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9013B1 - 인명구조용 원격 조정 무인 잠수정 - Google Patents

인명구조용 원격 조정 무인 잠수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9013B1
KR101709013B1 KR1020150119858A KR20150119858A KR101709013B1 KR 101709013 B1 KR101709013 B1 KR 101709013B1 KR 1020150119858 A KR1020150119858 A KR 1020150119858A KR 20150119858 A KR20150119858 A KR 20150119858A KR 101709013 B1 KR101709013 B1 KR 101709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ov
frame
propell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9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팽동국
민수홍
강혁준
김의찬
이청아
Original Assignee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19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90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9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90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001Underwater vessel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e.g. unmanned underwater vessel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dock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08Propul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39Arrangements of sonic watch equipment, e.g. low-frequency, son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써 인명구조용 원격 조정 무인 잠수정(ROV, Remotely Operated Vehicle)이 제공될 수 있다. 인명구조용 원격 조정 무인 잠수정(ROV)은 염분에 의한 부식성이 낮고 경량화된 소재로 제작된 프레임, 프레임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ROV의 수직 이동을 가능케 하기 위한 제 1 추진부, 프레임의 일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ROV의 수평 이동을 가능케 하기 위한 제 2 추진부,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여 방해물들의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ROV의 주변 환경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영상획득부, 텍스트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 제 1 추진부, 제 2 추진부, 영상획득부, 자이로스코프를 이용한 안정된 운동을 가능하게 하고 출력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및 원격 위치에서도 제어부와 통신을 가능케 하고, 상기 ROV로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선로를 포함하고, 프레임의 내부에는 구호물자가 수용된 구조함이 포함될 수 있다.

Description

인명구조용 원격 조정 무인 잠수정{THE REMOTELY OPERATED VEHICLE FOR SAVING LIFE}
본 발명은 인명구조용 원격 조정 무인 잠수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체 등에 갇힌 사람들에게 1차적으로 도움을 주기 위한 구조함이 내장되어 있고, 선체 내부 또는 외부 등의 영상 촬영과 영상 출력을 통하여 구조에 있어서 2차적인 도움을 주기 위한 디스플레이부가 포함된 인명구조용 원격 조정 무인 잠수정에 관한 것이다.
바다는 지구 표면의 약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인류는 예로부터 바다를 통하여 물건이나 사람을 배에 싣고 나르며 각종 거래 등의 무역을 행해오고 있다. 또한, 조선 기술의 발달로 수많은 사람들이 바다를 횡단하여 세계 각국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바다를 통한 인류의 이동은 이전보다 더욱 자유로워지고 빈번해졌다. 그러나 바다를 통한 물건이나 사람의 이동이 많아짐에 따라 폭풍, 거센 물살 등으로 인하여 선박 등의 좌초와 같은 대규모의 해상 재난 발생 빈도도 함께 증가하게 되었다.
선박 등의 좌초와 같은 대규모의 해상 재난 발생 시, 선체 등에 갇힌 사람을 구하기 위하여 원격 조정 무인 잠수정(ROV, Remotely Operated Vehicle)을 이용할 수 있다.
해난 구조에 있어 ROV의 투입이 중요한 까닭은 현재 해난 구조대의 인력(예컨대, 잠수부)의 직접적인 투입 인원을 줄여줄 수 있기 때문이다. 잠수부가 현장에 투입되었을 시 심해 등에서의 작업 시간은 극히 제한적이고 구조 활동 중 불의의 사고에 의하여 추가적인 인명 피해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라도 해난 구조에 있어 ROV의 투입의 필요성은 점차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ROV는 막대한 연구비용이 투자되어 개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는 인명구조 현장으로의 투입에 있어서 운용이 잘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다시 말해서, 현재까지는 비교적 고가의 ROV가 해양 연구/개발 분야에서 한정적으로 활용되고 있을 뿐, 인명 구조 등에 있어서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지 못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명구조용 원격 조정 무인 잠수정(ROV)을 이용하여, 1차적으로는 ROV에 마련된 구조함을 이용하여 인명구조가 필요한 대상에게 구조에 필요한 물품 등을 조속하게 제공할 수 있고, 선체 내부 또는 외부 등의 영상 촬영과 텍스트, 영상 등의 출력을 통하여 구조가 필요한 대상에게 심리적 안정 등과 같은 2차적인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써, 인명구조용 원격 조정 무인 잠수정(ROV, Remotely Operated Vehicle)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명구조용 원격 조정 무인 잠수정(ROV)은 염분에 의한 부식성이 낮고, 경량화된 소재로 제작된 프레임, 프레임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에 장착되어 ROV의 수직 이동을 가능케 하기 위한 제 1 추진부, 프레임의 일측면에 장착되어 ROV의 수평 이동을 가능케 하기 위한 제 2 추진부, ROV의 주변 환경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영상획득부, 텍스트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 제 1 추진부, 제 2 추진부, 영상획득부, 출력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및 원격 위치에서도 제어부와 통신을 가능케 하고, ROV로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선로를 포함하며, 프레임의 내부에는 구호물자가 수용된 구조함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은 합금, 스테인리스 스틸 및 폴리염화비닐(PVC) 중 적어도 하나의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추진부 및 제 2 추진부는, 유체에 담겨 회전하더라도 형태의 변형이 없도록 고강도 소재로 제작된 팬 및 내수성을 갖도록 설계된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명구조용 원격 조정 무인 잠수정(ROV)의 영상획득부는 주변 환경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부 및 방출되는 광량의 제어를 통하여 조도가 변경되는 조명부를 포함할 수 있고,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전방의 방해물 탐지능력을 갖출 수 있으며 출력부는 LED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로는 형광물질로 코팅되어 있거나,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를 포함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파랑 및 조류의 영향을 최소화 하도록 자이로스코프가 설치되어 안정된 운동을 제공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기존 ROV들은 대부분 '해저 탐사'를 주 목적으로 제작되었으므로, 실제 해상재난 구조 상황에서 투입되더라도 인명 구조를 위하여 활용하기에는 그 역할이 다소 부족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명구조용 원격 조정 무인 잠수정(ROV)을 이용하면, 구조함 등을 통하여 1차적으로는 선체 등에 갇힌 사람들에게 구호물자를 빠르게 전달할 수 있고, 선체 내부 또는 외부 등의 영상 촬영과 영상 출력을 통하여 사람들간의 정보 소통을 지원할 수 있다는 점에서 2차적으로는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와 같이 합금, 스테인리스 스틸 및 폴리염화비닐(PVC) 중 적어도 하나의 소재를 이용하여 프레임을 제작한다면 제작 비용을 대폭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명구조용 원격 조정 무인 잠수정(ROV)에서는 형광물질이 코팅되어 있거나,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가 포함하도록 제작된 선로를 이용하므로, 이러한 선로를 따라서 선체 등에 갇혔던 사람들이 빠르고 안전하게 탈출을 시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선과 인명구조용 원격 조정 무인 잠수정(ROV)의 연결상태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명구조용 원격 조정 무인 잠수정(ROV)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명구조용 원격 조정 무인 잠수정(ROV)의 구조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명구조용 원격 조정 무인 잠수정(ROV)의 정면도, 평면도, 측면도 및 사시도의 일 예를 나타낸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선과 인명구조용 원격 조정 무인 잠수정(ROV)의 연결상태를 나타낸다.
해난 사고 등이 발생했을 경우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선(10)에서는 심해 등으로 원격 조정 무인 잠수정(ROV)(1000)을 내려보내어 사고 상황 파악, 인명 구조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잠수부 등의 구조 인력을 별도로 심해로 입수시키지 않더라도, 도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정 무인 잠수정(ROV)(1000) 등을 이용하여 해수면 위에서도 심해의 상황 파악 및 구조 활동 등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선로(700)는 원격 조정 무인 잠수정(ROV)(1000)과 제어선(10)간의 통신을 가능케 하거나, 심해로부터 해수면 방향으로 조난자 등이 상승 이동 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 선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명구조용 원격 조정 무인 잠수정(ROV)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명구조용 원격 조정 무인 잠수정(ROV)의 구조에 대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명구조용 원격 조정 무인 잠수정(ROV)(1000)은 염분에 의한 부식성이 낮고, 경량화된 소재로 제작된 프레임(100), 프레임(100)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에 장착되어 ROV(1000)의 수직 이동을 가능케 하기 위한 제 1 추진부(200), 프레임(100)의 일측면에 장착되어 ROV(1000)의 수평 이동을 가능케 하기 위한 제 2 추진부(300), ROV(1000)의 주변 환경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영상획득부(400), 텍스트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500), 제 1 추진부(200), 제 2 추진부(300), 영상획득부(400), 출력부(5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600) 및 원격 위치에서도 제어부(600)와 통신을 가능케 하고, ROV(1000)로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선로(700)를 포함하고, 프레임(100)의 내부에는 구호물자가 수용된 구조함(800)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함(800)에는 잠수복, 산소통, 나이프, 라이트 등의 구호물자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로(700)는 형광물질로 코팅되어 있거나,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를 포함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선로(700)는 제어부(600)와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로(700)는 원격 조정 무인 잠수정(ROV)(1000)과 제어선(10)간의 통신을 가능케 하거나, 심해로부터 해수면 방향으로 조난자 등이 상승 이동 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 선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선(10)의 사용자는 심해 등으로 원격 조정 무인 잠수정(ROV)(1000)을 내려보내어 조작부(900)를 이용하여 원격 조정 무인 잠수정(ROV)(1000)을 조작함으로써 해저에서의 사고 상황 파악, 인명 구조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조작부(900)와 제어부(600)는 선로(700)를 통하여 상호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100)은 합금, 스테인리스 스틸 및 폴리염화비닐(PVC) 중 적어도 하나의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프레임(100)은 심해의 일정 수준의 수압에 견딜 수 있도록 합금, 스테인리스 스틸 및 폴리염화비닐(PVC) 중 적어도 하나의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또한, 폴리염화비닐(PVC) 등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기 때문에 강철만으로 제작되는 종래의 ROV에 대비하여 프레임(100)의 제작 비용이 대폭 절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추진부(200) 및 제 2 추진부(300)는, 유체에 담겨 회전하더라도 형태의 변형이 없도록 고강도 소재로 제작된 팬 및 내수성을 갖도록 설계된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와 같이, 제 1 추진부(200) 및 제 2 추진부(300)는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이 원격 조정 무인 잠수정(ROV)(1000)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추진부(200)는 원격 조정 무인 잠수정(ROV)(1000)의 수직 이동, 다시 말해서, 상하 이동을 위하여 원격 조정 무인 잠수정(ROV)(1000)에 상향 또는 하향으로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제 2 추진부(300)는 원격 조정 무인 잠수정(ROV)(1000)의 수평 이동, 다시 말해서, 좌우 이동을 위하여 원격 조정 무인 잠수정(ROV)(1000)의 측방으로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명구조용 원격 조정 무인 잠수정(ROV)(1000)의 영상획득부(400)는 주변 환경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부 및 방출되는 광량의 제어를 통하여 조도가 변경되는 조명부를 포함할 수 있고, 출력부(500)는 LED 패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잔해량의 따라 초음파 센서 등의 장치를 추가하여 센서 전방의 방해물들을 식별, 탐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명구조용 원격 조정 무인 잠수정(ROV)의 정면도, 평면도, 측면도 및 사시도의 일 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명구조용 원격 조정 무인 잠수정(ROV)의 정면도는 도 4의 (a)와 같다. 도 4의 (b)는 예시적인 인명구조용 원격 조정 무인 잠수정(ROV)의 평면도이고, 도 4의 (c)는 측면도이며, 도 4의 (d)는 사시도이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명구조용 원격 조정 무인 잠수정(ROV)(1000)의 영상획득부(400)가 정면에 장착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서, 영상획득부(400)는 원격 조정 무인 잠수정(ROV)의 배면, 측면 또는 저면에도 장착될 수도 있다. 이와 유사하게, 인명구조용 원격 조정 무인 잠수정(ROV)의 출력부(500)도 정면, 배면, 측면 또는 저면 등에 장착될 수 있다.
도 4의 (b) 및 (d)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명구조용 원격 조정 무인 잠수정(ROV)의 저면은 그물망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그물망 형태의 저면을 가짐으로써, 인명구조용 원격 조정 무인 잠수정(ROV)은 심해로의 잠수 및 부상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함(800)은 프레임(100)을 통하여 형성되는 내부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구조함(800)은 체결부재를 통하여 프레임(100)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고, 인명을 구조 받고자하는 조난자 등은 체결부재를 해체하여 구조함(800)을 입수할 수 있다. 또한, 구조함(800)은 제어부(600)와 연결된 로봇 암 등과 같은 동적 로드를 통하여 원격지에서도 조난자에게 제공될 수도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제어선
100: 프레임 200: 제 1 추진부
300: 제 2 추진부 400: 영상획득부
500: 출력부 600: 제어부
700: 선로 800: 구조함
900: 조작부
1000: 인명구조용 원격 조정 무인 잠수정

Claims (7)

  1. 인명구조용 원격 조정 무인 잠수정(ROV, Remotely Operated Vehicle)에 있어서,
    염분에 의한 부식성이 낮고, 경량화된 소재로 제작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ROV의 수직 이동을 가능케 하기 위한 제 1 추진부;
    상기 프레임의 일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ROV의 수평 이동을 가능케 하기 위한 제 2 추진부;
    상기 ROV의 주변 환경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영상획득부;
    텍스트 및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
    상기 제 1 추진부, 제 2 추진부, 영상획득부, 출력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및
    원격 위치에서도 상기 제어부와 통신을 가능케 하고, 상기 ROV로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선로를 포함하고,
    상기 ROV의 저면은 심해로의 잠수 및 부상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그물망 형태이며,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는 구호물자가 수용된 구조함이 포함되며, 상기 구호물자는 잠수복, 산소통, 나이프 및 라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구조함은 로봇 암으로 구성되는 동적 로드를 통해서 원격지에서 조난자에게 제공되며, 상기 선로는 형광물질로 코팅되어 있거나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를 포함하도록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용 원격 조정 무인 잠수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합금, 스테인리스 스틸 및 폴리염화비닐(PVC) 중 적어도 하나의 소재로 제작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용 원격 조정 무인 잠수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추진부 및 상기 제 2 추진부는,
    유체에 담겨 회전하더라도 형태의 변형이 없도록 고강도 소재로 제작된 팬; 및
    내수성을 갖도록 설계된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용 원격 조정 무인 잠수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획득부는 상기 주변 환경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부; 및
    방출되는 광량의 제어를 통하여 조도가 변경되는 조명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는 LED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용 원격 조정 무인 잠수정.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자이로스코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용 원격 조정 무인 잠수정.
  7. 제 1 항에 있어서,
    초음파 센서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여 센싱된 방해물을 회피할 수 있도록 제 1 추진부 및 제 2 추진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용 원격 조정 무인 잠수정.

KR1020150119858A 2015-08-25 2015-08-25 인명구조용 원격 조정 무인 잠수정 KR1017090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9858A KR101709013B1 (ko) 2015-08-25 2015-08-25 인명구조용 원격 조정 무인 잠수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9858A KR101709013B1 (ko) 2015-08-25 2015-08-25 인명구조용 원격 조정 무인 잠수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9013B1 true KR101709013B1 (ko) 2017-02-22

Family

ID=58314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9858A KR101709013B1 (ko) 2015-08-25 2015-08-25 인명구조용 원격 조정 무인 잠수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901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08002A (zh) * 2018-03-27 2018-08-17 中国海洋大学 一种集rov与水下助力功能于一体的潜水器
KR20240017675A (ko) 2022-08-01 2024-02-08 한국로봇융합연구원 다이버 구조용 수중 로봇 및 이를 이용한 다이버 구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9913A (ko) * 2006-02-04 2007-08-08 호발츠벨케 도이췌 벨프트 게엠베하 잠수함
KR20100002746U (ko) * 2008-08-30 2010-03-10 오종균 안전을 위한 야광 전선 피복
KR101247789B1 (ko) * 2011-06-20 2013-03-25 김종우 해양탐사를 위한 하이브리드형 무인잠수정
KR101539066B1 (ko) * 2014-09-30 2015-07-22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수중 운동체의 자세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9913A (ko) * 2006-02-04 2007-08-08 호발츠벨케 도이췌 벨프트 게엠베하 잠수함
KR20100002746U (ko) * 2008-08-30 2010-03-10 오종균 안전을 위한 야광 전선 피복
KR101247789B1 (ko) * 2011-06-20 2013-03-25 김종우 해양탐사를 위한 하이브리드형 무인잠수정
KR101539066B1 (ko) * 2014-09-30 2015-07-22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수중 운동체의 자세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08002A (zh) * 2018-03-27 2018-08-17 中国海洋大学 一种集rov与水下助力功能于一体的潜水器
KR20240017675A (ko) 2022-08-01 2024-02-08 한국로봇융합연구원 다이버 구조용 수중 로봇 및 이를 이용한 다이버 구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82591B2 (en) Modular biomimetic underwater vehicle
US9849954B1 (en) Glass sphere type pressure housing including titanium band and a multi-joint underwater robot system for deep sea exploration using the same
US9498883B2 (en) Multi-joint underwater robot having complex movement functions of walking and swimming and underwater exploration system using same
Christ et al. The ROV manual: a user guide for observation class remotely operated vehicles
Busby Manned submersibles
JP2019089422A (ja) 水中ドローンを用いた海底探査システム
US8952820B2 (en) Enhanced dive computer functionality and associated features
KR101283417B1 (ko) 수중유영이 가능한 다관절 해저 유영로봇
KR101709013B1 (ko) 인명구조용 원격 조정 무인 잠수정
Berkenpas et al. A buoyancy-controlled lagrangian camera platform for in situ imaging of marine organisms in midwater scattering layers
CN107344605B (zh) 一种拖曳式自主深度水下观测系统
CN205378034U (zh) 漂浮拍摄装置
CN103425070B (zh) 一种用于控制浅水观察级迷你水下机器人的方法
CN114291238A (zh) 水下应急救援机器人
CN205750238U (zh) 一种水下稳定摄影摄像设备
CN113093755B (zh) 一种海洋自动驾驶寻人脱困小艇
CN208248470U (zh) 仿生鱼形民用潜水器
Rona Deep-diving manned research submersibles
US20200001464A1 (en) Swimming robot and display apparatus
CN206766304U (zh) 基于有缆技术的水下无人机
CN205998109U (zh) 开放式水下观光艇
Massot-Campos et al. Development of a passive drifting seafloor imaging float with hybrid altitude and illumination control for increased survey endurance
CN219857571U (zh) 一种潜水器
KR102210078B1 (ko) 인명구호 시스템을 갖는 선박
Krieg et al. Baywatch 2.0: Rescuing drowning persons with an underwater robotic lifegu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