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9152A - Stocker apparatus - Google Patents

Stocker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9152A
KR20070079152A KR1020060009621A KR20060009621A KR20070079152A KR 20070079152 A KR20070079152 A KR 20070079152A KR 1020060009621 A KR1020060009621 A KR 1020060009621A KR 20060009621 A KR20060009621 A KR 20060009621A KR 20070079152 A KR20070079152 A KR 200700791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sette
fork
coupled
glass
stoc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96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759890B1 (en
Inventor
김성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to KR1020060009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9890B1/en
Publication of KR20070079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915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9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989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014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having fork, comb or plate shaped means for engaging the lower surface on a object to be transpor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6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with vacuum or magnetic hold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242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 H01L21/67259Position monitoring, e.g. misposition detection or presence detection
    • H01L21/67265Position monitoring, e.g. misposition detection or presence detection of substrates stored in a container, a magazine, a carrier, a boat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 H01L21/673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large square shaped substr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A stocker apparatus is provided to considerably improve workability and reduce costs for a line set-up by handling a cassette and directly handling each glass substrate by one apparatus. A stocker apparatus includes a stocker main body(10), a cassette fork part(20), and a glass fork part(30). A plurality of shelves receive a cassette. The stocker main body is movably installed between the plurality of shelves. The cassette fork part is coupled to the stocker main body. The cassette fork part handles the cassette to load the cassette on the shelves or to discharge the cassette from the shelves. The glass fork part is coupled to the stocker main body and directly handles the glass substrate. The glass substrate is received in the cassette.

Description

스토커 장치{Stocker Apparatus}Stocker Apparatus}

도 1은 종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토커 장치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ocker device according to a conventional embodiment.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토커 장치의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ock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수직구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단면도이다.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for describing the vertical driving unit of FIG. 2.

도 4는 도 2의 스토커 장치의 글래스용 포크부가 카세트용 포크부의 이동에 연동되어 이동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glass fork portion of the stocker device of FIG. 2 is moved in associa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cassette fork portion.

도 5 내지 도 6은 도 2의 글래스용 포크부의 제2 로봇암의 동작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5 to 6 are perspective view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the second robot arm of the glass fork part of FIG. 2.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토커 장치의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ocker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스토커 장치 10 : 스토커 본체           1: Stocker device 10: Stocker body

11 : 수직프레임 13 : 하부프레임          11: vertical frame 13: lower frame

15 : 상부프레임 20 : 카세트용 포크부          15: upper frame 20: cassette fork portion

21 : 슬라이딩부재 22 : 운반대          21: sliding member 22: carrier

23 : 제1 로봇암부 24 : 제1 로봇암          23: first robot arm 24: first robot arm

25 : 제1 포크 26 : 수직구동부          25: first fork 26: vertical drive unit

30 : 글래스용 포크부 31 : 캐리지(carriage)          30: glass fork part 31: the carriage (carriage)

32 : 포크몸체 33 : 지지부재          32: fork body 33: support member

34 : 회전테이블 35 : 제2 로봇암          34: rotary table 35: second robot arm

36 : 제2 포크 37 : 밸런스웨이트          36: second fork 37: balance weight

본 발명은, 스토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글래스 기판이 수납된 카세트를 선반에 적재하거나 선반으로 반출하기 위하여 카세트를 핸들링(handling)할 수 있음은 물론 각 글래스 기판도 직접 핸들링할 수 있는 스토커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cker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handle a cassette in order to load or take out a cassette containing a glass substrate on a shelf or to a shelf, as well as to directly handle each glass substrate. Relates to a stalker device.

최근 들어 반도체 산업 중 전자 디스플레이 산업이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평면디스플레이(Flat Panel Display, FPD)가 등장하기 시작하였다.Recently, the flat panel display (FPD) has begun to emerge as the electronic display industry is rapidly developing among the semiconductor industry.

평면디스플레이(FPD)는, TV나 컴퓨터 모니터 등에 디스플레이(Display)로 주로 사용된 음극선관(CRT, Cathode Ray Tube)보다 두께가 얇고 가벼운 영상표시장치인데, 이러한 평면디스플레이(FPD)에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Plasma Display Panel) 등이 있다.A flat panel display (FPD) is an image display device that is thinner and lighter than a cathode ray tube (CRT), which is mainly used as a display, such as a TV or a computer monitor. LCD, liquid crystal display (PDP), plasma display panel (PDP).

이러한 평면디스플레이(FPD) 중 하나인 박막트랜지스터(TFT, Thin Film Transistor) 액정표시장치(TFT-LCD)는, 2장의 얇은 상하 유리기판 사이에 고체와 액체의 중간물질인 액정을 주입하고, 상하 유리기판의 전극 전압차로 액정분자의 배열을 변화시킴으로써 명암을 발생시켜 숫자나 영상을 표시하는 일종의 광스위치 현상을 이용한 소자로서, 박형화, 경량화, 저소비전력화의 우수한 성능으로 인하여 빠른 속도로 기존의 음극선관(CRT)을 대체하고 있다. 현재, 액정표시장치(LCD)는 전자시계를 비롯하여 전자계산기, TV, 노트북 PC 등 전자제품에서 자동차, 항공기의 속도표시판 및 운행시스템 등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One of such flat display (FPD) thin film transistor (TFT-LCD) liquid crystal displays (TFT-LCDs) injects a liquid crystal, which is an intermediate material between a solid and a liquid, between two thin upper and lower glass substrates. It is a device using a kind of optical switch phenomenon that displays the numbers or images by changing the arrangement of liquid crystal molecules by changing the arrangement of liquid crystal molecules by the difference of electrode voltage of the substrate, and the existing cathode ray tube at high speed due to the excellent performance of thinness, light weight and low power consumption. CRT). Currently, liquid crystal displays (LCDs) are widely used in electronic products such as electronic clocks, electronic calculators, TVs, notebook PCs, and speed displays and driving systems for automobiles and aircrafts.

한편 액정표시장치(LCD)와 같은 평면디스플레이에서 글래스(Glass) 기판의 역할과 기능은 중요한데, 이는 글래스 기판에 형성되는 다수의 회로소자의 기능에 따라 평면디스플레이의 전체적인 품질이 많은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On the other hand, the role and function of the glass substrate in the flat panel display such as liquid crystal display (LCD) is important because the overall quality of the flat panel display is affected by the functions of many circuit elements formed on the glass substrate. .

평면디스플레이의 글래스 기판은 일반적으로 글래스(Glass) 재질로 이루어져,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에 매우 취약한 특성인 취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취급에 있어서 특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따라서 평면디스플레이를 제조하는 제조공정에서 글래스 기판을 훼손 없이 효율적으로 이송, 보관할 수 있다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평면디스플레이의 품질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The glass substrate of the flat panel display is generally made of glass, and has a brittleness characteristic that is very vulnerable to the impact from the outside, so special care is required in handling. Therefore, if the glass substrate can be efficiently transported and stored without damag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flat display, it will not only improve productivity but also maintain the quality of the flat display.

평면디스플레이를 제조하는 제조공정에서 임의의 공정이 완료된 글래스(Glass) 기판들은 일반적으로 카세트(Cassette)에 탑재되고 글래스(Glass) 기판들이 탑재된 카세트들은 다음 공정을 수행하는 다른 임의의 장비로 운반되기 전에, 각 공정을 수행하는 각 장비들의 글래스 기판 처리 능력 및 처리 시간의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버퍼링(buffering)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카세트 보관 시스템의 선반에 임시로 저장된 후 다른 공정을 수행하는 다른 장비로 운반된다.In the manufacturing process for manufacturing flat panel displays, glass substrates having completed any process are generally mounted on a cassette and the cassettes on which glass substrates are carried are transferred to any other equipment that performs the following process. In order to solve the buffering problem caused by the difference in glass substrate processing capacity and processing time of each equipment performing each process, other equipment which is temporarily stored on the shelf of the cassette storage system and then performs another process Is carried by.

도 1은 종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토커 장치의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토커 장치(101)는, 카세트(C, Cassette)가 수용되는 복수의 선반(103) 사이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스토커 본체(110)와, 스토커 본체(110)에 결합되어 선반(103)에 카세트(C)를 적재하거나 선반(103)으로부터 카세트(C)를 반출하기 위하여 카세트(C)를 핸들링하는 카세트용 포크부(120)를 구비한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ocker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As shown in FIG. 1, the stocker apparatus 101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include a plurality of shelves 103 in which a cassette (C, Cassette) is accommodated. A stocker body 110 which is installed to be movable between the stocker body 110 and the stocker body 110 to be coupled to the stocker body 110 to load the cassette C on the shelf 103 or to carry the cassette C out of the shelf 103. And a cassette fork portion (120) for handling C).

카세트(C, Cassette)에는 글래스(Glass) 기판(G)이 수납되며, 글래스 기판(G)이 수납된 카세트(C)는 스토커 장치(101)에 의하여 핸들링되어 카세트 보관 시스템의 선반(103)에 적재되어 보관되거나 선반(103)으로부터 반출되어 필요한 장소로 운반된다. 즉, 스토커 장치(101)의 스토커 본체(110)가 레일(105)을 통하여 적재 및 반출이 필요한 선반(103)으로 이동하면, 카세트용 포크부(120)가 카세트(C)를 카세트 보관 시스템의 선반(103)에 적재하거나, 또는 선반(103)으로부터 카세트(C)를 반출하여 스토커 본체(110)에 적재시킨 후 필요한 장소로 운반하게 된다.The glass substrate G is accommodated in the cassette C, and the cassette C in which the glass substrate G is accommodated is handled by the stocker device 101 and placed on the shelf 103 of the cassette storage system. It is loaded and stored or taken out from the shelf 103 and transported to a required place. That is, when the stocker main body 110 of the stocker device 101 moves to the shelf 103 which needs to be loaded and unloaded through the rail 105, the cassette fork 120 moves the cassette C to the cassette storage system. It is loaded on the shelf 103, or the cassette C is taken out from the shelf 103, loaded on the stocker body 110, and then transported to a required place.

그런데 종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토커 장치(101)에 있어서는, 카세트(C) 내의 글래스 기판(G)을 직접 핸들링하는 장치를 구비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글래스 기판(G)을 직접 핸들링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the stocker apparatus 101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since the apparatus for directly handling the glass substrate G in the cassette C is not provid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glass substrate G cannot be directly handled. have.

즉, 평면디스플레이를 제조하는 공정에서 글래스 기판(G)을 취급하는 때에 여러 장의 글래스 기판(G)이 수납된 카세트(C)를 이동시키고 보관하기도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글래스 기판(G)을 직접적으로 핸들링하여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이와 같이 개개의 글래스 기판(G)을 직접 핸들링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스토커 장치(101)와는 별도의 반송 로봇(미도시)이 이를 수행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러한 반송 로봇은 스스로의 동력원에 의해 정해진 경로 를 따라 이동하여 카세트(C)에 글래스 기판(G)을 수납하거나, 역으로 카세트(C)에 수납되어 있는 글래스 기판(G)을 반출하여 필요한 장소로 운반하게 된다. That is, when handling the glass substrate G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flat display, the cassette C containing the several glass substrates G may be moved and stored, but in some cases, the glass substrate G is directly In the prior art, when the individual glass substrates G need to be handled directly, a transfer robot (not shown) separate from the stocker device 101 may perform the operation. Getting drunk. The transfer robot moves along a path defined by its own power source to store the glass substrate G in the cassette C, or, in turn, to carry out the glass substrate G stored in the cassette C to a necessary place. Will be carried.

그러나, 이와 같이 카세트(C)는 스토커 장치(101)에 의해 핸들링되고 글래스 기판(G)은 스토커 장치(101)와 다른 별도의 반송 로봇에 의해 핸들링하는 종래의 방식에 의하면, 카세트(C)의 적재 및 반출 작업 모드와 글래스 기판(G)의 적재 및 반출 작업 모드에 따라 스토커 장치(101)에서 반송 로봇으로, 그리고 반송 로봇에서 다시 스토커 장치(101)로 변환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 효율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라인 셋업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method in which the cassette C is handled by the stocker device 101 and the glass substrate G is handled by a separate transport robot different from the stocker device 101, Depending on the loading and unloading operation mode and the loading and unloading operation mode of the glass substrate G, the work efficiency is significantly reduced since the conversion from the stocker device 101 to the transport robot and the transport robot back to the stocker device 101 is performed. There is a problem, and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the line setup cost is increas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장치로써 글래스(Glass) 기판이 수납된 카세트(Cassette)를 핸들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글래스 기판도 직접 핸들링할 수 있으며, 따라서 종래 보다 작업 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라인 셋업 비용도 종래 보다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스토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to handle a cassette in which a glass substrate is housed, but also to directly handle each glass substrate as one apparatus, thus significantly improving work efficiency than in the related ar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tocker device which can also reduce the line set-up cost significantly.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글래스(Glass) 기판이 수납되는 카세트(Cassette)의 적재를 위한 복수의 선반 사이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스토커 본체; 상기 스토커 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선반에 상기 카세트를 적재하거나 상기 선반으로부터 상기 카세트를 반출하기 위하여 상기 카세트를 핸들링(handling)하는 카세트용 포크부; 및 상기 스토커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카세트에 수납된 상기 글래스 기판을 직접 핸들링(handling)하는 글래스용 포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스토커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tocker main body is provided to be movable between a plurality of shelves for loading the cassette (Cassette) in which the glass substrate is accommodated; A cassette fork portion coupled to the stocker body, the cassette fork portion for handling the cassette for loading the cassette on or off the shelf; And a glass fork portion coupled to the stocker body to directly handle the glass substrate housed in the cassette.

여기서, 상기 스토커 본체는, 상호 대향되게 마련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을 하부에서 연결하며, 복수의 휠이 설치되는 하부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을 상부에서 연결하는 상부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카세트용 포크부는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 사이에서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stocker main body, a pair of vertical frame provided to face each other; A lower frame connecting the pair of vertical frames from the bottom and having a plurality of wheels installed therein; And an upper frame connecting the pair of vertical frames from the upper side, wherein the cassette fork portion is preferably coupled to the pair of vertical frames in a liftable manner between the pair of vertical frames.

그리고, 상기 카세트용 포크부는, 상기 수직프레임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부재;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부재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양단부가 결합된 운반대; 일단부가 전방으로 전진 및 후퇴가능하게 상기 운반대에 결합되며, 적재되는 상기 카세트를 지지하는 제1 로봇암부; 및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부재를 상기 수직프레임에 대하여 상대이동시키는 수직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And, the cassette fork portion, a pair of sliding members are coupled to the vertical frame to be elevated; A carriage having both ends coupl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pair of sliding members; A first robot arm portion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carriage so as to be moved forward and backward and supporting the cassette to be loaded; And it may include a vertical driving unit for moving the pair of sliding members relative to the vertical frame.

상기 제1 로봇암부는, 일단부가 전방으로 전진 및 후퇴가능하게 상기 운반대에 결합되는 제1 로봇암; 및 상기 제1 로봇암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적재되는 상기 카세트를 지지하는 제1 포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robot arm portion may include: a first robot arm whose one end is coupled to the carriage so that the front part can be moved forward and backward; And it may include a first fork for supporting the cassette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first robot arm is loaded.

상기 글래스용 포크부는, 상기 스토커 본체의 어느 하나의 상기 수직프레임의 외측벽에 결합되는 캐리지(carriage); 및 상기 캐리지에 결합되는 포크몸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glass fork portion, the carriage (carriage) coupled to the outer wall of any one of the vertical frame of the stocker body; And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fork body coupled to the carriage.

이 때, 상기 포크몸체는, 상기 포크몸체가 상기 캐리지에 대하여 상대회동하여 접철가능하도록 상기 캐리지에 힌지결합되는 것이 충돌 등을 방지할 수 있어 유리하다.At this time, it is advantageous that the fork body is hinged to the carriage so that the fork body is foldable relative to the carriage and can be prevented from collision.

따라서, 상기 포크몸체는, 상기 캐리지에 힌지결합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상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테이블; 일단부가 전진 및 후퇴 가능하게 상기 회전테이블에 결합되는 제2 로봇암; 및 상기 제2 로봇암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글래스 기판이 적재되며, 상기 글래스 기판의 흡착을 위한 진공 패드가 마련되는 제2 포크를 포함할 수 있다.Thus, the fork body, the support member hinged to the carriage; A rotary table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A second robot arm whose one end is coupled to the rotary table so as to be forward and retracted; And a second fork coupled to one end of the second robot arm to load the glass substrate, and to provide a vacuum pad for adsorption of the glass substrate.

상기 스토커 장치는, 상기 스토커 본체의 다른 하나의 상기 수직프레임의 외측벽에 결합되며, 상기 글래스용 포크부의 중량에 대응되는 무게를 갖는 밸런스웨이트(balance weight)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tocker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balance weight coupled to an outer wall of the other vertical frame of the stocker body and having a weight corresponding to the weight of the glass fork portion.

한편, 상기 캐리지는, 상기 수직구동부에 의한 상기 카세트용 포크부의 승강에 연동되어 상기 카세트용 포크부의 승강의 반대방향으로 상기 수직프레임에 대하여 승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arriage can be configured to be elevated relative to the vertical frame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cassette fork portion by the cassette fork portion by the vertical driving portion.

그리고, 상기 글래스용 포크부는, 상기 제1 로봇암에 적재되는 상기 카세트보다 높은 높이에서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단부에 결합될 수도 있다.The glass fork portion may be coupled to an end portion of the sliding member at a height higher than that of the cassette loaded on the first robot arm.

이 경우 상기 글래스용 포크부는,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단부에 결합되는 포크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포크몸체는,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단부에 결합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상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테이블; 상기 회전테이블에 결합되는 제2 로봇암; 및 상기 제2 로봇암에 결합되어 상기 글래스 기판이 적재되며, 상기 글래스 기판의 흡착을 위한 진공 패드가 마련되는 제2 포크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glass fork part includes a fork body coupled to an end of the sliding member, and the fork body includes: a support member coupled to an end of the sliding member; A rotary table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A second robot arm coupled to the rotary table; And a second fork coupled to the second robot arm to load the glass substrate and to provide a vacuum pad for adsorption of the glass substrate.

상기 글래스용 포크부는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단부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 합되며, 상기 글래스용 포크부를 상기 슬라이딩부재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승강시키는 개별수직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The glass fork may be coupled to the end of the sliding member so as to be movable relative to each other, and may further include an individual vertical driving unit for elevating the glass fork relative to the sliding member.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토커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수직구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스토커 장치의 글래스용 포크부가 카세트용 포크부의 이동에 연동되어 이동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토커 장치(1)는, 카세트(C, Cassette)가 수용되는 복수의 선반(3) 사이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스토커 본체(10)와, 스토커 본체(10)에 결합되어 카세트(C)를 핸들링하는 카세트용 포크부(20)와, 스토커 본체(10)에 결합되어 카세트(C)에 수납된 글래스 기판(G)을 직접 핸들링하는 글래스용 포크부(30)를 구비한다.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ock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vertical drive of Figure 2, Figure 4 is a fork for the glass fork portion of the stocker device of Figure 2 It is a figure for explaining the state moved in conjunction with a movement. 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stocker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cker main body 10 is installed to be movable between a plurality of shelves (3) in which a cassette (C, Cassette) is accommodated And a fork portion 20 for a cassette coupled to the stocker main body 10 to handle the cassette C, and a glass substrate G coupled to the stocker main body 10 and stored in the cassette C directly. The glass fork part 30 is provided.

전술한 바와 같이 임의의 공정이 완료된 글래스(Glass) 기판들(G)은 카세트(C, Cassette)에 탑재되고 글래스(Glass) 기판들(G)이 탑재된 카세트들(C)은 다음 공정을 수행하는 다른 임의의 장비로 운반되기 전에, 각 공정을 수행하는 각 장비들의 글래스 기판(G) 처리 능력 및 처리 시간의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버퍼링 (buffering)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카세트 보관 시스템의 선반(3)에 임시로 저장된 후 다른 공정을 수행하는 다른 장비로 운반된다. 그리고 카세트 보관 시스템의 선반들(3)은 서로 소정 간격을 가지고 복수 개의 열로 배치되며, 각 선반(3)에는 하나의 카세트(C)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마련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glass substrates G on which the arbitrary processing is completed are mounted on the cassette C, and the cassettes C on which the glass substrates G are mounted perform the following process. In order to solve the buffering problem caused by the difference in the processing capacity and processing time of the glass substrate (G) of each of the equipments performing each process, the shelf of the cassette storage system ( It is temporarily stored in 3) and then transported to other equipment to perform other processes. The shelves 3 of the cassette storage system are arranged in a plurality of rows at predetermined intervals from each other, and each shelf 3 is provided with a storage space for accommodating one cassette C.

본 발명에 따른 스토커 장치(1)는 선반(3)에 카세트(C)를 적재하거나 선반(3)으로 카세트(C)를 반출시키는 작업을 수행함은 물론 각 글래스 기판(G)을 카세트(C)에 적재시키거나 카세트(C)로부터 반출시키기 위하여 글래스 기판(G)을 직접 핸들링할 수 있다. The stocker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loads the cassette C on the shelf 3 or carries out the cassette C on the shelf 3, but also carries the cassette C on each glass substrate G. The glass substrate G can be directly handled for loading into or out of the cassette C.

스토커 장치(1)의 스토커 본체(10)는 카세트 보관 시스템의 복수의 선반들(3) 사이를 레일(5)을 통해 이동한다. 이러한 스토커 본체(10)는, 상호 대향되게 마련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11)과, 한 쌍의 수직프레임(11)을 하부에서 연결하는 하부프레임(13)과, 한 쌍의 수직프레임(11)을 상부에서 연결하는 상부프레임(15)을 구비한다. 하부프레임(13)에는 복수의 휠(14)이 설치되어 스토커 본체(10)가 레일(5)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스토커 장치(1)가 카세트(C)의 적재 및 반출 작업이 필요한 선반(3)이 있는 라인(line)의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The stocker body 10 of the stocker device 1 moves through the rail 5 between the plurality of shelves 3 of the cassette storage system. The stocker main body 10 includes a pair of vertical frames 11 provided to face each other, a lower frame 13 connecting a pair of vertical frames 11 from below, and a pair of vertical frames 11. ) Is provided with an upper frame 15 for connecting the upper portion. The lower frame 13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wheels 14 so that the stocker main body 10 moves along the rails 5 so that the stocker device 1 requires the loading and unloading operation of the cassette C. It will move forward of this line.

한편 카세트용 포크부(20)는, 글래스 기판(G)이 수납되는 카세트(C)를 선반(3)에 적재하거나 선반(3)에 적재된 카세트(C)를 반출하기 위하여 카세트(C)를 핸들링한다. On the other hand, the cassette fork portion 20 loads the cassette C, on which the glass substrate G is housed, on the shelf 3 or to carry out the cassette C loaded on the shelf 3. Handle

이러한 카세트용 포크부(20)는, 수직프레임(11)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부재(21)와, 한 쌍의 슬라이딩부재(21)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양단부 가 결합된 운반대(22)와, 일단부가 전방으로 전진 및 후퇴 가능하게 운반대(22)에 결합되는 제1 로봇암부(23)와, 한 쌍의 슬라이딩부재(21)를 수직프레임(11)에 대하여 상대이동시키는 수직구동부(26)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수직구동부(26)에 의하여 슬라이딩부재(21)가 상하로 승강하게 되어 운반대(22) 및 제1 로봇암부(23)가 작업이 필요한 선반(3)의 전방으로 위치하게 된다. 그 후 제1 로봇암부(23)가 선반(3)에 카세트(C)를 적재하거나 선반(3)으로부터 카세트(C)를 반출하게 된다.The cassette fork 20 has a pair of sliding members 21 coupled to the vertical frame 11 so as to be lifted and lowered, and a carriage having both ends coupl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pair of sliding members 21. (22) and the first robot arm portion (23) coupled to the carriage (22) so that one end can be moved forward and backward and the pair of sliding members (21) relative to the vertical frame (11) The vertical drive part 26 is provided. In this configuration, the sliding member 21 is lifted up and down by the vertical driving part 26 so that the carriage 22 and the first robot arm 23 are positioned in front of the shelf 3 that requires work. Thereafter, the first robot arm 23 loads the cassette C on the shelf 3 or takes out the cassette C from the shelf 3.

카세트(C)를 선반(3)으로 적재시키거나 선반(3)으로부터 카세트(C)를 반출하는 제1 로봇암부(23)는, 일단부가 전방으로 전진 및 후퇴가능하게 운반대(22)에 결합되는 제1 로봇암(24)과, 제1 로봇암(24)의 단부에 결합되되 카세트(C)의 적재나 반출 작업 시 카세트(C)가 적재되는 제1 포크(25)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선반(3)에 적재된 카세트(C)를 반출하는 경우에는 제1 로봇암(24)이 전방으로 전진하여 제1 포크(25)를 카세트(C)의 하부로 삽입하여 접촉 지지시키고 다시 제1 로봇암(24)을 후방으로 후퇴시킴으로써 카세트(C)를 운반대(22)에 적재시키게 되며 이 후 필요한 장소로 운반하게 된다. 반대로 선반(3)으로 카세트(C)를 적재시키는 경우에는 그 역 과정을 통하여 운반대(22)에 적재된 카세트(C)를 선반(3)으로 적재시킨다. The first robot arm portion 23, which loads the cassette C on the shelf 3 or ejects the cassette C from the shelf 3, is coupled to the carriage 22 so that one end thereof can move forward and backward. Is coupled to the first robot arm 24 and the end of the first robot arm 24 is provided with a first fork 25, the cassette (C) is loaded when the cassette (C) loading or unloading operation. In this case, when the cassette C loaded on the shelf 3 is taken out, the first robot arm 24 moves forward to insert the first fork 25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cassette C so as to contact and support it. By retracting the first robot arm 24 backward, the cassette C is loaded on the pallet 22 and then transported to the required place. On the contrary, when the cassette C is loaded onto the shelf 3, the cassette C loaded on the pallet 22 is loaded onto the shelf 3 through the reverse process.

그리고 카세트용 포크부(20)를 스토커 본체(10)의 수직프레임(11)에 대하여 상대 이동시키는 수직구동부(26)는, 도 3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커 본체(10)의 수직프레임(11)에 각각 설치되는 상부 풀리(27) 및 하부 풀리(28)와, 상부 풀리(27)와 하부 풀리(28)를 연결하는 타이밍 벨트(29)와, 상부 풀리(27) 및 하부 풀리(28)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미도시)를 구비한다. 카세트용 포크부(20)의 한 쌍의 슬라이딩부재(21)는 타이밍 벨트(29)에 연결되어 상부 풀리(27) 및 하부 풀리(28)의 회전에 의하여 타이밍 벨트(29)가 이동함에 따라 수직프레임(11)에 대해 상대 이동하여 승강하게 된다. 후술하겠지만 본 실시 예에서는 슬라이딩부재(21)가 결합된 타이밍 벨트(29)의 타측에는 글래스용 포크부(30)의 캐리지(31)가 결합되어 카세트용 포크부(20)의 슬라이딩부재(21)의 승강 시에 글래스용 포크부(30)가 이와 반대방향으로 승강하게 된다.In addition, the vertical driving unit 26 which relatively moves the cassette fork 20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frame 11 of the stocker main body 10 is a vertical frame of the stocker main body 10 as shown in detail in FIG. 3. 11, the upper pulley 27 and the lower pulley 28, respectively, the timing belt 29 connecting the upper pulley 27 and the lower pulley 28, the upper pulley 27 and the lower pulley 28 ) Is provided with a drive motor (not shown). The pair of sliding members 21 of the cassette fork 20 are connected to the timing belt 29 so that the timing belt 29 moves vertically by the rotation of the upper pulley 27 and the lower pulley 28. It moves relative to the frame 11 and moves up and down. As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arriage 31 of the glass fork 30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timing belt 29 to which the sliding member 21 is coupled, so that the sliding member 21 of the cassette fork 20 is provided. At the time of lifting, the glass fork 30 is lif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한편, 평면디스플레이를 제조하는 공정에서 글래스 기판(G)을 취급하는 때에 여러 장의 글래스 기판(G)이 수납된 카세트(C)를 이동시키고 보관하기도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글래스 기판(G)을 직접적으로 핸들링하여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 때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스토커 장치(1)와 다른 별도의 반송 로봇이 글래스 기판(G)을 직접적으로 핸들링함으로써 작업 효율이 현저히 떨어지고 라인 셋업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when handling the glass substrate G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flat display, the cassette C containing several glass substrates G may be moved and stored, but in some cases, the glass substrate G is directly Occasionally there is a need for handling. At this time, in the related art, the stocker device 1 and the other transfer robot handle the glass substrate G directly,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work efficiency and increasing line setup costs.

본 발명에 따른 스토커 장치(1)는, 카세트용 포크부(20) 외에 글래스 기판(G)을 직접 핸들링할 수 있는 글래스용 포크부(30)를 구비한다. 이러한 글래스용 포크부(30)는 스토커 본체(10)의 다양한 위치에 결합될 수 있으나, 본 실시 예에서는 스토커 본체(10)의 어느 하나의 수직프레임(11)의 외측벽에 결합된다.The stocker apparatus 1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equipped with the glass fork part 30 which can handle glass substrate G directly in addition to the cassette fork part 20. As shown in FIG. The glass fork 30 may be coupled to various positions of the stocker body 10, but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glass fork portion 30 may be coupled to an outer wall of one vertical frame 11 of the stocker body 10.

또한 글래스용 포크부(30)는, 스토커 본체(10)의 어느 하나의 수직프레임(11)의 외측벽에 결합되는 캐리지(31, carriage)와, 캐리지(31)에 힌지 결합되는 포크몸체(32)를 구비한다. 캐리지(3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세트용 포크 부(20)의 슬라이딩부재(21)가 결합된 타이밍 벨트(29)의 타측에 결합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 글래스용 포크부(30)는, 도 4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카세트용 포크부(20)의 승강에 연동되어 카세트용 포크부(20)의 승강의 반대방향으로 수직프레임(11)에 대하여 승강된다.In addition, the glass fork 30, the carriage 31 is coupled to the outer wall of any one of the vertical frame 11 of the stocker body 10, the fork body 32 is hinged to the carriage 31 It is provided. The carriage 31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timing belt 29 to which the sliding member 21 of the cassette fork portion 20 is coupled, as shown in FIG. 3. Therefore, the glass fork 30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detail in Figure 4, in conjunction with the lifting of the cassette fork 20, the vertical frame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lifting of the cassette fork 20 It elevates with respect to (11).

포크몸체(32)는, 포크몸체(32)가 캐리지(31)에 대하여 상대회동하여 접철가능하도록 캐리지(31)에 힌지결합된다. 따라서 포크몸체(3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승강 시에 캐리지(31)에 대하여 상대회동하여 접힌 상태가 될 수 있고 승강이 완료되어 위치한 경우에 다시 캐리지(31)에 대하여 상대회동하여 펼쳐질 수 있다. 이 외에도 스토커 본체(10)가 레일(5)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때와 같이 글래스 기판(G)을 직접 핸들링할 필요가 없는 때에 포크몸체(32)를 접힌 상태로 둘 수 있다. 이로써 수직프레임(11)의 외측벽에 결합된 글래스용 포크부(30)가 외부 구조물과 충돌되는 위험 등을 줄일 수 있게 된다. The fork body 32 is hinged to the carriage 31 so that the fork body 32 can fold and rotate relative to the carriage 31. Therefore, the fork body 32 may be folded relative to the carriage 31 by lifting up and down as shown in FIG. 4, and may be folded relative to the carriage 31 when the lifting is completed. Can be unfolded. In addition, when the stocker body 10 does not need to handle the glass substrate G directly, such as when moving horizontally along the rail 5, the fork body 32 may be left in a folded state. As a result, the glass fork 30 coupled to the outer wall of the vertical frame 11 may reduce the risk of collision with the external structure.

도 5 내지 도 6은 도 2의 글래스용 포크부의 제2 로봇암의 동작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로서,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지(31)에 힌지결합된 포크몸체(32)는, 캐리지(31)에 힌지결합되는 지지부재(33)와, 지지부재(33)에 상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테이블(34)과, 회전테이블(34)에 결합되는 제2 로봇암(35)과, 제2 로봇암(35)에 결합되어 글래스 기판(G)이 적재되는 제2 포크(36)를 구비한다. 제2 포크(36)에는 진공 패드(37)가 마련되어 제2 포크(36)에 적재되는 글래스 기판(G)을 진공 흡착하게 되며, 이에 의하여 제2 포크(36)에 적재되는 글래스 기판(G)의 이탈을 방지하여 파손 등을 방지하게 된다. 5 to 6 are perspectiv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n operation process of the second robot arm of the glass fork part of FIG. 2. 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fork body 32 hinged to the carriage 31 is , A support member 33 hinged to the carriage 31, a rotation table 34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33 so as to be relatively rotatable, and a second robot arm 35 coupled to the rotation table 34. And a second fork 36 coupled to the second robot arm 35 on which the glass substrate G is loaded. A vacuum pad 37 is provided on the second fork 36 to vacuum-adsorb the glass substrate G loaded on the second fork 36, whereby the glass substrate G is loaded on the second fork 36. This prevents breakage and prevents breakage.

이러한 구성으로, 카세트(C)에 적재된 글래스 기판(G)을 직접 반출하는 경우 제2 로봇암(35)이 전방으로 전진하여 제2 포크(36)를 글래스 기판(G)의 하부로 삽입하여 접촉 지지한 뒤 다시 제2 로봇암(35)을 후방으로 후퇴시켜 회전테이블(34) 상으로 적재시킨 후 필요한 장소로 운반하며, 반대로 카세트(C) 내부로 글래스 기판(G)을 적재시키는 경우에는 그 역 과정을 통하여 제2 로봇암(35)에 적재된 글래스 기판(G)을 카세트(C)에 적재시키게 된다. In this configuration, when directly carrying out the glass substrate G loaded on the cassette C, the second robot arm 35 moves forward to insert the second fork 36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glass substrate G. After contact support, the second robot arm 35 is retracted to the rear to be loaded onto the rotary table 34 and transported to a required place. On the contrary, when the glass substrate G is loaded into the cassette C, Through the reverse process, the glass substrate G loaded on the second robot arm 35 is loaded on the cassette C.

한편 수직프레임(11)의 어느 일측에 마련되는 글래스용 포크부(30)의 무게에 의하여 좌우의 무게가 균형을 이루지 못하여 스토커 본체(10)가 글래스용 포크부(30)의 반대측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글래스용 포크부(30)가 결합되는 수직프레임(11) 외의 다른 수직프레임(11)의 외측벽에는, 글래스용 포크부(30)의 중량에 대응되는 무게를 갖는 밸런스웨이트(40)가 결합된다. 밸런스웨이트(40)는 글래스용 포크부(30)와 동일한 무게를 가길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스토커 장치(1)가 기하학적 중심선 상에 그 무게중심이 있게 되고 따라서 구조적으로 안정하게 된다. 밸런스웨이트(40)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래스용 포크부(30)의 승강에 연동되어 함께 승강하도록 구성된다.Meanwhile, the left and right weights may not be balanced by the weight of the glass fork part 3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vertical frame 11, so that the stocker body 10 may be inclin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glass fork part 30. have.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balance weight 40 having a weight corresponding to the weight of the glass fork 30 is formed on the outer wall of the vertical frame 11 other than the vertical frame 11 to which the glass fork 30 is coupled. Is combined. The balance weight 40 may have the same weight as the fork 30 for glass, whereby the stocker device 1 has its center of gravity on the geometric centerline and thus is structurally stable. As shown in FIG. 4, the balance weight 40 is also configured to move up and down in conjunction with the lifting up and down of the glass fork 30.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토커 장치의 동작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n operation process of the stock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글래스 기판(G)이 수납된 카세트(C)를 핸들링하는 작업을 진행하는 경우 글래스용 포크부(30)는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접힌 상태로 둘 수 있다. 우선 선반(3)에 적재된 카세트(C)를 반출하는 경우, 먼저 스토커 본체(10)가 레일(5)을 따라 이동하고 카세트용 포크부(20)가 스토커 본체(10)의 수직프레임(11)에 대하여 승강하여 해당 선반(3)의 전방에 위치한다. 그리고 나서 카세트용 포크부(20)의 제1 로봇암(24)이 전방으로 전진하여 제1 포크(25)가 카세트(C)의 하부로 삽입되어 카세트(C)를 접촉 지지한 뒤 다시 제1 로봇암(24)을 후방으로 후퇴시킴으로써 카세트(C)를 운반대(22)에 적재시킨 후 필요한 장소로 운반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선반(3)으로 카세트(C)를 적재시키는 경우에는 그 역 과정을 통하여 운반대(22)에 적재된 카세트(C)를 선반(3)으로 적재시킬 수 있게 된다.When the glass substrate G handles the cassette C housed therein, the glass fork 30 does not need to be used, and thus it may be left in a folded state. First, when the cassette C loaded on the shelf 3 is taken out, first, the stocker main body 10 moves along the rail 5, and the cassette fork part 20 moves the vertical frame 11 of the stocker main body 10. Raise and lower the relative position and position the front of the shelf (3). Then, the first robot arm 24 of the cassette fork 20 advances forward, and the first fork 25 is insert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cassette C to contact and support the cassette C, and then the first By retracting the robot arm 24 backward, the cassette C is loaded on the pallet 22 and then transported to the required place. On the contrary, when the cassette C is loaded onto the shelf 3, the cassette C loaded on the pallet 22 can be loaded onto the shelf 3 through the reverse process.

평면디스플레이를 제조하는 공정에서 글래스 기판(G)을 취급하는 때에 복수의 글래스 기판(G)이 수납된 카세트(C)를 이동시키거나 보관하기도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개별 글래스 기판(G)을 직접적으로 이동시키거나 보관하여야 하는 경우가 발생함은 전술한 바와 같다. When handling the glass substrate G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flat display, the cassette C containing the plurality of glass substrates G may be moved or stored, but in some cases, the individual glass substrates G may be directly The case of moving or storing occurs as described above.

카세트(C)에 적재된 글래스 기판(G)을 직접적으로 이동시키거나 보관하여야 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스토커 장치(1)에 있어서는, 스토커 본체(10)를 레일(5)을 따라 이동시키고 글래스용 포크부(30)의 캐리지(31)를 스토커 본체(10)의 수직프레임(11)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시켜 해당 카세트(C)의 전방으로 글래스용 포크부(30)를 위치시킨다. 그런 다음에 글래스용 포크부(30)의 제2 로봇암(35)을 전방으로 전진시켜 제2 포크(36)를 글래스 기판(G)의 하부로 삽입하여 접촉 지지하게 한 뒤 다시 제2 로봇암(35)을 후방으로 후퇴시켜 회전테이블(34) 상으로 글래스 기판(G)을 적재시킨 후 필요한 장소로 운반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카세트(C) 내부로 글래스 기판(G)을 적재시키는 경우에는 그 역 과정을 통하여 제2 로봇암(35)에 적 재된 글래스 기판(G)을 카세트(C)에 적재시키게 된다. When the glass substrate G mounted on the cassette C is to be moved or stored directly, in the stocker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cker main body 10 is moved along the rail 5 and the glass is moved. The carriage 31 of the fork 30 for sliding is slid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frame 11 of the stocker main body 10 to position the glass fork 30 in front of the cassette C. Then, the second robot arm 35 of the glass fork 30 is moved forward to insert the second fork 36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glass substrate G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second robot arm 35. The back 35 is retracted to load the glass substrate G onto the turntable 34 and then transported to the required place. On the contrary, when the glass substrate G is loaded into the cassette C, the glass substrate G loaded on the second robot arm 35 is loaded into the cassette C through the reverse process.

이상과 같이, 스토커 본체(10)에, 글래스 기판(G)이 수납된 카세트(C)를 적재 및 반출하는 카세트용 포크부(20)와, 글래스 기판(G)을 직접적으로 적재 및 반출하는 글래스용 포크부(30)를 마련함으로써, 하나의 장치로써 글래스 기판(G)이 수납된 카세트(C)와 글래스 기판(G)을 모두 핸들링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고 라인 셋업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assette fork portion 20 for loading and unloading the cassette C containing the glass substrate G in the stocker main body 10 and the glass for directly loading and unloading the glass substrate G are provided. By providing the fork part 30, both the cassette C and the glass substrate G in which the glass substrate G is accommodated can be handled by one apparatus, so that the work efficiency can be improved and the line setup cost can be reduced. hav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토커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토커 장치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것에 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stocker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same descriptions as those described in the stocker apparatus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will be omitted.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토커 장치의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토커 장치(1a)는, 일 실시 예와 달리 글래스용 포크부(30a)가, 카세트용 포크부(20)의 슬라이딩부재(21)의 단부에 결합된다. 즉 글래스용 포크부(30a)가, 카세트용 포크부(20)의 제1 로봇암부(23)에 적재되는 카세트(C)보다 높은 높이에서 카세트용 포크부(20)의 양측 슬라이딩부재(21a)의 일단부에 각각 결합된다. 글래스용 포크부(30a)는, 슬라이딩부재(21a)의 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킬 수도 있고 슬라이딩부재(21a)의 단부에 고정결합시킬 수도 있으며 또한 슬라이딩부재(21a)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도 있는데, 본 실시 예에서는 글래스용 포크부(30a)의 지지부재(33a)가 슬라이딩부재(21a)에 고정 결합된다.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ocker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is, the stocker device (1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one embodiment for the glass fork portion (30a)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sliding member 21 of the cassette fork 20. That is, the glass fork portion 30a has both the sliding members 21a of the cassette fork portion 20 at a height higher than that of the cassette C loaded on the first robot arm portion 23 of the cassette fork portion 20. It is coupled to one end of each. The glass fork 30a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end of the sliding member 21a, fixedly coupled to the end of the sliding member 21a, and may be relatively movable to the sliding member 21a. In this embodiment, the support member 33a of the glass fork 30a is fixedly coupled to the sliding member 21a.

본 실시 예의 경우에는 수직구동부(미도시)에 의하여 카세트용 포크부(20)와 글래스용 포크부(30)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나, 카세트(C)를 핸들링하는 경우에는 카세트용 포크부(20)가 사용되고 글래스 기판(미도시)을 직접 핸들링하는 경우에는 글래스용 포크부(30a)가 사용됨은 전술한 일 실시 예와 동일하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assette fork portion 20 and the glass fork portion 30 are moved in the same direction by the vertical driving portion (not shown), but when the cassette C is handled, the cassette fork portion ( When 20) is used and the glass substrate (not shown) is directly handled, the use of the glass fork 30a is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이러한 구조는 카세트용 포크부(20)와 글래스용 포크부(30a)의 무게중심이 대략 일치하여 제어가 용이한 장점이 있으며, 글래스용 포크부(30a)의 승강을 위하여 별도의 구조를 추가하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구조적으로 안정성이 있고 또한 측면으로 데드스페이스가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This structure has the advantage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assette fork portion 20 and the fork portion 30a for the glass coincide with each other for easy control, and does not add a separate structure for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glass fork portion 30a. As it may not, it is structurally stable and does not have a dead space on the side.

그러나 하부에 배치되는 선반(미도시)의 카세트(C) 내의 글래스 기판을 직접 핸들링하기 위해서는 본 실시 예의 스토커 장치(1a)의 기준 높이가 선반(3)의 기준 높이보다 3m이상 높도록 구성하여야 한다.However, in order to directly handle the glass substrate in the cassette C of the shelf (not shown) disposed below, the reference height of the stocker apparatus 1a of the present embodiment should be configured to be 3 m or more higher than the reference height of the shelf 3. .

물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와 같이 스토커 장치(1a)의 기준 높이가 선반(3)의 기준 높이보다 3m 이상 높도록 구성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에는, 글래스용 포크부(30)를 슬라이딩부재(21a)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고 글래스용 포크부(30a)를 슬라이딩부재(21a)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승강시키는 개별수직구동부를 별도로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Of course, when it is difficult to configure the reference height of the stocker device (1a) 3m or more higher than the reference height of the shelf 3, as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lass fork 30 is sliding member (21a) It may be configured separately to the individual vertical driving unit to be coupled to the relative movement to the glass fork portion (30a) relative to the sliding member (21a) relative to.

전술한 일 실시 예에서는, 카세트용 포크부(20)와 글래스용 포크부(30)가 연동되어 반대로 승강하는 것에 대하여 상술하였으나, 글래스용 포크부(30)와 카세트용 포크부(20)를 독립적인 각각의 수직구동부(26)로 각각 승강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assette fork portion 20 and the glass fork portion 30 are interlocked and lifted, but the glass fork 30 and the cassette fork portion 20 are independent. Each of the vertical driving unit 26 may be lifted.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 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fore,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will have to be belong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장치로써 글래스(Glass) 기판이 수납된 카세트(Cassette)를 핸들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글래스 기판도 직접 핸들링할 수 있으며, 따라서 종래 보다 작업 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라인 셋업 비용도 종래 보다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handle not only the cassette having the glass substrate housed by one apparatus, but also to directly handle each glass substrate. In addition, the line set-up cost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than before.

Claims (12)

글래스(Glass) 기판이 수납되는 카세트(Cassette)의 적재를 위한 복수의 선반 사이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스토커 본체;A stocker body installed to be movable between a plurality of shelves for stacking a cassette in which a glass substrate is accommodated; 상기 스토커 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선반에 상기 카세트를 적재하거나 상기 선반으로부터 상기 카세트를 반출하기 위하여 상기 카세트를 핸들링(handling)하는 카세트용 포크부; 및A cassette fork portion coupled to the stocker body, the cassette fork portion for handling the cassette for loading the cassette on or off the shelf; And 상기 스토커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카세트에 수납된 상기 글래스 기판을 직접 핸들링(handling)하는 글래스용 포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커 장치.And a glass fork portion coupled to the stocker body to directly handle the glass substrate housed in the casset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스토커 본체는,The stocker body, 상호 대향되게 마련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A pair of vertical frames provided to face each other;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을 하부에서 연결하며, 복수의 휠이 설치되는 하부프레임; 및A lower frame connecting the pair of vertical frames from the bottom and having a plurality of wheels installed therein; And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을 상부에서 연결하는 상부프레임을 포함하며,An upper frame connecting the pair of vertical frames from the top; 상기 카세트용 포크부는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 사이에서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커 장치.And the cassette fork portion is liftably coupled to the pair of vertical frames between the pair of vertical frames.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카세트용 포크부는, The cassette fork portion, 상기 수직프레임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부재;A pair of sliding members coupled to the vertical frame to be liftable;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부재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양단부가 결합된 운반대;A carriage having both ends coupl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pair of sliding members; 일단부가 전방으로 전진 및 후퇴가능하게 상기 운반대에 결합되며, 적재되는 상기 카세트를 지지하는 제1 로봇암부; 및A first robot arm portion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carriage so as to be moved forward and backward and supporting the cassette to be loaded; And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부재를 상기 수직프레임에 대하여 상대이동시키는 수직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커 장치. Stalker device comprising a vertical drive for moving the pair of sliding members relative to the vertical frame.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제1 로봇암부는,The first robot arm unit, 일단부가 전방으로 전진 및 후퇴가능하게 상기 운반대에 결합되는 제1 로봇암; 및A first robot arm whose one end is coupled to the carriage so that it can be moved forward and backward; And 상기 제1 로봇암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적재되는 상기 카세트를 지지하는 제1 포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커 장치. And a first fork coupled to one end of the first robot arm to support the cassette.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글래스용 포크부는,The glass fork portion, 상기 스토커 본체의 어느 하나의 상기 수직프레임의 외측벽에 결합되는 캐리지(carriage); 및A carriage coupled to an outer wall of one of the vertical frames of the stocker body; And 상기 캐리지에 결합되는 포크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커 장치.Stalker device comprising a fork body coupled to the carriage.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포크몸체는, 상기 포크몸체가 상기 캐리지에 대하여 상대회동하여 접철가능하도록 상기 캐리지에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커 장치.The fork body is a stock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ork body is hinged to the carriage so as to be foldable relative to the carriage.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포크몸체는,The fork body, 상기 캐리지에 힌지결합되는 지지부재;A support member hinged to the carriage; 상기 지지부재에 상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테이블;A rotary table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일단부가 전진 및 후퇴 가능하게 상기 회전테이블에 결합되는 제2 로봇암; 및A second robot arm whose one end is coupled to the rotary table so as to be forward and retracted; And 상기 제2 로봇암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글래스 기판이 적재되며, 상기 글래스 기판의 흡착을 위한 진공 패드가 마련되는 제2 포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커 장치. And a second fork coupled to one end of the second robot arm to load the glass substrate and having a vacuum pad for adsorption of the glass substrate.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스토커 본체의 다른 하나의 상기 수직프레임의 외측벽에 결합되며, 상기 글래스용 포크부의 중량에 대응되는 무게를 갖는 밸런스웨이트(balance weight)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커 장치.And a balance weight coupled to an outer wall of the other vertical frame of the stocker body and having a weight corresponding to the weight of the glass fork portion.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캐리지는, 상기 수직구동부에 의한 상기 카세트용 포크부의 승강에 연동되어 상기 카세트용 포크부의 승강의 반대방향으로 상기 수직프레임에 대하여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커 장치.And the carriage is linked with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cassette fork portion by the vertical driving portion, and is lifted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fram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cassette fork portion.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글래스용 포크부는, 상기 제1 로봇암에 적재되는 상기 카세트보다 높은 높이에서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단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커 장치.The glass fork part is a stock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end of the sliding member at a height higher than the cassette loaded on the first robot arm.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글래스용 포크부는,The glass fork portion,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단부에 결합되는 포크몸체를 포함하며,It includes a fork body coupled to the end of the sliding member, 상기 포크몸체는,The fork body,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단부에 결합되는 지지부재;A support member coupled to an end of the sliding member; 상기 지지부재에 상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테이블;A rotary table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상기 회전테이블에 결합되는 제2 로봇암; 및A second robot arm coupled to the rotary table; And 상기 제2 로봇암에 결합되어 상기 글래스 기판이 적재되며, 상기 글래스 기판의 흡착을 위한 진공 패드가 마련되는 제2 포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커 장치. And a second fork coupled to the second robot arm to load the glass substrate, and having a vacuum pad for adsorption of the glass substrate.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글래스용 포크부는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단부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The glass fork portion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sliding member so as to move relative, 상기 글래스용 포크부를 상기 슬라이딩부재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승강시키는 개별수직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커 장치.Stalker device further comprises a separate vertical drive for elevating the glass fork relative to the sliding member.
KR1020060009621A 2006-02-01 2006-02-01 Stocker Apparatus KR10075989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9621A KR100759890B1 (en) 2006-02-01 2006-02-01 Stocker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9621A KR100759890B1 (en) 2006-02-01 2006-02-01 Stocker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9152A true KR20070079152A (en) 2007-08-06
KR100759890B1 KR100759890B1 (en) 2007-09-18

Family

ID=38599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9621A KR100759890B1 (en) 2006-02-01 2006-02-01 Stocker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989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4927A (en) * 2014-12-19 2016-06-29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Object supplying system
KR20180037555A (en) * 2016-10-04 2018-04-12 신대호 Stacker for clean roo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73006B2 (en) 2000-03-23 2007-09-05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Double arm robot
JP2002370182A (en) * 2001-06-13 2002-12-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Self-traveling clean stocker robot system and its robot
JP2004090186A (en) 2002-09-02 2004-03-25 Aitec Corp Clean transfer robot
JP2005150575A (en) * 2003-11-19 2005-06-09 Nachi Fujikoshi Corp Double arm type robo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4927A (en) * 2014-12-19 2016-06-29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Object supplying system
KR20180037555A (en) * 2016-10-04 2018-04-12 신대호 Stacker for clean roo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9890B1 (en) 2007-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8187B1 (en) Cassette system for substrate storage
KR20060133328A (en) Conveyance device for liquid crystal display
KR20160007946A (en) Carriage for stocker conveyor
KR100973190B1 (en) Cassette and robot for transferring glass, and cassette system having the same
KR101613119B1 (en) Stocker apparatus
CN101955066A (en) Substrate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device
CN201694655U (en) Substrate handling equipment
KR100759890B1 (en) Stocker Apparatus
JP2006347753A (en) Conveyance system
KR101341425B1 (en) Stocker system
KR100816391B1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substrate
KR101309859B1 (en) Stocker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0998206B1 (en) Stocker Apparatus
KR101000494B1 (en) Transferring apparatus
JP4440032B2 (en) Substrate transfer device for sequential substrate cassette
KR101183040B1 (en) Stocker apparatus
KR101264681B1 (en) the stocker for storage cassette
KR101014749B1 (en) Cassette System for Storing the Substrate
KR100900962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a substrate
KR101051283B1 (en) Dumper and stocker system with it
KR102266966B1 (en) Carriage for stocker conveyor
KR101346890B1 (en) Robot of transferring a original substrate
KR101731259B1 (en) Separating apparatus for manufacturing display panel
KR101514212B1 (en) Stocker apparatus and stocker system having the same
KR20050105599A (en) Stocke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