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3074A - 컵세척기 - Google Patents

컵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3074A
KR20240043074A KR1020230103272A KR20230103272A KR20240043074A KR 20240043074 A KR20240043074 A KR 20240043074A KR 1020230103272 A KR1020230103272 A KR 1020230103272A KR 20230103272 A KR20230103272 A KR 20230103272A KR 20240043074 A KR20240043074 A KR 202400430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
water
cup
cup washer
deter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3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용
김미성
박효근
오세재
전경진
진재우
성창우
박차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30084952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40043067A/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EP23198680.3A priority Critical patent/EP4344596A1/en
Priority to US18/372,354 priority patent/US20240099544A1/en
Publication of KR20240043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30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65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specially adapted for drinking glas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25Arrangements or adaption of recirculation or discharge pum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46Details of the tub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47L15/4261Connections of the door to the casing, e.g. door hin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47L15/4265Arrangements of door covering/decoration panels or plinths, e.g. for integrated dishwash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74Arrange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e.g. control units or c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4Devices for adding cleaning agents; Devices for dispensing cleaning agents, rinsing aids or deodorants
    • A47L15/4418Devices for adding cleaning agents; Devices for dispensing cleaning agents, rinsing aids or deodorants in the form of liqui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컵세척기의 일 실시예는, 베이스플레이트, 베이스플레이트의 상측에 배치되고, 컵 세척을 위한 물이 저장되는 저수조, 및 저수조의 상부에 배치되고, 수용된 컵을 세척하는 세척부를 포함하고, 컵세척기는, 상하방향 길이가 베이스플레이트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컵세척기{CUP WASHER}
본 발명은 컵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컵을 세척하는 컵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최근 환경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음료수를 파는 매장에서는 손님에게 일회용 컵의 제공을 줄이고 있으며, 매장을 방문하는 손님은 텀블러 등의 다회용 컵을 휴대하고, 다회용 컵에 음료수를 담아가는 추세가 증가하고 있다.
손님 즉, 다회용 컵의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가 휴대하는 컵을 세척하는 컵세척기를 매장에 비치하고, 사용자가 휴대한 컵을 편리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컵세척기에 관한 선행기술은 한국공개실용신안 제94-20198호(선행기술1) 및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91635호(선행기술2)에 개시된다.
그러나, 선행기술1에 개시된 컵세척기는 컵을 세척하는 동안에 컵 또는 브러쉬를 사용자가 잡고 있어야 하므로, 컵을 세척하는 사용자에게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선행기술1에는 컵을 세척하고 한 후에, 컵에 남아있는 물기를 건조하는 구조가 없으므로, 사용자에게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컵세척기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으며, 전복의 위험없이 안정적으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도록 설계될 필요가 있다.
또한, 컵에서 물, 음료수 등이 담기는 내부와 사용자가 손으로 접촉하는 외부를 모두 세척하여 컵을 전체적으로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컵세척기의 설계가 필요하다.
또한, 사용자가 허리를 굽히지 않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컵세척기의 설계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컵을 세척하는 동안에 사용자가 컵 또는 컵세척기를 파지하지 않아도 되는 구조를 가진 컵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은 공간을 차지하고, 안정적으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컵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세척을 용이하기 하기 위해 온수를 공급할 수 있고, 세척후에 컵에 남은 물기를 건조하여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컵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컵을 전체적으로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컵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허리를 굽히지 않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컵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컵세척기의 일 실시예는, 컵 세척을 위한 물이 저장되는 저수조, 저수조의 상부에 배치되고, 컵을 수용하는 터브를 포함하는 세척부, 및 세척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힌지회전하여 터브 및 세척부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는 세척부의 상단에 배치되고 터브를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사용자가 허리를 굽히지 않고 도어를 개폐하여 편리하게 컵세척기를 사용할 수 있다.
컵세척기의 하부에 놓인 물이 충만한 저수조의 하중으로 인해, 컵세척기의 무게중심이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단면적과 비교하여 높이가 상대적으로 긴 타워 형태의 컵세척기가 외부충격에 의해 전복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컵세척기는 저수조와 세척부 사이에 배치되고, 세척부를 지지하는 중간플레이트, 및 베이스플레이트에 의해 지지되고, 중간플레이트가 결합하고, 세척부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은, 하부가 베이스플레이트에 결합하고, 길이방향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프런트서포터, 하부가 베이스플레이트에 결합하고, 길이방향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리어서포터, 프런트서포터 및 리어서포터 사이에 배치되고, 하부가 베이스플레이트에 결합하고, 길이방향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중간서포터, 및 중간서포터의 상측에 배치되고, 길이방향이 전후방향으로 배치되고, 세척부가 결합하는 상측서포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척부를 비롯한 컵세척기의 상부에 구비되는 부품들은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고, 각 부품들은 최종적으로 베이스플레이트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실시예의 컵세척기에서 컵은 터브 내부에 수용되고, 분사장치는 터브 내부 전체에 물을 분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터브 내부에는 물이 분사되어 확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분사장치에서 분사되는 물은 컵의 내부표면과 외부표면에 모두 부딪혀 컵의 표면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세척할 수 있다.
컵세척기의 상부에는 컵을 수용하여 세척하는 세척부가 구비될 수 있다. 세척부는 도어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이때, 도어는 컵세척기의 상하방향으로 힌지회전하여 세척부를 개폐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사용자는 허리를 굽히지 않고, 손으로 도어를 열어 세척부에 컵을 놓고, 다시 도어를 닫은 후에 컵세척기를 작동시켜 편리하게 컵을 세척할 수 있다.
컵세척기의 일 실시예는, 베이스플레이트, 베이스플레이트의 상측에 배치되고, 컵 세척을 위한 물이 저장되는 저수조, 및 저수조의 상부에 배치되고, 수용된 컵을 세척하는 세척부를 포함하고, 컵세척기는, 상하방향 길이가 베이스플레이트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세척부는 컵이 수용되는 터브를 포함하고, 터브는 상부에 개구가 형성되도록 컵세척기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컵세척기의 일 실시예는, 터브의 상측에 배치되고, 터브의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는 컵세척기의 상측방향으로 회전하여 개구를 개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컵세척기의 일 실시예는, 터브의 상부에 배치되는 탑커버를 포함하고, 도어는 탑커버에 힌지회전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세척부는, 터브와 연결되도록 배치되고, 터브에서 분사되는 물을 저장하는 섬프, 및 터브 및 섬프와 연결되도록 배치되고, 물을 터브와 섬프 사이에서 순환시키는 순환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섬프 및 순환펌프는 터브와 저수조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컵세척기의 일 실시예는, 터브와 연결되도록 배치되고, 건조를 위한 가열된 공기를 터브 내부로 분사하는 건조모듈, 및 세제 또는 린스 중 적어도 하나를 터브에 투입하는 액체투입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건조모듈 및 액체투입모듈은 터브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액체투입모듈은, 세제를 저장하는 세제저장부, 세제저장부와 분리되어 배치되고 린스를 저장하는 린스저장부, 세제저장부 및 터브와 연결되고, 세제를 터브로 주입하는 세제주입부, 린스저장부 및 터브와 연결되고, 린스를 터브로 주입하는 린스주입부, 세제주입부와 연결되고 세제를 터브로 펌핑하는 세제펌프, 및 린스주입부와 연결되고 린스를 터브로 펌핑하는 린스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컵세척기의 일 실시예는, 저수조의 상측에 배치되는 중간플레이트, 저수조의 후방에 배치되고, 컵세척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제1회로기판부, 및 하부가 베이스플레이트에 결합하고, 상부가 중간플레이트에 결합하고, 제1회로기판부가 결합하는 기판부서포터를 포함할 수 있다.
컵세척기의 일 실시예는, 터브에 세제 및 린스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배관을 더 포함하고, 제1회로기판 및 공급배관은 저수조의 후방에 저수조 및 세척부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컵세척기의 일 실시예는, 베이스플레이트에 의해 지지되는 프레임, 저수조를 덮는 프런트패널, 및 프레임에 결합하여 컵세척기의 후방을 덮는 리어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은, 컵세척기의 전방에 서로 이격되는 한 쌍으로 배치되고, 하부가 베이스플레이트에 결합하는 프런트서포터, 및 컵세척기의 후방에 배치되고, 하부가 베이스플레이트에 결합하는 리어서포터를 포함할 수 있다.
프런트패널은, 컵세척기의 전방부를 형성하는 제1셀, 제1셀의 양단으로부터 절곡되는 한 쌍으로 구비되는 제2셀, 제2셀의 단부로부터 돌출되고, 리어서포터에 결합하는 제2결합돌기, 및 제1셀 및 제2셀의 상단부로부터 돌출되고, 프런트패널의 탈거를 억제하는 제3결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3결합돌기는, 끼움부, 및 끼움부에 둘러싸이도록 형성되고, 단면이 V자로 형성되고,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은, 프런트서포터 및 리어서포터 사이에 배치되고, 하부가 베이스플레이트에 결합하는 중간서포터를 포함할 수 있다.
컵세척기의 다른 실시예는, 베이스플레이트, 베이스플레이트의 상측에 배치되고, 컵 세척을 위한 물이 저장되는 저수조, 저수조의 상부에 배치되고, 컵이 수용되는 터브, 및 저수조와 터브 사이에 배치되고, 저수조와 터브를 구획하고, 터브를 지지하는 중간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컵세척기는 베이스플레이트에 의해 지지되고, 중간플레이트가 결합하는 프레임, 저수조 및 터브를 덮는 프런트패널, 프레임에 결합하여 컵세척기의 후방을 덮는 리어패널, 및 리어패널에 결합하는 외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은, 컵세척기의 전방에 서로 이격되는 한 쌍으로 배치되고, 하부가 베이스플레이트에 결합하는 프런트서포터, 및 컵세척기의 후방에 배치되고, 하부가 베이스플레이트에 결합하는 리어서포터를 포함할 수 있다.
세척부의 일 실시예는, 컵이 수용되는 터브, 터브의 하측에 배치되는 배수펌프, 및 터브의 측벽 외측면에 결합하고, 배수펌프와 및 드레인배관과 연결되고, 배수펌프로 유입된 물이 통과하는 유동경로가 내부에 형성되는 파이프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터브는 측벽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제1관통홀을 포함하고, 파이프어셈블리는 제1관통홀과 연결되는 제2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파이프어셈블리는, 터브에 결합되고, 물이 유동하는 유로가 내부에 형성되는 어셈블리몸체, 및 어셈블리몸체와 결합하여 어셈블리몸체의 노출부위를 덮는 어셈블리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어셈블리커버는 열융착 방식으로 어셈블리몸체에 고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터브는, 측벽에서 어셈블리몸체가 결합하는 부위에 형성되고, 측벽의 적어도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되고, 제1관통홀이 형성되는 결합면을 포함할 수 있다.
어셈블리몸체는, 내부에 공간으로 형성되고, 제2관통홀이 형성되는 공간형성부, 공간형성부의 외부로 돌출되고 물이 유동하고 배수펌프와 연결되는 제1유동배관, 및 공간형성부의 외부로 돌출되고 물이 유동하고 제1유동배관과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드레인배관과 연결되는 제2유동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
공간형성부는, 공간으로 구비되고, 제2관통홀과 연결되는 제1영역, 및 공간으로 구비되고, 제1유동배관 및 제2유동배관과 연결되는 제2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공간형성부는, 공간으로 구비되고, 제1영역과 제2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제3영역, 제1영역과 제2영역을 분리하는 제1격막, 및 제2영역과 제3영역을 분리하는 제2격막을 포함할 수 있다.
공간형성부는, 제1격막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제1영역과 제3영역을 연결하는 제1통공, 및 제2격막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제2영역과 제3영역을 연결하는 제2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제2관통홀은 제1영역의 하부에 배치되고, 제1통공은 제1영역 및 제3영역의 상부에 배치되고, 제2통공은 제2영역 및 제3영역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컵세척기에서, 컵세척기는 평면 단면적이 비교적 작고, 상하방향 길이가 비교적 긴 타워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타워형으로 구비됨으로써, 컵세척기는 평면 단면적이 작게 구비되어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컵세척기에서, 컵세척기의 하부에 놓인 물이 충만한 저수조의 하중으로 인해, 컵세척기의 전체적인 무게중심의 높이는 낮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하방향의 길이가 비교적 긴 타워형으로 구비되는 컵세척기는 외부의 충격에도 쉽게 전복되지 않고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컵세척기에서, 컵세척기는 세척부의 상단에서 컵세척기의 상하방향으로 힌지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사용자가 허리를 굽히지 않고 도어를 개폐하여 편리하게 컵세척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조로 인해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추가적인 공간이 불필요하므로, 공간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컵세척기에서, 세척부를 비롯한 컵세척기의 상부에 구비되는 부품들은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고, 각 부품들은 최종적으로 베이스플레이트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세척부 등의 비교적 무거운 부품들이 컵세척기의 상부에 구비된 상태에서도 각 부품들은 프레임 및 베이스플레이트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컵세척기에서, 제1결합돌기에는 가이드돌기가 구비되고 서포터들에는 가이드돌기에 끼워지는 가이드홀이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돌기가 가이드홀에 끼워지면 서포터들과 제1결합돌기에 형상되는 결합기구의 체결을 위한 홀들은 서로 어긋나지 않고 정확한 위치에 서로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용이하게 결합기구를 홀에 체결하여 서포터들을 제1파트에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컵세척기에서, 세척부에는 가열된 공기를 터브 내부로 분사하는 건조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세척이 완료된 후, 건조모듈을 이용하여 컵의 표면에 잔류하는 물을 건조하여,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컵세척기의 세척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컵세척기에서, 컵의 물, 음료수 등이 담기는 내부표면과 사용자가 손으로 접촉하는 외부표면이 모두 분사되는 물에 노출되고, 물은 컵의 내부표면과 외부표면에 모두 충돌할 수 있다. 따라서, 컵세척기는 컵의 내부표면과 외부표면을 동시에 전체적으로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컵세척기에서, 도어는 힌지서포터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도어는 세척부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도어를 힌지회전시켜 도어를 개폐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비교적 작은 동작으로 허리를 숙이지 않고 도어를 개폐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구조는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컵세척기에서, 도어가 닫힌상태에서 개방되면 도어는 상측방향으로 힌지회전하고 이에 따라 링크부와 랙은 함께 상승할 수 있다. 반대로, 도어가 개방상태에서 닫히면 도어는 하측방향으로 힌지회전하고 이에 따라 링크부와 랙은 함께 하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하면 링크부와 랙이 함께 상승하여, 사용자는 허리를 숙이지 않고 랙에 컵을 거치하거나 랙에서 컵을 회수할 수 있어, 이러한 구조는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컵세척기에서, 세척부에는 터브의 외부에 세제주입장치와 린스주입장치가 서로 분리되어 배치될 수 있다. 세제주입장치와 린스주입장치에 의해 터브 내부로 유입된 물은 세제 또는 린스와 혼합될 수 있다.
따라서, 물을 분사하여 컵을 세척하는 경우에 물과 세제가 혼합된 세척수가 컵으로 분사되어 컵의 세척효율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컵을 세척한 후에 컵을 헹구는 경우에 물과 린스가 혼합된 세척수가 컵으로 분사되어 컵을 효과적으로 헹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컵세척기에서, 세제펌프와 린스펌프는 컵세척기에 구비되는 제어부와 연결되고 제어부에 의해 설정된 시점에 동작하여 터브로 세제 또는 린스를 주입하여 터브에서 물과 혼합되도록 할 수 있다. 관리자는 세제저장부와 린스저장부에 주기적으로 세제와 린스를 보충할 수 있다.
따라서, 따라서, 자신의 컵을 세척하려는 사용자는 세제와 린스를 물에 첨가하기위한 별도의 동작을 할 필요없이 편리하게 세제를 이용하여 컵의 세척효율을 높일 수 있고, 컵의 세척후에 린스를 이용하여 컵을 깨끗하게 헹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컵세척기에서, 린스는 제2연결배관, 삼방연결부, 제1연결배관 및 세척수유입구를 통해 터브로 유입될 수 있다. 반면, 세제는 별도의 배관을 통해 연결된 세제유입구를 통해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세제와 린스가 터브에 유입되는 시점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세제와 린스가 터브로 주입되는 경로가 분리되어, 세제와 린스가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컵세척기의 세척작업 및 헹굼작업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컵세척기에서, 물과 린스는 하나의 배관에서 서로 만나서 유동하여 세제유입구를 통해 터브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과 린스는 유동하면서 더욱 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고, 물과 린스가 균일하게 혼합된 세척수가 컵에 분사되어 컵의 헹굼작업이 효과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컵세척기에서, 랙은 터브의 세척수유입구와 인접한 위치에 물의 유동방향을 가이드하는 제1유로가이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터브로 유입되는 물은 제1유로가이드부에 의해 터브로 유입되는 세제를 향하여 유동할 수 있다. 따라서, 유동하는 물이 세제와 혼합되므로 물과 세제는 서로 원활하게 혼합되고, 컵세척기의 세척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컵세척기에서, 세척부는 송풍팬과 공기가열부를 포함하는 건조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물을 이용한 컵세척을 한 후에 건조모듈을 이용하여 터브에 수용된 컵에 온풍을 분사함으로써, 건조된 컵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컵세척기에서, 상승부, 측방향연장부, 하강부를 포함하는 공기유로부는 전체적으로 거꾸로된 U자 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공기유로부를 기준으로 보면, 터브의 공기유입홀은 측방향연장부보다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유입홀을 통해 섬프로부터 공기유로부로 유입되는 물은 중력으로 인해 하강부에서 측방향연장부로 상승할 수 없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섬프의 물이 공기유로부를 역류하여 송풍팬으로 유입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컵세척기에서, 공기유로부를 구성하는 상승부의 하단부에는 워터루프가 형성될 수 있다. 워터루프에 의해 건조모듈을 표면에서 응결된 물은 송풍팬을 피하여 흘러내릴 수 있다. 따라서, 송풍팬에 응결된 물이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어 송풍팬의 오작동, 고장이 효과적으로 예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컵세척기에서, 공기배출홀을 통해 제3덕트로 유입된 물은 단차부에 막혀 외부로 유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3덕트의 내측 바닥면이 터브방향으로 하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덕트에 유입된 물은 중력에 의해 다시 터브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공기배출홀을 통해 공기부출부로 유입된 물은 컵세척기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효과적으로 억제되어, 공기배출홀을 통한 물의 배출로 인한 사용자의 불편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컵세척기에서, 워터트레이의 상측에 건조모듈이 배치되고, 하측에 순환펌프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워터트레이는 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컵세척기의 상하방향으로 보면, 워터트레이는 순환펌프를 상측에서 덮을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건조모듈의 표면에서 응결된 물을 건조모듈을 타고 흘러내려 워터트레이의 상면에 낙하할 수 있다. 따라서 건조모듈의 표면에서 흘러내려 낙하하는 물이 순환펌프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이 순환펌프로 낙하여여 순환펌프에 구비되는 전기배선, 전기부품에 접촉하여 순환펌프의 오작동, 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컵세척기에서, 파이프어셈블리는 배수펌프의 출구와 연결되는 물의 배출라인의 일부분의 위치를 높여 드레인배관으로부터 배수펌프를 향하여 유동하는 물이 파이프어셈블리의 높이를 극복하지 못하도록 하여, 드레인배관으로부터 배수펌프로 오명된 물이 역류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컵세척기에서, 터브에는 제1관통홀이 형성되고 파이프어셈블리에는 제2관통홀이 형성되고, 제1관통홀과 제2관통홀을 통해 파이프어셈블리 내부에 공기가 유입됨으로써, 배수펌프와 연결되는 배수라인의 사이폰 현상 발생을 방지하여, 배수펌프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 터브 내부에 설정된 수위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터브 내부에 물이 담기도록하여 이를 순환펌프를 이용하여 컵을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컵세척기에서, 공간형성부는 전체적으로 미로 형태의 구조를 가지게 되고, 이에 따라 제1영역의 물이 제2관통홀을 통해 터브로 유입되는 유로에 복잡한 구조의 장애물을 배치함으로써, 파이프어셈블리의 오염된 물이 터브 내부로 유입되는 양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염된 물이 제1관통홀을 통해 터브 내부로 유입되어 터브에 수용되는 컵을 오염시키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컵세척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컵세척기에서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일부 부품을 생략한 컵세척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a는 도 4의 측면도이다.
도 5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플레이트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c는 중간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컵세척기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일부 부품을 생략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컵세척기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컵세척기의 일부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10은 컵세척기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서 플로팅센서를 생략한 도면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파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13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2의 14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5는 프런트서포터 및 중간서포터의 단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6은 프런트서포터 및 중간서포터가 제2파트에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프런트패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18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9는 탑커버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분해도이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외장부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23은 도 22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부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28은 도어의 상부커버를 생략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서포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0은 힌지서포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터브와 링크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링크부 및 랙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4는 도 33의 16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35는 도 33의 17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36은 도 33의 18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37은 터브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제주입장치와 린스주입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9는 세제주입장치와 린스주입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40은 세척부의 일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1은 도 40을 반대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4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제주입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3은 도 42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4는 세제주입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5는 세척부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린스주입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7은 도 46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8은 린스주입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9는 세척부에 배관이 연결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랙의 일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모듈이 터브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52는 도 51의 측면도이다.
도 5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터브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5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모듈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6은 도 55의 분해도이다.
도 5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덕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8은 도 57의 배면도이다.
도 5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덕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0은 송풍팬 및 팬케이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배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2는 도 61의 측면도이다.
도 63은 도 62의 단면도이다.
도 6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워터트레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5는 세척부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6는 터브와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어셈블리가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7은 도 66에서 파이프어셈블리를 분해한 상태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어셈블리커버의 배면도이다.
도 6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어셈블리몸체의 배면도이다.
도 7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어셈블리몸체의 측면도이다.
도 7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어셈블리몸체의 정면도이다.
도 72는 도 71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상하방향"은 컵세척기가 일상적으로 사용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컵세척기의 상하방향을 의미한다. "좌우방향"은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전후방향은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 모두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양측방향" 또는 "측방향"은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을 포함하는 의미를 가진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컵세척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실시예에 따른 컵세척기는 예를 들어 음료수를 서비스하는 매장에 구비될 수 있다. 컵세척기의 사용자는 음료수를 사서 마시는 손님일 수 있다. 환경보호를 위해 최근에는 서비스 매장에서 일회용 컵을 손님에게 제공하는 것이 제한되고 있고, 이러한 제한범위는 점차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다회용 컵을 휴대하는 사용자가 서비스 매장에서 컵을 세척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컵세척기가 서비스 매장에 구비될 수 있다. 세척의 대상인 컵은 사용자가 휴대하는 텀블러 등의 다회용 컵일 수 있다. 따라서, 컵세척기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컵세척기의 상부에는 컵을 수용하여 세척하는 세척부(130)가 구비될 수 있다. 세척부(130)는 저수조(120)의 상부에 배치되고, 수용된 컵을 세척할 수 있다. 세척부(130)는 도어(15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이때, 도어(150)는 컵세척기의 상하방향으로 힌지회전하여 세척부(130)를 개폐할 수 있다. 도어(150)은 탑커버(210)에 힌지회전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사용자는 허리를 굽히지 않고, 손으로 도어(150)를 열어 세척부(130)에 컵을 놓고, 다시 도어(150)를 닫은 후에 컵세척기를 작동시켜 편리하게 컵을 세척할 수 있다.
한편, 컵세척기에는 세척부(130)으로 세척을 위한 물을 공급할 필요가 있다. 물은 상수도(city water)와 연결된 배관을 통해 세척부(130)로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은 상수도를 통해 세척부(130)에 구비되는 터브(131)로 직접 공급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물은 세척부(130)의 하부에 배치되는 저수조(120)에 저장되었다가 터브(131)로 공급될 수도 있다.
사용자가 허리를 굽히지 않고 컵세척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컵세척기에서 세척부(130)의 높이가 성인의 신체에 맞도록 적절하게 조절될 필요가 있다. 또한, 공간효율을 높이기 위해 컵세척기는 비교적 작은 부피를 가지도록 구비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컵세척기는 평면 단면적이 비교적 작고, 상하방향 길이가 비교적 긴 타워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타워형의 형상으로 인해, 컵세척기는 부피가 비교적 큰 부품은 상하방향으로 배치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컵세척기는 상하방향 길이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타워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컵세척기의 배치와 사용에 필요한 공간을 줄이기 위해, 세척부(130)의 터브(131)의 개방부위는 컵세척기에서 상측방향으로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공간절약을 위해 터브(131)의 개방부위를 개폐하는 도어(150)도 컵세척기의 상부에서 컵세척기의 상하방향으로 힌지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컵세척기의 상부에서 힌지회전하는 도어(150)로 인해, 컵세척기의 전복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세척부(130)에는 건조모듈(132), 순환펌프(134) 등 모터를 구비하여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데, 컵세척기의 상부에 배치되는 세척부(130)에 모터와 같은 진동발생장치가 구비되므로, 컵세척기의 상부에서 발생하는 진동은 또한 컵세척기의 전복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컵세척기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는 타워형의 형상으로 인해 전복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
컵세척기의 전복을 억제하기 위해, 하부에 하중이 비교적 큰 부품을 배치하여 전체적인 무게중심을 낮출 필요가 있다.
이하에서 컵세척기의 구조를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컵세척기에서 도어(150)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일부 부품을 생략한 컵세척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a는 도 4의 측면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컵세척기는 베이스플레이트(110), 저수조(120), 세척부(130), 중간플레이트(140), 도어(150), 프레임(16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110)는 컵세척기의 최하부에 배치되고, 컵세척기의 다른 부품을 지지할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110)의 하부는 지면에 놓일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110)는 제1파트(111)와 제2파트(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파트(111)는 하면이 지면에 놓일 수 있고, 제2파트(112)를 지지할 수 있다.
제2파트(112)는 제1파트(111)의 상부에 배치되고, 여기에 저수조(12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파트(112)에는 프레임(160)이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파트(112)에는 프런트서포터(161), 리어서포터(162) 및 중간서포터(163)가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160)은 제2파트(11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저수조(120)는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상측에 배치되고, 컵 세척을 위한 물이 저장될 수 있다. 저수조(120)는 배관으로 상수도(city water)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수도의 물이 저수조(120)로 유입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저수조(120)는 배관으로 세척부(130)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저수조(120)의 물은 세척부(130)로 유입되어 세척부(130)에 수용되는 컵의 세척에 사용될 수 있다.
저수조(120)의 내부에는 가열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저수조(120)의 물은 가열장치에 의해 가열되어 세척부(130)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열된 온수를 사용하여 컵을 세척하여 컵의 세척효율을 높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저수조(120)이외의 별도의 물저장탱크가 컵세척기 외부에 배치되고, 물저장탱크에는 가열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컵세척기와 배관으로 연결된 별도의 온수를 공급하는 물저장탱크가 구비되어, 컵세척기는 외부로부터 직접 온수를 공급받아 세척에 사용할 수도 있다.
저수조(120)에는 물이 충만할 수 있다. 따라서, 물이 충만한 저수조(120)는 다른 부품들에 비해 비교적 큰 하중을 가질 수 있다. 저수조(120)는 베이스플레이트(110)에 놓여 컵세척기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컵세척기는 상부에 세척부(130)를 배치하고, 하부에 저수조(120)를 배치할 수 있다. 물이 충만한 저수(120)조의 하중은 세척부(130)의 하중보다 충분히 크기 때문에 컵세척기의 전복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컵세척기의 하부에 놓인 물이 충만한 저수조(120)의 하중으로 인해, 컵세척기의 전체적인 무게중심의 높이는 낮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하방향의 길이가 비교적 긴 타워형으로 구비되는 컵세척기는 외부의 충격에도 쉽게 전복되지 않고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세척부(130)는 저수조(120)의 상부에 배치되고, 수용된 컵을 세척할 수 있다. 세척부(130)에는 컵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세척부(130)는 저수조(120)와 배관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세척을 위한 물은 저수조(120)로부터 세척부(130)로 유입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세척부(130)는 저수조(120)를 거치지 않고 상수도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저수조(120)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사용하여 컵을 세척하거나, 또는 상수도에서 바로 유입되는 물을 사용하여 컵을 세척할 수 있다.
중간플레이트(140)는 저수조(120)와 터브(131) 사이에 배치되고, 저수조(120)와 터브(131)를 구획하고, 터브(131)를 지지할 수 있다. 중간플레이트(140)를 기준으로 중간플레이트(140)의 상측에는 터브(131)가 배치되고, 중간플레이트(140)의 하측에는 저수조(120)가 배치될 수 있다.
중간플레이트(140)는 저수조(120)와 세척부(130) 사이에 배치되고, 세척부(130)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할 수 있다. 중간플레이트(140) 위에는 세척부(130)가 배치되고, 중간플레이트(140)는 세척부(130)의 하중 일부를 지지할 수 있다. 중간플레이트(140)는 대체적으로 판형의 형상을 가지고 가장자리에서 프레임(160)에 결합하여 프레임(16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도어(150)는 세척부(130)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힌지회전하여 터브(131) 및 세척부(130)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도어(150)는 컵세척기의 상하 방향으로 힌지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어(150)를 수동으로 개방하여 컵(10)을 세척부(130) 내부에 넣고 다시 도어(150)를 닫은 후에 컵(10)의 세척을 진행시킬 수 있다.
세척부(130)의 상단에는 탑커버(210)가 구비될 수 있다. 탑커버(210)는 터브(131)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탑커버(210)의 일부는 세척부(130)의 상단 가장자리 부위에 결합하고 그 위에 도어(150)가 놓일 수 있다.
탑커버(210)의 또다른 일부에는 투입구커버(213)가 구비될 수 있다. 투입구커버(213)는 세척부(130)에 투입되는 세제 및 린스의 입구를 개폐할 수 있고, 탑커버(210)에 착탈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시기세척기의 상단에 있는 도어(150)를 개폐하여 세척부(130)에 컵을 넣거나 세척부(130)로부터 컵을 빼낼 수 있다. 이때, 도어(150)가 상하방향으로 힌지회전하므로, 사용자는 허리를 굽힐 필요없이 편리하게 도어(150)를 움직일 수 있다.
또한, 도어(150)가 힌지회전함으로 인해, 도어(150)가 개방된 상태에서도 평면상으로 보아 컵세척기가 차지하는 면적은 변화가 없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어(150)가 개방되든지 폐쇄되든지 어떠한 경우에도 컵세척기의 평면 단면적은 일정하여 도어(150)를 개방하기 위해 추가로 필요한 공간을 불필요하다.
실시예에서, 컵은 세척부(130)의 상단에서 컵세척기의 상하방향으로 힌지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사용자가 허리를 굽히지 않고 도어(150)를 개폐하여 편리하게 컵세척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조로 인해 도어(150)를 개방하기 위한 추가적인 공간이 불필요하므로, 공간효율을 높일 수 있다.
프레임(160)은 베이스플레이트(110)에 의해 지지되고, 중간플레이트(140)가 결합하고, 세척부(130)를 지지할 수 있다. 프레임(160)은 컵세척기의 내부공간을 마련하고, 여기에 각종의 부품이 결합하고, 이러한 부품들을 지지할 수 있다.
프레임(160)은 프런트서포터(161), 리어서포터(162), 중간서포터(163), 상측서포터(16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60)의 각 구성부품들은 컵세척기의 상부에 구비되는 세척부(130), 도어(150) 등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프런트서포터(161)는 컵세척기의 전방에 서로 이격되는 한 쌍으로 배치되고, 하부가 베이스플레이트(110)에 결합하고, 길이방향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프런트서포터(161)는 컵세척기의 전방에 컵세척기의 측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컵세척기의 전방의 모서리 부위를 형성할 수 있다.
프런트서포터(161)는 컵세척기의 모서리 부위를 형성하기 위해, 단면이 L자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프런트서포터(161)는 나사못 등의 결합기구에 의해 베이스플레이트(110)에 결합할 수 있다.
리어서포터(162)는 컵세척기의 후방에 서로 이격되는 한 쌍으로 배치되고, 하부가 베이스플레이트(110)에 결합하고, 길이방향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리어서포터(162)는 컵세척기의 후방에 컵세척기의 측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컵세척기의 후방의 모서리 부위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리어서포터(162)는 결합기구에 의해 베이스플레이트(110)에 결합할 수 있다.
중간서포터(163)는 서로 이격되는 한 쌍으로 배치되고, 프런트서포터(161) 및 리어서포터(162) 사이에 배치되고, 하부가 베이스플레이트(110)에 결합하고, 길이방향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중간서포터(163)는 컵세척기의 중앙부위에서 컵세척기의 측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중간서포터(163)는 결합기구에 의해 베이스플레이트(110)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중간서포터(163)는 결합기구에 의해 중간플레이트(140), 상측서포터(164)에 결합하여 안정적으로 위치를 유지하고 컵세척기 부품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중간서포터(163)의 중앙부위에는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는 한 쌍의 함몰부(163a)가 형성될 수 있다. 작업자는 컵세척기를 조립 또는 분해하는 경우 중간서포터(163)의 함몰부(163a)를 손으로 잡고 편리하게 컵세척기의 조립 또는 분해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상측서포터(164)는 프런트서포터(161) 및 중간서포터(163)의 상측에 배치되고, 측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한 쌍으로 배치되고, 길이방향이 전후방향으로 배치되고, 세척부(130)가 결합할 수 있다. 한 쌍의 상측서포터(164)는 컵세척기의 상부에서 컵세척기의 측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세척부(130)는 결합기구에 의해 상측서포터(164)에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상측서포터(164)는 세척부(13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상측서포터(164)는 컵세척기의 상하“‡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도 5a 등에서는 컵세척기의 양측으로 한 쌍, 컵세척기의 상하로 한 쌍씩 구비되어 총4개로 구비된 실시예가 도시되었다. 다만, 상측서포터(164)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각각의 상측서포터(164)는 프런트서포터(161), 리어서포터(162) 및 중간서포터(163)에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세척부(130)의 하중은 상측서포터(164)를 통해 프런트서포터(161), 리어서포터(162) 및 중간서포터(163)로 전달되고, 최종적으로 베이스플레이트(110)로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컵세척기는 내부에 구비되는 세척부(1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측서포터(164)는 나사못 들의 결합기구에 의해 프런트서포터(161), 리어서포터(162) 및 중간서포터(163)에 결합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세척부(130)를 비롯한 컵세척기의 상부에 구비되는 부품들은 프레임(160)에 의해 지지되고, 각 부품들은 최종적으로 베이스플레이트(1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세척부(130) 등의 비교적 무거운 부품들이 컵세척기의 상부에 구비된 상태에서도 각 부품들은 프레임(160) 및 베이스플레이트(110)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컵세척기는 프런트패널(170) 및 리어패널(18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런트패널(170)은 컵세척기의 전방에 배치되어 저수조(120), 터브(131) 및 세척부(130)를 덮을 수 있다. 프런트패널(170)은 프레임(160)의 리어서포터(162)에 결합기구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리어패널(180)은 프레임(160)에 결합하여 컵세척기의 후방을 덮을 수 있다. 리어패널(180)에는 컵세척기 내부와 외부가 통풍이 되도록 제1통풍구(181)가 구비될 수 있다. 하기에 설명되는 건조모듈(132)로 유입되는 공기는 제1통풍구(181)를 통해 컵세척기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리어패널(180)에는 컵세척기의 이용이 용이하도록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컵세척기를 잡을 수 있는 손잡이(260)가 결합될 수 있다.
컵세척기는 리어서포터(162)의 상부에 결합하고, 도어(150)의 일측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90)는 컵세척기의 상부 일측 예를 들어, 도어(150)의 일측에 배치되고 도어(150)로부터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가 편리하게 디스플레이부(190)를 바라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90)는 컵세척기의 상부에 그 길이방향이 컵세척기의 상하방향으로 놓일 수 있고, 디스플레이되는 면이 컵세척기의 전방부롤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90)에 디스플레이되는 내용을 볼 수 있는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컵세척기의 전방부에서 디스플레이부(190)를 바라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90)에는 컵세척기의 사용에 대한 다양한 정보가 이미지, 문자, 동영상의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90)에 나타난 정보를 보고 컵세척기를 동작시키거나, 컵세척기의 작동상태를 알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90)에는 예를 들어 정전식 터치방식으로 입력되는 명령입력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90)를 이용하여 컵세척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컵세척기는 제1회로기판부(220)와 기판부서포터(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회로기판부(220)는 저수조(120)의 일측 예를 들어, 저수조(120)의 후방에 배치되고, 컵세척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 제1회로기판부(220)는 세척부(130)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피가 작은 저수조(120)가 배치됨으로 인해 여유공간이 생기는 컵세척기의 하부에 저수조(12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기판부서포터(230)는 하부가 베이스플레이트(110)에 결합하고, 상부가 중간플레이트(140)에 결합하고, 제1회로기판부(220)가 결합할 수 있다. 기판부서포터(230)는 결합기구에 의해 베이스플레이트(110)에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기판부서포터(230)는 제1회로기판부(220)를 고정하는 것뿐만 아니라, 컵세척기의 하부에 배치되는 배관을 고정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제1회로기판부(220)는 기판부서포터(230)에 결합하여 베이스플레이트(110)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수조(120), 배관 등에서 누수가 발생하여 물이 중력에 의해 낙하하여 베이스플레이트(110)로 모이더라도 제1회로기판부(220)의 침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회로기판부(220)는 기판부서포터(230)에 결합하여 컵세척기 내부에 세워진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회로기판부(220)는 리어패널(180)에 결합하지 않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회로기판부(220)를 별도로 분리할 필요없이 리어패널(180)을 쉽게 식기세척기에 결합시키고 분리할 수 있어 리어패널(180)의 보수, 유지를 편리하게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제1회로기판부(220)는 기판부서포터(230)에 결합함으로써, 저수조(120)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수조(120)에 저장되는 온수에 의해 저수조(120) 외부로 전달되는 열이 제1회로기판부(220)에 직접 가해지는 것을 억제하여 제1회로기판부(220)가 과열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저수조(120)의 후방에 제1회로기판부(220)와, 터브(131)에 세제 및 린스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배관이 배치될 수 있다. 제1회로기판부(220)와 세제 및 린스의 공급배관은 저수조(120)의 후방에 저수조(120) 및 세척부(130)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회로기판부(220)와 세제 및 린스공급배관의 교체 또는 수리를 위해 저수조(120)와 세척부(130)를 분해할 필요가 없이, 제1회로기판부(220) 또는 상기 공급배관의 교체 또는 수리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식기세척기의 유지 및 보수작업이 편리해질 수 있다.
컵세척기는 리어패널(180)에 결합하고, 리어서포터(162)를 덮는 외장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리어서포터(162)에는 컵세척기의 다른 부품과 결합을 위해 다수의 체결기구가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체결기구가 체결된 리어서포터(162)를 그대로 외부로 노출시키는 구조의 경우에 컵세척기의 시각적인 심미감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체결기구가 체결된 리어서포터(162)를 덮는 구조가 필요하다.
외장부(250)는 리어서포터(162)를 덮고 리어서포터(162)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매우 적은 수의 체결기구가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외장부(250)는 리어서포터(162)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컵세척기의 외부에 배치되어 컵세척기를 전체적으로 깔끔하게 보이도록 할 수 있다.
도 5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플레이트(140)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c는 중간플레이트(140)의 사시도이다. 중간플레이트(140)는 세척부(130)의 일부와 터브(131) 내부에 담기는 물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중간플레이트(140)는 세척부(130)와 저수조 사이에 배치되어 대체로 판형으로 형성되고, 컵세척기의 측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중간플레이트(140)는 컵세척기의 외형이 뒤틀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중간플레이트(140)를 기준으로, 컵세척기는 저수조, 제1회로기판부(220) 등이 배치되는 1층과 세척부(130)가 배치되는 제2층으로 분리될 수 있다. 중간플레이트(140)는 1층과 2층을 분리하므로, 1층 또는 2층 중 어느 층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다른 다른 층으로 번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층에 배치되는 제1회로기판부(220)는 과도한 가열로 인해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데, 제1회로기판부(220)가 있는 1층에서 발생한 화재가 2층으로 번지는 것을 중간플레이트(140)가 차단할 수 있다.
반대로 2층에 배치되는 세척부(130)의 순환펌프에는 전력이 공급되므로 순환펌프의 과부하로 인한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데, 순환펌프가 있는 2층에서 발생한 화재가 1층으로 번지는 것을 중간플레이트(140)가 차단할 수 있다.
이처럼, 중간플레이트(140)는 어느 층에서 부품의 비정상적인 작동으로 인해 발생한 화재가 다른 층으로 번지는 것을 차단하여, 화재로 인해 컵세척기 전체가 손상되고 화재가 컵세척기 전체로 확산되는 것을 억제하여, 컵세척기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이하에서 도 5b 및 도 5c를 참조하여 중간플레이트(140)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중간플레이트(140)는 관통공(141), 강성리브(142), 거치대(143), 배수홀(144)을 포함할 수 있다.
관통공(141)은 중간플레이트(14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중간플레이트(140)에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1층과 2층에 배치되는 부품을 서로 연결하는 배관, 또는 1층 또는 2층에 배치되는 부품 중 일부분이 중간플레이트(140)를 관통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부품 등의 배치를 위해 관통공(141)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공(141)은 관통하는 배관 기타 부픔의 형상 배치위치에 각각 대응하도록 서로 다른 형상 및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강성리브(142)는 중간플레이트(140)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구비되거나, 또는 관통공(141)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구비되고, 컵세척기의 상측방향(또는 다른 실시예로 컵세척기의 하측방향)으로 향하도록 중간플레이트(140)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중간플레이트(140)는 전체적으로 컵세척기의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데, 강성리브(142)는 컵세척기의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중간플레이트(140)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중간틀레이트는 컵세척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컵세척기가 뒤틀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거치대(143)는 중간플레이트(140)의 상면에서 컵세척기의 상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거치대(143)는 세척부(130)와 결합하여 세척부(130)를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치대(143)와 세척부(130)는 연결바(1310)에 의해 매개되어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컵세척기에 구비되는 연결바(1310)는 일측이 터브(131)에 결합하고, 타측이 거치대(143)의 상단부에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바(1310)에 의해 터브(131)는 거치대(143)에 결합하게 되고, 터브(131)를 포함하는 세척부(130)는 중간플레이트(140)에 결합하여 중간플레이트(140)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터브(131)가 거치대(143)에 안정적으로 결합되기 위해, 거치대(143)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배수홀(144)은 중간플레이트(140)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세척부(130)에는 물이 담기는 터브(131)와 섬프(133)가 구비되므로, 물이 세척부(130) 하부로 유출될 수 있다. 유출되는 물은 중간플레이트(140)의 상면에 떨어지게 되고, 강성리브(142)로 인해 적지않은 물이 중간플레이트(140)의 상면에 고일 수 있다.
중간플레이트(140)의 상면에 고인 물을 방치하면, 습한 환경으로 인해 곰팡이 등이 발생할 수 있어, 위생상 좋지 못하다.
따라서, 중간플레이트(140)의 상면에 고인 물을 중간플레이트(140)의 아래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홀(144)이 중간플레이트(14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배수홀(144)은 중간플레이트(140)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배수홀(144)에 별도의 호스를 연결하고 이러한 호스를 드레인배관과 연결하여, 중간플레이트(140)의 상면에 떨어진 물을 드레인배관을 통해 원활하게 컵세척기 외부로 배출할 수도 있다.
도 6은 컵세척기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일부 부품을 생략한 도면이다. 탑커버(210)는 세제투입구(211), 린스투입구(212), 투입구커버(213)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제투입구(211)는 세제를 세척부(130)로 투입하는 용도로 구비될 수 있다. 세제투입구(211)는 세제저장부(136)와 연결되어 세제투입구(211)로 유입된 세제는 세제저장부(136)에 저장될 수 있다.
린스투입구(212)는 린스를 세척부(130)로 투입하는 용도로 구비될 수 있다. 세제투입구(211)는 린스저장부(137)와 연결되어 린스투입구(212)로 유입된 린스는 세제저장부(136)에 저장될 수 있다. 세제투입구(211)와 린스투입구(212)는 서로 분리되어 탑커버(210)에 구비될 수 있다.
투입구커버(213)는 탑커버(210)에 착탈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세제투입구(211) 및 린스투입구(212)를 덮을 수 있다. 세제 또는 린스를 투입하는 경우에 컵세척기의 관리자는 투입구커버(213)를 탈거하여 세제투입구(211) 또는 린스투입구(212)에 세제 또는 린스를 넣을 수 있다.
평상시에는 투입구커버(213)가 세제투입구(211)와 린스투입구(212)를 덮어 세제투입구(211)와 린스투입구(212)를 통해 이물질이 컵세척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고, 아울러 컵세척기의 미관을 높일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컵세척기의 단면도이다. 저수조(120)는 저장탱크(121), 단열부(122), 히터(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탱크(121)는 중공을 가진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물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탱크(121)는 배관으로 상수도와 연결되어 원수가 상수도 배관으로부터 저장탱크(121)로 유입될 수 있다.
단열부(122)는 저장탱크(121)를 감싸도록 구비되고,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단열부(122)는 저장탱크(121)를 덮어 저장탱크(121)에서 가열된 온수가 외부공기에 의해 냉각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단열부(122)는 소정의 두께를 가진 단열재를 저장탱크(121)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만들어 구비될 수 있다.
히터(123)는 가열장치로 기능할 수 있다. 히터(123)는 저장탱크(121) 내부에 수용되고 물을 가열할 수 있다 저장탱크(121)에 저장된 물을 히터(123)에 의해 가열되어 온수가 되어 컵의 세척에 사용될 수 있다. 히터(123)는 예를 들어 전기저항 가열방식으로 구비되고, 저장탱크(121) 내부에 물에 잠기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9는 컵세척기의 일부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베이스플레이트(110)는 수평조절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조절부(113)는 제1파트(111)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제2파트(112)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제2파트(112)와 나사결합할 수 있다.
수평조절부(113)는 제1파트(111)와 제2파트(112)의 모서리에 인접한 부위에 배치되고, 총 4개로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수평조절부(113)는 관리자가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회전에 따라 제1파트(111)와 제2파트(112) 사이의 이격거리가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관리자는 각각의 수평조절부(113)를 회전시켜 제1파트(111)와 제2파트(112)의 각 모서리 부위에서 제1파트(111)와 제2파트(112) 사이의 이격거리를 적절히 조절하여 지면에 대한 컵세척기의 수평상태를 맞출 수 있다.
도 10은 컵세척기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서 플로팅센서(240)를 생략한 도면이다. 컵세척기는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제2파트(112)에 배치되고, 물이 유입되면 알람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하는 플로팅센서(240)를 포함할 수 있다.
세척부(130)와 저수조(120)에는 물이 저장되고, 컵세척기 내부에는 물이 유동하는 다수의 배관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컵세척기 내부에서는 물이 유출될 수가 있는데, 이러한 물의 유출에 대한 적절한 조치를 취하기 위해 물의 유출을 감지할 필요가 있다.
컵세척기 내부에서 유출된 물은 중력에 의해 컵세척기의 하부를 형성하는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제2파트(112)에 고일 수 있다. 따라서, 제2파트(112)에 물의 유출을 감지하는 플로팅센서(240)가 구비될 수 있다.
플로팅센서(240)는 물이 유입되면 부품의 일부가 부력으로 인해 부유하고, 이에 따라 물의 유입을 감지하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플로팅센서(240)가 물의 유입을 감지하면 컵세척기의 제어부로 전송하고, 제어부는 신호를 전송받으면 이를 관리자에게 알리는 알람신호를 문자, 이미지, 소리 등으로 컵세척기에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자는 물의 유출을 차단하는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제2파트(112)에는 플로팅센서(240)가 안착되는 안착홈(1123)이 형성될 수 있다. 안착홈(1123)은 제2파트(112)의 상면이 함몰되어 형성되고, 여기에 플로팅센서(240)가 놓일 수 있다. 제2파트(112)의 상면은 컵세척기의 측방향으로 보아 안착홈(1123)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제2파트(112)의 상면에서 안착홈(1123)과 떨어진 부위에 물이 떨어지더라도 중력에 의해 경사를 따라 이동하여 암착홈에 놓인 플로팅센서(240)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비교적 작은 양의 물이 유출되더라도 플로팅센서(240)는 효과적으로 물의 유출을 감지할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파트(112)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13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2의 14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제2파트(112)는 제1결합돌기(11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결합돌기(1121)는 제2파트(112)의 모서리에 배치되고, 상측방향으로 돌출되고 프런트서포터(161), 리어서포터(162) 및 중간서포터(163)가 결합할 수 있다. 제1결합돌기(1121)는 제2파트(112)의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결합하는 서포터에 따라 형상과 위치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런트서포터(161) 또는 리어서포터(162)와 결합하는 제1결합돌기(1121)는 단면이 L자로 형성되는 프런트서포터(161)와 리어서포터(162)의 형상에 대응하여 L자 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프런트서포터(161)와 리어서포터(162)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제2파트(112)의 모서리에 인접한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중간서포터(163)와 결합하는 제1결합돌기(1121)는 단면이 선형인 중간서포터(163)의 형상에 대응하여 단면이 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중간서포터(163)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제2파트(112)의 변에 인접한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제1결합돌기(1121)는 제1결합돌기(1121)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되고 프런트서포터(161) 및 중간서포터(163)의 결합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돌기(112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런트서포터(161), 리어서포터(162) 및 중간서포터(163)는 제1결합돌기(1121)에 결합기구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서포터들을 제1결합돌기(1121)에 결합하는 경우에 먼저 제1결합돌기(1121)에 대한 서포터들의 위치를 잡고 다음으로 결합기구를 체결한다.
이때, 서포터들을 정확한 위치에 놓지 않으면, 결합기구의 체결을 위해 서포터들에 형성된 홀과 제1결합돌기(1121)에 형성된 홀은 서로 어긋날 수 있다. 따라서, 서포터들과 제1결합돌기(1121) 사이의 홀이 서로 정확한 위치에 있도록 하기 위해, 제1결합돌기(1121)에는 가이드돌기(1122)가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리어서포터(162)가 결합하는 제1결합돌기(1121)에도 가이드돌기(1122)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돌기(1122)는 결합기구의 체결을 위한 서포터들의 홀과 제1결합돌기(1121)의 홀이 서로 정확한 위치에 놓이도록 할 수 있다.
도 15는 프런트서포터(161) 및 중간서포터(163)의 단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프런트서포터(161) 및 중간서포터(163)는 가이드돌기(1122)가 삽입되는 가이드홀(1601)이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리어서포터(162)에도 제1결합돌기(1121)의 가이드돌기(1122)에 대응하도록 가이드돌기(1122)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홀(1601)에는 가이드돌기(1122)가 결합할 수 있다. 가이드돌기(1122)가 가이드홀(1601)에 끼워지면 결합기구가 체결되는 서포터들의 홀과 제1결합돌기(1121)의 홀들이 서로 어긋나지 않고 정확한 위치에 놓일 수 있다.
도 16은 프런트서포터(161) 및 중간서포터(163)가 제2파트(112)에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서포터들(프런트서포터(161), 중간서포터(163), 리어서포터(162))은 제1결합돌기(1121)에 다음의 순서로 결합될 수 있다.
먼저, 서포터들의 가이드홀(1601)을 제1결합돌기(1121)의 가이드돌기(1122)에 끼운다, 이에 따라 체결기구가 체결되는 서포터들의 홀과 제1결합돌기(1121)의 홀은 서로 어긋나지 않고 정확한 위치에 대응할 수 있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서포터들과 제1결합돌기(1121)의 체결을 위한 홀들에 나사못 등의 결합기구를 삽입하여 서포터들을 제1파트(111)에 결합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결합돌기(1121)에는 가이드돌기(1122)가 구비되고 서포터들에는 가이드돌기(1122)에 끼워지는 가이드홀(1601)이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돌기(1122)가 가이드홀(1601)에 끼워지면 서포터들과 제1결합돌기(1121)에 형상되는 결합기구의 체결을 위한 홀들은 서로 어긋나지 않고 정확한 위치에 서로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용이하게 결합기구를 홀에 체결하여 서포터들을 제1파트(111)에 결합시킬 수 있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프런트패널(170)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프런트패널(170)은 컵세척기의 외형을 형성하고, 컵세척기의 전면과 측면을 덮을 수 있다. 프런트패널(170)은 제1셀(171), 제2셀(172), 제2결합돌기(173), 제3결합돌기(17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런트패널(170)은 대체적으로 얇은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셀(171)은 컵세척기의 전면을 덮어 컵세척기의 전방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2셀(172)은 제1셀(171)의 양단으로부터 절곡되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컵세척기의 측면을 덮어 컵세척기의 측방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1셀(171)과 제2셀(172)은 리어패널(180)과 결합하여, 컵세척기의 각종 부품들이 내장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제2결합돌기(173)는 제2셀(172)의 단부로부터 돌출되고, 프레임(160)의 리어서포터(162)에 결합할 수 있다. 제2결합돌기(173)는 제2셀(172)의 후방 단부로부터 돌출되어 프레임(160)의 리어서포터(162)에 닿을 수 있다.
제2결합돌기(173)는 한 쌍의 제2셀(172) 각각에 구비되고, 프런트패널(170)의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제2결합돌기(173)는 리어서포터(162)에 결합기구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런트패널(170) 전체는 리어서포터(162)에 결합되어, 리어서포터(16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프런트패널(170)은 대체적으로 얇은 판형으로 형성되고 그 면적이 비교적 넓다. 따라서, 제2결합돌기(173)만으로는 프런트패널(170)을 안정적으로 컵세척기에 결합시키기 어려울 수 있다.
예를 들어 컵세척기에 외부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프런트패널(170)의 상단부와 하단부의 일부분에서는 프런트패널(170)이 컵세척기로부터 탈거될 수 있다. 따라서, 제2결합돌기(173)에 더하여 프런트패널(170)을 컵세척기에 안정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프런트패널(170)에는 제3결합돌기(174)가 구비될 수 있다.
제3결합돌기(174)는 제1셀(171) 및 제2셀(172)의 상단부로부터 돌출되고, 탑커버(210)에 결합하여 프런트패널(170)의 탈거를 억제할 수 있다. 제3결합돌기(174)는 제1셀(171) 및 제2셀(172)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제3결합돌기(174)는 탑커버(210)에 결합하여, 외부충격으로 인해 프런트패널(170)이 컵세척기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억제하고, 동시에 프런트패널(170) 컵세척기에 용이하게 결합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도 18은 도 17의 18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9는 탑커버(210)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제3결합돌기(174)는 전체적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끼움부(1741), 후크(1742)를 포함할 수 있다.
끼움부(1741)는 탑커버(210)에 형성되는 홈에 끼워질 수 있다. 끼움부(1741)는 탑커버(210)에 형성되는 끼움홈(214)에 끼워질 수 있다. 끼움부(1741)는 프런트패널(170)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끼움부(1741)에 일체로 후크(1742)가 형성될 수 있다. 후크(1742)는 끼움부(1741)에 둘러싸이도록 형성되고, 단면이 V자로 형성되고,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탑커버(210)에는 제3결합돌기(174)가 결합하는 부위에 끼움홈(214) 및 걸이부(215)가 구비될 수 있다. 끼움홈(214)은 탑커버(210)의 측면이 함몰되어 형성되고 여기에 끼움부(1741)가 삽입될 수 있다. 걸이부(215)는 끼움홈(214)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고, 끼움부(1741)가 끼움홈(214)에 삽입되는 후크(1742)가 걸이부(215)에 접촉할 수 있다.
제3결합돌기(174)와 걸이부(215)는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소정의 크기 이상의 힘을 가하여 제3결합돌기(174)를 끼움홈(214)에 삽입하면, 제3결합돌기(174)와 걸이부(215)는 서로 탄성변형하여 후크(1742)는 걸이부(215)에 결합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프런트패널(170)을 컵세척기로부터 분리하는 경우, 소정의 크기 이상의 힘을 가하여 제3결합돌기(174)를 떼어내면, 제3결합돌기(174)와 걸이부(215)는 서로 탄성변형하여 후크(1742)는 걸이부(215)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런트패널(170)을 컵세척기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한편, 제1셀(171) 또는 제2셀(172)의 하단부에는 제3결합돌기(174)와 유사한 구조가 형성될 수 있고, 제1셀(171) 및 제2겔의 하단부가 결합하는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제2파트(112)에는 끼움홈(214) 및 걸이부(215)와 유사한 구조가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1셀(171) 또는 제2셀(172)의 하단부에는 끼움홈(214) 및 걸이부(215)와 유사한 구조가 형성되고,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제2파트(112)에는 제3결합돌기(174)와 유사한 구조가 구비될 수도 있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90)의 분해도이다. 디스플레이부(190)는 도어(150)의 상측에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90)를 용이하게 바라보고 디스플레이부(190)를 통해 동작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리어서포터(162)는 프런트서포터(161)와 비교하여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리어서포터(162)의 상단부는 도어(150)의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190)는 리어서포터(162)의 돌출된 상단부에 결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90)는 하우징(191), 디스플레이패널(192), 커버글래스(193), 제2회로기판부(194), 리어커버(195)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91)은 리어서포터(162)에 결합할 수 있다. 하우징(191)에는 디스플레이부(190)를 형성하는 부품이 내부에 수용되거나, 외부에 결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패널(192)은 하우징(191)에 수용되고, 영상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패널(192)에는 사용자에게 컵세척기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에게 명령의 입력을 안내하기 위한 문자, 동영상, 이미지 등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패널(192)은 하우징(191)에 의해 보호되고, 전방에는 커버글래스(193)가 배치될 수 있다. 커버글래스(193)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방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패널(192)의 전면을 보호할 수 있다.
제2회로기판부(194)는 하우징(191)에 수용되고 디스플레이패널(19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2회로기판부(194)에는 디스플레이패널(192)을 동작시키기 위한 각종의 능동소자, 수동소자 및 회로가 구비될 수 있다. 제2회로기판부(194)는 제1회로기판부(2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회로기판부(220)에 구비되는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리어커버(195)는 디스플레이패널(192)의 후방에 배치되고 하우징(191)에 결합할 수 있다. 리어커버(195)는 하우징(191)의 후방을 폐쇄하여 하우징(191)에 수용된 디스플레이패널(192)을 보호할 수 있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부(25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외장부(250)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23은 도 22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프런트패널(170)에 형성된 제2결합돌기(173)는 리어서포터(162)의 외측에 배치되고, 나사못 등의 결합기구에 의해 리어서포터(162)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리어서포터(162)에는 상측서포터(164)의 단부가 결합될 수 있다. 상측서포터(164)도 리어서포터(162)에 결합기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리어서포터(162)에는 다수의 나사못이 노출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외형은 컵세척기의 시각적인 심미감을 떨어트릴 수 있으므로, 이들 나사못을 가릴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
따라서, 컵세척기는 외장부(250)가 리어서포터(162)를 덮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외장부(250)는 단면이 대체적으로 L자 형태로 구비되고, 제1외장플레이트(251), 제2외장플레이트(2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외장플레이트(251)는 리어패널(180)의 내측에 배치되고 리어서포터(162)에 결합할 수 있다. 제1외장플레이트(251)는 L자형의 리어서포터(162)의 일측면에 결합할 수 있다.
제1외장플레이트(251)의 일측면은 리어패널(180)의 내측에 배치되므로 리어패널(180)에 의해 덮일 수 있다. 따라서 제1외장플레이트(251)와 리어서포터(162)의 결합을 위해 제1외장플레이트(251)에 체결된 나사못은 리어패널(180)에 의해 덮힐 수 있고, 이에 따라 컵세척기의 후면은 다수의 나사못이 가려지게 되어 심미감이 증가하고 깔끔한 외형을 가질 수 있다.
물론, 리어패널(180)을 제1외장플레이트(251)에 결합시키기 위해 나사못이 리어패널(180)에 체결되고 이러한 나사못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지만, 리어패널(180)을 제1외장플레이트(251)에 결합시키는 나사못의 개수는 제1외장플레이트(251)를 리어서포터(162)에 결합시키기 위한 나사못의 개수보다 적으므로, 결과적으로 외부에서 보이는 나사못의 개수를 줄여 컵세척기의 심미감을 높일 수 있다.
제2외장플레이트(252)는 제1외장플레이트(251)로부터 절곡되고, 리어서포터(162)를 덮을 수 있다. 제2외장플레이트(252)는 L자형의 리어서포터(162)에서 리어패널(180)에 의해 덮이는 일측면으로부터 절곡된 타측면을 덮을 수 있다.
제2외장플레이트(252)는 전방으로 향해 돌출되는 끼움가이드(2521)가 구비될 수 있다. 끼움가이드(2521)는 프런트패널(170)의 제2셀(172)의 단부 내측에 삽입되어 제2외장플레이가 프런트패널(170)과 안정적으로 결합하도록 할 수 있다.
제2외장플레이트(252)는 끼움가이드(2521)에 의해 제2셀(172)에 장착되므로, 제2외장플레이트(252)는 별도의 나사못 등의 결합기구 없이 리어서포터(162)를 덮은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외장플레이트(252)는 다수의 나사못이 박힌 리어서포터(162)를 덮지만 제2외장플레이트(252)에는 나사못이 체결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리어서포터(162)에 구비되는 다수의 나사못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컵세척기의 외부측면은 깔끔하게 보이게 되어 심미감을 높일 수 있다.
이하에서 세척부(13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부(13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부(130)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부(130)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부(130)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세척부(130)는 터브(131)(tub), 건조모듈(132), 섬프(133)(sump), 순환펌프(134), 배수펌프(135)를 포함할 수 있다.
터브(131)는 저수조(120)의 상부에 배치되고 컵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세척수가 분사될 수 있다. 터브(131)의 내부에는 컵이 거치되는 랙이 구비되고, 하부에 물을 분사하는 분사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터브(131)의 개방된 상단은 도어(15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터브(131)는 상부에 개구가 형성되도록 컵세척기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어(150)는 터브(131)의 상측에 배치되고, 터브(131)의 개구를 개폐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컵세척기의 상부에 위치하는 개구를 통해 컵을 터브(131)에 넣거나 터브(131)로부터 꺼낼 수 있다.
도어(150)는 상기 컵세척기의 상측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개구를 개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어(150)는 컵세척기의 상측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배치되어, 도어(150)가 컵세척기에서 수평방향으로 회전하는 것과 비교하여, 도어(150)가 움직이는 공간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컵세척기가 배치되는데 필요한 단면적이 줄어들어 공간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컵세척기의 상측방향으로 도어(150)가 회전하여 컵세척기의 상부에 있는 터브(131)의 개구를 개폐하므로, 사용자는 허리를 숙이지 않고 터브(131)에 컵을 놓거나 터브(131)로부터 컵을 꺼낼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건조모듈(132)은 터브(131)의 일측에 터브(131)와 연결되도록 배치되고, 건조를 위한 가열된 공기를 터브(131) 내부로 분사할 수 있다. 물에 의한 컵(10) 세척이 완료된 후에, 컵의 표면에는 물기가 남아 있다. 건조모듈(132)은 컵에 가열된 공기 즉, 열풍을 분사하여 컵에 잔류하는 물을 말려 컵을 건조시킬 수 있다.
건조모듈(132)에는 건조모듈(132)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건조모듈(132)에는 건조모듈(132)에 형성되는 유로를 통해 공기가 강제유동하도록 하는 송풍팬(1321)이 구비될 수 있다.
섬프(133)는 터브(131)의 하측에 터브(131)와 연결되도록 배치되고, 터브(131)에서 분사되는 물을 저장할 수 있다. 섬프(133)에 저장된 물은 순환펌프(134)에 의해 터브(131)와 섬프(133)를 순환하면서 터브(131)에서 분사장치에 의해 분사되어 터브(131)에 수용된 컵(10)을 세척할 수 있다.
순환펌프(134)는 터브(131)의 하측에 터브(131) 및 섬프(133)와 연결되도록 배치되고, 물을 터브(131)와 섬프(133) 사이에서 순환시킬 수 있다. 순환펌프(134)는 섬프(133)로부터 터브(131)로 물을 강제로 유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섬프(133) 및 순환펌프(134)는 터브(131)와 저수조(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섬프(133), 순환펌프(134) 및 터브(131)는 서로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이들을 연결하기 위한 배관을 없애거나 줄일 수 있어 컵세척기의 구조를 간결하게 설계할 수 있다.
다만, 섬프(133), 순환펌프(134)가 컵세척기의 상부에 배치되므로, 컵세척기의 상부의 하중이 증가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저수조(120)를 컵세척기의 하부에 배치하여 컵세척기의 무게중심의 높이를 낮추어 컵세척기가 전복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순환펌프(134)는 터브(131)의 측면부위에 배치되고, 터브(131) 및 섬프(133)와 배관으로 연결되어 물을 터브(131)와 섬프(133) 사이에서 순환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순환펌프(134)는 터브(131)와 분리되어 컵세척기의 하부, 예를 들어 저수조(120)의 측면부위에 배치되고, 터브(131) 및 섬프(133)와 배관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순환펌프(134)가 컵세척기 하부에 배치됨으로써, 컵세척기 전체의 무게중심을 효과적으로 낮추어 컵세척기의 전복을 억제할 수 있다.
동일한 취지로, 배수펌프(135)도 터브(131)와 분리되어 저수조(120)의 측면부위에 배치되고, 배관으로 섬프(133)와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컵세척기 전체의 무게중심을 더욱 낮추어 컵세척기의 전복을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순환펌프(134)는 터브(131)의 하부에 배치되는 분사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순환펌프(134)가 동작하면, 섬프(133)에 저장된 물은 분사장치로 유입되고 분사장치에 의해 터브(131) 내부에 분사되어 컵을 세척할 수 있다.
실시예의 컵세척기에서 컵은 터브(131) 내부에 수용되고, 분사장치는 터브(131) 내부 전체에 물을 분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터브(131) 내부에는 물이 분사되어 확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컵에서 물, 음료수 등이 담기는 내부표면과 사용자가 손으로 접촉하는 외부표면이 모두 분사되는 물에 노출되고, 물은 컵의 내부표면과 외부표면에 모두 충돌할 수 있다. 따라서, 컵세척기는 컵의 내부표면과 외부표면을 동시에 전체적으로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다.
배수펌프(135)는 터브(131)의 하측에 섬프(133)와 연결되도록 배치되고, 물을 섬프(133)로부터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물에 의한 컵 세척이 완료되면, 배수펌프(135)가 동작하여 섬프(133)에 저장된 물이 배수펌프(135)와 연결된 드레인배관을 통해 컵세척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저수조(120)에 저장된 물에 의한 컵(10)의 세척과정은 다음과 같다. 상수도로부터 배관을 통해 저수조(120)에 물이 유입되어 저장될 수 있다. 저수조(120)의 물은 저수조(120)에 구비되는 가열장치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저수조(120)의 가열된 온수는 배관을 통해 터브(131) 내부로 유입되어 터브(131) 하부에 배치된 섬프(133)에 저장될 수 있다.
컵의 세척을 위해 순환펌프(134)가 작동하면 온수는 섬프(133)로부터 분사장치를 통과하여 터브(131) 내부에 분사되어 컵을 세척할 수 있다. 터브(131)에 분사된 온수는 다시 섬프(133)에 유입되고, 순환펌프(134)에 의해 다시 분사장치로 유입되고, 분사장치에 의해 터브(131) 내부로 분사될 수 있다.
순환펌프(134)가 동작하는 동안에 세척용 온수는 섬프(133), 분사장치, 터브(131)를 순차적으로 유동하고, 이러한 유동은 반복될 수 있다. 온수에 의한 컵세척이 완료되면 순환펌프(134)는 정지되고, 배수펌프(135)가 동작하여 섬프(133)에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배수펌프(135)에 의한 배수가 완료되면, 건조모듈(132)이 동작하여 터브(131) 내부에 열풍을 분사하고, 설정된 시간동안 열풍분사가 진행된 후에는 건조과정을 포함하는 컵세척 작업이 완료될 수 있다.
컵세척기는 세제를 이용한 세척과 린스를 이용한 헹굼을 함께 진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세제와 린스를 터부로 투입하기 위해 구비되는 구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편, 온수에 의한 컵세척과정에서 세제를 이용한 세척과정과 린스를 이용한 헹굼과정은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온수에 세제를 혼합하여 컵을 세척하는 과정을 완료한 후에 섬프(133)에 있는 물에는 세제와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오염된 물은 배수펌프(135)를 동작시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오염된 물을 외부로 배출한 후에, 다시 섬프(133)에는 온수를 유입시키고, 온수에 린스를 혼합하여 순환펌프(134)를 동작시켜 헹굼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세제를 이용한 세척과정과 린스를 이용한 헹굼과정을 분리하여 컵세척기의 세척효율을 높일 수 있다.
세척부(130)는 세제 또는 린스 중 적어도 하나를 터브(131)에 투입하는 액체투입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건조모듈(132) 및 상기 액체투입모듈은 터브(131)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건조모듈(132)과 액체투입모듈은 터브(131)의 후방에 터브(131)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터브(131) 내부로 건조를 위한 공기, 세제, 린스가 효율적으로 투입될 수 있다.
다만, 건조모듈(132) 및 액체투입모듈이 터브(131)와 함께 컵세척기의 상부에 배치되므로, 컵세척기의 상부의 하중이 증가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저수조(120)를 컵세척기의 하부에 배치하여 컵세척기의 무게중심의 높이를 낮추어 컵세척기가 전복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액체투입모듈은 세제저장부(136), 린스저장부(137), 세제주입부(138), 린스주입부(139), 세제펌프(1301), 린스펌프(1302)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제저장부(136)는 터브(131)의 후방에 배치되고, 세제를 저장할 수 있다. 린스저장부(137)는 터브(131)의 후방에 세제저장부(136)와 분리되어 배치되고 린스를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세제와 린스는 서로 혼합되지 않을 수 있다.
탑커버(210)에는 세제가 투입되는 세제투입구(211)와 린스가 투입되는 린스투입구(212)가 구비될 수 있다. 세제투입구(211)는 세제저장부(136)와 연결되고, 린스투입구(212)는 린스저장부(137)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세제투입구(211)와 린스투입구(212)로 유입된 세제와 린스는 세제저장부(136)와 린스저장부(137)에 저장될 수 있다.
세제주입부(138)는 세제저장부(136) 및 터브(131)와 연결되고, 세제를 터브(131)로 주입할 수 있다. 세제주입부(138)의 입구는 세제저장부(136)와 연결되고 출구는 터브(131)와 연결될 수 있다.
린스주입부(139)는 린스저장부(137) 및 터브(131)와 연결되고, 린스를 터브(131)로 주입할 수 있다. 린스주입부(139)의 입구는 린스저장부(137)와 연결되고 출수는 터브(131)와 연결될 수 있다.
세제펌프(1301)는 세제주입부(138)와 연결되고 세제를 터브(131)로 펌핑할 수 있다. 린스펌프(1302)는 린스주입부(139)와 연결되고 린스를 터브(131)로 펌핑할 수 있다. 세제펌프(1301)와 린스펌프(1302)는 제어부에 의해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는 세척과정에서 세제펌프(1301)를 동작시켜 세제와 물을 혼합시킬 수 있고, 헹굼과정에서 린스펌프(1302)를 동작시켜 린스와 물을 혼합시킬 수 있다.
저수조(120)는 터브(131)와 배관으로 연결되어 저수조(120)의 물이 터브(131)로 유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저수조(120)의 물은 가열되어 온수가 된 후에 터브(131)로 유입되고, 순환펌프(134)가 동작하기 전까지는 섬프(133)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터브(131)는 상수도와 직접 연결되는 물공급 경로를 함께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컵은 일반세척 또는 급속세척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일반세척은 저수조(120)에서 가열된 온수를 이용하여 컵을 세척하고, 세제와 린스를 사용하여 깨끗한 컵세척이 가능하지만, 상대적으로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다.
급속세척은 상수도로부터 공급되는 상온의 원수를 이용하여 컵을 세척하고, 세제와 린스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상대적으로 세척시간이 짧으므로, 비교적 오염이 덜된 컵을 신속하게 세척하려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28은 도어(150)의 상부커버를 생략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서포터(51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실시예에 따른 컵세척기는 세척부(130), 탑커버(210), 도어(150)를 포함할 수 있다. 세척부(130)는 수용된 컵(10)을 세척할 수 있다. 탑커버(210)는 세척부(130)의 상단에 배치되어 그 위에 도어(150)가 놓일 수 있다. 도어(150)는 세척부(130)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힌지회전하여 세척부(130)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할 수 있다.
세척부(130)는 도어(150)가 힌지회전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사용자는 도어(150)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시켜 도어(150)를 개폐할 수 있다. 세척부(130)는 터브(131), 힌지서포터(510)를 포함할 수 있다.
터브(131)는 컵(10)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세척수가 분사될 수 있다. 힌지서포터(510)는 터브(131)의 외부에 배치되고, 도어(150)에 장착되는 힌지축(511)을 구비할 수 있다.
힌지서포터(510)는 서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한 쌍의 힌지서포터(510)는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힌지서포터(510) 각각은 도어(150)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힌지서포터(510)를 구성하는 하기에 설명하는 각 부품들도 각각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힌지서포터(510)는 힌지축(511), 지지체(512)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축(511)은 도어(150)에 결합하고, 도어(15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힌지축(511)은 도어(150)에 고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도어(150)를 회전시키면, 도어(150)와 힌지축(511)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지지체(512)는 터브(131)에 결합하고, 힌지축(511)이 삽입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될 수 있다. 지지체(512)는 터브(131)에 고정적으로 결합하고, 힌지축(511)은 지지체(512)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도어(150)를 회전시키면 힌지축(511)은 지지체(512)에 대해 회전하고, 이에 따라 도어(150)는 지지체(512)에 대해 힌지회전할 수 있다.
도 30은 힌지서포터(510)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512)는 제1지지부(5121), 제2지지부(5122), 덮게부(5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지지부(5121)는 힌지축(511)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삽입홀(5121a)이 형성될 수 있다. 힌지축(511)은 삽입홀(5121a)에 삽입되어 제1지지부(5121)에 대하여 힌지회전할 수 있고, 도어(150)도 힌지축(511)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제2지지부(5122)는 탑커버(210)에 결합하고 제1지지부(5121)를 지지할 수 있다. 제1지지부(5121)와 제2지지부(512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지지부(5121)는 제2지지부(5122)로부터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덮게부(5123)는 제1지지부(5121)에 결합하여 삽입홀(5121a)의 개방된 부위를 폐쇄할 수 있다. 덮게부(5123)가 탈거된 상태에서 힌지축(511)을 제1지지부(5121)의 삽입홀(5121a)에 삽입하고, 다시 덮게부(5123)를 제1지지부(5121)에 결합시키면 힌지축(511)은 제1지지부(5121)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탑커버(210)는 제2지지부(5122)가 안착되는 안착홈부(216)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지지부(5122)는 탑커버(210)에 고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힌지축(511)은 지지체(512)에 대해 안정적으로 힌지회전할 수 있다.
탑커버(210)에는 함몰된 형상의 안착홈부(216)가 구비되고 여기에 제2지지부(5122)가 안착될 수 있다. 안착홈부(216)는 한 쌍의 제2지지부(5122)에 대응하여 서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지지부(5122)가 안착홈부(216)에 안착된 상태에서 제2지지부(5122)는 탑커버(210)와 나사못 등의 결합기구에 의해 고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체(512)는 탑커버(210)에 고정적으로 결합하여 힌지축(511)이 회전하도록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도어(150)는 힌지서포터(510)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도어(150)는 세척부(13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도어(150)를 힌지회전시켜 도어(150)를 개폐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비교적 작은 동작으로 허리를 숙이지 않고 도어(150)를 개폐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구조는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컵세척기는 개폐감지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감지부(520)는 한 쌍의 힌지서포터(510)에 대응하여 서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개폐감지부(520)는 지지체(512)의 하측에 배치되고, 터브(131)에 결합하고, 힌지축(511)의 회전을 감지하여 도어(150)의 개방 또는 폐쇄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개폐감지부(520)는 힌지축(511)이 회전하는 것을 감지하여, 도어(150)가 폐쇄된 상태에서 힌지축(511)의 배치각도와 비교하여 힌지축(511)이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회전한 경우 도어(150)가 개방된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개폐감지부(520)는 제어부와 연결되고, 개폐감지부(520)로부터 도어(150)의 개방신호를 전송받은 제어부는 도어(150)의 개방을 감지하고 이에 따라 세척동작의 각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폐감지부(520)와 지지체(512)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지지체(512)에는 힌지축(511)이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회전하는지 여부에 온 또는 오프되는 스위치구조가 구비될 수 있다. 개폐감지부(520)는 지지체(512)에 구비된 스위치구조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아 도어(150)의 개폐를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지지체(512)에는 힌지축(511)의 회전을 감지할 수 있는 홀센서구조가 구비되고, 개폐감지부(520)는 홀센서구조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아 도어(150)의 개폐를 감지할 수 있다.
도 3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530)를 나타낸 도면이다. 컵세척기는 도어(150)를 잠그는 잠금장치(530)를 포함할 수 있다. 잠금장치(530)는 세척부(130)의 전방에 배치되고 세척부(130)의 외부에 배치되고 터브(131)에 결합하고 도어(150)를 잠글 수 있다.
물이 터브(131)에 분사되고, 건조를 위한 열풍이 터브(131)로 분사되는 세척과정에서는 사용자의 보호와 물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도어(150)를 잠글 필요가 있다. 이러한 도어(150)를 잠그는 것과 잠금해제는 제어부에 의해 진행될 수 있다.
잠금장치(530)는 잠금제어부(531)와 걸림장치(532)를 포함할 수 있다. 잠금제어부(531)는 터브(131)에 결합하고 도어(150)를 잠그거나 잠금해제하는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잠금제어부(531)는 컵세척기의 제어부와 연결되고, 제어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전송받아 도어(150)를 잠그거나 잠금해제할 수 있다.
걸림장치(532)는 일측이 잠금제어부(531) 삽입되어 잠금제어부(531)의 동작에 따라 잠금제어부(531)에 대하여 왕복이동하여 도어(150)를 잠그거나 잠금해제할 수 있다. 걸림장치(532)는 대체로 누운 U자 형상을 가지고 일단부는 잠금제어부(531)에 이동가능하도록 결합하고, 타단부는 도어(150)의 걸림부(151)에 대하여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어 걸림부(151)에 삽입되거나 삽입해제될 수 있다.
도 31에 양쪽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장치(532)는 잠금제어부(531)에 대하여 왕복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잠금제어부(531)는 걸림장치(532)를 왕복이동시켜 도어(150)를 잠그거나 잠금해제할 수 있다.
도어(150)에는 걸림장치(532)가 왕복이동하여 도어(150)를 잠그거나 잠금해제할 수 있는 걸림부(151)가 구비될 수 있다. 걸림부(151)는 걸림장치(532)의 타측이 삽입되고, 걸림장치(532)의 이동에 따라 걸림장치(532)가 삽입되거나 삽입해제될 수 있다.
도 3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터브(131)와 링크부(540)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150), 링크부(540) 및 랙(400)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컵세척기는 랙(400), 링크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
랙(400)은 터브(131) 내부에 구비되고 컵이 안착될 수 있다. 랙(400)은 와이어를 이용하여 제작되고 전체적으로 매쉬(mesh)구조를 구비되어 분사되는 물이 랙(400)을 통과하여 랙(400)에 안착된 컵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링크부(540)는 도어(150)와 랙(400)을 연결하고, 도어(150)가 개방되어 회전함에 따라 랙(400)을 상승시킬 수 있다. 링크부(540)는 대체로 납작하고 긴 막대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링크부(540)는 서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어(150)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링크부(540)의 상부가 세척부(130)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컵을 랙(400)에 놓거나 랙(400)에서 꺼낼때 불편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링크부(540)는 길이방향으로 완만한 곡선을 형성하고, 링크부(540)의 상단부는 도어(150)의 후방부위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링크부(540)는 도어(150)와 연결되고, 랙(400)은 링크부(540)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150)의 개폐에 따라 링크부(540)와 랙(400)은 터브(131)에 대하여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도어(150)가 닫힌상태에서 개방되면 도어(150)는 상측방향으로 힌지회전하고 이에 따라 링크부(540)와 랙(400)은 함께 상승할 수 있다. 반대로, 도어(150)가 개방상태에서 닫히면 도어(150)는 하측방향으로 힌지회전하고 이에 따라 링크부(540)와 랙(400)은 함께 하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도어(150)를 개방하면 링크부(540)와 랙(400)이 함께 상승하여, 사용자는 허리를 숙이지 않고 랙(400)에 컵을 거치하거나 랙(400)에서 컵을 회수할 수 있어, 이러한 구조는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4는 도 33의 16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35는 도 33의 17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링크부(540)는 일단부가 도어(15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타단부가 랙(40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링크부(540)는 도어(150)와 랙(400)에 대해 모두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도어(150)가 개폐되는 과정에서 회전하더라도 링크부(540)가 회전하여 도어(150)의 회전운동에 대하여 랙(400)은 터브(131)의 상하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150)가 회전하는 동안 랙(400)은 터브(131)의 상하방향으로 직선으로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도어(150)는 링크부(540)의 일측이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1장착돌기(1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장착돌기(152)는 도어(150)에서 도어(150)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고, 링크부(540)의 상단부가 제1장착돌기(152)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150)가 회전하면 제1장착돌기(152)에 결합한 링크는 도어(150)에 대하여 회전하면서 상승 및 하강하고, 이에 따라 링크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한 랙(400)은 상하방향으로 직선으로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도 33을 참조하면, 랙(400)은 바닥부(410), 연결부(460), 가이드부(470), 제2장착돌기(48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부(410)에 안착하고, 랙(400)에 안착된 컵을 아래에서 지지할 수 있다. 컵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바닥부(410)는 대체로 터브(131)의 측방향 전후좌우로 넓게 펼쳐진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연결부(460)는 바닥부(410)로부터 연장되고 단부에 가이드부(470)가 연결될 수 있다. 가이드부(470)는 연결부(460)로부터 절곡되고, 도어(150)가 회전함에 따라 랙(400)이 세척부(130)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가이드부(470)는 후술하는 가이드레일(1319)에 의해 가이드되어 터브(131)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장착돌기(480)는 가이드부(470)로부터 돌출되고, 링크부(540)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제2장착돌기(480)는 랙(400)에서 랙(400)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고, 링크부(540)의 상단부가 제2장착돌기(48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150)가 회전하면 제2장착돌기(480)에 결합한 링크는 랙(400)에 대하여 회전하면서 상승 및 하강하고, 이에 따라 링크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한 랙(400)은 상하방향으로 직선으로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도 36은 도 33의 18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37은 터브(131)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터브(131)는 측벽 내부표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길이방향이 터브(131)의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가이드레일(1319)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레일(1319)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한 쌍으로 구비되고 가이드레일(1319)이 결합하는 랙(400)의 가이드부(470)도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가이드부(470)는 길이방향이 터브(131)의 상하방향으로 배치되고, 가이드레일(1319)이 안착되는 레일홈(471)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일홈(471)이 가이드레일(1319)에 의해 가이드되어 이동함에 따라 랙(400)은 전체가 가이드레일(1319)에 의해 가이드되어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레일(1319)은 터브(131)의 상하방향으로 직선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레일홈(471)에 안착하는 가이드레일(1319)은 가이드레일(1319)에 의해 가이드되어 터브(131)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랙(400)은 가이드레일(1319)을 따라 터브(131)의 상하방향으로 직선으로 상승 및 하강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150)가 개폐되는 경우에 도어(150)와 링크부(540)가 회전하더라도, 랙(400)은 회전하지 않고 터브(131)의 상하방향으로 상승 및 하강할 수 있다.
도어(150)가 폐쇄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개방되면 랙(400)은 가이드레일(1319)에 의해 가이드되어 터브(131)에서 상승할 수 있다. 반대로, 도어(150)가 개방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폐쇄되면 랙(400)은 가이드레일(1319)에 의해 가이드되어 터브(131)에서 하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도어(150)를 개방하면 랙(400)은 상승하고, 사용자는 터브(131)에서 상승한 위치에 있는 랙(400)에 허리를 숙이지 않고 편리하게 컵을 거치할 수 있다. 컵을 랙(400)에 거치한 후에 사용자가 도어(150)를 폐쇄하면, 랙(400)과 거치된 컵은 하강하여 터브(131) 내부에 설계된 위치에 배치되고, 세척이 진행될 수 있다.
세척을 완료한 후에, 사용자가 다시 도어(150)를 개방하면, 랙(400)과 컵은 상승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허리를 숙이지 않고 편리하게 랙(400)으로부터 컵을 수거할 수 있다.
도 3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제주입장치와 린스주입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9는 세제주입장치와 린스주입장치의 저면도이다. 컵세척기는 수용된 컵(10)을 세척하는 세척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세척부(130)는 컵(10)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세척수가 분사되는 터브(131)를 포함할 수 있다.
세척부(130)는 세제를 터브(131)로 주입하는 세제주입장치와 린스를 터브(131)로 주입하는 주입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제는 물에 혼합되어 컵에 분사되어 컵을 세척할 수 있다. 린스는 물에 혼합되어 컵에 분사되어 컵을 세척한 후에 컵을 헹굴 수 있다.
따라서, 세제가 컵의 세척에 사용된 후에 린스가 컵을 헹구는데 사용될 수 있다. 즉, 세제와 린스는 서로 시차를 두고 터브(131)에 분사되는 물에 혼합될 수 있다. 세제와 린스는 액상으로 구비되어 세제펌프(1301)에 의해 펌핑되어 터브(13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세제주입장치와 린스주입장치는 터브(131)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세제주입장치는 세제저장부(136), 세제주입부(138), 세제펌프(1301)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제저장부(136)는 터브(131)의 일측에 배치되고 세제를 저장할 수 있다. 관리자는 세제저장부(136)에 주기적으로 세제를 부어 세제를 세제저장부(136)에 저장할 수 있다.
세제주입부(138)는 세제저장부(136)의 하부에 결합하고, 세제저장부(136)의 세제를 세제펌프(1301)로 주입시킬 수 있다. 세제주입부(138)는 세제저장부(136)의 하부에 배치되므로, 중력에 의해 세제는 세제주입부(138)로 모여 세제펌프(1301)로 주입될 수 있다.
세제펌프(1301)는 세제주입부(138)와 연결되고 세제를 터브(131)로 펌핑할 수 있다. 세제펌프(1301)는 식기세척기에 구비되는 제어부에 의해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세제펌프(1301)는 설정된 시점에 동작하여 세제주입부(138)로부터 유입되는 세제를 터브(131)로 펌핑할 수 있다.
세제펌프(1301)는 제1몸체(611), 제1커넥터(612), 세제토출부(6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몸체(611)는 세제를 토출하는 펌핑력을 제공하는 모터, 모터와 세제토출부(613)의 토출장치들을 연결하는 기어장치 등이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제1커넥터(612)는 제1몸체(611)에 결합하고, 세제주입부(138)와 연결되어 세제주입부(138)로부터 세제가 유입될 수 있다. 제1커넥터(612)는 세제주입부(138)와 세제토출부(613)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세제토출부(613)는 일측은 제1커넥터(612)와 연결되고, 타측은 터브(131)와 연결되어 터브(131) 내부로 세제를 토출할 수 있다. 세제토출부(613)의 타측에는 배관이 연결되어 세제토출부(613)로부터 토출되는 세제는 배관을 통해 터브(131) 내부로 주입될 수 있다.
세제토출부(613)는 세제펌핑부(6131)와 세제주입노즐(6132)을 포함할 수 있다. 세제펌핑부(6131)는 제1커넥터(612)와 연결되어 제1커넥터(612)로부터 유입되는 세제를 펌핑할 수 있다. 세제펌핑부(6131)는 몸체에 구비되는 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하여 펌핑력을 발생시켜 제1커넥터(612)로 유입되는 세제를 터브(131)로 펌핑할 수 있다.
세제주입노즐(6132)은 세제펌핑부(6131)와 결합하고, 터브(131)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제주입노즐(6132)은 일단부에 터브(131)와 연결되는 배관이 장착될 수 있다. 세제주입노즐(6132)은 터브(131)로 세제를 주입할 수 있다. 세제주입노즐(6132)은 내경이 세제펌핑부(6131)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배관이 연결될 수 있다.
도 40은 세척부(130)의 일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1은 도 40을 반대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린스주입장치는 린스저장부(137), 린스주입부(139), 린스펌프(130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8 및 도 39를 참조하면, 세제주입장치와 린스주입장치는 대체로 유사한 외형을 가지고, 일부 부품들이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린스저장부(137)는 터브(131)의 일측에 세제저장부(136)와 분리되어 배치되고 린스를 저장할 수 있다. 관리자는 린스저장부(137)에 주기적으로 린스를 부어 린스를 린스저장부(137)에 저장할 수 있다.
린스주입부(139)는 린스저장부(137)의 하부에 결합하고, 린스저장부(137)의 린스를 린스펌프(1302)로 주입시킬 수 있다. 린스주입부(139)는 린스저장부(137)의 하부에 배치되므로, 중력에 의해 린스는 린스주입부(139)로 모여 린스펌프(1302)로 주입될 수 있다.
린스펌프(1302)는 린스주입부(139)와 연결되고 린스를 터브(131)로 펌핑할 수 있다. 린스펌프(1302)는 식기세척기에 구비되는 제어부에 의해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린스펌프(1302)는 설정된 시점에 동작하여 린스주입부(139)로부터 유입되는 린스를 터브(131)로 펌핑할 수 있다.
린스펌프(1302)는 제2몸체(621), 제2커넥터(622), 린스토출부(6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몸체(621)는 린스를 토출하는 펌핑력을 제공하는 모터, 모터와 린스토출부(623)의 토출장치들을 연결하는 기어장치 등이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제2커넥터(622)는 제2몸체(621)에 결합하고, 린스주입부(139)와 연결되어 린스주입부(139)로부터 린스가 유입될 수 있다. 제2커넥터(622)는 린스주입부(139)와 린스토출부(623)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린스토출부(623)는 일측은 제2커넥터(622)와 연결되고, 타측은 터브(131)와 연결되어 터브(131) 내부로 린스를 토출할 수 있다. 린스토출부(623)의 타측에는 배관이 연결되어 린스토출부(623)로부터 토출되는 린스는 배관을 통해 터브(131) 내부로 주입될 수 있다.
린스토출부(623)는 린스펌핑부(6231)와 린스주입노즐(6232)을 포함할 수 있다. 린스펌핑부(6231)는 제2커넥터(622)와 연결되어 제2커넥터(622)로부터 유입되는 린스를 펌핑할 수 있다. 린스펌핑부(6231)는 몸체에 구비되는 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하여 펌핑력을 발생시켜 제2커넥터(622)로 유입되는 린스를 터브(131)로 펌핑할 수 있다.
린스주입노즐(6232)은 린스펌핑부(6231)와 결합하고, 터브(131)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린스주입노즐(6232)은 일단부에 터브(131)와 연결되는 배관이 장착될 수 있다. 린스주입노즐(6232)은 터브(131)로 린스를 주입할 수 있다. 린스주입노즐(6232)은 내경이 린스펌핑부(6231)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배관이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세척부(130)에는 터브(131)의 외부에 세제주입장치와 린스주입장치가 서로 분리되어 배치될 수 있다. 세제주입장치와 린스주입장치에 의해 터브(131) 내부로 유입된 물은 세제 또는 린스와 혼합될 수 있다.
따라서, 물을 분사하여 컵을 세척하는 경우에 물과 세제가 혼합된 세척수가 컵으로 분사되어 컵의 세척효율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컵을 세척한 후에 컵을 헹구는 경우에 물과 린스가 혼합된 세척수가 컵으로 분사되어 컵을 효과적으로 헹굴 수 있다.
실시예에서, 세제펌프(1301)와 린스펌프(1302)는 컵세척기에 구비되는 제어부와 연결되고 제어부에 의해 설정된 시점에 동작하여 터브(131)로 세제 또는 린스를 주입하여 터브(131)에서 물과 혼합되도록 할 수 있다. 관리자는 세제저장부(136)와 린스저장부(137)에 주기적으로 세제와 린스를 보충할 수 있다.
따라서, 따라서, 자신의 컵을 세척하려는 사용자는 세제와 린스를 물에 첨가하기위한 별도의 동작을 할 필요없이 편리하게 세제를 이용하여 컵의 세척효율을 높일 수 있고, 컵의 세척후에 린스를 이용하여 컵을 깨끗하게 헹굴 수 있다.
도 4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제주입부(138)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3은 도 42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4는 세제주입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5는 세척부(130)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세제주입부(138)는 제1하부커버(1381), 제1연결부(138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하부커버(1381)는 세제저장부(136)의 하부에 결합하여 세제저장부(136)의 개방된 하면을 덮을 수 있다. 제1하부커버(1381)는 세제저장부(136)의 하면을 덮으므로, 세제저장부(136)에 저장된 액상의 세제는 중력에 의해 하강하여 제1하부커버(1381)의 상면에 놓일 수 있다.
제1연결부(1382)는 제1하부커버(1381)로부터 하측방향으로 돌출되고, 제1커넥터(612)와 결합하고, 세제가 유동하는 제1유동홀(1382a)이 형성될 수 있다. 제1하부커버(1381)의 상면에 놓인 세제는 제1연결부(1382)에 구비되는 제1유동홀(1382a)을 통해 제1커넥터(612)로 유입될 수 있다.
제1하부커버(1381)는 상면이 제1유동홀(1382a)을 향하여 나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하부커버(1381)의 상면에 놓인 액상의 세제는 중력에 의해 제1하부커버(1381)의 상면을 따라 흘러 제1하부커버(1381)의 경사진 상면에서 제일 낮은 위치에 있는 제1유동홀(1382a)의 입구로 모일 수 있다.
제1유동홀(1382a)의 입구에 모인 세제는 제1유동홀(1382a)을 통해 하강하여 제1커넥터(612)를 통과하여 세제토출부(613)로 유입되고, 세제펌핑부(6131)에서 펌핑되어 세제주입노즐(6132)과 배관을 통해 터브(131)로 유입될 수 있다.
도 4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린스주입부(139)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7은 도 46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8은 린스주입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린스주입부(139)는 제2하부커버(1391), 제2연결부(139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하부커버(1391)는 린스저장부(137)의 하부에 결합하여 린스저장부(137)의 개방된 하면을 덮을 수 있다. 제2하부커버(1391)는 린스저장부(137)의 하면을 덮으므로, 린스저장부(137)에 저장된 액상의 린스는 중력에 의해 하강하여 제2하부커버(1391)의 상면에 놓일 수 있다.
제2연결부(1392)는 제2하부커버(1391)로부터 하측방향으로 돌출되고, 제2커넥터(622)와 결합하고, 린스가 유동하는 제2유동홀(1392a)이 형성될 수 있다. 제2하부커버(1391)의 상면에 놓인 린스는 제2연결부(1392)에 구비되는 제2유동홀(1392a)을 통해 제2커넥터(622)로 유입될 수 있다.
제2하부커버(1391)는 상면이 제2유동홀(1392a)을 향하여 나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하부커버(1391)의 상면에 놓인 액상의 린스는 중력에 의해 제2하부커버(1391)의 상면을 따라 흘러 제2하부커버(1391)의 경사진 상면에서 제일 낮은 위치에 있는 제2유동홀(1392a)의 입구로 모일 수 있다.
제2유동홀(1392a)의 입구에 모인 린스는 제2유동홀(1392a)을 통해 하강하여 제2커넥터(622)를 통과하여 린스토출부(623)로 유입되고, 린스펌핑부(6231)에서 펌핑되어 린스주입노즐(6232)과 배관을 통해 터브(131)로 유입될 수 있다.
한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브(131)는 세제유입구(1312)와 세척수유입구(1315)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제유입구(1312)는 세제주입노즐(6132)과 배관으로 연결되고, 세제주입노즐(6132)로부터 터브(131)로 세제가 유입될 수 있다. 세제토출부(613)로부터 토출되는 세제는 세제유입구(1312)를 통해 터브(13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세척수유입구(1315)는 세제유입구(1312)의 상측에 배치되고, 터브(131)로 물이 유입될 수 있다. 세척수유입구(1315)는 배관으로 저수조(120)와 연결되고, 저수조(120)로부터 온수가 세척수유입구(1315)를 통해 터브(13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세척수유입구(1315)를 통해 린스가 터브(13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9는 세척부(130)에 배관이 연결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컵세척기는 저수조(120), 제1연결배관(631), 제2연결배관(632), 삼방연결부(633)를 포함할 수 있다. 저수조(120)는 세척부(130)의 하측에 배치되고 컵 세척을 위한 물이 저장될 수 있다.
제1연결배관(631)은 세척수유입구(1315)와 저수조(120)를 연결할 수 있다. 저수조(120)의 물은 가열장치에 의해 가열되어 제1연결배관(631)과 세척수유입구(1315)를 통해 터브(131)로 유입될 수 있다.
제2연결배관(632)은 린스주입노즐(6232)과 제1연결배관(631)을 연결할 수 있다. 삼방연결부(633)는 제1연결배관(631)에 장착되고 제2연결배관(632)의 일단이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린스주입노즐(6232)로부터 토출되는 린스는 삼방연결부(633)에서 제1연결배관(631)을 유동하는 물과 혼합되고, 린스가 혼합된 물은 세척수유입구(1315)를 통해 터브(13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린스주입노즐(6232)로부터 토출되는 린스는 제2연결배관(632)으로부터 제1연결배관(631)으로 유입되어 제1연결배관(631)을 유동하는 물에 혼합되어 터브(13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헹굼작업을 진행하는 경우에, 먼저 섬프(133)에 저장된 오물과 세제가 혼합된 물은 배수펌프(135)를 이용하여 컵세척기 외부로 드레인할 수 있다. 이후에 다시 저수조(120)로부터 온수가 세척수유입구(1315)를 통해 터브(131)로 유입되어 터브(131) 하부의 섬프(133)에 저장될 수 있다.
섬프(133)에 저장된 물을 순환펌프(134)를 이용하여 터브(131)와 섬프(133)를 순환시키면서, 터브(131) 내부에 수용된 컵에 물을 분사하여 컵을 헹굴 수 있다. 이러한 헹굼작업을 진행하는 경우에 물에 린스를 혼합할 수 있다.
헹굼작업을 위해 저수조(120)에서 물을 터브(131)로 유입시켜 섬프(133)에 채우는 경우에 제1연결배관(631)에 물이 유동하는 시점에 동시에 린스를 펌핑할 수 있다. 이때, 삼방연결부(633)를 통해 린스가 유동하는 제2연결배관(632)은 제1연결배관(631)과 연결되고, 따라서 린스는 물과 혼합되어 터브(13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삼방연결부(633)에서 물과 린스는 혼합되어 함께 유동하고, 계속 유동하여 섬프(133)에 저장될 때에는 물과 린스는 더욱 혼합되어 섬프(133)에는 물과 린스가 균일하게 혼합된 상태가 될 수 있다.
한편, 린스는 세제를 이용한 세척작업을 한 후에 컵의 표면에 남은 린스를 씻어내는 헹굼작업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세제와 린스는 컵의 세척작업 전과정에서 서로 혼합되지 않고 분리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터브(131)에는 세척수유입구(1315)와 분리된 세제유입구(1312)가 형성되고, 세제주입노즐(6132)과 세제유입구(1312)는 제1연결배관(631) 또는 제2연결배관(632)과 다른 별도의 배관으로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린스는 제2연결배관(632), 삼방연결부(633), 제1연결배관(631) 및 세척수유입구(1315)를 통해 터브(131)로 유입될 수 있다. 반면, 세제는 별도의 배관을 통해 연결된 세제유입구(1312)를 통해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세제와 린스가 터브(131)에 유입되는 시점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세제와 린스가 터브(131)로 주입되는 경로가 분리되어, 세제와 린스가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컵세척기의 세척작업 및 헹굼작업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물과 린스는 하나의 배관에서 서로 만나서 유동하여 세제유입구(1312)를 통해 터브(131)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과 린스는 유동하면서 더욱 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고, 물과 린스가 균일하게 혼합된 세척수가 컵에 분사되어 컵의 헹굼작업이 효과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컵세척기는 건조모듈(132), 섬프(133), 순환펌프(134), 배수펌프(135)를 포함할 수 있다. 건조모듈(132)은 터브(131)의 측면부위에 터브(131)와 연결되도록 배치되고, 가열된 공기를 터브(131) 내부로 분사할 수 있다. 전술한 세척작업 및 헹굼작업일 진행한 후에 건조모듈(132)을 동작시켜 터브(131)에 수용된 컵의 표면에 남은 물을 건조시킬 수 있다.
섬프(133)는 터브(131)의 하측에 터브(131)와 연결되도록 배치되고, 터브(131)에서 분사되는 물을 저장할 수 있다. 순환펌프(134)는 터브(131)의 하측에 터브(131) 및 섬프(133)와 연결되도록 배치되고, 물을 터브(131)와 섬프(133) 사이에서 순환시킬 수 있다. 순환펌프(134)를 작동시켜 터브(131)에 물을 순환하여 분사함으로써 터브(131)에 수용된 컵을 세척하거나 헹굴 수 있다.
배수펌프(135)는 터브(131)의 하측에 섬프(133)와 연결되도록 배치되고, 물을 섬프(133)로부터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세척작업 또는 헹굼작업을 완료한 후에 섬프(133)에 저장된 물은 배수펌프(135)를 통해 컵세척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43 및 도 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제주입부(138)는 제1-1커버결합돌기(1383), 제1-2커버결합돌기(1384), 제1-3커버결합돌기(138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커버결합돌기(1383)는 제1하부커버(1381)로부터 돌출되고, 터브(131)와 결합할 수 있다. 터브(131)에는 제1-1커버결합돌기(1383)와 대응하는 위치에 결합돌기가 돌출되고, 제1-1커버결합돌기(1383)와 터브(131)의 결합돌기는 나사못 등의 결합기구에 의해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제1-2커버결합돌기(1384)는 제1하부커버(1381)로부터 돌출되고, 제1커넥터(612)와 결합할 수 있다. 제1-3커버결합돌기(1385)는 제1하부커버(1381)로부터 돌출되고, 제1삽입홈(1385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제1커넥터(612)는 제1체결부(6121), 제1결합후크(6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체결부(6121)는 제1-2커버결합돌기(1384)에 체결되도록 제1커넥터(612)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2커버결합돌기(1384)는 상대적으로 외부직경 큰 제1대경부(1384a)와, 제1대경부(1384a)로부터 돌출되고 상대적으로 외부직경이 작은 제1소경부(1384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대경부(1384a)와 제1소경부(1384b)에는 결합기구가 체결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커넥터(612)의 제1체결부(6121)는 홀이 형성되고, 제1-2커버결합돌기(1384)의 제1소경부(1384b)는 제1체결부(6121)의 홀에 삽입될 수 있다. 제1소경부(1384b)가 제1체결부(6121)에 삽입된 상태에서 결합기구에 의해 제1-2커버결합돌기(1384)와 제1체결부(6121)는 결합기구에 의해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제1결합후크(6122)는 제1삽입홈(1385a)에 삽입되어 제1-3커버결합돌기(1385)와 결합할 수 있다. 제1삽입홈(1385a)의 세제주입부(138)의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결합후크(6122)는 제1삽입홈(1385a)의 길이방향으로 즉, 세제주입부(138)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삽입홈(1385a)에 삽입될 수 있다.
제1결합후크(6122)는 제1삽입홈(1385a)에 삽입된 상태에서 하향하는 경우에 쉽게 제1삽입홈(1385a)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3커버결합돌기(1385)는 체결기구 없이 제1커넥터(612)에 결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제펌프(1301)는 건조모듈(132)에 결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세제펌프(1301)의 제1몸체(611)에는 제1-1모듈체결부(6111)가 구비되고, 건조모듈(132)에는 제1-2모듈체결부(132a)가 구비될 수 있다.
제1-1모듈체결부(6111)는 제1몸체(611)의 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건조모듈(132)에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제1-2모듈체결부(132a)는 건조모듈(132)로부터 제1-1모듈체결부(6111)를 향하여 돌출되고, 제1-1모듈체결부(6111)가 체결될 수 있다. 제1-1모듈체결부(6111)와 제1-1모듈체결부(6111)는 결합기구에 의해 서로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세제주입장치는 일부는 터브(131)와 결합하고 다른 일부는 건조모듈(132)과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건조모듈(132)은 터브(131)와 세제주입장치 사이에 배치되고, 건조모듈(132)과 세제주입장치는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건조모듈(132)과 세제주입장치를 배치하는 공간을 줄여 컵세척기의 공간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세제주입장치가 건조모듈(132)과 터브(131)에 모두 결합함으로써, 세제주입장치, 건조모듈(132) 및 터브(131) 사이의 결합을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도 47 및 도 4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린스주입부(139)는 제2-1커버결합돌기(1393), 제2-2커버결합돌기(1394), 제2-3커버결합돌기(139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1커버결합돌기(1393)는 제2하부커버(1391)로부터 돌출되고, 터브(131)와 결합할 수 있다. 터브(131)에는 제2-1커버결합돌기(1393)와 대응하는 위치에 결합돌기가 돌출되고, 제2-1커버결합돌기(1393)와 터브(131)의 결합돌기는 나사못 등의 결합기구에 의해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제2-2커버결합돌기(1394)는 제2하부커버(1391)로부터 돌출되고, 제2커넥터(622)와 결합할 수 있다. 제2-3커버결합돌기(1395)는 제2하부커버(1391)로부터 돌출되고, 제2삽입홈(1395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제2커넥터(622)는 제2체결부(6221), 제2결합후크(62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체결부(6221)는 제2-2커버결합돌기(1394)에 체결되도록 제2커넥터(622)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2커버결합돌기(1394)는 상대적으로 외부직경 큰 제2대경부(1394a)와, 제2대경부(1394a)로부터 돌출되고 상대적으로 외부직경이 작은 제2소경부(1394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대경부(1394a)와 제2소경부(1394b)에는 결합기구가 체결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커넥터(622)의 제2체결부(6221)는 홀이 형성되고, 제2-2커버결합돌기(1394)의 제2소경부(1394b)는 제2체결부(6221)의 홀에 삽입될 수 있다. 제2소경부(1394b)가 제2체결부(6221)에 삽입된 상태에서 결합기구에 의해 제2-2커버결합돌기(1394)와 제2체결부(6221)는 결합기구에 의해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제2결합후크(6222)는 제2삽입홈(1395a)에 삽입되어 제2-3커버결합돌기(1395)와 결합할 수 있다. 제2삽입홈(1395a)의 린스주입부(139)의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결합후크(6222)는 제2삽입홈(1395a)의 길이방향으로 즉, 린스주입부(139)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제2삽입홈(1395a)에 삽입될 수 있다.
제2결합후크(6222)는 제2삽입홈(1395a)에 삽입된 상태에서 하향하는 경우에 쉽게 제2삽입홈(1395a)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3커버결합돌기(1395)는 체결기구 없이 제2커넥터(622)에 결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린스펌프(1302)는 건조모듈(132)에 결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린스펌프(1302)의 제2몸체(621)에는 제2-1모듈체결부(6211)가 구비되고, 건조모듈(132)에는 제2-2모듈체결부(132b)가 구비될 수 있다.
제2-1모듈체결부(6211)는 제2몸체(621)의 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건조모듈(132)에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제2-2모듈체결부(132b)는 건조모듈(132)로부터 제2-1모듈체결부(6211)를 향하여 돌출되고, 제2-1모듈체결부(6211)가 체결될 수 있다. 제2-1모듈체결부(6211)와 제2-1모듈체결부(6211)는 결합기구에 의해 서로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린스주입장치는 일부는 터브(131)와 결합하고 다른 일부는 건조모듈(132)과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건조모듈(132)은 터브(131)와 린스주입장치 사이에 배치되고, 건조모듈(132)과 린스주입장치는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건조모듈(132)과 린스주입장치를 배치하는 공간을 줄여 컵세척기의 공간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린스주입장치가 건조모듈(132)과 터브(131)에 모두 결합함으로써, 린스주입장치, 건조모듈(132) 및 터브(131) 사이의 결합을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도 5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랙(400)의 일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세척수유입구(1315)는 세제유입구(1312)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세제유입구(1312)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세척수유입구(1315)로 유입되는 물은 터브(131)로 유입되는 세제와 서로 만나지 않고, 물은 터브(131)하부에 있는 섬프(133)로 유입되고, 마찬가지로 세제도 섬프(133)로 유입된 후에, 세제와 물은 서로 혼합될 수 있다.
물이 섬프(133)에 저장된 상태에서 물의 유동은 다소 활발하지 않으므로, 섬프(133)에서 물과 세제가 혼합되는 경우에 물은 세제와 잘 혼합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혼합효율을 높이기 위해, 물과 세제가 터브(131)로 유입되는 각 유입구 근처에서 물과 세제가 서로 혼합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터브(131)의 입구에서 특히 물은 유동이 활발하므로 터브(131)의 각 유입구 근처에서 혼합이 일어나는 경우 물에 대한 세제의 혼합이 원활하게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대해 하기에 설명한다.
터브(131)는 세척수유입구(1315), 세제유입구(1312)를 포함할 수 있다. 세척수유입구(1315), 세제유입구(1312)는 터브(131)의 후방부에 형성될 수 있다. 세제유입구(1312)는 터브(131)의 일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터브(131)로 세제가 유입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세척수유입구(1315)는 세제유입구(1312)의 상측에 배치되고, 터브(131)로 물이 유입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세척부(130)는 랙(400)을 포함할 수 있다. 랙(400)은 터브(131) 내부에 구비되고 컵이 안착되고, 복수의 와이어가 서로 결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랙(400)에는 예를 들어, 컵, 컵의 뚜껑, 빨대 등이 거치될 수 있다.
이때, 컵은 랙(400)에 거꾸로 거치될 수 있다. 즉, 컵의 개방된 입구가 랙(400)의 하부에 놓이고, 컵의 바닥이 랙(400)의 상부에 놓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랙(400)의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분사되는 물은 컵의 내부에 원활하게 유입되어 컵의 내부를 세척할 수 있다.
랙(400)은 전체적으로 와이어가 서로 결합하여 3차원적인 매쉬(mesh)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으로 인해, 랙(400)에 컵 등이 용이하게 거치될 수 있고, 분사되는 물은 랙(400)의 하부를 통과하여 랙(400)에 거치된 컵 등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랙(400)은 바닥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부(410)는 터브(131)의 바닥에 안착하고, 랙(400)에 안착된 컵을 아래에서 지지할 수 있다. 컵 등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바닥부(410)는 대체로 터브(131)의 측방향 전후좌우로 넓게 펼쳐진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바닥부(410)는 가장자리부(411), 제1경사부(412), 제1절곡부(413)를 포함할 수 있다. 가장자리부(411)는 바닥부(410)의 가장자리를 형성하고, 양측에서 일부분이 터브(131)의 상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경사부(412)는 길이방향이 터브(131)의 측방향에 대해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경사부(412)는 복수로 구비되고 각각 서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제1경사부(412)는 컵 등이 놓이는 랙(400)의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제1경사부(412)는 경사를 가지므로, 제1경사부(412)에 놓이는 컵은 전체적으로 터브(131)의 상하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랙(400)에 거치될 수 있다.
제1절곡부(413)는 제1경사부(412)로부터 절곡되어 가장자리부(411)에 결합할 수 있다. 제1경사부(412)가 경사를 가지는 구조가 되기 위해 제1경사부(412)의 일단부에는 제1절곡부(413)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절곡부(413)는 복수로 구비되고, 각각의 제1절곡부(413)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각각의 제1절곡부(413)는 각각의 제1경사부(412)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랙(400)은 제1유로가이드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유로가이드부(440)는 바닥부(410)와 결합하고, 세척수유입구(1315)를 바라보도록 배치되어 세척수유입구(1315)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세제유입구(1312)로 유입되는 세제를 향하도록 할 수 있다.
제1유로가이드부(440)는 터브(131)의 후방부에 배치되어 세척수유입구(1315)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세척수유입구(1315)로 유입되어 터브(131) 내부로 쏟아지는 물은 제1유로가이드부(440)에 부딪히면서 유로가 변경될 수 있다.
제1유로가이드부(440)는 베이스부(441), 제1패드(442)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441)는 바닥부(410)와 결합할 수 있다. 베이스부(441)는 바닥부(410)의 후방에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전체적으로 와이어를 절곡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패드(442)는 베이스부(441)에 결합하고, 세척수유입구(1315)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터브(131)로 유입되는 물의 유동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제1패드(442)는 단면으로 보아 곡선형으로 형성되어 물이 터브(131)의 하측방향으로 유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제1패드(442)는 세척수유입구(1315)를 직접 바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세척수유입구(1315)로 유입되는 물은 제1패드(442)를 향하여 분사되고 제1패드(442)에 부딪혀서 유동방향이 터브(131)의 하측방향으로 변경될 수 있다.
제1패드(442)는 단면이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패드(442)는 하단부에서 세척수유입구(1315) 방향으로 향하도록 곡면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패드(442)에 부딪힌 물은 중력에 의해 하측으로 유동하면서 터브(131)의 벽면에 근접할 수 있다.
한편 세제유입구(1312)는 세척수유입구(1315)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세제유입구(1312)로 유입된 세제는 비교적 점성(viscosity)가 높으므로 터브(131)의 벽면을 따라 흘러내릴 수 있다.
제1패드(442)에 부딪힌 물은 하측으로 유동하면서 터브(131)의 벽면에 근접하므로, 터브(131)의 벽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세제와 만날 수 있다. 따라서, 터브(131) 내부를 유동하는 물은 세제와 만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아직 섬프(133)로 유입되기 전의 위치에서 유동하는 물이 액상의 세제와 만나게 되므로, 섬프(133)에 고인 물에 세제가 혼합되는 경우에 비해, 물은 세제와 원활하게 혼합될 수 있다.
세척과정 중에, 컵세척기에 구비되는 제어부는 물이 세척수유입구(1315)를 통해 터브(131)로 유입되는 시점에 세제가 터브(131)에 유입되도록 세제펌프(130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동하는 물과 세제가 서로 혼합되므로 물은 세제와 원활하게 혼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랙(400)은 터브(131)의 세척수유입구(1315)와 인접한 위치에 물의 유동방향을 가이드하는 제1유로가이드부(440)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터브(131)로 유입되는 물은 제1유로가이드부(440)에 의해 터브(131)로 유입되는 세제를 향하여 유동할 수 있다. 따라서, 유동하는 물이 세제와 혼합되므로 물과 세제는 서로 원활하게 혼합되고, 컵세척기의 세척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5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모듈(132)이 터브(131)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52는 도 51의 측면도이다. 도 5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터브(131)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컵세척기는 수용된 컵을 세척하는 세척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컵세척기는 터브(131), 건조모듈(132), 공기배출부(710)를 포함할 수 있다. 터브(131)는 컵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세척수가 분사될 수 있다.
건조모듈(132)은 터브(131)의 일측에 터브(131)와 연결되도록 배치되고, 건조를 위한 가열된 공기를 터브(131) 내부로 분사할 수 있다. 건조모듈(132)은 물을 이용한 세척을 완료한 후에 동작하여 컵에 가열된 공기 즉, 온풍을 분사하여 컵에 잔류하는 물을 증발시켜 컵을 건조시킬 수 있다.
공기배출부(710)는 터브(131)의 상부에 배치되고, 터브(131)와 연결되고, 터브(131)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공기배출부(710)는 터브(131)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가 터브(131) 외부로 배출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공기배출부(710)의 입구는 터브(131)와 연결되고, 공기배출구의 출구는 컵세척기 외부를 향해 배치될 수 있다.
도 5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브(131)는 공기유입홀(1316), 공기배출홀(1317)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유입홀(1316)은 터브(131)의 하부에 형성되고, 건조모듈(132)의 출구와 연결될 수 있다. 공기배출홀(1317)은 터브(131)의 상부에 형성되고, 공기배출부(710)의 입구와 연결될 수 있다.
건조모듈(132)로부터 분사되는 온풍은 터브(131) 하부의 공기유입홀(1316)로 유입되어 터브(131) 내부 전체에 확산되면서 상승할 수 있다. 따라서, 터브(131) 내부에 수용된 컵은 유동하는 온풍에 노출되어 표면에 잔류하는 물은 온풍에 의해 증발하게 된다. 온풍은 공기배출홀(1317)을 통해 터브(131)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도 5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모듈(132)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모듈(132)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6은 도 55의 분해도이다. 건조모듈(132)은 송풍팬(1321), 공기가열부(720), 공기유로부(730)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팬(1321)은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입구(1321a)를 포함하고, 공기입구(1321a)로 유입된 공기를 터브(131)로 향하도록 송풍할 수 있다. 컵세척기의 주위에 있는 외부공기가 송풍팬(1321)을 통해 건조모듈(132)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송풍팬(1321)은 건조모듈(132)과 터브(131)에서 공기를 강제유동시킬 수 있다.
공기가열부(720)는 송풍팬(1321)의 출구측에 배치되고, 송풍팬(1321)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송풍팬(1321)으로 유입된 공기는 공기가열부(720)를 통과하면서 가열되어 온풍이 되어 건조모듈(132)과 세척부(130)를 유동할 수 있다. 공기가열부(720)는 예를 들어, 작은 부피를 차지하고 구보가 비교적 간단한 전기저항 가열방식의 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공기유로부(730)는 송풍팬(1321) 및 공기가열부(720)를 수용하고, 공기유입홀(1316)과 연결되고 터브(131)를 향하여 유동하는 공기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공기유로부(730)는 팬케이싱(731), 제1덕트(732), 제2덕트(733)가 서로 결합하여 공기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공기유로부(730)는 공기가 유동하는 각 영역의 측면에서 보면, 상승부(730a), 측방향연장부(730b), 하강부(730c)를 포함할 수 있다. 상승부(730a)는 송풍팬(1321)으로부터 터브(131)의 상측방향으로 연장되어 공기가 상승할 수 있다.
측방향연장부(730b)는 상승부(730a)로부터 절곡되어 터브(131)의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공기가 측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하강부(730c)는 측방향연장부(730b)로부터 절곡되어 터브(131)의 하측방향으로 연장되어 공기가 하강측방향연장부(730b)로부터 절곡되어 터브(131)의 하측방향으로 연장되어 공기가 하강할 수 있다.
도 54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모듈(132)에서 공기는 송풍팬(1321)으로 유입되어 상승부(730a), 측방향연장부(730b), 하강부(730c)를 순차적으로 유동하여 터브(13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공기는 상승부(730a)를 통과하면서 상승부(730a)에 배치되는 공기가열부(720)에 의해 가열되어 온풍이 될 수 있다.
터브(131) 하측에 배치되는 섬프(133)에 저장된 물은 터브(131) 하부에 형성되는 공기유입홀(1316)을 통해 공기유로부(730)를 역류하여 송풍팬(1321)으로 유입될 수 있다. 송풍팬(1321)으로 물이 유입되면 송풍팬(1321)에 구비되는 모터의 부품이 부식될 수 있다. 따라서, 섬프(133)의 물이 공기유입홀(1316)을 통해 공기유로부(730)를 역류하는 것을 억제할 필요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승부(730a), 측방향연장부(730b), 하강부(730c)를 포함하는 공기유로부(730)는 전체적으로 거꾸로된 U자 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공기유로부(730)를 기준으로 보면, 터브(131)의 공기유입홀(1316)은 측방향연장부(730b)보다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유입홀(1316)을 통해 섬프(133)로부터 공기유로부(730)로 유입되는 물은 중력으로 인해 하강부(730c)에서 측방향연장부(730b)로 상승할 수 없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섬프(133)의 물이 공기유로부(730)를 역류하여 송풍팬(1321)으로 유입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세척부(130)는 송풍팬(1321)과 공기가열부(720)를 포함하는 건조모듈(132)을 포함할 수 있다. 물을 이용한 컵세척을 한 후에 건조모듈(132)을 이용하여 터브(131)에 수용된 컵에 온풍을 분사함으로써, 건조된 컵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각 부품의 측면에서 보면, 공기유로부(730)는 팬케이싱(731), 제1덕트(732), 제2덕트(733)를 포함할 수 있다. 팬케이싱(731)은 송풍팬(1321)을 덮을 수 있다. 팬케이싱(731)은 송풍팬(1321)을 수용하고, 공기입구(1321a)가 형성되도록 송풍팬(1321)을 덮을 수 있다.
제1덕트(732)는 송풍팬(1321)이 수용되고 팬케이싱(731)과 결합하고, 터브(131)에 결합할 수 있다. 제1덕트(732)는 팬케이싱(731)과 결합하여 송풍팬(1321)을 수용할 수 있다. 제1덕트(732)의 단부에는 송풍팬(1321)이 배치될 수 있다.
제2덕트(733)는 팬케이싱(731)과 연결되고 제1덕트(732)와 결합할 수 있다. 제2덕트(733)는 팬케이싱(731)과 결합하여 송풍팬(1321)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제1덕트(732)와 제2덕트(733)는 서로 결합하여 내부에 공기가 유동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승부(730a), 측방향연장부(730b) 및 하강부(730c)를 형성할 수 있다. 제1덕트(732)와 제2덕트(733)는 대체적으로 서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각각 거꾸로된 U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공기유로부(730)는 워터루프(7331)(water roof)를 포함할 수 있다. 건조모듈(132)의 공기유로부(730)로 온풍이 유동하면 건조모듈(132) 주위의 공기와 온도차로 인해, 건조모듈(132)의 표면에 수증기가 응결할 수 있다. 이렇게 응결된 물은 건조모듈(132) 하부로 흘러내리게 되고, 흘러내린 물은 컵세척기의 부품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공기유로부(730)의 상승부(730a)의 하단부에 배치되는 송풍팬(1321)에 물이 유입되면 송풍팬(1321)의 오작동, 고장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송풍팬(1321)에 응결된 물이 흘러내려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공기유로부(730)에는 워터루프(7331)가 구비되어 건조모듈(132)의 표면에 응결된 물이 흘러내려 송풍팬(1321)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워터루프(7331)는 공기유로부(730)의 외부 표면에 존재하는 물이 송풍팬(1321)으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제1루프(7331a), 제2루프(733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루프(7331a)는 제1덕트(732)로부터 제2덕트(733)를 향하여 돌출되고 송풍팬(1321)을 상측에서 덮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루프(7331b)는 제1루프(7331a)와 결합하고, 제2덕트(733)의 하단부에 돌출되고 하향할수록 단면적이 확장되도록 형성되어 송풍팬(1321)을 상측에서 덮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루프(7331a)와 제2루프(7331b)는 서로 결합하여 송풍팬(1321)과 송풍팬(1321)을 수용하는 팬케이싱(73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워터루프(7331)는 제1덕트(732)와 제2덕트(733)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송풍팬(132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유로부(730)의 외부표면에서 응결된 물은 공기유로부(730)의 상승부(730a)를 따라 흘러내리다가 워터루프(7331)에 의해 송풍팬(1321)으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응결된 물은 워터루프(7331)의 외부표면을 따라 흘러내려 워터루프(7331)의 하단에서 아래로 떨어질 수 있다. 이때, 응결된 물은 워터루프(7331)에 의해 송풍팬(1321)으로부터 이격되어 아래로 떨어지고, 송풍팬(1321)으로 유입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공기유로부(730)를 구성하는 상승부(730a)의 하단부에는 워터루프(7331)가 형성될 수 있다. 워터루프(7331)에 의해 건조모듈(132)을 표면에서 응결된 물은 송풍팬(1321)을 피하여 흘러내릴 수 있다. 따라서, 송풍팬(1321)에 응결된 물이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어 송풍팬(1321)의 오작동, 고장이 효과적으로 예방될 수 있다.
제1덕트(732)는 공기배출덕트(7321)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배출덕트(7321)는 제1덕트(732)의 하단부에서 터브(131)의 공기유입홀(1316)을 향하여 돌출되고 끝단이 공기유입홀(1316)에 연결될 수 있다.
공기유로부(730)의 하강부(730c)에서 하강하는 온풍은 공기배출덕트(7321)에서 유로방향이 변경되어 터브(131)의 공기유입홀(1316)을 향하여 유동하여 터브(131) 내부로 유입되어 터브(131)에서 확산되면서 상승할 수 있다.
도 5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덕트(732)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8은 도 57의 배면도이다. 도 5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덕트(733)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1덕트(732)와 제2덕트(733)는 나사못 등의 결합기구에 의해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이들 사이의 결합을 위해, 제1덕트(732)는 제1결합돌기(7322)를 포함하고, 제2덕트(733)는 제2결합돌기(73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결합돌기(7322)는 제1덕트(732)의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고 제2덕트(733)와 결합할 수 있다. 제1결합돌기(7322)는 제1덕트(732)의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이격되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제2결합돌기(7332)는 제2덕트(733)의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고 제1결합돌기(7322)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제1결합돌기(7322)와 결합할 수 있다. 제1결합돌기(7322)와 제2결합돌기(7332)에는 결합기구가 체결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제1덕트(732)는 터브(131)의 측벽에 결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덕트(732)는 제3결합돌기(73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3결합돌기(7323)는 제1덕트(732)의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고 제1결합돌기(7322)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터브(131)에 결합할 수 있다. 제3결합돌기(7323)는 제1덕트(732)의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터브(131)에는 제3결합돌기(7323)의 대응하는 위치에 제3결합돌기(7323)와 결합하기 위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제3결합돌기(7323)와, 대응하는 터브(131)의 돌기는 결합기구에 의해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제3결합돌기(7323)와, 대응하는 터브(131)의 돌기에는 결합기구가 체결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덕트(732)와 일체로 형성되는 공기배출덕트(7321)도 터브(131)에 결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공기배출덕트(7321)는 제4결합돌기(7321a)를 포함할 수 있다. 제4결합돌기(7321a)는 공기배출덕트(7321)의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고 터브(131)와 결합할 수 있다. 제4결합돌기(7321a)는 공기배출덕트(7321)의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터브(131)에는 제4결합돌기(7321a)의 대응하는 위치에 제4결합돌기(7321a)와 결합하기 위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제4결합돌기(7321a)와, 대응하는 터브(131)의 돌기는 결합기구에 의해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제4결합돌기(7321a)와, 대응하는 터브(131)의 돌기에는 결합기구가 체결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0은 송풍팬(1321) 및 팬케이싱(731)을 나타낸 도면이다. 팬케이싱(731)은 제1덕트(732)와 결합하기 위해 제5결합돌기(73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5결합돌기(7311)는 팬케이싱(731)의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고 제1덕트(732)와 결합할 수 있다. 제5결합돌기(7311)는 서로 이격되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제5결합돌기(7311)에 대응하여, 제1덕트(732)는 제5결합돌기(7311)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6결합돌기(7324)가 형성될 수 있다. 제5결합돌기(7311)와 제6결합돌기(7324)는 결합기구에 의해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제5결합돌기(7311)와 제6결합돌기(7324)에는 결합기구가 체결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팬케이싱(731)은 제1케이싱(731a), 제2케이싱(73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케이싱(731a)에는 송풍팬(1321)이 안착할 수 있다. 제2케이싱(731b)에는 송풍팬(1321)의 공기입구(1321a)를 형성하는 홀이 구비되고 송풍팬(1321)을 덮을 수 있다.
제1케이싱(731a)과 제2케이싱(731b)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제5결합돌기(7311)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기구가 제5결합돌기(7311)와 제6결합돌기(7324)에 체결되어 팬케이싱(731)이 제1덕트(732)에 결합하면, 제1케이싱(731a)과 제2케이싱(731b)이 서로 고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도 6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배출부(71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2는 도 61의 측면도이다. 도 63은 도 62의 단면도이다. 공기배출부(710)는 제3덕트(711)와 제4덕트(7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3덕트(711)는 공기배출홀(1317)과 연결될 수 있다. 터브(131)를 유동하는 온풍은 공기배출홀(1317)을 통해 터브(131)로부터 배출되어 제3덕트(711)로 유입될 수 있다. 제4덕트(712)는 입구가 제3덕트(711)보다 상측에 배치되고 제3덕트(711)와 연결될 수 있다.
건조모듈(132)에서 분사되는 온풍은 컵이 수용되는 터브(131) 내부를 유동하여 터브(131)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터브(131) 내부에 남아있는 물도 공기와 함께 공기배출홀(1317)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물이 컵세척기 외부로 배출되어 컵세척기 주변에 물이 흐를 수 있고, 이는 사용자에게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터브(131)에 남아있는 물이 공기배출홀(1317)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공기배출부(710)는 입구와 출구의 높이가 서로 다르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공기배출부(710)에 경사를 두어 공기배출부(710)에 유입된 물이 다시 터브(131) 내부로 흘러 들어가도록 할 필요가 있다.
공기배출부(710)는 제3덕트(711)와 제4덕트(712)가 서로 연결되는 부위에서 제4덕트(712)의 입구가 제3덕트(711)의 출구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단차부(713)가 형성될 수 있다.
제3덕트(711)와 제4덕트(712) 사이에 단차부(713)가 형성되어, 제4덕트(712)는 제3덕트(711)보다 더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터브(131)로부터 제3덕트(711)로 유입된 물은 단차부(713)를 넘지 못해서 제4덕트(712)로 유입될 수 없다. 따라서, 공기배출부(710)로 배출되는 물은 제4덕트(712)로 유입되지 못하게 되고, 제4덕트(712)를 통해 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제3덕트(711)는 내측 바닥면(711a)이 공기배출홀(1317)로부터 제4덕트(712)로 향할수록 상승하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3덕트(711)는 내측 바닥면(711a)이 터브(131)의 공기배출홀(1317)로 향할수록 하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공기배출홀(1317)을 통해 제3덕트(711)로 유입된 물은 단차부(713)에 막혀 외부로 유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3덕트(711)의 내측 바닥면(711a)이 터브(131)방향으로 하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덕트(711)에 유입된 물은 중력에 의해 다시 터브(131)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공기배출홀(1317)을 통해 공기부출부로 유입된 물은 컵세척기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효과적으로 억제되어, 공기배출홀(1317)을 통한 물의 배출로 인한 사용자의 불편을 줄일 수 있다.
한편, 건조모듈(132)의 공기유로부(730)로 온풍이 유동하면 건조모듈(132) 주위의 공기와 온도차로 인해, 건조모듈(132)의 표면에 수증기가 응결할 수 있다. 이렇게 응결된 물은 건조모듈(132) 하부로 흘러내리게 되고, 흘러내린 물은 컵세척기의 부품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건조모듈(132)의 하측에는 순환펌프(134)가 구비되고, 건조모듈(132)의 외부표면에서 응결되어 흘러내린 물은 순환펌프(134)로 유입될 수 있다. 응결된 물이 순환펌프(134)로 유입되면 순환펌프(134)에 구비되는 전기배선, 전기부품에 악영향을 미쳐서 순환펌프(134)의 오작동, 고장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건조모듈(132)에서 흘러내린 물이 순환펌프(134)로 유입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실시예에 따른 컵세척기는 건조모듈(132)과 순환펌프(134) 사이에 워터트레이(74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6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워터트레이(740)(water tray)를 나타낸 도면이다. 컵세척기는 섬프(133), 순환펌프(134), 워터트레이(740)를 포함할 수 있다. 섬프(133)는 터브(131)의 하측에 터브(131)와 연결되도록 배치되고, 터브(131)에서 분사되는 물을 저장할 수 있다.
순환펌프(134)는 터브(131)의 하측에 터브(131) 및 섬프(133)와 연결되도록 배치되고, 건조모듈(132)의 하측에 배치되고, 물을 터브(131)와 섬프(133) 사이에서 순환시킬 수 있다.
워터트레이(740)는 건조모듈(132)과 순환펌프(134) 사이에 배치되고, 순환펌프(134)를 상측에서 덮도록 구비되어, 공기유로부(730)의 외부 표면에 존재하는 물이 순환펌프(134)로 낙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워터트레이(740)의 상측에 건조모듈(132)이 배치되고, 하측에 순환펌프(134)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워터트레이(740)는 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컵세척기의 상하방향으로 보면, 워터트레이(740)는 순환펌프(134)를 상측에서 덮을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건조모듈(132)의 표면에서 응결된 물을 건조모듈(132)을 타고 흘러내려 워터트레이(740)의 상면에 낙하할 수 있다. 따라서 건조모듈(132)의 표면에서 흘러내려 낙하하는 물이 순환펌프(134)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이 순환펌프(134)로 낙하여여 순환펌프(134)에 구비되는 전기배선, 전기부품에 접촉하여 순환펌프(134)의 오작동, 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워터트레이(740)는, 바닥판(741), 제1리브(742), 함몰부(743), 제2리브(744)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판(741)의 상면에는 건조모듈(132)의 표면에 응결되어 흘러 내린 물이 낙하할 수 있다.
제1리브(742)는 바닥판(741)의 가장자리에 터브(131)의 상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리브(742)는 제2리브(744)가 형성되는 부위를 제외한 바닥판(741)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바닥판(741)에 낙하한 물이 다른 부위로 흘러내리지 않고 제2리브(744)를 향해 흐르도록 할 수 있다.
함몰부(743)는 바닥판(741)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되고, 바닥판(741)에 낙하한 물이 고일 수 있다. 함몰부(743)는 제2리브(744)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바닥판(741)에 낙하한 물은 제1리브(742)에 막히고 가이드되어 함몰부(743)를 향해 흐르고, 함몰부(743)에 고일 수 있다.
제2리브(744)는 함몰부(743)가 형성된 위치에 터브(131)의 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함몰부(743)에 고인 물이 배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함몰부(743)는 제2리브(744)와 바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함몰부(743)에 고인물은 제2리브(744)에 의해 가이드되어 워터트레이(740)의 하측에 배치되는 순환펌프(134)로부터 더욱 멀리 떨어진 위치로 워터트레이(740) 하측으로 낙하할 수 있다.
제2리브(744)는 터브(131)의 측방향으로 돌출되므로 제2리브(744)의 끝단에서 낙하하는 물은 순환펌프(134)로부터 멀리 떨어져 낙하하므로, 순환펌프(134)에 물이 낙하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제2리브(744)에서 물의 유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제2리브(744)는 끝단으로 갈수록 하향하도록 경사를 가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컵세척기는, 자신의 후방을 덮는 리어패널(180)을 포함할 수 있다. 건조모듈(132)로 유입되는 공기와 공기배출부(71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모두 리러패널을 통과하여 유동할 수 있다. 따라서, 원활한 공기유동을 위해 리어패널(180)은 제1통풍구(181)와 제2통풍구(18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통풍구(181)는 송풍팬(1321)의 공기입구(1321a)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컵세척기 내부와 외부가 통풍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제2통풍구(182)는 공기배출부(710)의 출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컵세척기 내부와 외부가 통풍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컵의 건조에 사용되는 공기는 리어패널(180)의 제1통풍구(181)와 건조모듈(132)의 공기입구(1321a)를 통해 건조모듈(132)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공기는 건조모듈(132)을 통과하면서 공기가열부(720)에 의해 가열되어 온풍이 되고, 공기유입홀(1316)을 통해 터브(131)로 유입되어 확산되면서 상승하고, 터브(131)에 수용된 컵을 건조시킬 수 있다.
공기는 공기배출홀(1317)을 통해 터브(131)로부터 배출되어 공기배출부(710)와 리어패널(180)의 제2통풍구(182)를 통해 컵세척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의 유동은 건조모듈(132)에 구비되는 송풍팬(1321)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5는 세척부(130)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6는 터브(131)와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어셈블리(330)가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컵세척기는 배수펌프(135)의 배출구와 연결되는 파이프어셈블리(330)를 포함할 수 있다.
파이프어셈블리(330)는 터브(131)의 측벽 외측면에 결합하고, 배수펌프(135)와 및 드레인배관과 연결되고, 배수펌프(135)로 유입된 물이 통과하는 유동경로가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파이프어셈블리(330)는 물의 유동경로로 보아 배수펌프(135)와 드레인배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파이프어셈블리(330)는 배수펌프(135)와 드레인배관에 각각 호스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호스(H1)는 배수펌프(135)와 파이프어셈블리(330)를 연결하고, 제2호스(H2)는 파이프어셈블리(330)와 드레인배관을 연결할 수 있다. 배수펌프(135)가 작동하면, 섬프(133)에 담긴 물은 배수펌프(135)를 거처 파이프어셈블리(330)를 유동하여 드레인배관으로 배출될 수 있다.
파이프어셈블리(330)는 배수펌프(135)의 상측에 배치되는 터브(131)의 측벽에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파이프어셈블리(330)는 배수펌프(135)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파이프어셈블리(330)는 컵세척기의 2층 즉, 상부에 배치되고, 드레인배관은 컵세척기의 1층 즉,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파이프어셈블리(330)는 드레인배관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드레인배관은 복수의 컵세척기에 공통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정수기 등 다른 물이 유동하는 가전기기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기기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드레인배관을 통해 본 컵세척기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의 컵세척기는 드레인배관으로부터 배수펌프(135)로 물이 역류하여 드레인배관에 있는 오염된 물이 배수펌프(135)와 섬프(133)에 유입될 수도 있다. 이러한 역류를 방지할 필요가 있다.
실시예에서는 드레인배관과 배수펌프(135) 사이에 파이프어셈블리(330)가 배치되고, 파이프어셈블리(330)는 배수펌프(135)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파이프어셈블리(330)는 드레인배관에서 배수펌프(135)로 역류하는 물이 배수펌프(135)에 도달하기 위해 올라가야 할 높이를 높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이프어셈블리(330)가 없다면 드레인배관과 배수펌프(135) 사이의 높이 차이는 다소 작다. 이러한 경우에 드레인배관의 압력이 약간 높으면 드레인배관의 물이 쉽게 배수펌프(135) 방향으로 역류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배수펌프(135)보다 상당히 높은 위치에 파이프어셈블리(330)가 배치되고, 파이프어셈블리(330)는 드레인배관과 배수펌프(135)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드레인배관과 파이프어셈브리 사이의 높이는 드레인배관과 배수펌프(135) 사이의 높이보다 상당히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드레인배관의 물이 역류하여 배수펌프(135)로 유입되려면 드레인배관의 물의 압력이 배수펌프(135)보다 상당히 높은 위치에 있는 파이프어셈블리(330)까지 올라갈 수 있도록 높아야 한다.
결국, 일반적으로 대기압과 동일하거나, 또는 대기압보다 약간 높은 정도의 압력을 가지는 드레인배관의 물은 파이프어셈블리(330)까지의 높이를 극복하기 어려우므로, 드레인배관의 물은 파이프어셈블리(330)를 넘지 못하여 배수펌프(135)로 들어갈 수 없어서, 드레인배관으로부터 배수펌프(135)로 물의 역류가 매우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파이프어셈블리(330)는 배수펌프(135)의 출구와 연결되는 물의 배출라인의 일부분의 위치를 높여 드레인배관으로부터 배수펌프(135)를 향하여 유동하는 물이 파이프어셈블리(330)의 높이를 극복하지 못하도록 하여, 드레인배관으로부터 배수펌프(135)로 오명된 물이 역류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67은 도 66에서 파이프어셈블리(330)를 분해한 상태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어셈블리커버(331)의 배면도이다. 도 6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어셈블리몸체(332)의 배면도이다.
드레인배관은 배수펌프(135)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배수펌프(135)의 출구와 드레인배관의 입구 사이의 물의 유로에 물이 차 있는 경우에, 사이폰(siphon) 현상에 의해 배수펌프(135) 내부에 있는 물은 모두 드레인배관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배수펌프(135)와 연결된 섬프(133)에 담긴 물도 드레인배관으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이폰 현상이 발생하면 순환펌프가 동작하는 경우에서 세척부(130)에 담긴 물은 모드 드레인배관으로 배출되어 컵의 세척이 불가능해질 수 있다. 따라서, 섬프(133)에 담긴 물의 배수가 필요한 경우, 즉 배수펌프(135)가 동작하는 경우에만 터브(131), 섬프(133) 및 배수펌프(135)의 물이 드레인배관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사이폰 현상을 방지하는 장치 즉 사이폰 브레이커가 필요하다.
실시예에서는 파이프어셈블리(330)를 사이폰 브레이커로 활용할 수 있다. 사이폰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파이프어셈블리(330)는 공기가 유입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홀을 통해 파이프어셈블리(330) 내부의 물의 유로에 공기가 유입되어 이러한 유로에 물이 가득차서 발생하는 사이폰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 파이프어셈블리(330)에 공기가 유입되는 홀의 구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터브(131)는 측벽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제1관통홀(1311)을 포함하고, 파이프어셈블리(330)는 제1관통홀(1311)과 연결되는 제2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관통홀(1311)과 제2관통홀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제1관통홀(1311)과 제2관통홀을 통해 터브(131) 내부의 공기가 파이프어셈블리(33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터브(131)의 수위가 제1관통홀(1311)보다 높은 경우 제1관통홀(1311)과 제2관통홀을 통해 터브(131)의 물이 파이프어셈블리(330)로 유입되므로, 파이프어셈블리(330) 내부에는 여전히 물이 가득차 있기 때문에 파이프어셈블리(330) 내부에는 사이폰 현상이 유지될 수 있다.
그러나, 터브(131)의 수위가 제1관통홀(1311)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낮은 경우 제1관통홀(1311)과 제2관통홀을 통해 공기가 파이프어셈블리(330)로 유입되므로, 파이프어셈블리(330)에 의해 유입된 공기에 의해 파이프어셈블리(330)로 유입되는 물과 파이프어셈블리(330)로부터 배출되는 물은 서로 분리되어, 사이폰 현상은 발생이 차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터브(131)의 수위가 제1관통홀(1311)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낮은 경우에 물은 배수펌프(135)로부터 드레인배관으로 배출되지 않고, 터브(131)의 수위가 유지되고, 터브(131) 하부의 섬프(133)와 배수펌프(135)에는 물이 배출되지 않고 담길 수 있다.
실시예에서, 터브(131)에는 제1관통홀(1311)이 형성되고 파이프어셈블리(330)에는 제2관통홀이 형성되고, 제1관통홀(1311)과 제2관통홀을 통해 파이프어셈블리(330) 내부에 공기가 유입됨으로써, 배수펌프(135)와 연결되는 배수라인의 사이폰 현상 발생을 방지하여, 배수펌프(135)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 터브(131) 내부에 설정된 수위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터브(131) 내부에 물이 담기도록하여 이를 순환펌프를 이용하여 컵을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다.
파이프어셈블리(330)는 어셈블리몸체(332), 어셈블리커버(331)를 포함할 수 있다. 어셈블리몸체(332)는 터브(131)에 결합되고, 물이 유동하는 유로가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어셈블리몸체(332)는 예를 들어, 나사못 등의 결합기구에 의해 터브(131)의 측벽 외부면에 결합할 수 있다.
어셈블리몸체(332)는 그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고 결합기구가 체결되는 홀이 구비되는 기구결합부(3325)가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기구결합부(3325)는 적절한 개수로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터브(131)는 기구결합부(3325)에 대응되는 위치에 터브(131)의 측벽으로부터 돌출되고, 결합기구가 체결되는 홀이 구비되는 기구결합돌기(1313)가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기구결합돌기(1313)는 기구결합부(3325)와 동일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어셈블리커버(331)는 어셈블리몸체(332)와 결합하여 어셈블리몸체(332)의 노출부위를 덮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이프어셈블리(330)는 사출성형이 용이한 플라스틱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다만, 어셈블리몸체(332) 내부는, 하기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비교적 복잡한 형상의 공간형성부(332a)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공간현성부를 만들기 위해, 어셈블리몸체(332)와 어셈블리커버(331)를 각각 사출성형으로 별도로 제작하고, 이들을 서로 결합시켜 최종적으로 파이프어셈블리(330)를 완성함으로써, 제작비용을 절감하고 제품불량 발생을 줄일 수 있다.
어셈블리커버(331)가 어셈블리몸체(332)와 결합하여, 최종적으로 일체로 구비되는 파이프어셈블리(330)가 완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어셈블리커버(331)는 열융착 방식으로 어셈블리몸체(332)에 고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도 6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셈블리커버(331)는 후면 즉, 어셈블리몸체(332)와 열융착되는 면에 열융착부(331a)가 형성될 수 있다. 열융착부(331a)는 어셈블리커버(331)로부터 돌출되고, 전체적으로 어셈블리커버(331)의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그 가장자리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어셈블리커버(331)을 어셈블리몸체(332)와 접촉시키고, 어셈블리커버(331) 및/또는 어셈블리몸체(332)에 열이 가해지면 열융착부(331a)는 녹아서 어셈블리몸체(332)에 융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어셈블리커버(331)와 어셈블리몸체(332)는 일체로 결합할 수 있다.
어셈블리몸체(332)의 공간형성부(332a)에는 배수펌프(135) 및 드레인배관과 연결을 위한 한 쌍의 개구(3301a)(도 72 참조)가 형성될 수 있다. 열융착 작업을 진행하는 경우, 개구(3301a) 주위가 가열되어 개구(3301a)가 변형될 수 있다.
개구(3301a)의 변형을 억제하기 위해, 어셈블리커버(331)와 접촉하여 융착되도록 가열되는 어셈블리몸체(332)의 융착면은 개구(3301a)와 가급적 먼 위치에 배치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터브(131)는 측벽에서 어셈블리몸체(332)가 결합하는 부위에 형성되고, 측벽의 적어도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되고, 제1관통홀(1311)이 형성되는 결합면(1312)을 포함할 수 있다.
터브(131)의 측벽과 어셈블리몸체(332)가 서로 접촉하는 면에서 틈새가 있다면, 이를 틈새 사이로 제1관통홀(1311)과 제2관통홀을 통과하는 물이 유출될 수 있다. 이러한 물의 유출을 차단하기 위해, 터브(131)에는 함몰되어 전체적으로 평형한 결합면(1312)이 형성되고, 결합면(1312)에 몸체의 후면이 접촉하여 전술한 틈새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한편, 터브(131)는 대체로 상하방향으로 경사진 구조를 가지므로, 파이프어셈블리(330)가 터브(131)의 상하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지 않고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터브(131)의 측벽의 적어도 일부가 함몰되도록 결합면(1312)을 형성할 수 있다.
도 7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어셈블리몸체(332)의 측면도이다. 도 7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어셈블리몸체(332)의 정면도이다. 도 72는 도 71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어셈블리몸체(332)는 공간형성부(332a), 제1유동배관(332b), 제2유동배관(332c)을 포함할 수 있다. 공간형성부(332a)는 한 쌍의 개구(3301a)에 의해 각각 제1유동배관(332b) 및 제2유동배관(332c)과 연결될 수 있다.
공간형성부(332a)는 내부에 공간으로 형성되고, 제2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공간형성부(332a)에서 물은 제1관통홀(1311)과 제2관통홀을 통해서 터브(131)로부터 파이프어셈블리(330)로 유입되는 공기와 접촉할 수 있다.
제1유동배관(332b)은 공간형성부(332a)의 외부로 돌출되고 물이 유동하고 배수펌프(135)와 연결될 수 있다. 제1유동배관(332b)과 배수펌프(135)는 예를 들어, 제1호스(H1)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2유동배관(332c)은 공간형성부(332a)의 외부로 돌출되고 물이 유동하고 제1유동배관(332b)과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드레인배관과 연결될 수 있다. 제2유동배관(332c)과 드레인배관은 예를 들어, 제2호스(H2)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공간형성부(332a)는 제1영역(3301), 제2영역(330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영역(3301)은 공간으로 구비되고, 제2관통홀과 연결될 수 있다. 제2관통홀은 어셈블리몸체(332)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제1영역(3301)과 연결될 수 있다.
제2영역(3302)은 공간으로 구비되고, 제1유동배관(332b) 및 제2유동배관(332c)과 연결될 수 있다. 제1영역(3301)과 제2영역(3302)은 서로 연결되어 터브(131)의 공기는 제1관통홀(1311), 제2관통홀, 제1영역(3301) 및 제2영역(3302)을 통과하여 제2영역(3302)을 유동하는 물과 접촉할 수 있다.
한편, 배수펌프(135)가 동작하면 공간형성부(332a)로 유입된 물은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을 가지므로 제1영역(3301)으로 유동하고 또한 제2관통과 제1관통홀(1311)을 순차적으로 유동하여 터브(13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배수펌프(135)에 의해 배수되는 물은 컵세척을 마친 후의 이물질이 함유된 오염된 물이므로 이 물이 다시 터브(131) 내부로 유입되면 터브(131) 내부와 터브(131)에 수용된 컵이 오염될 수 있다.
물론, 공간형성부(332a)에서 터브(131)로 물이 유입되는 것은 구조상 피할 수 없지만, 터브(131)로 오염된 물이 유입되는 양을 최소로 할 필요가 있다. 만약, 제1영역(3301)과 제2영역(3302)이 서로 분리되지 않고, 이들 사이에 장애물이 없다면, 파이프어셈블리(330)로부터 터브(131)로 유입되는 오염된 물이 많아질 수 있는데, 이를 줄이기 위해 본 실시예는 하기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공간형성부(332a)는 제3영역(3303), 제1격막(3321), 제2격막(33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3영역(3303)은 공간으로 구비되고, 제1영역(3301)과 제2영역(330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영역(3301)과 제2영역(3302) 사이에 제3영역(3303)을 두어 제2영역(3302)에 있는 물이 제1영역(3301)으로 원활하게 유동하는 것을 어느 정도 차단할 수 있다.
제1격막(3321)은 제1영역(3301)과 제2영역(3302) 사이에 배치되어, 제1영역(3301)과 제2영역(3302)을 분리할 수 있다. 후술하는 제1통공(3323)이 제1격막(3321)에 형성되어 제1영역(3301)과 제2영역(3302)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2격막(3322)은 제2영역(3302)과 제3영역(3303) 사이에 배치되어, 제1영역(3301)과 제2영역(3302)을 분리할 수 있다. 후술하는 제2통공(3324)이 제2격막(3322)에 형성되어 제2영역(3302)과 제3영역(3303)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영역(3301)과 제2영역(3302)은 제3영역(3303)과 제3영역(3303)의 양측에 배치되는 제1격막(3321) 및 제2격막(3322)에 의해 분리되고, 제1격막(3321)과 제2격막(3322)은 장애물로 작용하여 물의 유동을 효과적으로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영역(3302)에 있는 물이 제1영역(3301)으로 이동하는 양은 현저히 줄어들고, 결국 제1영역(3301)과 연결되는 제2관통홀로 배출되는 물의 양을 현저히 줄여 터브(131)로 오염된 물이 유입되는 것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공가 형성부는 제1통공(3323)과 제2통공(332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통공(3323)은 1격막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제1영역(3301)과 제3영역(3303)을 연결할 수 있다. 제2통공(3324)은 제2격막(3322)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제2영역(3302)과 제3영역(3303)을 연결할 수 있다.
터브(131)로부터 제1영역(3301)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제1통공(3323)과 제2통공(3324)을 통해 제2영역(3302)으로 유입되어 제2영역(3302)에 있는 물을 분리하여 사이폰 현상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파이프어셈블리(330)의 물이 터브(131) 내부로 유입되는 양을 최소화하기 위해 공간형성부(332a)는 전체적으로 미로(labyrinth) 형태로 배치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서 제2관통홀은 제1영역(3301)의 하부에 배치되고, 제1통공(3323)은 제1영역(3301) 및 제3영역(3303)의 상부에 배치되고, 제2통공(3324)은 제2영역(3302) 및 제3영역(3303)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공간형성부(332a)는 전체적으로 미로 형태의 구조를 가지게 되고, 이에 따라 제1영역(3301)의 물이 제2관통홀을 통해 터브(131)로 유입되는 유로에 복잡한 구조의 장애물을 배치함으로써, 파이프어셈블리(330)의 오염된 물이 터브(131) 내부로 유입되는 양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염된 물이 제1관통홀(1311)을 통해 터브(131) 내부로 유입되어 터브(131)에 수용되는 컵을 오염시키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7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관통홀과 제1통공(3323)의 형성방향은 서로 교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71에서 제2관통홀은 파이프어셈블리(330)의 전후방향으로 형성되고, 제1통공(3323)은 파이프어셈블리(330)의 측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제2관통홀과 제1통공(3323)의 형성방향이 서로 교차하도록 구비됨으로써 물이 제1통공(3323)과 제2관통홀을 순차적으로 유동하는데 있어서 유동방향이 변경되므로, 물의 유동을 억제하여 파이프어셈블리(330)의 오염된 물이 터브(131) 내부로 유입되는 양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제1관통홀(1311)을 통해 터브(131) 내부로 유입되는 물이 터브(131) 내부에 배치된 컵에 직접 부딪히는 것을 억제하여 컵이 오염되는 것을 억제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제1관통홀(1311)이 바라보는 위치에 컵이 직접 놓이지 않도록 컵과 제1관통홀(1311) 사이에 랙(400)의 일부 와이어를 배치하여 제1관통홀(1311)로부터 유입되는 오염된 물이 랙(400)에 부딪히게 하고 컵에 직접 부딪히는 것을 억제하여, 제1관통홀(1311)로부터 터브(131) 내부로 유입되는 오염된 물에 의해 컵이 오염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10: 베이스플레이트
120: 저수조
130: 세척부
140: 중간플레이트
150: 도어
160: 프레임
170: 프런트패널

Claims (30)

  1.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측에 배치되고, 컵 세척을 위한 물이 저장되는 저수조; 및
    상기 저수조의 상부에 배치되고, 수용된 컵을 세척하는 세척부
    를 포함하는 컵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컵세척기는,
    상하방향 길이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컵세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는 컵이 수용되는 터브를 포함하고,
    상기 터브는 상부에 개구가 형성되도록 상기 컵세척기의 상부에 배치되는,
    컵세척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터브의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는,
    컵세척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컵세척기의 상측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개구를 개방하도록 구비되는,
    컵세척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의 상부에 배치되는 탑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탑커버에 힌지회전하도록 결합하는,
    컵세척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는,
    상기 터브와 연결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터브에서 분사되는 물을 저장하는 섬프; 및
    상기 터브 및 상기 섬프와 연결되도록 배치되고, 물을 상기 터브와 상기 섬프 사이에서 순환시키는 순환펌프
    를 포함하는,
    컵세척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섬프 및 상기 순환펌프는 상기 터브와 상기 저수조 사이에 배치되는,
    컵세척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와 연결되도록 배치되고, 건조를 위한 가열된 공기를 상기 터브 내부로 분사하는 건조모듈; 및
    세제 또는 린스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터브에 투입하는 액체투입모듈
    을 포함하는,
    컵세척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모듈 및 상기 액체투입모듈은 상기 터브의 후방에 배치되는,
    컵세척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투입모듈은,
    세제를 저장하는 세제저장부;
    상기 세제저장부와 분리되어 배치되고 린스를 저장하는 린스저장부;
    상기 세제저장부 및 상기 터브와 연결되고, 세제를 상기 터브로 주입하는 세제주입부;
    상기 린스저장부 및 상기 터브와 연결되고, 린스를 상기 터브로 주입하는 린스주입부;
    상기 세제주입부와 연결되고 세제를 터브로 펌핑하는 세제펌프; 및
    상기 린스주입부와 연결되고 린스를 터브로 펌핑하는 린스펌프
    를 포함하는,
    컵세척기.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의 상측에 배치되는 중간플레이트;
    상기 저수조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컵세척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제1회로기판부; 및
    하부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결합하고, 상부가 상기 중간플레이트에 결합하고, 상기 제1회로기판부가 결합하는 기판부서포터
    를 포함하는,
    컵세척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에 세제 및 린스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배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회로기판 및 상기 공급배관은 상기 저수조의 후방에 상기 저수조 및 상기 세척부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컵세척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의해 지지되는 프레임;
    상기 저수조를 덮는 프런트패널; 및
    상기 프레임에 결합하여 상기 컵세척기의 후방을 덮는 리어패널
    을 포함하는,
    컵세척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컵세척기의 전방에 서로 이격되는 한 쌍으로 배치되고, 하부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결합하는 프런트서포터; 및
    상기 컵세척기의 후방에 배치되고, 하부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결합하는 리어서포터
    를 포함하는,
    컵세척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패널은,
    상기 컵세척기의 전방부를 형성하는 제1셀;
    상기 제1셀의 양단으로부터 절곡되는 한 쌍으로 구비되는 제2셀;
    상기 제2셀의 단부로부터 돌출되고, 리어서포터에 결합하는 제2결합돌기; 및
    상기 제1셀 및 상기 제2셀의 상단부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프런트패널의 탈거를 억제하는 제3결합돌기
    를 포함하는,
    컵세척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3결합돌기는,
    끼움부; 및
    상기 끼움부에 둘러싸이도록 형성되고, 단면이 V자로 형성되고,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후크
    를 포함하는,
    컵세척기.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런트서포터 및 상기 리어서포터 사이에 배치되고, 하부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결합하는 중간서포터
    를 포함하는,
    컵세척기.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는,
    컵이 수용되는 터브;
    상기 터브의 하측에 배치되는 배수펌프; 및
    상기 터브의 측벽 외측면에 결합하고, 상기 배수펌프와 및 드레인배관과 연결되고, 상기 배수펌프로 유입된 물이 통과하는 유동경로가 내부에 형성되는 파이프어셈블리
    를 포함하는,
    컵세척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는 상기 측벽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제1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어셈블리는 상기 제1관통홀과 연결되는 제2관통홀을 포함하는,
    컵세척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어셈블리는,
    상기 터브에 결합되고, 물이 유동하는 유로가 내부에 형성되는 어셈블리몸체; 및
    상기 어셈블리몸체와 결합하여 상기 어셈블리몸체의 노출부위를 덮는 어셈블리커버
    를 포함하는,
    컵세척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어셈블리커버는 열융착 방식으로 상기 어셈블리몸체에 고정적으로 결합하는,
    컵세척기.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는,
    상기 측벽에서 상기 어셈블리몸체가 결합하는 부위에 형성되고, 상기 측벽의 적어도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관통홀이 형성되는 결합면을 포함하는,
    컵세척기.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어셈블리몸체는,
    내부에 공간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관통홀이 형성되는 공간형성부;
    상기 공간형성부의 외부로 돌출되고 물이 유동하고 상기 배수펌프와 연결되는 제1유동배관; 및
    상기 공간형성부의 외부로 돌출되고 물이 유동하고 상기 제1유동배관과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드레인배관과 연결되는 제2유동배관
    을 포함하는,
    컵세척기.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형성부는,
    공간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관통홀과 연결되는 제1영역; 및
    공간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유동배관 및 상기 제2유동배관과 연결되는 제2영역
    을 포함하는,
    컵세척기.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형성부는,
    공간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제3영역;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을 분리하는 제1격막; 및
    상기 제2영역과 상기 제3영역을 분리하는 제2격막
    을 포함하는,
    컵세척기.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형성부는,
    상기 제1격막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3영역을 연결하는 제1통공; 및
    상기 제2격막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영역과 상기 제3영역을 연결하는 제2통공
    을 포함하는,
    컵세척기.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2관통홀은 상기 제1영역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통공은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3영역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통공은 상기 제2영역 및 상기 제3영역의 하부에 배치되는,
    컵세척기.
  28.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측에 배치되고, 컵 세척을 위한 물이 저장되는 저수조;
    상기 저수조의 상부에 배치되고, 컵이 수용되는 터브; 및
    상기 저수조와 상기 터브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저수조와 상기 터브를 구획하고, 상기 터브를 지지하는 중간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컵세척기.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중간플레이트가 결합하는 프레임;
    상기 저수조 및 상기 터브를 덮는 프런트패널;
    상기 프레임에 결합하여 상기 컵세척기의 후방을 덮는 리어패널; 및
    상기 리어패널에 결합하는 외장부
    를 포함하는,
    컵세척기.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컵세척기의 전방에 서로 이격되는 한 쌍으로 배치되고, 하부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결합하는 프런트서포터; 및
    상기 컵세척기의 후방에 배치되고, 하부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결합하는 리어서포터
    를 포함하는,
    컵세척기.
KR1020230103272A 2022-09-26 2023-08-08 컵세척기 KR2024004307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3198680.3A EP4344596A1 (en) 2022-09-26 2023-09-21 Cup washer
US18/372,354 US20240099544A1 (en) 2022-09-26 2023-09-25 Cup wash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1431 2022-09-26
KR20220121431 2022-09-26
KR1020230084952 2023-06-30
KR1020230084952A KR20240043067A (ko) 2022-09-26 2023-06-30 컵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3074A true KR20240043074A (ko) 2024-04-02

Family

ID=90714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3272A KR20240043074A (ko) 2022-09-26 2023-08-08 컵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307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17201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ensing fluid
BR102016022915A2 (pt) máquina de lavar
CA2541413A1 (en) Dishwasher assembly having an air conduit
KR20240043074A (ko) 컵세척기
KR20240043067A (ko) 컵세척기
JP3548849B2 (ja) 食器洗浄機付き流し台
US20240099544A1 (en) Cup washer
KR102379996B1 (ko) 식기세척기
US3439688A (en) Water inlet system for dishwasher
KR100387388B1 (ko) 식기 세척기
US11452431B2 (en) Dishwasher
KR100376783B1 (ko) 컵 세척장치
KR100433798B1 (ko) 식기세척기
JP3269013B2 (ja) 食器洗い機のための漏水受け材
KR101054113B1 (ko) 식기 세척기의 전도방지구조
KR20230020230A (ko) 식기세척기
GB2284540A (en) Dishwasher or laundry washing machine having rotation moulded plastic tub
JP2023069070A (ja) 洗浄機
JP2002291674A (ja) 食器洗い機
JP4653552B2 (ja) 食器洗浄機
KR20220108535A (ko) 식기세척기
KR20230103441A (ko) 식기세척기
KR20230111989A (ko)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30103443A (ko) 식기세척기
KR20230020232A (ko) 식기세척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