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7435A - 자동차용 어린이 안전 좌석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어린이 안전 좌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7435A
KR20070077435A KR1020060128294A KR20060128294A KR20070077435A KR 20070077435 A KR20070077435 A KR 20070077435A KR 1020060128294 A KR1020060128294 A KR 1020060128294A KR 20060128294 A KR20060128294 A KR 20060128294A KR 20070077435 A KR20070077435 A KR 200700774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pair
child
side wall
safety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8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켄조우 카사이
케이지 이노우에
마사키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아프리카 이쿠지켄큐카이 아프리카 카사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프리카 이쿠지켄큐카이 아프리카 카사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프리카 이쿠지켄큐카이 아프리카 카사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77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74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72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provided with side 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39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having a front guard or b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51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provided with head-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57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peculiar orientation of the child
    • B60N2/286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peculiar orientation of the child forward fac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66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booster cushions, e.g. to lift a child to allow proper use of the conventional safety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6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N2/5607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 B60N2/5621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 B60N2/5635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coming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6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N2/5607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 B60N2/5621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 B60N2/5642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with circulation of air through a layer inside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6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N2/5607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 B60N2/5621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 B60N2/5664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with unforced air circulation, i.e. not using a fan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3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detach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02/0288Adjustable seat wid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과제
어린이의 머리 부분의 양 측방의 좌우의 시야의 넓어짐을 조절할 수 있음과 함께, 신체의 발육에 따라 어린이 어깨의 양 측방에 위치하는 벽부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자동차용 어린이 안전 좌석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자동차용 어린이 안전 좌석은, 좌부(10)와, 등받이부(30)를 구비한다. 등받이부(30)는, 배면벽(31)과, 배면벽(31)의 상방 영역의 양 측연부에, 종방향으로 늘어나는 축선의 주위를 회동할 수 있도록 지지된 한 쌍의 머리 부분 보호 측벽부(32a, 32b)와, 각 머리 부분 보호 측벽부의 회동 각도를 조절하는 회동 각도 조절 기구와, 배면벽(31)의 하방 영역의 양 측부로부터 세워져서 늘어나는 벽을 가지며, 배면벽의 양 측부로부터 횡방향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배면벽에 지지된 한 쌍의 어깨 보호 측벽부(33a, 33b)와, 한 쌍의 어깨 보호 측벽부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 기구를 구비한다.
안전 좌석

Description

자동차용 어린이 안전 좌석{Child Safety Seat for Automobiles}
도 1은 자동차용 어린이 안전 좌석의 전체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2는 자동차용 어린이 안전 좌석의 전체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커버를 떼어낸 상태의 자동차용 어린이 안전 좌석의 정면도.
도 4는 커버를 떼어낸 상태의 자동차용 어린이 안전 좌석의 측면도.
도 5는 커버를 떼어낸 상태의 자동차용 어린이 안전 좌석의 배면도.
도 6은 배면 커버 부재를 떼어낸 상태의 자동차용 어린이 안전 좌석의 배면도.
도 7은 커버를 떼어낸 상태의 자동차용 어린이 안전 좌석의 사시도.
도 8은 한 쌍의 머리 부분 보호 측벽부를 내측으로 회동시킨 상태의 정면도.
도 9는 한 쌍의 어깨 보호 측벽부의 간격을 넓힌 상태의 정면도.
도 10은 등받이부를 상방으로 이동시킨 상태의 정면도.
도 11은 회동 각도 조절 기구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12는 회동 각도 조절 기구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3은 간격 조절 기구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간격 조절 기구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a)는 회전 조작 부재를 떼어낸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b)는 회전 조작 부재의 이면을 도시하는 도 면.
도 15는 한 쌍의 어깨 보호 측벽부의 간격을 넓힌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등받이 높이 조절 기구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도해도.
도 17은 한쪽의 좌면 측벽부의 외측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18은 다른쪽의 좌면 측벽부의 외측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19는 음료용기 받침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0은 음료용기 받침대의 측면도.
도 21은 음료용기 받침대의 저면도.
도 22는 음료용기 받침대의 이면 커버 플레이트를 떼어낸 상태의 저면도.
도 23은 좌부 단체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4는 임팩트 실드 단체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5는 임팩트 실드 단체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26은 임팩트 실드의 내측 부재와 외측 부재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7은 임팩트 실드의 외측 부재 단체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자동차용 어린이 안전 좌석 10 : 좌부
11a, 11b : 좌면 측벽부 12 : 폭이 넓은 구멍
13 : 폭이 좁은 구멍 14 : 덮개 플랩
15 : 통기창 16 : 통기 구멍
30 : 등받이부 31 : 배면벽
32a, 32b : 머리 부분 보호 측벽부 33a, 33b : 어깨 보호 측벽부
34 : 배면 커버 부재 35a, 35b : 벨트 안내 부재
36 : 회동 각도 조절 기구 37 : 금속봉
37a : 종축 38 : 판스프링
40 : 간격 조절 기구 41a, 41b : 안쪽 장출부
42a, 42b : 계합축 43 : 회전 조작 부재
43a : 오목부 44 : 누름버튼
45 : 돌출부 46 : 안내 홈
47a, 47b : 지지점 60 : 음료용기 받침대
61 : 용기 수납부 62 : 폭이 넓은 돌출부
63 : 폭이 좁은 돌출부 64 : 이면 커버 플레이트
65 : 수지제 계합 부재 65a : 누름버튼부
65b : 계합 돌기부 70 : 임팩트 실드
71 : 내측 부재 72 : 외측 부재
73 : 하방 홈 74 : 상방 홈
75 : 관통 구멍 80 : 등받이 높이 조절 기구
81 : 조작 버튼 82 : 스프링
83 : 하방 돌출부 84 : 종봉
84a : 상방 단 84b : 하단 작용부
85 : 스프링 86 : 레버 부재
87 : 축 88 : 로크 핀
88a : 오목부 89 : 스프링
90 : 상방 파이프 91 : 구멍
92 : 하방 파이프 93 : 구멍
기술 분야
본 발명은, 자동차에 설치한 안전 벨트를 이용하여 자동차의 좌석 상에 고정되는 자동차용 어린이 안전 좌석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아 및 초등학생에 대해 사용되는 자동차용 주니어 시트에 관한 것이다.
배경 기술
유아 및 초등학생에 대해 사용되는 자동차용 어린이 안전 좌석은, 예를 들면 일본 특개2001-294064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이 공보에 개시된 자동차용 어린이 안전 좌석은, 어린이의 머리 부분 영역 및 어깨부 영역을 보호하기 위해, 외측을 향하여 이동 가능하게 등받이부의 양측에 마련되는 한 쌍의 사이드 가드를 구비하고 있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사이드 가드가, 독립하여 위치 조절 가능한 상부 사이드 가드와 하부 사이드 가드를 구비한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2001-294064호 공보
일본 특개2001-294064호 공보에 개시된 자동차용 어린이 안전 좌석의 한 실시 형태에서는, 한 쌍의 상부 사이드 가드 및 한 쌍의 하부 사이드 가드의 폭 방향의 간격을 각각 독립하여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어린이의 신체의 발육을 고려할 때, 어깨 폭은 성장에 따라 커지지만, 머리의 폭은 그다지 변화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머리 부분의 양 측방에 위치하는 한 쌍의 상부 사이드 가드의 간격을, 반드시 성장에 따라 변경할 필요는 없다. 한 쌍의 상부 사이드 가드에 관해서는, 간격을 변경하는 것보다도, 용이하게 좌우의 시야의 넓어짐을 크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어린이가 자고 있을 때에는 상부의 사이드 가드를 어린이의 양측 머리 부분에 근접하여 목이 좌우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고, 어린이가 깨어 있을 때에는 어린이의 머리 부분의 양 측방의 넓이를 크게 하여 좌우의 시야를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어린이의 머리 부분의 양 측방의 좌우의 시야의 넓어짐을 조절할 수 있음과 함께, 신체의 발육에 따라 어린이의 어깨의 양 측방에 위치하는 벽부(壁部)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자동차용 어린이 안전 좌석을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자동차에 설치한 안전 벨트를 이용하여 자동차의 좌석 상에 고정되는 자동차용 어린이 안전 좌석으로서, 좌부(座部)와, 이 좌부의 후단부(後端部) 로부터 상방으로 세워져서 늘어나는 등받이부를 구비한다. 등받이부는, 착좌(着座)하는 어린이의 배면(背面)에 위치하는 배면벽과, 배면벽의 상방 영역의 양 측연부(側緣部)에, 종방향으로 늘어나는 축선(軸線)의 주위를 회동(回動)할 수 있도록 지지된 한 쌍의 머리 부분 보호 측벽부와, 각 머리 부분 보호 측벽부의 회동 각도를 조절하는 회동 각도 조절 기구와, 배면벽의 하방 영역의 양 측부로부터 세워져서 늘어나는 벽을 가지며, 배면벽의 양 측부로부터 횡방향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배면벽에 지지된 한 쌍의 어깨 보호 측벽부와, 한 쌍의 어깨 보호 측벽부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 기구를 구비한다.
상기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신체의 발육에 따라, 또는 어린이의 신체의 크기에 따라 어깨의 양 측방에 위치하는 한 쌍의 어깨 보호 측벽부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각 머리 부분 보호 측벽부가 종방향으로 늘어나는 축선의 주위를 회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어린이의 머리 부분의 기울어짐을 억제하거나, 좌우의 시야의 넓어짐을 조절하거나 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관한 자동차용 어린이 안전 좌석은, 좌부에 대한 등받이부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등받이 높이 조절 기구를 또한 구비한다. 이 실시 형태에 의하면, 어린이의 신체의 크기에 따라, 또는 어린이의 발육에 따라 등받이부의 높이를 조절하여 머리 부분 보호 측벽부 및 어깨 보호 측벽부의 높이를 최적의 위치로 가져올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는, 회동 각도 조절 기구는, 배면벽의 측연부에 고정된 종축(縱軸)과, 이 종축을 탄성적으로 끼우는 형태를 갖고 각 머리 부분 보호 측벽 부에 고정된 판(板)스프링을 구비한다. 이 실시 형태에 의하면, 판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한 마찰력에 의해 머리 부분 보호 측벽부의 각도를 임의의 위치에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각도 변경이 용이하다. 또한, 좌우의 머리 부분 보호 측벽부의 각도를 서로 독립하여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형태로서, 각 머리 부분 보호 측벽부의 안쪽 측연부에 종축을 고정하고, 배면벽의 양 측연부에 판스프링을 고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는, 간격 조절 기구는, 각 어깨 보호 측벽부로부터 폭 방향 안쪽으로 튀어 나와 늘어나는 한 쌍의 안쪽 장출부(張出部)와, 각 안쪽 장출부의 안쪽 단부(端部) 상의 지지점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늘어남과 함께 지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선회 가능하게 마련된 한 쌍의 계합축(係合軸)과, 한 쌍의 계합축의 선단(先端)을 받아들이는 오목부를 가지며 등받이부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 조작 부재를 포함한다. 이 실시 형태에 의하면, 회전 조작 부재를 회전 조작함에 의해 한 쌍의 어깨 보호 측벽부의 간격을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는, 좌부는, 그 양 측부로부터 상방으로 세워져서 늘어나는 한 쌍의 좌면(座面) 측벽부를 포함한다. 한 쌍의 좌면 측벽부 중의 적어도 어느 한쪽의 외측면에는, 음료용기를 지지하기 위한 음료용기 받침대가 부착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 의하면, 어린이는 음료용기를 음료용기 받침대에 둘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하다. 바람직한 것은, 한 쌍의 좌면 측벽부의 외측면에는, 음료용기 받침대의 부착 부분을 착탈 가능하게 받아들이는 부착 구멍이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음료용기 받침대를 좌우의 측면의 어느 한쪽에 선택적으로 부착할 수 있도록 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관한 자동차용 어린이 안전 좌석은, 좌부의 상방에 배치되는 임팩트 실드를 구비한다. 이 임팩트 실드는, 그 앞쪽 단(端)으로부터 뒤쪽 단(端)까지 늘어나는 통기홈(通氣溝)을 갖고 있다. 임팩트 실드는, 자동차용 어린이 안전 좌석에 착좌한 어린이의 전방 부분에서 큰 부피를 갖지만, 상기와 같은 통기홈을 마련함에 의해, 좌석 내에서 공기가 탁해지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자동차용 어린이 안전 좌석의 개략 구성을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포제(布製)의 커버를 부착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도 3 내지 도 7은 포제의 커버를 떼어낸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자동차용 어린이 안전 좌석(1)은, 자동차에 설치한 안전 벨트를 이용하여 자동차의 좌석 상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좌부(10)와, 이 좌부(10)의 후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세워져서 늘어나는 등받이부(30)와, 임팩트 실드(70)를 구비한다.
등받이부(30)는, 착좌하는 어린이의 배면에 위치하는 배면벽(31)과, 배면벽(31)의 상방 영역의 양 측연부에, 종방향으로 늘어나는 축선의 주위를 회동할 수 있도록 지지된 한 쌍의 머리 부분 보호 측벽부(32a, 32b)와, 각 머리 부분 보호 측벽부의 회동 각도를 조절하는 회동 각도 조절 기구와, 배면벽(31)의 하방 영역의 양 측부로부터 세워져서 늘어나는 벽을 가지며, 배면벽(31)의 양 측부로부터 횡방향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배면벽(31)에 지지된 한 쌍의 어깨 보호 측벽부(33a, 33b)와, 한 쌍의 어깨 보호 측벽부(33a, 33b)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 기구를 구비한다. 회동 각도 조절 기구 및 간격 조절 기구에 관해서는, 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등받이부(30)는, 좌부(10)에 대해, 높이 조절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이 등받이 높이 조절 기구에 대해서도, 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좌부(10)는, 그 양 측부로부터 상방으로 세워져서 늘어나는 한 쌍의 좌면 측벽부(11a, 11b)를 포함한다. 임팩트 실드(70)는, 좌면 측벽부(11a, 11b)상의 소정 위치에 고정 지지된다. 도 25 내지 도 27은, 포제 커버를 떼어낸 상태의 임팩트 실드(70) 단체(單體)를 도시하고 있다. 이들의 도면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임팩트 실드(70)는, 앞쪽에 개구(開口)를 갖는 단면(斷面) C자 형상의 형태를 갖고 있다. 자동차에 설치한 안전 벨트는, 임팩트 실드(70)의 개구부를 통과하도록 안내된다.
도시하는 자동차용 어린이 안전 좌석(1)은, 유아로부터 초등학생에게 이르기까지의 시기의 어린이를 착좌시키는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주니어 시트라고 불리는 경우도 있다. 유아기의 어린이를 앉힐 때에는 임팩트 실드(70)를 부착하여 사용한다. 이 형태로 사용할 때는, 차의 안전 벨트는 어린이의 신체를 구속하지 않는다.
다음의 성장 단계에서는, 임팩트 실드(70)를 떼어내고 사용한다. 이 형태로 사용할 때에는, 차의 안전 벨트에 의해 자동차용 어린이 안전 좌석(1)에 착좌한 어린이의 신체를 구속한다. 등받이부(30)의 한 쌍의 머리 부분 보호 측벽부(32a, 32b)와 한 쌍의 어깨 보호 측벽부(33a, 33b) 사이에는, 이 형태에서의 사용일 때에, 차의 안전 벨트를 안내하기 위한 한 쌍의 벨트 안내 부재(35a, 35b)가 마련되어 있다.
다음의 성장 단계에서는, 등받이부(30)를 좌부(10)로부터 떼어내고 사용한다. 성장하여 신체가 큰 초등학생은, 좌부(10) 단체의 위에 앉혀지고, 차의 안전 벨트에 의해 신체를 구속된다.
포제 커버를 떼어낸 도 3 내지 도 7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도시한 실시 형태에서는, 등받이부(30)를 형성하는 벽 및 좌부(10)를 형성한 벽의 거의 전면(全面)에 통기를 위한 구멍을 마련하고 있다.
등받이부(30)를 좌부(10)에 부착한 상태의 자동차용 어린이 안전 좌석(1)은, 이하의 3가지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즉, 제 1의 기능은, 한 쌍의 머리 부분 보호 측벽부(32a, 32b)를, 종방향으로 늘어나는 축선의 주위에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8은, 한 쌍의 머리 부분 보호 측벽부(32a, 32b)를 내측으로 회동시킨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예를 들면, 어린이가 좌석(1)상에서 잘 때, 어린이의 머리가 좌우로 기울어지는 일이 있다. 그와 같은 경우, 도시한 실시 형태에서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머리 부분 보호 측벽부(32a, 32b)를 내측으로 회동시키면, 머리 부분 보호 측벽부(32a, 32b)의 내측면이 어린이의 머리 부분 옆으로 근접하기 때문에, 어린이의 머리가 극단적으로 좌우로 기울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머리 부분 보호 측벽부(32a, 32b)의 회동 각도는, 각각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어 린이가 좌석 상에서 깨어 있을 때에는, 좌우의 시야를 넓게 하기 위해, 한 쌍의 머리 부분 보호 측벽부(32a, 32b)를,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측으로 넓히도록 회동시킨다.
제 2의 기능은, 한 쌍의 어깨 보호 측벽부(33a, 33b)의 간격을 조절 가능하게 한 것이다. 도 9는, 한 쌍의 어깨 보호 측벽부(33a, 33b)를 폭 방향의 외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착좌하는 어린이의 신체가 클 때, 또는 성장하여 신체가 큰 때에는, 한 쌍의 어깨 보호 측벽부(33a, 33b)의 간격을 크게 한다.
제 3의 기능은, 등받이부(30)의 높이를 조절 가능하게 한 것이다. 도 10은, 등받이부(30)를 상방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착좌하는 어린이의 신체가 클 때, 또는 성장하여 신체가 커진 때에는, 한 쌍의 어깨 보호 측벽부(33a, 33b)의 간격을 크게 한다.
도 11 및 도 12는, 한 쌍의 머리 부분 보호 측벽부(32a, 32b)의 회동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회동 각도 조절 기구(36)의 주요부를 도시하고 있다. 회동 각도 조절 기구(36)의 한 구성 요소로서, 등받이부의 배면벽(31)에는, 직사각형의 금속봉(37)이 고정되어 있다. 또한, 회동 각도 조절 기구(36)의 다른 구성 요소로서, 각 머리 부분 보호 측벽부(32a, 32b)에는, 금속봉(37)의 종방향 축(37a)을 탄성적으로 끼우는 형태를 갖는 판스프링(38)이 고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판스프링(38)은, 종축(37a)을 끼우도록 절곡되고, 그 양단이 머리 부분 보호 측벽부(32a, 32b)에 고정되어 있다. 이 구조에 의해, 판스프링(38)과 금속봉(37)의 종봉 사이에 는 탄성력을 이용한 마찰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각 머리 부분 보호 측벽부(32a, 32b)를 임의의 각도 위치에 고정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종축을 각 머리 부분 보호 측벽부(32a, 32b)에 고정하고, 판스프링을 배면벽(31)의 양 측연부에 고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13 내지 도 15는, 한 쌍의 어깨 보호 측벽부(33a, 33b)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간격 조절 기구(40)의 주요부를 도시하고 있다. 이들의 도면에서는, 간격 조절 기구(40)의 구조를 좋게 보이도록 하기 위해, 등받이부(30)의 배면에 있는 배면 커버 부재(34)를 떼어내고 있다.
간격 조절 기구(40)는, 한 구성 요소로서, 한 쌍의 어깨 보호 측벽부(33a, 33b)로부터 폭 방향 안쪽으로 튀어 나와 늘어나는 한 쌍의 안쪽 장출부(41a, 41b)를 구비한다. 각 안쪽 장출부(41a, 41b)는 직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갖고 있고, 배면벽(31)의 배면에 형성된 안내 홈(46)에 끼워져 있다. 따라서, 각 안쪽 장출부(41a, 41b)는, 좌우 방향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을 뿐이다.
도 14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각 안쪽 장출부(41a, 41b)의 안쪽 단부에는, 계합축(42a, 42b)이 부착되어 있다. 계합축(42a, 42b)은, 지지점(47a, 47b)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늘어남과 함께 지지점(47a, 47b)을 중심으로 하여 선회 가능하다. 또한, 각 계합축(42a, 42b)의 선단은, 뒤쪽을 향하여 절곡되고 있다.
도 13에 도시하는 회전 조작 부재(43)는, 배면벽(31)의 배면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회전 조작 부재(43)는, 누름버튼(44)과, 이 누름버튼의 누름 조작에 의해 내측으로 후퇴하는 돌출부(45)를 갖는다. 돌출부(45)가 배면 커버 부 재(34)(도 5 참조)의 계합(係合) 오목부에 계합한 상태에서는, 회전 조작 부재(43)의 회전이 금지된다. 누름버튼(44)을 누르면, 돌출부(45)가 후퇴하여 계합 상태가 해제되기 때문에, 회전 조작 부재(43)를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조작 부재(43)의 배면에는, 한 쌍의 계합축(42a, 42b)의 절곡 선단부를 받아들이는 오목부(43a)가 형성되어 있다. 한쪽의 계합축(42a)의 지지점(47a)은, 회전 조작 부재(43)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오른쪽으로 어긋난 위치에 있고, 다른쪽의 계합축(42b)의 지지점(47b)은, 회전 조작 부재(43)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왼쪽으로 어긋난 위치에 있다. 따라서, 회전 조작 부재(43)를 회전시키면 계합축(42a, 42b)의 절곡 선단부도 회전하는데, 그때에 지지점(47a, 47b)을 폭 방향(좌우 방향)으로 누르거나, 당기거나 하게 된다. 그 결과, 한 쌍의 어깨 보호 측벽부(33a, 33b)는 폭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양자의 간격이 변화한다.
도 14는 한 쌍의 어깨 보호 측벽부(33a, 33b)의 간격이 작은 상태를 도시하고, 도 15는 한 쌍의 어깨 보호 측벽부(33a, 33b)의 간격이 큰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6 및 도 16은, 좌부(10)에 대한 등받이부(3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등받이 높이 조절 기구(80)를 도시하고 있다. 등받이 높이 조절 기구(80)는, 등받이부(30)의 배면벽(31)에 고정된 상방 파이프(90)와, 좌부(10)에 고정된 하방 파이프(92)를 구비한다. 상방 파이프(90)는, 하방 파이프(92) 내로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받아들여져 있다. 또한, 배면벽(31)에는, 상하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조작 버튼(81)이 마련되어 있다. 이 조작 버튼(81)은, 스프링(82)에 의해 항상 상방 위치로 가져가도록 가세되어 있다. 조작 버튼(81)의 좌우의 단부에는, 상방 파이프(90) 내로 돌출하여 늘어나는 하방 돌출부(83)가 마련되어 있다.
상방 파이프(90) 내에는, 종봉(縱棒)(84), 레버 부재(86), 로크 핀(88) 및 스프링(89)이 배치되어 있다. 종봉(84)은, 조작 버튼(81)의 하방 돌출부(83)에 대면하는 상방 단(84a)과, 레버 부재(86)의 선단 부분에 대면하는 하단 작용부(84b)를 갖는다. 이 종봉(84)은, 상방 파이프(90) 내를 상하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지만, 스프링(85)에 의해 항상 상방 위치로 가져가도록 가세되어 있다. 레버 부재(86)는, 축(87)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다. 도시하지 않지만, 레버 부재(86)는, 예를 들면 스프링에 의해 항상 상방으로 회동하도록 가세되어 있다.
상방 파이프(90)는, 로크 핀(88)의 선단부에 대면하는 위치에 구멍(91)을 갖는다. 로크 핀(88)은, 레버 부재(86)의 하방 절곡 선단부에 대면하는 위치에 오목부(88a)를 갖는다. 또한, 로크 핀(88)은, 스프링(89)에 의해 항상 상방 파이프(90)의 구멍(91)으로부터 돌출하도록 가세되어 있다.
좌부(10)에 고정된 하방 파이프(92)는, 상방 파이프(90)의 구멍(91)에 대면하는 영역에 상하 방향으로 이격(離隔)하여 위치하는 복수의 구멍(93)을 갖고 있다. 도 16에 도시하는 상태에서는, 로크 핀(88)의 선단부가, 상방 파이프(90)의 구멍(91)을 통과하여, 하방 파이프(92)의 최하부의 구멍(93)에 끼워져 있다. 따라서, 등받이부(30)는, 가장 낮은 위치에 고정 지지되어 있다.
도 16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조작 버튼(81)을 하방으로 누르면 종봉(84)이 하방으로 이동하고, 레버 부재(86)를 하방으로 회동시킨다. 그러면, 레버 부재(86)의 하방 절곡 선단부가 로크 핀(88)의 오목부(88a)에 끼워지고, 로크 핀(88)을 후퇴시킨다. 그 결과, 로크 핀(88)과 하방 파이프(92)의 구멍(93)과의 계합 상태가 해제되기 때문에, 등받이부(30)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부(10)의 한쪽의 좌면 측벽부(11b)의 외측면에는, 음료용기를 지지하기 위한 음료용기 받침대(60)가 부착되어 있다. 음료용기 받침대(60)는, 한쪽의 좌면 측벽부(11b)로부터 떼어내서, 다른쪽의 좌면 측벽부(11a)의 외측면에 부착 가능하다. 이것을 도 17 내지 도 2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쪽의 좌면 측벽부(11b)의 외측면에는, 하나의 폭이 넓은 구멍(12) 및 2개의 폭이 좁은 구멍(13)이 마련되어 있다. 좌부(10)를 덮는 포제 커버에는, 구멍(12, 13)을 감추기 위한 덮개 플랩(14)을 갖는다. 도 17에서는, 덮개 플랩(14)이 감겨서, 구멍(12, 13)을 노출하고 있다. 다른쪽의 좌면 측벽부(11a)의 외측면에도, 마찬가지로 하나의 폭이 넓은 구멍 및 2개의 폭이 좁은 구멍이 마련되어 있다. 도 18에 도시하는 상태에서는, 덮개 플랩(14)이 이들의 구멍을 감추고 있다.
음료용기 받침대(60)는, 음료용기를 아래로부터 지지하기 위한 컵 형상의 용기 수납부(61)와, 하나의 폭이 넓은 돌출부(62)와, 2개의 폭이 좁은 돌출부(63)를 갖는다. 폭이 넓은 돌출부(62)는, 좌면 측벽부(11a, 11b)의 폭이 넓은 구멍(12) 내에 받아들여지고, 폭이 좁은 돌출부(63)는, 좌면 측벽부(11a, 11b)의 폭이 좁은 구 멍(13)에 받아들여진다. 도 21 및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폭이 넓은 돌출부(62)는, 탄성 변형 가능한 수지제 계합 부재(65)와, 이 수지제 계합 부재(65)를 이면측으로부터 가리는 이면 커버 플레이트(64)를 갖는다. 수지제 계합 부재(65)는, C자 형상으로 만곡한 형상을 갖고 있고, 한 쌍의 다리부(脚部) 선단에 바깥쪽으로 돌출한 계합 돌기부(65b)를 가지며, 또한 거의 중앙의 영역에 바깥쪽으로 돌출한 한 쌍의 누름버튼부(65a)를 갖는다. 한 쌍의 누름버튼부(65a)를 내측으로 압입하면, 한 쌍의 계합 돌기부(65b)가 내측으로 후퇴한다. 한 쌍의 계합 돌기부(65b)는, 좌면 측벽부(11a, 11b)의 폭이 넓은 구멍(12) 내에 형성된 계합 구멍에 계합하고, 음료용기 받침대(60)를 좌면 측벽부로부터 벗겨지지 않도록 한다. 음료용기 받침대(60)를 떼어내는 경우에는, 누름버튼부(65a)를 안쪽으로 압입하면 된다.
도 23은, 포제 커버 부재를 떼어낸 상태의 좌부(10)를 도시하고 있다. 좌부(10)는, 그 전단면(前端面)에 통기창(15)을 가지며, 그 좌벽에 통기창(15)에 연통한 복수의 통기 구멍(16)을 갖고 있다.
도 24는, 포제 커버 부재를 떼어낸 상태의 임팩트 실드(70)를 도시하고 있다. 임팩트 실드(70)는, 그 앞쪽 단으로부터 뒤쪽 단까지 늘어나는 통기홈을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임팩트 실드(70)는, 앞쪽에 개구를 갖는 단면 C자 형상의 수지제의 내측 부재(71)와, 이 내측 부재(71)를 둘러싸는 단면 C자 형상의 발포 스티롤제의 외측 부재(72)를 갖는다.
도 25 내지 도 27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임팩트 실드(70)의 외측 부재는, C 자 형상의 단면 형상을 형성하는 상벽(上壁)과, 후벽(後壁)과, 하벽(下壁)을 갖는다. 하벽의 저면에는, 그 앞쪽 단으로부터 뒤쪽 단까지 늘어나는 복수의 하방 홈(73)이 형성되고, 하벽의 윗면에는, 그 앞쪽 단으로부터 후벽의 내면까지 늘어나는 복수의 상방 홈(74)이 형성되어 있다. 후벽 상에 위치하는 상방 홈(74)의 부분에는, 관통 구멍(75)이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통기성이 양호한 임팩트 실드(70)를 얻을 수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도시한 실시 형태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시한 실시 형태에 대해, 본 발명과 동일한 범위 내에서, 또는 균등한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의 수정이나 변형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자동차용 어린이 안전 좌석으로서 유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어린이의 머리 부분의 양 측방의 좌우의 시야의 넓어짐을 조절할 수 있음과 함께, 신체의 발육에 따라 어린이의 어깨의 양 측방에 위치하는 벽부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자동차용 어린이 안전 좌석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7)

  1. 자동차에 설치한 안전 벨트를 이용하여 자동차의 좌석 상에 고정되는 자동차용 어린이 안전 좌석으로서,
    좌부와,
    상기 좌부의 후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세워져서 늘어나는 등받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등받이부는,
    착좌하는 어린이의 배면에 위치하는 배면벽과,
    상기 배면벽의 상방 영역의 양 측연부에, 종방향으로 늘어나는 축선의 주위를 회동할 수 있도록 지지된 한 쌍의 머리 부분 보호 측벽부와,
    상기 각 머리 부분 보호 측벽부의 회동 각도를 조절하는 회동 각도 조절 기구와,
    상기 배면벽의 하방 영역의 양 측부로부터 세워져서 늘어나는 벽을 가지며, 배면벽의 양 측부로부터 횡방향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배면벽에 지지된 한 쌍의 어깨 보호 측벽부와,
    상기 한 쌍의 어깨 보호 측벽부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어린이 안전 좌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부에 대한 상기 등받이부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등받이 높이 조절 기구를 또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어린이 안전 좌석.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각도 조절 기구는, 상기 배면벽 및 상기 머리 부분 보호 측벽부 중 한쪽의 측연부에 고정된 종축과, 상기 종축을 탄성적으로 끼우는 형태를 갖고서 상기 배면벽 및 상기 머리 부분 보호 측벽부 중의 다른 쪽에 고정된 판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어린이 안전 좌석.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조절 기구는, 상기 각 어깨 보호 측벽부로부터 폭 방향 안쪽으로 튀어 나와 늘어나는 한 쌍의 안쪽 장출부와, 각 안쪽 장출부의 안쪽 단부 상의 지지점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늘어남과 함께 지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선회 가능하게 마련된 한 쌍의 계합축과, 상기 한 쌍의 계합축의 선단을 받아들이는 오목부를 가지며 상기 등받이부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 조작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어린이 안전 좌석.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부는, 그 양 측부로부터 상방으로 세워져서 늘어나는 한 쌍의 좌면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좌면 측벽부 중의 어느 한쪽의 외측면에는, 음료용기를 지지하기 위한 음료용기 받침대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어린이 안전 좌석.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좌면 측벽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음료용기 받침대의 부착 부분을 착탈 가능하게 받아들이는 부착 구멍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어린이 안전 좌석.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부의 상방에 배치되는 임팩트 실드를 구비하고,
    상기 임팩트 실드는, 그 앞쪽 단부터 뒤쪽 단까지 늘어나는 통기홈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어린이 안전 좌석.
KR1020060128294A 2006-01-23 2006-12-15 자동차용 어린이 안전 좌석 KR200700774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14232A JP4914072B2 (ja) 2006-01-23 2006-01-23 自動車用子供安全座席
JPJP-P-2006-00014232 2006-01-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7435A true KR20070077435A (ko) 2007-07-26

Family

ID=37989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8294A KR20070077435A (ko) 2006-01-23 2006-12-15 자동차용 어린이 안전 좌석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1810872B1 (ko)
JP (1) JP4914072B2 (ko)
KR (1) KR20070077435A (ko)
CN (1) CN101007514A (ko)
DE (1) DE602007007129D1 (ko)
ES (1) ES2347695T3 (ko)
TW (1) TWI36437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70796B (zh) * 2008-09-10 2011-11-16 宝钜实业股份有限公司 儿童安全座椅
WO2010066197A1 (zh) * 2008-12-09 2010-06-17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儿童汽车座
DE102009000199A1 (de) * 2009-01-14 2010-07-15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Schützen und Halten eines Insassen eines Fahrzeugs und Schutz- und Haltevorrichtung zum Schutz eines Insassen eines Fahrzeugs
DE202009010536U1 (de) 2009-07-14 2009-11-26 BRITAX RÖMER Kindersicherheit GmbH Kindersitz mit Seitenaufprallschutz
CN102275531B (zh) * 2011-05-23 2013-06-26 湖南大学 多功能儿童安全座椅
KR101182545B1 (ko) 2012-01-12 2012-09-12 김해준 다단 충격흡수기능 및 에어백이 장착된 유아용 카 시트
DE202012102471U1 (de) * 2012-06-18 2012-09-07 Cybex Gmbh Kindersitz zur Anbringung auf einem Kraftfahrzeugsitz
CN202686063U (zh) * 2012-07-02 2013-01-23 宝钜(中国)儿童用品有限公司 杯架连接结构及具有该连接结构的座椅
JP6139955B2 (ja) 2013-04-17 2017-05-31 株式会社 日本育児 幼児拘束装置
CN105329121B (zh) * 2014-08-06 2018-06-12 宝钜儿童用品香港股份有限公司 侧撞保护机构及儿童安全座椅
CN104890556A (zh) * 2015-03-09 2015-09-09 无锡利凯儿童用品有限公司 儿童汽车座椅可拆卸饮料杯
WO2018045188A1 (en) * 2016-09-01 2018-03-08 Dorel Juvenile Group, Inc. Juvenile vehicle seat with cupholder
CN107839556A (zh) * 2017-10-13 2018-03-27 晨辉婴宝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儿童约束系统
DE102017126431A1 (de) * 2017-11-10 2019-05-16 Recaro Child Safety Gmbh & Co. Kg Kindersitzvorrichtung
CN108177562A (zh) * 2017-12-15 2018-06-19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附加有安全保护装置的儿童汽车座
CN108215952A (zh) * 2018-01-25 2018-06-29 上海沃雨电子科技有限公司 儿童安全座椅
DE202018102435U1 (de) * 2018-05-02 2019-08-06 Cybex Gmbh Kindersitz zur Anbringung auf einem Kraftfahrzeugsitz
DE102018112643B3 (de) * 2018-05-25 2019-08-29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Fahrzeugschalensitz, insbesondere für ein Motorsportfahrzeug
US11173817B2 (en) * 2018-10-03 2021-11-16 Erica Ferrell Ventilated child car seat system
CN110182370A (zh) * 2019-07-11 2019-08-30 苏州标图高级座椅有限公司 一种民航飞机专用安全座椅
US10960794B1 (en) * 2019-11-05 2021-03-3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eat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2574A (ja) * 1991-12-13 1993-06-29 Toyota Motor Corp 子供用シートを備えた車両用シート
JP3305498B2 (ja) * 1993-07-07 2002-07-22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子供用座席装置
JPH1134704A (ja) * 1997-07-23 1999-02-09 Minoru Kasei Kk 自動車座席用クッション
DE19752536C1 (de) * 1997-11-27 1998-07-09 Daimler Benz Ag Kindersitz für Fahrzeuge
JP2001294064A (ja) * 2000-02-07 2001-10-23 Aprica Kassai Inc 自動車用年少者安全座席
JP4480870B2 (ja) * 2000-10-11 2010-06-16 コンビ株式会社 チャイルドシート
ES2333655T3 (es) 2003-05-14 2010-02-25 Jane S.A. Respaldo con cabezal para asientos infantiles destinados a los automovi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64372B (en) 2012-05-21
JP2007196713A (ja) 2007-08-09
TW200730376A (en) 2007-08-16
EP1810872A1 (en) 2007-07-25
ES2347695T3 (es) 2010-11-03
JP4914072B2 (ja) 2012-04-11
CN101007514A (zh) 2007-08-01
EP1810872B1 (en) 2010-06-16
DE602007007129D1 (de) 2010-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77435A (ko) 자동차용 어린이 안전 좌석
EP1813469B1 (en) An infant chair
EP2308716A1 (en) Child seat
EP1711369B1 (en) Head restraint
EP2308715A1 (en) Child seat
US8439439B2 (en) Adjustable shoulder belt path for a booster car seat
US9216677B2 (en) Quick-connect trim carrier attachment
GB2593329A (en) Child safety seat and a width-adjustable side bolster mechanism thereof
JP2008000364A (ja) 椅子のランバーサポート装置
EP1477358B1 (en) An infant seat with armrest for motorcars
US8662593B2 (en) Fixing device for headrest
US20200307415A1 (en) Vehicle structure
CN101247973A (zh) 儿童安全座椅
KR102017614B1 (ko) 목받침 헤드레스트
US5713635A (en) Headrest for motor vehicle seats
JP4897763B2 (ja) 表示タグの取付構造
KR101683428B1 (ko) 시트의 헤드레스트 가이드 조립체
JP2010012900A (ja) チャイルドシートおよびサポートレッグ
JP2006335325A (ja) チャイルドシート
KR101736736B1 (ko) 폴딩 가능한 헤드레스트
JP2001158327A (ja) シートベルトの上下位置調整装置
JP2005040509A (ja) サイドサポート部材
EP4215413A1 (en) Child safety seat
CN211075642U (zh) 座椅头枕结构
KR200489606Y1 (ko) 폴딩가능한 헤드레스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