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9996B1 -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9996B1
KR102379996B1 KR1020170111476A KR20170111476A KR102379996B1 KR 102379996 B1 KR102379996 B1 KR 102379996B1 KR 1020170111476 A KR1020170111476 A KR 1020170111476A KR 20170111476 A KR20170111476 A KR 20170111476A KR 102379996 B1 KR102379996 B1 KR 1023799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frame
tub
frame
disposed
uppe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1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4466A (ko
Inventor
이창욱
김성진
유승완
채승민
김진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1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9996B1/ko
Priority to US16/643,763 priority patent/US11259682B2/en
Priority to CN201880056857.1A priority patent/CN111050624B/zh
Priority to PCT/KR2018/003899 priority patent/WO2019045211A1/ko
Priority to EP18850473.2A priority patent/EP3653101B1/en
Publication of KR20190024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44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9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9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86In-sink dishwash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1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 A47L15/16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with rigidly-mounted spra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19Water recirculation
    • A47L15/4221Arrangements for redirection of washing water, e.g. water diverters to selectively supply the spray ar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47L15/4261Connections of the door to the casing, e.g. door hin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47L15/4263Door seal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78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8Hydraulic connections for ra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22Loading doors, e.g. door latches, inflatable door se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사용 편의성이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식기세척기를 개시한다. 식기세척기는 전면 개구와 상부 개구를 가지는 터브와 상기 전면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전면 도어와 상기 상부 개구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는 개구를 가지는 커버 프레임과 상기 커버 프레임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상부 도어와 상기 커버 프레임의 일측에서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상기 커버 프레임에 배치되는 프레임 분사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DISH WASHER}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사용 편의성이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식기세척기는 세제와 세척수를 이용하여 식기에 묻은 음식물 찌꺼기 등을 자동으로 세척하는 기기이다.
일 예로서, 식기세척기는, 전면(前面) 개구를 가지고, 내부에 터브가 배치되는 본체와, 전면 개구를 개폐하도록 본체에 설치되는 도어와, 식기를 수납하도록 마련되는 바스켓과,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되는 분사노즐 등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프론트 로딩 타입(front loading type)의 식기세척기는, 식기를 바스켓에 로딩하는 과정에서 식기에 묻은 음식물 찌꺼기 등이 식기세척기의 설치 면에 떨어질 수 있다.
다른 일 예로서, 식기세척기는, 상면(上面) 개구를 가지고, 내부에 터브가 배치되는 본체와, 상면 개구를 개폐하도록 본체에 설치되는 도어와, 식기를 수납하도록 마련되는 바스켓과,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되는 분사노즐 등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탑 로딩 타입(top loading type)의 식기세척기는, 터브의 상부공간과 도어 사이의 간섭으로 인해 일정 크기 이상을 가지는 식기의 로딩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프론트 로딩 타입의 식기세척기와, 탑 로딩 타입의 식기세척기의 문제점을 개선한 새로운 타입의 식기세척기에 대한 기대가 크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6400호(2011.06.24.)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식기의 프론트 로딩 및 탑 로딩이 가능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상부 도어를 지지하는 프레임에 발생할 수 있는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전면 개구와 상부 개구를 가지는 터브와 1상기 전면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전면 도어와 상기 상부 개구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는 개구를 가지는 커버 프레임과 상기 커버 프레임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상부 도어와 상기 커버 프레임의 일측에서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상기 커버 프레임에 배치되는 프레임 분사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버 프레임은 상기 상부 도어가 폐쇄될 때 상기 상부 도어의 하면과 마주하는 안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분사 장치는 상기 안착부 상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상기 안착부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상부 도어가 상기 커버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안착부에 배치되는 도어 힌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분사 장치는 상기 안착부 상에서 상기 터브의 중심에 대해 상기 힌지부재보다 외측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 분사장치는 상기 도어 힌지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상부 도어는 상기 상부 도어가 폐쇄될 때 상기 안착부와 접하도록 상기 상부 도어 하면에 마련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분사 장치는 상기 터브의 중심에 대해 상기 실링부재보다 외측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상부 도어는 상기 상부 도어가 폐쇄될 때 상기 안착부와 접하도록 상기 상부 도어 하면에 마련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분사 장치는 상기 터브의 중심에 대해 상기 실링부재보다 내측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커버 프레임의 내벽에 배치되는 간이 트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분사 장치는 상기 간이 트레이를 향해 분사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커버 프레임의 내벽에 배치되는 간이 트레이와 상기 커버 프레임에 배치되고, 상기 간이 트레이를 향해 분사되도록 마련되는 보조 프레임 분사장치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안착부는 상기 프레임 분사장치에서 분사된 세척수가 상기 안착부의 어느 일측에서 집수되도록 상하 방향에 대해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로 마련되는 집수 영역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버 프레임은 상기 커버 프레임 상에 집수되는 세척수를 배수하는 배수홀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버 프레임은 상기 상부 도어가 폐쇄될 때 상기 상부 도어의 하면과 마주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내측단에서 상기 터브 측으로 연장되는 하부 내벽과, 상기 배수홀에서 배수되는 세척수가 상기 터브 내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하부 내벽에 배치되는 유입홀과, 상기 배수홀과 상기 유입홀을 연결하는 연결 호스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터브의 상단과 상기 커버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 호스는 상기 연결부재는 관통하여 상기 배수홀과 상기 유입홀을 연결한다.
또한 상기 연결 호스는 상하 방향으로 상기 유입홀보다 낮게 형성되는 'U' 형상의 U형 영역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배수홀은 상기 안착부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안착부는 상기 프레임 분사장치에서 분사된 세척수가 상기 배수홀 측으로 집수되도록 상하 방향에 대해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로 마련되는 집수 영역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전면 개구와 상부 개구를 가지는 터브와 상기 전면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전면 도어와 상기 상부 개구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는 개구를 가지는 커버 프레임과 상기 커버 프레임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상부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프레임은, 상기 상부 도어가 폐쇄될 때 상기 상부 도어의 하면과 마주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에 집수되는 세척수를 상기 커버 프레임 외측으로 배수하는 배수홀과,상기 안착부의 내측단에서 상기 터브 측으로 연장되는 하부 내벽과, 상기 배수홀에서 배수되는 세척수가 상기 터브 내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하부 내벽에 배치되는 유입홀과, 상기 배수홀과 상기 유입홀을 연결하는 연결 호스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버 프레임은 상기 안착부 상에 배치되고 세척수가 분사되는 프레임 분사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부 도어는 상기 상부 도어가 폐쇄될 시 상기 안착부와 접하도록 상기 상부 도어 하면에 마련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분사 장치는 상기 터브의 중심에 대해 상기 실링부재보다 외측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커버 프레임은 상기 안착부의 외측단에서 상기 상부 도어 측으로 연장되는 상부 내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수홀은 상기 실링부재와 상기 상부 내벽 사이에 집수되는 세척수를 배수하도록 상기 터브의 중심에 대해 상기 실링부재보다 외측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수납공간을 가지는 캐비닛과, 개구를 가지도록 상기 캐비닛 상에 배치되는 카운터를 포함하는 시스템 키친에 빌트 인(built-in) 방식으로 설치되는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전면 개구를 가지는 터브와 상기 터브의 전면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전면 도어와 상기 터브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개구에 장착되는 커버 프레임과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상부 도어와 상기 터브 내부에 형성되는 제1세척공간과 상기 제 1세척공간의 상부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커버 프레임에 의해 정의되는 제 2세척공간과 상기 제 2세척공간 또는 상기 커버 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상기 커버 프레임에 배치되는 프레임 분사 장치를 포함한다.
프론트 도어 및 상부 도어를 가지는 식기세척기를 구현함에 따라 식기의 프론트 로딩 및 탑 로딩이 모두 가능하다. 또한 탑 로딩을 위해 마련되는 상부 도어와 상부 도어가 안착되는 커버 프레임을 포함하고 프레임 상의 이물질을 터브 측으로 흘려보내도록 마련되는 프레임 분사장치를 포함하여 커버 프레임의 오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가 빌트 인(built-in) 방식으로 설치된 시스템 키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시스템 키친에 있어서, 식기세척기의 프론트 도어 및 상부 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시스템 키친을 C-C'으로 절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커버 프레임과 프레임 분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커버 프레임과 상부 도어 힌지와 프레임 분사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커버 프레임과 상부 도어 힌지와 프레임 분사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일부를 확대한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일부를 확대한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커버 프레임과 프레임 분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커버 프레임과 간이 트레이와 프레임 분사장치와 보조 프레임 분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커버 프레임과 간이 트레이와 프레임 분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식기세척기를 I-I'로 절개한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분해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커버 프레임과 프레임 분사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커버 프레임과 프레임 분사장치와 간이 트레이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상단" 및 "하단"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가 빌트 인(built-in) 방식으로 설치된 시스템 키친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시스템 키친에 있어서, 식기세척기의 전면 도어 및 상부 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X"는 시스템 키친(1)의 전후방향을 나타내고, "Y"는 시스템 키친(1)의 좌우방향을 나타내며, "Z"는 시스템 키친(1)의 상하방향을 나타낸다. 시스템 키친(1)의 좌우방향은 시스템 키친(1)의 너비방향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시스템 키친(1)의 상하방향은 시스템 키친(1)의 높이방향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또한, 시스템 키친(1)의 전후방향,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은, 각각 식기세척기(100)의 전후방향,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 키친(system kitchen)(1)은 수납공간(22)을 가지는 캐비닛(20)과, 캐비닛(20) 상에 배치되는 카운터(10)를 포함할 수 있다. 카운터(10)는 평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카운터(10)는 "조리대"로 명명될 수 있다. 카운터(10)에는 개구(11)가 형성될 수 있다.
캐비닛(20)에는 각종 주방용품이 수납될 수 있는 수납공간(22)이 형성될 수 있다. 수납공간(22)은 캐비닛 도어(21)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캐비닛 도어(21)는 회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캐비닛(20)은 수납공간(22)을 구획하도록 캐비닛(20)의 내부에 배치되는 격벽(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격벽은 수납공간(22)을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도록 시스템 키친(1)의 높이방향(Z)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시스템 키친(1)은 식기를 세척하거나 식재료 등을 손질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싱크(sink)(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싱크(30)는 카운터(10)의 일 측에 마련될 수 있다. 싱크(30)는 식기나 식재료 등을 세척할 수 있도록 카운터(10)에 설치되는 싱크볼(sink bowl)(31)을 포함할 수 있다. 싱크볼(31)에는 싱크볼(31)에 공급된 물이 배수될 수 있도록 배수구(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싱크(30)는 싱크볼(31)에 물을 공급하도록 싱크볼(31)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수도관(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도관(33)의 일 단부에는 수도꼭지(34)가 결합될 수 있다. 수도꼭지(34)로부터 싱크볼(31)에 공급된 물은, 배수구와, 배수구에 연결되는 배수관(미도시)을 통해 배수될 수 있다.
시스템 키친(1)은 시스템 키친(1)에 빌트 인(built-in) 방식으로 설치되는 식기세척기(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복수의 도어(120,1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식기세척기(100)는 식기의 탑 로딩(top loading)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상부 도어(120)와, 식기의 프론트 로딩(front loading)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전면 도어(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도어(120) 및 전면 도어(130)는 각각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상부 도어(120) 및 전면 도어(130)의 설치 형태는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일 예로서, 상부 도어(120) 및 전면 도어(130)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열리거나 닫히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다른 일 예로서, 상부 도어(120) 및 전면 도어(130) 중 어느 하나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열리거나 닫히도록 설치되고, 상부 도어(120) 및 전면 도어(130) 중 다른 하나는 회동 방식으로 열리거나 닫히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부 도어(120) 및 전면 도어(130)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부 도어(120)는 커버 프레임(15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전면 도어(130)는 터브(1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전면 도어(130)에는, 터브(110)의 내측으로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함(141) 및 터브(110)의 내측으로 린스를 공급하는 린스함(14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세제 공급장치(140)가 마련될 수 있다.
전면 도어(130)에는, 식기세척기(100)의 작동상태 등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31)가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31)는 전면 도어(130)의 전면(前面) 상측에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1)는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전면 도어(130)에는 조작부(132)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조작부(132)는 식기세척기(100)의 전원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132)는 디스플레이부(131)의 일 측에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면 도어(130)에는 디스플레이부(131) 및 조작부(132) 중 적어도 하나가 마련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는 터브(tub)(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브(110)는 전면 도어(130)에 의해 개폐 가능한 전면 개구(111)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면 개구(111)는 카운터(10)에 형성되는 개구(11)보다 더 클 수 있다. 터브(110)는 카운터(10)에 형성되는 개구(11)에 대응하도록 마련되는 상부 개구(112)(도4참고)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 개구(112)의 상측에는 후술할 커버 프레임(cover frame)(150)이 배치되고, 최종적으로 상부 도어(120)에 의해 상부 개구(112)가 개폐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는 커버 프레임(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 프레임(150)은 개구(11)에 장착될 수 있다. 상부 도어(120)는 커버 프레임(150)에 설치될 수 있다. 커버 프레임(150)은, 커버 프레임(150)의 일부가 개구(11) 주변의 카운터(10)에 걸쳐진 상태로 개구(11)에 장착될 수 있다. 즉, 커버 프레임(150)은 카운터(10) 상에 얹혀지도록 일 단부에 형성되는 절곡부(156)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프레임(150)의 절곡부(156)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외부로 노출된 커버 프레임(150)의 너비(w1)는 카운터(10)에 형성된 개구(11)의 너비(w2)보다 클 수 있다. (도3참고) 이 때, 커버 프레임(150)의 너비(w1) 및 개구(11)의 너비(w2)는 시스템 키친(1)의 너비방향(Y)을 기준으로 측정된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커버 프레임(150)은, 커버 프레임(150)의 절곡부(156)가 카운터(10)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개구(11)에 장착될 수 있다.
커버 프레임(150)은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는 프레임 개구(159)를 포함할 수 있다.(도4참고) 사용자는 카운터(10)의 개구(11)와 프레임 개구(159) 및 터브(110)의 상부 개구(112)를 통해 터브(110) 상측으로 식기를 인출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는 터브(110)와 커버 프레임(150) 내측 공간으로 정의되는 세척공간(320)을 포함할 수 있다. 세척공간(320)은 터브(110) 내부에 형성되는 제 1세척공간(330)과 제 1세척공간(330)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 2세척공간(3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세척공간(340)은 상부 도어(120) 및 터브(11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세척공간(340)은 커버 프레임(150)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세척공간(340)은 커버 프레임(150)의 제 2벽(153)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2세척공간(340)은, 상부 도어(120), 커버 프레임(150)의 제 2벽(153), 연결부재(170) 및 터브(110)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는 전면 개구(111)를 통해 인출 가능하도록 터브(1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바스켓(161,16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바스켓(161,162)은 "프론트 로딩 바스켓"으로 명명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식기세척기(100)는 식기세척기의 상하방향(Z)으로 터브(110)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바스켓(161)과, 식기세척기의 상하방향(Z)으로 상부 바스켓(161)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바스켓(162)을 포함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의 전면 도어(130)는 시스템 키친(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식기세척기(100)의 전면 도어(130)는 캐비닛 도어(21)와 함께 시스템 키친(1)의 전면(前面)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전면 도어(130)의 상단부 및 캐비닛 도어(21)의 상단부는 시스템 키친(1)의 너비방향(Y)으로 연장되는 기준선(R) 상에 위치할 수 있다. 기준선(R)은 카운터(10)와 평행하도록 시스템 키친(1)의 너비방향(Y)으로 연장되는 가상선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면 도어(130)의 상단부 및 캐비닛 도어(21)의 상단부가 일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설계함으로써 전체적으로 통일감을 가지는 깔끔한 이미지의 시스템 키친(1)의 구현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전면 도어(130)의 하단부 및 캐비닛 도어(21)의 하단부 역시 시스템 키친(1)의 너비방향(Y)으로 연장되는 기준선(R') 상에 위치할 수 있다. 기준선(R')은 카운터(10)와 평행하도록 시스템 키친(1)의 너비방향(Y)으로 연장되는 가상선일 수 있다. 즉, 기준선(R')은 기준선(R)과 평행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의 상부 도어(120)는 시스템 키친(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식기세척기(100)의 상부 도어(120)는 카운터(10)와 함께 시스템 키친(1)의 상면(上面)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부 도어(120)는, 시스템 키친(1)의 높이방향(Z)으로 카운터(10)와의 단차가 크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부 도어(120)가 시스템 키친(1)의 높이방향(Z)으로 카운터(10)와의 단차가 크도록 마련될 경우, 즉, 상부 도어(120)가 시스템 키친(1)의 상방을 향하여 지나치게 돌출되도록 마련될 경우, 사용편의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사용자가 시스템 키친(1)의 상방을 향하여 지나치게 돌출된 상부 도어(120)에 부딪힐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시스템 키친을 C-C'으로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커버 프레임과 프레임 분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참고로, 도 4에서 전면 도어(130)는 생략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기세척기(100)는, 내부에 세척공간(330)이 형성되는 터브(110)와, 터브(110)의 하부에 마련되어 세척수가 저장되는 섬프(180)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바스켓(161,162)은 시스템 키친(1)의 전후방향(X)으로 진퇴이동 가능하도록 터브(1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바스켓(161,162)은 적어도 하나의 바스켓(161,162)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랙(190)에 의해 터브(110)의 전면 개구(111)를 통해 인출 및 수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바스켓(161,162)은 내부에 식기를 수납할 수 있도록 상측이 개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바스켓(161,162)은, 내부에 수납된 식기가 세척수에 의해 용이하게 세척될 수 있도록 격자 형상으로 배열되는 와이어(163)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적어도 하나의 바스켓(161,162)은, 내부에 식기를 수용하도록 서로 교차하는 복수의 와이어(163)로 형성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는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분사장치(210,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분사장치(210,220)는, 상부 바스켓(161) 및 하부 바스켓(162) 사이에 위치하는 제 1분사장치(210)와, 하부 바스켓(162)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 2분사장치(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분사장치(210) 및 제 2분사장치(220)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하며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터브(110)에는 세척수를 가열하는 히터(미도시)와, 히터 설치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터브(110)의 바닥에 히터 설치홈이 마련되고, 히터 설치홈에 히터가 설치될 수 있다.
섬프(180)는 터브(110)의 바닥 중앙에 마련되어 세척수를 모아서 펌핑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섬프(180)는, 세척수를 고압으로 펌핑하는 세척펌프(181)와, 세척펌프(181)를 구동하는 펌프모터(182)를 포함할 수 있다.
세척펌프(181)는 제 1공급관(260)을 통해 제 1분사장치(210)로 세척수를 펌핑한다. 또한, 세척펌프(181)는 제 2공급관(270)을 통해 하부에 위치하는 제 2분사장치(220)로 세척수를 펌핑한다.
섬프(180)는 세척수의 오염도를 검출하는 탁도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의 제어부(미도시)는 탁도센서(미도시)를 이용하여 세척수의 오염도를 검출하고, 세척 단계 또는 헹굼 단계의 진행 횟수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오염도가 높은 경우 세척 또는 헹굼 단계를 증가시키고, 오염도가 낮은 경우 세척 또는 헹굼 단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는 카운터(10)의 개구(11)에 장착되는 커버 프레임(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 프레임(150)은 시스템 키친(1)의 높이방향(Z)으로 터브(110)와 이격되도록 개구(11)에 장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커버 프레임(150)은 시스템 키친(1)의 높이방향(Z)으로 터브(110)와 오버랩 되지 않도록 개구(11)에 장착될 수 있다.
커버 프레임(150)은, 프레임 바디(158)와, 카운터(10) 상에 지지되도록 프레임 바디(158)로부터 절곡되는 절곡부(156)를 포함할 수 있다. 절곡부(156)는, 식기세척기(100)의 외측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프레임 바디(158)의 상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 바디(158)는 상부 도어(120)가 안착되도록 마련되는 안착부(151)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레임 바디(158)의 안착부(151)에는, 힌지축(291)과 힌지 장착부(292)를 포함하는 상부 도어 힌지(290)가 장착될 수 있다. 도어 힌지(290)는 상부 도어(120)의 일측에 결합되어 있으며, 힌지 장착부(292)가 안착부(151)에 장착됨에 따라 상부 도어(120)는 안착부(151)에 장착될 수 있다. 상부 도어(120)는 힌지축(29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부 도어 힌지(290)에 결합될 수 있다. 상부 도어 힌지(290)의 힌지축(291)은 시스템 키친(1)의 너비방향(Y)으로 연장될 수 있다.
프레임 바디(158)는 안착부(151)로부터 시스템 키친(1)의 높이방향(Z)으로 연장되는 제 1벽(15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벽(152)은, 안착부(151)의 외측 단부로부터 시스템 키친(1)의 상방을 향하도록 시스템 키친(1)의 높이방향(Z)으로 연장될 수 있다. 안착부(151)는 상부 도어(120)의 바닥면과 마주할 수 있고, 제 1벽(152)은 상부 도어(120)의 측면과 마주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안착부(151) 및 제 1벽(152)은 상부 도어(120)가 수용되는 상부 도어 수용공간을 정의할 수 있다.
프레임 바디(158)는 안착부(151)로부터 시스템 키친(1)의 높이방향(Z)으로 연장되는 제 2벽(15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벽(153)은, 안착부(151)의 내측 단부로부터 시스템 키친(1)의 하방을 향하도록 시스템 키친(1)의 높이방향(Z)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 2벽(153)은, 제 1벽(152)보다 시스템 키친(1)의 높이방향(Z)으로 더 연장될 수 있다. 즉, 제 2벽(153)은, 제 1벽(152)보다 시스템 키친(1)의 높이방향(Z)으로 더 높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제 1벽(152)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은, 제 2벽(153)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보다 시스템 키친(1)의 너비방향(Y)으로 더 넓은 너비를 가질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는 프레임 실링부재(15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실링부재(157)는 커버 프레임(150) 및 카운터(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프레임 실링부재(157)는 커버 프레임(150) 및 카운터(10)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 실링부재(157)는, 외부의 유체가 커버 프레임(150) 및 카운터(10) 사이의 틈을 통해 식기세척기(100)의 내부로 유입되거나, 터브(110) 내부의 세척수가 커버 프레임(150) 및 카운터(10) 사이의 틈을 통해 식기세척기(100)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커버 프레임(150) 및 카운터(10) 사이의 밀폐성을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프레임 실링부재(157)는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프레임 실링부재(157)는 고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는 상부 도어 실링부재(1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도어 실링부재(121)는 상부 도어(120)의 하면(122)에 결합될 수 있다. 상부 도어 실링부재(121)는, 터브(110) 내부의 세척수가 상부 도어(120)의 외측으로 새는 것을 방지하도록 커버 프레임(150) 및 상부 도어(120) 사이의 밀폐성을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상부 도어 실링부재(121)는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부 도어 실링부재(121)는 고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도어(120)가 폐쇄 상태일 시, 상부 도어(120)의 하면(122)과 안착부(151)가 마주하도록 배치되는데 상부 도어(120)의 하면(122)에 배치되는 상부 도어 실링부재(121)가 안착부(151)와 밀착되게 접하도록 마련되어 터브(110)에서 상측으로 유동되는 세척수가 안착부(151)의 외측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는 하우징 패널(11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패널(119)은 터브(11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 패널(119)은 터브(110)의 양 측벽, 즉, 좌측벽 및 우측벽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는 터브 바디(113)와, 터브 바디(113)에 장착되는 터브 탑(tub top)(1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터브 탑(114)은 터브 바디(113)의 상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터브 탑(114)에는 카운터(10)의 개구(11)에 대응하는 상면 개구(112)가 형성될 수 있다.
터브 탑(114)은 터브 바디(113)와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브 탑(114)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으로 형성될 수 있고, 터브 바디(113)는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STS)로 형성될 수 있다.
터브 탑(114)에는 집수부(115)가 마련될 수 있다. 집수부(115)는 소정 깊이를 가지도록 터브 탑(114)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집수부(115)는 후술할 연결부재(170)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터브 탑(114)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170)의 불완전한 결합, 마모 등을 이유로 세척수가 터브(110)의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고 터브(110)의 외측벽을 따라 흐를 경우, 비위생적일 뿐만 아니라 화재 등과 위험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집수부(115)는 터브 바디(113)의 최상단, 즉, 터브 탑(114)에 형성되어 터브(110)의 내부로 유입되지 못한 세척수를 모아 터브(110)의 내부로 안내한다.
터브 탑(114)에는 패널 고정부(116)가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 패널(119)은 터브(110)의 양 측벽과 마주하도록 터브(110)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 패널(119)은 터브 바디(113)의 양 측벽과 마주하도록 터브 탑(114)의 패널 고정부(116)에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 패널(119)은 스크루(screw)와 같은 결합부재에 의해 패널 고정부(116)에 고정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는 연결부재(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170)는 커버 프레임(150)과 터브(110)를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부재(170)는 시스템 키친(1)의 높이방향(Z)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커버 프레임(150) 및 터브(110)를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재(170)는 탄성재질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서, 연결부재(170)는 고무 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170)의 상단부는 커버 프레임(150)에 결합되고, 연결부재(170)의 하단부는 터브(110)에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연결부재(170)의 상단부는 커버 프레임(150)에 결합되고, 연결부재(170)의 하단부는 터브 탑(114)에 결합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는 전면 도어 실링부재(1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면 도어 실링부재(135)는 전면 도어(130)에 결합될 수 있다. 전면 도어 실링부재(135)는, 터브(110) 내부의 세척수가 전면 도어(130)의 외측으로 새는 것을 방지하도록 터브(110) 및 전면 도어(130) 사이의 밀폐성을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전면 도어 실링부재(135)는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전면 도어 실링부재(135)는 고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도어(120)는, 상부 도어(120)의 개폐여부에 따라 식기세척기(100)의 작동여부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통신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식기세척기(100)의 제어부(미도시)는, 상부 도어(120)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도록 상부 도어(120)에 마련되는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는 하부 모듈에 배치되는 각종 전장품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의 구성 중 커버 프레임(150) 및 상부 도어(120)를 "상부 모듈"이라 명명하고, 식기세척기(100)의 구성 중 커버 프레임(150), 상부 도어(120) 및 연결부재(17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을 "하부 모듈"이라 명명할 때, 식기 세척기(100)를 빌트 인 방식으로 시스템 키친(1)에 설치하기 위해 먼저 하부 모듈을 시스템 키친(1)의 전후방향(X)으로 캐비닛(20)에 장착한다. 구체적으로, 하부 모듈은 전면이 개방된 캐비닛(20)에 시스템 키친(1)의 전후방향(X)으로 수납되어 캐비닛(20)에 고정된다. 그 후, 상부 모듈이 카운터(10)에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카운터(10)의 개구(11)에 커버 프레임(150)이 장착되고, 커버 프레임(150)에 상부 도어(120)가 설치된다. 상부 모듈 및 하부 모듈은 연결부재(17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 모듈의 커버 프레임(150) 및 하부 모듈의 터브(110)는 연결부재(17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커버 프레임(150)에 배치되는 프레임 분사 장치(400)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커버 프레임과 프레임 분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커버 프레임과 상부 도어 힌지와 프레임 분사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커버 프레임과 상부 도어 힌지와 프레임 분사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00)는 커버 프레임(150)에 배치되는 프레임 분사장치(400)을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 키친(1)에 빌트 인 방식으로 설치되는 식기세척기(100)의 경우, 싱크(30) 또는 카운터(10)에서 발생한 물이 식기세척기(100) 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싱크(30) 또는 카운터(10)에서 유입되는 물은 카운터(10)와 상하 방향으로 동일 높이 상에 배치되는 커버 프레임(150) 측으로 유입되고 제 1벽(152)을 따라 안착부(151) 상에 집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 도어(120)가 폐쇄된 상태에서 안착부(151)는 상부 도어 실링부재(121)와 밀착되어 접하게 마련된다. 이에 따라 안착부(151)에 있어서 터브(110)의 중심에 대해 상부 도어 실링부재(121) 외측에 위치하는 안착부(151) 상의 실링부재 외측 영역(A)에 외부에서 유입되는 물이 집수될 수 있다.
다르게 설명하자면, 안착부(151)에 있어서 상부 도어 실링부재(121)와 제 1벽(152) 및 상부 도어의 4개의 측면(124)(도 2참고)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인 안착부(151) 상의 실링부재 외측 영역(A)에 외부에서 발생하는 물이 유입되어 집수될 수 있다.
이 때 실링부재 외측 영역(A)에 집수되는 물은 싱크(30)나 카운터(10)에서부터 유입되는 물로 이물질 등을 포함하는 오염된 물일 수 있다. 오염된 물이 커버 프레임(150)에 집수될 시 커버 프레임(150) 상에 이물질이 같이 유입되어 커버 프레임(150)이 오염될 우려가 있다.
반대로, 상부 도어 실링부재(121)가 안착부(151)와 밀착되지 않아 상부 도어 실링부재(121)와 안착부(151) 사이가 밀폐되지 않는 경우 터브(110) 측에서 발생하는 세척수가 상부 도어 실링부재(121)를 관통하여 실링부재 외측 영역(A)에 유입될 수 있다.
터브(110)에서부터 유입된 세척수의 경우, 식기를 세척한 후 이물질 등을 포함한 세척수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터브(110)에서부터 유입되는 세척수가 실링부재 외측 영역(A)에 집수될 경우 커버 프레임(150) 상에 이물질이 같이 유입되어 커버 프레임(150)이 오염될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00)는 안착부(151) 상에 유입되는 이물질 등을 제거하기 위해 커버 프레임(150)에 배치되는 프레임 분사 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분사 장치(400)는 상술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다른 다양한 문제를 추가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프레임 분사 장치(400)는 안착부(151)에 배치되어 안착부(151)에 유입된 이물질을 세척수의 분사를 통해 제거할 수 있다. 즉, 안착부(151) 상에 세척수를 분사시켜 안착부(151) 상에 존재하는 이물질 등을 세척수와 함께 유동시킬 수 있다.
프레임 분사 장치(4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부(151)에 한 쌍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분사 장치(400)는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안착부(151)의 전체적인 공간에 세척수를 분사시킬 수 있어 안착부(151) 상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한 쌍의 프레임 분사 장치(400)는 각각 동일하게 구동되는 바 이하에서는 하나의 프레임 분사 장치(400)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프레임 분사장치(400)는 추가 공급관(미도시)를 통해 세척펌프(181)에서부터 펌핑된 세척수를 커버 프레임(150)에 분사시킬 수 있다. 또한 추가 공급관(미도시) 제 1공급관(260) 또는 제 2공급관(270)에서부터 분지되어 프레임 분사장치(400)로 연장될 수 있다.
프레임 분사 장치(400)는 안착부(151) 상에서 실링부재 외측 영역(A)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프레임 분사 장치(400)는 터브(110)의 중심에 대해 상부 도어 실링부재(121)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분사 장치(400)는 힌지 장착부(292)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힌지 장착부(292)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힌지 장착부(292)는 실링부재 외측 영역(A)에 커버 프레임(150)과 결합되도록 장착되는데, 안착부(151)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마련되어 이물질 등이 힌지 장착부(292)측에 집중적으로 포집될 수 있다. 따라서, 힌지 장착부(292)측에 포집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하도록 프레임 분사 장치(400)는 힌지 장착부(292)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프레임 분사 장치(400)가 배치되는 기술적 특징에 대한 다른 일 실시예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분사 장치(400')는 터브(110)의 중심에 대해 상부 도어 실링부재(121')보다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프레임 분사장치(400')는 안착부(151)에 있어서 터브(110)의 중심에 대해 상부 도어 실링부재(121') 내측에 위치하는 안착부(151) 상의 실링부재 내측 영역(B)에 배치될 수 있다.
실링부재 내측 영역(B)은 안착부(151)의 내측단에서부터 상부 도어 실링부재(121')와 접하는 지점 사이의 영역으로 상부 도어 실링부재(121')에 의해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되지 않지만, 터브(110)에서부터 세척수가 유입되어 세척수가 집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터브(110)에서부터 유입되는 세척수의 경우 식기를 세척한 후 이물질 등을 포함한 세척수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터브(110)에서부터 유입되는 세척수가 실링부재 내측 영역(B)에 집수될 경우 커버 프레임(150) 상에 이물질이 같이 유입되어 커버 프레임(150)이 오염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이 실링부재 내측 영역(B) 상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실링부재 내측 영역(B)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프레임 분사장치(400')가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 분사장치(400')에서 분사되는 세척수는 실링부재 내측 영역(B)을 따라 유동되고 실링부재 내측 영역(B) 상에 존재하는 이물질과 함께 유동되어 이물질을 커버 프레임(150)에서 제거시킬 수 있다. 실링부재 내측 영역(B)에 분사된 세척수는 이물질과 함께 제 2벽(153)을 따라 터브(110)로 유입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링부재 외측 영역(A)에 집수된 물을 배수되는 기술적 특징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일부를 확대한 측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일부를 확대한 측단면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커버 프레임(150)은 카운터(10) 또는 싱크(30)에서 발생한 물이 식기세척기(100)로 유입되어 실링부재 외측 영역(A)에 집수되거나, 프레임 분사장치(400)에 의해 실링부재 외측 영역(A)에 세척수가 분사되는 경우, 집수된 물을 배수하기 위해 마련되는 배수홀(41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부재 외측 영역(A)에 집수된 물은 배수홀(410)을 통해 커버 프레임(150)에서 외측으로 배수될 수 있다. 배수홀(410)은 연결호스(430)를 통해 터브(110) 내측으로 집수된 물을 유입시키는 유입홀(420)과 연결될 수 있다.
배수홀(410)은 안착부(151)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배수홀(410)은 안착부(151) 상의 실링부재 외측 영역(A)에 배치되어 실링부재 외측 영역(A)에 집수된 물을 커버 프레임(150) 외측으로 배수시킬 수 있다.
배수홀(410)은 프레임 분사장치(400)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배수홀(410)은 실링부재 외측 영역(A) 상의 어느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유입홀(420)은 배수홀(410)에서 배수된 물이 터브(110) 내부로 유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유입홀(420)은 제 2벽(153)의 하측에 배치되는 연결부재(170)에 배치되어 제 2벽(153) 하측에 배치되는 터브(110)로 배수홀(410)을 통해 배수된 물을 터브(110)로 유입시킬 수 있다. 다만,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유입홀(420)은 제 2벽(153)에 배치될 수도 있다.
배수홀(410)와 유입홀(420) 사이에는 연결호스(430)가 마련되어 배수홀(410)에서 배수된 물을 유입홀(420)까지 이송시킬 수 있다. 유입홀(420)은 연결호스(430)의 일단에 마련되고 터브(110) 내측을 향해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유입홀(420)이 제 2벽(153)에 배치되는 경우 연결호스(430)는 연결부재(170)를 관통하여 배수홀(410)과 유입홀(420)을 연결할 수 있다.
유입홀(4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술한 커버 프레임(150) 또는 다른 구성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호스(430)에 대한 다른 일 실시예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호스(430')는 유입홀(420)보다 하측에 배치되고 'U' 형상으로 마련되는 U형 영역(431')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할 시, 터브(110) 상에 존재하는 세척수 중 일부는 유입홀(420)로 유입되어 연결호스(430)와 배수홀(410)을 통해 역으로 실링부재 외측 영역(A)으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터브(110)에서 세척 행정을 통해 발생하는 습증기가 유입홀(420)로 유입되어 연결호스(430)와 배수홀(410)을 통해 실링부재 외측 영역(A)으로 유입되어 커버 프레임(150)이 오염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연결호스(430')는 U형 영역(431')을 포함하여 터브(110)에서부터 물 또는 습증기가 실링부재 외측 영역(A)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U형 영역(431')은 터브(110)에서부터 유입되는 물 또는 습증기가 배수홀(410)까지 도달되지 못하도록 물 또는 습증기를 포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입홀(420)을 통해 터브(110)에서부터 유입되는 세척수가 실링부재 외측 영역(A)까지 도달되지 않아 추가적인 커버 프레임(150)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00)의 커버 프레임(150')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커버 프레임(150') 외 다른 구성은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프레임(150)의 구성과 유사한 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커버 프레임과 프레임 분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프레임(150')은 상하 방향으로 안착부(151')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는 집수 영역(154')을 포함할 수 있다.
집수 영역(154')은 안착부(151') 상에 배치되고, 자세하게는 실링부재 외측 영역(A) 상에 배치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안착부(151')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는 구배를 가지게 되어 실링부재 외측 영역(A) 상에 집수되는 물을 집수 영역(154')에 집중적으로 집수할 수 있다.
집수 영역(154')은 안착부(151')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경사면(154a')을 포함할 수 있다. 안착부(151') 상에 집수된 물은 경사면(154a')을 따라 집수 영역(154') 상에 집중 집수될 수 있다.
집수 영역(154')에서 가장 높이가 낮게 형성되는 지점에는 배수홀(410)이 배치될 수 있다. 집중 집수되는 영역에 배수홀(410)을 배치하여 커버 프레임(150')에 집수된 물을 용이하게 배수할 수 있다.
도 10에 의할 시 프레임 분사장치(400)는 경사면(154a') 상에 배치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프레임 분사장치(400)는 집수 영역(154')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힌지 장착부(292)는 경사면(154a') 상에 배치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힌지 장착부(292)는 집수 영역(154')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의할 시 집수 영역(154')은 힌지 장착부(292)가 결합되는 안착부(151')의 후측에 배치되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집수 영역(154')은 안착부(151') 상의 어느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 때 배수홀(410)은 집수 영역(154')이 배치되는 어느 일측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집수 영역(154')는 경사면(154a')을 포함하지 않고 단차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00)의 간이 트레이(450)와 보조 프레임 분사장치(440)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간이 트레이(450)와 보조 프레임 분사장치(440) 외 다른 구성은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과 유사한 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커버 프레임과 간이 트레이와 프레임 분사장치와 보조 프레임 분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00)는 커버 프레임(150)의 내측 영역에 의해 정의되는 제 2세척공간(340)에 배치되는 간이 트레이(450)를 포함할 수 있다.
간이 트레이(450)는 상부 도어(120)를 개방하여 식기를 적재할 수 있도록, 상부 도어(120)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커버 프레임(150)의 제 2벽(153)의 일측에 지지될 수 있다.
간이 트레이(450)에는 부피가 작은 식기가 적재될 수 있다. 사용자는 컵 또는 수저와 같은 부피가 작은 식기를 간이 트레이(450)에 적재하여 세척할 수 있다.
부피가 작은 식기의 경우 상부 바스켓(161) 또는 하부 바스켓(162)에 적재할 시 바스켓(161,162)의 와이어(163) 사이로 이탈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나 간이 트레이(450)에 부피가 작은 식기를 적재할 시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부피가 작은 식기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간이 트레이(4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벽(153)에 지지될 수 있는데 제 1분사장치(210) 또는 제 2분사장치(220)와 상대적으로 멀리 배치되어 있어 많은 양의 세척수가 간이 트레이(450)까지 도달되지 못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간이 트레이(450)에 적재되는 식기가 완벽하게 세척되지 않을 수 있는데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보조 프레임 분사장치(440)를 포함하여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보조 프레임 분사장치(440)는 제 2벽(153)에 배치되고 간이 트레이(450)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조 프레임 분사장치(440)가 추가적으로 간이 트레이(450)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간이 트레이(450)에 적재되는 식기의 세척을 도울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프레임 분사장치(440)는 간이 트레이(450)가 지지되는 제 2벽(153)의 일측 외 타측에 배치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보조 프레임 분사장치(440)는 간이 트레이(450)가 지지되는 제 2벽(153)의 일측에 간이 트레이(450)와 같이 배치될 수 있다.
보조 프레임 분사장치(440)는 프레임 분사장치(400)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추가 공급관(미도시)에서 분지되는 공급관에 의해 세척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또는 세척펌프(181)에 직접 연결되는 다른 추가 공급관(미도시)을 통해 세척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보조 프레임 분사장치(440)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터브(110)측으로 유입되어 섬프(180)에 집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00)의 간이 트레이(450)와 프레임 분사장치(4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간이 트레이(450)와 프레임 분사장치(400") 외 다른 구성은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과 유사한 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커버 프레임과 간이 트레이와 프레임 분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00)는 커버 프레임(150)의 내측 영역에 의해 정의되는 제 2세척공간(340)에 배치되는 간이 트레이(450)를 포함할 수 있다. 간이 트레이(450)는 커버 프레임(150)의 제 2벽(153)의 일측에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식기세척기(100)는 커버 프레임(150)에 배치되고 간이 트레이(450)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되는 프레임 분사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분사장치(400")는 제 2벽(153)에 배치되고 간이 트레이(450)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프레임 분사장치(400")가 추가적으로 간이 트레이(450)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간이 트레이(450)에 적재되는 식기의 세척을 도울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00a)에 대하여 설명한다. 식기세척기는 시스템 키친에 빌트 인(built-in) 방식으로 설치되지 않고 그 자체로서 주방에 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타입의 식기세척기를 프리 스탠딩 타입(free standing type)의 식기세척기라고 정의한다. 이하에서는, 프리 스탠딩 타입의 식기세척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14는 도 13의 식기세척기를 I-I'으로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커버 프레임과 프레임 분사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빌트 인 타입(built-in type)의 식기세척기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기세척기(100a)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housing)(500)을 포함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a)는 내부에 세척공간(330)이 형성되는 터브(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브(110)는 하우징(5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터브(110)는 프론트 도어(130)에 의해 개폐 가능한 전면 개구(111)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면 개구(111)는 커버 프레임(510)에 형성되는 개구(515)보다 더 클 수 있다. 터브(110)는 커버 프레임(510)에 형성되는 개구(515)에 대응하도록 마련되는 상면 개구(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a)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복수의 도어(120,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식기세척기(100a)는 식기의 탑 로딩(top loading)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상부 도어(120)와, 식기의 프론트 로딩(front loading)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프론트 도어(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도어(120) 및 프론트 도어(130)는 각각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상부 도어(120) 및 프론트 도어(130)의 설치 형태는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상부 도어(120) 및 프론트 도어(130)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부 도어(120)는 커버 프레임(5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프론트 도어(130)는 터브(1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프론트 도어(130)에는, 터브(110)의 내측으로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함(141) 및 터브(110)의 내측으로 린스를 공급하는 린스함(14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세제 공급장치(140)가 마련될 수 있다.
상부 도어(120)에는 상부 도어(120)의 개폐가 용이하도록 핸들(700)이 설치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a)는 커버 프레임(cover frame)(5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 프레임(510)은 터브(1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 도어(120)는 커버 프레임(510)에 설치될 수 있다.
커버 프레임(510)은, 상부 도어(120)가 안착되도록 마련되는 안착부(511)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 프레임(400)의 안착부(511)에는, 힌지축(291)을 포함하는 상부 도어 힌지(290)가 장착될 수 있다. 상부 도어(120)는 힌지축(29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부 도어 힌지(290)에 결합될 수 있다. 상부 도어 힌지(290)의 힌지축(291)은 식기세척기(100a)의 좌우방향(Y)으로 연장될 수 있다.
커버 프레임(510)은, 안착부(511)로부터 식기세척기(100a)의 상하방향(Z)으로 연장되는 제 1벽(5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벽(512)은, 안착부(511)의 외측 단부로부터 식기세척기(100a)의 상방을 향하도록 식기세척기(100a)의 상하방향(Z)으로 연장될 수 있다. 안착부(511)는 상부 도어(120)의 바닥면과 마주할 수 있고, 제 1벽(512)은 상부 도어(120)의 측면과 마주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안착부(511) 및 제 1벽(512)은 상부 도어(120)가 수용되는 상부 도어 수용공간을 정의할 수 있다.
커버 프레임(510)은, 안착부(151)로부터 식기세척기(100a)의 상하방향(Z)으로 연장되는 제 2벽(5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벽(513)은, 안착부(511)의 내측 단부로부터 식기세척기(100a)의 하방을 향하도록 식기세척기(100a)의 높이방향(Z)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 1벽(512)은, 제 2벽(513)보다 식기세척기(100a)의 상하방향(Z)으로 더 연장될 수 있다. 즉, 제 1벽(512)은, 제 2벽(513)보다 식기세척기(100a)의 상하방향(Z)으로 더 높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제 1벽(512)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은, 제 2벽(513)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보다 식기세척기(100a)의 좌우방향(Y)으로 더 넓은 너비를 가질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a)는 상부 도어 실링부재(1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도어 실링부재(121)는 상부 도어(1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부 도어 실링부재(121)는, 터브(110) 내부의 세척수가 상부 도어(120)의 외측으로 새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부 도어(120) 및 커버 프레임(510) 사이의 밀폐성을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상부 도어 실링부재(121)는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부 도어 실링부재(121)는 고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a)는 터브(110)와 커버 프레임(510)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 프레임(5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 프레임(520)은 식기세척기(100a)의 상하방향(Z)으로 커버 프레임(510) 및 터브(110) 사이에 배치되어 커버 프레임(510)과 터브(110)를 연결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a)는 전면 개구(111)를 통해 인출 가능하도록 터브(1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바스켓(161,16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바스켓(161,162)은 "프론트 로딩 바스켓"으로 명명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식기세척기(100a)는 식기세척기(100a)의 상하방향(Z)으로 터브(110)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바스켓(161)과, 식기세척기(100a)의 상하방향(Z)으로 상부 바스켓(161)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바스켓(162)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바스켓(161)은 후술할 추가 바스켓(170)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바스켓(161,162)에 대한 설명은 도 3 및 도 4에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바 생략한다.
식기세척기(100a)는 프론트 도어 실링부재(1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도어 실링부재(135)는 프론트 도어(130)에 결합될 수 있다. 프론트 도어 실링부재(135)는, 터브(110) 내부의 세척수가 프론트 도어(130)의 외측으로 새는 것을 방지하도록 터브(110) 및 프론트 도어(130) 사이의 밀폐성을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프론트 도어 실링부재(135)는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프론트 도어 실링부재(135)는 고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a)의 프론트 도어(130)는 식기세척기(100a)의 전면(前面)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a)의 상부 도어(120)는 식기세척기(100a)의 상면(上面)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식기세척기(100a)의 상부 도어(120)는 커버 프레임(510)과 함께 식기세척기(100a)의 상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00a)는 커버 프레임(510)에 배치되는 프레임 분사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분사 장치(400')는 터브(110)의 중심에 대해 상부 도어 실링부재(121)보다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프레임 분사장치(400')는 안착부(511)에 있어서 터브(110)의 중심에 대해 상부 도어 실링부재(121) 내측에 위치하는 안착부(511) 상의 실링부재 내측 영역(B)에 배치될 수 있다.
실링부재 내측 영역(B)은 안착부(511)의 내측단에서부터 상부 도어 실링부재(121)와 접하는 지점 사이의 영역으로 상부 도어 실링부재(121)에 의해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되지 않지만, 터브(110)에서부터 세척수가 유입되어 세척수가 집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터브(110)에서부터 유입되는 세척수의 경우 식기를 세척한 후 이물질 등을 포함한 세척수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터브(110)에서부터 유입되는 세척수가 실링부재 내측 영역(B)에 집수될 경우 커버 프레임(510) 상에 이물질이 같이 유입되어 커버 프레임(510)이 오염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이 실링부재 내측 영역(B) 상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실링부재 내측 영역(B)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프레임 분사장치(400')가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 분사장치(400')에서 분사되는 세척수는 실링부재 내측 영역(B)을 따라 유동되고 실링부재 내측 영역(B) 상에 존재하는 이물질과 함께 유동되어 이물질을 커버 프레임(510)에서 제거시킬 수 있다. 실링부재 내측 영역(B)에 분사된 세척수는 이물질과 함께 제 2벽(513)을 따라 터브(110)로 유입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00a)의 간이 트레이(450)와 프레임 분사장치(4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간이 트레이(450)와 프레임 분사장치(400") 외 다른 구성은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과 유사한 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7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커버 프레임과 간이 트레이와 프레임 분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00a)는 커버 프레임(510)의 내측 영역에 배치되는 간이 트레이(450)를 포함할 수 있다. 간이 트레이(450)는 커버 프레임(510)의 제 2벽(513)의 일측에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식기세척기(100a)는 커버 프레임(510)에 배치되고 간이 트레이(450)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되는 프레임 분사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분사장치(400")는 제 2벽(513)에 배치되고 간이 트레이(450)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프레임 분사장치(400")가 추가적으로 간이 트레이(450)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간이 트레이(450)에 적재되는 식기의 세척을 도울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시스템 키친10: 카운터
11: 개구20: 캐비닛
21: 캐비닛 도어22: 수납공간
30: 싱크31: 싱크볼
33: 수도관34: 수도꼭지
100: 식기세척기110: 터브
111: 전면 개구112: 상면 개구
113: 터브 바디114: 터브 탑
115: 집수부116: 패널 고정부
120: 상부 도어130: 프론트 도어
140: 제 2세제 공급장치150: 커버 프레임
151: 안착부152: 제 1벽
153: 제 2벽156: 절곡부
161: 상부 바스켓162: 하부 바스켓
163: 와이어180: 섬프
181: 세척펌프182: 펌프모터
190: 랙210: 제 1분사장치
220: 제 2분사장치260: 제 1공급관
270: 제 2공급관290: 상부 도어 힌지
291: 힌지축400: 프레임 분사장치
410: 배수홀420: 유입홀
430: 연결호스431: U형 영역
440: 보조 프레임 분사장치450: 간이 트레이
500: 하우징 510: 커버 프레임
520: 연결프레임

Claims (20)

  1. 전면 개구와 상부 개구를 가지는 터브;
    상기 전면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전면 도어;
    상기 상부 개구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는 개구를 가지는 커버 프레임;
    상기 커버 프레임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상부 도어;
    상기 커버 프레임의 일측에서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상기 커버 프레임에 배치되는 프레임 분사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 프레임은 상기 상부 도어가 폐쇄될 때 상기 상부 도어의 하면과 마주하는 안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분사 장치는 상기 안착부 상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상기 안착부에 배치되는 식기 세척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도어가 상기 커버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안착부에 배치되는 도어 힌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분사 장치는 상기 안착부 상에서 상기 터브의 중심에 대해 상기 도어 힌지보다 외측에 배치되는 식기 세척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분사장치는 상기 도어 힌지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되는 식기 세척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도어는 상기 상부 도어가 폐쇄될 때 상기 안착부와 접하도록 상기 상부 도어 하면에 마련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분사 장치는 상기 터브의 중심에 대해 상기 실링부재보다 외측에 배치되는 식기 세척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도어는 상기 상부 도어가 폐쇄될 때 상기 안착부와 접하도록 상기 상부 도어 하면에 마련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분사 장치는 상기 터브의 중심에 대해 상기 실링부재보다 내측에 배치되는 식기 세척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프레임의 내벽에 배치되는 간이 트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분사 장치는 상기 간이 트레이를 향해 분사되도록 마련되는 식기 세척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프레임의 내벽에 배치되는 간이 트레이와 상기 커버 프레임에 배치되고, 상기 간이 트레이를 향해 분사되도록 마련되는 보조 프레임 분사장치를 더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프레임 분사장치에서 분사된 세척수가 상기 안착부의 어느 일측에서 집수되도록 상하 방향에 대해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로 마련되는 집수 영역을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프레임은 상기 커버 프레임 상에 집수되는 세척수를 배수하는 배수홀을 더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프레임은,
    상기 안착부의 내측단에서 상기 터브 측으로 연장되는 하부 내벽과, 상기 배수홀에서 배수되는 세척수가 상기 터브 내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하부 내벽에 배치되는 유입홀과, 상기 배수홀과 상기 유입홀을 연결하는 연결 호스를 더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의 상단과 상기 커버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 호스는 상기 연결부재는 관통하여 상기 배수홀과 상기 유입홀을 연결하는 식기 세척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호스는 상하 방향으로 상기 유입홀보다 낮게 형성되는 'U' 형상의 U형 영역을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홀은 상기 안착부에 배치되는 식기 세척기.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프레임 분사장치에서 분사된 세척수가 상기 배수홀 측으로 집수되도록 상하 방향에 대해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로 마련되는 집수 영역을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16. 전면 개구와 상부 개구를 가지는 터브;
    상기 전면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전면 도어;
    상기 상부 개구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는 개구를 가지는 커버 프레임;
    상기 커버 프레임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상부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프레임은,
    상기 상부 도어가 폐쇄될 때 상기 상부 도어의 하면과 마주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에 집수되는 세척수를 상기 커버 프레임 외측으로 배수하는 배수홀과,
    상기 안착부의 내측단에서 상기 터브 측으로 연장되는 하부 내벽과,
    상기 배수홀에서 배수되는 세척수가 상기 터브 내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하부 내벽에 배치되는 유입홀과,
    상기 배수홀과 상기 유입홀을 연결하는 연결 호스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프레임은 상기 안착부 상에 배치되고 세척수가 분사되는 프레임 분사 장치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도어는 상기 상부 도어가 폐쇄될 시 상기 안착부와 접하도록 상기 상부 도어 하면에 마련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분사 장치는 상기 터브의 중심에 대해 상기 실링부재보다 외측에 배치되는 식기 세척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프레임은 상기 안착부의 외측단에서 상기 상부 도어 측으로 연장되는 상부 내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수홀은 상기 실링부재와 상기 상부 내벽 사이에 집수되는 세척수를 배수하도록 상기 터브의 중심에 대해 상기 실링부재보다 외측에 배치되는 식기 세척기.
  20. 수납공간을 가지는 캐비닛과, 개구를 가지도록 상기 캐비닛 상에 배치되는 카운터를 포함하는 시스템 키친에 빌트 인(built-in) 방식으로 설치되는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식기세척기는,
    전면 개구를 가지는 터브;
    상기 터브의 전면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전면 도어;
    상기 터브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개구에 장착되는 커버 프레임;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상부 도어;
    상기 터브 내부에 형성되는 제 1세척공간;
    상기 제 1세척공간의 상부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커버 프레임에 의해 정의되는 제 2세척공간;
    상기 제 2세척공간 또는 상기 커버 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상기 커버 프레임에 배치되는 프레임 분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프레임은 상기 상부 도어가 폐쇄될 때 상기 상부 도어의 하면과 마주하는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분사 장치는 상기 안착부 상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상기 안착부에 배치되는 식기 세척기.
KR1020170111476A 2017-08-31 2017-08-31 식기세척기 KR102379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476A KR102379996B1 (ko) 2017-08-31 2017-08-31 식기세척기
US16/643,763 US11259682B2 (en) 2017-08-31 2018-04-03 Dishwasher
CN201880056857.1A CN111050624B (zh) 2017-08-31 2018-04-03 洗碗机
PCT/KR2018/003899 WO2019045211A1 (ko) 2017-08-31 2018-04-03 식기세척기
EP18850473.2A EP3653101B1 (en) 2017-08-31 2018-04-03 Dishwash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476A KR102379996B1 (ko) 2017-08-31 2017-08-31 식기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4466A KR20190024466A (ko) 2019-03-08
KR102379996B1 true KR102379996B1 (ko) 2022-03-29

Family

ID=65527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1476A KR102379996B1 (ko) 2017-08-31 2017-08-31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259682B2 (ko)
EP (1) EP3653101B1 (ko)
KR (1) KR102379996B1 (ko)
CN (1) CN111050624B (ko)
WO (1) WO20190452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45231A1 (ko) * 2017-08-31 2019-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US10863881B2 (en) * 2019-01-08 2020-12-15 John Young Stand-alone dishwasher
KR102686022B1 (ko) * 2021-12-03 2024-07-16 김병수 승하강 구조를 구비한 식기세척기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29348A (en) * 1960-10-05 1963-06-19 Rubery Owen & Co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domestic sinks
DE6910220U (de) * 1968-03-16 1969-08-21 Giovanni Borghi Geschirrspuelmaschine
JPH11178661A (ja) * 1997-12-18 1999-07-06 Mitsubishi Electric Corp 食器洗浄乾燥機付き流し台
JP3472967B2 (ja) * 1998-03-27 2003-12-02 株式会社東芝 洗浄機
EP1281346B1 (en) * 2001-08-01 2009-12-02 CANDY S.p.A. Domestic dishwasher with a front door and a detergent measurer which can be refilled on the top of the door
US7040329B2 (en) * 2002-05-03 2006-05-09 Whirlpool Corporation Low-noise in-sink dishwasher
JP2004329249A (ja) 2003-04-30 2004-11-25 Yamaha Livingtec Corp 食器洗浄等機器およびシステムキッチン
JP2005192965A (ja) * 2004-01-05 2005-07-21 Shinyo Sangyo Kk 流し台シンクで使用の食器等洗浄機。
KR100772224B1 (ko) * 2004-12-07 2007-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의 섬프 구조
DE102006052449A1 (de) * 2006-11-07 2008-05-08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Gehäuse für ein Haushaltsgerät
US8668781B2 (en) * 2007-06-08 2014-03-11 Fisher & Paykel Appliances Limited Dishwasher lid sealing assembly
JP4980192B2 (ja) * 2007-10-04 2012-07-18 三菱電機株式会社 食器洗浄機
CN201481363U (zh) * 2009-06-29 2010-05-26 吴以锋 家用三合一清洗盆
KR20110006400U (ko) * 2009-12-18 2011-06-24 김선화 빌트인용 식기세척기
CN104224073B (zh) * 2013-06-05 2016-09-21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用于清洗装置的旋转喷臂及其应用
US10362924B2 (en) * 2013-11-12 2019-07-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Jet unit, jet nozz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h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CN203693521U (zh) * 2013-12-31 2014-07-09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便于观察的水槽式清洗机
KR102151662B1 (ko) * 2014-01-28 2020-09-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KR101643740B1 (ko) 2015-02-24 2016-07-28 이병희 씽크대용 살균건조기
CN105496334B (zh) * 2016-01-14 2018-09-04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水槽式清洗机的面板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259682B2 (en) 2022-03-01
EP3653101A4 (en) 2020-05-20
CN111050624A (zh) 2020-04-21
CN111050624B (zh) 2023-11-17
US20200221919A1 (en) 2020-07-16
EP3653101B1 (en) 2021-06-30
EP3653101A1 (en) 2020-05-20
WO2019045211A1 (ko) 2019-03-07
KR20190024466A (ko) 2019-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76856B2 (en) Door assembly for a washing machine appliance
US8834646B2 (en) Turbidity sensor and related consumer appliance
KR20180088205A (ko) 싱크대
US8221554B2 (en) Filtering method and related dishwasher
KR102379996B1 (ko) 식기세척기
US20180132694A1 (en) Pump inlet assemblies for dishwasher appliances
KR20190096167A (ko) 식기세척기와 그의 제어방법
US10130238B2 (en) Turbidity sensor assembly including an integral water level indicator
US10034597B1 (en) Rack mounting features for a dishwasher appliance
KR102486273B1 (ko) 식기세척기
US11197601B2 (en) Dishwasher appliance equipped with leak detection features
US10456006B2 (en) Rack mounting features for a dishwasher appliance
US9752583B2 (en) Pump assembly for appliance
KR100640796B1 (ko) 식기 세척기의 구동부
US10123678B1 (en) Rack assembly for a dishwasher appliance
KR102058074B1 (ko) 식기세척기
KR102486274B1 (ko) 식기세척기
US20130174877A1 (en) Low speed drain delay
US20130000673A1 (en) Method of operating a dishwasher
US11484177B2 (en) Dishwasher appliance water valve mounting bracket
US10722098B2 (en) Dual check valve fluid circulation system for dishwasher appliances
US20160302642A1 (en) Dishwasher appliances and methods for operating same
KR20240097289A (ko) 세제박스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US20160113477A1 (en) Dishwasher appliance having dispenser mounting assembly for receiving cleaning agent dispen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