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9413A - 피브이알에서의 프로그래스바를 이용한 녹화물 주요 장면안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피브이알에서의 프로그래스바를 이용한 녹화물 주요 장면안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9413A
KR20070069413A KR1020050131535A KR20050131535A KR20070069413A KR 20070069413 A KR20070069413 A KR 20070069413A KR 1020050131535 A KR1020050131535 A KR 1020050131535A KR 20050131535 A KR20050131535 A KR 20050131535A KR 20070069413 A KR20070069413 A KR 200700694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ene
main scene
progress bar
main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1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82212B1 (ko
Inventor
홍준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31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2212B1/ko
Publication of KR20070069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9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2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22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7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rolling playback functions for recorded or on-demand content, e.g. using progress bars, mode or play-point indicators or bookma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7PVR [Personal Video Recor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147Scene chang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브이알에서의 프로그래스 바를 이용한 녹화물 주요 장면 안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피브이알에서의 프로그래스바를 이용한 녹화물 주요장면 안내 방법은, 프로그램의 주요장면을 추출하여 주요장면 정보와 함께 해당 주요장면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주요장면 저장단계와, 화면 탐색명령을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화면 탐색명령에 따라 프로그래스바 위치에 대응하여 저장된 주요장면의 영상정보를 프로그래스바 위치와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동영상의 녹화시 특징적인 장면을 주요장면으로 검출하여 해당 주요장면과 함께 주요장면의 위치정보를 동영상과 함께 저장하도록 하여 녹화된 영상의 재생시 사용자에게 프로그래스바의 특정위치에 있는 동영상의 주요장면을 알려줄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장면을 쉽게 탐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화면탐색, 프로그래스바, 주요장면

Description

피브이알에서의 프로그래스바를 이용한 녹화물 주요 장면 안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guiding main image using progress bar in PVR}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피브이알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a 및 도 2b는 종래 기술에 따른 현재 영상의 진행 상태를 표시해주기 위한 화면 구성의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브이알에서의 프로그래스바를 이용한 녹화물 주요장면 안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피브이알에서의 프로그래스바를 이용한 녹화물 주요 장면 안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피브이알에서의 프로그래스바를 이용한 녹화물 주요 장면 안내 모습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튜너 120: 디멀티플렉서
130: 영상신호 처리부 135: 디스플레이부
140: 음성신호 처리부 145: 스피커
300: 주요장면 검출부 350: 제어
360: 유저인터페이스부 370: OSD 처리부
380: PVR 프로세서 390: 저장부
본 발명은 피브이알에서의 프로그래스바를 이용한 녹화물 주요장면 안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방송 및 아날로그 에이브이(A/V: Audio/Video)신호를 녹화 및 재생하기 위하여 저장매체로서 HDD(Hard Disk Drive)를 사용하는 것으로는 디지털 피브이알(PVR: Personal Video Recorder)시스템 등이 있다.
디지털 피브이알 시스템은 디지털 방송 또는 아날로그 A/V 신호를 HDD에 저장하든지 HDD에 저장된 신호 스트림(stream)을 재생할 수 있다. 이러한 디지털 PVR 시스템에서의 에이브이(A/V: Audio/Video) 신호를 녹화 또는 재생하는 과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피브이알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피브이알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선국하기 위한 튜너(110)와, 상기 튜너(110)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에서 영상신호, 음성신호 및 부가정보를 분리하기 위한 디멀티플렉서 (120)와,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50)와, 상기 제어부(15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디멀티플렉서(120)에서 분리된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부(135)를 통해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신호처리하여 출력하는 영상신호 처리부(130)와, 상기 제어부(15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디멀티플렉서(120)에서 분리된 음성신호가 스피커(145)를 통해 출력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음성신호 처리부(140)와, 사용자와 피브이알 시스템과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유저인터페이스부(160)와, 피브알 시스템 제어를 위한 제어 목록 등을 구성하여 출력하는 OSD 처리부(170)와, 영상신호를 HDD(190)에 저장하기 위한 형태의 신호로 처리하여 출력하거나 상기 HDD(190)에 저장된 영상신호를 읽어들여 출력하는 PVR 프로세서(180) 및 수신되는 방송신호에 포함된 콘텐츠 및 각종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HDD(1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피브이알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키 입력부(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파워 온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튜너(110)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을 선국하고, 선국된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는 상기 디멀티플렉서(120)로 입력되어 영상, 음성 및 부가정보로 분리한다.
상기 분리된 영상신호는 상기 영상신호처리부(130)에 입력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135)에서 디스플레이 가능한 신호로 처리된 후 상기 디스플레이부(135)로 출력되며, 상기 분리된 음성신호는 상기 음성신호 처리부(140)에 입력되어 상기 스피커(145)를 통해 출력 가능한 신호로 처리된 후 상기 음성신호 처리부(140)로 출 력된다.
한편, 키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의 녹화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50)는 PVR 프로세서(170)에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PVR 프로세서(170)는 방송신호에 포함된 영상 및 음성 콘텐츠를 HDD(190)에 저장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장면을 탐색하기 위해 키 입력부를 통해 영상 콘텐츠 검색 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50)는 유저인터페이스부(160)에 제어명령을 출력하여 상기 HDD(190)에 저장된 영상 콘텐츠를 검색할 수 있는 검색화면을 구성하여 영상신호처리부(130)로 출력하여 영상 콘텐츠 검색화면이 디스플레이부(135)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콘텐츠 중 원하는 장면을 탐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피브이알 시스템에서는 재생 모드의 경우 HDD(180)에 녹화된 동영상을 재생할 때에 사용자에게 현재 영상의 진행 상태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기 위해 OSD(On Screen Display)를 사용한다.
도 2a 및 도 2b는 종래 기술에 따른 현재 영상의 진행 상태를 표시해주기 위한 화면 구성의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사용자에게 현재 영상의 진행 상태를 표시해주기 위하여 프로그래스 바(Process bar)를 이용하여 전체 동영상의 재생시간과 현재 영상의 위치를 표시해줄 수 있고, 도 2b를 참조하면, 원형 프로그래스 바를 이용하여 재생과 녹화에 관한 정보를 함께 표시해 주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방식은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장면을 찾기 위해서는 빨리 감기나 되감기 등의 트릭플레이(Trick Play) 기능을 이용해 영상을 재생하면서 원하는 장면을 찾아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방법에 따라 원하는 특정장면에서부터 시청하고자 할 경우 원하는 특정장면의 검색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녹화된 영상의 재생시 프로그래스바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동영상의 주요장면의 위치를 알려줄 수 있도록 한 피브이알에서의 프로그래스바를 이용한 녹화물 주요장면 안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동영상의 녹화시 특징적인 장면을 주요장면으로 검출하여 해당 주요장면과 함께 주요장면의 위치정보를 동영상과 함께 저장하도록 하여 녹화된 영상의 재생시 프로그래스바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동영상의 주요장면의 위치를 알려줄 수 있는 피브이알에서의 프로그래스 바를 이용한 녹화물 주요장면 안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피브이알에서의 프로그래스 바를 이용한 녹화물 주요장면 안내 장치는, 영상신호를 분석하여 주요장면을 검출하기 위한 주요장면 검출부와, 프로그램 영상신호와 상기 주요장면 검출부에서 검 출한 주요 장면의 영상정보와 함께 주요장면의 위치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와, 영상신호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기 위한 형태로 신호처리하여 상기 저장부로 저장시키거나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신호가 재생될 수 있도록 영상신호를 읽어들여 출력하는 PVR 프로세서와, 사용자와 피브이알 시스템과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유저인터페이스부와, 사용자로부터의 장면 탐색 명령에 따라 프로그래스바의 위치에 대응하는 주요장면 정보 출력 명령을 상기 PVR 프로세서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유저인터페이스 화면 또는 프로그램의 진행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프로그래스바와 함께 주요장면을 포함하는 OSD 영상신호를 구성하여 출력하는 OSD 처리부와, 상기 OSD 처리부의 출력신호 및 영상신호를 출력장치에 표시하기 적합한 형태로 처리하여 출력하는 영상신호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장부는 HDD(Hard Disc Driver) 또는 DVD(Digital Verseral Disc)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장부는 주요장면의 영상정보 및 위치정보로 구성되는 주요장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주요장면 정보 저장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요장면 검출부는 영상프레임 전후의 변화 상태를 분석하여 페이드 인 또는 페이드 아웃 장면과 같이 장면이 완전하게 전환되었다고 판단되는 시점의 영상프레임을 주요장면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OSD 처리부는 상기 주요장면 저장수단에 저장된 주요장면의 영상정보를 영상신호 처리하기 위한 부화면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영상신호처리부는, 프로그램의 영상신호와 상기 OSD 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합성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피브이알에서의 프로그래스 바를 이용한 녹화물 주요장면 안내 방법은, 프로그램의 주요장면을 추출하여 주요장면의 영상정보와 함께 해당 주요장면의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주요장면 저장단계와, 화면 탐색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화면탐색 명령에 따라 프로그래스바의 특정 위치에 대응하여 저장된 주요장면의 영상정보를 프로그래스바 위치와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요장면 저장단계는, 프로그램의 주요장면을 검출하는 단계와, 검출된 주요 장면의 영상정보 및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요 장면을 검출하는 단계는, 스케일러에서 출력되는 영상프레임 전후의 변화 상태를 분석하여 페이드 인 또는 페이드 아웃 장면과 같이 장면이 완전하게 전환되었다고 판단되는 시점의 영상프레임을 주요장면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요장면 영상정보는 주요장면의 정지영상정보 또는 썸네일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요장면의 위치 정보는 프로그램의 전체 상영시간 대비 해당 주요 장면이 위치하는 시간의 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면 탐색명령을 입력받는 단계는, OSD를 통하여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되는 프로그래스바의 일정 영역에 대한 클릭신호를 입력받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는, 클릭된 프로그래스바 영역에 속하는 주요 장면 정보를 탐색하는 단계와, 상기 탐색한 주요 장면의 영상 정보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피브이알에서의 프로그래스 바를 이용한 녹화물 주요 장면 안내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동영상의 녹화시 특징적인 장면을 주요장면으로 검출하여 해당 주요장면과 함께 주요장면의 위치정보를 동영상과 함께 저장하도록 하여 녹화된 영상의 재생시 사용자에게 동영상의 주요 장면의 위치를 알려줄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장면을 쉽게 탐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피브이알에서의 프로그래스 바를 이용한 녹화물 주요 장면 안내 장치 및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브이알에서의 프로그래스 바를 이용한 녹화물 주요 장면 안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피브이알에서의 프로그래스 바를 이용한 녹화물 주요 장면 안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피브이알에서의 프로그래스바를 이용한 녹화물 주요 장면 안내 모습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피브이알에서의 프로그래스 바를 이용한 녹화물 주요장면 안내 장치가 적용된 피브이알 시스템은, 튜너(110)와, 디멀티플렉 서(120)와, 영상신호처리부(130)와, 디스플레이부(135)와, 음성신호처리부(140)와, 스피커(145)와, 주요장면 검출부(300)와, 제어부(350)와, 유저인터페이스부(360)와, OSD 처리부(370)와, PVR 프로세서(380) 및 저장부(3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튜너(1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선국하여 선국된 방송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디멀티플렉서(120)는 상기 튜너(110)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에서 영상신호, 음성신호 및 부가정보를 분리하여 출력한다.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130)는 제어부(35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디멀티플렉서(120)에서 분리된 영상신호가 영상출력장치에 적합하도록 신호처리하여 영상출력장치인 디스플레이부(135)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영상신호처리부(130)는 프로그램의 영상신호와 OSD 처리부(370)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합성하여 출력한다.
상기 음성신호처리부(140)는 상기 제어부(15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디멀티플렉서(120)에서 분리된 음성신호를 음성출력장치에 적합하게 신호처리하여 음성출력장치인 스피커(145)로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350)는 사용자로부터의 장면탐색 명령에 따라 프로그래스바의 위치에 대응하는 주요장면 정보 출력 명령을 상기 PVR 프로세서(380)로 출력한다.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부(360)는 사용자와 피브이알 시스템과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한다.
상기 OSD 처리부(370)는 상기 제어부(350)의 제어에 따라 피브알 시스템 제어를 위한 유저인터페이스 화면 또는 프로그램의 진행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프로그 래스바와 함께 주요장면을 포함한 OSD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출력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OSD 처리부(370)는 상기 주요장면 저장수단에 저장된 주요장면의 영상정보를 영상신호 처리하기 위한 부화면 처리부(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390)는 방송신호에 포함된 콘텐츠 및 각종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HDD 또는 DVD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390)는 주요 장면의 영상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주요장면 정보 저장공간을 포함한다.
상기 PVR 프로세서(380)는 영상신호를 저장부(190)에 저장하기 위한 형태로 신호처리하여 상기 저장부(390)에 저장시키거나 상기 저장부(390)에 저장된 영상신호가 재생될 수 있도록 영상신호를 읽어들여 출력시킨다.
상기 주요장면 검출부(300)는 상기 저장부(390)에 저장하는 프로그램 영상신호에 대해 영상 프레임 전후의 변화 상태를 분석하여 주요장면을 검출하여, 검출한 주요장면의 영상정보와 함께 해당 주요장면의 위치정보를 상기 저장부(390)의 주요 장면 정보 저장공간에 저장되도록 한다. 이 경우 하나의 실시 예로써 상기 주요장면 검출부(300)는 영상 프레임 전후의 변화 상태가 완전한 장면의 전환 시점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 해당 영상프레임을 주요장면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브이알에서의 프로그래스바를 이용한 녹화물 주요장면 안내 장치의 동작 및 본 발명에 따른 피브이알에서의 프로그래스바를 이용한 녹화물 주요장면 안내 방법을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피브이알에서의 프로그래스 바를 이용한 녹화물 주요장면 안내 장치가 적용된 피브이알에 전원이 인가되면, 튜너(110)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을 선국하고, 선국된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는 상기 디멀티플렉서(120)로 입력되어 영상, 음성 및 부가정보로 분리하여 출력한다.
상기 분리된 영상신호는 상기 영상신호처리부(130)에 입력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135)에서 디스플레이 가능한 신호로 처리된 후 상기 디스플레이부(135)로 출력되며, 상기 분리된 음성신호는 상기 음성신호처리부(140)에 입력되어 상기 스피커(145)를 통해 출력 가능한 신호로 처리된 후 상기 음성신호처리부(140)로 출력됨으로써 사용자가 설정한 채널에서 방송되는 프로그램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S410).
프로그램의 영상신호를 서비스하는 중에 제어부(S350)는 사용자로부터 프로그램 녹화 명령이 입력되는 지를 판단한다(S420).
상기 판단 결과(S420), 프로그램 녹화 명령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재생중이던 프로그램을 계속 서비스하게 된다(S485).
그러나 상기 판단 결과(S420), 프로그램 녹화 명령이 입력된 경우에는, 제어부(S450)는 PVR 프로세서(S380)에게 서비스중인 프로그램의 녹화명령을 출력함으로써 프로그램의 주요장면을 추출하여 주요장면의 영상정보와 함께 해당 주요장면의 위치 정보로 구성되는 주요장면 정보를 저장하는 주요장면 저장단계를 수행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PVR 프로세서(S380)가 프로그램 녹화명령을 입력받는 경우, 주요장면 검출부(300)는 녹화할 프로그램의 영상 콘텐츠에 대해 주요장면을 검 출한다(S430). 상기 주요장면을 검출하는 단계에서는, 주요장면을 검출하는 하나의 실시 예로써 스케일러에서 출력되는 영상 프레임 전후의 변화 상태를 분석하여 페이드 인 또는 페이드 아웃 장면과 같이 장면이 완전하게 전환되었다고 판단되는 시점의 영상프레임을 주요장면으로 결정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주요장면을 검출하는 방법으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영상 히스토그램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것은 공개된 본원 출원인의 특허출원 명세서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PVR 프로세서(S380)는 상기 주요장면 검출부(300)에서 검출한 주요장면의 영상정보 및 위치정보와 함께 프로그램 콘텐츠를 저장부(390)에 함께 저장하게 된다(S440).
상기 주요장면의 영상정보는 주요장면의 정지영상정보 또는 썸네일 정보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주요장면의 위치 정보는 프로그램의 전체 상영시간 대비 해당 주요 장면이 위치하는 시간의 비로 설정되는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전체 프로그램 시간을 다수개의 시간 구간으로 나누어 검출된 주요장면이 속하는 시간이 속하는 구간 정보를 주요장면의 위치정보로 저장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체 프로그램 시간을 10개로 나누는 경우 현재 검출된 주요장면의 영상이 도면의 화살표로 표시된 구간에 위치할 경우 해당 주요장면의 위치정보로서 D5를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과정에 따라서, 저장부(390)에 프로그램 콘텐츠와 주요장면의 영상정보 및 위치정보가 저장된 상태에서 제어부(350)는 사용자로부터 화면 탐색명령이 입력 되는 지를 판단한다(S450).
상기 화면 탐색명령을 입력받는 단계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면 탐색명령은 OSD를 통하여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프로그래스바의 일정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클릭신호 입력을 화면 탐색명령으로 인식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S450), 사용자로부터 화면 탐색명령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재생중이던 프로그램의 재생 서비스를 계속하게 된다(S485).
그러나, 상기 판단 결과(S450), 사용자로부터 화면 탐색명령이 입력된 경우에는, 상기 화면 탐색명령을 입력받은 제어부에 제어에 따라 PVR 프로세서(380)는 프로그래스바 위치에 대응하여 저장된 주요 장면의 위치정보를 저장부(390)에서 탐색하여, 해당되는 주요 장면의 영상정보를 저장부(390)에서 읽어들인 후 유저인터페이스부(360)로 출력한다.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부(360)는 프로그래스바 위치와 함께 프로그래스바 위치에 대응하여 저장된 주요 장면의 영상정보를 OSD 처리부(370)로 출력하게 되고, 상기 OSD 처리부(370)는 프로그래스바와 위치에 대응되는 주요 장면의 영상을 구성하여 영상신호처리부(130)로 출력한다.
상기 영상신호처리부(130)는 OSD 처리부(370)의 출력을 입력받아 프로그램의 영상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기에 적합하도록 영상신호처리를 하여 디스플레이부(135)에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는 프로그래스바와 함께 프로그래스바의 해당 위치에 대응되는 주요 장면의 영상을 OSD 화면으로 볼 수 있게 된다(S460).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래스바를 이용하여 주요장면 정보를 디스플레 이하는 모습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가 OSD로 표시된 프로그래스바의 D4 영역을 클릭한 경우, PVR 프로세서(380)는 저장부(390)에서 주요 장면의 위치정보가 D4 로 표시된 주요장면, 예를 들면 도 5와 같이, P1 내지 P6를 모두 탐색하여 해당 프로그래스바의 위치와 함께 부화면에 P1 내지 P6로 저장된 영상정보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상기 과정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35)에 OSD 화면을 통하여 표시된 주요장면의 영상을 보고 사용자는 탐색하고자 한 주요장면이 디스플레이되었는 지를 확인하여 탐색하고자 한 주요장면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주요장면부터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350)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35)에 표시된 주요장면을 선택하는 지를 판단한다(S470).
디스플레이된 주요장면의 선택신호가 입력된 경우, 사용자의 주요화면 선택 신호를 입력받은 제어부(350)는 PVR 프로세서(380)를 제어하여 선택된 주요장면 위치에서부터 프로그램 재생 서비스를 하도록 한다(S480).
한편, OSD 화면을 통하여 표시된 주요장면에 대해 사용자의 선택신호가 일정시간 이내에 없을 경우 유저인터페이스부(360)는 제어부(350)의 제어신호에 따라 OSD 처리부(370)에 OSD 화면 디스플레이를 멈추도록 하여, 영상신호처리부(130)로 하여금 이전에 서비스하던 프로그램을 계속 서비스하도록 한다(S485).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피브이알에서의 프로그래스바를 이용한 녹화물 주요장면 안내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기초를 벗어나지 않고 변경 및 수정을 하더라도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며, 그러한 사실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피브이알에서의 프로그래스바를 이용한 녹화물 주요장면 안내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동영상의 녹화시 특징적인 장면을 주요장면으로 검출하여 해당 주요장면의 영상정보와 함께 주요장면의 위치정보를 동영상과 함께 저장하도록 하여 녹화된 영상의 재생시 사용자에게 프로그래스바의 특정위치에 대응하는 동영상의 주요장면을 알려줄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장면을 쉽게 탐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영상신호를 분석하여 주요 장면을 검출하기 위한 주요장면 검출부와;
    프로그램 영상신호와 상기 주요장면 검출부에서 검출한 주요 장면의 영상정보와 함께 주요장면의 위치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와;
    영상신호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기 위한 형태로 신호처리하여 상기 저장부로 저장시키거나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신호가 재생될 수 있도록 영상신호를 읽어들여 출력하는 PVR 프로세서와;
    사용자와 피브이알 시스템과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유저인터페이스부와;
    사용자로부터의 장면 탐색 명령에 따라 프로그래스바의 위치에 대응하는 주요장면 정보 출력 명령을 상기 PVR 프로세서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유저인터페이스 화면 또는 프로그램의 진행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프로그래스바와 함께 주요장면을 포함하는 OSD 영상신호를 구성하여 출력하는 OSD 처리부와;
    상기 OSD 처리부의 출력신호 및 영상신호를 출력장치에 표시하기 적합한 형태로 처리하여 출력하는 영상신호처리부;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이알에서의 프로그래스 바를 이용한 녹화물 주요장면 안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HDD 또는 DVD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이알에서의 프로그래스 바를 이용한 녹화물 주요장면 안내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주요장면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주요장면 정보 저장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이알에서의 프로그래스 바를 이용한 녹화물 주요장면 안내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장면 검출부는,
    영상프레임 전후의 변화 상태를 분석하여 페이드 인 또는 페이드 아웃 장면과 같이 장면이 완전하게 전환되었다고 판단되는 시점의 영상프레임을 주요장면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이알에서의 프로그래스 바를 이용한 녹화물 주요장면 안내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OSD 처리부는,
    상기 주요장면 저장수단에 저장된 주요장면의 영상정보를 영상신호 처리하기 위한 부화면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이알에서의 프로그래스 바를 이용한 녹화물 주요장면 안내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처리부는,
    프로그램의 영상신호와 상기 OSD 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합성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이알에서의 프로그래스 바를 이용한 녹화물 주요장면 안내 장치.
  7. 프로그램의 주요장면을 추출하여 주요장면 영상정보와 함께 해당 주요장면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주요장면 저장단계와;
    화면 탐색명령을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화면 탐색명령에 따라 프로그래스바 위치에 대응하여 저장된 주요장면의 영상정보를 프로그래스바 위치와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이알에서의 프로그래스 바를 이용한 녹화물 주요장면 안내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장면 저장단계는,
    프로그램의 주요장면을 검출하는 단계와;
    검출된 주요장면의 영상정보 및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이알에서의 프로그래스 바를 이용한 녹화물 주요장면 안내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장면을 검출하는 단계는,
    스케일러에서 출력되는 영상프레임 전후의 변화 상태를 분석하여 페이드 인 또는 페이드 아웃 장면과 같이 장면이 완전하게 전환되었다고 판단되는 시점의 영상프레임을 주요장면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이알에서의 프로그래스 바를 이용한 녹화물 주요장면 안내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장면 영상정보는,
    주요장면의 정지영상정보 또는 썸네일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이알에서의 프로그래스 바를 이용한 녹화물 주요장면 안내 방법.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탐색명령을 입력받는 단계는,
    OSD를 통하여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프로그래스바의 일정 영역에 대한 클릭신호를 입력받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이알에서의 프로그래스 바를 이용한 녹화물 주요장면 안내 방법.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는,
    클릭된 프로그래스바 영역에 속하는 주요장면 정보를 탐색하는 단계와;
    상기 탐색한 주요장면의 영상 정보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이알에서의 프로그래스 바를 이용한 녹화물 주요장면 안내 방법.
KR1020050131535A 2005-12-28 2005-12-28 피브이알에서의 프로그래스바를 이용한 녹화물 주요 장면안내 장치 및 방법 KR100782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1535A KR100782212B1 (ko) 2005-12-28 2005-12-28 피브이알에서의 프로그래스바를 이용한 녹화물 주요 장면안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1535A KR100782212B1 (ko) 2005-12-28 2005-12-28 피브이알에서의 프로그래스바를 이용한 녹화물 주요 장면안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9413A true KR20070069413A (ko) 2007-07-03
KR100782212B1 KR100782212B1 (ko) 2007-12-05

Family

ID=38505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1535A KR100782212B1 (ko) 2005-12-28 2005-12-28 피브이알에서의 프로그래스바를 이용한 녹화물 주요 장면안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221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8469A (ko) * 2014-05-09 2015-1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CN112711417A (zh) * 2020-12-30 2021-04-27 上海铼锶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进度条的制作方法及电子设备
KR20240028622A (ko) 2022-08-25 2024-03-05 한리경 의미 단위 이동이 가능한 미디어 플레이어를 갖는 사용자 단말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1007B1 (ko) * 1998-04-27 2001-09-22 윤종용 썸네일 데이터와 이를 위한 관리 정보를 실시간으로 저장하는기록 매체 및 기록 재생방법과 장치
JP4194272B2 (ja) * 2001-12-28 2008-12-10 キヤノン株式会社 動画像管理装置及び方法
KR100716215B1 (ko) * 2003-08-12 2007-05-10 주식회사 아이큐브 디지털 비디오 재생장치의 재생위치 이동 시스템
KR20050077183A (ko) * 2004-01-27 2005-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Av 레코딩 기기의 녹화물 편집 및 관리 가능한유저인터페이스 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8469A (ko) * 2014-05-09 2015-1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CN112711417A (zh) * 2020-12-30 2021-04-27 上海铼锶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进度条的制作方法及电子设备
KR20240028622A (ko) 2022-08-25 2024-03-05 한리경 의미 단위 이동이 가능한 미디어 플레이어를 갖는 사용자 단말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2212B1 (ko) 2007-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134010A (ja) 情報処理装置、表示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4701958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4830379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667846B1 (ko) 자동 챕터링 기능을 내장한 타임 시프트 사용자 인터페이스방법 및 이를 이용한 av 기기
KR20030023376A (ko) 방송프로그램 기록장치 및 방법
US8369681B2 (en) Video reproducing apparatus
KR100782212B1 (ko) 피브이알에서의 프로그래스바를 이용한 녹화물 주요 장면안내 장치 및 방법
KR100518794B1 (ko) 오디오 데이터의 선택적 재생이 가능한 데이터 재생장치및 그 방법
JP2008098960A (ja) 情報記録再生装置
US20040102955A1 (en) DVD driver for language study and method of processing audio streams thereof
JP4031918B2 (ja) 再生装置
US20070248316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editing program thereof
KR20030066236A (ko) 재생모드를 자동 설정할 수 있는 기록매체 재생장치 및 그제어방법
JP2002152684A (ja) マルチアングル再生装置及び再生方法
KR101296998B1 (ko) 영상 재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송 녹화 재생 장치
JP4230402B2 (ja) サムネイル画像抽出方法、装置、プログラム
JP2009094966A (ja) 再生装置、再生方法および再生制御プログラム
KR100818401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녹화물 재생 방법
JP2003319314A (ja) ハードディスクレコーダ、映像記録再生装置
JP4232744B2 (ja) 記録再生装置
KR20070075728A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녹화물 탐색 방법 및 그 장치
JP2010086641A (ja) コンテンツ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可搬型記録媒体
JP4973771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412202B2 (ja) ディスク装置
KR100676253B1 (ko) 디스크의 재생 리스트 생성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