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0072Y1 - 메시지확인가능한전화기 - Google Patents

메시지확인가능한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0072Y1
KR200190072Y1 KR2020000005479U KR20000005479U KR200190072Y1 KR 200190072 Y1 KR200190072 Y1 KR 200190072Y1 KR 2020000005479 U KR2020000005479 U KR 2020000005479U KR 20000005479 U KR20000005479 U KR 20000005479U KR 200190072 Y1 KR200190072 Y1 KR 2001900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telephone
extension
unit
confi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54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근
Original Assignee
엘지기공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기공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기공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054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00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00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00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Abstract

부재중의 메시지 수신 여부와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 할 수 있는 메시지 확인이 가능한 키폰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복수개의 내선 전화기가 연결된 메시지 확인 가능한 키폰 시스템에서, 부재중의 내선 전화기에 전송되는 메시지를 저장하였다 이를 출력하는 메모리부, 메모리부의 메시지 저장 여부를 내선 전화기를 통해 출력하는 메시지 표시부, 전화기의 일정 영역에 단축 버튼 형태로 구성되어 저장된 메시지를 확인하기 위한 메시지 확인 단축 신호를 출력하는 메시지 확인 신호 입력부 및 메시지 저장 및 메시지 확인 신호에 따라 메모리부에 저장된 메시지를 선택적으로 내선 전화기로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중앙 처리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메시지 확인 가능한 키폰 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러므로 부재중에 수신된 일정의 음성 데이터를 키폰 시스템의 메모리에 저장하고, 부재중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각 내선 전화기에 형성된 일정의 표시 장치를 통해 전화기 사용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메시지 확인 단축키에 의해 키폰 시스템의 중앙 처리 장치에 자동으로 연결되어 저장된 메시지를 확인 할 수 있으므로 전화기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메시지 확인 가능한 전화기{TELEPHONE FOR CONFIRMING MESSAGE}
본 고안은 메시지 확인이 가능한 키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메시지의 수신을 알리고, 그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기 위한 메시지 확인이 가능한 키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키폰 시스템은 다수의 내선 전화기가 접속되며 내선 전화기간의 내선 통화 및 국선과 내선 전화기의 국선 통화를 스위칭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키폰 시스템에서는 키폰 전용 전화기 및 일반 내선 전화기에 전화 번호 메시지를 남길 수 있다.
즉, 키폰 전용 전화기 사용자가 일반 내선 전화기 사용자에게 전화를 했을 때 해당 내선 전화기 사용자가 전화를 받지 않거나 통화중이면, 키폰 전용 전화기 사용자는 키 패드(Key pad) 상에 구비된 전화 번호 메시지 버튼을 눌러 자신의 전화번호 메시지를 상대방 내선 가입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키폰 전용 전화기 사용자가 전화 번호 메시지 버튼을 누르면 키폰 시스템 주장치는 키폰 전용 전화기의 전화 번호 메시지를 저장하고 있다가 해당 내선 전화기 사용자가 송수화기를 들게 되면 전화번호 메시지가 있음을 알리는 메시지 대기음을 상기 내선 전화기 사용자에게 들려준다.
한편, 일반 내선 전화기 사용자가 일정의 버튼 예를 들면 '후크 플래시(hook flash) + 메시지 기능의 번호키'를 눌러 자신의 전화 번호를 메시지를 상대방인 키폰 전용 전화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일반 내선 전화기의 '후크 플래시 + 메시지 기능 번호키'를 누르면 키폰 시스템 주장치는 일반 내선 전화기의 전화 번호 메시지를 저장하고 있다가 키폰 전용 전화기 사용자가 송수화기를 들게되면 저장된 전화 번호 메시지에 따른 전화 번호 메시지 대기음을 발생하고 그에 의해 상대방의 전화 번호 메시지가 있음을 인식한다.
따라서, 종래의 키폰 시스템은 수신하지 못한 상대방의 전화 번호 메시지가 키폰 시스템의 주 장치에 저장되어 있음을 사용자가 직접 송수화기를 드는 경우에 일정의 전화 번호 메시지 대기음에 의해 키폰 시스템의 키폰 전용 전화기 사용자 또는 일반 내선 전화기 사용자가 인식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직접 송수화기를 들기전에는 상대방 전화 번호의 메시지 저장 유무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단순한 상대방의 전화 번호만이 저장되므로, 전화를 한 상대방의 중요 요건에 대해서는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대방의 전화 번호 또는 전화 용건에 대한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메시지 수신 램프에 의해 확인하고, 그에 따른 메시지의 확인을 수행하기 위한 메시지 확인이 가능한 키폰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메시지 수신 여부 확인 후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기 위한 단축키를 구비한 메시지 확인이 가능한 키폰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메시지 확인 가능한 키폰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메시지 확인이 가능한 전화기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중앙 처리 장치 102 : 메모리부
200-1,...,200-n : 제1 내지 제n 내선 전화기
202 : 제어부 206 : 신호 입출력부
208 : 메시지 확인 단축키 입력부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복수개의 내선 전화기가 연결된 메시지 확인 가능한 키폰 시스템에서, 부재중의 내선 전화기에 전송되는 메시지를 저장하였다 이를 출력하는 메모리부, 메모리부의 메시지 저장 여부를 내선 전화기를 통해 출력하는 메시지 표시부, 전화기의 일정 영역에 단축 버튼 형태로 구성되어 저장된 메시지를 확인하기 위한 메시지 확인 단축 신호를 출력하는 메시지 확인 신호 입력부 및 메시지 저장 및 메시지 확인 신호에 따라 메모리부에 저장된 메시지를 선택적으로 내선 전화기로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중앙 처리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메시지 확인 가능한 키폰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은 접속된 전화 라인을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 받기 위한 모뎀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포트 형태의 모뎀 연결부를 더 구비하여 내선 전화기가 구성되는 메시지 확인 가능한 키폰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메시지 확인이 가능한 키폰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가 본 고안을 한정시키거나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메시지 확인 가능한 키폰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메시지 확인이 가능한 전화기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중앙 처리 장치(100), 메모리부(102), 스위칭 회로부(104),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송신부(106), DTMF 수신부(108), 내선 가입자 회로부(110), 제1 내지 제n 내선 전화기(200-1,...,200-n)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내선 전화기(200-1)는 제어부(202), 신호 입출력부(204), 부재 메시지 표시부(206), 메시지 확인 단축키 입력부(208), 송수화부(210) 및 모뎀(Modem) 연결부(21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그 외의 내선 전화기도 동일한 내부 구성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구성 요소를 갖는 본 고안에 메시지 확인이 가능한 키폰 시스템의 중앙 처리 장치(100)는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을 액세스(access)하여 통화 스위칭을 제어하고 각종 서비스에 의한 통화를 수행하기 위하여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메모리부(102)는 중앙 처리 장치(100)의 제어에 따라 제1 내지 제n 내선 전화기(200-1,...,200-n) 및 외부의 국선 전화기(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입력되는 일정의 음성 신호를 저장하였다가 이를 출력한다.
또한, DTMF 송신부(106)는 중앙 처리 장치(100)가 출력하는 디지털 데이터를 DTMF 신호로 변환하여 스위칭 회로부(104)로 출력하고, DTMF 수신부(108)는 스위칭 회로부(104)로부터 입력되는 DTMF 신호를 분석하여 그에 대응하는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중앙 처리 장치(100)로 출력한다. 이때, DTMF 신호는 제1 내지 제n 내선 전화기(200-1,...,200-n)에 의해 발생하는 전화 번호 이거나 또는 외부의 국선 전화기에 의해 발생한 전화 번호 일 수 있다.
또한, 스위칭 회로부(104)는 음성 데이터를 중앙 처리 장치(100)의 제어에 의해 제1 내지 제n 내선 전화기(200-1,...,200-n)로 전송하거나 또는 전송된 음성 데이터를 외부의 전화기로 전송한다.
내선 가입자 회로부(110)는 중앙 처리 장치(100)의 제어에 따라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제1 내지 제n 내선 전화기(200-1,...,200-n)와 스위칭 회로부(104) 간의 신호를 인터페이싱한다.
또한, 제1 내선 전화기(200-1)의 제어부(202)는 제1 내선 전화기(200-1)의 각종 동작을 제어하고, 신호 입출력부(204)는 제어부(202)의 제어에 따라 내선 가입자 회로부(110)를 통해 제1 내선 전화기(200-1)의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수신한다.
그리고, 부재 메시지 표시부(206)는 제1 내선 전화기(200-1) 사용자가 수신하지 못한 복수의 내선 전화기 또는 외부의 국선 전화기에서 전송되는 부재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표시하고, 메시지 확인 단축키 입력부(208)는 부재 메시지 표시부(206)에 의한 부재 메시지 수신을 인식하여 수신된 부재 메시지 확인을 위한 키 신호를 입력한다.
여기서, 부재 메시지 표시부(206)는 도 2에서와 같이, 제어부(202)의 제어 신호 즉 출력되는 신호가 일정 레벨 이상인 경우 동작되는 LED(Light emitting diode)(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발광을 하는 표시 램프(207) 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메시지 확인 단축키 입력부(208)는 도 2에서와 같이, 일정 버튼 형태로 내선 전화기의 상면의 일정 영역에 설치된다.
송수화부(210)는 제1 내선 전화기(200-1)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전송되어진 상대방의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고, 모뎀 연결부(212)는 전화 라인을 통하여 전송되는 일정의 데이터 신호를 전송 받기 위한 컴퓨터 모뎀 등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2에서와 같이 전화기의 일 측면에 포트(213) 형태로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메시지 확인이 가능한 키폰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복수의 내선 전화기 사용자 또는 외부의 국선 전화기 사용자가 부재중인 제1 내선 전화기(200-1) 사용자에게 전화를 한 경우 중앙 처리 장치(100)는 복수의 내선 전화기 사용자 또는 외부의 국선 전화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메모리부(102)에 저장한다. 이때, 제1 내선 전화기(200-1) 사용자가 부재할 것이라는 메시지를 미리 중앙 처리 장치(100)에 입력하므로, 제1 내선 전화기(200-1) 사용자의 부재 기간 동안에는 복수의 내선 전화기 또는 외부의 국선 전화기로부터 전화가 걸려오면 자동으로 메모리부(102)에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중앙 처리 장치(100)는 내선 가입자 회로부(110)를 통해 제 1 내선 전화기(200-1)에게 부재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한다.
제1 내선 전화기(200-1)는 내선 가입자 회로부(110)를 통해 수신되는 부재 메시지 수신을 나타내는 신호를 신호 입출력부(204)를 통해 입력받아 제어부(202)로 출력한다.
제어부(202)는 부재 메시지 수신 여부 신호를 입력받아 그에 따른 일정의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부재 메시지 표시부(206)는 그 제어 신호에 의해 부재 메시지 수신여부를 나타낸다.
제1 내선 전화기(200-1) 사용자가 부재 메시지 표시부(206)의 LED 동작에 의해 부재 메시지가 수신되어 있음을 인식하고,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제1 내선 전화기(200-1) 상면에 설치되어 있는 메시지 확인 단축키 입력부(208)를 통해 메시지 확인 신호를 입력한다. 여기서, 메시지 확인 단축키 입력부(208)는 별도의 단축키 없이 저장된 메시지 확인을 위해 미리 설정된 내선 전화기에 구비된 번호 버튼의 입력에 따라 구성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제어부(202)는 메시지 확인 단축키 입력부(208)를 통해 입력되는 메시지 확인 신호를 신호 입출력부(204)로 출력하고, 신호 입출력부(204)는 제어부(202)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를 내선 가입자 회로부(110)를 통한 인터페이싱에 의해 중앙 처리 장치(100)로 전송한다.
중앙 처리 장치(100)는 내선 가입자 회로부(110)에서 전송된 메시지 확인 신호에 따라 메모리부(102)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출력시킨다.
메모리부(102)에서 출력된 음성 메시지는 스위칭 회로부(104)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내선 가입자 회로부(110)는 부재 메시지 확인을 요청한 제1 내선 전화기(200-1)를 연결하고, 내선 가입자 회로부(110)는 음성 메시지를 제1 내선 전화기(200-1)의 신호 입출력부(204)를 통해 입력된 음성 메시지는 제어부(202)의 제어에 따라 송수화부(210)로 출력되어 제1 내선 전화기(200-1) 사용자는 부재중에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확인하게 된다.
또한, 제1 내선 전화기(200-1) 사용자가 컴퓨터의 모뎀을 통해 일정의 데이터를 전송 받기 위해 모뎀 연결부(212)의 포트(port)에 모뎀 연결 라인을 접속함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 받는다. 이때, 모뎀 연결부(212)는 모뎀뿐만 아니라 일반 전화기를 연결하기 위한 포트로도 이용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메시지 수신 여부 및 그에 따른 메시지 확인 기능뿐만 아니라 본 고안에 따른 메시지 확인이 가능한 키폰 시스템은 그 외의 일반적인 전화기의 스피커폰 기능, 보류(hold) 기능, 재다이얼 기능, 착신 음량 조절 기능, 착신 램프 기능, 송화 차단(mute) 기능 및 통화중 수화음 조절 기능을 포함하도록 구성됨은 자명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메시지 확인 가능한 키폰 시스템은 하나의 중앙 처리 장치에 복수개의 내선 전화기가 연결된 호텔 등에서 이용 가능하다.
본 고안에 따른 메시지 확인 가능한 키폰 시스템은 부재중에 수신된 일정의 음성 데이터를 키폰 시스템의 메모리에 저장하고, 부재중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각 내선 전화기에 형성된 일정의 표시 장치를 통해 전화기 사용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메시지 확인 단축키에 의해 키폰 시스템의 중앙 처리 장치에 자동으로 연결되어 저장된 메시지를 확인 할 수 있으므로 전화기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부재중에도 수신된 메시지 확인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전화기 사용에 대한 사용자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부재중 수신된 메시지 확인을 위한 일정의 확인 단축키가 구비되어 있어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실용신안 등록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복수개의 내선 전화기가 연결된 메시지 확인 가능한 키폰 시스템에서,
    부재중의 상기 내선 전화기에 전송되는 메시지를 저장하였다 이를 출력하는 메모리부;
    상기 메모리부의 메시지 저장 여부를 상기 내선 전화기를 통해 출력하는 메시지 표시부;
    상기 전화기의 일정 영역에 구성되어 저장된 메시지를 확인하기 위한 메시지 확인 단축 신호를 출력하는 메시지 확인 신호 입력부;
    상기 메시지 저장 및 상기 메시지 확인 신호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메시지의 상기 내선 전화기를 통한 선택적인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중앙 처리 장치;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메시지 확인이 가능한 키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는 메시지는 음성 데이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확인이 가능한 키폰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표시부는 상기 내선 전화기 상면의 일정 영역에 구성되는 메시지 확인이 가능한 키폰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표시부는 상기 메시지 저장 여부에 의한 상기 중앙 처리 장치의 제어에 의해 빛을 발광하기 위한 발광 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메시지 확인이 가능한 키폰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선 전화기는 접속된 전화 라인을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 받기 위한 모뎀 연결을 위한 모뎀 연결부를 더 구비하여 구성되는 메시지 확인이 가능한 키폰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 연결부는 타 전화기 연결 라인이 접속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메시지 확인이 가능한 키폰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확인 신호 입력부는 상기 전화기 상면에 단축 버튼 형태로 구성되는 메시지 확인이 가능한 키폰 시스템.
KR2020000005479U 2000-02-28 2000-02-28 메시지확인가능한전화기 KR2001900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5479U KR200190072Y1 (ko) 2000-02-28 2000-02-28 메시지확인가능한전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5479U KR200190072Y1 (ko) 2000-02-28 2000-02-28 메시지확인가능한전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0072Y1 true KR200190072Y1 (ko) 2000-07-15

Family

ID=19644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5479U KR200190072Y1 (ko) 2000-02-28 2000-02-28 메시지확인가능한전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007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1772B1 (ko) 네트워크용 전화기
KR200190072Y1 (ko) 메시지확인가능한전화기
JP2007082163A (ja) 電話交換装置及び電話交換装置の着信制御方法
US648402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compatibility between cordless telephone applications and physical hardware of the cordless telephone
KR100393603B1 (ko) 무선 헤드셋의 재다이얼 번호 안내 방법
US7231207B1 (en) Intelligent incoming call management during cordless intercom mode
JP3251183B2 (ja) 携帯電話機
KR200189400Y1 (ko) 인터넷 전화 및 국선 전화 겸용 전화기
CN218416402U (zh) 一种酒店电话智能连接系统
KR100229865B1 (ko) 키폰시스템에서 일반 내선전화기의 전화번호 메세지 대기상태 서비스 방법
KR19980039519A (ko) 전화기의 자동 메시지 송신 방법
KR20050072986A (ko) 인터넷 전화 및 전화망을 이용한 전화의 송수신이가능케하는 중계장치
KR0164424B1 (ko) 키폰 시스템에 있어서 전용선을 통한 응답모드 변경방법
EP1128645B1 (en) Intelligent incoming call management during cordless intercom mode
KR100397343B1 (ko) 간이교환기시스템의 발신자 자동 리다이얼링방법
JP2964763B2 (ja) 電話装置
KR200249506Y1 (ko) 발신자정보처리기능을 갖춘 인터넷전화 접속기기
JP2000134356A (ja) 回線選択装置
KR19990016019A (ko) 음성 메시지 예약 송신 방법
KR970006780B1 (ko) 무선전화기 핸디의 발신음 포착표시장치 및 그 방법
KR0125317Y1 (ko) 통화로 자동연결용 전화기
KR0155631B1 (ko) 키폰시스템의 호 서비스방법
KR100198218B1 (ko) 키폰시스템 접속 단말기의 국선 전용모드 절환방법 및 그 장치
US20010031042A1 (en) Telephone apparatus
KR20070066383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통화중 대기상태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0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