 담기는 내부와 사용자가 손으로 접촉하는 외부를 모두 세척하여 컵을 전체적으로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컵세척기의 설계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컵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분사부를 구비하는 컵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적인 식기세척기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부피를 가지는 컵세척기에 장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분사부를 구비하는 컵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세척모드와 급속세척모드를 모두 구현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컵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컵을 전체적으로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컵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컵세척기는 세척부를 구비할 수 있다. 세척부의 일 실시예는, 터브에 수용되고, 섬프에 결합하고, 컵을 향하여 물을 분사하는 분사부를 포함하고, 분사부는, 길이방향이 터브의 측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분사노즐, 및 제1분사노즐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제2분사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분사노즐은 회전하도록 구비되고, 제2분사노즐은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1분사노즐은 회전하면서 컵의 외부표면에 물을 분사할 수 있고, 제2분사노즐은 컵의 내부표면에 효과적으로 물을 분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분사노즐과 제2분사노즐을 사용하여 컵의 내부표면과 외부표면을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다.
제1분사노즐은, 제1분사노즐의 상부를 형성하는 제1피스을 포함하고, 제1피스는, 제1분사노즐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제1분사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분사구는, 출수방향이 터브의 상하방향 및 측방향에 경사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제1분사구로부터 물이 출수되면 물은 터브의 상하방향 및 측방향에 경사진 방향으로 분사되어 터브 내부 전체공간으로 확산될 수 있다.
컵세척기가 일반세척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섬프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제1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되고, 제1분사노즐은 회전하면서 컵을 세척할 수 있다. 컵세척기가 급속세척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물이 제2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될 수 있다. 컵세척기는 일반세척모드와 급속세척모드로 구분되어 동작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2분사노즐은 적어도 일부가 컵의 내부에 배치되고, 제1분사노즐은 적어도 일부가 컵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분사부에서 분사되는 물은 컵의 내부표면과 외부표면에 모두 닿을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분사장치에서 분사되는 물은 컵의 내부표면과 외부표면에 모두 부딪혀 컵의 표면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세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부는, 컵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및 터브에 배치되고, 컵을 향하여 물을 분사하는 분사부를 포함하고, 분사부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적어도 하나의 분사구를 포함하는 제2분사노즐, 및 제2분사노즐의 외측 둘레로부터 터브 양측면을 향해 연장되고, 적어도 하나의 분사구를 포함하고, 제2분사노즐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분사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분사부는, 제1분사노즐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제1브라켓, 및 제2분사노즐이 고정적으로 결합하고, 제1브라켓이 장착되고, 터브의 하부에 결합하는 제2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분사노즐은, 상면에 형성되고, 회전중심에서 외측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분사구를 포함하고, 복수의 제1분사구의 출수방향은 제1분사노즐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분사노즐은, 하면에 형성되고 회전중심에서 외측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출수방향이 제1분사노즐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놓이도록 배치되는 제2분사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분사노즐은 제1분사노즐의 상면보다 더 높게 상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분사노즐은, 제1분사노즐로부터 상측방향으로 돌출되고, 둘레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제3분사구를 구비하는 제1돌출부, 및 제1돌출부에 결합하고, 제1돌출부로부터 상측방향으로 돌출되고, 상단부에 제4분사구를 구비하는 제2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4분사구는, 제2돌출부의 측벽에 둘레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제1서브분사구, 및 제4분사구의 상단에 구비되는 상단커버에 형성되고, 상단커버의 직경방향 및 둘레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서브분사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분사노즐은 제1분사노즐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상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고, 제1분사노즐은 물이 유동하는 제1유로와 연결되고, 제2분사노즐은 제1유로와 분리되고 물이 유동하는 제2유로와 연결될 수 있다.
제1유로는 제2분사노즐의 외측면과 제1분사노즐의 내측면 사이에 형성되고, 제2유로를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분사노즐은, 제1분사노즐의 상부를 형성하는 제1피스, 및 제1피스의 하부를 형성하고, 제1피스와 결합하여 물이 유동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2피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분사노즐은, 제2피스로부터 하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제2분사노즐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구비되고, 제1분사노즐로 물이 유입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형성부를 포함하고, 제1브라켓은, 유로형성부가 삽입되는 홀이 형성되고, 유로형성부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제1결합부, 및 제1결합부의 직경방향으로 돌출되어 플랜지 형상으로 구비되고, 제2브라켓에 결합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피스의 중앙부에는 제2분사노즐이 삽입되는 제1삽입홀이 형성되고, 제1피스는 제1삽입홀을 둘러싸고 상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제2분사노즐은 스토퍼와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는 단차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브라켓은, 제2분사노즐이 결합하고, 내부에 제2분사노즐로 분사되는 물이 유동하는 유로가 형성되는 제1바디, 제1바디의 직경방향으로 연장되고, 터브와 결합하는 제2바디, 및 제1바디 및 제2바디를 연결하고, 유로형성부와 연통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제1통공을 구비하는 제3바디를 포함하고, 터브는, 제1통공과 연결되고, 제1바디가 삽입되는 제2삽입홀, 및 제2삽입홀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측방향으로 돌출되고, 제2바디가 장착되는 제1장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세척부는 터브 내부에 구비되고 컵이 안착되는 랙을 포함하고, 제2분사노즐은 적어도 일부가 랙의 하단을 관통하여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랙에 컵이 안착된 경우, 제1분사노즐의 양단부의 적어도 일부는 컵의 외부에 배치되고, 제2분사노즐의 적어도 일부는 컵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랙에 컵이 안착된 경우, 제2분사노즐에 형성되는 복수의 분사구 중 적어도 일부는 컵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척부는, 컵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적어도 하나의 분사구를 포함하는 제2분사노즐, 및 제2분사노즐의 외측 둘레로부터 터브 양측면을 향해 연장되고, 적어도 하나의 분사구를 포함하는 제1분사노즐을 포함하고, 제2분사노즐의 외측 둘레와 제1분사노즐 사이의 공간에는 제1유로가 형성되고, 제2분사노즐의 내부공간에는 제1유로와 구획된 제2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유로는 제2유로의 외측 둘레를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컵세척기는 세척부의 하측에 배치되고, 컵 세척을 위한 물이 저장되는 저수조를 더 포함하고, 제1유로 및 제2유로는 상수도(city water) 또는 저수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물이 공급될 수 있다.
제1유로는 저수조로부터 물을 공급받고, 제2유로는 상수도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제1유로 및 제2유로는 저수조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컵세척기는 일반세척모드 또는 일반세척모드보다 짧은 시간이 소요되는 급속세척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하고, 컵세척기가 일반세척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제1유로에 물이 공급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컵세척기가 일반세척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제1유로 및 제2유로에 물이 공급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컵세척기가 급속세척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제2유로에 물이 공급되고 제1유로에 물이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컵세척기는 상수도배관과 제2유로 사이에 배치되고, 상수도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통과하는 기포발생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분사노즐은 제1분사노즐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상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고, 제1분사노즐은 제2분사노즐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컵세척기는 제1분사노즐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제1브라켓, 및 제2분사노즐이 고정적으로 결합하고, 제1브라켓이 장착되고, 터브의 하부에 결합하여 분사부를 터브에 장착시키는 제2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컵세척기에서, 분사부는 회전하면서 컵에 물을 분사하는 제1분사노즐과 회전하지는 않지만 컵에 내부표면에 인접하는 위치에 놓이는 제2분사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분사노즐과 제2분사노즐을 사용하여 컵의 내부표면과 외부표면을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컵세척기에서, 제1분사구는 출수방향이 터브의 상하방향 및 측방향에 경사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제1분사구로부터 물이 출수되면 물은 터브의 상하방향 및 측방향에 경사진 방향으로 분사되어 터브 내부 전체공간으로 확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분사노즐이 비교적 작은 크기를 가지더라도 효과적으로 터브 내부 전체에 물이 분사되어 컵세척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컵세척기에서, 제3분사구와 제1서브분사구로부터 물이 제2분사노즐의 측방향으로 분사되고, 제2서브분사구로부터 물이 제2분사노즐의 상측을 향하여 분사됨으로써, 제2분사노즐로부터 입체적으로 물이 분사되어 컵의 내부표면을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컵세척기에서, 제1분사노즐이 세제유입구 및 린스유입구보다 하측에 배치되므로, 세제유입구 및 린스유입구에서 터브 내벽을 따라 하측방향으로 흘러내리는 세제와 린스는 제2분사구에서 분사되는 물과 충돌할 수 있다. 세제와 린스는 물과 충돌로 인해서 물과 효과적으로 혼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제 또는 린스가 물과 활발하게 혼합되어 컵세척기에서 세척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컵세척기에서, 일반세척모드에서는 제1분사노즐을 사용하여 세척하고, 급속세척모드에서는 제2분사노즐을 사용하여 세척할 수 있다. 이때, 각 모드에서 물의 유동경로는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이렇게 일반세척모드와 급속세척모드로 구분되어 동작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컵세척기에서, 컵의 물, 음료수 등이 담기는 내부표면과 사용자가 손으로 접촉하는 외부표면이 모두 제1분사노즐과 제2분사노즐에서 분사되는 물에 노출되고, 물은 컵의 내부표면과 외부표면에 모두 충돌할 수 있다. 따라서, 컵세척기는 컵의 내부표면과 외부표면을 동시에 전체적으로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컵세척기에서, 일반세척모드에서는 제1유로로 물이 유동하고 제1분사노즐을 사용하여 세척하고, 급속세척모드에서는 제2유로로 물이 유동하고 제2분사노즐을 사용하여 세척할 수 있다.
이때, 제1유로와 제2유로는 서로 분리되어 각 유로에서 유동하는 물이 혼합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일반세척모드와 급속세척모드로 명확히 구분되어 동작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컵세척기에서, 분사부는 회전하면서 컵에 물을 분사하는 제1분사노즐과 회전하지는 않지만 컵에 내부표면에 인접하는 위치에 놓이는 제2분사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분사노즐은 제1유로와 연결되고, 제2분사노즐은 제2유로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분사부는 일반세척모드에서 제1분사노즐을 이용하여 세척작업을 하고, 급속세척모드에서는 제2분사노즐을 이용하여 세척작업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분사부는 일반세척모드와 급속세척모드에서 물이 유동하는 경로가 서로 분리되어 각각 원활하게 동작하여 컵세척기의 세척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컵세척기에서, 상수도배관과 제2분사노즐을 연결하는 배관에는 기포발생장치 또는 보조가열부 중 적어도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급속세척모드에서 제2분사노즐에서 분사되는 물은 기포를 포함하거나 또는 온수이거나 적어도 하나의 상태이므로, 급속세척모드에서 컵세척기의 세척효율이 효과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컵세척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컵세척기에서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일부 부품을 생략한 컵세척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측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부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a는 도 10의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1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랙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1c는 일 실시예에 따른 랙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부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피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a는 도 12의 측면도이다. 도 16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분사노즐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7은 세척부의 정면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8은 세척부의 단면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9는 세척부의 일부에서 물의 유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브라켓의 평면도이다.
도 21은 세척부 전체에서 물의 유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섬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2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컵세척기의 배관 및 장치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세척기의 배관 및 장치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세척기의 배관 및 장치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세척기의 배관 및 장치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세척기의 배관 및 장치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상하방향"은 컵세척기가 일상적으로 사용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컵세척기의 상하방향을 의미한다. "좌우방향"은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전후방향은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 모두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양측방향" 또는 "측방향"은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을 포함하는 의미를 가진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컵세척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실시예에 따른 컵세척기는 예를 들어 음료수를 서비스하는 매장에 구비될 수 있다. 컵세척기의 사용자는 음료수를 사서 마시는 손님일 수 있다. 환경보호를 위해 최근에는 서비스 매장에서 일회용 컵을 손님에게 제공하는 것이 제한되고 있고, 이러한 제한범위는 점차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다회용 컵을 휴대하는 사용자가 서비스 매장에서 컵을 세척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컵세척기가 서비스 매장에 구비될 수 있다. 세척의 대상인 컵은 사용자가 휴대하는 텀블러 등의 다회용 컵일 수 있다. 따라서, 컵세척기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컵세척기의 상부에는 컵을 수용하여 세척하는 세척부(130)가 구비될 수 있다. 세척부(130)는 도어(15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이때, 도어(150)는 컵세척기의 상하방향으로 힌지회전하여 세척부(130)를 개폐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사용자는 허리를 굽히지 않고, 손으로 도어(150)를 열어 세척부(130)에 컵을 놓고, 다시 도어(150)를 닫은 후에 컵세척기를 작동시켜 편리하게 컵을 세척할 수 있다.
사용자가 허리를 굽히지 않고 컵세척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컵세척기에서 세척부(130)의 높이가 성인의 신체에 맞도록 적절하게 조절될 필요가 있다. 또한, 공간효율을 높이기 위해 컵세척기는 비교적 작은 부피를 가지도록 구비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컵세척기는 평면 단면적이 비교적 작고, 상하방향 길이가 비교적 긴 타워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타워형의 형상으로 인해, 컵세척기는 부피가 비교적 큰 부품은 상하방향으로 배치될 필요가 있다.
또한, 타워형의 형상으로 인해 컵세척기는 전복의 위험이 발생할 수 있는데, 컵세척기의 전복을 억제하기 위해, 하부에 하중이 비교적 큰 부품을 배치하여 전체적인 무게중심을 낮출 필요가 있다.
이하에서 컵세척기의 구조를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컵세척기에서 도어(150)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일부 부품을 생략한 컵세척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측면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컵세척기는 베이스플레이트(110), 저수조(120), 세척부(130), 중간플레이트(140), 도어(150), 프레임(16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110)는 컵세척기의 최하부에 배치되고, 컵세척기의 다른 부품을 지지할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110)의 하부는 지면에 놓일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110)는 제1파트(111)와 제2파트(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파트(111)는 하면이 지면에 놓일 수 있고, 제2파트(112)를 지지할 수 있다.
제2파트(112)는 제1파트(111)의 상부에 배치되고, 여기에 저수조(12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파트(112)에는 프레임(160)이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파트(112)에는 프런트서포터(161), 리어서포터(162) 및 중간서포터(163)가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160)은 제2파트(11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저수조(120)는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상측 그리고, 세척부(130)의 하측에 배치되고, 컵 세척을 위한 물이 저장될 수 있다. 저수조(120)는 배관으로 상수도(city water)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수도의 물이 저수조(120)로 유입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저수조(120)는 배관으로 세척부(130)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저수조(120)의 물은 세척부(130)로 유입되어 세척부(130)에 수용되는 컵의 세척에 사용될 수 있다.
저수조(120)의 내부에는 가열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저수조(120)의 물은 가열장치에 의해 가열되어 세척부(130)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열된 온수를 사용하여 컵을 세척하여 컵의 세척효율을 높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가열장치의 작동을 정지시켜 상온의 물이 저수조(120) 로부터 세척부(130)의 터브(131)로 유입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온의 물을 이용하여 컵을 세척할 수 있다.
저수조(120)에는 물이 충만할 수 있다. 따라서, 물이 충만한 저수조(120)는 다른 부품들에 비해 비교적 큰 하중을 가질 수 있다. 저수조(120)는 베이스플레이트(110)에 놓여 컵세척기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컵세척기의 하부에 놓인 물이 충만한 저수조(120)의 하중으로 인해, 컵세척기의 전체적인 무게중심의 높이는 낮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하방향의 길이가 비교적 긴 타워형으로 구비되는 컵세척기는 외부의 충격에도 쉽게 전복되지 않고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세척부(130)는 저수조(120)의 상부에 배치되고, 수용된 컵을 세척할 수 있다. 세척부(130)에는 컵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세척부(130)는 저수조(120)와 배관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세척을 위한 물은 저수조(120)로부터 세척부(130)로 유입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세척부(130)는 저수조(120)를 거치지 않고 상수도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선택에 따라 저수조(120)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사용하여 컵을 세척하거나, 또는 상수도에서 바로 유입되는 물을 사용하여 컵을 세척할 수 있다.
중간플레이트(140)는 저수조(120)와 세척부(130) 사이에 배치되고, 세척부(130)를 지지할 수 있다. 중간플레이트(140) 위에는 세척부(130)가 배치되고, 중간플레이트(140)는 세척부(130)의 하중 일부를 지지할 수 있다. 중간플레이트(140)는 대체적으로 판형의 형상을 가지고 가장자리에서 프레임(160)에 결합하여 프레임(16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도어(150)는 세척부(130)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힌지회전하여 세척부(130)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도어(150)는 컵세척기의 상하 방향으로 힌지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어(150)를 수동으로 개방하여 컵(10)을 세척부(130) 내부에 넣고 다시 도어(150)를 닫은 후에 컵(10)의 세척을 진행시킬 수 있다.
세척부(130)의 상단에는 탑커버(210)가 구비될 수 있다. 탑커버(210)의 일부는 세척부(130)의 상단 가장자리 부위에 결합하고 그 위에 도어(150)가 놓일 수 있다.
탑커버(210)의 또다른 일부에는 투입구커버(213)가 구비될 수 있다. 투입구커버(213)는 세척부(130)에 투입되는 세제 및 린스의 입구를 개폐할 수 있고, 탑커버(210)에 착탈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시기세척기의 상단에 있는 도어(150)를 개폐하여 세척부(130)에 컵을 넣거나 세척부(130)로부터 컵을 빼낼 수 있다. 이때, 도어(150)가 상하방향으로 힌지회전하므로, 사용자는 허리를 굽힐 필요없이 편리하게 도어(150)를 움직일 수 있다.
또한, 도어(150)가 힌지회전함으로 인해, 도어(150)가 개방된 상태에서도 평면상으로 보아 컵세척기가 차지하는 면적은 변화가 없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어(150)가 개방되든지 폐쇄되든지 어떠한 경우에도 컵세척기의 평면 단면적은 일정하여 도어(150)를 개방하기 위해 추가로 필요한 공간을 불필요하다.
실시예에서, 컵은 세척부(130)의 상단에서 컵세척기의 상하방향으로 힌지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사용자가 허리를 굽히지 않고 도어(150)를 개폐하여 편리하게 컵세척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조로 인해 도어(150)를 개방하기 위한 추가적인 공간이 불필요하므로, 공간효율을 높일 수 있다.
프레임(160)은 베이스플레이트(110)에 의해 지지되고, 중간플레이트(140)가 결합하고, 세척부(130)를 지지할 수 있다. 프레임(160)은 컵세척기의 내부공간을 마련하고, 여기에 각종의 부품이 결합하고, 이러한 부품들을 지지할 수 있다.
프레임(160)은 프런트서포터(161), 리어서포터(162), 중간서포터(163), 상측서포터(16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60)의 각 구성부품들은 컵세척기의 상부에 구비되는 세척부(130), 도어(150) 등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프런트서포터(161)는 컵세척기의 전방에 서로 이격되는 한 쌍으로 배치되고, 하부가 베이스플레이트(110)에 결합하고, 길이방향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프런트서포터(161)는 컵세척기의 전방에 컵세척기의 측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컵세척기의 전방의 모서리 부위를 형성할 수 있다.
프런트서포터(161)는 컵세척기의 모서리 부위를 형성하기 위해, 단면이 L자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프런트서포터(161)는 나사못 등의 결합기구에 의해 베이스플레이트(110)에 결합할 수 있다.
리어서포터(162)는 컵세척기의 후방에 서로 이격되는 한 쌍으로 배치되고, 하부가 베이스플레이트(110)에 결합하고, 길이방향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리어서포터(162)는 컵세척기의 후방에 컵세척기의 측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컵세척기의 후방의 모서리 부위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리어서포터(162)는 결합기구에 의해 베이스플레이트(110)에 결합할 수 있다.
중간서포터(163)는 서로 이격되는 한 쌍으로 배치되고, 프런트서포터(161) 및 리어서포터(162) 사이에 배치되고, 하부가 베이스플레이트(110)에 결합하고, 길이방향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중간서포터(163)는 컵세척기의 중앙부위에서 컵세척기의 측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중간서포터(163)는 결합기구에 의해 베이스플레이트(110)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중간서포터(163)는 결합기구에 의해 중간플레이트(140), 상측서포터(164)에 결합하여 안정적으로 위치를 유지하고 컵세척기 부품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상측서포터(164)는 중간서포터(163)의 상측에 배치되고, 측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한 쌍으로 배치되고, 길이방향이 전후방향으로 배치되고, 세척부(130)가 결합할 수 있다. 한 쌍의 상측서포터(164)는 컵세척기의 상부에서 컵세척기의 측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세척부(130)는 결합기구에 의해 상측서포터(164)에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상측서포터(164)는 세척부(13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상측서포터(164)는 컵세척기의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도 5 등에서는 컵세척기의 양측으로 한 쌍, 컵세척기의 상하로 한 쌍씩 구비되어 총4개로 구비된 실시예가 도시되었다. 다만, 상측서포터(164)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각각의 상측서포터(164)는 프런트서포터(161), 리어서포터(162) 및 중간서포터(163)에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세척부(130)의 하중은 상측서포터(164)를 통해 프런트서포터(161), 리어서포터(162) 및 중간서포터(163)로 전달되고, 최종적으로 베이스플레이트(110)로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컵세척기는 내부에 구비되는 세척부(1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측서포터(164)는 나사못 들의 결합기구에 의해 프런트서포터(161), 리어서포터(162) 및 중간서포터(163)에 결합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세척부(130)를 비롯한 컵세척기의 상부에 구비되는 부품들은 프레임(160)에 의해 지지되고, 각 부품들은 최종적으로 베이스플레이트(1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세척부(130) 등의 비교적 무거운 부품들이 컵세척기의 상부에 구비된 상태에서도 각 부품들은 프레임(160) 및 베이스플레이트(110)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컵세척기는 프런트패널(170) 및 리어패널(18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런트패널(170)은 컵세척기의 전방에 배치되어 저수조(120) 및 세척부(130)를 덮을 수 있다. 프런트패널(170)은 프레임(160)의 리어서포터(162)에 결합기구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리어패널(180)은 프레임(160)에 결합하여 컵세척기의 후방을 덮을 수 있다. 리어패널(180)에는 컵세척기 내부와 외부가 통풍이 되도록 제1통풍구(181)가 구비될 수 있다. 하기에 설명되는 건조모듈(132)로 유입되는 공기는 제1통풍구(181)를 통해 컵세척기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리어패널(180)에는 컵세척기의 이용이 용이하도록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컵세척기를 잡을 수 있는 손잡이(260)가 결합될 수 있다.
컵세척기는 리어서포터(162)의 상부에 결합하고, 도어(150)의 일측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90)는 도어(150)의 일측에 배치되고 도어(150)로부터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컵세척기의 전방부에서 디스플레이부(190)를 바라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90)에는 컵세척기의 사용에 대한 다양한 정보가 이미지, 문자, 동영상의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90)에 나타난 정보를 보고 컵세척기를 동작시키거나, 컵세척기의 작동상태를 알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90)에는 예를 들어 정전식 터치방식으로 입력되는 명령입력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90)를 이용하여 컵세척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컵세척기는 제1회로기판부(220)와 기판부서포터(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회로기판부(220)는 저수조(120)의 일측에 배치되고, 컵세척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 제1회로기판부(220)는 세척부(130)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피가 작은 저수로가 배치됨으로 인해, 여유공간이 생기는 컵세척기의 하부에 저수조(12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기판부서포터(230)는 하부가 베이스플레이트(110)에 결합하고, 상부가 중간플레이트(140)에 결합하고, 제1회로기판부(220)가 결합할 수 있다. 기판부서포터(230)는 결합기구에 의해 베이스플레이트(110)에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기판부서포터(230)는 제1회로기판부(220)를 고정하는 것뿐만 아니라, 컵세척기의 하부에 배치되는 배관을 고정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컵세척기는 리어패널(180)에 결합하고, 리어서포터(162)를 덮는 외장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리어서포터(162)에는 컵세척기의 다른 부품과 결합을 위해 다수의 체결기구가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체결기구가 체결된 리어서포터(162)를 그대로 외부로 노출시키는 구조의 경우에 컵세척기의 시각적인 심미감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체결기구가 체결된 리어서포터(162)를 덮는 구조가 필요하다.
외장부(250)는 리어서포터(162)를 덮고 리어서포터(162)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매우 적은 수의 체결기구가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외장부(250)는 리어서포터(162)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컵세척기의 외부에 배치되어 컵세척기를 전체적으로 깔끔하게 보이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세척부(13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부(13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부(130)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부(130)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부(130)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세척부(130)는 터브(131)(tub), 건조모듈(132), 섬프(133)(sump), 순환펌프(134), 배수펌프(135)를 포함할 수 있다.
터브(131)는 컵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세척수가 분사될 수 있다. 터브(131)의 내부에는 컵이 거치되는 랙이 구비되고, 하부에 물을 분사하는 분사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터브(131)의 개방된 상단은 도어(15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건조모듈(132)은 터브(131)의 일측에 터브(131)와 연결되도록 배치되고, 건조를 위한 가열된 공기를 터브(131) 내부로 분사할 수 있다. 물에 의한 컵(10) 세척이 완료된 후에, 컵의 표면에는 물기가 남아 있다. 건조모듈(132)은 컵에 가열된 공기 즉, 열풍을 분사하여 컵에 잔류하는 물을 말려 컵을 건조시킬 수 있다.
건조모듈(132)에는 건조모듈(132)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건조모듈(132)에는 건조모듈(132)에 형성되는 유로를 통해 공기가 강제유동하도록 하는 송풍팬(1321)이 구비될 수 있다.
섬프(133)는 터브(131)의 하측에 터브(131)와 연결되도록 배치되고, 터브(131)에서 분사되는 물을 저장할 수 있다. 섬프(133)에 저장된 물은 순환펌프(134)에 의해 터브(131)와 섬프(133)를 순환하면서 터브(131)에서 분사장치에 의해 분사되어 터브(131)에 수용된 컵(10)을 세척할 수 있다.
순환펌프(134)는 터브(131)의 하측에 터브(131) 및 섬프(133)와 연결되도록 배치되고, 물을 터브(131)와 섬프(133) 사이에서 순환시킬 수 있다. 순환펌프(134)는 섬프(133)로부터 터브(131)로 물을 강제로 유동시킬 수 있다.
순환펌프(134)는 터브(131)의 하부에 배치되는 분사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순환펌프(134)가 동작하면, 섬프(133)에 저장된 물은 분사장치로 유입되고 분사장치에 의해 터브(131) 내부에 분사되어 컵을 세척할 수 있다.
배수펌프(135)는 터브(131)의 하측에 섬프(133)와 연결되도록 배치되고, 물을 섬프(133)로부터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물에 의한 컵 세척이 완료되면, 배수펌프(135)가 동작하여 섬프(133)에 저장된 물이 배수펌프(135)와 연결된 드레인배관을 통해 컵세척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저수조(120)에 저장된 물에 의한 컵(10)의 세척과정은 다음과 같다. 상수도로부터 배관을 통해 저수조(120)에 물이 유입되어 저장될 수 있다. 저수조(120)의 물은 저수조(120)에 구비되는 가열장치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저수조(120)의 가열된 온수는 배관을 통해 터브(131) 내부로 유입되어 터브(131) 하부에 배치된 섬프(133)에 저장될 수 있다.
컵의 세척을 위해 순환펌프(134)가 작동하면 온수는 섬프(133)로부터 분사장치를 통과하여 터브(131) 내부에 분사되어 컵을 세척할 수 있다. 터브(131)에 분사된 온수는 다시 섬프(133)에 유입되고, 순환펌프(134)에 의해 다시 분사장치로 유입되고, 분사장치에 의해 터브(131) 내부로 분사될 수 있다.
순환펌프(134)가 동작하는 동안에 세척용 물은 섬프(133), 분사장치, 터브(131)를 순차적으로 유동하고, 이러한 유동은 반복될 수 있다. 물에 의한 컵세척이 완료되면 순환펌프(134)는 정지되고, 배수펌프(135)가 동작하여 섬프(133)에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배수펌프(135)에 의한 배수가 완료되면, 건조모듈(132)이 동작하여 터브(131) 내부에 열풍을 분사하고, 설정된 시간동안 열풍분사가 진행된 후에는 건조과정을 포함하는 컵세척 작업이 완료될 수 있다.
컵세척기는 세제를 이용한 세척과 린스를 이용한 헹굼을 함께 진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세제와 린스를 터브(131)로 투입하기 위해 구비되는 구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편, 물에 의한 컵세척과정에서 세제를 이용한 세척과정과 린스를 이용한 헹굼과정은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물에 세제를 혼합하여 컵을 세척하는 과정을 완료한 후에 섬프(133)에 있는 물에는 세제와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오염된 물은 배수펌프(135)를 동작시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오염된 물을 외부로 배출한 후에, 다시 섬프(133)에 물를 유입시키고, 물에 린스를 혼합하여 순환펌프(134)를 동작시켜 헹굼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세제를 이용한 세척과정과 린스를 이용한 헹굼과정을 분리하여 컵세척기의 세척효율을 높일 수 있다.
세척부(130)는 세제저장부(136), 린스저장부(137), 세제주입부(138), 린스주입부(139), 세제펌프(1301), 린스펌프(1302)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제저장부(136)는 터브(131)의 후방에 배치되고, 세제를 저장할 수 있다. 린스저장부(137)는 터브(131)의 후방에 세제저장부(136)와 분리되어 배치되고 린스를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세제와 린스는 서로 혼합되지 않을 수 있다.
탑커버(210)에는 세제가 투입되는 세제투입구(211)와 린스가 투입되는 린스투입구(212)가 구비될 수 있다. 세제투입구(211)는 세제저장부(136)와 연결되고, 린스투입구(212)는 린스저장부(137)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세제투입구(211)와 린스투입구(212)로 유입된 세제와 린스는 세제저장부(136)와 린스저장부(137)에 저장될 수 있다.
세제주입부(138)는 세제저장부(136) 및 터브(131)와 연결되고, 세제를 터브(131)로 주입할 수 있다. 세제주입부(138)의 입구는 세제저장부(136)와 연결되고 출구는 터브(131)와 연결될 수 있다.
린스주입부(139)는 린스저장부(137) 및 터브(131)와 연결되고, 린스를 터브(131)로 주입할 수 있다. 린스주입부(139)의 입구는 린스저장부(137)와 연결되고 출구는 터브(131)와 연결될 수 있다.
세제펌프(1301)는 세제주입부(138)와 연결되고 세제를 터브(131)로 펌핑할 수 있다. 린스펌프(1302)는 린스주입부(139)와 연결되고 린스를 터브(131)로 펌핑할 수 있다. 세제펌프(1301)와 린스펌프(1302)는 제어부에 의해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는 세척과정에서 세제펌프(1301)를 동작시켜 세제와 물을 혼합시킬 수 있고, 헹굼과정에서 린스펌프(1302)를 동작시켜 린스와 물을 혼합시킬 수 있다.
저수조(120)는 터브(131)와 배관으로 연결되어 저수조(120)의 물이 터브(131)로 유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저수조(120)의 물은 상온 그대로 또는 가열되어 온수가 된 후에 터브(131)로 유입되고, 순환펌프(134)가 동작하기 전까지는 섬프(133)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터브(131)는 상수도와 직접 연결되는 물공급 경로를 함께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컵은 일반세척 또는 급속세척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일반세척은 저수조(120)의 물을 이용하여 컵을 세척하고, 세제와 린스를 사용하여 깨끗한 컵세척이 가능하지만, 상대적으로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다.
급속세척은 세제와 린스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상대적으로 세척시간이 짧으므로, 비교적 오염이 덜된 컵을 신속하게 세척하려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부(130)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a는 도 10의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1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랙(400)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1c는 일 실시예에 따른 랙(400)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세척부(130)는 물을 분사하는 분사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분사부(300)는 터브(131)에 배치되고, 섬프(133)에 결합하고, 컵(10)을 향하여 물을 분사할 수 있다.
섬프(133)는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부위와, 분사부(300)가 장착되고 상수도와 연결되는 배관이 결합하는 부위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분사부(300)는 제1분사노즐(310) 및 제2분사노즐(3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분사노즐(310)은 회전하고, 제2분사노즐(320)은 회전하지 않고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분사노즐(310)은 회전가능하도록 세척부(130)에 장착되고, 모터 등의 별도의 장치없이 물의 수압에 의해 회전하면서 터브(131) 내부와 터브(131)에 수용된 컵에 물을 분사할 수 있다.
제2분사노즐(320)은 터브(131)의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적어도 하나의 분사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분사노즐(310)은 제2분사노즐(320)의 외측 둘레로부터 터브 양측면을 향해 연장되고, 적어도 하나의 분사구를 포함하고, 제2분사노즐(32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1분사노즐(310)은 대체로 납작한 외관을 가지고, 내부에는 물이 유동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1분사노즐(310)의 중앙부에는 제2분사노즐(320)이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제2분사노즐(320)이 결합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제1분사노즐(310)은 중앙부가 단면적이 비교적 넓고 끝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분사노즐(310)의 상면에는 세척용 물이 분사되는 제1분사구(3111)가 형성되고, 제1분사구(3111)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제1분사구(3111)가 형성되는 면적을 확보하기 위해, 제1분사노즐(310)은 상면이 측면보다 넓은 전체적으로 납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분사노즐(320)은 상하방향으로 비교적 길게 연장되는 형태로 구비되고, 세척용 물이 분사되는 복수의 분사구가 길이방향으로 영역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고, 내부에는 물이 유동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2분사노즐(320)은 외형이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2분사노즐(320)은 외형이 다각형기둥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분사노즐(310)과 제2분사노즐(320)에는 상온의 물 또는 가열된 온수가 유동하여 터브(131)로 분사될 수 있다. 제1분사노즐(310)은 제2분사노즐(320)의 외측 둘레로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분사노즐(310)은 회전하도록 구비되고, 길이방향이 터브(131)의 측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분사노즐(310)은 컵세척기가 일반세척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물을 분사할 수 있다.
제2분사노즐(320)은 제1분사노즐(310)과 결합하고, 제1분사노즐(310)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제1분사노즐(310)에 대하여 상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분사노즐(320)은 섬프(133)에 고정적으로 결합하여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제2분사노즐(320)은 상수도와 직접 연결되고, 컵세척기가 급속세척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상수도로부터 유입되는 원수를 컵(10)에 분사하여 컵을 세척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2분사노즐(320)은 저수조(120)와 배관으로 연결되고, 저수조(120)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 분사부(300)는 회전하면서 컵에 물을 분사하는 제1분사노즐(310)과 회전하지는 않지만 컵에 내부표면에 인접하는 위치에 놓이는 제2분사노즐(320)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분사노즐(310)과 제2분사노즐(320)을 사용하여 컵의 내부표면과 외부표면을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부(3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부(300)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부(300)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피스(311)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a는 도 12의 측면도이다. 도 16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분사노즐(310)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컵이 터브(131)에 거꾸로 놓인 상태에서 세척이 진행될 수 있다. 즉, 컵의 개방된 부위가 터브(131)의 하부를 향하도록 놓이고 따라서, 제1분사노즐(310)과 제2분사노즐(320)로부터 분사되는 물은 컵의 내부를 향할 수 있다.
제1분사노즐(310)은 길이방향이 터브(131)의 측방향으로 배치되므로, 터브(131) 내부 전체로 분사될 수 있고, 따라서 터브(131)에 수용된 컵의 내부표면과 외부표면을 모두 세척할 수 있다.
컵이 터브(131)에 놓이면 제2분사노즐(320)의 대부분은 컵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2분사노즐(320)은 급속세척모드에서 주로 컵의 내부표면을 세척하여 신속하게 컵 세척을 완료할 수 있다.
제1분사노즐(310)은 제1분사구(3111)와 제2분사구(31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분사구(3111)는 제1분사노즐(310)의 상면에 형성되고, 제1분사노즐(310)의 회전중심에서 외측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제1분사구(3111)는 예를 들어, 제1분사노즐 제1분사노즐(310)의 회전중심에서 이격된 특정영역에 집중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1분사구(3111)는 제1분사노즐(310)의 회전중심에서 이격되되, 제1분사구(3111)의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2분사구(3121)는 제1분사노즐(310)의 하면에 형성되고 회전중심에서 외측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출수방향이 제1분사노즐(310)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놓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분사구(3121)는 제1분사노즐(310)이 회전하는 추진력을 얻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즉, 제2분사구(3121)에서 출수되는 물이 추진력을 발생시키고, 이에 따라 제1분사노즐(310)은 회전할 수 있다.
제1분사노즐(310)은 내부에 물이 유동하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예를 들어, 2개의 피스를 제작하여 이들 피스를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분사노즐(310)은 2개의 피스 즉, 제1피스(311)와 제2피스(3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피스(311)는 제1분사노즐(310)의 상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2피스(312)는 제1피스(311)의 하부를 형성하고, 제1피스(311)와 결합하여 물이 유동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제1분사구(3111)는 제1피스에 형성될 수 있다. 제1분사구(3111)는 제1분사노즐(310)의 회전중심에서 일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복수로 형성되고, 또한 타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복수로 형성되고, 각각의 제1분사구(3111)들은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분사구(3111)는 출수방향이 터브(131)의 상하방향 및 측방향에 경사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제1분사구(3111)의 출수방향은 제1분사노즐(310)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분사노즐(310)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된 위치에 있는 각각의 제1분사구(3111)들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제1분사구(3111)로부터 물이 출수되면 물은 터브(131)의 상하방향 및 측방향에 경사진 방향으로 분사되어 터브(131) 내부 전체공간으로 확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분사노즐(310)의 크기가 비교적 작더라도 제1분사노즐(310)로부터 분사되는 물은 터브(131) 내부 전체에 뿌려지고, 이에 따라 터브(131)에 놓인 컵이 크더라도 컵의 내부표면과 외부표면을 모두 세척할 수 있다.
또한, 제1분사구(3111)의 출수방향이 경사지게 구비되므로 제1분사구(3111)로부터 분사되는 물은 경사진 방향으로 제1분사노즐(310)에 추진력을 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1분사노즐(310)은 모터 등의 별도의 장치가 없이도 물의 수압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2분사구(3121)는 제2피스(312)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제2분사구(3121)는 제1분사노즐(310)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출수방향이 서로 반대방향 즉, 대칭되는 방향으로 놓일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제2분사구(3121)는 출수방향이 출수방향이 터브(131)의 측방향과 나란하고 제1분사노즐(310)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놓일 수 있다.
즉, 도 16a를 참조하면, 도면의 왼쪽에 배치된 제2분사구(3121)의 출수방향은 지면(paper)의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도면의 오른쪽에 배치된 제2분사구(3121)의 출수방향은 지면의 후방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16b에서 직선 화살표는 제2분사구(3121)에서 출수방향을, 곡선 회살표는 제1분사노즐(310)의 회전방향을 나타낸다.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분사구(3121)에서 출수되는 물이 제1분사노즐(310)의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제2분사구(3121)의 출수방향은 제1분사노즐(310)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놓이고, 제1분사노즐(310)의 양단부에서 각각 서로 반대방향이 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제2분사구(3121)에서 출수되는 물은 제1분사노즐(310)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분사되어 제1분사노즐(310)에 추진력을 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1분사노즐(310)은 물의 수압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제1분사노즐(310)은 제1분사구(3111)와 제2분사구(3121)의 출수방향이 형성되는 구조로 인해 출수되는 물에 의해 추진력을 얻어 회전할 수 있다.
제2분사구(3121)는 제1분사노즐(310)의 회전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제1분사구(3111)보다 더 외측 즉, 제1분사구(3111)보다 제1분사노즐(310)의 끝단에 더 가까운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제2분사구(3121)에서 분사되는 물에 의해 제1분사노즐(310)의 회전력이 더욱 증가될 수 있다.
제2분사노즐(320)은 제1분사노즐(310)의 상면보다 더 높게 상측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제2분사노즐(320)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컵이 터브에 놓인 경우, 제2분사노즐(320)의 적어도 일부가 컵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2분사노즐(320)은 제1돌출부(321), 제2돌출부(322)를 포함하여 2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돌출부(321)는 제1분사노즐(310)로부터 상측방향으로 돌출되고,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제3분사구(3211)를 구비할 수 있다.
제1돌출부(321)는 대체로 속이 빈 막대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돌출부(321)에는 제1분사노즐(310)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제1돌출부(321)는 제2브라켓(340)에 나사결합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제1돌출부(321)의 내부에는 물이 유동하고 제1돌출부(321)에 형성되는 제3분사구(3211)를 통해 터브(131) 내부로 분사될 수 있다. 제3분사구(3211)는 제1돌출부(321)에 복수로 형성되고 각각의 제3분사구(3211)는 제1돌출부(321)의 둘레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돌출부(322)는 제1돌출부(321)에 결합하고, 제1돌출부(321)로부터 상측방향으로 돌출되고, 상단부에 제4분사구(3221)를 구비할 수 있다. 제2돌출부(322)는 제1돌출부(321)에 나사결합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제1분사노즐(310)은 상수도 또는 저수조(120)에서 공급되는 물을 이용하여 컵의 내부표면을 세척할 수 있다. 따라서, 제1분사노즐(310)은 되도록 컵의 내부표면에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비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제1분사노즐(310)은 제1돌출부(321)로부터 연장되도록 구비되고 물을 분사하는 제2돌출부(322)를 구비하고, 제2돌출부(322)는 전체 또는 대부분이 터브(131)에 놓인 컵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돌출부(322)는 대체로 속이 빈 막대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2돌출부(322)의 하단부에는 제1돌출부(321)와 결합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고 개방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제1돌출부(321)의 상단부에는 제2돌출부(322)와 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제2돌출부(322)의 상단부에는 제2돌출부(322)의 내부를 폐쇄하는 상단커버(322a)가 구비될 수 있다.
제4분사구(3221)는 제2돌출부(322)에 형성되고, 제2돌출부(322)를 유동하는 물이 제4분사구(3221)를 통해 출수되어 터브(131) 내부로 분사될 수 있다. 제4분사구(3221)는 제1서브분사구(3221a), 제2서브분사구(322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서브분사구(3221a)는 제2돌출부(322)의 측벽에 둘레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제1서브분사구(3221a)는 제2돌출부(322)의 측벽에 다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서브분사구(3221a)는 제2돌출부(322)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제2서브분사구(3221b)는 제4분사구(3221)의 상단에 구비되는 상단커버(322a)에 형성되고, 상단커버(322a)의 직경방향 및 둘레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3분사구(3211)와 제1서브분사구(3221a)로부터 물이 제2분사노즐(320)의 측방향으로 분사되고, 제2서브분사구(3221b)로부터 물이 제2분사노즐(320)의 상측을 향하여 분사됨으로써, 제2분사노즐(320)로부터 입체적으로 물이 분사되어 컵의 내부표면을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다.
세척부(130)는 터브(131) 내부에 구비되고 컵이 안착되는 랙(400)을 포함할 수 있다. 랙(400)은 물이 통과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와이어를 이용하여 매쉬(mesh)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도 11b 및 도 11c를 참조하면, 랙(400)은 제1셀(410), 제2셀(420), 제3셀(4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셀(410)은 랙(400)의 하부 외형을 형성하고, 터브(131)에 안착될 수 있다. 제1셀(410)은 터브(131)에 안정적으로 안착되기 위해 와이어를 이용하여 대체로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셀(420)은 양단부가 제1셀(410)에 결합하고, 일부가 제3셀(430)의 양측에 배치되고, 랙(400)의 측면으로 보아 제3셀(430)보다 일방향으로 더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제2셀(420)은 컵이 랙(400)에 놓인 위치를 이탈하지 않도록 컵을 지지할 수 있다.
제3셀(430)은 양단부가 제1셀(410)에 결합하고, 컵을 지지하도록 컵의 와이어를 구부려 외형과 유사한 형상을 가지도록 제작될 수 있다. 제3셀(430)은 복수의 와이어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3셀(430)은 바닥부(431), 지지부(432), 단차부(433)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부(431)는 제3셀(430)의 바닥을 형성하고, 컵이 거꾸로 랙(400)에 놓인 경우 컵의 개방된 부위를 지지할 수 있다. 바닥부(431)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선형부재(4311)와 선형부재(4311)와 결합하여 선형부재(4311)의 변형을 억제하는 원형부재(4312)를 포함할 수 있다. 랙(400)이 터브(131)에 안착되고 랙(400)에 컵이 놓이면, 제1분사노즐의 적어도 일부는 바닥부(431)를 통과하여 컵의 내부에 놓일 수 있다.
지지부(432)는 단차부(433)보다 높게 형성되고 랙(400)이 놓인 컵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432)는 경사부재(4321)를 구비하고, 또한, 바닥부(431)는 경사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경사진 바닥부(431)에 컵이 놓이면 컵은 경사부재(4321)에 접촉하여 경사부재(4321)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단차부(433)는 지지부(432)와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지지부(432)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단차부(433)는 랙(400)에 놓인 컵이 위치를 이탈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랙(400)에 놓인 컵은 제2셀(420), 지지부(432) 및 단차부(433)에 둘러싸여 이들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설정된 위치에 안정적으로 놓일 수 있다.
랙(400)이 터브(131)에 장착되면, 바닥부(431)와 제1분사노즐(310)은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위치에 놓일 수 있다. 따라서, 랙(400)에 컵이 놓이는 경우 컵과 제1분사노즐(310)의 상면은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분사노즐(310)은 컵 및 랙(400)의 방해를 받지 않고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다.
컵은 랙(400)에 놓인 상태에서 터브(131)에 분사되는 물에 의해 세척될 수 있다. 이때, 제2분사노즐(320)은 적어도 일부가 랙(400)의 하단을 형성하는 바닥부(431)를 관통하여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컵은 랙(400)에 거꾸로 놓일 수 있다. 따라서, 컵의 개방된 입구부위는 랙(400)의 하단에 놓이고, 컵의 폐쇄된 바닥면은 랙(400)의 상부에 놓일 수 있다.
제1분사노즐의 길이는 랙(400)에 안착되는 컵의 최대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랙(400)에 컵이 안착된 경우, 제1분사노즐의 양단부의 적어도 일부는 컵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제1분사노즐에서 분사되는 물은 컵의 내부면과 외부면에 모두 부딪힐 수 있고, 이에 따라 컵은 내부 및 외부 전체적으로 세척될 수 있다.
제2분사노즐(320)이 랙(400)의 바닥부(431)를 관통하여 돌출되면, 컵이 랙(400)에 놓인 상태에서 자연스럽게 제2분사노즐(320)은 컵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랙(400)에 컵이 안착된 경우, 제2분사노즐의 적어도 일부는 컵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분사노즐(320)의 제3분사구(3211)와 제4분사구(3221)에서 분사되는 물은 컵의 내부표면에 부딪혀서 컵의 내부표면에 있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다.
또한, 랙(400)에 컵이 안착된 경우, 제2분사노즐(320)에 형성되는 복수의 분사구 중 적어도 일부는 컵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랙(400)에 컵이 안착된 경우, 예를 들어 제1서브분사구(3221a) 및 제2서브분사구(3221b)는 컵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랙(400)이 컵에 놓이면 적어도 제2분사노즐(320)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1서브분사구(3221a) 및 제2서브분사구(3221b)는 랙(400)에 거꾸로 놓인 컵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서브분사구(3221a) 및 제2서브분사구(3221b)를 포함하는 제4분사구(3221)에서 분사되는 물은 모두 컵의 내부표면에 부딪히게 되고, 이로써 컵의 내부표면에 있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다.
분사부(300)는 제1브라켓(330) 및 제2브라켓(3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브라켓(330)에는 제1분사노즐(310)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제2브라켓(340)은 제2분사노즐(320)이 고정적으로 결합하고, 제1브라켓(330)이 장착되고, 터브(131)의 하부에 결합하여 분사부(300)를 터브(131)에 장착시킬 수 있다.
한편, 제1분사노즐(310)은 제2피스(312)의 중심부로부터 하측방향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제1분사노즐(31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구비되고, 제1분사노즐(310)로 물이 유입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형성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분사노즐(310)의 제1돌출부(321)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유로형성부(313)와 제1돌출부(321)에 의해 둘러싸인 유로를 통해 물이 제1분사노즐(310)의 내부로 유입되어 제1분사구(3111)와 제2분사구(3121)를 통해 터브(131)내부로 분사될 수 있다. 유로형성부(313)와 제1돌출부(321)에 의해 둘러싸여 후술하는 제1유로의 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1브라켓(330)은 제1결합부(331)와 제2결합부(3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결합부(331)는 유로형성부(313)가 삽입되는 홀이 형성되고, 유로형성부(313)를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유로형성부(313)가 제1결합부(331)에 삽입되어, 제1분사노즐(310)은 제1브라켓(330)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제2결합부(332)는 제1결합부(331)의 직경방향으로 돌출되어 플랜지 형상으로 구비되고, 제2브라켓(340)에 결합할 수 있다. 제2결합부(332)는 제1결합부(331)와 일체로 형성되고, 제2결합부(332)가 제2브라켓(340)에 고정적으로 결합하여 제2브라켓(340)은 회전하지 않고, 제1분사노즐(310)은 제2브라켓(340)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도 10,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분사노즐(320)은 적어도 일부가 컵의 내부에 배치되고, 제1분사노즐(310)은 적어도 일부가 컵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2분사노즐(320)에서 분사되는 물은 주로 컵의 내부표면에 충돌할 수 있고, 제1분사노즐(310)에서 분사되는 물은 컵의 내부표면 및 외부표면에 모두 충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분사노즐(310)에 구비되는 제1분사구(3111)의 일부와 제2분사구(3121)에서 분사되는 물은 컵의 외부표면에 충돌하여 컵의 외부표면을 세척할 수 있다. 또한, 제1분사구(3111)의 일부와 제2분사노즐(320)에 구비되는 제3분사구(3211) 및 제4분사구(3221)에서 분사되는 물은 컵의 내부표면에 충돌하여 컵의 내부표면을 세척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실시예에 따른 분사부(300)는 터브(131)에 수용되는 컵의 내부표면과 외부표면을 모두 세척할 수 있다. 컵의 물, 음료수 등이 담기는 내부표면과 사용자가 손으로 접촉하는 외부표면이 모두 제1분사노즐(310)과 제2분사노즐(320)에서 분사되는 물에 노출되고, 물은 컵의 내부표면과 외부표면에 모두 충돌할 수 있다. 따라서, 컵세척기는 컵의 내부표면과 외부표면을 동시에 전체적으로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다.
도 17은 세척부(130)의 정면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8은 세척부(130)의 단면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터브(131)의 측면에는 세제유입구(1312)와 린스유입구(1311)가 터브(131)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세제유입구(1312)에는 세제가 유입될 수 있다. 세제유입구(1312)는 세제주입부(138)와 배관으로 연결되어 세제주입부(138)로부터 배출되는 세제가 세제유입구(1312)를 통해 터브(13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린스유입구(1311)는 세제유입구(1312)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린스가 유입될 수 있다. 린스유입구(1311)는 린스주입부(139)와 배관으로 연결되어 린스주입부(139)로부터 배출되는 린스가 린스유입구(1311)를 통해 터브(13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세제유입구(1312)와 린스유입구(1311)로부터 유입되는 세제와 린스는 적어도 일부가 터브(131) 내벽에 흡착되고, 중력에 의해 터브(131) 내벽을 따라 흘러내릴 수 있다. 터브(131) 내벽으로 흘러내리는 세제와 린스는 터브(131) 내부에 있는 물과 혼합되기 어렵다. 따라서, 세제와 린스가 물과 효과적으로 혼합되는 구조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제1분사노즐(310)은 세제유입구(1312) 및 린스유입구(1311)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분사노즐(310)에 구비되는 제2분사구(3121)는 터브(131)의 측방향으로 물을 분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2분사구(3121)에서 분사되는 물은 터브(131)의 내벽에 부딪힐 수 있다.
제1분사노즐(310)이 세제유입구(1312) 및 린스유입구(1311)보다 하측에 배치되므로, 세제유입구(1312) 및 린스유입구(1311)에서 터브(131) 내벽을 따라 하측방향으로 흘러내리는 세제와 린스는 제2분사구(3121)에서 분사되는 물과 충돌할 수 있다.
세제와 린스는 물과 충돌로 인해서 물과 효과적으로 혼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제 또는 린스가 물과 활발하게 혼합되어 컵세척기에서 세척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9는 세척부(130)의 일부에서 물의 유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 이하에서 일반세척모드에서 순환펌프(134)에 의해 터브(131)를 순환유동하는 물의 유동방향은 실선 화살표로 도시되었다. 또한, 급속세척모드에서 터브(131)로 유입되는 물의 유동방향은 은선(hidden line) 화살표로 도시되었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브라켓(340)의 평면도이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분사노즐(310)과 제2분사노즐(320)의 공급되는 물의 유로는 서로 구획되고, 제1분사노즐(310)에 공급되는 물의 유로는 제2분사노즐(320)에 공급되는 물의 유로의 외측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제1분사노즐(310)과 제2분사노즐(320)에 공급되는 물은 서로 혼합되지 않고, 각각의 노즐에 공급되어 터브(131)로 분사될 수 있다.
제1분사노즐(310)의 제1피스(311)의 중앙부에는 제2분사노즐(320)이 삽입되는 제1삽입홀(3113)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분사노즐(310)은 제2분사노즐(320)의 제1돌출부(321)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제1분사노즐(310)은 회전하므로 제2분사노즐(320)에 타이트하게 결합하지 않고, 다소의 공간을 두고 느슨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분사노즐(310) 내부로 유입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 제1분사노즐(310)은 터브(131)의 상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분사노즐(310)의 상측방향 이동이 과도할 경우에 컵세척기의 안정적인 동작이 어렵고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1분사노즐(310)의 이동을 제한하는 구조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스토퍼(3112)와 단차면(324)이 구비될 수 있다. 제1피스(311)는 제1삽입홀(3113)을 둘러싸고 상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스토퍼(3112)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3112)는 제1삽입홀(3113)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대체로 링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2분사노즐(320)은 스토퍼(3112)와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는 단차면(324)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분사노즐(320)의 제1돌출부(321)에서 제1분사노즐(310)이 장착되는 부위는 제1돌출부(321)의 외부표면이 함몰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홀에 제1분사노즐(310)이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함몰된 홀을 형성함으로써, 제2분사노즐(320)에는 전술한 단차면(324)이 형성될 수 있다.
물이 유입되어 수압에 의해 제1분사노즐(310)이 상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1분사노즐(310)의 제1피스(311)의 상측방향으로 돌출된 스토퍼(3112)는 마주보는 위치에 있는 단차면(324)과 접촉하고, 이에 따라 제1분사노즐(310)은 더이상 상승하지 않아 제1분사노즐(310)의 상측방향 이동범위가 제한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수압으로 인해 제2분사노즐(320)이 상승하는 범위를 제한하여, 컵세척기가 안정적으로 동작하도록 하고, 소음발생을 줄일 수 있다.
제2분사노즐(320)은 제2브라켓(340)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제2분사노즐(320)은 제2브라켓(340)에 고정적으로 결합하여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제1분사노즐(310)은 제2분사노즐(320) 및 제2브라켓(340)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제1분사노즐(310)이 회전하면 제1분사노즐(310)과 제2분사노즐(320)은 서로 접촉하여 마찰력이 발생할 수 있고, 마찰력의 작용으로 인해 제2브라켓(340)에 나사결합된 제2분사노즐(320)은 회전력을 받을 수 있고, 이것이 지속되면 나사결합이 풀려서 제2분사노즐(320)은 제2브라켓(340)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1분사노즐(310)은 제2분사노즐(320)과 제2브라켓(340) 사이의 나사결합을 조이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분사노즐(320)과 제2브라켓(340) 사이의 나사결합을 조이는 방향이 시계방향이면, 제1분사노즐(310)의 회전방향은 반시계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분사노즐(310)의 회전방향은 제1분사구(3111)와 제2분사구(3121)의 출수방향을 적절히 조절하여 구현될 수 있다. 즉, 제1분사구(3111)와 제2분사구(3121)의 출수방향을 적절히 조절하여 예를 들어, 제1분사노즐(310)의 회전방향이 반시계방향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제2분사노즐(320)과 제2브라켓(340) 사이의 나사풀림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제2브라켓(340)은 제1바디(341), 제2바디(342), 제3바디(3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바디(341)는 제2분사노즐(320)이 결합하고, 내부에 제2분사노즐(320)로 분사되는 물이 유동하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제1바디(341)는 대체로 속이 빈 막대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수도 또는 저수조(120)와 연결되어 내부에 물이 유동할 수 있다. 제1바디(341)의 상단부는 제2분사노즐(320)의 제1돌출부(321)와 나사결합할 수 있고, 하단부는 섬프(133)에 구비되는 고정부위에 나사결합할 수 있다.
제2바디(342)는 제1바디(341)의 직경방향으로 연장되고, 터브(131)와 결합할 수 있다. 제3바디(343)는 제1바디(341) 및 제2바디(342)를 연결하고, 유로형성부(313)와 연통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제1통공(3431)을 구비할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통공(3431)은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제3바디(343)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터브(131)는 제2삽입홀(1313), 제1장착부(13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삽입홀(1313)은 제1통공(3431)과 연결되고, 제1바디(341)가 삽입될 수 있다. 제2삽입홀(1313)은 제1바디(34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므로, 물은 제2삽입홀(1313)을 통해 유동하여 제1분사노즐(310)로 유입될 수 있다.
제1장착부(1314)는 제2삽입홀(1313)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측방향으로 돌출되고, 제2바디(342)가 장착될 수 있다. 제2바디(342)는 제1장착부(1314)에 예를 들어, 억지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제1장착부(1314)와 제2바디(342)는 서로 결합하여 제1분사노즐(310)로 향하는 물이 제1장착부(1314)와 제2바디(342) 사이의 틈새를 통해 바로 터브(131) 내부로 유출되는 것을 억제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제2바디(342)에는 제1장착홈(3421)과 실링부재(3422)가 구비될 수 있다. 제1장착홈(3421)은 제1장착부(1314)의 외부표면을 바라보도록 제2바디(342)의 원주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링부재(3422)는 제1장착홈(3421)에 장착되고, 제2바디(342)와 제1장착부(1314) 사이의 틈새를 막을 수 있다. 실링부재(3422)는 방수효과가 우수한 고무, 실리콘수지 등의 재질로 형성되고, 예를 들어 오링(O-ring)으로 구비될 수 있다.
실링부재(3422)가 제1장착부(1314)와 제2바디(342) 사이의 틈새를 막음으로써, 이러한 틈새를 통해 제1분사노즐(310)로 향하는 물의 일부가 바로 터브(131) 내부로 유출되거나, 반대로 터브(131) 내부의 물이 분사부(300) 내부의 유로로 유입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전술한 구조로 인해, 도 20에 실선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세척모드에서 사용되는 물은 터브(131)로 유입되어 터브(131) 하측의 섬프(133)에 저장되고, 섬프(133)로부터 제2삽입홀(1313), 제1통공(3431), 유로형성부(313)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제1분사노즐(310)로 유입되어 제1분사구(3111)와 제2분사구(3121)를 통해 터브(131) 내부로 분사될 수 있다.
한편, 도 20에 은선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급속세척모드에서 사용되는 물은 상수도와 연결된 배관을 통해 제2브라켓(340)의 제1바디(341)로 유입되고 다시 제2분사노즐(320)로 유입되어 제3분사구(3211)와 제4분사구(3221)를 통해 터부 내부로 분사될 수 있다.
제2분사노즐(320)은 제1분사노즐(310)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상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분사노즐(320)의 내부에는 제2유로(302)가 형성되고, 제2분사노즐(320)의 외측 둘레에는 제1유로(30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유로(301)를 유동하는 물은 제1분사노즐(310)을 통해 터브(131)로 분사되고, 제2유로(302)를 유동하는 물은 제2분사노즐(320)을 통해 터브(131)로 분사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분사부(300)는 제1유로(301)와 제2유로(3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유로(301)는 제2분사노즐(320)의 외측 둘레와 상기 제1분사노즐(310) 사이의 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유로(301)는 제2분사노즐(320)의 외측면과 제1분사노즐(310)의 내측면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2유로(302)를 외측 둘레를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유로(301)는 평면 단면으로 보아 대체로 도넛 형상의 공간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유로(301)는 순환펌프(134)와 연결되어 순환펌프(134)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유동할 수 있다. 제1유로(301)는 물이 터브(131)로 분사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제1유로(301)는 제1분사노즐(310)에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유로(301)는 제2분사노즐(320)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1분사노즐(310)에서는 제1유로(301)를 유동하는 물이 분사될 수 있다.
또한, 제1유로(301)는 제1분사노즐(310)과 연결되어 제1유로(301)를 유동하는 물은 제1분사노즐(310)을 통해 터브(131)로 분사될 수 있다. 일반세척모드에서 물은 제1유로(301)를 통해 터브(131)와 섬프를 순환하면서 터브(131)로 분사되어 컵을 세척할 수 있다.
제2유로(302)는 제2분사노즐(320)의 내부공간에 제1유로(301)와 구획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유로(302)는 제1유로(301)와 분리되도록 구비되고 물이 유동할 수 있다. 제2유로(302)는 물이 터브(131)로 분사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제2유로(302)는 제2분사노즐(32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유로(302)의 적어도 일부는 제2분사노즐(32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유로(302)는 제2분사노즐(320)과 연결되어 제2유로(302)를 유동하는 물은 제2분사노즐(320)을 통해 터브(131)로 분사될 수 있다. 급속세척모드에서 물은 제2유로(302)로 유입되어 제2분사노즐(320)을 통해 터브(131)로 분사되어 컵을 세척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제1유로(301)와 제2유로(302) 각각에 유동하는 물이 서로 혼합되지 않고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으며, 제1유로(301)와 제2유로(302)는 서로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동시에 전체 유로의 체적을 줄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일반세척모드에서는 제1유로(301) 또는 제2유로(302) 중 적어도 하나로 물이 유동하고 제1분사노즐(310) 또는 제2분사노즐(320)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컵을 세척하고, 급속세척모드에서는 제2유로(302)로 물이 유동하고 제2분사노즐(320)을 사용하여 컵을 세척할 수 있다.
이때, 제1유로(301)와 제2유로(302)는 서로 분리되어 각 유로에서 유동하는 물이 혼합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일반세척모드와 급속세척모드로 명확히 구분되어 동작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1은 세척부(130) 전체에서 물의 유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컵세척기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일반세척모드와 급속세척모드로 분리되어 작동할 수 있다.
컵세척기가 일반세척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섬프(133)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제1분사노즐(310)을 통해 분사될 수 있다. 컵세척기가 급속세척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물이 제2분사노즐(320)을 통해 분사될 수 있다.
일반세척모드에서는 제1분사노즐(310)이 회전하면서 물을 분사하여 컵을 세척할 수 있다. 일반세척모드에서는 터브(131)로 유입된 물이 터브(131)의 하측에 배치되는 섬프(133)에 저장되고, 섬프(133)에 저장된 물은 제1분사노즐(310)을 통해 분사되어 세척이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일반세척모드에서는 제1분사노즐(310)과 함께 제2분사노즐(320)에서도 물이 분사되어 세척이 진행될 수도 있다.
급속세척모드에서는 제2분사노즐(320)이 물을 분사하여 컵을 세척할 수 있다. 급속세척모드에서는 제2분사노즐(320)과 직접 연결되는 상수도로부터 제2분사노즐(320)로 상온의 물이 유입되어 세척이 진행될 수 있다.
일반세척모드에서는 순환펌프(134)의 작동에 의해 섬프(133)의 온수가 섬프(133)와 터브(131)를 반복적으로 순환하면서 컵을 세척할 수 있다. 또한, 일반세척모드에서는 세제와 린스가 터브(131)로 유입되므로, 세척결과가 급속세척모드와 비교하여 더욱 양호하고 린스를 이용한 헹굼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일반세척모드에서는 순환펌프(134)가 동작하여 온수를 순환시킬 수 있다. 순환펌프(134)가 동작하면, 도 21에서 실선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저수조(120)에서 가열되어 섬프(133)에 저장된 온수는 연결된 배관을 통해 순환펌프(134), 분사부(300)를 거쳐 터브(131) 내부에 분사되고, 분사된 온수는 다시 섬프(133)에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온수는 섬프(133), 분사부(300) 및 터브(131)를 순환하는 유동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컵을 세척할 수 있다. 컵 세척을 완료한 물은 배수펌프(135)에 의해 컵세척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급속세척모드에서는 순환펌프(134)가 동작하지 않으며, 제2유로(302)로 유입되는 물이 가진 수압에 의해 유동하고 제2분사노즐(320)에서 물이 분사될 수 있다. 급속세척모드에서는 매우 신속하게 컵세척을 완료할 수 있다.
급속세척모드에서 물의 유동은 도 21에 은선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다. 컵 세척을 완료한 물은 섬프(133)에 저장되는데, 일반세척모드와 마찬가지로, 배수펌프(135)에 의해 컵세척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일반세척모드에서는 제1분사노즐(310)을 사용하여 세척하고, 급속세척모드에서는 제2분사노즐(320)을 사용하여 세척할 수 있다. 이때, 각 모드에서 물의 유동경로는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이렇게 일반세척모드와 급속세척모드로 구분되어 동작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섬프(133)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2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섬프(133)는 터브(131)와 연결되고, 컵세척기가 일반세척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물은 섬프(133)에 저장될 수 있다. 세척펌프가 동작하면, 물은 섬프(133)와 터브(131)를 순환하면서 제1분사노즐(310)을 통해 분사되어 터브(131)에 수용된 컵을 세척할 수 있다.
일반세척모드와 급속세척모드에서 공통적으로, 컵세척이 종료된 후에 세척에 사용된 물은 섬프(133)에 저장되고 섬프(133)와 연결된 배수펌프(135)에 의해 컵세척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섬프(133)는, 저장공간부(1331), 입구연결부(1332), 제1노즐연결부(1333), 제2노즐연결부(1334), 펌프케이싱(1335), 드레인연결부(1336)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공간부(1331)는 섬프(133)의 내부에 공간으로 형성되고 물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공간부(1331)에는 일반세척모드에서 온수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저장공간부(1331)에는 일반세척모드 또는 급속세척모드에서 세척이 완료되어 오물이 포함된 물이 저장될 수 있다. 오물이 포함된 물은 배수펌프(135)에 의해 외부로 드레인될 수 있다.
입구연결부(1332)는 저장공간부(1331)와 연결되고 순환펌프(134)의 입구와 연결될 수 있다. 입구연결부(1332)는 섬프(133)로부터 돌출되고 그 단부는 순환펌프(134)와 결합할 수 있다. 순환펌프(134)가 동작하면, 물은 입구연결부(1332)를 통해 섬프(133)에서 순환펌프(134)로 유입될 수 있다. 순환펌프(134)는 일반세척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제1노즐연결부(1333)는 순환펌프(134)의 출구와 연결되고, 제1유로(301) 및 제1분사노즐(310)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순환펌프(134)로부터 배출되는 물은 제1노즐연결부(1333), 제1유로(301) 및 제1분사노즐(310)을 유동하여 터브(131) 내부에서 분사될 수 있다.
제2노즐연결부(1334)는 제2유로(302) 및 제2분사노즐(320)과 연결될 수 있다. 제2노즐연결부(1334)의 일측은 저수조(120) 또는 상수도배관(80)과 연결되고, 타측은 제2분사노즐(320)과 제2분사노즐(320)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2유로(302)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저수조(120) 또는 상수도배관(80)으로부터 컵세척기로 유입되는 물은 제2유로(302) 및 제2분사노즐(320)을 유동하여 터브(131) 내부에서 분사될 수 있다.
펌프케이싱(1335)은 저장공간부(1331)와 연결되고 배수펌프(135)가 장착될 수 있다. 펌프케이싱(1335)은 섬프(133)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섬프(133)의 물은 펌프케이싱(1335)에 장착되는 배수펌프(135)에 의해 컵세척기 외부로 드레인될 수 있다.
드레인연결부(1336)는 펌프케이싱(1335)과 연결되고 드레인배관과 연결될 수 있다. 드레인연결부(1336)는 펌프케이싱(1335)으로부터 돌출되고 펌프케이싱(1335)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배수펌프(135)가 동작하면 섬프(133)에 저장된 오염된 물은 드레인연결부(1336)와 이에 연결된 배관을 유동하여 컵세척기 외부로 드레인될 수 있다.
도 2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컵세척기의 배관 및 장치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4에서는 저수조(120)가 구비되지 않은 컵세척기의 구조가 개시되었다. 도 24 이하의 도면에서, 급속세척모드에서 물이 유동하는 경로는 굵은 실선으로 도시되었고, 일반세척모드에서 물이 유동하는 경로는 은선(hidden line)으로 도시되었다.
상수도(city water)배관(80)과 연결된 배관은 제2분사노즐(320)과 연결되는 배관과 터브(131)의 세척수유입구(1315)와 연결되는 배관으로 분기될 수 있다. 이러한 배관의 구성을 위해 상수도배관(80)의 일측에는 삼방향의 분기배관(832)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섬프(133)와 터브(131)가 서로 연결되는 부위에 컵의 세척과정에서 물에 포함되는 오물을 여과하는 필터(833)가 구비될 수 있다. 필터(833)는 오물이 순환펌프(134) 또는 배수펌프(135)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여 이들 펌프를 보호하고, 오물이 제1분사노즐(310)을 통해 다시 분사되어 터브(131)에 수용된 컵을 다시 오염시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수도배관(80)에서 제2분사노즐(320)과 연결되는 배관 또는 세척수유입구(1315)와 연결되는 배관의 물의 유동을 제어하기 위해 배관의 적절한 위치에 밸브(831)들이 구비될 수 있다. 컵세척기에 구비되는 제어부는 각 밸브(831)들의 개폐를 제어하여 일반세척모드 또는 급속세척모드에 맞게 물의 유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일반세척모드에서 물은 상수도배관(80)에서 세척수유입구(1315)를 통해 터브(131)로 유입되어 터브(131)의 하부에 배치되는 섬프(133)에 저장될 수 있다. 컵세척기가 일반세척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순환펌프(134)가 동작하여 물은 제1분사노즐(310)을 통해 터브(131)로 분사되고, 섬프(133)와 터브(131)를 순환하여 유동할 수 있다. 일반세척모드에서 세척이 완료된 후에는 오염된 물은 다시 섬프(133)에 저장될 수 있다.
컵세척기가 급속세척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순환펌프(134)가 동작을 정지하고, 물은 제2분사노즐(320)을 통해 터브(131)로 분사될 수 있다.
컵세척기가 일반세척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상수도배관(80)으로부터 유입된 물은 세척수유입구(1315)를 통해 터브(131)로 유입되어 섬프(133)에 저장된 후에 제1분사노즐(310)을 통해 터브(131)로 분사될 수 있다. 컵세척기가 급속세척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상수도배관(80)으로부터 유입된 물은 제2분사노즐(320)을 통해 터브(131)로 분사될 수 있다.
급속세척모드에서, 물은 섬프(133)에 저장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수도배관(80)으로부터 제2분사노즐(320)로 터브(131)내부로 분사되어 세척이 진행될 수 있다. 급속세척모드에서 세척이 완료된 후에는 오염된 물은 섬프(133)에 저장될 수 있다.
일반세척모드 또는 급속세척모드에서의 세척이 완료된 후에 섬프(133)에 저장된 물은 배수펌프(13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2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세척기의 배관 및 장치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5에 도시된 컵세척기는 상수도배관(80) 및 터브(131)와 배관으로 연결되고, 상수도배관(80)으로부터 유입된 물을 저장하고, 저장된 물을 가열하는 히터(123)를 내장하는 저수조(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세척모드에서는 물은 저수조(120)에서 가열되어 터브(131)로 유입되어 컵을 세척함으로써, 온수에 의한 세척으로 컵세척기의 세척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컵세척기가 일반세척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상수도배관(80)으로부터 유입된 물은 저수조(120)에서 가열되어 세척수유입구(1315)를 통해 터브(131)로 유입되어 섬프(133)에 저장된 후에 제1분사노즐(310)을 통해 터브(131)로 분사될 수 있다.
컵세척기가 급속세척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상수도배관(80)으로부터 유입된 물은 저수조(120)를 바이패스하여 제2분사노즐(320)을 통해 터브(131)로 분사될 수 있다.
급속세척모드에서는, 일반세척모드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세척시간이 짧다. 또한, 급수세척모드에서는 상온의 물을 사용하여 세척하는 경우에, 온수를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세척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급속세척모드에서 세척효율을 높일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한데, 이하에서 이에 대해 설명한다.
도 2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세척기의 배관 및 장치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일반세척모드에서는 도 25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세척이 진행될 수 있다.
도 2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컵세척기는 상수도배관(80)과 제2분사노즐(320)을 연결하는 배관에 배치되는 기포발생장치(810)를 포함할 수 있다. 기포발생장치(810)는 상수도배관(80)과, 제2분사노즐(320)이 연결되는 제2유로(302) 사이에 배치되고, 상수도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통과할 수 있다.
컵세척기가 급속세척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상수도배관(80)으로부터 유입된 물은 기포발생장치(810)를 통과하여 제2분사노즐(320)을 통해 터브(131)로 분사될 수 있다.
기포발생장치(810)를 통과한 물은 기포를 포함하고 기포를 포함한 물이 컵에 분사되므로 상온의 물을 사용하는 급속세척모드에서 컵세척기의 세척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2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세척기의 배관 및 장치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컵세척기는 상수도배관(80)과 제2분사노즐(320)을 연결하는 배관에 배치되는 보조가열부(820)를 포함할 수 있다.
컵세척기가 급속세척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상수도배관(80)으로부터 유입된 물은 보조가열부(820)를 통과하면서 가열되어 제2분사노즐(320)을 통해 터브(131)로 분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급속세척모드에서 보조가열부(820)에 의해 가열된 온수가 제2분사노즐(320)에 의해 분사됨으로써, 상온의 물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급속세척모드에서 컵세척기의 세척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컵세척기에는 기포발생장치(810)와 보조가열부(820)를 함께 구비할 수 있고, 기포발생장치(810)와 보조가열부(820)는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급속세척모드에서 컵세척기의 세척효율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수도배관(80)과 제2분사노즐(320)을 연결하는 배관에는 기포발생장치(810) 또는 보조가열부(820) 중 적어도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급속세척모드에서 제2분사노즐(320)에서 분사되는 물은 기포를 포함하거나 또는 온수이거나 적어도 하나의 상태이므로, 급속세척모드에서 컵세척기의 세척효율이 효과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도 2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세척기의 배관 및 장치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분사노즐(310)과 제2분사노즐(320)에 공급되는 물은 모두 저수조(120)를 통해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분사노즐(320)과 저수조(120)는 서로 배관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분사노즐(320)에 공급되는 물의 압력을 높이기 위해, 필요한 경우, 제2분사노즐(320)과 저수조(120)를 연결하는 배관에 펌프가 배치될 수도 있다.
도 2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급속세척모드에서 히터(123)의 동작을 중지하여 상온의 물을 제2분사노즐(320)에 공급할 수 있다. 또는 급속세척모드에서 히터(123)를 동작시킴으로써, 급속세척모드에서도 온수를 이용하여 컵을 세척할 수도 있다.
이처럼, 급속세척모드와 일반세척모드에서 제1분사노즐(310)과 제2분사노즐(320)에 공급되는 물이 모두 저수조(120)로부터 유입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수도와 제2분사노즐(320) 사이의 직접연결을 위한 배관구조를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 급속세척모드에서도 히터(123)를 사용하여 온수를 만들어 컵의 세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세척부(130)에는 초음파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음파모듈은 터브(131)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음파모듈은 급속세척모드에서 동작하여 제2분사노즐(320)에서 분사되는 물에 초음파를 가하여 세척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의 컵세척기의 배관 및 장치구조를 고려하면 컵세척기는 하기의 구조 및 동작이 구현될 수 있다.
제1분사노즐(310)은 제1유로(301)와 연결되고, 제2분사노즐(320)은 제2유로(302)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유로(301) 및 제2유로(302)는 상수도 또는 저수조(12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물이 공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로 제1유로(301) 및 제2유로(302)는 모두 상수도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1유로(301) 및 제2유로(302)는 저수조(120)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제1유로(301)는 저수조(120)로부터 물을 공급받고, 제2유로(302)는 상수도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때, 제1유로(301) 및 제2유로(302)에는 각각 상온의 물 또는 온수 중 적어도 하나가 공급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컵세척기는 일반세척모드 또는 일반세척모드보다 짧은 시간이 소요되는 급속세척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각 모드에서 구체적인 동작은 하기와 같다.
일반세척모드 및 급속세척모드에서 분사부(300)에는 상온의 물 또는 온수가 공급될 수 있다. 온수로 컵을 세척하는 경우에, 상온의 물보다 세척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상온의 물로 컵을 세척하는 경우 물을 가열하는데 필요한 컵세척기의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상온의 물로 컵을 세척하는 경우에 기포발생장치(810) 또는 초음파모듈을 사용하여 세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컵세척기가 일반세척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제1유로(301)에 물이 공급되고, 제1분사노즐(310)이 동작하여 컵을 세척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컵세척기가 일반세척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제1유로(301) 및 제2유로(302)에 물이 공급되고, 제1분사노즐(310)과 제2분사노즐(320)이 함께 동작하여 컵을 세척함으로써, 제1분사노즐(310)만 동작하는 경우에 비해, 세척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컵세척기가 급속세척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제2유로(302)에 물이 공급되고 제1유로(301)에 물이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급속세척모드에서는 제2분사노즐(320)이 동작하고 제1분사노즐(310)은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급속세척모드에서는 순환유동 방식의 제1분사노즐(310)을 사용하지 않고 제2분사노즐(320) 만을 사용하여 컵을 세척함으로써 세척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급속세척모드에서 세척시간이 상대적으로 짧으므로, 세척효율을 높이기 위해 급속세척모드에서 제2유로(302) 및 제2분사노즐(320)을 유동하는 물의 수압을 일반세척모드에서 각 유로 및 분사노즐을 유동하는 물의 수압보다 높게 설정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10: 베이스플레이트
120: 저수조
130: 세척부
140: 중간플레이트
150: 도어
160: 프레임
170: 프런트패널

Claims (27)

  1. 세척부를 구비하는 컵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는,
    컵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및
    상기 터브에 배치되고, 상기 컵을 향하여 물을 분사하는 분사부
    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부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적어도 하나의 분사구를 포함하는 제2분사노즐; 및
    상기 제2분사노즐의 외측 둘레로부터 상기 터브 양측면을 향해 연장되고, 적어도 하나의 분사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2분사노즐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분사노즐을 포함하는,
    컵세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는,
    상기 제1분사노즐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제1브라켓; 및
    상기 제2분사노즐이 고정적으로 결합하고, 상기 제1브라켓이 장착되고, 상기 터브의 하부에 결합하여 상기 분사부를 상기 터브에 장착시키는 제2브라켓
    을 포함하는,
    컵세척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사노즐은,
    상면에 형성되고, 회전중심에서 외측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분사구를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제1분사구의 출수방향은 상기 제1분사노즐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구비되는,
    컵세척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사노즐은,
    하면에 형성되고 회전중심에서 외측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출수방향이 제1분사노즐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놓이도록 배치되는 제2분사구를 포함하는,
    컵세척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분사노즐은 상기 제1분사노즐의 상면보다 더 높게 상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컵세척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분사노즐은,
    상기 제1분사노즐로부터 상측방향으로 돌출되고, 둘레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제3분사구를 구비하는 제1돌출부; 및
    상기 제1돌출부에 결합하고, 상기 제1돌출부로부터 상측방향으로 돌출되고, 상단부에 제4분사구를 구비하는 제2돌출부
    를 포함하는,
    컵세척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4분사구는,
    상기 제2돌출부의 측벽에 둘레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제1서브분사구; 및
    상기 제4분사구의 상단에 구비되는 상단커버에 형성되고, 상기 상단커버의 직경방향 및 둘레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서브분사구
    를 포함하는,
    컵세척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분사노즐은 상기 제1분사노즐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상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분사노즐은 물이 유동하는 제1유로와 연결되고,
    상기 제2분사노즐은 상기 제1유로와 분리되고 물이 유동하는 제2유로와 연결되는,
    컵세척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로는 상기 제2분사노즐의 외측면과 상기 제1분사노즐의 내측면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2유로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컵세척기.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사노즐은,
    상기 제1분사노즐의 상부를 형성하는 제1피스; 및
    상기 제1피스의 하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피스와 결합하여 물이 유동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2피스
    를 포함하는,
    컵세척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사노즐은,
    상기 제2피스로부터 하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분사노즐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분사노즐로 물이 유입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형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브라켓은,
    상기 유로형성부가 삽입되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유로형성부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제1결합부; 및
    상기 제1결합부의 직경방향으로 돌출되어 플랜지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브라켓에 결합하는 제2결합부
    를 포함하는,
    컵세척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피스의 중앙부에는 상기 제2분사노즐이 삽입되는 제1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피스는 상기 제1삽입홀을 둘러싸고 상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2분사노즐은 상기 스토퍼와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는 단차면을 포함하는,
    컵세척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브라켓은,
    상기 제2분사노즐이 결합하고, 내부에 상기 제2분사노즐로 분사되는 물이 유동하는 유로가 형성되는 제1바디;
    상기 제1바디의 직경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터브와 결합하는 제2바디; 및
    상기 제1바디 및 상기 제2바디를 연결하고, 상기 유로형성부와 연통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제1통공을 구비하는 제3바디
    를 포함하고,
    상기 터브는,
    상기 제1통공과 연결되고, 상기 제1바디가 삽입되는 제2삽입홀; 및
    상기 제2삽입홀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측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바디가 장착되는 제1장착부
    를 포함하는,
    컵세척기.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는 상기 터브 내부에 구비되고 컵이 안착되는 랙을 포함하고,
    상기 제2분사노즐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랙의 하단을 관통하여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컵세척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랙에 컵이 안착된 경우,
    상기 제1분사노즐의 양단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컵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분사노즐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컵의 내부에 배치되는,
    컵세척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랙에 컵이 안착된 경우, 상기 제2분사노즐에 형성되는 복수의 분사구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컵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는,
    컵세척기.
  17. 세척부를 구비하는 컵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는,
    컵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적어도 하나의 분사구를 포함하는 제2분사노즐; 및
    상기 제2분사노즐의 외측 둘레로부터 상기 터브 양측면을 향해 연장되고, 적어도 하나의 분사구를 포함하는 제1분사노즐
    을 포함하고,
    상기 제2분사노즐의 외측 둘레와 상기 제1분사노즐 사이의 공간에는 제1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2분사노즐의 내부공간에는 상기 제1유로와 구획된 제2유로가 형성되는,
    컵세척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로는 상기 제2유로의 외측 둘레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컵세척기.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컵세척기는 상기 세척부의 하측에 배치되고, 컵 세척을 위한 물이 저장되는 저수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유로 및 상기 제2유로는 상수도(city water) 또는 상기 저수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물이 공급되는,
    컵세척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로는 상기 저수조로부터 물을 공급받고, 상기 제2유로는 상기 상수도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컵세척기.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로 및 상기 제2유로는 상기 저수조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컵세척기.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컵세척기는 일반세척모드 또는 상기 일반세척모드보다 짧은 시간이 소요되는 급속세척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컵세척기가 상기 일반세척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상기 제1유로에 물이 공급되도록 구비되는,
    컵세척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컵세척기가 상기 일반세척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상기 제1유로 및 상기 제2유로에 물이 공급되도록 구비되는,
    컵세척기.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컵세척기가 상기 급속세척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상기 제2유로에 물이 공급되고 상기 제1유로에 물이 공급되지 않는,
    컵세척기.
  25. 제17항에 있어서,
    상수도배관과 상기 제2유로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상수도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통과하는 기포발생장치를 더 포함하는,
    컵세척기.
  26.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분사노즐은 상기 제1분사노즐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상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분사노즐은 상기 제2분사노즐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컵세척기.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사노즐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제1브라켓; 및
    상기 제2분사노즐이 고정적으로 결합하고, 상기 제1브라켓이 장착되고, 상기 터브의 하부에 결합하는 제2브라켓
    을 포함하는,
    컵세척기.
KR1020230074415A 2022-09-26 2023-06-09 컵세척기 KR2024004305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3198456.8A EP4344597A1 (en) 2022-09-26 2023-09-20 Cup washer
US18/372,332 US20240099543A1 (en) 2022-09-26 2023-09-25 Cup wash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121431 2022-09-26
KR1020220121431 2022-09-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3056A true KR20240043056A (ko) 2024-04-02

Family

ID=90714677

Famil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4416A KR20240043057A (ko) 2022-09-26 2023-06-09 컵세척기 제어방법
KR1020230074420A KR20240043061A (ko) 2022-09-26 2023-06-09 컵세척기
KR1020230074418A KR20240043059A (ko) 2022-09-26 2023-06-09 컵세척기
KR1020230074417A KR20240043058A (ko) 2022-09-26 2023-06-09 컵세척기
KR1020230074419A KR20240043060A (ko) 2022-09-26 2023-06-09 컵세척기
KR1020230074415A KR20240043056A (ko) 2022-09-26 2023-06-09 컵세척기
KR1020230083295A KR20240043065A (ko) 2022-09-26 2023-06-28 컵세척기
KR1020230084952A KR20240043067A (ko) 2022-09-26 2023-06-30 컵세척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4416A KR20240043057A (ko) 2022-09-26 2023-06-09 컵세척기 제어방법
KR1020230074420A KR20240043061A (ko) 2022-09-26 2023-06-09 컵세척기
KR1020230074418A KR20240043059A (ko) 2022-09-26 2023-06-09 컵세척기
KR1020230074417A KR20240043058A (ko) 2022-09-26 2023-06-09 컵세척기
KR1020230074419A KR20240043060A (ko) 2022-09-26 2023-06-09 컵세척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3295A KR20240043065A (ko) 2022-09-26 2023-06-28 컵세척기
KR1020230084952A KR20240043067A (ko) 2022-09-26 2023-06-30 컵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8) KR20240043057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3057A (ko) 2024-04-02
KR20240043061A (ko) 2024-04-02
KR20240043067A (ko) 2024-04-02
KR20240043060A (ko) 2024-04-02
KR20240043058A (ko) 2024-04-02
KR20240043059A (ko) 2024-04-02
KR20240043065A (ko) 2024-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26932B2 (en) Spray fill device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US20110083477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1130787B1 (ko) 싱크대 일체형 식기세척장치
WO2009142353A1 (en) Dispenser and washing machine
KR102429096B1 (ko) 식기세척기와 그의 제어방법
US6092540A (en) Sink side dishwasher
KR20070085882A (ko) 식기 세척기
KR20060023017A (ko) 세탁기
US10945580B2 (en) Spray nozzle for a dishwasher appliance
KR20240043056A (ko) 컵세척기
KR100556779B1 (ko) 식기세척기
US20240099543A1 (en) Cup washer
KR20060068402A (ko) 컵 세척장치
JP2000210243A (ja) 洗浄機の洗剤供給装置
KR102486261B1 (ko) 세탁기
JPH0824478A (ja) ドラム式洗濯機
KR20050086204A (ko) 드럼 세탁기
JPH09289963A (ja) 食器洗浄機
US20240099544A1 (en) Cup washer
CN109589063B (zh) 一种清洗机
KR20000002183A (ko) 드럼세탁기의 세제용해장치
US20220079412A1 (en) Dishwasher with molded tubular spray element
KR101270613B1 (ko) 드럼 세탁기
US10648122B2 (en) Laundry treating appliance and treating chemistry dispenser
KR20240043074A (ko) 컵세척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