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2527A - 자동차용 스위칭 가능한 안정화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스위칭 가능한 안정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2527A
KR20070072527A KR1020077008864A KR20077008864A KR20070072527A KR 20070072527 A KR20070072527 A KR 20070072527A KR 1020077008864 A KR1020077008864 A KR 1020077008864A KR 20077008864 A KR20077008864 A KR 20077008864A KR 20070072527 A KR20070072527 A KR 200700725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able
stabilizer
pressure
accumulator
hydrau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8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젠스 보르트메이어
안드레아스 하르트만
베른드 그라네만
마우로 자넬라
스테판 비츠
토르스텐 바우스티안
게랄드 페스트너
Original Assignee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filed Critical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Publication of KR20070072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25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B60G21/0551Mounting means therefor
    • B60G21/0553Mounting means therefor adjustable
    • B60G21/0556Mounting means therefor adjustable including a releasable coup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10Type of spring
    • B60G2202/13Torsion spring
    • B60G2202/135Stabiliser bar and/or tube
    • B60G2202/1351Stabiliser bar and/or tube comprising at least two stabiliser bars parallel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40Type of actuator
    • B60G2202/41Fluid actuator
    • B60G2202/416Fluid actuator using a pump, e.g. in the line connecting the lower chamber to the upper chamber of the actu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40Constructional features of dampers and/or springs
    • B60G2206/42Springs
    • B60G2206/427Stabiliser bars or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Hydraulic Clutches, Magnetic Clutches, Fluid Clutches, And Fluid Joints (AREA)
  • Actuator (AREA)
  • Switches Operated By Changes In Physical Conditions (AREA)
  • Control Of Direct Current Motors (AREA)
  • Control Of Multiple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스위칭 가능한 안정화기를 컴팩트한 유닛으로 설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유압 및 제어부(9)의 유압 장치가 스위칭 가능한 커플링 유닛(3)의 피스톤 실린더 유닛과 함께 폐회로를 형성하고, 상기 유압 및 제어부(9)는 상기 스위칭 가능한 커플링 유닛(3)의 원통형 하우징(10) 내로 통합된다.
안정화기, 유압 및 제어부, 커플링 유닛, 피스톤 실린더 유닛, 폐회로, 하우징.

Description

자동차용 스위칭 가능한 안정화기{SWITCHABLE STABILISER FOR A MOTOR VEHICLE}
본 발명은 청구항 1 및 청구항 3의 전제부에 따른 스위칭 가능한 안정화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안정화기들은 자동차 공학에 사용된다.
기본적으로, 자동차의 각각의 축에는 안정화기가 할당 배치되며, 상기 안정화기는 토션 바아 원리에 따라 동작하고 자동차 축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며 2개의 단부가 휠 서스펜션에 고정된다. 상기 안정화기는 주행로 상태에 의해 야기되어 휠로부터 나오는 요동 운동이 차체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현저히 약화시킨다. 이러한 요동 운동은 특히 주행로 커브 또는 울퉁불퉁한 주행로 상태에서 나타난다.
일체형 안정화기들는 그 치수 설계 및 그 재료 특성에 있어 예정된 스프링 레이트로 설계되기 때문에, 이들은 특정 크기의 비틀림력만을 흡수하고 상응하는 대항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은 상이한 부하에 대해 너무 약하거나 또는 너무 강하게 반응하고, 이는 승차의 편안함에 불리하게 작용한다. 따라서, 일체형 안정화기들은 도로에 사용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이에 반해, 이들은 높은 비틀림 하중으로 인해 지면에 대해 설계된 자동차에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
따라서, 예컨대 지면에서의 주행시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비틀림 하중이 클 때 그리고 일체형 안정화기의 제한된 회전각이 더 이상 충분치 않을 때, 스위칭 가능한 커플링 유닛을 통해 서로 연결된 2체형 안정화기가 사용된다.
이러한 스위칭 가능한 커플링 유닛은 DE 199 23 100 C1에 설명된다. 상기 스위칭 가능한 커플링 유닛은 하나의 외부 선삭 부품 및 하나의 내부 선삭 부품으로 이루어지고, 이들은 각각 한편으로는 하나의 안정화기 부분과 다른 한편으로는 다른 안정화기 부분과 연결된다. 이 경우, 상기 외부 선삭 부품과 내부 선삭 부품은 각각 대향하는 2개의 톱니 부재를 가지며, 상기 톱니 부재들은 공통의 방사방향 평면 내에 배치되고 그들 사이에 2개의 대향 자유 공간을 형성한다. 커플링 유닛 내에는 또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록킹 피스톤이 안내되고, 상기 록킹 피스톤은 단부면에 톱니 부재들의 사이 공간 내로 삽입되는 록킹 부재를 가지며, 압축 스프링에 의해 록킹 방향으로 그리고 유압에 의해 록킹 해제 방향으로 하중을 받는다. 필요한 유압을 형성하기 위해, 주축에서 펌프, 스위칭 가능한 방향 밸브, 탱크 및 축압기로 이루어지며 하나의 컴팩트한 유닛으로 구현되는 적합한 유압 장치가 제공된다. 이러한 컴팩트한 유압 장치는 습기로부터 보호된 자동차의 공간 내에 배치되고 가공 라인을 통해 2체형 안정화기의 커플링 유닛에 연결된다.
예컨대 도로 주행을 위해, 유압 커플링 유닛 내에서 유압이 차단됨으로써, 록킹 피스톤이 압축 스프링의 힘에 의해 이동되고 2개의 선삭 부품들의 톱니 부재들 사이의 자유 공간이 그 록킹 부재로 유격 없이 채워진다. 따라서, 2개의 안정화기 부분들은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서로 연결됨으로써, 이 상태에서 2개의 안정 화기 부분들이 일체형 안정화기와 같이 작용한다. 예컨대 지면에서의 주행을 위해서는, 록킹 피스톤이 유압에 의해 하중을 받고, 상기 유압은 록킹 피스톤을 압축 스프링의 힘에 대항해서 이동시킴으로써 록킹 부재 및 방사방향 톱니 부재를 개방시킨다. 상기 개방 위치에서 외부 선삭 부품 및 내부 선삭 부품 및 그에 따라 2개의 안정화기 부분들은 제한된 회전각에 걸쳐 상대 회전 가능하다.
상기 스위칭 가능한 안정화기는 필요한 모든 기술적 요구 조건을 충족시킨다. 그러나, 제조 및 유지 관리 부분에서 단점이 나타난다. 2개의 안정화기 부분, 즉 전기 제어부와 유압 부품이 별도로 제조된 다음, 조립 라인 상에서 완성되어 차량에 조립되어야 한다. 필요한 시스템 체크 및 기능 체크는 조립된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에러의 검출시, 결함을 갖는 부품은 자동차로부터 분해되고 새로운 부품으로 교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방식의 안정화기의 기능 신뢰도를 특히 스위칭 특성과 관련해서 더욱 상승시키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을 가진 스위칭 가능한 안정화기 및 청구항 3의 특징을 가진 스위칭 가능한 안정화기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 청구항 2 및 종속 청구항 4 내지 7에 제시된다.
청구항 1에 따라, 전술한 방식의 스위칭 가능한 안정화기에 있어서, 유압 및 제어부의 유압 장치는 스위칭 가능한 커플링 유닛의 피스톤 실린더 유닛과 함께 폐회로를 형성한다.
또한, 청구항 3에 따라, 전술한 방식의 스위칭 가능한 안정화기에 있어서, 유압 및 제어부가 스위칭 가능한 커플링 유닛의 원통형 하우징 내로 통합된다.
상기 해결책의 특별한 장점은 폐쇄된 유압 회로를 가진 유압 장치의 도입에 의해, 유압 장치를 습기로부터 보호된 장소에 배치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다. 폐쇄된 유압 회로는 대기와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유압 장치는 자동차의 바닥에도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스위칭 가능한 커플링 유닛 및 유압 장치를 가진 2체형 안정화기를 컴팩트한 유닛으로서 구현할 수 있다. 이는 제조 및 시스템 체크의 부분에서 비용상 큰 장점을 제공하는데, 그 이유는 컴팩한 장치가 별도로 가공될 수 있기 때문이다.
유압 장치로부터 안정화기로의 유압 라인이 생략될 수 있기 때문에도 비용 절감이 나타난다.
유압 라인이 있었던 그리고 유압 및 제어부가 배치되었던 조립 장소도 자동차에서 절감된다. 또한, 스위칭 가능한 안정화기가 제공되지 않은 자동차에서도 유압 및 제어부를 위한 조립 공간을 비워둘 필요가 없다.
청구항 1에 따른 안정화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유압 및 제어부는 압력 라인을 통해 상기 스위칭 가능한 커플링 유닛의 커플링 압력 챔버와 연결되고, 흡입관 라인을 통해 상기 스위칭 가능한 커플링 유닛의 커플링 스프링 챔버와 연결된다. 또한, 압력 라인들은 전기 압력 스위치와 연결되고, 흡입 라인들은 축압기와 연결되며, 압력 라인 및 흡입 라인은 바이패스 라인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바이패스 라인 내에 전자기적으로 스위칭 가능한 2/2 방향 밸브가 배치되고, 상기 방향 밸브는 전류가 공급되는 상태에서는 폐쇄되며 전류가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개방되도록 구현된다.
청구항 3에 따른 안정화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유압 및 제어부가 스위칭 가능한 커플링 유닛과는 동축으로 배치되고, 원통형 하우징과 상기 원통형 하우징 내에 배치된 밸브 블록으로 이루어진다. 유압 및 제어부의 원통형 하우징은 스위칭 가능한 커플링 유닛의 원통형 하우징과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고, 밸브 블록은 필요한 모든 유압 부재와 연결된다.
2개의 원통형 하우징을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해 그리고 유닛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중간 플랜지가 사용된다. 또한, 중간 플랜지는 축압기의 조립을 위한 매우 양호한 조건을 제공한다.
그러한 안정화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유압 및 제어부는 내부 압력 라인을 통해 상기 스위칭 가능한 커플링 유닛의 커플링 압력 챔버와 연결되고, 외부의 흡입관 라인을 통해 상기 스위칭 가능한 커플링 유닛의 커플링 스프링 챔버와 연결된다. 또한, 압력 라인은 전기 압력 스위치와 연결되고, 흡입 라인은 축압기와 연결되며, 상기 압력 라인과 상기 흡입 라인은 바이패스 라인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바이패스 라인 내에 전자기적으로 스위칭 가능한 2/2 방향 밸브가 배치되고, 상기 방향 밸브는 전류가 공급되는 상태에서는 폐쇄되고, 전류가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개방되도록 구현된다.
또한, 축압기는 축압기 실린더, 축압기 피스톤 및 상기 축압기 피스톤에 하중을 가하는 축압기 압축 스프링을 포함하는 간단한 피스톤 실린더 유닛으로서 구현될 수 있고, 상기 축압기 실린더와 상기 축압기 피스톤은 중간 플랜지 내에 배치되며, 상기 축압기 압축 스프링과 그 축압기 스프링 챔버는 제 1 안정화기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축압기를 간단한 피스톤 실린더 유닛으로 구현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그에 따라 방사방향 조립 공간이 작게 유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유압 및 제어부가 스위칭 가능한 커플링 유닛의 기계적 부분에 대해 동축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그에 따라 회전 운동을 위해 필요한, 자동차에서의 방사방향 자유 공간이 작게 유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연결 가능한 밸브 블록의 구현에 의해, 방사 방향 및 축방향으로의 매우 작은 조립 공간만이 필요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2 체형의 스위칭 가능한 안정화기의 사시도.
도 2는 안정화기의 스위칭 가능한 커플링 유닛의 단면도.
도 3은 스위칭 가능한 커플링 유닛의 90°회전된 제 2 단면도.
도 1에 따라 스위칭 가능한 안정화기는 제 1 안정화기 부분(1) 및 제 2 안정화기 부분(2)으로 이루어지고, 이들 2개의 부분들은 하나의 스위칭 가능한 커플링 유닛(3)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2개의 안정화기 부분들(1, 2)은 각각 안정화기 베어링(4, 5)을 통해 차체에 그리고 요동 지지부(6, 7)를 통해 차량의 휠에 설치된 다. 스위칭 가능한 커플링 유닛(3)은 기계적 부분(8)과 유압 및 제어부(9)로 구성된다. 상기 기계적 부분(8)은 2개의 안정화기 부분(1, 2)을 하나의 끝 위치에서 서로 연결시키고, 다른 끝 위치에서는 제한된 회전각을 위해 서로 분리시킨다.
특히 도 2 및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스위칭 가능한 커플링 유닛(3)의 기계적 부분(8)은 원통형 하우징(10)을 그리고 상기 유압 및 제어부(9)는 원통형 하우징(11)을 포함하며, 상기 2개의 하우징들은 중간 플랜지(12)를 통해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서로 연결된다. 이렇게 일체형으로 구현된 원통형 하우징들(10, 11)은 재차 하우징 플랜지(13)를 통해 제 2 안정화기 부분(2)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된다. 제 1 안정화기 부분(1)의 측면 상에서, 기계적 부분(8)의 원통형 하우징(10)이 베어링 플랜지(14)를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 플랜지에 의해 제 1 안정화기 부분(1)의 단부가 기계적 부분(8)의 내부까지 안내된다. 제 1 안정화기 부분(1)과 원통형 하우징(10)은, 원통형 하우징(10)의 전체 축방향 길이에 걸쳐 링형 공간(15)이 생기도록 서로 방사방향으로 이격된다. 상기 링형 공간(15)은 베어링 플랜지(14)의 영역에서 밀봉 소자(16)에 의해 외부에 대해 유압식으로 밀봉된다.
제 1 안정화기 부분(1)의 자유 단부는 힘 전달 부분(17)을 지지하며, 상기 힘 전달 부분은 제 1 안정화기 부분(1)과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고 원통형 하우징(10)의 내벽에 대해 미끄럼 방식으로 구현된다. 상기 힘 전달 부분(17)과 제 1 안정화기 부분(1)은 축방향으로 중간 플랜지(12)에 지지된다. 도 3에 따라 상기 힘 전달 부분(17)은 바람직하게는 원추형으로 연장하는 이뿌리면을 가진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톱니 부재(18)를 포함한다. 상기 톱니 부재(18)의 축방향 영역에 는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원통형 하우징(10) 내에 거기에 알맞는 톱니 부재(19)가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삽입된다. 2개의 톱내 부재들(18, 19)은 그들 사이에 2개의 마주 놓인 자유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자유 공간 내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록킹 피스톤(21)의 2개의 상응하게 매칭된 록킹 부재(20)가 삽입된다. 이를 위해, 상기 록킹 피스톤(21)은 제 1 안정화기 부분(1)에 대해 그리고 원통형 하우징(10)의 내벽에 대해 미끄럼 방식으로 그리고 축방향으로 구현되고, 링형 공간(14) 내에서 한편으로는 록킹 피스톤(21)과 베어링 플랜지(14) 사이에 커플링 스프링 챔버(22)가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록킹 피스톤(21)과 중간 플랜지(12) 사이에 커플링 압력 챔버(23)가 형성되도록 제한되어 구현된다. 커플링 압력 챔버(23)와 커플링 스프링 챔버(22)로부터 유압식 분리를 위해, 록킹 피스톤(21)은 제 1 안정화기 부분(1)에 대해 내부 밀봉 부재(24)를 가지며, 원통형 하우징(10)에 대해 외부 밀봉 부재(25)를 갖는다. 커플링 스프링 챔버(22) 내에는 커플링 압축 스프링(26)이 삽입된다. 상기 커플링 압축 스프링(26)은 베어링 플랜지(14)에 지지되고 록킹 피스톤(21)에 힘 전달 부재(18)의 방향으로 하중을 준다. 반대 방향으로, 록킹 피스톤(21)은 커플링 압력 챔버(23) 내의 유압의 힘에 의해 하중을 받는다. 힘 전달 부재(17)와 원통형 하우징(10)의 2개의 톱니 부재(18, 19), 및 록킹 피스톤(21)의 2개의 록킹 부재(20)는, 그들이 커플링 압축 스프링(26)의 힘에 의해 결합되고 제 1 안정화기 부분(1)과 원통형 하우징(10) 사이의 유격 없는 결합을 형성하며 커플링 압력 챔버(23)내의 유압의 하중에 의해 제한된 축방향 거리에 걸쳐 분리되고 제 1 안정화기 부분(1)과 원통형 하우징(10) 사이의 제한된 회전각을 해제 하도록, 서로 매칭된다.
유압 및 제어부(9)는 유압 밸브 블록(27)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밸브 블록(27)은 원통형 하우징(11)의 내부에서 기계적 부분(8) 근처에 배치되고 상응하는 유압 부재와 연결된다. 상기 유압 부재는 스위칭 가능한 커플링 유닛(3)의 기계적 부분(8)을 구동시키기 위한 폐쇄된 유압 회로를 형성한다.
상기 유압 회로는 펌프(29)와 결합된 전기 모터(28)를 포함한다. 상기 펌프(29)는 중간 플랜지(12)를 통해 안내된 압력 라인(30)을 통해 유압 커플링 유닛(3)의 커플링 압력 챔버(23)와 연결되고, 흡입 라인(31), 흡입 연결부(32) 및 외부에 놓인 흡입관 라인(33)을 통해 상기 스위칭 가능한 커플링 유닛(3)의 커플링 스프링 챔버(22)와 연결된다. 이를 위해, 압력 라인(30) 및 흡입 라인(31)은 바이패스 라인(34)을 통해 연결되고, 바이패스 라인(34) 내에 전자기적으로 스위칭 가능한 2/2 방향 밸브(35)가 배치된다. 흡입 라인(30)은 또한 축압기(36)와 연결되고, 상기 축압기(36)는 축압기 실린더(37)와, 축압기 압축 스프링(38)에 의해 하중을 받는 축압기 피스톤(39)으로 형성된다. 공간적으로 상기 축압기 실린더(37) 및 축압기 피스톤(39)은 중간 플랜지(12) 내에 배치되는 한편, 상기 축압기 압축 스프링(38)은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축압기 스프링 챔버(40) 내로 연장된다. 상기 축압기 스프링 챔버(40)는 제 1 안정화기 부분(1) 내에 형성된다. 흡입 라인(31) 내에는 펌프(29)의 방향으로 개방하는, 해제 불가능한 체크 밸브(41)가 배치되는 한편, 압력 라인(30) 내에는 펌프(29)의 방향으로 폐쇄하는 해제 불가능한 폐쇄 체크 밸브(42)가 배치된다. 또한, 압력 라인(30)은 전기 압력 스위치(43)와 연결된다.
유압 및 제어부(9)는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플랜지(12)에 유압 충전 연결부(44)를 그리고 하우징 플랜지(13)에는 2/2 방향 밸브(35) 및 전기 모터(28)용 2개의 전기 연결부(45, 46)를 갖는다.
작동 준비 상태를 형성하기 위해, 충전 연결부(44)를 통해, 커플링 스프링 챔버(22), 커플링 압력 챔버(23) 및 축압기(36)를 포함하는 전체 유압 장치가 충분한 양의 압축 오일로 채워짐으로써, 스위칭 가능한 커플링 유닛(3)의 작동을 위해 충분한 압력이 주어진다.
주행로의 상태가 정상적인 경우, 전기 모터(28)는 차단되고, 2/2 방향 밸브(35)는 전류 없이 유지된다. 따라서, 2/2 방향 밸브(35)가 개방 통과 위치를 갖기 때문에, 압력 라인(30)과 흡입 라인(31)은 과압 라인(34) 및 2/2 방향 밸브(35)를 통해 서로 접속된다. 압력 라인(30)과 흡입 라인(31)은 동일한 압력을 가지며, 상기 압력은 커플링 압력 챔버(23)와 커플링 스프링 챔버(22)로 전달되어 록킹 피스톤(21)의 양측에 동일한 압력으로 하중을 준다. 동일한 크기의 면으로 인해, 록킹 피스톤(21)에서의 유압 힘이 상쇄되므로, 커플링 압축 스프링(26)의 힘이 록킹 피스톤(21)을 힘 전달 부재(17)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록킹 부재(20)와 톱니 부재(18, 19)의 측면 원추형 면들이 유격 없이 서로 인접할 때까지, 원추형 록킹 부재(20)가 제 1 안정화기 부분(1)의 톱니 부재(18)와 원통형 하우징(10)의 톱니 부재(19) 사이로 삽입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스위칭 가능한 커플링 유닛(3)은 록킹되고, 이렇게 연결된 2개의 안정화기 부분들(1, 2)은 일체형 안정화기와 같이 작용한다. 커플링 압축 스프링(26)의 힘과 톱니 부재(18, 19) 및 록킹 부재(20)의 원 추형 면은, 커플링 압축 스프링(26)의 힘이 스위칭 가능한 커플링 유닛(3)의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회전력 보다 커서, 전체 부하 폭에 걸쳐 스위칭 가능한 커플링 유닛(3)의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서로 매칭된다.
예컨대 지면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은 비정상적인 주행로 상태의 경우, 서로 결합된 안정화기 부분(1 2)의 스프링 레이트는 휠의 요동 운동을 보상하기에 불충분하다. 2개의 안정화기 부분(1, 2)의 더 큰 회전각을 얻기 위해, 중앙 제어 신호가 트리거되고, 상기 신호는 2/2 방향 밸브(35)와 전기 모터(28)에 전류를 공급한다. 이로 인해, 2/2 방향 밸브(35)는 그 차단된 위치로 되는 한편, 전기 모터(28)는 시동하여 펌프(29)를 구동시킨다. 펌프(29)는 내부 흡입 라인(31) 및 외부 흡입관 라인(33)을 통해 커플링 압력 챔버(22)로부터 압축 오일을 흡입하여 그것을 내부 압력관(30)을 통해 커플링 압력 챔버(23) 내로 송출한다. 따라서, 커플링 압력 챔버(23) 내에는 커플링 스프링 챔버(22) 내의 압력 보다 높은 압력이 설정된다. 차압은 록킹 피스톤(21)에 작용하고, 커플링 압축 스프링(26)의 힘에 대항하며 록킹 피스톤(21)을 베어링 플랜지(14)의 방향으로 하나의 끝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힘을 발생시킨다. 이로 인해, 스위칭 가능한 커플링 유닛(3)의 록킹이 중단되고, 한편으로는 톱내 부재(18, 19)의 자유 단부가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록킹 부재(20)의 자유 단부가 축방향 커버링 내에 유지된다. 측면 원추형 면들의 원추도로 인해, 톱니 부재들(18, 19)과 록킹 부재(20) 사이에 예정된 방사방향 선회 각이 주어진다. 록킹 피스톤(21)의 상기 끝 위치에서, 커플링 압력 챔버(23) 내에 예정된 압력이 설정되고, 상기 압력은 내부 압력 라인(30)을 통해 전달되어 압력 스위 치(43)를 작동시킨다. 상기 제어 신호에 의해 전기 모터(28)가 차단되고, 압력 라인(30)과 그에 따라 커플링 압력 챔버(23) 내의 그리고 흡입 라인(31)과 그에 따라 커플링 스프링 챔버(22) 내의 압력 상태는 변함없이 유지된다. 따라서, 스위칭 가능한 커플링 유닛(3)의 개방된 위치가 유지된다.
주행로 상태의 개선에 의해, 다시 중앙 제어 신호가 유압 및 제어부(9)에 전달되고, 그로 인해 2/2 방향 밸브(35)의 전류 공급이 중단된다. 따라서, 2/2 방향 밸브(35)가 다시 그 개방 위치로 이동됨으로써, 압력 라인(30)과 흡입 라인(31)이 다시 연결되고, 록킹 피스톤(21)에서 압력 보상이 이루어진다. 록킹 피스톤은 커플링 압축 스프링(26)의 힘에 의해 이동되고 스위칭 가능한 커플링 유닛을 록킹시킨다.
예컨대 온도 변동에 의해 또는 누설 손실에 의해 나타날 수 있는 가능한 체적 변동은 축압기 압축 스프링(38)에 의해 하중을 받는 축압기(36)에 의해 보상된다.
유압 및 제어부(9)의 전기 제어부 내의 손상은, 2/2 방향 밸브(35)가 항상 통과 위치를 갖게 하여, 적어도 스위칭 가능한 커플링 유닛(3)의 록킹된 동작 범위가 유지되게 한다.

Claims (7)

  1. 스위칭 가능한 커플링 유닛(3)을 통해 서로 연결된 제 1 안정화기 부분(1) 및 제 2 안정화기 부분(2)을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 가능한 커플링 유닛(3)은 간단한 피스톤 실린더 유닛으로 구현되며 유압 및 제어부(9)와 연결되는, 자동차용 스위칭 가능한 안정화기에 있어서, 상기 유압 및 제어부(9)의 유압 장치는 상기 스위칭 가능한 커플링 유닛(3)의 상기 피스톤 실린더 유닛과 함께 폐회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스위칭 가능한 안정화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및 제어부(9)는 압력 라인(30)을 통해 상기 스위칭 가능한 커플링 유닛(3)의 커플링 압력 챔버(23)와 연결되고, 흡입관 라인(33)을 통해 상기 스위칭 가능한 커플링 유닛(3)의 커플링 스프링 챔버(22)와 연결되며, 상기 압력 라인들(30)은 전기 압력 스위치(43)와 연결되고, 상기 흡입 라인(31)들은 축압기(36)와 연결되며, 상기 압력 라인(30) 및 상기 흡입 라인(31)은 바이패스 라인(34)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바이패스 라인(34) 내에 전자기적으로 스위칭 가능한 2/2 방향 밸브(35)가 배치되고, 상기 방향 밸브는 전류가 공급되는 상태에서는 폐쇄되며 전류가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개방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스위칭 가능한 안정화기.
  3. 스위칭 가능한 커플링 유닛(3)을 통해 서로 연결된 제 1 안정화기 부분(1) 및 제 2 안정화기 부분(2)을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 가능한 커플링 유닛(3)은 간단한 피스톤 실린더 유닛으로 구현되며 유압 및 제어부(9)와 연결되는, 자동차용 스위칭 가능한 안정화기에 있어서, 상기 유압 및 제어부(9)는 상기 스위칭 가능한 커플링 유닛(3)의 원통형 하우징(10) 내에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스위칭 가능한 안정화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및 제어부(9)는 상기 스위칭 가능한 커플링 유닛(3)과는 동축으로 배치되고, 원통형 하우징(11)과 상기 원통형 하우징(11) 내에 배치된 밸브 블록(27)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압 및 제어부(9)의 상기 원통형 하우징(11)은 상기 스위칭 가능한 커플링 유닛(3)의 원통형 하우징(10)과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고, 밸브 블록(27)은 필요한 모든 유압 부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스위칭 가능한 안정화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원통형 하우징(10, 11)의 상대 회전 불가능한 연결을 위해 중간 플랜지(12)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스위칭 가능한 안정화기.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및 제어부(9)는 내부 압력 라인(30)을 통해 상기 스위칭 가능한 커플링 유닛(3)의 커플링 압력 챔버(23)와 연결되고, 외부 흡입관 라인(33)을 통해 상기 스위칭 가능한 커플링 유닛(3)의 커플링 스프링 챔버(22) 와 연결되며, 상기 압력 라인들(31)은 전기 압력 스위치(43)와 연결되고, 상기 흡입 라인(31)들은 축압기(36)와 연결되며, 상기 압력 라인(30) 및 상기 흡입 라인(31)은 바이패스 라인(34)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바이패스 라인(34) 내에 전자기적으로 스위칭 가능한 2/2 방향 밸브(35)가 배치되고, 상기 방향 밸브는 전류가 공급되는 상태에서는 폐쇄되며 전류가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개방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스위칭 가능한 안정화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축압기(36)는 축압기 실린더(37), 축압기 피스톤(39) 및 상기 축압기 피스톤(39)에 하중을 가하는 축압기 압축 스프링(38)을 포함하는 간단한 피스톤 실린더 유닛으로서 설계되고, 상기 축압기 실린더(37)와 상기 축압기 피스톤(39)은 중간 플랜지(12) 내에 배치되며, 상기 축압기 압축 스프링(38)과 그 축압기 스프링 챔버(40)는 상기 제 1 안정화기 부분(1)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스위칭 가능한 안정화기.
KR1020077008864A 2004-09-30 2005-09-28 자동차용 스위칭 가능한 안정화기 KR2007007252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4048085A DE102004048085A1 (de) 2004-09-30 2004-09-30 Schaltbarer Stabilisator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04048085.0 2004-09-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2527A true KR20070072527A (ko) 2007-07-04

Family

ID=35427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8864A KR20070072527A (ko) 2004-09-30 2005-09-28 자동차용 스위칭 가능한 안정화기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080000710A1 (ko)
EP (1) EP1794009B1 (ko)
JP (1) JP2008514487A (ko)
KR (1) KR20070072527A (ko)
CN (1) CN100581857C (ko)
AT (1) ATE406277T1 (ko)
AU (1) AU2005289258A1 (ko)
BR (1) BRPI0516747A (ko)
DE (2) DE102004048085A1 (ko)
MX (1) MX2007003800A (ko)
WO (1) WO2006034698A1 (ko)
ZA (1) ZA20070268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54994A1 (de) * 2006-11-22 2008-05-29 Zf Friedrichshafen Ag Wankstabilisierungssystem
DE102007040736B4 (de) * 2007-08-28 2015-05-21 Zf Friedrichshafen Ag Schaltbare Stabilisatoreinrichtung
DE102008033270A1 (de) * 2008-07-15 2010-01-21 Schaeffler Kg Elektromechanischer Aktuator, insbesondere für einen Wankstabilisator eines Kraftfahrzeugs
DE202010008467U1 (de) * 2010-09-06 2011-12-07 Asturia Automotive Systems Ag Entkoppelbarer Aktuator, insbesondere mit elektromechanischem Antrieb
KR101550598B1 (ko) * 2011-07-29 2015-09-1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스태빌라이저 바의 마운트 부시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8810U (ja) * 1983-07-19 1985-02-0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スタビライザ
DE3740244A1 (de) * 1987-11-27 1989-06-08 Daimler Benz Ag Stabilisator fuer kraftfahrzeuge
DE19923100C1 (de) * 1999-05-20 2001-02-08 Pnp Luftfedersysteme Gmbh Stabilisator für ein Kraftfahrzeug
GB2350591B (en) * 1999-06-04 2003-05-14 Delphi Tech Inc Roll control actuator
ATE288037T1 (de) * 1999-10-12 2005-02-15 Magna Drivetrain Ag & Co Kg Drehzahldifferenzabhängige hydraulische kupplung mit steuerventilen
DE19950624A1 (de) * 1999-10-20 2001-04-26 Zf Lenksysteme Gmbh Aktuator
US6513819B1 (en) * 2000-11-28 2003-02-04 Delphi Technologies, Inc. Hydraulically actuated sway bar latch
FR2823803B1 (fr) * 2001-04-23 2005-11-11 Valeo Actionneur electro-hydraulique, notamment pour la commande d'un embrayage de vehicule automobile
DE10140604C1 (de) * 2001-08-18 2003-04-17 Daimler Chrysler Ag Verfahren zur Beeinflussung des Wankverhaltens von Kraftfahrzeugen
DE10225035B4 (de) * 2002-06-06 2004-11-04 ZF Lemförder Metallwaren AG Geteilter Stabilisato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verzahnten Anbindung des äußeren Drehteils an einen der beiden Stabilisatorteile
DE10244362B4 (de) * 2002-09-24 2004-10-14 Daimlerchrysler Ag Hydraulische Stabilisierungseinrichtung für Fahrzeuge
DE10259264B4 (de) * 2002-12-17 2004-12-02 Thyssenkrupp Automotive Ag Schwenkmotor
US6948707B2 (en) * 2003-12-09 2005-09-27 The Timken Company Stabilizer bar having variable torsional stiffness
DE202004001668U1 (de) * 2004-02-04 2004-06-17 Trw Automotive Gmbh Steuersystem für eine aktive Fahrwerkstabilisier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4048085A1 (de) 2006-04-06
CN101031442A (zh) 2007-09-05
AU2005289258A1 (en) 2006-04-06
ZA200702682B (en) 2008-08-27
ATE406277T1 (de) 2008-09-15
MX2007003800A (es) 2007-05-24
EP1794009B1 (de) 2008-08-27
DE502005005212D1 (de) 2008-10-09
BRPI0516747A (pt) 2008-09-23
US20080000710A1 (en) 2008-01-03
CN100581857C (zh) 2010-01-20
WO2006034698A1 (de) 2006-04-06
EP1794009A1 (de) 2007-06-13
JP2008514487A (ja) 2008-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33294B1 (en) Vehicle roll control system
US8628100B2 (en) Stabilizing device for steered trailing axles of vehicles
US7055832B2 (en) Vehicle roll control system
US7726666B2 (en) Actuator for a divided stabilizer of a motor vehicle
US5597180A (en) Vehicle roll control apparatus
US7293780B2 (en) Vehicle roll control system
US20050280237A1 (en) Hydraulic circuit for a stabilizer bar
CN117162727A (zh) 主动悬架系统
KR20070072527A (ko) 자동차용 스위칭 가능한 안정화기
JP2008500227A (ja) 調節可能なスタビライザリンクを備えた、自動車に用いられるスタビライザアッセンブリ
JP2007536149A (ja) 車輛ロール制御システム
US5431431A (en) Vehicle roll control system
JPH03501597A (ja) 自動車用油圧パワーステアリングシステム
GB2377415A (en) A semi-active roll control system for a motor vehicle
US20050133321A1 (en) Automotive stabilizer incorporated with suspension system
WO2007042870A1 (en) In-wheel suspension
US4982972A (en) Hydraulic pump and actuator for parallel auxiliary leaf spring
CN107150562B (zh) 用于操控摆动轴的装置、摆动轴组件以及具有至少一个摆动轴的移动式做功机械
AU709836B2 (en) Structure for supporting pivot controlling damper
KR20080031372A (ko) 자동차
KR20110003281A (ko) 유압 유닛용 댐핑 기구
JPH04106083U (ja) 後輪操舵装置のシリン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