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7759A - 구동장치 및 그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구동장치 및 그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7759A
KR20070077759A KR1020060130631A KR20060130631A KR20070077759A KR 20070077759 A KR20070077759 A KR 20070077759A KR 1020060130631 A KR1020060130631 A KR 1020060130631A KR 20060130631 A KR20060130631 A KR 20060130631A KR 20070077759 A KR20070077759 A KR 200700777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driving
liquid crystal
switching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0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6121B1 (ko
Inventor
아쓰시 히라마
Original Assignee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77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7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6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6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8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43Details of the generation of driving signals
    • G09G2310/0248Precharge or discharge of column electrodes before or after applying exact column volt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09G2330/023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using energy recovery or conserv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14Control of polarity reversal in gener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구동의 고속화와 발열을 양립시킬 수 있는 구동장치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한다. 액정 드라이버(10)는, 도시하지 않은 외부전원을 내부전원이 배치된 위치의 외부에 설치하고, 드라이버부(12)의 내부전원에 접속되어, 내부전원으로부터 전압 V1 및 V4의 범위 내에서 전류를 공급하고, 드라이브 전환부(14)로부터 소정의 주기로 전환 신호(72∼78)를 드라이브 전환부(14)에 공급하고, 내부 전환부(28) 및 외부 전환부(32)의 전환 제어를 내부 및 외부구동 중 어느 것으로 하여 전압으로 쉐어하면서 액정부하 54 및 58에 전류를 공급하고, 드라이버부(12)에 의한 내부구동을 억제하여, 억제한 만큼을 외부구동으로 보충한다.
내부전원, 드라이버부, 드라이브 전환부, 액정부하

Description

구동장치 및 그 구동방법{DRIVING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액정구동장치를 적용한 액정 드라이버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도 1의 전환 제어 생성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
도 3은 도 1의 액정 드라이버에 있어서의 동작을 설명하는 타이밍 차트,
도 4는 종래의 액정 드라이버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5는 도 4의 액정 드라이버에 있어서의 동작을 설명하는 타이밍 차트,
도 6은 도 1의 액정 드라이버에 있어서의 표시 데이터에 대한 전압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1의 전환 제어 생성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액정 드라이버 12 : 드라이버부
14 : 드라이브 전환부 16 : 전환 제어 생성부
18,20 : 연산기 28 : 내부전환부
32 : 외부전환부 34∼48 :전환 스위치
50,52 : 액정 패널의 단자 54,56 : 액정부하
본 발명은, 구동장치 및 그 구동방법, 특히, 액정 프로젝터 장치, 액정 모니터 등과 같이 액정 패널을 구동하는 액정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액정 프로젝터 장치, 액정 모니터 등과 같이 액정 패널을 구동시키는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TFT(Thin Film Transistor)형 액정 패널은, 프리챠지라고 부르는 신호선을 일시적으로 단락하는 스위치를 구비한 구동회로를 사용하여 구동된다. 구동회로에서 사용되는 프리챠지는 신호선을 일시적으로 단락하는 것이며, 액정용량으로의 신호 전압의 충방전에 필요한 구동능력 및 저소비 전력화를 도모하고 있다. 또한 구동에 있어서의 저소비 전력화를 도모하기 위해, 주 구동회로에는, 2도트 반전 신호선 구동의 기술이 채용된다. 2도트 반전 신호선 구동이라 함은, 2수평주사 기간마다 신호를 반전시키는 구동이다. 이 기술에서는 표시 품위의 저하가 일어나기 때문에, 프리챠지는, 일반적으로, 1수평주사 기간 마다로 한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있어서 통상 일정 구동방법의 도트 반전 구동을 실현시켰을 경우, 이 프리챠지의 단락은, 소스 라인의 전위를 공통 전극 전위까지 밖에 도달할 수 없다. 따라서, 프리챠지하지 않는 경우의 절반의 충방전이 남아있기 때문에, 이 충방전은 구동에 의해 행해진다. 결과적으로, 소비 전력은 충분히 줄일 수 없게 된다.
그래서, 특허문헌 2에서는, 소스 라인 구동을 계조전압 발생회로에서 생성된 소정의 전위로부터 행할 수 있고, 구동개시의 전위를 종래의 공통 전극전위로부터 계조전압 발생회로에서 생성한 전위로 함으로써 소비 전력을 삭감한다.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 11-095729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5-121911호 공보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소비 전력의 삭감 등을 고려한 종래의 구동을 채용해도, 동작시키는 채널수가 예를 들면 배로 증가하여, 구동주기를 짧고, 고속동작시키게 되면, 액정구동장치는 소비 전력이 커진다. 따라서, 집적화된 액정구동장치는, 발열이 커져, 동작 보증 온도의 한계에 달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보증 온도 이하라도, 액정구동장치는, 액정에 가까운 장소에서 사용하는 회로이기 때문에, 이 동작 보증 한계에서 사용할 수는 없다. 또한 액정구동장치에는, 구동주기가 짧아짐에 따라 상승·하강에 필요한 시간을 짧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정구동장치에 있어서, 전술한 액정구동으로 상승 시간의 고속화는, 소비 전력의 증대에 따른 발열과 트레이드 오프의 관계에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결점을 해소하고, 구동의 고속화와 발열을 양립시킬 수 있는 구동장치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공급되는 계조 데이터 각각에 따 라 화소에 대응하는 각 표시소자 부하를 구동시키는 구동장치에 있어서, 이 장치는, 소정의 전압범위 내의 전압을 공급하는 제1 전원에 접속되어, 계조 데이터에 대응하는 계조신호를 입력하고, 이 계조신호에 따른 전압을 표시소자 부하에 인가하여, 표시소자 부하를 구동시키는 제1 구동수단과, 소정의 전압범위 내에서 적절히 선택한 복수의 전압을 제2 전원으로서 표시소자 부하에 인가하여, 표시소자 부하를 구동시키는 제2 구동수단과, 제1 구동수단의 제1구동과 제2 구동수단의 제2구동을 전환하는 구동전환 수단과, 이 구동전환 수단의 제1 및 제2구동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전환 신호를 생성하는 전환 제어 수단을 포함하고, 제2 전원은, 제1 전원이 배치된 위치로부터 격리된 외부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급되는 계조 데이터 각각에 따라 화소에 대응하는 각 표시소자 부하를 구동시키는 구동방법에 있어서, 이 방법은, 소정의 전압범위 내의 전압을 공급하는 제1 전원과, 제1 전원이 배치된 위치의 외부에 격리한 제2 전원으로부터 상기 표시소자 부하에 전기를 공급하여, 제1 전원은, 소정의 전압 범위 내에서 전압을 인가하고, 제2 전원은 소정의 전압범위 내에서 적절히 선택한 복수의 전압을 인가하고, 이 표시소자 부하로의 인가시에, 복수 설정된 전압범위 내 또는 이 전압범위 외의 전압범위에 있는지에 따라 표시소자부하에 대하여 방전 또는 충전시키는 단락의 전환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이 전환 제어신호에 따라 복수 설정된 전압범위 내의 경우, 제2 전원으로부터 전기를 공급하고, 전압범위 이외에 있을 경우, 제1 전원으로부터 전기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액정구동장치의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액정구동장치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액정 드라이버(10)는, 도시하지 않은 외부전원을 내부전원이 배치된 위치의 외부에 설치하고, 드라이버부(12)의 내부전원에 접속되어, 내부전원으로부터 전압 V1 및 V4의 범위 내에서 전류를 공급하고, 드라이브 전환부(14)로부터 소정의 주기로 전환 신호(72∼78)를 드라이브 전환부(14)에 공급하고, 내부 전환부(28) 및 외부 전환부(32)의 전환 제어를 내부 및 외부구동 중 어느 것으로 하여 적절히 전압을 선택하면서 액정부하 54 및 58에 인가하고, 드라이버부(12)에 의한 내부구동을 억제하여, 억제한 만큼을 외부구동으로 보충하는 것으로 내부구동에 따르는 소비 전력를 억제할 수 있다. 이 전력억제에 의해 장치내부의 발열에 관해서, 외부전원을 사용하는 것으로, 내부전원에 의한 발열을 억제한다. 이와 같이 구동에 있어서 적절히 전압을 선택하고, 액정부하에 인가하는 것으로 액정부하에 대한 충전 또는 방전의 고속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액정구동장치를 액정 드라이버(10)에 적용했을 경우이다. 본 발명과 직접 관계없는 부분에 대해서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신호는 그 나타내는 접속선의 참조번호로 지시한다.
액정 드라이버(10)는,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드라이버부(12), 드라이브 전환부(14) 및 전환 제어 생성부(16)를 포함한다. 액정 드라이버(10)는, 액정 패널의 액정 셀을 구동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액정 셀에는, 액정용량이 존재한다.
여기에서, 액정 드라이버(10)에는, 화상의 화소 데이터에 대응하는 계조신호(22) 및 24가 공급된다. 계조신호(22) 및 24는, 공급되는 계조 데이터에 따른 아날로그 신호이다. 계조신호(22) 및 24를 얻기 위해, 액정 드라이버(10)에는, 입력측에 도시하지 않은 래치회로 및 D/A변환기가 구비된다. 래치회로는, 계조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유지하여, 유지한 계조 데이터를 D/A변환기에 출력한다. D/A 변환기는, 공급되는 계조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 즉 계조신호(22) 및 24로서 드라이버부(12)에 출력한다.
드라이버부(12)에는, 계조신호(22) 및 24가 입력된다. 본 실시예의 드라이버부(12)는, 연산기 18 및 2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드라이브부(12)는, LSI(Large-Scale Integration)패키지에 수납되어, 표면에 도시하지 않은 외부전원은 패키지 밖에 설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드라이브부(12)는 내부전원에 의해 구동한다. 액정 드라이버(10)는, 내부전원과 후술하는 외부전원으로 구동시키는 전압범위에 나누어, 동작시킨다.
연산기(18)는, 내부전원으로서, 전압 V1과 접지 전압 V4에 각각 접속된다. 연산부(18)는 출력 신호(26)를 연산기(18)의 반전 단자(-)로 귀환시켜, 드라이브 전환부(14)의 내부 전환부(28)에 출력한다. 연산기(20)의 접속은 연산기(18)의 접속에 동일하며, 연산기(20)는 출력 신호(30)를 내부 전환부(28)에 출력한다. 연산기 18 및 20는, 액정 공통 전압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반대 극성이 되도록 출력한다.
드라이브 전환부(14)는, 액정 드라이버(10)에 챠지 쉐어링하는 기능을 갖도 록 내부 전환부(28) 및 외부 전환부(32)를 가진다. 내부 전환부(28)는 하나의 연산기에 대하여 2개의 전환 스위치를 가진다. 내부 전환부(28)는 연산기(18)에 대하여 전환 스위치 34 및 36, 연산기(20)에 대하여 전환 스위치 38 및 40을 포함한다. 또한 외부 전환부(32)도 하나의 연산기에 대하여 2개의 전환 스위치를 가진다. 외부 전환부(32)는 연산기(18)에 대하여 전환 스위치 42 및 44, 연산기(20)에 대하여 전환 스위치 46 및 48을 포함한다. 전환 스위치(36∼48)는, 저저항의 스위치이다.
또한 전환 스위치(36∼48)에 있어서의 접속에 관하여 설명한다. 전환 스위치 34 및 38의 단자 a는 공통 접속된다. 또한 전환 스위치(36)의 단자 a에는 연산기(18)의 출력 신호(26)가 공급되고, 전환 스위치(40)의 단자 a에는 연산기(20)의 출력 신호(30)가 공급된다. 전환 스위치(36)의 단자 b는, 전환 스위치(34)의 단자 b, 전환 스위치(42)의 단자 a 및 전환 스위치(44)의 단자 b가 공통 접속되고, 액정 패널의 단자(50)에도 접속된다. 마찬가지로, 전환 스위치(40)의 단자 b는, 전환 스위치(38)의 단자 b, 전환 스위치(48)의 단자 b 및 전환 스위치(46)의 단자 a가 공통 접속되고, 액정 패널의 단자(52)에도 접속된다.
외부 전환부(32)의 전환 스위치 42 및 46의 단자 b는, 전압 V2를 인가하는 도시하지 않은 외부전원에 접속된다. 또한 전환 스위치 44 및 48의 단자 a는, 전압 V3을 인가하는 도시하지 않은 외부전원에 접속된다.
피구동 디바이스인 액정 패널은, 용량성의 부하를 가진다. 단자(50)는 부하(54)의 일단(56)측과 접속되고, 단자(52)는 부하(58)의 일단(60)측에 접속된다. 부하 54 및 58의 타단 62 및 64가 공통 접속된다.
전환 제어 생성부(16)는, 전환 스위치(36∼48)를 전환 제어하는 전환 신호를 생성하는 기능을 가진다. 전환 제어 생성부(16)에는, 로드 신호 66 및 68 및 극성신호(70)가 공급된다. 전환 제어 생성부(16)는, 로드 신호 66 및 68 및 극성신호(70)를 기초로 전환 신호(72∼78)를 생성한다.
전환 신호(72∼78)를 생성하기 위해서, 본 실시예의 전환 제어 생성부(16)는,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버퍼(82), 반전 논리합(NOR)회로(84), 반전(NOT)회로(86) 및 논리곱(AND)회로 88 및 90을 포함한다.
전환 제어 생성부(16)의 접속 관계를 설명한다. 로드 신호(66)는, 버퍼(82) 를 통해 출력된다. 버퍼(82)는, 로드 신호(66)를 전환 신호(S1)(72)로서 출력한다. 반전 논리합 회로(84)에는, 로드 신호 66 및 68이 입력된다. 반전 논리합 회로(84)는, 입력되는 로드 신호 66 및 68중 어느 하나가 레벨 “H”라도 레벨 “L”로 출력한다. 반전 논리합 회로(84)는, 출력 신호를 전환 신호(S2)(74)로서 출력한다. 반전 회로(86)는, 극성신호(70)를 반전하여, 논리곱 회로(88)의 일단(92)측에 출력한다. 논리곱 회로(88)에는, 로드 신호(68)가 타단(94)측에 입력된다. 논리곱 회로(88)는, 극성 “L”, 또한 로드 신호(68)의 레벨 “H”인 경우에만, 레벨 “H”를 전환 신호(S3)(76)로서 출력한다. 또한 논리곱 회로(90)에는, 로드 신호(68) 및 극성신호(70)가 입력된다. 논리곱 회로(90)는, 극성 “H”, 또한 로드 신호(68)의 레벨 “H”의 경우에만, 레벨 “H”을 전환 신호(S4)(78)로서 출력한다.
도 1로 되돌아가, 전환 제어 생성부(16)는, 전환 신호(72)를 전환 스위치 34 및 38에 공급하고, 전환 신호(74)를 전환 스위치 36 및 40에 공급한다. 또한 전환 제어 생성부(16)는, 전환 신호(76)를 전환 스위치 42 및 48에 공급하고, 전환 신호(78)를 전환 스위치 44 및 46에 공급한다. 전환 스위치(36∼48)는, 모두 액티브 상태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여, 액정부하 사이에서 챠지 쉐어링하여, 액정 패널로서 소비되는 전력의 토털량은 바뀌지 않지만, LSI 내부에서의 발열을 억제할 수 있다.
다음에 액정 드라이버(10)의 동작에 대해서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액정 패널에 있어서의 액정부하는, 도 3(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액정 드라이버(10)의 전압 V1∼V4의 범위에서 챠지 쉐어링 구동된다. 이 구동에는, 1도트 반전 신호선 구동방법이 적용된다. 이 적용된 구동에 의한 챠지 쉐어링은, 도 3(b)∼도 3(e)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전환 제어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전환 제어하는 전환 신호 S1∼S4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도 3(f)∼도 3(g)의 로드 신호 66 및 68 및 극성신호(70)에 의해 생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액정 드라이버(10)의 동작에 대해서 기재한다. 액정 드라이버(10)에 있어서의 연산기(18)는, 전압 V1근방에 있다. 시각 t1에서는 레벨 “L”에서 “H”의 전환 신호(S1)(72)가 전환 스위치 34 및 38에 공급된다. 시각 t1에서는 레벨 “H”에서 “L”의 전환 신호(S2)(74)가 전환 스위치 36 및 40에 공급된다. 이 시각 t1에서는 레벨 “L”의 전환 신호(S3)(76) 및 (S4)(78)가 외부 전환부(32)의 전환 스위치 42 내지 48에 공급된다. 이에 따라 전환 스위치 34 및 38만 이 온 상태가 되고, 단락한다. 이 단락은, 액정부하(54)의 전압 V1근방부터 방전된다. 액정 드라이버(10)는, 액정 공통 전위 VCOM이 된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연산기(20)는, 전압 V4근방에 있다. 전환 스위치(38)의 단락은, 액정부하(58)의 전압 V4근방부터 충전된다. 액정 드라이버(10)는, 액정 공통 전위 VCOM이 된다.
다음에 시각 t2에서는 레벨 “H”에서 “L”의 전환 신호(S1)(72)가 전환 스위치 34 및 38에 공급된다. 이에 따라 전환 스위치 34 및 38은 오프로 된다. 이 단계에서도 전환 스위치 36 및 40은 오프이다. 따라서, 시각 t2에 있어서도 액정 드라이버(10)는, 액정 공통 전위 VCOM상태이다. 액정 드라이버(10)는, 액정 공통 전위 VCOM로부터 전압 V4근방까지 저하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시각 t2에서는, 전환 신호(S4)(78)가 레벨 “L”에서 “H”가 된다. 이에 따라 전환 스위치 44 및 46이 온이 된다. 이 때, 외부 전환부(32)가 동작한다. 즉, 액정 드라이버(10)는, 전환 스위치(44)가 전도하는 것으로, 액정 패널의 단자(50)의 전압을 외부전원에 의해 전압 V3까지 저하시킨다. 또한 도 3(a)에는 나타나지 않지만, 액정 드라이버(10)는, 전환 스위치(46)가 전도함으로써, 액정 패널의 단자(52)의 전압을 외부전원에 의해 전압 V2까지 승압시켜, 충전한다. 전력의 소비가 외부전원에 의한 것이기 때문에, LSI의 발열은 없다.
다음에 시각 t3에서는 또한, 전환 신호(S2)(74)가 레벨 “L”에서 “H”로 변화되고, 전환 신호(S4)(78)가 레벨 “H”에서 “L”로 변화된다. 시각 t3에서는, 이 변화에 의해 전환 스위치 36 및 40이 온이 되고, 전환 스위치 44 및 46이 오프가 된다. 액정 드라이버(10)는, 이 상태에 있어서 연산기(18)는, 계조신호(22)에 따른 기대값 전압신호를 출력한다. 도 3(a)에서는 연산기(18)는, 내부 전환부(28)를 통해 전압 V3에서 전압 V4까지 인입하여 저하시킨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연산기(20)도 계조신호(22)에 따른 전압신호, 예를 들면 전압 V1근방의 신호, 즉 기대값 전압을 출력한다. 연산기 18 및 20의 경우, 실질적으로 전환 스위치 36 및 40이 전통상태에 있는 기간만 LSI내부에서 전력이 소비된다.
다음에 시각 t4에서는, 내부 전환부(28)에 있어서 전환 스위치 34 및 38이 온이 되고, 전환 스위치 36 및 40이 오프가 된다. 외부 전환부(32)안의 전환 스위치 42 내지 48은 모두 오프이다. 액정 패널의 단자(50)에 착안하면, 도 3(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시각 t4의 직전에 전압이 V4이다. 전환 스위치(34)가 도통이 되는 것으로 단자(50)에서의 전압은 액정 공통 전위 VCOM까지 평형으로 하기 위해 승압한다. 또한 액정 패널의 단자(52)에 착안하면, 시각 t4의 직전에 전압이 V1이다. 단자(52)에서 전압은 전환 스위치(38)가 전도가 되는 것으로, 액정 공통 전위 VCOM까지 강압한다.
다음에 시각 t5에서는, 전환 스위치(42)에 전환 신호 S3의 레벨 “H”가 공급됨으로써 외부전원으로부터 전압 V2가 인가되어, 전압 V2까지 승압되고, 충전된다. 또한 전환 스위치(48)는, 전환 신호 S3의 레벨 “H”가 공급됨으로써 외부전원으로부터 전압 V3이 인가되어, 전압 V3까지 강압된다.
시각 t6에서는, 다시 전환 신호 S2가 레벨 “H”가 되고, 전환 스위치 36 및 40이 온이 된다. 이때, 전환 스위치 34 및 38 및 외부 전환부(32)의 전환 스위 치(42∼48) 모두가 오프이다. 따라서, 단자(50)에서의 전압은 연산기(18)에 의해 도 3(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전압 V1 근방 또는 계조신호에 따른 기대값 전압까지 승압되어, 충전된다. 또한 단자(52)에서의 전압은 연산기(20)에 의해 도시하지 않지만 전압 V4 근방 또는 계조신호에 따른 기대값 전압까지 강압되어, 방전된다.
이 액정구동방법은, 요약하면, 전압범위 V1-V4내의 전압을 공급하는 내부전원과, 내부전원이 배치된 위치의 외부에 격리된, 도시하지 않은 외부전원을 설치하여, 내부 및 외부전원으로부터 각각 액정부하에 전기를 공급하고, 내부전원은, 전압범위 V1-V4안에서 전압을 인가하여 전기를 공급하고, 외부전원은 전압범위 V1-V4안에 설정한 액정 공통 전압 VCOM에 대하여 설정된 전압범위 V1-V4안의 전압 V2, V3을 각각 인가하여 전기를 공급하고, 이 액정부하로의 전기 공급시에, 전압범위 내, 즉 전압범위 V2-VCOM, VCOM-V3 또는 이 전압범위 외, 즉 전압범위V1-V2, V3-V4의 전압범위에 있는지 전압구분에 따라 액정부하에 대하여 방전 또는 충전시키는 단락의 전환 제어신호(72∼78)를 생성하고, 이 전환 제어신호(72∼78)에 따라 복수설정된 전압범위내의 경우, 외부전원으로부터 전기를 공급하고, 전압범위 이외에 있을 경우, 내부전원으로부터 전기를 공급하고, 챠지 쉐어링 함으로써 드라이버부(12)로부터의 전기 공급을 억제한다.
이와 같이 동작시킴으로써 실질적으로 연산기 18 및 20에서의 전력소비기간을 1주기 안에서 일부의 기간만 챠지 쉐어링하여 끝낼 수 있다. 이것은, 본 실시예에서는, 액정 공통 전위 VCOM로부터의 2단계의 프리챠지 중, 외부전원에 의한 전 력소비와 내부전원에 의한 전력소비로 나누어 동작하도록 하여, LSI로서의 동작인 내부전원에 의한 전력소비를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LSI는 발열을 억제할 수 있다.
다음에 종래의 액정 드라이버(200)와 구성을 비교한다. 공통되는 부분에는 같은 참조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액정 드라이버(200)는, 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드라이버부(12), 드라이브 전환부(14) 및 전환 제어 생성부(16)를 포함한다. 드라이브 전환부(14)는, 내부 전환부(28)만을 가지고, 외부 전환부(32)가 없다. 전환 제어 생성부(16)는, 도 2에 나타낸 버퍼(82) 및 반전 논리합 회로(84)를 포함한다. 반전 논리합 회로(84)에 있어서 일단측에는 로드 신호(66)가 입력되고, 타단에는 극성신호(70)가 입력된다.
액정 드라이버(200)의 동작에 대해서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시각 t1에서는, 전환 스위치 34 및 38에는 레벨 “H”의 전환 신호 S1(72)이 공급되고, 전환 스위치 36 및 40에는 레벨 “L”의 전환 신호 S2(74)가 공급된다. 이에 따라 액정 패널의 단자(50)의 전압은 액정 공통 전위 VCOM까지 강압한다. 시각 t2에서는, 전환 스위치 34 및 38에는 레벨 “L”의 전환 신호 S1(72)가 공급되고, 전환 스위치 36 및 40에는 레벨 “H”의 전환 신호 S2(74)가 공급된다. 액정 패널의 단자(50)의 전압은, 연산기(18)에 의해 액정 공통 전위 VCOM로부터 기대값 전압 V4근방까지 강압한다. 이 단계에 있어서 연산기(18)의 소비 전력은 적다.
또한 시각 t4에서는, 다시 전환 스위치 34 및 38에는 레벨 “H”의 전환 신호 S1(72)이 공급되고, 전환 스위치 36 및 40에는 레벨 “L”의 전환 신호 S2(74) 가 공급된다. 이에 따라 액정 패널의 단자(50)의 전압은 액정 공통 전위 VCOM까지 승압한다. 시각 t5에서는, 전환 스위치 34 및 38에는 레벨 “L”의 전환 신호 S1(72)이 공급되고, 전환 스위치 36 및 40에는 레벨 “H”의 전환 신호 S2(74)가 공급된다. 액정 패널의 단자(50)의 전압은, 연산기(18)에 의해 액정 공통 전위 VCOM로부터 기대값 전압 V1근방까지 승압하고, 충전한다. 이 충전으로 인해 연산기(18)는 전력을 소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액정 드라이버(200)는, 액정부하간에서 챠지 쉐어링함으로써 액정 패널로서의 소비 전력을 반감시킨다.
그러나, 액정 드라이버 10 및 200은, 액정 패널에 있어서의 소비 전력의 총량은 동일하다. 소비 전력은 주로 충전으로 소비된다. 이 소비 전력 내, 액정 드라이버 10 및 200에 있어서의 LSI의 내부에서 소비 전력을 비교하면, 도 3(a)의 면적(96)은, 분명히, 도 5(a)의 면적(98)에 비교하여 좁다. 즉, 액정 드라이버(10)는, LSI의 내부에서 소비되는 전력이 적다. 또한 도 3(a)의 면적(100)은, 외부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에서의 충전량, 즉 소비 전력을 나타낸다. 이 소비 전력은, LSI내부의 발열에 기여하지 않기 때문에, 액정 드라이버(10)는 액정 드라이버(200)보다 더욱 발열을 억제할 수 있다.
액정 드라이버(200)는, 챠지 쉐어링 함으로써, 챠지 쉐어링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배의 슬루레이트로 액정 패널을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액정 드라이버(10)는, 내부전원에 의한 프리챠지를 제외하고, 외부전원에 의한 2단계의 프리챠지에 의해, 내부전원으로 챠지 쉐어링하는 액정 드라이버(200)보다도, 보다 고속으로 구동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실시예의 액정 드라이버(10)는, 내부전원에 의한 프리챠지를 제외하고, 외부전원에 의한 방전과 충전에 대응하는 2단계의 프리챠지에 특징이 있다. 이 2단계 중, 외부전원에 의한 프리챠지에 있어서 설정하는 전압 V2 및 V3은, 화상의 계조에 따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화상의 계조 데이터는, 표시 데이터이며, 감마 곡선(102)으로 나타낸다. 감마 곡선(102)은, 전압에 대응한다. 전압 V2 및 V3은, 감마 곡선의 계조 데이터를 16진 표시로 표현하면 (40)∼ (80) 사이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6에 나타낸 이 데이터 범위에 대응하는 전압범위 104 및 106이 설정된다.
액정 드라이버(10)는, 보다 일반적으로는, 낮은 계조에서 높은 계조까지 n단계의 계조에 따른 전압을 출력하는 구동장치이며, 외부전원은, n/4부터 n/2의 계조에 따른 전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부전원의 전압은, 전압범위로서 n/4∼(3n)/4으로 할 수 있다. 그러나, 외부전원의 프리챠지가 지나치게 클 경우, 액정 드라이버(10)에는 액정에 축적한 전하의 빼냄이 동반된다. 이것은, 쓸데없는 소비 전력이 생기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계조에 따른 전압은, 현실적으로, n/4부터 n/2의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액정 드라이버(10)에서는, 외부전원에 의한 방전과 충전에 대응하는 프리챠지를 2단계로 하여 설명했지만, 이 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표시하는 화상특성 등에 따라 이 이상 세세한 단계로 설정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일단, 외부전원으로 중간전압 V2까지 끌어올리는 것으로, 드라이버부(12)에 있어서의 연산기 18 및 20의 능력변경이 종래의 충전 전압 V1의 절반에서도, 동등한 상승·하강 특성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동등한 드라이버부(12)를 사용하면, 액정 드라이버(10)는 종래의 액정 드라이버(200)보다 고속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발열에 착안하면, 종래의 액정 드라이버(200)에서는 액정의 충전 전류가 전압 V1에서 전압 V4를 향해 흐르지만, 액정 드라이버(10)는, 충전 전류의 일부가 전압 V2에서 전압 V3을 향해 흐른다. 이에 따라 액정 드라이버(10)는, 이 외부전원으로부터 흐르는 만큼 LSI내부에서 소비하는 전력이 작아, 발열량은 종래의 약 절반이 된다. 따라서, 액정 드라이버(10)는, 동작 보증 한계 이하의 온도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액정 드라이버(10)에서는 전환 스위치(34∼48)를 사용하여 설명했지만, 저저항으로 온/오프를 선택하는 회로나 디바이스 등으로 실현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액정 드라이버(10)는, 쓸데없는 전력소비를 회피시키는 전환제어 생성회로(16)를 적용한다. 전환제어 생성회로(16)에는, 디지털 데이터의 판정 기능을 갖도록 해도 된다. 디지털 데이터의 판정 기능은, 계조 데이터에 있어서의 최상위비트의 유무를 판정하고, 전압 V2 및 V3에 의해 충전할 것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전환제어 생성회로(16)는, 도 2의 구성요소에 논리곱 회로 108 및 110을 가진다. 논리곱 회로(108)의 일단(112)측과 논리곱 회로(110)의 일단(114)측에는, 계조 데이터의 최상위 비트(116)가 공급된다. 또한 논리곱 회로(108)의 타단(118)측에는, 논리곱 회로(88)의 출력 신호(122)가 공급된다. 논리곱 회로(110)의 타단(114)측에는, 논리곱 회로(90)의 출력 신호(124)가 공급된다. 논리곱 회로 108 및 110은, 최상위 비트의 유무에 따라 출력 신호를 출력한다. 최상위 비트가 존재할 경우, 레벨 “H”를 출력한다. 최상위 비트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레벨 “L”을 출력한다.
도 3으로 되돌아가, 최상위 비트가 존재할 경우, 도 3(d) 및 도 3(e)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전환 신호 S3 및 S4가 나타난다. 따라서, 동작은 전술한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동작한다.
한편, 최상위 비트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도 3(d) 및 도 3(e)의 레벨은 항상 “L”이다. 이에 따라 시각 t2이후, 외부 전환부(32)가 항상 오프가 된다. 이 경우, 액정 드라이버(10)는 쓸데없는 전력소비를 억제하고, 계조 데이터에 따른, 예를 들면 1점 차선(126)의 레벨의 강하를 억제한다. 액정 드라이버(10)는, 시각 t4에서 충전하기 시작하여 액정 공통 전위 VCOM까지 승압한다. 다음에 시각 t5에서 드라이버부(12)의 연산기(18)는 계조 데이터에 따른 레벨로 승압하고, 소비 전력을 최적화한다.
이와 같이 액정 드라이버(10)는, 최상위 데이터의 판정에 따라 외부전원에 의한 프리챠지의 유무를 결정하고, 동작시킴으로써 한층 쓸데없는 전력소비를 억제하여, 구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장치에 의하면, 제2 전원을 제1 전원이 배치된 위치의 외부에 설치하고, 전환 제어 수단으로 생성되는 전환 신호를 구동전환 수단에 공급 하고, 제1 및 제2구동의 어느 전압을 선택하여, 표시소자 부하에 전압을 인가하고, 제1 구동수단에 의한 제1 구동을 억제하고, 억제한 만큼을 제2 구동에서 보충하는 것으로 제1 구동에 따르는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다. 이 전력억제에 의해 제1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내부의 발열에 관해서, 제2 전원을 사용하는 것으로, 제1 전원에 의한 발열을 억제한다. 이와 같이 구동장치는, 적절히 인가하는 전압을 선택하면서, 표시소자 부하에 전기를 공급하는 것으로, 표시소자 부하에 대한 충전 또는 방전의 고속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소자의 구동방법에 의하면, 소정의 전압범위 내의 전압을 공급하는 제1 전원과, 제1 전원이 배치된 위치의 외부에 격리한 제2 전원을 설치하고, 제1 및 제2 전원으로부터 각각 표시소자 부하에 전기를 공급하고, 제1 전원은, 소정의 전압 범위 내에서 전압을 인가하고, 제2 전원은 소정의 전압범위 내에서 적절히 선택한 복수의 전압을 인가하고, 이 표시소자 부하로의 전기 공급시에, 복수 설정된 전압범위 내 또는 이 전압범위 외의 전압범위에 있는지 에 따라 표시소자 부하에 대하여 방전 또는 충전시키는 단락의 전환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이 전환 제어신호에 따라 복수 설정된 전압범위 내의 경우, 제2 전원으로부터 전기를 공급하고, 전압범위 이외에 있을 경우, 제1 전원으로부터 전기를 공급하고, 챠지 쉐어링함으로써 제1 전원으로부터의 전기 공급을 억제한다. 이에 따라 제1 전원에 따르는 소비 전력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전력억제에 의해 제1 전원을 포함하는 장치 내부의 발열에 관해서, 제2 전원을 사용하는 것으로, 제1 전원에 의한 발열을 억제한다. 이와 같이 구동방법에 있어서 적절히 전압을 선택하여 표시 소자 부하에 인가하는 것으로 표시소자 부하에 대한 충전 또는 방전의 고속화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7)

  1. 공급되는 계조 데이터 각각에 따라 화소에 대응하는 각 표시소자 부하를 구동시키는 구동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소정의 전압범위내의 전압을 공급하는 제1 전원에 접속되어, 상기 계조 데이터에 대응하는 계조신호를 입력하고, 상기 계조신호에 따른 전압을 상기 표시소자 부하에 인가하여, 상기 표시소자 부하를 구동시키는 제1 구동수단과,
    상기 소정의 전압범위 내에서 적절히 선택한 복수의 전압을 제2 전원으로서 상기 표시소자 부하에 인가하여, 상기 표시소자 부하를 구동시키는 제2 구동 수단과,
    제1 구동수단의 제1구동과 제2 구동수단의 제2구동을 전환하는 구동전환 수단과,
    상기 구동전환 수단의 제1 및 제2구동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전환 신호를 생성하는 전환 제어 수단을 포함하고,
    제2 전원은, 제1 전원이 배치된 위치로부터 격리된 외부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제2 전원은, 상기 장치를 수납하는 패키지의 외부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제어 수단은, 제2 전원으로 설정되는 전압의 설정수에 따른 로드 신호와 극성을 나타내는 극성신호를 기초로 상기 전환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4. 제 1항, 제 2항 또는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제어 수단은, 제2구동의 유무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낮은 계조에서 높은 계조까지 n단계의 계조에 따른 전압을 출력하는 구동장치이며,
    제2 전원은, n/4번째부터 n/2번째의 계조에 따른 전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6. 공급되는 계조 데이터 각각에 따라 화소에 대응하는 각 표시소자 부하를 구동시키는 구동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소정의 전압범위 내의 전압을 공급하는 제1 전원과, 제1 전원이 배치된 위치의 외부에 격리한 제2 전원으로부터 상기 표시소자 부하에 전기를 공급하고,
    제1 전원은, 소정의 전압 범위 내에서 전압을 인가하고,
    제2 전원은 상기 소정의 전압범위 내에서 적절히 선택한 복수의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표시소자 부하로의 인가시에, 상기 복수설정된 전압범위 내 또는 상기 전압범위 외의 전압범위에 있는 지에 따라 상기 표시소자 부하에 대하여 방전 또는 충전시키는 단락의 전환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전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설정된 전압범위 내인 경우, 제2 전원으로부터 전기를 공급하고, 상기 전압범위 이외에 있을 경우, 제1 전원으로부터 전기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계조 데이터의 최상위 비트의 유무에 따라 제2 전원으로부터의 전기를 공급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방법.
KR1020060130631A 2006-01-24 2006-12-20 구동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4761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15482 2006-01-24
JP2006015482A JP5188023B2 (ja) 2006-01-24 2006-01-24 駆動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7759A true KR20070077759A (ko) 2007-07-27
KR101476121B1 KR101476121B1 (ko) 2014-12-24

Family

ID=38285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0631A KR101476121B1 (ko) 2006-01-24 2006-12-20 구동장치 및 그 구동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70171169A1 (ko)
JP (1) JP5188023B2 (ko)
KR (1) KR101476121B1 (ko)
CN (1) CN101008723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30097A2 (ko) * 2008-09-11 2010-03-18 (주)실리콘웍스 디스플레이 구동회로
US8681186B2 (en) 2009-08-27 2014-03-25 Samsung Display Co., Ltd. Data driver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hav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3628B1 (ko) * 2007-02-14 2014-05-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JP4493681B2 (ja) * 2007-05-17 2010-06-30 Oki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液晶駆動装置
JP2009139538A (ja) * 2007-12-05 2009-06-25 Oki Semiconductor Co Ltd 表示駆動装置及び表示駆動方法
US8432364B2 (en) * 2008-02-25 2013-04-30 Apple Inc. Charge recycling for multi-touch controllers
TWI396175B (zh) * 2008-10-15 2013-05-11 Raydium Semiconductor Corp 源極驅動裝置
KR101037561B1 (ko) * 2009-02-18 2011-05-27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전류소모가 적은 액정디스플레이 구동회로
US8970460B2 (en) 2009-04-01 2015-03-03 Rohm Co., Ltd. Liquid crystal driving apparatus
JP5629439B2 (ja) * 2009-08-26 2014-11-19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JP2011197457A (ja) * 2010-03-19 2011-10-06 Toshiba Corp 液晶表示装置およびデータ駆動装置
KR101698570B1 (ko) * 2010-03-25 2017-01-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JP2012008197A (ja) * 2010-06-22 2012-01-12 Renesas Electronics Corp 駆動回路、駆動方法、及び表示装置、
JP5777300B2 (ja) * 2010-07-05 2015-09-09 ラピス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駆動回路及び表示装置
US8922245B2 (en) * 2012-08-10 2014-12-30 Rambus Inc. Power saving driver design
KR102070871B1 (ko) * 2013-06-25 2020-01-29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디스플레이 구동회로 및 디스플레이 장치
JP6552086B2 (ja) 2015-03-13 2019-07-31 シナプティ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ドライバ及び液晶表示パネルの駆動方法
CN104835474B (zh) * 2015-06-02 2017-04-0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电压输出装置、栅极驱动电路和显示装置
US11056068B2 (en) 2018-11-30 2021-07-06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performing precharge of video signal lines and drive method thereof
US11025253B2 (en) * 2019-04-26 2021-06-01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Output stage circuit and related control method
CN114242009B (zh) * 2021-12-14 2023-05-12 北京奕斯伟计算技术股份有限公司 数据驱动集成电路及防短路方法、电路板、显示模组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77129B (ko) * 1993-12-24 1996-06-01 Sharp Kk
EP0717390A3 (en) * 1994-12-14 1996-09-11 Canon Kk Display device with a reference potential compression
US5828357A (en) * 1996-03-27 1998-10-27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panel driving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WO1999012072A2 (en) * 1997-09-04 1999-03-11 Silicon Image, Inc. Power saving circuit and method for driving an active matrix display
JP2002229525A (ja) * 2001-02-02 2002-08-16 Nec Corp 液晶表示装置の信号線駆動回路及び信号線駆動方法
JP4353759B2 (ja) * 2003-09-22 2009-10-28 Nec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駆動回路
JP4124092B2 (ja) * 2003-10-16 2008-07-23 沖電気工業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の駆動回路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30097A2 (ko) * 2008-09-11 2010-03-18 (주)실리콘웍스 디스플레이 구동회로
WO2010030097A3 (ko) * 2008-09-11 2010-06-24 (주)실리콘웍스 디스플레이 구동회로
US8717338B2 (en) 2008-09-11 2014-05-06 Silicon Works Co., Ltd. Display drive circuit
US8681186B2 (en) 2009-08-27 2014-03-25 Samsung Display Co., Ltd. Data driver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6121B1 (ko) 2014-12-24
US20070171169A1 (en) 2007-07-26
JP5188023B2 (ja) 2013-04-24
CN101008723B (zh) 2012-07-18
CN101008723A (zh) 2007-08-01
JP2007199203A (ja) 2007-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6121B1 (ko) 구동장치 및 그 구동방법
EP0723695B1 (en) Power-saving circuit and method for driving liquid crystal display
KR0140041B1 (ko) 표시 장치용 전압 발생 회로, 공통 전극 구동 회로, 신호선 구동 회로 및 계조 전압 발생 회로
US20070013573A1 (en) Display apparatus, data line driver, and display panel driving method
US866997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driving metho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river including driving and setting a counter electrode for common inversion driving
JP5133585B2 (ja) ソースドライバーの消費電力を低減させる方法及び関連装置
US20060050037A1 (en) Impedance conversion circuit, drive circuit, and control method of impedance conversion circuit
US20110102404A1 (en) Low Power Driving Method for a Display Panel and Driving Circuit Therefor
JP2006003512A (ja) 液晶表示装置とその駆動方法
JP3132470B2 (ja) 液晶表示パネル駆動用電源回路とその消費電力低減方法
JP2008134496A (ja) 階調電位発生回路、表示装置のデータドライバ、及びその表示装置
JP2007102132A (ja) 表示素子駆動回路およびこれを備える液晶表示装置、表示素子駆動方法
JP4229157B2 (ja) 駆動回路、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100616336B1 (ko) 계조전위 발생회로를 구비한 화상표시장치
US9153191B2 (en) Power management circuit and gate pulse modulation circuit thereof capable of increasing power conversion efficiency
US8310479B2 (en) Display panel drive apparatus and display panel drive method
JP2008111917A (ja) 電圧選択回路、駆動回路、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8083286A (ja) 負荷測定装置、駆動回路、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5208551A (ja) 表示装置および駆動装置
JP4229158B2 (ja) 駆動回路、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CN116758871A (zh) 驱动方法及其驱动电路
JP2005181763A (ja) 液晶駆動装置
JP2008170843A (ja) 電気光学装置、駆動回路および電子機器
JP4859073B2 (ja) 液晶駆動装置
JPH08137440A (ja) 液晶表示装置の階調電圧生成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