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4205A - 냉장고의 운전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운전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4205A
KR20070064205A KR1020050124876A KR20050124876A KR20070064205A KR 20070064205 A KR20070064205 A KR 20070064205A KR 1020050124876 A KR1020050124876 A KR 1020050124876A KR 20050124876 A KR20050124876 A KR 20050124876A KR 20070064205 A KR20070064205 A KR 200700642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tray
ice making
fan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4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86075B1 (ko
Inventor
이동훈
정인철
김영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4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6075B1/ko
Priority to US11/554,252 priority patent/US7752859B2/en
Priority to CN200610162401A priority patent/CN100582613C/zh
Priority to EP06125703.6A priority patent/EP1798503B1/en
Publication of KR20070064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42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6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60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25C5/182Ice bins therefor
    • F25C5/187Ice bins therefor with ice level sens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3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movabl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0Special arrangements or features for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22Harvesting ice including rotating or tilting or pivoting of a mould or tray
    • F25C2305/0221Harvesting ice including rotating or tilting or pivoting of a mould or tray rotating ice moul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6Multiple ice moulds or tray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0Refrigerat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600/00Control issues
    • F25C2600/04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1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through special compart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8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ans
    • F25D2317/0681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8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ans
    • F25D2317/0682Two or more f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기를 이용하여 얼음을 얼리는 제빙 장치가 구비된 냉장고의 운전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어 방법은, 냉각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단계; 상기 냉각실 내에 배치된 제빙 트레이에 상기 냉각실의 조건과 관계없이 냉기를 송풍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빙 트레이로의 송풍 속도를 요구에 따라 가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짧은 시간 내에 많은 양의 얼음을 생산할 수 있고, 소비자의 요구에 맞추어 제빙 속도 및 제빙 양을 가변시킬 수 있다.
냉장고, 제빙, 급속 제빙, 급속 냉각, 제빙 트레이, 트레이 팬

Description

냉장고의 운전 제어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refrigerator}
도 1은 일반적인의 제빙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제빙 장치의 작동 모습을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일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빙 장치에서 제빙 트레이가 하나의 제빙실을 가지는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빙 장치에서 제빙 트레이가 나란한 두 개의 제빙실을 가지는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 장치에서 제빙 트레이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제빙 트레이의 하부를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
도 8은 도 6의 제빙 트레이의 저면도;
도 9는 제빙 트레이 내의 물이 상 변화하는 구간에서 종래의 제빙 장치와 본 발명에 따른 제빙 장치의 제빙 트레이 및 냉각실의 온도를 비교하여 보여주는 그래프;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운전 제어 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플로 차트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 냉각팬: 100: 제빙 장치
110: 제빙 트레이 111: 냉각핀
115: 유로 120: 급수부
130: 구동부 131: 구동축
150: 히터 200: 트레이 팬
300: 아이스 뱅크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기를 이용하여 얼음을 얼리는 제빙 장치가 구비된 냉장고의 운전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냉장고는 냉동실과 냉장실로 구분되고, 상기 냉장실은 음식물과 야채를 신선하고 오래 보관할 수 있도록 대략 3~4℃ 온도로 유지되고, 상기 냉동실은 육고기와 음식물 등을 얼린 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영하의 온도로 유지된다.
최근 냉장고에는 사용자의 별다른 조작없이 제빙에 관한 일련의 과정들을 자동적으로 수행하여 편리하게 얼음을 얻을 수 있게 하는 제빙 장치와, 얼음 또는 물을 냉장고 외부에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디스펜서(dispenser) 등 사용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능들이 냉장고에 부가되고 있다. 도 1과 도 2에는 일반적인 냉장고용 제빙 장치의 일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하에서는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제빙 장치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일반적인 제빙 장치(10)는, 얼음이 생성되는 제빙실을 형성하는 제빙 트레이(11), 상기 제빙 트레이(11)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빙실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12), 상기 제빙 트레이(11)의 하면에 장착된 히터(17), 상기 제빙 트레이(11)에서 생성된 얼음을 외부로 취출하기 위한 이젝터(ejector)(14), 상기 이젝터(14)를 구동하는 구동 장치(13), 상기 제빙 트레이(11)에서 생성된 얼음을 받아 저장하는 아이스 뱅크(ice bank)(20), 그리고 상기 아이스 뱅크(20)에 채워진 얼음의 양을 감지하는 만빙 감지 장치(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급수부(12)는 냉장고 외부의 급수원(미도시)에 연결되고, 상기 제빙이 요구되면 상기 제빙 트레이(11) 내로 물을 공급한다. 상기 제빙 트레이(11)는 대략 반원통형 단면을 가지며, 그 내면에는 상기 제빙 트레이(110)에서 일정 크기의 얼음이 여러 개 생성될 수 있도록 상기 제빙실을 여러 개의 단위실로 분리하는 구획판들을 가진다.
상기 히터(17)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빙 트레이(11)의 하면에 장착되며, 상기 제빙 트레이(11)를 가열하여 상기 얼음을 녹여줌으로써 상기 얼음을 상기 제빙 트레이(11)로부터 분리시켜준다.
상기 이젝터(14)는 상기 제빙 트레이(11)의 중앙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서 수직하게 돌출된 다수의 이젝터 핀(14a)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각 이젝터 핀(14a)은 상기 구획판들에 의해 구획된 각 단위실에 일대 일 대응되게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이젝터 핀(14a)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각 단위실 내의 얼음이 상기 제빙 트레이(11)로부터 배출된다.
상기 제빙 트레이(11)에서 얼음이 취출되는 쪽에는 상기 이젝터(14)의 회전축 근처까지 슬라이드(16)가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빙 트레이(11)로부터 배출된 얼음은 상기 슬라이드(16)를 타고 미끄러진 후 상기 제빙 장치(10)의 아래에 배치된 아이스 뱅크(20)에 저장된다.
상기, 만빙 감지 장치(15)는 상기 구동 장치(13)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상기 아이스 뱅크(20)에 채워진 얼음의 양을 확인한다. 만약, 상기 아이스 뱅크(20)가 얼음으로 가득 차면, 상기 만빙 감지 장치(15)는 충분히 하강하지 못하며, 이에 의해 상기 아이스 뱅크(20)의 만빙 여부가 감지된다.
상술한 일반적인 냉장고용 제빙 장치는 냉각실을 냉각시키기 위해 상기 냉각실에 공급되는 냉기에만 의존하여 제빙 트레이 내의 물을 얼린다. 따라서, 냉각실의 온도가 내려가 상기 냉각실로의 냉기 공급이 중단되면 상기 제빙 트레이의 제빙 속도는 저하된다. 이에 의해 일일 제빙 능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단시간 내에 많은 양의 얼음을 필요로 하는 경우 요구에 부응하기 어려운 문제도 있다.
더불어, 일반적인 냉장고용 제빙 장치에서는 상기 아이스 뱅크의 만빙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만빙 감지 장치가 회전하여야 하였다. 따라서, 상기 제빙 트레이 옆에 상기 만빙 감지 장치의 회전을 위한 넓은 공간이 확보되어야 했기 때문에 상 기 제빙 트레이의 크기는 상대적으로 작게 설계될 수밖에 없었으며, 이에 의해 짧은 시간 내에 많은 양의 얼음을 생산하는 것이 어려웠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짧은 시간 내에 많은 양의 얼음을 생산할 수 있도록 제빙 장치의 구조 및 제빙 방법을 개선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요구에 부응하는 제빙 속도 및 양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제빙 장치의 구조 및 제빙 방법을 개선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는, 냉각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단계; 상기 냉각실 내에 배치된 제빙 트레이에 상기 냉각실의 조건과 관계없이 냉기를 송풍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빙 트레이로의 송풍 속도를 요구에 따라 가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냉장고의 운전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냉장고의 운전 제어 방법은, 상기 제빙 트레이로 송풍된 냉기를 상기 제빙 트레이의 외면에 고르게 분포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냉장고의 운전 제어 방법은, 요구되는 제빙 속도 또는 얼음 양에 따라 상기 냉각실로의 송풍 속도를 가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냉장고의 운전 제어 방법은, 요구되는 제빙 속도 또는 얼음 양에 따라 단위 시간당 압축기의 운전 시간을 가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빙 트레이로의 송풍은 상기 냉장고가 가동되는 동안 지속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빙 트레이 내의 얼음을 배출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제빙 트레이로의 송풍 속도는 낮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형태에서는, 냉각실에 냉기를 송풍하는 냉각팬을 회전시키는 단계; 상기 냉각실 내에 배치된 제빙 트레이에 냉기를 송풍하는 트레이 팬을 연속적으로 회전시키는 단계; 그리고 상기 트레이 팬의 회전 속도를 가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냉장고의 운전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트레이 팬은 상기 제빙 트레이의 바닥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냉각팬은 상기 냉각실의 조건에 따라 단속적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트레이 팬은 상기 냉각실의 조건에 관계없이 상기 냉장고가 가동되는 동안 지속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트레이 팬의 회전 속도는 요구에 따라 가변 될 수 있다. 상기 제빙 트레이 내의 얼음을 배출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트레이 팬의 회전 속도는 낮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의 운전 제어 방법은, 요구에 따라 상기 냉각팬의 회전 속도를 가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냉장고의 운전 제어 방법은, 요구에 따라 상기 냉장고의 압축기의 단위 시간당 운전 시간을 가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냉장고의 운전 제어 방법.
상기 냉장고의 운전 제어 방법은, 급속 제빙이 요구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급속 제빙이 요구되지 않으면, 제빙 및 이빙 과정 동안 상기 트레이 팬을 저속으로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급속 제빙이 요구되면, 상기 트레이 팬을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냉장고의 압축기를 단속적으로 운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반면, 급속 제빙이 요구되면, 상기 냉장고의 압축기를 연속적으로 운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급속 제빙이 요구되면, 상기 냉각팬과 상기 트레이 팬을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질 수 있다. 다르게는, 급속 제빙이 요구되면, 상기 냉각팬은 고속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트레이 팬은 저속으로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냉장고의 운전 제어 방법은, 상기 얼음의 배출 행정 동안 상기 트레이 팬을 저속으로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냉장고의 운전 제어 방법은, 상기 제빙 트레이를 회전시켜 상기 제빙 트레이 내의 얼음을 배출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상기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적어도 하나의 냉각실, 예를 들어 냉장실(1)과 냉동실(2)을 가진다. 상기 냉각실들은 증발기(4), 압축기(3), 그리고 상기 증발기(4) 주변의 냉기를 상 기 냉각실들에 공급하는 냉각팬(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냉각실들은 하나의 증발기(4)와 하나의 냉각팬(5)에 의해 냉각되거나, 다수의 증발기와 냉각팬에 의해 각각 독립적으로 냉각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2)에는, 얼음을 만들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빙 장치(100)가 제공되며, 상기 제빙 장치(100)의 아래에는 상기 제빙 장치(100)에서 만들어진 얼음을 받아 저장하는 아이스 뱅크(300)가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빙 장치(100)는 일반적인 제빙 장치와는 달리 제빙 트레이가 회전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얼음의 자중을 이빙 시에 이용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얼음을 상기 제빙 트레이로부터 분리하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줄일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제빙 장치(100)에는 또한 상기 얼음과 제빙 트레이의 경계에 열 에너지를 가하여 상기 제빙 트레이의 회전 시 얼음의 배출을 효과적으로 도울 수 있도록 열원이 제공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을 받아 얼음을 생산하는 제빙실은 예를 들어 상부가 개방된 반 원통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제빙실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제빙 트레이(110a)에 하나가 구비될 수도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제빙 트레이(110b)에 두 개가 나란히 배치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제빙실은 상기 제빙 트레이에 여러 개가 구비될 수도 있고, 반 원통 형상이 아닌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빙 장치(100)에는 큰 회전 반경을 요구하는 종래의 만빙 감지 장치와 같은 구성 요소들이 없다. 따라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빙 장치(100)의 제빙 트레이(110a, 110b, 이하 110으로 통칭)는 그 폭을 종래보다 훨씬 크게 할 수 있으므로 다수의 제빙실을 나란히 배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한번에 많은 양의 얼음을 생산할 수 있다.
상기 제빙실은 상기 제빙 트레이(110)의 내주면에서 돌출된 다수의 구획판들에 의해 다수의 단위실로 나뉘어지며, 이에 따라 상기 제빙 트레이(110)는 한번에 여러 개의 얼음 조각을 만들 수 있다. 상기 제빙 트레이(110)의 회전 시 상기 얼음이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각 구획판들은 예를 들어 상기 제빙 트레이(110)의 회전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종래의 제빙 트레이는 이젝터에 의해 배출된 얼음을 제빙 장치 아래에 배치된 아이스 뱅크로 안내하기 위한 슬라이드가 필요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제빙 장치(100)는 상기 제빙 트레이(110)를 회전시켜 상기 제빙 트레이(110) 내의 얼음을 상기 아이스 뱅크(300)로 배출한다. 따라서, 상기 제빙 트레이(110)에는 종래의 슬라이드에 대응하는 구성요소가 제공되지 않아도 무방하므로 제빙 트레이(110)의 구조가 단순하다.
상기 제빙 트레이(110)의 일측에는 상기 제빙실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부(120)가 구비된다. 상기 급수부(120)는 외부의 급수원과 연결되며, 상기 제빙 트레이(110) 내의 얼음이 이빙된 상태에서 제빙이 요구될 때 상기 제빙실에 소정 량의 물을 공급한다.
상기 제빙 트레이(110)는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중심에 배치된 구동축(13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상기 제빙 트레이(110)의 한쪽 변에 배치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빙 트레이(110)의 축이 상기 제빙 트레이(110)의 한쪽 변에 배치된 경우에는 제빙 트레이(110)의 회전 반경이 커지게 된다.
상기 제빙 트레이(110)의 회전을 위해, 상기 제빙 트레이(110)의 일측에는 구동 장치(130)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 장치(130) 내에는 상기 구동축(131)과 연결된 모터(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 장치(130)는 상기 제빙 트레이(110)를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일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빙 트레이(1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빙 트레이(110)에 장착될 수 있는 부품들과 상기 구동 장치(130)를 연결하는 배선이 꼬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구동 장치(130)의 모터는 정/역회전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 장치(130)는 상기 제빙 트레이(110)를 소정의 각도씩, 예를 들어 180°또는 90°씩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 스텝 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빙 트레이(110)는 상기 구동 장치(130)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러면, 다양한 형상과 제빙 용량을 가진 제빙 트레이를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기호를 충족시켜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1회 제빙 량을 적절히 조정할 수도 있다.
위에서 간단히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빙 장치(100)는 이빙을 돕기 위해 상기 얼음과 상기 제빙 트레이(110)의 경계에 열 에너지를 공급하는 히 터(1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히터(150)는 상기 제빙 트레이(110)에 물리적으로 접촉되도록 장착되거나, 상기 제빙 트레이(110)로부터 소정 간격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참고로, 도 4 내지 도 8에는 상기 히터(150)가 상기 제빙 트레이(110)의 바닥면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다른 예로, 상기 히터(150)는 상기 제빙 트레이(110)의 일면, 예를 들면 바닥면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상기 히터(150b)는 전도성 폴리머(conductive polymer), 판 히터(plate heater with positive thermal coefficient), 알루미늄 박막 필름(AL thin film) 및 그외 열 전달 가능한 물질 등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히터(150)는 상기 제빙 트레이(110) 내에 내장되거나, 상기 제빙 트레이(110)의 내면에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나아가, 상기 제빙 트레이(110)의 적어도 일부가 전기가 인가되었을 때 발열 가능한 저항체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히터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제빙 장치(100)에는 상기 제빙 트레이(110)로부터 떨어지게 배치된, 히터와는 다른, 열원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열원의 예로는, 상기 얼음과 상기 제빙 트레이(110) 중 적어도 하나에 빛을 조사하는 광원이나, 상기 얼음과 상기 제빙 트레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는 마그네트론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이 히터, 광원, 또는 마그네트론과 같은 열원은 상기 얼음과 상기 제빙 트레이(1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경계에 직접 열 에너지를 가하여 상기 얼음과 상기 제빙 트레이(110)의 경계면의 적어도 일부를 살짝 녹여준다. 이에 따라, 상기 제빙 트레이(110)가 회전하였을 때 상기 얼음은 비록 경계면이 모두 해빙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자중에 의해 상기 제빙 트레이(110)로부터 분리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제빙 장치보다 적은 양의 에너지를 투입하고도 이빙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물론, 해빙되는 양이 적으므로 이빙 시 물이 적게 생성되고 이에 의해 이빙 시 제빙 트레이(110)로부터 상기 아이스 뱅크(300)로 물이 떨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열원이 상기 제빙 트레이(110)를 가열하도록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빙 트레이(110)는 서서히 가열되면서 상기 얼음과의 경계면을 녹이게 된다. 그런데, 상기 경계면 중 열원과 인접한 부분은 빨리 그리고 많이 녹는 반면, 상기 열원과 떨어진 부분은 늦게 그리고 적게 녹는다. 따라서, 상기 제빙 트레이(110)를 반전시켜 상기 얼음의 자중을 이용하여 이빙하더라도 상기 경계면에 국부적으로 과도한 해빙이 발생하는 것을 완전히 방지하기는 어렵다.
그러므로, 얼음이 필요 이상 과도하게 녹아서 상기 제빙 트레이(110)의 회전 시 물이 떨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얼음과 상기 제빙 트레이(110)의 경계면에 공급되는 열 에너지의 공급 방법 및 시간 등을 적절히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빙 트레이(110)와 얼음의 경계에 짧은 시간에 높은 에너지를 가할 것을 제안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빙 트레이(110)를 가 열하는 히터(150)에 순간적으로 높은 전압을 인가하면, 상기 히터(150)는 순간적으로 고온으로 발열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제빙 트레이(110) 또한 순간적으로 가열되면서, 상기 얼음과 상기 제빙 트레이의 경계면을 적어도 일부 녹이게 된다. 이때, 상기 제빙 트레이(110)가 이미 회전한 상태이거나 회전한다면, 상기 경계면이 국부적으로 과도하게 해빙되기 전에 상기 얼음이 자중에 의해 상기 제빙 트레이(110)로부터 분리된다. 따라서, 얼음의 과도한 해빙에 의해 제빙 트레이(110)의 회전 시 물이 떨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얼음과 상기 제빙 트레이(110)의 경계면에 짧은 시간에 높은 열 에너지를 가하게 되면,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얼음의 자중을 이용한 이빙에 필요한 최소한의 해빙 량으로 상기 얼음을 상기 제빙 트레이(11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열 에너지의 공급 시간을 적절히 제한하지 않으면 상기 얼음이 배출된 다음에도 제빙 트레이(110)가 필요 이상 가열되어 전력의 과다한 소비 및 열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열 에너지의 공급 시간은, 상기 얼음의 자중에 의한 힘이 상기 제빙 트레이의 결속력을 초과할 때까지로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말로 하면, 상기 얼음과 제빙 트레이(110)의 경계면이 전부 녹지 않더라도 상기 얼음이 자중에 의해 강제로 분리될 때까지로 상기 열 에너지의 공급 시간을 제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실험적으로 얻은 최적의 열 에너지 공급 시간 동안 상기 열원이 상기 열 에너지를 공급하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제빙 트레이(110)의 무게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열 에너지의 공급 시간을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얼음과 상기 제빙 트레이(110)의 경계에 짧은 시간에 높은 열 에너지를 가하는 시간을 제어하게 되면, 얼음의 자중에 의한 분리에 필요한 최소한의 해빙 량을 얻을 수 있으므로 과도한 해빙에 의한 제빙 트레이(110)의 회전 시의 낙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열 손실 및 전력의 낭비 또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빙 장치(100)는 상기 제빙 트레이(110)가 회전하면서 상기 아이스 뱅크(300)의 만빙 여부를 감지한다. 좀더 상세하게는, 상기 제빙 트레이(110)가 상기 아이스 뱅크(300) 내의 얼음의 방해 없이 원활히 회전하면 상기 아이스 뱅크(300)는 만빙 상태가 아니고, 상기 아이스 뱅크(300) 내의 얼음에 의해 제빙 트레이(110)가 회전하지 못하면 상기 아이스 뱅크(300)는 만빙 상태라고 감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예를 들면, 회전 가능한 제빙 트레이(110)에 마그네트를 설치하고, 다른 부품, 예를 들어 상기 구동 장치(130) 내의 상기 고정 플레이트(230)에 상기 마그네트와 대응하도록 홀 센서를 설치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빙 트레이(110)가 회전함에 따라 홀 센서와 마그네트 사이의 상대 위치가 변화하고 이에 따라 상기 홀 센서에서 출력되는 전압의 세기를 근거로 상기 아이스 뱅크(300)의 만빙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상기 아이스 뱅크(300)에 얼음이 가득 찼을 때는 상기 제빙 트레이(110)가 이빙을 위해 정방향으로 또는 이빙 후 원위치로의 복귀를 위해 회전할 수 없다. 그러면, 상기 제빙 트레이(110)는 회전을 중지하게 되고, 이 에 따라 상기 마그네트의 자력은 상기 홀 센서에 작용하지 않으므로 상기 홀 센서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근거로 상기 아이스 뱅크(300)의 만빙을 감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빙 완료 여부는 제빙 시간을 통해 또는 상기 제빙 트레이(110)의 온도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예를 들어, 급수 후 소정 시간이 경과 하면 제빙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거나, 상기 제빙 트레이(110)에 장착된 온도 센서(미도시)에서 측정된 온도가 소정 온도 이하, 예를 들면 대략 -9℃ 정도 이하이면 제빙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함으로써 제빙 완료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제빙 장치는 냉각팬(5)에 의해 냉동실(2)로 송풍된 냉기만을 이용하여 얼음을 만든다. 따라서, 상기 냉동실(2)의 온도가 높아 상기 냉각팬(5)이 정지한 상태에서는 상기 제빙 트레이(110)의 냉각 속도가 저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냉동실(2) 내의 조건 변화에 따른 제빙 속도의 저하를 최소화하고 제빙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해결책을 제시한다. 도 6 내지 도 8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빙 트레이(110)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하에서는 이를 참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빙 트레이(110)는 한번에 많은 양의 얼음을 생산할 수 있도록 나란하게 배치된 다수의 제빙실을 가지며, 각 제빙실은 다수의 구획판들에 의해 다수의 단위실들로 나뉘어진다. 상기 각 구획판들에는 인접한 단위실들을 서로 연통시키는 절개부 또는 개구부가 형성되므로, 상기 급수부(120)에 의해 어느 하나의 단위실에 물이 공급되면 그 물은 모든 단위실에 고르게 공급된 다.
본 발명에 따른 제빙 장치(100)에는 상기 냉동실(2)을 냉각시키는 냉각팬(5)과는 별도로 기 제빙 트레이(110) 주변에 배치되어 상기 제빙 트레이(110) 주변의 공기를 상기 제빙 트레이(110)의 표면으로 유동시키는 트레이 팬(200)이 구비된다. 상기 트레이 팬(200)은 예를 들어 상기 냉동실(2) 내의 조건 및 상기 냉각팬(5)의 운전에 관계없이 냉장고가 가동되는 동안 상기 제빙 트레이(110)에 주변 공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해주면서 상기 제빙 트레이(110)를 계속 냉각시킨다.
이러한 트레이 팬(2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하는 다수의 블레이드(210) 및 상기 블레이드(210)들을 감싸는 쉬라우드(220)를 포함하는 매우 간단한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트레이 팬(200)은 예를 들어 상기 제빙 트레이(110)의 표면, 특히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바닥면에 장착된다. 그러면, 상기 제빙 트레이(110)와 상기 트레이 팬(200)을 하나의 어셈블리로 제작할 수 있으므로 구조가 단순해지고 조립 생산성이 향상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트레이 팬(200)이 상기 제빙 트레이(110) 팬에 냉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므로 종래보다 제빙 속도가 향상되며, 이에 의해 단위 시간당 제빙 능력 및 일일 제빙 능력이 월등히 향상된다. 본 발명은 이에 그치지 않고, 제빙 속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를 제시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빙 트레이(110)의 표면에는 상기 트레이 팬(200)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를 상기 제빙 트레이(110)의 표면 곳곳으로 안내하기 위한 다수의 유로(115)들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트레이 팬(200)에 의해 송풍된 냉기는 상기 유로(115)들에 의해 상기 제빙 트레이(110)의 표면에 고르게 퍼뜨려지며, 이에 의해 상기 트레이 팬(200)의 냉각 속도가 더욱 향상된다.
상기 다수의 유로(115)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레이 팬(200)에서부터 상기 제빙 트레이(110)의 가장 자리를 향해 방사상으로 배열되며, 이들 유로(115)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공기의 유동 경로를 길게 하기 위해 절곡될 수 있다. 위와 같이 다수의 유로(115)가 상기 제빙 트레이(110)의 표면에 형성되면, 상기 트레이 팬(200)에 의해 상기 제빙 트레이(110)의 표면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송풍된 냉기는, 상기 유로(115)들에 의해 상기 제빙 트레이(110)의 표면에 실질적으로 수평하게 유동하면서 상기 제빙 트레이(110)를 고르게 냉각시키게 된다.
상기 제빙 트레이(110)의 주변 공기와의 열 교환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제빙 트레이(110)의 표면에는 다수의 냉각핀(111)들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냉각핀(111)들은 상기 유로(115)들과는 독립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겠으나, 구조를 단순화하고 열교환 효율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냉각핀(111)들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핀들이 상기 유로(115)를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냉각핀(111)들은 상기 트레이 팬(200)으로부터 상기 제빙 트레이(110)의 가장 자리까지 연장되게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일부 핀들은 상기 유로(115)를 길게 형성하기 위해 절곡된 구조를 가진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냉각실 조건에 따라 상기 냉각팬(5)이 상기 냉각실에 냉기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것과는 별도로, 상기 트레이 팬(200)이 상기 냉각실에 배치된 제빙 트레이(110)에 상기 냉각실의 조건에 관계없 이 냉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하고, 상기 냉각핀(111)가 유로(115)가 상기 트레이 팬(200)에 의해 이동하는 공기를 상기 제빙 트레이(110)의 표면에 고르게 퍼뜨려 주므로 제빙 속도가 월등히 향상된다. 이는 도 9의 비교 그래프를 보면 쉽게 알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이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다.
도 9는 제빙 트레이 내의 물이 상 변화하는 구간에서 종래의 제빙 장치와 본 발명에 따른 제빙 장치의 제빙 트레이 및 냉각실의 온도를 비교하여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종래의 제빙 장치에서 냉각팬은 단속적으로 운전되므로 종래 냉각실의 온도(b)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빙 트레이 내의 물이 상 변화하면서 어는 동안 주기적으로 하강과 상승을 거듭한다. 따라서, 상기 제빙 트레이 내의 물이 상 변화하면서 완전히 얼기까지 제빙 트레이의 온도(a)는 상기 냉각실의 온도(b)와 함께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면서 긴 시간(T2) 동안 서서히 하강한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제빙 장치(100)에서, 상기 트레이 팬(200)은 상기 냉각실의 조건 및 상기 냉각팬(5)의 운전과 관계없이 상기 제빙 트레이(110)를 향해 지속적으로 송풍한다. 따라서, 상기 제빙 트레이(110)의 온도(A)는 상기 냉각실의 온도(B)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으면서 짧은 시간(T1) 동안 급격히 하강한다.
위의 그래프가 보여주듯, 본 발명에 따르면, 제빙 트레이(110)의 열 교환 능력을 월등히 향상시키게 되므로 제빙 속도 및 능력이 동반하여 종래 보다 3배 이상 향상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빙 장치(100)는, 제빙 속도 및 능력의 향상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요구에 부응하여 제빙 속도 및 제빙 양 등을 가변할 수 있는 해결책도 제시해 준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팬(200)은 요구에 따라 그 회전 속도가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이를 이용한 냉장고의 운전 제어 방법을 함께 제공한다. 도 10에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운전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플로차트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하에서는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운전 제어 방법에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 3의 냉각팬(5)은 냉각실의 조건에 따라 단속적으로 운전되면서 상기 냉각실에 냉기를 공급한다. 반면, 상기 트레이 팬(200)은 상기 냉각실의 조건과 관계없이 그리고 상기 냉각팬(5)의 운전에 관계없이 항상 회전하면서 상기 냉각실 내의 상기 제빙 트레이(110)에 냉기를 송풍한다. (S 111) 여기서, 상기 트레이 팬(200)은 기본적으로 저속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제빙 트레이(110)로부터 송풍된 냉기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냉각핀(111)들과 상기 유로(115)에 의해 상기 제빙 트레이(110)의 외면에 고르게 분포된다.
제빙 요구가 없어 제빙 장치(100)가 꺼져 있으면 제빙 과정이 수행되지 않으나, 제빙 요구가 있어 제빙 장치(100)가 켜지면 상기 제빙 과정이 시작된다. (S 113) 제빙 과정이 시작되면 제어부는 소비자에 의해 냉장고의 외면에 별도로 구비된 급속 모드 버튼이 눌려졌는가를 판단한다. (S 115) 이 판단 결과에 따라 트레이 팬(200)의 회전 속도를 가변시키며, 필요한 경우 상기 냉각팬(5)의 회전 속도 및 상기 압축기(3)의 운전율, 즉 단위 시간당 압축기의 운전 시간도 가변시키면서 급 속 모드 또는 일반 모드를 선택적으로 진행한다.
상기 급속 모드는, 소비자의 요구가 있을 때, 냉동실에 저장된 식품을 급속하게 냉각시키거나, 제빙 속도 및 제빙 량을 늘리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상기 급속 모드 버튼이 눌려지면 상기 급속 모드가 진행되고, 상기 급속 모드 버튼이 눌려지지 않으면 일반 모드가 진행된다.
한편, 상기 냉장고의 운전 모드는 예를 들어 상기 급속 모드와 일반 모드를 포함하는 3단계 모드 또는 4 단계 모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운전 모드가 3단계 모드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급속 모드는, 냉각실 내의 식품을 급속하게 냉각시키기 위한 급속 냉동 모드(S 147), 그리고 제빙 속도 및 양을 급속히 증가시키기 위한 제1 급속 제빙 모드(S 1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운전 모드가 4단계 모드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급속 모드는 제빙 속도 및 양을 약간 증가시키기 위한 제2 급속 제빙 모드(S 1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급속 모드 버튼은 상기 각 모드에 상응하는 버튼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소비자는 자신이 필요로하는 운전 특성을 고려하여 상기 급속 냉각 버튼을 조작하여 자신이 원하는 냉동 속도, 제빙 속도 및 제빙 량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 모드 별로 상기 제빙 트레이(110), 냉각팬(5), 그리고 압축기(3)가 어떻게 제어되는 지에 대해 도 10을 참조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급속 모드 버튼들 중 어느 것도 눌려지지 않으면, 상기 냉장고는 일반 모드를 진행한다. 일반 모드로 제빙 작업이 시작되면, 상기 급수부(120)는 상기 제빙 트레이(110)의 제빙실에 물을 공급한다. (S 121) 물의 공급이 완료되면, 상기 제빙 트레이(110) 내의 물은 상기 냉각실 내의 냉기에 소정 시간 이상 노출되어 얼게 된다. (S 123) 제빙 시 상기 트레이 팬(200)은 저속으로 계속 회전하며, 상기 냉각팬(5)은 상기 냉동실(2)의 조건에 따라 단속 운전된다. 이와 함께 상기 압축기(3)는 60% 정도의 운전율을 가지도록 단속 운전된다.
상기 제빙 트레이(110)의 온도가 소정 온도 이하로 내려가거나, 급수한 후 소정 시간이 지난 다음에는 제빙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고(S 125) 이빙을 위한 과정을 시작하나, 그렇지 않으면, 제빙이 계속된다. 제빙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면, 이빙을 위해 상기 트레이 팬(200)은 저속으로 회전한다. (S 131) 그런 다음, 상기 제빙 트레이(110)를 회전시킨다. (S 133)
상기 제빙 트레이(110)는 회전하면서, 위에서 설명된 방법으로 상기 아이스 뱅크(300)의 만빙 여부를 감지한다. (S 135) 만약, 아이스 뱅크(300)가 만빙이면 상기 제빙 트레이(110)는 역회전하여 최초 위치로 복귀하고, 만빙이 아니라면, 이빙 위치까지 회전한다. 그리고, 얼음의 자중을 이용한 분리에 필요한 최소한의 해빙 량을 얻기 위해 상기 얼음과 상기 제빙 트레이(110)의 경계에 짧은 시간에 높은 열 에너지를 공급하여 얼음을 이빙한다. (S 137) 이때, 상기 열원의 열 에너지 공급 시간은, 과도한 해빙에 의해 상기 제빙 트레이(110)로부터 낙수가 발생하기 전까지로 제한된다. 제빙이 완료되더라도, 상기 얼음은 이빙에 필요한 최소량만 해동됐기 때문에 상기 제빙 트레이(110) 내의 물은 표면 장력에 의해 상기 제빙 트레이(110)로부터 떨어지지 않는다.
상기 제빙 트레이(110)로부터 분리된 얼음은 상기 아이스 뱅크(300)에 저장 되고, 이빙이 완료되면, 상기 제빙 트레이(110)는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최초 위치로 복귀한다. (S 137) 만약, 제빙 장치(100)가 꺼져 있으면 켜질 때까지 제빙 작업을 중단하고, 제빙 장치(100)가 켜지면 위의 과정을 반복한다.
한편, 위와는 달리 이빙 후 상기 제빙 트레이(110)가 복귀할 때 상기 아이스 뱅크(300)가 만빙 여부를 감지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아이스 뱅크(300)가 만빙이 아니면 제빙 트레이(110)가 제자리로 복귀되나, 상기 제빙 장치(100)가 꺼지지 않고 제빙 요구가 계속 있다면 상기 제빙 장치(100)는 소정 시간 동안 대기한다. 소정 시간 대기한 다음 다시 상기 제빙 트레이(110)를 회전시켜 만빙 여부를 감지하고, 그 결과에 따라 위의 과정들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급속 모드 버튼이 눌린 경우, 상기 압축기(3)의 운전율을 높일 것인지, 예를 들어 상기 압축기(3)를 연속 운전할지를 판단한다. 급속 냉동 모드(S 147)가 선택된 경우, 상기 압축기(3)를 연속하여 운전하면서 상기 냉각팬(5)을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반면 상기 트레이 팬(200)은 저속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상기 냉동실(2)의 냉기가 상기 제빙 트레이(110)에 공급되어 얼음을 얼리는데 사용되기보다는 상기 냉동실(2) 내의 식품을 냉각하는데 더 많이 사용된다. 이 모드는, 냉동실(2) 내의 식품을 신속하게 냉동시킬 때 유용하다.
제1 급속 제빙 모드(S 145)가 선택된 경우, 상기 압축기(3)를 연속적으로 운전하면서 상기 냉각팬(5)과 상기 트레이 팬(200)을 함께 고속으로 운전한다. 그러면, 상기 냉각실도 신속하게 냉각될 뿐만 아니라 상기 제빙 트레이(110) 내의 물도 급속하게 냉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모드는 상당히 많은 양의 얼음이 신속히 요구될 때 유용하다.
제2 급속 제빙 모드(S 145)가 선택된 경우, 상기 압축기(3)를 일반 모드에서와 같이 단속 운전하면서 냉각팬(5)을 저속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트레이 팬(200)을 고속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기 제빙 트레이(110) 내의 물이 신속이 냉각된다. 이러한 모드는 냉동실(2) 내의 식품을 급속하게 냉각시킬 필요는 없으나 약간 많은 양의 얼음이 요구될 때 유용하다.
위와 같이 급속 모드가 선택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상기 압축기(3)의 운전율과 상기 냉각팬(5) 및 상기 트레이 팬(200)의 회전 속도를 적절하게 가변시키면서 소비자가 원하는 형태의 급속 냉각 서비스를 제공해준다. 급속 모드가 선택되고 압축기(3), 냉각팬(5), 그리고 트레이 팬(200)의 제어 형태가 결정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 제빙, 만빙 감지 및 이빙 등의 과정을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행하게 된다.
상기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예를 들어, 위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방법이 제빙 방법을 일예로하여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방법은 제빙 방법에 국한되지 않고 식품이나 다른 대상물이 저장된 용기를 급속이 냉각하는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실에 식품과 같은 대상물을 저장할 수 있는 용기를 배치하고, 상기 용기에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팬을 장착하면, 제빙 용도가 아닌 급속 냉각 용도로도 충분히 활용될 수 있는 것이다.
다른 예로, 위에서는 이빙 시 상기 트레이 팬이 저속으로 회전하는 예가 설명되었으나, 이빙 시 상기 트레이 팬의 속도가 변화하지 않거나 트레이 팬이 정지하도록 변형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 다른 예로, 위에서는 상기 트레이 팬이 냉장고의 가동 중에 항상 가동되는 예가 설명되었으나, 소정의 조건에서 정지하도록 제어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빙 트레이를 신속하게 냉각시킬 수 있으므로 짧은 시간 내에 많은 양의 얼음을 생산할 수 있다. 그리고, 소비자의 요구에 맞추어 제빙 속도 및 제빙 양을 가변시킬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르면, 제빙 트레이의 구조 및 만빙 감지에 필요한 구조가 매우 단순해지므로, 제조를 쉽게 할 수 있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나아가, 짧은 시간 동안 큰 에너지를 상기 얼음과 제빙 트레이의 경계에 공급함으로써 이빙을 위해 필요한 최소의 해빙 량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과도한 해빙 및 제빙 트레이 회전 시의 낙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2)

  1. 냉각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단계;
    상기 냉각실 내에 배치된 제빙 트레이에 상기 냉각실의 조건과 관계없이 냉기를 송풍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빙 트레이로의 송풍 속도를 요구에 따라 가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냉장고의 운전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 트레이로 송풍된 냉기를 상기 제빙 트레이의 외면에 고르게 분포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냉장고의 운전 제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요구되는 제빙 속도 또는 얼음 양에 따라 상기 냉각실로의 송풍 속도를 가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냉장고의 운전 제어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요구되는 제빙 속도 또는 얼음 양에 따라 단위 시간당 압축기의 운전 시간을 가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냉장고의 운전 제어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 트레이로의 송풍은 상기 냉장고가 가동되는 동안 지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운전 제어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 트레이 내의 얼음을 배출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제빙 트레이로의 송풍 속도는 낮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운전 제어 방법.
  7. 냉각실에 냉기를 송풍하는 냉각팬을 회전시키는 단계;
    상기 냉각실 내에 배치된 제빙 트레이에 냉기를 송풍하는 트레이 팬을 연속적으로 회전시키는 단계; 그리고
    상기 트레이 팬의 회전 속도를 가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냉장고의 운전 제어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팬은 상기 제빙 트레이의 바닥면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운전 제어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팬은 상기 냉각실의 조건에 따라 단속적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트레이 팬은 상기 냉각실의 조건에 관계없이 상기 냉장고가 가동되는 동안 지속적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운전 제어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팬의 회전 속도는 요구에 따라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운전 제어 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 트레이 내의 얼음을 배출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트레이 팬의 회전 속도는 낮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운전 제어 방법.
  12. 제 7 항에 있어서,
    요구에 따라 상기 냉각팬의 회전 속도를 가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냉장고의 운전 제어 방법.
  13. 제 7 항에 있어서,
    요구에 따라 상기 냉장고의 압축기의 단위 시간당 운전 시간을 가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냉장고의 운전 제어 방법.
  14. 제 7 항에 있어서,
    급속 제빙이 요구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냉장고의 운전 제어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급속 제빙이 요구되지 않으면, 제빙 및 이빙 과정 동안 상기 트레이 팬을 저속으로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냉장고의 운전 제어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급속 제빙이 요구되면, 상기 트레이 팬을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냉장고의 운전 제어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의 압축기를 단속적으로 운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냉장고의 운전 제어 방법.
  18. 제 14 항에 있어서,
    급속 제빙이 요구되면, 상기 냉장고의 압축기를 연속적으로 운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냉장고의 운전 제어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급속 제빙이 요구되면, 상기 냉각팬과 상기 트레이 팬을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냉장고의 운전 제어 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급속 제빙이 요구되면, 상기 냉각팬은 고속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트레이 팬은 저속으로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냉장고의 운전 제어 방법.
  21. 제 16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의 배출 행정 동안 상기 트레이 팬을 저속으로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냉장고의 운전 제어 방법.
  2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 트레이를 회전시켜 상기 제빙 트레이 내의 얼음을 배출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냉장고의 운전 제어 방법.
KR1020050124876A 2005-12-16 2005-12-16 냉장고의 운전 제어 방법 KR1007860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4876A KR100786075B1 (ko) 2005-12-16 2005-12-16 냉장고의 운전 제어 방법
US11/554,252 US7752859B2 (en) 2005-12-16 2006-10-30 Control method of refrigerator
CN200610162401A CN100582613C (zh) 2005-12-16 2006-11-22 冰箱的控制方法
EP06125703.6A EP1798503B1 (en) 2005-12-16 2006-12-08 Control method of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4876A KR100786075B1 (ko) 2005-12-16 2005-12-16 냉장고의 운전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4205A true KR20070064205A (ko) 2007-06-20
KR100786075B1 KR100786075B1 (ko) 2007-12-17

Family

ID=37943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4876A KR100786075B1 (ko) 2005-12-16 2005-12-16 냉장고의 운전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752859B2 (ko)
EP (1) EP1798503B1 (ko)
KR (1) KR100786075B1 (ko)
CN (1) CN100582613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71790A1 (ko) * 2018-10-02 2020-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WO2020071792A1 (ko) * 2018-10-02 2020-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10773B2 (en) * 2006-12-14 2009-11-03 General Electric Company Ice 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US9127873B2 (en) * 2006-12-14 2015-09-08 General Electric Company Temperature controlled compartment and method for a refrigerator
US8806886B2 (en) * 2007-12-20 2014-08-19 General Electric Company Temperature controlled devices
US8099975B2 (en) * 2007-12-31 2012-01-24 General Electric Company Icemaker for a refrigerator
US8434321B2 (en) * 2008-02-27 2013-05-07 Lg Electronics Inc. Ice making assembly for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090092384A (ko) * 2008-02-27 2009-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제빙 어셈블리 및 제빙 어셈블리의 수위 감지방법
KR101480549B1 (ko) * 2008-02-28 2015-0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제빙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57691B1 (ko) * 2008-03-10 2014-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제빙 어셈블리의 제어 방법
KR101535482B1 (ko) * 2008-04-15 2015-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
KR101474439B1 (ko) * 2008-05-27 2014-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의 센서 히터 제어 방법
KR101535481B1 (ko) * 2008-04-15 2015-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
KR101535484B1 (ko) * 2008-04-15 2015-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
KR101456572B1 (ko) * 2008-05-27 2014-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의 센서 히터 제어 방법
US20100139299A1 (en) * 2008-04-15 2010-06-10 Dong-Hoon Lee Refrigerator and full ice level sensing apparatus thereof
KR101456571B1 (ko) * 2008-05-01 2014-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 및 그 만빙 감지 방법
KR20100040160A (ko) * 2008-10-09 2010-04-1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1643220B1 (ko) * 2009-05-18 2016-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빙장치를 구비하는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82990A (ko) * 2011-01-17 2012-07-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제빙장치 및 이를 갖는 냉장고
US9316427B2 (en) 2011-03-02 2016-04-19 Whirlpool Corporation Direct contact icemaker with chambered air cooling system
US9625202B2 (en) 2011-03-02 2017-04-18 Whirlpoo Corporation Direct contact icemaker with finned air cooling capacity
US9513045B2 (en) 2012-05-03 2016-12-06 Whirlpool Corporation Heater-less ice maker assembly with a twistable tray
US8925335B2 (en) 2012-11-16 2015-01-06 Whirlpool Corporation Ice cube release and rapid freeze using fluid exchange apparatus and methods
US9863685B2 (en) * 2012-12-03 2018-01-09 Whirlpool Corporation Modular cooling and low energy ice
US20140165602A1 (en) * 2012-12-13 2014-06-19 Whirlpool Corporation Clear ice maker and method for forming clear ice
US9518770B2 (en) 2012-12-13 2016-12-13 Whirlpool Corporation Multi-sheet spherical ice making
US9518773B2 (en) 2012-12-13 2016-12-13 Whirlpool Corporation Clear ice maker
US9303903B2 (en) 2012-12-13 2016-04-05 Whirlpool Corporation Cooling system for ice maker
US9310115B2 (en) 2012-12-13 2016-04-12 Whirlpool Corporation Layering of low thermal conductive material on metal tray
US9273891B2 (en) 2012-12-13 2016-03-01 Whirlpool Corporation Rotational ice maker
US9410723B2 (en) 2012-12-13 2016-08-09 Whirlpool Corporation Ice maker with rocking cold plate
US9476629B2 (en) 2012-12-13 2016-10-25 Whirlpool Corporation Clear ice maker and method for forming clear ice
US9557087B2 (en) 2012-12-13 2017-01-31 Whirlpool Corporation Clear ice making apparatus having an oscillation frequency and angle
US9599388B2 (en) 2012-12-13 2017-03-21 Whirlpool Corporation Clear ice maker with varied thermal conductivity
US9599385B2 (en) 2012-12-13 2017-03-21 Whirlpool Corporation Weirless ice tray
US9470448B2 (en) 2012-12-13 2016-10-18 Whirlpool Corporation Apparatus to warm plastic side of mold
US9500398B2 (en) 2012-12-13 2016-11-22 Whirlpool Corporation Twist harvest ice geometry
CN104422242A (zh) * 2013-08-20 2015-03-18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冰箱及其控制方法
US9915458B2 (en) 2014-10-23 2018-03-13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rate of ice production in an automatic ice maker
US9829235B2 (en) * 2015-03-02 2017-11-28 Whirlpool Corporation Air flow diverter for equalizing air flow within an ice making appliance
EP3295097B1 (en) * 2015-05-11 2020-07-29 True Manufacturing Co., Inc. Ice maker with push notification to indicate when maintenance is required
KR101705662B1 (ko) * 2015-06-18 2017-02-10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제빙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052235A (ko) * 2015-11-04 2017-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ES2646332B1 (es) * 2016-06-09 2018-10-15 Bsh Electrodomésticos España, S.A. Método para poner en funcionamiento un aparato refrigerador doméstico, y aparato refrigerador doméstico
KR102541390B1 (ko) * 2016-07-13 2023-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제빙기 및 이를 갖는 냉장고
US10184710B2 (en) 2016-09-07 2019-01-22 Bsh Hausgeraete Gmbh Ice maker tray with integrated flow channel for a fluid, ice maker and household refrigeration apparatus
JP6729799B2 (ja) * 2017-04-19 2020-07-22 三菱電機株式会社 製氷機
US10739053B2 (en) 2017-11-13 2020-08-11 Whirlpool Corporation Ice-making appliance
US11835283B2 (en) 2018-10-02 2023-12-05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16972571A (zh) * 2018-10-02 2023-10-31 Lg电子株式会社 冰箱及其控制方法
US10907874B2 (en) 2018-10-22 2021-02-02 Whirlpool Corporation Ice maker downspout
JP7162339B2 (ja) * 2018-12-13 2022-10-28 アクア株式会社 冷蔵庫
CN116202293A (zh) * 2021-11-30 2023-06-02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冰箱及其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32146A (en) * 1980-11-24 1982-06-01 Hitachi, Ltd. Drive force transmitting device for ice-making tray of automatic ice-making machine
US4727720A (en) * 1986-04-21 1988-03-01 Wernicki Paul F Combination ice mold and ice extractor
US4852359A (en) * 1988-07-27 1989-08-01 Manzotti Ermanno J Process and apparatus for making clear ice cubes
JPH07122539B2 (ja) * 1989-11-16 1995-12-25 株式会社東芝 自動製氷装置付冷蔵庫
KR100259831B1 (ko) 1997-12-13 2000-06-15 전주범 냉장고의 자동제빙장치
JPH11223450A (ja) 1998-02-04 1999-08-17 Toshiba Corp 冷蔵庫
JP3688892B2 (ja) 1998-06-18 2005-08-31 株式会社東芝 冷凍冷蔵庫
TW528847B (en) * 1998-06-18 2003-04-21 Hitachi Ltd Refrigerator
US6238401B1 (en) 1998-07-31 2001-05-29 Zuli Holdings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vely positioning a device and manipulating it
KR20000011264U (ko) * 1998-11-30 2000-06-26 전주범 제빙용 냉기공급장치
US6351955B1 (en) * 2000-07-31 2002-03-05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apid ice production
US6655158B1 (en) * 2000-08-11 2003-12-02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boosting ice rate formation in a refrigerator
JP4059474B2 (ja) 2001-10-12 2008-03-12 株式会社東芝 冷蔵庫
JP2004036974A (ja) 2002-07-02 2004-02-05 Toshiba Corp 冷蔵庫
US6735959B1 (en) * 2003-03-20 2004-05-18 General Electric Company Thermoelectric icemaker and control
US6865899B2 (en) 2003-03-22 2005-03-15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0565612B1 (ko) * 2003-09-15 2006-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제빙기
KR100565621B1 (ko) * 2003-09-19 2006-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0565624B1 (ko) 2003-09-25 2006-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제빙기용 이젝터의 회전 제어장치
KR100565496B1 (ko) 2003-10-07 2006-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제빙기의 급속 제빙 제어 방법
KR100644824B1 (ko) 2003-10-13 2006-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제어 방법
US7131280B2 (en) * 2004-10-26 2006-11-07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for making ice in a compact ice maker
KR100755840B1 (ko) * 2005-12-16 2007-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빙 장치와 이를 이용한 제빙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71790A1 (ko) * 2018-10-02 2020-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WO2020071792A1 (ko) * 2018-10-02 2020-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98503B1 (en) 2018-06-06
CN1982814A (zh) 2007-06-20
KR100786075B1 (ko) 2007-12-17
CN100582613C (zh) 2010-01-20
US7752859B2 (en) 2010-07-13
EP1798503A2 (en) 2007-06-20
EP1798503A3 (en) 2015-04-22
US20070137241A1 (en) 2007-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6075B1 (ko) 냉장고의 운전 제어 방법
KR100755840B1 (ko) 제빙 장치와 이를 이용한 제빙 방법
EP2096384B1 (en) Method of controlling ice making assembly for refrigerator
KR100808171B1 (ko) 제빙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92385A (ko) 냉장고용 제빙 어셈블리의 제어 방법
KR20150145705A (ko) 제빙기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KR20070094587A (ko) 제빙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781287B1 (ko) 제빙 장치 및 이의 얼음량 감지 방법, 그리고 냉장고
JP2011185541A (ja) 製氷装置
KR100786076B1 (ko) 제빙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8163332A1 (ja) 自動製氷機及び冷凍冷蔵庫
KR100672392B1 (ko) 제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냉각 장치, 그리고 이의 제어방법
KR100755866B1 (ko) 냉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0777283B1 (ko) 제빙 장치와 이를 이용한 제빙 방법
KR100662445B1 (ko) 제빙장치
JP4460898B2 (ja) 自動製氷機
US11835283B2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1892220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20050024702A (ko) 냉장고용 급속제빙기
JPH11304331A (ja) 冷蔵庫の制御方法
US20210396441A1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100565602B1 (ko) 냉장고의 제빙기
KR20210005781A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KR20210005792A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KR20210005791A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13