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8710A - 편물기의 바 - Google Patents

편물기의 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8710A
KR20070078710A KR1020070007895A KR20070007895A KR20070078710A KR 20070078710 A KR20070078710 A KR 20070078710A KR 1020070007895 A KR1020070007895 A KR 1020070007895A KR 20070007895 A KR20070007895 A KR 20070007895A KR 20070078710 A KR20070078710 A KR 200700787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bar
knitting machine
needle
kn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7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2230B1 (ko
Inventor
헤르베르트 밤저
Original Assignee
칼 마이어 텍스틸마쉰넨파브릭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칼 마이어 텍스틸마쉰넨파브릭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칼 마이어 텍스틸마쉰넨파브릭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70078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8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2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2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20Needle ba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arp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27/06Needle bars; Sinker ba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02Knitting tools or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 D04B15/00 or D04B27/00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7/00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 D04B37/02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with weft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7/00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 D04B37/06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with warp knitt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bar)(1)의 세로신장을 따라서 평행하게 배치된 편물부재(5)를 수용하기 위한 다수개의 홈(3)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홈(3)은 하나의 홈 베이스(16), 두 개의 홈 측면부, 및 홈 개구부(17)를 포함하는 편물기계의 바에 관한 것이다. 편물부재를 여러 번 교체한 후에도, 상기 편물부재를 바의 원하는 위치에 배치하기 위해서, 상기 홈(3)은 상기 홈 개구부(17)의 영역에서 상기 홈 베이스(16)의 영역에서보다 큰 폭을 갖는다.

Description

편물기의 바{Bar of knitting machine}
도 1은 편물바늘이 삽입된 바(bar)의 단면도이며,
도 2는 편물바늘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며,
도 3은 편물바늘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며,
도 4는 편물바늘 및 바 홈(bar groove)의 횡단면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며,
도 5는 편물바늘이 삽입된 바의 변형예를 나타내며,
도 6은 도 5의 바를 사용하는 편물바늘을 나타내며,
도 7은 편물바늘 및 홈의 횡단면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며,
도 8은 도 1의 바를 나타내는 전면도, 측면도, 및 상면도이며,
도 9는 바늘 및 바의 상호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며,
도 10은 편물바늘의 서로 다른 횡단면 형태를 나타내고,
도 11은 도 10의 편물바늘에 적합화된 홈 형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바(bar)의 세로신장을 따라서 평행하게 배치된 편물부재를 수용하 기 위한 다수개의 홈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홈은 하나의 홈 베이스, 두 개의 홈 측면부, 및 홈 개구부를 포함하는 편물기계의 바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바는 일반적으로 편물기의 구성요소이다. 그러나, 상기 바는 기계를 구성하는 또 다른 방직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편물부재는 슬라이더(slider) 바늘 또는 또 다른 편물바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은 편물바늘을 예로 들어 설명될 것이다.
편물기에서, 일반적으로 다수의 편물바늘이 구비된다. 미터당 바 길이는 전적으로 500개 내지 2000개 사이의 다수개의 편물바늘에서 시작될 수 있다. 상기 편물바늘은 동작시 소정의 마모를 겪는다. 즉, 상기 편물바늘은 때때로 교체되어야 한다.
상기 편물바늘은 상기 바의 홈에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편물바늘이 소정의 부분간격으로 서로 배치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상기 편물바늘은 삽입한 후에 세로신장에 평행하게 직선으로 정렬되어야 한다.
상기 편물바늘에서 대량생산이 중요하기 때문에, 상기 편물바늘은 소정의 공차(tolerance)를 수용할 때 납득할만한 비용으로 생산될 수 있다. 이러한 공차는, 예를 들어, 상기 편물바늘이 서로 다른 판금 배치(sheet metal batch)로 제조될 때 발생할 수 있는 소정의 두께 차이로 표시된다. 이는, 일반적으로 상기 홈을 상기 편물바늘의 두께보다 약간 크게 만들어야 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는, 상기 편물바늘을 상기 홈에 삽입하고 제거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지만, 상기 편물바늘은 상기 바에 삽입한 후에 약간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독일 특허명세서 DE 44 14 703 C2에는 편물바늘의 바늘 축이 수용 홈에 비해 소정의 과잉치수를 유발하는 곡률을 구비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상기 바늘이 상기 홈에 가압되면, 상기 곡률은 물질과 같은 것을 상기 홈 측면부에 밀거나 고정시키며, 상기 바늘은 움직임없이 상기 홈에 안착해야 한다. 물론, 이러한 움직임없는 현상은 장시간 또는 빈번한 교체에 의해서 유지될 수 없다. 대량생산에서, 상기 곡률이 항상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피할 수 없다. 이러한 바늘을 교체할 때, 이미 존재하는 편물바늘의 곡률이 이미 물질을 민 위치에 배치되므로, 작은 움직임의 위험이 여기서 다시 전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러 번 교체 후에도 편물부재를 바의 원하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게 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은 홈이 홈 개구부의 영역에서 홈 베이스의 영역에서보다 큰 폭을 갖는 바에 의하여 해결된다.
상기 바의 홈은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평행하게 진행하는 측면부를 구비하지 않으며, 상기 홈은 전면영역에서, 즉, 상기 개구부의 영역에서, 후면영역, 다시 말해서, 상기 홈 베이스로 향한 영역에서보다 넓다. 상응하는 방식으로 형성된 편물바늘은 상기 홈으로 삽입할 때 자동으로 배치되는데, 다시 말해서, 이러한 종류의 홈에서, 상기 편물바늘은 항상 두 개의 홈 측면부에 인접하므로, 상기 편물바늘은 그 전면부로부터의 상응하는 고정력에서 움직임없이 상기 홈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홈 사이에 배치된 홈 브릿지(bridge)가 변형되어서는 안되고 상기 홈 브릿지 또는 상기 편물바늘의 물질이 밀려서도 안된다. 오히려, 상기 편물바늘 및 상기 바는 소위 마모없이 조립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대적으로 큰 폭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작은 폭으로의 이전은, 어느 하나의 홈 측면부의 깊이의 적어도 일부로 신장되며 다른 하나의 홈 측면부에 대해서 상기 홈 개구부에서 상기 홈 베이스로의 방향으로 상기 다른 하나의 홈 측면부로 경사지거나 굽어진 평면에 의하여 수행된다. 경사지거나 굽어진 평면에서, 상기 편물바늘을 상기 홈에 삽입할 때 그리고, 상기 편물바늘의 측면부를 처음으로 상기 홈 측면부에 접촉할 때 상대적으로 작은 측면이동이 수행되는데, 상기 편물바늘의 또 다른 측면부가 상기 또 다른 홈 측면부에 접촉할 때까지 수행된다. 따라서, 상기 편물바늘의 두 개의 측면에서의 접촉이 수행되고 상기 편물바늘은 움직임없이 그리고 신뢰성있게 상기 홈에 안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평면은 상기 홈 베이스까지 신장된다. 따라서, 가능한한 큰 설치 및 삽입시 상기 편물바늘을 상응하게 큰 범위로 상기 홈에 안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사진 평면은 서로 다른 경사각을 갖는 적어도 두 개의 부분 평면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편물바늘을 상기 홈에 삽입하고 고정하는 것을 특별한 경우에도 보다 잘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홈 측면부는 상기 바의 전면부에 대해서 직각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홈 측면부는 상기 편물바늘이 상기 홈에 정렬되는 위치를 형성 한다. 또는, 상기 편물바늘이 직각으로 진행하는 측면부에 접촉하도록 상기 편물바늘을 이미 상기 홈에 삽입하고 나서, 상기 편물바늘을 상기 경사진 측면부에 접촉할 때까지 상기 홈 안으로 밀어 넣는다. 이러한 경우, 상기 편물바늘은 움직임없이 상기 홈에 안착한다. 상기 편물바늘이 우선적으로 상기 경사진 측면부에 접촉하도록 삽입하면, 상기 편물바늘이 상기 수직으로 진행하는 측면부에 인접할 때까지 상기 편물바늘은 상기 경사진 측면부와의 접촉에 의하여 상기 수직으로 진행하는 측면부 안으로 밀어넣어진다. 이러한 경우에도, 상기 움직임없는 위치가 보장된다.
대안의 실시예에서, 두 개의 홈 측면부는 서로 경사지거나 굽어진 평면을 포함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편물부재는 제1 홈 측면부에 접촉하게 되므로, 상기 편물부재는 상기 또 다른 홈 측면부에 접촉할 때까지 작은 거리만큼 측면으로 이동된다. 이 경우에도, 상기 움직임없는 위치가 보장된다.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홈 측면부는 최대 폭의 영역에서, 서로 평행하게 진행하는 평면 단면부를 포함한다. 하나 또는 두 개의 측면부의 경사는 단지 부분영역에서만 유용하다. 이는, 상기 편물바늘을 상기 홈에 움직임없이 배치하는 것을 보장하기에 충분하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홈에는 편물부재가 삽입되며, 상기 편물부재는, 전면부, 후면부, 및 두 개의 측면부를 구비하는, 상기 홈에 배치된 고정단면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단면영역은 상기 전면부의 영역에서 상기 후면부의 영역에서보다 큰 폭을 갖는다. 이러한 경우, 상기 편물부재의 횡단면이 상기 홈의 횡 단면에 적합화된다. 상기 홈은 상기 편물부재에 의하여 채워진다. 이는, 상기 편물부재를 상기 홈에 최대한 고정할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면부는 적어도 부분영역에서 상기 홈 측면부의 평면과 동일한 정렬을 갖는다. 이러한 경우, 상기 평면은 실제적으로 편평하게 인접할 수 있으므로, 상기 편물부재를 상기 홈에 높은 안정성으로 고정하는 것이 보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편물부재는 소정의 돌출부만큼 상기 홈으로부터 돌출한다. 이는, 상기 편물부재는 인장장치, 예를 들어, 덮개를 사용하여 상기 홈에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상기 편물부재의 홈 베이스와 후면부 사이에는 소정의 보호간격이 마련된다. 이러한 보호간격은 상기 돌출부보다 약간 작을 수 있다. 한편으로는, 상기 보호간격에 의하여, 상기 두 개의 홈 측면부에 움직임없이 인접하기에 충분히 넓게 상기 편물부재를 상기 홈에 밀어넣을 수 있는 것이 보장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지나치게 큰 힘이 발생할 때 상기 홈 안으로의 편물부재의 경로는 제한되므로, 이러한 종류의 큰 힘이 발생하면, 상기 홈 사이에 존재하는 홈 브릿지가 신뢰성없이 변형되지 않는다. 이러한 큰 힘에서, 즉, 상기 편물부재는 상기 홈 베이스에 구비되고 더 이상 움직일 수 없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된다.
도 1은 편물기계(상세히 도시되지 않음)의 바(bar)(1)의 단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러한 종류의 바는 전적으로 수 미터의 길이를 갖는다.
상기 바(1)는 높이단면부(2)에서 평행하게 배치된 다수개의 홈(3)을 포함한 다. 상기 홈(3)은 상기 바(1)의 세로신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홈(3)은 홈 브릿지(4)에 의하여 서로 분리된다.
상기 홈(3)에 편물바늘(5)이 배치된다. 상기 편물바늘(5)은 단지 두 개의 홈에 도시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모든 홈(3)은 편물바늘(5)을 구비한다.
도 1의 상기 편물바늘(5)은 도 2에서 두 개의 서로 다른 관찰방향으로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편물바늘(5)은 고정단면영역(7)을 갖는 바늘 축(6)을 포함한다. 상기 편물바늘(5)은 상기 고정단면영역(7)에 의하여 상기 바(1)의 홈(3)에 고정된다.
일반적인 방식으로, 상기 바늘 축(6)의 말단에는 후크(hook)로 형성된 바늘 헤드(8)가 연결된다. 여기서, 상세히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후크(9)가 스티치 (stitch)에 의하여 실을 통과해야 하는 경우, 상기 후크(9)를 폐쇄할 수 있는 슬라이더가 구비될 수 있다. 대향 말단에서, 상기 편물바늘(5)은 돌출부(11)를 갖는 바늘 발(foot)(10)을 포함한다. 상기 돌출부(11)는 상기 편물바늘(5)을 상기 바(1)에 추가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상기 높이단면부(2) 하부에서 잡힌다.
후속하는 설명의 목적으로, 상기 편물바늘(5)에서, 보다 정확히 말하자면, 그 고정단면영역(7)에서 전면부(12), 후면부(13), 및 두 개의 측면부(14, 15)가 정의된다. 상기 전면부(12)는 설치된 편물바늘(5)에서 상기 바(1)로부터 돌출되는 측면이다. 상기 후면부(13)는 가장 깊게 상기 바(1)에 삽입되는 측면이다.
도 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단면영역(7)의 두 개의 측면부(14, 15)는 서로 평행하지 않게 정렬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전면부(12)에서 상 기 후면부(13)로의 방향으로 서로 경사진다. 기본적으로, 상기 편물바늘(5)의 횡단면은 상기 고정단면영역(7)에서 V자 형태로 형성된다.
이에 상응하는 방식으로, 각각의 홈(3)은 홈 베이스(14), 홈 개구부(17), 및 두 개의 홈 측면부(18, 19)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홈(3)의 횡단면은 상기 편물바늘(5)의 고정단면영역(7)의 횡단면에 적합화된다. 상기 측면부(14, 15)의 경사는 즉, 상기 홈 측면부(18, 19)의 경사와 일치한다.
이는, 상기 편물바늘(5)이 상기 홈(3)에 삽입될 때, 상기 편물바늘(5)이 자체적으로 중심이 맞춰지는 결과를 초래한다. 상기 홈(3)에 삽입될 때 상기 두 개의 측면부(14, 15) 중 하나의 측면부가 상기 두 개의 홈 측면부(18, 19) 중 하나에 포함되고 나서, 상기 편물바늘(5)을 상기 홈(3)에 또다시 밀어 넣을 때, 상기 측면부(15, 14) 중의 다른 측면부가 상기 홈 측면부(19, 18)중 다른 측면부에 포함될 때까지 상기 하나의 측면부는 약간 측면으로 이전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편물 바늘(5)은 자동으로 상기 홈(3)의 중앙에 정렬되고 거기서 움직임없이 배치된다. 상기 바(1)에 삽입할 때 상기 편물바늘(5)은 상기 홈 브릿지(4)의 어떠한 변형이나 부분적인 변형이 이루어질 필요가 없다.
상기 편물바늘(5)은 상기 바(1)에 삽입된 후에 상기 전면부(21)의 작은 돌출부(20)에 의하여 돌출한다. 추후 도 9와 관련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할 덮개에 의하여 상기 개개의 편물바늘을 상기 바(1)에 고정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편물 바늘(5)은 큰 비용없이 움직이지 않게 고정된다.
상기 편물바늘(5)의 교체는 상대적으로 간단하다. 상기 편물바늘(5) 위로 간단히 당김으로써, 상기 편물바늘(5)을 상기 바(1)의 전면부(21)로 이동시키고, 그리고 나서, 상기 홈(3)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새로운 편물바늘(5)은, 삽입할 때 상대적으로 큰 힘을 가할 필요없이 반대방향으로 상기 홈(3)에 삽입된다.
도 2에 도시된 편물바늘은 라셀(Raschel) 편물기에 적합하다. 이와는 달리, 동일한 부재들이 동일한 참조부호를 갖는 도 3에 도시된 편물바늘은 편물 자동기계 또는 편물기에 적합하다.
상기 홈(3)의 횡단면과 상기 고정단면영역(7)의 횡단면을 형성하기 위해서, 이하 발췌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5는, 상기 홈(3)이 가상의 중앙평면에 더 이상 대칭적으로 배치되지 않는 바(1)를 도시한다. 오히려, 홈 측면부(18)가 상기 전면부(21)에 수직으로 배치된다. 상기 또 다른 홈 측면부(19)만이 상기 바(1)의 전면부(21)에 대해서 90°가 아닌 각도를 갖는다.
상기 홈에 속하는 편물바늘(5)이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좌측 측면부(14)(도 6과 관련)는 이에 상응하게 상기 고정단면영역(7)의 전면부(12)에 대해서 수직이다. 이와는 달리, 상기 또 다른 측면부(15)는 상기 전면부(12)에 대하여 예각을 형성한다.
여기서, 이러한 고정원칙은 도 1 내지 도 4와 관련하여 도시된 실시예와 유사하다. 물론, 상기 편물바늘(5)을 상기 홈(3)에 배치하는 것이 상기 홈의 중앙(상기 바(1)의 세로신장과 관련)에서 수행되는 것이 아니라,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바(1)의 전면부(21)에 대하여 직각을 형성하는 상기 좌측 홈 측면부(18)에서 수행된다.
이러한 위치배정은, 상기 편물바늘(5)을 상기 홈(3)에 삽입할 때 상기 측면부(15)와 상기 홈 측면부(19) 사이의 웨지(wedge) 효과에 의하여 상기 측면부(14)가 상기 홈 측면부(18)에 구비될 때까지 상기 편물바늘(5)의 작은 측면이동은 오랫동안 작용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상기 전면부(12)에 대하여 직각을 형성하는 측면부(14)를 수용하는 상기 편물바늘(5)의 측면이, 도 6b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평탄하게 형성되는 장점을 갖는다.
도 8a는 도 1의 바(1)의 전면도를 나타낸다. 이로부터, 상기 홈(3)의 중앙평면에 의하여 바늘 분할부(22)가 고정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5 및 도 6의 실시예가 사용되면, 상기 바늘 분할부(22)는 상기 전면부(21)로 진행하는 홈 측면부(18)에 대해서 직각인 거리에 의하여 작용한다.
도 8b는 측면도를 나타내고, 도 8c는 도 5의 편물바늘(5)이 설치된 상기 바(1)의 상면도이다.
도 9는 상기 바(1)에서 홈(3)에 설치된 편물바늘(5)의 개략적인 도면을 나타낸다. 상기 편물바늘(5)은 횡단면을 포함한다. 상기 횡단면에서, 상기 측면부(14)는 상기 전면부(12)에 수직으로 연장되고 상기 고정단면영역의 전체깊이로 신장된다. 상기 또 다른 측면부(15)는 마찬가지로, 단면부를 포함한다. 상기 단면부는 상기 고정단면영역의 전면부(12)에 대해서 직각으로 신장된다. 상기 고정 단면영역의 깊이의 일부로 신장되는 평면(23)만이 상기 전면부(12)에 대해 경사진다. 이러한 부분영역은 이에 상응하게 경사진 상기 홈 측면부(19)의 평면(24)에 구비된다.
설치된 편물바늘(5)에서, 상기 후면부(13)와 상기 홈 베이스(16) 사이에는 보호간격(s)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보호간격(s)은 상기 덮개(25)와 상기 바(1)의 전면부(21) 사이의 돌출부(20)보다 작다.
상기 덮개(25)는 상기 바(1)로 향한 측면에서 탄력층(26)을 포함하므로, 상기 덮개(25)가 상기 바(1)에 고정될 때, 상기 편물바늘(5)이 공차(tolerance)에 근거하는 두께 차이로 인해 서로 다르게 상기 바(1)로부터 돌출한다고 해도 모든 편물바늘(5)이 동일하게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차이는 너무 크지 않다.
도 10은 상기 편물바늘의 고정단면영역의 횡단면의 서로 다른 형태를 도시한다. 도 11은 이에 적합한 횡단면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상기 바(1)에는 상기 홈(3)의 횡단면의 항상 동일한 형태가 사용된다.
도 10 및 도 11은 도 1 내지 도 4의 실시예에 기초로 한 횡단면 형태를 도시한다. 도 10의 i 및 도 11의 i는 도 5 내지 도 7 및 도 9의 실시예에 기초로 한 횡단면을 도시한다.
도 10의 a 및 도 11의 a에서, 도 10의 g 및 도 11의 g에 상응하는 실시예가 도시된다. 물론, 여기서, 상기 후면부(13) 및 상기 홈 베이스(16)가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 10의 b 및 도 11의 b에서, 상기 측면부(14, 15) 및 상기 홈 측면부(18, 19)는 단면부(27, 28)를 포함한다. 상기 단면부(27, 18)는 편물바늘(5) 및 홈(3)의 상기 중앙평면(29, 30)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급격한 경사를 갖는다.
도 10의 c 및 도 11의 c에서, 상기 측면부(14) 또는 상기 홈 측면부(18)는 상기 중앙평면(29 또는 30)에 평행하게 정렬된다. 상기 또 다른 측면부(15) 또는 홈 측면부(19)만이 경사져 있다. 여기서, 중심맞춤은 도 10의 a 및 도 10의 b의 실시예와는 달리, 상기 중앙평면(29, 30)에서 수행되지 않고 상기 홈 측면부(18)에서 수행된다.
도 10의 d 및 도 11의 d는 도 10의 c 및 도 11의 c에 상응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후면부(13) 또는 상기 홈 베이스(16)는 평평하게 형성된다.
도 10의 e 및 도 11의 e는, 상기 측면부(14, 15) 내지 상기 홈 측면부(18, 19)가 곡률에 의하여 상기 후면부(13) 또는 상기 홈 베이스(16)로 이전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여기서도, 상기 편물바늘(5)을 상기 홈(3)에 삽입함으로써 자동으로 중심맞춤이 수행된다.
도 10의 f 및 도 11의 f는, 도 10의 b, 도 11의 b, 도 10의 c, 및 도 11의 c가 혼합된 실시예를 나타낸다. 여기서도, 상기 하나의 측면부(14)는 상기 중앙평면(29)에 평행하게 향하며, 반면에, 상기 또 다른 측면부(15) 및 물론, 상기 또 다른 홈 측면부(19)는 서로 다른 경사를 갖는다.
도 10의 g 및 도 11의 g는 이미 언급했다.
도 10의 h 및 도 11의 h는, 상기 측면부가 부분영역(31)에서 내부를 향해 굽어진 실시예를 나타낸다. 유사한 방식으로, 상기 홈 측면부는 부분영역(32)에서 상기 중앙평면(30)으로의 방향에서 외부로 굽어진다. 이에 따라서도, 상기 편물바늘(5)이 상기 홈(3)에 삽입될 때 중심맞춤이 수행된다.
도 10의 i 및 도 11의 i의 실시예는 도 5 내지 도 7과 관련하여 언급되었다.
도 10의 j 및 도 11의 j는 도 10의 i 및 도 11의 i의 실시예에 대해 거울대칭적인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여러 번 교체 후에도 편물부재를 바의 원하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Claims (11)

  1. 바(bar)의 세로신장을 따라서 평행하게 배치된 편물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다수개의 홈(3)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홈(3)은 하나의 홈 베이스(16), 두 개의 홈 측면부, 및 홈 개구부(17)를 포함하는 편물기계의 바에 있어서,
    상기 홈(3)은 상기 홈 개구부(17)의 영역에서 상기 홈 베이스(16)의 영역에서보다 큰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기계의 바.
  2. 제1항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큰 폭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작은 폭으로의 이전은, 어느 하나의 홈 측면부(18, 19)의 깊이의 적어도 일부로 신장되며 다른 하나의 홈 측면부(19, 18)에 대해서 상기 홈 개구부(17)에서 상기 홈 베이스(16)로의 방향으로 상기 다른 하나의 홈 측면부(18, 19)로 경사지거나 굽어진 평면(24)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기계의 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24)은 상기 홈 베이스까지 신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기계의 바.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진 평면(24)은 서로 다른 경사각을 갖는 적어도 두 개의 부분 평면(2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기계의 바.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홈 측면부(18)는 상기 바의 전면부(21)에 대해서 직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기계의 바.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 개의 홈 측면부(18, 19)는 서로 경사지거나 굽어진 평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기계의 바.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 개의 홈 측면부(18, 19)는 최대 폭의 영역에서, 서로 평행하게 진행하는 평면 단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기계의 바.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홈(3)에는 편물부재(5)가 삽입되며,
    상기 편물부재(5)는, 전면부(12), 후면부(13), 및 두 개의 측면부(14, 15)를 구비하는, 상기 홈(3)에 배치된 고정단면영역(7)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단면영역(7)은 상기 전면부(12)의 영역에서 상기 후면부(13)의 영역에서보다 큰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기계의 바.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14, 15)는 적어도 부분영역(23)에서 상기 홈 측면부(18, 19)의 평면(24)과 동일한 정렬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기계-바.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편물부재(5)는 소정의 돌출부(20)만큼 상기 홈(3)으로부터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기계-바.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편물부재(5)의 홈 베이스(16)와 후면부(13) 사이에는 소정의 보호간격(s)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기계-바.
KR1020070007895A 2006-01-28 2007-01-25 편물기의 바 KR1008522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6004098.8 2006-01-28
DE200610004098 DE102006004098B3 (de) 2006-01-28 2006-01-28 Barre einer Wirkmas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8710A true KR20070078710A (ko) 2007-08-01
KR100852230B1 KR100852230B1 (ko) 2008-08-13

Family

ID=38329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7895A KR100852230B1 (ko) 2006-01-28 2007-01-25 편물기의 바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287883B2 (ko)
KR (1) KR100852230B1 (ko)
CN (1) CN101008132B (ko)
DE (1) DE102006004098B3 (ko)
TW (1) TW20073643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566A (ko) * 2018-06-29 2020-01-08 칼 마이어 텍스틸마쉰넨파브릭 게엠베하 편성 도구 및 편성 도구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02007001850D1 (de) * 2007-05-03 2009-12-10 Groz Beckert Kg Wirkmaschinenwerkzeug, insbesondere für feinste Teilung
EP2045385B1 (de) * 2007-10-02 2010-04-21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Wirkwerkzeuganordnung und Wirkwerkzeug
CN101463529B (zh) * 2009-01-08 2013-03-20 郑依福 提花移位针的固定方式
KR100985116B1 (ko) 2009-11-27 2010-10-05 김종민 고밀도 환편직물의 제조 방법
CN106344211B (zh) * 2016-08-31 2017-12-05 桐庐洲济医疗器械有限公司 前交叉韧带重建集合移植肌腱编织器
EP3581691B1 (de) * 2019-06-13 2023-03-08 KARL MAYER STOLL R&D GmbH Wirkwerkzeug und kettenwirkmaschine
EP3636816B1 (de) * 2020-02-17 2023-11-01 KARL MAYER STOLL R&D GmbH Verfahren zum bestücken einer barre einer kettenwirkmaschine mit wirkwerkzeug und einlegewerkzeug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D63840A1 (de) * 1967-09-14 1968-09-20 Fery Heilmann Anordnung der Hakennadeln einer Gruppe von Schiebernadeln an einem Halter
JPS51157665U (ko) 1975-06-10 1976-12-15
JPS52101849U (ko) 1976-01-17 1977-08-02
JPS56123893U (ko) 1980-11-04 1981-09-21
DE4131809A1 (de) * 1991-09-24 1993-03-25 Berger Gmbh Vorrichtung zum einspannen und fuehren von haekelnadeln fuer eine haekelmaschine
DE4414703C2 (de) * 1994-04-14 1996-09-19 Liba Maschf Wirknadel für eine Kettenwirkmaschi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566A (ko) * 2018-06-29 2020-01-08 칼 마이어 텍스틸마쉰넨파브릭 게엠베하 편성 도구 및 편성 도구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736433A (en) 2007-10-01
KR100852230B1 (ko) 2008-08-13
JP2007197895A (ja) 2007-08-09
CN101008132A (zh) 2007-08-01
CN101008132B (zh) 2010-10-27
TWI315361B (ko) 2009-10-01
JP4287883B2 (ja) 2009-07-01
DE102006004098B3 (de) 2007-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2230B1 (ko) 편물기의 바
KR100844196B1 (ko) 편물기의 편물바늘로서의 편물부재
KR100684493B1 (ko) 브레이킹 스프링을 구비한 시스템 구성 요소
KR102607933B1 (ko) 루프 형성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 구성 요소
US8141394B2 (en) Knitting tool arrangement and knitting tool
JP6082668B2 (ja) 編機
US20090126410A1 (en) Sinker for knitting system and knitting system showing reduced wear
US20090084143A1 (en) Knitting tool for a knitting machine
KR100859110B1 (ko) 편물바늘 및 바늘대
US7770416B2 (en) Tool set and bar for a knitting machine
CN100529221C (zh) 舌针
KR100779874B1 (ko) 기계적 루프의 형성을 위한 편물기 또는 경편기용 루프 형성 장치
JP6373361B2 (ja) スライド針
KR100476496B1 (ko) 시스템 부품
WO2006070763A1 (ja) 可動シンカを備える横編機
JPH07509542A (ja) クロシェット編機のための鉤針の締付案内装置
JP2009161870A (ja) 横編機
KR102416661B1 (ko) 기계 편직 도구, 특히 기계 편직 바늘
US20020152774A1 (en) Latch needle comprising a relieved latch shank
CN112384649B (zh) 制动针织元件运动的制动元件、针织元件、针织元件载体、针织装置和针织装置的模块化系统
CN115298368A (zh) 纺织工具零件对和用于装备纺织机的方法
JP2004504514A (ja) 舌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