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6383A -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통화중 대기상태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통화중 대기상태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6383A
KR20070066383A KR1020050127484A KR20050127484A KR20070066383A KR 20070066383 A KR20070066383 A KR 20070066383A KR 1020050127484 A KR1020050127484 A KR 1020050127484A KR 20050127484 A KR20050127484 A KR 20050127484A KR 20070066383 A KR20070066383 A KR 200700663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party
waiting
mobile communicat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7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병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50127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66383A/ko
Publication of KR20070066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63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통화중 대기상태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통화 중 특정 버튼이 입력되면 통화 종료 타이머에 일정시간에 해당하는 값을 로딩하고 타이머를 활성화시킨다. 상기 통화종료 타이머가 종료되면 상기 통화를 종료하고 통화 상대방에게 전화를 요청하는 콜 백 메시지를 전송한다. 본 발명은, 통화 중에 통화 상대방에게 다른 전화가 와서 그 상대방이 잠시 기다려 줄 것을 요구하며 통화 중 대기 상태로 만드는 경우에 일정시간을 정해두고 일정 시간안에 상대방으로부터 통화연결이 없으면, 통화를 종료하고 통화 상대방에게 다시 전화해 달라는 콜 백 메시지를 보냄으로써 통화 중 대기를 당하는 사람이 계속해서 전화를 기다릴 필요 없이 편리하게 통화중 대기 상태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이동통신단말기, 통화 대기, 콜 백 메시지, 문자메시지, 타이머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통화중 대기상태 처리 방법 {Method for handling a call on hold in mobile phone}
도 1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통화 대기 상태를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동통신단말기 112 - 저장부
103 - 제어부 115 - RF 송수신부
106 - 입력부 118 - 오디오변환부
109 - 표시부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통화중 대기상태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화 상대방으로부터 통화 중 대기의 요청이 있으면 특정 버튼을 눌러 일정 시간 경과 여부에 따라 일정시간이 경과 하면 상대방과의 통화를 종료하고 전화를 다시 걸어줄 것을 요구하는 콜 백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통화 대기를 당하는 통화 대기 상태를 편리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통화중 대기상태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화중 대기 서비스는 가입자가 통화중에 다른 전화가 걸려오면 통화 중이던 전화를 잠시 대기 시키고 걸려온 전화를 받을 수 있는 서비스이다. 종래의 사설 교환기(PBX: Private Branch eXchange)에서의 통화중 대기 서비스의 방법은 입출력 프로세서(IOP:Input Output Processor)에서 맨&머신 통신(MMC: Man & Machine communication)을 이용하여 사설 교환기 내의 가입자 데이터 핸들링(SDH:Subcriber Data Handling)으로 통화중대기 서비스를 등록하는 방식을 이용한다. 통화중 대기 서비스를 등록한 후, 서비스에 등록한 발신 가입자는 호 접속을 위해 착신 가입자로 다이얼링을 하면 호 접속이 이루어져 발신 가입자와 착신 가입자가 통화 가능한 상태가 된다.
만약, 발신 가입자가 착신 가입자가 통화중인 경우에 제 3의 발신 가입자로부터 전화가 걸려오면, 통화 중 대기 서비스가 등록되어있는 상태이므로 제 3의 발신 가입자는 링백톤(ring back tone)을 듣고, 통화를 하고 있는 발신 가입자는 통화중 대기 서비스에 따른 대기음을 듣게 되며, 서비스에 등록된 발신 가입자가 훅 플래시를 선택함으로써 원하는 착신 가입자와 통화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통화 중 대기 서비스에 통화 중 대기를 당하는 사 람은 무작정 상대방이 다시 통화를 할 때까지 전화를 들고 기다려야 하기 때문에 시간적으로 낭비가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통화를 기다리던 중에 전화가 끊기게 되면, 상대방이 다른 상대방과 통화가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가 없을 뿐만 아니라, 통화를 다시 시도해야 하기 때문에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통화 대기를 당하는 사람이 특정 버튼을 누르게 되면 사용자가 설정한 일정 시간이 경과 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통화를 종료한 뒤 통화 상대방에게 전화를 다시 해줄 것을 요구하는 콜 백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통화 대기를 당하는 사람에게 편리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통화중 대기상태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통화 중 특정 버튼이 입력되면 통화 종료 타이머에 일정시간에 해당하는 값을 로딩하고 타이머를 활성화 시킨다. 상기 통화종료 타이머가 종료되면 상기 통화를 종료하고, 통화 상대방에게 전화를 요청하는 콜 백 메시지를 전송한다. 만약, 상기 통화종료 타이머가 종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특정 버튼이 다시 입력되면 통화종료 타이머를 비활성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일정시간은 사용자가 설정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콜 백 메시지는 전화번호를 포함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작성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의 내부 구성도이다.
이동통신단말기(100)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기지국과 이동교환국 및 단문메시지 센터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과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변조기(Modulator)와 송신 증폭기를 포함한 송신기와 수신 증폭기와 복조기(Demodulator)를 포함하는 수신기를 가지는 RF 송수신부(115)를 포함한다. 상기 RF 송수신부(115)의 수신부는 잡음의 증폭을 최대한 억제하고 원하는 신호를 증폭하며, 중간 주파수를 거쳐서 디지털 신호를 생성시키며, 이 디지털 신호는 제어부(103)에서 분석되고 처리된다. 또한 상기 RF 송수신부(115)의 송신부는 제어부(103)에서 생성된 신호를 원하는 주파수 대역으로 변조시켜 증폭시키며, 최종적으로 도시하지 않은 듀플렉서를 거쳐 안테나로 방사된다.
표시부(109)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동통신단말기(100)에서 발생되는 각종 표시 데이터 및 문자 메시지 등을 출력한다.
입력부(106)는 키패드(Key pad)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복수개의 숫자/문자 입력키와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기능 키 및 통화를 위한 키 등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통화 종료 타이머에 일정시간에 해당하는 값을 로딩하고 타이머를 활성화 시키는 특정 버튼을 구비한다.
저장부(112)는 다수의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롬(Read Only Memory: ROM) 및 음성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진다.
오디오 변환부(118)는 디지털 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스피커로 송출하거나 마이크로폰을 통해 수신되는 음성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03)는 상기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와 마이크로 프로세서 및 다른 회로들을 포함하며 송신기와 수신기를 제어하여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가 스피커와 마이크로폰을 통해 다른 사용자와의 음성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통화 중 특정 버튼이 입력되면 통화 종료 타이머에 일정시간에 해당하는 값을 로딩하고 타이머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통화종료 타이머가 종료되면 상기 통화를 종료하며 통화 상대방에게 전화를 요청하는 콜 백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콜 백 메시지에는 사용자의 전화번호가 포함되며, 사용자가 작성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103)는 통화종료 타이머가 종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특정 버튼이 다시 입력되면 통화종료 타이머를 비활성화시키도록 제어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통화 대기를 당하는 사람이 통화 대기 상태를 처리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통화 대기 상태를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사용자가 제 1통화 상대방과 통화를 하던 중에(단계 203) 제 1통화 상대방에게 제 2통화 상대방으로부터 전화가 걸려와서 통화 대기 상태가 되면, 사용자는 단말기에 있는 특정 버튼을 입력한다(단계 206). 단말기는 통화 중 특정 버튼이 입력되면 통화 종료 타이머에 일정시간에 해당하는 값을 로딩하고 타이머를 활성화시킨다. 이때, 상기 일정 시간은 사용자가 초 단위로 설정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일정시간이 경과 하였다면(단계 209의 '예') 제 1통화 상대방과의 통화를 종료하고(단계 215) 제 1통화 상대방에게 자신에게 전화를 다시 해달라는 콜 백 메시지를 문자메시지의 형태로 전송하게 된다(단계 218). 이때 상기 콜 백 메시지에는 사용자의 전화번호가 포함되어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자가 직접 작성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전화번호가 '011-123-4567' 이라면 "다시 전화를 해 주십시오<011-123-45677>"과 같이 문자메시지가 제 1통화 상대방에게 전송될 수 있다. 만약, 통화종료 타이머가 종료되지 않은 상태, 즉 일정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상태(단계 209의 '아니오')에서 특정 버튼이 다시 입력되면(단계 212의 '예') 통화종료 타이머를 비 활성화시켜 제 1통화 상대방과의 통화가 다시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통화 상대방에게 콜 백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은 본 발명에서와 같이 통화 중 대기를 당했을 경우에 뿐만 아니라 통화 중에 제 1 통화 상대방과의 음성이 실수로 끊어진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을 몇가지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통화 대기를 당하는 사람이 특정 버튼을 누르게 되면 사용자가 설정한 일정 시간이 경과 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통화를 종료한 뒤 통화 상대방에게 전화를 다시 해줄 것을 요구하는 콜 백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통화 대기를 당하는 사람에게 편리하게 통화 대기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4)

  1. 통화 중 특정 버튼이 입력되면 통화 종료 타이머에 일정시간에 해당하는 값을 로딩하고 타이머를 활성화시키는 제 1단계;
    상기 통화종료 타이머가 종료되면 상기 통화를 종료하는 제 2단계;
    통화 상대방에게 전화를 요청하는 콜 백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 3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통화중 대기상태 처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에서 통화종료 타이머가 종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특정 버튼이 다시 입력되면 통화종료 타이머를 비 활성화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통화중 대기상태 처리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시간은 사용자가 설정 가능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통화중 대기상태 처리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콜 백 메시지는 전화번호를 포함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작성 가능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통화중 대기상태 처리 방법.
KR1020050127484A 2005-12-22 2005-12-22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통화중 대기상태 처리 방법 KR200700663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7484A KR20070066383A (ko) 2005-12-22 2005-12-22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통화중 대기상태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7484A KR20070066383A (ko) 2005-12-22 2005-12-22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통화중 대기상태 처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6383A true KR20070066383A (ko) 2007-06-27

Family

ID=38365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7484A KR20070066383A (ko) 2005-12-22 2005-12-22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통화중 대기상태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6638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28327A2 (en) * 2008-09-08 2010-03-11 Rk Inventions, Llc On hold call back telephone featur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28327A2 (en) * 2008-09-08 2010-03-11 Rk Inventions, Llc On hold call back telephone feature
WO2010028327A3 (en) * 2008-09-08 2010-06-17 Rk Inventions, Llc On hold call back telephone fea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5844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nswering and holding a telephone call
JPH03220954A (ja) 無線電話装置及び無線電話制御装置
KR20070066383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통화중 대기상태 처리 방법
JPH02256358A (ja) 通話中メッセージ送出機能付キャッチホンサービス
US7231207B1 (en) Intelligent incoming call management during cordless intercom mode
KR20010048639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착신 호 대기 방법
JP3326206B2 (ja) 電話装置
EP1128645B1 (en) Intelligent incoming call management during cordless intercom mode
KR100229865B1 (ko) 키폰시스템에서 일반 내선전화기의 전화번호 메세지 대기상태 서비스 방법
KR10040026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응답신호를 이용한 통화 연결정보표시장치 및 그 방법
KR200190072Y1 (ko) 메시지확인가능한전화기
KR100617747B1 (ko) 내장형 보이스 메일 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응답 방법
KR20040088098A (ko) 발신중 통화연결 성공음을 알리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JPH04183050A (ja) 電話機
JP2000307718A (ja) 電話装置の呼び出し装置及び呼び出し方法
JP3336563B2 (ja) 通信端末及び通信端末における発信者番号検出方式
KR20020072470A (ko) 이동 통신 가입자의 부재중 상황 알림 방법 및 시스템
JP2629573B2 (ja) 交換機における通信状態の通知方式
JPH0847017A (ja) ボタン電話装置
GB2409605A (en) Notification at calling terminal of called party answering call
JPS59131250A (ja) ボタン電話装置
JPH11266291A (ja) 通信装置および記憶媒体
KR19980023371U (ko) 벨 및 수신메세지 오프/온 기능을 갖춘 무선전화기
KR19990052448A (ko) 이동전화기에서 발신자 전화번호 저장방법
KR20000042783A (ko) 통신단말기의 특정 음성메세지 전송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