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4967A - 휠체어의 계단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휠체어의 계단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4967A
KR20070084967A KR1020060017405A KR20060017405A KR20070084967A KR 20070084967 A KR20070084967 A KR 20070084967A KR 1020060017405 A KR1020060017405 A KR 1020060017405A KR 20060017405 A KR20060017405 A KR 20060017405A KR 20070084967 A KR20070084967 A KR 200700849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wheelchair
walking
plates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7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순식
장민
Original Assignee
장순식
장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순식, 장민 filed Critical 장순식
Priority to KR1020060017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84967A/ko
Publication of KR20070084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49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장애인의 이동권을 보장할 수 있도록 휠체어를 탑승한체 계단도 올라갈 수 있는 휠체어의 계단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휠체어(4) 프레임(41)과 바퀴(42) 사이에 휠체어 전장 보다 조금 크고, 계단의 진입이 용이하도록 전,후방으로 경사면을 구성한 한쌍의 워킹판과(1); 상기에서 워킹판(1)의 하부는 계단을 올라갈 수 있게 톱날형으로 된 승강판(11)을 양측으로 부착하여, 그 승강판 사이에 날부의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고무판(12)을 부착한 것으로 구성되며; 한편, 상기 워킹판(1)은 내,외판 사이에 전,후방으로 각각 크랭크축(13)을 부착하되, 내측워킹판 후방의 크랭크축(13)은 모터(14)를 부착하여, 그 전동력으로 한쌍의 워킹판(1)이 크랭크회전을 하면서 걸을 수 있게 한 워킹장치와(A),
상기 내측워킹판(1)의 전,후방에 상,하로 슬라이드 되는 작동판(21)을 부착하고, 휠체어(4)의 프레임(11)에는 상기 작동판(21)과 치합되어 상,하 승강시킬 수 있는 고정판(22)을 부착한 한쌍의 슬라이드판(2)과; 상기 내측워킹판(1)의 중단에 브라켓(31)으로 너트(32)를 고정하고, 휠체어(4)의 측판(43)에는 브라켓(33)으로 모터(34)를 축설하여, 그 구동축(35)을 나사봉(36)과 결속시켜 상기 너트(32)와 치합한 승강대(3)와; 상기에서 승강대(3)의 모터(34) 전동에 따라 워킹판(1)이 슬라이드판(2)을 타고 상,하로 승강되도록 한 워킹판승강장치(B)로 이루어진 휠체어의 계단승강장치를 제공한다.
워킹판, 워킹장치, 슬라이드판, 승강대, 워킹판 승강장치.

Description

휠체어의 계단 승강장치{A STEP APPARATUS FOR WHEEL CHAIR}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평면 일부를 파절한 단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워킹장치 단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승강대 단면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워킹판 승강장치 작동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A: 워킹장치 B: 워킹판 승강장치
1: 워킹판 11: 승강판
12: 고무판 13: 크랭크축
14: 모터 2: 슬라이드판
21: 작동판 22: 고정판
3: 승강대 31: 너트 브라켓
32: 너트 33: 모터 브라켓
34: 모터 35: 모터 구동축
36: 나사봉 4: 휠체어
41: 프레임 42: 바퀴
43: 측판 5: 배터리
6: 조정부
본 발명은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계단을 올라갈 수 있게 한 휠체어의 계단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휠체어는 주로 평지를 주행하도록 만들어져 특히 계단은 올라갈 수 없는 크나큰 단점이 있었다.
한편, 이렇게 계단을 오르지 못하는 장애인들을 위하여 공공시설에서는 계단에 별도로 비탈길을 시공함으로써 휠체어도 올라갈 수 있도록 건축되고 있으나, 이런 편의시설은 별도의 건설비용이 너무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공공시설 외의 일반 건축물들은 대부분의 이런 장애인들을 위한 편의시설을 무시하고 건설비용을 최대 한 절감하고자 그냥 계단으로만 건축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아직까지 휠체어를 탑승한 장애인들은 계단이라는 크나큰 장벽에 부딪혀 이동권에 대한 큰 제약을 받고 있는 사회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휠체어를 탑승한 장애인들이 계단도 올라갈 수 있도록 휠체어에 계단승강장치를 장치함으로써, 아직까지 계단이라는 장벽에 부딪혀 이동권을 제약 받고 있는 장애인들의 이동권을 보장하게 한 것인데,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첨부도면 도1 또는 도2와 같이 휠체어(4) 프레임(41)과 바퀴(42) 사이에 휠체어 전장 보다 조금 크고, 계단의 진입이 용이하도록 전,후방으로 경사면을 구성한 한쌍의 워킹판과(1);
상기에서 워킹판(1)의 하부는 첨부도면 도3과 같이 계단을 올라갈 수 있게 톱날형으로 된 승강판(11)을 양측으로 부착하여, 그 승강판 사이에 날부의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고무판(12)을 부착한 것으로 구성되며;
한편, 상기 워킹판(1)은 첨부도면 도5와 같이 내,외판 사이에 전,후방으로 각각 크랭크축(13)을 부착하되, 내측워킹판 후방의 크랭크축(13)은 모터(14)를 부 착하여, 그 전동력으로 한쌍의 워킹판(1)이 크랭크회전을 하면서 걸을 수 있게 한 워킹장치와(A),
첨부도면 도4와 같이 상기 내측워킹판(1)의 전,후방에 상,하로 슬라이드되는 작동판(21)을 부착하고, 휠체어(4)의 프레임(11)에는 상기 작동판(21)과 치합되어 상,하 승강시킬 수 있는 고정판(22)을 부착한 한쌍의 슬라이드판(2)과;
첨부도면 도3 또는 도6과 같이 상기 내측워킹판(1)의 중단에 브라켓(31)으로 너트(32)를 고정하고, 휠체어(4)의 측판(43)에는 브라켓(33)으로 모터(34)를 축설하여, 그 구동축(35)을 나사봉(36)과 결속시켜 상기 너트(32)와 치합한 승강대(3)와;
상기에서 첨부도면 도7과 같이 승강대(3)의 모터(34) 전동에 따라 워킹판(1)이 슬라이드판(2)을 타고 상,하로 승강되도록 한 워킹판승강장치(B)로 이루어진 휠체어의 계단승강장치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의 워킹장치(A)는 한쌍의 워킹판(1)을 크랭크축(13)으로 상호 부착하여 모터(14)의 전동에 따라 첨부도면 도8과 같이 워킹식으로 걸을 수 있게 함으로써 계단을 올라갈 수 있도록 한 것이고,
또한, 상기 워킹판 승강장치(B)는 내측 워킹판(1)을 한쌍의 슬라이드판(2)으로 휠체어(4)와 바퀴(42) 사이에 부착함으로써, 첨부도면 도7과 같이 모터(34)의 전동에 따라 승강대(3)에 의해 휠체어(4)로 부터 워킹판(1)이 상,하로 승강 될 수 있게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도면 도7과 같이 비사용시에는 워킹판(1)을 승강대 (3)로 올려서 평소 지면을 다닐 때 간섭이 없게 하고,
한편, 첨부도면 도8과 같이 계단을 올라가고자 할 때에는 워킹판(1)을 승강대(3)로 다시 내려 휠체어(4)가 지면에서 완전히 띄운 채 워킹장치(A)를 작동시킴으로써 계단을 워킹식으로 걸으면서 올라갈 수 있게 되며,
또, 본 발명의 계단승강장치는 휠체어(4)의 좌측과 우측의 모터가 개별적으로 부착됨으로써 좌,우측이 별개로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굽어진 계단도 무난히 올라갈 수 있게 된다.
* 첨부도면에서 설명되지 않은 번호 (5)는 배터리이며, (6)은 조정부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크랭크운동을 하면서 워킹식을 걸을 수 있게 한 워킹장치를 휠체어 좌우측에 위치시켜, 슬라이드판으로 휠체어 프레임과 바퀴사이에 각각 부착하고, 이를 사용여부에 따라 승강대로 상기 워킹장치를 올렸다 내렸다 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아직까지 올라가지 못했던 계단을 혼자서도 쉽게 올라갈 수 있기 때문에 휠체어를 탑승한 장애인들의 이동권을 보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이렇게 계단을 올라갈 수 있는 휠체어가 제공되기 때문에, 장애인들을 위한 별도의 편의시설을 시공하는데 소비되는 건축비용을 아낄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을 것이다.

Claims (1)

  1. 공지된 휠체어에 있어서,
    휠체어(4) 프레임(41)과 바퀴(42) 사이에 휠체어 전장 보다 조금 크고, 계단의 진입이 용이하도록 전,후방으로 경사면을 구성한 한쌍의 워킹판과(1);
    상기에서 워킹판(1)의 하부는 계단을 올라갈 수 있게 톱날형으로 된 승강판(11)을 양측으로 부착하여, 그 승강판 사이에 날부의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고무판(12)을 부착한 것으로 구성되며;
    한편, 상기 워킹판(1)은 내,외판 사이에 전,후방으로 각각 크랭크축(13)을 부착하되, 내측워킹판 후방의 크랭크축(13)은 모터(14)를 부착하여, 그 전동력으로 한쌍의 워킹판(1)이 크랭크회전을 하면서 걸을 수 있게 한 워킹장치와(A),
    상기 내측워킹판(1)의 전,후방에 상,하로 슬라이드되는 작동판(21)을 부착하고, 휠체어(4)의 프레임(11)에는 상기 작동판(21)과 치합되어 상,하 승강시킬 수 있는 고정판(22)을 부착한 한쌍의 슬라이드판(2)과;
    상기 내측워킹판(1)의 중단에 브라켓(31)으로 너트(32)를 고정하고, 휠체어(4)의 측판(43)에는 브라켓(33)으로 모터(34)를 축설하여, 그 구동축(35)을 나사봉(36)과 결속시켜 상기 너트(32)와 치합한 승강대(3)와;
    상기에서 승강대(3)의 모터(34) 전동에 따라 워킹판(1)이 슬라이드판(2)을 타고 상,하로 승강되도록 한 워킹판승강장치(B)로 이루어진 휠체어의 계단승강장치
KR1020060017405A 2006-02-22 2006-02-22 휠체어의 계단 승강장치 KR200700849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7405A KR20070084967A (ko) 2006-02-22 2006-02-22 휠체어의 계단 승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7405A KR20070084967A (ko) 2006-02-22 2006-02-22 휠체어의 계단 승강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4942U Division KR200416013Y1 (ko) 2006-02-23 2006-02-23 휠체어의 계단 승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4967A true KR20070084967A (ko) 2007-08-27

Family

ID=38613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7405A KR20070084967A (ko) 2006-02-22 2006-02-22 휠체어의 계단 승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8496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3159B1 (ko) * 2010-06-11 2012-04-06 김한주 턱을 승강하는 이동식 체어
CN112891081A (zh) * 2021-01-26 2021-06-04 武汉理工大学 一种腿轮复合式轮椅
CN113975004A (zh) * 2021-09-13 2022-01-28 东北大学 一种交替步进式爬楼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3159B1 (ko) * 2010-06-11 2012-04-06 김한주 턱을 승강하는 이동식 체어
CN112891081A (zh) * 2021-01-26 2021-06-04 武汉理工大学 一种腿轮复合式轮椅
CN113975004A (zh) * 2021-09-13 2022-01-28 东北大学 一种交替步进式爬楼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01813A (en) Physiotherapeutic device
JP2010505489A (ja) 階段および障害物用車椅子
JP3207779U (ja) 手動階段昇降車椅子
KR101150165B1 (ko) 계단 통행이 가능한 휄체어
KR100657848B1 (ko)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구조
KR20070084967A (ko) 휠체어의 계단 승강장치
CN205181649U (zh) 一种自动攀爬楼梯的轮椅
CN104800011B (zh) 一种新型多功能轮椅及其使用方法
KR102068931B1 (ko) 이동가능한 계단겸용 장애인용 리프트장치
CN111700744A (zh) 一种载人上下台阶的电动小车
KR200416013Y1 (ko) 휠체어의 계단 승강장치
CN212439110U (zh) 一种具有调节座椅功能的医疗电动爬楼椅
CN111689342A (zh) 一种平步楼梯装置
KR102196729B1 (ko) 계단식 전동휠체어
CN203898577U (zh) 一种沿楼梯扶手轨道上下楼的电动轮椅
KR102373539B1 (ko) 계단 및 단차 지형의 휠체어 주행을 위한 전동 어시스트 모듈
US7484595B2 (en) Step-shaped staircase lift for personal use and transport of goods
CN212292430U (zh) 一种平步楼梯装置
KR100653213B1 (ko) 공동주택용 가변형 계단 구조
KR20210063516A (ko) 휠체어용 계단 승강 보조 장치
CN215900130U (zh) 基于导轨升降机构的助老轮椅
JP3162555U (ja) 段差のバリアフリー用歩み板
CN103784270A (zh) 一种爬楼轮椅及其控制方法
KR102569111B1 (ko) 경사주행이 가능한 전동휠체어
CN211619699U (zh) 一种助力扶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