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5867A - 공조용 히트 펌프 - Google Patents

공조용 히트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5867A
KR20070065867A KR1020070057866A KR20070057866A KR20070065867A KR 20070065867 A KR20070065867 A KR 20070065867A KR 1020070057866 A KR1020070057866 A KR 1020070057866A KR 20070057866 A KR20070057866 A KR 20070057866A KR 20070065867 A KR20070065867 A KR 200700658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compressor
evaporator
refrigerant
conden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7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7592B1 (ko
Inventor
룽-탄 후
Original Assignee
룽-탄 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룽-탄 후 filed Critical 룽-탄 후
Publication of KR20070065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58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7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75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7/00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removing deposits or corrosion,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 F25B47/02Defrosting cy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5/00Other seating furniture
    • A47C15/004Seating furniture for specified purposes not covered by main groups A47C1/00 or A47C9/00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7/00Tables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 A47B37/04Tabl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the garden or otherwise in the open air, e.g. with means for holding umbrellas or umbrella-like sunshad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5/00Furniture convertible into other kinds of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non-reversible cycle
    • F25B1/06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non-reversible cycle with compressor of jet type, e.g. using liquid under pressure
    • F25B1/08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non-reversible cycle with compressor of jet type, e.g. using liquid under pressure using vapour under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0/00Heat pumps
    • F25B30/02Heat pumps of the compression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5/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evaporator circuits, e.g. for varying refrigerating capacity
    • F25B5/02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evaporator circuits, e.g. for varying refrigerating capacity arranged in parall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1Defrosting; Preventing freez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non-reversible cycle
    • F25B1/1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non-reversible cycle with multi-stage compres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47/00Details for preventing or removing deposits or corrosion
    • F25B2347/02Details of defrosting cycles
    • F25B2347/021Alternate defros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6/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condenser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frosting System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Machines With Reversible 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대 제상시스템을 가진 공조용 히트 펌프로서, a) 냉매를 메인 응축기(102)로 펌핑하는 하나의 압축기(101); b) 상기 메인 응축기(102)에 연결되는 적어도 두 개의 증발기(106 및 107); c) 상기 메인 응축기(102)와 상기 두 개의 증발기(106 및 107) 사이의 압력 강하를 조절하는 팽창밸브(103); d) 상기 증발기(106)의 제상과정 동안 냉매의 유동을 정지시키도록 상기 증발기(106)와 연결된 하나의 솔레노이드 밸브(104); e) 상기 증발기(107)의 제상과정 동안 냉매의 유동을 정지시키도록 상기 증발기(107)와 연결된 하나의 솔레노이드 밸브(105); f) 상기 압축기(101)의 배출단에 연결된 하나의 제상응축기(109); g) 상기 증발기(106)의 제상과정 동안 상기 제상응축기(109)로의 냉매 유동을 허용하는 하나의 솔레노이드 밸브(108); h) 상기 압축기(101)의 배출단에 연결된 하나의 제상응축기(111); i) 상기 증발기(107)의 제상과정 동안 상기 제상응축기(111)로의 냉매 유동을 허용하는 하나의 솔레노이드 밸브(110); j) 상기 두 개의 제상응축기(109 및 111)와 상기 압축기(101)의 흡입단 사이에서 냉매의 압력을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조절기(112); 및 k) 제상과정 동안 상기 두 개의 제상응축기(109 및 111)와 상기 두 개의 증발기(106 및 107) 각각에 대한 열을 전달하는 열전달수단;을 포함하고, 제상과정이 필요치 않는 경우에는, 상기 두 개의 솔레노이드 밸브(108 및 109)가 폐쇄된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증발기(106)의 제상과정 동안에는,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04)에 의해 상기 증발기(106)가 정지됨과 동시에, 상기 솔레노이드 밸 브(108)는 개방되어 상기 증발기(107)는 계속해서 동작함으로써 상기 공조용 히트 펌프의 동작이 중단되지 않고, 상기 제상응축기(109)에 열에너지를 제공하여 상기 열전달수단에 의해 상기 증발기(106)의 성에를 제거하도록 하고; 상기 증발기(107)의 제상과정 동안에는,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05)에 의해 상기 증발기(107)가 정지됨과 동시에,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10)는 개방되어 상기 증발기(106)는 계속해서 동작함으로써 상기 공조용 히트 펌프의 동작이 중단되지 않고, 상기 제상응축기(111)에 열에너지를 제공하여 상기 열전달수단에 의해 상기 증발기(107)의 성에를 제거하는 공조용 히트 펌프를 개시한다.
히트 펌프, 공조

Description

공조용 히트 펌프 {air-condition heat pump}
본 발명은 아래 도면들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지만, 이러한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그 도면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두 개의 제상응축기를 가진 공조용 히트 펌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2차 압축기를 가지는 공조용 히트 펌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제상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넓은 온도 범위에서 동작하는 공조용 히트 펌프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극저온영역 승압 시스템을 가진 넓은 온도 범위의 공조용 히트 펌프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극저온영역 승압 시스템을 가진 넓은 온도 범위의 공조용 히트 펌프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압축기의 부하를 줄이기 위한 제상시스템을 구비한 공조용 히트 펌프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넓은 온도 범위에서 동작하는 공조용 히트 펌프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압축기의 부하를 줄이기 위한 제상시스템을 구비한 공조용 히트 펌프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공조용 히트 펌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연속적인 동작이 가능하고 동작 온도 범위가 매우 넓은 공조용 히트 펌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주거용, 농업용, 운송용 및 공업적 용도로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공조 및 냉장에 사용될 수 있다.
최근에 보급되어 있는 히트 펌프는 동작 온도 범위가 서로 다른 별개 유형의 압축기들을 요구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예를 들어 히트 펌프와 가스 히터의 조합으로 된 다중 공조 시스템을 서로 다른 온도범위에서 작동하도록 설치할 필요성을 가진다. 그러한 이유 중의 하나는, 낮은 동작 온도에서는 히트 펌프의 효율이 낮다는 점이며, 또 다른 이유는 성에 제거를 위해 동작 중단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전기적 제상(defrost)시스템 및 역순환 제상시스템과 같은 현재의 제상방법은 성에를 제거하는 동안 히트 펌프의 동작을 중단할 것을 요구한다.
또한, 종래의 히트 펌프는 압축기의 작동 효율과 한계로 인해 그 동작 온도의 범위가 매우 제한적이다. 그러나, 많은 경우, 동작 온도 범위는 섭씨 영하 40도 에서 10도까지 다양하게 변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넓은 동작 온도범위에서도 높은 효율로 작동할 수 있는 공조용 히트 펌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성에 제거를 하는 동안 동작 중단이 필요없는 공조용 히트 펌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추가적인 에너지와 가열장치가 없이 성에를 제거할 수 있는 히트 펌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교대 제상시스템을 가진 공조용 히트 펌프로서, a) 냉매를 메인 응축기(102)로 펌핑하는 하나의 압축기(101); b) 상기 메인 응축기(102)에 연결되는 적어도 두 개의 증발기(106 및 107); c) 상기 메인 응축기(102)와 상기 두 개의 증발기(106 및 107) 사이의 압력 강하를 조절하는 팽창밸브(103); d) 상기 증발기(106)의 제상과정 동안 냉매의 유동을 정지시키도록 상기 증발기(106)와 연결된 하나의 솔레노이드 밸브(104); e) 상기 증발기(107)의 제상과정 동안 냉매의 유동을 정지시키도록 상기 증발기(107)와 연결된 하나의 솔레노이드 밸브(105); f) 상기 압축기(101)의 배출단에 연결된 하나의 제상응축기(109); g) 상기 증발기(106)의 제상과정 동안 상기 제상응축기(109)로의 냉매 유동을 허용하는 하나의 솔레노이드 밸브(108); h) 상기 압축기(101)의 배출단에 연결된 하나의 제상응축기(111); i) 상기 증발기(107)의 제상 과정 동안 상기 제상응축기(111)로의 냉매 유동을 허용하는 하나의 솔레노이드 밸브(110); j) 상기 두 개의 제상응축기(109 및 111)와 상기 압축기(101)의 흡입단 사이에서 냉매의 압력을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조절기(112); 및 k) 제상과정 동안 상기 두 개의 제상응축기(109 및 111)와 상기 두 개의 증발기(106 및 107) 각각에 대한 열을 전달하는 열전달수단;을 포함하고, 제상과정이 필요치 않는 경우에는, 상기 두 개의 솔레노이드 밸브(108 및 109)가 폐쇄된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증발기(106)의 제상과정 동안에는,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04)에 의해 상기 증발기(106)가 정지됨과 동시에,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08)는 개방되어 상기 증발기(107)는 계속해서 동작함으로써 상기 공조용 히트 펌프의 동작이 중단되지 않고, 상기 제상응축기(109)에 열에너지를 제공하여 상기 열전달수단에 의해 상기 증발기(106)의 성에를 제거하도록 하고; 상기 증발기(107)의 제상과정 동안에는,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05)에 의해 상기 증발기(107)가 정지됨과 동시에,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10)는 개방되어 상기 증발기(106)는 계속해서 동작함으로써 상기 공조용 히트 펌프의 동작이 중단되지 않고, 상기 제상응축기(111)에 열에너지를 제공하여 상기 열전달수단에 의해 상기 증발기(107)의 성에를 제거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대 제상시스템을 가진 공조용 히트 펌프는, a) 냉매를 메인 응축기(702)로 펌핑하고 압축하는 하나의 압축기(701); b) 상기 메인 응축기(702)에 연결되는 적어도 두 개의 증발기(703 및 704); c) 상기 메인 응축기(702)와 상기 두 개의 증발기(703 및 704) 사이의 압력 강하를 조절하는 팽창밸브(707); d) 상기 증발기(703)의 제상과정 동안 냉매의 유동을 정지시키도록 상기 증발기(703)와 연결된 하나의 제어밸브(712); e) 상기 증발기(704)의 제상과정 동안 냉매의 유동을 정지시키도록 상기 증발기(704)와 연결된 하나의 제어밸브(711); f) 상기 압축기(701)의 배출단에 연결되어 냉매를 공급받고 배출된 냉매는 상기 증발기(704)로 가는 하나의 제상응축기(705); g) 상기 증발기(703)의 제상과정 동안 상기 제상응축기(705)로의 냉매 유동을 허용하는 하나의 제어밸브(714); h) 상기 압축기(701)의 배출단에 연결되어 냉매를 공급받고 배출된 냉매는 상기 증발기(703)로 가는 하나의 제상응축기(706); i) 상기 증발기(704)의 제상과정 동안 상기 제상응축기(706)로의 냉매 유동을 허용하는 하나의 제어밸브(713); j) 상기 제상응축기(705)와 상기 증발기(704) 사이에서 냉매의 압력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조절기(721), 및 상기 제상응축기(706)와 상기 증발기(703) 사이에서 냉매의 압력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조절기(722); 및 k) 제상과정 동안 상기 두 개의 제상응축기(705 및 706)와 상기 두 개의 증발기(703 및 704) 각각에 대한 열을 전달하는 열전달수단;을 포함하고, 제상과정이 필요치 않는 경우에는, 상기 두 개의 제어밸브(713 및 714)가 폐쇄된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증발기(703)의 제상과정 동안에는, 상기 제어밸브(712)에 의해 상기 증발기(703)가 정지됨과 동시에, 상기 제어밸브(711)는 개방되어 상기 증발기(704)는 계속해서 동작함으로써 상기 공조용 히트 펌프의 동작이 중단되지 않고, 상기 제상응축기(705)에 열에너지를 제공하여 상기 열전달수단에 의해 상기 증발기(703)의 성에를 제거하도록 하고; 상기 증발기(704)의 제상과정 동안에는, 상기 제어밸브(711)에 의해 상기 증발기(704)가 정지됨과 동시에, 상기 제어밸브(712)는 개방되어 상기 증발기(703)는 계속해서 동작함으로써 상기 공조용 히트 펌프의 동작이 중단되지 않고, 상기 제상응축기(706)에 열에너지를 제공하여 상기 열전달수단에 의해 상기 증발기(704)의 성에를 제거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넓은 온도 범위의 공조용 히트 펌프는, a) 응축기(402)로 냉매를 펌핑하는 하나의 압축기(401); b) 상기 응축기(402)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404); c) 상기 응축기(402)와 상기 증발기(404) 사이의 압력 강하를 제어하는 팽창밸브(403); d) 상기 압축기(401)의 유입압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상기 증발기(404)의 출력단과 상기 압축기(401)의 흡입단에 연결되는 압력 승압 제트 펌프(406); e) 상기 압축기(401)의 배출단에 연결되는 상기 압력 승압 제트 펌프(406)의 고압 유입단, 및 상기 증발기(404)에 연결되는 상기 압력 승압 제트 펌프(406)의 저압 유입단; 및 f) 상기 압력 승압 제트 펌프(406)의 고압 유입단에 연결되어 상기 압력 승압 제트 펌프로 유입되는 냉매의 유동과 압력을 제어하는 제어밸브(405);를 포함하고, 고온 범위에서의 동작 중에는, 상기 압축기(401)의 유입압력이 압력 승압없이도 동작되기에 충분하고, 따라서 상기 제어밸브(405)는 폐쇄되어 상기 압력 승압 제트 펌프가 상기 압축기(401)의 유입압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저온 범위의 동작 중에는, 상기 압축기(401)의 유입압력이 감소되어 동작되기에 불충분하고, 따라서 상기 제어밸브(405)가 개방되어 상기 압력 승압 제트 펌프(406)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압력 승압 제트 펌프(406)는 고압 측면 배관으로부터 가스상의 냉매를 받아 상기 압축기(401)의 유입압력을 증가시키고, 그에 따라 상기 압축기(401)는 서로 다른 온도 범위에서 적정 부하로 동 작을 유지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2차 압축기를 구비한 공조용 히트 펌프는, a) 메인 응축기(202)로 냉매를 펌핑하는 하나의 압축기(201); b) 상기 메인 응축기(202)의 출력단에 메인 입력단이 연결되고, 메인 출력단은 팽창밸브(203)의 입력단과 연결되는 열교환기(215); c) 상기 팽창밸브(203)의 출력단과 연결되는 적어도 두 개의 증발기(206 및 207); d) 상기 증발기(206)와 연결되어 제상과정 동안 냉매의 유동을 정지시키는 하나의 솔레노이드 밸브(204); e) 상기 증발기(207)와 연결되어 제상과정 동안 냉매의 유동을 정지시키는 하나의 솔레노이드 밸브(205); f) 성에 제상동작을 위한 2차 압축기(214); g) 상기 2차 압축기(214)의 배출단에 연결된 하나의 제상응축기(209); h) 상기 증발기(206)의 제상과정 동안 상기 제상응축기(209)로 가는 냉매의 유동을 허용하는 하나의 솔레노이드 밸브(208); i) 상기 2차 압축기(214)의 배출단에 연결된 하나의 제상응축기(211); j) 상기 증발기(207)의 제상과정 동안 상기 제상응축기(211)로 가는 냉매의 유동을 허용하는 하나의 솔레노이드 밸브(210); k) 제상과정 동안 상기 두 개의 제상응축기(209 및 211)에서 상기 두 개의 증발기(206 및 207)로 열을 전달하는 열전달수단; l) 입력단이 상기 제상응축기(209 및 211)에 연결되고, 출력단이 상기 열교환기(215)의 2차 입력단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열교환기의 2차 출력단이 상기 2차 압축기(214)의 흡입단에 연결되도록 된 팽창밸브(216);를 포함하고, 제상과정이 필요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2차 압축기(214)는 동작되지 않고, 상기 두 개의 솔레노이드 밸브(204 및 205)는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증발기(206)의 제상과정 동안에는,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204)에 의해 상기 증발기(206)가 정지됨과 동시에,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208)는 개방되어 상기 증발기(207)는 계속해서 동작함으로써 상기 공조용 히트 펌프의 동작이 중단되지 않고, 상기 열교환기(215)의 2차 배출단 밖으로 유동하는 냉매가 상기 메인 입력단을 유동하는 냉매의 열을 흡수하여, 냉매가 상기 2차 압축기(214)로 들어가기 전에 가스상태로 증발되도록 하고, 그런 다음 상기 2차 압축기(214)가 작동을 시작하여 상기 제상응축기(209)를 가열하여 상기 증발기(206)의 성에를 제거하고; 상기 증발기(207)의 제상과정 동안에는,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205)에 의해 상기 증발기(207)가 정지됨과 동시에,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210)는 개방되어 상기 증발기(206)는 계속해서 동작함으로써 상기 공조용 히트 펌프의 동작이 중단되지 않고, 상기 열교환기(215)의 2차 배출단 밖으로 유동하는 냉매가 상기 메인 입력단을 유동하는 냉매의 열을 흡수하여, 냉매가 상기 2차 압축기(214)로 들어가기 전에 가스상태로 증발되도록 하고, 그런 다음 상기 2차 압축기(214)가 작동을 시작하여 상기 제상응축기(211)를 가열하여 상기 증발기(207)의 성에를 제거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넓은 범위의 공조용 히트 펌프는, a) 응축기(503)로 냉매를 펌핑하는 하나의 압축기(501); b) 상기 응축기(503)의 배출단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504); c) 상기 응축기(503)와 상기 증발기(504) 사이의 압력 강하를 제어하는 팽창밸브(509); d) 상기 증발기(504)의 출력단과 상기 압축기(501)의 흡입단에 연결되어 상기 압축기(501)의 입력압력을 승압시키는 압력 승압 제트 펌프(507); e) 상기 압축기(501)의 배출단에 연결되는 상기 압력 승압 제트 펌프(507)의 고압 유입단, 및 상기 증발기(504)에 연결되는 상기 압력 승압 제트 펌프(507)의 저압 유입단; f) 상기 압력 승압 제트 펌프(507)의 고압 유입단에 연결되어 상기 압축기(501)의 배출단으로부터 상기 압력 승압 제트 펌프(507)로 입력되는 냉매의 유동과 압력을 제어하는 제어밸브(508); 및 g) 2차 응축기(511), 팽창밸브(510), 흡입 냉각 열교환기(505) 및 액체 냉각 열교환기(506)와 연결되는 승압 압축기(502);를 포함하고, 공조용 히트 펌프가 고온 범위 작동 환경(대략 섭씨 0도 내지 10도)에서 동작할 때에는, 단지 압축기(501)만 작동하여 냉매를 응축기(503)로 펌핑하고, 냉매는 응축된 후 팽창밸브(509)를 통해 증발기(504)로 유동하고, 그런 다음 증발기(504)의 냉매는 압력 승압 제트 펌프(507)를 통해 유동하여 압축기(501)의 흡입측으로 복귀하고, 고온 동작에서는, 제어밸브(508)가 폐쇄되고, 압축기(501)의 유입압력이 시스템의 효율을 유지하기에 충분하기 때문에 승압 압축기(502)는 동작하지 않고, 공조용 히트 펌프가 극저온 작동 환경(대략 섭씨 10도 미만)에서 동작할 때에는, 제어밸브(508)가 개방되어 냉매가 압축기(501)의 출력측으로부터 압력 승압 제트 펌프(507)로 향하도록 함으로써, 압축기(501)의 유입압력을 증가시켜 시스템의 효율을 유지하고, 만약 제1 단계의 압력 승압이 충분치 않다면, 승압 압축기(502)가 작동되어 냉매를 2차 응축기(511)로 펌핑하고, 그런 다음, 냉매는 팽창밸브(510)를 거쳐 흡입 냉각 열교환기(505)와 액체 냉각 열교환기(506)로 유동하고, 흡입 냉각 열교환기(505)는 압력 승압 제트 펌프(507) 사이의 냉매의 온도를 냉각시키는데 사용되고, 액체 냉각 열교환기(506)는 응축기(503)로부터 팽창밸브(509)로 향햐는 냉매로부터 열을 흡수하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대 제상시스템과 제상압축기를 구비한 공조용 히트 펌프는, a) 메인 응축기(902)로 냉매를 펌핑하고 압축하는 메인 압축기(901); b) 상기 메인 응축기(902)에 연결되며 냉매를 상기 메인 압축기(901)로 보내는 제1 증발기(903) 및 제2 증발기(904); c) 상기 메인 응축기(902)와 두 개의 증발기(903 및 904) 사이의 압력 강하를 조절하는 팽창밸브(907); d) 상기 제1 증발기(903)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증발기(903)의 제상과정 동안 냉매의 유동을 정지시키는 제1 증발기 유동 제어밸브(912); e) 상기 제2 증발기(904)와 연결되어 상기 제2 증발기(904)의 제상과정 동안 냉매의 유동을 정지시키는 제2 증발기 유동 제어밸브(911); f) 제상과정 동안 상기 제1 증발기(903) 및 제2 증발기(904)로부터 냉매를 공급받는 제상압축기(960); g) 상기 제상압축기(960)의 배출단에 연결되어 냉매를 공급받으며, 냉매가 상기 제2 증발기(904)로 배출되도록 된 제1 제상응축기(905); h) 상기 제1 증발기(903)의 제상 과정 동안 상기 제1 제상응축기(905)로 가는 냉매의 유동을 허용하는 제1 제상제어밸브(914); i) 상기 제상압축기(960)의 배출단에 연결되어 냉매를 공급받으며, 냉매가 상기 제1 증발기(903)로 배출되도록 된 제2 제상응축기(906); j) 상기 제2 증발기(904)의 제상과정 동안 상기 제2 제상응축기(906)로 가는 냉매의 유동을 허용하는 제2 제상제어밸브(913); k) 상기 제1 제상응축기(905)와 제2 증발기(904) 사이에 연결되어 냉매의 압력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조절기(921), 및 상기 제2 제상응축기(906)과 상기 제1 증발기(903) 사이에 연결되어 냉매의 압력을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조절기(922); 및 l) 제상과정 동안 상기 두 개의 제상응축기(905 및 906)와 상기 두 개의 증발기(903 및 904) 각각에 대한 열을 전달하는 열전달수단;을 포함하고, 동작시에, 성에 제거가 필요하지 않으면, 제상압축기(960)는 작동되지 않고, 제1 제상제어밸브(914)와 제2 제상제어밸브(913)는 폐쇄되어 냉매가 상기 제1 제상응축기(905) 및 제2 제상응축기(906)로 유동하는 것을 막고, 냉매는 메인 압축기(901)에서 압축되어 메인 응축기(902)를 통해 유동하여 열을 방출하고, 그런 다음, 냉매는 팽창밸브(907)를 통해 상기 제1 증발기(903) 및 제2 증발기(904)로 유동한 후, 냉매는 증발되어 상기 메인 압축기(901)로 복귀하고, 시스템이 성에 제거로 설정되거나 또는 압력 센서가 증발기 상의 성에로 인해 압축기 부하가 높다고 감지하면, 시스템은 증발기 중의 어느 하나를 정지시키고, 제상압축기(960)가 기동을 시작하여 동작중인 증발기로부터 흡수되는 에너지를 성에 제거에 사용하며, 제1 증발기(903)가 성에 제거되는 경우에는, 제상압축기(960)가 동작하고, 제1 증발기 유동 제어밸브(912)가 폐쇄되어 냉매가 제1 증발기(903)로 유동하는 것을 막고, 제1 제상제어밸브(914)는 개방되어 압축된 냉매가 제1 제상응축기(905)로 유동하도록 해서 제1 증발기(903)의 성에를 제거하기 위한 열을 공급하고, 다음으로, 제1 제상응축기(905)의 냉매는 그것과 연결된 상기 압력조절기(921)를 거쳐 동작하는 제2 증발기(904)로 유동하고, 제2 증발기(904)가 성에 제거되는 경우에는, 제상압축기(960)가 동작하고, 제2 증발기 유동 제어밸브(911)가 폐쇄되어 냉매가 제2 증발기(904)로 유동하는 것을 막고, 제2 제상제어밸브(913)는 개방되어 압축된 냉매가 제2 제상응축기(906)로 유동하도록 해서 제2 증발기(904)의 성에를 제거하기 위한 열을 공급하고, 다음으로, 제2 제상응축기(906)의 냉매는 그것과 연결된 압력조절기(922)를 거쳐 동작하는 제 1 증발기(903)로 유동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대 제상시스템과 압력 승압 시스템을 구비한 공조용 히트 펌프는, a) 메인 응축기(802)로 냉매를 펌핑하고 압축하는 메인 압축기(801); b) 상기 메인 응축기(802)에 연결되는 제1 증발기(803) 및 제2 증발기(804); c) 상기 메인 응축기(802)와 두 개의 증발기(803 및 804) 사이의 압력 강하를 조절하는 팽창밸브(807); d) 상기 제1 증발기(803)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증발기(803)의 제상과정 동안 냉매의 유동을 정지시키는 제1 증발기 유동 제어밸브(812); e) 상기 제2 증발기(804)와 연결되어 상기 제2 증발기(804)의 제상과정 동안 냉매의 유동을 정지시키는 제2 증발기 유동 제어밸브(811); f) 상기 메인 압축기(801)의 배출단에 연결되어 냉매를 공급받으며, 냉매가 상기 제2 증발기(804)로 배출되도록 된 제1 제상응축기(805); g) 상기 제1 증발기(803)의 제상과정 동안 상기 제1 제상응축기(805)로 가는 냉매의 유동을 허용하는 제1 제상제어밸브(814); h) 상기 메인 압축기(801)의 배출단에 연결되어 냉매를 공급받으며, 냉매가 상기 제1 증발기(803)로 배출되도록 된 제2 제상응축기(806); i) 상기 제2 증발기(804)의 제상과정 동안 상기 제2 제상응축기(806)로 가는 냉매의 유동을 허용하는 제2 제상제어밸브(813); j) 상기 제1 제상응축기(805)와 제2 증발기(804) 사이에 연결되어 냉매의 압력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조절기(821), 및 상기 제2 제상응축기(806)과 상기 제1 증발기(803) 사이에 연결되어 냉매의 압력을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조절기(822); k) 제상과정 동안 상기 두 개의 제상응축기(805 및 806)와 상기 두 개의 증발기(803 및 804) 각각에 대한 열을 전달하는 열전달수단; 및 l) 상기 메인 압축기(801)의 배출단과 연결되는 고압 유입단을 가지는 압력 승압 제트 펌프(850)로서, 상기 압력 승압 제트 펌프(850)의 메인 유입단은 상기 두 개의 증발기(803 및 804)으로부터 냉매를 공급받고, 상기 압력 승압 제트 펌프(850)의 배출단은 냉매를 상기 메인 압축기(801)의 유입단으로 보내도록 구성된 압력 승압 제트 펌프(850); 및 m) 상기 압력 승압 제트 펌프(850)의 고압 유입단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 압축기(801)의 배출단으로부터 상기 압력 승압 제트 펌프(850)로 유입되는 냉매의 유동과 압력을 제어하는 압력 승압 제어밸브(851)로서, 상기 압력 승압 제트 펌프(850)는 상기 메인 압축기(801)로부터 배출되는 압축된 냉매의 일부를 상기 두 개의 증발기(803 및 804)로부터 나온 냉매의 압력을 승압시키는데 사용하도록 구성된 압력 승압 제어밸브(851);를 포함하고, 성에 제거가 필요하지 않으면, 제2 제상제어밸브(813)와 제1 제상제어밸브(814)는 폐쇄되고, 상기 제1 증발기(803)가 성에 제거되는 경우에는, 제1 증발기 유동 제어밸브(812)로 인해 제1 증발기(803)가 정지됨과 동시에, 상기 제2 증발기 유동 제어밸브(811)는 개방되어 상기 제2 증발기(804)는 계속해서 동작함으로써 상기 공조용 히트 펌프의 동작이 중단되지 않고, 상기 제1 제상응축기(805)에 열에너지를 제공하여 상기 열전달수단에 의해 상기 제1 증발기(803)의 성에를 제거하도록 하고; 상기 제2 증발기(804)의 제상과정 동안에는, 상기 제2 증발기 유동 제어밸브(811)에 의해 상기 제2 증발기(804)가 정지됨과 동시에, 상기 제1 증발기 유동 제어밸브(812)는 개방되어 상기 제1 증발기(803)는 계속해서 동작함으로써 상기 공조용 히트 펌프의 동작이 중단되지 않고, 상기 제2 제상응축기(806)에 열에너지를 제공하여 상기 열전달수단에 의 해 상기 제2 증발기(804)의 성에를 제거하고; 상기 메인 압축기(801)의 동작 부하가 허용범위 이내이며, 상기 압력 승압 제어밸브가 폐쇄되고, 만약 동작 온도가 내려가 상기 메인 압축기(801)에 과부하가 걸리면, 상기 압력 승압 제어밸브가 개방되면서 상기 메인 압축기(801)의 유입압력을 승압시킴으로써 메인 압축기(801)의 과부하와 손상을 방지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공조용 히트 펌프가 작동을 시작하면, 압축기(101)는 냉매를 응축기(102)를 펌핑한다. 냉매는 응축된 후에, 팽창밸브(103)를 통해 유동하여 두 개의 솔레노이드 밸브(104 및 105)로 향한다. 이때, 두 개의 솔레노이드 밸브(104 및 105)는 개방된다. 냉매는 솔레노이드 밸브(104 및 105)를 통해 유동하면서 증발기(106 및 107)로 각각 향한다. 그런 다음, 증발기(106 및 107) 내의 냉매는 압축기(101)로 복귀한다. 압력조절기(112)는 제상(defrost)응축기(109 및 111)의 냉매 압력을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일측 증발기(106)의 제상동작 중에, 솔레노이드 밸브(104)는 폐쇄되고, 솔레노이드 밸브(108)은 개방된다. 상기 압축기는 가열된 냉매를 솔레노이드 밸브(108)을 통해 제상응축기(109)로 보낸다. 그런 다음, 제상응축기(109)로부터의 열은 팬 또는 직접 접촉과 같은 열전달수단에 의해 증발기(106)를 가열하는데 사용된다.
타측 증발기(107)의 제상동작 중에, 솔레노이드 밸브(105)는 폐쇄되고, 솔레 노이드 밸브(110)은 개방된다. 상기 압축기는 가열된 냉매를 솔레노이드 밸브(110)을 통해 제상응축기(111)로 보낸다. 그런 다음, 제상응축기(111)로부터의 열은 팬 또는 직접 접촉과 같은 열전달수단에 의해 증발기(107)를 가열하는데 사용된다.
압축기의 부하를 줄이기 위한 또 다른 제상시스템의 예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동작시에, 제상(defrost)이 필요하지 않다면, 제어밸브(714 및 713)는 폐쇄되어 제상응축기(705 및 706)을 향한 냉매의 유동이 정지되고, 냉매는 응축기(701)에서 압축되어 응축기(702)를 통해 유동하여 열을 방출한다. 그런 다음, 냉매는 팽창밸브(707)를 통해 증발기(703 및 704)로 유동한다. 그리고 냉매는 증발되어 압축기(701)로 복귀된다.
시스템이 제상모드로 설정되거나 또는 압력센서가 어느 증발기에서의 성에 제거로 인해 압축기의 부하가 높은 것을 감지하게 되면, 시스템은 증발기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동작하는 증발기로부터의 에너지는 성에 제거를 위해 사용한다. 일측 증발기(703)가 제상되는 경우에는 제어밸브(712)는 폐쇄되어 증발기(703)로 향하는 냉매의 유동은 중단되고, 제어밸브(714)는 개방되어 압축된 냉매가 제상응축기(705)로 유동하도록 함으로써 증발기(703)의 성에 제거를 위한 열을 공급한다. 그런 다음, 제상응축기(705)의 냉매는 그것과 연결된 압력조절기(721)를 거쳐 동작하는 증발기(704)로 유동한다.
타측 증발기(704)가 제상되는 경우에는, 제어밸브(711)가 폐쇄되어 증발기(704)로 향하는 냉매의 유동은 중단되고, 제어밸브(713)는 개방되어 압축된 냉매 가 제상응축기(706)로 유동하도록 함으로써 증발기(704)의 제상을 위한 열을 공급한다. 그런 다음, 제상응축기의 냉매는 그것과 연결된 압력조절기(722)를 거쳐 동작하는 증발기(703)로 유동한다. 이렇게 상호 교대로 성에를 제거하는 시스템(이하 '교대 제상시스템'이라 함)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넓은 범위의 압력 승압 수단(pressure boosting means)에 적용되어 결합될 수 있다.
도 2에는 2차 압축기를 가지는 공조용 히트 펌프가 개시되어 있다. 메인 히트 펌프가 동작을 시작하면, 압축기(201)는 냉매를 응축기(202)로 펌핑한다. 냉매는 응축된 후에, 팽창밸브(203)를 통해 유동하여 두 개의 솔레노이드 밸브(204 및 205)로 향한다. 이때, 두 개의 솔레노이드 밸브(204 및 205)는 개방된다. 냉매는 솔레노이드 밸브(204 및 205)를 통해 유동하면서 증발기(206 및 207)로 각각 향한다. 그런 다음, 증발기(206 및 207) 내의 냉매는 압축기(201)로 복귀한다.
일측 증발기(206)의 제상동작 중에, 솔레노이드 밸브(204)는 폐쇄되고, 솔레노이드 밸브(208)은 개방되어 냉매의 통과하도록 한다. 그러면, 2차 응축기(214)가 작동을 시작하면서 가열된 냉매를 솔레노이드 밸브(210)를 통해 제상응축기(209)로 보낸다. 그런 다음, 제상응축기(209)로부터의 열은 팬 또는 직접 접촉과 같은 열전달수단에 의해 증발기(206)를 가열하는데 사용된다. 제상응축기(209)의 냉매는 팽창밸브(216)를 통해 유동한다. 그리고, 냉매는 팽창밸브(216)로부터 열교환기(215)로 들어가 메인 히트 펌프에서 냉매로부터 열을 흡수한다. 이어서, 냉매는 2차 압축기(214)로 복귀한다.
타측 증발기(207)의 제상동작 중에, 솔레노이드 밸브(205)는 폐쇄되고, 솔레 노이드 밸브(210)는 개방되어 냉매의 통과하도록 한다. 그러면, 2차 응축기(214)가 작동을 시작하면서 가열된 냉매를 솔레노이드 밸브(210)를 통해 제상응축기(211)로 보낸다. 그런 다음, 제상응축기(211)로부터의 열은 팬 또는 직접 접촉과 같은 열전달수단에 의해 증발기(207)를 가열하는데 사용된다. 제상응축기(211)의 냉매는 팽창밸브(216)를 통해 유동한다. 그리고, 냉매는 팽창밸브(216)로부터 열교환기(215)로 들어가 메인 히트 펌프에서 냉매로부터 열을 흡수한다. 이어서, 냉매는 2차 압축기(214)로 복귀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상이 필요한 경우의 동작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일측 증발기(107)가 제상이 필요할 경우, 증발기(107)는 작동을 중지하고, 증발기(106)는 계속 작동하여 제상응축기(111)가 증발기(107)의 성에를 제거하는데 필요한 열에너지를 공급한다.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 또는 센서(미도시)가 더 이상의 성에 제거가 필요없음을 감지하면, 제상응축기(111)는 제상동작을 중단하고, 증발기(107)는 동작을 시작한다.
다른 증발기(106)에서 제상이 필요할 경우, 증발기(106)는 작동을 중지하고 증발기(107)는 계속 작동하여 제상응축기(109)가 증발기(106)의 성에를 제거하는데 필요한 열에너지를 공급한다.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 또는 센서(미도시)가 더 이상의 제상이 필요없음을 감지하면, 제상응축기(109)는 제상동작을 중단하고, 증발기(106)는 동작을 시작한다. 증발기(106) 및 (107)는 성에없이 동작될 수 있으며, 둘 모두의 동작을 중단시키지 않아도 된다.
도 4는 넓은 온도 범위를 가진 공조용 히트 펌프에 대한 도면이다. 넓은 온 도 범위를 가진 공조용 히트 펌프가 고온(대략 섭씨 0도 내지 10도) 동작 환경에서 작동을 시작하면, 압축기(401)는 냉매를 응축기(402)로 펌핑한다. 냉매는 응축된 후에 팽창밸브(403)를 통해 증발기(404)로 유동한다. 그런 다음 증발기(404)의 냉매는 압력 승압 제트 펌프(406)로 유동한다. 이때, 솔레노이드 밸브(405)는 폐쇄되고, 냉매는 압력이 승압되지 않은 채로 압력 승압 제트 펌프(406)를 통해 압축기(401)로 유동한다.
넓은 온도 범위를 가진 공조용 히트 펌프가 저온(대략 섭씨 0도 미만) 동작 환경에서 작동을 하면, 솔레노이드 밸브(405)가 개방되고, 냉매의 압력이 압력 승압 제트 펌프(406)에 의해 승압된다. 그리고 압축기(401)의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해 압축기(401)의 유입압력은 허용가능한 범위로 유지된다. 따라서, 작동효율이 유지되고 시스템은 저온 동작 환경에도 적응될 수 있다.
나아가, 넓은 온도 범위의 공조용 히트 펌프의 또 다른 실시예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 설명된 두 개의 제상응축기로 하여금 시스템 효율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넓은 온도 범위의 공조용 히트 펌프는 가혹한 동작 환경에서 동작하기 위해서 다중 압력 승압 제트 펌프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이 다중 압력 승압 제트 펌프를 구비할 경우, 바이패스 밸브와 원웨이 밸브 등이 압축기의 유입압력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극저온영역 승압 시스템을 가진 넓은 온도 범위의 공조용 히트 펌프에 대한 도면이다. 넓은 온도 범위의 공조용 히트 펌프가 고온(대략 섭씨 0도 내지 10도) 동작 환경에서 동작할 경우, 단지 압축기(501)만이 동작하여 냉매를 응축 기(503)로 펌핑한다. 냉매는 응축된 후 팽창밸브(509)를 통해 증발기(504)로 유동한다. 그런 다음, 증발기(504)의 냉매는 압력 승압 제트 펌프(507)를 통해 유동하여 압축기(501)의 흡입측으로 복귀한다. 고온 동작에서는, 제어밸브(508)가 폐쇄되고, 압축기(501)의 유입압력이 시스템의 효율을 유지하기에 충분하기 때문에 승압 압축기(502)는 동작하지 않는다.
극저온(대략 섭씨 10도 미만) 동작 환경에서는, 제어밸브(508)가 개방되어 냉매가 압축기(501)의 출력측으로부터 압력 승압 제트 펌프(507)로 향하도록 함으로써, 압축기(501)의 유입압력을 증가시켜 시스템의 효율을 유지하도록 한다. 만약 제1 단계의 압력 승압이 충분치 않다면, 승압 압축기(502)가 작동되어 냉매를 2차 응축기(511)로 펌핑한다. 그런 다음, 냉매는 팽창밸브(510)를 거쳐 흡입 냉각 열교환기(505)와 액체 냉각 열교환기(506)로 유동한다. 흡입 냉각 열교환기(505)는 압력 승압 제트 펌프(507) 사이에 냉각된 냉매 온도를 흡수하는데 사용되고, 액체 냉각 열교환기(506)는 응축기(503)로부터 팽창밸브(509)로 향햐는 냉매로부터 열을 흡수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시스템 효율을 유지하기 위한 제2 단계 압력 승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도 5에서 설명한 극저온영역 승압 시스템을 가진 넓은 범위의 공조용 히트 펌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승압 압축기(602)의 배출단은 압축기(601)의 배출단과 3가지 경로로 연결되고, 팽창밸브(610)의 입력측은 응축기(603)의 배출측과 3가지 경로로 연결됨으로써, 공통 응축기(604)를 공유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모두 도 1에서 설명한 교대 제상시스템과 결합될 수 있고, 그러한 구성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8은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이다. 압축기(801)의 유입압력이 충분하여 동작 부하가 압축기(801)의 허용 범위 이내일 경우에, 압력 승압 제트 펌프(850)는 제어밸브(851)에 의해 차단된다. 본 시스템은 압축기(801)에 대한 압력 보호와 함께 교대 제상능력을 동시에 제공한다.
도 9는 제상과정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도 7에 도시된 교대 제상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장치의 동작에 있어서, 제상이 필요하지 않으면, 제상압축기(960)는 작동되지 않고, 제어밸브(914 및 913)이 폐쇄되어 냉매가 제상응축기(905 및 906)로 유동하는 것을 막는다. 냉매는 메인 압축기(901)에서 압축되어 응축기(902)를 통해 유동하여 열을 방출한다. 그런 다음, 냉매는 팽창밸브(907)를 통해 증발기(903 및 904)로 유동한다. 그리고 냉매는 증발되어 메인 압축기(901)로 복귀한다.
시스템이 제상모드로 설정되거나 또는 압력 센서가 증발기 상의 성에로 인해 압축기 부하가 높다고 감지하면, 시스템은 증발기 중의 어느 하나를 정지시키고, 제상압축기(960)가 기동을 시작하여 동작중인 증발기로부터 흡수되는 에너지를 사용한다. 일측 증발기(903)가 제상되는 경우에는, 제상압축기(960)가 동작하고, 제어밸브(912)가 폐쇄되어 냉매가 증발기(903)로 유동하는 것을 막는다. 제어밸브(914)는 개방되어 압축된 냉매가 제상응축기(905)로 유동하도록 해서 증발 기(903)를 성에 제거하기 위한 열을 공급한다. 다음으로, 제상응축기(905)의 냉매는 그것과 연결된 압력조절기(921)를 거쳐 동작하는 증발기(904)로 유동한다.
다른 증발기(904)가 제상되는 경우에는, 제상압축기(960)가 동작하고, 제어밸브(911)가 폐쇄되어 냉매가 증발기(904)로 유동하는 것을 막는다. 제어밸브(913)는 개방되어 압축된 냉매가 제상응축기(906)로 유동하도록 해서 증발기(904)를 성에 제거하기 위한 열을 공급한다. 다음으로, 제상응축기(906)의 냉매는 그것과 연결된 압력조절기(922)를 거쳐 동작하는 증발기(903)로 유동한다. 이러한 교대 제상시스템은 도 4에서 설명한 압력 승압 수단에 적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설명된 교대 제상시스템은 2단계 제상과정으로 더욱 개선될 수 있는데, 그 제1 단계 제상과정은 제상이 필요한 증발기 중 어느 하나의 전환과, 동작하는 다른 하나의 증발기는 계속해서 메인 응축기와 메인 압축기가 제상과정 동안 정지하지 않고 구동하도록 열을 흡수하는 것에 의해 달성되고; 제2 단계 제상은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제상응축기와 함께 교대로 제상하는 방법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교대 제상수단과 결합된 모든 실시예는 제3, 제4의 증발기 및 제상응축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때에도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은 동일하다. 제3 또는 제4 세트의 증발기가 구동할 경우에는, 하나 이상의 증발기가 제상되고, 그 외 다른 모든 증발기는 메인 응축기 및 메인 압축기와 함께 상호 동작을 계속함으로써, 히트 펌프 시스템이 연속적으로 기능을 수행하는 동시에 증발기를 함께 제상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상응축기는 그 대응하는 증발기와 함 께 단일 피스로 제조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제상응축기로부터의 열은 제상이 요구되는 증발기로 직접 전달될 수 있다.

Claims (2)

  1. 넓은 온도 범위의 공조용 히트 펌프로서,
    a) 응축기(402)로 냉매를 펌핑하는 하나의 압축기(401);
    b) 상기 응축기(402)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404);
    c) 상기 응축기(402)와 상기 증발기(404) 사이의 압력 강하를 제어하는 팽창밸브(403);
    d) 상기 압축기(401)의 유입압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상기 증발기(404)의 출력단과 상기 압축기(401)의 흡입단에 연결되는 압력 승압 제트 펌프(406);
    e) 상기 압축기(401)의 배출단에 연결되는 상기 압력 승압 제트 펌프(406)의 고압 유입단, 및 상기 증발기(404)에 연결되는 상기 압력 승압 제트 펌프(406)의 저압 유입단; 및
    f) 상기 압력 승압 제트 펌프(406)의 고압 유입단에 연결되어 상기 압력 승압 제트 펌프로 유입되는 냉매의 유동과 압력을 제어하는 제어밸브(405);를 포함하고,
    고온 범위에서의 동작 중에는, 상기 압축기(401)의 유입압력이 압력 승압없이도 동작되기에 충분하고, 따라서 상기 제어밸브(405)는 폐쇄되어 상기 압력 승압 제트 펌프가 상기 압축기(401)의 유입압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저온 범위에서의 동작 중에는, 상기 압축기(401)의 유입압력이 감소되어 동작되기에 불충분하고, 따라서 상기 제어밸브(405)가 개방되어 상기 압력 승압 제트 펌프(406)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압력 승압 제트 펌프(406)는 고압 측면 배관으로부터 가스상의 냉매를 받아 상기 압축기(401)의 유입압력을 증가시키고, 그에 따라 상기 압축기(401)는 서로 다른 온도 범위에서 적정 부하로 동작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용 히트 펌프.
  2. 넓은 범위의 공조용 히트 펌프로서,
    a) 응축기(503)로 냉매를 펌핑하는 하나의 압축기(501);
    b) 상기 응축기(503)의 배출단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504);
    c) 상기 응축기(503)와 상기 증발기(504) 사이의 압력 강하를 제어하는 팽창밸브(509);
    d) 상기 증발기(504)의 출력단과 상기 압축기(501)의 흡입단에 연결되어 상기 압축기(501)의 유입압력을 승압시키는 압력 승압 제트 펌프(507);
    e) 상기 압축기(501)의 배출단에 연결되는 상기 압력 승압 제트 펌프(507)의 고압 유입단, 및 상기 증발기(504)에 연결되는 상기 압력 승압 제트 펌프(507)의 저압 유입단;
    f) 상기 압력 승압 제트 펌프(507)의 고압 유입단에 연결되어 상기 압축기(501)의 배출단으로부터 상기 압력 승압 제트 펌프(507)로 입력되는 냉매의 유동 과 압력을 제어하는 제어밸브(508); 및
    g) 2차 응축기(511), 팽창밸브(510), 흡입 냉각 열교환기(505) 및 액체 냉각 열교환기(506)와 연결되는 승압 압축기(502);를 포함하고,
    공조용 히트 펌프가 고온 범위 작동 환경(대략 섭씨 0도 내지 10도)에서 동작할 때에는, 단지 압축기(501)만 작동하여 냉매를 응축기(503)로 펌핑하고, 냉매는 응축된 후 팽창밸브(509)를 통해 증발기(504)로 유동하고, 그런 다음 증발기(504)의 냉매는 압력 승압 제트 펌프(507)를 통해 유동하여 압축기(501)의 흡입측으로 복귀하고, 고온 동작에서는, 제어밸브(508)가 폐쇄되고, 압축기(501)의 유입압력이 시스템의 효율을 유지하기에 충분하기 때문에 승압 압축기(502)는 동작하지 않고,
    공조용 히트 펌프가 극저온 작동 환경(대략 섭씨 10도 미만)에서 동작할 때에는, 제어밸브(508)가 개방되어 냉매가 압축기(501)의 출력측으로부터 압력 승압 제트 펌프(507)로 향하도록 함으로써, 압축기(501)의 유입압력을 증가시켜 시스템의 효율을 유지하고, 만약 제1 단계의 압력 승압이 충분치 않다면, 승압 압축기(502)가 작동되어 냉매를 2차 응축기(511)로 펌핑하고, 그런 다음, 냉매는 팽창밸브(510)를 거쳐 흡입 냉각 열교환기(505)와 액체 냉각 열교환기(506)로 유동하고, 흡입 냉각 열교환기(505)는 압력 승압 제트 펌프(507) 사이의 냉매의 온도를 냉각시키는데 사용되고, 액체 냉각 열교환기(506)는 응축기(503)로부터 팽창밸 브(509)로 향햐는 냉매로부터 열을 흡수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용 히트 펌프.
KR1020070057866A 2005-04-12 2007-06-13 공조용 히트 펌프 KR1007575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103,221 US7213407B2 (en) 2005-04-12 2005-04-12 Wide temperature range heat pump
US11/103,221 2005-04-12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2313A Division KR100757580B1 (ko) 2005-04-12 2006-04-10 공조용 히트 펌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5867A true KR20070065867A (ko) 2007-06-25
KR100757592B1 KR100757592B1 (ko) 2007-09-10

Family

ID=3676101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2313A KR100757580B1 (ko) 2005-04-12 2006-04-10 공조용 히트 펌프
KR1020070057866A KR100757592B1 (ko) 2005-04-12 2007-06-13 공조용 히트 펌프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2313A KR100757580B1 (ko) 2005-04-12 2006-04-10 공조용 히트 펌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213407B2 (ko)
EP (1) EP1712854A2 (ko)
JP (1) JP2006292356A (ko)
KR (2) KR100757580B1 (ko)
CN (2) CN101493265A (ko)
CA (2) CA2615689C (ko)
TW (1) TW20063619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14249B2 (en) * 2005-12-20 2009-11-10 Lung Tan Hu Multi-range cross defrosting heat pump system and humidity control system
JP4389927B2 (ja) * 2006-12-04 2009-12-2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WO2008112569A2 (en) * 2007-03-09 2008-09-18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Refrigeration system
DE202008005337U1 (de) * 2008-04-17 2009-08-20 Liebherr-Hausgeräte Lienz Gmbh Kühl- und/oder Gefriergerät
KR101542389B1 (ko) * 2009-02-05 2015-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히트펌프모듈 및 히트펌프모듈을 이용한 건조장치
US8490438B2 (en) * 2009-02-05 2013-07-23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device
EP2398948B1 (en) * 2009-02-23 2018-09-12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EP2398947B1 (en) * 2009-02-23 2016-10-26 LG Electronics Inc. Washing / drying machine
KR101603106B1 (ko) * 2009-03-03 2016-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 장치
CN101691959B (zh) * 2009-05-25 2012-07-18 广东志高空调有限公司 恒温恒湿的调节系统及整体式恒温恒湿机
KR101572845B1 (ko) * 2009-08-19 2015-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US10274210B2 (en) 2010-08-27 2019-04-30 Nortek Air Solutions Canada, Inc. Heat pump humidifier and dehumidifier system and method
CN102003854B (zh) * 2010-12-21 2012-03-07 哈尔滨工业大学 空气源热泵辅助压缩机除霜系统
CN102095280A (zh) * 2011-01-19 2011-06-15 何君 具有能量回收装置的热泵
DE102011014746A1 (de) * 2011-03-22 2012-09-27 Air Liquide Deutschland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s Kühlsystems mit zwei oder mehr Kühlkammern
ITBS20110084A1 (it) * 2011-06-10 2012-12-11 Bmb Di Begarelli Bruno & C Sas Sistema di sbrinamento di una macchina frigorifera a pompa di calore tramite riutilizzo del calore prodotto dalla macchina stessa
CN102353201A (zh) * 2011-07-26 2012-02-15 合肥美的荣事达电冰箱有限公司 风冷冰箱
US9285153B2 (en) 2011-10-19 2016-03-15 Thermo Fisher Scientific (Asheville) Llc High performance refrigerator having passive sublimation defrost of evaporator
US9310121B2 (en) 2011-10-19 2016-04-12 Thermo Fisher Scientific (Asheville) Llc High performance refrigerator having sacrificial evaporator
US9759465B2 (en) 2011-12-27 2017-09-12 Carrier Corporation Air conditioner self-charging and charge monitoring system
CN102853583A (zh) * 2012-10-12 2013-01-02 天津商业大学 一种热泵系统
US9772124B2 (en) 2013-03-13 2017-09-26 Nortek Air Solutions Canada, Inc. Heat pump defrosting system and method
KR101631058B1 (ko) * 2015-01-08 2016-06-24 이명수 마스크팩을 제조하기 위한 냉각챔버유닛
CN104913536A (zh) * 2015-05-14 2015-09-16 江苏博莱客冷冻科技发展有限公司 多级压缩冷冻机
CN105222436A (zh) * 2015-09-21 2016-01-0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系统及空调系统的控制方法
CN105135628B (zh) * 2015-09-28 2019-03-01 Tcl空调器(中山)有限公司 空调器及空调器的除霜控制方法
CN106839638B (zh) * 2016-11-01 2019-05-1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冷库联合制冷控制方法、装置及冷库工程系统
CN106524336B (zh) * 2016-11-07 2019-04-30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多联机系统及其防回液控制方法
US20180238592A1 (en) * 2017-02-17 2018-08-23 Mark W Miles Solar driven ejector heat pumps for supplemental heating and cooling resources
EP3775713A1 (en) 2018-04-13 2021-02-17 Carrier Corporation Method of defrosting a multiple heat absorption heat exchanger refrigeration system
DE102019201427B4 (de) 2019-02-05 2022-01-13 Audi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Kältemittelkreislaufs einer Kälteanlage eines Fahrzeugs
KR20220035172A (ko) * 2019-07-15 2022-03-21 존슨 컨트롤즈 타이코 아이피 홀딩스 엘엘피 다중 압축기를 구비한 칠러 시스템
CN112361681A (zh) * 2020-11-11 2021-02-1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风冷热泵冷热水机组化霜控制方法、装置和空调系统
CN112880131B (zh) * 2021-01-29 2022-09-06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用于空调系统除霜控制的方法及装置、空调系统
FR3127554B1 (fr) * 2021-09-30 2023-10-20 Lemasson Procédé de régulation du fonctionnement d'une pompe à chaleur équipée de deux échangeurs évaporateurs et d'un échangeur condenseur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59596A (en) * 1955-06-01 1958-11-11 Girton Mfg Company Inc Refrigeration system
US3466888A (en) * 1968-05-15 1969-09-16 Westinghouse Electric Corp Defrost controls for heat pumps
US4187695A (en) * 1978-11-07 1980-02-12 Virginia Chemicals Inc. Air-conditioning system having recirculating and flow-control means
US4373350A (en) * 1981-07-09 1983-02-15 General Electric Company Heat pump control/defrost circuit
JPH05106943A (ja) * 1991-10-17 1993-04-27 Mitsubishi Heavy Ind Ltd ヒートポンプ
US5367885A (en) 1994-01-18 1994-11-29 Sagar; Christopher L. Chiller pressurization system
US6145332A (en) * 1999-06-16 2000-11-14 Dte Energy Technologies, Inc. Apparatus for protecting pumps against cavitation
KR100374167B1 (ko) * 2000-05-31 2003-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측관이 마련된 냉동냉장시스템
KR200281265Y1 (ko) 2002-02-18 2002-07-13 류옥란 다단 히트 펌프 시스템
JP2006505763A (ja) * 2002-11-11 2006-02-16 ボルテックス エアコン バイパスサブクーリングおよびコンポーネントサイズ脱最適化を用いた冷却システム
KR100531653B1 (ko) * 2003-09-25 2005-11-29 김제석 이원 히트펌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526194A1 (en) 2006-10-12
CA2615689A1 (en) 2006-10-12
CN1847753B (zh) 2011-11-23
US20060225451A1 (en) 2006-10-12
KR100757580B1 (ko) 2007-09-10
CN1847753A (zh) 2006-10-18
CN101493265A (zh) 2009-07-29
KR100757592B1 (ko) 2007-09-10
US7213407B2 (en) 2007-05-08
EP1712854A2 (en) 2006-10-18
JP2006292356A (ja) 2006-10-26
CA2615689C (en) 2010-06-08
CA2526194C (en) 2009-05-26
TW200636195A (en) 2006-10-16
KR20060108222A (ko) 2006-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7592B1 (ko) 공조용 히트 펌프
US20230092215A1 (en) Air conditioning system with capacity control and controlled hot water generation
EP2381178B1 (en) Heat pump type heating apparatus
EP2381180B1 (en) Heat pump type hot water supply apparatus
US7360372B2 (en) Refrigeration system
AU2001286333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defrosting a vapor compression system
WO2006013834A1 (ja) 冷凍装置
US7210303B2 (en) Transcritical heat pump water heating system using auxiliary electric heater
KR101155497B1 (ko) 히트펌프식 급탕장치
US9683767B2 (en) Cool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08002048A1 (en) High efficiency refrigeration system for saving energy and control method the same
KR20170104364A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 유닛 및 제어 방법
CN110762872A (zh) 一种交替除霜的冷风机系统
CN101365917A (zh) 除霜系统
KR100822432B1 (ko) 보조 열교환기를 갖는 공기조화기
US8978410B2 (en) Refrigerating system having two evaporators performing heat exchange
US20060225458A1 (en) Heat reclaim refrigeration system and method
US20040103676A1 (en) Method for controlling cooling/heating of heat pump system
KR200309412Y1 (ko) 히트펌프 시스템
US20240151438A1 (en) Air-conditioning apparatus and air-conditioning system
EP3798534B1 (en) A heat pump
KR200426762Y1 (ko) 에너지절감형 고효율 냉동시스템
JP2004198085A (ja) 空気調和機
JP3094998B2 (ja) 二元冷凍装置
JP2004324930A (ja) 蒸気圧縮式冷凍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