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3060A - 컵세척기 - Google Patents

컵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3060A
KR20240043060A KR1020230074419A KR20230074419A KR20240043060A KR 20240043060 A KR20240043060 A KR 20240043060A KR 1020230074419 A KR1020230074419 A KR 1020230074419A KR 20230074419 A KR20230074419 A KR 20230074419A KR 20240043060 A KR20240043060 A KR 202400430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rgent
rinse
tub
wat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4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경진
오세재
정태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AU2023354470A priority Critical patent/AU2023354470A1/en
Priority to PCT/KR2023/013989 priority patent/WO2024071782A1/ko
Publication of KR20240043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30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65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specially adapted for drinking glas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02Washing processes, i.e. machine working principles characterised by phases or operational steps
    • A47L15/0007Washing ph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21Regulation of operational steps within the washing processe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from the detergent nature or from the condition of the crocker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6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internal components of the machin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63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using remote monitoring or controlling of the dishwasher operation, e.g. network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2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irculation and agitation of the cleaning liquid in the cleaning chamber containing a stationary basket
    • A47L15/1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irculation and agitation of the cleaning liquid in the cleaning chamber containing a stationary basket by introduc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into the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17Fittings for water supply, e.g. valves or plumbing means to connect to cold or warm water lines, aquas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19Water re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25Arrangements or adaption of recirculation or discharge pum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46Details of the tub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47L15/4259Arrangements of locking or security/safety devices for doors, e.g. door latches, switch to stop operation when door is op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47L15/4261Connections of the door to the casing, e.g. door hin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47L15/4265Arrangements of door covering/decoration panels or plinths, e.g. for integrated dishwash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74Arrange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e.g. control units or c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78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78Nozzles
    • A47L15/428Rotary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85Water-heater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4Devices for adding cleaning agents; Devices for dispensing cleaning agents, rinsing aids or deodora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4Devices for adding cleaning agents; Devices for dispensing cleaning agents, rinsing aids or deodorants
    • A47L15/4418Devices for adding cleaning agents; Devices for dispensing cleaning agents, rinsing aids or deodorants in the form of liqui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47L15/486Blower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47L15/488Connections of the tub with the ambient air, e.g. air intake or ven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5Inserts, e.g. for holding baby bottles, stemware or cu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6Arrangements for lifting rack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11/00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e.g. the occurrence of a condition, not provided for elsewhe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12Water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01Water supply, e.g. opening or closure of the water inlet valv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22Loading doors, e.g. door latches, inflatable door sea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26Indication or alarm to the controlling device or to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34Change machine operation from normal operational mode into special mode, e.g. service mode, resin regeneration mode, sterilizing mode, steam mode, odour eliminating mode or special cleaning mode to clean the hydraulic circui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601/00Washing method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treatment
    • A47L2601/03Pressurised, gaseous medium, also used for delivering of cleaning liqui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11/00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e.g. the occurrence of a condition,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011/04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e.g. the occurrence of a condition, not provided for elsewhere related to queu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컵세척기의 일 실시예는, 수용된 컵을 세척하는 세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세척부는 터브의 일측에 배치되고 세제를 저장하는 세제저장부, 세제저장부의 하부에 결합하는 세제주입부, 세제주입부와 연결되고 세제를 터브로 펌핑하는 세제펌프, 터브의 일측에 세제저장부와 분리되어 배치되고 린스를 저장하는 린스저장부, 린스저장부의 하부에 결합하는 린스주입부, 및 린스주입부와 연결되고 린스를 터브로 펌핑하는 린스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컵세척기{CUP WASHER}
본 발명은 컵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컵을 세척하는 컵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최근 환경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음료수를 파는 매장에서는 손님에게 일회용 컵의 제공을 줄이고 있으며, 매장을 방문하는 손님은 텀블러 등의 다회용 컵을 휴대하고, 다회용 컵에 음료수를 담아가는 추세가 증가하고 있다.
손님 즉, 다회용 컵의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가 휴대하는 컵을 세척하는 컵세척기를 매장에 비치하고, 사용자가 휴대한 컵을 편리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휴대한 컵을 세척할 수 있는 컵세척기를 매장에 배치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컵을 세척하는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컵세척기는 누구나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필요가 있다.
관련된 선행기술은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016470호에 개시된다.
세척과정은 크게 물을 컵에 분사하여 컵을 세척하는 세척작업과 물을 이용한 세척을 한 후에 다시 깨끗한 물을 컵에 분사하여 컵을 헹구는 헹굼작업으로 진행될 수 있다.
깔끔한 세척을 위해, 세척작업에서는 물에 세제를 혼합하여 세척을 진행할 필요가 있고, 헹굼작업에서는 물에 린스를 혼합하여 헹굼을 진행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에는 스팀을 이용하여 컵의 세척을 진행하는 내용만 개시된다. 특히, 선행기술에는 세제를 사용하지 않고 컵을 세척하는 내용이 개시된다. 이로 인해, 선행기술로부터는 세제를 이용한 컵세척 방법을 전혀 도출할 수 없다.
컵세척기를 이용하여 컵을 세척하는 경우에, 컵을 깔끔하게 세척하기 위해, 세척부에 세제와 린스를 주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세제와 린스를 세척부에 주입하는 장치가 컵세척기에 구비될 필요가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세제주입장치와 린스주입장치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작할 필요없이, 세척과정이 진행됨에 따라 적절한 시기에 세제와 린스가 세척부로 주입되도록 구비될 필요가 있다.
또한, 세제는 컵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세척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질이고, 린스는 세제를 이용한 컵세척을 마친 후에 컵에 잔류하는 세제를 헹구기 위해 사용되는 물질이다.
따라서, 세제가 세척부에 주입되는 경로와 린스가 세척부에 주입되는 경로가 분리되도록 세제주입장치와 린스주입장치가 구비될 필요가 있다.
또한, 세척과 헹굼이 원활하게 진행되기 위해, 세척수에 유입되는 물이 세제 또는 린스와 효과적으로 혼합되는 구조가 컵세척기에 구비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세제와 린스를 세척부에 주입하는 장치가 구비되는 컵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별도로 조작할 필요가 없이, 자동으로 동작하는 세제주입장치와 린스주입장치가 구비되는 컵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세제와 린스가 터브로 주입되는 경로가 분리되는 구조를 가진 세제주입장치와 린스주입장치가 구비되는 컵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세척수에 유입되는 물이 세제 또는 린스와 효과적으로 혼합되는 구조를 가진 컵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컵세척기의 일 실시예는, 수용된 컵을 세척하는 세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세척부는 터브의 일측에 배치되고 세제를 저장하는 세제저장부, 세제저장부의 하부에 결합하는 세제주입부, 세제주입부와 연결되고 세제를 터브로 펌핑하는 세제펌프, 터브의 일측에 세제저장부와 분리되어 배치되고 린스를 저장하는 린스저장부, 린스저장부의 하부에 결합하는 린스주입부, 및 린스주입부와 연결되고 린스를 터브로 펌핑하는 린스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제펌프와 린스펌프는 컵세척기에 구비되는 제어부와 연결되고 제어부에 의해 설정된 시점에 동작하여 터브로 세제 또는 린스를 주입하여 터브에서 물과 혼합되도록 할 수 있다.
컵세척기의 일 실시예는, 세척수유입구와 저수조를 연결하는 제1연결배관, 린스주입노즐과 제1연결배관을 연결하는 제2연결배관, 및 제1연결배관에 장착되고 제2연결배관의 일단이 장착되는 삼방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린스는 제2연결배관, 삼방연결부, 제1연결배관 및 세척수유입구를 통해 터브로 유입될 수 있다. 반면, 세제는 별도의 배관을 통해 연결된 세제유입구를 통해 유입될 수 있다.
린스주입노즐로부터 토출되는 린스는 제2연결배관으로부터 제1연결배관으로 유입되어 제1연결배관을 유동하는 물에 혼합되어 터브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물과 린스는 하나의 배관에서 서로 만나서 유동하여 세제유입구를 통해 터브로 유입될 수 있다.
세척부는 랙을 포함할 수 있다. 랙은 터브 내부에 구비되고 컵이 안착되고, 복수의 와이어가 서로 결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랙은 제1유로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유로가이드부는 바닥부와 결합하고, 세척수유입구를 바라보도록 배치되어 세척수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세제유입구로 유입되는 세제를 향하도록 할 수 있다.
제1유로가이드부는 터브의 후방부에 배치되어 세척수유입구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세척수유입구로 유입되어 터브 내부로 쏟아지는 물은 제1유로가이드부에 부딪히면서 유로가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컵세척기의 세척부는, 컵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세척수가 분사되는 터브, 터브의 일측에 배치되고 세제를 저장하는 세제저장부, 세제저장부의 하부에 결합하는 세제주입부, 및 세제주입부와 연결되고 세제를 터브로 펌핑하는 세제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제펌프는, 세제주입부와 연결되어 세제주입부로부터 세제가 유입되는 제1커넥터, 및 일측은 제1커넥터와 연결되고, 터브 내부로 세제를 토출하는 세제토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제토출부는, 제1커넥터와 연결되어 제1커넥터로부터 유입되는 세제를 펌핑하는 세제펌핑부, 및 세제펌핑부와 결합하고, 터브와 연결되고, 터브로 세제를 주입하는 세제주입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세척부는, 터브의 일측에 세제저장부와 분리되어 배치되고 린스를 저장하는 린스저장부, 린스저장부의 하부에 결합하는 린스주입부, 및 린스주입부와 연결되고 린스를 터브로 펌핑하는 린스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린스펌프는, 린스주입부와 연결되어 린스주입부로부터 린스가 유입되는 제2커넥터, 및 일측은 제2커넥터와 연결되고, 타측은 터브와 연결되어 터브 내부로 린스를 토출하는 린스토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린스토출부는, 제2커넥터와 연결되어 제2커넥터로부터 유입되는 린스를 펌핑하는 린스펌핑부, 및 린스펌핑부와 결합하고, 터브와 연결되고, 터브로 린스를 주입하는 린스주입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세제주입부는, 세제저장부의 하부에 결합하는 제1하부커버, 및 제1하부커버로부터 하측방향으로 돌출되고, 제1커넥터와 결합하고, 세제가 유동하는 제1유동홀이 형성되는 제1연결부를 포함하고, 제1하부커버는, 상면이 제1유동홀을 향하여 나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린스주입부는, 린스저장부의 하부에 결합하는 제2하부커버, 및 제2하부커버로부터 하측방향으로 돌출되고, 제2커넥터와 결합하고, 린스가 유동하는 제2유동홀이 형성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고, 제2하부커버는, 상면이 제2유동홀을 향하여 나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터브는, 세제주입노즐과 배관으로 연결되고, 세제주입노즐로부터 터브로 세제가 유입되는 세제유입구, 및 세제유입구의 상측에 배치되고, 터브로 물이 유입되는 세척수유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컵세척기는, 세척부의 하측에 배치되고 물이 저장되는 저수조, 세척수유입구와 저수조를 연결하는 제1연결배관, 린스주입노즐과 제1연결배관을 연결하는 제2연결배관, 및 제1연결배관에 장착되고 제2연결배관의 일단이 장착되는 삼방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린스주입노즐로부터 토출되는 린스는 제2연결배관으로부터 제1연결배관으로 유입되어 제1연결배관을 유동하는 물에 혼합되어 터브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세척부는, 터브의 측면부위에 배치되고, 가열된 공기를 터브 내부로 분사하는 건조모듈, 터브의 하측에 배치되고, 터브에서 분사되는 물을 저장하는 섬프, 터브의 하측에 배치되고, 물을 터브와 섬프 사이에서 순환시키는 순환펌프, 및 터브의 하측에 배치되고, 물을 섬프로부터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제주입부는, 제1하부커버로부터 돌출되고, 터브와 결합하는 제1-1커버결합돌기, 제1하부커버로부터 돌출되고, 제1커넥터와 결합하는 제1-2커버결합돌기, 및 제1하부커버로부터 돌출되고, 제1삽입홈이 형성되는 제1-3커버결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커넥터는, 제1-2커버결합돌기에 체결되는 제1체결부, 및 제1삽입홈에 삽입되어 제1-3커버결합돌기와 결합하는 제1결합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제펌프는 제1커넥터가 결합하는 제1몸체를 포함하고, 제1몸체는 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건조모듈에 체결되는 제1-1모듈체결부를 포함하고, 건조모듈은 제1-1모듈체결부를 향하여 돌출되고, 제1-1모듈체결부가 체결되는 제1-2모듈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린스주입부는, 제2하부커버로부터 돌출되고, 터브와 결합하는 제2-1커버결합돌기, 제2하부커버로부터 돌출되고, 제2커넥터와 결합하는 제2-2커버결합돌기, 및 제2하부커버로부터 돌출되고, 제2삽입홈이 형성되는 제2-3커버결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커넥터는, 제2-2커버결합돌기에 체결되는 제2체결부, 및 제2삽입홈에 삽입되어 제2-3커버결합돌기와 결합하는 제2결합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린스펌프는 제2커넥터가 결합하는 제2몸체를 포함하고, 제2몸체는 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건조모듈에 체결되는 제2-1모듈체결부를 포함하고, 건조모듈은 제2-1모듈체결부를 향하여 돌출되고, 제2-1모듈체결부가 체결되는 제2-2모듈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컵세척기에서, 세척부에는 터브의 외부에 세제주입장치와 린스주입장치가 서로 분리되어 배치될 수 있다. 세제주입장치와 린스주입장치에 의해 터브 내부로 유입된 물은 세제 또는 린스와 혼합될 수 있다.
따라서, 물을 분사하여 컵을 세척하는 경우에 물과 세제가 혼합된 세척수가 컵으로 분사되어 컵의 세척효율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컵을 세척한 후에 컵을 헹구는 경우에 물과 린스가 혼합된 세척수가 컵으로 분사되어 컵을 효과적으로 헹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컵세척기에서, 세제펌프와 린스펌프는 컵세척기에 구비되는 제어부와 연결되고 제어부에 의해 설정된 시점에 동작하여 터브로 세제 또는 린스를 주입하여 터브에서 물과 혼합되도록 할 수 있다. 관리자는 세제저장부와 린스저장부에 주기적으로 세제와 린스를 보충할 수 있다.
따라서, 따라서, 자신의 컵을 세척하려는 사용자는 세제와 린스를 물에 첨가하기위한 별도의 동작을 할 필요없이 편리하게 세제를 이용하여 컵의 세척효율을 높일 수 있고, 컵의 세척후에 린스를 이용하여 컵을 깨끗하게 헹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컵세척기에서, 린스는 제2연결배관, 삼방연결부, 제1연결배관 및 세척수유입구를 통해 터브로 유입될 수 있다. 반면, 세제는 별도의 배관을 통해 연결된 세제유입구를 통해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세제와 린스가 터브에 유입되는 시점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세제와 린스가 터브로 주입되는 경로가 분리되어, 세제와 린스가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컵세척기의 세척작업 및 헹굼작업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컵세척기에서, 물과 린스는 하나의 배관에서 서로 만나서 유동하여 세제유입구를 통해 터브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과 린스는 유동하면서 더욱 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고, 물과 린스가 균일하게 혼합된 세척수가 컵에 분사되어 컵의 헹굼작업이 효과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컵세척기에서, 랙은 터브의 세척수유입구와 인접한 위치에 물의 유동방향을 가이드하는 제1유로가이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터브로 유입되는 물은 제1유로가이드부에 의해 터브로 유입되는 세제를 향하여 유동할 수 있다. 따라서, 유동하는 물이 세제와 혼합되므로 물과 세제는 서로 원활하게 혼합되고, 컵세척기의 세척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컵세척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컵세척기에서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일부 부품을 생략한 컵세척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측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부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제주입장치와 린스주입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세제주입장치와 린스주입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12는 세척부의 일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12를 반대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제주입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6은 세제주입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세척부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린스주입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0은 린스주입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세척부에 배관이 연결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랙의 일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상하방향"은 컵세척기가 일상적으로 사용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컵세척기의 상하방향을 의미한다. "좌우방향"은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전후방향은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 모두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양측방향" 또는 "측방향"은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을 포함하는 의미를 가진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컵세척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실시예에 따른 컵세척기는 예를 들어 음료수를 서비스하는 매장에 구비될 수 있다. 컵세척기의 사용자는 음료수를 사서 마시는 손님일 수 있다. 환경보호를 위해 최근에는 서비스 매장에서 일회용 컵을 손님에게 제공하는 것이 제한되고 있고, 이러한 제한범위는 점차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다회용 컵을 휴대하는 사용자가 서비스 매장에서 컵을 세척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컵세척기가 서비스 매장에 구비될 수 있다. 세척의 대상인 컵은 사용자가 휴대하는 텀블러 등의 다회용 컵일 수 있다. 따라서, 컵세척기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컵세척기의 상부에는 컵을 수용하여 세척하는 세척부(130)가 구비될 수 있다. 세척부(130)는 도어(15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이때, 도어(150)는 컵세척기의 상하방향으로 힌지회전하여 세척부(130)를 개폐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사용자는 허리를 굽히지 않고, 손으로 도어(150)를 열어 세척부(130)에 컵을 놓고, 다시 도어(150)를 닫은 후에 컵세척기를 작동시켜 편리하게 컵을 세척할 수 있다.
사용자가 허리를 굽히지 않고 컵세척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컵세척기에서 세척부(130)의 높이가 성인의 신체에 맞도록 적절하게 조절될 필요가 있다. 또한, 공간효율을 높이기 위해 컵세척기는 비교적 작은 부피를 가지도록 구비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컵세척기는 평면 단면적이 비교적 작고, 상하방향 길이가 비교적 긴 타워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타워형의 형상으로 인해, 컵세척기는 부피가 비교적 큰 부품은 상하방향으로 배치될 필요가 있다.
또한, 타워형의 형상으로 인해 컵세척기는 전복의 위험이 발생할 수 있는데, 컵세척기의 전복을 억제하기 위해, 하부에 하중이 비교적 큰 부품을 배치하여 전체적인 무게중심을 낮출 필요가 있다.
이하에서 컵세척기의 구조를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컵세척기에서 도어(150)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일부 부품을 생략한 컵세척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측면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컵세척기는 베이스플레이트(110), 저수조(120), 세척부(130), 중간플레이트(140), 도어(150), 프레임(16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110)는 컵세척기의 최하부에 배치되고, 컵세척기의 다른 부품을 지지할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110)의 하부는 지면에 놓일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110)는 제1파트(111)와 제2파트(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파트(111)는 하면이 지면에 놓일 수 있고, 제2파트(112)를 지지할 수 있다.
제2파트(112)는 제1파트(111)의 상부에 배치되고, 여기에 저수조(12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파트(112)에는 프레임(160)이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파트(112)에는 프런트서포터(161), 리어서포터(162) 및 중간서포터(163)가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160)은 제2파트(11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저수조(120)는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상측에 배치되고, 컵 세척을 위한 물이 저장될 수 있다. 저수조(120)는 배관으로 상수도(city water)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수도의 물이 저수조(120)로 유입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저수조(120)는 배관으로 세척부(130)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저수조(120)의 물은 세척부(130)로 유입되어 세척부(130)에 수용되는 컵의 세척에 사용될 수 있다.
저수조(120)의 내부에는 가열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저수조(120)의 물은 가열장치에 의해 가열되어 세척부(130)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열된 온수를 사용하여 컵을 세척하여 컵의 세척효율을 높일 수 있다.
저수조(120)에는 물이 충만할 수 있다. 따라서, 물이 충만한 저수조(120)는 다른 부품들에 비해 비교적 큰 하중을 가질 수 있다. 저수조(120)는 베이스플레이트(110)에 놓여 컵세척기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컵세척기의 하부에 놓인 물이 충만한 저수조(120)의 하중으로 인해, 컵세척기의 전체적인 무게중심의 높이는 낮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하방향의 길이가 비교적 긴 타워형으로 구비되는 컵세척기는 외부의 충격에도 쉽게 전복되지 않고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세척부(130)는 저수조(120)의 상부에 배치되고, 수용된 컵을 세척할 수 있다. 세척부(130)에는 컵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세척부(130)는 저수조(120)와 배관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세척을 위한 물은 저수조(120)로부터 세척부(130)로 유입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세척부(130)는 저수조(120)를 거치지 않고 상수도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저수조(120)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사용하여 컵을 세척하거나, 또는 상수도에서 바로 유입되는 물을 사용하여 컵을 세척할 수 있다.
중간플레이트(140)는 저수조(120)와 세척부(130) 사이에 배치되고, 세척부(130)를 지지할 수 있다. 중간플레이트(140) 위에는 세척부(130)가 배치되고, 중간플레이트(140)는 세척부(130)의 하중 일부를 지지할 수 있다. 중간플레이트(140)는 대체적으로 판형의 형상을 가지고 가장자리에서 프레임(160)에 결합하여 프레임(16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도어(150)는 세척부(130)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힌지회전하여 세척부(130)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도어(150)는 컵세척기의 상하 방향으로 힌지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어(150)를 수동으로 개방하여 컵(10)을 세척부(130) 내부에 넣고 다시 도어(150)를 닫은 후에 컵(10)의 세척을 진행시킬 수 있다.
세척부(130)의 상단에는 탑커버(210)가 구비될 수 있다. 탑커버(210)의 일부는 세척부(130)의 상단 가장자리 부위에 결합하고 그 위에 도어(150)가 놓일 수 있다.
탑커버(210)의 또다른 일부에는 투입구커버(213)가 구비될 수 있다. 투입구커버(213)는 세척부(130)에 투입되는 세제 및 린스의 입구를 개폐할 수 있고, 탑커버(210)에 착탈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시기세척기의 상단에 있는 도어(150)를 개폐하여 세척부(130)에 컵을 넣거나 세척부(130)로부터 컵을 빼낼 수 있다. 이때, 도어(150)가 상하방향으로 힌지회전하므로, 사용자는 허리를 굽힐 필요없이 편리하게 도어(150)를 움직일 수 있다.
또한, 도어(150)가 힌지회전함으로 인해, 도어(150)가 개방된 상태에서도 평면상으로 보아 컵세척기가 차지하는 면적은 변화가 없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어(150)가 개방되든지 폐쇄되든지 어떠한 경우에도 컵세척기의 평면 단면적은 일정하여 도어(150)를 개방하기 위해 추가로 필요한 공간을 불필요하다.
실시예에서, 컵은 세척부(130)의 상단에서 컵세척기의 상하방향으로 힌지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사용자가 허리를 굽히지 않고 도어(150)를 개폐하여 편리하게 컵세척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조로 인해 도어(150)를 개방하기 위한 추가적인 공간이 불필요하므로, 공간효율을 높일 수 있다.
프레임(160)은 베이스플레이트(110)에 의해 지지되고, 중간플레이트(140)가 결합하고, 세척부(130)를 지지할 수 있다. 프레임(160)은 컵세척기의 내부공간을 마련하고, 여기에 각종의 부품이 결합하고, 이러한 부품들을 지지할 수 있다.
프레임(160)은 프런트서포터(161), 리어서포터(162), 중간서포터(163), 상측서포터(16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60)의 각 구성부품들은 컵세척기의 상부에 구비되는 세척부(130), 도어(150) 등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프런트서포터(161)는 컵세척기의 전방에 서로 이격되는 한 쌍으로 배치되고, 하부가 베이스플레이트(110)에 결합하고, 길이방향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프런트서포터(161)는 컵세척기의 전방에 컵세척기의 측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컵세척기의 전방의 모서리 부위를 형성할 수 있다.
프런트서포터(161)는 컵세척기의 모서리 부위를 형성하기 위해, 단면이 L자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프런트서포터(161)는 나사못 등의 결합기구에 의해 베이스플레이트(110)에 결합할 수 있다.
리어서포터(162)는 컵세척기의 후방에 서로 이격되는 한 쌍으로 배치되고, 하부가 베이스플레이트(110)에 결합하고, 길이방향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리어서포터(162)는 컵세척기의 후방에 컵세척기의 측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컵세척기의 후방의 모서리 부위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리어서포터(162)는 결합기구에 의해 베이스플레이트(110)에 결합할 수 있다.
중간서포터(163)는 서로 이격되는 한 쌍으로 배치되고, 프런트서포터(161) 및 리어서포터(162) 사이에 배치되고, 하부가 베이스플레이트(110)에 결합하고, 길이방향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중간서포터(163)는 컵세척기의 중앙부위에서 컵세척기의 측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중간서포터(163)는 결합기구에 의해 베이스플레이트(110)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중간서포터(163)는 결합기구에 의해 중간플레이트(140), 상측서포터(164)에 결합하여 안정적으로 위치를 유지하고 컵세척기 부품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상측서포터(164)는 중간서포터(163)의 상측에 배치되고, 측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한 쌍으로 배치되고, 길이방향이 전후방향으로 배치되고, 세척부(130)가 결합할 수 있다. 한 쌍의 상측서포터(164)는 컵세척기의 상부에서 컵세척기의 측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세척부(130)는 결합기구에 의해 상측서포터(164)에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상측서포터(164)는 세척부(13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상측서포터(164)는 컵세척기의 상하“‡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도 5 등에서는 컵세척기의 양측으로 한 쌍, 컵세척기의 상하로 한 쌍씩 구비되어 총4개로 구비된 실시예가 도시되었다. 다만, 상측서포터(164)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각각의 상측서포터(164)는 프런트서포터(161), 리어서포터(162) 및 중간서포터(163)에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세척부(130)의 하중은 상측서포터(164)를 통해 프런트서포터(161), 리어서포터(162) 및 중간서포터(163)로 전달되고, 최종적으로 베이스플레이트(110)로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컵세척기는 내부에 구비되는 세척부(1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측서포터(164)는 나사못 들의 결합기구에 의해 프런트서포터(161), 리어서포터(162) 및 중간서포터(163)에 결합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세척부(130)를 비롯한 컵세척기의 상부에 구비되는 부품들은 프레임(160)에 의해 지지되고, 각 부품들은 최종적으로 베이스플레이트(1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세척부(130) 등의 비교적 무거운 부품들이 컵세척기의 상부에 구비된 상태에서도 각 부품들은 프레임(160) 및 베이스플레이트(110)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컵세척기는 프런트패널(170) 및 리어패널(18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런트패널(170)은 컵세척기의 전방에 배치되어 저수조(120) 및 세척부(130)를 덮을 수 있다. 프런트패널(170)은 프레임(160)의 리어서포터(162)에 결합기구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리어패널(180)은 프레임(160)에 결합하여 컵세척기의 후방을 덮을 수 있다. 리어패널(180)에는 컵세척기 내부와 외부가 통풍이 되도록 제1통풍구(181)가 구비될 수 있다. 하기에 설명되는 건조모듈(132)로 유입되는 공기는 제1통풍구(181)를 통해 컵세척기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리어패널(180)에는 컵세척기의 이용이 용이하도록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컵세척기를 잡을 수 있는 손잡이(260)가 결합될 수 있다.
컵세척기는 리어서포터(162)의 상부에 결합하고, 도어(150)의 일측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90)는 도어(150)의 일측에 배치되고 도어(150)로부터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컵세척기의 전방부에서 디스플레이부(190)를 바라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90)에는 컵세척기의 사용에 대한 다양한 정보가 이미지, 문자, 동영상의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90)에 나타난 정보를 보고 컵세척기를 동작시키거나, 컵세척기의 작동상태를 알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90)에는 예를 들어 정전식 터치방식으로 입력되는 명령입력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90)를 이용하여 컵세척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컵세척기는 제1회로기판부(220)와 기판부서포터(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회로기판부(220)는 저수조(120)의 일측에 배치되고, 컵세척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 제1회로기판부(220)는 세척부(130)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피가 작은 저수로가 배치됨으로 인해, 여유공간이 생기는 컵세척기의 하부에 저수조(12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기판부서포터(230)는 하부가 베이스플레이트(110)에 결합하고, 상부가 중간플레이트(140)에 결합하고, 제1회로기판부(220)가 결합할 수 있다. 기판부서포터(230)는 결합기구에 의해 베이스플레이트(110)에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기판부서포터(230)는 제1회로기판부(220)를 고정하는 것뿐만 아니라, 컵세척기의 하부에 배치되는 배관을 고정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컵세척기는 리어패널(180)에 결합하고, 리어서포터(162)를 덮는 외장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리어서포터(162)에는 컵세척기의 다른 부품과 결합을 위해 다수의 체결기구가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체결기구가 체결된 리어서포터(162)를 그대로 외부로 노출시키는 구조의 경우에 컵세척기의 시각적인 심미감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체결기구가 체결된 리어서포터(162)를 덮는 구조가 필요하다.
외장부(250)는 리어서포터(162)를 덮고 리어서포터(162)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매우 적은 수의 체결기구가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외장부(250)는 리어서포터(162)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컵세척기의 외부에 배치되어 컵세척기를 전체적으로 깔끔하게 보이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세척부(13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부(13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부(130)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부(130)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부(130)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세척부(130)는 터브(131)(tub), 건조모듈(132), 섬프(133)(sump), 순환펌프(134), 배수펌프(135)를 포함할 수 있다.
터브(131)는 컵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세척수가 분사될 수 있다. 터브(131)의 내부에는 컵이 거치되는 랙이 구비되고, 하부에 물을 분사하는 분사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터브(131)의 개방된 상단은 도어(15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건조모듈(132)은 터브(131)의 일측에 터브(131)와 연결되도록 배치되고, 건조를 위한 가열된 공기를 터브(131) 내부로 분사할 수 있다. 물에 의한 컵(10) 세척이 완료된 후에, 컵의 표면에는 물기가 남아 있다. 건조모듈(132)은 컵에 가열된 공기 즉, 열풍을 분사하여 컵에 잔류하는 물을 말려 컵을 건조시킬 수 있다.
건조모듈(132)에는 건조모듈(132)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건조모듈(132)에는 건조모듈(132)에 형성되는 유로를 통해 공기가 강제유동하도록 하는 송풍팬(1321)이 구비될 수 있다.
섬프(133)는 터브(131)의 하측에 터브(131)와 연결되도록 배치되고, 터브(131)에서 분사되는 물을 저장할 수 있다. 섬프(133)에 저장된 물은 순환펌프(134)에 의해 터브(131)와 섬프(133)를 순환하면서 터브(131)에서 분사장치에 의해 분사되어 터브(131)에 수용된 컵(10)을 세척할 수 있다.
순환펌프(134)는 터브(131)의 하측에 터브(131) 및 섬프(133)와 연결되도록 배치되고, 물을 터브(131)와 섬프(133) 사이에서 순환시킬 수 있다. 순환펌프(134)는 섬프(133)로부터 터브(131)로 물을 강제로 유동시킬 수 있다.
순환펌프(134)는 터브(131)의 하부에 배치되는 분사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순환펌프(134)가 동작하면, 섬프(133)에 저장된 물은 분사장치로 유입되고 분사장치에 의해 터브(131) 내부에 분사되어 컵을 세척할 수 있다.
배수펌프(135)는 터브(131)의 하측에 섬프(133)와 연결되도록 배치되고, 물을 섬프(133)로부터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물에 의한 컵 세척이 완료되면, 배수펌프(135)가 동작하여 섬프(133)에 저장된 물이 배수펌프(135)와 연결된 드레인배관을 통해 컵세척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저수조(120)에 저장된 물에 의한 컵(10)의 세척과정은 다음과 같다. 상수도로부터 배관을 통해 저수조(120)에 물이 유입되어 저장될 수 있다. 저수조(120)의 물은 저수조(120)에 구비되는 가열장치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저수조(120)의 가열된 온수는 배관을 통해 터브(131) 내부로 유입되어 터브(131) 하부에 배치된 섬프(133)에 저장될 수 있다.
컵의 세척을 위해 순환펌프(134)가 작동하면 온수는 섬프(133)로부터 분사장치를 통과하여 터브(131) 내부에 분사되어 컵을 세척할 수 있다. 터브(131)에 분사된 온수는 다시 섬프(133)에 유입되고, 순환펌프(134)에 의해 다시 분사장치로 유입되고, 분사장치에 의해 터브(131) 내부로 분사될 수 있다.
순환펌프(134)가 동작하는 동안에 세척용 온수는 섬프(133), 분사장치, 터브(131)를 순차적으로 유동하고, 이러한 유동은 반복될 수 있다. 온수에 의한 컵세척이 완료되면 순환펌프(134)는 정지되고, 배수펌프(135)가 동작하여 섬프(133)에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배수펌프(135)에 의한 배수가 완료되면, 건조모듈(132)이 동작하여 터브(131) 내부에 열풍을 분사하고, 설정된 시간동안 열풍분사가 진행된 후에는 건조과정을 포함하는 컵세척 작업이 완료될 수 있다.
컵세척기는 세제를 이용한 세척과 린스를 이용한 헹굼을 함께 진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세제와 린스를 터부로 투입하기 위해 구비되는 구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편, 온수에 의한 컵세척과정에서 세제를 이용한 세척과정과 린스를 이용한 헹굼과정은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온수에 세제를 혼합하여 컵을 세척하는 과정을 완료한 후에 섬프(133)에 있는 물에는 세제와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오염된 물은 배수펌프(135)를 동작시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오염된 물을 외부로 배출한 후에, 다시 섬프(133)에는 온수를 유입시키고, 온수에 린스를 혼합하여 순환펌프(134)를 동작시켜 헹굼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세제를 이용한 세척과정과 린스를 이용한 헹굼과정을 분리하여 컵세척기의 세척효율을 높일 수 있다.
세척부(130)는 세제저장부(136), 린스저장부(137), 세제주입부(138), 린스주입부(139), 세제펌프(1301), 린스펌프(1302)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제저장부(136)는 터브(131)의 후방에 배치되고, 세제를 저장할 수 있다. 린스저장부(137)는 터브(131)의 후방에 세제저장부(136)와 분리되어 배치되고 린스를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세제와 린스는 서로 혼합되지 않을 수 있다.
탑커버(210)에는 세제가 투입되는 세제투입구(211)와 린스가 투입되는 린스투입구(212)가 구비될 수 있다. 세제투입구(211)는 세제저장부(136)와 연결되고, 린스투입구(212)는 린스저장부(137)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세제투입구(211)와 린스투입구(212)로 유입된 세제와 린스는 세제저장부(136)와 린스저장부(137)에 저장될 수 있다.
세제주입부(138)는 세제저장부(136) 및 터브(131)와 연결되고, 세제를 터브(131)로 주입할 수 있다. 세제주입부(138)의 입구는 세제저장부(136)와 연결되고 출구는 터브(131)와 연결될 수 있다.
린스주입부(139)는 린스저장부(137) 및 터브(131)와 연결되고, 린스를 터브(131)로 주입할 수 있다. 린스주입부(139)의 입구는 린스저장부(137)와 연결되고 출수는 터브(131)와 연결될 수 있다.
세제펌프(1301)는 세제주입부(138)와 연결되고 세제를 터브(131)로 펌핑할 수 있다. 린스펌프(1302)는 린스주입부(139)와 연결되고 린스를 터브(131)로 펌핑할 수 있다. 세제펌프(1301)와 린스펌프(1302)는 제어부에 의해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는 세척과정에서 세제펌프(1301)를 동작시켜 세제와 물을 혼합시킬 수 있고, 헹굼과정에서 린스펌프(1302)를 동작시켜 린스와 물을 혼합시킬 수 있다.
저수조(120)는 터브(131)와 배관으로 연결되어 저수조(120)의 물이 터브(131)로 유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저수조(120)의 물은 가열되어 온수가 된 후에 터브(131)로 유입되고, 순환펌프(134)가 동작하기 전까지는 섬프(133)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터브(131)는 상수도와 직접 연결되는 물공급 경로를 함께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컵은 일반세척 또는 급속세척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일반세척은 저수조(120)에서 가열된 온수를 이용하여 컵을 세척하고, 세제와 린스를 사용하여 깨끗한 컵세척이 가능하지만, 상대적으로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다.
급속세척은 상수도로부터 공급되는 상온의 원수를 이용하여 컵을 세척하고, 세제와 린스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상대적으로 세척시간이 짧으므로, 비교적 오염이 덜된 컵을 신속하게 세척하려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제주입장치와 린스주입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세제주입장치와 린스주입장치의 저면도이다. 컵세척기는 수용된 컵(10)을 세척하는 세척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세척부(130)는 컵(10)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세척수가 분사되는 터브(131)를 포함할 수 있다.
세척부(130)는 세제를 터브(131)로 주입하는 세제주입장치와 린스를 터브(131)로 주입하는 주입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제는 물에 혼합되어 컵에 분사되어 컵을 세척할 수 있다. 린스는 물에 혼합되어 컵에 분사되어 컵을 세척한 후에 컵을 헹굴 수 있다.
따라서, 세제가 컵의 세척에 사용된 후에 린스가 컵을 헹구는데 사용될 수 있다. 즉, 세제와 린스는 서로 시차를 두고 터브(131)에 분사되는 물에 혼합될 수 있다. 세제와 린스는 액상으로 구비되어 세제펌프(1301)에 의해 펌핑되어 터브(13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세제주입장치와 린스주입장치는 터브(131)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세제주입장치는 세제저장부(136), 세제주입부(138), 세제펌프(1301)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제저장부(136)는 터브(131)의 일측에 배치되고 세제를 저장할 수 있다. 관리자는 세제저장부(136)에 주기적으로 세제를 부어 세제를 세제저장부(136)에 저장할 수 있다.
세제주입부(138)는 세제저장부(136)의 하부에 결합하고, 세제저장부(136)의 세제를 세제펌프(1301)로 주입시킬 수 있다. 세제주입부(138)는 세제저장부(136)의 하부에 배치되므로, 중력에 의해 세제는 세제주입부(138)로 모여 세제펌프(1301)로 주입될 수 있다.
세제펌프(1301)는 세제주입부(138)와 연결되고 세제를 터브(131)로 펌핑할 수 있다. 세제펌프(1301)는 식기세척기에 구비되는 제어부에 의해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세제펌프(1301)는 설정된 시점에 동작하여 세제주입부(138)로부터 유입되는 세제를 터브(131)로 펌핑할 수 있다.
세제펌프(1301)는 제1몸체(611), 제1커넥터(612), 세제토출부(6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몸체(611)는 세제를 토출하는 펌핑력을 제공하는 모터, 모터와 세제토출부(613)의 토출장치들을 연결하는 기어장치 등이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제1커넥터(612)는 제1몸체(611)에 결합하고, 세제주입부(138)와 연결되어 세제주입부(138)로부터 세제가 유입될 수 있다. 제1커넥터(612)는 세제주입부(138)와 세제토출부(613)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세제토출부(613)는 일측은 제1커넥터(612)와 연결되고, 타측은 터브(131)와 연결되어 터브(131) 내부로 세제를 토출할 수 있다. 세제토출부(613)의 타측에는 배관이 연결되어 세제토출부(613)로부터 토출되는 세제는 배관을 통해 터브(131) 내부로 주입될 수 있다.
세제토출부(613)는 세제펌핑부(6131)와 세제주입노즐(6132)을 포함할 수 있다. 세제펌핑부(6131)는 제1커넥터(612)와 연결되어 제1커넥터(612)로부터 유입되는 세제를 펌핑할 수 있다. 세제펌핑부(6131)는 몸체에 구비되는 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하여 펌핑력을 발생시켜 제1커넥터(612)로 유입되는 세제를 터브(131)로 펌핑할 수 있다.
세제주입노즐(6132)은 세제펌핑부(6131)와 결합하고, 터브(131)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제주입노즐(6132)은 일단부에 터브(131)와 연결되는 배관이 장착될 수 있다. 세제주입노즐(6132)은 터브(131)로 세제를 주입할 수 있다. 세제주입노즐(6132)은 내경이 세제펌핑부(6131)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배관이 연결될 수 있다.
도 12는 세척부(130)의 일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12를 반대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린스주입장치는 린스저장부(137), 린스주입부(139), 린스펌프(130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세제주입장치와 린스주입장치는 대체로 유사한 외형을 가지고, 일부 부품들이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린스저장부(137)는 터브(131)의 일측에 세제저장부(136)와 분리되어 배치되고 린스를 저장할 수 있다. 관리자는 린스저장부(137)에 주기적으로 린스를 부어 린스를 린스저장부(137)에 저장할 수 있다.
린스주입부(139)는 린스저장부(137)의 하부에 결합하고, 린스저장부(137)의 린스를 린스펌프(1302)로 주입시킬 수 있다. 린스주입부(139)는 린스저장부(137)의 하부에 배치되므로, 중력에 의해 린스는 린스주입부(139)로 모여 린스펌프(1302)로 주입될 수 있다.
린스펌프(1302)는 린스주입부(139)와 연결되고 린스를 터브(131)로 펌핑할 수 있다. 린스펌프(1302)는 식기세척기에 구비되는 제어부에 의해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린스펌프(1302)는 설정된 시점에 동작하여 린스주입부(139)로부터 유입되는 린스를 터브(131)로 펌핑할 수 있다.
린스펌프(1302)는 제2몸체(621), 제2커넥터(622), 린스토출부(6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몸체(621)는 린스를 토출하는 펌핑력을 제공하는 모터, 모터와 린스토출부(623)의 토출장치들을 연결하는 기어장치 등이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제2커넥터(622)는 제2몸체(621)에 결합하고, 린스주입부(139)와 연결되어 린스주입부(139)로부터 린스가 유입될 수 있다. 제2커넥터(622)는 린스주입부(139)와 린스토출부(623)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린스토출부(623)는 일측은 제2커넥터(622)와 연결되고, 타측은 터브(131)와 연결되어 터브(131) 내부로 린스를 토출할 수 있다. 린스토출부(623)의 타측에는 배관이 연결되어 린스토출부(623)로부터 토출되는 린스는 배관을 통해 터브(131) 내부로 주입될 수 있다.
린스토출부(623)는 린스펌핑부(6231)와 린스주입노즐(6232)을 포함할 수 있다. 린스펌핑부(6231)는 제2커넥터(622)와 연결되어 제2커넥터(622)로부터 유입되는 린스를 펌핑할 수 있다. 린스펌핑부(6231)는 몸체에 구비되는 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하여 펌핑력을 발생시켜 제2커넥터(622)로 유입되는 린스를 터브(131)로 펌핑할 수 있다.
린스주입노즐(6232)은 린스펌핑부(6231)와 결합하고, 터브(131)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린스주입노즐(6232)은 일단부에 터브(131)와 연결되는 배관이 장착될 수 있다. 린스주입노즐(6232)은 터브(131)로 린스를 주입할 수 있다. 린스주입노즐(6232)은 내경이 린스펌핑부(6231)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배관이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세척부(130)에는 터브(131)의 외부에 세제주입장치와 린스주입장치가 서로 분리되어 배치될 수 있다. 세제주입장치와 린스주입장치에 의해 터브(131) 내부로 유입된 물은 세제 또는 린스와 혼합될 수 있다.
따라서, 물을 분사하여 컵을 세척하는 경우에 물과 세제가 혼합된 세척수가 컵으로 분사되어 컵의 세척효율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컵을 세척한 후에 컵을 헹구는 경우에 물과 린스가 혼합된 세척수가 컵으로 분사되어 컵을 효과적으로 헹굴 수 있다.
실시예에서, 세제펌프(1301)와 린스펌프(1302)는 컵세척기에 구비되는 제어부와 연결되고 제어부에 의해 설정된 시점에 동작하여 터브(131)로 세제 또는 린스를 주입하여 터브(131)에서 물과 혼합되도록 할 수 있다. 관리자는 세제저장부(136)와 린스저장부(137)에 주기적으로 세제와 린스를 보충할 수 있다.
따라서, 따라서, 자신의 컵을 세척하려는 사용자는 세제와 린스를 물에 첨가하기위한 별도의 동작을 할 필요없이 편리하게 세제를 이용하여 컵의 세척효율을 높일 수 있고, 컵의 세척후에 린스를 이용하여 컵을 깨끗하게 헹굴 수 있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제주입부(138)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6은 세제주입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세척부(130)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세제주입부(138)는 제1하부커버(1381), 제1연결부(138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하부커버(1381)는 세제저장부(136)의 하부에 결합하여 세제저장부(136)의 개방된 하면을 덮을 수 있다. 제1하부커버(1381)는 세제저장부(136)의 하면을 덮으므로, 세제저장부(136)에 저장된 액상의 세제는 중력에 의해 하강하여 제1하부커버(1381)의 상면에 놓일 수 있다.
제1연결부(1382)는 제1하부커버(1381)로부터 하측방향으로 돌출되고, 제1커넥터(612)와 결합하고, 세제가 유동하는 제1유동홀(1382a)이 형성될 수 있다. 제1하부커버(1381)의 상면에 놓인 세제는 제1연결부(1382)에 구비되는 제1유동홀(1382a)을 통해 제1커넥터(612)로 유입될 수 있다.
제1하부커버(1381)는 상면이 제1유동홀(1382a)을 향하여 나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하부커버(1381)의 상면에 놓인 액상의 세제는 중력에 의해 제1하부커버(1381)의 상면을 따라 흘러 제1하부커버(1381)의 경사진 상면에서 제일 낮은 위치에 있는 제1유동홀(1382a)의 입구로 모일 수 있다.
제1유동홀(1382a)의 입구에 모인 세제는 제1유동홀(1382a)을 통해 하강하여 제1커넥터(612)를 통과하여 세제토출부(613)로 유입되고, 세제펌핑부(6131)에서 펌핑되어 세제주입노즐(6132)과 배관을 통해 터브(131)로 유입될 수 있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린스주입부(139)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0은 린스주입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린스주입부(139)는 제2하부커버(1391), 제2연결부(139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하부커버(1391)는 린스저장부(137)의 하부에 결합하여 린스저장부(137)의 개방된 하면을 덮을 수 있다. 제2하부커버(1391)는 린스저장부(137)의 하면을 덮으므로, 린스저장부(137)에 저장된 액상의 린스는 중력에 의해 하강하여 제2하부커버(1391)의 상면에 놓일 수 있다.
제2연결부(1392)는 제2하부커버(1391)로부터 하측방향으로 돌출되고, 제2커넥터(622)와 결합하고, 린스가 유동하는 제2유동홀(1392a)이 형성될 수 있다. 제2하부커버(1391)의 상면에 놓인 린스는 제2연결부(1392)에 구비되는 제2유동홀(1392a)을 통해 제2커넥터(622)로 유입될 수 있다.
제2하부커버(1391)는 상면이 제2유동홀(1392a)을 향하여 나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하부커버(1391)의 상면에 놓인 액상의 린스는 중력에 의해 제2하부커버(1391)의 상면을 따라 흘러 제2하부커버(1391)의 경사진 상면에서 제일 낮은 위치에 있는 제2유동홀(1392a)의 입구로 모일 수 있다.
제2유동홀(1392a)의 입구에 모인 린스는 제2유동홀(1392a)을 통해 하강하여 제2커넥터(622)를 통과하여 린스토출부(623)로 유입되고, 린스펌핑부(6231)에서 펌핑되어 린스주입노즐(6232)과 배관을 통해 터브(131)로 유입될 수 있다.
한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브(131)는 세제유입구(1312)와 세척수유입구(1315)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제유입구(1312)는 세제주입노즐(6132)과 배관으로 연결되고, 세제주입노즐(6132)로부터 터브(131)로 세제가 유입될 수 있다. 세제토출부(613)로부터 토출되는 세제는 세제유입구(1312)를 통해 터브(13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세척수유입구(1315)는 세제유입구(1312)의 상측에 배치되고, 터브(131)로 물이 유입될 수 있다. 세척수유입구(1315)는 배관으로 저수조(120)와 연결되고, 저수조(120)로부터 온수가 세척수유입구(1315)를 통해 터브(13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세척수유입구(1315)를 통해 린스가 터브(13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1은 세척부(130)에 배관이 연결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컵세척기는 저수조(120), 제1연결배관(631), 제2연결배관(632), 삼방연결부(633)를 포함할 수 있다. 저수조(120)는 세척부(130)의 하측에 배치되고 컵 세척을 위한 물이 저장될 수 있다.
제1연결배관(631)은 세척수유입구(1315)와 저수조(120)를 연결할 수 있다. 저수조(120)의 물은 가열장치에 의해 가열되어 제1연결배관(631)과 세척수유입구(1315)를 통해 터브(131)로 유입될 수 있다.
제2연결배관(632)은 린스주입노즐(6232)과 제1연결배관(631)을 연결할 수 있다. 삼방연결부(633)는 제1연결배관(631)에 장착되고 제2연결배관(632)의 일단이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린스주입노즐(6232)로부터 토출되는 린스는 삼방연결부(633)에서 제1연결배관(631)을 유동하는 물과 혼합되고, 린스가 혼합된 물은 세척수유입구(1315)를 통해 터브(13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린스주입노즐(6232)로부터 토출되는 린스는 제2연결배관(632)으로부터 제1연결배관(631)으로 유입되어 제1연결배관(631)을 유동하는 물에 혼합되어 터브(13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헹굼작업을 진행하는 경우에, 먼저 섬프(133)에 저장된 오물과 세제가 혼합된 물은 배수펌프(135)를 이용하여 컵세척기 외부로 드레인할 수 있다. 이후에 다시 저수조(120)로부터 온수가 세척수유입구(1315)를 통해 터브(131)로 유입되어 터브(131) 하부의 섬프(133)에 저장될 수 있다.
섬프(133)에 저장된 물을 순환펌프(134)를 이용하여 터브(131)와 섬프(133)를 순환시키면서, 터브(131) 내부에 수용된 컵에 물을 분사하여 컵을 헹굴 수 있다. 이러한 헹굼작업을 진행하는 경우에 물에 린스를 혼합할 수 있다.
헹굼작업을 위해 저수조(120)에서 물을 터브(131)로 유입시켜 섬프(133)에 채우는 경우에 제1연결배관(631)에 물이 유동하는 시점에 동시에 린스를 펌핑할 수 있다. 이때, 삼방연결부(633)를 통해 린스가 유동하는 제2연결배관(632)은 제1연결배관(631)과 연결되고, 따라서 린스는 물과 혼합되어 터브(13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삼방연결부(633)에서 물과 린스는 혼합되어 함께 유동하고, 계속 유동하여 섬프(133)에 저장될 때에는 물과 린스는 더욱 혼합되어 섬프(133)에는 물과 린스가 균일하게 혼합된 상태가 될 수 있다.
한편, 린스는 세제를 이용한 세척작업을 한 후에 컵의 표면에 남은 린스를 씻어내는 헹굼작업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세제와 린스는 컵의 세척작업 전과정에서 서로 혼합되지 않고 분리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터브(131)에는 세척수유입구(1315)와 분리된 세제유입구(1312)가 형성되고, 세제주입노즐(6132)과 세제유입구(1312)는 제1연결배관(631) 또는 제2연결배관(632)과 다른 별도의 배관으로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린스는 제2연결배관(632), 삼방연결부(633), 제1연결배관(631) 및 세척수유입구(1315)를 통해 터브(131)로 유입될 수 있다. 반면, 세제는 별도의 배관을 통해 연결된 세제유입구(1312)를 통해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세제와 린스가 터브(131)에 유입되는 시점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세제와 린스가 터브(131)로 주입되는 경로가 분리되어, 세제와 린스가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컵세척기의 세척작업 및 헹굼작업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물과 린스는 하나의 배관에서 서로 만나서 유동하여 세제유입구(1312)를 통해 터브(131)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과 린스는 유동하면서 더욱 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고, 물과 린스가 균일하게 혼합된 세척수가 컵에 분사되어 컵의 헹굼작업이 효과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컵세척기는 건조모듈(132), 섬프(133), 순환펌프(134), 배수펌프(135)를 포함할 수 있다. 건조모듈(132)은 터브(131)의 측면부위에 터브(131)와 연결되도록 배치되고, 가열된 공기를 터브(131) 내부로 분사할 수 있다. 전술한 세척작업 및 헹굼작업일 진행한 후에 건조모듈(132)을 동작시켜 터브(131)에 수용된 컵의 표면에 남은 물을 건조시킬 수 있다.
섬프(133)는 터브(131)의 하측에 터브(131)와 연결되도록 배치되고, 터브(131)에서 분사되는 물을 저장할 수 있다. 순환펌프(134)는 터브(131)의 하측에 터브(131) 및 섬프(133)와 연결되도록 배치되고, 물을 터브(131)와 섬프(133) 사이에서 순환시킬 수 있다. 순환펌프(134)를 작동시켜 터브(131)에 물을 순환하여 분사함으로써 터브(131)에 수용된 컵을 세척하거나 헹굴 수 있다.
배수펌프(135)는 터브(131)의 하측에 섬프(133)와 연결되도록 배치되고, 물을 섬프(133)로부터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세척작업 또는 헹굼작업을 완료한 후에 섬프(133)에 저장된 물은 배수펌프(135)를 통해 컵세척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제주입부(138)는 제1-1커버결합돌기(1383), 제1-2커버결합돌기(1384), 제1-3커버결합돌기(138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커버결합돌기(1383)는 제1하부커버(1381)로부터 돌출되고, 터브(131)와 결합할 수 있다. 터브(131)에는 제1-1커버결합돌기(1383)와 대응하는 위치에 결합돌기가 돌출되고, 제1-1커버결합돌기(1383)와 터브(131)의 결합돌기는 나사못 등의 결합기구에 의해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제1-2커버결합돌기(1384)는 제1하부커버(1381)로부터 돌출되고, 제1커넥터(612)와 결합할 수 있다. 제1-3커버결합돌기(1385)는 제1하부커버(1381)로부터 돌출되고, 제1삽입홈(1385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제1커넥터(612)는 제1체결부(6121), 제1결합후크(6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체결부(6121)는 제1-2커버결합돌기(1384)에 체결되도록 제1커넥터(612)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2커버결합돌기(1384)는 상대적으로 외부직경 큰 제1대경부(1384a)와, 제1대경부(1384a)로부터 돌출되고 상대적으로 외부직경이 작은 제1소경부(1384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대경부(1384a)와 제1소경부(1384b)에는 결합기구가 체결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커넥터(612)의 제1체결부(6121)는 홀이 형성되고, 제1-2커버결합돌기(1384)의 제1소경부(1384b)는 제1체결부(6121)의 홀에 삽입될 수 있다. 제1소경부(1384b)가 제1체결부(6121)에 삽입된 상태에서 결합기구에 의해 제1-2커버결합돌기(1384)와 제1체결부(6121)는 결합기구에 의해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제1결합후크(6122)는 제1삽입홈(1385a)에 삽입되어 제1-3커버결합돌기(1385)와 결합할 수 있다. 제1삽입홈(1385a)의 세제주입부(138)의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결합후크(6122)는 제1삽입홈(1385a)의 길이방향으로 즉, 세제주입부(138)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삽입홈(1385a)에 삽입될 수 있다.
제1결합후크(6122)는 제1삽입홈(1385a)에 삽입된 상태에서 하향하는 경우에 쉽게 제1삽입홈(1385a)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3커버결합돌기(1385)는 체결기구 없이 제1커넥터(612)에 결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제펌프(1301)는 건조모듈(132)에 결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세제펌프(1301)의 제1몸체(611)에는 제1-1모듈체결부(6111)가 구비되고, 건조모듈(132)에는 제1-2모듈체결부(132a)가 구비될 수 있다.
제1-1모듈체결부(6111)는 제1몸체(611)의 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건조모듈(132)에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제1-2모듈체결부(132a)는 건조모듈(132)로부터 제1-1모듈체결부(6111)를 향하여 돌출되고, 제1-1모듈체결부(6111)가 체결될 수 있다. 제1-1모듈체결부(6111)와 제1-1모듈체결부(6111)는 결합기구에 의해 서로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세제주입장치는 일부는 터브(131)와 결합하고 다른 일부는 건조모듈(132)과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건조모듈(132)은 터브(131)와 세제주입장치 사이에 배치되고, 건조모듈(132)과 세제주입장치는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건조모듈(132)과 세제주입장치를 배치하는 공간을 줄여 컵세척기의 공간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세제주입장치가 건조모듈(132)과 터브(131)에 모두 결합함으로써, 세제주입장치, 건조모듈(132) 및 터브(131) 사이의 결합을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린스주입부(139)는 제2-1커버결합돌기(1393), 제2-2커버결합돌기(1394), 제2-3커버결합돌기(139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1커버결합돌기(1393)는 제2하부커버(1391)로부터 돌출되고, 터브(131)와 결합할 수 있다. 터브(131)에는 제2-1커버결합돌기(1393)와 대응하는 위치에 결합돌기가 돌출되고, 제2-1커버결합돌기(1393)와 터브(131)의 결합돌기는 나사못 등의 결합기구에 의해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제2-2커버결합돌기(1394)는 제2하부커버(1391)로부터 돌출되고, 제2커넥터(622)와 결합할 수 있다. 제2-3커버결합돌기(1395)는 제2하부커버(1391)로부터 돌출되고, 제2삽입홈(1395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제2커넥터(622)는 제2체결부(6221), 제2결합후크(62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체결부(6221)는 제2-2커버결합돌기(1394)에 체결되도록 제2커넥터(622)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2커버결합돌기(1394)는 상대적으로 외부직경 큰 제2대경부(1394a)와, 제2대경부(1394a)로부터 돌출되고 상대적으로 외부직경이 작은 제2소경부(1394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대경부(1394a)와 제2소경부(1394b)에는 결합기구가 체결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커넥터(622)의 제2체결부(6221)는 홀이 형성되고, 제2-2커버결합돌기(1394)의 제2소경부(1394b)는 제2체결부(6221)의 홀에 삽입될 수 있다. 제2소경부(1394b)가 제2체결부(6221)에 삽입된 상태에서 결합기구에 의해 제2-2커버결합돌기(1394)와 제2체결부(6221)는 결합기구에 의해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제2결합후크(6222)는 제2삽입홈(1395a)에 삽입되어 제2-3커버결합돌기(1395)와 결합할 수 있다. 제2삽입홈(1395a)의 린스주입부(139)의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결합후크(6222)는 제2삽입홈(1395a)의 길이방향으로 즉, 린스주입부(139)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제2삽입홈(1395a)에 삽입될 수 있다.
제2결합후크(6222)는 제2삽입홈(1395a)에 삽입된 상태에서 하향하는 경우에 쉽게 제2삽입홈(1395a)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3커버결합돌기(1395)는 체결기구 없이 제2커넥터(622)에 결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린스펌프(1302)는 건조모듈(132)에 결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린스펌프(1302)의 제2몸체(621)에는 제2-1모듈체결부(6211)가 구비되고, 건조모듈(132)에는 제2-2모듈체결부(132b)가 구비될 수 있다.
제2-1모듈체결부(6211)는 제2몸체(621)의 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건조모듈(132)에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제2-2모듈체결부(132b)는 건조모듈(132)로부터 제2-1모듈체결부(6211)를 향하여 돌출되고, 제2-1모듈체결부(6211)가 체결될 수 있다. 제2-1모듈체결부(6211)와 제2-1모듈체결부(6211)는 결합기구에 의해 서로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린스주입장치는 일부는 터브(131)와 결합하고 다른 일부는 건조모듈(132)과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건조모듈(132)은 터브(131)와 린스주입장치 사이에 배치되고, 건조모듈(132)과 린스주입장치는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건조모듈(132)과 린스주입장치를 배치하는 공간을 줄여 컵세척기의 공간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린스주입장치가 건조모듈(132)과 터브(131)에 모두 결합함으로써, 린스주입장치, 건조모듈(132) 및 터브(131) 사이의 결합을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도 2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랙(400)의 일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세척수유입구(1315)는 세제유입구(1312)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세제유입구(1312)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세척수유입구(1315)로 유입되는 물은 터브(131)로 유입되는 세제와 서로 만나지 않고, 물은 터브(131)하부에 있는 섬프(133)로 유입되고, 마찬가지로 세제도 섬프(133)로 유입된 후에, 세제와 물은 서로 혼합될 수 있다.
물이 섬프(133)에 저장된 상태에서 물의 유동은 다소 활발하지 않으므로, 섬프(133)에서 물과 세제가 혼합되는 경우에 물은 세제와 잘 혼합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혼합효율을 높이기 위해, 물과 세제가 터브(131)로 유입되는 각 유입구 근처에서 물과 세제가 서로 혼합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터브(131)의 입구에서 특히 물은 유동이 활발하므로 터브(131)의 각 유입구 근처에서 혼합이 일어나는 경우 물에 대한 세제의 혼합이 원활하게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대해 하기에 설명한다.
터브(131)는 세척수유입구(1315), 세제유입구(1312)를 포함할 수 있다. 세척수유입구(1315), 세제유입구(1312)는 터브(131)의 후방부에 형성될 수 있다. 세제유입구(1312)는 터브(131)의 일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터브(131)로 세제가 유입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세척수유입구(1315)는 세제유입구(1312)의 상측에 배치되고, 터브(131)로 물이 유입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세척부(130)는 랙(400)을 포함할 수 있다. 랙(400)은 터브(131) 내부에 구비되고 컵이 안착되고, 복수의 와이어가 서로 결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랙(400)에는 예를 들어, 컵, 컵의 뚜껑, 빨대 등이 거치될 수 있다.
이때, 컵은 랙(400)에 거꾸로 거치될 수 있다. 즉, 컵의 개방된 입구가 랙(400)의 하부에 놓이고, 컵의 바닥이 랙(400)의 상부에 놓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랙(400)의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분사되는 물은 컵의 내부에 원활하게 유입되어 컵의 내부를 세척할 수 있다.
랙(400)은 전체적으로 와이어가 서로 결합하여 3차원적인 매쉬(mesh)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으로 인해, 랙(400)에 컵 등이 용이하게 거치될 수 있고, 분사되는 물은 랙(400)의 하부를 통과하여 랙(400)에 거치된 컵 등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랙(400)은 바닥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부(410)는 터브(131)의 바닥에 안착하고, 랙(400)에 안착된 컵을 아래에서 지지할 수 있다. 컵 등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바닥부(410)는 대체로 터브(131)의 측방향 전후좌우로 넓게 펼쳐진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바닥부(410)는 가장자리부(411), 제1경사부(412), 제1절곡부(413)를 포함할 수 있다. 가장자리부(411)는 바닥부(410)의 가장자리를 형성하고, 양측에서 일부분이 터브(131)의 상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경사부(412)는 길이방향이 터브(131)의 측방향에 대해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경사부(412)는 복수로 구비되고 각각 서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제1경사부(412)는 컵 등이 놓이는 랙(400)의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제1경사부(412)는 경사를 가지므로, 제1경사부(412)에 놓이는 컵은 전체적으로 터브(131)의 상하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랙(400)에 거치될 수 있다.
제1절곡부(413)는 제1경사부(412)로부터 절곡되어 가장자리부(411)에 결합할 수 있다. 제1경사부(412)가 경사를 가지는 구조가 되기 위해 제1경사부(412)의 일단부에는 제1절곡부(413)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절곡부(413)는 복수로 구비되고, 각각의 제1절곡부(413)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각각의 제1절곡부(413)는 각각의 제1경사부(412)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랙(400)은 제1유로가이드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유로가이드부(440)는 바닥부(410)와 결합하고, 세척수유입구(1315)를 바라보도록 배치되어 세척수유입구(1315)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세제유입구(1312)로 유입되는 세제를 향하도록 할 수 있다.
제1유로가이드부(440)는 터브(131)의 후방부에 배치되어 세척수유입구(1315)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세척수유입구(1315)로 유입되어 터브(131) 내부로 쏟아지는 물은 제1유로가이드부(440)에 부딪히면서 유로가 변경될 수 있다.
제1유로가이드부(440)는 베이스부(441), 제1패드(442)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441)는 바닥부(410)와 결합할 수 있다. 베이스부(441)는 바닥부(410)의 후방에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전체적으로 와이어를 절곡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패드(442)는 베이스부(441)에 결합하고, 세척수유입구(1315)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터브(131)로 유입되는 물의 유동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제1패드(442)는 단면으로 보아 곡선형으로 형성되어 물이 터브(131)의 하측방향으로 유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제1패드(442)는 세척수유입구(1315)를 직접 바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세척수유입구(1315)로 유입되는 물은 제1패드(442)를 향하여 분사되고 제1패드(442)에 부딪혀서 유동방향이 터브(131)의 하측방향으로 변경될 수 있다.
제1패드(442)는 단면이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패드(442)는 하단부에서 세척수유입구(1315) 방향으로 향하도록 곡면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패드(442)에 부딪힌 물은 중력에 의해 하측으로 유동하면서 터브(131)의 벽면에 근접할 수 있다.
한편 세제유입구(1312)는 세척수유입구(1315)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세제유입구(1312)로 유입된 세제는 비교적 점성(viscosity)가 높으므로 터브(131)의 벽면을 따라 흘러내릴 수 있다.
제1패드(442)에 부딪힌 물은 하측으로 유동하면서 터브(131)의 벽면에 근접하므로, 터브(131)의 벽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세제와 만날 수 있다. 따라서, 터브(131) 내부를 유동하는 물은 세제와 만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아직 섬프(133)로 유입되기 전의 위치에서 유동하는 물이 액상의 세제와 만나게 되므로, 섬프(133)에 고인 물에 세제가 혼합되는 경우에 비해, 물은 세제와 원활하게 혼합될 수 있다.
세척과정 중에, 컵세척기에 구비되는 제어부는 물이 세척수유입구(1315)를 통해 터브(131)로 유입되는 시점에 세제가 터브(131)에 유입되도록 세제펌프(130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동하는 물과 세제가 서로 혼합되므로 물은 세제와 원활하게 혼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랙(400)은 터브(131)의 세척수유입구(1315)와 인접한 위치에 물의 유동방향을 가이드하는 제1유로가이드부(440)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터브(131)로 유입되는 물은 제1유로가이드부(440)에 의해 터브(131)로 유입되는 세제를 향하여 유동할 수 있다. 따라서, 유동하는 물이 세제와 혼합되므로 물과 세제는 서로 원활하게 혼합되고, 컵세척기의 세척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20: 저수조
130: 세척부
400: 랙
611: 제1몸체
612: 제1커넥터
613: 세제토출부
621: 제2몸체
622: 제2커넥터
623: 린스토출부

Claims (18)

  1. 수용된 컵을 세척하는 세척부를 포함하는 컵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는,
    컵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세척수가 분사되는 터브;
    상기 터브의 일측에 배치되고 세제를 저장하는 세제저장부;
    상기 세제저장부의 하부에 결합하는 세제주입부; 및
    상기 세제주입부와 연결되고 세제를 상기 터브로 펌핑하는 세제펌프
    를 포함하는,
    컵세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펌프는,
    상기 세제주입부와 연결되어 상기 세제주입부로부터 세제가 유입되는 제1커넥터; 및
    일측은 상기 제1커넥터와 연결되고, 상기 터브 내부로 세제를 토출하는 세제토출부
    를 포함하는,
    컵세척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토출부는,
    상기 제1커넥터와 연결되어 상기 제1커넥터로부터 유입되는 세제를 펌핑하는 세제펌핑부; 및
    상기 세제펌핑부와 결합하고, 상기 터브와 연결되고, 상기 터브로 세제를 주입하는 세제주입노즐
    을 포함하는,
    컵세척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는,
    상기 터브의 일측에 상기 세제저장부와 분리되어 배치되고 린스를 저장하는 린스저장부;
    상기 린스저장부의 하부에 결합하는 린스주입부; 및
    상기 린스주입부와 연결되고 린스를 상기 터브로 펌핑하는 린스펌프
    를 포함하는,
    컵세척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린스펌프는,
    상기 린스주입부와 연결되어 상기 린스주입부로부터 린스가 유입되는 제2커넥터; 및
    일측은 상기 제2커넥터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터브와 연결되어 상기 터브 내부로 린스를 토출하는 린스토출부
    를 포함하는,
    컵세척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린스토출부는,
    상기 제2커넥터와 연결되어 상기 제2커넥터로부터 유입되는 린스를 펌핑하는 린스펌핑부; 및
    상기 린스펌핑부와 결합하고, 상기 터브와 연결되고, 상기 터브로 린스를 주입하는 린스주입노즐
    을 포함하는,
    컵세척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주입부는,
    상기 세제저장부의 하부에 결합하는 제1하부커버; 및
    상기 제1하부커버로부터 하측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커넥터와 결합하고, 세제가 유동하는 제1유동홀이 형성되는 제1연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하부커버는,
    상면이 상기 제1유동홀을 향하여 나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컵세척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린스주입부는,
    상기 린스저장부의 하부에 결합하는 제2하부커버; 및
    상기 제2하부커버로부터 하측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커넥터와 결합하고, 린스가 유동하는 제2유동홀이 형성되는 제2연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하부커버는,
    상면이 상기 제2유동홀을 향하여 나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컵세척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는,
    상기 세제주입노즐과 배관으로 연결되고, 상기 세제주입노즐로부터 상기 터브로 세제가 유입되는 세제유입구; 및
    상기 세제유입구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터브로 물이 유입되는 세척수유입구
    를 포함하는,
    컵세척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의 하측에 배치되고 물이 저장되는 저수조;
    상기 세척수유입구와 상기 저수조를 연결하는 제1연결배관;
    상기 린스주입노즐과 상기 제1연결배관을 연결하는 제2연결배관; 및
    상기 제1연결배관에 장착되고 상기 제2연결배관의 일단이 장착되는 삼방연결부
    를 포함하는,
    컵세척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린스주입노즐로부터 토출되는 린스는 상기 제2연결배관으로부터 상기 제1연결배관으로 유입되어 상기 제1연결배관을 유동하는 물에 혼합되어 상기 터브 내부로 유입되는,
    컵세척기.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는,
    상기 터브의 측면부위에 배치되고, 가열된 공기를 상기 터브 내부로 분사하는 건조모듈;
    상기 터브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터브에서 분사되는 물을 저장하는 섬프;
    상기 터브의 하측에 배치되고, 물을 상기 터브와 상기 섬프 사이에서 순환시키는 순환펌프; 및
    상기 터브의 하측에 배치되고, 물을 상기 섬프로부터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펌프
    를 포함하는,
    컵세척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주입부는,
    상기 제1하부커버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터브와 결합하는 제1-1커버결합돌기;
    상기 제1하부커버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커넥터와 결합하는 제1-2커버결합돌기; 및
    상기 제1하부커버로부터 돌출되고, 제1삽입홈이 형성되는 제1-3커버결합돌기
    를 포함하는,
    컵세척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는,
    상기 제1-2커버결합돌기에 체결되는 제1체결부; 및
    상기 제1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3커버결합돌기와 결합하는 제1결합후크
    를 포함하는,
    컵세척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펌프는 상기 제1커넥터가 결합하는 제1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몸체는 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건조모듈에 체결되는 제1-1모듈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건조모듈은 상기 제1-1모듈체결부를 향하여 돌출되고, 상기 제1-1모듈체결부가 체결되는 제1-2모듈체결부를 포함하는,
    컵세척기.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린스주입부는,
    상기 제2하부커버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터브와 결합하는 제2-1커버결합돌기;
    상기 제2하부커버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2커넥터와 결합하는 제2-2커버결합돌기; 및
    상기 제2하부커버로부터 돌출되고, 제2삽입홈이 형성되는 제2-3커버결합돌기
    를 포함하는,
    컵세척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넥터는,
    상기 제2-2커버결합돌기에 체결되는 제2체결부; 및
    상기 제2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2-3커버결합돌기와 결합하는 제2결합후크
    를 포함하는,
    컵세척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린스펌프는 상기 제2커넥터가 결합하는 제2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몸체는 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건조모듈에 체결되는 제2-1모듈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건조모듈은 상기 제2-1모듈체결부를 향하여 돌출되고, 상기 제2-1모듈체결부가 체결되는 제2-2모듈체결부를 포함하는,
    컵세척기.
KR1020230074419A 2022-09-26 2023-06-09 컵세척기 KR2024004306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23354470A AU2023354470A1 (en) 2022-09-26 2023-09-15 Cup washer
PCT/KR2023/013989 WO2024071782A1 (ko) 2022-09-26 2023-09-15 컵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121431 2022-09-26
KR1020220121431 2022-09-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3060A true KR20240043060A (ko) 2024-04-02

Family

ID=90714677

Famil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4419A KR20240043060A (ko) 2022-09-26 2023-06-09 컵세척기
KR1020230074420A KR20240043061A (ko) 2022-09-26 2023-06-09 컵세척기
KR1020230074417A KR20240043058A (ko) 2022-09-26 2023-06-09 컵세척기
KR1020230074416A KR20240043057A (ko) 2022-09-26 2023-06-09 컵세척기 제어방법
KR1020230074415A KR20240043056A (ko) 2022-09-26 2023-06-09 컵세척기
KR1020230074418A KR20240043059A (ko) 2022-09-26 2023-06-09 컵세척기
KR1020230083295A KR20240043065A (ko) 2022-09-26 2023-06-28 컵세척기
KR1020230084952A KR20240043067A (ko) 2022-09-26 2023-06-30 컵세척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7)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4420A KR20240043061A (ko) 2022-09-26 2023-06-09 컵세척기
KR1020230074417A KR20240043058A (ko) 2022-09-26 2023-06-09 컵세척기
KR1020230074416A KR20240043057A (ko) 2022-09-26 2023-06-09 컵세척기 제어방법
KR1020230074415A KR20240043056A (ko) 2022-09-26 2023-06-09 컵세척기
KR1020230074418A KR20240043059A (ko) 2022-09-26 2023-06-09 컵세척기
KR1020230083295A KR20240043065A (ko) 2022-09-26 2023-06-28 컵세척기
KR1020230084952A KR20240043067A (ko) 2022-09-26 2023-06-30 컵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8) KR20240043060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3057A (ko) 2024-04-02
KR20240043059A (ko) 2024-04-02
KR20240043061A (ko) 2024-04-02
KR20240043058A (ko) 2024-04-02
KR20240043067A (ko) 2024-04-02
KR20240043065A (ko) 2024-04-02
KR20240043056A (ko) 2024-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54184B1 (en) In-sink located dishwasher
US5934298A (en) Combination sink and dishwasher
US9803311B2 (en) Washing machine
KR101130787B1 (ko) 싱크대 일체형 식기세척장치
US20130068265A1 (en) Two level conduit docking port mechanism for a dishwashing appliance
US8840201B2 (en) Height adjustment mechanism for a rack assembly of an appliance
US7749335B2 (en) Dispenser rinse system for a drawer-type dishwasher
US9861257B2 (en) Detergent dispenser module for a dishwashing appliance
KR102486273B1 (ko) 식기세척기
KR20240043060A (ko) 컵세척기
AU2023354470A1 (en) Cup washer
KR101210124B1 (ko) 식기 세척기의 랙구조
CN113425212A (zh) 自动洗碗机器人
KR20240043074A (ko) 컵세척기
US20130174877A1 (en) Low speed drain delay
US20240099544A1 (en) Cup washer
KR100277586B1 (ko) 세탁기
JPH0430811A (ja) 流し台
US20240349979A1 (en) Systems for rack component assembly in dishwashing appliances
JP3269013B2 (ja) 食器洗い機のための漏水受け材
CN212140365U (zh) 自动洗碗机器人
US20240349977A1 (en) Systems for wash feature inlets of dishwashing appliances
KR101665355B1 (ko) 분할형 식기세척기
KR20050105705A (ko) 식기 세척기의 전도방지구조
KR20240097289A (ko) 세제박스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