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5259A - 유모차 - Google Patents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5259A
KR20070085259A KR1020077008637A KR20077008637A KR20070085259A KR 20070085259 A KR20070085259 A KR 20070085259A KR 1020077008637 A KR1020077008637 A KR 1020077008637A KR 20077008637 A KR20077008637 A KR 20077008637A KR 20070085259 A KR20070085259 A KR 200700852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bar
slider
front wheel
wheel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8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보에 제이콥 기르트 아리 덴
Original Assignee
로열티 부가부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열티 부가부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열티 부가부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70085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52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62Coupling unit between front wheels, rear wheels and ha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1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with detachable or rotatably-mounted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1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with detachable or rotatably-mounted body
    • B62B7/142Means for securing the body to th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1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with detachable or rotatably-mounted body
    • B62B7/147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with detachable or rotatably-mounted body rotatable as a whole to transform from seating to l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18Geared articul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용 시트와 같은 캐리어를 배치할 수 있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유모차로서, 상기 프레임은 전륜 및 후륜과; 우측 푸쉬/풀 바아 및 좌측 푸쉬/풀 바아를 갖는 푸쉬 앤드 풀 핸들과; 상기 전륜을 지지하는 우측 및 좌측 전륜 바아와; 상기 후륜을 지지하는 우측 및 좌측 후륜 바아와; 상기 캐리어를 지지하기 위한 우측 및 좌측 지지 핀과; 상기 우측 전륜 바아 디스크 및 상기 우측 후륜 바아 디스크가 상기 전륜 바아, 상기 후륜 바아, 상기 푸쉬/풀 바아 및 상기 지지 핀에 실질적으로 횡방향으로 형성된 선회축 둘레를 서로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우측 전륜 바아가 우측 전륜 바아 디스크를 거쳐 고정되고, 상기 우측 후륜 바아가 우측 후륜 바아 디스크를 거쳐 고정되고, 상기 우측 푸쉬/풀 바아 및 상기 우측 지지 핀이 고정되는 우측 커플링 부재와; 상기 좌측 전륜 바아 디스크 및 상기 좌측 후륜 바아 디스크가 상기 선회축 둘레를 서로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좌측 전륜 바아가 좌측 전륜 바아 디스크를 거쳐 고정되고, 상기 좌측 후륜 바아가 좌측 후륜 바아 디스크를 거쳐 고정되고, 상기 좌측 푸쉬/풀 바아 및 상기 좌측 지지 핀이 고정되는 좌측 커플링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우측 및 좌측 커플링 부재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위치에서 각각 고정가능하며, 상기 우측 전륜 바아 및 상기 우측 후방 휠 바아와, 상기 좌측 전륜 바아 및 상기 좌측 후륜 바아는 각각 서로에 대해 고정되고, 이들 위치로부터 해제될 수도 있다.

Description

유모차{BUGGY}
본 발명은 시트와 같은 유아용 캐리어를 배치할 수 있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 상기 프레임은,
전륜 및 후륜과;
우측 푸쉬/풀 바아(push/pull bar) 및 좌측 푸쉬/풀 바아를 갖는 푸쉬 앤드 풀 핸들과;
상기 전륜을 지지하는 우측 및 좌측 전륜 바아와;
상기 후륜을 지지하는 우측 및 좌측 후륜 바아와;
상기 캐리어를 지지하기 위한 우측 및 좌측 지지 핀과;
상기 우측 전륜 바아 디스크 및 상기 우측 후륜 바아 디스크가 상기 전륜 바아, 상기 후륜 바아, 상기 푸쉬/풀 바아 및 상기 지지 핀에 실질적으로 횡방향으로 형성된 선회축 둘레를 서로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우측 전륜 바아가 우측 전륜 바아 디스크를 거쳐 고정되고, 상기 우측 후륜 바아가 우측 후륜 바아 디스크를 거쳐 고정되고, 상기 우측 푸쉬/풀 바아 및 상기 우측 지지 핀이 고정되는 우측 커플링 부재와;
상기 좌측 전륜 바아 디스크 및 상기 좌측 후륜 바아 디스크가 상기 선회축 둘레를 서로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좌측 전륜 바아가 좌측 전륜 바아 디스 크를 거쳐 고정되고, 상기 좌측 후륜 바아가 좌측 후륜 바아 디스크를 거쳐 고정되고, 상기 좌측 푸쉬/풀 바아 및 상기 좌측 지지 핀이 고정되는 좌측 커플링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우측 및 좌측 커플링 부재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위치에서 각각 고정가능하며, 상기 우측 전륜 바아 및 상기 우측 후방 휠 바아와, 상기 좌측 전륜 바아 및 상기 좌측 후륜 바아는 각각 서로에 대해 고정되고, 이들 위치로부터 해제될 수도 있다.
이러한 유형의 유모차는 국제 특허 공개 공보 제 WO 00/06437 호에 개시되어 있다. 공지된 유모차의 경우, 주행 방향에 대해 볼 때, 양측부상에 제공된 후륜과, 양측부상에 제공된 전륜과, 양측부상에 제공된 전륜 바아와, 푸쉬/풀 핸들뿐만 아니라 양측부에 제공된 후륜 바아가 있다. 각각의 휠 바아는 일단부에서 휠을 지지한다. 핸들의 자유 단부 뿐만 아니라 휠 바아의 다른 단부는 각각 휠 바아의 상호적인 선회를 허용하는 커플링내에 프레임의 양측부상에서 만난다. 또한, 프레임은 일단부가 각각의 커플링에 고정되고 다른 단부에서 자유롭게 돌출하는 지지 핀을 갖는 양측부상의 각각의 커플링에 제공된다. 각각의 경우에서, 슬리브 형상의 부재는 각각의 지지 핀 위로 미끄럼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트는 2개의 슬리브 형상의 부재 사이에 고정된다. 유모차의 경우, 서로에 대해 전륜 바아 및 후륜 바아를 회전시키는 것은 프레임이 안정된 윤전 위치(stable wheeling position)로 될 수 있기 위해 매우 실용적이며, 전륜 및 후륜은 콤팩트한 접힘 위치내로 얼 마간의 거리로 이격되고, 전륜은 후륜 사이에 있다. 국제 특허 공개 공보 제 WO 00/06437 호에 있어서, 전륜 바아 및 후륜 바아가 윤전시에 서로에 대해 회전할 수 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우측 및 좌측 커플링 부재는 서로에 대해 전륜 바아 및 후륜 바아를 고정할 수 있도록 로킹될 수 있다. 본 구성에 있어서, 평탄한 2개의 고정 위치가 있다. 윤전시에 유모차를 안정시키기 위해 전륜 및 후륜이 이격된 제 1 고정 위치와, 한 쌍의 휠이 다른 한 쌍의 휠 사이에 있고 일륜차 종류가 얻어지는 다른 위치(즉, 콤팩트 위치)에서 유모차가 사용될 수도 있다. 여기서는, 2개 부분 로킹 기구로 고정이 이루어진다. 로킹 기구의 일 부분은 유모차 프레임 자체, 즉 그의 커플링 부재상에 제공된다. 로킹 기구의 다른 부분은 지지 핀 위에서 미끄럼운동하도록 시트, 특히 슬리브(슬리브 사이에 시트가 장착됨)상에 항상 제공된다. 로킹 기구의 프레임측 부분은 실질적으로 커플링 부재마다 2개의 디스크로 이루어진다. 하나의 디스크가 후륜 바아를 지지하고, 다른 하나의 디스크는 전륜 바아를 지지한다. 절결부(cut-outs)는 서로 접촉하는 이들 디스크의 표면을 따라 제공된다. 디스크를 회전함으로써 성취될 수 있는 점은 하나의 디스크내의 하나의 절결부가 다른 하나의 디스크내의 절결부에 정확하게 반대 위치에 있거나, 또는 하나의 디스크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절결부가 절결부를 갖지 않는 다른 디스크의 일부에 정확하게 반대 위치에 있다. 시트측상의 슬리브는 그의 바닥부에 돌출부를 각각 구비한다. 이 돌출부는 서로 대향하는 인접한 디스크의 2개의 절결부내에 정확하게 끼워맞춰지도록 크기설정되지만, 단일의 절결부내에 끼워맞춰지지 않는다. 소정의 고정 위치에서, 인접한 디스크의 2개의 절결부가 지지 핀 아래에서 서로 정 확하게 반대 위치에 있도록 디스크내에 상기 절결부를 제공함으로써 성취될 수 있는 점은, 상기 슬리브가 지지 핀 위에서 미끄럼운동되고 그의 돌출부가 서로 대향하게 위치된 절결부내에서 돌출한다는 것에서 고정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기재된 유형의 유모차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서로에 대한 전륜 바아 및 후륜 바아의 상호 고정은 높은 신뢰성과 용이성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커플링 부재가 프레임상에 제공된 로킹 기구를 가지며, 각각의 로킹 기구는,
각각의 기 지지 핀상에 제공된 돌출부로서, 상기 지지 핀의 횡방향으로 그리고 상기 핀에 대해 볼 때, 돌출 위치와 후퇴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상기 돌출부;
각각의 상기 지지 핀상에 제공되고, 각각의 상기 지지 핀의 종방향으로 미끄럼운동가능한 핀 슬라이더로서, 상기 돌출부에 면하는 제 1 단부와, 상기 선회축에 면하는 제 2 단부를 갖는, 상기 핀 슬라이더; 및
상기 핀 슬라이더의 제 1 단부가 상기 돌출부와 접촉하는 동안에, 상기 돌출부가 상기 돌출 위치의 방향으로 구동하는 프리텐션력(예인장력)을 받도록 상기 핀 슬라이더 및 상기 돌출부를 프리텐션하도록 구비된 텐셔닝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로킹 기구는, 상기 돌출부가 상기 돌출 위치로부터 상기 후퇴 위치까지 상기 프리텐션력에 대해 밀려질 때, 상기 프리텐션력에 대해 상기 핀 슬라이더를 상기 선회축 쪽으로 밀도록 구비되어, 상기 로킹 기구가 상기 돌출부의 상기 돌출 위치에 대응하는 해제 위치로부터 이동하고, 각각의 상기 후륜 바아 디스크 및 각각의 상기 전륜 바아 디스크는 상기 돌출부의 상기 후퇴 위치에 대응하는 고정 위치내로 서로에 대해 회전가능하며, 각각의 상기 후륜 바아 디스크 및 각각의 상기 전륜 바아 디스크는 서로에 대해 회전할 수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에서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유모차가 성취된다.
청구항 1 및 본 출원의 나머지 부분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전방 및 후방"(예컨대, 전륜 바아 및 후륜 바아에 관함)뿐만 아니라 "좌측 및 우측"은 특히 유모차를 보는 사람의 위치에 따라서 상대적으로 임의적이다. 국제 특허 제 WO 00/06437 호의 경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가 윤전의 2가지 반대 방향으로 밀거나 당겨질 수 있기 때문에, 푸쉬/풀 핸들이 한 세트의 휠로부터 다른 세트의 휠 쪽으로 회전될 수 있다는 점을 실현하는데 중요하다. 이것은 도면의 기재에 기초하여 보다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 있어서, 용어 "좌측", "우측", "왼쪽", "오른쪽", "전방" 및 "후방"은 상호교환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의 경우, 각각의 커플링 부재를 위한 전체의 로킹 기구는, 로킹 기구를 형성할 수 있기 위해 프레임 상에 제공되지 않은 다른 부분과의 상호작용을 해야 하는 (국제 특허 제 WO 00/06437 호에서와 같은) 일 부분만을 대신하여 프레임 상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경우에 있어서, 전체의 로킹 기구는 프레임 상에 제공된다. 프레임 상의 전체의 로킹 기구를 제공함으로써, 로킹 기구는 매우 용이하게 작동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의 경우에, 로킹 기구용의 작동 부재, 즉 돌출부를 유아용 캐리어, 즉 지지 핀을 지지하도록 의도된 프레임의 부분상에 제공함으로써 성취될 수 있는 점은, 작동 부재, 돌출부의 작동이 상기 캐리어를 프레임 상에 확실히 일치된다는 것이다. 본 구성의 경우, 핀 슬라이더는 각각의 커플링 부재내 또는 그에 근접하게 돌출부에 부여된 운동을 로킹 기구에 매우 효과적으로 전달한다. 한편에는 전륜 바아 그리고 다른 한편에는 후륜 바아가 고정되는 디스크의 상호적인 고정은 로킹 기구를 움직임으로써 단순한 방식으로 성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로킹 기구는 고정용의 양자의 디스크와 결합할 것이고, 해제용의 이들 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와 결합하지 않을 것이다. 로킹 기구를 양자의 디스크와 결합하는 것은, 예컨대 핀 슬라이더를 구성하고, 이것이 고정 위치로 미끄럼운동될 때 선회축과 면하는 핀 슬라이더의 제 2 단부가 국제 특허 제 WO 00/06437 호(예컨대, 국제 특허 제 WO 00/06437 호의 도 6에서의 참조부호 14 및 15인 절결부를 참조)에 개시된 양자의 디스크내의 대향하는 절결부내에 결합되는 것을 핀 상에 핀 슬라이더를 제공함으로써 성취될 수 있다.
텐셔닝 시스템(인장 시스템)은, 돌출부 상의 작동력의 제거 후에 로킹 기구가 해제 위치로 자동으로 복귀하도록 본 발명에 따른 로킹 기구가 해제 위치쪽으로 프리텐션되는 것을 보장한다.
이와 같이, 돌출부의 작동이 일어나는 정확한 방식은 다양한 다른 방식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아용 캐리어를 지지 핀 상에 배치한 후에, 링이 회전될 수 있거나, 또는 작동하는 슬라이더가 각각의 로킹 기구의 돌출부를 밀어넣기 위해 미끄럼운동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에 있어서, 지지 핀이 선택적으로 관형 부재와 같은 중공형 핀일 수 있으며, 돌출부가 돌출 위치에서 핀의 내부로 연장되고 후퇴 위치에서 핀의 내측 벽내에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그러나, 예컨대 유아용 캐리어로부터 완전히 별개로 로킹 기구의 작동을 시험하기 위해 사용자에 용이하게 접근가능하도록, 지지 핀의 외측 상에 돌출부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 핀의 외측 상에 돌출부를 제공하는 것은 핀 슬라이더가 지지 핀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는 유아가 이미 앉아 있는 유아용 캐리어를 지지 핀상에 직선으로 배치되게 한다. 이에 따라, 전륜 및 후륜 바아의 고정은 링 또는 슬라이더의 개별적인 작동 후에 자동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의 장점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돌출부가 돌출 위치에 있을 때, 지지 핀의 자유 단부에 면하고 지지 핀 외부에 위치된 돌출부의 일부가 지지 핀의 상기 자유 단부의 방향으로 경사진다. 지지 핀의 일부를 경사지게 하는 것은 지지 핀 위로 미끄럼운동되도록 관형 부재에 의한 신뢰성 있는 작동을 보장한다. 돌출부의 경사부에 의해, 돌출부는 관형 부재가 돌출부 위로 더욱 미끄럼운동됨에 따라 점차적으로 밀어질 수 있다. 그러나, 지지 핀의 상기 섹션을 경사시키는 것은 돌출부가 다른 방식으로 작동될 때 유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의 다른 장점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돌출부는 돌출 위치에서 지지 핀 외측에 위치되는 제 1 단부와, 돌출부가 경사질 수 있는 것에 대하여 경사 핀이 제공되는 제 2 단부를 가지며, 제 1 단부와 제 2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고 지지 핀의 자유 단부로부터 떨어져 면하는 돌출부의 측부는 볼록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볼록한 구성은 돌출부를 면하는 핀 슬라이더의 접촉면 위에 돌출부의 만곡부를 형성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의 또다른 장점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돌출부와 접촉하는 핀 슬라이더의 제 1 단부는 모떼기 가공되며, 모떼기 가공부의 상측부 쪽으로 모떼기 가공부의 하측부로부터 볼 때, 모떼기 가공부는 돌출부의 후퇴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비교적 용이하게 성취될 수 있는 점은, 돌출부가 후자를 밀어넣음으로써 보다 후퇴될 때, 핀 슬라이더가 돌출부, 특히 그의 경사 핀으로부터 보다 멀리 밀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의 또다른 장점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로킹 기구는 각각의 커플링 부재에 제공되고, 선회축의 종방향으로부터 미끄럼운동될 수 있는 샤프트 슬라이더를 더 포함하며, 핀 슬라이더의 제 2 단부는 텐셔닝 시스템의 영향 하에서 샤프트 슬라이더와 접촉하며, 로킹 기구는 돌출부를 밀어넣을 때에 해제 위치로부터 고정 위치로 핀 슬라이더를 거쳐 샤프트 슬라이더를 미끄럼운동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유형의 샤프트 슬라이더는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요소, 특히 샤프트 슬라이더 또는 그의 부품에 의해 전륜 바아 디스크 및 후륜 바아 디스크를 서로 결합하게 한다. 이러한 "축방향" 요소의 경우, 커플링은 결합되는 디스크의 상호 오정렬에 영향을 적게 받는다. 또한, 이러한 "축방향" 요소는, 요소가 훨씬 큰 부하를 받을 수 있도록 결합력이 큰 표면적에 걸쳐 분포되게 한다.
또한, 이러한 "축방향" 요소는 실제의 커플링의 오염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우징내에 훨씬 용이하게 설치되게 한다. 샤프트 슬라이더가 사용되는 경우, 로킹 기구는 전체적으로 돌출부가 밀어질 때, 샤프트 슬라이더의 해제 위치(휠 바아 디스크가 서로에 대해 회전할 수 있는 돌출부의 돌출 위치에 대응함)로부터 휠 바아 디스크가 서로에 대해 회전할 수 없는 고정 위치(돌출부의 후퇴 위치에 대응함)로 선회축을 따라 프리텐션력에 대해 샤프트 슬라이더를 이동하도록, 프리텐션력에 대해 선회축 쪽으로 그리고 샤프트 슬라이더를 이동시키는 핀 슬라이더에 의해 돌출 위치로부터 후퇴 위치까지 핀 슬라이더를 밀기 위해 구비될 것이다.
전륜 바아 디스크 및 후륜 바아 디스크에 대한 샤프트 슬라이더에 관해서는, 본 발명에 따르면, 샤프트 슬라이더가 고정을 위해 후륜 바아 디스크와 결합하거나 또는 후륜 바아 디스크와 결합하는 것은 고정시에 적어도 다른 디스크 상에 결합하는 것이 각각의 경우에 보장된다면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이와 대응하는 이유로, 돌출부와 접촉하는 핀 슬라이더의 단부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모떼기 가공되는 이유는, 샤프트 슬라이더와 접촉하는 핀 슬라이더의 제 2 단부가 선회축의 방향으로 경사지고 샤프트 슬라이더에 면하는 접촉면을 갖는다면 유리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의 또다른 장점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샤프트 슬라이더는 환형 본체를 가지며, 환형 본체의 샤프트 축은 선회축과 일치한다. 이로써, 후륜 바아 디스크 및 전륜 바아 디스크의 조합으로 조립될 수 있는 구조적으로 단순하게 형성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르면, 핀 슬라이더에 면하는 단부에서 선회축에 대해 샤프트 슬라이더가 회전식으로 대칭적으로 경사, 특히 원추형으로 경사진 표면을 가지면 더욱 유리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성취되는 점은 핀 슬라이더에 의해 작동되는 샤프트 슬라이더의 능력이 샤프트 축에 대해 샤프트 슬라이더의 회전 위치와 독립적이라는 것이다. 게다가, 본 구성의 경우, 환형 본체가 고정 위치에서 볼 때 각각의 후륜 바아 디스크 또는 전륜 바아 디스크내의 로킹 홈내로 돌출하고, 해제 위치에서 볼 때 상기 로킹 홈으로부터 후퇴되어 있는 핀 슬라이더로부터 멀리 면하는 단부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로킹 핀을 가진다면 유리하다. 한편으로 신뢰성 있는 고정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다양한 위치에서의 고정 가능성의 관점에서, 본 구성의 경우, 샤프트 슬라이더가 환형 본체의 주변 방향으로 배치 및 분포된 다수의 로킹 핀을 구비하고, 적어도 대응하는 다수의 로킹 홈을 구비하면 본 발명에 따라서 유리하다.
로킹 핀(들)이 손상 또는 비틀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각각의 전륜 바아 디스크 또는 각각의 후륜 바아 디스크가 각각의 경우에서 하나의 로킹 핀이 전후로 미끄럼운동될 수 있는 로킹 핀 가이드를 로킹 핀마다 갖는다면 본 발명에 따라서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의 또다른 장점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텐셔닝 시스템은, 각각의 후륜 바아 디스크 또는 각각의 전륜 바아 디스크 상에서, 일단부는 샤프트 슬라이더상에 결합하고, 다른 단부는 각각의 커플링 부재상에 결합하는 프리텐션 스프링, 특히 압축에 의해 프리텐션된 스프링을 포함한다. 이러한 스프링은 비교적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고, 스프링이 특히 그의 해제 위치의 방향으로 샤프트 슬라이더에 작용하기 때문에, 이 스프링이 핀 슬라이더를 가압하고 돌출부가 작용하지 않을 때 해제 위치로 돌출부를 가압하는 결과를 갖는 이점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의 또다른 장점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유모차는 시트로서의 유아용 캐리어를 더 구비하며, 캐리어는 지지 튜브와 함께 양측부상에 형성되며, 지지 핀은 돌출부가 돌출 위치로부터 수축 위치로 지지 튜브에 의해 구동되는 동안에 지지 핀이 수용될 수 있다. 이로써, 로킹 기구는 유아용 캐리어(본원에서 유아 캐리어로도 부름) 또는 그의 적어도 지지 튜브를 지지 핀 위로 미끄럼운동시킴으로써 거의 고정 위치로 되는 것을 용이하게 보장한다. 유아용 캐리어를 프레임 상에 배치할 때 최초 가능한 단계에서 로킹 기구의 고정을 획득하기 위해, 돌출부가 각각의 경우에서 지지 핀의 자유 단부에 제공되면 본 발명에 따라서 유리하다.
도면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을 후술할 것이다.
도 1은 로킹 기구의 구성요소를 볼 수 있게 도시하지 않았으므로, 종래 기술에 따른 유모차, 예컨대 국제 특허 제 WO 00/06437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유모차 또는 본 출원인에 의해 판매되는 유모차와 동일하게 도시되는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로킹 기구를 갖는 완전히 조립된 우측 커플링 부재를 도시하고, 도 2b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좌측 커플링 부재를 도시하지만 분해된 구성요소를 도시한 도면(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바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유모차의 세부 사항을 구성함),
도 3a, 도 3b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로킹 기구를 갖는 커플링 부재의 단면도 및 종단면도(도 3a 및 도 3b는 도 3a는 해제된 로킹 기구를 도시하고 도 3b는 고정된 로킹 기구를 도시한 것이 상이함),
도 2 또는 도 3으로 되어 있는 경우, 도 2a 및/또는 도 2b, 도 3a 및/또는 도 3b를 각각 지칭한다.
도 1은 우측 커플링 부재(15) 및 좌측 커플링 부재(16)내의 로킹 기구를 볼 수는 없지만,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의 완전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유모차(1)는 유아용 캐리어[본 경우에서의 좌석 또는 시트(3)]를 배치한 프레임(2)을 갖는다. 그러나, 캐리어는 휴대용 침대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프레임은 2개의 선회식 휠(4) 및 2개의 고정식 휠(5)을 갖는다. 선회식 휠(4)은 고정식 휠(5)보다 작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있어서, 유모차(1)가 밀어진다면, 휠(4)은 전륜으로서 휠(5)은 후륜으로서 지칭될 것이다. 그러나, 도 1에 도시한 유모차가 당겨지면, 휠(5)은 전륜으로서 휠(4)은 후륜으로서 간주될 수 있다. 화살표(60)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푸쉬/풀 핸들(6)이 휠(4)측으로 회전되고 유모차(1)가 밀어지면 동일하게 적용된다. 덧붙여서, 푸쉬/풀 핸들(6)이 화살표(60)에 따라 회전된 위치에서, 유모차(1)는 당겨질 수도 있으며, 이 경우 휠(4)은 전륜으로서 휠(5)은 후륜으로서 역할을 할 것이다. 그러나, 용어 "전방" 및 " 후방" 그리고 용어 "우측" 및 "좌측"에 관한 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기재에 기초할 것이다. 이에 따라, 비스듬히 관찰자에 보이는 유모차(1)의 측부는 우측이고, 비스듬히 관찰자로부터 멀리 보이는 유모차(1)의 측부는 좌측이다.
기재한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한 유모차(1)는 푸쉬/풀 핸들(6)을 갖는다. 이 푸쉬/풀 핸들(6)은 우측 퓌/풀 바아(7) 및 좌측 푸쉬/풀 바아(8)을 갖는다. 또한, 프레임(2)은 우측 전륜 바아(9) 및 좌측 전륜 바아(10)를 가지며, 전륜 바아는 전륜(4)을 지지한다. 후륜(5)은 우측 후륜 바아(11) 및 좌측 후륜 바아(12) 상에 지지된다.
우측 푸쉬/풀 바아(7), 우측 전륜 바아(9) 및 우측 후륜 바아(11)는 우측 커플링 부재(15)에서 만난다. 좌측 전륜 바아(10), 좌측 후륜 바아(12) 및 좌측 푸쉬/풀 바아(8)은 좌측 커플링 부재(16)에서 만난다.
유모차의 사용중에 전륜 바아(9, 10) 및 후륜 바아(11, 12)가 서로에 대해 이동가능하고, 예컨대 유모차를 접거나 또는 다른 사용 위치로 놓기 위해 서로에 대해 이동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우측 커플링 부재 및 좌측 커플링 부재는, 우측 전륜 바아 및 우측 후륜 바아 그리고 좌측 전륜 바아 및 좌측 후륜 바아 각각이 서로에 대해 고정되고 이들 위치로부터 해제될 수도 있도록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위치에서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프레임(2)은 보강용의 다수의 횡방향 바아(50, 51, 52)를 갖는다. 이들 횡방향 바아는 선택적으로 다른 위치에 제공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횡방향 바아를 선택적으로 없앨 수도 있다.
시트(3)는 시트(3)의 각 측부상에 2개의 지지 슬리브(43)(도 1에서 우측에 보이는 것 중 하나)에 의해 프레임(2)에 고정된다. 이를 위해, 프레임(2)은 양자의 커플링 부재(15, 16)에 지지 핀(13, 14)를 각각 구비하며, 이는 슬리브(3)가 이들 위로 미끄럼운동하므로 도 1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이들 지지 핀(13, 14)은 도 2, 도 3 및 도 4에서 보다 잘 보일 수 있다.
도 2a 및 도 2b에 있어서, 프레임(2)의 세부 사항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 세부 사항은 그의 2개 단부상에 커플링 부재(15, 16)를 갖는 횡방향 바아(52)를 실질적으로 포함한다. 또한, 커플링 부재(15, 16), 전륜 바아(9, 10) 및 후륜 바아(11, 12)에 근접하게 위치된 푸쉬/풀 바아(7, 8)의 단부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다. 도 2a는 우측 커플링 부재(15)를 도시하고, 도 2b는 좌측 커플링 부재(16)를 도시한다.
도 2 및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우측 커플링 부재(15)는 우측 전륜 바아(9)가 고정되는 우측 전륜 바아 디스크(17)와, 우측 후륜 바아(11)가 고정되는 우측 후륜 바아 디스크(19)를 가지고, 좌측 커플링 부재는 좌측 전륜 바아(10)가 고정되는 좌측 전륜 바아 디스크(18)와, 좌측 후륜 바아(12)가 고정되는 좌측 후륜 바아 디스크(20)를 갖는다. 또한, 각각의 커플링 부재(15, 16)는 각각의 지지 핀(13, 14)가 고정되는 지지 핀 디스크(55)와, 푸쉬/풀 바아(7, 8)가 각각의 커플링 부재(15, 16)에 고정되는 핸들 디스크(56)를 갖는다. 각각의 커플링 부재(15, 16)의 4개의 디스크(17, 18, 19, 20, 55, 56)는 공통의 샤프트(52)상에 장착되어, 선회축(33)을 결정한다. 지지 핀 디스크(55)는 슬리브(57, 58)를 거쳐 샤프트(52) 상에 고정된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있어서, 디스크(17, 18, 19, 20, 55, 56) 중 어느 것도 샤프트(52)에 대해 고정되지 않는 실시예가 가능하고 본 출원인에 의해서도 제공됨을 알아야 한다.
도 2에서 보다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특히 사시도로 도시한 우측 커플링 부재(16)의 경우에서, 지지 핀 디스크(55)는 결합 치형부(59) 및 릿지(61)에 의해 전륜 바아 디스크[18(17)]에 대해 고정된다. 그러나, 지지 핀 디스크(55) 및 전륜 바아 디스크(18)를 서로에 대해 회전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며, 서로에 대해 회전하는 능력은 고정가능하고 해제가능한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각각의 커플링 부재(15, 16)에서, 핸들 디스크(56)는 각각의 후륜 바아 디스크(19, 20)에 대해 회전될 수 있고, 적어도 2가지 위치, 바람직하게는 2개 이상의 위치에 고정될 수도 있다. 한편으로 핸들 디스크(56)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각각의 후륜 디스크(19, 20) 사이의 해제가능한 고정은 본질적으로 다양한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다. 고정이 성취되는 방식은 본 발명에서 비교적 독립적이다. 이러한 고정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가능한 방법은 도 2b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 시스템은 디스크(64)의 구멍(63)내에 후크(62)로 거는 작동 로드(61)를 포함한다. 이로써, 디스크(64)는 작동 로드(61)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돌출부(67)를 구비한 2개의 아암(66)은 각각의 경우에 축 지점(65) 둘레를 회전할 수 있도록 디스크(64) 상에 제공된다. 작동 로드(61)를 상측으로 당김으로써 디스크(56) 내측상에 제공된 가이드 슬롯(도시하지 않음)내에 위치되는 돌출부(67)는 가이드 슬롯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위치로부터 가이드 슬롯내로 완전히 후퇴된다.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위치에서, 돌출부는 후륜 바아 디스크(19, 20)내의 홈(68)내에 결합되고, 이에 따라 후퇴 위치에서 상기 홈(68)으로부터 후퇴되는 동안 일측에서 디스크(56) 그리고 다른 측에서 후륜 바아(19, 20)의 상호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푸쉬/풀 핸들(6)은 적절한 위치에 홈(68)을 제공함으로써 후륜 바아(11, 12)에 대해 다양한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다. 특히, 고정 위치에 관한 본 구성의 경우, 도 1에서의 화살표(60)에 의해 지시된 제 2 위치뿐만 아니라 도 1에 도시한 위치일 수 있다. 제 2 위치에서, 푸쉬/풀 핸들(6)은 도 1에 도시한 제 1 위치에 대해 대략 80-120°로 회전될 수 있다. 국제 특허 제 WO 00/06437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일륜차 위치의 경우, 제 3 또는 제 4 위치에서 핸들(6)을 선택적으로 고정할 수도 있다. 제 3 위치에 있어서, 핸들(6)의 바아(7, 8)는 후륜 바아(11, 12)의 연장선 또는 전륜 바아(9, 10)의 연장선에 있을 것이다. 핸들(6)은 선택적으로 후륜 바아(11, 12) 및 전륜 바아(9, 10) 양자의 연장선에 있을 수도 있고, 이 경우 4개의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사용자의 높이에 따라서 핸들(6)을 높거나 낮게 위치시키기 위해, 5개의 위치 또는 그 이상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고려가능하다. 덧붙여서, 일륜차 위치(들)는 2개 위치에서만 핸들(6)을 고정가능함으로써 성취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1에 도시한 위치 및 도 1에서 참조부호(60)에 의해 개략적으로 지시된 핸들의 위치는, 핸들이 대략 전륜 바아(9, 10) 및 후륜 바아(11, 12) 각각의 연장선에 있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서로에 대해 전륜 바아 및 후륜 바아를 고정하기 위한 로킹 기구를 상세하게 후술할 것이다. 이미 지적된 바와 같이, 로킹 기구는 특히 좌측 커플링 부재 및 우측 커플링 부재 양자내에 제공된다. 그러나, 커플링 부재 중 하나내에만 이러한 로킹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 선택적으로 고려가능하고 이것은 본 발명의 범위내에 완전히 있는 것이지만, 서로에 대해 전륜 및 후륜 바아의 운동이 프레임의 일 측부상에서 방지되는 한편, 다른 측부상에는 허용하기 때문에 프레임내의 불안정성과 연관될 수 있다는 점은 당업자에 명백할 것이다. 그러나, 유모차가 전륜 바아 및 후륜 바아를 고정하기 위한 다른 로킹 시스템, 예컨대 국제 특허 제 WO 00/06437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시스템을 추가로 구비하고, 본 발명에 따른 로킹 기구가 안전을 개선하는 데에만 이용된다면, 프레임내의 불안정성은 덜 심각하게 된다. 특히, 이러한 불안정성은 쉽게 공지될 것이고 국제 특허 제 WO 00/06437 호에 개시된 주요 고정이 기능하고 있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 본 발명에 따른 로킹 기구는 신뢰성을 이유로 양측부 상에 이용될 것이다.
도시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로킹 기구는 실질적으로 3개의 구성요소, 즉 작동 부재[즉, 돌출부(21)], 전달 부재[즉, 핀 슬라이더(23)] 및 로킹 부재[즉, 샤프트 슬라이더(22)](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로킹 슬라이더로 불림)로 이루어진다. 전륜 바아 디스크(17, 18) 및 후륜 바아 디스크(19, 20) 양자 상에 결합하는 위치와, 언급된 2개의 디스크상에 결합하지 않지만 언급된 디스크 중 하나만 결합하거나 또는 언급된 디스크와는 결합하지 않는 위치 사이에서 미끄럼운동할 수 있도록 로킹 슬라이더(22)를 구성함으로써, 고정 및 해제가 각각 성취될 수 있다. 한번에 양자의 디스크뿐만 아니라 2개의 디스크 중 하나 또는 0개의 결합이 다양한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다는 점은 당업자에 명백할 것이다. 도시한 바와는 반대로, 로킹 슬라이더는 예컨대 전후방으로 미끄럼운동할 수 있는 요소일 수 있다.
텐셔닝 시스템(26)은 그의 해제 위치(즉, 분리 위치)의 방향으로 로킹 슬라이더(22)의 프리텐션을 성취하기 위해 제공된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텐셔닝 시스템은 압축에 의해 프리텐션된 헬리컬 스프링(26)으로 이루어진다. 조립된 상태로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헬리컬 스프링(26)은 일 단부가 로킹 슬라이더(22)상에 결합하도록 로킹 슬라이더(22)(도 4 참조)의 내부에 부분적으로 위치된다. 헬리컬 스프링(26)의 다른 단부는 전륜 바아 디스크(18) 상에 결합한다. 로킹 슬라이더(22)의 운동 자유도는 일 측부상에서 전륜 바아 디스크(18)에 의해, 다른 측부상에서 지지 핀 디스크(55)에 의해 제한된다. 해제 위치에서, 로킹 슬라이더(22)는 지지 핀 디스크(55)와 접촉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전륜 바아 디스크(17, 18) 및 후륜 바아 디스크(19, 20)가 고정될 때, 로킹 슬라이더(22)는 전륜 바아 디스크 및 후륜 바아 디스크에 대해 지지 핀 디스크(55)를 동시에 고정하는 한편, 해제 위치에서 전륜 바아 디스크(17, 18) 및/또는 후륜 바아 디스크(19, 20)에 대해 지지 핀 디스크(55)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로킹 슬라이더(2)가 구성될 수도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 명백할 것이다. 이것은 예컨대 로킹 슬라이더(22)의 주변 표면상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릿지를 제공함으로써 성취될 수 있으며, 고정 위치에서 릿지는 지지 핀 디스크(55)의 내부에 형성된 반경방향 홈내에 수용되고, 해제 위치에서 로킹 슬라이더(22)에 대해 지지 핀 디스크(55)의 회전을 허용하기 위해 완전히 자유로우며, 또한 로킹 슬라이 더(22)는 전륜 바아 디스크(17, 18)내의 로킹 핀 구멍(42)내의 적어도 하나의 로킹 핀(40)에 의해 영구적으로 결합한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로킹 슬라이더(22)는 텐셔닝 스프링(26)을 위한 수용 공동을 갖는 실질적인 환형 본체(37)로 구성된다. 일 단부에서, 환형 본체(37)는 본체(37)의 주변 둘레에 배치 및 분포된 다수의 로킹 핀(40)을 구비하고, 다른 한편에 본체(22)는 원추형 경사면(38)을 구비한다. 로킹 핀(40)의 개수와 대응하고 로킹 핀이 해제 위치와 고정 위치 양자에 위치되는 다수의 로킹 핀 가이드(42)는 전륜 바아 디스크(18)내에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고정 위치의 경우에, 로킹 핀(40)은 로킹 슬라이더(22)로부터 멀리 면하는 전륜 바아 디스크(17, 18)의 측부 상의 전륜 바아 디스크(17, 18)로부터 돌출하여, 후륜 바아 디스크(19, 20)내에 형성된 로킹 홈(41)내에서 결합한다.
로킹 슬라이더(22)는 그의 원추형 단부면(38)상에 결합하는 핀 슬라이더(23)의 바닥 단부(25)에서 모떼기 가공(36)함으로써 작동된다. 로킹 슬라이더(22)는 선회축(33)에 횡방향으로 선회축(33) 쪽으로 핀 슬라이더(23)를 밀어서 해제 위치로부터 고정 위치로 밀어진다.
돌출부(21)는 핀 슬라이더(23)를 선회축(33) 쪽으로 밀기 위해 제공된다. 돌출부(21)는 선회축(33)으로부터 멀리 면하는 핀 슬라이더(23)의 단부(24) 상에 결합한다. 이 단부(24) 상에 돌출부(21)의 영향을 촉진시키기 위해, 핀 슬라이더(22)의 단부(24)가 모떼기 가공된다. 이 모떼기 가공은 낮은 측부(34) 및 높은 측부(35)를 갖는다(도 3 참조). 돌출부(21)는 핀 슬라이더(23)에 면하는 측부 상 에 볼록하게 형성된다. 볼록 형상부(32)의 영향은 돌출부(21)가 경사 핀(31)에 대해 경사질 때 모떼기 가공부(34-35) 위로 매끄러운 만곡면(32)을 형성한다. 경사 핀(31)은 지지 핀(13, 14) 내부에 위치된 단부(30)에 제공된다. 돌출부(21)의 단부(30)는 돌출부의 단부에 대향한다. 로킹 기구의 해제 위치에 있어서, 돌출부의 단부(29)는 지지 핀(13, 14)에 대해 돌출 위치에 있다. 고정 위치에서, 단부(29)는 지지 핀(13, 14)내에서 완전히 후퇴, 선택적으로는 부분적으로 후퇴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해제 위치에서 돌출하는 돌출부(21)의 부분(28)[지지 핀(13, 14)의 자유 단부(27)에 면함]은 지지 핀(13, 14)의 자유 단부(27)의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것은 상부로부터 지지 핀(13, 14) 상으로의 화살표(70)에 따라 밀어지는 슬리브(43)에 의한 돌출부(21)의 작동을 용이하게 한다. 슬리브(43)의 내부 치수는 약간의 여유를 제외한 지지 핀(13, 14)의 외부 치수에 상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 핀(13, 14)의 상단부에 돌출부(21)를 배치함으로써 성취되는 점은, 로킹 기구가 지지 핀(13, 14) 위로 슬리브(43)의 미끄럼운동이 개시되자마자 해제 위치로부터 고정 위치로 바로 된다는 것이다.
도면에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의 실시예의 경우에, 국제 특허 제 WO 00/06437 호에 개시된 고정을 알 수 있고 사용되고 있다[후륜 바아 디스크(20) 및 전륜 바아 디스크(21)내의 절결부(70, 71) 참고]. 절결부(70, 71)가 서로 정확하게 대향하고 돌출부[국제 특허 제 WO 00/06437 호, 도 4, 돌출부에 대한 참조부호(16)]가 슬리브(43)의 바닥부에 제공되는 경우, 슬리브(43)가 지지 핀(13, 14) 위에서 충분히 미끄럼운동된 경우 이중 고정이 이러한 방식으로 얻어질 수 있다. 이전에 지적된 바와 같이, 이중 고정은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지만,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프레임을 갖는 시트(3)와 같은 유아용 캐리어(국제 특허 제 WO 00/06437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유모차용으로 판매됨)에 사용하기만 하더라도 실용적이다.

Claims (14)

  1. 유아용 시트(3)와 같은 캐리어를 배치할 수 있는 프레임(2)을 포함하는 유모차(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은,
    전륜(4) 및 후륜(5);
    우측 푸쉬/풀 바아(7) 및 좌측 푸쉬/풀 바아(8)를 갖는 푸쉬 앤드 풀 핸들(6);
    상기 전륜(4)을 지지하는 우측 및 좌측 전륜 바아(9, 10);
    상기 후륜(5)을 지지하는 우측 및 좌측 후륜 바아(11, 12);
    상기 캐리어(3)를 지지하기 위한 우측 및 좌측 지지 핀(13, 14);
    상기 우측 전륜 바아 디스크(17) 및 상기 우측 후륜 바아 디스크(19)가 상기 전륜 바아(9, 10), 상기 후륜 바아(11, 12), 상기 푸쉬/풀 바아(7, 8) 및 상기 지지 핀(13, 14)에 실질적으로 횡방향으로 형성된 선회축(33) 둘레를 서로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우측 전륜 바아(9)가 우측 전륜 바아 디스크(17)를 거쳐 고정되고, 상기 우측 후륜 바아(11)가 우측 후륜 바아 디스크(19)를 거쳐 고정되고, 상기 우측 푸쉬/풀 바아(7) 및 상기 우측 지지 핀(13)이 고정되는 우측 커플링 부재(15); 및
    상기 좌측 전륜 바아 디스크(18) 및 상기 좌측 후륜 바아 디스크(20)가 상기 선회축(33) 둘레를 서로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좌측 전륜 바아(10)가 좌측 전륜 바아 디스크(18)를 거쳐 고정되고, 상기 좌측 후륜 바아(12)가 좌측 후륜 바아 디스크(20)를 거쳐 고정되고, 상기 좌측 푸쉬/풀 바아(8) 및 상기 좌측 지지 핀(14)이 고정되는 좌측 커플링 부재(16);를 포함하며,
    상기 우측 및 좌측 커플링 부재(15, 16)는 하나 이상의 위치에서 각각 고정가능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위치에서 상기 우측 전륜 바아(9) 및 상기 우측 후방 휠 바아(11)와, 상기 좌측 전륜 바아(10) 및 상기 좌측 후륜 바아(12)는 각각 서로에 대해 고정되고, 이들 위치로부터 해제가능하며,
    각각의 커플링 부재(15, 16)는 상기 프레임상에 제공된 로킹 기구를 가지며,
    각각의 상기 로킹 기구는,
    각각의 상기 지지 핀(13, 14)상에 제공된 돌출부(21)로서, 상기 지지 핀(13, 14)의 횡방향으로 그리고 상기 핀(13, 14)에 대해 볼 때, 돌출 위치와 후퇴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상기 돌출부(21);
    각각의 상기 지지 핀(13, 14)상에 제공되고, 각각의 상기 지지 핀(13, 14)의 종방향으로 미끄럼운동가능한 핀 슬라이더(23)로서, 상기 돌출부(21)에 면하는 제 1 단부(24)와, 상기 선회축(33)에 면하는 제 2 단부(24)를 갖는, 상기 핀 슬라이더(23); 및
    상기 핀 슬라이더(23)의 제 1 단부(24)가 상기 돌출부(21)와 접촉하는 동안에, 상기 돌출부(21)가 상기 돌출 위치의 방향으로 구동하는 프리텐션력을 받도록 상기 핀 슬라이더(23) 및 상기 돌출부(21)를 프리텐션하도록 구비된 텐셔닝 시스템(26);을 포함하며,
    상기 로킹 기구는, 상기 돌출부(21)가 상기 돌출 위치로부터 상기 후퇴 위치까지 상기 프리텐션력에 대해 밀려질 때, 상기 프리텐션력에 대해 상기 핀 슬라이더(23)를 상기 선회축(33) 쪽으로 밀도록 구비되어, 상기 로킹 기구가 상기 돌출부(21)의 상기 돌출 위치에 대응하는 해제 위치로부터 이동하고,
    각각의 상기 후륜 바아 디스크(19, 20) 및 각각의 상기 전륜 바아 디스크(17, 18)는 상기 돌출부의 상기 후퇴 위치에 대응하는 고정 위치내로 서로에 대해 회전가능하며,
    각각의 상기 후륜 바아 디스크(19, 20) 및 각각의 상기 전륜 바아 디스크(17, 18)는 서로에 대해 회전할 수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21)는 상기 돌출 위치에 있고, 상기 지지 핀(13, 14)의 자유 단부(27)에 면하고 상기 지지 핀(13, 14)의 외측에 위치된 상기 돌출부(21)의 부분(28)은 상기 지지 핀(13, 14)의 자유 단부(27)의 방향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21)는 상기 돌출 위치에서 상기 지지 핀(13, 14)의 외측에 위치되는 제 1 단부(29)와, 경사 핀(31)이 제공되는 제 2 단부를 가지며 상기 돌출부가 상기 경사 핀(31)에 대해 경사질 수 있고,
    상기 제 1 단부(29)와 상기 제 2 단부(30)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지지 핀(13, 14)의 자유 단부(27)로부터 떨어져 면하는 상기 돌출부(21)의 측부(32)는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21)와 접촉하는 상기 핀 슬라이더(23)의 제 1 단부(24)는 모떼기 가공되며, 상기 모떼기 가공부의 상측부(35) 쪽으로 상기 모떼기 가공부의 하측부(34)로부터 볼 때, 상기 모떼기 가공부는 상기 돌출부(21)의 후퇴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기구는 각각의 상기 커블링 부재(15, 16)에 제공되고, 상기 선회축(33)의 종방향으로부터 미끄럼운동될 수 있는 샤프트 슬라이더(22)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핀 슬라이더(23)의 제 2 단부(25)는 상기 텐셔닝 시스템의 영향 하에서 상기 샤프트 슬라이더(22)와 접촉하며,
    상기 로킹 기구는 상기 돌출부(21)를 밀어넣을 때에 해제 위치로부터 고정 위치로 상기 핀 슬라이더(23)를 거쳐 상기 샤프트 슬라이더(22)를 미끄럼운동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슬라이더(22)와 접촉하는 상기 핀 슬라이더(23)의 제 2 단부(25)는 상기 선회축(33)의 방향으로 경사진 접촉면(36)을 가지고, 상기 샤프트 슬라이더(22)에 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슬라이더(22)는 환형 본체를 가지며, 상기 환형 본체의 샤프트 축은 상기 선회축(33)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슬라이더(22)의 환형 본체(37)는 상기 핀 슬라이더(23)에 면하는 단부에서 상기 선회축(33)에 대해 회전식으로 대칭적으로 경사, 특히 원추형으로 경사진 표면(38)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본체(37)는 상기 핀 슬라이더(23)로부터 떨어져 면하는 단부(39)에서 적어도 하나의 로킹 핀(40)을 가지며, 상기 고정 위치에서 볼 때, 상기 로킹 핀(40)은 각각의 상기 후륜 바아 디스크(19, 20) 및 각각의 상기 전륜 바아 디스크(17, 18)내의 로킹 홈(41)내로 돌출하고, 상기 해제 위치에서 볼 때, 상기 로킹 홈(44)으로부터 후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슬라이더(22)는 상기 환형 본체(37)의 주변 방향으로 배치 및 분포된 다수의 로킹 핀(40)을 구비하고, 적어도 대응하는 다수의 로킹 홈(4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전륜 바아 디스크(17, 18) 또는 각각의 상기 후륜 바아 디스크(19, 20)는, 각각의 경우에서 하나의 로킹 핀(40)이 전후로 미끄럼운동될 수 있는 로킹 핀 가이드(42)를 로킹 핀(40)마다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12. 제5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텐셔닝 시스템은, 각각의 상기 후륜 바아 디스크(17, 18) 또는 각각의 상기 전륜 바아 디스크(19, 20)상에서, 일단부는 상기 샤프트 슬라이더(22)상에 결합하고, 다른 단부는 각각의 상기 커플링 부재(15, 16)상에 결합하는 프리텐션 스프링(26), 특히 압축에 의해 프리텐션된 스프링(2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모차는 시트로서의 유아용 캐리어(3)를 더 구비하며, 상기 캐리어(3)는 지지 튜브(43)와 함께 양측부상에 형성되며, 상기 지지 핀(13, 14)은 상기 돌출부(21)가 상기 돌출 위치로부터 상기 수축 위치로 상기 지지 튜브(43)에 의해 구동되는 동안에 상기 지지 핀(13, 14)이 수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21)는 각각의 경우에서 상기 지지 핀(13, 14)의 자유 단부(27)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KR1020077008637A 2004-09-16 2005-09-16 유모차 KR2007008525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1027054A NL1027054C2 (nl) 2004-09-16 2004-09-16 Buggy.
NL1027054 2004-09-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5259A true KR20070085259A (ko) 2007-08-27

Family

ID=34974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8637A KR20070085259A (ko) 2004-09-16 2005-09-16 유모차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7798500B2 (ko)
EP (1) EP1799527A2 (ko)
JP (1) JP2008513287A (ko)
KR (1) KR20070085259A (ko)
CN (1) CN100519297C (ko)
AU (1) AU2005285613A1 (ko)
BR (1) BRPI0515401A (ko)
CA (1) CA2580698A1 (ko)
MX (1) MX2007003227A (ko)
NL (1) NL1027054C2 (ko)
RU (1) RU2007114036A (ko)
WO (1) WO200603111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31381B (en) * 2005-10-19 2008-01-30 100 Watt Ltd Collapsible pushchair
TWM325260U (en) * 2006-12-13 2008-01-11 Link Treasure Ltd Pivotal base for a canopy frame
GB2449892A (en) * 2007-06-07 2008-12-10 An-Shih Wang A foldable stroller with a lockable pivot mechanism
JP5028166B2 (ja) * 2007-07-03 2012-09-19 アップリカ・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株式会社 乳母車
DE102007045068B3 (de) * 2007-09-19 2009-04-02 Otto Bock Healthcare Ip Gmbh & Co. Kg Kinder-Sportkarre
EP2042404B1 (en) * 2007-09-25 2010-11-24 Ting-Yu Chen Baby stroller with portable cradle
US7686323B2 (en) * 2007-10-19 2010-03-30 Ting-Yu Chen Baby stroller with portable cradle
DE102008002834B4 (de) 2008-04-28 2010-09-23 Schiel Gmbh Zusammenklappbarer Schiebewagen für Kinder und/oder Puppen
US20100052277A1 (en) * 2008-09-04 2010-03-04 Dynamic Brands, Llc Stroller accessory
CN101734273B (zh) * 2008-11-07 2011-12-07 宝钜(中国)儿童用品有限公司 婴儿车及其背靠倾斜调整装置
US8474854B2 (en) * 2009-03-24 2013-07-02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Foldable stroller and fold interlock mechanism
US8210563B2 (en) * 2008-12-19 2012-07-03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Reversible stroller handle
CN101758849B (zh) * 2008-12-26 2012-01-11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顶篷机构与相关的婴儿载具
US20100230933A1 (en) * 2009-03-16 2010-09-16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Stroller Adapter for an Infant Car Seat
FR2947510B1 (fr) * 2009-07-03 2017-01-13 Christian Bourillon Chevalet a provisions
US8226110B2 (en) * 2009-10-08 2012-07-24 Unique Product & Design Co., Ltd. Foldable joint for baby stroller
CN102079324B (zh) * 2009-12-01 2015-08-19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婴儿车及婴儿车与汽车座椅的组合
CN102101490B (zh) * 2009-12-18 2014-07-16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可收合式婴幼儿承载装置
US8714581B2 (en) 2010-01-25 2014-05-06 Cosco Management, Inc. Compact foldable stroller
US8205907B2 (en) * 2010-01-25 2012-06-26 Cosco Management, Inc. Compact foldable stroller
ES1072051Y (es) * 2010-03-04 2010-08-06 Jane Sa Articulacion multiple para varios elementos, con medios de bloqueo
NL2004371C2 (en) * 2010-03-09 2011-09-13 Maxi Miliaan Bv A STROLLER.
ES1072210Y (es) * 2010-04-07 2010-09-06 Jane Sa Chasis plegable para coches-silla infantiles
US8419025B2 (en) * 2010-04-07 2013-04-16 Wonderland Nurserygoods Company Limited Infant carrier apparatus
JP2012025258A (ja) * 2010-07-22 2012-02-09 Nifco Inc リンク機構
DE102010037506A1 (de) 2010-09-13 2012-03-15 Greentom Taiwan Manufacturing Ltd. Buggy
CN103496392B (zh) * 2010-12-20 2016-03-02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婴儿承载装置
US8408580B2 (en) * 2011-01-26 2013-04-02 Unique Product & Design Co., Ltd. Baby stroller folding device
US8382149B1 (en) * 2011-06-21 2013-02-26 Cheh-Kang Liu Baby trailer frame mounting structure
CN103318242B (zh) * 2012-03-19 2015-11-25 珠海优力创工贸有限公司 具有换向座位的可收合婴儿车
US9216755B2 (en) * 2012-03-30 2015-12-22 Kolcraft Enterprises, Inc. Foldable strollers
CN103373382B (zh) * 2012-04-20 2015-11-25 珠海优力创工贸有限公司 换向座位和具有换向座位的可收合婴儿车
US9114820B1 (en) 2012-07-24 2015-08-25 Artsana Usa, Inc. Locking calf support mechanism for a folding travel stroller
NL2009461C2 (nl) * 2012-09-13 2014-03-18 Mutsy Bv Zitje en kinderwagen of buggy voorzien van een dergelijk zitje.
NO335333B1 (no) * 2012-09-19 2014-11-17 Stokke As Barnevogn
US9399477B2 (en) 2012-12-27 2016-07-26 Kolcraft Enterprises, Inc. Strollers with removable child supports and related methods
CN103921820A (zh) * 2013-01-11 2014-07-16 安徽省舒城三乐童车有限责任公司 与前扶手有关的伞车折叠装置
CN103112486B (zh) * 2013-02-28 2016-01-13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转动关节以及童车
US8911015B2 (en) 2013-03-05 2014-12-16 Yochanan Cohen Car seat
US10220734B2 (en) 2013-03-05 2019-03-05 Pidyon Controls Inc. Car seat
US9487110B2 (en) 2014-03-05 2016-11-08 Pidyon Controls Inc. Car seat
CN104228919B (zh) * 2013-06-20 2016-08-24 珠海阳光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儿童推车
JP6169426B2 (ja) * 2013-07-04 2017-07-26 コンビ株式会社 乳母車及びシート支持ユニット
CN104273980B (zh) * 2013-07-11 2017-05-17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安全关节装置
GB2516906A (en) 2013-08-06 2015-02-11 Mamas & Papas Holdings Ltd Child support apparatus
US9333977B2 (en) 2013-09-20 2016-05-10 Radio Flyer Inc. Multipurpose wagon
EP2871112B1 (en) 2013-11-01 2017-10-11 Thule Child Transport Systems Ltd Foldable carriage
CN204641848U (zh) * 2014-04-10 2015-09-16 明门(中国)幼童用品有限公司 婴儿车站立装置及婴儿车
US9844278B2 (en) * 2014-04-11 2017-12-19 Wonderland Switzerland Ag Joint mechanism and child high chair thereof
DE102014110215A1 (de) * 2014-06-16 2015-12-17 Cybex Gmbh Kinderwagengestell und Kinderwagen
US9616782B2 (en) 2014-08-29 2017-04-11 Pidyon Controls Inc. Car seat vehicle connectio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NL2013394B1 (en) * 2014-09-01 2016-09-26 Royalty Bugaboo Gmbh Joint assembly for a stroller.
CN104192194B (zh) * 2014-09-16 2016-08-31 张星亮 一种换向折叠童车
GB201420312D0 (en) * 2014-11-14 2014-12-31 Silver Cross Holdings Ltd Carrier Mounting
JP6813502B2 (ja) 2015-05-12 2021-01-13 ピダイオン コントロー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自動車シート及び連結システム
US10315681B2 (en) * 2015-07-20 2019-06-11 Baby Jogger, LLC Compact folding baby stroller
CA2940813C (en) * 2015-09-03 2017-08-22 Wonderland Nurserygoods Company Limited Infant carrier
GB2565456B (en) * 2016-03-23 2021-09-15 Ford Global Tech Llc Reconfigurable cart
US9604659B1 (en) * 2016-03-30 2017-03-28 Mima International Holdings Limited Folding device for baby carriage
CN114771629B (zh) * 2016-04-13 2024-03-12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儿童推车装置
CN107284506B (zh) * 2016-04-13 2019-11-19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折叠座椅组及婴儿车
CA3027946C (en) * 2016-06-16 2022-06-14 Ekt Llc Personal mobility device
GB2552465A (en) * 2016-07-19 2018-01-31 Stroller Tech Ltd A foldable stroller frame
CN114750817A (zh) * 2016-07-27 2022-07-15 考可拉夫特公司 具有可移除座椅的童车和相关方法
WO2018022895A1 (en) 2016-07-27 2018-02-01 Kolcraft Enterprises, Inc. Foldable strollers and related methods
US10994763B2 (en) * 2016-07-27 2021-05-04 Kolcraft Enterprises, Inc. Foldable strollers with removeable seats and related methods
US9962011B1 (en) 2017-01-27 2018-05-08 Kolcraft Enterprises, Inc. Recline assemblies for stroller seats
CN108454688B (zh) * 2017-02-21 2023-09-12 珠海阳光儿童用品有限公司 卡合机构及婴儿车
CA3002939C (en) * 2017-04-26 2020-09-15 Wonderland Switzerland Ag Child stroller apparatus
WO2019019097A1 (en) 2017-07-27 2019-01-31 Kolcraft Enterprises,Inc. PUSHABLE STROLLERS AND ASSOCIATED METHODS
CN107472347B (zh) * 2017-09-06 2023-06-20 青岛乐悠悠家居有限公司 一种安全型童车
NL2019540B1 (en) * 2017-09-14 2019-03-27 Royalty Bugaboo Gmbh Joint assembly for a stroller
JP2019156214A (ja) * 2018-03-14 2019-09-19 株式会社リッチェル ベビーカー
GB2591211B (en) * 2018-09-18 2022-04-27 Jijibaba Ltd A push chair
US11577132B2 (en) * 2019-08-23 2023-02-14 Walker Trolleys, LLC Collapsible golf trolley
US11897534B2 (en) 2020-10-14 2024-02-13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Wagon stroller, systems, an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79655A (en) * 1971-12-23 1973-12-18 Sanshin Kinzoku Ind Co Ltd Angle variable joint for foldable chair
US4191397A (en) * 1977-06-15 1980-03-04 Kassai Kabushikikaisha Baby carriage
US4216974A (en) * 1977-06-15 1980-08-12 Kassai Kabushikikaisha Collapsible baby carriage
FR2567472B1 (fr) * 1984-07-12 1989-10-27 Ampafrance Voiture repliable pour enfants
GB2163478A (en) * 1984-08-23 1986-02-26 Seino Huang Positioning device for a carriage assembly
US5056805A (en) * 1990-06-05 1991-10-15 Wang Chia Ho Stroller
CN2097134U (zh) * 1991-04-09 1992-02-26 王东琦 多功能便携式童车
NL1009753C2 (nl) 1998-07-28 2000-02-01 Royalty Bugaboo S A R L Buggy.
US20060061066A1 (en) * 2004-09-21 2006-03-23 Yi-Cheng Tan Foldable strol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99527A2 (en) 2007-06-27
CA2580698A1 (en) 2006-03-23
JP2008513287A (ja) 2008-05-01
WO2006031115A2 (en) 2006-03-23
AU2005285613A1 (en) 2006-03-23
MX2007003227A (es) 2007-05-16
US7798500B2 (en) 2010-09-21
NL1027054C2 (nl) 2006-03-20
BRPI0515401A (pt) 2008-07-22
CN101076468A (zh) 2007-11-21
RU2007114036A (ru) 2008-10-27
US20080088116A1 (en) 2008-04-17
WO2006031115A3 (en) 2006-07-13
CN100519297C (zh) 2009-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85259A (ko) 유모차
CA3002926C (en) Child stroller apparatus
KR102227172B1 (ko) 유아 푸시 체어 프레임과, 유아 푸시 체어
US8366127B2 (en) Infant carrier device suitable for multi-orientation use
KR101793220B1 (ko) 개선된 접이식 유모차
CN101903232B (zh) 改进的折叠式婴儿车车架
US8251382B2 (en) Stroller and seat assembly mechanism for a stroller
US8936261B2 (en) Child carrier apparatus
US10286940B2 (en) Child stroller apparatus
US8622404B2 (en) Infant carrier apparatus and its adjusting method
CA2900207C (en) Zero play hinge for a stroller
US8480116B2 (en) Infant carrier apparatus having an adjustable handle assembly
GB2545783A (en) Infant stroller apparatus
US20240124043A1 (en) Wheeled carrying apparatus
US11993302B2 (en) Wheeled carrying apparatus
CN220410681U (zh) 限位装置、顶篷安装结构及儿童载具
CN112441102A (zh) 婴儿车车架和婴儿车
CN212220352U (zh) 婴儿车座位组件及婴儿车
CN118056733A (zh) 连接关节、儿童载具的支撑装置及儿童载具
TW202408859A (zh) 限位裝置、頂篷安裝結構及兒童載具
CN113247076A (zh) 婴儿车座位组件及婴儿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