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1515A - 이동식 캡슐 주택 - Google Patents

이동식 캡슐 주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1515A
KR20070071515A KR1020050135030A KR20050135030A KR20070071515A KR 20070071515 A KR20070071515 A KR 20070071515A KR 1020050135030 A KR1020050135030 A KR 1020050135030A KR 20050135030 A KR20050135030 A KR 20050135030A KR 20070071515 A KR20070071515 A KR 200700715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air
air layer
heat
cylind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5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수
정종철
Original Assignee
김현수
정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수, 정종철 filed Critical 김현수
Priority to KR1020050135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71515A/ko
Publication of KR20070071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15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2Dwelling houses; Buildings for temporary habitation, e.g. summer hou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50Hydropower in dwel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통형 외벽 내부에 공기층 및 단열층을 사이에 두고 원통형 내벽을 설치하되 내벽 외 주면에는 단열층으로 감싸진 원통형 난방관을 매설하여 겨울철 실내가 원통형 난방관에 의해 사방에서 가열되므로 열효율이 향상되고, 특히 여름철 강철 외벽이 태양열로 가열되면 공기층으로 외기를 유통시켜 공기 냉각 시킴으로써 내벽으로 열전달 되지 않도록 차단하여 실내 온도변화에 영향을 주지 않고 냉방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동식 캡슐 주택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이동식 캡슐 주택은 바닥판을 가지며 원통형 실내를 구성하는 원통형 내벽; 상기 내벽 외주면을 원통형으로 감싸는 난방관으로 열매체를 순환시켜 상기 실내를 방사상으로 가열 난방하는 온수발생기; 상기 내벽을 감싸 상기 난방관을 덮는 단열층 그리고 상기 단열층과의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상기 내벽을 감싸는 외벽으로 구성되고 여름철 외기를 상기 공기층으로 유통시켜 상기 외벽이 공냉되도록 한 특징이 있다.
공기층, 단열층, 온수발생기, 난방관

Description

이동식 캡슐 주택{Movement type capsule house}
도 1은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이동식 캡슐 주택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이동식 캡슐 주택의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이동식 캡슐 주택의 간격유지구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이동식 캡슐 주택의 난방관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이동식 캡슐 주택의 출입구 쪽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이동식 캡슐 주택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이동식 캡슐 주택의 정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이동식 캡슐 주택의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외벽 2 : 내벽
3 : 바닥판 4 : 간격유지구
5 : 난방관 6 : 온수발생기
7 : 단열층 8 : 공기층
9 : 흡기구 10 : 배기구
11 : 배기 팬 40 : 원형 프레임
40a : 간격유지구
본 발명은 이동식 캡슐 주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통형 외벽 내부에 공기층 및 단열층으로 감싸진 원통형 내벽을 설치하고 내벽 외주면에는 실내를 난방할 수 있는 난방관을 원통형으로 감아 설치함으로써, 원통형으로 감긴 난방관으로 인하여 원통형 실내가 효율적으로 가열 난방 되고, 여름철 외벽이 가열되면 공기층으로 외기를 유통시켜 공냉(空冷) 시킴으로써 외벽의 열기가 내벽으로 열전달 되지 않도록 차단하여 실내 온도변화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한 이동식 캡슐 주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식 캡슐 주택은 차량으로 견인하거나 또는 실어서 목적지로 운반 설치하는 것으로써, 주말용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임시 거처로 활용하는 것이 대부분 이다. 최근에는 주5일 근무가 확산되면서 이러한 이동식 캡슐 주택의 수요가 늘어나는 추세이다.
종래의 이동식 캡슐 주택은 주로 사각 박스 형태로 구성된 것이 대부분 이며 이러한 박스형 주택 내부에 주방, 화장실, 침실 및 소파 등을 설치하여 주거하는데 불편하지 않도록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이동식 캡슐 주택은 내구성을 감안하여 외벽이 강철로 제작된 박스형이므로 여름철 태양열로 평판 지붕이나 평판 외벽이 가열되면 그 열기가 실내로 전열되어 실내 온도변화에 영향을 주므로 에어컨 등으로 냉방하는데 전기가 많이 소모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박스형 주택은 디자인에 한계가 있으며 강풍이 불 경우 전복될 우려가 있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강풍이 불어도 곡면의 벽체에 의하여 풍압을 덜 받아 전복되지 않고, 또한 태양 직사광선에 대해서도 벽체의 곡면으로 인하여 수열작용이 크지 않기 때문에 여름에도 쾌적한 실내를 유지할 수 있는 원통형 이동식 캡슐 주택을 개발하여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308714호로 선 등록 중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선 등록된 본 발명자의 이동식 캡슐 주택을 개량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원통형 외벽 내부에 공기층 및 단열층을 사이에 두고 원통형 내벽을 설치하되 내벽 외주면에는 단열층으로 감싸진 원통형 난방관을 매설하여 겨울철 실내가 원통형 난방관에 의해 사방에서 가열되므로 열효율이 향상되고, 특히 여름철 강철 외벽이 태양열로 가열되면 공기층으로 외기를 유통시켜 공기 냉각 시킴으로써 내벽으로 열전달 되지 않도록 차단하여 실내 온도변화에 영향을 주지 않고 냉방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동식 캡슐 주택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닥판을 가지며 원통형 실내를 구성하는 원통형 내벽; 상기 내벽 외주면을 원통형으로 감싸는 난방관으로 열매체를 순환시켜 상기 실내를 방사상으로 가열 난방하는 온수발생기; 상기 내벽을 감싸 상기 난방관을 덮는 단열층 그리고 상기 단열층과의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상기 내벽을 감싸는 외벽으로 구성되고 여름철 외기를 상기 공기층으로 유통시켜 상기 외벽이 공냉되도록 한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이동식 캡슐 주택을 나타낸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이동식 캡슐 주택의 정단면도 이다.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이동식 캡슐 주택은 원통형 강철 외벽(1)이 구비되고, 상기 외벽(1) 내부에 공기층(8) 및 단열층(7)을 사이에 두고 원통형 내벽(2)이 구비된다. 상기 내벽(2)은 실내 인테리어를 감안하여 친환경 벽지 또는 황토 등으로 도배하여 편히 쉴 수 있도록 구성한다.
실내 바닥에는 평판의 바닥판(3)이 프레임(3a)으로 지탱되어 구비되며, 상기 외벽(1) 하부에는 이동성을 감안하여 바퀴(1c)가 사방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외벽(1)에는 계단을 설치할 수 있는 출입구(1a) 및 환기용 창문(1b)이 구비된다.
상기 외벽(1)은 내구성 및 전복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강철재로 형성되며, 상기 단열층(7)은 단열성이 좋은 발포 우레탄 또는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물질중의 하나인 황토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내,외벽(2)(1)을 떨어뜨려 이들 사이에 상기 공기층(8)이 형성되도록 다수개의 간격유지구(4)가 형성된다.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간격유지구(4)는 원형 프레임으로 형성된 것이며 상기 간격유지구(4)에는 상기 공기층(8)이 연속되어 외기가 통하도록 다수개의 통로(4a)가 형성된다.
상기 내벽(2) 외주면에는 겨울철 실내를 난방할 수 있는 난방관(5)이 원통형으로 감긴다. 상기 난방관(5)은 실내의 바닥판(3)에서 수평으로 깔리는 것을 제외하곤 원통형으로 상기 내벽(2)의 외주면을 따라 감기므로, 상기 난방관(5)이 실내를 사방으로 감싸는 형태가 되어 실내를 효율적으로 난방 시킬 수 있다.
실내에는 상기 난방관(5)과 연결되는 온수발생기(6)가 구비된다. 상기 온수발생기(6)는 가스 또는 전기를 열원으로 하는 것이며, 상기 온수발생기(6)에 내장된 펌프를 이용하여 가열된 열매체를 상기 난방관(5) 내부로 순환시켜 실내를 난방 시킨다. 그리고 실내에는 온도조절기(6a)가 설치되어 상기 온수발생기(6)의 온도를 조절시킬 수 있다.
상기 외벽(1) 양측에는 정면에서 볼 때 건물 지붕의 처마로 형성되는 반구형 흡기구(9) 및 배기구(10)가 구비된다. 상기 흡,배기구(9)(10)는 상기 공기층(8)과 연결되는 흡기통로(9a) 및 배기통로(10a)가 형성되며, 상기 배기통로(10a)에는 모터로 작동되는 배기 팬(11)이 구비된다. 따라서 여름철 태양열로 상기 외벽(1)이 가열되면 상기 배기 팬(11)을 작동시켜 외기가 상기 흡기구(9)를 거쳐 상기 공기층(8)으로 유입된 뒤 상기 배기구(10)로 배기되도록 하고, 이 과정에서 가열된 상기 외벽(1)의 내주면이 공냉 되도록 하여 상기 내벽(2)으로 열전달 되지 않도록 하였다. 상기 배기 팬(11)이 작동되지 않더라도 상기 가열된 외벽(1)의 열기가 상기 공기층(8)을 사이에 두고 형성되는 상기 단열층(7)에 의해서도 차단되므로 상기 내벽 (2)은 실질적으로 가열되지 않고 실내 온도 변화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미설명 부호 1d는 계단을 나타낸다.
이처럼 구성된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이동식 캡슐 주택의 제작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평판의 바닥판(3)과 연결되는 원통형 내벽(2)을 형성시킨다. 그리고 상기 내벽(2) 외주면에 원통형으로 상기 난방관(5)을 깔아준다. 이후 발포 우레탄 또는 황토를 상기 난방관(5)이 감싸지도록 상기 내벽(2) 외주면에 도포하여 단열층(7)을 형성하고, 상기 외벽(1)을 원통형으로 말아 상기 내벽(2)을 감싼다. 이때 상기 내,외벽(2)(1)은 상기 공기층(8)이 형성되도록 별도의 간격유지구(4)로 떨어뜨려야 되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 간격유지구(4)는 상기 내,외벽(2)(1) 사이에 원통형 프레임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때 이들 프레임들은 상기 공기층(8)이 연속되도록 다수개의 통공(4a)들이 천공되어야 한다.
상기 내,외벽(2)(1)으로 실내가 완성되면 도 6에서와 같이 테이블(12), 소파(13), 화장실(14), 주방(15), 식탁(16), 침대(17) 및 옷장(18)등을 실내에 배치하면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이동식 캡슐 주택이 완성된다.
이처럼 조립되는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이동식 캡슐 주택은 여름철 강철재 상기 외벽(1)이 태양열로 가열되면 상기 배기구(10) 쪽의 배기 팬(11)을 작동시켜 외기가 상기 흡기구(9)를 통하여 상기 공기층(8)으로 유입된 뒤 상기 간격유지구(4)들에 형성된 통로(4a)들을 거쳐 상기 배기구(10)로 배기되도록 해준다. 따라서 상기 외벽(1) 내주면이 공냉되는 효과가 있으므로 여름철 실내 온도변화에 영향을 주 지 않아 에어컨 등의 사용 전기료를 절감시킬 수 있다.
겨울철에는 상기 흡,배기구(9)(10)의 흡기통로(9a) 및 배기통로(10a)를 별도의 마개로 막아 찬 외기가 상기 공기층(8)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야 열손실을 막을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이처럼 공기통로 들을 막은 뒤 상기 온수발생기(6)를 작동시키면 가열된 열매체가 상기 난방관(5)을 타고 순환되면서 상기 내벽(2)을 가열시키므로 실내가 난방된다. 상기 난방관(5)은 상기 원통형 내벽(2)의 외주면을 따라 원통형으로 구성된 것이므로 실내의 바닥과 양 측벽 및 천장이 집중적으로 가열되어 실내가 골고루 난방되므로 난방효율이 향상되며, 특히 상기 난방관(5)은 상기 단열층(7)으로 감싸져 상기 공기층(8)으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상기 내벽(2)을 집중적으로 가열시켜 열손실이 감소된다.
도 7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이동식 캡슐 주택의 정단면도 이고, 도 8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이동식 캡슐 주택의 측단면도 이다.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이동식 캡슐 주택은 원통형 외벽(1) 내주면으로 다수개의 원형 프레임(40)을 설치하여 외벽(1)의 형태가 무너지지 않도록 지탱시켰으며, 외벽(1)의 내주면에 원형 프레임(40)의 일부가 묻히도록 우레탄을 발포하여 상기 단열층(7)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원형 프레임(40)들에는 다수개의 간격유지구(40a)를 방사상으로 설치하고 상기 간격유지구(40a)들을 이용하여 내벽(2)을 상기 외벽(1) 내측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간격유지구(40a)들로 인하여 상기 내벽(2)의 외주면과 상기 단열층(7)의 내주면 사이에 공기층(8)이 형성되도록 한 특징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주택은 상기 내벽(2)의 외주면 양측으로 상기 간격유지구(40a)들을 피해 난방관(5)을 지그재그 형태로 설치하여 상기 온수발생기(6)와 연결시킨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 구성은 상기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이동식 캡슐 주택과 동일하다.
상기 본 발명 다른 실시예는 상기 단열층(7)과 상기 내벽(2) 사이에 공기층(8)이 형성되도록 한 것이며, 따라서 겨울철 상기 난방관(5)으로 열매체를 순환시키면 상기 내벽(2)이 직접 가열되고 또한 상기 공기층(8)이 간접 가열되면서 상기 내벽(2)의 양측이 실내 쪽으로 가열되어 난방이 이뤄지며 상기 단열층(7)에 의해 상기 난방관(5)의 열기가 상기 외벽(1)으로 전열되는 것이 차단되며, 상기 흡,배기구(9)(10)들의 흡기통로(9a) 및 배기통로(10a)는 막아서 열손실을 차단해야 되는 것은 당연하다.
본 발명 다른 실시예는 외벽(1) 내주면에 단열층(7)이 직접 형성되고 내벽(2)과 단열층(7) 사이에 공기층(8)이 형성되는 구성이므로 여름철 배기 팬(11)을 작동 시키면 외기가 상기 공기층(8)으로 순환된다. 이때 상기 외벽(1)은 단열층(7)에 의해 열전달이 차단되어 상기 외벽(1)의 공냉은 이뤄지지 않고 실질적으로 상기 내벽(2)의 외주면을 공냉 시키므로 실내 온도 상승을 간접적으로 막아 실내의 냉방비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이동식 캡슐 주택은 농장, 휴양지, 골프장, 산악, 경사지, 해변 및 강변 등에 설치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운반취급이 용이하고 구조적으로 안전성이 높기 때문에 민박용, 이동식 별장용, 통신기지국, 방송스튜디오 및 화생방 벙커로 사용하기 적합하고, 산업용으로 무향 음향측정실, 무균 무진 실, 항온항습시험실 및 전자파 측정 실험실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이동식 캡슐 주택은 온수발생기를 이용하여 난방을 실시하는 것이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전기 열선을 상기 내벽 외주면에 깔면 전기 난방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며 이러한 것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포함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원통형 외벽 내부에 공기층 및 단열층을 사이에 두고 원통형 내벽이 구비되고 상기 내벽 외주면에는 상기 단열층으로 감싸진 원통형 난방관이 매설되므로 겨울철 상기 난방관으로 실내를 사방에서 난방시킬 수 있으므로 난방 효율이 향상된다.
그리고 여름철 상기 외벽이 태양열로 가열되더라도 상기 공기층으로 외기를 유통시켜 상기 외벽을 공냉시킬 수 있으므로 실내 온도변화에 영향을 주지 않아 실내 냉방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바닥판을 가지며 원통형 실내를 구성하는 원통형 내벽;
    상기 내벽 외주면을 원통형으로 감싸는 난방관으로 열매체를 순환시켜 상기 실내를 방사상으로 가열 난방하는 온수발생기;
    상기 내벽을 감싸 상기 난방관을 덮는 단열층 그리고
    상기 단열층과의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상기 내벽을 감싸는 외벽으로 구성되고 여름철 외기를 상기 공기층으로 유통시켜 상기 외벽이 공냉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캡슐 주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에는 상기 공기층과 연통되는 흡기구 및 배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기구에는 외기를 상기 공기층으로 강제 순환시키는 배기 팬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캡슐 주택.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벽과 상기 외벽 사이에 상기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이들의 간격을 떨어뜨리는 원통형 간격유지구가 다수개 구비되고,
    상기 각 간격유지구 마다에는 상기 공기층이 연속되도록 연결하는 다수개의 통로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캡슐 주택.
  4. 원통형이 되도록 내주면에 다수개의 원형 프레임으로 지탱되는 외벽;
    상기 외벽 내주면에 상기 원형 프레임 일부가 묻히도록 발포되어 열전달을 차단하는 단열층;
    상기 단열층과의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상기 외벽 내측의 상기 원형 프레임과 간격유지구를 통하여 연결 지탱되며 원통형 실내를 갖는 원통형 내벽;
    상기 내벽 외주면 양측에 상기 간격유지구들을 피해 지그재그로 형성되는 난방관으로 열매체를 순환시켜 상기 실내를 양측에서 방사상으로 가열 난방하는 온수발생기 그리고
    상기 외벽 양측에 상기 공기층과 연통되는 흡기구 및 배기구로 구성되고,
    상기 배기구에는 외기를 상기 공기층으로 강제 순환시켜 여름철 상기 내벽이 공냉 되도록 하는 배기 팬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캡슐 주택.
KR1020050135030A 2005-12-30 2005-12-30 이동식 캡슐 주택 KR200700715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5030A KR20070071515A (ko) 2005-12-30 2005-12-30 이동식 캡슐 주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5030A KR20070071515A (ko) 2005-12-30 2005-12-30 이동식 캡슐 주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1515A true KR20070071515A (ko) 2007-07-04

Family

ID=38506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5030A KR20070071515A (ko) 2005-12-30 2005-12-30 이동식 캡슐 주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7151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0587B1 (ko) * 2021-06-15 2022-05-23 최진우 주거용 캡슐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220087694A (ko) * 2020-12-18 2022-06-27 최기봉 여름에는 시원하고 겨울에는 따뜻한 피한피서용 지상하우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7694A (ko) * 2020-12-18 2022-06-27 최기봉 여름에는 시원하고 겨울에는 따뜻한 피한피서용 지상하우스
KR102400587B1 (ko) * 2021-06-15 2022-05-23 최진우 주거용 캡슐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1471B1 (ko) 멀티 기능을 갖는 간이주택
WO2011033325A1 (en) Cooling, heating, surface-radiating and air exchanging building system with low energy consumption for energy-saving houses with increased passive quality
CN202303758U (zh) 绿色建筑通气节能设备
JP2711511B2 (ja) 高温多湿地適応住宅
KR20070071515A (ko) 이동식 캡슐 주택
JP2708679B2 (ja) 地中建造物
JP4223467B2 (ja) 建築物の調温構造および調温方法
JP3099952U (ja) 地温を利用した建物の温度調整構造
JP3825779B2 (ja) 建築物の調温構造および調温方法
JP3150126U (ja) エコハウス
JP2002194827A (ja) 建物の換気構造
WO2012105134A1 (ja) 地中熱と太陽熱を利用した空調システム
JP2954872B2 (ja) 家 屋
JP2007092323A (ja) 通気外皮を有する屋根構造および通気外皮を有する屋根構造を備えた建築物
JP5410112B2 (ja) 建物の換気構造
JP2007163023A (ja) 家屋の構造を伴う暖房装置および冷房装置
JP2005201601A (ja) 建物の暖房システム。
JP4049380B2 (ja) 建物の換気システム
KR20110132259A (ko) 2-친환경 조립식 텐트와 가 건물.
JP3727229B2 (ja) 空気循環式空調システム
JP4541372B2 (ja) 空気式太陽集熱換気システム
JPS63259336A (ja) 建物
JP4809498B1 (ja) 地中熱と太陽熱を利用した空調システム。
KR200468491Y1 (ko) 4 계절 이동식 공연장치
JP5035577B1 (ja) 地中熱と太陽熱を利用した空調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