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3569A - 상하거울이 장착된 셀프검사용 검이경 - Google Patents

상하거울이 장착된 셀프검사용 검이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3569A
KR20070073569A KR1020060077061A KR20060077061A KR20070073569A KR 20070073569 A KR20070073569 A KR 20070073569A KR 1020060077061 A KR1020060077061 A KR 1020060077061A KR 20060077061 A KR20060077061 A KR 20060077061A KR 20070073569 A KR20070073569 A KR 200700735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toscope
mirror
self
ear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7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화
Original Assignee
박종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화 filed Critical 박종화
Priority to KR1020060077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73569A/ko
Publication of KR20070073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35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27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ears, i.e. ot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7Devices for viewing the surface of the body, e.g. camera, magnifying lens
    • A61B5/0079Devices for viewing the surface of the body, e.g. camera, magnifying lens using mirrors, i.e. for self-examin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3/00Telescopes, e.g. binoculars; Periscopes;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Viewfinders; Optical aiming or sighting devices
    • G02B23/24Instruments or system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e.g. fibrescopes
    • G02B23/2407Optical details
    • G02B23/2446Optical details of the image rela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비인후과 또는 소아과에서 사용하는 검이경의 상부와 하부에 거울을 장착하여 검이경을 사용하는 사용자 스스로 자기의 귀속을 검사할 수 있고 이비인후과 또는 소아과 진료시 환자 스스로 자기의 귀속을 들여다보며 귀지의 이물질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제거하여 진료의 안정성과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검이경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가정에서 스스로 자기의 귀속을 검사할 수 있고 가정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검이경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자기의 귀속의 상을 확대하여 볼 수 있는 상하거울이 장착된 셀프검사용 검이경에 관한 것이다.
상하거울, 셀프검사용, 검이경

Description

상하거울이 장착된 셀프검사용 검이경{An otoscopes attaching mirror for self-examining inner ear}
도 1은 본 발명의 셀프검사용 검이경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셀프검사용 검이경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셀프검사용 검이경을 나타낸 다른 형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셀프검사용 검이경을 사용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본체 12: 스위치
14: 하부커버 20: 헤드
22: 확대경 24: 램프
26: 장착대 28: 삽입홈
30: 외이도삽입관 32: 바테리
40: 상부거울 42: 회전볼트
44: 힌지 50: 하부거울
52: 회전볼트 54: 힌지
100: 검이경
본 발명은 상하거울이 장착된 셀프검사용 검이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비인후과 또는 소아과에서 사용하는 검이경의 상부와 하부에 거울을 장착하여 검이경을 사용하는 사용자 스스로 자기의 귀속을 검사할 수 있고 이비인후과 또는 소아과 진료시 환자 스스로 자기의 귀속을 들여다보며 귀지의 이물질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제거하여 진료의 안정성과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상하거울이 장착된 셀프검사용 검이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검이경은 이비인후과 뿐만 아니라 내과 및 소아과에서 진찰시 용이하게 사용하고 있는 의료용구이다. 이비인후과에서 사용하는 검이경은 배터리(40)를 수용하는 본체(10); 스위치(12)에 의해 점등되는 램프(24)가 하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램프(24)의 광을 조사하는 깔대기 모양의 장착대(26)가 부착되어 있는 헤드(20)로 구성되어 있다. 이비인후과에서 검이경을 사용하는 경우 장착대(26)의 삽입홈(28)에 전방으로 깔대기 모양의 외이도삽입관(30)을 끼우고 램프(24)를 점등하면 장착대(26) 후방의 확대경(22)을 통하여 귀를 검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검이경에서 검이경에 부착되어 있는 장착대(26)는 검이경 램프(24)의 광에서 조사된 광이 통과하여 귀의 내부를 밝게 비추어준다.
인간의 외이도는 전체적으로 S자 모양으로 굽어 있으면서 이주(耳珠)가 외이도공을 어느 정도 막고 있는 형태이고, 더구나 외이도에 나있는 털이나 귀지가 검이경을 이용한 시진(視診)을 방해하므로 통상 검이경의 선단으로 이주 또는 잔털을 밀어내면서 검사하게 된다. 또한 이비인후과 뿐만 아니라 내과 및 소아과에서 진찰시 외이도에 귀지가 많은 경우 한손으로 검이경을 대고 있는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귀이개를 사용하여 제거해야 하므로 불편하고 진료시간이 늘어나는 것은 물론 환자에게 불안감을 조성하는 폐단이 있다.
종래의 검이경은 검이경을 사용하는 사용자 스스로 자기의 귀속을 들여다보거나 검사할 수 없고 이비인후과 또는 소아과 진료시 환자 스스로 자기의 귀속을 들여다볼 수 없기 때문에 귀지의 이물질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제거할 수 없으며 진료의 안정성과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검이경은 종단에 귀이개를 장착하여 귓속 내부가 밝게 비추어진 상태에서 귀이개로 귀지 또는 이물질을 제거하고자 한 것이며 이와 같은 검이경은 내부에 밧데리가 수용된 손잡이 몸체부(10)와; 좌우가 관통되어 내부 일단으로 확대경(22) 및 광원램프(24)가 차례로 구비된 헤드(20)와; 일측으로 삽입홈(28)이 형성된 장착대(26)와; 상기 장착대(26)의 타단에 결합되어 귀이개 형상으로 형성된 외이도 삽입관(30)의 조합으로 형성되어져 있으며, 검이경을 외이도에 삽입한 상태에서 광원램프를 작동시켜 귀속 내부가 비추어진 상태로 귀속 내부의 이상 여부를 관찰할 수 있는 것이다.
종래의 검이경은 귀지 제거시 검이경과 귀이개가 일체로서 동작되며 검이경 몸체를 움직여서 귀이개를 움직이므로 조작이 번거롭고 귀지제거 작업이 원활하게 수행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귀이개 단독으로 사용될 때에 비해 귀지제거 효과가 감소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의 검이경은 상부와 하부에 거울 이 장착되어 있지 않아 검이경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가정에서 스스로 자기의 귀속을 검사할 수 없으며 일반가정에서 혼자 스스로 볼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한 데 있는 것으로, 이비인후과 또는 소아과에서 사용하는 검이경의 상부와 하부에 거울을 장착하여 검이경을 사용하는 사용자 스스로 자기의 귀속을 검사할 수 있고 이비인후과 또는 소아과 진료시 환자 스스로 자기의 귀속을 들여다보며 귀지의 이물질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제거하여 진료의 안정성과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귀지 및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귀지 제거시 발생할 수 있는 외이도의 염증과 같은 청각질환을 최소화하여 귀지 제거작업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검이경의 상부와 하부에 거울을 장착하여 검이경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가정에서 스스로 자기의 귀속을 검사할 수 있고 가정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검이경의 상부와 하부에 오목거울을 장착하여 검이경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가정에서 스스로 자기의 귀속의 상을 확대하여 보이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배터리(40)를 수용하는 본체(10); 스위치(12)에 의해 점등되는 램프(24)가 하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확대경(22)과 램프(24)의 광을 조사하는 깔대기 모양의 장착대(26)가 상부에 부착되어 있는 헤드(20)로 구성되어 있는 검이경(100)에 있어서 헤드(20)의 상부에 상부거울(40)이 하부 방향을 향하여 좌우 상하 회전 이 가능한 상태로 장착되어 있으며, 몸체(10)의 하부에 하부거울(50)이 상부 방향을 향하여 좌우 상하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거울이 장착된 셀프검사용 검이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검이경에 에 있어서 거울(40, 50)은 오목거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검이경 헤드(20)의 상부에 상부거울(40)이 하부 방향을 향하여 좌우 상하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장착되어 있으며, 검이경 몸체(10)의 하부에 하부거울(50)이 상부 방향을 향하여 좌우 상하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장착되어 있어 검이경으로 귀속을 검사하는 경우 검이경의 확대경(22) 부위에서 반사되는 귀속의 상태를 상부거울(40)에 비추게 하고 상부거울(40)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부거울(40)에서 반사되는 귀속의 상태를 하부거울(50)에 비추게 한 후 하부거울(50)의 위치를 조절하여 하부거울(50)에서 반사되는 귀속의 상태를 사용자가 직접 자기의 눈으로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검이경에 있어서 상부거울(40)은 회전볼트(42)를 사용하여 검이경의 헤드(20)에 연결하기 때문에 검이경의 헤드(20)에서 상부거울(40)을 좌우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시킬 수 있으며 힌지(44)를 사용하여 검이경의 헤드(20)에 연결하기 때문에 검이경의 헤드(20)에서 상부거울(40)을 상하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시킬 수 있고 상하 좌우 방향으로 360도 회전이 가능하도록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검이경에 있어서 하부거울(50)은 회전볼트(52)를 사용하여 검이경의 몸체(10) 하부에 연결하기 때문에 검이경의 몸체(10)에서 하부거울(50)을 좌우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시킬 수 있으며 힌지(54)를 사용하여 검이경의 몸 체(10)에 연결하기 때문에 검이경의 몸체(10)에서 하부거울(50)을 상하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시킬 수 있고 상하 좌우 방향으로 360도 회전이 가능하도록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검이경에 있어서 거울(40, 50)은 오목거울을 사용하여 거울에 반사되는 물체의 상이 정확하게 잘 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검이경은 상부와 하부에 오목거울을 장착하여 검이경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가정에서 스스로 자기의 귀속의 상을 확대하여 보이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하거울이 장착된 셀프검사용 검이경은 이비인후과 또는 소아과에서 사용하는 검이경의 상부와 하부에 거울을 장착하여 검이경을 사용하는 사용자 스스로 자기의 귀속을 검사할 수 있고 이비인후과 또는 소아과 진료시 환자 스스로 자기의 귀속을 들여다보며 귀지의 이물질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제거하여 진료의 안정성과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귀지 및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귀지 제거시 발생할 수 있는 외이도의 염증과 같은 청각질환을 최소화하여 귀지 제거작업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검이경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가정에서 스스로 자기의 귀속을 검사할 수 있으며 가정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오목거울을 장착하여 검이경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가정에서 스스로 자기의 귀속의 상을 확대하여 볼 수 있어 건강산업 및 의료산업상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2)

  1. 배터리(40)를 수용하는 본체(10); 스위치(12)에 의해 점등되는 램프(24)가 하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확대경(22)과 램프(24)의 광을 조사하는 깔대기 모양의 장착대(26)가 상부에 부착되어 있는 헤드(20)로 구성되어 있는 검이경(100)에 있어서, 상기 검이경은 헤드(20)의 상부에 상부거울(40)이 하부 방향을 향하여 좌우 상하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장착되어 있으며 몸체(10)의 하부에 하부거울(50)이 상부 방향을 향하여 좌우 상하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거울이 장착된 셀프검사용 검이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울(40, 50)은 오목거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거울이 장착된 셀프검사용 검이경.
KR1020060077061A 2006-08-16 2006-08-16 상하거울이 장착된 셀프검사용 검이경 KR200700735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7061A KR20070073569A (ko) 2006-08-16 2006-08-16 상하거울이 장착된 셀프검사용 검이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7061A KR20070073569A (ko) 2006-08-16 2006-08-16 상하거울이 장착된 셀프검사용 검이경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0185U Division KR200415751Y1 (ko) 2006-01-04 2006-01-04 상하거울이 장착된 셀프검사용 검이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3569A true KR20070073569A (ko) 2007-07-10

Family

ID=38508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7061A KR20070073569A (ko) 2006-08-16 2006-08-16 상하거울이 장착된 셀프검사용 검이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7356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58617A1 (de) 2007-07-23 2009-01-29 Hyundai Motor Company System zum Reduzieren der Vibration beim Abschalten eines Fahrzeugs und dazugehöriges Verfahren
KR20160074132A (ko) * 2014-12-18 2016-06-28 이은영 귀이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58617A1 (de) 2007-07-23 2009-01-29 Hyundai Motor Company System zum Reduzieren der Vibration beim Abschalten eines Fahrzeugs und dazugehöriges Verfahren
KR20160074132A (ko) * 2014-12-18 2016-06-28 이은영 귀이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27261A (en) Remote hand-held diagnostic instrument with video imaging
JP5181191B2 (ja) 検鏡
US7986342B2 (en) Multi-purpose imaging apparatus and adaptors therefor
US20180055351A1 (en) Self-Illuminated Handheld Lens for Retinal Examination and Photography and Related Method thereof
US20150351607A1 (en) Method for identifying objects in a subject's ear
JP5681162B2 (ja) 口内鏡及び周囲光処理システム(alms)を含んだ疾病検出システム並びに方法
US20130178707A1 (en) Medical device
JP3211531U (ja) 診療用装置
KR20070073569A (ko) 상하거울이 장착된 셀프검사용 검이경
JP2004141315A (ja) 側視型内視鏡の先端部
JP3176733U (ja) 無影灯装置及び診療灯装置
KR200415751Y1 (ko) 상하거울이 장착된 셀프검사용 검이경
BR102013004426A2 (pt) Tube endoscope
BR102019020072A2 (pt) suporte oral para micro escaneamento e análise da microcirculação sublingual
CN108175570B (zh) 一种医疗耳科用具有支撑结构的耳道清理夹子
FR2911059A1 (fr) Instrument portatif de videoscopie et de photographie
JP4426214B2 (ja) 内視鏡操作部
JP4605905B2 (ja) 耳の自己検査装置
JP2011254960A (ja) 歯科用無影灯
CN210844040U (zh) 一种骨科关节镜手术辅助器具
JP2583559Y2 (ja) 細隙灯顕微鏡
JP4789780B2 (ja) 内視鏡装置、及び内視鏡用ビデオプロセッサ
CN219206900U (zh) 一种额头定位杆可调节的测肤仪
CN215348836U (zh) 多功能医用压舌装置
CN215959788U (zh) 一种医用口腔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