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9124A - 엘리베이터 칸내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칸내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9124A
KR20070069124A KR1020077000143A KR20077000143A KR20070069124A KR 20070069124 A KR20070069124 A KR 20070069124A KR 1020077000143 A KR1020077000143 A KR 1020077000143A KR 20077000143 A KR20077000143 A KR 20077000143A KR 20070069124 A KR20070069124 A KR 200700691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word
data
sentence
data storage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0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71519B1 (ko
Inventor
유지 치바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69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91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1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15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08Speech classification or search
    • G10L2015/088Word spot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긴급시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문자 데이터 입력을 실시할 필요가 없으며, 음성 방송에 근거하여 그 정보를 표시하는 엘리베이터 칸내 표시 장치를 얻는다.
방송국(1)에 의해 방송되는 음성 데이터를 데이터 수신 수단(21)에 의해 수신하고, 음성 인식 수단(22)에 의해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하고, 키워드 패턴 인식 제어 수단(23)에 의해 이 텍스트 데이터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여 미리 정해진 키워드를 격납한 키워드 데이터 기억부(24)와, 정형문을 격납한 정형문 데이터 기억부(25)를 참조하여 추출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정형문을 추출하고, 표시 데이터 출력 제어부(27)에 의해 이 추출한 정형문 및 텍스트 데이터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엘리베이터 칸(3)내에 설치된 메시지 표시 장치(3)에 표시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칸내 표시 장치{ELEVATOR CAR INSIDE DISPLAY}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내에 설치되고, 정보의 표시를 실시하는 엘리베이터 칸내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엘리베이터 칸내 표시 장치로서는 특허 문헌 1에 원격 감시 센터로부터 전화 회선을 경유하여 수신한 음성 데이터를 음성 인식 수단에 의해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것을 엘리베이터 칸 내의 표시부에서 표시하는 엘리베이터의 정보 표시 장치가 나타나 있다.
또, 특허 문헌 2에는 키워드를 입력하면 등록 테이블에 근거하여 소재 격납 수단으로부터 소재를 판독하여 일련의 환경 영상을 작성하고 표시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나타나 있다.
또, 특허 문헌 3에는 문자 방송으로부터 수신한 문자 데이터를 표시하는 동시에 문자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음성 출력하는 엘리베이터의 정보 제공 시스템이 나타나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평09-77398호 공보(제3~5 페이지, 도 1)
특허 문헌 2 : 일본 특개평08-223482호 공보(제4~5 페이지, 도 1)
특허 문헌 3 : 일본 특개2002-114457호 공보(제3~6 페이지, 도 2)
그러나, 특허 문헌 1에서는 전화 회선을 통하여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원격 감시 센터 등에 일부러 다이얼을 돌려야 했으며, 이 때문에 적지 않은 정보의 타임 로스가 있었다. 이 종래 장치는 전화 회선을 사용하므로 비용이 걸리는데다,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까지 배선을 할 필요가 있어서, 설치상의 면에서도 보수상의 면에서도 유효한 방법이라고는 할 수 없었다.
또, 특허 문헌 2에서는 PC(퍼스널 컴퓨터) 등으로부터 문장을 입력할 필요가 있어서 긴급을 요하는 경우에는 부적합하였다.
또한, 특허 문헌 3에서도, 문자 방송용의 문자 데이터를 입력할 필요가 있어서 역시 긴급시에는 대응하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긴급시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문자 데이터 입력을 실시할 필요가 없으며, 음성 방송에 근거하여 그 정보를 표시하는 엘리베이터 칸내 표시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칸내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방송국에 의해 방송되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 수단, 이 데이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인식하여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하는 음성 인식 수단 및 엘리베이터 칸내에 설치되어 음성 인식 수단에 의해 변환된 텍스트 데이터를 바탕으로 표시를 실시하는 메시지 표시 장치를 구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관내 방송의 엘리베이터 칸내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관내 방송의 엘리베이터 칸내 표시 장치의 데이터 변환 장치의 키워드와 정형문(predetermined sentence)의 관련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관내 방송의 엘리베이터 칸내 표시 장치의 데이터 변환 장치의 키워드와 정형문과 화상 데이터의 관련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관내 방송의 엘리베이터 칸내 표시 장치의 데이터 변환 장치의 키워드 패턴 인식 제어 수단의 기본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관내 방송의 엘리베이터 칸내 표시 장치의 데이터 변환 장치의 표시 데이터 출력 제어 수단의 기본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부호의 설명>
1 방송국
2 데이터 변환 장치
3 엘리베이터 칸
4 메시지 표시 장치
5 스피커
21 데이터 수신 수단
22 음성 인식 수단
23 키워드 패턴 인식 제어 수단
24 키워드 데이터 기억부
25 정형문 데이터 기억부
26 화상 데이터 기억부
27 표시 데이터 출력 제어 수단
28 데이터 표시 수단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관내 방송의 엘리베이터 칸내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에 있어서, 방송국(1)은 여러 가지 정보를 엘리베이터의 설치된 관내 방송에 의해 발신한다. 데이터 변환 장치(2)는 방송국(1)으로부터 발신되는 여러 가지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고, 엘리베이터 칸(3)내에 설치된 메시지 표시 장치(4)에 음성 데이터에 기초한 표시 데이터를 송신한다. 메시지 표시 장치(4)는 엘리베이터 칸(3)내에 설치되어 방송국(1)으로부터 송신된 텍스트 데이터 등의 표시 데이터를 표시한다. 스피커(5)(음성 출력 장치)는 엘리베이터 칸(3)내에 설치되어 방송국(1)으로부터 송신된 음성 데이터를 출력한다.
데이터 변환 장치(2)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데이터 수신 수단(21)은 방송국(1)으로부터의 여러 가지 음성 데이터를 수신한다. 음성 인식 수단(22)은 데이터 수신 수단(21)에 의해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인식하고, 이것을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한다. 키워드 패턴 인식 제어 수단(23)은 음성 인식 수단(22)에 의해 변환되고 송신된 텍스트 데이터로부터 키워드(단어)를 추출하며, 키워드가 격납된 데이터베이스와 대조를 실시하거나 키워드의 조합을 실시한 다음에, 정형문이 격납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키워드 또는 키워드의 조합에 대응하는 정형문을 추출한다. 또, 키워드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를 화상 데이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한다.
키워드 데이터 기억부(24)는 여러 가지 키워드를 격납한 데이터베이스이고, 정형문 데이터 기억부(25)는 키워드 데이터 기억부(24)에 격납된 키워드에 대응하도록 텍스트 데이터의 정형문을 격납한 데이터베이스이다. 화상 데이터 기억부(26)는 키워드나 정형문으로부터 연상되는 화상 데이터를 키워드나 정형문에 대응하도록 격납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이다.
표시 데이터 출력 제어 수단(27)은 음성 인식 수단(22)에 의해 변환된 텍스트 데이터를 그대로 메시지 표시 장치(4)에 출력할지, 키워드 패턴 인식 제어 수단(23)으로부터 출력된 정형문, 화상 데이터를 메시지 표시 장치(4)에 출력할지를 제어한다. 데이터 표시 수단(28)은 표시 데이터 출력 제어 수단(27)으로부터 출력된 표시 데이터를 메시지 표시 장치(4)에 송신한다.
다음으로, 관내 방송의 엘리베이터 칸내 표시 장치에 있어서, 방송국으로부터의 음성 방송을 메시지 표시 장치에 표시하는 경우의 동작에 대해 설명을 한다.
방송국(1)으로부터 음성 방송이 행해지면, 관내에 방송되는 동시에 그 동일 음성 방송이 데이터 변환 장치(2l)에 송신된다.
데이터 변환 장치(2)에 송신된 음성 데이터는 데이터 수신 수단(21)으로 수신되고, 엘리베이터 칸(3)내에 스피커(5)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대로 스피커(5)에 음성이 출력된다.
또, 동시에, 음성 인식 수단(22)에 음성 데이터가 송신되고, 음성 인식 수단(22)은 수신한 음성 데이터를 인식한 후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한 텍스트 데이터를 키워드 패턴 인식 제어 수단(23)에 송신한다.
키워드 패턴 인식 제어 수단(23)에서는 송신된 텍스트 데이터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고, 미리 정해진 키워드가 격납되어 있는 키워드 데이터 기억부(24)의 각 키워드와 대조를 실시한다. 이 대조 결과를 바탕으로, 미리 정해진 정형문이 격납되어 있는 정형문 데이터 기억부(25)로부터 대조된 키워드에 대응한 정형문을 추출한다. 동시에, 미리 정해진 화상이 격납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 기억부(26)로부터 키워드 또는 정형문에 대응한 화상 데이터를 추출하여 표시 데이터 출력 제어 수단(27)에 각 표시 데이터를 송신한다.
표시 데이터 출력 제어 수단(27)에서는 음성 인식 수단(22)에 의해 변환된 텍스트 데이터를 그대로 메시지 표시 장치(4)에 출력할지, 키워드 패턴 인식 제어 수단(23)으로부터 출력된 정형문, 화상 데이터를 메시지 표시 장치(4)에 출력할지를 제어한다. 표시 데이터 출력 제어 수단(27)으로부터 출력된 표시 데이터는 데이터 표시 수단(28)을 통하여 엘리베이터 칸(3)내에 설치된 메시지 표시 장치(4)에 표시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관내 방송의 엘리베이터 칸내 표시 장치의 데이터 변환 장치의 키워드와 정형문이 관련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서는 키워드와 이에 대응하는 정형문이 도시되어 있다.
키워드 데이터 기억부(24)에는 모든 키워드를 격납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체계적으로 격납되어 있다. 도 2와 같이, 예를 들면 미아 안내를 상정한 경우 큰 키워드로서 “미아”가 있으며, 그 구분으로서 “남자 아이”인지, “여자 아이”인지, 나아가서는 특징으로서 복장이나 신장이 있다.
정형문 데이터 기억부(25)에는 체계화된 키워드군으로부터 생각할 수 있는 정형문이 격납되어 있다. 예를 들면, 미아라고 하는 키워드밖에 없는 경우에는 「미아 안내입니다.」라고 하는 정형문으로 되며, 또한 “남자 아이”라고 하는 키워드가 더해지면 「남자 아이 미아에 대한 안내입니다.」라고 하는 바와 같이, 더욱 상세한 정형문으로서 정형문 데이터 기억부(25)에 격납되어 있다.
키워드 패턴 인식 제어 수단(23)은 키워드 데이터 기억부(24) 및 정형문 데이터 기억부(25)를 참조함으로써 체계화된 키워드에 의해 보다 상세한 정형문을 얻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관내 방송의 엘리베이터 칸내 표시 장치의 데이터 변환 장치의 키워드와 정형문과 화상 데이터의 관련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있어서, 키워드와 정형문과 화상 데이터의 관련됨이 실시되어 있다.
특징적인 키워드, 예를 들면 상기의 예에서는 “미아”를 키로 하여 대응한 화상 데이터가 화상 데이터 기억부(26)에 격납된다. 동일하게, 정형문을 키로서도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를 할당해 둠으로써, 키워드 또는 정형문으로부터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관내 방송의 엘리베이터 칸내 표시 장치의 데이터 변환 장치의 키워드 패턴 인식 제어 수단의 기본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우선, 음성 인식 수단(22)으로부터 출력되는 텍스트 데이터를 수신하면 키워드 패턴 인식 제어 수단(23)의 기동이 걸린다.
단계 100에서, 수신한 텍스트 데이터를 몇 개의 파트(단락 등)로 분할한다. 단계 101에서는 단계 100에서 분할된 텍스트 데이터를 추가 단어의 단위에까지 분할하여 단계 102에서 키워드의 추출이 실시된다.
키워드가 추출되었을 때에, 단계 103에서는 키워드 데이터 기억부(24)에 격납된 키워드군과 패턴 인식을 실시한다. 일치하는 키워드가 있는 경우(단계 104)에는 단계 105로 진행하고, 없는 경우(단계 104)에는 단계 106으로 진행한다.
단계 105에서는 키워드로부터 정형문을 추출하기 위해 정형문 데이터 기억부(25)에 격납된 키워드에 대응한 정형문군으로부터 매칭한 것을 추출한다. 대응하는 정형문이 있는 경우(단계 107)에는 단계 108로 진행하고, 없는 경우(단계 107)에는 단계 106으로 진행한다.
단계 108에서는 매칭한 정형문을 표시 데이터 출력 제어 수단(27)에 출력하 고 단계 109로 진행한다.
단계 106에서는 키워드 또는 정형문이 없었으므로 표시 데이터 출력 제어 수단(27)에 대해 정형문이 없다는 것을 보고한다.
단계 109에서는 키워드와 정형문의 관리 번호로부터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의 유무 여부를, 화상 데이터 기억부(26)와의 대조 체크를 실시한다.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가 있는 경우(단계 110)에는 단계 111로 진행하고, 없는 경우(단계 110)에는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 111에서는 대조된 화상 데이터를 표시 데이터 출력 제어 수단(27)에 출력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관내 방송의 엘리베이터 칸내 표시 장치의 데이터 변환 장치의 표시 데이터 출력 제어 수단의 기본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단계 200에서는 음성 인식 수단(22) 또는 키워드 패턴 인식 제어 수단(23)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단계 201에서는 수신한 데이터가 어떤 종류의 것인지의 식별을 실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음성 인식 수단(22)에서 변환된 텍스트 데이터를 그대로 출력할지, 키워드 패턴 인식 제어 수단(23)으로부터 출력된 정형문이나 화상 데이터를 출력할지의 판단을 실시한다.
단계 201에서, 음성 인식 수단(22)에서 변환된 텍스트 데이터를 그대로 출력하는 설정으로 되어 있는 경우나 정형문이 발견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202로 진행한다. 정형문이 있는 경우에는 단계 203으로 진행한다. 화상 데이터가 있는 경우 에는 단계 204로 진행한다.
단계 202에서는 음성 인식 수단(22)에서 변환된 텍스트 데이터를 그대로 데이터 표시 수단(28)에 출력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 203에서는 수신한 정형문을 데이터 표시 수단(28)에 출력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 204에서는 수신한 화상 데이터를 데이터 표시 수단(28)에 출력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실시 형태 1에 의하면, 알아듣기 어려운 정보가 엘리베이터 칸내에 표시되므로, 엘리베이터에 승차함으로써 리얼타임으로 정보를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키워드에 대응하는 정형문을 표시하기 때문에, 잘못된 메시지를 표시하는 비율이 적어지게 되어서 정확한 정보를 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음성 데이터가 길 때에, 그대로의 텍스트 데이터로는 메시지 표시 장치에 완전히 들어가지 않는 경우라도 정형문으로 간결화함으로써 알기 쉽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방송국으로부터 음성 발신용의 신호선을 긋지 않기 때문에, 배선의 취급 등의 설치상의 디메리트를 막는 것이 가능해져서 보수면에서도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 화상 이미지 등으로 전달하는 편이 좋다고 생각되는 케이스에도 대응 가능해져서 더욱 알기 쉽게 정보를 전할 수 있다.
또, 데이터의 송수신에 무선 장치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해지기 때문에, 방송국으로부터의 설비에 무선 장치를 추가하는 것만으로, 상기 실시 형태 1을 실현할 수 있는데다가 보수면에서도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방송국에 의해 방송되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 수단, 이 데이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인식하여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하는 음성 인식 수단 및 엘리베이터 칸내에 설치되어 음성 인식 수단에 의해 변환된 텍스트 데이터를 바탕으로 표시를 실시하는 메시지 표시 장치를 구비하였으므로, 문자 데이터 입력을 실시하지 않고 음성 방송에 근거하여 그 정보를 엘리베이터 칸내에서 표시할 수 있다.

Claims (6)

  1. 방송국에 의해 방송되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 수단,
    상기 데이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인식하여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하는 음성 인식 수단, 및
    엘리베이터 칸내에 설치되고, 상기 음성 인식 수단에 의해 변환된 텍스트 데이터를 기본으로 표시를 실시하는 메시지 표시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칸내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키워드를 격납한 키워드 데이터 기억부,
    상기 키워드 데이터 기억부에 격납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정형문(predetermined sentence)을 격납한 정형문 데이터 기억부, 및
    상기 음성 인식 수단에 의해 변환된 텍스트 데이터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키워드에 근거하여 상기 키워드 데이터 기억부 및 상기 정형문 데이터 기억부를 참조하여 상기 추출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정형문을 추출하는 키워드 패턴 인식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메시지 표시 장치는 상기 키워드 패턴 인식 제어 수단에 의해 추출된 정형문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엘리베이터 칸내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키워드를 격납한 키워드 데이터 기억부,
    상기 키워드 데이터 기억부에 격납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정형문을 격납한 정형문 데이터 기억부,
    상기 음성 인식 수단에 의해 변환된 텍스트 데이터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키워드에 근거하여 상기 키워드 데이터 기억부 및 상기 정형문 데이터 기억부를 참조하여 상기 추출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정형문을 추출하는 키워드 패턴 인식 제어 수단, 및
    상기 키워드 패턴 인식 제어 수단에 의해 추출된 정형문 및 상기 음성 인식 수단에 의해 변환된 텍스트 데이터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표시 데이터 출력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메시지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데이터 출력 제어부에 의해 선택된 정형문 또는 텍스트 데이터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칸내 표시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 데이터 기억부에 격납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를 격납한 화상 데이터 기억부를 구비하고,
    상기 키워드 패턴 인식 제어 수단은 상기 추출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메시지 표시 장치는 상기 추출된 화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칸내 표시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음성 출력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칸내 표시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신 수단은 무선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칸내 표시 장치.
KR1020077000143A 2005-03-03 2006-02-13 엘리베이터 칸내 표시 장치 KR1008715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58959 2005-03-03
JP2005058959A JP2006240826A (ja) 2005-03-03 2005-03-03 エレベータかご内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9124A true KR20070069124A (ko) 2007-07-02
KR100871519B1 KR100871519B1 (ko) 2008-12-05

Family

ID=36940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0143A KR100871519B1 (ko) 2005-03-03 2006-02-13 엘리베이터 칸내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854756A4 (ko)
JP (1) JP2006240826A (ko)
KR (1) KR100871519B1 (ko)
CN (1) CN1968882A (ko)
WO (1) WO200609295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9749A (ko) * 2012-05-21 2013-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녹음된 음성의 탐색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9222543B1 (en) * 2009-10-02 2010-05-27 Traitel Telecommunications Pty Limited Method of transmitting an emergency broadcast message
US20160019892A1 (en) * 2014-07-16 2016-01-21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Inc. Procedure to automate/simplify internet search based on audio content from a vehicle radio
JP6971557B2 (ja) * 2015-06-24 2021-11-24 ヤマハ株式会社 管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6033927B1 (ja) 2015-06-24 2016-11-30 ヤマハ株式会社 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情報提供方法
EP3325391A1 (en) * 2015-07-22 2018-05-30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visual communication system
JP6670479B2 (ja) * 2017-02-20 2020-03-25 フジテック株式会社 受電システム
CN107123418B (zh) * 2017-05-09 2020-12-25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一种语音消息的处理方法及移动终端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1868U (ja) * 1991-12-25 1993-07-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のインフォーメーションシステム
JPH0834572A (ja) * 1994-07-26 1996-02-06 Shimizu Corp エレベータ用映像制御装置
JP3493253B2 (ja) * 1995-09-08 2004-02-03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情報表示装置
JPH11130350A (ja) * 1997-10-28 1999-05-18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の情報制御装置
KR20010078572A (ko) * 2000-02-09 2001-08-21 신흥식 엘리베이터용 표시 정보시스템
JP2001272246A (ja) * 2000-03-23 2001-10-05 Honda Motor Co Ltd 道路交通情報通知装置
US6820055B2 (en) * 2001-04-26 2004-11-16 Speche Communications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audio transcription, translation, and transfer with text display software for manipulating the text
JP2003143256A (ja) * 2001-10-30 2003-05-16 Nec Corp 端末装置と通信制御方法
JP2003345379A (ja) * 2002-03-20 2003-12-03 Japan Science & Technology Corp 音声映像変換装置及び方法、音声映像変換プログラム
FR2850821B1 (fr) * 2003-02-04 2005-04-29 France Telecom Systeme de sous-titrage dynamique de signaux de television et radiophoniqu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9749A (ko) * 2012-05-21 2013-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녹음된 음성의 탐색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68882A (zh) 2007-05-23
EP1854756A1 (en) 2007-11-14
WO2006092951A1 (ja) 2006-09-08
KR100871519B1 (ko) 2008-12-05
EP1854756A4 (en) 2012-07-25
JP2006240826A (ja) 2006-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1519B1 (ko) 엘리베이터 칸내 표시 장치
WO2018151464A1 (ko) 음성 인식을 이용한 코딩시스템 및 코딩방법
US20130079061A1 (en) Hand-held communication aid for individuals with auditory, speech and visual impairments
US20080040096A1 (en) Machine Translation System, A Machine Translation Method And A Program
CN103377028A (zh) 用于以语音启动人机界面的方法和系统
EP1300828A3 (en) Speech input system, portal server, and terminal
JPWO2015098109A1 (ja) 音声認識処理装置、音声認識処理方法、および表示装置
US20080255824A1 (en) Translation Apparatus
JP2005275925A (ja) サーバシステム
CN112607536B (zh) 一种电梯控制的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KR20090055332A (ko) 데이터 비교를 통한 자동 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121102A (ko) 장애인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이 구비된 차량 및 장애인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제어방법
KR20170141970A (ko) 번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WO2017065266A1 (ja) 情報管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管理方法
EP3264388B1 (en) Information provision device, terminal device,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and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CN101523483A (zh) 在汽车中通过语音再现文本信息的方法
EP3018654B1 (en) Speech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speech signal processing apparatus
KR100886452B1 (ko) 음성 출력 방법 및 시스템
JP7175069B2 (ja) 異常時放送外国語化システム及び異常時放送外国語化プログラム
US11250704B2 (en) Information provision device, terminal device,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and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WO2016027955A1 (ko) Ars서버 및, 이 ars서버에 입력되는 응답신호를 생성 및 출력하는 ars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및, 이를 이용한 ars 서비스 방법
KR20030067337A (ko) 음성 안내 시스템
KR100216153B1 (ko) 엘리베이터 정보장치
KR102476497B1 (ko) 언어 대응 화상 출력 장치, 방법 및 시스템
WO2023229117A1 (ko) 대화형 가상 아바타의 구현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