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9913A - 잠수함 - Google Patents

잠수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9913A
KR20070079913A KR1020070010164A KR20070010164A KR20070079913A KR 20070079913 A KR20070079913 A KR 20070079913A KR 1020070010164 A KR1020070010164 A KR 1020070010164A KR 20070010164 A KR20070010164 A KR 20070010164A KR 20070079913 A KR20070079913 A KR 200700799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marine
life
pressure
tool
life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0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75469B1 (ko
Inventor
미카엘 기에르나스
Original Assignee
호발츠벨케 도이췌 벨프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발츠벨케 도이췌 벨프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호발츠벨케 도이췌 벨프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70079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9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5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5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40Rescue equipment for personnel
    • B63G8/41Capsules, chambers, water-tight boats or the like, detachable from the submar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3/00Arrangements of ammunition stores or handlers;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40Rescue equipment for person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Packag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잠수함에는, 잠수 상태에서뿐만 아니라 잠수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배출될 수 있는 잠수함 구명 용구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유형의 잠수함은 잠수함 구명 용구를 배출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어뢰 관을 포함한다. 이 목적을 위해, 상기 잠수함 구명 용구는 어뢰 관과 비슷한 크기 및 형태로 형성되었다.
잠수함, 잠수함 구명 용구, 어뢰 관, 내압 용기, 로프

Description

잠수함 {SUBMARINE BOAT}
도 1은 포장 장치 내에 있는 잠수함 구명 용구의 구성 부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
도 2는 단부 측에 커버를 구비한 압축 밀봉 방식 용기 내부에 있는 도 1에 따른 구성 부품들의 종단면도.
도 3은 도 2와 유사하게 도시된 한 변형 실시예의 개략도.
도 4는 도 1에 따른 구성 부품들을 내부에 수용하고 있는 내압 용기의 기본적인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5는 2개의 절반 셸로 이루어진 도 4에 따른 내압 용기의 한 섹션을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대형 구명 고무 보트 2: 해난 구조 송신기
3: 원통형 용기 4: 압축 가스 플랜지
5: 활성화 유닛 6, 7: 용기
8: 박막 (주머니) 9: 길이
10: 직경 11: 내압 용기
12: 릴 13: 로프
14: 밀봉부 15: 도 2의 목표 파괴 장소
16: 도 5의 목표 파괴 장소 17: 실린더 포트
18: 커버 19: 슬리브 재킷 압축 풍선
20: 피스톤 21, 22: 절반 셸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기술된 특징에 따른 잠수함 구명 용구를 구비한 잠수함 그리고 잠수함 구명 용구에 관한 것이다.
잠수함에서는, 잠수함 내에 있는 사람을 바다 위로 끌어올리고, 그곳에서 제 3자에 의해 구명될 때까지 머무르게 하며, 보호 기능을 보증하고, 생명 유지를 위해 가장 긴급하게 필요한 것들을 제공할 목적으로 이용되는 소위 잠수함 구명 용구를 휴대하는 것이 선행 기술에 속한다. 이와 같은 잠수함 구명 용구는 통상적으로 자동으로 팽창할 수 있는 대형 구명 고무 보트, 통상적인 해난 구조 장비, 비축 식량 등을 포함하고, 바다 위로뿐만 아니라 특히 바다 아래로도 옮겨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자체 팽창 가능한 대형 구명 고무 보트 그리고 해난의 경우에 필요하거나 또는 그 목적에 맞는 모든 추가의 구성 요소들을 유리 섬유 보강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2개의 절반 셸(shell)로 이루어진 하나의 볼(Ball) 안에 수용하고, 이 볼을 압력 선체(pressure hull) 외부에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갑판 아래에 있는 잠수함의 외피 내부에 저장하는 것은 선행 기술에 속한다. 잠수 상태에서는 상기 볼이 플랩 밸브(flap valve)의 개방 후에 자유롭게 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상기 볼이 자체 부력으로 인해 수면까지 부상하고, 잠수함이 수면에 떠오르기 직전에 대형 구명 고무 보트의 팽창 메커니즘(mechanism)에 의해 개방됨으로써, 상기 대형 구명 고무 보트 그리고 상기 보트에 속하는 구성 부품들이 자유롭게 된다.
상기와 같은 기술은 소형 및 중형 크기의 잠수함에 적용 가능하다고 입증되었으나, 외피와 압력 선체 사이의 좁게 제한된 장소에서 상기와 같은 잠수함 구명 용구가 비교적 많은 공간을 차지한다는 단점을 갖는다. 더 나아가 잠수함 구명 용구는 계속해서 주변 바닷물에 노출되고, 특히 높은 잠수 압력에도 노출될 가능성을 가지며, 이와 같은 사실은 한편으로는 복잡한 구성을 필요로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반복적인 관리 및 점검을 필요로 한다.
상기와 같은 사실을 배경으로 하는 본 발명의 과제는, 전술한 단점들이 줄어들 수 있도록 종래 방식의 잠수함을 설계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서는, 상기와 같은 잠수함에 사용할 목적으로 형성된 잠수함 구명 용구가 제작되어야 한다.
잠수함과 관련된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청구항 1에 기술된 특징들에 의해서 해결된다. 이와 같은 잠수함에 적응된 잠수함 구명 용구는 청구항 7에 기술된 내용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 아래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서 기술된다.
군용 잠수함에서 통상적인 것과 같이 어뢰 관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잠수함에는, 어뢰 관을 통해 배출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 및 형태로 형성된 잠수함 구명 용구가 설치되어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잠수함 구명 용구는 어뢰와 비슷하게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대체로 원통형의 외부 윤곽을 갖는다. 이 경우 외부 윤곽의 길이/직경 비율은 바람직하게 5 내지 18, 특히 바람직하게는 9 내지 12이다. 이와 같은 잠수함 구명 용구는 잠수하지 않는 상태에서뿐만 아니라 바람직하게는 잠수 상태에서도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본 아이디어는, 잠수한 구명 용구를 선행 기술에서와 마찬가지로 압력 선체 외부에 저장하지 않고, 오히려 압력 선체 내부에 또는 어뢰 관 내부에 저장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아이디어에 의해서는, 볼 형상의 잠수함 구명 용구를 위해 필요한, 갑판 아래에 있는 외피와 압력 선체 사이의 공간이 생략될 수 있거나 또는 다른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잠수함 구명 용구의 형태가 기존의 어뢰 관에 적응되어 압력 선체 내부에 뿐만 아니라 어뢰 관 내부에도 저장될 수 있음으로써, 잠수함 구명 용구는 잠수 상태에서도 상기 어뢰 관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근래의 군용 잠수함이 적어도 처음에는 어뢰 장착과 관련이 없는 다수의 다른 목적으로도 사용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공간은 본 발명에 따라 잠수함 구명 용구를 수용할 목적으로, 하지만 적어도 잠수함 구명 용구를 배출할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예를 들어 위기 순간에 어뢰 관이 의도한 바대로 이용되어야 하고, 압력 선체 내부에 충분한 이용 공간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잠수함 구명 보트가 상황에 따라 압력 선체와 외피 사이에 저장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가느다란 형태가 상기와 같은 배치에도 적합하기 때문이다.
한편으로는 잠수함 구명 용구를 어뢰 관 내부에 배치할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하는데, 이와 같은 가능성은 구명 용구가 어뢰 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상기 구명 용구가 사고 상황에서 즉각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대안적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잠수함 구명 용구가 압력 선체 내부에, 바람직하게는 어뢰를 저장할 목적으로 제공된 프레임(frame) 내부에도 저장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대안적인 가능성은 어뢰 관이 다른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고, 자체 기능이 잠수함 구명 용구에 의해서 장애를 받지 않는다는 장점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프레임은 예를 들어 독일 공개 특허 출원서 제 103 42 145 A1호에 기술되어 있어 참조 가능하다.
잠수함 구명 용구는 바람직하게 예를 들어 섬유 보강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원통형의 내압 용기에 의해 외부로 폐쇄되어 있다. 이와 같은 내용은 잠수함 구명 용구가 어뢰와 동일한 방식으로 어뢰 관으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며, 이 경우에는 내압 용기 내부에 있는 내용물, 통상적으로는 대형 구명 고무 보트, 비축 식량, 압축 가스 저장기 및 추가의 구성 부품들이 어뢰 관으로부터의 배출 과정으로 인해 손상될 위험이 전혀 없고, 더 나아가서는 잠수 압력이 충전되지 않을 위험도 전혀 없다.
본 발명의 한 개선예에 따르면 잠수함 구명 용구는 로프를 통해 잠수함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로프는 잠수함 구명 용구 측에서 감기거나 감아 올려지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내압 용기 내부에서 감기거나 감아 올려진다. 이 경우 로프는, 잠수함 구명 용구의 배출시에 또는 상기 구명 용구가 수면으로 상승할 때 에 상기 로프가 자동으로 풀려서 대형 구명 고무 보트와 잠수함 사이에 기계적인 연결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며, 이와 같은 기계적인 연결은 잠수함으로부터 외부로 방출된 사람들이 대형 구명 고무 보트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와 같은 방식의 릴(reel) 저장은 바람직하게 내압 용기 내부에서 이루어지며, 이 경우에는 외부로 압축 밀봉된 로프용 통로가 제공된다. 그러나 저장은 내압 용기 외부에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본 아이디어는, 잠수함 구명 용구를 지금까지와 마찬가지로 볼 형태의 내압 용기에 의해서 폐쇄하지 않고, 오히려 구명 용구가 어뢰 관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구명 용구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대체로 원통 형태로 설계하는 것이다. 이 경우 잠수함 구명 용구의 개별 구성 부품들은 상기와 같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 내압 용기 내부에 수용되거나, 또는 본 발명에 따라 제안된 바와 같이 단지 상응하는 포장에 의해서만, 바람직하게는 박막 포장에 의해서만 상기와 같은 형태로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잠수함 구명 용구가 단지 비교적 짧은 배출 시간 및 상승 시간 동안에만 잠수 압력에 노출되기 때문에, 이 용도로 내압 용기를 반드시 제공할 필요는 없고, 오히려 구성 부품들을 적합하게 설계한다면 박막을 이용한 용기 없는 포장이 경우에 따라서는 예를 들어 지지 부재에 의하여 섹션 방식으로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 경우 구성 부품들은, 이 구성 부품들이 적어도 전술한 짧은 시간 동안만이라도 잠수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배치되고 설계되어야 한다.
잠수함 구명 용구가 내압 용기에 의해서 외부로 폐쇄된 경우에는, 상기 용기 내부에 자동으로 팽창 가능한 대형 구명 고무 보트 그리고 잠수함 구명 용구의 추가의 구성 부품들이 배치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수면에 도달하기 직전에 함께 이송되는 압축 가스 저장기 내에 있는 가스에 의하여 대형 구명 고무 보트가 자동으로 팽창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수면에 도달하기 전의 적절한 시점에 용기로부터 배출된 대형 구명 고무 보트 및 해당 구성 부품들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목적을 위하여 내압 용기는 적어도 하나의 목표 파괴 장소를 가지며, 상기 목표 파괴 장소는 바람직하게는 압력 제어된 고유의 수단에 의하여 소정의 잠수 깊이에서 또는 늦어도 수면에 도달하기 전에, 특히 상기 내압 용기 내에 있는 대형 구명 고무 보트가 팽창하기 전에 파괴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대형 구명 고무 보트를 팽창시키기 위해서 사용되는 가스 압력도 상기 내압 용기 또는 상기 내압 용기 상에 제공된 목표 파괴 장소(들)을 파괴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경우는 내압 용기가 2개의 절반 셸들로 구성되는 경우이며, 이 경우 상기 절반 셸들은 바람직하게 중앙 종방향 평면의 한 종방향 평면에서 상호 접하게 되고, 상기 셸들의 연결부는 목표 파괴 장소로서 형성된다. 이와 같은 목표 파괴 장소는 예를 들어 용기 절반의 플랜지들 사이에 형성된 접착 연결부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성의 장점은, 상기 용기가 바람직하게는 대형 구명 고무 보트의 팽창시에 자동으로 자신의 2개의 절반 셸로 분리되거나 또는 적어도 넓은 표면에 걸쳐 개방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대형 구명 고무 보트의 배출 그리고 추가의 구성 부품들의 배출이 보장된다는 것이다. 또한 접착 연결부 의 장점은, 상기 절반 셸들이 플랜지들과 함께 그리고 그에 따라 완전하게 라운딩 처리됨으로써, 즉 날카로운 에지 없이 형성될 수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용기에 의한 구명 보트의 손상이 확실하게 배제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개선예에 따라, 용기는 커버에 의해서 폐쇄되는 개방된 정면을 갖는 내압 실린더 포트(pot)로도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커버와 실린더 포트 사이에는 목표 파괴 장소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커버는 바람직하게 상기 커버 뒤에 있는 용기 내용물의 압력에 의해서 파괴되며, 상기 압력은 바람직하게 압축 공기식으로 발생한다. 용기 내용물이 완전히 그리고 확실하게 배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한 개선예에 따라서는 용기 내부에 피스톤 또는 피스톤과 유사한 바디를 배치하는 것이 제안되며, 상기 피스톤 또는 피스톤과 유사한 바디는 커버로부터 떨어져서 마주보는 면에 배치되고, 제공되는 압력에 의해서 용기의 내벽을 따라 이동하는 동시에 용기 내용물을 배출시킨다.
특히 바람직한 경우는, 대형 구명 고무 보트가 별도의 포장 부분으로서 내압 용기 또는 박막 내부에 배치되지 않고 오히려 상기 대형 구명 고무 보트가 바람직하게는 잠수함 구명 용구의 모든 추가의 구성 부품들과 함께 대체로 원통형인 하나의 바디로 포장되는 경우이다. 이 경우 포장은 바람직하게 저압 포장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다시 말하자면 가급적 높은 포장 밀도(packing density)를 보장하기 위하여 포장 내부에 남아 있는 공간이 진공 상태로 된다.
추가의 구성 부품들은 상기 대형 구명 고무 보트 내부에서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해난 구조 장비, 비축 식량, 압축 가스 등을 위한 내부 용기들 내에 배치 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 용기들도 마찬가지로 대체로 원통형의 형태를 갖고, 잠수한 구명 용구의 길이 방향으로 연이어 배치되어 있다.
특히 상황에 따라서는 내압 용기까지도 제외될 수 있는 서문에 언급된 유형의 박막 포장에서는, 충분한 부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추가의 부력 바디가 필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부력 바디가 박막 포장 내부에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내압 용기 내부에 또는 상기 내압 용기와 별도로 제공될 수도 있지만, 어떤 경우라도 원통형 외부 윤곽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부력 바디는 잠수함 구명 용구와 함께 - 상기 구명 용구의 부분으로서든지 아니면 별도로든지 상관없이 - 어뢰 관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잠수함 구명 용구는 항상 실시예와 상관없이 자동으로 팽창 가능한 대형 구명 고무 보트(1) 그리고 추가의 구성 부품들을 포함한다. 도 1의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예컨대 EPIRB와 같은 해난 구조 송신기, 본 실시예에서는 식수를 저장하기 위해 제공된 원통형 용기(3), 구명 고무 보트(1)를 팽창시키기 위해 필요한 압축 가스를 보유하는 압축 가스 플랜지(4), 활성화 유닛(5), 예컨대 비상 식량과 같은 해난 구조 장비를 수용하기 위해 제공된 원통형 용기(6), 그리고 마찬가지로 통상적으로 신호 수단 등과 같은 해난 구조 장비를 수용하기 위해 제공된 원통형 용기와 같은 구성 부품들은 도면에서 연이어 배치되어 있다.
상기 구성 부품(2 내지 7)들은 팽창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대체로 평평한 구 명 고무 보트(1)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구조물은 재차 튜브와 유사한 박막(8) 내부에 삽입되고, 단부 측이 폐쇄되어 사전에 진공 상태로 됨으로써, 결과적으로 구명 고무 보트(1)는 내부에 있는 구성 부품(2 내지 7)들과 함께 박막 주머니(8) 내부에 높은 포장 밀도로 배치되고, 진공화로 인하여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대체로 원통형의 단단한 바디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바디의 직경(10)이 예를 들어 40 cm인 경우에는, 상기 바디의 길이(9)가 예를 들어 5 m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대체로 원통형의 상기 바디는 경우에 따라 추가의 부력 바디에 의하여 직접 어뢰 관 내부에 저장되었다가 사고 상황에서 배출될 수 있다.
도 2 내지 5를 참조하여 도시된 실시예들에서는, 박막(8)에 의해 둘러싸인 상기 바디가 내압 용기(11)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내압 용기의 길이 치수가 어뢰의 길이에 상승하거나 또는 더 짧고, 상기 내압 용기의 직경이 어뢰 직경에 상응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내압 용기(1)는 그 내부에 있는 구명 고무 보트(1) 및 구성 부품(2 내지 7)들과 함께 잠수함의 어뢰 관을 통하여 어뢰와 같이 배출될 수도 있고, 그곳에 저장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내압 용기(1)가 잠수함의 압력 바디 내부에서 프레임 내에 저장될 수도 있으며, 상기 프레임은 통상적으로 독일 공개 특허 출원서 제 103 42 145 A1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어뢰 또는 다른 장착물들을 저장할 목적으로도 제공되었다.
내압 용기(11)는 모든 실시예에서 어뢰와 유사한 형태를 갖는다. 다시 말해, 상기 용기는 대체로 원통형이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었으며, 본 실시예에서 단부는 반구형으로 형성되었다. 내압 용기(1) 내에는 전술된 바와 같은 구성 부품(2 내지 7)들을 구비한 구명 고무 보트(1)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서는 릴(12)도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릴 상에는 로프(13), 본 실시예에서는 와이어 로프가 감겨 있고, 상기 로프는 내압 밀봉부(14)를 통해 용기 벽을 관통한다. 릴 측의 로프 단부는 구명 고무 보트(1)와 해체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다른 로프 단부는 잠수함 측에 고정되어 있다. 어뢰 관으로부터 내압 용기(1)가 배출된 후에는, 상기 용기가 자체 부력에 의해 수면까지 상승하는 동시에 릴(12)에 감겨 있는 로프(13)가 필요한 길이만큼 풀어짐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로프(13)를 통해 잠수함과 구명 고무 보트(1) 사이에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추후에, 즉 모든 사람이 잠수함으로부터 방출되어 구명 고무 보트(1) 위에 실려진 때에, 상황에 따라서 느슨해질 수 있다.
활성화 유닛(5)을 이용하여 팽창 과정을 활성화할 목적으로, 내압 용기(11)의 상승 후에 구명 고무 보트(1)를 그 내부에 있는 구성 부품(2 내지 7)들과 함께 상기 내압 용기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내압 용기(11)는 목표 파괴 장소(15, 16)를 갖는다. 도 2 및 3을 참조하여 도시된 실시예에서만, 상기 내압 용기(11)를 커버(18)가 삽입된 실린더 포트(17)로 형성함으로써 목표 파괴 장소(15)가 제공된다. 예정된 축 방향 파워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커버(18)가 실린더 포트(17)에 의해 반동 됨으로써, 목표 파괴 장소(15)가 느슨해진 후에 상기 실린더 포트(17) 내에 있고 박막(8)에 의해 둘러싸인 바디가 방출될 수 있다.
도 2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슬리브 재킷 압축 풍선(19)이 제공되며, 상기 풍 선은 실린더 포트(17)의 바닥 측에 배치되어 있고, 박막(8)에 의해 폐쇄된 바디를 부분적으로 측면에서 둘러싸고 있다. 슬리브 재킷 압축 풍선(19)의 내부에 압력이 제공되어 상기 슬리브 재킷 압축 풍선(19)이 부풀어 오름으로써, 박막(8)에 의해 둘러싸인 바디는 실린더 포트(17)로부터 외부로 밀려나가게 된다.
도 3에 따른 변형 실시예에서는 슬리브 재킷 압축 풍선(19) 대신에 실린더 포트(17)의 바닥 근처에 배치된 피스톤(20)이 제공되며, 상기 피스톤은 이 피스톤(20)이 실린더 포트(17)의 개방 단부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상기 실린더 포트 내에 있는 바디를 구명 고무 보트(1) 및 구성 부품(2 내지 7)들과 함께 외부로 방출하기 위하여 바닥면으로부터 압력을 받을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기술된 바와 같이, 내압 용기(11)는 2개의 절반 셸(21, 22)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절반 셸들은 도면에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플랜지에 의해서 서로 인접하고, 인접하는 곳에서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목표 파괴 장소(16)를 형성하기 위하여 접착 방법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용기 내부에 압력이 제공되어 상기 2개의 절반 셸(21 및 22)이 목표 파괴 장소(16)를 따라 상호 분리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2개의 셸들은 넓은 표면에 걸쳐 그 내부에 있는 바디를 자유롭게 하고, 구명 고무 보트(1)는 장애 없이 팽창될 수 있다.
내압 용기(1)에 압력을 제공하는 과정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용기 주변과 라인에 의해서 결합된 추가의 활성화 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내압 용기(1)로부터 바디를 방출하기 위하여 필요한 또는 목표 파괴 장소(16)를 파괴하기 위하여 필요한 압축 가스는 내압 용기 내에 배치된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별도의 압축 가스 저장기에 의해서 사전에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서는, 선행 기술의 단점들을 회피할 수 있는 잠수함을 설계할 수 있게 되었고, 더 나아가서는 상기와 같은 잠수함에 사용할 목적으로 형성된 잠수함 구명 용구도 제작할 수 있게 되었다.

Claims (15)

  1. 잠수함 구명 용구 및 적어도 하나의 어뢰 관을 구비한 잠수함으로서,
    상기 잠수함 구명 용구가 상기 어뢰 관을 통해 배출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 및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수함 구명 용구가 잠수 상태에서 배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잠수함 구명 용구가 하나의 어뢰 관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잠수함 구명 용구가 압력 바디 내부에, 바람직하게는 어뢰를 저장하기 위하여 제공된 프레임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잠수함 구명 용구가 원통형 내압 용기(11)에 의해 외부로 폐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잠수함 구명 용구가 로프(13)를 통해 잠수함과 연결되어 있으며, 잠수함 구명 용구의 배출 후에 바람직하게는 자동으로 풀어지는 상기 로프(13)가 잠수함 구명 용구 측의 내압 용기(11) 내부에서 감기거나 감겨 올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7. 특히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잠수함을 위한 잠수함 구명 용구로서,
    상기 잠수함 구명 용구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대체로 원통형의 외부 윤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구명 용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윤곽의 길이/직경 비율이 5 내지 18, 바람직하게는 9 내지 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구명 용구.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동으로 팽창 가능한 구명 고무 보트(1) 그리고 잠수함 구명 용구의 모든 추가의 구성 부품(2 - 7)들을 수용하고 적어도 하나의 목표 파괴 장소(15; 16)를 갖는 내압 용기(11)가 제공되며, 상기 목표 파괴 장소는 내부에 있는 구명 고무 보트(1)의 팽창 전에 또는 상기 용기(11)로부터 방출할 목적으로 구명 고무 보트(1)가 팽창됨으로써 파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구명 용구.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11)가 2개의 절반 셸(21, 22)들로 형성되며, 상기 절반 셸(21, 22)들이 하나의 종방향 평면에서 상호 인접하고, 상기 셸들의 연결부가 목표 파괴 장소(16)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구명 용구.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11)가 내압 실린더 포트(17)로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 포트의 정면은 커버(18)에 의해 폐쇄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18) 및 용기 내용물이 바람직하게는 압축 공기 방식으로 방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구명 용구.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내용물을 방출하기 위하여 압력을 받을 수 있는 피스톤(20)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구명 용구.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명 고무 보트(1)가 잠수함 구명 용구의 추가의 구성 부품(2 - 7)들과 함께 대체로 원통형의 하나의 바디로 저압 포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구명 용구.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해난 구조 장치, 비축 식량, 압축 가스 등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 용기(3, 4, 6, 7)들이 연이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구명 용구.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잠수함 구명 용구가 대체로 원통형의 하나의 바디로 포장되어 박막(8)에 의해 폐쇄되며, 상기 바디와 연결되었거나 통합된 부력 바디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구명 용구.
KR1020070010164A 2006-02-04 2007-01-31 잠수함 KR1008754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6005159.9 2006-02-04
DE102006005159A DE102006005159A1 (de) 2006-02-04 2006-02-04 Unterseeboo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9913A true KR20070079913A (ko) 2007-08-08
KR100875469B1 KR100875469B1 (ko) 2008-12-22

Family

ID=38016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0164A KR100875469B1 (ko) 2006-02-04 2007-01-31 잠수함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1816069B1 (ko)
KR (1) KR100875469B1 (ko)
DE (1) DE102006005159A1 (ko)
ES (1) ES2627603T3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9013B1 (ko) * 2015-08-25 2017-02-22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인명구조용 원격 조정 무인 잠수정
KR20170089877A (ko) * 2014-12-05 2017-08-04 티쎈크로프 마리네 지스템스 게엠베하 수중 급속 언로딩 시스템
KR20180066750A (ko) * 2016-12-09 2018-06-19 조현준 원격 제어 잠수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99893A (zh) * 2016-05-11 2016-07-27 哈尔滨工程大学 球柱结合式核潜艇逃生舱
RU2676216C2 (ru) * 2016-05-25 2018-12-26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казённое во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Военный учебно-научный центр Военно-Морского Флота "Военно-морская академия имени Адмирала Флота Советского Союза Н.Г. Кузнецова"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грузки водолазов в торпедный аппарат подводной лодки
KR102445489B1 (ko) * 2018-02-21 2022-09-1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잠수함용 비상 부력체 발사장치
CN114162300B (zh) * 2021-11-25 2022-12-16 华南理工大学 一种可拆分的水下机器人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8650A (en) * 1909-12-01 1910-05-17 Julius Kimbrell Attachment for torpedo-tubes.
US1613594A (en) * 1925-02-18 1927-01-04 Sr Jean F Webb Submarine safety apparatus
US1715959A (en) * 1928-02-16 1929-06-04 Joseph W Strunk Life-saving apparatus for use with submarines
US1753482A (en) * 1928-02-20 1930-04-08 Electric Boat Co Rescue car
GB565577A (en) * 1943-01-20 1944-11-16 Basil Wilmot Oliver Townshen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lifeboats or similar rescue devices for air and othercraft
DE2324709C2 (de) 1973-05-16 1983-03-17 Erno-Raumfahrttechnik Gmbh, 2800 Bremen Rettungseinrichtung für Unterwasserfahrzeuge
JPH06211185A (ja) 1993-01-14 1994-08-02 Takata Kk 救命具
US5493993A (en) * 1995-01-23 1996-02-2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Decoy
US5597335A (en) * 1995-10-18 1997-01-28 Woodland; Richard L. K. Marine personnel rescue system and apparatus
US6409561B1 (en) * 2000-09-29 2002-06-25 John C. Ibasfalean Remote activated water self rescue syste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9877A (ko) * 2014-12-05 2017-08-04 티쎈크로프 마리네 지스템스 게엠베하 수중 급속 언로딩 시스템
KR101709013B1 (ko) * 2015-08-25 2017-02-22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인명구조용 원격 조정 무인 잠수정
KR20180066750A (ko) * 2016-12-09 2018-06-19 조현준 원격 제어 잠수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5469B1 (ko) 2008-12-22
EP1816069B1 (de) 2017-03-08
DE102006005159A1 (de) 2007-08-16
EP1816069A2 (de) 2007-08-08
ES2627603T3 (es) 2017-07-28
EP1816069A3 (de) 2011-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5469B1 (ko) 잠수함
JP5323166B2 (ja) 潜水艦
US8096257B2 (en) Emergency encapsulated lift system
US9853360B2 (en) Inflatable radar signal device
US7032530B1 (en) Submarine air bag launch assembly
AU749679B2 (en) System for keeping afloat any type of boat in case of a leak
US20080229997A1 (en) Flotation Device, Method of Mounting Same and Operation Thereof
ES2348959T3 (es) Submarino no tripulado.
US3084627A (en) Underwater launched surface mine
RU2469903C1 (ru) Аварийно-спаса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подводной лодки
US11993356B2 (en) Nose arrangement and method for deploying a nose arrangement of an underwater vehicle
ES2888399T3 (es) Contenedor de transporte subacuático para buceadores de combate
NO300624B1 (no) Anordning for ökning av oppdriften på båter og redningsflåte
KR20240024943A (ko) 잠수함용의 팽창가능한 딩기들을 위한, 특히 은밀한 작전을 위한 사출 시스템
RU2770038C1 (ru) Устройство обеспечения плавучести маломерных судов
KR101711564B1 (ko) 침몰 선박의 다이빙 유도선 방출 장치
EP2045182A2 (en) Fluid displacement body for emergency floatation of marine craft
RU2779886C1 (ru) Контейнер спасательного плота (варианты)
KR101954822B1 (ko) 구명벌
KR20040027306A (ko) 침몰선박 위치확인장치
WO2003101828A1 (en) Inflatable submarine escape caps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