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6592A -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6592A
KR20070066592A KR1020050127973A KR20050127973A KR20070066592A KR 20070066592 A KR20070066592 A KR 20070066592A KR 1020050127973 A KR1020050127973 A KR 1020050127973A KR 20050127973 A KR20050127973 A KR 20050127973A KR 20070066592 A KR20070066592 A KR 200700665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rosting operation
temperature
defrosting
air conditioner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7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1007B1 (ko
Inventor
이기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7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1007B1/ko
Priority to US11/639,433 priority patent/US20070144187A1/en
Publication of KR20070066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65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1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1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1Defrosting; Preventing freezing
    • F24F11/42Defrosting; Preventing freezing of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6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tim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7/00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removing deposits or corrosion,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 F25B47/02Defrosting cycles
    • F25B47/022Defrosting cycles hot gas defrosting
    • F25B47/025Defrosting cycles hot gas defrosting by reversing th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23Time de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17Temperatures of an evapo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 시간(T) 동안 난방 운전하는 단계(S130)와, 실외 열교환기의 온도를 감지하여 제상운전을 판단하는 단계(S140)와, 제상 운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난방운전 단계에서 제상운전 단계로 전환하는 단계(S150)와, 소정 시간 동안 제상 운전하는 단계(S160)와, 제상 단계이후 실외 열교환기의 온도를 감지하여 제상운전 종료 조건을 판단하는 단계(S170)와, 소정 시간(A)이 경과되면 제상운전 완료조건을 만족하지 않은 경우에도, 제상운전을 종료하고 상기 난방운전 단계로 리턴 되는 리턴단계(S190)를 포함하는, 제상 운전 완료 후, 리턴 되어 난방 운전되는 과정에서 제상 운전 조건의 측정시간을 조절하여, 제상 운전 시간을 줄이므로 난방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상 운전 전환 단계(S150)에서 사방밸브를 시간 간격을 두고 동작시킴으로서, 냉매가 안정화 되는 효과가 있다.
제상운전방법, 공기조화기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방법{Air conditioning of Thermo defrost the operation method}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이 도시된 개략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
도 3(a) 내지 도 3 (b) 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 배관 온도 및 제상운전 시작구간 및 종료 구간에 대한 그래프,
도 5 는 종래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200 : 실내기 201 : 전원부
202 : 실내 온도 감지부 203 : 실내 배관 온도 감지부
204 : 실외 온도 감지부 205 : 실외 배관 온도 감지부
206 : 실외 습도 감지부 210 : 실내 흡입구
211 : 실내팬 구동부 212 : 보조 히터 구동부
213 : 압축기 구동부 214 : 실외팬 구동부
215 : 사방변 구동부 220 : 보조 히터
230 : 실내 열교환기 240 : 실내팬
250 : 도관 300 : 제어부
310 : 저장부 320 : 타이머
400 : 실외기 410 : 사방변
420 : 압축기 430 : 실외 열교환기
440 : 실외팬 450 : 팽창 장치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소정 시간동안 난방 운전하고 제상운전 된 후, 상기 난방 운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 소정시간이 조절되고 상기 제상운전이 간편하게 동작되는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하절기에 압축 ?? 응축 ?? 팽창 ?? 증발 순으로 순환하는 냉방 싸이클로 동작하고, 동절기에는 사방밸브를 전환하여 상기 냉방 싸이클과 역 순환되는 히트 펌프(Heat Pump)의 난방 싸이클로 동작하여, 실내의 온도 를 사용자가 원하는 수준으로 유지시키는 냉-난방 시스템이다.
도 3 은 종래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종래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조화기가 난방 운전을 시작한 후(S1 단계) 일정 시간이 경과한(S2 단계), 제어부는 실외 열교환기 온도를 측정한다. 이때, 상기 실외 열교환기의 측정된 온도가 설정된 온도이하이면(S3 단계)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의 표면 결빙에 의해 성에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방밸브를 제어하여 난방 싸이클에서 냉방 싸이클로 운전을 전환시켜 제상 운전을 수행한다(S4 단계). 제상 운전이 수행되면, 증발기로 작용하던 상기 실외 열교환기는 응축기로 작용하면서 열을 방출하기 시작하고, 방출되는 열에 의해 상기 실외 열교환기 표면에 덮여 있던 성에가 해빙되기 시작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제상 운전이 수행된 시점부터 제상 운전 시간이 설정된 시간에 도달하는지 또는 실외 배관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에 도달하는지 등의 제상 운전 완료 조건을 체크한다(S5 단계). 또한, 제상 운전 완료 조건을 충족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사방밸브를 냉방 싸이클에서 난방 싸이클로 공기 조화기의 운전을 전환시켜 제상 운전을 완료한다(S6 단계).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설정된 실외 열교환기 온도 이하인 경우에 제상 운전 조건을 수행함으로써, 잦은 제상 운전에 의한 난방 효율 저하를 가져올 수 있다. 특히, 설정된 실외 열교환기 온도가 낮게 되어있어, 측정되는 실외 온도가 -6??이하가 되면, 제상 운전을 완료 한 직후 다시 제상 운전을 수행해야 하는 조건이 됨으로서 제상 운전 주기가 단축되어 반복되어, 겨울에는 난방 운전은 안되고 제상과 예열 운전만이 반복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공기 조화기의 난방 운전과 제상 운전이 복수회를 반복할 경우, 적어도 한번 이상 공기조화기의 난방 운전시간을 길게 또는 짧게 하고, 제상운전이 계속될 경우 제상운전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방법은 소정 시간(T) 동안 난방 운전하는 단계와, 실외 열교환기의 온도를 감지하여 제상운전을 판단하는 단계와, 제상 운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난방운전 단계에서 제상운전 단계로 전환하는 단계와, 소정 시간(A)이 경과되는 동안 제상 운전하는 단계와, 상기 제상 단계이후 실외 열교환기의 온도를 감지하여 제상운전 종료 조건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소정 시간(A)이 경과되면 상기 제상운전 완료조건을 만족하지 않은 경우에도, 제상운전을 종료하고 상기 난방운전 단계로 리턴 되는 리턴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이 도시된 개략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의 실내기(200)는 공조 공간, 즉 실내 공간(100)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실내기(200) 전면에 위치한 실내 흡입구(210) 후방으로 보조 히터(220), 실내 열교환기(230), 실내 송풍팬(24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실내 공간(100)의 공기는 상기 실내 흡입구(210)를 통해 공기조화기 내부로 흡입되며, 이렇게 흡입된 실내 공기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230)를 거치며 열교환 하여 그 온도가 조절된 후, 실내 토출구(미도시)를 통해 실내 공간으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실내 송풍팬(240)은 실내 공기를 공기조화기 내부로 흡입한 후 토출시키는 유로를 형성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보조 히터(220)는 난방 운전 중 제상 운전을 수행할 때 상기 실내 공간(100)의 온도가 낮아지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실내기(200) 내에는 공기조화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201)와, 상기 실내 공간(100)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실내 온도 감지부(202)와, 실내 배관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실내 배관 온도 감지부(203)와, 상기 실내 송풍팬(240)을 구동시키기 위한 실내팬 구동부(211)와, 보조 히터(220)를 구동시키기 위한 보조 히터 구동부(215)와, 공기조화기의 전체적인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300) 등이 설치된다.
실외기(400)는 공조 공간 외부, 즉 실외에, 냉매가 흐르는 도관(250)을 통해 상기 실내기(200)와 연결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실외기(400)의 내부에는 냉매의 흐름 방향을 조절하는 사방 밸브(410)와, 냉매를 압축시켜 고온고압의 냉매로 변환시키는 압축기(420)와, 냉방 운전시에는 냉매를 응축시키고 난방 운전시에는 냉매를 증발시키는 실외 열교환기(430)와, 실외 공기를 실외기(400) 내부로 흡입한 후 토출시키는 유로를 형성하기 위한 실외 송풍팬40)과, 냉매를 팽창시켜 저온저압의 냉매로 변환시키는 팽창 장치(450) 등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실외기(400) 내부에는 공기조화기의 구동을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공기조화기의 작동 상태와 그 주변 환경을 점검하는 여러 장치들이 설치되어 있다. 대표적으로, 실외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실외 온도 감지부(204), 실외 배관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실외 배관 온도 감지부(205), 실외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실외 습도 감지부(206) 등과 같은 감지부와, 압축기 구동부(213), 실외팬 구동부(214), 사방 밸브 구동부(215) 등과 같은 구동부가 있다.
공기조화기가 난방 운전을 시작하면, 상기 제어부(300)는 전술한 각 구동부들로 동작을 위한 제어 신호를 보낸다. 이에 따라, 상기 실내 송풍팬(240)은 회전을 시작하고, 상기 압축기(420)는 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하여 토출해내기 시작한다. 상기 압축기(420)에서 토출된 고온고압의 냉매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230)로 유입된 후 상기 실내 송풍팬(240)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실내기(200) 내부로 흡입된 공기와 열교환 한다. 상대적으로 저온의 상태로 흡입되었던 실내 공기는 상기 열교환에 의해 그 온도가 상승한다.
상기 실내 열교환기(230)를 거치며 열교환 된 냉매는 팽창 장치(450), 상기 실외 열교환기(430) 순으로 흐른 후 다시 상기 압축기(420)로 유입되고, 이후, 계속해서 상기 압축기(420), 상기 실내 열교환기(230), 상기 팽창 장치(450), 상기 실외 열교환기(430) 순의 난방 싸이클을 반복하면서 실내 온도를 사용자가 원하는 수준으로 상승시킨다.
한편, 상술한 난방 싸이클을 반복하는 동안, 감지부는 공기조화기의 상태 및 그 주변 환경을 주기적으로 체크하고, 상기 제어부(300)는 감지부에서 측정한 값을 기초하여 공기조화기의 현 상태를 파악한 후, 이를 바탕으로 구동부들의 작동 상태를 재조정함으로써 공기조화기가 효율적으로 작동되도록 한다.
난방 운전 시작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실외 열교환기(430)의 표면에는 성에가 생성되기 시작하는데, 이렇게 생성된 성에는 실외 온도가 낮을 수록, 난방 시간이 증가할수록 더 많아진다. 상기 실외 열교환기(430) 표면에 생성된 성에는 공기조화기의 난방 효율을 떨어뜨리는 치명적 요인으로 작용하므로, 상기 제어부(300)는 성에 제거를 위해 제상 운전을 수행한다.
통상의 공기조화기의 저장부(310)에는 제상 운전 돌입을 위한 데이터 테이블(Data Table)(즉, 제상 운전 돌입 조건)이 미리 저장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300)는 감지부 및 타이머(320)에서 측정한 값들이 상기 데이타 테이블의 값들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주기적으로 체크하다가, 그 값들이 일치한다고 판단되면, 즉각 제상 운전을 수행하도록 구동부를 제어한다.
제상 운전이 수행되면, 난방 운전 시 증발기로 작용하던 실외 열교환기는 응 축기로 작용하면서 열을 방출하기 시작하고, 방출되는 열에 의해 실외 열교환기 표면에 덮여있던 성에는 해빙되기 시작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고, 도 3(a) 내지 도 3 (b) 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 배관 온도 및 제상운전 시작구간 및 종료 구간에 대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방법을 도 2 및 도 3(a), (b) 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방법은 상기 공기조화기의 1차, 2차 난방운전에 대한 제상운전 단계와, 3차에서 5차의 난방운전에 대한 제상운전 단계와, 6차 이상의 난방운전에 대한 제상운전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a)는 제 1 차, 제 2 차에 대한 연속 제상운전 방법과, 제 3 차, 제 4 차에 대한 연속 제상운전 방법에 대하여 도시된 순서도이고,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의 1차, 2차 단계에서는 공기조화기가 난방 운전되는 단계(S100)와, 난방 운전에 대한 난방 싸이클 횟수를 측정하는 단계(S110)와, 상기 측정단계(S110)에서 측정된 난방 싸이클과 설정된 기준과 비교하는 단계(S120)와, 상기 비교단계(S120)에서 제상운전 조건을 측정하기 위한 제 1 소정시간이 경과되는 단계(S130)와, 실외 열교환기(20)에 설치된 센서(42)로부터 온도를 측정하여 실외 열교환기 온도와 설정된 실외 열교환기 온도(A)를 비교하여 판단하는 단계(S140) 와, 공기조화기가 제상운전 조건인지를 판단하고, 제상운전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공기조화기의 난방운전을 정지시키고, 냉방운전으로 전환하는 단계(S150)와, 공기조화기를 냉방운전하고, 실외 송풍팬(14)을 정지시키는 제상운전 단계(S160)와, 상기 제상운전 단계(S160)이후 상기 제상운전 완료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외 열교환기(20)의 상기 센서(42)를 이용하여 온도를 재측정하고, 재 측정된 실외 열교환기 온도와 설정된 실외 열교환기 온도(C)와 비교하여 낮은지를 재판단하는 단계(S170)와 상기 재판단 단계(S170)에서 설정된 실외 열교환기 온도(C)보다 낮은 경우 일 때, 제상 운전 완료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므로 상기 제상운전 단계(S160)에서 상기 실외 송풍팬(24)을 동작시키는 단계(S180)와, 상기 판단 단계(S170) 또는 상기 동작 단계(S180) 이후, 냉방 운전에서 난방 운전되는 재 전환되는 단계(S190)와, 상기 재전환단계(S190)이후, 공기조화기가 난방운전 단계(S100)로 리턴 된다.
즉, 상기 난방운전단계(S100)는 공기조화기가 난방운전을 시작하면, 실내 송풍팬(240)과 실외 송풍팬(440)은 작동되고, 압축기(420)는 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하여 토출한다. 상기 압축기(420)에서 토출된 고온고압의 냉매는 실내 열교환기(230)로 유입된 후 상기 실내 송풍팬(240)의 회전력에 의해 실내기(200) 내부로 흡입된 공기와 열교환 한다. 또한, 사방밸브(410)와 보조 히터(220)는 동작을 하지 않는다. 상대적으로 저온의 상태로 흡입되었던 실내 공기는 열교환에 의해 그 온도가 상승한다.
상기 측정단계(S110)는 공기조화기가 난방운전에 대한 난방 싸이클이 시작되 면서, 연속적으로 동작되는 난방 싸이클에 대한 횟수(N)를 측정한다.
상기 비교단계(S120)는 상기 측정단계(S110)에서 측정된 난방 싸이클의 횟수(N)와 설정된 기본값과 비교하여, 제상 운전 조건에 대한 측정에 필요한 난방 운전 시간을 조절되도록 한다.
상기 (S130) 단계는 난방 운전 시작 후, 제 1 소정시간(T1)이 경과되면, 실외 열교환기(430)의 표면에는 성에가 생성되기 시작하는데, 이렇게 생성된 성에는 실외 온도가 낮을수록, 난방 시간이 증가할수록 더 많아진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소정시간(T1)은 10분으로 한다.
상기 판단단계(S140)는 상기 (S130) 단계에서 상기 실외 열교환기(430)에 장치된 실외 온도 갑지부(202)를 통하여 측정된 상기 실외 열교환기(430)의 온도와 설정된 온도(A)와 비교하여, 상기 설정된 온도(A)보다 작으면 제상운전 조건을 만족하게 되어 제상 운전을 하도록 하고, 측정된 실외 열교환기 온도가 설정된 온도(A)보다 높으면 상기 제 1 소정시간동안 난방 운전을 한다.
상기 제상 전환단계(S150)단계는 공기조화기가 제상운전 조건을 만족하면, 난방 운전에서 냉방 운전으로 전환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난방 사이클로 운전되던 공기조화기의 난방운전을 정지시키고, 난방운전 시 상기 실내 열교환기(230)의 열교환을 위해 구동되던, 상기 실외 송풍팬(440)은 회전을 멈추게 되고, 상기 압축기(420)는 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하여 토출시키지 않는다. 상기 사방밸브(410)는 30초 동안 오프(Off) 된 후에 온(On) 되어 상기 실내 열교환기(230)에 남아있는 여열을 제거한다. 여기서 상기 보조 히터 (220)는 상기 실내 송풍팬(440)과 연동되어 동작되며, 실내온도가 B보다 작으면 동작한다.
그리고 소정 시간(3분) 경과 후 상기 실내 열교환기(230)에 남아있는 여열을 제거하면, 정지되어 있던 공기조화기는 냉방 사이클로 운전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실내온도(B)는 화씨 -1.5 로 한다.
상기 제상 운전단계(S160)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430)가 가열되는 동안 실외기(400)에 설치된 상기 실외 송풍팬(440)은 정지 상태를 유지시켜 상기 실외 열교환기(430)의 온도 강하를 방지한다.
또한, 상기 실내 송풍팬(240)을 회전시키고, 상기 압축기(420)를 동작 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제상 운전 시간은 6분으로 한다.
상기 재판단 단계(S170)는 제상 운전 시간동안 제상 운전한 후, 상기 실외 열교환기(430)의 온도를 재 측정하여, 설정된 온도(C)와 비교한다. 여기서, 비교결과가 상기 설정된 온도(C) 이상일 경우, 냉방 운전에서 난방운전으로 전환되며, 상기 설정된 온도(C) 이하일 경우, 제상 운전을 더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설정된 온도(C)는 21??로 한다.
상기 동작단계(S180)은 상기 제상운전 단계(S160)와 상기 압축기(420), 상기 실내 송풍팬(240), 상기 사방 밸브(410), 상기 보조 히터(220)가 동일하게 동작되며, 상기 실외 송풍팬(440)이 회전을 하게 되어 소정의 시간(Q1)동안 동작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소정의 시간(Q1)은 3분으로 한다.
상기 제상 재 전환단계(S190)는 공기조화기가 제상운전 완료조건을 만족하면, 냉방 운전에서 난방 운전으로 전환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냉방 사이클로 운전되던 공기조화기의 냉방운전을 정지시키고, 냉방운전 시 상기 실내 열교환기(230)의 열교환을 위해 구동을 멈추고, 상기 실외 송풍팬(440)은 회전을 멈추게 되고, 상기 압축기(420)는 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하여 토출시키지 않는다. 상기 사방밸브는 30초 동안 온(On) 된 후에 오프(Off) 된다. 여기서 상기 보조 히터(220)는 상기 실내 송풍팬(240)과 연동되어 동작되며, 실내온도가 B보다 작으면 동작한다.
여기서, 상기 제상 재 전환단계(S190)가 완료되면, 상기 난방운전단계(S100)으로 리턴 되어, 공기조화기가 난방 운전을 재시작 한다.
공기조화기의 3차에서 5차까지의 난방 운전에 대한 제상운전 방법은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공기조화기의 1차, 2차 난방 운전 및 제상운전과 동일하며, 상기 비교단계(S120)에서 연속적으로 동작되는 난방 싸이클의 횟수(N)가 일치되지 않으면, 다음 설정된 기준과 비교하는 (S200) 단계로 이동하고, 설정된 기준과 일치하는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S210) 단계는 공기 조화기가 난방 운전되어 제상운전 조건에 대한 측정을 위해 난방 운전을 연속적으로 제 2 소정시간(T2) 동안 계속하여 동작 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소정시간(T2)는 상기 제 1 소정시간(T1)과 30분을 합해진 시간이다.
판단단계(S220)는 상기 (S210) 단계에서 제 2 소정시간(T2)동안 난방 운전된 상기 실외 열교환기(430)에서 측정된 온도와 설정된 온도(A)와 비교하여, 상기 설정된 온도(A)보다 높은 경우 상기 (S210) 단계로 리턴 되어 동작되며, 상기 설정된 온도(A)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상 전환단계(S150)으로 동작된다.
상기 제상 전환단계(S150) 이후로는 제 1 차, 제 2 차에 대한 제상운전 방법과 동일하다.
도 3(a)는 제 5 차 이상에 대한 연속 제상운전 방법에 대해 도시된 순서도이며, 공기조화기의 5차까지의 난방 운전에 대한 제상운전 방법은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상기 공기조화기의 1차, 2차 난방 운전 및 제상운전과 동일하며, 상기 비교단계(S120) 및 상기 확인단계(S200)과 설정된 기본값과 일치되지 않을 경우, 시행하는 시행 단계(S230)이다.
상기 시행 단계(S230)는 상기 측정단계(S110)에서 측정된 난방 싸이클의 횟수(N)와 설정된 기본값과 비교하여, 제상 운전 조건에 대한 측정에 필요한 난방 운전 시간을 조절되도록 하여 (S240) 단계로 이동한다.
상기 (S240) 단계는 난방 운전 시작 후, 제 3 소정시간(T3)이 경과되면, 상기 실외 열교환기(430)의 표면에는 성에가 생성되기 시작하는데, 이렇게 생성된 성 에는 실외 온도가 낮을수록, 난방 시간이 증가할수록 더 많아진다.
본 실시예에서 제 3 소정시간(T3)은 10분으로 한다.
판단단계(S250)는 상기 (S240) 단계에서 상기 실외 열교환기(430)에 장치된 상기 실외 온도 감지부(204)를 통하여 측정된 실외 열교환기 온도와 설정된 온도(A)와 비교하여, 상기 설정된 온도(A)보다 작으면 제상운전 조건을 만족하게 되어, 제상 운전을 하도록 하고, 측정된 실외 열교환기 온도가 설정된 온도(A)보다 크면 상기 제 3 소정시간동안 난방 운전을 한다.
제상 운전단계(S260)단계는 공기조화기가 제상운전 조건을 만족하면, 난방 운전에서 냉방 운전으로 전환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난방사이클로 운전되던 공기조화기의 난방운전을 정지시키고, 난방운전 시 상기 실내 열교환기(230)의 열교환을 위해 구동되는 상기 실외 송풍팬(440)은 회전을 하고, 상기 압축기(420)는 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하여 토출시키지 않는다. 사방밸브는 30초동안 오프(Off) 된 후에 온(On) 되어 상기 실내 열교환기(230)에 남아있는 여열을 제거한다. 여기서 상기 보조 히터(220)는 상기 실내 송풍팬(240)과 연동되어 동작되며, 실내온도가 B보다 작으면 동작한다.
그리고 소정 시간(3분) 경과 후 상기 실내 열교환기(230)에 남아있는 여열을 제거하면, 정지되어 있던 공기조화기는 냉방 사이클로 운전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실내온도(B)는 -33.5 로 한다.
판단 단계(S270)는 제상 운전 시간동안 제상 운전한 후, 상기 실외 열교환기(430)의 온도를 재 측정하여, 설정된 온도(E)와 비교한다. 여기서, 비교결과가 상 기 설정된 온도(E) 이상일 경우, 제상 운전을 완료하고, 상기 설정된 온도(E) 이하일 경우, 제상 운전을 더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설정된 온도(E)는 6.5??로 한다.
상기 판단 단계(S270)에서 제상 운전이 완료되면, 상기 난방 운전단계(S100)로 리턴되어, 난방 운전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 배관 온도 및 제상운전 시작구간 및 종료 구간에 대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도 4 에 도시된 그래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는 실외 배관 온도에 대한 측정 결과를 표시한 그래프이며, 도 3 (a) 및 도 3(b) 에 도시된 설정된 실외온도(A, C)를 기준으로 제상시점 및 제상 종료시점을 표시한다.
여기서, a 구간은 난방 운전이 시작되는 구간이다.
b 구간은 설정된 실외 온도(A)와 비교하여, 상기 설정된 실외 온도(A)이하일 경우, 제상운전을 하기 위해 전환되는 구간이다.
c 구간은 제상운전 시점 및 제상운전 종료시점을 나타내는 구간이다.
d 구간은 제상운전이 종료되어 난방 싸이클로 전환되는 구간이다.
e 구간은 난방 운전이 되는 구간이다.
f 구간은 난방 운전 중 다시 제상운전 조건을 확인하고 제상운전을 위해 전 환되는 구간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방법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고,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응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방법은 제상 운전 완료 후, 리턴 되어 난방 운전되는 과정에서 제상 운전 조건의 측정시간을 조절하여, 제상 운전 시간을 줄이므로 난방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상 운전 전환 단계(S150)에서 사방밸브를 시간 간격을 두고 동작시킴으로서, 냉매가 안정화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소정 시간(T) 동안 난방 운전하는 단계(S130)와;
    실외 열교환기의 온도를 감지하여 제상운전을 판단하는 단계(S140)와;
    제상 운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난방운전 단계에서 제상운전 단계로 전환하는 단계(S150)와;
    소정 시간 동안 제상 운전하는 단계(S160)와;
    상기 제상 단계이후 실외 열교환기의 온도를 감지하여 제상운전 종료 조건을 판단하는 단계(S170)와;
    상기 소정 시간(A)이 경과되면 상기 제상운전 완료조건을 만족하지 않은 경우에도, 제상운전을 종료하고 상기 난방운전 단계로 리턴 되는 리턴단계(S190)를 포함하는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단계(S140)의 제상운전 조건은 실외 열교환기의 온도가 일정온도 이하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상운전 전환단계(S150)에서 압축기, 실내 송풍팬은 동작을 멈추고, 히터는 실내 온도 이하이면 실외 송풍기와 연동되어 동작되고, 상기 사방밸브는 난 방 운전에서 제상운전으로 전환되기 전, 소정 시간동안 냉방 운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단계(S190)는 적어도 한번 이상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단계(S190) 후 상기 난방운전 단계는 복수회가 수행되고, 상기 각 난방 운전단계(S100) 중 어느 하나의 단계는 상기 난방 운전단계의 소정 시간(T)보다 길게 또는 짧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방법.
KR1020050127973A 2005-12-22 2005-12-22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방법 KR101211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7973A KR101211007B1 (ko) 2005-12-22 2005-12-22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방법
US11/639,433 US20070144187A1 (en) 2005-12-22 2006-12-15 Defrosting method of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7973A KR101211007B1 (ko) 2005-12-22 2005-12-22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6592A true KR20070066592A (ko) 2007-06-27
KR101211007B1 KR101211007B1 (ko) 2012-12-11

Family

ID=38192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7973A KR101211007B1 (ko) 2005-12-22 2005-12-22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70144187A1 (ko)
KR (1) KR1012110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74352A (zh) * 2019-06-21 2019-09-24 广州惜源合同能源管理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节能降耗优化方法及系统
CN115307273A (zh) * 2022-08-16 2022-11-0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基于模糊算法的化霜控制方法、装置、空调器及存储介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26918B2 (ja) * 2009-11-25 2014-11-19 三菱電機株式会社 補助ヒータ制御装置及び加熱流体利用システム及び補助ヒータ制御方法
KR101712213B1 (ko) * 2011-04-22 2017-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형 공기조화기 및 그의 제어방법
US9175872B2 (en) 2011-10-06 2015-11-03 Lennox Industries Inc. ERV global pressure demand control ventilation mode
US9404668B2 (en) 2011-10-06 2016-08-02 Lennox Industries Inc. Detecting and correcting enthalpy wheel failure modes
US9441843B2 (en) 2011-10-17 2016-09-13 Lennox Industries Inc. Transition module for an energy recovery ventilator unit
US9395097B2 (en) 2011-10-17 2016-07-19 Lennox Industries Inc. Layout for an energy recovery ventilator system
US9835353B2 (en) 2011-10-17 2017-12-05 Lennox Industries Inc. Energy recovery ventilator unit with offset and overlapping enthalpy wheels
JP5975317B2 (ja) * 2011-11-08 2016-08-2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機器制御システム及び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
US20130118188A1 (en) 2011-11-10 2013-05-16 Justin McKie Method of defrosting an energy recovery ventilator unit
US9671122B2 (en) 2011-12-14 2017-06-06 Lennox Industries Inc. Controller employing feedback data for a multi-strike method of operating an HVAC system and monitoring components thereof and an HVAC system employing the controller
KR102129297B1 (ko) * 2013-07-29 2020-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US9933200B2 (en) * 2013-11-27 2018-04-03 Lennox Industries Inc. Defrost operation management
JP6201872B2 (ja) * 2014-04-16 2017-09-27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CN104089364B (zh) * 2014-06-16 2017-05-31 华南理工大学 一种热泵型电动汽车空调除霜在线检测与控制方法
JP6466682B2 (ja) * 2014-10-15 2019-02-06 シャープ株式会社 空気調和機
CN104833060B (zh) * 2015-05-22 2017-10-31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空调器的除霜控制方法和除霜控制装置
CN105546726B (zh) * 2015-12-18 2018-11-13 奥克斯空调股份有限公司 空调器辅助电加热的控制方法
US20180051921A1 (en) * 2016-08-16 2018-02-22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Adaptively controlled defrost cycle time for an aircraft vapor cycle refrigeration system
CN107388361A (zh) * 2017-07-26 2017-11-24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室内机、控制方法以及空调器
CN108488997A (zh) * 2018-05-08 2018-09-04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及其控制方法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017569B (zh) * 2019-04-15 2019-12-10 宁波工程学院 一种空调除霜模式的控制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空调
CN112484240B (zh) * 2021-01-25 2021-11-23 广东积微科技有限公司 一种空调器除霜控制方法及装置
CN113465125B (zh) * 2021-06-17 2023-05-26 青岛海尔空调电子有限公司 空调器的除霜控制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控制装置
CN114294786B (zh) * 2021-12-31 2023-03-14 上海儒竞智控技术有限公司 空调除霜进入条件的优化方法、系统、介质及终端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17452A (en) * 1980-01-04 1983-11-29 Honeywell Inc. Heat pump system defrost control
US5479785A (en) * 1994-02-08 1996-01-02 Paragon Electric Company, Inc. Electronic defrost controller with fan delay and drip time modes
KR100225640B1 (ko) * 1997-06-27 1999-10-15 윤종용 공기조화기의 제상제어방법
US5927083A (en) * 1998-03-09 1999-07-27 Carrier Corporation Compressor cycle dependent defrost control
BR9906192A (pt) * 1999-12-13 2001-09-18 Multibras Eletrodomesticos Sa Sistema e método de degelo automático para aparelho de refrigeração
US6260365B1 (en) * 2000-01-07 2001-07-17 Traulsen & Company, Inc. Control system and related methods for refrigeration and freezer units
US6601396B2 (en) * 2001-12-03 2003-08-05 Kendro Laboratory Products, Lp Freezer defrost method and apparatus
WO2007094075A1 (ja) * 2006-02-17 2007-08-23 Ibiden Co., Ltd. 乾燥用治具組立装置、乾燥用治具分解装置、乾燥用治具循環装置、セラミック成形体の乾燥方法、及び、ハニカム構造体の製造方法
WO2007097004A1 (ja) * 2006-02-24 2007-08-30 Ibiden Co., Ltd. 湿式混合機、湿式混合方法及びハニカム構造体の製造方法
WO2007138701A1 (ja) * 2006-05-31 2007-12-06 Ibiden Co., Ltd. 把持装置、及び、ハニカム構造体の製造方法
WO2008032391A1 (fr) * 2006-09-14 2008-03-20 Ibiden Co., Ltd. Procédé de production d'une structure en nid d'abeille et composition de matière première pour nid d'abeille calciné
PL1900709T3 (pl) * 2006-09-14 2010-11-30 Ibiden Co Ltd Sposób wytwarzania korpusu o strukturze plastra miodu i kompozycja materiałowa do wypalanego korpusu o strukturze plastra miodu
US20080262498A1 (en) * 2007-04-18 2008-10-23 Fernandez Dell Oca Alberto Angel Double locked hip implan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74352A (zh) * 2019-06-21 2019-09-24 广州惜源合同能源管理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节能降耗优化方法及系统
CN115307273A (zh) * 2022-08-16 2022-11-0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基于模糊算法的化霜控制方法、装置、空调器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144187A1 (en) 2007-06-28
KR101211007B1 (ko) 2012-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1007B1 (ko)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방법
TWI683080B (zh) 冰箱
JPH07198236A (ja) ヒートポンプ系統における空気流れ遮断検出方法
CN104819610A (zh) 空调器化霜控制装置及方法
CN103363600A (zh) 热泵式空气调节装置
KR20060082455A (ko)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 제어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2365378B1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N111033152B (zh) 制冷机
CN107514735A (zh) 空调的除霜控制方法和控制装置
JPH11287538A (ja) 空気調和機
KR101203995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상운전방법
KR100708622B1 (ko) 냉장고의 제상방법
WO2019171463A1 (ja) 空気調和装置
KR100626424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제상제어방법
KR20080035878A (ko) 공기조화기 및 상기 공기조화기의 제상방법
KR20060098299A (ko) 공기조화기 및 그의 제상 제어 방법
KR20070030072A (ko) 냉난방 겸용 에어컨의 제상운전 제어방법
KR100530552B1 (ko) 공기 조화 장치 및 그 제상 운전 해제 방법
KR100753029B1 (ko) 히트펌프 에어컨의 실외기 제상장치 및 방법
KR20070005166A (ko) 공기조화기의 난방운전방법
KR100652799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0234080B1 (ko) 냉난방겸용 공조기기 및 그 난방시 제상제어방법
KR20070064908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방법
KR20190046058A (ko) 전기차용 공기조화장치
KR100256408B1 (ko) 냉장고의구동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