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4371A - 광픽업용 샤프트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광픽업용 샤프트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4371A
KR20070074371A KR1020060002403A KR20060002403A KR20070074371A KR 20070074371 A KR20070074371 A KR 20070074371A KR 1020060002403 A KR1020060002403 A KR 1020060002403A KR 20060002403 A KR20060002403 A KR 20060002403A KR 20070074371 A KR20070074371 A KR 200700743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horizontal
spring
block
optical pick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2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택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2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74371A/ko
Publication of KR20070074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43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3/0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 B42F13/0006Covers for loose-leaf binders
    • B42F13/0026Covers for loose-leaf binders with locks or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3/0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 B42F13/0006Covers for loose-leaf binders
    • B42F13/004Devices for protecting or reinforcing covers, e.g. edges or cor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3/0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 B42F13/16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claw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PINDEXING SCHEME RELATING TO BOOKS, FILING APPLIANCES OR THE LIKE
    • B42P2241/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books or filing appliances
    • B42P2241/02Fasteners;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PINDEXING SCHEME RELATING TO BOOKS, FILING APPLIANCES OR THE LIKE
    • B42P2241/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books or filing appliances
    • B42P2241/06Handles; Grip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PINDEXING SCHEME RELATING TO BOOKS, FILING APPLIANCES OR THE LIKE
    • B42P2241/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books or filing appliances
    • B42P2241/20Protecting; Reinforcing; Preventing deformations

Landscapes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픽업에서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렌즈홀더의 샤프트 고정 장치에서 샤프트의 지지를 낙하,충격에 의한 성능 열화가 없도록 하기 위한 샤프트 고정 장치로써, 광픽업 어셈블리에서 렌즈가 설치된 렌즈홀더의 직선운동을 안내하는 샤프트를 지지하는 광픽업용 샤프트 고정 장치에 있어서, 샤프트의 일단을 하측에서 받치는 V블럭; 상기 V블럭의 상측에서 샤프트에 수직방향으로 압압력을 가하는 수직스프링; 상기 샤프트의 타단을 측부에서 받치는 사면블럭; 및 상기 사면블럭을 향해 샤프트에 수평방향의 압압력을 가하는 수평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광픽업, 샤프트, 렌즈홀더

Description

광픽업용 샤프트 고정 장치{Shaft supporting device for optical pick up}
도 1은 일반적인 광픽업의 렌즈 홀더 어셈블리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에서 샤프트를 지지하는 V블럭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샤프트를 지지하는 V홈블럭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 샤프트를 지지하는 구성의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를 지지하는 구성의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푸싱축이 회전하여 수평스프링을 최대변형시켰을 때의 우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120: 렌즈 110: 렌즈홀더
130: 가이드 피더 140: 리드스크류
150: 스테핑모터 160: 스프링
170: 메인샤프트 180: 서브샤프트
190: V블럭 191: V홈블럭
192: 푸싱바 193: 스프링
200: 샤프트 201: 회전돌기
202: 편심축 210: V블럭
211,212: 사면블럭 213: 수직스프링
214: 수평스프링
본 발명은 광 픽업에서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렌즈홀더의 샤프트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샤프트와 샤프트 고정 장치 사이에 클리어런스가 없도록 하여 낙하,충격에 의한 성능 열화가 없도록 한 샤프트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 디스크의 기록 밀도를 높이기 위해 디스크 트랙의 간격이 좁아지고 신호 피트(Pit)의 길이가 짧아지고 있다.
따라서, 광원의 파장이 감소하고 대물렌즈의 개구수(NA)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광픽업이 진화하고 있다. 특히, 개구수 증가에 따른 구면 수차의 발생 정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수차 보상하는 수단을 광픽업에서 구현하는 것이 현재의 추세이다.
이때, 주로 렌즈 또는 렌즈 기능을 가지는 소자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구면 수차 등 파면 수차를 개선하는 기능을 갖도록 구성 된다.
종래 기술의 파면 수차를 개선하기 위한 것(렌즈류 등)을 취부한 렌즈 홀더 어셈블리의 구성은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1개 또는 2개의 렌즈(100,120) 또는 렌즈 역할을 하는 것을 렌즈홀더(120)에 일체로 조립한다.
상기 렌즈홀더(120)에는 메인샤프트(170)와 서브샤프트(180)에 의해 안내되면서 이송할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되고, 또한 가이드 피더(130)가 일체로 형성된다.
베이스 동력원으로써 스텝핑 모터(150)가 설치 되어 있고, 상기 스텝핑 모터(150)는 나사산을 가지는 리드스크류(140)를 회전구동시킨다.
상기 가이드 피더(130)는 상기 리드스크류(140)와 나사결합되어 있어서, 상기 리드스크류(40)의 회전에 의해 직선운동이 가능하다.
상기 렌즈홀더(120)의 가이드수단인 2개의 샤프트, 즉 메인샤프트(170)와 서브샤프트(180)는 픽업 베이스에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는 상기 2개의 샤프트(170,180)의 일단을 지지하는 V블럭(190)이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의 타측에는 상기 2개의 샤프트(170,180)의 타단을 지지하는 V홈블럭(191)이 설치된다.
상기 V블럭(190)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2개의 샤프트(170,180)의 상측으로 스프링(192)이 설치되어, 상기 상기 2개의 샤프트(170,180)를 내리누르는 힘을 부여한다.
또한, 상기 V홈블럭(191)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2개의 샤프트(170,180)의 상측으로 푸싱바(192)가 설치되어, 상기 상기 2개의 샤프트(170,180)를 내리누르는 힘을 부여한다.
상기와 같은 렌즈 홀더 어셈블리의 작동은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스텝핑 모터(150)의 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상기 리드 스크류(140)에 상기 가이드 피더(130)이 나합되어 직선 운동하면, 상기 가이드 피더(130)에 일체 형성된 렌즈홀더(120)가 또한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파면 수차등을 개선하는 기능을 광학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상기 2개의 샤프트(170,180)에 의해 상기 렌즈홀더(120)가 이동하는 평면은 그 평평도가 잘 관리가 되어야 한다.
이러한 샤프트에 대한 평면도 관리를 위해 별도의 스큐 조절 장치를 추가 구성하게 되면 광픽업의 사이즈가 더 크게 구성되어서 무게의 증가에 따라 낙하 등의 충격에 더 취약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샤프트를 지지하는 일측은 상기 상기 V블럭(190)에 놓어져니 샤프트(170,180)를 스프링(193)을 이용해서 고정시키고, 타측은 상기 V홈블럭(191)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샤프트(170,180)의 상측으로 푸싱바(192)로 내리 눌러 고정시킨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샤프트의 외경과 이를 지지 또는 구속하는 V블럭(190), V홈블럭(191) 등의 구조물의 치수 형상간의 갭이 존재함으로써, 치수보정에 한계가 발생된다.
이러한 갭의 존재는 낙하 등의 충격에 취약하게 되며 이는 성능 개선을 위해 적용된 구조물이 제성능을 내지 못해서 성능 열화의 주요인이 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샤프트와 샤프트 지지 장치 사이에 클리어런스가 없도록 하여 낙하,충격에 의한 성능 열화가 없도록 샤프트의 일측은 수직방향으로 지지하고, 샤프트의 타측은 수평방향으로 지지하는 샤프트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광픽업 어셈블리에서 렌즈가 설치된 렌즈홀더의 직선운동을 안내하는 샤프트를 지지하는 광픽업용 샤프트 고정 장치에 있어서, 샤프트의 일단을 하측에서 받치는 V블럭; 상기 V블럭의 상측에서 샤프트에 수직방향으로 압압력을 가하는 수직스프링; 상기 샤프트의 타단을 측부에서 받치는 사면블럭; 및 상기 사면블럭을 향해 샤프트에 수평방향의 압압력을 가하는 수평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용 샤프트 고정 장치이다.
상기 사면블럭은 경사면을 가지는 쐐기형의 사면부재 2개를 맞붙여 홈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샤프트의 일단에는 회전력을 가할 수 있도록 돌출되어 형성된 회전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의 타단에는 상기 수평스프링의 수평방향의 힘을 받도록 상기 샤프트의 축심에서 편심되도록 돌출되어 형성된 편심축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수평스프링은 편심축의 회전에 따라 변형되어, 상기 편심축의 위치가 수평상태에 이를 때 그 변형량이 최대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수평스프링은 안착홈이 형성된 산형의 판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도면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샤프트의 일측은 수직방향으로 타측은 수평방향으로 지지하는 것을 요점으로 한다.
이를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샤프트(200)는 종래기술의 샤프트와 달리 형성된다.
상기 샤프트(200)의 일단에는 손이나 도구 등으로 잡고 상기 샤프트(200)를 돌릴 수 있도록 하는 회전돌기(201)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돌기(201)는 여러가지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각바의 형태로 형성되었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200)의 타단에는 상기 샤프트(200)의 회전중심축선 상에 대하여 소정의 거리만큼 편심된 편심축(202)이 형성된다.
상기 편심축(202)은 단면이 원형으로써 하기하는 수평스프링(214)에 대해 미끄럼 접촉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샤프트(200)의 일단은 베이스(도시생략)에 설치되는 V블럭(210)에 의해 하측에서 지지된다.
상기 V블럭(210)의 상측으로는 수직스프링(213)이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200)의 일단을 내리누르는 압압력을 제공한다.
상기 샤프트(200)의 일단을 지지하기 위한 상기 V블럭(210)과 상기 수직스프링(213)의 구성은 종래기술과 동일하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200)의 타단은 가이드블럭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지지된다.
상기 가이드블럭은 2개의 사면블럭(211,212)을 맞붙여서 V홈을 형성시켜 이루어지며, 상기 V홈이 수평방향을 향하도록 하여 상기 샤프트(200)의 타단을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블럭에 접하고 있는 상기 샤프트(200)의 타단을 수평방향으로 밀어붙이는 힘을 작용시키기 위해 상기 가이드블럭과 대면하는 방향으로 수평스프링(214)가 설치된다.
상기 수평스프링(214)은 상기 가이드블럭 또는 베이스(도시생략)에 고정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수평스프링(214)은 산형의 판스프링의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200)의 편심축(202)이 상기 수평스프링(214)을 타고 접촉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특히, 상기 수평스프링(214)에는 상기 편심축(202)이 안착할 수 있는 안착홈을 절곡하여 형성하는 것이, 상기 편심축(202)을 안정적을 설치하는데 바람직하다.
따라서,상기 샤프트(200)의 편심축(202)이 일정량 이상으로 회전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스프링(214)의 눌림량(변형량)이 발생하여, 상기 가이드블럭에 안착이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의 작동방법을 이하에 설명한다.
먼저, 렌즈홀더(도시생략, 도 1참조)를 베이스의 일정 위치에 구속될 수 있게 지그등을 이동하여 초기 구속한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200)를 상기 렌즈홀더와 체결하여 슬라이딩 조립을 한다.
이때 상기 샤프트(200)의 상기 회전돌기(201)를 잡고 돌려 상기 샤프트(200)의 편심축(202)이 상기 수평스프링(214)과 접촉하면서 상기 수평스프링(214)을 변형시켜서, 상기 수평스프링(214)에 의해 발생되는 탄성력으로 상기 가이드블럭에 수평방향으로 압압된다.
즉, 상기 편심축(202)이 회전하면서 상기 수평스프링(214)의 힘(탄성력)을 이기고 회전하다가, 상기 수평스프링(214)에 설치된 안착 턱부에 상기 편심축(202)이 걸리게 됨으로써, 상기 샤프트(200)의 타단은 가이드블럭과 상기 수평스프링(214) 사이에 구속된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200)의 일측은 종래기술과 마찬가지로, V블럭(210)과 수직스프링(213)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지지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 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렌즈가 설치된 렌즈홀더에 일체화하여 광축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구면 수차등 파면 수차를 개선하는 기능을 가지는 렌즈홀더 어셈블리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렌즈홀더의 가이드 수단으로 설치되는 샤프트의 안정적인 지지가 높은 신뢰도로 확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샤프트 고정장치는 작은 공간 내에서 관리해야 할 치수를 적게 하고, 샤프트의 지지구조에서 클리어런스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낙하등의 충격에 의한 성능 열화에 영향이 없게 할 수 있다.

Claims (5)

  1. 광픽업 어셈블리에서 렌즈가 설치된 렌즈홀더의 직선운동을 안내하는 샤프트를 지지하는 광픽업용 샤프트 고정 장치에 있어서,
    샤프트의 일단을 하측에서 받치는 V블럭;
    상기 V블럭의 상측에서 샤프트에 수직방향으로 압압력을 가하는 수직스프링;
    상기 샤프트의 타단을 측부에서 받치는 수평가이드블럭; 및
    상기 수평가이드블럭을 향해 샤프트에 수평방향의 압압력을 가하는 수평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용 샤프트 고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가이드블럭은 경사면을 가지는 쐐기형의 사면블럭 2개를 맞붙여 홈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용 샤프트 고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일단에는 회전력을 가할 수 있도록 돌출되어 형성된 회전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의 타단에는 상기 수평스프링의 수평방향의 힘을 받도록 상기 샤프트의 축심에서 편심되도록 돌출되어 형성된 편심축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용 샤프트 고정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스프링은 편심축의 회전에 따라 변형되어, 상기 편심축의 위치가 수평상태에 이를 때 그 변형량이 최대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용 샤프트 고정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스프링은 안착홈이 형성된 산형의 판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용 샤프트 고정 장치.
KR1020060002403A 2006-01-09 2006-01-09 광픽업용 샤프트 고정 장치 KR200700743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2403A KR20070074371A (ko) 2006-01-09 2006-01-09 광픽업용 샤프트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2403A KR20070074371A (ko) 2006-01-09 2006-01-09 광픽업용 샤프트 고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4371A true KR20070074371A (ko) 2007-07-12

Family

ID=38508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2403A KR20070074371A (ko) 2006-01-09 2006-01-09 광픽업용 샤프트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7437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06273B2 (en) Optical pickup
KR101216875B1 (ko) 렌즈 고정 장치 및 광 픽업 장치
US20100157779A1 (en) Objective lens drive device
JP4088326B2 (ja) 光学ピックアップ装置
KR20070074371A (ko) 광픽업용 샤프트 고정 장치
US7216354B2 (en) Guidance of an optical scanning device
CN110383668B (zh) 压电电动机
KR100455394B1 (ko) 광픽업의 렌즈 위치 결정 장치
JP3894712B2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058900A (ja) 光ヘッド
KR0181824B1 (ko) 균일한 가압구조를 갖는 요오크 플레이트 누름장치
JP4400597B2 (ja) 光ディスクの走査装置
TWI460721B (zh) 光碟驅動器及其機芯模組
KR0181829B1 (ko) 회전식 서스펜션 와이어 조립장치
KR20060136314A (ko) 광 디스크를 위한 스캐닝 디바이스
KR0175813B1 (ko)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트랙킹 코일 조립지그
JP5573148B2 (ja) 光ディスク装置
KR0175122B1 (ko)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홀더겔 고정조립장치
JP2003272198A (ja) 光ピックアップ
KR100491533B1 (ko) 광픽업 구동장치의 서스펜션 와이어 조립용 지그
JP2002279665A (ja) 対物レンズ駆動装置の調整機構、および該調整機構を備えた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JP2009515288A (ja) 記憶媒体にアクセスするための装置
JP2008287784A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2009116988A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KR20060024033A (ko) 광 픽업의 보정렌즈 조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