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2242U - 광픽업 장치의 스큐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광픽업 장치의 스큐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2242U
KR20000012242U KR2019980025163U KR19980025163U KR20000012242U KR 20000012242 U KR20000012242 U KR 20000012242U KR 2019980025163 U KR2019980025163 U KR 2019980025163U KR 19980025163 U KR19980025163 U KR 19980025163U KR 20000012242 U KR20000012242 U KR 2000001224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yoke
skew
support plate
bent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51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석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800251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2242U/ko
Publication of KR200000122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2242U/ko

Links

Landscapes

  • Moving Of The Hea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AREA)
  • Optical Head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픽업 베이스 상에서 요크의 스큐를 조정할 수 있는 전용 기구를 사용함으로써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요크(20)의 제 2, 제 3, 제 1고정편(24,26,22)을 픽업 베이스(30)에 각각 홀딩하는 제 1, 제 2, 제 3홀더(44,48,62)와, 상기 제 1, 제 2, 제 3홀더(44,48,62)에 체결되는 제 1, 제 2, 제 3조임 레버(70,74,78)가 구비된 광픽업 장치의 스큐 조정장치로서, 요크(20)의 제 2, 제 3, 제 1 고정편(24,26,22)을 제 1, 제 2, 제 3홀더(44,48,62)로 픽업 베이스(30)에 홀딩한 상태에서 제 1조임 레버(70)와 제 2조임 레버(74) 및 제 3조임 레버(78)를 회전시켜 요크(20)의 방사방향의 스큐와 접선방향의 스큐를 간단한 작업으로 조정할 수 있으므로, 요크(20)의 스큐를 제거하는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광픽업 장치의 스큐 조정장치
본 고안은 광픽업 장치의 스큐(skew)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픽업 베이스 상에서 요크의 스큐를 조정할 수 있는 전용 기구를 사용함으로써,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광픽업 장치의 스큐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픽업 장치는 씨디 플레이어에 설치되어 디스크에 레이저 광을 조사하고 디스크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받아들여 디스크의 기록 내용을 재생하는 장치로서, 레이저를 조사하고 반사된 빛을 전기신호로 바꾸는 홀로그램 소자가 고정되는 픽업 베이스와, 홀로그램 소자로부터 조사된 레이저 광을 디스크 면상에 집속시키는 대물렌즈를 구동시키기 위한 렌즈 홀더 및 이 렌즈 홀더를 픽업 베이스 상에서 지지하기 위한 요크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광픽업 장치중 렌즈 홀더가 서스펜션 와이어에 지지된 한 예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물렌즈(110)가 접착된 렌즈 홀더(112)를 서스펜션 와이어(114)로 포커싱 방향 및 트랙킹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요크(116)에 지지시키고, 이 요크(116)를 홀로그램 소자가 설치된 픽업 베이스(130) 상에 안착시킨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의 대물렌즈(110)는 디스크의 평면에 대해 정확히 수평이 되게 설치된 상태 즉, 렌즈 홀더(112)가 포커싱하기 위하여 상하로 구동할 때 정확히 광축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야만 대물렌즈(110)에서 형성한 레이저 광의 초점이 디스크의 기록 피트 상의 트랙에서 이탈되지 않은 상태로 광스폿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만일 대물렌즈(110)가 렌즈 홀더(112)에 잘못 접착되어 기울어져 수평이 되지 않은 경우에는, 렌즈 홀더(112)가 포커싱하기 위하여 상하로 구동할 때 대물렌즈(110)가 광축으로부터 벗어나거나, 광의 초점이 원하지 않는 트래킹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재차 트래킹 에러를 보정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렌즈 홀더(112) 및 서스펜션 와이어(114)를 요크(116)에 조립하는 공정을 마치고 요크(116)를 픽업 베이스(130)에 조립할 때, 최종적으로 요크(116)의 높이 밸런스를 픽업 베이스(130) 상에서 조절하여 대물렌즈(110)가 디스크 면에 대해 정확히 수평이 되게 하였다.
이러한 교정 작업을 위하여 요크(116)의 일측에 관통공(118)을 형성하고, 이 관통공(118)에 압축 스프링(122)을 끼운 고정나사(120)를 삽입시키고 픽업 베이스(130) 상에 형성되는 나사공(134)에 체결함으로써, 요크(116)의 일측을 압축 스프링(122)의 탄성으로 픽업 베이스(130) 상에서 탄성을 가지면서 고정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요크(116)의 타측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 높이 밸런스를 조절하기 위하여 픽업 베이스(130)에 형성한 관통공(118)으로부터 가로 및 세로 방향의 픽업 베이스(130)에 각각 관통공(136)을 형성하고, 각각의 관통공(136)에 각각의 조정나사(138)를 삽입시켜 요크(116)에 형성되는 나사공(미도시)에 각각 체결한 다음, 각각의 조정나사(138)의 조임 정도를 조절하여 요크(116)의 가로 및 세로의 높이 밸런스를 조절함으로써, 대물렌즈(110)가 수평이 되게하여 대물렌즈(110)를 투과한 레이저 광의 축방향이 디스크에 대해 수직이 되게 하였다. 여기서 요크(112) 및 픽업 베이스(130)에는 서로 맞닿는 구면을 형성하여 요크(112)가 구면을 따라 기울어지도록 하였다.
상기에서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은, 디스크의 기록피트에 대해 대물렌즈(110)에서 형성하는 레이저 광의 초점이 이동하는 방향에 따른 것으로서, 방사(radial) 방향 및 접선(tangential) 방향을 의미한다.
따라서 검사장비로 요크(116)의 수평도를 검사하며 두 개의 조정나사(138)를 드라이버로 조여 요크(116)의 높이 밸런스를 조절함으로써, 대물렌즈(110)의 방사 스큐 및 접선 스큐를 조정하였던 것이다. 그리고 대물렌즈(110)의 스큐가 제거되면 고정나사(120)와 두 개의 조정나사(138)를 본딩하여 고정함으로써 요크(116)를 픽업 베이스(130)에 조립 완료하였다.
이와 같이 종래의 스큐를 조정구조는, 요크(112)의 일측이 픽업 베이스(130)에 탄성을 갖도록 고정하기 위하여 압축 스프링(122)을 끼운 고정나사(120)를 체결하고, 요크(116)를 방사 방향 및 접선 방향으로 기울이기 위하여 두 개의 조정나사(138)를 사용하여 요크(116)를 픽업 베이스(130) 상에서 기울일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종래의 스큐 조정작업시에는 대물렌즈(110)의 스큐를 조정하기 위하여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수작업으로 한 개의 고정나사(120)와 두 개의 조정나사(138)을 회전시켜야 했으므로,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픽업 베이스 상에서 요크의 스큐를 조정할 수 있는 전용 기구를 사용함으로써,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광픽업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적용가능한 광픽업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큐 조정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스큐 조정작업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대물렌즈 12: 렌즈 홀더
14: 서스펜션 와이어 20: 요크
22: 제 1절곡편 24: 제 2절곡편
26: 제 3절곡편 28: 구면돌기
30: 픽업 베이스 32: 제 1결합홈
34: 제 2결합홈 36: 제 3결합홈
42: 제 1지지판 44: 제 1홀더
46: 제 1나사공 48: 제 2홀더
50: 제 2나사공 52: 결합부
54: 슬라이드 홈 60: 제 2지지판
62: 제 3홀더 64: 제 3나사공
66: 슬라이드 돌기 70: 제 1조임 레버
72: 제 1나사축 74: 제 2조임 레버
76: 제 2나사축 78: 제 3조임 레버
80: 제 3나사축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대물렌즈를 고정한 렌즈 홀더와, 상기 렌즈 홀더를 서스펜션 와이어로 지지시키고 일지점 가장자리에 하방으로 절곡된 제 1절곡편과 상기 제 1절곡편으로부터 방사방향의 하방으로 절곡된 제 2절곡편 및 상기 제 1절곡편으로부터 접선방향의 하방으로 절곡된 제 3절곡편이 형성된 요크와, 상기 요크가 안착되고 상기 제 1절곡편과 제 2절곡편 및 제 3절곡편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제 1결합홈과 제 2결합홈 및 제 3결합홈이 각각 형성된 픽업 베이스가 구비된 광픽업 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함께 상기 광픽업 장치의 스큐를 조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 2절곡편과 상기 픽업 베이스를 홀딩하는 제 1홀더; 상기 제 3절곡편과 상기 픽업 베이스를 홀딩하는 제 2홀더; 상기 제 1절곡편과 상기 픽업 베이스를 홀딩하는 제 3홀더; 상기 제 1홀더와 제 2홀더를 고정하는 제 1지지판; 상기 제 3홀더가 고정되고 상기 제 1지지판에 착탈가능한 제 2지지판; 상기 제 1홀더와 제 1지지판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 1나사공, 상기 제 1나사공에 삽입되는 제 1나사축이 형성된 제 1레버; 상기 제 2홀더와 제 2지지판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 2나사공, 상기 제 2나사공에 삽입되는 제 2나사축이 형성된 제 2레버; 및 상기 제 3홀더와 제 3지지판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 3나사공, 상기 제 3나사공에 삽입되는 제 3나사축이 형성된 제 3레버로 구성되는 광픽업 장치의 스큐 조정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광픽업 장치 및 스큐 조정장치는 사용하면, 요크의 제 1절곡편과 제 2절곡편 및 제 3절곡편을 픽업 베이스의 제 1결합홈과 제 2결합홈 및 제 3결합홈에 각각 결합한 상태에서, 제 2절곡편과 픽업 베이스를 제 1홀더로 홀딩하고, 제 3절곡편과 픽업 베이스를 제 2홀더로 홀딩하며, 제 1절곡편과 픽업 베이스를 제 3홀더로 홀딩한다.
이어서 측정장치로 렌즈 홀더의 스큐를 측정하면서, 제 1조임 레버로 제 1홀더에 홀딩된 제 2절곡편과 픽업 베이스의 높이를 조정하고, 제 2조임 레버로 제 2홀더에 홀딩된 제 3절곡편과 픽업 베이스의 높이를 조정하며, 제 3조임 레버로 제 3홀더에 홀딩된 제 1절곡편과 픽업 베이스의 높이를 조정한다. 이에 따라 요크의 방사방향의 스큐와 접선방향의 스큐가 제거된다.
이와 같이 제 1절곡편과 제 2절곡편 및 제 3절곡편의 높이를 조정하여 렌즈 홀더의 스큐를 게거한 후, 제 1절곡편과 제 2절곡편 및 제 3절곡편과 이에 대응되는 제 1결합홈과 제 2결합홈 및 제 3결합홈을 본딩 또는 납땜하여 고정하면, 렌즈 홀더의 스큐가 조정된 상태로 요크가 픽업 베이스에 조립완료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요크의 높이를 조정하는 전용 기구를 사용하여 간단한 작업으로 렌즈 홀더의 스큐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요크의 스큐를 제거하는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양호한 실시예를 설명하여 본 고안의 실시를 용이하게 한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는 광픽업 장치는 도 2에 사시도를 도시한 바와 같이, 대물렌즈(10)를 고정한 렌즈 홀더(12)와, 상기 렌즈 홀더(12)를 서스펜션 와이어(14)로 지지시키는 요크(20)와, 상기 요크(20)가 안착되는 픽업 베이스(3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광픽업 장치는 요크(20)를 픽업 베이스(30) 상에서 방사방향 및 접선방향으로 기울일 수 있도록 요크(20)의 중심 저면에 구면돌기(28)가 형성되고, 픽업 베이스(30)에는 구면돌기(28)에 대응되는 구면홈(38)이 형성된다.
이와 함께 요크(20)에는 일지점 가장자리에 하방으로 절곡된 제 1절곡편(22)과, 제 1절곡편(22)으로부터 방사방향의 요크(20)에 하방으로 절곡된 제 2절곡편(24) 및 상기 제 1절곡편(22)으로부터 접선방향의 요크(20)에 하방으로 절곡된 제 3절곡편(26)이 형성된다. 그리고 픽업 베이스(30)에는 제 1절곡편(22)과 제 2절곡편(24) 및 제 3절곡편(26)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제 1결합홈(32)과 제 2결합홈(34) 및 제 3결합홈(36)이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광픽업 장치의 스큐를 조정하기 위한 장치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절곡편(24)과 픽업 베이스(30)를 홀딩하는 제 1홀더(44)와, 제 3절곡편(26)과 픽업 베이스(30)를 홀딩하는 제 2홀더(48)와, 제 1절곡편(22)과 픽업 베이스(30)를 홀딩하는 제 3홀더(62)와, 제 1홀더(44)와 제 2홀더(48)를 고정하는 제 1지지판(42)과, 제 3홀더(62)가 고정되고 제 1지지판(42)에 착탈가능한 제 2지지판(60)과, 제 1홀더(44)와 제 1지지판(42)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 1나사공(46), 제 1나사공(46)에 삽입되는 제 1나사축(72)이 형성된 제 1조임 레버(70)와, 제 2홀더(48)와 제 2지지판(60)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 2나사공(50), 제 2나사공(50)에 삽입되는 제 2나사축(76)이 형성된 제 2조임 레버(74)와, 제 3홀더(62)와 제 3지지판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 3나사공(64), 제 3나사공(64)에 삽입되는 제 3나사축(80)이 형성된 제 3조임 레버(78)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제 1지지판(42)에는 요입된 결합부(52) 및 결합부(52)의 양측면에 슬라이드 홈(54)을 형성하고, 제 2지지판(60)은 결합부(52)에 삽입가능하게 형성하여 양측면에 슬라이드 홈(54)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슬라이드 돌기(66)를 형성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스큐 조정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광픽업 장치의 조립공정에서 대물렌즈(10)를 고정한 렌즈 홀더(12)는 서스펜션 와이어(14)에 의해 요크(20)에 지지된다.
이러한 렌즈 홀더(12)의 스큐를 조정하기 위하여 요크(20)의 저면에 형성한 구면돌기(28)를 픽업 베이스(30)의 구면홈(38)에 일치시키고, 요크(20)에 형성된 제 1절곡편(22)과 제 2절곡편(24) 및 제 3절곡편(26)을 픽업 베이스(30)의 제 1결합홈(32)과 제 2결합홈(34) 및 제 3결합홈(36)에 끼운다.
이와 같이 요크(20)가 픽업 베이스(30)에 결합된 상태는 도 4와 같으며, 여기서 조정장치의 슬라이드 홈(54)에 슬라이드 돌기(66)를 결합시켜 제 1지지판(42)의 결합부(52)에 제 2지지판(60)의 일부를 삽입한다.
이어서 제 2절곡편(24)과 픽업 베이스(30)를 제 1홀더(44)로 홀딩하고, 제 3절곡편(26)과 픽업 베이스(30)를 제 2홀더(48)로 홀딩하며, 제 1절곡편(22)과 픽업 베이스(30)를 제 3홀더(62)로 홀딩한다. 그리고 제 2지지판(60)을 밀어 결합부(52) 내에 완전히 결합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는 요크(20)의 구면돌기(28)가 픽업 베이스(30)의 구면홈(38)에 결합되고, 제 1홀더(44)가 제 2절곡편(24)과 픽업 베이스(30)를, 제 2홀더(48)가 제 3절곡편(26)과 픽업 베이스(30)를, 제 3홀더(62)가 제 1절곡편(22)과 픽업 베이스(30)를 각각 홀딩하여 요크(20)를 픽업 베이스(30) 상에서 가 고정된 상태로 제 1지지판(42)과 제 2지지판(60)이 픽업 베이스(30)의 하방에서 서로 결합되어 있게 된다.
이어서 측정장치로 렌즈 홀더의 스큐를 측정하면서, 제 1조임 레버(70)로 제 1홀더(44)에 홀딩된 제 2절곡편(24)과 픽업 베이스(30)의 높이를 조정하고, 제 2조임 레버(74)로 제 2홀더(48)에 홀딩된 제 3절곡편(26)과 픽업 베이스(30)의 높이를 조정하며, 제 3조임 레버(78)로 제 3홀더(62)에 홀딩된 제 1절곡편(22)과 픽업 베이스(30)의 높이를 조정한다. 이에 따라 요크(20)의 방사방향의 스큐와 접선방향의 스큐가 제거된다.
이와 같이 제 1절곡편(22)과 제 2절곡편(24) 및 제 3절곡편(26)의 높이를 조정하여 렌즈 홀더(12)의 스큐를 제거한 후, 제 1절곡편(22)과 제 2절곡편(24) 및 제 3절곡편(26)과 이에 대응되는 제 1결합홈(32)과 제 2결합홈(34) 및 제 3결합홈(36)을 본딩 또는 납땜하여 고정하면, 렌즈 홀더(12)의 스큐가 조정된 상태로 요크(20)가 픽업 베이스(30)에 조립 완료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요크(20)의 높이를 조정하는 전용 기구를 사용하여 간단한 작업으로 렌즈 홀더(12)의 스큐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요크(20)의 스큐를 제거하는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요크(20)의 제 2, 제 3, 제 1 고정편(24,26,22)을 픽업 베이스(30)에 각각 홀딩하는 제 1, 제 2, 제 3홀더(44,48,62)와, 상기 제 1, 제 2, 제 3홀더(44,48,62)에 체결되는 제 1, 제 2, 제 3조임 레버(70,74,78)가 구비된 광픽업 장치의 스큐 조정장치로서, 요크(20)의 제 2, 제 3, 제 1 고정편(24,26,22)을 제 1, 제 2, 제 3홀더(44,48,62)로 픽업 베이스(30)에 홀딩한 상태에서 제 1조임 레버(70)와 제 2조임 레버(74) 및 제 3조임 레버(78)를 회전시켜 요크(20)의 방사방향의 스큐와 접선방향의 스큐를 간단한 작업으로 조정할 수 있으므로, 요크(20)의 스큐를 제거하는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대물렌즈(10)를 고정한 렌즈 홀더(12)와, 상기 렌즈 홀더(12)를 서스펜션 와이어(14)로 지지시키고 일지점 가장자리에 하방으로 절곡된 제 1절곡편(22)과 상기 제 1절곡편(22)으로부터 방사방향의 하방으로 절곡된 제 2절곡편(24) 및 상기 제 1절곡편(22)으로부터 접선방향의 하방으로 절곡된 제 3절곡편(26)이 형성된 요크(20)와, 상기 요크(20)가 안착되고 상기 제 1절곡편(22)과 제 2절곡편(24) 및 제 3절곡편(26)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제 1결합홈(32)과 제 2결합홈(34) 및 제 3결합홈(36)이 각각 형성된 픽업 베이스(30)가 구비된 광픽업 장치의 스큐 조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2절곡편(24)과 상기 픽업 베이스(30)를 홀딩하는 제 1홀더(44);
    상기 제 3절곡편(26)과 상기 픽업 베이스(30)를 홀딩하는 제 2홀더(48);
    상기 제 1절곡편(22)과 상기 픽업 베이스(30)를 홀딩하는 제 3홀더(62);
    상기 제 1홀더(44)와 제 2홀더(48)를 고정하는 제 1지지판(42);
    상기 제 3홀더(62)가 고정되고 상기 제 1지지판(42)에 착탈가능한 제 2지지판(60);
    상기 제 1홀더(44)와 제 1지지판(42)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 1나사공(46), 상기 제 1나사공(46)에 삽입되는 제 1나사축(72)이 형성된 제 1조임 레버(70);
    상기 제 2홀더(48)와 제 2지지판(60)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 2나사공(50), 상기 제 2나사공(50)에 삽입되는 제 2나사축(76)이 형성된 제 2조임 레버(74); 및
    상기 제 3홀더(62)와 제 3지지판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 3나사공(64), 상기 제 3나사공(64)에 삽입되는 제 3나사축(80)이 형성된 제 3조임 레버(78)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장치의 스큐 조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지지판(42)에는 요입된 결합부(52) 및 상기 결합부(52)의 양측면에 슬라이드 홈(54)이 형성되고;
    상기 제 2지지판(60)은 상기 결합부(52)에 삽입가능하고, 양측면에 상기 슬라이드 홈(54)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슬라이드 돌기(6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스큐 조정장치.
KR2019980025163U 1998-12-16 1998-12-16 광픽업 장치의 스큐 조정장치 KR2000001224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5163U KR20000012242U (ko) 1998-12-16 1998-12-16 광픽업 장치의 스큐 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5163U KR20000012242U (ko) 1998-12-16 1998-12-16 광픽업 장치의 스큐 조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242U true KR20000012242U (ko) 2000-07-05

Family

ID=69503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5163U KR20000012242U (ko) 1998-12-16 1998-12-16 광픽업 장치의 스큐 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224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3646A (ko) * 2002-01-23 2003-07-31 삼성전기주식회사 대물렌즈 경사 조정용 광픽업 액츄에이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3646A (ko) * 2002-01-23 2003-07-31 삼성전기주식회사 대물렌즈 경사 조정용 광픽업 액츄에이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12483Y1 (ko)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틸트 조정구조
KR20000012242U (ko) 광픽업 장치의 스큐 조정장치
JP2793176B2 (ja) ディスクプレーヤのピックアップの傾斜調整装置
KR20000012269U (ko) 광픽업 장치의 스큐 조정구조
US7792008B2 (en) Optical pickup apparatus
KR100207261B1 (ko) 광픽업 장치의 대물렌즈 홀더
KR20000013732U (ko) 광픽업 장치의 스큐 조정구조
KR100299644B1 (ko) 광픽업
KR0181824B1 (ko) 균일한 가압구조를 갖는 요오크 플레이트 누름장치
KR100227752B1 (ko)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틸트 조정장치
KR0175122B1 (ko)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홀더겔 고정조립장치
KR100269158B1 (ko) 광픽업의 대물렌즈 기울기 조정장치
KR0163321B1 (ko)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서스팬션 와이어 조립장치
JP3247604B2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KR200212484Y1 (ko) 축방식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틸트 조정구조
KR100207260B1 (ko) 광픽업 장치의 요크 플레이트 고정구조
KR100403145B1 (ko) 일체형 광 픽업 액츄에이터의 제작방법
KR0138684B1 (ko) 광 픽업 액튜에이터 조립지그
KR0175813B1 (ko)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트랙킹 코일 조립지그
KR0158822B1 (ko)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와이어 조립장치
JP3494884B2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の製造方法
KR0181829B1 (ko) 회전식 서스펜션 와이어 조립장치
KR19980061988U (ko) 광픽업 장치의 요크 플레이트 고정구조
JP2000195094A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及びその調整方法
KR20000043281A (ko) 광픽업 장치의 스큐 조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