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6274B1 -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6274B1
KR102486274B1 KR1020197030193A KR20197030193A KR102486274B1 KR 102486274 B1 KR102486274 B1 KR 102486274B1 KR 1020197030193 A KR1020197030193 A KR 1020197030193A KR 20197030193 A KR20197030193 A KR 20197030193A KR 102486274 B1 KR102486274 B1 KR 1024862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hwasher
tub
cover frame
opening
cou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0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7740A (ko
Inventor
홍승기
김성진
김진두
이슬기
이인주
전규동
채승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037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77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6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6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86In-sink dishwash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08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for incorporating apparatus operated by power, including water power; for incorporating apparatus for cooking, cooling, or laundry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22Loading doors, e.g. door latches, inflatable door sea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사용 편의성이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식기세척기를 개시한다. 식기세척기는, 수납공간을 가지는 캐비닛과, 개구를 가지도록 상기 캐비닛 상에 배치되는 카운터를 포함하는 시스템 키친에, 빌트 인(built-in)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식기세척기는, 전면 개구를 가지는 터브, 상기 전면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프론트 도어, 상기 식기세척기의 상하방향으로 상기 터브와 이격되도록 상기 카운터의 개구에 장착되는 커버 프레임, 상기 카운터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커버 프레임에 설치되는 상부 도어 및 상기 식기세척기의 상하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상기 커버 프레임 및 상기 터브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사용 편의성이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식기세척기는 세제와 세척수를 이용하여 식기에 묻은 음식물 찌꺼기 등을 자동으로 세척하고 건조하는 기기이다.
일 예로서, 식기세척기는, 전면(前面) 개구를 가지고, 내부에 터브가 배치되는 본체와, 전면 개구를 개폐하도록 본체에 설치되는 도어와, 식기를 수납하도록 마련되는 바스켓과,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되는 분사노즐 등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프론트 로딩 타입(front loading type)의 식기세척기는, 식기를 바스켓에 로딩하는 과정에서 식기에 묻은 음식물 찌꺼기 등이 식기세척기의 주변에 떨어질 수 있다.
다른 일 예로서, 식기세척기는, 상면(上面) 개구를 가지고, 내부에 터브가 배치되는 본체와, 상면 개구를 개폐하도록 본체에 설치되는 도어와, 식기를 수납하도록 마련되는 바스켓과,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되는 분사노즐 등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탑 로딩 타입(top loading type)의 식기세척기는, 상면 개구로부터 상하방향으로의 깊이가 깊어 바스켓에 식기의 로딩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프론트 로딩 타입의 식기세척기와, 탑 로딩 타입의 식기세척기의 문제점을 개선한 새로운 타입의 식기세척기에 대한 기대가 크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식기의 프론트 로딩 및 탑 로딩이 가능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다양한 높이를 가지는 시스템 키친에 빌트인 설치가 가능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상부 도어의 개폐동작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수납공간을 가지는 캐비닛과, 개구를 가지도록 상기 캐비닛 상에 배치되는 카운터를 포함하는 시스템 키친에, 빌트 인(built-in)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식기세척기는, 전면 개구를 가지는 터브, 상기 전면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프론트 도어, 상기 식기세척기의 상하방향으로 상기 터브와 이격되도록 상기 카운터의 개구에 장착되는 커버 프레임, 상기 카운터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커버 프레임에 설치되는 상부 도어 및 상기 식기세척기의 상하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상기 커버 프레임 및 상기 터브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폐루프(closed loop)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탄성재질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벤딩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커버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 1단부 및 상기 터브에 결합되고, 상기 제 1단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 2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의 제 1단부는 상기 커버 프레임의 외면을 덮도록 상기 커버 프레임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상기 연결부재의 제 1단부를 상기 커버 프레임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연결부재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와이어(wir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브는, 상기 카운터의 개구에 대응하는 상면 개구를 가지고, 상기 연결부재의 제 2단부는 상기 터브의 상면 개구를 통과하여 상기 터브의 내면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상기 터브의 내부로부터 상기 식기세척기의 상방으로 상기 연결부재의 제 2단부를 상기 터브의 내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상기 식기세척기의 좌우방향 또는 전후방향으로 상기 연결부재의 제 2단부를 상기 터브의 내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프레임의 외면에는 복수의 돌기가 상기 식기세척기의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제 1단부에는 상기 복수의 돌기 사이에 결합되는 걸림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터브를 향하는 상기 커버 프레임의 일 단부에는 상기 커버 프레임의 둘레를 따라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제 1단부에는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는 결합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터브는, 터브 바디 및 상기 터브 바디의 상부에 결합되고, 집수(集水)부가 마련되는 터브 탑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커버 프레임 및 상기 터브 탑을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수납공간을 가지는 캐비닛과, 개구를 가지도록 상기 캐비닛 상에 배치되는 카운터를 포함하는 시스템 키친에, 빌트 인(built-in)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식기세척기는, 전면 개구를 가지는 터브, 상기 전면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프론트 도어, 상기 카운터의 개구에 장착되는 커버 프레임, 상기 카운터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커버 프레임에 설치되는 상부 도어 및 상기 식기세척기의 상하방향으로 상기 커버 프레임 및 상기 터브 사이에 위치하는 공간을 정의하도록 마련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은, 상기 카운터의 두께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은, 상기 카운터의 두께가 두꺼우면 커지고, 상기 카운터의 두께가 얇으면 작아질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식기세척기의 상하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다.
상기 커버 프레임은, 상기 식기세척기의 상하방향으로 상기 터브와 이격되도록 상기 카운터의 개구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프레임은, 상기 상부 도어가 안착되는 제 1공간 및 상기 식기세척기의 상하방향으로 상기 제 1공간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 2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은, 상기 식기세척기의 상하방향으로 상기 제 2공간 및 상기 터브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1공간의 너비는 상기 제 2공간의 너비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벤딩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커버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 1단부 및 상기 터브에 결합되고, 상기 제 1단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 2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수납공간을 가지는 캐비닛과, 개구를 가지도록 상기 캐비닛 상에 배치되는 카운터를 포함하는 키친 시스템에 빌트 인(built-in)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식기세척기는, 전방 개구를 가지는 터브, 상기 전방 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터브에 설치되는 프론트 도어, 상기 카운터의 개구에 장착되는 커버 프레임 및 상기 카운터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커버 프레임에 설치되는 상부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수납공간 및 상기 수납공간을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를 가지는 캐비닛과, 개구를 가지도록 상기 캐비닛 상에 배치되는 카운터를 포함하는 키친 시스템에 빌트 인(built-in)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식기세척기는, 전방 개구를 가지는 터브, 상기 전방 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터브에 설치되는 프론트 도어, 상기 카운터의 개구에 장착되는 커버 프레임 및 상기 카운터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커버 프레임에 설치되는 상부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도어는 상기 캐비닛의 도어와 함께 상기 키친 시스템의 전면(前面)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수납공간을 가지는 캐비닛과, 개구를 가지도록 상기 캐비닛 상에 배치되는 카운터를 포함하는 시스템 키친에 빌트 인(built-in)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식기세척기는, 전면 개구를 가지는 터브와, 상기 전면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프론트 도어와, 상기 카운터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상부 도어 및 상기 상부 도어에 연결되는 연장부재 및 상기 연장부재의 일 단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 도어의 전단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파지부를 갖는 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재는, 상기 상부 도어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1 연장부로부터 상기 파지부까지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지부는 상기 카운터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재는 상기 상부 도어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상부 도어의 상면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상기 파지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파지부는 상기 카운터의 전단보다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재는, 상기 상부 도어의 상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1 연장부로부터 상기 파지부까지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재는 상기 상부도어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파지부까지 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파지부는 상기 연장부보다 유연(flexible)한 재질의 재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재는 상기 파지부의 일 단과 연결되는 제1 연장부재 및 상기 파지부의 상기 일 단과 반대되는 타 단과 연결되는 제2 연장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도어는 상기 제1 연장부재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1 결합돌기 및 상기 제2 연장부재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2 결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은 상기 제2 연장부재를 상기 제2 결합돌기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돌기는 상기 상부 도어가 개폐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함몰된 결합 홈(groove)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연장부재는 상기 결합 홈에 삽입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장부재는 상기 제1 결합돌기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방향에 따른 외측면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1 삽입 홈(groove)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연장부재는 상기 제2 결합돌기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방향에 따른 외측면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2 삽입 홈(groov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돌기는 상기 제1 삽입 홈에 삽입된 때, 상기 제1 연장부재의 외측면의 일 부분을 형성하며, 상기 제2 결합돌기는 상기 제2 삽입 홈에 삽입된 때, 상기 제2 연장부재의 외측면의 일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재는 상기 상부 도어가 개폐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상부 도어에 슬라이딩하며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전면 개구 및 상면 개구를 가지는 터브와, 상기 전면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프론트 도어와, 상기 상면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상부 도어 및 상기 상부 도어의 회전 축이 배치된 일 단부와 반대되는 타 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 도어로부터 상기 카운터의 상측까지 연장되고, 상기 카운터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카운터와의 사이에 파지 공간을 형성하는 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은 상기 상부 도어에 결합되는 제1 연장부재 및 제2 연장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도어는 상기 제1 연장부재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1 결합돌기 및 상기 제2 연장부재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2 결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연장부재는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제2 결합돌기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돌기는 상기 제1 연장부재와 결합된 때, 상기 제1 연장부재의 외측면의 일 부분을 형성하며, 상기 제2 결합돌기는 상기 제2 연장부재와 결합된 때, 상기 제2 연장부재의 외측면의 일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돌기는 상기 상부 도어가 개폐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함몰된 결합 홈(groove)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연장부재는 상기 결합 홈에 삽입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연장부재는 상기 제2 결합돌기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연장부재의 외측면의 일부로부터 함몰된 삽입 홈(groove)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결합돌기는 상기 제2 연장부재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결합 홈(groove)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 홈에는 상기 제2 결합돌기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방향으로 상기 결합 홈에 삽입되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수납공간을 가지는 캐비닛과, 개구를 가지도록 상기 캐비닛 상에 배치되는 카운터를 포함하는 시스템 키친에 빌트 인(built-in)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식기세척기는, 상기 카운터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며, 상면에 제1 결합돌기 및 제2 결합돌기가 마련된 상부 도어 및 상기 상부 도어에 고정되는 핸들을 포함하며, 상기 핸들은, 상기 상부 도어의 전단보다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카운터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파지 공간을 형성하는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와 상기 상부 도어를 연결하며, 상기 제1 결합돌기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1 연장부재 및 상기 파지부와 상기 상부 도어를 연결하며, 상기 제2 결합돌기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2 연장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도어 및 상부 도어를 가지는 식기세척기를 구현함에 따라 식기의 프론트 로딩 및 탑 로딩이 모두 가능하다.
커버 프레임 및 터브를 식기세척기의 상하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연결부재로 연결함으로써, 카운터의 두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커버 프레임 및 터브 사이의 갭(gap)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터브의 내부에 형성되는 세척공간뿐만 아니라 커버 프레임 및 연결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세척공간에서도 식기의 세척이 가능하므로 터브의 내부에 형성되는 세척공간만 가지는 기존의 식기세척기에 비해 넓은 세척공간 확보가 가능하다.
상부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핸들이 상부 도어의 전단보다 전방에 위치하므로, 상부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핸들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가 빌트 인(built-in) 방식으로 설치된 시스템 키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시스템 키친에 있어서, 식기세척기의 프론트 도어 및 상부 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시스템 키친을 C-C'으로 절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커버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커버 프레임, 연결부재 및 터브의 관계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도 3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카운터의 두께에 따른 연결부재의 형상 변화를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연결부재의 제 1변형예에 따른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연결부재의 제 2변형예에 따른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연결부재의 제 3변형예에 따른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연결부재의 제 4변형예에 따른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가 빌트 인(built-in) 방식으로 설치된 시스템 키친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도 13의 시스템 키친에 있어서, 식기세척기의 프론트 도어 및 상부 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도 13의 시스템 키친을 A-A'으로 절개한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분해사시도
도 17은 도 13의 시스템 키친의 일부를 상측에서 도시한 도면
도 18은 도 13의 시스템 키친의 카운터, 커버 프레임 및 상부 도어를 우측에서 도시한 도면
도 19는 도 13의 시스템 키친의 상부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전방에서 도시한 도면
도 20은 도 13의 시스템 키친의 핸들이 상부 도어에 장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1은 도 20에 표시된 B-B' 선에 따른 단면도
도 22는 도 20에 표시된 C-C' 선에 따른 단면도
도 23은 도 20에 표시된 D-D' 선에 따른 단면도
도 2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핸들을 도시한 도면
도 2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핸들을 도시한 도면
도 2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핸들을 도시한 도면
도 2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핸들을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를 도시한 도면
도 29는 도 28에 표시된 I-I' 선에 따른 단면도
도 30은 도 28에 도시된 식기세척기의 분해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상단" 및 “하단"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가 빌트 인(built-in) 방식으로 설치된 시스템 키친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시스템 키친에 있어서, 식기세척기의 프론트 도어 및 상부 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X”는 시스템 키친(1)의 전후방향을 나타내고, “Y”는 시스템 키친(1)의 좌우방향을 나타내며, “Z”는 시스템 키친(1)의 상하방향을 나타낸다. 시스템 키친(1)의 좌우방향은 시스템 키친(1)의 너비방향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시스템 키친(1)의 상하방향은 시스템 키친(1)의 높이방향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또한, 시스템 키친(1)의 전후방향,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은, 각각 식기세척기(100)의 전후방향,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 키친(system kitchen)(1)은 수납공간(22)을 가지는 캐비닛(20)과, 캐비닛(20) 상에 배치되는 카운터(10)를 포함할 수 있다. 카운터(10)는 평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카운터(10)는 “조리대”로 명명될 수 있다. 카운터(10)에는 개구(11)가 형성될 수 있다.
캐비닛(20)에는 각종 주방용품이 수납될 수 있는 수납공간(22)이 형성될 수 있다. 수납공간(22)은 캐비닛 도어(21)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캐비닛 도어(21)는 회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캐비닛(20)은 수납공간(22)을 구획하도록 캐비닛(20)의 내부에 배치되는 격벽(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격벽은 수납공간(22)을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도록 시스템 키친(1)의 높이방향(Z)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시스템 키친(1)은 식기를 세척하거나 식재료 등을 손질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싱크(sink)(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싱크(30)는 카운터(10)의 일 측에 마련될 수 있다. 싱크(30)는 식기나 식재료 등을 세척할 수 있도록 카운터(10)에 설치되는 싱크볼(sink bowl)(31)을 포함할 수 있다. 싱크볼(31)에는 싱크볼(31)에 공급된 물이 배수될 수 있도록 배수구(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싱크(30)는 싱크볼(31)에 물을 공급하도록 싱크볼(31)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수도관(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도관(33)의 일 단부에는 수도꼭지(34)가 결합될 수 있다. 수도꼭지(34)로부터 싱크볼(31)에 공급된 물은, 배수구와, 배수구에 연결되는 배수관(미도시)을 통해 배수될 수 있다.
시스템 키친(1)은 시스템 키친(1)에 빌트 인(built-in) 방식으로 설치되는 식기세척기(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복수의 도어(120,1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식기세척기(100)는 식기의 탑 로딩(top loading)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상부 도어(120)와, 식기의 프론트 로딩(front loading)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프론트 도어(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도어(120) 및 프론트 도어(130)는 각각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상부 도어(120) 및 프론트 도어(130)의 설치 형태는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일 예로서, 상부 도어(120) 및 프론트 도어(130)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열리거나 닫히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다른 일 예로서, 상부 도어(120) 및 프론트 도어(130) 중 어느 하나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열리거나 닫히도록 설치되고, 상부 도어(120) 및 프론트 도어(130) 중 다른 하나는 회동 방식으로 열리거나 닫히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부 도어(120) 및 프론트 도어(130)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부 도어(120)는 커버 프레임(15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프론트 도어(130)는 터브(1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부 도어(120)는 카운터(10)의 개구(11)를 개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프론트 도어(130)에는, 터브(110)의 내측으로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함(141) 및 터브(110)의 내측으로 린스를 공급하는 린스함(142) 중 적어도 하나가 마련될 수 있다.
프론트 도어(130)에는, 식기세척기(100)의 작동상태 등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31)가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31)는 프론트 도어(130)의 전면(前面) 상측에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1)는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론트 도어(130)에는 조작부(132)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조작부(132)는 식기세척기(100)의 전원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132)는 디스플레이부(131)의 일 측에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프론트 도어(130)에는 디스플레이부(131) 및 조작부(132) 중 적어도 하나가 마련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는 내부에 세척공간(330)이 형성되는 터브(tub)(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브(110)는 프론트 도어(130)에 의해 개폐 가능한 전면 개구(111)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면 개구(111)는 카운터(10)에 형성되는 개구(11)보다 더 클 수 있다. 터브(110)는 카운터(10)에 형성되는 개구(11)에 대응하도록 마련되는 상면 개구(112)(도3참고)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도어(120)는 터브(110)의 상면 개구(112)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것으로 볼 수도 있다.
식기세척기(100)는 커버 프레임(cover frame)(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 프레임(150)은 카운터(10)의 개구(11)에 장착될 수 있다. 상부 도어(120)는 커버 프레임(150)에 설치될 수 있다. 커버 프레임(150)은, 커버 프레임(150)의 일부가 개구(11) 주변의 카운터(10)에 걸쳐진 상태로 개구(11)에 장착될 수 있다. 즉, 커버 프레임(150)은 카운터(10) 상에 얹혀지도록 일 단부에 형성되는 절곡부(156)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프레임(150)의 절곡부(156)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외부로 노출된 커버 프레임(150)의 너비(w1)는 카운터(10)에 형성된 개구(11)의 너비(w2)보다 클 수 있다. (도3참고) 이 때, 커버 프레임(150)의 너비(w1) 및 개구(11)의 너비(w2)는 시스템 키친(1)의 전후방향(X)을 기준으로 측정된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커버 프레임(150)은, 커버 프레임(150)의 절곡부(156)가 카운터(10)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개구(11)에 장착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는 전면 개구(111)를 통해 인출 가능하도록 터브(1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바스켓(161,16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바스켓(161,162)은 “프론트 로딩 바스켓”으로 명명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식기세척기(100)는 식기세척기의 상하방향(Z)으로 터브(110)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바스켓(161)과, 식기세척기의 상하방향(Z)으로 상부 바스켓(161)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바스켓(162)을 포함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의 프론트 도어(130)는 시스템 키친(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식기세척기(100)의 프론트 도어(130)는 캐비닛 도어(21)와 함께 시스템 키친(1)의 전면(前面)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프론트 도어(130)의 상단부 및 캐비닛 도어(21)의 상단부는 시스템 키친(1)의 너비방향(Y)으로 연장되는 기준선(R) 상에 위치할 수 있다. 기준선(R)은 카운터(10)와 평행하도록 시스템 키친(1)의 너비방향(Y)으로 연장되는 가상선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론트 도어(130)의 상단부 및 캐비닛 도어(21)의 상단부가 일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설계함으로써 전체적으로 통일감을 가지는 깔끔한 이미지의 시스템 키친(1)의 구현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프론트 도어(130)의 하단부 및 캐비닛 도어(21)의 하단부 역시 시스템 키친(1)의 너비방향(Y)으로 연장되는 기준선(R') 상에 위치할 수 있다. 기준선(R')은 카운터(10)와 평행하도록 시스템 키친(1)의 너비방향(Y)으로 연장되는 가상선일 수 있다. 즉, 기준선(R')은 기준선(R)과 평행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의 상부 도어(120)는 시스템 키친(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식기세척기(100)의 상부 도어(120)는 카운터(10)와 함께 시스템 키친(1)의 상면(上面)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부 도어(120)는, 시스템 키친(1)의 높이방향(Z)으로 카운터(10)와의 단차가 크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부 도어(120)가 시스템 키친(1)의 높이방향(Z)으로 카운터(10)와의 단차가 크도록 마련될 경우, 즉, 상부 도어(120)가 시스템 키친(1)의 상방을 향하여 지나치게 돌출되도록 마련될 경우, 사용편의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사용자가 시스템 키친(1)의 상방을 향하여 지나치게 돌출된 상부 도어(120)에 부딪힐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시스템 키친을 C-C'으로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커버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참고로, 도 4에서 프론트 도어(130)는 생략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기세척기(100)는, 내부에 세척공간(330)이 형성되는 터브(110)와, 터브(110)의 하부에 마련되어 세척수가 저장되는 섬프(180)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바스켓(161,162)은 시스템 키친(1)의 전후방향(X)으로 진퇴이동 가능하도록 터브(1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바스켓(161,162)은 적어도 하나의 바스켓(161,162)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랙(190)에 의해 터브(110)의 전면 개구(111)를 통해 인출 및 수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바스켓(161,162)은 내부에 식기를 수납할 수 있도록 상측이 개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바스켓(161,162)은, 내부에 수납된 식기가 세척수에 의해 용이하게 세척될 수 있도록 격자 형상으로 배열되는 와이어(163)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적어도 하나의 바스켓(161,162)은, 내부에 식기를 수용하도록 서로 교차하는 복수의 와이어(163)로 형성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는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분사장치(210,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분사장치(210,220)는, 상부 바스켓(161) 및 하부 바스켓(162) 사이에 위치하는 제 1분사장치(210)와, 하부 바스켓(162)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 2분사장치(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분사장치(210) 및 제 2분사장치(220)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하며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터브(110)에는 세척수를 가열하는 히터(미도시)와, 히터 설치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터브(110)의 바닥에 히터 설치홈이 마련되고, 히터 설치홈에 히터가 설치될 수 있다.
섬프(180)는 터브(110)의 바닥 중앙에 마련되어 세척수를 모아서 펌핑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섬프(180)는, 세척수를 고압으로 펌핑하는 세척펌프(181)와, 세척펌프(181)를 구동하는 펌프모터(182)를 포함할 수 있다.
세척펌프(181)는 제 1공급관(260)을 통해 제 1분사장치(210)로 세척수를 펌핑한다. 또한, 세척펌프(181)는 제 2공급관(270)을 통해 하부에 위치하는 제 2분사장치(220)로 세척수를 펌핑한다.
섬프(180)는 세척수의 오염도를 검출하는 탁도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의 제어부(미도시)는 탁도센서(미도시)를 이용하여 세척수의 오염도를 검출하고, 세척 단계 또는 헹굼 단계의 진행 횟수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오염도가 높은 경우 세척 또는 헹굼 단계를 증가시키고, 오염도가 낮은 경우 세척 또는 헹굼 단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는 카운터(10)의 개구(11)에 장착되는 커버 프레임(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 프레임(150)은 시스템 키친(1)의 높이방향(Z)으로 터브(110)와 이격되도록 개구(11)에 장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커버 프레임(150)은 시스템 키친(1)의 높이방향(Z)으로 터브(110)와 오버랩 되지 않도록 개구(11)에 장착될 수 있다.
커버 프레임(150)은, 커버 프레임 바디(158)와, 카운터(10) 상에 지지되도록 커버 프레임 바디(158)로부터 절곡되는 절곡부(156)를 포함할 수 있다. 절곡부(156)는, 식기세척기(100)의 외측방향으로 절곡되도록 커버 프레임 바디(158)의 상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커버 프레임 바디(158)는 상부 도어(120)가 안착되도록 마련되는 안착부(151)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 프레임 바디(158)의 안착부(151)에는, 힌지축(291)을 포함하는 상부 도어 힌지(290)가 장착될 수 있다. 상부 도어(120)는 힌지축(29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부 도어 힌지(290)에 결합될 수 있다. 상부 도어 힌지(290)의 힌지축(291)은 시스템 키친(1)의 너비방향(Y)으로 연장될 수 있다.
커버 프레임 바디(158)는 안착부(151)로부터 시스템 키친(1)의 높이방향(Z)으로 연장되는 제 1벽(15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벽(152)은, 안착부(151)의 외측 단부로부터 시스템 키친(1)의 상방을 향하도록 시스템 키친(1)의 높이방향(Z)으로 연장될 수 있다. 안착부(151)는 상부 도어(120)의 바닥면과 마주할 수 있고, 제 1벽(152)은 상부 도어(120)의 측면과 마주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안착부(151) 및 제 1벽(152)은 상부 도어(120)가 수용되는 상부 도어 수용공간을 정의할 수 있다.
커버 프레임 바디(158)는 안착부(151)로부터 시스템 키친(1)의 높이방향(Z)으로 연장되는 제 2벽(15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벽(153)은, 안착부(151)의 내측 단부로부터 시스템 키친(1)의 하방을 향하도록 시스템 키친(1)의 높이방향(Z)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 1벽(152)은, 제 2벽(153)보다 시스템 키친(1)의 높이방향(Z)으로 더 연장될 수 있다. 즉, 제 1벽(152)은, 제 2벽(153)보다 시스템 키친(1)의 높이방향(Z)으로 더 높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제 1벽(152)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은, 제 2벽(153)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보다 시스템 키친(1)의 너비방향(Y)으로 더 넓은 너비를 가질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는 커버 프레임 실링부재(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 프레임 실링부재(350)는 커버 프레임(150) 및 카운터(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커버 프레임 실링부재(350)는 커버 프레임(150) 및 카운터(10)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커버 프레임 실링부재(350)는, 외부의 유체가 커버 프레임(150) 및 카운터(10) 사이의 틈을 통해 식기세척기(100)의 내부로 유입되거나, 터브(110) 내부의 세척수가 커버 프레임(150) 및 카운터(10) 사이의 틈을 통해 식기세척기(100)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커버 프레임(150) 및 카운터(10) 사이의 밀폐성을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커버 프레임 실링부재(350)는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커버 프레임 실링부재(350)는 고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는 상부 도어 실링부재(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도어 실링부재(300)는 상부 도어(120)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 도어 실링부재(300)는 상부 도어(120)의 하부 프레임(122)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 도어 실링부재(300)는, 터브(110) 내부의 세척수가 상부 도어(120)의 외측으로 새는 것을 방지하도록 커버 프레임(150) 및 상부 도어(120) 사이의 밀폐성을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상부 도어 실링부재(300)는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부 도어 실링부재(300)는 고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는 하우징 패널(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패널(700)은 터브(11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 패널(700)은 터브(110)의 양 측벽, 즉, 좌측벽 및 우측벽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는 터브 바디(113)와, 터브 바디(113)에 장착되는 터브 탑(tub top)(1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터브(110)는 터브 바디(113) 및 터브 탑(114)을 포함할 수 있다. 터브 탑(114)은 터브 바디(113)의 상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터브 탑(114)에는 카운터(10)의 개구(11)에 대응하는 상면 개구(112)가 형성될 수 있다.
터브 탑(114)은 터브 바디(113)와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브 탑(114)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으로 형성될 수 있고, 터브 바디(113)는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STS)로 형성될 수 있다.
터브 탑(114)에는 집수부(115)가 마련될 수 있다. 집수부(115)는 소정 깊이를 가지도록 터브 탑(114)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집수부(115)는 후술할 연결부재(310)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터브 탑(114)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310)의 불완전한 결합, 마모 등을 이유로 세척수가 터브(110)의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고 터브(110)의 외측벽을 따라 흐를 경우, 비위생적일 뿐만 아니라 화재 등과 위험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집수부(115)는 터브 바디(113)의 최상단, 즉, 터브 탑(114)에 형성되어 터브(110)의 내부로 유입되지 못한 세척수를 모아 터브(110)의 내부로 안내한다.
터브 탑(114)에는 패널 고정부(116)가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 패널(700)은 터브(110)의 양 측벽과 마주하도록 터브(110)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 패널(700)은 터브 바디(113)의 양 측벽과 마주하도록 터브 탑(114)의 패널 고정부(116)에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 패널(700)은 스크루(screw)와 같은 결합부재에 의해 패널 고정부(116)에 고정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는 연결부재(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310)는 커버 프레임(150)과 터브(110)를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부재(310)는 시스템 키친(1)의 높이방향(Z)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커버 프레임(150) 및 터브(110)를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재(310)는 탄성재질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서, 연결부재(310)는 고무 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310)의 상단부는 커버 프레임(150)에 결합되고, 연결부재(310)의 하단부는 터브(110)에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연결부재(310)의 상단부는 커버 프레임(150)에 결합되고, 연결부재(310)의 하단부는 터브 탑(114)에 결합될 수 있다. 연결부재(31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식기세척기(100)는 프론트 도어 실링부재(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도어 실링부재(320)는 프론트 도어(130)에 결합될 수 있다. 프론트 도어 실링부재(320)는, 터브(110) 내부의 세척수가 프론트 도어(130)의 외측으로 새는 것을 방지하도록 터브(110) 및 프론트 도어(130) 사이의 밀폐성을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프론트 도어 실링부재(320)는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프론트 도어 실링부재(320)는 고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도어(120)는, 상부 도어(120)의 개폐여부에 따라 식기세척기(1)의 작동여부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센서와 제어부와의 통신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후술할 “하부 모듈”에 제어부가 위치하는 경우, 제어부는, 상부 도어(120)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도록 상부 도어(120)에 마련되는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부 도어(120)에 제어부가 위치하는 경우, 상부 도어(120)의 제어부는 상부 도어(120)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도록 상부 도어(120)에 마련되는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부 도어(120)의 제어부는 하부 모듈에 배치되는 각종 전장품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하, 식기세척기(100)를 빌트 인 방식으로 시스템 키친(1)에 설치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식기세척기(100)의 구성 중 커버 프레임(150) 및 상부 도어(120)를 “상부 모듈”이라 명명하고, 식기세척기(100)의 구성 중 커버 프레임(150), 상부 도어(120) 및 연결부재(31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을 “하부 모듈”이라 명명한다. 먼저 하부 모듈을 시스템 키친(1)의 전후방향(X)으로 캐비닛(20)에 장착한다. 구체적으로, 하부 모듈은 전면이 개방된 캐비닛(20)에 시스템 키친(1)의 전후방향(X)으로 수납되어 캐비닛(20)에 고정된다. 그 후, 상부 모듈이 카운터(10)에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카운터(10)의 개구(11)에 커버 프레임(150)이 장착되고, 커버 프레임(150)에 상부 도어(120)가 설치된다. 상부 모듈 및 하부 모듈은 연결부재(31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 모듈의 커버 프레임(150) 및 하부 모듈의 터브(110)는 연결부재(31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커버 프레임(150) 및 터브(110)가 연결부재(310)에 의해 연결되는 구체적인 방식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커버 프레임, 연결부재 및 터브의 관계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참고로, 도 6에서 상부 도어(120)는 생략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프레임(150)은 식기세척기(100)의 상하방향(Z)으로 터브(110)와 이격되도록 카운터(10)의 개구(11)에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버 프레임(150)을 식기세척기(100)의 상하방향(Z)으로 터브(110)와 오버랩 되지 않도록 배치하는 이유는, 식기세척기(100)의 서비스 용이성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커버 프레임(150)을 식기세척기(100)의 상하방향(Z)으로 터브(110)와 오버랩 되도록 배치할 경우, 서비스 상의 이유로 터브(110)와 커버 프레임(150)을 분리해야 할 때, 카운터(10)로부터 커버 프레임(150)을 분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감수해야 한다. 이와 같이, 카운터(10)로부터 커버 프레임(150)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카운터(10)나 커버 프레임(150)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커버 프레임(150)을 식기세척기(100)의 상하방향(Z)으로 터브(110)와 이격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재(310)는 식기세척기(100)의 상하방향(Z)으로 신축 가능하다.
연결부재(310)는 커버 프레임(150) 및 터브(110)를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부재(310)는 커버 프레임(150) 및 터브 탑(114)을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재(310)는, 커버 프레임(150)에 결합되는 제 1단부(311)와, 터브(110)에 결합되는 제 2단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단부(312)는 제 1단부(311)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연결부재(310)의 제 1단부(311)는 커버 프레임(150)의 외면을 덮도록 커버 프레임(150)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부재(310)의 제 1단부(311)는 커버 프레임(150)의 제 2벽(153)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커버 프레임(150)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연결부재(310)의 제 2단부(312)는 터브(110)의 상면 개구(11)를 통과하여 터브(110)의 내면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부재(310)의 제 2단부(312)는 터브(110)의 상면 개구(11)를 통과하여 터브 탑(114)의 내면에 결합될 수 있다.
연결부재(310)는 폐루프(closed loop)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연결부재(310)의 형상은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연결부재(310)는 적어도 하나의 벤딩부(313)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서, 연결부재(310)는 다이어프램(diaphragm)과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연결부재(310)는, 식기세척기(100)의 상하방향(Z)으로 커버 프레임(150) 및 터브(110) 사이에 위치하는 공간(430)을 정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연결부재(310)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430)은 “제 3공간”으로 명명될 수도 있다.
커버 프레임(150)은 제 1공간(4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공간(410)은 안착부(151) 및 제 1벽(152)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제 1공간(410)에는 상부 도어(120)가 안착될 수 있다.
커버 프레임(150)은 제 2공간(4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공간(420)은 식기세척기(100)의 상하방향(Z)으로 제 1공간(41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 2공간(420)은 안착부(151) 및 제 2벽(153)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제 1공간(410)의 너비(w3)는 제 2공간(420)의 너비(w4)보다 클 수 있다.
연결부재(310)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430)은, 식기세척기(100)의 상하방향(Z)으로 커버 프레임(150)의 제 2공간(420) 및 터브(11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부재(310)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430)은, 식기세척기(100)의 상하방향(Z)으로 커버 프레임(150)의 제 2공간(420) 및 터브 탑(114)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연결부재(310)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430)은, 카운터(10)의 두께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부재(310)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430)은, 카운터(10)의 두께에 따라 식기세척기(100)의 상하방향(Z)으로 가변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7은 도 3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310)의 제 1단부(311)는 커버 프레임(150)에 결합되고, 연결부재(310)의 제 2단부(312)는 터브(110)에 결합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는 연결부재(310)를 커버 프레임(150)에 결합시키는 와이어(wire)(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와이어(500)는 연결부재(310)의 제 1단부(311)를 커버 프레임(150)의 외면에 결합시킬 수 있다. 와이어(500)는 연결부재(31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와이어(500)는 매듭부(510)(도4참고)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310)의 제 1단부(311)는 와이어(500)에 의해 커버 프레임(150)에 고정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는 연결부재(310)를 터브(110)에 결합시키는 고정부재(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부재(600)는 연결부재(310)의 제 2단부(312)를 터브(110)의 내면에 결합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고정부재(600)는 연결부재(310)의 제 2단부(312)를 터브 탑(114)의 내면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 때, 고정부재(600)는 식기세척기(100)의 상하방향(Z)으로 연결부재(310)의 제 2단부(312)를 터브(110)의 내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고정부재(600)는 터브(110)의 내부로부터 식기세척기(100)의 상방으로 연결부재(310)의 제 2단부(312)를 터브(110)의 내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일 예로서, 고정부재(600)는 스크루(screw)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카운터의 두께에 따른 연결부재의 형상 변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a는, 카운터(10)의 두께(t1)가 얇은 경우의 연결부재(310)의 형상을 보여주고, 도 8b는, 카운터(10)의 두께(t2)가 두꺼운 경우의 연결부재(310)의 형상을 보여준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운터(10)의 두께(t1)가 얇은 경우, 식기세척기(100)의 상하방향(Z)으로 커버 프레임(150) 및 터브(110) 사이의 거리가 가깝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카운터(10)의 두께(t1)가 얇은 경우, 식기세척기(100)의 상하방향(Z)으로 연결부재(310)의 늘어난 정도가 작을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카운터(10)의 두께(t1)가 얇은 경우, 연결부재(310)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430)이 작을 수 있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운터(10)의 두께(t2)가 두꺼운 경우, 식기세척기(100)의 상하방향(Z)으로 커버 프레임(150) 및 터브(110) 사이의 거리가 멀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카운터(10)의 두께(t2)가 두꺼운 경우, 식기세척기(100)의 상하방향(Z)으로 연결부재(310)의 늘어난 정도가 클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카운터(10)의 두께(t2)가 두꺼운 경우, 연결부재(310)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430)이 클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부재(310)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430)은, 카운터(10)의 두께가 두꺼우면 커지고, 카운터(10)의 두께가 얇으면 작아질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연결부재의 제 1변형예에 따른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310)의 제 1단부(311)는 커버 프레임(150)에 결합되고, 연결부재(310)의 제 2단부(312)는 터브(110)에 결합될 수 있다.
연결부재(310)의 제 1단부(311)는 와이어(500)에 의해 커버 프레임(150)에 고정될 수 있다. 와이어(500)에 대한 설명은 도 7에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바 생략한다.
연결부재(310)의 제 2단부(312)는 고정부재(600)에 의해 터브(110)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부재(600)는 연결부재(310)의 제 2단부(312)를 터브(110)의 내면에 결합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고정부재(600)는 연결부재(310)의 제 2단부(312)를 터브 탑(114)의 내면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 때, 고정부재(600)는, 식기세척기(100)의 상하방향(Z)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결부재(310)의 제 2단부(312)를 터브(110)의 내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고정부재(600)는, 터브(110)의 내부로부터 식기세척기(100)의 좌우방향(Y) 또는 전후방향(X)으로 연결부재(310)의 제 2단부(312)를 터브(110)의 내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일 예로서, 고정부재(600)는 스크루(screw)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연결부재의 제 2변형예에 따른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310)의 제 1단부(311)는 커버 프레임(150)에 결합되고, 연결부재(310)의 제 2단부(312)는 터브(110)에 결합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는 연결부재(310)를 커버 프레임(150)에 결합시키는 제 1고정부재(6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고정부재(610)는 연결부재(310)의 제 1단부(311)를 커버 프레임(150)의 외면에 결합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고정부재(610)는 식기세척기(100)의 상하방향(Z)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결부재(310)의 제 1단부(311)를 커버 프레임(150)의 외면에 결합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고정부재(610)는, 커버 프레임(150)의 외부로부터 식기세척기(100)의 좌우방향(Y) 또는 전후방향(X)으로 연결부재(310)의 제 1단부(311)를 커버 프레임(150)의 외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일 예로서, 제 1고정부재(610)는 스크루(screw)를 포함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는 연결부재(310)를 터브(110)에 결합시키는 제 2고정부재(6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고정부재(620)는 연결부재(310)의 제 2단부(312)를 터브(110)의 내면에 결합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2고정부재(620)는 연결부재(310)의 제 2단부(312)를 터브 탑(114)의 내면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 때, 고정부재(600)는 식기세척기(100)의 상하방향(Z)으로 연결부재(310)의 제 2단부(312)를 터브(110)의 내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2고정부재(620)는 터브(110)의 내부로부터 식기세척기(100)의 상방으로 연결부재(310)의 제 2단부(312)를 터브(110)의 내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일 예로서, 제 2고정부재(620)는 스크루(screw)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연결부재의 제 3변형예에 따른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310)의 제 1단부(311)는 커버 프레임(150)에 결합되고, 연결부재(310)의 제 2단부(312)는 터브(110)에 결합될 수 있다.
커버 프레임(150)은 결합홈(157)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브(110)를 향하는 커버 프레임(150)의 일 단부에는, 커버 프레임(150)의 둘레를 따라 결합홈(157)이 형성될 수 있다. 터브(110)를 향하는 커버 프레임(150)의 일 단부는 커버 프레임(150)의 외측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고, 결합홈(157)은 커버 프레임(150)의 외측방향으로 절곡된 커버 프레임(150)의 일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커버 프레임(150)의 결합홈(157)은 식기세척기(100)의 상방을 향하여 개방될 수 있다.
연결부재(310)는 결합부(314)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314)는 결합홈(157)에 결합될 수 있도록 연결부재(310)의 제 1단부(311)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310)의 제 1단부(311)는 결합부(314) 및 결합홈(157)의 결합에 의해 커버 프레임(150)에 고정될 수 있다.
연결부재(310)의 제 2단부(312)는 고정부재(600)에 의해 터브(110)의 내면에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고정부재(600)는 터브(110)의 내부로부터 식기세척기(100)의 상방으로 연결부재(310)의 제 2단부(312)를 터브(110)의 내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부재(600)에 대한 설명은 도 7에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바 생략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연결부재의 제 4변형예에 따른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310)의 제 1단부(311)는 커버 프레임(150)에 결합되고, 연결부재(310)의 제 2단부(312)는 터브(110)에 결합될 수 있다.
커버 프레임(150)은 복수의 돌기(158)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 프레임(150)의 외면에는 복수의 돌기(158)가 식기세척기(100)의 상하방향(Z)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재(310)는 걸림부(315)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부(315)는 복수의 돌기(158) 사이에 결합될 수 있도록 연결부재(310)의 제 1단부(311)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310)의 제 1단부(311)는 걸림부(315) 및 복수의 돌기(158) 사이의 결합에 의해 커버 프레임(150)에 고정될 수 있다. 카운터(10)의 두께가 얇은 경우, 식기세척기(100)의 상하방향(Z)으로 커버 프레임(150) 및 터브(110) 사이의 거리가 가깝기 때문에 연결부재(310)의 걸림부(315)는 식기세척기(100)의 상하방향(Z)으로 상방에 위치하는 복수의 돌기(158)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반면, 카운터(10)의 두께가 두꺼운 경우, 식기세척기(100)의 상하방향(Z)으로 커버 프레임(150) 및 터브(110) 사이의 거리가 멀기 때문에 연결부재(310)의 걸림부(315)는 식기세척기(100)의 상하방향(Z)으로 하방에 위치하는 복수의 돌기(158)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커버 프레임(150) 및 터브(110)에 대한 연결부재(310)의 결합방식은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가 빌트 인(built-in) 방식으로 설치된 시스템 키친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도 13의 시스템 키친에 있어서, 식기세척기의 프론트 도어 및 상부 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3의 시스템 키친을 A-A'으로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3의 시스템 키친의 일부를 상측에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8은 도 13의 시스템 키친의 카운터, 커버 프레임 및 상부 도어를 우측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도 13의 시스템 키친의 상부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전방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도어(120)는 사용자가 상부 도어(120)의 개폐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파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핸들(400)을 포함할 수 있다. 핸들(400)은 상부 도어(120)의 회전 축이 배치된 일 단부와 반대되는 타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핸들(400)은 상부 도어 힌지(290)가 배치된 상부 도어(120)의 후단부와 반대되는 전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핸들(400)은 파지부(401)와, 연장부재(402a, 402b)를 포함할 수 있다.
파지부(401)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으로, 대략 좌우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파지부(401)는 연장부재(402a, 402b)의 일 단에 배치될 수 있다. 파지부(401)는 상부 도어(120)의 전단보다 소정 길이만큼 전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파지부(401)의 전단은 상부 도어(120)의 전단으로부터 홀딩 거리(G)만큼 전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가 파지하는 핸들의 일 부분이 도어의 전단보다 후방에 배치되는 경우, 상부 도어가 개방된 때, 핸들이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게 되어 사용자는 핸들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없으며, 상부 도어 자체를 잡고 상부 도어를 닫아야 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00a)의 핸들(400)은 파지부(401)가 상부 도어(120)의 전단으로부터 홀딩 거리(G)만큼 전방으로 이격되므로, 상부 도어(120)가 개방된 때, 사용자가 상부 도어(120)의 전단으로부터 돌출된 파지부(401)를 용이하게 파지하여 상부 도어(120)를 닫을 수 있다.
파지부(401)는 카운터(1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파지부(401)는 상부 도어(120)의 상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상측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파지부(401)의 상단은 상부 도어(120)의 상면으로부터 홀딩 높이(H)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부 도어(120)의 상면은 커버 프레임(150)의 절곡부(156)의 상면과 대략 동일한 높이로 배치되며, 파지부(401)는 커버 프레임(150)의 절곡부(156)의 상면으로부터 홀딩 높이(H)만큼 이격된 것으로 볼 수도 있다.
파지부(401)가 커버 프레임(150)의 절곡부(156)의 상면으로부터 홀딩 높이(H)만큼 상측으로 이격되며 상부 도어(120)의 전단으로부터 홀딩 거리(G)만큼 전방으로 이격됨에 따라, 핸들(400)과 상부 도어(120) 및 커버 프레임(150) 사이에는 파지 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파지 공간(S)을 통해 사용자는 용이하게 핸들(400)을 파지할 수 있다.
연장부재(402a, 402b)는 상부 도어(120)에 연결될 수 있다. 연장부재(402a, 402b)는 상부 도어(120)의 상면으로부터 파지부(401)까지 연장될 수 있다. 연장부재(402a, 402b)는 제1 연장부재(402a)와 제2 연장부재(40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장부재(402a)는 파지부(401)의 좌측단으로부터 상부 도어(120)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제1 연장부재(402a)는 파지부(401)의 좌측단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장부재(402a)는 상부 도어(120)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402aa)와, 제1 연장부(402aa)로부터 파지부(401)까지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402a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장부재(402b)는 파지부(401)의 우측단으로부터 상부 도어(120)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제2 연장부재(402b)는 파지부(401)의 우측단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장부재(402b)는 상부 도어(120)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402ba)와, 제1 연장부(402ba)로부터 파지부(401)까지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402bb)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장부재(402a, 402b)가 제1 연장부재(402a) 및 제2 연장부재(402b)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연장부재는 상부 도어(120)의 상면에서 파지부(401)까지 연장되는 구성이라면 1 또는 3 이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도 20은 도 13의 시스템 키친의 핸들이 상부 도어에 장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1은 도 20에 표시된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20에 표시된 C-C'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0 내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400)은 상부 도어(120)의 상면에 우측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며 결합될 수 있다. 즉, 핸들(400)의 연장부재(402a, 402b)는 상부 도어(120)가 개폐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부 도어(120)에 슬라이딩하며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핸들(400)은 연장부재(402a, 402b)가 상부 도어(120)의 상부 프레임(121)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결합돌기(403a, 403b)에 슬라이딩하며 삽입됨에 따라 상부 도어(120)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돌기(403a, 403b)는 제1 연장부재(402a)와 연결되는 제1 결합돌기(403a)와, 제2 연장부재(402b)와 연결되는 제2 결합돌기(40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장부재(402a)는 제1 결합돌기(403a)가 삽입되는 제1 삽입 홈(404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삽입 홈(404a)은 제1 결합돌기(403a)가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며 삽입되도록 제1 연장부재(402a)의 좌측면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삽입 홈(404a)은 제1 결합돌기(403a)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좌측면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1을 참조하면, 제1 결합돌기(403a)가 슬라이딩되며 제1 삽입 홈(404a)에 삽입되는 방향에 따른 제1 삽입 홈(404a)의 단면의 형상은 제1 결합돌기(403a)의 단면의 형상과 대략 유사하게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원활한 삽입을 위해 제1 결합돌기(403a)의 단면의 크기가 제1 삽입 홈(404a)의 단면의 크기보다 약간 작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삽입 홈(404a)은 제1 결합돌기(403a)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돌출부(402ac)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402ac)는 제1 삽입 홈(404a)의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돌출부(402ac)는 제1 결합돌기(403a)의 상부 도어(120)가 개폐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결합 홈(403aa)에 삽입될 수 있다. 결합 홈(403aa)은 제1 결합돌기(403a)의 내측으로 함몰될 수 있다. 결합 홈(403aa)은 돌출부(402ac)의 형상과 유사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 연장부재(402b)는 제2 결합돌기(403b)가 삽입되는 제2 삽입 홈(404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삽입 홈(404b)은 제2 결합돌기(403b)가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며 삽입되도록 제2 연장부재(402b)의 좌측면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삽입 홈(404a)은 제1 결합돌기(403a)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좌측면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2를 참조하면, 제2 결합돌기(403b)가 슬라이딩되며 제2 삽입 홈(404b)에 삽입되는 방향에 따른 제2 삽입 홈(404b)의 단면의 형상은 제2 결합돌기(403b)의 단면의 형상과 대략 유사하게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원활한 삽입을 위해 제2 결합돌기(403b)의 단면의 크기가 제2 삽입 홈(404b)의 단면의 크기보다 약간 작게 마련될 수 있다.
제2 삽입 홈(404b)은 제2 결합돌기(403b)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돌출부(402bc)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402bc)는 제2 삽입 홈(404b)의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돌출부(402bc)는 제2 결합돌기(403b)의 상부 도어(120)가 개폐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결합 홈(403ba)에 삽입될 수 있다. 결합 홈(403ba)은 제2 결합돌기(403b)의 내측으로 함몰될 수 있다. 결합 홈(403ba)은 돌출부(402bc)의 형상과 유사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연장부재(402a)와 달리, 제2 연장부재(402b)에는 고정부재(409)가 구비될 수 있다. 고정부재(409)는 결합돌기(403a, 403b)에 결합된 핸들(400)을 고정할 수 있다. 고정부재(409)는 제2 연장부재(402b)의 제2 삽입 홈(404b)이 형성된 일 부분을 관통하며 제2 연장부재(402b)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연장부재(402b)에 결합된 고정부재(409)는 선단이 제2 결합돌기(403b)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핸들(400)의 제2 연장부재(402b)가 제2 결합돌기(403b)로부터 슬라이딩된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결합돌기(403a)는 제1 연장부재(402a)의 제1 삽입 홈(404a)에 삽입된 때, 제1 연장부재(402a)의 우측면의 일 부분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핸들(400)과 제1 결합돌기(403a)가 결합되는 부분이 깔끔하게 되어 외관이 개선될 수 있다.
제2 결합돌기(403b)는 제2 연장부재(402b)의 제2 삽입 홈(404b)에 삽입된 때, 제2 연장부재(402b)의 우측면의 일 부분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핸들(400)과 제2 결합돌기(403b)가 결합되는 부분이 깔끔하게 되어 외관이 개선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들(400)는 상부 도어(120)에 비교적 간단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23은 도 20에 표시된 D-D'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도어(120)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잠금 장치(406, 407)를 포함할 수 있다. 잠금 장치(406, 407)는 잠금 부재(406)와, 탄성 부재(407)를 포함할 수 있다.
잠금 부재(406)는 탄성부재(407)에 의해 커버 프레임(150)을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될 수 있다. 잠금 부재(406)는 상부 도어(120)가 닫힐 때, 즉, 커버 프레임(150)을 향하는 일 단부가 커버 프레임(150)의 내측면과 접하며 하강할 때, 탄성 부재(407)를 수축시키는 방향으로 부드럽게 이동하도록 형성된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잠금 부재(406)는 상부 도어(120)가 열릴 때, 즉, 커버 프레임(150)을 향하는 일 단부가 커버 프레임(150)의 내측면과 접하며 상승할 때,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잠금 부재(406)는 커버 프레임(150)을 향하는 일 단부가 반구(hemisphere)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407)는 미들 프레임(123)에 형성된 탄성부재 고정부(123a)에 일 단이 고정되고, 일 단과 반대되는 타 단이 잠금 부재(406)에 고정될 수 있다. 탄성부재(407)는 잠금 부재(406)를 상부 도어(120)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탄성 부재(407)는 잠금 부재(406)를 커버 프레임(150)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커버 프레임(150)은 잠금 부재(406)의 일 단이 삽입되는 잠금 부재 삽입부(154)를 포함할 수 있다. 잠금 부재 삽입부(154)는 상부 도어(120)가 닫힌 때, 잠금 부재(406)가 돌출된 위치에 대응되도록 커버 프레임(150)의 내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커버 프레임(150)은 상부 도어(120)가 닫힌 때, 즉, 잠금 부재(406)가 잠금 부재 삽입부(154)에 삽입된 때, 소정 크기 이상의 힘을 가하는 경우에만 상부 도어(120)가 개방되도록 잠금 부재(406)의 상측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 제한부(15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제한부(155)는 커버 프레임(150)의 내측면에서 상부 도어(120)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이동 제한부(155)는 잠금 부재 삽입부(154)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 도어(120)는 비교적 단순한 구성으로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2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핸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7 내지 도 23에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400a)은 상부 도어(120)의 상면으로부터 파지부(411)까지 상부 도어(120)의 상면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핸들(400a)은 상부 도어(120)의 상면으로부터 파지부(411)까지 상부 도어(120)의 상면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재(412a)를 포함할 수 있다. 파지부(411)는 상부 도어(120)의 전단보다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파지부(411)는 커버 프레임(15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핸들(400a)은 상부 도어(120) 및 커버 프레임(150)과의 사이에 파지 공간(S)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핸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7 내지 도 23에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400b)의 파지부(421)는 카운터(10)의 전단보다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핸들(400b)의 연장부재(422a)는 상부 도어(120)의 상면으로부터 전방의 파지부(421)까지 연장될 수 있다. 즉, 도 25에 도시된 핸들은 도 17 내지 23에 도시된 핸들(400)과 달리, 상부 도어(120)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거의 이격되지 않은 채, 상부 도어(120)의 상면을 따라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도 25에 도시된 핸들(400b)은 파지부(421)의 카운터(10)의 전단 사이에 파지 공간(S)을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핸들(400b)의 연장부재(422a)가 상부 도어(120)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거의 이격되지 않은 채 전방으로 연장되므로, 사용자가 카운터(10) 상에서 요리 등의 행위를 할 때, 핸들(400b)이 돌출되어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불편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2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핸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7 내지 도 23에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400c)은 커버 프레임(150)의 상측에 위치하는 파지부(431)와, 파지부(431)와 상부 도어(120)의 상면을 연결하는 연장부재(432aa, 432ab)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재(432aa, 432ab)는 도 25에 도시된 연장부재(422a)와 같이 상부 도어(120)의 상면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432aa)와, 제1 연장부(432aa)로부터 파지부(431)까지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432ab)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파지부(431)는 커버 프레임(150)과 상부 도어(120)와의 사이에 파지 공간(S)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핸들을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7 내지 도 23에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400d)은 사용자가 파지하는 파지부(441)와, 파지부(441)와 상부 도어(120)를 연결하는 연장부재(442a, 442b)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재(442a, 442b)는 제1 연장부재(442a)와 제2 연장부재(442b)를 포함할 수 있다. 파지부(441)는 카운터(1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파지부(441)는 커버 프레임(150)의 상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파지부(441)는 상부 도어(120)의 전단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파지부(441)는 연장부재(442a, 442b)보다 유연한 재질의 재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파지부(441)는 소정 크기 이상의 힘을 가하는 경우 변형 가능한 재질의 재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파지부(441)는 사용자가 상부 도어(120)를 개방하기 위해 파지부(441)를 상측으로 당기는 경우, 변형되며 카운터(10)와의 사이에 파지 공간(S)을 형성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파지부(441)를 놓으면, 파지부(441)는 원래의 형상으로 돌아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도 27에 도시된 핸들(400d)은 사용자가 카운터(10)에서 요리 등의 행위를 할 때, 돌출됨에 따라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불편함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파지 공간(S)을 형성할 수 있어 상부 도어(120)를 개폐하기 용이하다.
식기세척기는 시스템 키친에 빌트 인(built-in) 방식으로 설치되지 않고 그 자체로서 주방에 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타입의 식기세척기를 프리 스탠딩 타입(free standing type)의 식기세척기라고 정의한다. 이하에서는, 프리 스탠딩 타입의 식기세척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9는 도 28에 표시된 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0은 도 28에 도시된 식기세척기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빌트 인 타입(built-in type)의 식기세척기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30에서 프론트 도어(130)는 생략한다.
도 28 내지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기세척기(100b)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housing)(50)을 포함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b)는 내부에 세척공간(330)이 형성되는 터브(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브(110)는 하우징(5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터브(110)는 프론트 도어(130)에 의해 개폐 가능한 전면 개구(111)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면 개구(111)는 커버 프레임(40)에 형성되는 개구(41)보다 더 클 수 있다. 터브(110)는 커버 프레임(40)에 형성되는 개구(41)에 대응하도록 마련되는 상면 개구(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b)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복수의 도어(120,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식기세척기(100b)는 식기의 탑 로딩(top loading)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상부 도어(120)와 식기의 프론트 로딩(front loading)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프론트 도어(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도어(120) 및 프론트 도어(130)는 각각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상부 도어(120) 및 프론트 도어(130)의 설치 형태는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상부 도어(120) 및 프론트 도어(130)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부 도어(120)는 커버 프레임(4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프론트 도어(130)는 터브(1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프론트 도어(130)에는, 터브(110)의 내측으로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함(141) 및 터브(110)의 내측으로 린스를 공급하는 린스함(142) 중 적어도 하나가 마련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b)는 커버 프레임(cover frame)(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 프레임(40)은 터브(1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 도어(120)는 커버 프레임(40)에 설치될 수 있다.
커버 프레임(40)은, 상부 도어(120)가 안착되도록 마련되는 안착부(151)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 프레임(40)의 안착부(151)에는, 힌지축(291)을 포함하는 상부 도어 힌지(290)가 장착될 수 있다. 상부 도어(120)는 힌지축(29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부 도어 힌지(290)에 결합될 수 있다. 상부 도어 힌지(290)의 힌지축(291)은 식기세척기(100b)의 좌우방향(Y)으로 연장될 수 있다.
커버 프레임(40)은, 안착부(151)로부터 식기세척기(100b)의 상하방향(Z)으로 연장되는 제 1벽(15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벽(152)은, 안착부(151)의 외측 단부로부터 식기세척기(100b)의 상방을 향하도록 식기세척기(100b)의 상하방향(Z)으로 연장될 수 있다. 안착부(151)는 상부 도어(120)의 바닥면과 마주할 수 있고, 제 1벽(152)은 상부 도어(120)의 측면과 마주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안착부(151) 및 제 1벽(152)은 상부 도어(120)가 수용되는 상부 도어 수용공간을 정의할 수 있다.
커버 프레임(40)은, 안착부(151)로부터 식기세척기(100b)의 상하방향(Z)으로 연장되는 제 2벽(15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벽(153)은, 안착부(151)의 내측 단부로부터 식기세척기(100b)의 하방을 향하도록 식기세척기(100b)의 높이방향(Z)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 1벽(152)은, 제 2벽(153)보다 식기세척기(100b)의 상하방향(Z)으로 더 연장될 수 있다. 즉, 제 1벽(152)은, 제 2벽(153)보다 식기세척기(100b)의 상하방향(Z)으로 더 높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제 1벽(152)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은, 제 2벽(153)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보다 식기세척기(100b)의 좌우방향(Y)으로 더 넓은 너비를 가질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b)는 상부 도어 실링부재(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도어 실링부재(300)는 상부 도어(1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부 도어 실링부재(300)는, 터브(110) 내부의 세척수가 상부 도어(120)의 외측으로 새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부 도어(120) 및 커버 프레임(40) 사이의 밀폐성을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상부 도어 실링부재(300)는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부 도어 실링부재(300)는 고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b)는 터브(110)와 커버 프레임(40)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 프레임(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 프레임(60)은 식기세척기(100b)의 상하방향(Z)으로 커버 프레임(40) 및 터브(110) 사이에 배치되어 커버 프레임(40)과 터브(110)를 연결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b)는 전면 개구(111)를 통해 인출 가능하도록 터브(1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바스켓(161,16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바스켓(161,162)은 “프론트 로딩 바스켓”으로 명명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식기세척기(100b)는 식기세척기(100b)의 상하방향(Z)으로 터브(110)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바스켓(161)과, 식기세척기(100b)의 상하방향(Z)으로 상부 바스켓(161)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바스켓(162)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바스켓(161,162)에 대한 설명은 도 3 및 도 4에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바 생략한다.
식기세척기(100b)는 프론트 도어 실링부재(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도어 실링부재(320)는 프론트 도어(130)에 결합될 수 있다. 프론트 도어 실링부재(320)는, 터브(110) 내부의 세척수가 프론트 도어(130)의 외측으로 새는 것을 방지하도록 터브(110) 및 프론트 도어(130) 사이의 밀폐성을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프론트 도어 실링부재(320)는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프론트 도어 실링부재(320)는 고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b)의 프론트 도어(130)는 식기세척기(100b)의 전면(前面)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b)의 상부 도어(120)는 식기세척기(100b)의 상면(上面)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식기세척기(100b)의 상부 도어(120)는 커버 프레임(40)과 함께 식기세척기(100b)의 상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식기세척기(100b)는 상부 도어(120)를 개폐하기 위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핸들(40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28 내지 도 30에 도시된 식기세척기(100b)는 도 17 내지 도 23에 도시된 핸들(400)과 동일한 핸들(4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도 28 내지 도 30에 도시된 식기세척기(100b)는 도 24에 도시된 핸들(400a), 도 26에 도시된 핸들(400c) 또는 도 27에 도시된 핸들(400d) 중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0)

  1. 수납공간을 가지는 캐비닛과, 개구를 가지도록 상기 캐비닛 상에 배치되는 카운터를 포함하는 시스템 키친에, 빌트 인(built-in) 방식으로 설치되는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식기세척기는,
    전면 개구를 가지는 터브;
    상기 전면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프론트 도어;
    상기 식기세척기의 상하방향으로 상기 터브와 이격되도록 상기 카운터의 개구에 장착되는 커버 프레임;
    상기 카운터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커버 프레임에 설치되는 상부 도어; 및
    상기 식기세척기의 상하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상기 커버 프레임 및 상기 터브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폐루프(closed loop) 형상을 가지는 식기세척기.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탄성재질을 가지는 식기세척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벤딩부를 가지는 식기세척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커버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 1단부; 및
    상기 터브에 결합되고, 상기 제 1단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 2단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제 1단부는 상기 커버 프레임의 외면을 덮도록 상기 커버 프레임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연결부재의 제 1단부를 상기 커버 프레임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연결부재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와이어(wire)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는, 상기 카운터의 개구에 대응하는 상면 개구를 가지고,
    상기 연결부재의 제 2단부는 상기 터브의 상면 개구를 통과하여 상기 터브의 내면에 결합되는 식기세척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의 내부로부터 상기 식기세척기의 상방으로 상기 연결부재의 제 2단부를 상기 터브의 내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식기세척기의 좌우방향 또는 전후방향으로 상기 연결부재의 제 2단부를 상기 터브의 내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프레임의 외면에는 복수의 돌기가 상기 식기세척기의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제 1단부에는 상기 복수의 돌기 사이에 결합되는 걸림부가 마련되는 식기세척기.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를 향하는 상기 커버 프레임의 일 단부에는 상기 커버 프레임의 둘레를 따라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제 1단부에는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는 결합부가 마련되는 식기세척기.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는,
    터브 바디; 및
    상기 터브 바디의 상부에 결합되고, 집수(集水)부가 마련되는 터브 탑;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커버 프레임 및 상기 터브 탑을 연결하는 식기세척기.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수납공간을 가지는 캐비닛과, 개구를 가지도록 상기 캐비닛 상에 배치되는 카운터를 포함하는 시스템 키친에, 빌트 인(built-in) 방식으로 설치되는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식기세척기는,
    전면 개구를 가지는 터브;
    상기 전면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프론트 도어;
    상기 카운터의 개구에 장착되는 커버 프레임;
    상기 카운터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커버 프레임에 설치되는 상부 도어; 및
    상기 식기세척기의 상하방향으로 상기 커버 프레임 및 상기 터브 사이에 위치하는 공간을 정의하도록 마련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은, 상기 카운터의 두께에 따라 가변되는 식기세척기.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은, 상기 카운터의 두께가 두꺼우면 커지고, 상기 카운터의 두께가 얇으면 작아지는 식기세척기.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식기세척기의 상하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식기세척기.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프레임은, 상기 식기세척기의 상하방향으로 상기 터브와 이격되도록 상기 카운터의 개구에 장착되는 식기세척기.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프레임은,
    상기 상부 도어가 안착되는 제 1공간; 및
    상기 식기세척기의 상하방향으로 상기 제 1공간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 2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은, 상기 식기세척기의 상하방향으로 상기 제 2공간 및 상기 터브 사이에 위치하는 식기세척기.
  18.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공간의 너비는 상기 제 2공간의 너비보다 큰 식기세척기.
  19.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수납공간을 가지는 캐비닛과, 개구를 가지도록 상기 캐비닛 상에 배치되는 카운터를 포함하는 키친 시스템에, 빌트 인(built-in) 방식으로 설치되는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식기세척기는,
    전방 개구를 가지는 터브;
    상기 전방 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터브에 설치되는 프론트 도어;
    상기 카운터의 개구에 장착되는 커버 프레임; 및
    상기 카운터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커버 프레임에 설치되는 상부 도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20. ◈청구항 2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수납공간 및 상기 수납공간을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를 가지는 캐비닛과, 개구를 가지도록 상기 캐비닛 상에 배치되는 카운터를 포함하는 키친 시스템에, 빌트 인(built-in) 방식으로 설치되는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식기세척기는,
    전방 개구를 가지는 터브;
    상기 전방 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터브에 설치되는 프론트 도어;
    상기 카운터의 개구에 장착되는 커버 프레임; 및
    상기 카운터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커버 프레임에 설치되는 상부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도어는 상기 캐비닛의 도어와 함께 상기 키친 시스템의 전면(前面) 외관을 형성하는 식기세척기.
KR1020197030193A 2017-08-31 2018-05-24 식기세척기 KR1024862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482 2017-08-31
KR20170111482 2017-08-31
KR1020170111426 2017-08-31
KR20170111426 2017-08-31
PCT/KR2018/005892 WO2019045231A1 (ko) 2017-08-31 2018-05-24 식기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7740A KR20200037740A (ko) 2020-04-09
KR102486274B1 true KR102486274B1 (ko) 2023-01-10

Family

ID=65525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0193A KR102486274B1 (ko) 2017-08-31 2018-05-24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471022B2 (ko)
EP (1) EP3669740A4 (ko)
KR (1) KR102486274B1 (ko)
CN (1) CN111050620B (ko)
WO (1) WO2019045231A1 (ko)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48878A (en) * 1970-01-05 1972-03-14 Tappan Co The Modular shell for disposers and the like
IT7934040V0 (it) * 1979-12-10 1979-12-10 Zanussi A Spa Industrie Macchina lavatrice con piano di lavoro regolabile.
KR940009441B1 (ko) * 1991-08-08 1994-10-13 이완근 다목적 설겆이대
JP3548849B2 (ja) * 1997-04-11 2004-07-28 三菱電機株式会社 食器洗浄機付き流し台
JPH11178661A (ja) * 1997-12-18 1999-07-06 Mitsubishi Electric Corp 食器洗浄乾燥機付き流し台
JP3472967B2 (ja) * 1998-03-27 2003-12-02 株式会社東芝 洗浄機
JP2001061743A (ja) * 1999-08-30 2001-03-13 Mitsubishi Electric Home Appliance Co Ltd 食器洗浄機付き流し台
JP2004329249A (ja) * 2003-04-30 2004-11-25 Yamaha Livingtec Corp 食器洗浄等機器およびシステムキッチン
JP2007215886A (ja) * 2006-02-20 2007-08-30 Hitachi Appliances Inc 食器洗い乾燥機
KR20110006400A (ko) * 2009-07-14 2011-01-20 경기도 족도리풀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살충활성 조성물
ES2387858A1 (es) * 2009-08-25 2012-10-02 BSH Electrodomésticos España S.A. Maquina lavavajillas con dispositivo de fijacion en un hueco de instalación.
DE102009045659A1 (de) * 2009-10-14 2011-04-21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erschlusselement zum Verschließen eines Spaltes zwischen Einbaugerät und Möbelumbau
KR20110006400U (ko) * 2009-12-18 2011-06-24 김선화 빌트인용 식기세척기
KR101643740B1 (ko) * 2015-02-24 2016-07-28 이병희 씽크대용 살균건조기
WO2019045230A1 (ko) * 2017-08-31 2019-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KR102379996B1 (ko) * 2017-08-31 2022-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KR102491589B1 (ko) * 2017-08-31 2023-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및 가전제품
CN109680769A (zh) * 2019-02-19 2019-04-26 合肥培恩电器有限公司 一种具有超声波清洗和臭氧解毒双重功能的水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69740A1 (en) 2020-06-24
CN111050620B (zh) 2023-10-27
KR20200037740A (ko) 2020-04-09
US11471022B2 (en) 2022-10-18
CN111050620A (zh) 2020-04-21
WO2019045231A1 (ko) 2019-03-07
US20200397211A1 (en) 2020-12-24
EP3669740A4 (en) 202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00375B2 (en) Two level conduit docking port mechanism for a dishwashing appliance
EP1790271B1 (en) Flexible utility link for a drawer-type dishwasher
US11089936B2 (en) Dishwasher and home appliance
KR102486273B1 (ko) 식기세척기
US10813530B2 (en) Rack mount for a dishwasher appliance
US10034597B1 (en) Rack mounting features for a dishwasher appliance
US10602909B2 (en) Stable height adjuster mechanism
US11259682B2 (en) Dishwasher
KR102486274B1 (ko) 식기세척기
US9138126B2 (en) Height adjustable conduit for a dishwashing appliance
US10456006B2 (en) Rack mounting features for a dishwasher appliance
KR102058074B1 (ko) 식기세척기
JP3546809B2 (ja) 食器洗浄機
US11484177B2 (en) Dishwasher appliance water valve mounting bracket
US20240122439A1 (en) Pocket handle bend tab for an appliance
JP3494179B2 (ja) 食器洗浄機
JP2004000790A (ja) 食器洗浄機
DK201800291A1 (en) Splash Screen
JP2001292947A (ja) 食器洗浄装置
JPH0956506A (ja) 食器洗浄機組み込みキャビネット
KR20070082832A (ko) 식기 세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