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1829B1 - 회전식 서스펜션 와이어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회전식 서스펜션 와이어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1829B1
KR0181829B1 KR1019960019120A KR19960019120A KR0181829B1 KR 0181829 B1 KR0181829 B1 KR 0181829B1 KR 1019960019120 A KR1019960019120 A KR 1019960019120A KR 19960019120 A KR19960019120 A KR 19960019120A KR 0181829 B1 KR0181829 B1 KR 0181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ixing
wire
suspension
y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9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6586A (ko
Inventor
이관철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60019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1829B1/ko
Publication of KR970076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65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1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18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22Apparatus or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f optical heads, e.g. assembl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25Electromechanical actuators for lens positioning
    • G11B7/0932Details of sprung suppor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25Electromechanical actuators for lens positioning
    • G11B7/0933Details of stationary par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서스펜션 와이어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요오크 플레이트(271) 및 대물렌즈 홀더(280)가 안치되고, 상기 요오크 플레이트 누름장치(B)를 사용하여 고정시킨 후에 일정각도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 요오크 플레이트 안치부재(220)와, 상기 요오크 플레이트 안치부재(220)의 양측면에 설치되어 요오크 플레이트 어셈블리(270)의 홀더겔(272) 및 서스펜션 피씨비(273)에 끼워지는 직경이 각각 다른 다수개의 서스펜션 와이어가 끼워지도록 형성된 와이어 끼움부재(230)와, 상기 와이어 끼움부재(230)에 인접한 위치의 요오크 플레이트 안치부재(220)에 끼움 결합되어 요오크 플레이트 안치부재(220)가 일정각도 세워지도록 지지하는 고정판 회전지지부재(200)와, 상기 고정판 회전지지부재(200)를 수평 위치인 원상태로 복귀 시킬때 요오크 플레이트 안치부재(220)의 충격을 완화하도록 고정판 회전지지부재(200)상에 설치된 충격 완충부재(26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서스펜션 와이어 조립장치인 바, 서스펜션 와이어를 각기 다른 직경의 것으로 선택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조립시키므로써 광픽업의 조립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 발명이다.

Description

회전식 서스펜션 와이어 조립장치
제1도는 종래 서스펜션 와이어 조립장치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종래 서스펜션 와이어 조립장치의 사용상태 사시도.
제3도는 종래 서스펜션 와이어 조립장치의 사용상태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회전식 서스펜션 와이어 조립장치의 분해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회전식 서스펜션 와이어 조립장치의 결합 상태 사시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판 가압 고정부재의 구성 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 완충부재의 구성 단면도.
제8a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서스펜션 와이어 끼움상태 단면도.
제8b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서스펜션 와이어 끼움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고정판 가압 고정부재 201 : 고정판 고정지그
207 : 회전축 220 : 요오크 플레이트 안치부재
221 : 요오크 플레이트 고정판 227 : 손잡이
230 : 와이어 끼움부재 231 : 제1와이어 판체
233 : 제2와이어 판체 236 : 제3와이어 판체
238 : 제4와이어 판체 250 : 고정판 가압 고정부재
251 : 탄성돌기 252 : 탄성스프링
260 : 충격 완충부재 261 : 몸체
263 : 스프링 264 : 받침돌기
본 발명은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서스펜션 와이어를 조립하기 위한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요오크 플레이트 누름장치로 요오크 어셈블리 및 대물렌즈 홀더를 요오크 플레이트 안치부재상에 눌러 고정시키고, 이 요오크 플레이트 안치부재를 고정판 회전지지부재에서 회전축에 대해 수평에서부터 수직으로 회전시킨 후에 서스펜션 와이어를 대물렌즈 홀더의 양측에 납땜 조립시키므로써 서스펜션 와이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조립하여 광픽업의 조립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회전식 서스펜션 와이어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픽업 액츄에이터는 미니 디스크 플레이어(MDP),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CDP)나 레이저 디스크 플레이어(LDP)와 같은 각종 광학디스크 플레이어의 광기록 매체인 디스크 수직하방에 설치되어 그 디스크의 레디얼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면서 디스크상에서 원하는 트랙위치를 검출하고 검출된 트랙위치에서는 디스크면상에 기록된 피트에 레이저 광을 입사시킨 다음 그 반사광을 광학계를 통하여 검출하고, 이렇게 검출된 반사광을 신호로 변화시켜서 디스크면상에 기록내용을 재생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이, 광픽업 액츄에이터는 매우 정밀한 부품들이 조립되어서 구성되는 정밀광학 제품으로써 디스크에 레이져 광을 입사시키는 대물렌즈가 고정되어 있는 대물렌즈 홀더의 양측면에는 코일 서스펜션이 부착되어 있으며, 그 코일 서스펜션에는 대물렌즈 홀더에 장착되는 포커싱조정코일 및 트랙킹조정코일에 전기를 공급하고 대물렌즈 홀더가 상,하,좌,우 동작할 수 있도록 지탱해주는 서스펜션 와이어가 납땜고정 조립되어진다.
한편, 종래에는 요오크 플레이트 누름장치를 사용하여 대물렌즈 및 요오크 플레이트 어셈블리를 조립지그상에 눌러 고정시킨 후에 서스펜션 와이어를 대물렌즈 홀더의 양측면에 위치시켜 와이어를 코일 피씨비에 납땜 조립시키는 서스펜션 와이어 조립장치가 본 발명자에 의해 출원번호 95-67902호로 제안되어진 바가 있으며, 본 발명자는 이 발명을 개량시킨 새로운 발명품을 제안하는 바이다.
먼저,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자에 의해 발명된 종래의 서스펜션 와이어 조립장치의 구성을 살펴보면, 조립지그(112)상에 안치된 요오크 플레이트(118)와, 상기 요오크 플레이트(118)의 내측 요오크(122) 사이에 설치된 대물렌즈 홀더(128)를 고정시켜서 대물렌즈 홀더(128)의 양측면에 부착된 코일 피씨비(130)에 서스펜션 와이어(126)를 납땜 조립시키도록 해주는 고정조립장치에서 조립지그(12)상에 안치된 요오크 플레이트(118) 및 대물렌즈 홀더(128)를 요오크 플레이트 누름장치(A)를 사용하여 눌러 고정시키는 것이다.
한편, 상기 요오크 플레이트 누름장치(A)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요오크 플레이트(118)의 두 외측 요오크 플레이트(121)상에 접촉되는 요오크 누름면(51)이 형성되고, 중심부에 상하로 관통된 상,하 관통공(52)이 형성되어 요오크 플레이트(118)를 조립지그(112)상으로 눌러서 고정시키는 유동누름편(50)과, 상기 유동누름편(50)의 상,하 관통공(52)에 끼워져서 요오크 플레이트(118)의 내측 요오크 (122)사이에 설치된 대물렌즈 홀더(128)의 상부면을 눌러 고정시키고, 상부 외주면에 나사부(62)가 형성되며 중심부에 상하로 관통된 회전공(63)이 형성된 몸체(60)와, 상기 몸체(60)의 외주부에 끼워져 설치되어 상기 유동누름편(50)에 탄성력을 제공해주는 스프링(80)과, 상기 스프링(80)을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몸체(60)의 나사부(62)에 체결되는 나사공(91)에 의해 몸체(60)에 고정되는 고정편(90)과, 상기 몸체(60)의 회전공(63)에 끼워져서 회전하여서 일측 끝단부에 형성된 하부 나사산(72)이 조립지그(112)의 나사공(113)에 체결 혹은 분리되므로써 유동누름편(50)과 몸체(6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회전축(70)과, 상기 회전축(70)의 타단에 형성된 상부 나사산(71)에 체결 고정되는 수직나사공(101)이 형성되고 회전축(70)을 회전시켜주는 회전편(100) 등으로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몸체(60)의 회전공(63)에 끼워진 회전축(7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하부 나사산(72)을 통해 압압편(150)이 끼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몸체(60)의 하단 외주부에는 몸체(60)에 끼워진 유동누름편(50)이 걸려지는 걸림턱(61)이 형성되어서 유동누름편(50)이 하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편(100)에는 수직나사공(101)에서 외측 수평으로 관통되는 수평나사공(102)을 형성하고, 상기 수평나사공(102)에 체결되어서 회전편(100)의 수직나사공(101)에 체결된 회전축(70)을 고정시키는 고정나사(110)로 구성된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종래 발명의 작용,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종래 서스펜션 와이어 조립장치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대물렌즈 홀더(128)와 요오크 플레이트(118)를 조립지그(112)상에 안치시켜 조립시키는 과정을 살펴보면, 요오크 플레이트(118)의 관통공(120)을 조립지그(112)의 고정보스(114)를 통해서 요오크 플레이트(118)를 조립지그(112)에 안치시키면 요오크 플레이트(118)의 고정공(119)이 조립지그(112)의 유동방지돌기(115)에 끼워지게 되어 요오크 플레이트(118)가 회전이 방지된 상태로 조립지그(112)상에 안치되어진다.
그리고, 요오크 플레이트(118)의 내측 요오크(122) 사이에 요오크 끼움홈(127)을 통해서 대물렌즈 홀더(128)를 안치시키게 되면 대물렌즈 홀더(128) 밑바닥의 사각요홈이 조립지그(112)상에 돌설되어 있는 팔각형의 위치조정보스에 끼워지므로써 대물렌즈 홀더(28)가 위치조정 되어진다.
이와 같이, 요오크 플레이트(118) 및 대물렌즈 홀더(128)를 조립지그(112)상에 안치시킨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장치의 회전편(100)을 잡고서 유동누름편(50)의 요오크누름면(51)이 요오크 플레이트(118)의 두 외측 요오크(121)상에 접촉되는 상태에서 회전축(70)의 하부 나사산(72)이 조립지그(112)의 나사공(113)에 진입되기 전의 상태로 있게 된다.
그리고, 계속해서 회전편(100)을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회전축(70)의 하부 나사산(72)이 조립지그(112)의 나사공(113)에 체결됨에 따라서 몸체(60)가 하부로 이동하게 되어 몸체(60)의 저면부가 대물렌즈 홀더(128)의 상부면을 압압시키게 되어 대물렌즈 홀더(128)를 조립지그(112)상에 단단히 고정시키게된다.
또한, 몸체(60)의 하향 이동에 의해 요오크 플레이트(118)의 외측 요오크(121)상에 접촉된 유동누름편(50) 역시 요오크 누름면(51)이 외측 요오크(121)의 상부면을 서서히 적당한 압력으로 누르게 되며, 몸체(60)의 저면과 회전축(70)에 끼움결합된 압압편(150)의 누름면(151)은 대물렌즈 홀더(128)를 눌러서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대물렌즈 홀더(128)와 요오크 플레이트(118)가 조립지그(112)상에 안치된 상태에서 한쌍의 서스펜션 끼움공(116)으로 서스펜션 와이어(125)를 끼워서 서스펜션 와이어(125)가 대물렌즈 홀더(128)의 양측면에 접착된 코일 피씨비(130)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서스펜션 와이어(125)를 코일 피씨비(130)의 측면부에 납땜 고정시키도록 하고, 서스펜션 피씨비(126)와 홀더겔(124)에 끼워진 서스펜션 와이어(125)를 서스펜션 피씨비(126)에 납땜시키고서 조립을 완료시킨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조립지그는 수평의 상태로 놓아두고 그 조립지그 위에 홀더겔 및 서스펜션 피씨비 등이 고정된 요오크 플레이트에 안치시키고, 다시 요오크 플레이트 누름장치를 사용하여 대물렌즈 홀더의 상부면을 눌러 요오크 플레이트 및 대물렌즈 홀더 등을 견고히 고정시킨 후에 조립지그 사이에 형성된 서스펜션 끼움공을 통해 서스펜션 와이어를 수평으로 삽입시켜 놓고 와이어를 대물렌즈 홀더의 양측면에 납땜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조립지그가 수평으로 놓여진 상태에서 와이어를 조립지그의 좌,우 양측에 각각 형성된 서스펜션 끼움공에 끼워야 하므로 작업자가 서스펜션 와이어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서스펜션 끼움공에 끼워넣지 못하게 되어 광픽업의 조립성 및 생상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서스펜션 와이어에는 씨디(CD)용의 와이어 굵기와 엘디피(LDP)용의 와이어의 굵기가 각각 다르기 때문에 종래의 조립지그의 서스펜션 끼움공의 크기는 두 개 중에 하나의 굵기만을 선택하여 사용해야 하므로 씨디용 및 엘디피용으로 별도의 조립지그를 제작하는데 따른 생산단가가 증가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한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요오크 플레이트 누름장치로 요오크 어셈블리 및 대물렌즈 홀더를 요오크 플레이트 안치부재상에 눌러 고정시키고, 이 요오크 플레이트 안치부재를 고정판 회전지지부재에서 회전축에 대해 수평에서부터 수직으로 회전시킨 후에 서스펜션 와이어를 대물렌즈 홀더의 양측에 납땜 조립시키므로써 서스펜션 와이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조립하여 광픽업의 조립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목적이다.
이러한 목적은 요오크 플레이트상에 홀더겔 및 서스펜션 피씨비 등이 고정된 요오크 플레이트 어셈블리와, 상기 요오크 플레이트의 레이저 통과공상에 설치된 대물렌즈 홀더와, 상기 대물렌즈 홀더 및 요오크 플레이트 어셈블리를 눌러 고정시키는 요오크 플레이트 누름장치로 구성된 서스펜션 와이어 조립장치로서, 상기 요오크 플레이트 및 대물렌즈 홀더가 안치되고, 상기 요오크 플레이트 누름장치를 사용하여 고정시킨 후에 일정각도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 요오크 플레이트 안치부재와, 상기 요오크 플레이트 안치부재의 양측면에 설치되어 요오크 플레이트 어셈블리의 홀더겔 및 서스펜션 피씨비에 끼워지는 직경이 각각 다른 다수개의 서스펜션 와이어가 끼워지도록 형성된 와이어 끼움부재와, 상기 와이어 끼움부재에 인접한 위치의 요오크 플레이트 안치부재에 끼움 결합되어 요오크 플레이트 안치부재가 일정각도 세워지도록 지지하는 고정판 회전지지부재와, 상기 고정판 회전지지부재의 일측면상에 설치되어 세워진 고정판 회전지지부재의 일측면을 눌러 고정시키는 고정판 가압 고정부재와, 상기 요오크 플레이트 안치부재에 세워진 고정판 회전지지부재를 수평위치인 원상태로 복귀시킬 때 요오크 플레이트 안치부재의 충격을 완화하도록 고정판 회전지지부재상에 설치된 충격 완충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서스펜션 와이어 조립장치를 제공하므로써 달성되어진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발명에 따른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제4도 내지 제8도(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은 요오크 플레이트(271)상에 홀더겔(272) 및 서스펜션 피씨비(273) 등이 고정된 요오크 플레이트 어셈블리(270)와, 상기 요오크 플레이트(271)의 레이저 통과공상에 설치된 대물렌즈 홀더(280)와, 상기 대물렌즈 홀더(280) 및 요오크 플레이트 어셈블리(270)를 눌러 고정시키는 요오크 플레이트 누름장치(B)로 구성된 서스펜션 와이어 조립장치로서, 상기 요오크 플레이트(271) 및 대물렌즈 홀더(280)가 안치되고, 상기 요오크 플레이트 누름장치(B)를 사용하여 고정시킨 후에 일정각도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 요오크 플레이트 안치부재(220)와, 상기 요오크 플레이트 안치부재(220)의 양측면에 설치되어 요오크 플레이트 어셈블리(270)의 홀더겔(272) 및 서스펜션 피씨비(273)에 끼워지는 직경이 각각 다른 다수개의 서스펜션 와이어가 끼워지도록 형성된 와이어 끼움부재(230)와, 상기 와이어 끼움부재(230)에 인접한 위치와 요오크 플레이트 안치부재(220)에 끼움 결합되어 요오크 플레이트 안치부재(220)가 일정각도 세워지도록 지지하는 고정판 회전지지부재(200)와, 상기 고정판 회전지지부재(200)의 일측면 상에 설치되어 세워진 고정판 회전지지부재(200)의 일측면을 눌러 고정시키는 고정판 가압 고정부재(250)와, 상기 요오크 플레이트 안치부재(220)에 세워진 고정판 회전지지부재(200)를 수평위치인 원상태로 복귀시킬 때 요오크 플레이트 안치부재(220)의 충격을 완화하도록 고정판 회전지지부재(200)상에 설치된 충격 완충부재(260)로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요오크 플레이트 안치부재(220)는 요오크 플레이트(271)의 끼움공(275)이 끼워지는 끼움돌기(222)가 상부면에 형성되고, 대물렌즈 홀더(280)를 누르는 요오크 플레이트 누름장치(B) 회전축(291)의 나사산(292)이 체결되는 나사홈(223)이 형성된 요오크 플레이트 고정판(221)과, 상기 요오크 플레이트 고정판(221)의 양측면에 상부와 측면이 개방되게 각각 일정깊이 함몰되어 형성된 제1, 제2측면요홈(224)(225)과, 상기 제1측면요홈(224) 혹은 제2측면요홈(225)에서 인접한 위치의 요오크 플레이트 고정판(221)에 좌,우로 관통되어 형성된 관통공(226)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요오크 플레이트 고정판(221)의 좌,우 양측에 요오크 플레이트 고정판(221)을 잡고 회전시키기 용이하도록 손잡이(227)를 형성한다.
한편, 상기 고정판 회전지지부재(200)는 상기 요오크 플레이트 안치부재(220)인 요오크 플레이트 고정판(221)의 저면부가 안치되는 제1평탄면(202)이 형성되고, 그 보다 낮은 위치에 상기 충격 완충부재(260)가 설치되는 제2평탄면(205)이 형성된 고정판 회전지그(201)와, 상기 고정판 회전지그(201)의 제1평탄면(202)의 좌,우 양측 모서리상에 돌출되어 좌,우측으로 관통 형성된 끼움공(204)이 형성된 고정턱(203)과, 상기 고정턱(203)의 끼움공(204)을 통해 제1평탄면(202)상에 안치된 요오크 플레이트 고정판(221)의 관통공(226)으로 끼워져 요오크 플레이트 고정판(221)의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축(207)과, 상기 회전축(207)의 나사부(208)에 체결되어 전축(207)을 고정하는 너트(209)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 끼움부재(230)는 상기 요오크 플레이트 고정판(221)의 제1, 제2측면요홈(224)(225)에 설치되어 직경이 작은 제1서스펜션 와이어(300)가 끼워지는 제1, 제3와이어 끼움공(232)(237)이 각각 형성된 제1, 제3와이어 판체(231)(236)과, 상기 제1, 제2측면요홈(224)(225)에 설치되어 제1서스펜션 와이어(300)보다 직경이 큰 제2서스펜션 와이어(301)가 끼워지는 제2, 제4와이어 끼움공(234)(239)이 각각 형성된 제2, 제4와이어 판체(233)(238)과, 상기 제1, 제2, 제3, 제4와이어 판체(231)(233)(236)(238)를 체결 고정시키는 고정나사(235)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2, 제3, 제4와이어 판체(231)(233)(236)(238) 중에 각각 두개의 판체는 제1서스펜션 와이어(300) 혹은 제2서스펜션 와이어(301) 중에 하나의 와이어가 선택되어 끼워지도록 호환하여 구성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판 가압 고정부재(250)는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으로 세워지는 요오크 플레이트 고정판(221)의 측면을 눌러 고정시키도록 고정판 회전지그(201)의 고정턱(203)에 형성된 요홈(251)에 설치되는 탄성돌기(251)와, 상기 탄성돌기(251)의 배면을 눌러 탄성력을 가하도록 요홈(251)에 설치되는 탄성스프링(252)으로 구성되며, 상기 탄성돌기(251)의 끝단부는 접촉을 향상시키기 위해 둥글게 형성시킨다.
한편, 상기 충격 완충부재(260)는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판 회전지그(201)의 제2평탄면(205)에 형성된 체결홈(206)으로 체결되는 나사돌기(265)가 저면에 돌출 형성되고, 내부에 설치홈(262)이 형성된 몸체(262)와, 상기 몸체(262)의 설치홈(262)내에 끼워져 요오크 플레이트 고정판(221)의 저면에 접촉되어 충격을 완화시키는 받침돌기(264)와, 상기 받침돌기(264)에 탄성력을 가하기 위해 설치홈(262)내에 설치되는 스프링(263)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받침돌기(264)의 끝단부는 요오크 플레이트 고정판(221)의 저면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고정판 회전지그(201)의 제2평탄면(205)의 높이 보다 약간 높은 위치에 구성한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한 제1와이어 판체(231) 및 제3와이어 판체(236)를 직경이 작은 제1서스펜션 와이어(300)가 끼워지고, 제2와이어 판체(233) 및 제4 와이어 판체(238)는 직경이 굵은 제2서스펜션 와이어(301)가 끼워지는 경우를 실예로 설명하도록 하고, 먼저 제1서스펜션 와이어(300)가 끼워지는 경우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서스펜션 와이어 조립장치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우선, 요오크 플레이트 안치부재(220)인 요오크 플레이트 고정판(221)의 끼움돌기(222)에 요오크 플레이트(271)의 끼움공(275)을 끼워서 요오크 플레이트 고정판(221)에 요오크 플레이트 어셈블리(270)를 안치시킨 후에 그 요오크 플레이트(271) 위에 대물렌즈 홀더(280)를 재차 안치시켜 요오크 플레이트 누름장치(B)의 저면에 돌출된 회전축(291)의 하부 나사산(292)을 요오크 플레이트 고정판(221)의 나사홈(223)에 체결 고정시켜 대물렌즈 홀더(280) 및 요오크 플레이트 어셈블리(270)를 눌러 고정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227)를 잡고 요오크 플레이트 고정판(221)을 고정판 회전지지부재(200)인 고정판 회전지그(201)의 제1평탄면(202)에 안치된 상태에서 회전축(207)에 대해 90도 정도 회전시켜 요오크 플레이트 고정판(221)을 수직으로 세우도록 한다.
이때, 상기 요오크 플레이트 고정판(221)이 수직으로 세워지게 되면 고정판 가압 고정부재(250)인 탄성돌기(251)가 탄성스프링(252)의 탄성력을 받으면서 요오크 플레이트 고정판(221)의 일측면을 눌러 제자리에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한편, 요오크 플레이트 고정판(221)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제8도(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경이 작은 제1서스펜션 와이어(300)를 제1와이어 판체(231)의 제1와이어 끼움공(232)을 통해 삽입시켜 반대측에 설치된 제3와이어판체(236)의 제3와이어 끼움공(237)으로 끼워져 고정되는 상태에 있게 되며, 계속해서 제1서스펜션 와이어(300)를 대물렌즈 홀더(280)의 코일 피씨비 양측면에 납땜하여 고정시킨다.
한편, 제1서스펜션 와이어(300)의 납땜 작업이 완료되면 손잡이(237)를 잡고 요오크 플레이트 고정판(221)을 회전시켜 원래 상태로 복귀시키면 요오크 플레이트 고정판(221)의 저면부가 제1평탄면(202)보다 조금 높이 돌출된 충격 완충부재(260)의 받침돌기(264)에 접촉되어 탄성적으로 스프링(263)을 압축시키면서 요오크 플레이트 고정판(221)이 매우 부드럽게 안착되는 것이다.
그리고, 만약 제1서스펜션 와이어(300)보다 직경이 조금 더 큰 제2서스펜션 와이어(301)를 다른 종류의 대물렌즈 홀더(280)에 납땜 고정시키려고 한다면 고정나사(235)를 풀어서 직경이 굵은 제2서스펜션 와이어(301)가 삽입되지 않는 제1, 제2와이어 판체(231)(236)을 분리시켜 제2, 제4와이어 판체(233)(238)만을 고정나사(235)로 고정시킨 후에 제8도(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과정을 거쳐 제2서스펜션 와이어(301)를 제2, 제4와이어 판체(233)(238)의 제2, 제4와이어 끼움공(234)(239)에 각각 끼워 고정시켜 대물렌즈 홀더(280)의 코일 피씨비 양측에 제2서스펜션 와이어(301)에 납땜 고정시키도록 한다.
따라서, 종래의 서스펜션 와이어 조립장치와 다르게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서스펜션 와이어 조립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요오크 플레이트 누름장치로 요오크 어셈블리 및 대물렌즈 홀더를 요오크 플레이트 안치부재상에 눌러 고정시키고, 이 요오크 플레이트 안치부재를 고정판 회전지지부재에서 회전축에 대해 수평에서부터 수직으로 회전시킨 후에 서스펜션 와이어를 대물렌즈 홀더의 양측에 납땜 조립시키므로써, 서스펜션 와이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조립하여 광픽업의 조립성 및 생산성을 향상 시키도록 할 뿐만 아니라 요오크 플레이트 고정판 양측면에 종류가 다른 서스펜션 와이어가 끼워질 수 있는 와이어 끼움부재를 분리 가능하게 설치하여 직경이 다른 서스펜션 와이어를 조립시키므로써 서스펜션 와이어 조립장치의 생산단가를 저감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인 것이다.

Claims (10)

  1. 요오크 플레이트(271)상에 홀더겔(272) 및 서스펜션 피씨비(273)등이 고정된 요오크 플레이트 어셈블리(270)와, 상기 요오크 플레이트(271)의 레이저 통과공상에 설치된 대물렌즈 홀더(280)와, 상기 대물렌즈 홀더(280) 및 요오크 플레이트 어셈블리(270)를 눌러 고정시키는 요오크 플레이트 누름장치(B)로 구성된 서스펜션 와이어 조립장치에 있어서, 상기 요오크 플레이트(271) 및 대물렌즈 홀더(280)가 안치되고, 상기 요오크 플레이트 누름장치(B)를 사용하여 고정시킨 후에 일정각도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 요오크 플레이트 안치부재(220)와, 상기 요오크 플레이트 안치부재(220)의 양측면에 설치되어 요오크 플레이트 어셈블리(270)의 홀더겔(272) 및 서스펜션 피씨비(273)에 끼워지는 직경이 각각 다른 다수개의 서스펜션 와이어가 끼워지도록 형성된 와이어 끼움부재(230)와, 상기 와이어 끼움부재(230)에 인접한 위치의 요오크 플레이트 안치부재(220)에 끼움 결합되어 요오크 플레이트 안치부재(220)가 일정각도 세워지도록 지지하는 고정판 회전지지부재(200)와, 상기 고정판 회전지지부재(200)의 일측면상에 설치되어 세워진 고정판 회전지지부재(200)의 일측면을 눌러 고정시키는 고정판 가압 고정부재(250)와, 상기 요오크 플레이트 안치부재(220)에 세워진 고정판 회전 지지부재(200)를 수평위치인 원상태로 복귀시킬 때 요오크 플레이트 안치부재(220)의 충격을 완화하도록 고정판 회전지지부재(200)상에 설치된 충격 완충부재(26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서스펜션 와이어 조립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오크 플레이트 안치부재(220)는 요오크 플레이트(271)의 끼움공(275)이 끼워지는 끼움돌기(222)가 상부면에 형성되고, 대물렌즈 홀더(280)를 누르는 요오크 플레이트 누름장치(B) 회전축(291)의 나사산(292)이 체결되는 나사홈(223)이 형성된 요오크 플레이트 고정판(221)과, 상기 요오크 플레이트 고정판(221)의 양측면에 상부와 측면이 개방되게 각각 일정 깊이 함몰되어 형성된 제1, 제2측면요홈(224)(225)과, 상기 제1측면요홈(224) 혹은 제2측면요홈(225)에서 인접한 위치의 요오크 플레이트 고정판(221)에 좌,우로 관통되어 형성된 관통공(226)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서스펜션 와이어 조립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오크 플레이트 고정판(221)의 좌,우 양측에 요오크 플레이트 고정판(221)을 잡고 회전시키기 용이하도록 손잡이(227)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서스펜션 와이어 조립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 회전지지부재(200)는 상기 요오크 플레이트 안치부재(220)인 요오크 플레이트 고정판(221)의 저면부가 안치되는 제1평탄면(202)이 형성되고, 그 보다 낮은 위치에 상기 충격 완충부재(260)가 설치되는 제2평탄면(205)이 형성된 고정판 회전지그(201)와, 상기 고정판 회전지그(201)의 제1평탄면(202)의 좌,우 양측 모서리상에 돌출되어 좌,우측으로 관통 형성된 끼움공(204)이 형성된 고정턱(203)과, 상기 고정턱(203)의 끼움공(204)을 통해 제1평탄면(202)상에 안치된 요오크 플레이트 고정판(221)의 관통공(226)으로 끼워져 요오크 플레이트 고정판(221)의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축(207)과, 상기 회전축(207)의 나사부(208)에 체결되어 회전축(207)을 고정하는 너트(209)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서스펜션 와이어 조립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끼움부재(230)는 상기 요오크 플레이트 고정판(221)의 제1, 제2측면요홈(224)(225)에 설치되어 직경이 작은 제1서스펜션 와이어(300)가 끼워지는 제1, 제3와이어 끼움공(232)(237)이 각각 형성된 제1, 제3와이어 판체(231)(236)과, 상기 제1, 제2측면요홈(224)(225)에 설치되어 제1서스펜션 와이어(300)보다 직경이 큰 제2서스펜션 와이어(301)가 끼워지는 제2, 제4와이어 끼움공(234)(239)이 각각 형성된 제2, 제4와이어 판체(233)(238)과, 상기 제1, 제2, 제3, 제4와이어 판체(231)(233)(236)(238)를 체결 고정시키는 고정나사(23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서스펜션 와이어 조립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제3, 제4와이어 판체(231)(233)(236)(238) 중에 각각 두개의 판체는 제1서스펜션 와이어(300) 혹은 제2서스펜션 와이어(301)중에 하나의 와이어가 선택되어 끼워지도록 호환하여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서스펜션 와이어 조립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 가압 고정부재(250)는 상측으로 세워지는 요오크 플레이트 고정판(221)의 측면을 눌러 고정시키도록 고정판 회전지그(201)의 고정턱(203)에 형성된 요홈(251)에 설치되는 탄성돌기(251)와, 상기 탄성돌기(251)의 배면을 눌러 탄성력을 가하도록 요홈(251)에 설치되는 탄성스프링(25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서스펜션 와이어 조립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돌기(251)의 끝단부는 접촉을 향상시키기 위해 둥글게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서스펜션 와이어 조립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완충부재(260)는 상기 고정판 회전지그(201)의 제2평탄면(205)에 형성된 체결홈(206)으로 체결되는 나사돌기(265)가 저면에 돌출 형성되고, 내부에 설치홈(262)이 형성된 몸체(262)와, 상기 몸체(262)의 설치홈(262)내에 끼워져 요오크 플레이트 고정판(221)의 저면에 접촉되어 충격을 완화 시키는 받침돌기(264)와, 상기 받침돌기(264)에 탄성력을 가하기 위해 설치홈(262)내에 설치되는 스프링(26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서스펜션 와이어 조립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돌기(264)의 끝단부는 요오크 플레이트 고정판(221)의 저면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고정판 회전지그(201)의 제2평탄면(205)의 높이 보다 약간 높은 위치에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서스펜션 와이어 조립장치.
KR1019960019120A 1996-05-31 1996-05-31 회전식 서스펜션 와이어 조립장치 KR0181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9120A KR0181829B1 (ko) 1996-05-31 1996-05-31 회전식 서스펜션 와이어 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9120A KR0181829B1 (ko) 1996-05-31 1996-05-31 회전식 서스펜션 와이어 조립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6586A KR970076586A (ko) 1997-12-12
KR0181829B1 true KR0181829B1 (ko) 1999-04-15

Family

ID=19460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9120A KR0181829B1 (ko) 1996-05-31 1996-05-31 회전식 서스펜션 와이어 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182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6586A (ko) 1997-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56188A (en) Tilt-adjusting structure for an axial slide type optical pickup actuator
US6700860B2 (en) Device for adjusting tilt angle of optical pickup
KR0181829B1 (ko) 회전식 서스펜션 와이어 조립장치
JPH01279459A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のスピンドルモータ取付角度調整機構
KR100463907B1 (ko) 기록재생장치
KR0181824B1 (ko) 균일한 가압구조를 갖는 요오크 플레이트 누름장치
KR0181826B1 (ko) 요오크 플레이트의 요오크 가압 고정 장치
JP2003016659A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KR100190581B1 (ko) 액츄에이터의 서스펜션 와이어 접착 지그
KR0163321B1 (ko)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서스팬션 와이어 조립장치
JPH0413771Y2 (ko)
JPH0329772Y2 (ko)
JP2003272181A (ja) ディスクプレーヤにおける光ピックアップの光ディスクへのレーザ光線照射角度調節機構
KR200172720Y1 (ko)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서스펜션 와이어 결선장치
KR100207260B1 (ko) 광픽업 장치의 요크 플레이트 고정구조
JPH0329773Y2 (ko)
KR0158851B1 (ko) 액츄에이터의 보빈 고정지그
KR0181821B1 (ko) 광픽업 엑츄에이터용 대물렌즈의 경사각도 측정장치
KR0175122B1 (ko)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홀더겔 고정조립장치
JPH07282452A (ja) 光ピックアップ
KR200143191Y1 (ko) 광픽업 액츄에이터 조립장치
KR0177332B1 (ko) 대물렌즈 접착용 대물렌즈 누름장치
KR20000012242U (ko) 광픽업 장치의 스큐 조정장치
JP3494884B2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の製造方法
KR19980017330A (ko) 광 픽업 액츄에이터의 렌즈 홀더 커버 조립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