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5343A - 주차 공간 측정 및 차량의 주변 감시용 적외선 센서 - Google Patents

주차 공간 측정 및 차량의 주변 감시용 적외선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5343A
KR20070065343A KR1020077007085A KR20077007085A KR20070065343A KR 20070065343 A KR20070065343 A KR 20070065343A KR 1020077007085 A KR1020077007085 A KR 1020077007085A KR 20077007085 A KR20077007085 A KR 20077007085A KR 20070065343 A KR20070065343 A KR 200700653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viewing area
segment
coverage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7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게오르크 할라지-비머
슈테판 뤼케
Original Assignee
콘티넨탈 테베스 아게 운트 코. 오하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티넨탈 테베스 아게 운트 코. 오하게 filed Critical 콘티넨탈 테베스 아게 운트 코. 오하게
Publication of KR20070065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53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88Lid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7/93Lid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88Lid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7/93Lid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 G01S17/931Lid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of land veh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3/93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 G01S13/931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of land vehicles
    • G01S2013/9314Parking oper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3/93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 G01S13/931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of land vehicles
    • G01S2013/9315Monitoring blind spo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3/93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 G01S13/931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of land vehicles
    • G01S2013/9327Sensor installation details
    • G01S2013/93274Sensor installation details on the side of the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Optical Radar Systems And Details Thereof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2) 의 측부에 배치된 센서 (14) 를 갖는 차량 (2) 의 측면 주변을 감시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장치는 관측 영역으로의 전자기 복사의 송신용 송신 유닛 및 상기 관측 영역의 물체로부터 반사된 전자기 복사의 수신용 수신 유닛을 포함하고, 포착 신호는 반사된 전자기 복사를 수신하자마자 상기 수신 유닛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장치는, 상기 관측 영역이 2 개 이상의 적용 범위 ( 18 ; 16, 18, 20) 를 포함하고, 제 1 적용 범위는 실질적으로 상기 차량의 길이 방향축에 대하여 직각으로 향하고 제 1 개구 각도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적용 범위 (16, 18, 20) 가 상기 제 1 개구 각도보다 더 큰 제 2 개구 각도를 포함하며, 제 1 적용 범위 (18) 에 할당될 수 있는 포착 신호는 주차 보조 장치로 전송되는데 적합하고, 상기 주차 보조 장치는 상기 차량 (2) 이 주차 공간 (4) 을 지나서 주행하는 경우에 상기 주차 공간 (4) 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제 2 적용 범위 (16, 18, 20) 에 할당될 수 있는 포착 신호는 주변 감시 장치로 전송되는데 적합한 장치이다.

Description

주차 공간 측정 및 차량의 주변 감시용 적외선 센서{INFRA-RED SENSOR FOR PARKING GAP MEASUREMENT AND ENVIRONMENT MONITORING FOR A VEHICLE}
차량의 측부에 배치된 센서를 갖는 차량의 측면 주변을 감지하는 장치는, 관측 영역으로의 전자기 복사의 송신용 송신 유닛 및 상기 관측 영역에서 물체로부터 반사된 전자기 복사의 수신용 수신 유닛을 포함하고, 포착 신호는 반사된 전자기 복사를 수신하자마자 상기 수신 유닛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센서는 차량에서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소위 말하는 차량의 사각 지대를 감시하는 주변 센서을 사용하여 물체가 사각 지대 내에 존재하면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게다가, 소위 말하는 프리 크래쉬(pre-crash) 센서가 공지되어 있으며, 이 프리 크래쉬 센서는 물체의 충돌 이전에 이미 차량과 물체 사이의 충돌을 검출하고, 에어백 또는 시트 벨트 요구(pretensioning) 시스템과 같은 적절한 안전 수단을 가동시킨다.
특히 독일 특허 공개 공보 제 DE 103 31 074 A1 호는 프리 크래쉬 센서로 사용될 수 있는 거리 및 속도 측정용 센서 조립체를 개시하는데, 이 센서 조립체는 적외선 센서로 구성되어 있으며, 렌즈의 초점에 각각 배치되고 관측 영역의 세그먼트로부터 빛을 감지하는 여러 개의 수신 다이오드를 포함한다. 관측 영역을 여 러 개의 세그먼트로 나누는 목적은 하나만의 세그먼트로 가능한 것보다 더 큰 주변 영역을 더 크게 커버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유형의 센서의 다른 적용 범위는 소위 주차 보조라 하고, 주차 보조는 차량에 적절한 주차 공간을 자동으로 확인하고, 자동으로 차량을 주차공간으로 주차하거나, 조향 추천(recommendation)을 함으로써 주차시 주차 공간으로 운전자를 돕는다.
주차 공간의 측정 또는 확인은 주차공간을 통과하는 주행시 센서에 의해 물체로부터 측면 거리를 결정함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에서, 주차 공간은, 차량과 측면 물체 사이의 거리가 다른 차량과 같은 물체가 배치되어 있는 다른 영역보다 크게 확인되고, 주차 공간의 범위를 정하는 영역으로 확인된다. 차량의 휠 회전 속도 센서의 신호는 커버된 거리, 및 차량의 측면에 있는 물체로부터 더 큰 거리를 갖는 영역을 지날 때 주차 공간의 길이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다양하게 도시된 적용 범위는 사용되는 센서에 상이한 요구를 주문한다(place). 따라서, 큰 각도의 적용 범위를 갖는 센서가 주변을 감시하는데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주차 공간의 경계 위치가 큰 각도의 적용 범위에서만 매우 부정확하게 결정될 수 있기 때문에, 주차 공간의 정확한 측정은 이러한 센서로는 불가능하거나, 또는 매우 제한적인 범위에서 가능하다.
하지만, 차량에 존재하는 상이한 목적에 따라 여러 개의 센서를 제공하는 것은 경제적인 측면에서 큰 문제점이 있다. 게다가, 통상적으로 센서는 차량의 외관을 손상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자동차의 외부 후사경(rearview mirror) 또는 램 프와 같은 부속물(attachment) 소자에 일체화되어 있다. 소수의 부속물만이 차량의 측부 영역에서 활용가능하기 때문에, 여러 개의 센서를 차량의 측면 영역에 눈에 띄지 않게 배치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상기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주변을 최대한 넓은 범위로 감지하고 가능한 한 정확하게 주차 공간의 경계를 결정하는데 적합한 상술한 유형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본 목적은 청구항 1 의 특징을 갖는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관측 영역이 2 개 이상의 적용 범위를 포함하고, 제 1 적용 범위는 실질적으로 차량의 길이 방향축에 대하여 직각이고 제 1 개구 각도(aperture angle)를 포함하며, 제 2 적용 범위는 제 1 개구 각도보다 더 큰 제 2 개구 각도를 포함하며, 제 1 적용 범위에 할당될 수 있는 포착 신호는 주차 보조 장치로 전송되는데 적합하고, 주차 보조 장치는 차량이 주차 공간을 지나서 주행하는 경우에 주차 공간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며, 제 2 적용 범위에 할당될 수 있는 포착 신호는 주변 감시 장치로 전송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유형의 장치가 처음으로 제공된다.
따라서, 여러 개의 적용 범위, 및 상이한 적용 범위에 할당된 포착 신호를 갖는 센서를 포함하는 장치가 제공되는데, 이 포착 신호는 수신 유닛에 의해 생성되며 적용 영역 중의 하나에서 물체의 존재를 나타내며, 편의상 각 경우에 차량으로부터의 거리가 차량의 주차 보조 장치 및 주변 감시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주차 보조 장치에 할당된 적용 범위는, 주차 공간의 경계가 차량이 통과할 때 정확하게 감지되고 그들의 위치가 결정되도록, 더 작은 개구 각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차량의 길이 방향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정렬되어 있다.
차량의 길이 방향축에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정렬되어 있는 적용 범위는, 특히 센서의 원뿔형 적용 범위 또는 빔형 적용 범위를 내포하고, 그 중앙의 길이 방향축은 차량의 길이 방향 축의 법선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다. 제 1 적용 범위의 이러한 정렬은 또한 주차 공간의 경계의 정확한 검출에 기여한다.
제 2 적용 범위는 주변 감지 장치에 할당되어 있으며, 이러한 적용 범위가 큰 개구 각도를 가져서 차량의 측면 주변의 더 큰 범위가 감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제 1 적용 범위는 관측 영역의 제 1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제 2 적용 범위는 관측 영역의 제 1 세그먼트, 및 제 1 세그먼트에 인접하거나 제 1 세그먼트와 겹치는 관측 영역의 하나 이상의 추가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제 1 적용 범위는 또한 특히 주변을 감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본 실시형태가 유리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관측 영역의 추가 세그먼트는 관측 영역의 제 1 세그먼트보다 더 큰 개구 각도를 포함한다.
추가로, 제 2 적용 범위는 관측 영역 전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수신 유닛은 2 개 이상의 초점을 포함하고, 관측 영역의 세그먼트 중의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반사된 전자기 복사는 렌즈에 의해 각 초점에 초점이 맞추어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적절하게는, 수신 소자는 관측 영역의 세그먼트에 할당될 수 있는 포착 신호가 생성될 수 있는 방법에 의해 초점에 배치되어 있으며, 관측 영역으로부터 반사된 복사는 수신 다이오드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송신 유닛은, 소정의 상이한 시점에서 전자기 복사 펄스를 관측 영역 중의 각각의 하나의 세그먼트로 송신하는, 2 개 이상의 송신 소자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수신 유닛에서 수신된 반사된 복사는 수신하는 순간에 기초한 관측 영역의 세그먼트에 할당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형태에서, 송신 소자가 복사를 관측 영역의 세그먼트로 송신하는 시점에서 시작하는 시간 간격내에서 수신 유닛에 수신되는 반사된 복사는 관측 영역의 이러한 세그먼트에 할당된다.
바람직하게는, 시간 간격은, 다른 송신 소자가 복사 펄스를 관측 영역의 세그먼트로 송신하는 시점에서 종료된다.
관측 영역의 세그먼트로 수신 신호를 할당하는 것에 기초하여, 포착 신호는 이러한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적용 범위에 적절하게 할당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주변 감시 장치는, 제 2 적용 범위에 배치된 물체가 차량에 대하여 충돌 코스를 취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물체가 차량을 향하여 충돌 코스를 취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 하나 이상의 승객 보호 수단을 활성화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주변 감시 장치는 물체가 차량을 향하여 충돌 코스를 취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 측부 에어백을 가동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주변 감시 장치는 물체가 차량을 향하여 충돌 코스를 취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 가역적(reversible) 승객 보호 수단을 활성화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제 2 적용 범위는 차량의 사각 지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예를 들어 차선 변경시, 운전자가 거의 볼 수 없는 차량의 사각 지대에서 차량의 존재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물체가 사각지대에 검출되는 경우에 주변 감시 장치는 위험 신호를 활성화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포착 신호는 차량과 차량의 측부에 배치된 물체 사이의 거리를 결정할 수 있고, 주차 공간의 경계는 차량과 차량의 측부에 배치된 물체 사이의 거리의 변화에 따라 주차 보조 장치에서 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차량과 차량의 측부에 배치된 물체 사이의 거리가 소정의 다른 영역보다 더 크기 때문에, 이동하는 차량을 측면으로 통과하는 영역이 주차 보조 장치에 의해 주차 공간으로 확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 고유의 특징 및 적절한 개선은 종속항,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차후의 설명으로 알 수 있다.
도 1 은 상이한 적용 범위를 포함하는 측면의 거리 센서를 갖는 차량의 개 략도를 도시한다.
도 1 은 특히 차량 (2) 을 개략도로 도시하는데, 이 차량은 다른 차량 (6, 8) 또는 도면에서 실시예로 도시한 상황에서 그 차량의 측벽부 (10, 12) 에 의해 범위가 정해지는 주차 공간 (4) 에 측면으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다.
차량 (2) 에는, 운전자가 차량 (2) 을 주차 공간 (4) 에 주차하는 것을 도와주는 주차 보조 장치뿐만 아니라, 차량의 측면 주변을 감시하고, 이렇게 함으로써 차량을 향하여 충돌 코스에 있는 물체을 결정하는 주변 감시 장치가 장착된다.
주차 보조 장치 및 주변 감시 장치는, 차량 (2) 의 측부, 예를 들어 전방 또는 후방 휀더의 영역 또는 차량 (2) 의 B-칼럼(column)에 배치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거리 센서 (14) 를 사용한다. 하지만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거리 센서 (14) 는 각각 차량 (2) 의 각각의 양 측부에 배치되어 있다.
거리 센서 (14) 는 광학 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거리 센서는, 소정의 고정 주파수의 전자기 복사 펄스를 관측 영역으로 송신하는 송신 유닛, 및 관측 영역의 물체로부터 반사된 복사를 감지하는 수신 유닛을 포함한다. 반사된 신호의 송신 시간은 물체와 차량 (2) 또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식의 거리 센서 (14) 사이의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리 센서 (14) 의 관측 영역은 여러 개의 세그먼트 (16, 18, 22) 를 포함한다. 중앙 세그먼트 (18) 는 좁은 개구 각도를 가지고, 본질적으로 차량 (2) 의 길이 방향축에 직각으로 정렬되어 있다. 중앙 세그먼트 (18) 는 주차 보조 장치에 의해 주차 공간 (4) 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거리 센서 (14) 의 적용 범위에 대응한다. 좁은 개구 각도를 포함하는 중앙 세그먼트 (18), 및 중앙 세그먼트 (18) 와 겹치고 바람직하게는 큰 개구 각도를 각각 가지는 2 개의 세그먼트 (16, 20) 로 구성된, 거리 센서 (14) 의 전체 관측 영역은 주변 감시 장치에 할당되는 적용 범위에 대응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거리 센서 (14) 는 적외선 센서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 거리 센서의 송신 유닛은 적외선 스펙트럼 영역에서 렌즈를 통해서 전체 관측 영역으로 소정의 고정된 주파수의 빛을 송신하는 펄스화된 작동의 레이저 다이오드이다.
본 발명의 본 실시형태에서 거리 센서 (14) 의 수신 유닛은 여러 개의 수신 소자를 포함하는데, 예컨대 이 수신 소자는 관측 영역의 물체로부터 반사된 빛이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식으로 감지되는 PIN 다이오드이다.
수신 소자는, 각 경우에 관련된 렌즈에 의해 초점에 맞추어진 반사된 빛만을 감지하도록, 렌즈의 초점에 각각 배치된다. 렌즈는, 수신 빔이 생성되는 방식으로 형성되고 배치되며, 전술한 바와 같이 거리 센서 (14) 의 관측 영역의 세그먼트 (16, 18, 20) 에 대응한다.
렌즈 조립체는 바람직하게는 곡선에 배치되는 3 개의 렌즈를 포함한다. 이 곡선의 정점에 렌즈가 배치되고, 관련된 수신 소자에 있어서 좁은 개구 각도를 갖는 수신 빔을 생성한다. 이 수신 빔은 주차 보조 장치에 할당된 적용 범위를 형성하는 거리 센서 (14) 의 관측 영역의 중앙 세그먼트 (18) 에 대응한다. 인 접한 렌즈는 더 큰 개구 각도를 갖는 수신 빔을 형성하고, 이러한 수신 빔은 렌즈 조립체의 전방에서 교차할 수 있다. 교차할 수 있는 수신 빔은 관측 영역의 다른 세그먼트 (16, 18, 20) 에 대응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거리 센서 (14) 는 관측 영역의 중앙 세그먼트 (18) 에 할당되는 수신 빔의 중앙의 길이 방향축이 차량의 길이 방향축에 대하여 직각으로 정렬되도록 특정 방향을 향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여러 개의 송신 소자를 갖는 송신 장치를 포함하는 적외선 센서가 사용되며, 바람직하게는 레이저 다이오드이다.
송신 소자는 적절하게 구성된 각각의 렌즈를 통해서 거리 센서의 관측 영역의 세그먼트 (16, 18, 20) 로 송신한다. 렌즈는 곡선에 배치되어 있고, 이 곡선의 정점에서 렌즈는 관련된 송신 소자의 좁은 송신 빔을 형성하고, 좁은 개구 각도를 갖는 관측 영역, 즉 주차 공간 (4) 을 측정하는데 제공된 적용 범위의 세그먼트 (18) 에 대응한다. 다른 렌즈는 거리 센서 (14) 의 관측 영역의 다른 세그먼트 (16, 20) 에 대응하는 더 큰 개구 각도를 갖는 전송 빔을 형성한다. 레이저 다이오드가 동일한 세기의 빛을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경우에, 더 강한 집속(focusing) 때문에, 곡선의 정점에서 렌즈에 의해 형성된 전송 빔은 다른 렌즈에 의해 형성된 송신 빔에 비하여 더 큰 적용 범위를 가진다.
본 발명의 본 실시형태에서 거리 센서 (14) 가 차량 (2) 에 정렬되어 있어서, 세그먼트 (18) 에 할당된 송신 빔의 중앙의 길이 방향축은 차량 (2) 의 길이 방향축에 대하여 직각으로 정렬되어 있다.
광 펄스를 송신하는데 제공된 송신 소자는 시간으로 오프셋하고, 바람직하게는 계속적인 주기가 우세하며, 송신 소자는 광 펄스를 소정의 연속으로 송신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수신 유닛은, 단일의 수신 소자, 따라서 예컨대 PIN 다이오드를 포함한다. 관측 영역의 물체로부터 반사되고 수신 유닛에 기억된 빛은 송신 소자 중의 하나 또는 수신 시간에 기초한 관측 영역의 세그먼트 중의 하나에 할당될 수 있다.
특히, 제 1 시점에서 제 1 송신 소자는 복사 펄스를 관측 영역의 관련된 제 1 세그먼트 (16, 18, 20) 에 송신하고, 그 시간 간격이 종료된 후, 제 2 송신 소자는 복사 펄스를 관측 영역의 관련된 세그먼트 (16, 18, 20) 로 송신하도록 배치된다. 이 시간 간격 동안 수신 유닛에서 수신되는 소정의 반사된 복사는 관측 영역의 제 1 세그먼트 (16, 18, 20) 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송신 소자에 의한 복사 펄스의 송신과 다른 송신 소자에 의한 복사 펄스의 송신 사이의 시간 간격 동안 수신 유닛에서 수신된 소정의 방사는 관측 영역 등의 제 2 세그먼트 (16, 18, 20) 에 할당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실시형태에서 거리 센서 (14) 는 관측 영역의 물체를 감지하는데 사용되고, 감지된 것을 관측 영역의 세그먼트 (16, 18, 20) 중의 하나에 할당한다. 검출된 물체와 거리 센서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고, 물체가 검출된 세그먼트 (16, 18, 20) 에 할당되는 것으로 물체가 검출될 때, 포착 신호를 발생하는 평가 유닛을 포함한다. 할당은 예컨대 평가 유닛의 대응하는 출구 채널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고, 각각의 출구 채널은 각각의 세그먼트 (16, 18, 20) 를 위해 제공되고, 각 출구 채널을 통해서 세그먼트 (16, 18, 20) 에서 검출된 물체에 대한 포착 신호가 주차 보조 장치 또는 주변 감시 장치에 전송될 수 있다.
크기 및 바람직하게는 차량 (2) 에 대한 주차 공간 (4) 의 위치를 판정하기 위해서, 주차 보조 장치는 거리 센서 (14) 의 관측 영역의 중앙 세그먼트 (18) 에 할당되어 있는 평가 유닛으로부터 포착 신호를 불러들인다.
주차 공간 (4) 이 측정되고, 특히 차량 (2) 에 대한 주차 공간의 상대 위치는 차량 (2) 과 물체 또는 차량 (2) 이 주차 공간 (4) 을 통과하는 동안 주차 공간 (4) 의 범위를 정하는 표면 사이의 측면 거리의 결정에 의해 결정된다. 도 1 에 도시된 예시에서, 주차 공간 (4) 의 범위를 정하는 물체는 각각 다른 차량 (6, 8) 또는 그 차량의 측벽부 (10, 12) 이다.
주차 보조 장치는 다른 차량 (6, 8) 중의 하나의 측면의 곁에서 차량의 정해진 초기 위치에서 - 예컨대, 차량 (2) 이 저속으로 방향 지시등을 활성화할 때 운전자에 의해 수동으로 또는 자동으로 - 활성화된다. 이 경우의 예로서 이러한 위치는 도 1 에서 직각으로 배치된 차량 (6) 의 측면의 곁에 있는 것으로 가정된다.
활성화하는 동안, 고정 좌표계가 정해지고, 좌표계의 원점은 초기 위치에 있는 차량 (2) 의 적절하게 선택된 구분점(plotted point)이다. 구분점은 예컨대 차량의 후방 차축의 중앙일 수 있다.
초기 위치로부터 시작하는 차량이 주차 공간의 방향, 즉 도 1 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면, 차량 (2) 또는 좌표계에서 차량 (2) 의 선택된 구분점의 각 위치가 결정 된다. 차량 (2) 의 위치는 하나 이상의 휠 회전 속도 센서의 신호를 사용하여 결정되고, 그 신호로부터 커버된 거리가 결정될 수 있으며, 조향 각도 센서의 신호를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고, 그에 기초하여 차량의 조향가능한 휠의 조향 잠금의 휠 각도 및 차량 (2) 의 이동 방향이 정해질 수 있다.
게다가, 차량 (2) 이 주차 공간 (4) 을 통과하여 이동할 때, 물체 또는 차량의 교차 방향으로 배치된 표면으로부터의 거리는 거리 센서 (14) 의 평가 유닛에 의해 수신된 포착 신호에 의해 정해진다. 구분점에 대한 물체 또는 표면의 위치는 차량 (2) 의 선택된 구분점에 대한 거리 센서 (14) 의 거리 및 알려진 위치로부터 계산될 수 있다. 고정 좌표계에서 구분점의 각각의 현재 위치가 알려지기 때문에, 좌표계에서 물체 또는 물체 표면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 에서 예로서 도시된 상황에서, 차량 (2) 또는 거리 센서 (14) 는 각각 차량 (6) 의 측면의 곁에 있는 초기 위치로부터 시작하는 주차 공간 (4) 을 통과한다. 먼저, 차량 (6) 의 측벽부 (10) 가 감지되고, 좌표계에서 그 위치가 메모리에 저장된다. 다음으로, 차량 (6) 의 모서리부 (22) 또는 그 위치가 감지되고, 모서리부 (22) 는 거리 센서 (14) 에 의해 검출된 거리가 특히 차량의 측면의 곁에 배치된 물체 또는 표면에 대하여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주차 보조 장치에 할당된 적용 범위의 좁은 개구 각도 때문에, 차량 (6) 의 모서리부 (22) 의 위치는 높은 정확도로 결정될 수 있다.
차량 (2) 및 특히 거리 센서 (14) 가 주차 공간 (4) 을 통과한 후에, 차량 (8) 의 모서리부 (24) 또는 그 위치가 유사한 방식으로 감지되고, 차량 (2) 과 측 면에 배치된 물체 또는 표면 사이의 거리가 급격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다음으로, 차량 (8) 의 측벽부 (12) 는, 주차 공간 (4) 을 통과하는 운행이 차량 (2) 의 단부 위치, 예컨대 차량 (8) 의 측면의 곁에서 종료될 때까지 감지된다.
좌표계에서 주차 공간 (4) 의 위치 및 크기는, 차량 측벽부 (10, 12) 및 특히 모서리부 (22, 24) 의 저장된 위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고, 직선이 결정되는데, 예를 들어 그 직선에 2 개의 차량 전방 단부 (22, 24) 가 배치되고, 그 직선은 주차 공간에 의해 중단된다.
무엇보다도 먼저, 운전자에게 차량 (2) 전체가 주차 공간 (4) 에 주차될 수 있는지를 알리기 위해서, 주차 공간의 길이가 계산되고 차량 (2) 의 길이와 비교될 수 있다.
고정 좌표계에서 차량의 위치가 계산되면, 단부 위치에 있는 차량 (2) 에 대한 주차 공간 (4) 의 위치가 추가적으로 정해질 수 있다. 특히, 경로가 주차 보조 장치에서 그로부터 계산될 수 있고, 그 경로에서 차량 (2) 이 주차 공간 (4) 에 주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차량 (2) 은 이 경로에서 주차 공간에 자동으로 이동될 수 있거나, 계산된 경로에서 주차 공간 (4) 에 자동으로 차량 (2) 을 조향하도록 운전자에게 조향 추천이 주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평가 유닛에서 생성된 모든 포착 신호는 마찬가지로 차량 (2) 에 제공된 주변 감시 장치로 전송되어서, 차량 (2) 을 향하여 충돌 코스를 취하는 물체의 존재에 대하여 거리 센서 (14) 의 관측 영역 전체를 감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중앙 세그먼트 (18) 에 인접하여 배치된 관측 영역의 2 개의 세그먼트 (16, 20) 중 하나는 차량 (2) 의 사각 지대를 포함하여, 차선 변경 또는 방향 전환시, 사각 지대의 차량을 검출할 수 있고, 운전자는 사각 지대의 영역에 다른 차량이 존재하는 경우에 시각적으로 또는 청각적으로 경고받을 수 있다.
그러한 방식으로 사각 지대를 감시하는 것은 차량의 방향 지시등이 운전자에 의해 켜질 때 활성화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거리 센서 (14) 는 방향 지시등이 활성화된 차량 (2) 의 측부에 배치되어 있는 감시 작동에 사용된다. 게다가, 다른 조건으로 차량 속도가 소정의 한계값을 초과하는 감시 작동을 제공해서, 감시 작동은 고속도로에서 차선 변경시에만 실행되고, 고속도로에서 비논리(spurious) 신호 중에서 소수의 다른 신호만이 제공되며, 위험 신호의 비논리 해제를 야기할 수 있다.
추가로, 거리 센서 (14) 는 프리 크래쉬 센서로도 사용되고, 차량 (2) 과 충돌할 물체가 차량의 측면 주변, 특히 차량 (2) 의 매우 근접한 범위에 배치되어 있는지 여부에 대한 포착 신호에 의해 확인되며, 거리 센서에 의해 조기에 충돌이 검출될 수 있다.
거리 센서 (14) 의 포착 신호에 의해 결정된 물체와 차량 (2) 사이의 측면 충돌 직전에, 특히 차량 (2) 의 에어백과 같은 승객 보호 수단이 활성화된다.
게다가, 포착 신호를 차량 (2) 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져 있는 관측 영역의 물체가 차량을 향하여 충돌 코스를 취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데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체의 속도는 반복 거리 측정으로 발견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 (2) 을 향해 물체가 접근하는지의 여부 및 그의 속도가 정해질 수 있다. 관측 영역의 세그먼트 (16, 18, 20) 중 하나에 포착 신호의 할당은 또한 물체가 차량 (2) 에 접근하는 방향으로부터 선택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차량과 물체 사이의 충돌 가능성이 포착 신호에 의해 확인되는 경우에, 가역적 시트 벨트 요구 장치 또는 시트 위치 조절 시스템과 같은 가역적 승객 보호 수단을 활성화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포착 신호 및 특히 물체가 차량에 접근하는 방향 및 속도에 기초하여 충돌 가능성의 중요성을 평가하는 것이 가능하며, 가역적 승객 보호 수단의 해제 단계가 상응하여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7)

  1. 차량의 측부에 배치된 센서를 갖는 차량의 측면 주변을 감지하는 장치로서, 관측 영역으로의 전자기 복사의 송신용 송신 유닛 및 상기 관측 영역의 물체로부터 반사된 전자기 복사의 수신용 수신 유닛을 포함하고, 포착 신호는 반사된 전자기 복사를 수신하자마자 상기 수신 유닛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차량의 측부에 배치된 센서를 갖는 차량의 측면 주변을 감지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관측 영역은 2 개 이상의 적용 범위 ( 18 ; 16, 18, 20) 를 포함하고, 제 1 적용 범위는 실질적으로 상기 차량의 길이 방향축에 대하여 직각으로 향하고 제 1 개구 각도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적용 범위 (16, 18, 20) 는 상기 제 1 개구 각도보다 더 큰 제 2 개구 각도를 포함하며,
    제 1 적용 범위 (18) 에 할당될 수 있는 포착 신호는 주차 보조 장치로 전송되는데 적합하고, 상기 주차 보조 장치는 상기 차량 (2) 이 주차 공간 (4) 을 지나서 주행하는 경우에 상기 주차 공간 (4) 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제 2 적용 범위 (16, 18, 20) 에 할당될 수 있는 포착 신호는 주변 감시 장치로 전송되는데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측면 주변을 감지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적용 범위는 상기 관측 영역의 제 1 세그먼트 (18) 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적용 범위는 상기 관측 영역의 상기 제 1 세그먼트 (18) 및 상기 제 1 세그먼트에 인접하거나 상기 제 1 세그먼트와 겹치는 상기 관측 영역의 하나 이상의 추가 세그먼트 (16 ; 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측면 주변을 감지하는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측 영역의 상기 추가 세그먼트 (16 ; 20) 는 상기 관측 영역의 상기 제 1 세그먼트 (18) 보다 큰 개구 각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측면 주변을 감지하는 장치.
  4.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적용 범위 (16, 18, 20) 는 상기 관측 영역 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측면 주변을 감지하는 장치.
  5.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2 개 이상의 초점을 포함하고, 상기 관측 영역의 상기 세그먼트 (16 ; 18 ; 20) 중의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반사된 전자기 복사는 렌즈에 의해 각각의 초점에서 초점이 맞추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측면 주변을 감지하는 장치.
  6.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신 소자는 각각의 초점에 배치되며, 그 수신 소자에 의해 상기 관측 영역의 상기 세그먼트 (16, 18 ; 20) 에 할당될 수 있고, 그 세그먼트로부터 반사된 복사가 상기 수신 소자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측면 주변을 감지하는 장치.
  7.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전자기 복사 펄스를 소정의 상이한 시점에서 상기 관측 영역 중 하나의 세그먼트 (16 ; 18 ; 20) 로 각각 송신하는 2 개 이상의 송신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측면 주변을 감지하는 장치.
  8.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에서 수신되는 상기 반사된 복사는 수신 시간에 기초한 상기 관측 영역의 세그먼트 (16 ; 18; 20) 에 할당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측면 주변을 감지하는 장치.
  9.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신 소자가 상기 관측 영역의 세그먼트 (16 ; 18 ; 20) 로 복사를 송신하는 시점에서 시작하는 시간 간격내에 수신 유닛에서 수신되는 반사된 복사는, 상기 관측 영역의 세그먼트 (16 ; 18 ; 20) 에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측면 주변을 감지하는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간격은 다른 송신 소자가 상기 관측 영역의 세그먼트 (16 ; 18 ; 20) 에 복사 펄스를 송신하는 시점에서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측면 주변을 감지하는 장치.
  11.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감시 장치는 상기 제 2 적용 범위에 배치된 물체가 상기 차량에 대하여 충돌 코스를 취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물체가 상기 차량을 향하여 충돌 코스를 취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하나 이상의 승객 보호 수단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측면 주변을 감지하는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감시 장치는, 물체가 상기 차량을 향하여 충돌 코스를 취하는 것으로 검출되면, 측부 에어백을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측면 주변을 감지하는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감시 장치는, 물체가 상기 차량을 향하여 충돌 코스를 취하는 것으로 검출되면, 가역적 승객 보호 수단을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측면 주변을 감지하는 장치.
  14.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적용 범위 (16, 18, 20) 는 상기 차량의 사각 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측면 주변을 감지하는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장치는, 물체가 상기 차량의 사각 지대에서 검출되면, 위험 신호를 유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측면 주변을 감지하는 장치.
  16.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착 신호는 상기 차량 (2) 과 상기 차량 (2) 의 측부에 배치된 물체 (6 ; 8) 사이의 거리를 결정할 수 있고, 상기 주차 공간의 경계 (22 ; 24) 는 상기 차량과 상기 차량 (2) 의 측부에 배치된 물체 (6 ; 8) 사이의 거리의 변화에 의해 주차 보조 장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측면 주변을 감지하는 장치.
  17.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2) 과 상기 차량 (2) 의 측부에 배치된 소정의 물체 (6 ; 8) 사이의 거리는 소정의 다른 영역보다 크기 때문에, 이동하는 상기 차량 (2) 을 측면으로 지나는 영역은 상기 주차 보조 장치 주차 공간 (4) 으로 확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측면 주변을 감지하는 장치.
KR1020077007085A 2004-09-28 2005-09-27 주차 공간 측정 및 차량의 주변 감시용 적외선 센서 KR2007006534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4046938 2004-09-28
DE102004046938.5 2004-09-28
DE102005046000.3 2005-09-26
DE102005046000A DE102005046000A1 (de) 2004-09-28 2005-09-26 Vorrichtung zum Erfassen eines seitlichen Umfelds eines Fahrzeug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5343A true KR20070065343A (ko) 2007-06-22

Family

ID=35431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7085A KR20070065343A (ko) 2004-09-28 2005-09-27 주차 공간 측정 및 차량의 주변 감시용 적외선 센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797459B1 (ko)
JP (1) JP2008514907A (ko)
KR (1) KR20070065343A (ko)
DE (1) DE102005046000A1 (ko)
WO (1) WO200603501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1665A (ko) * 2014-12-05 2017-07-12 발레오 샬터 운트 센소렌 게엠베아 물체에 의한 자동차의 센서 장치의 차단을 검출하는 방법, 컴퓨팅 장치, 운전자 보조 시스템 및 자동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43953A1 (de) * 2006-09-14 2008-03-27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Kraftfahrzeug-Radarsystems und Kraftfahrzeug-Radarsystem
DE102007038973A1 (de) * 2007-08-17 2009-02-1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troit Kraftfahrzeug mit einem Umgebungssensor
JP4781394B2 (ja) 2008-05-22 2011-09-28 三菱電機株式会社 駐車支援装置
KR101244605B1 (ko) * 2008-12-02 2013-03-25 주식회사 만도 주차공간 인식 방법 및 그 장치
DE102009045558B4 (de) * 2009-10-12 2021-07-15 pmdtechnologies ag Kamerasystem
DE102009052591A1 (de) * 2009-11-10 2011-05-12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Verfahren zum Erfassen eines Objekts in einem Totwinkelbereich eines Fahrzeugs und Fahrassistenzsystem zur Erfassung eines Objekts in einem Totwinkelbereich eines Fahrzeugs
DE102014223432B4 (de) * 2014-11-17 2022-11-10 Continental Autonomous Mobility Germany GmbH Radarvorrichtung, Fahrzeug und Verfahren
EP3026654A1 (fr) * 2014-11-25 2016-06-01 Gemalto Sa Procédé de gestion d'emplacements de parking sur la voie publiqu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44358C2 (de) 1982-12-01 1984-10-04 Daimler-Benz Ag, 7000 Stuttgart Einrichtung zur Erfassung von Hindernissen als Rangierhilfe beim Einparken oder Wenden eines Kraftfahrzeuges
DE3728948A1 (de) * 1987-08-29 1989-03-09 Bayerische Motoren Werke Ag Einparkhilfsvorrichtung
US6343810B1 (en) 1994-05-23 2002-02-05 Automotive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Side impact airbag system with anticipatory sensor
GB2328819A (en) * 1997-08-30 1999-03-03 Ford Motor Co Antenna cluster for vehicle collision warning system
DE19806150C1 (de) 1998-02-14 1999-09-16 Daimler Chrysler Ag Fahrzeug mit Objekterfassungseinrichtung
DE10114932B4 (de) 2001-03-26 2005-09-15 Daimlerchrysler Ag Dreidimensionale Umfelderfassung
US6814171B2 (en) 2002-08-30 2004-11-09 Motorola, Inc. Automotive drive assistance system and method
EP1467225A1 (de) * 2003-04-10 2004-10-13 IEE International Electronics & Engineering S.A.R.L. Einparkhilfe für ein Fahrzeug
DE10346755B3 (de) 2003-10-06 2005-04-28 Sucker Mueller Hacoba Gmbh Vorrichtung zum Behandeln einer Warenbahn
DE10349755B3 (de) * 2003-10-24 2005-01-27 Adam Opel Ag Sensor an einem Kraftfahrzeu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1665A (ko) * 2014-12-05 2017-07-12 발레오 샬터 운트 센소렌 게엠베아 물체에 의한 자동차의 센서 장치의 차단을 검출하는 방법, 컴퓨팅 장치, 운전자 보조 시스템 및 자동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97459B1 (de) 2013-11-20
JP2008514907A (ja) 2008-05-08
EP1797459A1 (de) 2007-06-20
DE102005046000A1 (de) 2006-05-04
WO2006035019A1 (de) 2006-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65343A (ko) 주차 공간 측정 및 차량의 주변 감시용 적외선 센서
US11410556B2 (en) Vehicle front blind spot detection and warning system
US7893819B2 (en) Method and device for avoiding a collision in a lane change maneuver of a vehicle
US6816084B2 (en) Process and device for detecting and monitoring a number of preceding vehicles
US20190329780A1 (en) Method and Device for Supporting a Lane Change for a Vehicle
KR101864896B1 (ko) 차량 주변의 캡쳐 방법
US20050012603A1 (en) Device for determining the passability of a vehicle
JP4415856B2 (ja) 周囲感知システムによって路上車両の前方周囲を検出するための方法
KR100771276B1 (ko) 차량용 측면 거리감지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 사용되는타이어, 타이어휠 또는 휠커버
CN111746383A (zh) 车辆转向安全控制系统、车辆
CN101031818A (zh) 用于测量停车空位以及监测环境的车辆用红外传感器
KR102390868B1 (ko) 사각지대 감지방법 및 감지장치
US7876204B2 (en) Thermal radiation detector
EP3493178B1 (en) Driver attentiveness detection method and device
EP2083410B1 (en) Vehicle zone detection system and method
KR102440478B1 (ko) 사각지대 감지장치 및 방법
JP6963025B2 (ja) 外部保護機能をトリガするための装置
JP2003534555A (ja) 光学システム
US20050060117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ation of the distance of a sensor device to an object
KR200407699Y1 (ko) 졸음운전방지 및 무단 차선이탈 방지장치
JP3446509B2 (ja) 車両の後側方障害物警報装置
JP2006520890A (ja) 車両周囲の障害物を検出する方法及び装置
JP2986567B2 (ja) 車間距離測定装置
US11822008B2 (en) Motor vehicle having an outer surfa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motor vehicle
JPH09287943A (ja) 距離測定装置及び安全走行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