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1355A - 마운팅 브라켓을 이용한 차량용 엔진냉각장치의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마운팅 브라켓을 이용한 차량용 엔진냉각장치의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1355A
KR20070081355A KR1020060013251A KR20060013251A KR20070081355A KR 20070081355 A KR20070081355 A KR 20070081355A KR 1020060013251 A KR1020060013251 A KR 1020060013251A KR 20060013251 A KR20060013251 A KR 20060013251A KR 20070081355 A KR20070081355 A KR 200700813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mounting bracket
mounting
engine cooling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3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규
구정수
모길재
Original Assignee
한국델파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델파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델파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3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81355A/ko
Publication of KR20070081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13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Arrangements integrating additional peripherals in a keyboard, e.g. card or barcode reader, optical scan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마운팅 브라켓을 이용한 차량용 엔진냉각장치의 장착구조는, 푸셔팬, 응축기, 인터쿨러, 라디에이터, 냉각팬으로 이루어진 엔진냉각장치 모듈을 별도의 마운팅 브라켓을 이용해 차량에 장착시키기 위한 차량용 엔진냉각장치의 장착구조로서,
상기 마운팅 브라켓은 인터쿨러와 라디에이터의 바닥이 거치되어 그 양단이 각각 별도의 체결부재로 고정 결합되는 판상의 베이스 프레임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 전방으로 연장되어 푸셔팬의 하단이 고정 결합되는 사이드 암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저면으로 소정길이 돌출 연장되는 마운팅 폴이 적어도 한 개 이상 복수개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엔진냉각장치를 구성하는 각 구성품들을 마운팅 브라켓(160)에 결합시켜 어셈블리 상태로 차량에 장착하게 됨에 따라 조립성이 향상되는 한편,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게 되고, 푸셔팬을 마운팅 브라켓과 팬 브라켓을 이용해 엔진냉각장치에 견고하게 고정 결합시킴으로써, 푸셔팬의 진동을 방지하고, 냉각장치 및 푸셔팬이 피로응력 누적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소음 감소로 인한 정숙성을 유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엔진, 냉각, 응축기, 인터쿨러, 냉각팬, 자동차

Description

마운팅 브라켓을 이용한 차량용 엔진냉각장치의 장착구조{Structure of Joinning Cooling Module using Mounting Bracke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운팅 브라켓을 이용한 차량용 엔진냉각장치의 장착구조를 도시한 정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운팅 브라켓을 이용한 차량용 엔진냉각장치의 장착구조를 도시한 배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운팅 브라켓을 이용한 차량용 엔진냉각장치의 장착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라디에이터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및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쿨러구조를 도시한 시시도 및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마운팅 브라켓 및 팬브라켓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푸셔팬 120: 응축기
130: 인터쿨러 131: 체결용 보스
133: 상부체결 보스 140: 라디에이터
141: 체결용 보스 150: 냉각팬
160: 마운팅 브라켓 161: 베이스프레임
163: 사이드암 165: 마운팅 폴
170: 팬 브라켓 171: 수평프레임
173: 인터쿨러 결합단 175: 팬 결합단
본 발명은 차량용 엔진냉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엔진냉각장치를 구성하는 각 구성품들을 마운팅 브라켓에 결합시켜 어셈블리 상태로 차량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마운팅 브라켓을 이용한 차량용 엔진냉각장치의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엔진룸 전방에는 엔진을 냉각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된 고온의 냉각수를 방열시키는 라디에이터와, 여름철 차내를 냉방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냉매를 냉각시키는 콘덴서 및 이들 사이로 공기를 강제 송풍시켜 냉각효율을 높이도록 구비된 냉각팬이 설치되어 있고, 디젤 차량인 경우에는 출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인터쿨러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상이한 기능을 갖는 라디에이터와 응축기 및 냉각팬 그리고 인터쿨러 는 내부 공간이 협소한 엔진룸의 전방에 설치되는 구조적인 원인으로 인해 그 두께 가 비교적 얇게 형성되어 있고, 적은 간격을 사이에 두고 고정수단인 볼트와 브라켓을 이용하여 상호 조립 및 고정되어 주행 중 발생되는 진동으로 인한 흔들림과 그로 인한 소음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자동차 냉각시스템(cooling system)에어서는 두 개의 쿨링 팬 즉, 엔진의 냉각수를 냉각시키기 위한 라디에이터 냉각용 팬과, 공기조화 장치의 응축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푸셔팬이 사용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상기 팬들을 열교환기에 장착함에 있어서, 응축기에는 푸셔타입의 팬을 직접 체결결합하게 되고, 라디에이터에는 풀러타입의 냉각팬을 직접 체결결합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라디에이터와 응축기 및 냉각팬 그리고 인터쿨러를 하나의 어셈블리가 되도록 고정하는 과정에서 각각의 구성부품들을 볼트 등을 이용해 체결하게 됨으로써,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푸셔팬이 응축기 케이스에 직접적으로 체결결합됨에 따라서, 푸셔팬의 진동에 의한 소음이 발생하게 되고, 상기 푸셔팬의 진동이 누적됨에 따라 응축기의 피로응력이 가해져서 응축기의 파손 및 푸셔팬의 파손이 진행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차량에 장착되기 위한 장착구조로서, 마운팅 폴(원기둥 형상의 정합용 돌기)을 라디에이터 케이스 저면에 일체로 사출성형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제작된 마운팅 폴은 내구성이 떨어져 작은 충격에도 전단 파손 되거나 결합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엔진냉각장치를 구성하는 각 구성품들을 마운팅 브라켓에 결합시켜 어셈블리 상태로 차량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마운팅 브라켓을 이용한 차량용 엔진냉각장치의 장착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푸셔팬을 마운팅 브라켓과 팬 브라켓을 이용해 엔진냉각장치에 견고하게 고정 결합시킴으로써, 푸셔팬의 진동을 방지하고, 냉각장치 및 푸셔팬이 피로응력 누적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마운팅 브라켓을 이용한 차량용 엔진냉각장치의 장착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마운팅 브라켓을 이용한 차량용 엔진냉각장치의 장착구조는, 푸셔팬, 응축기, 인터쿨러, 라디에이터, 냉각팬으로 이루어진 엔진냉각장치 모듈을 별도의 마운팅 브라켓을 이용해 차량에 장착시키기 위한 차량용 엔진냉각장치의 장착구조로서,
상기 마운팅 브라켓은 인터쿨러와 라디에이터의 바닥이 거치되어 그 양단이 각각 별도의 체결부재로 고정 결합되는 판상의 베이스 프레임이 형성되고, 상기 베 이스 프레임의 일측 전방으로 연장되어 푸셔팬의 하단이 고정 결합되는 사이드 암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저면으로 소정길이 돌출 연장되는 마운팅 폴이 적어도 한 개 이상 복수개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운팅 브라켓을 이용한 차량용 엔진냉각장치의 장착구조를 도시한 정면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운팅 브라켓을 이용한 차량용 엔진냉각장치의 장착구조를 도시한 배면사시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운팅 브라켓을 이용한 차량용 엔진냉각장치의 장착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라디에이터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및 상세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쿨러구조를 도시한 시시도 및 상세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마운팅 브라켓 및 팬브라켓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동 도면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푸셔팬(110), 응축기(120), 인터쿨러(130), 라디에이터(140), 냉각팬(150)으로 이루어진 엔진냉각장치 모듈을 별도의 마운팅 브라켓(160)을 이용해 차량에 장착시키기 위한 장착구조를 갖는다.
상기 도 1내지 도 6에서 보여지는 본 발명의 냉각시스템은 두 개의 쿨링 팬 즉, 엔진의 냉각수를 냉각시키기 위한 라디에이터(140) 냉각용 팬(150)과, 공기조화 장치의 응축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푸셔팬(110)이 사용된다.
여기서, 상기 본 발명의 엔진냉각장치에 대한 냉각시스템의 원리에 대해서는 주지의 기술로 널리 알려지고 있어 이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마운팅 브라켓(160)은 인터쿨러(130)와 라디에이터(140)의 바닥이 거치되어 그 양단이 각각 별도의 체결부재(체결나사 또는 체결볼트 등)로 고정 결합되는 판상의 베이스 프레임(161)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161)의 일측 전방으로 연장되어 푸셔팬(110)의 하단이 고정 결합되는 사이드암(163)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161)의 저면으로 소정길이 돌출 연장되는 마운팅 폴(165)이 적어도 한 개 이상 복수개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마운팅 브라켓(160)은 베이스 프레임(161) 좌우측 양단에 복수개의 체결홀이 형성됨에 따라 별도의 체결부재(나사 또는 볼트 등)를 이용해 인터쿨러(130)와 라디에이터(140) 각각에 형성된 체결용 보스(131)(141)와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한 상태로 체결하게 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 프레임(161) 일측 전방으로 연장되는 사이드암(163)에도 푸셔팬(110)과 결합되기 위한 복수개의 체결홀가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마운팅 브라켓(160)의 베이스 프레임(161) 저면에는 차체와 정합되기 위한 장착구조인 마운팅 폴(165)을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 마운팅 폴(165)은 차량구조에 따라 다양한 형태(사각기둥, 원기둥, 오각 또는 육각기둥 등)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마운팅 브라켓(160)은 고밀도 합성수지재를 이용해 견고하게 제작하거나, 금속재질로 제작하여 내구성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푸셔팬(110)은 하단이 마운팅 브라켓(160)의 사이드암(163)에 고정 결합되는 한편 그 상단이 별도 구비된 팬 브라켓(170)을 이용해 응축기(120) 전면에 고정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팬 브라켓(170)의 양단이 인터쿨러(130)와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데 이를 위해 인터쿨러(130) 상단 좌우측에 팬 브라켓(170)의 결합을 위한 상부체결보스(133)가 형성된다.
상기 팬 브라켓(170)은 봉 형상의 수평프레임(171) 양 끝단에 인터쿨러(130)의 양측 모서리에 결합되기 위한 인터쿨러 결합단(173)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프레임(171) 상의 소정 위치에 푸셔팬(110)의 상단 중앙이 고정 결합되기 위한 팬 결합단(175)이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인터쿨러 결합단(173) 및 팬 결합단(175) 각각에는 체결나사 등이 관통되는 복수개의 체결홀이 형성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응축기 전면에는 푸셔팬(110)이나 팬 브라켓(170)과 같은 구성품들이 결합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응축기(120)는 인터쿨러(130) 전면에 별도의 체결부재(체결용 나사 등)를 이용해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라디에이터(140)의 배면에는 라디에이터(140)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팬(150)이 직접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엔진냉각장치를 구성하는 각 구성품들을 마운팅 브라켓(160)에 결합시켜 어셈블리 상태로 차량에 장착하게 됨에 따라 조립성이 향상되 는 한편,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게 되어 내구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푸셔팬(110)을 마운팅 브라켓(160)과 팬 브라켓(170)을 이용해 엔진냉각장치에 견고하게 고정 결합시킴으로써, 푸셔팬의 진동을 방지하고, 냉각장치 및 푸셔팬이 피로응력 누적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소음 감소로 인한 정숙성을 유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냉각장치의 구동이 안정됨에 따라 풍향효율이 향상되는 동시에 마운팅 폴 결합부에서의 파손이 방지됨으로써, 불량률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푸셔팬(110), 응축기(120), 인터쿨러(130), 라디에이터(140), 냉각팬(150)으로 이루어진 엔진냉각장치 모듈을 별도의 마운팅 브라켓을 이용해 차량에 장착시키기 위한 차량용 엔진냉각장치의 장착구조로서,
    상기 마운팅 브라켓(160)은 인터쿨러(130)와 라디에이터(140)의 바닥이 거치되어 그 양단이 각각 별도의 체결부재로 고정 결합되는 판상의 베이스 프레임(161)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161)의 일측 전방으로 연장되어 푸셔팬(110)의 하단이 고정 결합되는 사이드암(163)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161)의 저면으로 소정길이 돌출 연장되는 마운팅 폴(165)이 적어도 한 개 이상 복수개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팅 브라켓을 이용한 차량용 엔진냉각장치의 장착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폴(165)은 장착구조에 따라 다양한 형태(사각기둥, 원기둥, 오각 또는 육각기둥 등)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팅 브라켓을 이용한 차량용 엔진냉각장치의 장착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브라켓(160)을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팅 브라켓을 이용한 차량용 엔진냉각장치의 장착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팬(110)의 상단을 응축기(120)에 고정 결합시키기 위한 팬 브라켓(170)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팅 브라켓을 이용한 차량용 엔진냉각장치의 장착구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팬 브라켓(170)은 봉형상의 수평프레임(171) 양 끝단에 인터쿨러(130)의 양측 모서리에 결합되기 위한 인터쿨러 결합단(173)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프레임(171) 상의 소정 위치에 푸셔팬(110)의 상단 중앙이 고정 결합되기 위한 팬 결합단(17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팅 브라켓을 이용한 차량용 엔진냉각장치의 장착구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쿨러(130) 전면에 응축기(12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팅 브라켓을 이용한 차량용 엔진냉각장치의 장착구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에이터(140)의 배면에 냉각팬(150)이 직접 결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팅 브라켓을 이용한 차량용 엔진냉각장치의 장착구조.
KR1020060013251A 2006-02-10 2006-02-10 마운팅 브라켓을 이용한 차량용 엔진냉각장치의 장착구조 KR200700813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3251A KR20070081355A (ko) 2006-02-10 2006-02-10 마운팅 브라켓을 이용한 차량용 엔진냉각장치의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3251A KR20070081355A (ko) 2006-02-10 2006-02-10 마운팅 브라켓을 이용한 차량용 엔진냉각장치의 장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1355A true KR20070081355A (ko) 2007-08-16

Family

ID=38611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3251A KR20070081355A (ko) 2006-02-10 2006-02-10 마운팅 브라켓을 이용한 차량용 엔진냉각장치의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81355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858B1 (ko) 2007-01-03 2008-07-23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열교환기의 결합구조
CN102642462A (zh) * 2012-05-10 2012-08-22 内蒙古第一机械集团有限公司 军、警用特种车辆层压式集成化动力舱冷却组件
CN103522893A (zh) * 2013-10-17 2014-01-22 北京北方华德尼奥普兰客车股份有限公司 一种集成式水箱支架
KR20150089642A (ko) * 2014-01-28 2015-08-05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듀얼 팬 쿨링 모듈
KR20160037003A (ko) 2014-09-26 2016-04-05 이래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팬 인서트
CN110821636A (zh) * 2018-08-13 2020-02-21 卡特彼勒路面机械公司 用于机器的冷却封装
DE102023204019A1 (de) 2022-10-12 2024-04-18 Hanon Systems Efp Deutschland Gmbh Gebläse für einen Wärmeübertrager eines Fahrzeugs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858B1 (ko) 2007-01-03 2008-07-23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열교환기의 결합구조
CN102642462A (zh) * 2012-05-10 2012-08-22 内蒙古第一机械集团有限公司 军、警用特种车辆层压式集成化动力舱冷却组件
CN103522893A (zh) * 2013-10-17 2014-01-22 北京北方华德尼奥普兰客车股份有限公司 一种集成式水箱支架
CN103522893B (zh) * 2013-10-17 2016-03-30 北京北方华德尼奥普兰客车股份有限公司 一种集成式水箱支架
KR20150089642A (ko) * 2014-01-28 2015-08-05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듀얼 팬 쿨링 모듈
KR20160037003A (ko) 2014-09-26 2016-04-05 이래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팬 인서트
CN110821636A (zh) * 2018-08-13 2020-02-21 卡特彼勒路面机械公司 用于机器的冷却封装
CN110821636B (zh) * 2018-08-13 2022-05-27 卡特彼勒路面机械公司 用于机器的冷却封装
DE102023204019A1 (de) 2022-10-12 2024-04-18 Hanon Systems Efp Deutschland Gmbh Gebläse für einen Wärmeübertrager eines Fahrzeugs
DE102023204020A1 (de) 2022-10-12 2024-04-18 Hanon Systems Efp Deutschland Gmbh Gebläse für einen Wärmeübertrager eines Fahrzeug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81355A (ko) 마운팅 브라켓을 이용한 차량용 엔진냉각장치의 장착구조
KR101589027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US20070193724A1 (en) Heat dissipating device
US20110226542A1 (en) Cooling module for motor vehicles and motor vehicle
JP2003252241A (ja) 車両のフロントエンド構造
KR20100030332A (ko) 차량용 인터쿨러 일체형 쿨링모듈
KR100792905B1 (ko) 차량의 쿨링모듈 장착구조
CN201761351U (zh) 一种前端冷却模块的安装结构
KR101638328B1 (ko) 쿨링모듈 장착구조
CN114584856A (zh) 散热装置、基站设备
KR20050035631A (ko) 차량의 쿨링 모듈 프레임 구조
KR100931161B1 (ko) 자동차용 라디에이터 설치구조
JP3142481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JP4104430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JP4617976B2 (ja) 熱交換器組立体
CN219529412U (zh) 风罩及风机固定结构
KR20040060359A (ko) 팬 쉬라우드의 조립체와 열교환기의 결합유니트
CN214665452U (zh) 一种便于维修的车载冰箱
JP2008202891A (ja) 空気調和装置
CN219301074U (zh) 一种雪花制冰机的风冷散热结构
CN214626696U (zh) 一种降温节能开关磁阻电机
CN212563445U (zh) 一种新型农业机械用散热器防尘装置
KR100372707B1 (ko) 라디에이터 및 콘덴서를 위한 자동차의 냉각팬 조립체
CN220552014U (zh) 散热组件和空调设备
CN110708927B (zh) 一种驱动器的新型散热结构、安装基板、驱动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