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4033A - 광 픽업의 보정렌즈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광 픽업의 보정렌즈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4033A
KR20060024033A KR1020040072854A KR20040072854A KR20060024033A KR 20060024033 A KR20060024033 A KR 20060024033A KR 1020040072854 A KR1020040072854 A KR 1020040072854A KR 20040072854 A KR20040072854 A KR 20040072854A KR 20060024033 A KR20060024033 A KR 200600240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lens unit
coupling groove
corre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2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형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2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24033A/ko
Publication of KR20060024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40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8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into, or out of, its operative position or across tracks, otherwise than during the transducing operation, e.g. for adjustment or preliminary positioning or track change or selec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25Electromechanical actuators for lens positioning
    • G11B7/0932Details of sprung supports

Landscapes

  • Moving Of The Hea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AREA)
  • Optical Hea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 픽업에 있어서, 특히 광 경로 상에 위치한 보정렌즈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광 픽업의 보정렌즈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 픽업의 보정렌즈 조정장치는, 내부에 보정렌즈가 구비되고 외주변에 경사부가 구비된 렌즈부와; 픽업 베이스의 광 경로 상에 상기 렌즈부가 결합되도록 형성된 렌즈부 결합홈과; 상기 렌즈부의 타측으로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과; 상기 렌즈부의 일측으로 상기 렌즈부의 회전 정도에 따라 상기 탄성수단의 압축 또는 신장에 의해 상기 렌즈부의 위치를 조정시켜 주기 위한 렌즈 위치 지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광 픽업, 보정렌즈, 조정

Description

광 픽업의 보정렌즈 조정장치{Adjustment apparatus for compensation Lens of optical pick-up}
도 1은 종래 광 픽업 광학계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종래 광 픽업의 보정렌즈 조정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종래 광 픽업의 보정렌즈 조정장치를 나타낸 결합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광 픽업의 보정렌즈 조정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보정렌즈 조정장치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렌즈부의 상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보정렌즈 조정장치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보정렌즈 조정장치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픽업 베이스 111...렌즈부 결합홈
120...렌즈부 121...보정렌즈
122...렌즈몸체 123...경사부
124...렌즈 조정부 125...코일 스프링
130,230,330...렌즈 위치 지지수단
본 발명은 광 픽업에 있어서, 특히 광 경로 상에 위치한 보정렌즈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광 픽업의 보정렌즈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픽업 광학계의 구성은 크게 빛(beam)을 만들어 내는 레이저 다이오드(LD)와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만들어진 빛을 조정하는 렌즈와 거울 그리고 기록체인 디스크 표면에서 반사되어 오는 빛을 검출하는 센서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레이저 다이오드는 각종 광학소자와 디스크에 따라 빛을 방출 할 때 그 빛을 이용해서 원하는 서보를 동작시켜 광픽업으로서의 역할을 하게끔 이용한다.
그리고,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방사되는 빛이 디스크에 맺히는 빛과 포토 다이오드(Photo Diode)에 맺히는 빛의 초점을 맞추기 위해 사용되는 렌즈가 있는데 그것을 보정렌즈(NA compensation Lens ) 라 한다.
도 1은 종래 광픽업 광학계의 구성도를 보인 것으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이저 다이오드(1)에서 방출된 빛이 보정렌즈(2)와 그레이팅(3)을 통과하여 프리즘(4)에 입사된 후, 프리즘(4)의 일측에 배치된 하프 미러(5)를 통과하고, 콜리메터 렌즈(6) 및 대물렌즈(7)를 통과하여 디스크(9)에 맺힘과 아울러, 프리즘(4)의 타측부에 배치된 포토 다이오드(8)에 맺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광픽업 광학계는 도시한 바와 같이 빛을 방출하기 위하여 레이저 다이오드(1)가 사용되고 있으며, 광픽업에서 기본 레이저 다이오드(1)를 이용 디포커스(defocus)를 조정하기 위해 보정렌즈(2)를 사용하고 있는데 보정렌즈(2)를 앞 또는 뒤로 이동시켜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방출되는 빛의 초점을 맞추어 주면서 광픽업에서 필요로 하는 서버(Server)를 걸고 디포커스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2 및 도 3은 종래 보정렌즈 고정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광학 부품이 설치되는 픽업 베이스(10)와, 상기 픽업 베이스(10) 내에 레이저 다이오드(LD)로부터 발생되는 빔 경로 상에 형성된 홀더 삽입홈(11)과, 상기 홀더 삽입홈(11)으로 삽입되며 내부에 보정렌즈(21)가 결합된 원통형의 보정렌즈 홀더(20)와, 상기 보정렌즈 홀더(20)의 상면을 지지하기 위해 일단 고정부(23a)가 베이스 면에 나사(24)로 체결되며 타단의 탄성편(23b)이 보정렌즈 홀더(20)를 지지하는 홀더 스프링(23)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보정렌즈 고정 장치에 대하여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보정렌즈 홀더(20)는 원통형 형상을 갖고, 내측으로 보정렌즈(21)이 부착되고, 픽업 베이스(10) 내의 광 경로 상에 형성된 홀더 삽입홈(11)으로 삽입된다. 이때 보정렌즈(21)가 광 경로에 수직하게 삽입된다.
그리고, 홀더 스프링(23)은 고정부(23a) 및 탄성편(23b)이 일체로 형성되며, 일단의 고정부(23a)가 픽업 베이스(10)에 형성된 안착홈(13)으로 안착된 후 나사(24)로 상기 안착홈(13) 및 고정부(23a)에 형성된 나사구멍(12)으로 체결되어 고정된다. 이때, 타단의 탄성편(23b)은 상기 보정렌즈 홀더(20)의 상면을 일정 탄성력으로 도 3과 같이 눌러 지지하게 된다. 상기 홀더 스프링(23)의 탄성편(23b)은 고정부(23a)의 지지를 받아 약간의 경사를 갖고 홀더 스프링(23)에 대해 소정의 탄성력을 눌러준다.
이와 같이, 픽업 베이스(10)에 삽입된 보정렌즈 홀더(20)를 홀더 스프링(23)을 지지하여 줌으로써, 보정렌즈 홀더(20)의 상부 이탈을 방지하면서, 보정렌즈 홀더(20)의 회전을 가능케 해 준다. 이 상태에서 보정렌즈(21)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보정렌즈 홀더(20)의 조정홈(22b)을 이용하여 디 포커싱을 조정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보정렌즈 고정장치는 보정렌즈(21)를 고정하기 위한 기구적인 요소 즉, 홀더(20), 홀더 스프링(30), 나사(23), 나사 구멍(12) 등이 추가적으로 구비됨으로써, 작업성, 가격, 설비 투자, 부품 수 등으로 인해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보정렌즈를 광 경로 상에 별도의 홀더 없이도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광 픽업의 보정렌즈 조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보정렌즈가 탑재된 렌즈부 일측으로 균일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수단과 렌즈부 타측으로 상기 탄성력의 압축 또는 신장 정도를 조정하여 렌즈 구면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여, 초점 조정을 가능케 하는 광 픽업의 보정렌즈 조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광 픽업의 보정렌즈 조정장치는,
내부에 보정렌즈가 구비되고 외주변에 경사부가 구비된 렌즈부와;
픽업 베이스의 광 경로 상에 상기 렌즈부가 결합되도록 형성된 렌즈부 결합홈과;
상기 렌즈부의 타측으로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과;
상기 렌즈부의 일측으로 상기 렌즈부의 회전 정도에 따라 상기 탄성수단의 압축 또는 신장에 의해 상기 렌즈부의 위치를 조정시켜 주기 위한 렌즈 위치 지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렌즈부는 외주변 양측 각각에 띠 모양으로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렌즈 위치 지지수단과 접촉되도록 경사진 경사면 및 타측이 상기 탄성수단에 의해 균일한 압력을 제공받는 평면을 포함하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면을 따라 렌즈 위치 지지수단이 이동되어 상기 보정렌즈의 위치 조정이 가능토록 상기 경사부 사이에 형성된 렌즈 위치 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렌즈부 결합홈의 타측과 상기 렌즈부의 타측 사이에 결합되는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렌즈 위치 지지수단은 상기 렌즈부 결합홈의 일측에 형성되어 대향하는 상기 렌즈부의 일측과 접촉되어, 상기 렌즈부의 회전에 의한 상기 탄성 수단의 압축 또는 신장으로 상기 보정 렌즈의 거리 조정이 가능토록 상기 렌 즈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렌즈 위치 지지수단은 상기 렌즈부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되도록 렌즈부의 둘레면과 인접하는 렌즈부 결합홈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렌즈 위치 지지수단은 나사 타입으로 픽업 베이스의 렌즈부 결합홈을 통해 렌즈부의 경사면에 접촉하여, 상기 렌즈부의 외주변에 형성된 경사면과 접촉되도록 하여 상기 나사의 체결 정도 및 렌즈부의 회전 정도에 의해 보정 렌즈 위치의 조정이 가능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광 픽업의 보정렌즈 조정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픽업 베이스(110)의 광 경로 상에 형성된 렌즈부 결합홈(111)과; 상기 렌즈부 결합홈(111)에 결합되며, 내부에 보정렌즈(121)가 탑재되고 외주변 양측에 띠 모양의 일측면이 경사진 경사부(123)를 포함한 렌즈부(120)와; 상기 렌즈부(120)의 타측을 가압하기 위해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수단(125)과; 상기 렌즈부(120)의 타측을 지지하고 상기 렌즈부(120)의 회전 정도에 따라 상기 렌즈부(120)의 경사부(123)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렌즈부(120)를 전/후 이동시켜 주기 위한 렌즈위치 지지수단(130)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광 픽업의 보정렌즈 조정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업 베이스(110)에는 광 진행 방향으로 렌즈부 결합홈(111)을 형성하고, 상기 렌즈부 결합홈(111)의 양측에는 광이 진행할 수 있도록 빔 통과공(113)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렌즈부 결합홈(111)의 양 내측면에는 스프링 고정부(112) 및 렌즈 위치 지지수단(130)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렌즈부(120)는 원통형 몸체(122)의 내부에 보정렌즈(121)가 일체로 고정되며, 몸체 외주변 양측에 띠 모양으로 형성된 경사부(123)가 형성되며, 상기 경사부(123)와 경사부 사이에 이격된 공간에 해당하는 렌즈 조정부(124)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경사부(123)는 상기 렌즈 위치 지지수단(130)과 대향하는 일측면(123b)이 완만하게 경사진 구조로 형성되며, 타측면(123a)은 평평한 면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렌즈부(120)의 일측 및 타측에는 상기 렌즈 구면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수단이 결합되는데, 렌즈 위치 조정수단으로서 균일한 탄성력이 발생되는 코일 스프링(125)이 결합된다. 상기 코일 스프링(125)은 상기 렌즈부 결합홈(111)의 타측면(111a)과 렌즈부(120)의 경사부 타측면(123a) 사이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코일 스프링(125)은 타측이 스프링 고정부(112)에 고정되며, 일측이 렌즈부 하부 몸체(122b)에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렌즈부(120)의 경사부(123)의 하부에 코일 스프링(125)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코일 스프링(125)를 압입한 후 상기 렌즈부(120)를 렌즈부 결합홈(111)에 안착시켜 준다. 이때, 렌즈부(120)의 일측에는 경사부(123)의 일측면(123b)과 렌즈 위치 지지수단(130)이 접촉되게 하고, 렌즈부(120)의 타측에는 경사부(123)의 타측면(123a)과 코일 스프링(125)이 결합된다.
이와 같이, 픽업 베이스(110)의 광 경로 상에 구비된 렌즈부 결합홈(111)으로 렌즈부(120)가 결합된다.
이후, 보정 렌즈(121)를 앞 또는 뒤로 이동시켜 초점을 보정하고자 할 경우, 상기 렌즈부(120)의 경사부(123) 사이에 형성된 렌즈 조정부(124)를 좌회전 또는 우회전시켜 주면, 상기 경사부(123)의 경사면(123b)을 따라 렌즈 위치 조정수단(130)이 이동하게 된다. 이때 렌즈부(120)의 타측에서는 코일 스프링(125)이 균일한 압력을 제공함으로써, 렌즈 위치 조정수단(130)의 경사면(123b)의 이동을 가능케하여, 렌즈부(120)를 전 또는 후 방향으로 이동을 가능케 해 준다.
여기서, 렌즈부(120)는 경사면의 양측 중앙이 최소 이동거리이고, 양측 끝단이 최대 이동거리가 된다.
도 6은 렌즈부(120)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6의 (a)~(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부(120)는 외주변 중앙에 띠 모양으로 좌/우에 경사부(123)가 형성되며, 상기 경사부9123)는 일측면(123b)이 경사지게 형성되며, 타측면(123a)은 평면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경사부(123)와 경사부(123) 사이에는 렌즈 조정부(124)가 형성되어, 렌즈부(120)의 회전을 가능케하여, 렌즈부(120)가 앞 또는 뒤로 이동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렌즈부(120)의 경사부 외측에서 상기 경사부(123)의 경사면(123b)과 접촉되는 렌즈 위치 지지수단(230)을 설치함으로써, 경사면(123b)을 따라 이동하여 렌즈부(120)의 앞/ 뒤 위치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렌즈부(120)의 경사부 전방에서 상기 경사부(123)의 경사면(123b)과 접촉되는 렌즈 위치 지지수단(330)을 나사 타입으로 형성시켜 줌으로써, 외부에서 상기 렌즈 위치 지지수단(330)을 회전시켜 줄 수 있도록 하여, 렌즈 위치 미세 조정이 가능케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보정렌즈 위치 조정장치가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발생되는 입사 빔과의 거리 조정을 통해 초점을 맺게 하는 것으로, 레어저 다이오드가 서로 다른 파장 또는 복수개일 지라도 상기의 보정렌즈 위치 조정장치를 픽업 베이스의 광 경로 상에 결합하여 위치 조정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다른 형태의 실시 예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 픽업의 보정렌즈 조정장치에 의하면, 기존과 같이 렌즈 홀더 및 판 스프링 등을 구비하지 않고도 보정렌즈 위치를 조정할 수 있어, 작업성 향상, 가격 경쟁력 상승, 부품 수 감소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내부에 보정렌즈가 구비되고 외주변에 경사부가 구비된 렌즈부와;
    픽업 베이스의 광 경로 상에 상기 렌즈부가 결합되도록 형성된 렌즈부 결합홈과;
    상기 렌즈부의 타측으로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과;
    상기 렌즈부의 일측으로 상기 렌즈부의 회전 정도에 따라 상기 탄성수단의 압축 또는 신장에 의해 상기 렌즈부의 위치를 조정시켜 주기 위한 렌즈 위치 지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픽업의 보정렌즈 조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외주변 양측 각각에 띠 모양으로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렌즈 위치 지지수단과 접촉되도록 경사진 경사면 및 타측이 상기 탄성수단에 의해 균일한 압력을 제공받는 평면을 포함하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면을 따라 렌즈 위치 지지수단이 이동되어 상기 보정렌즈의 위치 조정이 가능토록 상기 경사부 사이에 형성된 렌즈 위치 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픽업의 보정렌즈 조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렌즈부 결합홈의 타측과 상기 렌즈부의 타측 사이에 결합되는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픽업의 보정렌즈 조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위치 지지수단은 상기 렌즈부 결합홈의 일측에 형성되어 대향하는 상기 렌즈부의 일측과 접촉되어, 상기 렌즈부의 회전에 의한 상기 탄성 수단의 압축 또는 신장으로 상기 보정 렌즈의 거리 조정이 가능토록 상기 렌즈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픽업의 보정렌즈 조정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위치 지지수단은 상기 렌즈부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되도록 렌즈부의 둘레면과 인접하는 렌즈부 결합홈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픽업의 보정렌즈 조정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위치 지지수단은 나사 타입으로 픽업 베이스의 렌즈부 결합홈을 통해 렌즈부의 경사면에 접촉하여, 상기 렌즈부의 외주변에 형성된 경사면과 접촉되도록 하여 상기 나사의 체결 정도 및 렌즈부의 회전 정도에 의해 보정 렌즈 위치의 조정이 가능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픽업의 보정렌즈 조정장치.
KR1020040072854A 2004-09-13 2004-09-13 광 픽업의 보정렌즈 조정장치 KR200600240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2854A KR20060024033A (ko) 2004-09-13 2004-09-13 광 픽업의 보정렌즈 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2854A KR20060024033A (ko) 2004-09-13 2004-09-13 광 픽업의 보정렌즈 조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4033A true KR20060024033A (ko) 2006-03-16

Family

ID=37130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2854A KR20060024033A (ko) 2004-09-13 2004-09-13 광 픽업의 보정렌즈 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2403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8540B1 (ko) * 2020-07-29 2021-09-07 주식회사 성지전자 렌즈 홀더 고정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3014A (ja) * 1996-09-06 1998-03-31 Asahi Optical Co Ltd ズーミング装置
KR100267245B1 (ko) * 1997-11-29 2000-11-01 윤종용 셔틀방식스캐너의렌즈위치조정장치
JP2002062466A (ja) * 2000-08-22 2002-02-28 Sigma Corp ピント調整機構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3014A (ja) * 1996-09-06 1998-03-31 Asahi Optical Co Ltd ズーミング装置
KR100267245B1 (ko) * 1997-11-29 2000-11-01 윤종용 셔틀방식스캐너의렌즈위치조정장치
JP2002062466A (ja) * 2000-08-22 2002-02-28 Sigma Corp ピント調整機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8540B1 (ko) * 2020-07-29 2021-09-07 주식회사 성지전자 렌즈 홀더 고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08677B2 (ja) 光学式ピックアップの対物レンズ姿勢調整機構
US7206273B2 (en) Optical pickup
KR101216875B1 (ko) 렌즈 고정 장치 및 광 픽업 장치
KR20060024033A (ko) 광 픽업의 보정렌즈 조정장치
US7792008B2 (en) Optical pickup apparatus
JP2005115999A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US5249173A (en) Galvanomirror unit
EP1331634B1 (en) Lens holder having an adjustment groove with taper shape
JPS6043229A (ja) 光学式記録情報再生装置のピツクアツプ
JP3943059B2 (ja) 光ヘッド装置
EP1901102B1 (en) Tilt adjusting mechanism for objective lens
US20040101349A1 (en) Fastening element
KR100455399B1 (ko) 광픽업의 렌즈 위치 조정 장치
JP3875187B2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KR0116645Y1 (ko) 광 픽업 구조체
JP3999240B2 (ja) 光ヘッド及び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H11102525A (ja) レンズ位置調整固定装置及びレンズ位置調整固定方法
KR100313361B1 (ko) 광 주사장치의 레이저 다이오드 모듈
KR100640565B1 (ko) 광픽업 조립체 및 그 조립방법
US20070109632A1 (en) Optical pickup apparatus
JPS621127A (ja) 光ピツクアツプ装置
JP3095451U (ja) 光ピックアップ
JP2009116988A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2007134020A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H08340150A (ja) 光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